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981B1 -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981B1
KR101523981B1 KR1020080121840A KR20080121840A KR101523981B1 KR 101523981 B1 KR101523981 B1 KR 101523981B1 KR 1020080121840 A KR1020080121840 A KR 1020080121840A KR 20080121840 A KR20080121840 A KR 20080121840A KR 101523981 B1 KR101523981 B1 KR 101523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tack
bookbinding unit
print media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359A (ko
Inventor
박정연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981B1/ko
Priority to US12/624,148 priority patent/US8706020B2/en
Publication of KR2010006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43/00Auxiliary folding, collecting, or depositing of sheets or webs
    • B41L43/02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2Pile receivers with stationary end support against which pile accum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18Oscillating or reciprocating blade f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6Bottom with means for changing ge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본유닛 본체와, 제본유닛 본체 내부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부에 인쇄매체들이 얹혀지는 한 쌍의 스택 트레이와,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하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이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하며 접히게 하는 폴딩 나이프를 포함한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스택 트레이는 제본유닛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쇄매체들이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함에 따라 회전하므로, 인쇄매체는 스택 트레이와 면접촉하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를 통과하게 되어 인쇄매체를 접기 위해 작용하는 힘이 특정 부위에 집중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인쇄매체의 손상이 예방된다.

Description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BOOKBIN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매체들을 제본하는 제본유닛과 이러한 제본유닛을 갖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종이와 같은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 화상형성장치에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및 이들의 기능이 둘 이상 포함된 복합기 등이 포함된다.
근래 이러한 화상형성장치 중에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들을 전달받아 이를 제본하는 제본유닛을 갖춘 화상형성장치가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제본유닛은 그 일단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그 상측에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들이 쌓이는 한 쌍의 스택 트레이와, 두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하며 스택 트레이 사이에 쌓인 인쇄매체들의 중앙을 가압하여 인쇄매체들이 두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하며 접히도록 하는 폴딩 나이프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제본유닛은 인쇄매체들이 접히며 스택 트레이를 통과하는 과 정에서 폴딩 나이프에 의해 인쇄매체에 작용하는 힘의 상당 부분이 두 스택 트레이의 서로 대향되는 단부의 선단에 집중되므로, 인쇄매체들의 양 측면과 두 스택 트레이의 선단 사이에는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여 이에 의해 최 외곽측에 위치한 인쇄매체들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택 트레이에 쌓인 복수의 인쇄매체를 접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쇄매체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유닛은 제본유닛 본체와, 상기 제본유닛 본체 내부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부에 인쇄매체들이 얹혀지는 한 쌍의 스택 트레이와,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하며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이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하며 접히게 하는 폴딩 나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는 상기 제본유닛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쇄매체들이 상기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함에 따라 회전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택 트레이가 상기 제본유닛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본유닛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부가 진퇴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공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공 및 힌지부를 통해 이동 및 회전한 스택 트레이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선단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선단에 상기 폴딩 나이프에 의해 접히며 이동하는 인쇄매체들의 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본유닛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인쇄매체를 상기 스택 트레이로 안내하는 복수의 이송롤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본유닛 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의 중심이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의 하부에 배치되어 접혀진 인쇄매체들의 양측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가압롤러와, 상기 가압롤러를 탄성지지하는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전달받아 제본하는 제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본유닛은 제본유닛 본체와, 상기 제본유닛 본체 내부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부에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들이 쌓이는 한 쌍의 스택 트레이와,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하며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이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하며 접히게 하는 폴딩 나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는 인쇄매체들이 상기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함에 따라 회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가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함에 따라 스택 트레이가 회전하여 인 쇄매체가 스택 트레이와 면접촉하며 스택 트레이 사이를 통과하므로, 인쇄매체를 접기 위해 작용하는 힘이 스택 트레이의 면으로 분산되어 인쇄매체의 손상은 예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는 그 일측에 화상형성장치(10)에서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들을 전달받아 제본을 수행하는 제본유닛(20)이 설치되어 있다.
화상형성장치(10)는 그 외관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1)와, 내부에 인쇄매체가 저장되어 화상형성장치(10)에 사용되는 인쇄매체를 공급하는 인쇄매체 카세트(12)와,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는 감광체(13)와, 감광체(13)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14)과, 인쇄매체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15)과, 정착유닛(15)에 의해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화상형성장치 본체(1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롤러(16)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인쇄매체 카세트(12)에 저장되어 있던 인쇄매체는 감광체(13)를 통과하며 감광체(13)로부터 토너 화상을 전사받고, 정착유닛(15)을 통과하며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되어 화상형성이 완료된 후, 배지롤러(16)들에 의해 제본유닛(20)으로 배출된다.
제본유닛(20)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관을 형성하는 제본유 닛 본체(21)와, 제본유닛 본체(21) 내에 그 일단이 서로 대향되도록 나란히 설치되어 화상형성장치(10)에서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들이 쌓이는 한 쌍의 스택 트레이(22)와, 두 스택 트레이(22) 사이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두 스택 트레이(22) 사이로 진입하며 두 스택 트레이(22)에 쌓여진 복수의 인쇄매체들이 한 쌍의 스택 트레이(22) 사이로 진입하며 접혀지도록 하는 폴딩 나이프(2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스택 트레이(22) 사이 공간의 하측에는 한 쌍의 스택 트레이(22) 사이를 통과하며 접혀지는 인쇄매체들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여 인쇄매체들이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압롤러(24)가 배치된다. 한 쌍의 가압롤러(24)는 양 측방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력을 발휘하는 가압스프링(25)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스택 트레이(22) 사이로 진입한 인쇄매체들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양 측방으로 이동하며 인쇄매체들의 양측을 탄성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가압롤러(24)의 하부에는 접혀진 인쇄매체들이 저장되는 저장 트레이(29: 도 1 참조)가 배치되어 한 쌍의 가압롤러(24) 사이를 통과한 접혀진 인쇄매체들이 저장된다.
제본유닛 본체(21)의 내부 일측에는 화상형성장치(10)로부터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전달받아 인쇄매체를 스택 트레이(22) 이송하는 이송롤러(27)들이 배치되며, 제본유닛 본체(21)의 내부 타측에는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쇄매체의 크기에 따라 이동하며 인쇄매체들의 중앙이 한 쌍의 스택 트레이(22) 사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조절하는 스토퍼(28)가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스택 트레이(22)는 서로 대향되어 있는 일단이 제본유닛 본체(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쇄매체들이 한 쌍의 스택 트레이(22) 사이로 진입함에 따라 스택 트레이(22)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한 쌍의 스택 트레이(22)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들이 스택 트레이(22)와 면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인쇄매체의 손상을 막기 위한 것이다. 즉, 인쇄매체들은 한 쌍의 스택 트레이(22)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V자 형상으로 접히게 되는데, 한 쌍의 스택 트레이(22)는 접혀지는 인쇄매체들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인쇄매체들의 양측 단부와 대응하는 각도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인쇄매체들의 양 단부면은 두 스택 트레이(22)의 면에 의해 각각 안내되며 스택 트레이(22)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폴딩 나이프(23)에 의해 작용하는 힘은 특정 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스택 트레이(22)의 면으로 분산되므로, 특정 부위에 힘이 집중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인쇄매체의 손상은 방지된다.
한 쌍의 스택 트레이(22)의 서로 대향되어 있는 단부 양측에는 스택 트레이(22)가 제본유닛 본체(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22a)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제본유닛 본체(21)에는 힌지부(22a)가 진퇴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공(21a)이 스택 트레이(22)와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어, 스택 트레이(22)가 장공(21a)과 힌지부(22a)를 통해 제본유닛 본체(21)에 회전 및 측방으로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힌지부(22a)는 한 쌍의 스택 트레이(22)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선단과는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인쇄매체들이 접혀지며 스택 트레이(22) 사이로 진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스택 트레이(22)에는 그 일단이 스택 트레이(22)의 선단에 설치되고 그 타단이 제본유닛 본체(21)에 설치되어 장공(21a)과 힌지부(22a)를 통해 안내되며 회전 및 이동한 스택 트레이(22)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26)이 설치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된 수 만큼의 인쇄매체가 두 스택 트레이(22)에 쌓이면, 폴딩 나이프(23)가 하강하며 스택 트레이(22)에 쌓여 있는 인쇄매체들의 중앙을 가압하고, 스택 트레이(22)에 쌓여 있는 인쇄매체들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딩 나이프(23)에 의해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V자 형상으로 접히며 두 스택 트레이(22) 사이로 진입하고, 이와 함께 한 쌍의 스택 트레이(22)는 인쇄매체들을 통해 폴딩 나이프(23)로부터 전달된 힘에 의해 양 측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한다. 접혀진 인쇄매체들은 스택 트레이(22) 사이를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택 트레이(22) 사이의 하부에 마련된 한 쌍의 가압롤러(24)를 양 측방으로 이동시키며 한 쌍의 가압롤러(24)들 사이를 통과한다. 이때, 가압롤러(24)들은 가압스프링(25)에 의해 각각 탄성지지되어 있으므로, 접혀진 인쇄매체의 양 측면은 두 가압롤러(24)에 의해 가압되어 보다 확실하게 접혀진다. 접혀진 인쇄매체들은 두 가압롤러(24)의 하측에 마련된 저장 트레이(29)로 낙하하여 저장된다.
상기의 제 1 실시예에서는 힌지부(22a)가 장공에 설치되어, 스택 트레이(22)가 제본유닛 본체(21)에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6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제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22a)가 제본유닛 본 체(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택 트레이(22)가 제본유닛 본체(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본유닛(20)의 동작을 살펴보면, 폴딩 나이프(23)가 하강하여 스택 트레이에 쌓여 있는 인쇄매체들의 중앙을 가압하면, 스택 트레이(22)에 쌓여 있는 인쇄매체들은 폴딩 나이프(23)에 의해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V자 형상으로 접히며 두 스택 트레이(22) 사이로 진입하고, 이와 함께 한 쌍의 스택 트레이(22)는 인쇄매체들을 통해 폴딩 나이프(23)로부터 전달된 힘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접혀진 인쇄매체들은 스택 트레이(22) 사이를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동한다. 인쇄매체들은 가압스프링(25)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는 한 쌍의 가압롤러(24)를 양 측방으로 이동시키며 한 쌍의 가압롤러(24)들 사이를 통과하여, 그 하측의 저장 트레이(29)로 낙하한다. 인쇄매체들이 스택 트레이(22)를 통과한 후, 스택 트레이(22)들은 그 자중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인쇄매체들이 보다 원활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7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제시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는 두 스택 트레이(22)의 선단에 폴딩 나이프(23)에 의해 이동하는 인쇄매체들의 이동방향인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가이드부(22b)를 각각 형성하여 두 스택 트레이(22)에 각각 마련된 두 가이드부(22b)가 V자 형상을 이루게 하면, 인쇄매체들은 가이드부(22b)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V자 형상으로 접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본유닛을 갖춘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제본유닛 및 그 동작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제본유닛의 동작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제본유닛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화상형성장치 11: 화상형성장치 본체
12: 인쇄매체 13: 감광체
14: 노광유닛 15: 정착유닛
16: 배지롤러 20: 제본유닛
21: 제본유닛 본체 22: 스택 트레이
23: 폴딩 나이프 24: 가압롤러
25: 가압스프링 26: 복귀스프링
27: 이송롤러 28: 스토퍼
29: 저장 트레이

Claims (15)

  1. 제본유닛 본체와,
    상기 제본유닛 본체 내부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부에 인쇄매체들이 얹혀지는 한 쌍의 스택 트레이와,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하며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이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하며 접히게 하는 폴딩 나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는 상기 제본유닛 본체에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쇄매체들이 상기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함에 따라 이동하는 인쇄매체들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이동 및 회전하는 제본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택 트레이가 상기 제본유닛 본체에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제본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본유닛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부가 진퇴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공을 더 포함하는 제본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 및 힌지부를 통해 이동 및 회전한 스택 트레이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제본유닛.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선단과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본유닛.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선단에 상기 폴딩 나이프에 의해 접히며 이동하는 인쇄매체들의 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제본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본유닛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인쇄매체를 상기 스택 트레이로 안내하는 복수의 이송롤러를 더 포함하는 제본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본유닛 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의 중심이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제본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의 하부에 배치되어 접혀진 인쇄매체들의 양측을 각각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가압롤러와, 상기 가압롤러를 탄성지지하는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제본유닛.
  10.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전달받아 제본하는 제본유닛을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본유닛은 제본유닛 본체와, 상기 제본유닛 본체 내부에 나란히 배치되어 상부에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들이 얹혀지는 한 쌍의 스택 트레이와,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하며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상의 인쇄매체들이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하며 접히게 하는 폴딩 나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는 상기 제본유닛 본체에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쇄매체들이 상기 스택 트레이 사이로 진입함에 따라 이동하는 인쇄매체들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이동 및 회전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스택 트레이가 상기 제본유닛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본유닛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부가 진퇴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공을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 및 힌지부를 통해 이동 및 회전한 스택 트레이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선단과 이격되게 마련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택 트레이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 선단에 상기 폴딩 나이프에 의해 접히며 이동하는 인쇄매체들의 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121840A 2008-12-03 2008-12-03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KR101523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840A KR101523981B1 (ko) 2008-12-03 2008-12-03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US12/624,148 US8706020B2 (en) 2008-12-03 2009-11-23 Bookbinding unit with a movable tra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840A KR101523981B1 (ko) 2008-12-03 2008-12-03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359A KR20100063359A (ko) 2010-06-11
KR101523981B1 true KR101523981B1 (ko) 2015-05-29

Family

ID=4222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840A KR101523981B1 (ko) 2008-12-03 2008-12-03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06020B2 (ko)
KR (1) KR101523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44547B1 (en) * 2012-03-26 2015-10-21 SDD Holding B.V. Folding machine
JP2022050870A (ja) * 2020-09-18 2022-03-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折り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シート後処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1158A1 (en) * 2007-01-31 2008-09-04 Nisca Corporatio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573A (ja) 1984-06-25 1986-01-20 Ricoh Co Ltd 製本機能を備えた複写機におけるフアイル用綴じ穴穿孔装置
JP4836655B2 (ja) 2006-05-02 2011-12-14 ニスカ株式会社 製本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1158A1 (en) * 2007-01-31 2008-09-04 Nisca Corporatio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33736A1 (en) 2010-06-03
US8706020B2 (en) 2014-04-22
KR20100063359A (ko) 201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146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媒体供給機構
US7503559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with linked rotatable guide members and guide plate
US9359163B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3715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533881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with linked rotatable guide members
US86575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20193867A1 (en) Sheet Conveyor Device,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15210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523981B1 (ko)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US9561917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230886A (ja) 画像形成装置
US8238791B2 (en) Fusing unit including pivoting fr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90300321A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958740B2 (en) Configuration for a sheet discharging device
KR20150146224A (ko) 인쇄매체 후처리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KR101286885B1 (ko) 기록 매체 수납 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JP2007197184A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66530B2 (ja) シート積載装置
JP5929475B2 (ja) 画像形成装置
US891394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9006566A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KR101147464B1 (ko)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
JP2012229112A (ja) 画像形成装置
US10308453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062114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