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0958A - 자체조절식 스터드 - Google Patents

자체조절식 스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0958A
KR20120120958A KR1020127023497A KR20127023497A KR20120120958A KR 20120120958 A KR20120120958 A KR 20120120958A KR 1020127023497 A KR1020127023497 A KR 1020127023497A KR 20127023497 A KR20127023497 A KR 20127023497A KR 20120120958 A KR20120120958 A KR 20120120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stud
shock
regulating
mitig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046B1 (ko
Inventor
페리 더블유 오거
세르지오 카발리에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filed Critical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2012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8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with resilient means, e.g.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4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with outwardly-movable spik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물품은 다양한 타입의 조건, 환경변화 및 가해진 힘에 대해 조절하는 자체조절식 스터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착용자가 그 위에서 걷거나 또는 달리는 표면의 타입에 기초하여 압축 및 신장하는 다양한 레벨의 압축성 및/또는 수축성의 제1 부위(220)와 제2 부위(224)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자체조절식 신발은, 경도가 변하는 표면들 사이에서 표면에 손상을 야기함이 없이 쉽게 천이할 수 있지만, 각 타입의 표면 상에서 필요한 크기의 마찰(traction)을 착용자에게 제공한다. 착용자는, 다양한 표면들 상에서 착용자의 변하는 마찰요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자신의 신발을 여러 번 바꿀 필요가 없이 다양한 표면 상에서 운동할 수 있는 이점을 즐길 것이다.

Description

자체조절식 스터드{SELF-ADJUSTING STUDS}
본 발명의 양태는 일반적으로 제조물품 및 의류물품용 마찰 요소에 관한 것이다. 몇몇의 더욱 특정한 예에서, 본 발명의 양태는 신발물품용 자체조절식 마찰 요소(self-adjusting traction element)에 관한 것이다.
많은 의류물품은 마찰 요소로부터 이점을 얻는다. 그러한 의류물품들은 표면 또는 다른 품목과 접촉하고, 마찰 요소에 의해 제공된 향상된 마찰 및 안정성으로부터 이득을 본다. 마찰 요소는 일반적으로 의류물품의 지면-접촉 표면의 부위를 형성한다. 많은 마찰 요소는, 의류물품의 표면으로부터 지면 또는 의류물품과 접촉하는 다른 표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부들을 형성한다. 몇몇 마찰 요소는, 의류물품이 지면 또는 표면과 접촉할 때 지면 또는 표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구성된다. 다른 마찰 요소는, 의류물품과 이 의류물품이 접촉하는 표면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지면과 맞물리는 특성을 갖거나 또는 성형된다. 그러한 마찰 요소는, 마찰 요소와 지면 또는 표면 사이의 측방향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의류물품이 지면 또는 표면과 접촉할 때 의류물품이 슬라이딩하거나 미끄러질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많은 사람은 신발, 의복, 그리고 운동장구 및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이러한 의류물품들을 사용하는 동안에 이 의료용품들이 마찰 및 안정성을 제공해줄 것을 기대한다. 예컨대, 신발물품은, 이 신발물품의 지면-접촉표면을 형성하는 밑창구조(sole structure)에 부착된 마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 요소는, 착용자의 발과 지면 사이에 지지되고 견고한 접촉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그리핑(gripping)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 요소는 일반적으로 신발의 지면-접촉표면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보통 지면을 관통하도록 성형되거나 구성된 돌출부들을 종종 형성하며 및/또는 신발의 지면-접촉표면과 신발이 접촉하는 지면 또는 표면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마찰 요소는 일반적으로 신발물품에 대하여 정적인 단단한 돌출부이다. 이는, 마찰 요소와 신발이 단일 유닛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하며, 즉 마찰 요소가 신발에 대하여 정지상태로 남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찰 요소는, 신발의 밑창구조의 나머지 부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걷기 또는 달리기 사이클의 굽힘 및 굴곡운동을 통해 전진한다. 이러한 구성은, 의류물품에 가해지는 다양한 힘 또는 신발물품이 사용되는 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없기 때문에 마찰성능을 제한한다.
운동선수는 축구, 야구 및 풋볼과 같은 특정한 스포츠에 참여하는데, 풋볼에서는 종종 마찰 요소를 갖는 신발을 이용한다. 이러한 운동선수들은 갑작스런 출발, 정지, 비틀기 및 회전을 갖는 다양한 운동을 수행한다. 또한, 대부분의 운동선수들은 다양한 조건 및 특성을 갖는 표면들을 갖춘 다양한 환경에서 자신의 신발물품을 착용하고 싶어한다. 많은 경우에서, 정적인 마찰 요소는, 운동선수들이 다양한 운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적절한 지지 및 마찰을 제공할 수 없다. 정적인 마찰 요소는 단순히 이러한 운동선수의 운동 변화 또는 운동선수가 신발물품을 착용하는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없다. 오히려, 운동선수에 의하여 수행된 운동의 타입 또는 신발물품이 착용되는 환경의 특성과는 상관없이, 정적인 마찰 요소는 모든 운동 동안에 그리고 모든 환경에서 동일한 타입 및 크기의 마찰을 제공한다.
또한, 운동선수가 그 위에서 자신의 신발물품을 착용하고 싶어하는 다양한 표면은, 다양한 경도 및 윤곽을 포함하는 많은 다양한 특성을 갖는다. 예컨대, 운동선수는, 잔디 또는 성질상 잔디에 유사한 합성재료로 만들어진 운동장에서 스터드가 달린 신발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대다수의 운동장은 실외에 있고, 운동장의 조건들은 날씨조건과, 표면에 대해 행해지는 관리의 변화 정도, 지역적인(지리적인) 표면 차이 등과 같은 것에 영향을 받는다. 예컨대, 평소 상당히 부드러운 잔디구장에서 연습하는 운동선수는, 이 운동선수가 다른 장소에서 경기를 할 때 또는 날씨로 인해 구장 조건상 표면이 딱딱하게 될 때와 같이, 단단한 잔디 위에서 클리트(cleat)가 달린 자신의 신발이 다르게 작용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모든 표면 위에서 동일한 클리트를 착용함으로써, 착용자는, 넘어지고, 미끄러지고, 및/또는 아니면 부상을 입을 더 큰 위험에 처하고, 적어도 그러한 상황 하에서 신발물품에 구비된 정적인 마찰 요소들은 구장 조건 하에서 사용하기에 양호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다. 그 대안은, 몇몇 다른 표면에 적응하기 위하여 가변적인 타입의 마찰을 갖는 몇몇 다른 쌍의 클리트가 달린 신발을 구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값이 비싸고 또 불편하다.
그러므로, 몇몇 마찰 요소가 현재 이용 가능하지만, 이러한 기술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예컨대, 신발물품이 접촉하는 표면의 타입과 마찰 요소에 가해지는 힘의 타입들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조절되는 마찰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자체조절될 수 있는 마찰 요소를 갖는 신발물품이 당해 기술에서는 바람직한 진보일 것이다.
이하의 기재는 본 발명의 양태들 중의 적어도 몇몇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양태들의 개략적인 요약을 제공한다. 이러한 요약은 본 발명의 광범위한 개관은 아니다. 본 발명의 주요한 또는 중대한 요소들을 확인하고 및/또는 본 발명의 범위를 기술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음의 요약은 단지 아래에 제공된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본 발명의 몇 가지 개념을 일반적인 형태로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신발과 같은 의류물품용 자체조절식 마찰 요소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신발 실시예에서, 신발물품은 하나 이상의 자체조절식 마찰 요소 또는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갖는 밑창구조를 통합할 수 있다.
일례에서,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제1 수축성을 갖는 제1 부위와 제1 수축성보다 작은 제2 수축성을 갖는 제2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위는 제1 부위를 포위할 수 있다. 제1 부위와 제2 부위는,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제1 경도의 표면과 접촉하게 될 때 실질적으로 수축하지 않을 수 있고,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제2 경도의 표면과 접촉하게 될 때 제1 부위는 수축되고 제2 부위는 실질적으로 수축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때 제1 경도는 제2 경도보다 작다.
또 다른 예에서,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충격-완화 조립체와, 플런저 및 팁(tip)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완화 조립체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 및 관통구멍을 갖출 수 있다. 플런저는 충격-완화 조립체의 제1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고, 플런저에 힘이 가해질 때 충격-완화 조립체를 작동시키도록 위치될 수 있다. 플런저의 적어도 일부는 충격-완화 조립체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된다. 팁은 충격-완화 조립체의 제2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팁은 충격-완화 조립체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되는 플런저의 일부와 맞물릴 수 있다. 팁과 플런저는 충격-완화 조립체의 대향측에 위치될 수 있다. 팁은, 충격-완화 조립체가 제1의 비작동상태일 때 수축위치에 있을 수 있고, 충격-완화 조립체가 제2의 작동상태일 때 신장위치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밑창구조는, 밑창 베이스 부재와 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위에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밑창구조는, 동일한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의 자체조절식 스터드 중 하나가 넘는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과 같은 의류물품용 자체조절식 마찰 요소를 얻을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자체조절식 마찰 요소 또는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갖는 밑창구조를 신발용품에 통합할 수 있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특정한 이점들의 더 완전한 이해는,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기재를 참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고, 이때 도면에서 같은 참조부호는 같은 피쳐(feature)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복수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갖는 신발물품의 밑창구조의 일부의 바닥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요소들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각각 수축위치와 신장위치에 있는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측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들은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을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기재에서, 그 일부를 형성하고 발명의 양태들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예시적인 장치, 시스템 및 환경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한다. 부품, 예시적인 장치, 시스템 및 환경의 다른 특정한 배치가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수정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에 개시된 신발물품은,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접촉하는 표면의 타입 및/또는 자체조절식 스터드에 가해지는 힘의 타입에 기초하여 자체의 마찰특성을 변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포함하고, 그리하여 신발물품의 더 큰 전체 융통성 및 안정성을 제공하고 착용자가 예기치 못한 또는 익숙하지 않은 구장 조건에 의해 부상을 입을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A. 정의 섹션
다양한 실시예의 순차적인 설명을 보조하고 또 명확히 하기 위하여, 다양한 용어가 여기에 정의된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이하의 정의는 본 명세서(특허청구범위를 포함) 전체를 통해 적용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은 "압축성"이란 용어는, 제1 부위 및/또는 제2 부위가 압축되거나, 더 컴팩트해지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크기가 감소하게 되는 능력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은 "압축성"이란 용어는,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일부가 임의의 방식으로(높이, 폭, 두께, 체적, 또는 크기의 임의의 다양한 감소) 크기를 감소시키는 능력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특별한 부위는 특별한 수준의 "압축성"을 갖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고, 이는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다른 부위에 대하여 압축되는 능력을 갖추어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제1 부위 및 제2 부위는, 이들이 서로 관련되기 때문에 다른 "압축성"이 부여될 수 있다. 제1 부위는, 정해진 경도를 갖는 표면(체육관, 인조잔디, 또는 얼어붙은 혹은 거의 언 운동장처럼 단단한 표면과 같음)에 대하여 제2 부위보다 (실시예에 따라) 더 많이 또는 적게 압축될 수 있다. 원자적으로 말하면, 단단한 물체에 가해진 임의의 힘은 물체의 원자를 (이용 가능한 가장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물체라 하더라도) 어느 정도 "압축"할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은 "압축성"이란 용어는,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특별한 부위에서 일어나는 압축량에서 측정 가능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 압축되지 않은" 및 "압축된"이란 용어는,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다양한 부위의 압축수준을 기술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원자적으로 말하면, 심지어 가장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 물체에 가해진 임의의 힘은, 물체를 어느 정도 "압축"할 것이다. 용어 "실질적으로 압축되지 않은"은, 압축이 일어나지 않거나 또는 단지 아주 작은 양의 압축이 발생한(예컨대, 원자들이 단지 약간 서로 가까이 이동한 때) 그러한 수준의 압축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티타늄과 같은 단단한 금속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티타늄 금속 부위는 일반적으로, 이 부위에 그러한 힘이 인가될 때 실질적으로 압축되지 않거나 또는 크기가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압축되지 않은" 형태로 대부분의 힘을 지탱할 수 있을 것이다.
"실질적으로 압축되지 않은"이란 용어의 사용은, 앞서 기재된 티타늄의 예에서와 같이, 단지 원자들이 이동하고, 마찰 성능에서 눈에 띄는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수준의 압축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은 "압축된"이란 용어는, 운동선수 또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임의의 부위의 체적 또는 크기의 눈에 띄는 또는 검출 가능한 차이, 혹은 일반적으로 자와 같은 이용 가능한 측정공구에 의하여 측정 가능하거나 육안으로 검출 가능한 크기 또는 체적 차이를 기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비록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차이는 종종 크기 또는 체적 변화를 초래하고, 이에 따라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마찰 특성은 운동선수/착용자의 관점으로부터 주목할 만한 변화를 나타낼 것이다. 몇몇 예시적인 구조에서,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그 압축되지 않은 크기/형상의 5-15%까지 압축될 수 있다. 예컨대, 만일 압축이 수직방향으로 일어난다면,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높이는, 스터드가 압축될 때, 실질적으로 압축되지 않을 때보다 5% 적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은 "수축성(retractability)"이란 용어는,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임의의 부위가 수축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 크기를 더 작게 만드는 능력을 의미한다. 몇몇 상황에서, 용어 "수축성"은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한 부위가 다른 부위 내로 끌어 당겨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제1 부위는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제2 부위의 내부공간 내로 역 캐스케이딩(reverse cascading) 방식으로 수축될 수 있거나 또는 끌어 당겨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은 "경도(hardness)"란 용어는, 자체조절식 스터드와 접촉하게 되는 표면의 타입을 기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컨대, 부드러운 표면은 단단한 표면보다 더 낮은 경도 수준을 갖는다. 부드러운 표면은 잔디 운동장 또는 가요성 지면을 갖는 구장을 포함할 수 있다. 단단한 표면은 인공적인 운동장 또는 견고한 지면을 갖는 운동장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실시예에 따라 단단한 또는 부드러운 표면에서 작동(압축/수축)될 수 있다.
B.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갖는 신발물품의 일반적인 설명
이하의 기재 및 첨부 도면들은 자체조절식 스터드들을 갖는 다양한 신발물품을 개시한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신발, 스포츠 장구, 보호기어, 매트 등과 같은, 자체조절식 스터드로부터 이익을 얻는 의류물품 또는 임의의 제조물품에 통합될 수 있다.
신발물품의 밑창구조는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가질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밑창구조와는 별개 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밑창구조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그에 통합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밑창구조로부터 함께 분리가능(및/또는 교체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밑창구조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별도의 구성일 수 있거나 또는 밑창구조와 동일한 재료 피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밑창구조는 임의의 타입의 신발물품에 통합될 수 있다. 더욱 특정한 예들에서, 밑창구조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축구, 풋볼, 야구, 트랙, 골프, 등산, 하이킹을 포함하는 스포츠와, 운동선수가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갖는 밑창구조로부터 이익을 얻는 임의의 다른 스포츠 또는 활동을 위한 운동화에 통합된다.
일반적으로 신발물품은 밑창구조에 부착된 갑피를 포함한다. 밑창구조는 신발물품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신발물품의 지면-접촉표면을 형성하는 겉창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찰 요소는 밑창구조 및/또는 지면-접촉표면(예컨대, 겉창)에 부착되고 그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밑창구조는 밑창 베이스 부재와 하나 이상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포함한다.
신발물품은 일반적으로 설명 목적을 위해 3개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각 영역의 구분은 신발의 다양한 영역들 사이에 정확한 분할을 형성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신발의 영역은 앞발 영역과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일 수 있다. 앞발 영역은 일반적으로 발가락 중간 관절(metatarsophalangeal joint)과 지골(phalanges)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발의 부위에 관련된다. 중간발 영역은 일반적으로 척골 (metatarsal)과 발의 "아치(arch)"를 포함하는 착용자의 발의 부위에 관련된다. 뒤꿈치 영역은 일반적으로 뒤꿈치 또는 종골(calcaneous bone)을 포함하는 착용자의 발의 부위에 관련된다.
하나 이상의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신발물품의 밑창구조의 임의의 영역 또는 영역들의 조합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신발물품의 앞발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중간 측면과 측방 측면을 포함하는 신발물품의 임의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 특정한 예에서,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신발의 밑창구조의 중간 에지 또는 측방 에지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신발물품의 뒤꿈치 영역에도 배치될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착용자가 이를 가장 필요로 할 때, 즉 특정한 목적의 활동 동안에 및/또는 지면 및/또는 착용자의 발에 의하여 특별한 종류의 힘이 밑창구조에 가해질 때, 추가적인 마찰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략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밑창구조 상의 임의의 적절한 구성으로 그리고 밑창구조의 임의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운동선수는 특정한 운동 동안에 자신의 신발에 있는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추가적인 마찰성능으로부터 크게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운동활동에 참여하는 운동선수는 예컨대, 불시의 또는 갑작스런 출발, 정지, 회전, 및/또는 비틀기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운동선수는 또한 자신의 운동 방향에 신속한 변화를 줄 수 있다. 또한, 운동선수는 다양한 표면(예컨대, 가변적인 구장 조건 또는 지형)상에서 경쟁하기를 원할 수 있다. 운동선수는, 이러한 운동 동안에 그리고 이러한 다른 사용환경에서 자체조절식 스터드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마찰 요소(및 특히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이 요소가 접촉하는 지면 또는 표면과 밑창구조 사이의 마찰이 다양한 운동 동안에 신발물품의 사용자에게 지지 및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마찰 요소는 밑창구조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지면과 접촉이 발생할 때 지면을 관통하도록 종종 성형 및/또는 구성된다. 그러한 접촉은, 지면에 대한 신발의 측방 및 후방 미끄러짐과 슬라이딩을 감소시키고, 착용자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밑창구조가 접촉하게 되는 지형 또는 표면의 타입에 기초하여 그리고 밑창구조에 가해진 힘의 타입(들)에 기초하여 그 특성을 변경할 수 있고 특정한 운동에 맞춰진 마찰을 제공할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 및 크기일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표면은 매끄럽거나 또는 텍스쳐링될 수 있고, 굴곡지거나 또는 비교적 평탄할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에지 혹은 다각형과 같은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원추형, 직사각형, 피라미드형상, 다각형, 또는 기타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일례에서, 신발물품은, 형상이 모두 균일한 복수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단일의 신발물품 상의 복수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임의의 크기일 수 있다. 복수의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밑창구조에 부착된 예시적인 구성에서, 각각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동일한 크기 및/또는 형상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크기 및/또는 형상일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지면-접촉표면은 뾰족한 점, 평탄한 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조일 수 있다.
밑창구조는 하나 이상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밑창구조는 하나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갖는다. 다른 예에서, 밑창구조는 복수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갖는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들)는, 밑창구조의 앞발 영역 또는 밑창구조의 임의의 다른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밑창구조는 복수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제1 부위는, 밑창구조의 앞발 영역의 중간 에지를 따라 위치될 수 있고 복수의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제2 부위는, 밑창구조의 앞발 영역의 측방 에지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본질에 있어서, 복수의 스터드는 밑창구조의 테두리를 따라 앞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선정은 측면-측방 운동 동안에 착용자에게 추가적인 마찰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다른 예에서,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스터드가 달린 신발의 밑창구조의 뒤꿈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앞발 영역과 뒤꿈치 영역 양쪽에 위치될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착용자가 특별한 운동을 수행하거나 또는 다양한 특성을 갖는 표면 상에서 활동에 참여할 때, 착용자에게 추가적인 마찰을 제공하기 위하여 신발의 마찰성능 타입이 변경될 수 있고 및/또는 심지어 주문맞춤식으로 될 수 있다.
신발물품은 다양한 타입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표면조건(즉, 경도 및 윤곽과 같음)이 변화할 때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표면조건이 비교적 단단한 조건으로부터 비교적 부드러운 조건으로 변할 때 작동될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신발물품이 접촉하는 표면의 조건(들)에서의 임의의 변화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일례에서,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제1 수축성을 갖는 제1 부위와 제1 수축성보다 작은 제2 수축성을 갖는 제2 부위를 포함한다. 제2 부위는 제1 부위를 포위한다. 제1 부위와 제2 부위는,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제1 경도의 표면과 접촉하게 될 때 실질적으로 수축하지 않고,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제2 경도의 표면과 접촉하게 될 때 제1 부위는 수축되며 제2 부위는 수축하지 않는데, 이때 제1 경도는 제2 경도보다 작다.
제1 부위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열경화성 재료, 금속, 고무, 다양한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재료(들)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은, 금속(예컨대, 강철, 알루미늄, 티타늄, 이러한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등)의 합금일 수 있다. 제1 부위는, 제1 부위가 제1 경도의 표면(비교적 부드러운 표면)과 접촉할 때 실질적으로 수축하지 않은 상태로 남는다. 제1 부위는, 제1 부위가 제2 경도의 표면(비교적 단단한 표면)과 접촉할 때 수축(retract)한다. 제1 부위는, 제1 부위가 단단한 표면과 접촉할 때 수축하는 재료 또는 구조를 포함한다. 그러한 구성은, 제1 부위가 부드러운(즉, 유연한) 지면에서 추가적인 마찰을 제공하기 위하여 신장되도록 한다.
제1 부위는 수축 및 신장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성에서, 제1 부위는 관통구멍을 갖는 충격-완화 조립체와, 힘이 플런저에 가해질 때 충격-완화 조립체를 작동시키도록 위치되는 플런저, 및 플런저의 일부와 맞물리는 팁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의 적어도 일부는 충격-완화 조립체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된다. 팁은 충격-완화 조립체를 통하여 연장되는 플런저의 부위와 맞물린다. 팁은, 충격-완화 조립체가 제1의 비작동상태(충격-완화 조립체를 작동시키기에 충분한 힘이 플런저에 가해지지 않음)일 때 수축위치에 있고, 충격-완화 조립체가 제2의 작동상태일 때 신장위치에 있다.
충격-완화 조립체는, 충격-완화 요소와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완화 요소는 자체조절식 스터드에 가해진 힘을 완충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흡수(및 재안내)한다. 몇몇 예에서, 힘이 플런저에 가해진다. 충격-완화 요소는 판 스프링(leaf spring)과 같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완화 요소는 또한, 자체조절식 스터드로부터 힘이 제거된 후, 충격-완화 요소 조립체를 그 제1의 비작동상태로 되돌려 편향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충격-완화 요소는,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단단한 표면과 접촉할 때 자체조절식 스터드에 가해지는 힘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1 부위가 부드러운 지면에서 신장되는 것을 허용하고, 그리하여 부드러운 지면에 추가적인 마찰을 제공한다. 충격-완화 요소 조립체는, 충격-완화 요소를 작동시키고 제1 부위를 신장시킬 정도로 충분히 큰 힘이 가해질 때(즉,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충분히 부드러운 지면과 접촉할 때)까지 제1 부위를 그 수축위치로 편향시킨다. 충격-완화 요소는,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의 내부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 내에 끼워지는 형상 및 치수로 될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본 실시예의 제2 부위는, 제1 부위를 포위한다. 제2 부위는 경질 TPU, 열경화성 재료, 금속, 또는 기타 단단한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위는, 변형됨이 없이 광범위한 통상적인 힘(예컨대, 달리기, 점프, 격렬한 회전, 방향전환, 비틀기, 피벗, 착용자의 중량 등)을 지탱할 수 있는 경도를 갖는 재료(들)를 포함한다.
제2 부위는 몇몇 예에서, 제1 부위가 자유롭게 수축 및 신장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1 부위와 접촉하고 또 이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몇몇 예시적인 구성에서, 제1 부위는 제2 부위 내의 내부공간으로 수축 및 신장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1 부위의 몇몇 예는 신장 및 수축되는 충격-완화 요소 조립체와, 플런저, 및 팁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제2 부위 내에서(또 그로부터)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제2 부위는 항상 실질적으로 수축되지 않은 채 유지된다(정적이거나 또는 정지상태임). 제1 부위가 수축되면, 그 지면-접촉표면은 몇몇 예에서 제2 부위의 높이와 같은 높이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부위의 지면-접촉표면은 제2 부위 내에서 수축될 수 있거나 또는 제2 부위의 지면-접촉표면 너머로 약간 연장될 수 있다. 임의의 구성에서, 수축위치에 있는 제1 부위는,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전체 높이(크기)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단단한 지면과 접촉할 때 제1 부위가 수축되는 것을 허용하고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부드러운 지면과 접촉할 때 제1 부위가 신장되는 것을 허용한다. 신장된 위치에서(부드러운 지면에서), 제1 부위는 운동선수/착용자를 위하여 추가적인 마찰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구성에서, 제1 부위 및 제2 부위는 형상이 원통형이고 밑창구조의 표면으로부터 신장됨에 따라 테이퍼질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제1 부위는, 이 제1 부위가 제2 부위 내에서 수축 및 신장되도록 제2 부위의 반경보다 약간 더 작은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부위와 제2 부위는 편평한 측면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이러한 예시적인 구성들은,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비교적 부드러운 지면(예컨대, 제1 부위가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부드러운 지면)과 접촉할 때 유용하다. 이러한 구성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부드러운 지면에서 제1 부위가 신장될 때 "작동"할 것이고, 스터드는 부드러운 지면을 관통하고 운동선수/착용자에게 추가적인 마찰을 제공할 수 있다. 단단한 지면은 제1 부위가 제2 부위 내에서 수축되도록 하고 제2 부위의 높이 너머로 더 적은 제1 부위가 노출되도록(또는 제1 부위가 전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구성에서, 제1 부위는 임의의 적절한 크기로 신장될 수 있다. 예컨대, 수축된 제1 부위의 크기는 수축되지 않은 제1 부위의 크기보다 적어도 5% 더 작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수축된 제1 부위의 크기는 수축되지 않은 제1 부위의 크기보다 적어도 25% 더 작거나 또는 심지어 적어도 50% 더 작을 수 있다.
발명의 특정한 예들이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기재된다. 이러한 특정한 예들은 단지 발명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갖는 신발물품의 특정한 예
본 출원에서 다양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갖는 신발물품의 예들을 도시한다. 하나가 넘는 도면에 동일한 참조부호가 나타나면, 그 도면번호는 전체에 걸쳐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위를 지시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들에 걸쳐서 일관되게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b는,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특정한 예들을 도시한다. 도 1은, 신발물품(100)의 앞발 영역의 일부의 바닥 평면도를 도시한다. 신발물품(100)은 갑피와 이 갑피에 부착된 밑창구조(102)를 갖는다(이들 도면에서 갑피는 도시 안 됨). 7개의 자체조절식 스터드(104, 106, 108, 110, 112, 114, 116)가 본 예의 밑창구조(102)에 부착된다. 자체조절식 제1 스터드(104)는, 착용자의 발이 신발물품(100) 내에 삽입될 때 대략 착용자의 발의 제1 지골('엄지 발가락') 아래에 위치되도록 밑창구조(102)에 위치된다. 자체조절식 제2 및 제3 스터드(106, 108)들은, 이들이 제1 및/또는 제2 척골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 신장되도록 밑창구조(102)의 앞발 영역의 중앙 에지를 따라 위치된다(또 가능하게는 중간발 영역으로 연장됨).
자체조절식 제4, 제5, 제6 및 제7 스터드(110, 112, 114, 116)들은, 도 1에 도시된 밑창구조(102)의 측방 에지를 따라 위치된다. 자체조절식 제4 및 제5 스터드(110, 112)들은, 착용자의 발이 신발물품(100) 내에 삽입될 때 이들이 자체조절식 제5 스터드의 종방향 길이와 또 가능하게는 착용자의 발의 제4 척골의 일부를 따라 신장되도록 밑창구조(102)의 앞발 영역 내에 위치된다. 자체조절식 제6 및 제7 스터드(114, 116)들은, 착용자의 발이 신발물품(100) 내에 삽입되었다면 제4 및/또는 제5 척골의 종방향 길이 및 가능하게는 착용자의 발의 부골(tarsal)의 일부를 따라 밑창구조(102)의 앞발 영역과 중간발 영역의 일부에 위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자체조절식 스터드(104, 106, 108, 110, 112, 114, 116)들은 일반적으로 밑창구조(102)의 앞발 영역 내에 모두 위치된다. 그러나 변형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뒤꿈치 영역과 같은 신발물품(100)의 임의의 다른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들에서는,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앞발 영역에 위치될 필요가 없다.
하나의 예시적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구조가 도 2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자체조절식 스터드(200)는 충격-완화 조립체(202)와, 플런저(204), 및 팁(206)을 포함하고, 이들은 도 2에 도시된다. 충격-완화 조립체(202)는, 이 충격-완화 조립체(202)의 거의 중심영역에서 충격-완화 조립체(202)를 통하여 연장되는 구멍(208)을 형성한다. 충격-완화 조립체(202)는 제1 표면(210)과 이 제1 표면(210)에 대향하는 제2 표면(212)을 갖는다. 플런저(204)는 충격-완화 조립체 (202)의 제1 표면(210)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플런저(204)는, 이 플런저(204)에 힘이 가해질 때 충격-완화 조립체(202)를 작동시키도록 또한 위치된다. 플런저(204)의 적어도 일부는 충격-완화 조립체(202)의 구멍(208)을 통하여 연장된다. 팁(206)은 충격-완화 조립체(202)의 제2 표면(212)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팁(206)은, 충격-완화 조립체(202)의 구멍(208)을 통하여 연장되는 플런저(204)의 부위와 맞물린다. 팁(206)과 플런저(204)는 충격-완화 조립체(202)의 대향측에 위치되고 충격-완화 조립체(202)의 구멍(208)을 통하여 서로 맞물린다. 충격-완화 조립체(202)가 제1의 비작동상태일 때 팁(206)은 수축위치에 있고, 충격-완화 조립체(202)가 제2의 작동상태일 때 팁(206)은 신장위치에 있다.
충격-완화 조립체(202)의 제2 표면(212)의 적어도 일부와 팁(206)은,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위한 지면-접촉표면을 형성한다. 충격-완화 조립체(202)는 충격-완화 요소(214)와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을 포함한다. 충격-완화 요소(214)는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 내에 끼워 맞춰지도록 성형된다. 충격-완화 요소 (214)는 제1 부위(218)와 제2 부위(220)를 갖는다. 제1 부위(218)는 본 예에서 판 스프링을 포함한다. 충격-완화 요소(214)의 제1 부위(218)는 제2 부위(220)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다. 충격-완화 요소(214)의 제2 부위(220)는 일반적으로 튜브 형상이고 제1 부위(218)보다 더 큰 높이/길이를 갖는다.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은 또한 제1 부위(222)와 제2 부위(224)를 포함한다.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의 제1 부위(222)는 내부공간(226)과 쇼울더부(shoulder: 228)를 형성한다. 충격-완화 요소(214)가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 내에 위치될 때, 충격-완화 요소(214)의 제1 부위(218)는,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의 쇼울더부(228)에 근접하여(또 본 예에서 쇼울더부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위치되도록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의 제1 부위(222)의 내부공간(226) 내에 위치된다.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의 제2 부위(224)는 일반적으로 튜브형상이고 충격-완화 요소(214)의 제2 부위(220)보다 약간 더 크다. 충격-완화 요소(214)가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 내에 위치되면, 충격-완화 요소(214)의 제2 부위(220)는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의 제2 부위(224)에 끼워 맞춰진다(또는 그 내부에 끼워지도록 위치됨). 변형례에서, 충격-완화 요소(214)의 제1 부위(218)는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충격-완화 요소(예컨대, 압축 가능한 발포재, 임의의 타입의 적절한 스프링 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구성에서, 충격-완화 조립체(202)는, 충격-완화 요소(214)의 제1 부위(218) 내에 균일하게 이격된 4개의 슬릿(232)과,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의 제1 부위(222)의 내부공간(226)에서 슬릿(232)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균일하게 이격된 4개의 대응하는 탭(230)을 포함하는 유지기구를 추가로 포함한다. 충격-완화 요소(214)가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 내에 위치되면, 탭(230)들은 슬릿(232)들 내에 끼워진다. 탭(230)들이 슬릿(232)들 내에 끼워지면, 충격-완화 요소(214)가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유지기구는 또한,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에 인접한 위치에 충격-완화 요소(214)를 유지한다. 유지기구는 임의의 개수의 탭 및 대응하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탭과 슬릿들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이격될 수 있다.
충격-완화 요소(214)의 제1 부위(218)는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233)을 포함한다. 판 스프링(233)은, 충격-완화 요소(214)가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 내에 위치될 때,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의 제1 부위(222)의 쇼울더부(228)에 인접하여(또 본 예에서 쇼울더부에 안착되고 이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위치된다. 플런저(204)는 제1 부위(234)와 제2 부위(236)를 갖는다. 플런저 (204)의 제1 부위(234)는 일반적으로 편평하고, 힘을 수용하고 충격-완화 요소 (214)를 작동하는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일부이다. 플런저(204)의 제2 부위(236)는 충격-완화 조립체(202)의 구멍(208) 내로 아래로 연장된다. 플런저(204)의 제1 부위(234)는, 충격-완화 요소(214)의 제1 부위(218)에 있는 판 스프링(233)이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의 제1 부위(222)의 쇼울더부(228)에 대하여 구부러지도록 한다. 이러한 작용은,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의 제2 부위(224)가 아래로(밑창구조로부터 멀어지고 또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한다. 플런저(204)의 작용은, 팁(206)이 수축위치로부터 신장위치로 연장되도록 한다. 힘에 의해 판 스프링(233)이 구부러지게 되면, 충격-완화 요소(214)는 "제2의 작동상태"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판 스프링(233)이 그 자연스러운,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면, 충격-완화 요소(214)는 "제1의 비작동상태"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팁(206)은 제1 부위(238)와 제2 부위(240)를 갖는다. 팁(206)의 제1 부위(238)는 지면-접촉표면을 형성하고 팁(206)의 제2 부위(240)는 충격-완화 요소 조립체(202)의 구멍(208) 내에서 플런저(204)의 제2 부위(236)와 맞물린다. 팁(206)은 충격-완화 조립체(202)를 따라 연장된다. 도 3a는 수축위치에 있는 팁(206)을 도시한다. 도 3b는 신장위치에 있는 팁(206)을 도시한다. 신장위치에 있는 팁(206)은 자체조절식 스터드에 추가적인 마찰성능을 제공한다. 팁(206)이 그 수축위치로부터 신장위치로 신장되면, 이는 충격-완화 조립체(202) 및/또는 환상의 스터드 베이스(242)(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재됨)로부터 "캐스케이딩(cascade)"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구성은, 스터드가 부드러운 지면과 접촉할 때, 자체조절식 스터드[팁(206)은 신장되도록 되어 있음]의 추가적인 마찰성능을 "작동"시킬 것이다. 힘(예컨대, 착용자의 발로부터의 힘과 같음)이 플런저(204)에 가해질 때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다. 지면이 충분히 단단하면, 플런저(204)에 가해진 힘(예컨대, 착용자의 발에 의하여 가해진 힘과 같음)은, 단단한 지면으로부터의 반력과 같거나 또는 그보다 더 작을 것이고, 이에 따라 팁(206)은 그 수축위치에 있게 될 것이다. 지면이 충분히 부드러우면, 플런저(204)에 가해진 힘(예컨대, 착용자의 발에 의하여 가해진 힘과 같음)은, 부드러운 지면으로부터의 반력보다 더 클 것이고 이에 따라 팁(206)은 그 신장위치에 있게 될 것이다. 스터드 베이스로부터 신장되는 팁(206)의 이러한 추가적인 길이는, 더 부드러운 지면 내로 더 깊이 박힐 것이고 추가적인 마찰을 제공할 것이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의 스터드 베이스(242)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환상의 스터드 베이스 (242)는 이를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243)을 갖춘 중앙 부위를 갖는다. 충격-완화 요소 조립체(202)와, 플런저(204) 및, 팁(206)은 환상의 스터드 베이스(242)의 구멍(243)을 통해 서로 맞물린다. 이러한 예시적인 구성에서, 환상의 스터드 베이스(242)는,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밑창구조에 고정하기 위하여 신발물품의 밑창구조에 부착된다. 환상의 스터드 베이스(242)는 제1 부위(244)와 제2 부위(246)을 가질 수 있다. 환상의 스터드 베이스(242)의 제1 부위(244)는, 접착제, 모울딩, 시멘트 접합, 본드 접합, 아교 접합, 기계적인 커넥터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밑창구조에 부착된다. 환상의 스터드 베이스(242)의 제1 부위(244)는, 환상의 스터드 베이스(242)의 제2 부위(246)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다. 환상의 스터드 베이스(242)의 제1 부위(244)는 또한 쇼울더부(250)와 함께 내부공간(248)을 형성한다. 내부공간(248)은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의 제1 부위(222)가 쇼울더부(250)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치수로 된다. 충격-완화 요소(214)의 판 스프링(233)은,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216)의 제1 부위(222)와 끼워 맞춰지고 환상의 스터드 베이스(242)의 제1 부위(244)의 쇼울더부(250)에 인접하여 위치된다(또는 본 예에서 그 위에 물리적으로 안착됨). 환상의 스터드 베이스(242)의 제2 부위(246)는 본 예시적인 구조에서 통상적인 정적인 클리트(cleat)로서 역할을 한다.
자체조절식 스터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매끄럽고 굴곡진 형상을 갖는 요소들로 기재 및 도시된다. 변형례는 하나 이상의 편평한 측면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윤곽 및 형상을 갖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D. 신발물품에서 자체조절식 스터드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통합한 신발물품은 "클리트" 또는 "스파이크"로 알려진 운동화일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갖는 그러한 클리트는, 축구, 야구, 골프, 풋볼, 하이킹, 등산, 라크로스(larcrosse), 필드하키와 같은 다양한 스포츠에서 유용할 수 있다.
신발물품은 밑창구조와 이 밑창구조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발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함께 형성하는 갑피를 포함할 수 있다. 밑창구조는 밑창 베이스 부재와 위에서 기술된 적어도 하나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들은 밑창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형성된다. 밑창구조는 2개 이상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밑창구조가 2개 이상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포함하는 예에서, 자체조절식 스터드들은 모두 동일한 구성이거나 또는 다른 구성일 수 있다. 예컨대, 밑창구조는 2개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하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기재된 구성이고 또 다른 하나는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 기재된 구성일 수 있다.
자체조절식 스터드(들)는 밑창구조의 임의의 영역에서 밑창 베이스 부재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밑창구조의 앞발 영역 및/또는 뒤꿈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밑창구조의 앞발 영역 및/또는 뒤꿈치 영역의 중앙 에지와 측방 에지의 한쪽 또는 양쪽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D. 결론
발명을 수행하는 현재 구현된 모드를 포함하는 특정한 예들에 대하여 발명이 기술되었지만, 전술된 시스템 및 방법의 수많은 변경 및 치환이 또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설정된 바와 같이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신발물품
102 : 밑창구조
104, 106, 108, 110, 112, 114, 116 : 자체조절식 스터드

Claims (19)

  1. 제1 수축성을 갖는 제1 부위; 및
    제1 수축성보다 작은 제2 수축성을 가지면서, 제1 부위를 포위하는 제2 부위
    를 포함하는 자체조절식 스터드로서,
    상기 제1 부위와 제2 부위는,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제1 경도의 표면과 접촉하게 될 때 실질적으로 수축하지 않고,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제2 경도의 표면과 접촉하게 될 때 제1 부위는 수축되고 제2 부위는 실질적으로 수축하지 않으며, 상기 제1 경도는 제2 경도보다 작은 것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위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위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금속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위는,
    관통하는 구멍을 갖는 충격-완화 조립체;
    플런저에게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충격-완화 조립체를 작동시키도록 위치되는 플런저로서, 플런저의 적어도 일부가 충격-완화 조립체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것인 플런저; 및
    상기 충격-완화 조립체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플런저의 부위와 맞물리는 팁
    을 포함하며,
    상기 팁은, 충격-완화 조립체가 제1의 비작동상태일 때 수축위치에 있고, 충격완화 조립체가 제2의 작동상태일 때 신장위치에 있는 것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 조립체의 제1의 비작동상태는 제1 부위가 실질적으로 수축되지 않을 때 발생하고, 충격완화 조립체의 제2의 작동상태는 제1 부위가 수축될 때 발생하는 것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 조립체는, 충격-완화 요소와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 요소는 판 스프링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8. 밑창 베이스 부재; 및
    제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자체조절식 스터드
    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체조절식 스터드가 밑창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것인 밑창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자체조절식 제1 스터드와 자체조절식 제2 스터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자체조절식 스터드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밑창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조절식 제1 스터드는 밑창 구조의 앞발 영역의 중간 부위를 따라 밑창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자체조절식 제2 스터드는 밑창 구조의 앞발 영역의 측방 에지를 따라 밑창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것인 밑창 구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밑창구조의 뒤꿈치 영역에서 밑창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것인 밑창 구조.
  12.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갖춘 충격-완화 조립체로서, 이 충격-완화 조립체를 관통하는 구멍을 갖는 충격-완화 조립체;
    상기 충격-완화 조립체의 제1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플런저로서, 이 플런저에 힘이 가해질 때 충격-완화 조립체를 작동시키도록 또한 위치되며 플런저의 적어도 일부가 충격-완화 조립체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되는 것인 플런저; 및
    상기 충격-완화 조립체의 제2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충격-완화 조립체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되는 플런저의 부위와 맞물리는 팁으로서, 이 팁과 플런저는 충격-완화 조립체의 대향측에 위치되는 것인 팁
    을 포함하는 자체조절식 스터드로서,
    상기 충격-완화 조립체가 제1의 비작동상태일 때 팁은 수축위치에 있고, 상기 충격-완화 조립체가 제2의 작동상태일 때 팁은 신장위치에 있는 것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팁과 충격-완화 조립체의 제2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자체조절식 스터드를 위한 지면-접촉표면을 형성하는 것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 조립체는 충격-완화 요소와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을 포함하고, 또 충격-완화 요소는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 내에 끼워 맞춰지도록 형성된 것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 조립체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판 스프링인 것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 조립체는 유지기구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 유지기구는, 충격-완화 요소가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에 인접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충격-완화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슬릿에 끼워 맞춰지는 적어도 하나의 탭을 충격-완화 요소 하우징 상에 포함하는 것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금속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조절식 스터드는 환상의 스터드 베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 환상의 스터드 베이스는 관통하는 구멍을 갖춘 중앙 부위를 가지며, 충격-완화 요소 조립체와, 플런저 및 팁은 환상의 스터드 베이스의 구멍을 통해 서로 맞물리는 것인 자체조절식 스터드.
KR20127023497A 2010-02-23 2011-01-28 자체조절식 스터드 KR101508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11,107 2010-02-23
US12/711,107 US8322051B2 (en) 2010-02-23 2010-02-23 Self-adjusting studs
PCT/US2011/022848 WO2011106126A1 (en) 2010-02-23 2011-01-28 Self-adjusting stu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958A true KR20120120958A (ko) 2012-11-02
KR101508046B1 KR101508046B1 (ko) 2015-04-06

Family

ID=4414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23497A KR101508046B1 (ko) 2010-02-23 2011-01-28 자체조절식 스터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322051B2 (ko)
EP (2) EP2538813B1 (ko)
JP (1) JP5688419B2 (ko)
KR (1) KR101508046B1 (ko)
CN (2) CN103002763B (ko)
BR (1) BR112012020735A2 (ko)
WO (1) WO2011106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9160B2 (en) 2008-09-26 2011-12-20 Nike, Inc. Articles with retractable traction elements
US8256145B2 (en) 2008-09-26 2012-09-04 Nike, Inc. Articles with retractable traction elements
US8616892B2 (en) 2009-04-02 2013-12-31 Nike, Inc. Trai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 traction system
WO2010115004A1 (en) 2009-04-02 2010-10-07 Nike International, Ltd. Traction elements
US8632342B2 (en) 2009-05-28 2014-01-21 Nike, Inc. Trai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573981B2 (en) 2009-05-29 2013-11-05 Nike, Inc. Trai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 ball control portion
US8453354B2 (en) 2009-10-01 2013-06-04 Nike, Inc. Rigid cantilevered stud
US8533979B2 (en) 2010-02-18 2013-09-17 Nike, Inc. Self-adjusting studs
US8322051B2 (en) * 2010-02-23 2012-12-04 Nike, Inc. Self-adjusting studs
US9210967B2 (en) 2010-08-13 2015-12-15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traction elements
CH703926A1 (de) * 2010-10-07 2012-04-13 Glide N Lock Gmbh Laufsohle.
US8529267B2 (en) 2010-11-01 2013-09-10 Nike, Inc. Integrated training system for articles of footwear
US8713819B2 (en) 2011-01-19 2014-05-06 Nike, Inc. Composite sole structure
US9504293B2 (en) 2011-04-18 2016-11-29 Nike, Inc. Outsole with extendable traction elements
US9138027B2 (en) 2011-09-16 2015-09-22 Nike, Inc. Spacing for footwear ground-engaging member support features
US8966787B2 (en) 2011-09-16 2015-03-03 Nike, Inc. Orientations for footwear ground-engaging member support features
US9220320B2 (en) 2011-09-16 2015-12-29 Nike, Inc. Sole arrangement with ground-engaging member support features
US8984774B2 (en) 2011-09-16 2015-03-24 Nike, Inc. Cut step traction element arrangem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806779B2 (en) 2011-09-16 2014-08-19 Nike, Inc. Shaped support features for footwear ground-engaging members
US9101178B2 (en) * 2011-11-23 2015-08-1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lateral offset heel stud
US9402442B2 (en) 2012-04-27 2016-08-02 Nike, Inc. Sole structure and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same
US9032645B2 (en) 2012-07-30 2015-05-19 Nike, Inc. Support features for footwear ground engaging members
DE102013208170B4 (de) * 2013-05-03 2019-10-24 Adidas Ag Sohle für einen Schuh und Schuh mit einer solchen Sohle
DE102013213582A1 (de) * 2013-07-11 2015-01-29 Evonik Industries Ag Sportschuh umfassend stollen oder stollenaufnahmen
CN104013155B (zh) * 2014-06-17 2016-02-24 泉州鸿荣轻工有限公司 运动鞋及其鞋底
US9717306B2 (en) * 2014-07-23 2017-08-01 Hernan Sanchez Cleat assembly for an athletic shoe and an athletic shoe comprising same
JP2020141737A (ja) * 2019-03-04 2020-09-10 美津濃株式会社 アウトソール構造、その製造方法、およびアウトソール構造を用いたクリーツシューズ
US20220125164A1 (en) * 2020-10-23 2022-04-28 Wolverine Outdoors, Inc. Footwear with traction lugs bonded to a midsole

Family Cites Families (2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287A (en) 1884-08-12 Ice-rubber
US830324A (en) 1906-03-08 1906-09-04 John Hunt Ice-creeper.
US1355827A (en) 1915-09-13 1920-10-19 Patrick J Finneran Shoe
US1361078A (en) 1920-04-24 1920-12-07 Lynn John Henry Antislipping device for shoes
US1528782A (en) 1924-11-04 1925-03-10 Eric S Perry Athletic shoe sole
US1736576A (en) 1928-12-13 1929-11-19 George W Cable Elastic shoe sole
US1876195A (en) 1932-04-09 1932-09-06 Youmans Thomas Grant Shoe grip
US2070269A (en) 1933-05-01 1937-02-09 Goldenberg Michael Shoe
US2095095A (en) 1935-03-01 1937-10-05 Spalding & Bros Ag Spike for golf shoes
US2087945A (en) 1936-01-15 1937-07-27 Edward E Butler Antislipping device to be worn upon the human foot
US2185397A (en) 1937-03-18 1940-01-02 Grover C Birchfield Athletic shoe cleat
US2222650A (en) 1939-04-28 1940-11-26 David R Brady Athletic peg
US2258734A (en) 1939-06-22 1941-10-14 David R Brady Peg for athletic shoes
DE930798C (de) 1954-02-07 1955-07-25 Hermann Kaun Laufflaeche mit Gleitschutz fuer Schuhwerk
DE1809860U (de) 1959-12-24 1960-04-14 Adolf Dassler Sportschuh.
US3043026A (en) * 1961-02-23 1962-07-10 William P Semon Non-clogging cleat
US3063171A (en) 1961-05-16 1962-11-13 Hollander C Jay Shoe cleat
US3481820A (en) 1963-05-17 1969-12-02 Genesco Inc Shoe manufacture
US3352034A (en) 1966-02-23 1967-11-14 William E Braun Athletic shoe cleat
FR1554061A (ko) 1967-01-26 1969-01-17
US3487563A (en) 1967-11-16 1970-01-06 Luther Austin & Sons Ltd Sports shoes
US3619916A (en) 1970-03-19 1971-11-16 Anthony Neri Athletic shoe
US3631614A (en) 1970-11-05 1972-01-04 Clifford M Rice Antislip footpiece
NL7114808A (ko) 1970-11-23 1972-05-25
CH532376A (fr) 1970-12-22 1973-01-15 Nouvelle Soc Bruey S A Pointe pour chaussure d'athlétisme
US3951407A (en) 1975-04-14 1976-04-20 Calacurcio Frank C Device for use on a golf shoe
US4096649A (en) 1976-12-03 1978-06-27 Saurwein Albert C Athletic shoe sole
US4146979A (en) 1977-10-25 1979-04-03 Fabbrie Gilbert R Self-cleaning golf-shoe cleat
FR2423996A1 (fr) 1978-04-27 1979-11-23 Patrick Sa Semelle de chaussure a crampons, notamment de football
US4159582A (en) * 1978-07-10 1979-07-03 Ostrowski Eugene J Gripper element for sports shoes
USD255957S (en) 1978-08-09 1980-07-22 G E P Athletic shoe sole
JPS5637362Y2 (ko) 1978-08-16 1981-09-02
DE2927635A1 (de) 1979-07-09 1981-01-29 Dassler Puma Sportschuh Sportschuh, insbesondere fussballschuh
DE2927704C2 (de) 1979-07-09 1982-03-25 Puma-Sportschuhfabriken Rudolf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Aus Gummi oder einem anderen Werkstoff mit gummielastischen Eigenschaften bestehende Laufsohle für Schuhe, insbesondere Sportschuhe
DE3046811A1 (de) 1980-12-12 1982-07-29 Puma-Sportschuhfabriken Rudolf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Laufsohle aus kunststoff fuer sportschuhe, insbesondere rennschuhe
US4375729A (en) 1981-07-29 1983-03-08 Buchanen Iii Wiley T Footwear having retractable spikes
DE3233792A1 (de) 1982-09-11 1984-03-15 Puma-Sportschuhfabriken Rudolf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Sportschuh fuer die leichtathletik
DE3245182A1 (de) 1982-12-07 1983-05-26 Krohm, Reinold, 4690 Herne Laufschuh
US4466205A (en) 1983-01-10 1984-08-21 Corbari George V Safety stud
US4562651A (en) 1983-11-08 1986-01-07 Nike, Inc. Sole with V-oriented flex grooves
JPS60105406U (ja) * 1983-12-26 1985-07-18 美津濃株式会社 ゴルフ靴、陸上用靴のスパイク
JPS60146406U (ja) * 1984-03-09 1985-09-28 大野 清光 ゴルフシユ−ズ用スパイクピン
FR2567004B1 (fr) 1984-07-06 1987-01-02 Jarry Albert Crampon escamotable pour chaussures.
DE3505665A1 (de) 1985-02-19 1986-08-21 Puma-Sportschuhfabriken Rudolf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Sportschuh
AT388488B (de) 1985-06-18 1989-06-26 Hartjes Rudolf Golfschuh
FR2589689B1 (fr) 1985-11-14 1988-07-29 Patrick Sa Chaussure de sport a crampons retractables
US4674200A (en) 1985-12-12 1987-06-23 Peter Sing Slip resistant footwear
DE3600525A1 (de) 1986-01-10 1987-10-22 Martin Schatta Sportschuh, insbesondere fuer ballspiele
FR2608387B1 (fr) 1986-12-23 1989-04-21 Salomon Sa Semelle de marche pour une chaussure de sport, notamment une chaussure de golf et chaussure equipee d'une telle semelle
DE3644812C1 (en) * 1986-12-31 1988-06-09 Franz Schaeffler Shoe heel with movable spike nails
DE3703932A1 (de) 1987-02-09 1988-08-18 Dassler Puma Sportschuh Laufsohle fuer sportschuhe, insbesondere fussballschuhe
DE3706068A1 (de) 1987-02-25 1988-09-08 Dassler Puma Sportschuh Greifelement fuer sportschuhe
US4873774A (en) 1988-03-01 1989-10-17 Universal Plastics Incorporated Shoe sole with retractable cleats
FR2646060B1 (fr) 1989-04-25 1991-08-16 Salomon Sa Semelle de marche pour une chaussure de sport, notamment une chaussure de golf et chaussure pourvue d'une telle semelle
EP0479184A3 (en) 1990-10-04 1992-09-23 Lotto S.P.A. Footgear structure
US5221379A (en) 1991-01-18 1993-06-22 Nicholas James G Retractable tire stud
TW228469B (ko) 1991-06-19 1994-08-21 Uhl Sportartikel Karl
DE4223167A1 (de) 1992-02-07 1993-08-12 Asics Corp Spike fuer laufschuhe
US5351422A (en) 1992-06-15 1994-10-04 Fitzgerald John E Replacement clea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ntional golf shoe cleats
US5289647A (en) 1992-09-21 1994-03-01 Mercer Donald R Shoe with retractable spikes
WO1994013164A1 (en) 1992-12-10 1994-06-23 Nike International Ltd. Bonding of rubber to plastic in footwear
US5384973A (en) 1992-12-11 1995-01-31 Nike, Inc. Sole with articulated forefoot
US5299369A (en) 1993-01-21 1994-04-05 Goldman Neil M Shoe with retractable spike assembly
US5367791A (en) 1993-02-04 1994-11-29 Asahi, Inc. Shoe sole
US5375346A (en) 1993-04-02 1994-12-27 Energaire Corporation Thrust producing shoe sole and heel improved stability
US5410823A (en) * 1994-01-26 1995-05-02 Iyoob; Simon J. Replaceable golf cleat
US5956871A (en) 1994-05-25 1999-09-28 Korsen; David L. Shoe spike apparatus
NL9500145A (nl) 1995-01-26 1996-09-02 Carolus Joannes Maria Pijnenbu Zool voor een voetbalscho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zool voor een voetbalschoen en aldus verkregen voetbalschoen.
US5526589A (en) 1995-03-01 1996-06-18 Jordan John C Athletic shoe with retractable spikes
US5634283A (en) 1995-05-03 1997-06-03 Kastner; Sidney Resilient, all-surface sole
JP2863466B2 (ja) 1995-06-14 1999-03-03 美津濃株式会社 陸上スパイク靴用ソール
US5732482A (en) * 1995-09-22 1998-03-31 Retractable Spike System, L.L.C. Retractable spike system for shoes
US5678328A (en) 1995-11-30 1997-10-21 Energaire Corporation Heel and sole structure with opposite cavities
US5761832A (en) 1996-04-18 1998-06-09 George; Gary F. Athletic shoe having radially extending ribs
JPH10105A (ja) 1996-06-17 1998-01-06 Miyata Kinzoku Kogyo Kk 靴用スパイク
US6119373A (en) 1996-08-20 2000-09-19 Adidas International B.V. Shoe having an external chassis
US5915820A (en) 1996-08-20 1999-06-29 Adidas A G Shoe having an internal chassis
US5806209A (en) 1996-08-30 1998-09-15 Fila U.S.A., Inc. Cushioning system for a shoe
US5887371A (en) 1997-02-18 1999-03-30 Curley, Jr.; John J. Footwear cleat
US6029377A (en) 1997-06-19 2000-02-29 Bridgestone Sports, Co., Ltd. Athletic shoe
US6125556A (en) 1997-06-20 2000-10-03 Peckler; Stephen N. Golf shoe with high liquid pressure spike ejection
US5983529A (en) 1997-07-31 1999-11-16 Vans, Inc. Footwear shock absorbing system
US6112433A (en) * 1997-10-30 2000-09-05 Greiner; Peter Ceramic gripping element for sports shoes
US5979083A (en) 1998-01-23 1999-11-09 Acushnet Company Multi-layer outsole
JPH11206403A (ja) 1998-01-26 1999-08-03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シューズ及びそのスパイク
FR2775875B1 (fr) 1998-03-11 2000-04-21 Lafuma Sa Chaussure de marche
US6256907B1 (en) 1998-04-14 2001-07-10 Retractable, Inc. Athletic shoe with retractable spikes
USD415340S (en) 1998-05-14 1999-10-19 Softspikes, Inc. Golf cleat
GB9817712D0 (en) 1998-08-14 1998-10-14 Barrow Nicholas F Shoe
GB2341308B (en) 1998-09-14 2001-03-28 Mitre Sports Internat Ltd Sports footwear and studs therefor
US6058627A (en) 1999-01-20 2000-05-09 Violette; Richard R. All-terrain footwear with retractable spikes
ATE292906T1 (de) 1999-02-05 2005-04-15 Adidas Int Marketing Bv Spike für sportschuh
DE19904744B4 (de) 1999-02-05 2005-11-10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
JP4626895B2 (ja) 1999-02-22 2011-02-09 株式会社力王 履物用防滑底
HU1656U (en) * 1999-03-11 1999-11-29 Laszlo Oroszi Device of augmentation of adhesion for sport shoes
DE19957821A1 (de) 1999-12-01 2001-06-28 Adidas Int Bv Sohle
US6499235B2 (en) 1999-12-06 2002-12-31 Adidas International B.V. Cleated footwear
IT1315276B1 (it) 1999-12-30 2003-02-03 Freddy Spa Scarpa con suola presentante una parte per l'avanpiede suddivisa inalmeno due parti.
TW464483B (en) 2000-01-24 2001-11-21 Japana Co Ltd Cleat for golf shoes
EP1253835A1 (fr) * 2000-02-07 2002-11-06 Ahcene Kheloufi Element d'appui ponctuel direct ou indirect au sol amortisseur de chocs pour semelle de chaussures de sports
US6550160B2 (en) 2000-03-13 2003-04-22 Miller, Ii Eugene T. Method and device for orienting the foot when playing golf
US6948264B1 (en) 2000-04-26 2005-09-27 Lyden Robert M Non-clogging sole for article of footwear
US6367791B1 (en) * 2000-07-07 2002-04-09 Stratasys, Inc. Substrate mounting system for a three-dimensional modeling machine
US6481122B2 (en) 2000-07-20 2002-11-19 George R. Brahler Shoe cleat apparatus
DE10036100C1 (de) 2000-07-25 2002-02-14 Adidas Int Bv Schuh
US20020029495A1 (en) 2000-09-08 2002-03-14 Sidney Kastner Resilient, all-surface soles for footwear
JP2002142802A (ja) 2000-11-15 2002-05-21 Yamato Kk 履 物
US20020078603A1 (en) 2000-12-21 2002-06-27 Schmitt Wayne I. Interchangeable durometer coupling ring cleat
FR2818876A1 (fr) 2000-12-29 2002-07-05 Henri Charles Garbolino Chaussure a crampons pour la pratique du sport
US7428790B2 (en) 2001-01-26 2008-09-30 Penquin Brands, Inc. Universal cleat
JP3827280B2 (ja) 2001-02-23 2006-09-27 美津濃株式会社 フットボール用シューズのアウトソール構造
US6389714B1 (en) 2001-05-07 2002-05-21 James Mack Shoe having retractable spikes
DE10126557A1 (de) 2001-05-31 2002-12-05 Uhlsport Gmbh Sportschuh
GB0117614D0 (en) 2001-07-19 2001-09-12 Pressland Adam N Rotating Boot Stud
US6739075B2 (en) 2001-08-17 2004-05-25 Johnny Chad Sizemore Shock absorbers for footwear
US6647647B2 (en) 2001-11-20 2003-11-1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ground-engaging member and method of altering a ground-engaging member
US6722061B2 (en) 2001-11-20 2004-04-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replaceable ground-engaging member and method of attaching the ground-engaging member
USD468517S1 (en) 2002-02-26 2003-01-14 Rocky Shoes & Boots, Inc. Shoe sole
DE10212862C1 (de) 2002-03-22 2003-10-30 Adidas Int Marketing Bv Schuhsohle und Schuh
JP4004831B2 (ja) 2002-03-28 2007-11-07 株式会社アサヒコーポレーション 靴底
US7559160B2 (en) 2002-04-09 2009-07-14 Trisport Limited Studded footwear
US6857205B1 (en) 2002-05-09 2005-02-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split plate
JP2004024811A (ja) 2002-06-25 2004-01-29 Shosuke Takaoka 傾斜地作業用靴底およびこれを有する靴。
US6892479B2 (en) 2002-06-26 2005-05-17 Nike, Inc. Article of cleated footwear having medial and lateral sides with differing properties
US7007410B2 (en) 2002-06-26 2006-03-0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regional cleat configuration
TW547018U (en) 2002-08-23 2003-08-11 Deng-Shan Gau Improved structure of shoe sole used on flat and hill region
US6834446B2 (en) 2002-08-27 2004-12-28 Softspikes, Llc Indexable shoe cleat with improved traction
TW540323U (en) 2002-09-11 2003-07-01 Vanbestco Ltd Structure of shoe sole with adjustable anti-slippage functions
DE10244433B4 (de) 2002-09-24 2005-12-15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Gleitelement und Schuhsohle
US6698110B1 (en) 2002-10-28 2004-03-02 Timothy A. Robbins Spiked shoe having a spike cleaning cushion
ITRM20020556A1 (it) 2002-11-05 2004-05-06 Demetrio Biancucci Perfezionamenti ad una suola per calzatura dotata di mezzi per aumentarne l'aderenza al suolo, atti ad assumere una posizione estratta o retratta secondo le necessita' dell'utente.
US6915596B2 (en) 2003-01-21 2005-07-12 Nike, Inc. Footwear with separable upper and sole structure
US20040187356A1 (en) * 2003-03-25 2004-09-30 Patton Jason E. Cleat and system therefor
US20040250451A1 (en) 2003-06-12 2004-12-16 Mcmullin Faris Traction cleat for use on surfaces of variable hardnes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D495122S1 (en) 2003-07-01 2004-08-31 Softspikes, Llc Eccentric footwear cleat
US6904707B2 (en) 2003-07-01 2005-06-14 Softspikes, Llc Indexable shoe cleat with improved traction
US7421805B2 (en) 2003-07-17 2008-09-09 Red Wing Shoe Company, Inc. Integral spine structure for footwear
US6973746B2 (en) 2003-07-25 2005-12-13 Nike, Inc. Soccer shoe having independently supported lateral and medial sides
US7287343B2 (en) 2003-09-25 2007-10-30 The Timberland Company Footwear with articulating outsole lugs
US7386948B2 (en) 2003-10-07 2008-06-17 Creative Footwear, Inc. Flexible hinged cleat
US7207125B2 (en) 2003-11-26 2007-04-24 Saucony, Inc. Grid midsole insert
US7124519B2 (en) 2004-01-14 2006-10-24 Columbia Insurance Company Shoe sole having improved flexibilit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194826B2 (en) 2004-02-06 2007-03-27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pivoting cleat assembly
DE102004011680B4 (de) 2004-03-10 2007-08-23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tollenschuh
US20050217149A1 (en) 2004-04-06 2005-10-06 Ho Min H Sole nail
US7204044B2 (en) 2004-04-06 2007-04-17 Nike, Inc. Sole for article of footwear for granular surfaces
US7634861B2 (en) 2004-05-21 2009-12-22 Nike, Inc. Footwear with longitudinally split midsole for dynamic fit adjustment
US8474155B2 (en) 2004-06-04 2013-07-0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outsole web and midsole protrusions
US7200955B2 (en) 2004-06-04 2007-04-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sole structure with compressible inserts
US7470439B1 (en) * 2004-06-29 2008-12-30 South Georgia Pecan Company Chicken feed composition and method of feeding chickens for promoting health or rejuvenating egg production
EP1778041A2 (en) 2004-07-12 2007-05-02 Cleats LLC Removable footwear traction plate
US7370439B1 (en) 2004-07-19 2008-05-13 Myers Robert J Field and stream boot
US7254909B2 (en) 2004-07-22 2007-08-1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retractable protrusion
JP3106804U (ja) * 2004-07-27 2005-01-20 銘 縣 何 靴底スパイクの構造
US7730636B2 (en) 2004-07-28 2010-06-08 Nike, Inc. Cleated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60021254A1 (en) 2004-07-30 2006-02-02 Jones Peter C Footwear with retractable studs
TWM267886U (en) 2004-10-22 2005-06-21 Vanbestco Ltd Improved snowshoe
US7430819B2 (en) 2004-12-22 2008-10-0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height adjustable cleat-member
JP4624811B2 (ja) 2005-01-19 2011-02-02 株式会社村井 履物の本底及び履物
US20080066348A1 (en) 2005-02-07 2008-03-20 Select Sole, Llc Footwear with retractable members
US7234250B2 (en) 2005-02-07 2007-06-26 Stacy Renee Fogarty Convertible traction shoes
CA2502396A1 (fr) 2005-04-01 2006-10-01 9108-6918 Quebec Inc. Semelle de soutien
GB2425242A (en) 2005-04-22 2006-10-25 Hi Tec Sports Ltd Shoe sole product and method
US20060242863A1 (en) 2005-04-28 2006-11-02 Hi-Tec Sports Plc Cleated sports shoes
KR100683242B1 (ko) 2005-06-03 2007-02-15 주식회사 트렉스타 신발 밑창
US7409783B2 (en) 2005-11-14 2008-08-12 Vanbestco Ltd. Spike
CA2526727A1 (en) 2005-11-14 2007-05-14 Vanbestco Ltd. An improved spike
US7650707B2 (en) 2006-02-24 2010-01-26 Nike, Inc. Flexible and/or laterally stable foot-support structure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support structures
US7707748B2 (en) 2006-02-24 2010-05-04 Nike, Inc. Flexible foot-support structure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support structures
US7549236B2 (en) 2006-03-09 2009-06-23 New England Footwear, Llc Footwear with independent suspension and protection
DE102006015649B4 (de) 2006-04-04 2008-02-28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
US7788828B2 (en) 2006-05-10 2010-09-07 Krouse Wayne F Active shoe cleat system
WO2007138947A1 (ja) 2006-05-25 2007-12-06 Asics Corporation スパイクシューズのソール
US7490418B2 (en) 2006-06-30 2009-02-17 Michel Obeydani Footwear with manually extendable spikes
US7954261B2 (en) 2006-09-27 2011-06-07 Rush University Medical Center Joint load reducing footwear
EP2540184B1 (en) 2006-10-20 2014-07-02 ASICS Corporation Structure for front foot portion of a shoe sole
WO2008069751A1 (en) 2006-12-08 2008-06-12 Vanbestco Scandinavia Ab Footwear with grip unit
US8302332B2 (en) 2006-12-08 2012-11-06 Raptors Sports Pty Ltd Removable spike for footwear
US7784196B1 (en) 2006-12-13 2010-08-31 Reebok International Lt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inflatable ground engaging surface
US8020322B2 (en) 2007-02-16 2011-09-20 Pride Manufacturing Company, Llc Multi-traction effect shoe cleat
US7814686B2 (en) 2007-03-06 2010-10-19 Nike, Inc. Lightweight and flexible article of footwear
JP5165908B2 (ja) 2007-03-07 2013-03-21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シューズ用ソールおよびゴルフシューズ
US7827705B2 (en) 2007-03-08 2010-11-0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cleat sizes
DE102007019270B4 (de) 2007-04-24 2009-07-09 Puma Ag Rudolf Dassler Spor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ollensohle
DE202007005881U1 (de) 2007-04-24 2008-08-28 Puma Aktiengesellschaft Rudolf Dassler Sport Stollen für einen Schuh
US7673400B2 (en) 2007-07-09 2010-03-09 Acushnet Company Golf shoe outsole
US7905034B2 (en) 2007-07-09 2011-03-15 Acushnet Company Golf shoe outsole
US7918041B2 (en) 2007-09-04 2011-04-05 Nike, Inc. Footwear cooling system
US7954258B2 (en) 2007-10-17 2011-06-0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walled cleat system
US7941945B2 (en) 2007-10-17 2011-05-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heel traction elements
US7954257B2 (en) 2007-11-07 2011-06-07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construction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8245422B2 (en) * 2008-03-06 2012-08-21 Softspikes, Llc Athletic shoe cleat with dynamic traction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CN101951799B (zh) 2008-03-07 2012-07-25 夹持力技术公司 用于防滑鞋的鞋底的鞋钉装置以及具有所述鞋钉装置的鞋
JP4317893B1 (ja) 2008-03-28 2009-08-19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体
US20090249652A1 (en) 2008-04-07 2009-10-08 Gunthel Peter J Sports shoe sole with functional topography
US8122617B1 (en) 2008-05-09 2012-02-28 Dixon Kenneth R Boot with heel spike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90313856A1 (en) 2008-06-20 2009-12-24 Arizumi James K Flexible sole for an article of footwear
DE102008033241B3 (de) 2008-07-15 2009-11-05 Stefan Lederer Schuhsohle
US20100050475A1 (en) 2008-08-26 2010-03-04 Benz Erek T Footwear sole structure
US8256145B2 (en) 2008-09-26 2012-09-04 Nike, Inc. Articles with retractable traction elements
US8079160B2 (en) 2008-09-26 2011-12-20 Nike, Inc. Articles with retractable traction elements
US20100083539A1 (en) 2008-10-06 2010-04-08 Etonic Worldwide Llc Golf shoe outsole with longitudinally extending bend line
WO2010057207A2 (en) 2008-11-17 2010-05-20 Select Sole Llc Retractable members and systems for foot wear
US7654014B1 (en) 2008-12-08 2010-02-02 Brian L. Moore Golf shoe
WO2010115004A1 (en) * 2009-04-02 2010-10-07 Nike International, Ltd. Traction elements
DE102009028627B4 (de) 2009-08-18 2019-12-19 Adidas Ag Sportschuh
US8578631B2 (en) 2009-08-25 2013-11-12 Gene A. Francello Extendable spikes for shoes
US8453354B2 (en) 2009-10-01 2013-06-04 Nike, Inc. Rigid cantilevered stud
US20110078922A1 (en) 2009-10-02 2011-04-07 Nike, Inc. Thermoforming upper process with reinforcement
ES2457190T3 (es) 2009-10-04 2014-04-25 Christian Thagaard Hansen Suela exterior para zapatos y zapatos con dichas suelas exteriores
US8356428B2 (en) 2009-10-20 2013-01-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flexible reinforcing plate
US9332808B2 (en) 2010-01-12 2016-05-10 Position Tech, Llc Footwear with enhanced cleats
US20110192056A1 (en) 2010-02-05 2011-08-11 Deckers Outdoor Corporation Footwear including a self-adjusting midsole
US8533979B2 (en) 2010-02-18 2013-09-17 Nike, Inc. Self-adjusting studs
US8322051B2 (en) 2010-02-23 2012-12-04 Nike, Inc. Self-adjusting studs
USD632466S1 (en) 2010-04-14 2011-02-15 Ecco Sko A/S Golf shoe outersole
US8713819B2 (en) 2011-01-19 2014-05-06 Nike, Inc. Composite sole structure
EP2499928A1 (en) 2011-03-18 2012-09-19 P-Sports GmbH Sporting shoe with a sole having a number of stu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1975A1 (en) 2015-11-11
JP2013520231A (ja) 2013-06-06
WO2011106126A1 (en) 2011-09-01
US20130008054A1 (en) 2013-01-10
KR101508046B1 (ko) 2015-04-06
JP5688419B2 (ja) 2015-03-25
CN104665106B (zh) 2017-06-20
EP2538813B1 (en) 2015-07-29
US20110203136A1 (en) 2011-08-25
CN103002763B (zh) 2015-03-18
US8322051B2 (en) 2012-12-04
BR112012020735A2 (pt) 2016-04-26
CN103002763A (zh) 2013-03-27
CN104665106A (zh) 2015-06-03
US8584380B2 (en) 2013-11-19
EP2941975B1 (en) 2018-10-10
EP2538813A1 (en)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046B1 (ko) 자체조절식 스터드
KR101532127B1 (ko) 자체조절식 스터드
US11076659B2 (en) Rigid cantilevered stud
US8656610B2 (en) Articles with retractable traction elements
US8656611B2 (en) Articles with retractable traction elements
EP2542111A2 (en) Clea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