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660A -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 - Google Patents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660A
KR20120128660A KR1020127023064A KR20127023064A KR20120128660A KR 20120128660 A KR20120128660 A KR 20120128660A KR 1020127023064 A KR1020127023064 A KR 1020127023064A KR 20127023064 A KR20127023064 A KR 20127023064A KR 20120128660 A KR20120128660 A KR 20120128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troller
power
cap
po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9154B1 (ko
Inventor
쿠오-칭 루
Original Assignee
양지앙 밍양 일렉트로틱 테크놀로지 컴퍼티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지앙 밍양 일렉트로틱 테크놀로지 컴퍼티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양지앙 밍양 일렉트로틱 테크놀로지 컴퍼티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128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4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by limiting or cutting the electrical supply to the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 신호 송신기, 버저, 센서 및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갖는 축전지로 구성된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가 개시된다. 앞서 언급한 모든 기기들은 모두 상기 상단 커버의 배면에 있는 캐비티 안에 모여있다. 두 개의 양극 단자들은 상기 축전지 상단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양극 단자들은 칩과 도난방지 기능을 위한 두 개의 릴레이들로써 엔진 전원 및 다른 전기 장치들의 전원을 별도로 제어한다. 전기 잠금 장치를 구비한 상기 지능형 제어기는 상기 상단 커버의 배면에 있는 제어기 박스로 삽입된 후 자동으로 잠겨지며, 차량 소유자에 의한 패스워드 신호 없이는 빠지지 않는다. 상기 축전지 내의 상기 센서는 자동으로 상기 축전지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상태 정보는 LCD를 통해 표시되거나 음성 프롬프트를 사용함으로써 표출된다.

Description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 {INTELLIGENT MULTIFUNCTIONAL ACCUMULATOR}
본 발명은 내부 물 실링 캡(inner water sealing cap)을 구비한 다기능 축전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지능형 제어기에 일체로 결합되며, 전류 출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두 개의 양극 출력 단자들을 가진 내부 물 실링 캡을 구비한 축전지의 신규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전원 공급, 도난 방지 및 경보, 배터리 상태의 자가 감지, LCD 디스플레이, 음성 프롬프트(voice prompts) 등과 같은 복수의 기능이 일체로 결합된 배터리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축전지는 충전 및 방전의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배터리가 동작하지 않거나 폐기될 때까지는, 언제 배터리를 보수하여야 하는지 알지 못한다. 이것은 환경 보호에 해가 되는 것이다. 이것은 특히 하나의 기능만을 가진 자체 에너지 배터리(self-owned energy battery)에 있어 자원의 낭비가 되는 것이다. 비록, 도난 방지 기능 또는 배터리의 캐비티(cavity)에 원격 제어 차단기가 부가된 배터리를 갖는 일부 장치들이 있지만, 현대식 차량에는 많은 정밀한 컴퓨터 전자 장치들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정전(power failure)은 개조 요구의 문제 또는 손상을 일으킬 것이다. 게다가, 도난방지 장치들이 캐비티 결함(fault)에 빠지면, 이들을 수리하기 위하여 제거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또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출력 전류를 제어하는 장치가 있지만, 그것이 도난 방지 상태에서 전원이 꺼지지 않은 경우에도, 때때로 자동차 소유자가 도난 방지 설정을 제거하는 것을 잊어 버리기 때문에 사용시 무심코 경보를 접촉함으로써 전원이 꺼지게 되며, 그 결과 차량 내의 정밀 장치들이 손상되는 문제 및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능형 기능들을 가진 제어기를 구비한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를 개시함으로써 기존 배터리의 기능들이 너무 단순하여 차단기의 장착이 차량 내의 정밀 전자장치들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양극 단자 및 하나의 음극 단자를 구비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관습은 축전지의 캐비티에 숨겨지도록 설계된 두 개의 양극 단자들 및 하나의 음극 단자를 갖는 신규의 구조로 변경되며, 그 결과 차량 엔진용 전원 및 다른 장치용 전원은 별도로 각각 공급받는다. 이런 방식으로 단순한 전원 공급의 기능을 갖는 원래의 축전지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같은 형태의 배터리로 업그레이드 된다. 본 발명의 축전지는 충전 및 방전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전류 출력의 양을 제어할 수 가진다. 따라서 배터리는 차량이 도난 당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도난방지 장치도 감당해 낼 수 있다. 동시에 배터리에 배치된 센서는 자동적으로 배터리 내부 상태를 감지하고 지속적으로 물을 부가하며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음성 프롬프트에 의해 충전 또는 유지보수를 한다. 게다가 패스워드를 이용한 무선 원격 제어 플러그-인(plug-in) 제어기는 자유롭게 제거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축전지가 오래되고 낡거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지능형 제어기는 여전히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자원이 낭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은 다음과 같이 달성된다.
두 층의 실링 캡들,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 센서, 신호 송신기, 버저를 구비하는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에 있어서,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갖는 상기 축전지는 두 개의 양극 단자들, 하나의 음극 단자가 상기 실링 캡의 상단층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두 개의 양극 단자들 중 하나는 상단 캡의 전면에 있는 엔진 전용 양극 단자 헤드이고, 다른 하나는 상단 캡의 전면에 있는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단자 헤드이고;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가 삽입되는 제어기 박스 케이스, 상기 제어기 박스 케이스 내의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의 플러그들에 대응되는 다공성 전도 소켓, 버저, 양극 및 음극의 전원 도입 소켓, 및 센서 신호 도입 소켓은 상기 실링 캡의 상단층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축전지의 상단 캡과 상기 축전지의 내부 물 실링 캡이 열-융착(hot-fused)되어 밀봉될 때,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갖는 축전지의 내부 층 물 실링 캡의 양극 및 음극 단자와 상기 축전지 액체수(liquid-water) 탱크 통의 센서 신호 단자는 상기 상단 캡의 배면의 전원 도입 소켓 및 신호 소켓으로 동시에 삽입되고, 배선들(wires)을 통해 상기 다공성 전도 소켓으로 연결되고; 전기적 잠금 장치를 갖는 상기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가 상기 제어기 박스 케이스에 삽입될 때, 잠금 텅(tongue)이 자동으로 잠금 구멍에 삽입되며, 패스워드 신호가 없는 경우 빠지지 않으며; 상기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의 복수의 플러그들은 상기 다공성 전도 소켓의 컨덕터에 연결되고, 전원 및 신호는 상기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의 플러그들을 통해 상기 제어기의 회로로 도입되고, 엔진 전용 전원 및 다른 전기 장치들용 전원은 칩 및 릴레이를 통해 제어되고; 상기 센서 신호가 상기 칩에 의해 산출된 후, 배터리의 내부 상태가 LCD에 의해 표시되거나 또는 음성 프롬프트에 의해 표출된다.
상기 두 개의 양극 단자들 및 상기 하나의 음극 단자는 엔진 전원용 전원 및 다른 전기 장치들용 전원을 별도로 제어하고 공급하여, 도난방지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자동차 내 정밀 전기 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한다.
전원 배선들 및 신호 배선들은 모두 상기 축전지의 상단 캡의 배면에 배치되고, 제어 회로는 모두 상부 캡 및 하부 캡을 융착함으로써 형성되는 캐비티 및 상기 제어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비노출 상태에 있다.
상기 버저는 상기 축전지의 상기 캐비티에 숨겨져 있으며, 상기 신호 배선들은 상기 배터리의 캐비티의 박스 케이스 내 제어기의 회로로 직접 도입되고, 상기 회로는 비노출 상태에 있다.
상기 제어기 박스 케이스는, 상기 배터리의 실링 캡들의 상단 층의 배면에 배치되고, 패스워드 원격 제어 전기 잠금 장치를 갖는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어기 박스 케이스에 삽입되고 고정되어 상기 제어기 박스 케이스로부터 빠져서 손상을 입지 않는다.
두 개의 큰 릴레이가 상기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에 배치되고, 상기 릴레이는 도난 방지 설정 상태에서 상기 칩에 의해 결정되는 전류의 양을 비교하여, 각각 엔진 전원 및 다른 전기 장치들의 전원용 전원 출력들을 제어한다.
상기 센서는 전해액 및 물 탱크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의 내부 상태는 상기 LCD에 의해 표시되고 음성 프롬프트에 의해 표출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효과를 가진다.
1. 차량 엔진 전원 및 다른 장치들의 전원용 전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공급하기 위해 두 개의 양극 단자들과 한 개의 음극 단자를 구비하는 축전지가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것은 도난방지를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적절하게 사용하거나 또는 도난방지 설정을 해제하는 것을 잊어버려서 엔진의 시동이 걸리는 경우 정전으로 인해 자동차 내부의 정밀 장치가 영향 받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2. 도난방지 설정의 경계 상태 중, 차량의 엔진이 보조적인 불법 배선에 의해 시동이 걸리지 않는 조건에서, 상기 제어기는 기설정된 전류와 비교하여 전원을 제어하며, 상기 전원은 기설정된 전류량의 범위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의 정밀 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한다.
3. 상기 제어기의 박스 케이스는 상기 축전지의 상단 캡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모든 회로 배선들 또한 상단 캡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단 캡과 내부 물 실링 캡이 융착된 후,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박스 케이스 내로 삽입되고, 설정을 위해 상기 회로로 연결되어 숨겨지며, 상단 캡과 하단 캡을 융착함으로써 생성되는 캐비티에 배치된다. 또한 도난 방지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배선들이 절단됨으로써 받는 손상을 막기 위해 상기 회로의 모든 제어 배선들은 비노출 상태에 있다.
4. 상기 버저와 상기 신호 배선들은 모두 축전지의 캐비티에 숨겨져 있으며, 경보가 울릴 때 도둑들이 배선을 절단함으로써 버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노출 상태에 있다.
5. 제어기 내의 소형 전기 잠금 장치는 상기 박스 케이스에 넣을 때 자동으로 잠기며, 패스워드가 없으면 꺼낼 수가 없다. 이는 상기 제어기와 상기 축전지를 하나로 밀접하게 통합하여 쉽게 절도당하거나 손상되지 않게 한다.
6. 상기 패스워드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기의 잠금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꺼낼 수 있거나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를 수리 해야 하거나 또는 축전지가 오래되고 낡아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이들을 꺼내서 수리하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자원이 낭비되지 않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7. 상기 센서는 자동적으로 배터리 내부 상태를 감지하여 LCD와 사용자에 대한 음성 프롬프트를 통해 그 결과를 감지하고, 지속적으로 사용자에게 배터리의 상태를 알려주어 배터리를 충분히 보수유지하고 배터리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차량 운전 도중 배터리 기능의 결함으로 인한 문제들을 저감하게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주요 장치에 대한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들의 결합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기의 회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축전지의 상단 캡의 전면에 있는 장치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축전지의 상단 캡의 배면에 있는 배선들과 장치들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축전지의 상단 캡의 배면에서 단자 소켓이 내부 실링 캡 단자에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어기가 축전지의 상단 캡의 배면 에 있는 회로와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갖는 축전지(2), 신호 송신기(3), 버저(4), 제어기 박스 케이스(12), 전해액 탱크에 배치된 센서(8)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갖는 축전지(2)가 도시되어 있으며; 양극 및 음극의 전기 판격자(plate grid)에 모두 연결되어 있는 내부 실링 캡의 양극 단자(5) 및 음극 단자(6)와 센서 신호 단자(7)는 축전지의 내부 물 실링 캡(2-2)에 배치되어 있으며; 센서 신호 단자(7)는 배선들을 통해 축전지 액체수 탱크 통(2-3)에 구성된 센서(8)에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서, 두 개의 양극 단자들(9A, 10A) 및 하나의 음극 단자(11A)는 축전지 상단 캡의 전면(2-1-1)에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양극 단자들 중 하나는 상단 캡의 전면에 있는 엔진 전용 양극 단자 헤드(10A)이며, 다른 하나는 상단 캡의 전면에 있는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단자 헤드(9A)이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서, 다음의 구성요소들이 축전지 상단 캡의 배면(2-1-2)에 배치되어 있다: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가 삽입되는 제어기 박스 케이스(12), 제어기 박스 케이스(12)에서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의 플러그들에 대응되는 다공성 전도 소켓(29), 축전지의 내부 물 실링 캡(2-2)의 양극 단자(5)에 대응되는 양극 전원 도입 소켓(25), 내부 실링 캡(2-2)의 음극 단자(6)에 대응되는 음극 전원 도입 소켓(26), 센서 신호 단자(7)에 대응되는 센서 신호 도입 소켓(27) 및 버저(4); 다공성 전도 소켓(29)에 내장되며, 배선들에 의해 양극 전원 도입 소켓(25), 음극 전원 도입 소켓(26), 센서 신호 도입 소켓(27), 상단 캡의 배면에 있는 엔진 전용 양극 테일(10B), 상단 캡의 배면에 있는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단자 테일(9B), 상단 캡의 배면에 있는 음극 단자 테일(11B) 및 버저(4)의 신호 배선에 각각 연결되는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컨덕터(30), 양극 전원 입력 컨덕터(31), 엔진 전용 양극 전원 출력 컨덕터(32), 버저의 신호 배선의 컨덕터(33), 음극 전원 입력 컨덕터(34), 및 센서 신호 입력 컨덕터(35); 제어기 박스 케이스(12)에서 측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는 잠금 구멍(28).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축전지의 상단 캡(2-1) 및 축전지의 내부 물 실링 캡(2-2)은 열-융착되어 패키징 되며, 축전지의 내부 물 실링 캡(2-2)에 있는 양극 단자(5), 음극 단자(6) 및 센서 신호 단자(7)는 각각 축전지 상단 캡의 배면(2-1-2)에 있는 대응되는 양극 전원 도입 소켓(25), 음극 전원 도입 소켓(26) 및 센서 신호 도입 소켓(27)에 삽입된다. 따라서, 배터리 전원과 센서 신호는 배선들을 통해 다공성 전도 소켓(29)에 내장된 양극 전원 입력 컨덕터(31), 음극 전원 입력 컨덕터(34) 및 센서 신호 입력 컨덕터(35)에 도입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다음의 복수의 플러그들이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를 위해 배치된다: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출력 플러그(13), 양극 전원 입력 플러그(14), 엔진 전용 전원 출력 플러그(15), 버저의 신호 배선의 플러그(16), 음극 전원 입력 플러그(17) 및 센서의 신호 배선의 도입 플러그(18);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의 회로에 배치되며, 하나는 엔진 전원(20)을 제어하는 릴레이이고, 다른 하나는 다른 전기 장치들을 제어하는 릴레이(19)인 2 개의 내장 고전압 릴레이들; 칩(21), 신호 수신 모듈(22), LCD(24) 및 전기 잠금 장치(23) 등과 같은 주요 장치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서,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가 제어기 박스 케이스(12)에 삽입될 때, 전원 및 신호를 연결하고 온(ON)으로 스위칭 하기 위해서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의 전단부에 있는 복수의 플러그들(13, 14, 15, 16, 17 및 18)은 다공성 전도 소켓(29)에 있는 대응되는 컨덕터들(30, 31, 32, 33, 34 및 35)에 삽입된다. 따라서,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갖는 축전지(2)의 내부 실링 캡에 있는 양극 단자(5)는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를 통해 안내되고, 축전지의 상단 캡(2-1)에 있는 양극 단자들(9A 및 10A)에 송신되고; 센서 신호 단자(7)의 신호가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에 입력된 후, 칩(21)에 의한 분석과 계산을 통해,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구비한 축전지(2)의 내부 상태는 LCD(24)에 의해 표시되거나 또는 음성 프롬프트에 의해 표출되며, 버저(4)의 신호 배선 또한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에 내장된 칩(21)으로 도입된다.
상세한 실시형태: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는 제어기 박스 케이스(12)에 삽입되며;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의 전단부에 있는, 복수의 플러그들(13, 14, 15, 16, 17 및 18)은 다공성 전도 소켓(29)에 동시에 삽입되며, 대응되는 내장된 컨덕터들(30, 31, 32, 33, 34 및 35) 에 연결되고 온(ON)으로 스위칭 되고, 축전지 상단 캡의 전면(2-1-1)에 구성된 회로에 의해 온(ON)으로 스위치 되고, 내장된 전기 잠금 장치(23)의 잠금(lock) 텅(tongue)은 자동으로 잠금 구멍(28)에 삽입되어 잠겨지고 고정되며,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는 신호 송신기(3)의 잠금 해제 명령이 없는 한 제어기 박스 케이스(12)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가 도난방지 상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것과 관계없이, 차의 전원이 온으로 스위칭 되어 있는 동안은,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구비한 축전지(2)의 축전지 액체수 탱크 통(2-3)에 구성된 센서(8)는 감지한 신호를 배선들을 통해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에 즉시 송신하며,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구비한 축전지(2)의 상태는 LCD(24)에 의해 표시되거나 또는 음성 프롬프트에 의해 표출된다.
도난 방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류는 다음과 같이 흐른다: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구비한 축전지(2)의 양극 및 음극의 전원은 축전지의 내부 물 실링 캡(2-2)에 있는 양극 단자(5) 및 음극 단자(6)를 통해 축전지의 상단 캡의 배면(2-1-2)에 있는 양극 전원 도입 소켓(25) 및 음극 전원 도입 소켓(26)으로 도입되고; 음극 전원 도입 소켓(26)은 제어되지 않기 때문에, 상단 캡 배면에 있는 음극 단자 테일(11B)로 배선들을 통해 직접 도입되고, 축전지의 상단 캡의 전면(2-1-1)에 있는 음극 단자 헤드(11A)로 도입되고, 또한 배선들을 통해 다공성 전도 소켓(29)의 음극 전원 입력 컨덕터(34)로 안내되고, 음극 전원 입력 플러그(17)를 통해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의 회로 기판으로 도입되어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에 의해 요청되는 음극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며; 반면 양극 전원 도입 소켓(25)은 제어되기 때문에, 축전지의 상단 캡의 배면(2-1-2)에 있는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단자 테일(9B) 및 엔진 전용 양극 테일(10B) 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양극 전원 도입 소켓(25)의 전원은 배선들을 통해 다공성 전도 소켓(29)의 양극 전원 입력 컨덕터(31)로 도입되고, 양극 전원 입력 플러그(14)를 통해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의 회로 기판으로 도입된다.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가 도난방지 상태를 해제하고 있는 경우: 전류는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로 안내된 후, 엔진 전용 전원 출력 플러그(15) 및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출력 플러그(13)를 통해 환류하고, 다공성 전도 소켓(29)에 내장된 엔진 전용 양극 전원 출력 컨덕터(32) 및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컨덕터(30)로 안내되고, 그 후 배선들을 통해 축전지의 상단 캡의 배면(2-1-2)에 있는 엔진 전용 양극 테일(10B) 및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단자 테일(9B)로 흐르고, 축전지의 상단 캡의 전면(2-1-1)에 있는 엔진 전용 양극 단자 헤드(10A) 및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단자 헤드(9A)로 도입된다.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가 도난 방지 상태를 설정하고 있는 경우: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구비한 축전지(2)는 저전류 전원-제한 상태로 되며, 축전지의 상단 캡(2-1)에 있는 두 개의 양극 단자 헤드들(9A,10A)은 여전히 전원 출력을 유지하고 있으나, 제어된 전류량은 엔진의 시동을 거는데 필요한 고(高)전류보다 적다. 도난방지 설정 상태에서 강제로 엔진의 시동이 걸리는 경우,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의 칩(21)은 비정상적인 고전류를 감지하며, 즉시 버저(4)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내도록 하고, 엔진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20)는 순간적으로 엔진 전용 양극 전원의 연결을 끊으며, 축전지의 상단 캡(2-1)의 전면에 있는 엔진 전용 양극 단자 헤드 10A의 전원 출력은 종료되며, 차량의 엔진의 시동은 걸리지 않게 된다. 이 순간, 상단 캡의 전면에 있는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단자 헤드(9A)는 여전히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으며, 차량의 정밀 장치들은 혹시 차량 소유자가 경보 장치를 부적절하게 사용하거나 또는 무의식적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 차량이 고의적으로 절도 당하는 경우, 상단 캡의 전면의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단자 헤드(9A)의 전원은 배선들을 연결함으로써 상단 캡의 전면에 있는 엔진 전용 양극 단자 헤드(10A)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 후 엔진의 시동이 다시 걸리게 될 때, 멀티플러그 제어기(1)의 칩(21)은 비정상적인 고전류를 감지하며, 즉시 보조적으로 다른 전기 장치들을 제어하는 릴레이(19)에게 양극의 전원의 연결을 끊도록 명령하며, 축전지의 상단 캡(2-1)의 전면에 있는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단자 헤드(9A)의 전원 출력은 종료되고, 엔진의 시동은 여전히 걸리지 않으며, 버저(4)는 다시 경보음을 내도록 작동되고, 이 순간 차량은 차 소유자에 의해 부적절하게 사용되거나 또는 무의식적으로 접촉된 것이 아닌 절도 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비록 차량 전체의 전원이 오프 되었지만,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구비한 축전지(2)에 일체로 통합된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1)의 몸체는 여전히 전원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도난방지 작동은 계속되고, 버저(4)는 계속해서 경보음을 내며, 차량의 시동이 걸릴 수 없는 상태가 되도록 하여, 차량이 도난 당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능형 제어기, 버저 및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갖는 배터리를 일체로 통합하였다. 상술한 회로들 모두는 비노출 상태로 숨겨져 있다. 두 개의 양극 단자들을 구비한 배터리의 구조는 충전 및 방전의 원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난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쉽게 손상되지 않으며, 배터리의 내부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지속적으로 차량 소유주에게 배터리를 유지보수하고 배터리 수명을 증가시키도록 알려서 배터리의 다양한 기능을 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보호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변형, 변화 또는 균등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 멀티 플러그 지능형 제어기; 2: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구비한 축전지; 2-1: 축전지 상단 캡; 2-1-2: 축전지 상단 캡의 전면; 2-1-2: 축전지 상단 캡의 배면; 2-2: 축전지 내부 물 실링 캡; 2-3: 축전지 액체수 탱크 통; 3: 신호 송신기; 4: 버저; 5: 내부 실링 캡의 양극 단자; 6: 내부 실링 캡의 음극 단자; 7: 센서 신호 단자; 8: 센서; 9A: 상단 캡의 전면에 있는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단자 헤드(head); 9B: 상단 캡의 배면에 있는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단자 테일(tail); 10A: 상단 캡의 전면에 있는 엔진 전용 양극 단자 헤드; 10B: 상단 캡의 배면에 있는 엔진 전용 양극 단자 테일; 11A: 상단 캡의 전면에 있는 음극 단자 헤드; 11B: 상단 캡의 배면에 있는 음극 단자 테일; 12: 제어기의 박스 케이스; 13: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출력 플러그; 14: 양극 전원 입력 플러그; 15: 엔진 전용 전원 출력 플러그; 16: 버저의 신호배선의 플러그; 17: 음극 전원 입력 플러그; 18: 센서의 신호 배선의 도입 플러그; 19: 다른 전기 장치들을 제어하는 릴레이; 20: 엔진 전원을 제어하는 릴레이; 21: 칩; 22: 신호 수신 모듈; 23: 전기 잠금 장치; 24: LCD; 25: 양극 전원 도입 소켓; 26: 음극 전원 도입 소켓; 27: 센서 신호 도입 소켓; 28: 잠금 구멍; 29: 다공성 전도 소켓; 30: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컨덕터; 31: 양극 전원 입력 컨덕터; 32: 엔진 전용 양극 전원 출력 컨덕터; 33: 버저의 신호 배선의 컨덕터; 34: 음극 전원 입력 컨덕터; 35: 센서 신호 입력 컨덕터

Claims (7)

  1. 두 층의 실링 캡들,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 센서, 신호 송신기, 버저를 구비하는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에 있어서,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갖는 상기 축전지는 두 개의 양극 단자들, 하나의 음극 단자가 상기 실링 캡의 상단층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두 개의 양극 단자들 중 하나는 상단 캡의 전면에 있는 엔진 전용 양극 단자 헤드이고, 다른 하나는 상단 캡의 전면에 있는 다른 전기 장치들용 양극 단자 헤드이고;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가 삽입되는 제어기 박스 케이스, 상기 제어기 박스 케이스 내의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의 플러그들에 대응되는 다공성 전도 소켓, 버저, 양극 및 음극의 전원 도입 소켓, 및 센서 신호 도입 소켓은 상기 실링 캡의 상단층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축전지의 상단 캡과 상기 축전지의 내부 물 실링 캡이 열-융착되어 밀봉될 때, 두 층의 실링 캡들을 갖는 축전지의 내부 층 물 실링 캡의 양극 및 음극 단자와 상기 축전지 액체수(liquid-water) 탱크 통의 센서 신호 단자는 상기 상단 캡의 배면의 전원 도입 소켓 및 신호 소켓으로 동시에 삽입되고, 배선들을 통해 상기 다공성 전도 소켓으로 연결되고;
    전기적 잠금 장치를 갖는 상기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가 상기 제어기 박스 케이스에 삽입될 때, 잠금 텅(tongue)이 자동으로 잠금 구멍에 삽입되며, 패스워드 신호가 없는 경우 빠지지 않으며;
    상기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의 복수의 플러그들은 상기 다공성 전도 소켓의 컨덕터에 연결되고, 전원 및 신호는 상기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의 플러그들을 통해 상기 제어기의 회로로 도입되고, 엔진 전용 전원 및 다른 전기 장치들용 전원은 칩 및 릴레이를 통해 제어되고;
    상기 센서 신호가 상기 칩에 의해 산출된 후, 배터리의 내부 상태가 LCD에 의해 표시되거나 또는 음성 프롬프트(voice prompts)에 의해 표출되는,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양극 단자들 및 상기 하나의 음극 단자는 엔진 전원용 전원 및 다른 전기 장치들용 전원을 별도로 제어하고 공급하여, 도난방지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자동차 내 정밀 전기 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는,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 배선들 및 신호 배선들은 모두 상기 축전지의 상단 캡의 배면에 배치되고, 제어 회로는 모두 상부 캡 및 하부 캡을 융착함으로써 형성되는 캐비티(cavity) 및 상기 제어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비노출 상태에 있는,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저는 상기 축전지의 상기 캐비티에 숨겨져 있으며, 상기 신호 배선들은 상기 배터리의 캐비티의 박스 케이스 내 제어기의 회로로 직접 도입되고, 상기 회로는 비노출 상태에 있는,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박스 케이스는, 상기 배터리의 실링 캡들의 상단 층의 배면에 배치되고, 패스워드 원격 제어 전기 잠금 장치를 갖는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어기 박스 케이스에 삽입되고 고정되어 상기 제어기 박스 케이스로부터 빠져서 손상을 입지 않는,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두 개의 큰 릴레이가 상기 멀티플러그 지능형 제어기에 배치되고, 상기 릴레이는 도난 방지 설정 상태에서 상기 칩에 의해 결정되는 전류의 양을 비교하여, 각각 엔진 전원 및 다른 전기 장치들의 전원용 전원 출력들을 제어하는,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전해액 및 물 탱크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의 내부 상태는 상기 LCD에 의해 표시되고 음성 프롬프트에 의해 표출되는,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
KR1020127023064A 2010-02-05 2010-02-05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 KR101349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0/000161 WO2011094896A1 (zh) 2010-02-05 2010-02-05 智能型多功能蓄电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660A true KR20120128660A (ko) 2012-11-27
KR101349154B1 KR101349154B1 (ko) 2014-01-10

Family

ID=4435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064A KR101349154B1 (ko) 2010-02-05 2010-02-05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92064B2 (ko)
EP (1) EP2533345A4 (ko)
JP (1) JP5577414B2 (ko)
KR (1) KR101349154B1 (ko)
CN (1) CN102884670B (ko)
WO (1) WO20110948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873A (ko) * 2015-10-06 2017-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적 잠금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전지팩의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11469472B2 (en) 2017-08-29 2022-10-1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1468B2 (en) * 2012-11-07 2017-06-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attery with computing, sensing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JP6144128B2 (ja) * 2013-06-28 2017-06-07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バッテリ
KR102087991B1 (ko) * 2016-02-24 2020-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CN107958967A (zh) * 2016-10-18 2018-04-24 南京金邦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自检数据的电动汽车蓄电池
CN106941390A (zh) * 2017-05-16 2017-07-11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近距离数字信号传输用防干扰装置
CN107195984B (zh) * 2017-06-13 2020-04-03 福建华祥电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可调节储能的蓄电池
CN107757527A (zh) * 2017-09-19 2018-03-06 华晨汽车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汽车用数显蓄电池及控制方法
CN107994177A (zh) * 2017-12-29 2018-05-04 安徽零度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锂电池防盗系统
DE102020111452A1 (de) 2020-04-27 2021-10-28 Audi Aktiengesellschaft Zellmodul für eine Traktions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entsprechende Traktionsbatterie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Zellmoduls
KR20220080516A (ko) * 2020-12-07 2022-06-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보드 타입의 ess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463194A (en) * 1992-07-01 1994-01-31 B.I.G. Batteries Limited Security batteries for automotive vehicles
CN2419694Y (zh) * 2000-04-28 2001-02-14 徐静雄 无线遥控防盗蓄电池装置
JP2002193074A (ja) * 2000-12-25 2002-07-10 Kazuya Ishikawa 自動車用盗難防止装置内蔵型バッテリ
TW565962B (en) * 2001-10-29 2003-12-11 Yuasa Battery Co Ltd Storage battery loaded onto vehicle
JP2003331925A (ja) * 2002-05-08 2003-11-21 Yuasa Corp 蓄電池
JP4096350B2 (ja) * 2001-10-29 2008-06-04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蓄電池
JP3882174B2 (ja) * 2002-05-15 2007-02-14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蓄電池
JP2004284402A (ja) * 2003-03-19 2004-10-14 Kps:Kk 原動機付き乗物の盗難防止機能付きバッテリおよびこれを用いた盗難防止装置
CN2824319Y (zh) * 2005-05-31 2006-10-04 吕国清 蓄电池电源防盗输出控制器
EP1892536B1 (de) 2006-08-22 2012-04-11 Delphi Technologies, Inc. Batterieüberwachungssystem
JP2009105022A (ja) * 2007-10-25 2009-05-14 Suzuki Shoji:Kk 多電極対バッテリ
KR20090006529U (ko) * 2007-12-26 2009-07-01 인셀스(주) 지능형축전지
CN201188430Y (zh) * 2008-03-11 2009-01-28 吕国清 防盗蓄电池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873A (ko) * 2015-10-06 2017-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적 잠금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전지팩의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11469472B2 (en) 2017-08-29 2022-10-1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having waterproof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01758A1 (en) 2012-11-29
EP2533345A4 (en) 2013-07-17
US8592064B2 (en) 2013-11-26
CN102884670B (zh) 2014-10-29
KR101349154B1 (ko) 2014-01-10
JP5577414B2 (ja) 2014-08-20
EP2533345A1 (en) 2012-12-12
CN102884670A (zh) 2013-01-16
WO2011094896A1 (zh) 2011-08-11
JP2013519194A (ja)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154B1 (ko) 지능형 다기능 축전지
KR102283791B1 (ko) 배터리 보호 장치
JP7259745B2 (ja) 蓄電装置、車両、自動二輪車
JP6209011B2 (ja) バッテリの過充電防止装置
US20110254654A1 (en) Battery Car Anti-Theft Device
JP5411012B2 (ja) 充電ケーブル異常検出システム
JP2007195021A (ja) 携帯端末装置
KR101057404B1 (ko)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충전 제어 방법
CN203318314U (zh) 一种汽车暗电流智能控制保护系统
JP2007513459A (ja) 複数電池システム、複数電池管理システム、補助電池付帯システム、及び回線制御された複数電池システム
WO2019085947A1 (zh) 具有充电安全的电动汽车
GB2315619A (en) Preventing charging of primary cells
CN109347172B (zh) 一种车辆便携式启动电源
CN113561810A (zh) 一种充电口断电保护装置及电动车
CN206734477U (zh) 一种电动车防盗报警装置
JP3142254U (ja) 充電/放電制御装置
US10279689B2 (en) Battery rescue activating reset device
CN105059429A (zh) 一种具有防盗功能的电动车
CN205059800U (zh) 一种具有防盗功能的电动车
CN2438224Y (zh) 车用防盗电瓶
CN207863644U (zh) 一种智能锁欠电应急供电系统以及智能锁
CN219627421U (zh) 一种车载灭火器的备用电源系统
TWM548128U (zh) 車用充電控制裝置
CN201649855U (zh) 具有警示的锁具
WO2004038139A1 (en) An alarm device for cutting off wire rope in a wire rope type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