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464B1 -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464B1
KR101147464B1 KR1020090111299A KR20090111299A KR101147464B1 KR 101147464 B1 KR101147464 B1 KR 101147464B1 KR 1020090111299 A KR1020090111299 A KR 1020090111299A KR 20090111299 A KR20090111299 A KR 20090111299A KR 101147464 B1 KR101147464 B1 KR 101147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uide side
pressing
stack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590A (ko
Inventor
김태홍
민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090111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4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3Pressing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되는 용지의 적층두께에 관계없이 일정한 가압력이 작용함으로써 정렬된 상태로 배출용지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설치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는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화상출력장치로부터 배출된 용지를 수납하여 정렬시키는 용지적재부에 설치되어, 다수매의 적재된 용지를 정렬된 상태로 이송하는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로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부측에 언덕부가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측면판; 상기 가이드 측면판 사이에 위치하여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송벨트; 및 상기 이송벨트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일정반경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연결되며 말단에 상기 가이드 측면판의 외주연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휠이 마련된 누름부가 결합된 고정부로 이루어진데 특징이 있다.
스택 트레이, 누름부, 이송휠, 스프링, 가이드 측면판

Description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UNLOADING PAPER APPARATUS FOR STACK FINISHER}
본 발명은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되는 용지의 적층두께에 관계없이 일정한 가압력이 작용함으로써 정렬된 상태로 배출용지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설치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는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나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는 배지부로부터 스택 트레이로 배출되는 용지의 후처리 과정시 스택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를 정렬하는 기능과 스태플링하는 용지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용지후처리시의 용지배출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용지배출장치의 롤러를 통해 용지가 스택 트레이 상에 적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종래의 용지배출장치는 인쇄지를 수납하여 스택커 트레이(103)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한 롤러 구조(89)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스택 트레이(103)로 이동하기 전에 수납되어 있는 용지가 스태플 등에 의 하여 묶이지 않을 경우에 롤러(89)를 하강시킨후 용지를 밀어 스택 트레이(103)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미설명 도면부호 106은 가이드편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용지배출장치는 롤러의 회전과 마찰력을 이용하여 다수매의 용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용지의 흐트러짐 또는 용지의 밀림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에 따라 여러번에 걸쳐 용지를 배출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b와 같이 스택 트레이(103) 위로 용지가 떨어지는 과정에서 용지간의 마찰로 인하여 자체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아, 용지 선단부의 정렬성이 나쁜 결과를 초래하고, 스택 트레이에 적재된 후에는 작업자가 재차 간추려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출력장치로부터 배출된 용지를 적재판에 적재하여 정렬하고, 정렬된 다수매의 용지를 흐트럼없이 스택 트레이에 적재할 수 있는 정렬수단이 마련된 용지배출장치(특허등록 제405324호)가 제안되었다.
도 2a는 종래의 정렬수단이 마련된 용지배출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상태도이고, 도 2b는 종래의 정렬수단이 마련된 용지배출장치의 정렬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a와 같이 종래의 다른 용지배출장치에는 적재된 용지를 정렬하기 위해 좌우로 이동되는 지그(미도시)가 설치된 용지적재판(5)이 형성된다. 또한 용지적재판(5)의 중간에는 적재된 용지를 스택 트레이(4)로 이송시키기 위해 용지배출수단(5a)이 설치된다.
상기 용지배출수단(5a)은 구동모터(7)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벨트(6)와, 이 이송벨트(6)을 따라 이동하며 적재된 용지를 고정시키는 누름부(1)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누름부(1)는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 측면판(3)에 형성된 레일홈(3a)을 따라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적재된 용지의 고정하기 위한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 측면판(3)의 곡면캠(3b)의 시작점에 보스(17)가 위치하고, 힌지(16)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인 'ㄱ'자 형태를 이루다가, 스프링(18)의 복원력에 의해 이젝터판(15)에 누름부(1)가 맞닿아 적재된 용지를 고정시킨 상태로 스택 트레이(4)로 이송시킨다.
상기와 같은 정렬수단이 마련된 용지배출장치는 적재된 인쇄물을 적재두께에 관계없이 누름부를 통해 가압시키면서 스택 트레이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출력시 용지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스택 트레이에 용지를 정렬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도 2b와 같이 상술한 용지배출장치는 고정초기 위치에서 누름부(1)가 적재용지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누름부(1)를 개방시키는 구조로서 가이드 측면판(3)에 형성된 레일홈(3a)과 곡면캠(3b) 및 이젝터(2)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시공성이 떨어지고 제작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필요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서, 배출되는 용지의 적층두께에 관계없이 일정한 가압력이 작용함으로써, 정렬된 상태로 배출용지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설치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는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상출력장치로부터 배출된 용지를 수납하여 정렬시키는 용지적재부에 설치되어, 다수매의 적재된 용지를 정렬된 상태로 이송하는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로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부측에 언덕부가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측면판; 상기 가이드 측면판 사이에 위치하여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송벨트; 및 상기 이송벨트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일정반경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연결되며 말단에 상기 가이드 측면판의 외주연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휠이 마련된 누름부가 결합된 고정부를 포함한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슬릿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홈에 상기 누름부의 상기 회전축이 안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부의 상기 회전축과 상기 지지대의 하부면은 제1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누름부의 말단과 상기 지지대의 하부면은 제2스프링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릿홈의 상부에는 상기 누름부의 상기 회전축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부의 상기 이송휠이 상기 가이드 측면판의 언덕부에 위치하면, 상기 제1스프링의 수축된 상태가 상기 제2스프링의 수축된 상태보다 크게 작용되어 상기 누름부가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된 용지가 두꺼운 상태에서도 누름부의 누름단이 가이드 측면판에 평행한 상태까지 개방됨으로써 안정적인 용지 수용이 가능하다.
또한, 용지의 적층높이나 낮은 경우에도 누름부가 충분한 가압력을 확보할 수 있어 적재된 용지의 흐트러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스택 트레이로 이송할 수 있다.
아울러, 용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의 작동이 누름부에 마련된 이송휠이 언덕부를 통과하면서 이루어지는 단순화된 구조로서 장치를 간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의 구성을 보 여주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의 누름부가 가이드 측면판의 언덕부를 통과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스프링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의 누름부가 가이드 측면판의 언덕부를 통과한 이후 스프링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의 구성은 크게 베이스부(20), 고정부(30), 가이드 측면판(40), 및 이송벨트(5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20)의 양측에는 한쌍의 가이드 측면판(40,4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측면판(40,40')은 제1측면판(40a)과 제2측면판(40b)이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제1측면판(40a)과 제2측면판(40b)의 사이에는 벨트 롤러축(51)을 통해 회전하도록 이송벨트(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측면판(40,40')의 상단부분의 외주면에는 언덕부(4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0)는 누름부(31)와 지지대(36)로 크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대(36)는 이송벨트(50)에 고정되는데, 이 지지대(36)에는 일단에 누름단(35)이 형성되고 타단에 이송휠(33)이 형성된 누름부(31)가 설치된다. 이때 누름부(31)는 지지대(36)에 회전축(32)을 중심으로 일정반경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누름부(31)의 이송휠(33)은 상기 가이드 측면판(40,40')의 외주면을 따라 활주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누름부(31)의 이송휠(33)은 가이드 측면판(40,40')의 언덕부(4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30)는 지지대(36)에 수직방향으로 슬릿홈(H)이 형성된다. 또한 슬릿홈(H)에는 누름부(31)의 회전축(32)이 안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누름부(31)의 회전축(32)과 지지대(36)의 하부면은 제1스프링(61)을 매개로 연결되고, 누름부(31)의 말단과 지지대(36)의 하부면은 제2스프링(62)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슬릿홈(H)에는 회전축(3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38)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지배출장치는 누름부(31)의 이송휠(33)이 가이드 측면판(40,40')의 언덕부(41)를 통과하면서 고정부(30)가 용지를 가압하도록 작동되는데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도 4a 및 도 4b와 같이, 고정부(30)가 언덕부(41)를 통과하기 전에는 누름부(31)의 개방된 상태를 이룬다. 즉, 이 상태에서는 도 4b와 같이 제2스프링(62)의 수축된 상태가 제1스프링(61)의 수축된 상태보다 크게 작용한다.
이에 따라 도 6a와 같이 적재된 용지(P)의 두께가 커도 누름단(33)의 개방각도가 비교적 커서 적재용지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한편, 누름부(31)가 용지(P)를 고정하기 위해 작동되는 상태는 다음과 같은 작용에 의해 발생된다.
도 4b와 같이 고정부(30)의 누름부(31)는 가이드 측면판(40)의 언덕부(41)를 통과하기 전에는 개방된 상태를 이룬다. 즉, 제1스프링(61)의 수축력보다 제2스프링(62)의 수축력이 크게 작용되어 이송휠(33)의 위치가 누름단(35)이 개방된 상태를 취하도록 가이드 측면판(40)의 외주연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누름부(31)가 개방된 상태에서 누름부(31)의 이송휠(33)이 언덕부(41)를 타고 넘어가게 되면, 누름부(31)는 기존 높이보다 언덕부(41)의 높이만큼 상승된다. 이에 따라 지지대(36)에 일단이 고정된 제1스프링(61)이 인장되고 이 제1스프링(61)에 고정된 누름부(31)의 회전축(32)을 탄성력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따라, 개방된 상태의 누름부(31)는 언덕부(41)를 통과하면서 제1스프링(61)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기울리게 되어 적재된 용지(P)를 가압고정한다. 이때, 이송휠(33)의 방향도 누름부(31)의 회전축(32)의 뒷쪽에 위치됨으로써 누름부(31)의 누름단(35)이 적재된 용지(P)를 가압할 수 있도록 누름부(31)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고정부(60)는 적재된 용지(P)가 두꺼운 상태에서도 누름부(31)의 누름단(35)이 가이드 측면판(40)에 평행한 상태까지 개방됨으로써 안정적인 용지 수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6b와 같이, 용지(P)의 적층높이가 낮은 상태에서도 누름부(31)가 충분한 가압력을 확보할 수 있어 적재된 용지(P)의 흐트러짐이 없이 안정적으로 스택 트레이로 이송이 가능하다.
아울러, 고정부(30)의 작동이 누름부(31)에 마련된 이송휠(33)이 언덕부(41)를 통과하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간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 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용지후처리시의 용지배출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b는 도 1a의 용지배출장치의 롤러를 통해 용지가 스택 트레이 상에 적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a는 종래의 정렬수단이 마련된 용지배출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상태도,
도 2b는 종래의 정렬수단이 마련된 용지배출장치의 정렬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의 누름부가 가이드 측면판의 언덕부를 통과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b는 도 4a의 상태에서 스프링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의 누름부가 가이드 측면판의 언덕부를 통과한 이후 스프링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및
도 6a는 적재된 용지가 많은 경우의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도 6b는 적재된 용지가 적은 경우의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20 : 베이스부 30 : 고정부
31 : 누름부 32 : 회전축
33 : 이송휠 34, 37 : 스프링 고정부
35 : 누름단 36 : 지지대
40 : 가이드 측면판 41 : 언덕부
50 : 이송벨트 51 : 벨트 롤러축
61 : 제1스프링 62 : 제2스프링

Claims (4)

  1. 화상출력장치로부터 배출된 용지를 수납하여 정렬시키는 용지적재부에 설치되어, 다수매의 적재된 용지를 정렬된 상태로 이송하는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로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부측에 언덕부가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 측면판;
    상기 가이드 측면판 사이에 위치하여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송벨트; 및
    상기 이송벨트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일정반경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연결되며 말단에 상기 가이드 측면판의 외주연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휠이 마련된 누름부가 결합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슬릿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홈에 상기 누름부의 상기 회전축이 안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부의 상기 회전축과 상기 지지대의 하부면은 제1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누름부의 말단과 상기 지지대의 하부면은 제2스프링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누름부의 상기 이송휠이 상기 가이드 측면판의 언덕부에 위치하면,
    상기 제1스프링의 수축된 상태가 상기 제2스프링의 수축된 상태보다 크게 작용되어 상기 누름부가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릿홈의 상부에는 상기 누름부의 상기 회전축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
  4. 삭제
KR1020090111299A 2009-11-18 2009-11-18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 KR101147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299A KR101147464B1 (ko) 2009-11-18 2009-11-18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299A KR101147464B1 (ko) 2009-11-18 2009-11-18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590A KR20110054590A (ko) 2011-05-25
KR101147464B1 true KR101147464B1 (ko) 2012-06-07

Family

ID=4436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299A KR101147464B1 (ko) 2009-11-18 2009-11-18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2150A1 (en) * 2012-01-26 2013-08-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stacker to receive media sheets from a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5400B2 (ja) 2001-07-19 2007-06-20 ケーアールディーシー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での用紙積載装置
JP2009263023A (ja) 2008-04-22 2009-11-12 Nisca Corp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製本装置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5400B2 (ja) 2001-07-19 2007-06-20 ケーアールディーシー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での用紙積載装置
JP2009263023A (ja) 2008-04-22 2009-11-12 Nisca Corp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製本装置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590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5400B2 (ja) 用紙後処理装置での用紙積載装置
US6382616B1 (en) Aligning device for sheet finisher
US6302606B1 (en) Sheet receiving/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0435035C (zh) 片材处理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KR101306613B1 (ko) 다중 용지 인서터 트레이를 위한 정합 게이트
JP2001106423A (ja) 高速後処理装置
US9359163B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493749B2 (ja) 用紙排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8254932A (ja) 用紙後処理装置
KR101147464B1 (ko) 스택 피니셔용 용지배출장치
JP4579438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60244192A1 (en) 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3887994B2 (ja) 用紙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73108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KR20150146224A (ko) 인쇄매체 후처리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KR101523981B1 (ko) 제본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JP3765159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
KR101197254B1 (ko) 용지 후처리장치의 적재용지 누름장치
JP2006256729A (ja) シート処理装置
US9522558B2 (en) Tamper and rotatable stapler for post-processing device
JP4182767B2 (ja) 用紙後処理装置
JPH04341458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H08225186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9137A (ja) 排紙スタック装置
JP3997094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