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991B1 -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991B1
KR102087991B1 KR1020160022050A KR20160022050A KR102087991B1 KR 102087991 B1 KR102087991 B1 KR 102087991B1 KR 1020160022050 A KR1020160022050 A KR 1020160022050A KR 20160022050 A KR20160022050 A KR 20160022050A KR 102087991 B1 KR102087991 B1 KR 102087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variable resistor
main body
cove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677A (ko
Inventor
고동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22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99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H01M2/108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이차 전지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은, 이차 전지 셀을 수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이차 전지 셀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를 체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패스너; 및 상기 패스너의 이동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가변저항을 포함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SECONDARY BATTERY MODULE AND SECONDARY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커버의 체결 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종래 이차 전지로서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수소이온 전지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전 및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차 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를 구비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로 이루어지며,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을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 LIB), 리튬 폴리머 전지(Polymer Lithium Ion Battery, PLIB) 등으로 나누어진다. 통상, 이들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시트(sheet), 메시(mesh), 필름(film), 호일(foil) 등의 집전체에 양극 또는 음극 활물질을 도포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각종 이차 전지는, 이차 전지 셀을 수용하여 보호하기 위한 본체와 커버가 구비될 수 있으며, 진동 등으로 인해 본체와 커버를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 정도가 약해지면 본체와 커버 내부의 이차 전지 셀 등이 손상될 수 있고, 또한, 본체와 커버 간의 마찰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체와 커버의 체결 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차 전지 셀의 손상 방지와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차 전지 셀을 수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이차 전지 셀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를 체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패스너; 및 상기 패스너의 이동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가변저항을 포함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스너는,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를 관통할 수 있고,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변저항에 접촉되는 접촉단부를 포함하는 스크류 또는 볼트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저항은 상기 패스너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스너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가변저항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의 변화량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이차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이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이차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변저항의 저항값 변화량을 통해 본체와 커버의 체결 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와 커버의 체결 정도를 확인하여 최적의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이차 전지 셀의 손상 방지와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이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에서 볼트가 가변저항에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에서 볼트가 가변저항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이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이차 전지 셀(600)의 보호를 위해 이차 전지 셀(600)을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이차 전지 셀(600)은 카트리지에 수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카트리지 각각에 복수의 이차 전지 셀(600) 각각이 수납되어 다수의 카트리지들이 구비된 카트리지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 조립체는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차 전지 셀(600)이 수납된 카트리지 조립체가 본체(100)에 수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조립체는 커넥터 요소 또는 단자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는, 예를 들어, 이차 전지 셀(600)의 전압 또는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미도시) 등에 연결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연결 부품 내지 연결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 요소는 이차 전지 셀(600)에 연결되는 메인 단자로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를 포함하며, 단자 요소는 터미널 볼트가 구비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버(200)는 본체(100)에 결합되어 본체(100)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본체(100)와의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이차 전지 셀(600)이 배치되어 이차 전지 셀(600)을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차 전지 셀(600)이 수납된 카트리지 조립체는 본체(100)와 커버(2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 조립체에 각각 수납된 이차 전지 셀(600)은 상기 공간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에서 볼트가 가변저항에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에서 볼트가 가변저항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패스너(300)는 본체(100)와 커버(200)가 결합된 후 본체(100)와 커버(200)를 체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패스너(300)는 다양한 체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볼트(310)와 너트(320), 또는 스크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패스너(300)가 볼트(310)와 너트(320)로 마련되는 경우, 너트(320)는 본체(100) 또는 커버(200)에 결합되고, 볼트(310)는 커버(200)와 너트(320)를 관통하여 본체(100)와 커버(200)를 체결하며, 또한 볼트(310)는 후술하는 가변저항(41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너트(320)는 가변저항(4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패스너(300)가 스크류(미도시)로 마련되는 경우, 본체(100) 및 커버(200)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스크류(미도시)가 본체(100) 및 커버(200)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나사산은 본체(100)에만, 또는 커버(200)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사산은 가변저항(4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스크류(미도시)는 본체(100) 또는 커버(200)를 관통하여 가변저항(4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패스너(300)가 볼트(310)와 너트(320)로 마련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볼트(310)에는 접촉단부(3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단부(311)는 가변저항(410)에 접촉되어 가변저항(410)의 저항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볼트(310)의 접촉단부(311)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310)의 접촉단부(311)의 단면이 십자 드라이버의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자 드라이버의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볼트(310)의 접촉단부(31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트(310)의 접촉단부(311)가 가변저항(410)에 결합되고 볼트(310)가 회전하는 경우 가변저항값이 변화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어유닛(400)은 가변저항(410)을 포함하며 가변저항(410)의 저항값의 변화를 통해 본체(100)와 커버(200)의 체결 정도를 파악하도록 마련된다. 제어유닛(400)은 본체(100)와 커버(2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수용되며, 특히,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가변저항(410)은 일측, 예를 들어 상부에 수용홈(4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드라이버와 같은 핸드 피스를 수용홈(411)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저항값이 변화하도록 마련되는 저항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310)가 커버(200)와 너트(320)를 관통하여 가변저항(410)에 접촉되면 볼트(310)의 이동에 의해 가변저항(410)이 작동되어 저항값이 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변저항(410)에는 볼트(310)의 접촉단부(311)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310)의 접촉단부(311)의 단면이 십자 드라이버의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가변저항(410)의 수용홈(411) 역시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볼트(310)의 접촉단부(311)의 단면이 일자 드라이버의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가변저항(410)의 수용홈(411) 역시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볼트(310)의 접촉단부(311)는 가변저항(410)의 수용홈(411)에 수용될 수 있으며, 볼트(310)가 회전하게 되면, 볼트(310)의 회전에 연동되어 가변저항(410) 역시 회전하면서 저항값이 변하게 된다. 즉, 볼트(310)와 너트(320)를 통해 본체(100)와 커버(200)가 체결된 후 진동 등이 발생되어 볼트(310)가 체결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체결 정도가 약해지는 경우, 볼트(310)에 결합되어 있는 가변저항(410) 역시 볼트(310)의 체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저항값이 변하게 되므로, 이러한 저항값의 변화를 통해 본체(100)와 커버(200)의 체결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유닛(400)은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으로 마련될 수 있고,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으며, PCB에 의해 마련되는 회로기판에 가변저항(41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유닛(400)은 전술한 BMS와 별도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BMS와 통합된 하나의 유닛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500)는 예를 들어, 커버(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가변저항(410)의 저항값의 변화량을 표시할 수 있고, 또는 저항값의 변화를 통해 본체(100)와 커버(200)의 체결 정도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500)는 본체(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500)는 제어유닛(400)에 연결되어 제어유닛(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500)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이차 전지 모듈(10) 또는 이차 전지 팩을 사용하는 대상물, 예를 들어 자동차 등에 화면 표시를 위한 모니터 등이 구비된 경우 상기 모니터를 통해 본체(100)와 커버(200)의 체결 정도를 파악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볼트(310)는 커버(200)를 통해 본체(100)에 결합된 너트(320)를 관통하여 커버(200)와 본체(100)를 체결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볼트(310)의 하측에는 가변저항(41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커버(200)와 본체(100)를 관통한 볼트(310)의 접촉단부(311)가 가변저항(410)에 형성된 수용홈(411)에 수용된다. 여기서, 진동 등에 의해 커버(200)와 본체(100)를 체결하고 있는 볼트(310)가 체결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볼트(310)의 접촉단부(311)에 결합되어 있는 가변저항(410)도 볼트(31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변저항(410)의 저항값이 변하게 된다.
제어유닛(400)은 가변저항(410)의 저항값 변화를 측정하여 저항값의 변화량, 또는 저항값의 변화량에 대응되는 커버(200)와 본체(100)의 체결 정도를 디스플레이(500) 등을 통해 표시하고, 디스플레이(500) 등에 의해 표시되는 이러한 정보를 통해 커버(200)와 본체(100)의 체결 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커버(200)와 본체(100)의 체결이 느슨한 경우 체결을 강화하여 최적의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이차 전지 셀(600)의 손상 방지와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팩(미도시)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 팩(미도시)은, 이러한 이차 전지 모듈(10) 이외에, 이러한 이차 전지 모듈(10)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 이차 전지 모듈(10)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미도시)는 전술한 이차 전지 모듈(10) 또는 이차 전지 팩(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차 전지 팩(미도시)에는 상기 이차 전지 모듈(10)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은, 상기 자동차(미도시),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전기를 사용하도록 마련되는 소정의 자동차(미도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이차 전지 모듈(10) 또는 이차 전지 팩(미도시)이 각종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 이차 전지 모듈(10) 자체에는 디스플레이(50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자동차에 구비된 컨트롤유닛, 예를 들어,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해 제어되는 내장형 모니터 등을 통해 본체(100)와 커버(200)의 체결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이차 전지 모듈 100 : 본체
200 : 커버 300 : 패스너
310 : 볼트 311 : 접촉단부
320 : 너트 400 : 제어유닛
410 : 가변저항 411 : 수용홈
500 : 디스플레이 600 : 이차 전지 셀

Claims (7)

  1. 이차 전지 셀을 수납할 수 있는 본체;
    상기 이차 전지 셀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를 체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패스너; 및
    상기 패스너의 이동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가변저항을 포함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패스너는,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를 관통할 수 있고,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변저항에 접촉되는 접촉단부를 포함하는 스크류 또는, 볼트와 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패스너가 스크류인 경우, 본체 및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은 상기 가변저항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크류가 상기 나사산에 나사결합된 후 상기 가변저항에 접촉되며,
    상기 패스너가 볼트와 너트인 경우, 상기 너트는 본체 및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너트는 상기 가변저항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볼트가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된 후 상기 가변저항에 접촉되며,
    상기 가변저항은 상기 패스너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패스너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가변저항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저항의 저항값의 변화량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모듈.
  6. 제1항 또는 제5항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7. 제1항 또는 제5항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60022050A 2016-02-24 2016-02-24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KR102087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050A KR102087991B1 (ko) 2016-02-24 2016-02-24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050A KR102087991B1 (ko) 2016-02-24 2016-02-24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677A KR20170099677A (ko) 2017-09-01
KR102087991B1 true KR102087991B1 (ko) 2020-03-11

Family

ID=5992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050A KR102087991B1 (ko) 2016-02-24 2016-02-24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3636A (zh) * 2018-06-25 2018-12-11 安徽嘉安汽车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电池组的新能源汽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0330A (ja) 2006-03-15 2007-09-27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07556B1 (ko) 2010-07-02 2012-01-31 (주)디에이치테크놀로지 외장 메모리를 이용하여 잠금설정 및 잠금해제가 가능한 컨테이너 전자봉인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5577414B2 (ja) * 2010-02-05 2014-08-20 ヤンジャン・ミンヤン・エレクトロニック・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知能型多機能蓄電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498A (ko) * 1997-12-04 1999-07-05 정담 취사기의 체결상태 감지장치
EP2866276B1 (en) * 2011-10-24 2018-05-23 Advanced Battery Concepts, LLC Bipolar battery assembly
KR20150001195A (ko) * 2013-06-26 2015-01-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품의 개폐를 감시하는 rfid 태그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0330A (ja) 2006-03-15 2007-09-27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77414B2 (ja) * 2010-02-05 2014-08-20 ヤンジャン・ミンヤン・エレクトロニック・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知能型多機能蓄電池
KR101107556B1 (ko) 2010-07-02 2012-01-31 (주)디에이치테크놀로지 외장 메모리를 이용하여 잠금설정 및 잠금해제가 가능한 컨테이너 전자봉인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677A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6455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JP6755380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KR101979371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50140120A (ko) 배터리 팩
JP2014220157A (ja) 蓄電装置、基板および蓄電装置の組立方法
US20160172653A1 (en) Battery containment
US20140322588A1 (en) Housing for a battery cell, comprising a paint coating for electrical insulation, battery cell, battery, and motor vehicle
KR102005489B1 (ko) 배터리 팩
CN111052441B (zh) 电池外壳和包含该电池外壳的电池模块
KR101808307B1 (ko) 단자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66197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87991B1 (ko)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JP7306617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JP7048844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KR101486927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에 적용되는 단자 어셈블리
KR102062316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8370001A (zh) 蓄电装置
CN110612179B (zh) 拆卸工具及能够使用拆卸工具拆卸的电池模块
KR20210060239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302274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10072513A (ko) 모듈과 팩 케이스 사이에 절연부재가 개재된 전지팩
KR102244138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4199225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EP4336639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102386691B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