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5504A - 배기 가스 및 가스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기 가스 및 가스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5504A
KR20120125504A KR1020127022183A KR20127022183A KR20120125504A KR 20120125504 A KR20120125504 A KR 20120125504A KR 1020127022183 A KR1020127022183 A KR 1020127022183A KR 20127022183 A KR20127022183 A KR 20127022183A KR 20120125504 A KR20120125504 A KR 20120125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ubber
fluid
scrubber fluid
separator
cont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1856B1 (ko
Inventor
스타판 쾨니그손
레나 순트퀴스트
Original Assignee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9045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12550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EP10154682.8A external-priority patent/EP2364760B1/en
Priority claimed from EP10168279.7A external-priority patent/EP2402288B1/en
Application filed by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2012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25Regeneration of liquid ab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BBOILING; BOILING APPARATUS ; EVAPORATION; EVAPORATION APPARATUS
    • B01B1/00Boiling; Boiling apparatus for physical or chemical purposes ; Evaporation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2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centrif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4Regenerating the wash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2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4Nitrogen oxides other than dinitrogen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02F1/3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by centrifuging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8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urification of gaseous efflu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3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inertial or centrifugal separators, e.g. of cyclone type, optionally combined or associated with agglom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세정기(1) 및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에 관한 것이다.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는 상기 오염된 세정기 유체로부터 적어도 오염물 상과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분리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9)를 포함한다. 원심 분리기는 분리 디스크(13)들의 스택을 구비한 분리 공간(12)을 에워싸는 로터(11), 상기 분리 공간 내로 연장하는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위한 분리기 입구(8), 상기 분리 공간으로부터 연장하는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위한 제1 분리기 출구(14), 및 상기 분리 공간으로부터 연장하는 오염물 상을 위한 제2 분리기 출구(15)를 갖는다. 본 발명은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기 가스 및 가스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 및 방법 {EXHAUST GAS AND GAS SCRUBBER FLUID CLEANING EQUIPMENT AND METHOD}
본 발명은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 및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해운 산업은 부정적인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현재 및 미래의 배출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해, 엔진 내에서의 연료의 연소로부터 유래하는 배출물과 같은 유해한 배출물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이의 한 부분은 선박으로부터의 황 산화물(SOx)의 감소이다. 황 산화물은 황 잔류물을 함유하는 연료의 연소 시에 생성된다. 배기 가스 내의 황 산화물의 양은 배기 가스 세척에 의해, 예컨대 세정기를 사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언급된 세정기의 도움으로 배기 가스를 세척하는 공정은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생성한다.
다른 목적은 선박 엔진으로부터의 질소 산화물(NOx) 배출물의 감소이다. 이는 배기 가스의 일부가 엔진의 연소실로 재순환되는, 배기 가스 재순환(EGR)을 구현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배기 가스 내의 그을음 및 입자의 양은 감소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배기 가스를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세정기를 사용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정에서, 오염된 세정기 유체가 생성된다.
EP 701656 B1호는 과급 내연 기관 엔진 내에서의 배기 가스의 재생 및 세척을 위한 그러한 장비를 개시한다. 세정기가 세정기 물을 사용함으로써 재생 기체를 정화한다. 세정기 물은 그 다음 해상으로 통과되거나 이후의 정화를 위해 탱크에 보관된다.
오염된 세정기 유체는 그을음 또는 다른 유기 또는 무기 연소 잔류물을 포함한다. 그러한 오염된 세정기 유체의 바다로의 방출은 환경적 관점으로부터 허용 불가능하고, 엄격히 규제된다. 다른 한편으로, 다량의 폐기물을 처리를 위해 항구로 운송하는 것은 비용이 들고 바람직하지 않다.
JP 3868352 B2호는 세정기로부터의 오염된 해수가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되고, 그 다음 원심 분리기 및 2개의 오일 필터의 조합을 사용하여 세척되는 폐수 처리를 위한 장비를 개시한다.
따라서, 한 가지 문제점은 세정기 유체의 세척을 개선하는 것이다. 세정기 유체의 세척을 개선하는 하나의 추가의 태양은 오염물이 세정기 유체로부터 다시 배기 가스 내로 운반되어 냉각기와 같은 하류 장비 내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추가의 문제점은 오염된 세정기 유체 내의 입자가 그을음 스켈링(soot scaling)의 축적의 위험과 함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처리 장비 및 파이핑 상에 부착되는 경향이 있어서, 처리 장비, 센서, 송신기 등이 오작동하게 만드는 것이다. 필터 기술에 의존하는 장비는 또한 필터 구성요소의 감시, 서비스, 및 교체에 대한 필요에 있어서 결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기물 처리 절차의 환경적 태양을 추가로 개선하고, 배기물 처리 절차의 효율을 개선하고, 서비스에 대한 필요를 최소화하고, 세정기 유체를 취급하는 처리 장비에서의 문제점을 저감함으로써 위에서 언급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기 가스를 세척하기 위한 가스 세정기를 포함하고, 가스 세정기는 배기 가스로부터 유래하는 오염물 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생성하는, 디젤 엔진을 위한 배기 가스 세척 장비에 관한 것이다. 세정기는 바람직하게는 배기 가스가 배기 가스 내의 오염물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세정기 유체와 접촉하게 되는 습식 세정기이다. 그러한 습식 가스 세정기는 배기 가스를 위한 입구,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에 제공하기 위한 조습 장치, 및 배기 가스로부터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액적 분리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가 가스 세정기에 연결된다. 가스 세정기 및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는 세정기 유체 루프, 즉 시스템 내의 세정기 및 다른 구성요소를 통한 세정기 유체의 재순환을 제공하는 순환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는 상기 오염된 세정기 유체로부터 적어도 오염물 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물 상과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분리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를 포함한다. 원심 분리기는 분리 디스크들의 스택 또는 분리 플레이트들의 세트를 구비한 분리 공간을 에워싸는 로터를 포함한다. 분리 디스크 또는 플레이트는 절두 원추형이거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심 분리기는 상기 분리 공간 내로 연장하는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위한 분리기 입구, 상기 분리 공간으로부터 연장하는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위한 제1 분리기 출구, 및 상기 분리 공간으로부터 연장하는 오염물 상을 위한 제2 분리기 출구를 추가로 포함한다.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는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로부터 분리기 입구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 및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제1 분리기 출구로부터 배기 가스 세정기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세정기 유체를 원심 분리기 및 가스 세정기로 그리고 그로부터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세정기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세정기 유체 루프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오염된 세정기 유체 및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도관, 파이핑, 튜빙, 탱크, 펌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 스택 원심 분리기를 사용함으로써, 배기 가스 세정기 유체로부터 오염물 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물 상의 분리는 놀랍게도 효율적이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한 분리기 내에서의 분리는 입자를 응집되게 유지하기에 충분히 완화하고, 동시에 높은 분리력 및 짧은 분리 거리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이다. 오일과 같은 세정기 유체 내의 가벼운 액체 유기 잔류물은, 디스크 스택 분리기 내에서, 세정기 유체보다 무거운 오염물 상으로서 오일 및 입자를 분리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방식으로 유체 내의 무거운 고체 입자(denser solid particle)에 부착하는 경향이 있음이 또한 발견되었다. 따라서,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는 필터 또는 다른 처리 단계에 대한 동일한 필요를 갖지 않고, 그러므로 주요 구성요소의 서비스 및 교체에 대한 필요를 최소화함으로써 장비의 취급을 개선한다. 세정기 유체에 대해 디스크 스택 원심 분리기를 적용함으로써, 오염물 상의 대부분이 농축된 형태로 화학 물질의 첨가가 없이 제거될 수 있음이 또한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폐기물의 체적이 또한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분리기 출구는 박리(paring) 디스크, 하나 이상의 박리 튜브 등과 같은 박리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박리 장치는 로터와 함께 회전하는 유체를 박리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제1 분리기 출구로부터의 유체에 대한 펌프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제1 분리기 출구는 또한 세정기 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외부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펌프는 원심 펌프, 양변위 펌프,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펌프일 수 있다.
오염물 상을 위한 제2 분리기 출구는 분리 공간으로부터 로터 외부의 공간으로 연장할 수 있다. 원심 분리기는 오염물 상을 로터 외부의 공간으로부터 용기 등으로 운송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2 출구는 분리 공간의 방사상 최외측 영역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고, 토출 포트 또는 노즐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한 토출 포트는 세척된 세정기 유체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분리 상, 즉 오염물 상의 토출을 위해, 짧은 주기 동안, 간헐적으로 개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하나의 대안으로서, 토출 포트는 세정기 유체 및 오염물 상의 보울(bowl)을 실질적으로 비우기 위한 완전한 토출에 대해 적합한 주기 동안 개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 시의 오염물 상, 즉 입자의 양은 토출 빈도에 의존하여, 약 5 내지 약 30 체적%, 전형적으로 약 10 내지 약 15 체적%의 범위 내일 수 있다. 그러나, 추가의 대안으로서, 토출 포트는 토출 중에 보울을 부분적으로 비워서, 토출 시에 더 높은 농도의 오염물 상, 즉 입자를 제공하도록, 짧은 주기 동안 부분적인 토출을 위해 개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노즐이 세척된 세정기 유체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분리 상의 연속 토출을 허용하도록 제공된다.
분리기는 오일과 같은 세정기 유체보다 더 무겁거나 더 가벼운 다른 유체 상을 위한 제3 분리기 출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원심 분리기가 간헐적인 토출을 위한 토출 포트를 구비하면,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는 분리 공간의 방사상 외측 부분 내의 오염물 상의 양에 관련된 원심 분리기의 공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리기는 분리 공간의 방사상 외측 부분 내의 오염물 상의 양이 미리결정된 수준을 초과한 것을 표시하는 상기 공정 파라미터에 대한 미리결정된 조건 하에서 제2 분리기 출구의 토출 포트를 개방하도록 배열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하나의 대안으로서, 상기 작동 파라미터는 제1 분리기 출구 내의 세척된 세정기 유체의 탁도이고, 상기 작동 파라미터의 상기 미리결정된 조건은 탁도가 미리결정된 수준을 초과하는 것이다. 다른 대안으로서, 분리기는 분리 공간의 방사상 외측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3 분리기 출구를 구비하고, 작동 파라미터는 제3 분리기 출구에서의 압력이고, 미리결정된 조건은 압력이 미리결정된 수준 아래인 것이다. 이에 의해, 오염된 세정기 유체로부터 분리된 오염물 입자는 특정 양의 오염물 입자가 분리 공간 내에 수집되었을 때 원심 분리기의 분리 공간으로부터 토출될 수 있어서, 분리 효율을 감소시키는 분리 공간 내에 수집되는 너무 많은 양의 오염물 입자와, 선박 상에서 취급하기에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폐기물을 산출하는 토출 시의 너무 적은 양의 오염물 입자 사이의 균형을 얻는다. 토출 시의 오염물 상, 즉 입자의 양은 이러한 수단에 의해, 총 토출에 대해 약 14 내지 약 40 체적%, 전형적으로 약 30 체적% 그리고 부분 토출에 대해 약 50 내지 약 75 체적%, 전형적으로 약 50 내지 약 60 체적%의 범위에 도달될 수 있다.
분리기 입구는 기밀형일 수 있다. 기밀 입구는 로터의 주변으로부터 밀봉되고, 작동 중에 세정기 유체로 충전되도록 배열된다. 기밀형 입구 내에서, 유체의 가속은 작은 반경에서 개시되어, 유체가 입구를 떠나 분리 공간으로 진입할 때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기밀형의 입구를 사용함으로써, 세정기 유체 내의 입자 응집물 상에 작용하는 전단력이 최소화될 수 있어서, 오염물 상의 분리 효율을 훨씬 더 개선한다.
배기 가스 세척 장비는 완충 탱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제1 분리기 출구로부터 배기 가스 세정기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제1 분리기 출구로부터 완충 탱크를 거쳐 배기 가스 세정기로 전달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분리기 출구로부터의 세척된 세정기 유체는 완충 탱크로 유도되고, 따라서 완충 탱크 내의 세정기 유체 내의 오염물 상의 농도는 낮게 유지된다. 파울링(fouling) 또는 스켈링에 의한 장비의 민감한 부분 상으로의 물질의 침착에서의 문제점이 그러므로 최소화될 수 있다. 파이핑의 막힘 그리고 세척 장비 및 세정기 내에서의 큰 물질 집락(cluster)의 형성 및 운송과 관련된 문제점이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로부터 분리기 입구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아울러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로부터 완충 탱크를 거쳐 분리기 입구로 전달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완충 탱크 내의 세정기 유체는 원심 분리기 내에서 연속적으로 세척되거나, 완충 탱크 내의 오염물의 농도가 일정 수준을 초과할 때 세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완충 탱크 내의 오염물 상의 농도는 오염된 세정기 유체가 배기 가스 세정기로부터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일정 수준 아래로 최소화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로부터 분리기 입구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로부터 직접 분리기 입구로 전달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제1 분리기 출구로부터 배기 가스 세정기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제1 분리기 출구로부터 직접 배기 가스 세정기로 전달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직접은 파이핑, 튜빙, 탱크 등을 거친 전달과, 펌프, 부스터 등의 가능한 적용에 의한 전달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로부터 분리기 입구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로부터 완충 탱크를 거쳐 분리기 입구로 전달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디스크 스택 분리기를 포함함으로써, 필터 또는 다른 처리 장비에 대한 필요가 최소화될 수 있다. 디스크 스택 분리기의 사용은 분리기와 세정기 사이에서 처리 장비의 추가의 필요가 없이 세척된 세정기 유체가 제1 분리기 출구로부터 직접 세정기로 공급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처리 장비의 예는 상이한 종류의 필터, 분리기 등이다.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는 세정기 유체가 분리기 입구 및 제1 분리기 출구와 연통하게 하기 위한 바이패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는 밸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정기 유체의 제어된 유동이 오염물 상의 간헐적인 토출 도중, 분리기에 대한 서비스 작업 도중, 또는 유체가 분리기를 통과하는 것이 금지되는 다른 조건 도중과 같은, 유체가 분리기를 통과하는 것이 금지될 때 원심 분리기를 우회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배기 가스 세척 장비는 세정기 유체 pH가 감소하게 할 수 있는 배기 가스 내의 SOx와 같은 산성 성분을 보상하기 위해, 세정기 유체의 산도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수단은 특히 양호한 분리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세정기 유체의 산도를 pH 6 위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정기 유체는 물일 수 있지만, 다른 적합한 액체일 수도 있다. 물의 한 가지 장점은 황 산화물을 용해시키는 그의 능력이다. 배기 가스를 세척하는 공정에 초기에 포함되거나, 작동 중에 공정에 추가되는 세정기 유체는 바람직하게는 수돗물, 신선수, 또는 탈염 해수일 수 있다. 세정기 유체는 일 태양에서, 해수보다 적거나 훨씬 더 적은 염화물의 양을 갖는 물을 의미한다. 수돗물은 탱크로부터 제공되거나 해수의 탈염에 의해 선상에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세정기 유체는 세정기 공정으로부터 포함된 소금을 함유할 수 있다. 아울러, 습식 세정기에 의한 고온/중온 배기 가스의 세정 중에, 배기 가스 내의 수분은 물로 추가로 응축될 수 있어서, 세정기 공정에서 세정기 유체의 체적을 추가한다. 세정기 유체라는 용어는 세척된 오염 세정기 유체, 공정에 초기에 포함되거나 공정에 추가되는 세정기 유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세척된 세정기 유체는 감소된 양의 오염물을 갖지만, 여전히 소량의 오염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오염된 세정기 유체로부터 분리된 오염물 상은 여전히 일정 양의 세정기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오염물 상은 황 산화물 잔류물, 그을음, 부분적으로 산화된 그리고 미산화된 디젤 오일 및 산화된 금속으로부터의 용해된 염과 같은 유기 또는 무기 연소 잔류물을 포함하는 고체 또는 액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오염물 상은 세척된 세정기 유체보다 무거울 수 있고, 즉 더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엔진의 연소 시에 발생되는 입자는 보통 ㎛ 규모 아래, 전형적으로 약 10 내지 약 30 nm의 범위 내로, 매우 작다. 물과 같은 적합한 유체에서, 이들은 약 5 내지 약 100 ㎛의 범위 내, 특히 약 10 내지 약 30 ㎛의 범위 내와 같은, ㎛ 규모 내의 집락으로 응집한다.
배기 가스 세척 장비는 세정기 유체의 일부를 취출식(bleed-off) 디스크 스택 원심 분리기로 취출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세정기 유체의 일부를 취출하기 위한 수단은 오염된 세정기 유체의 일부를 취출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취출형 분리기는 상기 오염된 세정기 유체로부터 적어도 오염물 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물 상과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분리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세정기 유체의 일부를 취출하기 위한 수단은 세척된 세정기 유체의 일부를 취출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고, 여기서 취출식 분리기는 세척된 세정기 유체 내의 임의의 잔류 오염물 입자를 해상 토출을 허용하도록 제거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취출식 분리기는 분리 디스크들의 스택을 구비한 분리 공간을 에워싸는 로터, 상기 분리 공간 내로 연장하는 오염물 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된 세정기 유체의 상기 부분을 위한 분리기 입구, 상기 분리 공간으로부터 연장하는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위한 제1 분리기 출구, 및 상기 분리 공간으로부터 연장하는 오염물 상을 위한 제2 분리기 출구를 포함한다. 취출식 분리기의 로터는 오염물 상, 즉 세척된 세정기 유체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분리 상을 제2 분리기 출구를 향해 이송하도록 로터의 회전 속도와 상이한 회전 속도로 구동되도록 배열된 이송기 스크루를 추가로 에워쌀 수 있다. 제2 분리기 출구는 분리 공간의 외측 반경보다 작은 반경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이송기 스크루는 오염물 상을 방사상 내측으로 그리고 제2 분리기 출구를 향해 이송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토출 시의 입자의 농도는 전형적으로 약 95 내지 약 100 체적%로, 매우 높을 수 있어서, 규제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최소의 환경 영향으로 환경으로 방출될 수 있는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여전히 유지하면서, 생성되는 폐기물의 양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 가스 세척 장비 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과 같은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를 제공한다.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는 따라서 그러한 배기 가스 세정기로부터의 오염된 세정기 유체가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로 전달되고,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로부터의 세척된 세정기 유체가 배기 가스 세정기로 전달될 수 있도록, 배기 가스 세정기에 연결 가능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 가스 세정기는 선박용 대형 엔진과 같은 디젤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 가스 세척 장비 및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는 또한 유사한 지상 세정기 설비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물과 같은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 배기 가스 세정기로부터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제공하는 단계,
- 디스크 스택 원심 분리기 내에서, 오염된 세정기 유체로부터 오염물 상을 분리하여,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가스 세척 장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원심 분리기로부터 완충 탱크로 제공하는 단계, 및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완충 탱크로부터 배기 가스 세정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세척된 세정기 유체는 대안적으로 원심 분리기로부터 직접 배기 가스 세정기로 제공될 수 있다.
방법은 원심 분리기로부터 분리된 오염물 상을 토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특허청구범위에서 한정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은 본 발명을 예시할 목적이며, 그의 범주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척 장비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척 장비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척 장비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척 장비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척 장비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척 장비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를 도시한다.
가스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척 장비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배기 가스 세정기(1)는 선박의 주 엔진과 같은 대형 디젤 엔진의 배기 도관(2) 상에 작용한다. 세정기는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정기 입구(3) 및 세정기 출구(4)를 구비한다. 세정기 출구(4)는 세정기 유체를 위한 완충 탱크(6)의 입구(5)에 연결된다. 출구(7)로부터 시작하여, 완충 탱크(6)는 분리기 공급 펌프(10)를 거쳐 원심 분리기(9)의 분리기 입구(8)에 연결되는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척 도관을 구비한다. 원심 분리기(9)는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13)들의 스택을 포함하는 분리 공간(12)을 에워싸는 로터(11)를 갖고, 분리기 입구(8)가 분리 공간으로 연장한다. 원심 분리기(9)는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위한 제1 분리기 출구(14), 및 세척된 세정기 유체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분리 상의 토출을 위해 토출 포트 또는 노즐 형태로 분리 공간으로부터 로터를 통해 연장하는 제2 출구(15)를 추가로 구비한다. 제1 분리기 출구(14)는 완충 탱크(6) 상의 입구(16)에 연결되어, 세척 회로를 폐쇄한다. 완충 탱크는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로 제공하기 위한 다른 출구(17)를 구비하고, 출구(17)는 세정기 공급 펌프(18)를 거쳐 세정기(1)의 입구(3)에 연결된다.
작동 중에, 세정기 유체는 완충 탱크(6)로부터 세정기 공급 펌프(18)를 거쳐 세정기 입구(3)로 제공된다. 세정기 유체는 세정기 내에서 미립화되고, 배기 도관(2) 내의 또는 그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유동에 공급된다. 세정기 내에서, 세정기 유체는 배기 가스로부터의 유기 및 무기 연소 잔류물의 세척 시에 사용된다. 세정기 유체 및 배기 가스 연소 잔류물의 결과적인 혼합물이 액적 형태로 가스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되고,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의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정기 출구(4) 및 입구(5)로부터 완충 탱크(6)로 다시 유도된다. 작은 입자 형태로 세정기 유체 내에 함유된 배기 가스 연소 잔류물은 유체 내에서 더 큰 입자로 응집되어, 오염물 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물 상을 형성한다. 완충 탱크(6) 내의 세정기 유체는 연속적으로 또는 필요 시에, 출구(7)를 거쳐 분리기 공급 펌프(10)에 의해 세척 루프 내로 원심 분리기(9)의 분리기 입구(8)로 보내진다. 오염물 상을 함유하는 세정기 유체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심 분리기(9)의 로터(11) 내에 구획된 분리 공간(12) 내로 그리고 계속해서 디스크 스택(13) 내로 도입된다. 오염물 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물 상은 세정기 유체보다 높은 평균 밀도를 갖는다. 원심력의 영향 하에서 그리고 분리 디스크들의 기울어진 표면에 의해 용이하게 되어, 오염물 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물 상은 세정기 유체로부터 분리되어, 분리 공간의 방사상 외측 영역에서 수집되고, 그로부터 제2 분리기 출구(15)를 거쳐 토출된다. 제2 분리기 출구(15)는 토출 포트 또는 노즐의 형태이고, 입자는 짧은 시간 동안 로터(11)의 주연부에서 토출 포트를 개방함으로써 원심 분리기로부터 간헐적으로 토출되거나, 로터의 주연부에서 개방 노즐을 거쳐 연속적으로 토출된다. 토출은 세정기 유체가 여전히 원심 분리기 내로 공급되거나 일시적으로 차단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토출되는 오염물 상은 이후의 처리를 위해 선박 상에서 수집될 수 있고, 따라서 토출물의 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리 효율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고농도의 오염물 입자를 갖는 토출 오염물 상을 얻기 위해, 분리기는 언제 토출이 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제1 분리기 출구 내의 탁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도달될 수 있고, 여기서 토출 포트는 세척된 세정기 유체 내의 탁도가 오염물 상에 의한 분리 공간의 방사상 외측 부분의 충전을 표시하는 임계치 위로 증가될 때 개방된다. 대안으로서, 제3 분리기 출구는 분리 공간의 방사상 외측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도록 배열되고, 여기서 세정기 유체는 제3 분리기 출구로부터 분리기 입구로 재순환된다. 언제 토출이 필요한 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이러한 경우에, 제3 분리기 출구에 연결된 압력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압력의 감소는 오염물 상의 수준이 제3 분리기 출구에 도달되었고 토출이 필요한 것을 표시한다. 세척된 세정기 유체는 제1 분리기 출구(14)로부터 토출되어, 완충 탱크로 다시 보내지고, 이로부터 배기 가스 세정기로 운송된다.
도 2에 도시된 배기 가스 세척 장비는 선박의 주 엔진과 같은 대형 디젤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도관(2) 상에 작용하는 배기 가스 세정기(1)에 연결된 가스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척 장비를 포함한다. 세정기는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정기 입구(3) 및 세정기 출구(4)를 구비한다. 세정기 출구(4)는 원심 분리기(9)의 분리기 입구(8)에 연결된다. 원심 분리기(9)는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13)들의 스택을 포함하는 분리 공간(12)을 에워싸는 로터(11)를 갖고, 분리기 입구(8)가 분리 공간으로 연장한다. 원심 분리기(9)는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위한 제1 분리기 출구(14), 및 세척된 세정기 유체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분리 상의 토출을 위해 토출 포트 또는 노즐 형태로 분리 공간으로부터 로터를 통해 연장하는 제2 출구(15)를 추가로 구비한다.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바이패스 도관(19)이 간헐적인 토출 중에, 분리기에 대한 서비스 작업 중에, 또는 유체가 분리기를 통과하는 것이 금지되는 다른 조건 중에, 분리기 입구(8)를 제1 분리기 출구(14)와 연결하여, 세정기 유체가 분리기를 우회하도록 허용한다. 제1 분리기 출구(14)는 완충 탱크(6)에 연결된다. 완충 탱크는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로 유도하기 위한 다른 출구(17)를 구비하고, 출구(17)는 세정기 공급 펌프(18)를 거쳐 세정기(1)의 세정기 유체를 위한 입구(3)에 연결된다.
작동 중에, 세정기 유체는 완충 탱크(6)로부터 세정기 공급 펌프(18)를 거쳐 세정기 입구(3)로 연속적으로 제공된다. 세정기(1)의 기능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세정기 유체 및 배기 가스 연소 잔류물의 혼합물은 원심 분리기의 분리기 입구(8)로 유도되고, 세정기로부터 원심 분리기로의 유체의 유동은 세정기 내의 과압에 의해 구동된다. 오염물 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물 상을 함유하는 세정기 유체는 원심 분리기(9)의 로터 내의 분리 공간(12) 내로 도입되고, 여기서 오염물 상은 도 1의 설명에 따라 세정기 유체로부터 분리된다. 오염물 상은 제2 분리기 출구(15)를 거쳐 토출된다. 깨끗한 세정기 유체가 제1 분리기 출구(14)로부터 완충 탱크(6)로 유도된다. 간헐적인 토출 중에, 분리기에 대한 서비스 작업 중에, 또는 유체가 분리기를 통과하는 것이 금지되는 다른 조건 중에, 바이패스(19)가 개방되고, 세정기 유체는 원심 분리기를 지나 공급된다. 세척된 세정기 유체는 다시 한번 완충 탱크(6)로부터 세정기 공급 펌프(18)를 거쳐 세정기 입구(3)로 유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척 장비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의 다른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가스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배기 도관(2) 상에 작용하는 배기 가스 세정기(1)에 연결된다. 세정기는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정기 입구(3) 및 세정기 출구(4)를 구비한다. 세정기 출구(4)는 선택적인 분리기 공급 펌프(10)를 거쳐, 원심 분리기(9)의 분리기 입구(8)에 연결된다. 원심 분리기(9)는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13)들의 스택을 포함하는 분리 공간(12)을 에워싸는 로터(11)를 갖고, 분리기 입구(8)가 분리 공간으로 연장한다. 원심 분리기(9)는 분리 공간의 방사상 내측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위한 제1 분리기 출구(14), 및 세척된 세정기 유체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분리 상의 토출을 위해 토출 포트 또는 노즐 형태로 분리 공간의 방사상 외측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출구(15)를 추가로 구비한다.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바이패스 도관(19)이 간헐적인 토출 중에, 분리기에 대한 서비스 작업 중에, 또는 유체가 분리기를 통과하는 것이 금지되는 다른 조건 중에, 분리기 입구(8)를 제1 분리기 출구(14)와 연결하여, 세정기 유체가 분리기를 우회하도록 허용한다. 제1 분리기 출구(14)는 임의의 추가의 여과 또는 다른 처리 장비가 없이, 세정기(1)의 세정기 유체를 위한 입구(3)로 직접 이어진다. 그러나, 원심 분리기 내부 펌프에 의해 송출되는 것보다 높은 압력이 필요하면, 부스터 펌프가 제1 분리기 출구(14)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작동 중에, 세정기 유체는 회로 내에서 연속적으로 순환되고, 세정기 입구(3)로 제공된다. 세정기(1)의 기능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세정기 유체 및 배기 가스 연소 잔류물의 혼합물은 원심 분리기(9)의 분리기 입구(8)로 안내되고, 세정기로부터 원심 분리기로의 유체의 유동은 공급 펌프(10)에 의해 구동된다. 선택적으로, 세정기로부터 원심 분리기로의 유체의 유동은 세정기 내의 과압에 의해 구동된다. 오염물 상을 함유하는 세정기 유체는 분리 공간(12) 내로 도입되고, 여기서 오염물 상은 도 1의 설명에 따라 세정기 유체로부터 분리된다. 오염물 상은 제2 분리기 출구(15)를 거쳐 토출된다. 간헐적인 토출 중에, 분리기에 대한 서비스 작업 중에, 또는 유체가 분리기를 통과하는 것이 금지되는 다른 조건 중에, 바이패스(19)가 개방되고, 세정기 유체는 원심 분리기를 지나 공급된다. 깨끗한 세정기 유체가 제1 분리기 출구(14)로부터 직접 세정기(1)의 세정기 유체를 위한 입구(3)로 유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척 장비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의 다른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가스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배기 도관(2) 상에 작용하는 배기 가스 세정기(1)에 연결된다. 세정기는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정기 입구(3) 및 세정기 출구(4)를 구비한다. 세정기 출구(4)는 세정기 유체를 위한 완충 탱크(6)의 입구(5)에 연결된다. 완충 탱크(6)는 분리기 공급 펌프(10)를 거쳐, 원심 분리기(9)의 분리기 입구(8)에 연결되는 출구(7')를 구비한다. 원심 분리기(9)는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13)들의 스택을 포함하는 분리 공간(12)을 에워싸는 로터(11)를 갖고, 분리기 입구(8)가 분리 공간으로 연장한다. 원심 분리기(9)는 분리 공간의 방사상 내측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위한 제1 분리기 출구(14), 및 세척된 세정기 유체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분리 상의 토출을 위해 토출 포트 또는 노즐 형태로 분리 공간의 방사상 외측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출구(15)를 추가로 구비한다.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바이패스 도관(19)이 토출, 서비스, 또는 유체가 분리기를 통과하는 것이 금지되는 다른 조건 중에, 분리기 입구(8)를 제1 분리기 출구(14)와 연결하여, 세정기 유체가 분리기를 우회하도록 허용한다. 제1 분리기 출구(14)는 임의의 추가의 여과 또는 다른 처리 장비가 없이, 세정기(1)의 세정기 유체를 위한 입구(3)로 직접 이어진다.
작동 중에, 세정기 유체는 회로 내에서 연속적으로 순환되고, 세정기 입구(3)로 제공된다. 세정기(1)의 기능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세정기 유체 및 배기 가스 연소 잔류물의 혼합물은 완충 탱크(6)로 그리고 계속해서 분리기 공급 펌프(10)에 의해 완충 탱크의 출구(7')를 거쳐 원심 분리기(9)의 분리기 입구(8)로 안내된다. 오염물 상을 함유하는 세정기 유체는 분리 공간(12) 내로 도입되고, 여기서 오염물 상은 도 1의 설명에 따라 세정기 유체로부터 분리된다. 오염물 상은 제2 분리기 출구(15)를 거쳐 토출된다. 토출, 서비스, 또는 유체가 분리기를 통과하는 것이 금지되는 다른 조건 중에, 바이패스(19)가 개방되고, 세정기 유체는 원심 분리기를 지나 공급된다. 깨끗한 세정기 유체가 제1 분리기 출구(14)로부터 직접 세정기(1)의 세정기 유체를 위한 입구(3)로 유도된다.
도 5는 도 1에서 앞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척 장비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세정기(1), 원심 분리기(9), 완충 탱크 및 임의의 추가의 중간 구성요소가 세정기 유체의 순환을 위한 세정기 유체 루프를 형성한다. 가스 세정기 유체를 위한 세척 장비는 취출식 분리기 공급 펌프(27)를 거쳐 추가의 취출식 원심 분리기(20)에 연결되는, 세정기 유체 루프로부터 세정기 유체의 일부를 취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취출식 원심 분리기는 도 2 내지 4 중 하나에 따른 세척 장비에 유사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수단은 완충 탱크(6)에 연결되지만, 대안으로서, 제1 분리기 출구(14) 또는 세정기 유체 루프의 임의의 다른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이때 세정기 유체 내의 오염물 입자의 양은 이미 낮아서, 취출식 분리기를 통한 증가된 체적 유동을 허용한다. 공급 펌프는 중력을 이용함으로써 또는 완충 탱크(6) 또는 세정기(1) 내의 과압에 의한 것과 같이, 분리기 입구에 유체 유동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수단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세정기 유체 루프는 (도시되지 않은) 작업 중에 공정에 수돗물, 신선수 또는 탈염 해수와 같은 깨끗한 세정기 유체의 추가를 위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취출식 원심 분리기(20)는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23)들의 스택을 포함하는 분리 공간(22)을 에워싸는 로터(21)를 갖고, 분리기 입구(24)가 분리 공간으로 연장한다. 원심 분리기(20)는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위한 제1 분리기 출구(25), 및 세척된 세정기 유체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분리 상의 토출을 위해 분리 공간으로부터 연장하는 토출 포트 형태의 제2 출구(26)를 추가로 구비한다.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위한 제1 분리기 출구(25)는 토출을 위해 선박의 외부로, 또는 임시 저장을 위해 탱크로 이어질 수 있다. 제2 분리기 출구(26)는 오염된 상을 위한 저장 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
작동 중에, 세정기 유체 루프 내에서의 세정기 유체의 세척은 이전의 예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세정기 유체 루프로부터, 오염된 세정기 유체의 일부가 세정기 유체 루프로부터 취출되어, 취출식 분리기(20)의 입구(24)로 운송된다. 오염물 상을 함유하는 세정기 유체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터(21) 내에 구획된 분리 공간(22) 내로 그리고 계속해서 디스크 스택(23) 내로 도입된다. 오염물 상은 세정기 유체보다 높은 평균 밀도를 갖는다. 원심력의 영향 하에서 그리고 분리 디스크들의 기울어진 표면에 의해 용이하게 되어, 오염물 상은 세정기 유체로부터 분리되어 분리 공간(22)의 방사상 외측 영역에서 수집되고, 그로부터 토출 포트 형태의 제2 출구(26)를 거쳐 토출된다. 오염물 상은 짧은 시간 동안 토출 포트를 개방함으로써 원심 분리기로부터 간헐적으로 토출된다. 토출된 오염물 상은 이후의 처리를 위해 선박 상에서 수집될 수 있다. 세척된 세정기 유체는 제1 분리기 출구(25)로부터 토출을 위해 선박의 외부로, 또는 임시 저장을 위해 탱크로 유도된다.
도 6에서,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세척 장비가 세정기 유체 루프 내에 원심 분리기(9)의 제2 분리기 출구(15)에 연결된 토출 완충 탱크(29)를 포함시킴으로써 추가로 변형된다. 취출식 원심 분리기(20')는 절두 원추형 분리 디스크(23')들의 스택을 포함하는 분리 공간(22')을 에워싸는 로터(21')를 갖고, 분리기 입구(24')가 분리 공간으로 연장한다. 원심 분리기(20')는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위한 제1 분리기 출구(25'), 및 세척된 세정기 유체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분리 상의 토출을 위해 분리 공간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출구(26')를 추가로 구비한다. 분리기는 로터(21') 내에 에워싸이며, 오염물 상을 제2 분리기 출구(26')를 향해 이송하도록 로터의 회전 속도와 상이한 회전 속도로 구동되도록 배열된 이송기 스크루(28)를 추가로 구비한다. 완충 탱크(29)는 아울러 유체 조절 수단을 거쳐 취출식 원심 분리기(20')의 입구(24')에 연결된다. 유체 조절 수단은 중력 구동식 유동과 조합하여 공급 펌프 또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 장비의 작동은 세정기 유체 루프 내의 분리기(9)로부터 토출된 오염물 상이 분리기(20') 내에 도입되어 추가로 농축될 수 있는 점에서, 도 5에서 설명된 것과 상이하다. 오염물 상을 함유하는 세정기 유체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터(21') 내에 구획된 분리 공간(22') 내로 그리고 계속해서 디스크 스택(23') 내로 도입된다. 전형적으로, 디스크 스택은 7500 rpm으로 회전하고, 분리 공간의 반경은 93 mm이고, 따라서 작동 중에 5750 G까지의 원심력을 가한다. 오염물 상은 세정기 유체보다 높은 평균 밀도를 갖는다. 원심력의 영향 하에서 그리고 분리 디스크들의 기울어진 표면에 의해 용이하게 되어, 오염물 상은 세정기 유체로부터 분리되어 분리 공간(22')의 방사상 외측 영역에서 수집되고, 그로부터 로터의 회전 속도와 상이한 회전 속도로 구동되는 이송기 스크루(28)에 의해 이송된다. 오염물 상은 제2 분리기 출구(26')로 이송되고, 이로부터 토출된다. 토출된 오염물 상은 이후의 처리를 위해 선박 상에서 수집될 수 있다. 완충 탱크(6, 29)로부터의 오염된 유체의 유동은 적합한 방식으로 유동들을 변경하거나 블렌딩하도록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취출식 분리기(20')는 세정기 유체 루프로부터 세정기 유체를 취출하기 위한 필요가 낮을 때, 토출 완충 탱크(29)로부터의 물질을 추가로 농축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면들 중 하나에 도시된 세척 장비는 품질이 소정의 요구되거나 미리 결정된 품질 수준보다 낮으면, 세척된 세정기 유체의 유동을 전환하도록 구성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품질 제어 장치(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세척된 세정기 유체는 따라서 완충 탱크(6), 분리기 입구(24 또는 24') 또는 (도시되지 않은) 분리 탱크와 같은 세정기 유체 루프로 전환 및/또는 복귀될 수 있다. 품질 제어 장치는 다중 방향족 탄화수소(polyaromatic hydrocarbon)와 같은 특정 화학 화합물의 탁도, pH, 및/또는 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품질 제어 장치는 세척된 세정기 유체의 탁도가 25 FNU(포르마진 네플로미터 단위) 또는 25 NTU(네플로미터 탁도 단위)보다 낮게 제어하고, 시스템 내로 진입하는 유체의 탁도 위에서, 산도는 조작 및 수송 중에 시스템 내로 진입하는 유체에 대한 최대 차이가 pH 2인 점을 제외하고는 해상 토출 시에 pH 6.5를 넘는다.
도면들 중 하나에 도시된 세척 장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기 입구(24 또는 24') 상류에서 오염된 세정기 유체로의 응집제의 첨가를 위한 장치(3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장치(31)는 도 1-6 중 어느 하나의 임의의 분리기 입구(8, 24, 또는 24')의 상류에 그리고 선택적인 공급 펌프(10 또는 27)의 상류 또는 하류에 배열될 수 있다. 응집제는 고분자 전해질일 수 있고, 분리 효율 및/또는 분리 용량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할 때 오염된 세정기 유체 내의 입자의 응집을 용이하게 하도록 첨가된다.

Claims (19)

  1. 디젤 엔진을 위한 배기 가스 세척 장비이며,
    오염물 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생성하는, 배기 가스를 세척하기 위한 가스 세정기(1), 및 상기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세척하기 위해 가스 세정기에 연결된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는 상기 오염된 세정기 유체로부터 적어도 오염물 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물 상과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분리하기 위한 원심 분리기(9)를 포함하고, 원심 분리기는 분리 디스크(13)들의 스택을 구비한 분리 공간(12)을 에워싸는 로터(11), 상기 분리 공간 내로 연장하는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위한 분리기 입구(8), 상기 분리 공간으로부터 연장하는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위한 제1 분리기 출구(14), 및 상기 분리 공간으로부터 연장하는 오염물 상을 위한 제2 분리기 출구(15)를 포함하고,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는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로부터 분리기 입구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 및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제1 분리기 출구로부터 배기 가스 세정기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완충 탱크(6)를 추가로 포함하고,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제1 분리기 출구로부터 배기 가스 세정기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제1 분리기 출구(14)로부터 완충 탱크를 거쳐 배기 가스 세정기(1)로 전달하기 위해 배열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로부터 분리기 입구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1)로부터 완충 탱크(6)를 거쳐 분리기 입구(8)로 전달하기 위해 배열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
  4. 제2항에 있어서,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로부터 분리기 입구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1)로부터 직접 분리기 입구(8)로 전달하기 위해 배열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
  5. 제1항에 있어서,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제1 분리기 출구로부터 배기 가스 세정기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제1 분리기 출구(14)로부터 직접 배기 가스 세정기(1)로 전달하기 위해 배열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완충 탱크(6)를 추가로 포함하고,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로부터 분리기 입구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은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1)로부터 완충 탱크(6)를 거쳐 분리기 입구(8)로 전달하기 위해 배열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분리기 출구(15)는 오염물 상의 간헐적인 토출을 위한 토출 포트를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
  8. 제7항에 있어서,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는 분리 공간(12)의 방사상 외측 부분 내의 오염물 상의 양에 관련된 원심 분리기의 공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분리 공간의 방사상 외측 부분 내의 오염물 상의 양이 미리결정된 수준을 초과한 것을 표시하는 상기 공정 파라미터에 대한 미리결정된 조건 하에서 제2 분리기 출구(15)의 토출 포트를 개방하도록 배열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
  9. 제8항에 있어서, 작동 파라미터는 제1 분리기 출구(14) 내의 세척된 세정기 유체의 탁도이고, 상기 작동 파라미터의 미리결정된 조건은 탁도가 미리결정된 수준을 초과하는 것인 배기 가스 세척 장비.
  10. 제8항에 있어서, 원심 분리기는 제3 분리기 출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3 분리기 출구는 분리 공간(12)의 방사상 외측 부분으로부터 연장하고, 작동 파라미터는 제3 분리기 출구에서의 압력이고, 미리결정된 조건은 압력이 미리결정된 수준 아래인 것인 배기 가스 세척 장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기 입구(8)는 기밀형인 배기 가스 세척 장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는 분리기 입구(8) 및 제1 분리기 출구(14)와 연통하는 바이패스(19)를 추가로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정기 유체는 수돗물, 탈염 해수, 신선수 등과 같은 물인 배기 가스 세척 장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염된 세정기 유체의 일부를, 상기 오염된 세정기 유체로부터 적어도 오염물 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물 상과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분리하기 위해 배열된 취출형 디스크 스택 원심 분리기(20, 20')로 취출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형 디스크 스택 원심 분리기(20, 20')는 아울러 상기 제2 분리기 출구(15)로부터 오염물 상을 수납하도록 배열되는 배기 가스 세척 장비.
  16.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이며,
    - 배기 가스 세정기(1)로부터 오염물 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제공하는 단계,
    - 디스크 스택 원심 분리기(9) 내에서, 오염된 세정기 유체로부터 오염물 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물 상을 분리하여,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배기 가스 세정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원심 분리기로부터 완충 탱크(6)로 제공하는 단계, 및
    - 세척된 세정기 유체를 완충 탱크(6)로부터 배기 가스 세정기(1)로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세척된 세정기 유체는 원심 분리기로부터 직접 배기 가스 세정기로 제공되는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원심 분리기(9)로부터 오염물 입자를 포함하는 분리된 오염물 상을 토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오염된 세정기 유체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
KR1020127022183A 2010-02-25 2011-02-24 배기 가스 및 가스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 및 방법 KR101421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54682.8 2010-02-25
EP10154682.8A EP2364760B1 (en) 2010-02-25 2010-02-25 Cleaning equipment for gas scrubber fluid
EP10168279.7A EP2402288B1 (en) 2010-07-02 2010-07-02 Cleaning equipment for gas scrubber fluid
EP10168279.7 2010-07-02
PCT/EP2011/052742 WO2011104302A1 (en) 2010-02-25 2011-02-24 Exhaust gas and gas scrubber fluid cleaning equipment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504A true KR20120125504A (ko) 2012-11-15
KR101421856B1 KR101421856B1 (ko) 2014-07-22

Family

ID=4390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183A KR101421856B1 (ko) 2010-02-25 2011-02-24 배기 가스 및 가스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266055B2 (ko)
EP (3) EP2539281B1 (ko)
JP (2) JP5859463B2 (ko)
KR (1) KR101421856B1 (ko)
CN (2) CN105156179A (ko)
BR (1) BR112012019037A2 (ko)
CY (1) CY1121875T1 (ko)
DK (2) DK2921214T3 (ko)
ES (2) ES2706482T3 (ko)
RU (1) RU2529524C2 (ko)
SG (1) SG183495A1 (ko)
WO (1) WO20111043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609B1 (ko) 2018-12-19 2019-01-21 (주) 티엠에스21 선박용 배기가스 세척수의 정화 및 모니터링 장치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9463B2 (ja) 2010-02-25 2016-02-10 アルファ・ラバル・コーポレイト・エービー 排ガス及びガス・スクラバ流体浄化装置及び方法
FI124749B (fi) * 2011-02-23 2015-01-15 Wärtsilä Finland Oy Pesurisysteemi pakokaasujen käsittelemiseksi vesialuksessa ja menetelmä pakokaasujen käsittelemiseksi vesialuksen pesurisysteemisessä
BR112014001302A2 (pt) * 2011-07-19 2017-02-21 Søgaard Dennis método para remoção de impurezas de condensado de gás de combustão
WO2013187038A1 (ja) * 2012-06-11 2013-12-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廃水処理装置、廃水処理システム、排気再循環ユニット、エンジンシステム、及び船舶
JP5798087B2 (ja) * 2012-06-11 2015-10-2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廃水処理システム、排気再循環ユニット、エンジンシステム、及び船舶
JP5843702B2 (ja) * 2012-06-11 2016-01-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廃水処理装置、排気再循環ユニット、エンジンシステム、及び船舶
JP5843701B2 (ja) * 2012-06-11 2016-01-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廃水処理装置、排気再循環ユニット、エンジンシステム、及び船舶
EP2711067B2 (en) * 2012-09-25 2020-11-04 Alfa Laval Corporate AB Combined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reduction of sox and nox in exhaust gases from a combustion engine
GB2514589B (en) * 2013-05-30 2020-01-29 Nat Oilwell Varco Lp Centrifuge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laden drilling fluid
JP6053658B2 (ja) * 2013-10-22 2016-12-27 三菱化工機株式会社 船舶用排ガス浄化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150362198A1 (en) * 2014-06-15 2015-12-17 Unimicron Technology Corp. Dehumidification apparatus and dehumidification method
JP6370684B2 (ja) * 2014-11-14 2018-08-08 エドワーズ株式会社 除害装置
JP6271462B2 (ja) * 2015-03-11 2018-01-31 三井造船株式会社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SE538912C2 (sv) * 2015-05-27 2017-02-07 Apparatus for cleaning crank case gases
US10046336B2 (en) * 2015-06-10 2018-08-14 Alfa Laval Corporate Ab Scrubber fluid treatment process
JP5829352B1 (ja) * 2015-07-31 2015-12-09 三菱化工機株式会社 排ガススクラバー用の遠心分離機及びその運転方法
JP6130561B1 (ja) * 2016-06-24 2017-05-17 三菱化工機株式会社 排ガススクラバー用の水処理装置
JP6378739B2 (ja) * 2016-11-18 2018-08-2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大型船舶用のエンジンシステム
JP6810582B2 (ja) * 2016-11-25 2021-01-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廃水処理システム
JP6982980B2 (ja) * 2017-05-16 2021-12-1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廃水処理システム及び船舶
EP3638892B1 (en) * 2017-06-12 2021-06-30 3Nine AB Method and installation for the reduction of sulphur oxides in exhaust gas from marine diesel engines
KR101829655B1 (ko) * 2017-11-08 2018-03-29 주식회사 코센코리아 선박용 배기가스 scrubber의 세정에 사용된 오염된 세척수를 정화하는 방법
JP7214346B2 (ja) * 2018-01-10 2023-01-30 株式会社ジャパンエンジンコーポレーション 水処理装置
US11028804B2 (en) * 2018-02-20 2021-06-08 Fleet Emission Solutions Inc. Exhaust gas recirculation element cleaner and method of use
KR102039006B1 (ko) * 2018-05-10 2019-11-01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연가스 세정액 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8950B1 (ko) * 2018-05-10 2019-10-31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연가스 세정액 정화 시스템
KR102038949B1 (ko) * 2018-05-10 2019-10-31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연가스 세정액 정화 시스템
KR102038952B1 (ko) * 2018-05-10 2019-11-26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연가스 세정액 정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75636B2 (ja) 2018-06-01 2022-11-21 オルガノ株式会社 スクラバ排水の浄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塩分濃度差発電システム
JP7058565B2 (ja) * 2018-06-26 2022-04-22 三菱化工機株式会社 固形成分分離装置の制御装置、固形成分分離装置、舶用排気ガススクラバーシステム、および舶用ディーゼルエンジン
ES2868875T3 (es) * 2018-10-15 2021-10-22 Alfa Laval Corp Ab Sistema de limpieza de gases de escape y método para limpiar gases de escape
RU193485U1 (ru) * 2019-05-23 2019-10-30 Юрий Джалалович Годси Центрифуга для очистки масл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EP3769846B1 (en) * 2019-07-26 2022-05-1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utomatic discharge setting
KR102465690B1 (ko) * 2021-02-05 2022-11-11 주식회사 파나시아 프리침전조가 형성된 선박용 세정액 처리장치
CN114602663B (zh) * 2022-03-23 2022-10-14 浙江紫东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流体钡锌复合稳定剂的碟式离心机及其工艺
WO2024052579A2 (en) 2023-03-08 2024-03-14 Alfa Laval Corporate Ab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polluted marine exhaust gas cleaning liquid

Family Cites Families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90335A (ko) * 1962-12-04 1900-01-01
DE1922868A1 (de) 1968-06-06 1970-07-23 Alfa Laval Ab Anordnung zum Trennen eines Fluessigkeitsgemisches
US3831347A (en) * 1971-03-15 1974-08-27 Diamond Shamrock Corp Process for scrubbing a reaction by-product vapor
AT340194B (de) 1972-12-12 1977-11-25 Westfalia Separator Ag Zentrifuge zum trennen von flussigkeitsgemischen
BE809279A (fr) 1973-04-09 1974-04-16 Kobe Steel Ltd Procede de desulfuration
DE2355038A1 (de) * 1973-11-03 1975-05-07 Heinz Hoelter Elektrodenfreies mit der waschfluessigkeit aufgeladenes elektro-statisches spruehfilter zur auswaschung von gasen
DE2415693B2 (de) 1974-04-01 1978-05-18 Heinz 4390 Gladbeck Hoelter Verfahren zum Reinigen von Rauchgasen oder anderen Gasen
US4042172A (en) 1976-04-14 1977-08-16 Andrei Stepanovich Nozdrovsky Bowl centrifuge rotor
US4115517A (en) * 1976-08-24 1978-09-19 Spring Chemicals Limited Treatment of sulfur oxides with aqueous glyoxylic acid solutions
JPS6048220B2 (ja) 1976-11-15 1985-10-25 出光興産株式会社 湿式排煙処理工程からの塩素イオンの除去方法
US4218428A (en) 1976-11-15 1980-08-19 Idemitsu Kosan Company Limited Process for removing chlorine ions from the wet flue-gas processing system
DE2715082C3 (de) 1977-04-04 1979-10-11 Herbert 5020 Frechen Furkert Kreislaufverfahren zur Entschwefelung von Abgasen
US4141961A (en) 1977-06-16 1979-02-27 Dtpm Corporation Production of H2 S from SO2 obtained from flue gas
DE2916856A1 (de) 1979-04-26 1980-11-06 Hoechst Ag Separator
FI66124C (fi) 1979-06-15 1984-09-10 Tapio Ritvanen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ehandling av gasformiga foerbraenningsprodukter
US4286971A (en) * 1979-10-05 1981-09-01 Bethlehem Steel Corporation Removal of naphthalene from recirculated wash oil
DE2943468A1 (de) 1979-10-27 1981-05-07 Vereinigte Elektrizitätswerke Westfalen AG, 4600 Dortmund Verfahren und anlage zum betreiben einer rauchgasentschwefelung
DE3019737C2 (de) 1980-05-23 1982-09-02 Westfalia Separator Ag, 4740 Oelde Schleudertrommel zum Klären und Trennen von Schleuderflüssigkeiten
US4770784A (en) * 1985-11-29 1988-09-13 The Standard Oil Company Scrubbing process for high feed concentrations
SE457856B (sv) 1986-11-17 1989-02-06 Alfa Laval Separation Ab Centrifugalseparator med en axiellt roerlig ringformig slid
JPH0451848Y2 (ko) 1987-02-13 1992-12-07
JPH01242160A (ja) 1988-03-25 1989-09-27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遠心分離機の制御方法
US5039499A (en) * 1988-04-29 1991-08-13 Dravo Lime Company Process for desulfurization of sulfur dioxide-containing gas streams
DE4012320C1 (ko) 1990-04-18 1991-07-11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De
JP2989352B2 (ja) * 1990-12-25 1999-12-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フライアッシュ含有排脱吸収液処理装置
RU1790436C (ru) 1991-01-14 1993-01-23 Ю.В. Тарасов Газоочистна установка
DK0577543T3 (da) 1992-07-03 1996-01-29 New Sulzer Diesel Ag Fremgangsmåde og anlæg til rensning af afgangsgas, der forlader en stor dieselmotor
DE4300921C1 (de) * 1993-01-15 1994-04-14 Hoechst Ag Verfahren zur Lösungsmittel-Rückgewinnung sowie dafür geeignete Vorrichtung
DK170218B1 (da) 1993-06-04 1995-06-26 Man B & W Diesel Gmbh Stor trykladet dieselmotor
JPH0739788A (ja) 1993-08-02 1995-02-10 Kubota Corp 遠心濃縮機
US5364335A (en) 1993-12-07 1994-11-15 Dorr-Oliver Incorporated Disc-decanter centrifuge
SE504094C2 (sv) * 1995-03-06 1996-11-1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kivstapel av separationsskivor för centrifugalseparator
SE504464C2 (sv) 1995-06-08 1997-02-17 Alfa Laval Ab Centrifugrotor och en slid för en sådan
JPH10192647A (ja) 1996-12-27 1998-07-28 Babcock Hitachi Kk 湿式排煙脱硫装置
AU6312898A (en) 1998-03-02 1999-09-20 Kvaerner Ships Equipment A/S Apparatus for reducing contaminants in a pulsating exhaust gas
SE9802116D0 (sv) 1998-06-15 1998-06-15 Alfa Laval Ab Dekantercentrifug
SE9803898D0 (sv) 1998-11-13 1998-11-13 Alfa Laval Ab Method and plant for cleaning contaminated water
SE514134C2 (sv) 1999-04-07 2001-01-08 Alfa Laval Ab Separeringsanordning för rening av en vätska från däri suspenderade fasta- eller vätskeformiga partiklar, som är lättare och/eller tyngre än vätskan
JP4516175B2 (ja) 2000-02-29 2010-08-04 三菱化工機株式会社 分離板型遠心分離機
SE517663C2 (sv) * 2000-10-27 2002-07-02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separator för rening av ett gasformigt fluidum
JP2002332919A (ja) 2001-02-26 2002-11-22 Mitsubishi Heavy Ind Ltd 排ガス再循環システム
JP2003071434A (ja) * 2001-09-03 2003-03-11 Kurita Water Ind Ltd 塗装ブース循環水の処理方法及び塗装ブース処理剤
US6638342B2 (en) * 2001-11-28 2003-10-28 Marsulex Environmental Technologies Process and facility for removing metal contaminants from fertilizer streams
SE522473C2 (sv) 2002-06-20 2004-02-10 Alfa Laval Corp Ab Ett sätt och en anordning för rening av vevhusgas
JP3868352B2 (ja) * 2002-08-23 2007-01-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水処理装置
JP4047136B2 (ja) 2002-11-07 2008-02-13 三菱化工機株式会社 遠心分離機による固液分離方法
US7157276B2 (en) 2003-06-20 2007-01-02 Biogen Idec Inc. Use of depth filtration in series with continuous centrifugation to clarify mammalian cell cultures
JP4335652B2 (ja) 2003-12-04 2009-09-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中固形粒子濃縮装置及び水処理システム
SE527719C2 (sv) * 2004-06-16 2006-05-23 3Nine Ab Rotorenhet till en centrifugalseparator
FI118989B (fi) 2005-02-07 2008-06-13 Wiser Oy Menetelmä ja laitteisto savukaasujen puhdistamiseksi savukaasujen sisältämistä epäpuhtauksista
JP2006320870A (ja) 2005-05-20 2006-11-30 Sanyo Electric Co Ltd 排ガス処理システム
SE528750C2 (sv) * 2005-06-27 2007-02-06 3Nine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separering av partiklar ur ett gasflöde
JP2007051555A (ja) 2005-08-16 2007-03-0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ガス浄化装置
US7540838B2 (en) 2005-10-18 2009-06-02 Varco I/P, Inc. Centrifuge control in response to viscosity and density parameters of drilling fluid
FI120213B (fi) 2005-10-21 2009-07-31 Stx Finland Cruise Oy Menetelmä ja järjestely polttomoottorin syöttöilman ja pakokaasujen käsittelemiseksi
FI20065330L (fi) 2006-05-16 2007-11-17 Kvaerner Power Oy Menetelmä ja laitteisto laivamoottorin rikkidioksidipäästöjen vähentämiseksi
EP2091656A1 (en) 2006-11-15 2009-08-26 Westfalia Separator Australia Pty.Ltd. Continuous self-cleaning centrifuge assembly
FI119319B (fi) 2006-11-30 2008-10-15 Waertsilae Finland Oy Vesialuksen koneisto ja menetelmä pakokaasupäästöjen kontrolloimiseksi vesialuksessa
US20080190844A1 (en) * 2007-02-13 2008-08-14 Richard Alan Haase Methods, processes and apparatus f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a gas, liquid or solid; and hydrocarbon fuel from said processes
SE531141C2 (sv) 2007-05-10 2009-01-07 Alfa Laval Corp Ab Centrifugalseparator med transportörgänga som förhindrar avskiljda partiklar att täppa till rotorns insida
FI119522B (fi) 2007-08-13 2008-12-15 Waertsilae Finland Oy Aluksen koneistosovitelma
CN101428193B (zh) * 2008-11-26 2011-04-20 天津大学 烟气的钢渣湿式脱硫方法
DE102009017936A1 (de) 2009-04-17 2010-10-21 Man Diesel Se Luftführung für eine aufgeladene Brennkraftmaschine
SE536019C2 (sv) * 2009-11-06 2013-04-02 Alfa Laval Corp Ab Hermetisk centrifugalseparator
PL2364760T3 (pl) 2010-02-25 2014-10-31 Alfa Laval Corp Ab Urządzenie czyszczące do płynu płuczki gazu
JP5859463B2 (ja) 2010-02-25 2016-02-10 アルファ・ラバル・コーポレイト・エービー 排ガス及びガス・スクラバ流体浄化装置及び方法
DK2402288T3 (en) 2010-07-02 2017-02-06 Alfa Laval Corp Ab GAS SCRUBBER FLUID CLEANING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609B1 (ko) 2018-12-19 2019-01-21 (주) 티엠에스21 선박용 배기가스 세척수의 정화 및 모니터링 장치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63802T3 (es) 2016-03-16
CN102762502B (zh) 2015-08-12
WO2011104302A1 (en) 2011-09-01
CN102762502A (zh) 2012-10-31
JP5968954B2 (ja) 2016-08-10
RU2529524C2 (ru) 2014-09-27
JP5859463B2 (ja) 2016-02-10
EP3461795A1 (en) 2019-04-03
DK2921214T3 (en) 2019-02-18
CN105156179A (zh) 2015-12-16
JP2013527788A (ja) 2013-07-04
JP2015007427A (ja) 2015-01-15
ES2706482T3 (es) 2019-03-29
SG183495A1 (en) 2012-10-30
RU2012140752A (ru) 2014-03-27
EP2921214A1 (en) 2015-09-23
DK2539281T3 (da) 2016-04-18
CY1121875T1 (el) 2020-10-14
US9266055B2 (en) 2016-02-23
US20130037493A1 (en) 2013-02-14
KR101421856B1 (ko) 2014-07-22
EP2539281B1 (en) 2016-01-27
BR112012019037A2 (pt) 2018-03-13
EP2921214B1 (en) 2018-10-24
EP2539281A1 (en)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856B1 (ko) 배기 가스 및 가스 세정기 유체 세척 장비 및 방법
EP2402288B1 (en) Cleaning equipment for gas scrubber fluid
KR101776841B1 (ko) 스크러버의 정수 시스템
CN109069982B (zh) 船舶烟道废气的脱硫
KR102110055B1 (ko) 원심 분리기 및 그 운전 방법
JP6177835B2 (ja) スクラバ液処理プロセス
KR102474463B1 (ko) 선박배기가스의 세정배수처리장치
US10046336B2 (en) Scrubber fluid treatment process
EP2364760B1 (en) Cleaning equipment for gas scrubber fluid
KR101706458B1 (ko) 스크러버 유체 처리 공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97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627

Effective date: 2019042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4765;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621

Effective date: 2020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