KR20130021329A - 시트 사행 보정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사행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사행 보정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사행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329A
KR20130021329A KR1020120088174A KR20120088174A KR20130021329A KR 20130021329 A KR20130021329 A KR 20130021329A KR 1020120088174 A KR1020120088174 A KR 1020120088174A KR 20120088174 A KR20120088174 A KR 20120088174A KR 20130021329 A KR20130021329 A KR 20130021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sheet
driven rotating
holder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334B1 (ko
Inventor
고오이찌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6Movable stops or gauges, e.g. rising and falling front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4Retarding or controlling the forward movement of articles as they approach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04Deskewing sheet by abutting against a stop, i.e. producing a buckling of th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4Fixed or adjustable stops or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1Skewing, correcting skew, i.e. changing slightly orientation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3Roller pairs driving roller and idler roller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70Other elements in edg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e.g. registering, orientating, guiding devices
    • B65H2404/72Stops, gauge pins, e.g. stationary
    • B65H2404/722Stops, gauge pins, e.g. stationary 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Landscapes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시트 사행 보정 장치가 제공되며, 이 시트 사행 보정 장치는,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구동 회전 부재;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되는 제1 종동 회전 부재;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1 홀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되는 제2 종동 회전 부재;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2 홀더; 및 시트의 선단이 사행 보정을 위해 접촉되는 셔터부로서, 셔터부의 일 단부가 제1 홀더에 의해 지지되고 셔터부의 다른 단부가 제2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피봇 이동하는 셔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셔터부는 상기 선단과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의 사이에 상기 접촉부를 결합하도록 연장되는 결합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시트 사행 보정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사행 보정 장치{SHEET SKEW FEED CORRECTION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KEW FEED CORR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시트의 예상되는 사행(skew feed)을 보정하는 사행 보정부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프린터 및 팩시밀리 기계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종래에 화상 형성부, 및 상기 화상 형성부에 시트를 반송하기 위해 반송 롤러를 사용하는 시트 반송 장치를 구비한다.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반송 롤러가 변형되거나 오정렬되기 때문에, 시트가 반송될 때 사행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시트에 대한 화상 형성 위치의 정밀도는 화상 형성부에 대한 시트의 위치에 크게 의존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부에 대해 시트를 정밀하게 정렬시키는 것은 화상 품질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시트 반송 장치는 시트의 예상되는 사행을 보정하기 위한 사행 보정부를 구비하며, 따라서 화상 형성 위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사행 보정부의 예로는, 스프링에 의해 시트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시트의 선단과 접촉하게 하는 셔터가 포함된다(일본 특허 공개 평09-183539호, 일본 특허 공개 2010-235259호 및 일본 특허 공개 2011-079608호 참조).
도 13은 종래의 사행 보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유닛(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P)는 구동 롤러(91(91a, 91b))와 종동 롤러(driven roller; 92(92a, 92b))에 의해 형성되는 닙(nip)으로 반송된다. 종동 롤러(92(92a, 92b))는 종동 롤러 샤프트(9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종동 롤러 샤프트(94) 상에 셔터 부재(95)가 피봇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셔터 부재(95)는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그 양단부에 접촉부(95a, 95b)를 구비한다. 이들 접촉부(95a, 95b)는 반송되는 시트(P)와 접촉된다. 접촉부(95a, 95b)는 구동 롤러(91)와 종동 롤러(92)에 의해 형성된 닙의 반송 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된다. 셔터 부재(95)는 자신의 고유한 무게 또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시트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된다.
시트의 선단은 셔터 부재(95)의 접촉부(95a, 95b)와 접촉된다. 시트(P)의 선단이 셔터 부재(95)를 따르도록 셔터 부재(95)와 접촉되는 상태에서 시트(P)는 루프 형성된다(looped).
시트(P)가 루프 형성되면서 셔터 부재(95)를 따를 때, 시트(P)의 사행이 보정된다. 시트(P)의 선단이 셔터 부재(95)를 따르면, 루프 형성된 시트(P)의 강성에 의해 이후 시트(P)는 셔터 부재(95)를 가압하도록 작용하는 스프링에 대항하여 셔터 부재(95)를 피봇시키면서 셔터 부재(95)를 통과할 수 있다. 시트(P)의 후단이 셔터를 통과한 후, 셔터 부재(95)는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셔터 부재(95)가 반송 경로에서 후퇴되는 위치로부터 홈 위치로 복귀한다. 셔터 부재(95)는 스토퍼와 접촉되며 홈 위치에 유지된다.
사행 보정부를 갖는 종래의 시트 반송 장치 및 이 시트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셔터 부재(95)는 셔터 부재(95)가 반송 경로에서 후퇴한 위치로부터 홈 위치로 복귀하는데 일정 시간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홈 위치로 복귀할 때, 셔터 부재(95)는 스토퍼에 대해 충돌하며 이 충격으로 인해 여러 번 바운드된다.
특히,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95)가 종동 롤러(92)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종동 롤러(94) 상에 피봇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면, 셔터 부재(95)와 종동 롤러 샤프트(94) 사이의 거리가 종동 롤러(92)의 직경보다 길어진다. 이 경우, 셔터 부재(95)는 증가된 관성 모멘트를 가지며, 이는 바운드 횟수를 증가시키고, 홈 위치로 완전히 복귀하기까지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셔터 부재가 완전히 홈 위치로 복귀하는 데 더욱 긴 시간을 필요로 하면, 셔터 부재가 홈 위치로 완전히 복귀하기 전에 시트가 사행 보정부로 반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트의 사행이 확실하게 보정될 수 없으며, 사행 보정 능력이 변동된다. 이러한 사행 보정 능력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하나의 시트와 후속 시트 사이의 간격을 길게 설정하면, 화상 형성 장치의 생산성 향상이 방해된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의 복귀 시간과 바운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시트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사행 보정 장치이며,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구동 회전 부재; 상기 구동 회전 부재와 함께 시트를 닙핑하여 반송하도록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되는 제1 종동 회전 부재;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1 홀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와 함께 시트를 닙핑하여 반송하도록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되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시트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함께 배치되는 제2 종동 회전 부재;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2 홀더; 및 시트의 사행 보정을 위해 반송되는 시트의 선단과 접촉된 후에 상기 시트의 통과를 허용하는 위치로 피봇 이동하는 셔터부로서, 시트의 폭 방향으로 셔터부의 일 단부가 상기 제1 홀더에 의해 지지되고 셔터부의 다른 단부가 상기 제2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피봇 이동하는 셔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셔터부는 시트의 선단이 접촉하고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복수의 접촉부, 및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접촉부를 결합하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로서, 상기 제1 및 제2 종동 회전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종동 회전 부재 각각의 외주면보다 상기 제1 및 제2 종동 회전 부재 각각의 회전 중심에 가깝게 배치되는 결합부를 갖는 시트 사행 보정 장치가 제공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이며,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구동 회전 부재; 상기 구동 회전 부재와 함께 시트를 닙핑하여 반송하도록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되는 제1 종동 회전 부재;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1 홀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와 함께 시트를 닙핑하여 반송하도록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되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시트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함께 배치되는 제2 종동 회전 부재;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2 홀더; 시트의 사행 보정을 위해 반송되는 시트의 선단과 접촉된 후에 상기 시트의 통과를 허용하는 위치로 피봇 이동하는 셔터부로서, 시트의 폭 방향으로 셔터부의 일 단부가 상기 제1 홀더에 의해 지지되고 셔터부의 다른 단부가 상기 제2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피봇 이동하는 셔터부; 및 상기 셔터부에 의해 사행 보정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셔터부는 시트의 선단이 접촉하고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복수의 접촉부, 및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접촉부를 결합하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로서, 상기 제1 및 제2 종동 회전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종동 회전 부재 각각의 외주면보다 상기 제1 및 제2 종동 회전 부재 각각의 회전 중심에 가깝게 배치되는 결합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의 사행을 보정하는 사행 보정 장치이며,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구동 회전 부재; 상기 구동 회전 부재와 함께 시트를 닙핑하여 반송하도록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되는 제1 종동 회전 부재;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1 홀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와 함께 시트를 닙핑하여 반송하도록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되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시트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함께 배치되는 제2 종동 회전 부재;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를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2 홀더; 시트의 선단이 접촉하고 시트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가지며, 반송되는 시트의 선단이 상기 복수의 접촉부와 접촉된 후에 상기 시트의 통과를 허용하는 위치로 피봇 이동하는 셔터부; 상기 제1 홀더에 제공되고 상기 셔터부를 피봇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홀더에 제공되고 상기 셔터부를 피봇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는 사행 보정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셔터 부재의 관성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셔터 부재의 복귀 시간 및 바운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인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시트 반송 장치에 제공된 사행 보정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사행 보정부의 분해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상기 사행 보정부의 사행 보정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에 제공된 사행 보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사행 보정부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에 제공된 사행 보정부의 구성의 도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사행 보정부에 의해 시트가 반송될 때 관찰되는 사행 보정부의 상태의 도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에 제공된 사행 보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사행 보정부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의 필수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d는 상기 사행 보정부의 사행 보정 동작 및 시트 검지 동작의 도시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사행 보정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따라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인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서, 레이저빔 프린터(10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인 레이저빔 프린터 본체(이하, 프린터 본체로 지칭됨)(101)를 구비한다. 레이저빔 프린터(100)는 화상 형성부(102), 시트(P)를 급지하는 급지부(103), 급지부(103)에 의해 급지되는 시트(P)를 화상 형성부(102)로 반송하는 시트 반송 장치(10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빔 프린터(100)는 그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시트(P)를 화상 형성부(102)로 다시 반송하는 재반송부(105)를 구비한다.
화상 형성부(102)는 화상 담지 부재인 감광체 드럼(41), 현상 롤러(44) 및 대전 롤러(43)를 구비하는 통합 프로세스 유닛이 구비된 착탈식 프로세스 카트리지(40)를 구비한다. 또한, 화상 형성부(102)는 감광체 드럼(41)의 표면을 노광하여 감광체 드럼 상에 정전 화상을 형성하는 레이저 스캐너(5)를 구비한다.
급지부(103)는 시트(P)가 적재되는 급지 트레이(10), 급지 트레이 상의 시트(P)를 한 장씩 급지하는 급지 롤러(11)를 구비한다. 시트 반송 장치(104)는 시트의 사행을 보정하는 사행 보정부(2)를 구비한다. 재반송부(105)는 화상이 형성된 시트(P)를 반전시키고 이후 반전된 시트(P)를 화상 형성부(102)로 다시 반송하는 양면 반송 롤러 쌍(8)을 구비한다.
도 1에서, 배지(sheet discharging) 반전 롤러 쌍(7)은 정회전 및 역회전이 모두 가능하며, 시트의 양면에 화상이 형성되는 경우에 배지 반전 롤러 쌍(7)은 역회전하여 시트(P)를 재반송부(105)로 반송한다. 분리 패드(12)는 스프링(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급지 롤러(11)에 대해 압접된다. 분리 패드(12)는 급지 롤러(11)에 의해 급지되는 시트로부터 한 장의 시트를 분리한다.
이제, 레이저 빔 프린터(100)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화상 형성 동작이 시작되면, 급지 트레이(10)에 적재 수납되어 있는 시트(P) 한 장이 구동 모터(M)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급지 롤러(11) 및 분리 패드(12)에 의해 분리 급지된다. 이후, 시트(P)는 사행 보정부(2)로 반송되어 사행 보정된다. 이후, 시트(P)는 감광체 드럼(41)과 전사 롤러(42)를 구비하는 전사부로 반송된다.
사행 보정부(2)로부터 전사부까지의 반송 경로(R)에는, 시트 검지 플래그(32)가 반송 경로(R)에 출몰할 수 있도록 돌출 방식으로 제공된다. 사행이 보정되어 사행 보정부(2)를 통과한 시트(P)에 의해 시트 검지 플래그(32)가 밀려올라감으로써 시트 검지 플래그(32)가 포토 인터럽터(31)의 광축을 차단하는 자세로부터 시트 검지 플래그(32)가 포토 인터럽터(31)의 광축을 차단하지 않는 자세로 시트 검지 플래그(32)가 이동할 때, 시트(P)의 선단이 검지된다.
이후, 선단 검지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레이저 스캐너(5)의 레이저 발광부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고 그 표면이 대전 롤러(43)에 의해 미리 정해진 극성 및 미리 정해진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되어 있는 감광체 드럼(41)에 대해,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광을 발광한다. 레이저광을 감광체 드럼(41)에 조사함으로써, 감광체 드럼(41) 상에 정전 화상이 형성된다. 이후, 정전 화상은 현상 롤러(44)에 의해 현상되고 토너 화상으로 가시화된다. 감광체 드럼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전사부에서 전사 롤러(42)에 의해 시트(P)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로 전사된다.
이후, 토너 화상이 전사된 시트(P)는 가압 롤러(61)와 가열 유닛(62)에 의해 형성된 정착 닙으로 반송된다. 미정착 화상은 이후 가열 및 정착된다. 이후, 화상이 정착된 시트(P)는 배지 반전 롤러 쌍(7)으로 반송되고, 프린트 작업으로서 편면(simplex) 인쇄가 지정된 경우, 배지 반전 롤러 쌍(7)은 프린트 본체의 상부에 제공된 배지 트레이(73)에 시트를 배지한다.
한편, 프린트 작업으로서 자동 양면 인쇄가 지정된 경우에, 시트(P)는 배지 반전 롤러 쌍(7)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반송된다. 이후, 배지 반전 롤러 쌍(7)은 구동 전환 기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역회전되며, 따라서 시트(P)는 재반송부(105)로 반전 반송된다. 이후, 시트(P)는 재반송 경로(83)에 의해 안내되고, 양면 반송 경로에 배치된 양면 반송 롤러 쌍(8)에 의해 사행 보정부(2)로 반송된다. 시트(P)는 사행 보정부(2)에 의해 사행 보정을 거쳐 전사부로 반송되며, 전사부는 이후 제1 측을 갖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미정착 화상을 시트에 전사한다. 이후, 시트(P)는 정착 닙으로 반송되며, 여기에서는 미정착 화상이 가열 정착된다. 시트(P)는 이후 배지 반전 롤러 쌍(7)을 거쳐서 배지 트레이(73)에 배지된다.
이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행 보정부(2)의 구성을 도 2에 도시된 사시도와 도 3에 도시된 분해도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셔터부로서 작용하는 셔터 부재(25)는,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그 양단에 배치되고 시트와 접촉하는 접촉부(25a, 25b), 및 접촉부(25a, 25b)를 함께 결합하는 결합부(25c)를 구비한다. 즉,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부재(25)는 두 개의 접촉부(25a, 25b)와 결합부(25c)가 일체로 되는 형상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에서, 제1 종동 롤러(22a) 및 제2 종동 롤러(22b)는 각각 롤러 본체가 샤프트와 일체로 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1 종동 회전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1 종동 롤러(22a) 및 제2 종동 회전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2 종동 롤러(22b)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는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일괄하여 종동 롤러(22)로서 언급될 것이다. 복수의 종동 롤러(22)가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된다. 구동 롤러(21(21a, 21b))는 종동 롤러(22)와 함께 회전 부재 쌍을 형성한다. 제2 회전 부재로서 기능하는 종동 롤러(22)는 제1 회전 부재로서 기능하는 구동 롤러(21)에 대해 접촉 및 분리 가능하도록 압접된다.
구동 롤러(21)의 구동 롤러 샤프트는 참조부호 23으로 지칭된다. 제1 베어링 부재(26a)는 제1 종동 롤러(22a)를 피봇 지지하는 제1 홀더이며, 제2 베어링 부재(26b)는 제2 종동 롤러(22b)를 피봇 지지하는 제2 홀더이다. 제1 베어링 부재(26a)와 제2 베어링 부재(26b)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는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일괄하여 베어링 부재(26)로서 언급될 것이다. 베어링 부재(26a, 26b)의 내측 측면에는, 셔터 부재(25)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원형 보스(29a, 29b)가 돌출 형태로 제공된다. 셔터 부재(25)의 두 개의 접촉부(25a, 25b)에는 베어링 부재(26a, 26b)의 원형 보스(29a, 29b)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30a, 30b)이 형성된다.
두 개의 인접한 종동 롤러(22a, 22b)를 피봇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26a, 26b)의 원형 보스(29a, 29b)가 삽입 구멍(30a, 30b)에 삽입되면, 셔터 부재(25)는 베어링 부재(26a, 26b)에 의해 피봇 지지된다. 즉, 셔터 부재(25)는 그 피봇 이동의 중심이 두 개의 인접한 종동 롤러(22a, 22b) 사이에서 베어링 부재(26a, 26b)에 의해 지지된다.
그 피봇 이동의 중심이 베어링 부재(26a, 26b)에 의해 지지되는 셔터 부재(25)는 통상, 베어링 부재(26b)에 장착되는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27)에 의해 시트 반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셔터 부재(25)는 통상 홈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셔터 부재(25)의 홈 위치는, 베어링 부재(26a, 26b)에 제공된 접촉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셔터 부재(25)에 제공된 접촉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27)에 의한 가압에 의해 접촉되는 위치이다. 셔터 부재(25)가 홈 위치에 위치할 때, 접촉부(25a, 25b)는 구동 롤러(21)와 종동 롤러(22)에 의해 형성되는 닙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으로 돌출한다.
베어링 부재(26a, 26b)는 각각 가압 스프링(28a, 28b)으로부터 가압력을 받아서 종동 롤러(22)를 구동 롤러(21)에 대해 압접시킨다. 베어링 부재(26a, 26b)는 가압 스프링(28a, 28b)의 가압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프레임(301a, 301b)(도 4a 참조)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종동 롤러(22)는 구동 롤러(21)에 대해 압접될 수 있으며, 시트가 구동 롤러(21)와 종동 롤러(22) 사이의 닙을 통과할 때 종동 롤러(22)는 시트 두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종래 기술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샤프트가 두 개의 종동 롤러를 지지하므로 강해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예를 들어, 샤프트가 금속으로 형성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고비용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예시적 실시예는, 베어링 부재(26a, 26b)에 의해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두 개의 독립적인 종동 롤러(22)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복수의 종동 롤러(22)를 지지하는 긴 샤프트가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행 보정부는 도 13에 도시된 사행 보정부보다 비용이 저렴하다.
베어링 부재(26a, 26b)는, 셔터 부재(25)의 피봇 이동 중심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원형 보스(29a, 29b)의 중심을 결합하는 직선이 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하도록, 즉 폭 방향에 평행하도록 프레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유지된다. 접촉부(25a, 25b)를 결합하는 직선은, 셔터 부재(25)의 양단에서의 피봇 이동 중심을 결합하는 직선에 평행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셔터 부재(25)의 접촉부(25a, 25b)를 결합하는 직선은 반송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다.
이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행 보정부(2)의 사행 보정 동작을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지 롤러(11) 또는 양면 반송 롤러 쌍(8)에 의해 사행 보정부(2)로 반송되는 과정에서 사행된 시트(P)는 먼저 셔터 부재(25)의 두 개의 접촉부(25a, 25b) 중 하나에 접촉한다. 이후, 설명을 위해 시트(P)는 먼저 접촉부(25b)에 접촉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후,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25b)에 접촉하고 있는 시트(P)의 선단 측이 정지되어 루프 형성된다. 이 선단 측이 루프 형성되는 동안, 시트(P)의 다른 측은 접촉부(25a)에 접촉한다. 이 일련의 동작에 의해, 시트(P)가 루프 형성될 때, 시트의 선단은 셔터 부재(25)의 접촉부(25a, 25b)에 의해 반송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르게 된다. 따라서, 시트(P)의 선단이 두 개의 접촉부(25a, 25b)에 접촉하기 때문에, 시트(P)를 반송하는 힘이 셔터 부재(25)에 전달된다.
이 결과,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27)이 셔터 부재(25)를 가압하는 가압력은 시트(P)를 반송하는 반송력을 더 이상 이길 수 없다. 따라서,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25)는 베어링 부재(26a, 26b)를 지지점으로서 사용하여 회전한다. 이 결과, 셔터 부재(25)의 접촉부(25a, 25b)는 반송 경로에서 후퇴한다. 따라서 시트(P)는 구동 롤러(21)와 종동 롤러(22) 사이의 닙에 돌입한다.
시트의 선단이 접촉부(25a, 25b)에 접촉한 상태에서 셔터 부재(25)가 시트에 의해 가압되어 피봇 이동하는 피봇 이동 중에, 시트의 선단은 구동 롤러(21)와 종동 롤러(22)에 의해 닙핑된다. 즉, 시트의 선단이 접촉한 상태에서 셔터 부재(25)가 피봇하는 동안에, 시트의 선단은, 시트의 선단이 구동 롤러(21)와 종동 롤러(22) 사이에 협지될 때까지 셔터 부재(25)의 접촉부(25a, 25b)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셔터 부재(25)가 피봇 이동하는 동안 시트(P)를 셔터 부재(25)에 통과시킴으로써, 시트(P)의 사행은 시트(P)가 구동 롤러(21)와 종동 롤러(22)에 의해 형성된 닙에 돌입하기 전에 보정된다. 이후, 사행이 보정된 시트(P)에 대해 전술한 화상 형성 처리가 이루어진다.
화상 형성 처리 직후에, 시트(P)의 후단은 반송 경로에서 후퇴한 상태의 셔터 부재(25)를 통과한다. 이후, 도 4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25)는, 셔터 부재(25)가 반송 경로에서 후퇴한 위치로부터 홈 위치, 즉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반송될 다음 시트가 전술한 동작과 유사한 동작에 의해 사행 보정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25c)는 셔터 부재(25)의 피봇 이동 중심을 대략 중심으로 하는 얇은 봉 형상이다. 셔터 부재(25)의 중심은 셔터 부재(25)의 피봇 이동 중심에 가능한 한 가깝게 설정된다. 결합부(25c)는 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25c)는 종동 롤러(22a, 22b)의 반경 방향으로 종동 롤러(22a, 22b) 각각의 외주면보다 종동 롤러(22a, 22b) 각각의 회전 중심에 가깝게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피봇 이동 중심과 무게 중심 사이가 멀수록 관성 모멘트는 증가한다. 따라서, 셔터 부재(25)의 무게 중심을 셔터 부재(25)의 피봇 이동 중심에 대해 가능한 한 가깝게 설정함으로써 셔터 부재(25)의 피봇 이동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관성 모멘트를 작게 할 수 있다.
셔터 부재(25)는 두 개의 인접한 종동 롤러(22a, 22b) 사이에 피봇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셔터 부재(25)가 종동 롤러(22)를 커버하지 않으며, 셔터 부재(25)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셔터 부재(25)의 피봇 이동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관성 모멘트가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반송 경로에서 후퇴한 셔터 부재(25)가 홈 위치로 복귀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셔터 부재(25)가 홈 위치로 복귀할 때의 바운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부재(25)에 인접하는 두 개의 종동 롤러(22a, 22b)는 독립적으로 제공되며, 이들 종동 롤러(22a, 22b) 사이에는 셔터 부재(25)의 결합부(25c)가 배치된다. 따라서, 셔터 부재(25)의 피봇 이동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관성 모멘트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반송 경로에서 후퇴한 셔터 부재(25)가 홈 위치로 복귀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셔터 부재(25)가 홈 위치로 복귀할 때의 바운드 시간(바운드 횟수)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 시트의 후단이 셔터 부재(25)를 통과한 후 후속 시트의 사행 보정이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레이저빔 프린터(100)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을 사용하여 셔터가 복귀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바운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비용과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베어링 부재(26a, 26b)의 원형 보스(29a, 29b)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은 셔터 부재(25)의 두 개의 접촉부(25a, 25b) 각각에 형성된다. 그러나, 삽입 구멍이 결합부(25c)에 형성될 수도 있다.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얇은 봉(원형 단면) 형상인 결합부가 결합부(25c)로서 예시되었다. 그러나, 셔터 부재(25)의 결합부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L형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부재가 셔터 부재(25)의 결합부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제2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5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에 제공된 사행 보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사행 보정부의 분해도이다. 전술한 도 2 및 도 3에서의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 5 및 도 6에서의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도 5 및 도 6에서, 원통형 종동 롤러(222(222a, 222b))는 구동 롤러(21)에 대해 압접하는 회전부이다. 종동 롤러(222)는, 각각 내경부를 관통하는 샤프트 부재인 샤프트(229a, 229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종동 롤러(222)와 샤프트(229a, 229b)가 제2 회전 부재를 형성한다.
종동 롤러(222)의 샤프트(229a, 229b)의 양단부는 대응하는 베어링 부재(262a, 262b)에 의해 피봇 지지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대응하는 베어링 부재(262a, 262b)에 장착되는 샤프트(229a, 229b) 각각의 장착부는 2방(two-way) 제거(two way removal)가 가능하도록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샤프트(229a, 229b)는 베어링 부재(262a, 262b)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229a)와 베어링 부재(262a)는, 종동 롤러(222a)를 피봇 지지하는 제1 홀더를 형성한다. 또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229b)와 베어링 부재(262b)는, 종동 롤러(222b)를 피봇 지지하는 제2 홀더를 형성한다.
베어링 부재(262a, 262b)에 장착될 때, 샤프트(229a, 229b)는 베어링 부재(262a, 262b)의 내측 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한다. 샤프트(229a, 229b)의 돌출 부분은 각각, 셔터 부재(25)의 접촉부(25a, 25b)에 형성되는 삽입 구멍(30a, 30b)에 삽입된다. 따라서, 셔터 부재(25)는 베어링 부재(262a, 262b)에 의해 종동 롤러(222)와 동축으로 피봇 지지된다. 즉, 셔터 부재(25)는 그 피봇 이동의 중심이 베어링 부재(262a, 262b)에 의해 셔터 부재(25)의 양단부에서 지지된다.
베어링 부재(262a, 262b)는, 셔터 부재(25)의 피봇 이동 중심 지지부인 샤프트(229a, 229b)의 중심을 결합하는 직선이 반송 방향에 직교하도록 프레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유지된다. 접촉부(25a, 25b)를 결합하는 직선은, 셔터 부재(25)의 양단에서 피봇 이동의 중심을 결합하는 직선에 평행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셔터 부재(25)의 접촉부(25a, 25b)를 결합하는 직선은 반송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부재(25)의 회전 중심은 종동 롤러(222)의 회전 샤프트인 샤프트(229a, 229b)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종동 롤러(222)와 구동 롤러(21)에 의해 형성된 반송 닙과 셔터 부재(25)의 접촉부(25a, 25b) 사이의 위치 관계에 베어링 부재(262a, 262b)가 직접 연관되지 않는다. 이 구성에 의해 반송 닙과 셔터 부재(25)의 접촉부가 보다 정밀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제3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7은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에 제공된 사행 보정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전술한 도 2에서의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 7에서의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도 7에서, 베어링 부재(263a, 263b)는 각각, 회전 부재와 회전 샤프트가 일체 형성된 종동 롤러(22)의 회전 샤프트를 피봇 지지하는 피봇 지지부(263c 내지 263f)를 구비한다. 셔터 부재(25)는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양단부에서 그 피봇 이동 중심이 베어링 부재(263a, 263b)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셔터 부재(25)의 피봇 이동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관성 모멘트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 부재(263a)의 내측에 위치하는 피봇 지지부(263d)는 반송 방향으로 외측 피봇 지지부(263c)의 하류측에 편위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베어링 부재(263a)에 장착될 때, 종동 롤러(22a)는 시트 반송 방향으로 구동 롤러(21)에 대해 경사진다. 마찬가지로, 베어링 부재(263b)의 내측에 위치하는 피봇 지지부(263f)는 시트 반송 방향으로 외측 피봇 지지부(263e)의 하류측에 편위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베어링 부재(263b)에 장착될 때, 종동 롤러(22b)는 시트 반송 방향으로 구동 롤러(21)에 대해 경사진다.
도 8은 시트가 사행 보정부에 의해 반송될 때 관찰되는 사행 보정부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에서는 종동 롤러(22a, 22b)의 경사짐을 도시하기 위해 베어링 부재(263a, 263b), 셔터 부재(25) 및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27)의 도시가 생략된다. 종동 롤러(22a, 22b)의 각각은, 폭 방향 내측단이 시트 반송 방향으로 폭 방향 외측단의 하류측으로 경사지도록 배향된다. 이 경우, 반송 중에, 시트(P)는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신장된다.
반송 중에 시트(P)를 외측으로 신장함으로써, 시트(P)는 사행 보정부(2)의 상류측에서 예상되는 백 텐션(back tension) 또는 사행 보정부(2)의 하류측에서 예상되는 반송 저항 또는 외란에 의해 영향받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반송될 수 있다. 즉,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경우와 같이 셔터 부재(25)가 그 양단부에서 그 피봇 이동의 중심이 베어링 부재(263a, 263b)에 의해 지지될 때, 종동 롤러(22)는 구동 롤러(21)의 반송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종동 롤러(22)가 구동 롤러(21)의 반송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때, 사행 보정된 시트(P)는 보다 정밀하게 안정적으로 화상 형성부로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인쇄 위치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제4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9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에 제공된 사행 보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사행 보정부의 분해도이다. 전술한 도 2 및 도 3에서의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 9 및 도 10에서의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도 9 및 도 10에서, 셔터 부재(254)는 폭 방향으로 그 양단에 접촉 부재(254A, 254B)를 구비한다. 접촉 부재(254A)는 폭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 개의 리브(257a, 257a')를 구비한다. 접촉 부재(254B)는 폭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 개의 리브(257b, 257b')를 구비한다. 이들 리브(257a, 257a', 257b, 257b')의 선단이 접촉부(254a, 254a', 254b, 254b')를 형성한다.
셔터 부재(254)의 결합부(254c)는, 접촉 부재(254A, 254B)의 내측 리브(257a', 257b')를 통해서 삽입되고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고정된다. 두 개의 접촉 부재(254A, 254B)에 폭 방향으로 제공되는 네 개의 접촉부(254a, 254a', 254b, 254b')는 결합부(254c)에 의해 결합된다. 접촉 부재(254A, 254B)의 외측 리브(257a, 257b)에는 각각 관통 구멍(256a, 256b)이 결합부(254c)와 동축으로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에서, 회전 부재와 회전 샤프트가 일체로 형성된 종동 롤러(22(22a, 22b))는 베어링 부재(264a, 264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 부재(264a, 264b)는 그 외측 측면에 돌출 방식으로 제공되는 원형 보스(266a, 266b)를 구비하며, 이들 원형 보스는 셔터 부재(254)의 접촉 부재(254A, 254B)의 외측 리브(257a, 257b)에 형성된 관통 구멍(256a, 256b)을 통해서 삽입된다. 베어링 부재(264a, 264b)의 내면측에는 관통 구멍(265a, 265b)이 각각 형성되며, 따라서, 셔터 부재(254)의 접촉 부재(254A, 254B)의 내측 리브(257a', 257b')로부터 돌출하는 결합부(254c)의 양단부는 각각 관통 구멍(265a, 265b)을 통해서 삽입된다.
베어링 부재(264a, 264b)의 원형 보스(266a, 266b)는 접촉 부재(254A, 254B)의 관통 구멍(265a, 265b)에 삽입된다. 또한, 결합부(254c)의 양단부는 접촉 부재(254A, 254B)의 관통 구멍(265a, 265b)을 통해서 삽입된다. 따라서, 베어링 부재(264a, 264b)는 종동 롤러(22)의 외측에서 셔터 부재(254)의 피봇 이동 중심을 지지한다.
결합부(254c)는, 그 중심이 셔터 부재(254)의 피봇 이동 중심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봉 형상을 갖는다. 셔터 부재(254)의 무게 중심은 셔터 부재(254)의 피봇 이동 중심에 가능한 한 가깝게 설정된다. 따라서, 셔터 부재(254)의 피봇 이동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관성 모멘트가 최소화된다. 그 피봇 이동 중심이 베어링 부재(264a, 264b)에 의해 지지되는 셔터 부재(254)는, 베어링 부재(264b)에 장착되는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274)에 의해 시트 반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셔터 부재(254)가 홈 위치에 있을 때, 접촉부(254a, 254a', 254b, 254b')는 반송 방향으로 구동 롤러(21)와 종동 롤러(22)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 닙의 상류측으로 돌출한다.
베어링 부재(264a, 264b)는, 셔터 부재(254)의 피봇 이동 중심 지지부인 관통 구멍(265a, 265b)의 중심과 원형 보스(266a, 266b)의 중심을 결합하는 직선이 반송 방향과 직교하도록 프레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유지된다. 접촉부(254a, 254a', 254b, 254b')를 결합하는 직선은 셔터 부재(254)의 양단에서의 피봇 이동 중심을 결합하는 직선에 평행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셔터 부재(254)의 접촉부(254a, 254a', 254b, 254b')를 결합하는 직선은 반송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다.
베어링 부재(264a, 264b)는 가압용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284a, 284b)으로부터 가압력을 받아서 종동 롤러(22)를 구동 롤러(21)에 대해 압접시킨다.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284a, 284b)은 셔터 부재(254)의 피봇 이동 궤적을 피하도록 배치되고 그 고정단에서 프레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종동 롤러(22)의 내측과 외측 양측에 접촉부(254a, 254a', 254b, 254b')가 제공된다. 종동 롤러(22)의 양측에 접촉부(254a, 254a', 254b, 254b')를 제공함으로써, 사행 보정 중에 시트 선단의 접촉 면적이 증가한다. 이 결과, 시트의 선단에 인가되는 힘이 감소되고, 따라서 시트 선단의 절첩 또는 젖혀짐 가능성이 줄어든다. 따라서, 시트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사행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제5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11은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의 필수 부분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도 1 및 도 2에서의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 11에서의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지칭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시트(P)의 선단을 검지하는 검지부가 사행 보정부(2)에 제공된다. 도 11에서, 셔터 부재(255)의 결합부(255c)는 센서 플래그인 시트 검지 플래그(255d)와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서, 포토 인터럽터(31)는 시트의 통과를 검지하는 검지부이다. 포토 인터럽터(31)는, 셔터 부재(255)가 홈 위치에 있을 때 시트 검지 플래그(255d)가 포토 인터럽터(31)의 광축을 차단하도록 설정된다.
셔터 부재(255)(의 결합부(255c))는 프레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압 스프링(28a, 28b)의 가압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베어링 부재(26a, 26b)에 의해 피봇 지지된다. 셔터 부재(255)가 시트에 의해 가압되어 피봇 이동하게 되면, 시트 검지 플래그(255d)는, 시트 검지 플래그(255d)가 포토 인터럽터(31)의 광축을 차단하는 자세로부터 시트 검지 플래그(255d)가 포토 인터럽터(31)의 광축을 차단하지 않는 자세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시트의 선단이 검지될 수 있다.
이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행 보정부의 사행 보정 및 시트 검지 동작을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지 롤러(11) 또는 양면 반송 롤러 쌍(8)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사행 보정부(2)로 반송되는 과정에서 사행된 시트(P)는 먼저, 셔터 부재(255)의 두 개의 접촉부(255a, 255b) 중 하나에 접촉한다. 이하에서, 시트(P)는 먼저 접촉부(255b)에 접촉하는 것으로 가정될 것이다.
이후,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255b)에 접촉하는 시트(P)의 선단 측이 정지되고 루프 형성된다. 이 측이 루프 형성되는 동안, 시트(P)의 다른 측은 접촉부(255a)에 접촉한다. 이 일련의 동작에 의해, 루프 형성될 때, 시트(P)의 선단은 셔터 부재(255)의 접촉부(255a, 255b)에 의해 시트 반송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르게 된다. 이때, 시트 검지 플래그(255d)는 포토 인터럽터(31)의 광축을 차단한다.
시트(P)의 선단이 두 개의 접촉부(255a, 255b)에 접촉했기 때문에, 시트(P)를 반송하는 반송력이 셔터 부재(255)에 전달된다. 그 결과, 셔터 부재(255)의 가압력은 시트(P)를 반송하는 반송력을 이길 수 없다.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255)는 회전하여 셔터 부재(255)의 접촉부(255a, 255b)를 반송 경로에서 후퇴시킨다. 시트(P)는 구동 롤러(21)와 종동 롤러(22) 사이의 닙에 돌입한다. 피봇 이동하고 있는 셔터 부재(255)에 시트(P)를 통과시킴으로써, 시트(P)가 구동 롤러(21)와 종동 롤러(22) 사이의 닙에 돌입하기 전에 시트(P)의 사행 보정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시트 검지 플래그(255d)는 셔터 부재(255)와 함께 피봇 이동하며, 시트 검지 플래그(255d)가 포토 인터럽터(31)의 광축을 차단하지 않는 자세를 취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시트(P)가 사행 보정을 받으며, 시트(P)의 선단이 구동 롤러(21)와 종동 롤러(22) 사이의 닙에 돌입하는 것이 검지된다. 이후, 사행이 보정된 시트(P)에 대해 전술한 화상 형성 처리가 이루어진다.
화상 형성 처리 직후에, 시트(P)의 후단이 반송 경로에서 후퇴한 상태의 셔터 부재(255)를 통과하면, 도 12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터 부재(255)는, 셔터 부재(255)가 반송 경로에서 후퇴한 위치로부터 홈 위치, 즉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반송될 다음 시트가 전술한 동작과 유사한 동작에 의해 사행 보정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제1 예시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셔터 부재(255)는 그 피봇 이동 중심이 그 양단부에서 베어링 부재(26a, 26b)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셔터 부재(255)는, 셔터 부재(255)가 반송 경로에서 후퇴한 위치로부터 홈 위치로 단시간에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시트 검지 플래그(255d)도, 시트 검지 플래그(255d)가 포토 인터럽터(31)의 광축을 차단하는 위치로 단시간에 복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검지 플래그(255d)는, 그 피봇 이동 중심이 종동 롤러(22)를 유지하는 베어링 부재(26)에 위치하는 셔터 부재(255)에 제공된다. 따라서, 시트 검지 플래그(255d)의 위치 정밀도가 부품 공차에 의해 영향받지 않을 것이며, 시트 검지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는 또한, 별도의 시트 검지 플래그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장치의 크기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셔터 부재(25)의 결합부(25c)는 관성 모멘트를 최소화하기 위해 봉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결합부(25c)의 형상은 관성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면 편평한 빔 또는 반원통 형상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부(25c)는 종래에 사용될 수 없었던 종동 롤러의 단면 영역을 사용하는 모든 단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사행 보정부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지 롤러(11)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그러나, 사행 보정부는, 시트 반송 기능을 제공한다면 장치의 어느 부분에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행 보정부는, 예를 들면 양면 반송 롤러 쌍(8)이 위치하는 양면 반송 경로와 같이 시트 반송 기능을 갖는 전사부, 가열 정착부 및 배지부와 같은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부재(26)가 종동 롤러(22)를 유지하고 가압 스프링(28)에 의해 베어링 부재(26)에 가압력이 가해지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의 구성이 가능하다. 종동 롤러는 고정된 베어링 부재(26)와 종동 롤러(22) 사이에 가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원통형 회전 부재 및 샤프트 형상 압축 스프링을 구비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이러한 모든 변경 및 등가의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21(21a, 21b): 구동 롤러
22a, 22b, 222a, 222b: 종동 롤러
25, 254: 셔터부
25a, 25b, 254a, 254a', 254b, 254b': 접촉부
25c, 254c: 결합부
26a, 26b, 262a, 262b: 베어링 부재
27: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
28a, 28b: 가압 스프링
29a, 29b: 원형 보스
102: 화상 형성부
229a, 229b: 샤프트
263c 내지 263f: 피봇 지지부
301a, 301b: 프레임

Claims (19)

  1. 시트 사행 보정 장치(sheet skew feed correcting apparatus)이며,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구동 회전 부재;
    상기 구동 회전 부재와 함께 시트를 닙핑(nip)하여 반송하도록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되는 제1 종동 회전 부재(driven rotation member);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1 홀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와 함께 시트를 닙핑하여 반송하도록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되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시트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함께 배치되는 제2 종동 회전 부재;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2 홀더; 및
    시트의 사행 보정을 위해 반송되는 시트의 선단과 접촉된 후에 상기 시트의 통과를 허용하는 위치로 피봇 이동하는 셔터부로서, 시트의 폭 방향으로 상기 셔터부의 일 단부가 상기 제1 홀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셔터부의 다른 단부가 상기 제2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피봇 이동하는 셔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부는,
    시트의 선단과 접촉하고 상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복수의 접촉부,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접촉부를 결합하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종동 회전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종동 회전 부재 각각의 외주면보다 상기 제1 및 제2 종동 회전 부재 각각의 회전 중심에 가깝게 배치되는 결합부를 갖는, 시트 사행 보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각각의 회전 중심 주위로 피봇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홀더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각각의 회전 중심 상에 위치되는, 시트 사행 보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종동 회전 부재는 상기 폭 방향의 내측 단부가 반송 방향으로 외측 단부의 하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홀더에 의해 각각 피봇 지지되는, 시트 사행 보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에 제공되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샤프트를 지지하며,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에 제공되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샤프트를 지지하는, 시트 사행 보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에 삽입되는 제1 샤프트를 가지며,
    상기 제2 홀더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에 삽입되는 제2 샤프트를 갖는, 시트 사행 보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에 제공되는 제1 지지부는 상기 셔터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홀더에 제공되는 제2 지지부는 상기 셔터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접촉부가 배치되는, 시트 사행 보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프레임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를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하기 위한 제1 스프링이 제공되며,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2 홀더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를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하기 위한 제2 스프링이 제공되는, 시트 사행 보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반송되는 시트의 선단이 상기 복수의 접촉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셔터부가 피봇 이동하는 동안, 상기 시트의 선단은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의해 및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의해 닙핑되는, 시트 사행 보정 장치.
  9. 화상 형성 장치이며,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구동 회전 부재;
    상기 구동 회전 부재와 함께 시트를 닙핑하여 반송하도록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되는 제1 종동 회전 부재;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1 홀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와 함께 시트를 닙핑하여 반송하도록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되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시트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함께 배치되는 제2 종동 회전 부재;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2 홀더;
    시트의 사행 보정을 위해 반송되는 시트의 선단과 접촉된 후에 상기 시트의 통과를 허용하는 위치로 피봇 이동하는 셔터부로서, 시트의 폭 방향으로 상기 셔터부의 일 단부가 상기 제1 홀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셔터부의 다른 단부가 상기 제2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피봇 이동하는 셔터부; 및
    상기 셔터부에 의해 사행 보정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부는,
    시트의 선단과 접촉하고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복수의 접촉부,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접촉부를 결합하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종동 회전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종동 회전 부재 각각의 외주면보다 상기 제1 및 제2 종동 회전 부재 각각의 회전 중심에 가깝게 배치되는 결합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각각의 회전 중심 주위로 피봇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홀더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각각의 회전 중심 상에 위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종동 회전 부재는 상기 폭 방향의 내측 단부가 반송 방향으로 외측 단부의 하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홀더에 의해 각각 피봇 지지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에 제공되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샤프트를 지지하며,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에 제공되고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샤프트를 지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에 삽입되는 제1 지지 샤프트를 가지며,
    상기 제2 홀더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에 삽입되는 제2 지지 샤프트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에 제공되는 제1 지지부는 상기 셔터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홀더에 제공되는 제2 지지부는 상기 셔터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접촉부가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프레임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를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하기 위한 제1 스프링이 제공되며,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2 홀더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를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하기 위한 제2 스프링이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반송되는 시트의 선단이 상기 복수의 접촉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셔터부가 피봇 이동하는 동안, 상기 시트의 선단은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의해 및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의해서 닙핑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시트의 사행을 보정하는 사행 보정 장치이며,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구동 회전 부재;
    상기 구동 회전 부재와 함께 시트를 닙핑하여 반송하도록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되는 제1 종동 회전 부재;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1 홀더;
    상기 구동 회전 부재와 함께 시트를 닙핑하여 반송하도록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되며,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시트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함께 배치되는 제2 종동 회전 부재;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를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2 홀더;
    시트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시트의 선단이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부를 가지며, 반송되는 시트의 선단이 상기 복수의 접촉부와 접촉된 후에 상기 시트의 통과를 허용하는 위치로 피봇 이동하는 셔터부;
    상기 제1 홀더에 제공되고 상기 셔터부를 피봇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홀더에 제공되고 상기 셔터부를 피봇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사행 보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는, 폭 방향으로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접촉부를 결합하도록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셔터부는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각각의 회전 중심 주위로 피봇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홀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 및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 각각의 회전 중심 상에 위치되는, 사행 보정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프레임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1 종동 회전 부재를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하기 위한 제1 스프링이 제공되며,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2 홀더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2 종동 회전 부재를 상기 구동 회전 부재에 대해 압접하기 위한 제2 스프링이 제공되는, 사행 보정 장치.
KR1020120088174A 2011-08-22 2012-08-13 시트 사행 보정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사행 보정 장치 KR101456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80630 2011-08-22
JPJP-P-2011-180630 2011-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329A true KR20130021329A (ko) 2013-03-05
KR101456334B1 KR101456334B1 (ko) 2014-11-03

Family

ID=4774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174A KR101456334B1 (ko) 2011-08-22 2012-08-13 시트 사행 보정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사행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428356B2 (ko)
JP (1) JP6029377B2 (ko)
KR (1) KR101456334B1 (ko)
CN (1) CN1029514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3649B (zh) * 2013-06-18 2016-04-06 宁波天弘电力器具有限公司 印花机械自动差速纠偏装置
JP6071971B2 (ja) 2013-10-18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197961B2 (en) * 2016-02-16 2019-02-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6922233B2 (ja) * 2017-01-31 2021-08-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7171329B2 (ja) * 2018-09-13 2022-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34997B (it) * 1974-04-27 1979-10-10 Kloeckner Werke Ag Rullo di guida suddiviso in sezioni supportato in una pluralita di punti per impianti di colaggio continuo
IT1122891B (it) * 1979-08-30 1986-04-30 Honeywell Inf Systems Italia Dispositivo di trascinamento per supporto di stampa
JPS63110433U (ko) 1987-01-12 1988-07-15
US4844443A (en) * 1987-10-16 1989-07-04 Eastman Kodak Company Simplified registration gate
JP3768578B2 (ja) 1996-01-08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斜行補正装置及び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47247B2 (ja) * 1998-03-10 2005-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67577B2 (ja) 1999-11-17 2005-07-06 シャープ株式会社 ローラ構造及びそのローラ構造を備えたシート搬送装置
US6493534B2 (en) * 2000-02-01 2002-12-10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265100A (ja) 2001-03-08 2002-09-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029850B2 (ja) * 2004-03-12 2008-0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の排紙機構
JP2006096433A (ja) 2004-09-28 2006-04-1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6312543A (ja) 2005-05-09 2006-11-16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205024A (zh) 2006-12-22 2008-06-25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可校正记录媒体歪斜状况的馈纸机构
US8478182B2 (en) * 2007-06-15 2013-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medium alignment device with rollers attache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1412478B (zh) 2007-10-19 2011-05-18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介质偏斜纠正机构
JP2010079608A (ja) 2008-09-26 2010-04-08 Nec Corp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サーバ、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JP2010235259A (ja) 2009-03-31 2010-10-21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装備した画像形成装置
JP5393261B2 (ja) 2009-05-29 2014-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93384B2 (ja) 2009-10-05 2014-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350124B1 (ko) 2009-10-20 2014-01-0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시트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5506416B2 (ja) * 2010-01-14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15650B2 (en) 2017-11-14
CN102951471A (zh) 2013-03-06
US20160325956A1 (en) 2016-11-10
US20130051884A1 (en) 2013-02-28
KR101456334B1 (ko) 2014-11-03
JP2013060305A (ja) 2013-04-04
US9428356B2 (en) 2016-08-30
JP6029377B2 (ja) 2016-11-24
CN102951471B (zh)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5650B2 (en) Sheet skew feed correction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kew feed correction apparatus
JP5713690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957203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17600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08714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480834B2 (ja) 排紙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279770B2 (ja) 後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2206789A (ja)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93384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77221B2 (ja) 排出ローラ装置
JP2013154979A (ja) シート斜行補正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611586B2 (en)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087605B2 (ja) 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90127174A1 (en) Sheet stacking device, sheet post-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same
KR101523981B1 (ko)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JP5646002B2 (ja) 後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10308453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4024174A (ja) シート搬送装置
JP4569907B2 (ja)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78594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104989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86767B2 (ja) 後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23028837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09303B2 (ja) 用紙中折り装置および用紙後処理装置
JP2020093923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