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30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307A
KR20130006307A KR1020120069805A KR20120069805A KR20130006307A KR 20130006307 A KR20130006307 A KR 20130006307A KR 1020120069805 A KR1020120069805 A KR 1020120069805A KR 20120069805 A KR20120069805 A KR 20120069805A KR 20130006307 A KR20130006307 A KR 20130006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fitting
female
male
front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4662B1 (ko
Inventor
가즈아키 다케다
다이키 하타야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6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4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front
    • H01R13/4365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front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하우징과 전방 리테이너의 상대적 변위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10F; 10M)에는, 하우징(11F; 11M)의 전방면에 면하도록 배치된 전방벽(26F; 26M)과, 조립 상태시 변형 공간(14F; 14M)에 감합되는 검출부(27F; 27M)를 구비하는 전방 리테이너(25F; 25M), 그리고 조립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하우징(11F; 11M)과 전방 리테이너(25F; 25M)의 상대적 변위를 제한하는 규제부(41F, 42F, 43F, 44F; 41M, 42M, 43M, 44M)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성09-73936호에는, 전방 리테이너를 전방으로부터 하우징에 조립함으로써 형성되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단자 피팅이 삽입되는 캐비티와, 상기 단자 피팅의 삽입 과정에서 단자 피팅의 삽입 경로로부터 물러나도록 탄성 변형되고 상기 단자 피팅이 상기 캐비티에 제대로 삽입되었을 때 단자 피팅을 유지하도록 탄성 복원되는 로크 랜스, 그리고 하우징의 전방면에서 개방되어 있고 상기 로크 랜스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리테이너에는, 조립 상태시 하우징의 전방면을 덮는 전방벽과, 조립 상태시 상기 변형 공간에 감합되는 검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에서는, 조립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우징이 전방 리테이너에 대해 변위되어 있는 경우에 후술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전방 리테이너의 흔들림으로 인해, 이음(異音)이 발생한다. 또한, 전방 리테이너의 전방벽이 변위되어 있는 경우, 전방벽의 변위에 따라, 전방벽을 관통하는 수형 단자 피팅의 탭이 변위될 수 있고, 이 탭과 암형 단자 피팅 사이의 접촉 압력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완성되었으며, 본 발명의 과제는 하우징과 전방 리테이너의 상대적 변위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로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캐비티에 (특히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 피팅; 상기 하우징 내에 혹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 피팅의 삽입 과정에서 단자 피팅의 삽입 경로로부터 물러나도록 탄성 변형되고 상기 단자 피팅이 상기 캐비티에 제대로 삽입되었을 때 단자 피팅을 유지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크 랜스;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에서 개방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 랜스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 공간; 상기 하우징에 실질적으로 전방으로부터 조립되고, 조립 상태시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에 실질적으로 면하도록 배치되는 전방벽과 조립 상태시 상기 변형 공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를 구비하는 전방 리테이너;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방 리테이너에 형성되어 있고 상호 접촉하게 됨으로써 조립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방 리테이너의 상대적 변위를 제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전방 리테이너를 하우징에 조립할 때, 조립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우징과 전방 리테이너의 상대적 변위가 제한된다. 이로써, 하우징과 전방 리테이너의 상대적 변위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단자 피팅은, 상대 단자 피팅의 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특히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관 부분을 포함하는 암형 단자 피팅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에는, 캐비티가 개방되어 있는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의 돌출 단부면은 하우징의 치수 세팅에 있어서 기준면의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규제부는 상기 돌출부의 내면과 상기 전방벽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규제부는 기존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형성되므로, 규제부가 돌출부 이외의 특정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하우징의 형상이 간단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자 피팅은 전방 단부에 탭을 구비하는 수형 단자 피팅이고, 하우징에는 상기 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리셉터클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규제부는 상기 리셉터클의 내면과 상기 전방벽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규제부는 기존의 리셉터클을 이용하여 형성되므로, 규제부가 리셉터클 이외의 특정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하우징의 형상이 간단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규제부는, 상기 변형 공간에 있어서 상기 로크 랜스에 실질적으로 면하는 면과, 상기 검출부에 있어서 상기 로크 랜스의 반대편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규제부는, 로크 랜스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공간에 상기 검출부를 감합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기존의 변형 공간과 검출부에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규제부가 변형 공간 및 검출부 이외의 특정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하우징 및 전방 리테이너의 형상이 간단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크 랜스는, 검출부를 변형 공간에 감합하는 과정에서 규제부의 접촉에 의해 단자 피팅과의 결합 여유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검출부를 변형 공간에 감합할 때, 로크 랜스와 단자 피팅의 결합 여유는 규제부의 접촉에 의해 증가된다. 따라서, 로크 랜스에 의한 단자 피팅 유지 기능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각 규제부의 하나 이상의 전방 단부에는, 전방 리테이너의 조립 방향에 경사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과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형태들이 개별적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 실시형태의 하나의 특징이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하우징과 전방 리테이너의 상대적 변위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암형 전방 리테이너가 암형 하우징에 완전히 로크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암형 전방 리테이너가 암형 하우징에 부분적으로 로크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암형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암형 전방 리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암형 전방 리테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수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수형 전방 리테이너가 수형 하우징에 완전히 로크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수형 전방 리테이너가 수형 하우징에 부분적으로 로크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수형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수형 전방 리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수형 전방 리테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상호 접속 가능한 암형 커넥터(10F) 및 수형 커넥터(10M)로 구성된다.
<암형 커넥터(10F)>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된 (특정 하우징으로서의) 암형 하우징(11F)과,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특정 단자 피팅으로서의) 암형 단자 피팅(20F), 그리고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된 (특정 전방 리테이너로서의)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를 조립함으로써, 암형 커넥터(10F)가 형성된다.
<암형 하우징(11F)>
암형 하우징(11F)은 특히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블록 형태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하우징(11F)을 실질적으로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캐비티(12F)가, 암형 하우징(11F)에 하나 이상의 단 또는 층으로, 특히 (상하) 2층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층(예컨대 상층)의 각 캐비티(12F)에는, 실질적으로 상벽 또는 측벽을 따라 (특히 실질적으로 캔틸레버식으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로크 랜스(13F)가 형성되어 있다. 암형 하우징(11F)의 하나의 층(상층)에 있어서 로크 랜스(13F)의 상측 혹은 외측의 공간이, 로크 랜스(13F)가 외측 또는 상측으로 [캐비티(12F)에 있어서 암형 단자 피팅(20F)의 삽입 경로로부터 물러나는 방향]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하는 변형 공간(14F)의 역할을 한다. 한편, 다른 층(예컨대 하층)의 각 캐비티(12F)에는, 실질적으로 하벽 또는 외벽을 따라 (특히 실질적으로 캔틸레버식으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로크 랜스(13F)가 형성되어 있다. 암형 하우징(11F)의 다른 층(하층)에 있어서 로크 랜스(13F)의 하측 혹은 외측의 공간이, 로크 랜스(13F)가 외측 또는 하측으로 [캐비티(12F)에 있어서 암형 단자 피팅(20F)의 삽입 경로로부터 물러나는 방향]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하는 변형 공간(14F)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변형 공간(14F)은 실질적으로 암형 하우징(11F)의 전방면에서 개방되어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하우징(11F)의 상면 혹은 외면은, 암형 하우징(11F)의 전방면 및/또는 후방면에서 (특히 전방면과 후방면 모두에서) 개방되어 있는 수용 리세스(15F)를 형성하도록 움푹 들어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수용 리세스(15F)의 형성 범위는, 특히 하나의 층(상층)의 캐비티(12F)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영역이고, 좌우방향에 있어서 수용 리세스(15F)의 형성 범위는 암형 하우징(11F)의 중앙부 혹은 중간부 부근의 위치이다. 암형 하우징(11F)과 수형 하우징(11M)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속 상태로 로크하는 로크 아암(16F)이 상기 수용 리세스(15F)에 마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아암(16F)은 실질적으로 전후방향으로 길고, 및/또는 로크 아암(16F)의 전방 단부 혹은 그 부근에서 하나 이상의, 특히 한 쌍의 측방(좌측 및/또는 우측) 연결부(17F)를 통하여 수용 리세스(15F)의 좌우의 내벽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 모두에 연결되어 있다. 로크 아암(16F)은 평상시에는 연결부(17F)의 강성에 의해 로크 위치에 유지되어 있지만, 아래에 위치하는 언로크 위치로 연결부(17F)를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를 부분 로크 위치(제1 위치)와 완전 로크 위치(제2 위치)에 유지시키는 하나 이상의 로크부(18F)가, 수용 리세스(15F)에 있어서 로크 아암(16F)의 아래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암형 단자 피팅(20F)>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암형 단자 피팅(20F)은 전체적으로 전후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후술하는 수형 단자 피팅(20M)의 선단부에 있는 탭(22M)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특히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관 부분(21F)이, 암형 단자 피팅(20F)의 전방 단부에 혹은 그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상하방향[또는 탭(22M)을 관 부분(21F)에 삽입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접촉편(도시 생략)이, 관 부분(21F)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거나 혹은 관 부분(21F)에 마련된다. 관 부분(21F)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는 로크 랜스(13F)와 맞물리는 유지부(23F)의 역할을 한다. 암형 단자 피팅(20F)의 후방 단부에는, 예컨대 크림핑 또는 납땜에 의해, 전선(24F)이 접속된다. 암형 단자 피팅(20F)은 캐비티(12F)에 특히 실질적으로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암형 단자 피팅(20F)의 삽입 과정에서, 로크 랜스(13F)는 관 부분(21F)에 의해 밀리거나 혹은 압박되어 변형 공간(14F)을 향해 탄성 변형된다. 암형 단자 피팅(20F)이 적정 삽입 위치에 도달한 경우, 로크 랜스(13F)는 유지부(23F)와 맞물리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고, 이러한 로크 동작에 의해 암형 단자 피팅(20F)은 유지 상태로 유지된다.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는, 전방벽(26F)과, 전방벽(26F)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캔틸레버식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검출부(27F), 그리고 전방벽(26F)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캔틸레버식으로 돌출되는 로크 아암(28F)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혹은 단일체형 어셈블리이다. 각 캐비티(12F)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수용 구멍(29F)이, 전방벽(26F)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는 실질적으로 전방으로부터 암형 하우징(11F)에 혹은 그 안에 조립된다. 조립된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는, 로크 아암(28F)과 로크부(18F)의 맞물림에 의해(맞물림 상태는 도시 생략),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가 가볍게 조립되어 있는 부분 로크 위치(1P)(제1 위치, 도 3 참조)와,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가 부분 로크 위치(1P)보다 깊게 조립되어 있는 완전 로크 위치(2P)(제2 위치, 도 2 참조) 중 어느 한 위치에 유지된다.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가 부분 로크 위치(1P)[암형 전방 리테이너(25F)가 불완전하게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방벽(26F)은 실질적으로 암형 하우징(11F)의 전방면과 거리를 두고 마주하고 있다. 또한, 검출부(27F)가 로크 랜스(13F) 및 변형 공간(14F)으로부터 전방으로 변위되고 로크 랜스(13F)가 변형 공간(14F)을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있으므로, 암형 단자 피팅(20F)은 캐비티(12F)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가 완전 로크 위치(2P)[암형 전방 리테이너(25F)가 완전하게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방벽(26F)은 특히 암형 하우징(11F)의 전방면과 근접하여 마주하고 있거나 혹은 접촉해 있다. 또한, 검출부(27F)가 변형 공간(14F)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로크 랜스(13F)는 더이상 변형 공간(14F)을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없다. 이러한 식으로, 로크 랜스(13F)는 암형 단자 피팅(20F)과 맞물리게 되면서 로크되고, 암형 단자 피팅(20F)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암형 단자 피팅(20F)이 어느 하나의 캐비티(12F)에 있어서 적정 삽입 위치에 도달하지 않고 반삽입 위치에 놓이게 된다면, 불충분하게 삽입된 암형 단자 피팅(20F)에 의해 밀린 로크 랜스(13F)는 변형 공간(14F)에 위치하게 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불충분하게 삽입된 암형 단자 피팅(20F)이 있는 경우에,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를 부분 로크 위치(1P)로부터 완전 로크 위치(2P)로 밀려고 하면, 조립 조작 중에 검출부(27F)가 변형 공간(14F)에 위치해 있는 로크 랜스(13F)와 접촉하게 되고, 그 결과 더 이상의 조립 조작이 방지된다. 이러한 식으로 조립 조작을 방지함으로써, 불충분하게 삽입된 암형 단자 피팅(20F)의 존재가 검출될 수 있다.
<규제부(41F, 42F, 43F, 44F)>
상기 암형 커넥터(10F)에는, 조립 방향(AD)에 교차하는 상하방향으로 암형 하우징(11F)에 대한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변위를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규제부(41F, 42F, 43F 및/또는 44F)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규제부(41F, 42F, 43F 및 44F)에 의한 변위 규제 방향은 특히 실질적으로 암형 단자 피팅(20F)의 탄성 접촉편의 탄성 변형 방향과 동일하거나, 및/또는 탄성 접촉편과 탭(22M)이 접촉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탄성 접촉하게 되는 방향에 평행하다.
규제부(41F, 42F, 43F 및 44F)는 특히 암형 하우징(11F)과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 모두에 형성되어 있다. 로크 아암(16F)의 전방 단부는 실질적으로 하우징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30)의 역할을 한다. 이 돌출부(30)의 전방 단부면(돌출 단부면)은 특히 암형 하우징(11F)의 각 부분의 치수 세팅에 있어서 기준면(31)의 역할을 한다. 돌출부(30)의 하면은 암형 하우징(11F)의 상향 변위 규제부(41F)의 역할을 한다. 한편,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전방벽(26F)의 상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로크 아암(16F)[돌출부(30)]에 대응하는 부분은, 절취부(32)를 형성하도록 절취되어 있다. 이 절취부(32)의 상면은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상향 변위 규제부(42F)의 역할을 한다.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가 부분 로크 위치(1P)에 있는 상태에서, 전방벽(26F)은 돌출부(30)의 앞에 위치하므로, 암형 하우징(11F)의 상향 변위 규제부(41F)와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상향 변위 규제부(42F)는 전후방향[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조립 방향(AD)에 평행한 방향]으로 대응하지 않는 위치 관계에 있다.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가 완전 로크 위치(2P)로 이동한 경우, 전방벽(26F)의 전방면은 특히 실질적으로 기준면(31)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 돌출부(30)는 절취부(32)에 감합되며, 및/또는 돌출부(30)의 상향 변위 규제부(41F)와 전방벽(26F)의 상향 변위 규제부(42F)는 상하방형으로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규제부(41F, 42F)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암형 하우징(11F)에 대한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상향 변위가 제한된다.
또한, 다른 층(하층)에 있어서 변형 공간(14F)의 하면, 즉 로크 랜스(13F)의 하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면은, 하나 이상의 암형 하우징(11F)의 하향 변위 규제부(43F)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변형 공간(14F)의 하나 이상의 하향 변위 규제부(43F)는 특히 변형 공간(14F) 앞의 공간의 하면보다 약간 높다. 한편, 다른 층(하층)에 있어서 검출부(27F)의 후방 단부의 하면, 즉 실질적으로 로크 랜스(13F)의 반대편의 면은, 하나 이상의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하향 변위 규제부(44F)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검출부(27F)의 하나 이상의 하향 변위 규제부(44F)는 특히 하향 변위 규제부(44F) 앞의 영역의 하면보다 약간 낮다.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가 부분 로크 위치(1P)에 있는 상태에서 검출부(27F)는 변형 공간(14F) 앞에 위치하므로,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하향 변위 규제부(44F)와 암형 하우징(11F)의 하향 변위 규제부(43F)는 전후방향[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조립 방향(AD)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대응하지 않는 위치 관계에 있다.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가 완전 로크 위치(2P)로 이동한 경우, 검출부(27F)는 변형 공간(14F)에 들어가고, 검출부(27F)의 하향 변위 규제부(44F)와 변형 공간(14F)의 하향 변위 규제부(43F)는 상하방형으로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규제부(43F, 44F)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암형 하우징(11F)에 대한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하향 변위가 제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0)의 상향 변위 규제부(41F)의 전방 단부와 전방벽(26F)의 상향 변위 규제부(42F)의 후방 단부에는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조립 방향(AD)에 경사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면(45F)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주목하기 바란다. 또한, 변형 공간(14F)의 하향 변위 규제부(43F)의 전방 단부와 검출부(27F)의 하향 변위 규제부(44F)의 후방 단부에도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조립 방향(AD)에 경사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면(도시 생략)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조립 과정에서,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는 안내면(45F)의 경사에 의해 부분 로크 위치(1P)로부터 완전 로크 위치(2P)에 이르기까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규제부(41F 및 42F, 43F 및 44F)는 원활하게 접촉상태에 이르게 될 수 있다.
<수형 커넥터(10M)>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된 (특정 하우징으로서의) 수형 하우징(11M)과,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특정 단자 피팅으로서의) 수형 단자 피팅(20M), 그리고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된 (특정 전방 리테이너로서의)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를 조립함으로써, 수형 커넥터(10M)가 형성된다.
<수형 하우징(11M)>
수형 하우징(11M)을 실질적으로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캐비티(12M)가, 수형 하우징(11M)에 하나 이상의 단 또는 층으로, 특히 (상하) 2층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층(예컨대 상층)의 각 캐비티(12M)에는, 실질적으로 상벽 또는 측벽을 따라 (특히 실질적으로 캔틸레버식으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로크 랜스(13M)(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수형 하우징(11M)의 하나의 층(상층)에 있어서 로크 랜스(13M)의 상측 혹은 외측의 공간이, 로크 랜스(13M)가 외측 또는 상측으로 [캐비티(12M)에 있어서 수형 단자 피팅(20M)의 삽입 경로로부터 물러나는 방향]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하는 변형 공간(14M)(도시 생략)의 역할을 한다. 한편, 다른 층(예컨대 하층)의 각 캐비티(12M)에는, 실질적으로 하벽 또는 외벽을 따라 (특히 실질적으로 캔틸레버식으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로크 랜스(13M)가 형성되어 있다. 수형 하우징(11M)의 다른 층(하층)에 있어서 로크 랜스(13M)의 하측의 공간이, 로크 랜스(13M)가 외측 또는 하측으로 [캐비티(12M)에 있어서 수형 단자 피팅(20M)의 삽입 경로로부터 물러나는 방향]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하는 변형 공간(14M)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변형 공간(14M)은 실질적으로 수형 하우징(11M)의 전방면에서 개방되어 있다.
수형 하우징(11M)에는, 실질적으로 수형 하우징(11M)의 전방 단부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특히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관 형태인 리셉터클(15M)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15M)의 상벽부에는, 실질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특히 좌우 한쌍의 리브(34)가 형성되어 있고, 특히 실질적으로 좌우 양 리브(34)의 전방 단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크 돌기(16M)가 리브(34) 상에 형성되어 있다. 로크 돌기(16M)는 실질적으로 상하방향 및/또는 좌우방향에서 로크 아암(16F)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를 부분 로크 위치와 완전 로크 위치에 유지시키는 로크부(18M)가, 수형 하우징(11M)에 있어서 로크 돌기(16M)의 아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수형 단자 피팅(20M)>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형 단자 피팅(20M)은 전체적으로 전후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관 형태로 본체부(21M)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늘고 긴 탭(22M)이, 수형 단자 피팅(20M)의 전방 단부에 혹은 그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1M)의 후방 단부 가장자리는 로크 랜스(13M)와 맞물리는 유지부(23M)의 역할을 한다. 수형 단자 피팅(20M)의 후방 단부에는, 예컨대 크림핑 또는 납땜에 의해, 전선(24M)이 접속된다. 수형 단자 피팅(20M)은 캐비티(12M)에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수형 단자 피팅(20M)의 삽입 과정에서, 로크 랜스(13M)는 본체부(21M)에 의해 밀리거나 혹은 압박되어 변형 공간(14M)을 향해 탄성 변형된다. 수형 단자 피팅(20M)이 적정 삽입 위치에 도달한 경우, 로크 랜스(13M)는 유지부(23M)와 맞물리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고, 이러한 로크 동작에 의해 수형 단자 피팅(20M)은 유지 상태로 유지된다.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는, 전방벽(26M)과, 전방벽(26M)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캔틸레버식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검출부(27M), 그리고 전방벽(26M)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캔틸레버식으로 돌출되는 로크 아암(28M)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혹은 단일체형 어셈블리이다. 각 캐비티(12M)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특히 복수의 삽입 구멍(29M)이, 전방벽(26M)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는 실질적으로 전방으로부터 수형 하우징(11M)에 혹은 그 안에 조립된다. 조립된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는, 로크 아암(28M)과 로크부(18M)의 맞물림에 의해,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가 가볍게 조립되어 있는 부분 로크 위치(1P')(제1 위치, 도 10 참조)와,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가 부분 로크 위치(1P')보다 깊게 조립되어 있는 완전 로크 위치(2P')(제2 위치, 도 9 참조) 중 어느 한 위치에 유지된다. 어느 위치에서도, 탭(22M)은 삽입 구멍(29M)을 관통함으로써 위치 설정된다.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가 부분 로크 위치(1P')[수형 전방 리테이너(25M)가 불완전하게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방벽(26M)은 실질적으로 수형 하우징(11M)의 전방면과 거리를 두고 마주하고 있다. 또한, 검출부(27M)가 로크 랜스(13M) 및 변형 공간(14M)으로부터 전방으로 변위되고 로크 랜스(13M)가 변형 공간(14M)을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있으므로, 수형 단자 피팅(20M)은 캐비티(12M)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가 완전 로크 위치(2P')[수형 전방 리테이너(25M)가 완전하게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방벽(26M)은 특히 수형 하우징(11M)의 전방면과 근접하여 마주하고 있거나 혹은 접촉해 있다. 또한, 검출부(27M)가 변형 공간(14M)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로크 랜스(13M)는 더이상 변형 공간(14M)을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없다. 이러한 식으로, 로크 랜스(13M)는 수형 단자 피팅(20M)과 맞물리게 되면서 로크되고, 수형 단자 피팅(20M)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수형 단자 피팅(20M)이 어느 하나의 캐비티(12M)에 있어서 적정 삽입 위치에 도달하지 않고 반삽입 위치에 놓이게 된다면, 불충분하게 삽입된 수형 단자 피팅(20M)에 의해 밀린 로크 랜스(13M)는 변형 공간(14M)에 위치하게 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불충분하게 삽입된 수형 단자 피팅(20M)이 있는 경우에,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를 부분 로크 위치(1P')로부터 완전 로크 위치(2P')로 밀려고 하면, 조립 조작 중에 검출부(27M)가 변형 공간(14M)에 위치해 있는 로크 랜스(13M)와 접촉하게 되고, 그 결과 더 이상의 조립 조작이 방지된다. 이러한 식으로 조립 조작을 방지함으로써, 불충분하게 삽입된 수형 단자 피팅(20M)의 존재가 검출될 수 있다.
<규제부(41M, 42M, 43M, 44M)>
상기 수형 커넥터(10M)에는, 조립 방향(AD')에 교차하는 상하방향으로 수형 하우징(11M)에 대한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의 변위를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규제부(41M, 42M, 43M 및/또는 44M)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규제부(41M, 42M, 43M 및 44M)에 의한 변위 규제 방향은 특히 실질적으로 수형 단자 피팅(20M)의 탄성 접촉편과 탭(22M)이 접촉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탄성 접촉하게 되는 방향에 평행하다.
규제부(41M, 42M, 43M 및 44M)는 특히 수형 하우징(11M)과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 모두에 형성되어 있다. 리브(34)의 하면의 후방 단부는 특히 수형 하우징(11M)의 상향 변위 규제부(41M)의 역할을 한다. 한편,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의 전방벽(26M)의 상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리브(34) 및 로크 아암(16M)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부분은, 절취부(35)를 형성하도록 절취되어 있다. 이 절취부(35)의 상면은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의 상향 변위 규제부(42M)의 역할을 한다.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가 부분 로크 위치(1P')에 있는 상태에서, 전방벽(26M)은 실질적으로 리브(34)의 전후방향에서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므로, 수형 하우징(11M)의 상향 변위 규제부(41M)와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의 상향 변위 규제부(42M)는 전후방향[수형 전방 리테이너(25M)의 조립 방향(AD')에 평행한 방향]으로 대응하지 않는 위치 관계에 있다.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가 완전 로크 위치(2P')로 이동한 경우, 전방벽(26M)의 전방면은 수형 하우징(11M)의 전방면에 근접하게 되고, 리브(34)의 상향 변위 규제부(41M)와 전방벽(26M)의 상향 변위 규제부(42M)는 상하방형으로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규제부(41M, 42M)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수형 하우징(11M)에 대한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의 상향 변위가 제한된다.
또한, 다른 층(하층)에 있어서 변형 공간(14M)의 하면, 즉 로크 랜스(13M)의 하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면은, 하나 이상의 수형 하우징(11M)의 하향 변위 규제부(43M)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변형 공간(14M)의 하나 이상의 하향 변위 규제부(43M)는 특히 변형 공간(14M) 앞의 공간의 하면보다 약간 높다. 한편, 다른 층(하층)에 있어서 검출부(27M)의 후방 단부의 하면, 즉 실질적으로 로크 랜스(13M)의 반대편의 면은, 하나 이상의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의 하향 변위 규제부(44M)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검출부(27M)의 하나 이상의 하향 변위 규제부(44M)는 특히 하향 변위 규제부(44M) 앞의 영역의 하면보다 약간 낮다.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가 부분 로크 위치(1P')에 있는 상태에서 검출부(27M)는 변형 공간(14M) 앞에 위치하므로,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의 하향 변위 규제부(44M)와 수형 하우징(11M)의 하향 변위 규제부(43M)는 전후방향[수형 전방 리테이너(25M)의 조립 방향(AD')에 평행한 방향]으로 대응하지 않는 위치 관계에 있다.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가 완전 로크 위치(2P')로 이동한 경우, 검출부(27M)는 변형 공간(14M)에 들어가고, 검출부(27M)의 하향 변위 규제부(44M)와 변형 공간(14M)의 하향 변위 규제부(43M)는 실질적으로 상하방형으로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규제부(43M, 44M)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수형 하우징(11M)에 대한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의 하향 변위가 제한된다.
전방벽(26M)의 상향 변위 규제부(42M)의 후방 단부에는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의 조립 방향에 경사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면(45M)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주목하기 바란다. 특히, 변형 공간(14M)의 하향 변위 규제부(43M)의 전방 단부와 검출부(27M)의 하향 변위 규제부(44M)의 후방 단부에도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의 조립 방향(AD')에 경사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면(도시 생략)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의 조립 과정에서,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는 안내면(45M)의 경사에 의해 부분 로크 위치(1P')로부터 완전 로크 위치(2P')에 이르기까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규제부(41M 및 42M, 43M 및 44M)는 원활하게 접촉상태에 이르게 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기능 및 효과>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가 암형 하우징(11F)에 완전하게 로크되어 있고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가 수형 하우징(11M)에 완전하게 로크되어 있을 때, 암형 커넥터(10F)와 수형 커넥터(10M)는 접속되어 있다. 접속 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탭(22M)은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수용 구멍(29F)을 통해 암형 단자 피팅(20F)의 관 부분(21F)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로크 아암(16F)은 로크 돌기(16M)에 의해 간섭을 받아 언로크 위치로 탄성 변형된다. 두 커넥터(10F, 10M)가 적정 접속 상태에 도달한 경우, 탭(22M)과 탄성 접촉편은 탄성 접촉하게 되고, 로크 아암(16F)은 로크 돌기(16M)와 맞물리게 되도록 탄성 복원된다. 로크 아암(16F)과 로크 돌기(16M)의 맞물림에 의해, 두 커넥터(10F, 10M)는 적정 접속 상태로 로크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가 암형 하우징(11F)에 조립될 때, 규제부(41F 및 42F, 43F 및 44F)가 접촉함으로써, 조립방향(AD)에 교차하는 상항방향으로 암형 하우징(11F)과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상대적 변위가 제한된다. 이러한 식으로, 암형 하우징(11F)과 암형 전방 리테이너(25F)의 상대적 변위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한다. 이와 유사하게,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가 수형 하우징(11M)에 조립될 때, 규제부(41M 및 42M, 43M 및 44M)가 접촉함으로써, 조립방향(AD')에 교차하는 상항방향으로 수형 하우징(11M)과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의 상대적 변위가 제한된다. 이러한 식으로, 수형 하우징(11M)과 수형 전방 리테이너(25M)의 상대적 변위에 기인하는 문제를 방지한다.
또한, 암형 하우징(11F)에는 특히, 하나 이상의 캐비티(12F)가 개방되어 있는 전방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의 돌출 단부면은 암형 하우징(11F)의 치수 세팅에 있어서 기준면(31)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에 관심을 갖고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향 변위 규제부(41F)를 특히 돌출부(30)의 내면에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식으로 암형 하우징(11F)의 상향 변위 규제부(41F)는 특히 기존의 돌출부(30)를 이용하여 형성되므로, 규제부가 돌출부(30) 이외의 특정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암형 하우징(11F)의 형상이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수형 하우징(11M)에는 탭(22M)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리셉터클(15M)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 관심을 갖고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향 변위 규제부(41M)를 특히 리셉터클(15M)의 내면에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식으로 수형 하우징(11M)의 상향 변위 규제부(41M)는 특히 기존의 리셉터클(15M)을 이용하여 형성되므로, 규제부가 리셉터클(15M) 이외의 특정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수형 하우징(11M)의 형상이 간단해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 이상의 로크 랜스(13F, 13M) 각각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변형 공간(14F, 14M)에, 하나 이상의 검출부(27F, 27M)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된다. 이러한 점에 관심을 갖고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기존의 변형 공간(14F, 14M)에 있어서 로크 랜스(13F, 13M)에 면하는 면과, 기존의 검출부(27F, 27M)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로크 랜스(13F, 13M)의 반대편의 외면에, 하향 변위 규제부(43F, 44F, 43M 및/또는 44M)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규제부가 변형 공간(14F, 14M) 및 검출부(27F, 27M) 이외의 특정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하우징(11F, 11M) 및 전방 리테이너(25F, 25M)의 형상이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랜스(13F, 13M)는, 검출부(27F, 27M)를 변형 공간(14F, 14M)에 감합하는 과정에서, 하향 변위 규제부(43F 및 44F, 43M 및 44M)의 접촉에 의해, 단자 피팅(20F, 20M)과의 결합 여유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러한 식으로, 검출부(27F, 27M)가 변형 공간(14F, 14M)에 감합될 때, 로크 랜스(13F, 13M)와 단자 피팅(20F, 20M)의 결합 여유가 증대된다. 따라서, 로크 랜스(13F, 13M)에 의한 단자 피팅(20F, 20M) 유지 기능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즉, 하우징(11F, 11M)에 대한 전방 리테이너(25F, 25M)의 변위를 제한하는 수단인 규제부(43F 및 44F, 43M 및 44M)는, 단자 피팅(20F, 20M) 유지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의 역할도 겸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의 실시형태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1)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존의 돌출부 및 변형 공간에 암형 하우징의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규제부는 상기 돌출부 및 변형 공간 이외의 특정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2)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존의 리셉터클의 내면에 수형 하우징의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규제부는 상기 리셉터클 이외의 특정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3)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로크 랜스는, 검출부를 변형 공간에 감합하는 과정에서, 규제부의 접촉에 의해, 단자 피팅과의 결합 여유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위되지만, 그 대신에, 검출부를 변형 공간에 감합하는 과정에서 규제부가 상호 접촉하게 되더라도, 로크 랜스는 단자 피팅과의 결합 여유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위되지 않을 수도 있다.
10F : 암형 커넥터 11F : 암형 하우징(하우징)
12F : 캐비티 13F : 로크 랜스
14F : 변형 공간 20F : 암형 단자 피팅(단자 피팅)
21F : 직사각형 관 부분 25F : 암형 전방 리테이너(전방 리테이너)
26F : 전방벽 27F : 검출부
30 : 돌출부 31 : 기준면
41F : 상향 변위 규제부(규제부)
42F : 상향 변위 규제부(규제부)
43F : 하향 변위 규제부(규제부)
44F : 하향 변위 규제부(규제부)
10M : 수형 커넥터 11M : 수형 하우징(하우징)
12M : 캐비티 13M : 로크 랜스
14M : 변형 공간 15M : 리셉터클
20M : 수형 단자 피팅(단자 피팅, 상대 단자 피팅)
22M : 탭 25M : 수형 전방 리테이너(전방 리테이너)
26M : 전방벽 27M : 검출부
41M : 상향 변위 규제부(규제부)
42M : 상향 변위 규제부(규제부)
43M : 하향 변위 규제부(규제부)
44M : 하향 변위 규제부(규제부)

Claims (9)

  1. 커넥터(10)로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12)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
    상기 캐비티(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 피팅(20);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 피팅(20)의 삽입 과정에서 단자 피팅(20)의 삽입 경로로부터 물러나도록 탄성 변형되고 상기 단자 피팅(20)이 상기 캐비티(12)에 제대로 삽입되었을 때 단자 피팅(20)을 유지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크 랜스(13);
    상기 하우징(11)의 전방면에서 개방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 랜스(13)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 공간(14);
    상기 하우징에 전방으로부터 조립되고, 조립 상태시 상기 하우징(12)의 전방면에 면하도록 배치되는 전방벽(26)과 조립 상태시 상기 변형 공간(1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부(27)를 구비하는 전방 리테이너(25); 및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전방 리테이너(25)에 형성되어 있고 상호 접촉하게 됨으로써 조립 방향(AD; A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1)과 상기 전방 리테이너(25)의 상대적 변위를 제한하는 규제부(41; 42; 43; 44)
    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피팅(20)은, 상대 단자 피팅(20M)의 탭(22M)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관 부분(21F)을 구비하는 암형 단자 피팅(20F)인 것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F)에는, 캐비티(12F)가 개방되어 있는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의 돌출 단부면은 하우징(11F)의 치수 세팅에 있어서 기준면(31)의 역할을 하는 것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41; 42; 43; 44)는 돌출부(30)의 내면과 전방벽(26F)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피팅(20)은 전방 단부에 탭(22M)을 구비하는 수형 단자 피팅(20M)이고,
    하우징(11M)에는 탭(22M)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리셉터클(15M)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규제부(41M; 42M; 43M; 44M)는 리셉터클(15M)의 내면과 전방벽(26M)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41; 42; 43; 44)는 상기 변형 공간(14)에 있어서 상기 로크 랜스(13)에 면하는 면과, 상기 검출부(27)에 있어서 상기 로크 랜스(13)의 반대편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랜스(13)는, 검출부(27)를 변형 공간(14)에 감합하는 과정에서 규제부(41; 42; 43; 44)의 접촉에 의해 단자 피팅(20)과의 결합 여유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인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각 규제부(41; 42; 43; 44)의 하나 이상의 전방 단부에는, 전방 리테이너(25)의 조립 방향(AD; AD')에 경사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면(4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KR1020120069805A 2011-07-06 2012-06-28 커넥터 KR101364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49625 2011-07-06
JP2011149625A JP2013016402A (ja) 2011-07-06 2011-07-06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307A true KR20130006307A (ko) 2013-01-16
KR101364662B1 KR101364662B1 (ko) 2014-02-19

Family

ID=4631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805A KR101364662B1 (ko) 2011-07-06 2012-06-28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08739B2 (ko)
EP (1) EP2544310A1 (ko)
JP (1) JP2013016402A (ko)
KR (1) KR101364662B1 (ko)
CN (1) CN10286804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678A (ko) * 2014-03-13 2015-09-23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6345B2 (en) * 2012-03-16 2016-03-01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A.R.L. Electrical connector
JP6138428B2 (ja) * 2012-05-29 2017-05-3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13592B2 (ja) * 2016-02-25 2017-10-18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7188279A (ja) * 2016-04-05 2017-10-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27580B2 (ja) * 2016-06-10 2020-07-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用端子保持部材、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US9843123B1 (en) * 2016-08-23 2017-12-12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clip
JP6846188B2 (ja) * 2016-12-16 2021-03-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8125167A (ja) * 2017-02-01 2018-08-09 住友電装株式会社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6816668B2 (ja) * 2017-07-11 2021-01-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2019050169A (ja) * 2017-09-12 2019-03-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9145463A (ja) * 2018-02-23 2019-08-2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0080272A (ja) * 2018-11-14 2020-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12060D0 (en) * 1990-05-30 1990-07-18 Amp Great Britai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s
JP3370453B2 (ja) * 1994-09-30 2003-01-27 菱星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973936A (ja) 1995-09-01 1997-03-18 Ryosei Denso Kk コネクタ
JPH09161875A (ja) * 1995-12-13 1997-06-20 Yazaki Corp 二重係止構造のコネクタ
US5928034A (en) * 1996-07-30 1999-07-2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with terminal locking and locking assurance features
JP3534225B2 (ja) * 1998-05-08 2004-06-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0164285A (ja) * 1998-11-25 2000-06-16 Yazaki Corp フロントホルダを有するコネクタ
US6817900B2 (en) 2001-07-31 2004-11-16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locking structure
JP3717814B2 (ja) * 2001-07-31 2005-11-16 矢崎総業株式会社 二物品の係止構造
JP3804830B2 (ja) * 2002-03-25 2006-08-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EP1548892B1 (en) * 2002-09-25 2012-04-04 Mitsubishi Cable Industries,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5327617A (ja) * 2004-05-14 2005-11-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839989B2 (ja) * 2006-07-04 2011-12-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25407B2 (ja) * 2007-10-26 2013-01-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19940B2 (ja) * 2008-01-17 2013-01-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33908B2 (ja) * 2009-08-25 2013-07-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678A (ko) * 2014-03-13 2015-09-23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12042A1 (en) 2013-01-10
JP2013016402A (ja) 2013-01-24
EP2544310A1 (en) 2013-01-09
CN102868046B (zh) 2015-01-14
US8708739B2 (en) 2014-04-29
CN102868046A (zh) 2013-01-09
KR101364662B1 (ko)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662B1 (ko) 커넥터
US9407025B2 (en) Connector
US8568159B2 (en) Connector
US20140127928A1 (en) Connector
JP6548038B2 (ja) コネクタ
US8602819B2 (en) Connector
US9431744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having extended pushing surface and posture correcting portion
US877764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asily separable inner and outer housings
CN109314337B (zh) 连接器
KR20060048755A (ko) 커넥터
JP6393301B2 (ja) コネクタ
US6811451B2 (en) Connector
US7632138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JP2009093811A (ja) コネクタ
US20120196470A1 (en) Connector
US20220029339A1 (en) Connector
US9728884B1 (en) Connector
US10903604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that restricts excessive deflection of the lock arm
KR101048462B1 (ko) 커넥터
CN109792117B (zh) 连接器
JP2018085272A (ja) 防水コネクタ
JP6402126B2 (ja) コネクタ装置
US9407040B2 (en) Connector with functional portion projecting from side surface of connector hosing and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in the functional portion
US11728589B2 (en) Connector
JP7476752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