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980A -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정전하상 현상용 현상제, 토너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정전하상 현상용 현상제, 토너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980A
KR20120109980A KR1020110115750A KR20110115750A KR20120109980A KR 20120109980 A KR20120109980 A KR 20120109980A KR 1020110115750 A KR1020110115750 A KR 1020110115750A KR 20110115750 A KR20110115750 A KR 20110115750A KR 20120109980 A KR20120109980 A KR 20120109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image
electrostatic
barium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8320B1 (ko
Inventor
유카 이시하라
에미 다카하시
마사히로 오키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9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21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parame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84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 G03G9/08795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properties, e.g. acidity, molecular weight, sensitivity to reacta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84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 G03G9/08797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G03G9/08702 - G03G9/08775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viscosity, solubility, melting temperature, softening temperatur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 G03G9/0902In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 G03G9/0906Organic dy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 G03G9/0926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08In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33Organic compounds
    • G03G9/09741Organic compounds cation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폭로 하에 있어서도 정착 화상의 갈라짐, 혹은 화상 광택의 저하가 없고, 장기에 걸쳐 보존가능한 정착 화상이 형성되는 전자사진용 토너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전자사진용 토너는, 적어도 결착 수지, 착색제, 및, 바륨 화합물을 함유하고,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한 완화 시간 t=10×Dt (Dt:정착시의 가열 시간)에 있어서의 완화 탄성률 G(t)가 2.0×102 Pa 이상 3.0×103 Pa 이하이며, 또한, 형광 X선에 의한 토너의 전 구성 원자량에 대한 바륨 함유량〔Ba〕이, 0.1% 이상 0.5% 이하이다.

Description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정전하상 현상용 현상제, 토너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ELECTROSTATIC IMAGE-DEVELOPING TONER, ELECTROSTATIC IMAGE DEVELOPER, TONER CARTRIDGE, IMAGE-FORMING APPARATUS, AND IMAGE-FORMING METHOD}
본 발명은,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정전하상 현상용 현상제, 토너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법 등과 같이, 잠상(정전 잠상)을 거쳐 화상 정보를 가시화하는 방법은, 현재 각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전자사진법에 있어서는, 대전 공정, 노광 공정(잠상 형성 공정) 등을 거쳐 전자사진용 감광체 (정전 잠상 유지체, 이하, 「감광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표면의 정전 잠상을 전자사진용 토너 (이하, 단지 「토너」라고도 한다.)를 사용하여 현상하고, 전사 공정, 정착 공정 등을 거쳐 상기 정전 잠상이 가시화된다.
원료와 함께 미리,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갖는 화합물을 토너 내에 함유시켜, 자외선의 조사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방법은 자외선 흡수 기능을 갖는 화합물이 자외선을 흡수하고, 흡수한 광 에너지를 분자 내의 진동 에너지로 변환함에 의해, 토너 내의 다른 재료에의 자외선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재료로서 벤조페논계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벤조페논과 힌더드 아민을 첨가하는 방법 (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유기 자외선 흡수제가 공유결합한 고분자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 (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포토크로믹계 재료를 첨가하는 방법 (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 써모크로믹 색소를 첨가하는 방법 (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참조)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화상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수단의 하나로서, 고분자 중합체나 가교 중합체를 블렌드한 결착 수지를 사용하는 방법 (예를 들면, 특허문헌 6, 특허문헌 7 등 참조)이 알려져 있으며, 토너 용융시의 표면응집력을 높이는 것을 시도하고 있다.
일본 특개평06-148928호 공보 일본 특개평06-118684호 공보 일본 특개평09-080797호 공보 일본 특개2004-061813호 공보 일본 특개2004-061818호 공보 일본 특개소50-134652호 공보 일본 특개소51-23354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 폭로 하에 있어서도 정착 화상의 갈라짐(cracking), 혹은 화상 광택의 저하가 없고, 장기에 걸쳐 보존가능한 정착 화상이 형성되는 전자사진용 토너를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1>에 따른 발명은, 결착 수지, 착색제, 및, 바륨 화합물을 함유하는 전자사진용 토너이며,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한 완화 시간 t=10×Dt (Dt:정착시의 가열 시간)에 있어서의 토너의 완화 탄성률 G(t)가 2.0×102 Pa 이상 3.0×103 Pa 이하이며, 또한, 형광 X선에 의한 토너의 전 구성 원자량에 대한 바륨 함유량〔Ba〕이, 0.1% 이상 0.5% 이하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이다.
<2>에 따른 발명은, 바륨 화합물이 탄산바륨, 티탄산바륨, 황산바륨, 붕산바륨, 티탄니켈바륨옐로우로부터 선택되는, <1> 기재의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이다.
<3>에 따른 발명은, 형광 X선에 의한 토너의 전 구성 원자량에 대한 바륨 함유량〔Ba〕이, 0.12% 이상 0.45% 이하인, <1> 기재의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이다.
<4>에 따른 발명은,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한 완화 시간 t=10×Dt (Dt:정착시의 가열 시간)에 있어서의 토너의 완화 탄성률 G(t)가 2.3×102 Pa 이상 2.8×103 Pa 이하인, <1> 기재의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이다.
<5>에 따른 발명은, 결착 수지가, 적어도 3개의 피크(peak) 혹은 숄더(shoulder)를 갖는, <1> 기재의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이다.
<6>에 따른 발명은, 결착 수지가, 고분자량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피크의 골짜기 혹은 숄더부에서 분자량을 분할했을 때에, 고분자량측으로부터 각각 M1, M2, M3으로 하면, M1의 중량평균분자량 Mw1은 5.0×105 이상 7.2×105 이하, 수평균분자량 Mn1은 4.0×105 이상 5.0×105 이하, M2의 중량평균분자량 Mw2는 8.0×104 이상 1.2×105 이하, 수평균분자량 Mn2는 8.0×104 이상 9.5×104 이하, M3의 중량평균분자량 Mw3은 1.0×104 이상 1.5×104 이하, 수평균분자량 Mn3은 3500 이상 4500 이하인, <5> 기재의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이다.
<7>에 따른 발명은, 토너가 자외선 흡수제를 더 함유하는, <1> 기재의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이다.
<8>에 따른 발명은, 상기 자외선 흡수제가, 히드록시벤조페논계의 자외선 흡수제인, <7> 기재의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이다.
<9>에 따른 발명은, <1> 기재의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와 캐리어를 갖는 정전하상 현상용 현상제이다.
<10>에 따른 발명은, 바륨 화합물이 탄산바륨, 티탄산바륨, 황산바륨, 붕산바륨, 티탄니켈바륨옐로우로부터 선택되는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갖는, <9> 기재의 정전하상 현상용 현상제이다.
<11>에 따른 발명은,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한 완화 시간 t=10×Dt (Dt:정착시의 가열 시간)에 있어서의 토너의 완화 탄성률 G(t)가 2.3×102 Pa 이상 2.8×103 Pa 이하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갖는, <9> 기재의 정전하상 현상용 현상제이다.
<12>에 따른 발명은, 상기 용기 내에 <1> 기재의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함유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 가능한 토너 카트리지이다.
<13>에 따른 발명은, 용기 내의 체적의 90% 이상의 범위로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12> 기재의 토너 카트리지이다.
<14>에 따른 발명은, 정전 잠상 유지체와, 상기 정전 잠상 유지체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 수단과, 상기 정전 잠상 유지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정전 잠상 형성 수단과, <9> 기재의 정전하상 현상용 현상제를 수납함과 함께, 상기 정전 잠상 유지체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정전 잠상을 당해 정전하 현상용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토너 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의 토너 상을 정착하는 정착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15>에 따른 발명은,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한 완화 시간 t=10×Dt (Dt:정착시의 가열 시간)에 있어서의 토너의 완화 탄성률 G(t)가 2.3×102 Pa 이상 2.8×103 Pa 이하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갖는, <14> 기재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16>에 따른 발명은, 정전 잠상 유지체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 공정과, 대전한 상기 정전 잠상 유지체의 표면에 정전하상을 형성하는 정전 잠상 형성 공정과, <9> 기재의 정전하 현상용 현상제를 수납함과 함께, 상기 정전 잠상 유지체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현상 공정과, 상기 토너 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공정과, 상기 기록 매체의 토너 상을 정착하는 정착 공정을 갖는 화상 형성 방법이다.
<17>에 따른 발명은,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한 완화 시간 t=10×Dt (Dt:정착시의 가열 시간)에 있어서의 토너의 완화 탄성률 G(t)가 2.3×102 Pa 이상 2.8×103 Pa 이하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갖는, <16> 기재의 화상 형성 방법이다.
상기 <1> 내지 <8> 발명에 따르면, 완화 탄성률의 값 또는 바륨 함유량이 상기 범위 외인 경우에 비교하여, 자외선 폭로 하에 있어서의 정착 화상의 갈라짐, 혹은 화상 광택의 저하가 없고, 장기에 걸쳐 보존가능한 정착 화상이 형성되는 전자사진용 토너가 제공된다.
상기 <9> 내지 <11> 발명에 따르면, 완화 탄성률의 값 또는 바륨 함유량이 상기 범위 외인 경우에 비교하여, 자외선 폭로 하에 있어서의 정착 화상의 갈라짐, 혹은 화상 광택의 저하가 없고, 장기에 걸쳐 보존가능한 정착 화상이 형성되는 전자사진용 현상제가 제공된다.
상기 <12> 내지 <13> 발명에 따르면, 완화 탄성률의 값 또는 바륨 함유량이 상기 범위 외인 경우에 비교하여, 자외선 폭로 하에 있어서의 정착 화상의 갈라짐, 혹은 화상 광택의 저하가 없고, 장기에 걸쳐 보존가능한 정착 화상이 형성되는 상기 <1> 기재의 전자사진용 토너를 함유하는 토너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기 <14> 내지 <17> 발명에 따르면, 완화 탄성률의 값 또는 바륨 함유량이 상기 범위 외인 경우에 비교하여, 자외선 폭로 하에 있어서의 정착 화상의 갈라짐, 혹은 화상 광택의 저하가 없고, 장기에 걸쳐 보존가능한 정착 화상이 형성되는 전자사진용 현상제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사진용 토너, 전자사진용 현상제, 및, 화상 형성 방법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자사진용 토너>
본 실시형태의 전자사진용 토너는, 적어도 결착 수지, 착색제, 및, 바륨 화합물을 함유하고,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한 완화 시간 t=10×Dt (Dt:정착시의 가열 시간)에 있어서의 완화 탄성률 G(t)가 2.0×102 Pa 이상 3.0×103 Pa 이하이며, 또한, 형광 X선에 의한 토너의 전 구성 원자량에 대한 바륨 함유량〔Ba〕이, 0.1% 이상 0.5% 이하인 토너이다.
최근, 토너?현상제 기술을 사용한 전자사진에 의한 화상형성법은, 디지털화?칼라화의 진전에 의해, 인쇄 영역의 일부에 적용되기 시작하고, 라벨 혹은 패키지 인쇄 시장, 혹은 온 디맨드 프린팅(on-demand printing)을 비롯한 그래픽 아트 시장에 있어서의 실용화가 현저하게 되기 시작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그래픽 아트 시장이란, 판화와 같은 것으로 인쇄한 부수가 적은 창작 인쇄물이나, 필적?회화 등의 오리지날의 모사, 복사, 그리고 리프로덕션(reproduction)이라 불리는 대량 생산 방식에 의한 인쇄물 제조 관련 업무 시장 전반을 가리키고, 인쇄물의 제조에 관계되는 업종?부문을 대상으로 삼는 시장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본래의 본격적 종래형 인쇄와 비교한 경우, 무판 인쇄로서의 온 디맨드성의 특징은 있지만, 그 색재현역, 해상도, 광택 특성으로 대표되는 화질, 질감, 동일 화상 내에 있어서의 화질균일성, 장시간 연속 프린팅 시의 화질의 유지성 등, 본격적으로 인쇄를 대체하고, 그래픽 아트 영역에 있어서 특히 생산재로서의 시장 가치를 소구하기 위해서는, 성능면에서 보아도 아직 수많은 과제가 있음을 알고 있다.
화상의 안정성에 관한 과제의 하나로서, 장기 보관에 따르는 정착 화상의 갈라짐, 혹은 화상 광택의 저하를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래픽 아트 영역에 있어서의, 칼라 화상을 수반하는 사진이나 회화 등, 화상 밀도(토너 농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가 높은 경우나, 혹은 최근 시장을 넓히고 있는 식품용 포장재나 필름/스티커 등, 일상적으로 일광에 폭로되는 기회가 많은 매체상의 화상에 있어서는, 이 경향은 현저하다. 식품용 포장재나 필름/스티커 등에서는, 알루미늄 입자나 티타니아 입자를 함유하는 백색계 토너 혹 도료 위에, 통상의 토너 상을 정착시킴으로부터, 하지의 백색계 화상 중의 알루미늄 입자나 티타니아 입자가 통상의 토너 상과의 친화성을 방해하고, 보다 취화하기 쉽게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장기보관에 따르는 정착 화상의 갈라짐, 혹은 화상 광택의 저하의 원인은, 일광 기타 조명 등으로부터의 자외선을 착색제 분자나 결착 수지가 흡수하여, 착색제 분자나 결착 수지가 분해하고 있기 때문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종래 복사기에 사용되고 있는 수지에 있어서도, 골격의 구성 요소인 벤젠환 구조가 보다 단파장측의 광을 흡수하기 때문에, 장기간 자외선에 폭로되면, 취약해져 화상 갈라짐이나 광택도의 저하가 현저해진다.
본 실시형태는, 특정의 점탄성을 나타내는 토너 입자에 바륨 화합물을 특정의 범위로 함유시킴에 의해, 바륨 화합물을 보다 균일하게 분산시켜 자외선에 의한 화상의 갈라짐 또는 화상 광택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너 입자에 자외선 흡수제를 공존시킴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착색제의 변퇴색, 화상의 취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의 점탄성을 나타내는 전자사진용 토너에 바륨 화합물을 미량함유시킴에 의해, 화상의 갈라짐, 광택도의 저하나 착색제의 변색 및 퇴색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또한, 바륨 화합물을 첨가한 토너에 자외선 흡수제를 공존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착색제의 퇴색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결착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을 알코올 성분으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스티렌?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결착 수지는, 모두 방향환을 골격 중에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방향환과 같이 공역에 의해, 전자를 공여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 관능기가 있는 경우, 여기되는 반결합성 궤도의 에너지 준위가 높기 때문에, 여기 상태가 불안정하게 된다. 그 때문에, 골격으로서의 변질의 원인이 되고, 특히 자외선 등의 에너지가 높은 광에 폭로되면, 열화를 초래하고, 결과로서 수지가 취약해진다. 또한, 에스테르기의 산소와 같은 비공유 전자쌍을 갖는 관능기가 방향환의 가까이 있는 경우, 당해 비공유 전자쌍이 존재하는 비결합성 궤도의 에너지 준위는 또한 높아지기 때문에, 보다 여기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고, 열화가 진행하는 원인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환을 골격 중에 갖는 결착 수지는, 자외선 폭로에 의한 열화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지만, 토너 중에 바륨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결착 수지의 열화가 억제된다.
(바륨 화합물의 추정 작용 기구)
바륨 화합물의 첨가에 의한 결착 수지의 열화 억제의 기구는 아직 완전히 해명되지 않고 있지만, 이하와 같은 가능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들 기구의 진위는 특허성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우선, 바륨 화합물이, 여기된 수지 골격 중의 방향환 분자에 대하여 자외선 흡수제로서 작용하여, 수지의 취화를 방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수지 중의 방향환에 흡수된 광은 전자를 여기하고, 그 분자는 전자적으로 여기된 상태가 된다. 이 전자 여기 상태의 분자는, 광화학 제1차 과정인 (a)반응, (b)실활(방사 및 무방사 과정), (c)에너지 이동 중 1개, 또는 2개 이상의 과정을 거쳐, 기저 상태로 되돌아온다. 방향환을 갖는 결착 수지의 경우, 토너 중에서는 착색제 등이 인접하여 입체장해를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상기 (b)의 과정에 의한 전자 여기 에너지의 진동 에너지에의 변환이 방해되어, 전자 여기 상태가 보다 불안정하게 된다. 그 결과, 수지 골격 중의 분자의 이온화가 일어나기 쉽고, 상기 (a)의 화학 반응에 의해, 수지 골격 중의 결합 상태가 절단하는 등 하여 열화가 야기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토너에 포함되는 바륨 화합물이 여기 상태의 수지 분자에 여기 에너지를 받고, 바륨 원소의 최외각 전자를 여기시키기 때문에(상기 (c)), 수지의 취화를 방지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 특히 바륨 화합물은, 수지 골격과 비교하여 분자가 작기 때문에 입체 장해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전자 여기 에너지는 효율 좋게 진동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
또, 바륨 화합물이 여기 산소 분자의 포착제로서 작용할 가능성도 들 수 있다.
토너 표면 부근에서 광에 의해 여기된 일중항의 산소 분자는 반응성이 높아, 근방의 수지를 산화하여, 취화시킨다고 생각된다. 이 여기 산소 분자를 효율 좋게 소광하는 바륨 화합물을 첨가함에 의해, 여기 산소 분자를 실활시켜, 수지의 취화를 방지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륨 화합물을 토너에 첨가함으로써 결착 수지의 열화가 억제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토너는 자외선 폭로 하에 있어서의 정착 화상의 갈라짐, 혹은 화상 광택의 저하가 억제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본 실시형태의 토너에서는,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한 완화 시간 t=10×Dt (Dt:정착시의 가열 시간)에 있어서의 완화 탄성률 G(t)을 2.0×102 Pa 이상 3.0×103 Pa 이하의 범위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2.3×102 Pa 이상 2.8×103 Pa 이하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완화 시간에 있어서의 완화 탄성률 G(t)가 2.0×102 Pa를 하회하면, 첨가한 바륨 화합물이 균일하게 분산되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토너로서의 응집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아, 화상의 취약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감소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3.0×103 Pa를 상회하는 경우에는, 화상의 광택도가 낮아, 발색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본 실시형태에서 있어서의 완화 탄성률 및 완화 시간은, 정현파 진동법에 의한 주파수 분산 측정에 의해 측정한 동적 점탄성으로부터 추구했다. 동적 점탄성의 측정에는 TA 인스트루먼트 재팬사제 ARES 측정 장치를 사용했다.
완화 탄성률 G(t)은, 이하와 같이 하여 산출된다.
상기 측정으로 얻어진 손실 탄성률, 및 저장 탄성률의 주파수 의존 곡선을 시간-온도 환산 측에 따라, 횡축에 시간, 종축에 완화 탄성률의 함수로 변환한다. 그러면 우하강의 곡선(그래프)이 얻어진다. 임의인 정착 시간(정착시의 가열 시간) Dt로부터 상기 식에 의해 완화 시간 t를 구하고, 상기 곡선상에 있어서 그 t에 있어서의 완화 탄성률이, 그 정착 시간에서의 완화 탄성률로 된다.
또, 완화 탄성률 G(t)의 조정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하여진다.
즉, 점탄성을 좌우하는 제어 인자로서는, 결착 수지의 분자량 분포나 모노머 조성의 기여가 크기 때문에, 결착 수지의 분자량 분포를 상세하게 제어하거나, 특정의 모노머 조성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분자량 분포로서 바람직한 구성은, 적어도 3개의 피크 혹은 숄더를 갖고, 고분자량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피크의 골짜기 혹은 숄더부에서 분자량을 분할했을 때에, 고분자량측으로부터 각각 M1, M2, M3으로 하면, M1의 중량평균분자량 Mw 1은 5.0×105 이상 7.2×105 이하, 수평균분자량 Mn1은 4.0×105 이상 5.0×105 이하, M2의 중량평균분자량 Mw2는 8.0×104 이상 1.2×105 이하, 수평균분자량 Mn2는 8.0×104 이상 9.5×104 이하, M3의 중량평균분자량 Mw3은 1.0×104 이상 1.5×104 이하, 수평균분자량 Mn3는 3500 이상 45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륨 화합물)
본 실시형태의 토너는 바륨 화합물을 함유한다. 이에 의해, 화상의 갈라짐이나 광택도의 저하, 착색제의 변색 또는 퇴색이 억제된다.
바륨 화합물의 함유량은, 형광 X선에 의한 토너의 전 구성 원자량에 대한 바륨 함유량〔Ba〕로서 0.1% 이상 0.5% 이하로 된다.
바륨 함유량이 0.1%보다 적은 경우에는, 화상의 갈라짐이나 광택도의 저하의 방지에 대하여 효과가 없고, 0.5%보다 많은 경우에는, 화상의 농도 불균일을 발생시켜, 화질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를 충족시킬 필요가 있으며, 0.12% 이상 0.45% 이하의 함유량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사용할 수 있는 바륨 화합물은, 공지의 무기 바륨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염화바륨, 산화바륨, 수산화바륨, 티탄산바륨, 황산바륨, 탄산바륨, 아세트산바륨, 크롬산바륨, 붕산바륨, 철산바륨, 브롬화바륨, 아황산바륨, 과산화바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배선석(張培善石)(BaFCl), 중토장석(重土長石)(BaAl2Si2O8), 바날사이트(banalsite)(BaNa2Al4Si4O16), 호쿠토라이트(hokutolite)(Ba, Pb)SO4 등의 무기 바륨 광물을 첨가해도 되고, 니켈티탄옐로우(티탄니켈바륨옐로우) 등의 안료를 첨가해도 된다.
이 중에서도, 탄산바륨, 티탄산바륨, 황산바륨, 붕산바륨, 티탄니켈바륨옐로우가 토너 특성이나 화상 형성 장치에 악영향을 미침없이 보다 양호하게 사용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황산바륨, 티탄산바륨이다.
(토너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의 전자사진용 토너는, 결착 수지, 착색제 및 바륨 화합물을 갖고, 필요에 따라, 이형제 등, 그 밖의 성분을 더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사진용 토너는, 칼라 화상에 있어서, 장기 자외선 폭로 하에 있어서도 화상의 갈라짐이나 광택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뛰어난 정착 화상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사진용 토너의 제법으로서는, 혼련분쇄법, 유화응집법, 현탁중합법 등, 특히 제한은 없지만, 특히 바람직한 것은. 혼련분쇄법과 유화응집법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내에 바륨 화합물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현탁중합법에 있어서는 중합성 단량체 중에 바륨 화합물을 분산, 또는 용해할 필요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중합성 단량체는 유기 화합물이며, 바륨 화합물이 분산하지 않는 경우나, 용해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혼련분쇄법은 결착 수지나 착색제 등의 원료 혼합물 중에 바륨 화합물을 혼합시켜 그대로 혼련 공정으로 분산할 수 있기 때문에, 균일하게 바륨 화합물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혼련물을, 분쇄, 분급함으로써 소망의 토너 입자를 얻는다.
또 유화응집법은, 입경이 1 ㎛ 이하의 결착 수지의 수지 입자를 분산한 수지 입자 분산액, 및 착색제를 분산한 착색제 분산액 등을 혼합하여, 수지 입자, 착색제를 토너 입경으로 응집시키는 공정 (이하, 「응집 공정」이라 하기도 함)으로, 바륨 화합물을 공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바륨 화합물이 수용성이면 분자 수준으로 토너 입자 내부에 첨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입자를 구성하는 중합성 단량체의 성분에 카복시기 함유 단량체를 첨가함으로써, 생성 중합체 중의 카복시기와 바륨과의 염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더 바람직하다. 응집 공정을 거친 응집 입자는, 수지 입자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응집체를 융합하여 토너 입자를 형성하는 공정 (이하, 「융합 공정」이라고도 한다.)를 거쳐서 토너 입자로 된다.
상기 응집 공정에 있어서는, 서로 혼합된 수지 입자 분산액, 착색제 분산액, 및 필요에 따라 이형제 분산 액중의 각 입자를 응집시켜서 토너 입경의 응집 입자를 형성한다. 당해 응집 입자는 헤테로 응집 등에 의해 형성된다. 당해 응집 입자의 안정화, 입도/입도 분포 제어를 목적으로 하여, 상기 응집 입자와는 극성이 다른 이온성 계면활성제나, 금속염 등의 1가 이상의 전하를 갖는 화합물이 첨가된다.
여기에서, 「토너 입경」이란, 하기의 토너의 체적평균입경을 말한다.
상기 융합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응집 입자 중의 수지 입자가, 그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 조건에서 용융하여, 응집 입자는 부정형으로부터 보다 구상으로 변화한다. 이때 응집 입자 내에 있는 바륨 화합물은 융합의 진행에 관계없이 입자 내에 머무름에 의해 바륨 화합물의 분산 상태를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응집 입자 내의 카복시기와 염 구조를 형성하는 바륨 화합물이면 보다 제어하기 쉬워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 후, 응집물을 수계 매체로부터 분리, 필요에 따라 세정, 건조시킴에 의해 토너 입자를 형성한다.
토너의 체적평균입경으로서는 2 ㎛ 이상 10 ㎛ 이하 정도가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8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7 ㎛ 이하이다.
(결착 수지)
본 실시형태의 토너에 사용할 수 있는 결착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에틸렌계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스티렌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들의 공중합 수지를 들 수 있지만, 전자사진용 토너로서 사용할 때의 대전 안정성이나 현상 내구성의 관점에서 스티렌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스티렌-(메타)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사용하는 축합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고분자 데이터 핸드북: 기초편」 (고분자학회편: 바이후칸(培風館))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축합성 단량체 성분이며, 종래 공지의 2가 또는 3가 이상의 카르복시산과, 2가 또는 3가 이상의 알코올이 있다. 2가의 카르복시산의 구체예로서는,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스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시산, 나프탈렌-2,7-디카르복시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 말론산, 메사콘산 등의 이염기산, 및 이들의 무수물이나 이들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지방족 불포화 디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다. 3가 이상의 카르복시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1,2,4-벤젠트리카르복시산, 1,2,5-벤젠트리카르복시산, 1,2,4-나프탈렌트리카르복시산 등, 및 이들의 무수물이나 이들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2가의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수소첨가 비스페놀 A, 비스페놀 A의 에틸렌옥시드 또는 (및)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 1,4-시클헥산디올, 1,4-시클헥산디메탄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3가 이상의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산가나 수산기가의 조정 등의 목적으로, 아세트산, 벤조산 등의 1가의 산이나, 시클로헥산올, 벤질알코올 등의 1가 알코올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의 축합성 단량체 성분 중에서 임의의 조합으로, 예를 들면, 「중축합」 (화학동인, 1971년 간행), 「고분자실험학 (중축합과 중부가)」 (공립 출판, 1958년 간행)이나 「폴리에스테르 수지 핸드북」 (일간공업신문사편, 1988년 간행) 등에 기재된 종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할 수 있고, 에스테르 교환법이나 직접 중축합법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착색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착색제에, 특히 제한은 없고, 공지의 착색제를 들 수 있고,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착색제를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같은 계통의 착색제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다른 계통의 착색제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들 착색제를 표면 처리하여 사용해도 된다.
구체예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색의 안료 및 염료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본 블랙, 아닐린 블루, 칼코일 블루, 크롬 옐로우, 울트라마린 블루, 듀폰 오일 레드, 퀴놀린 옐로우, 메틸렌 블루 클로라이드, 프탈로시아닌 블루, 말라카이트 그린 옥살레이트, 램프 블랙, 로즈 벵갈, C.I. 피그먼트 레드 48:1, C.I. 피그먼트 레드 122, C.I. 피그먼트 레드 57:1, C.I. 피그먼트 옐로우 97, C.I. 피그먼트 옐로우 12, C.I. 피그먼트 옐로우 17, C.I. 피그먼트 블루15:1, C.I. 피그먼트 블루 15:3을 대표적인 것으로서, 예시할 수 있다.
착색제는, 정착시의 발색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토너의 고체분 총질량에 대하여, 4질량% 이상 15질량% 이하의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의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흑색 착색제로서 자성체를 사용할 경우는, 12질량% 이상 48질량% 이하의 범위내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의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의 종류를 선택함에 의해, 옐로우 토너, 마젠타 토너, 시안 토너, 흑색 토너, 백색 토너, 녹색 토너 등의 각색 토너를 얻을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본 실시형태의 토너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살리실산계, 파라아미노벤조산계, 아닐리드계, 트리아진계, 벤조에이트계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나트륨, 2-히드록시-4-메톡시-2’-카르복시벤조페논, 4-벤질옥시-2-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2-에틸헥실, 살리실산p-옥틸페닐, 살리실산p-tert-부틸페닐,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글리세릴, 에틸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2-(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1,6-비스(4-벤조일-3-히드록시페녹시)헥산, 2-(5-메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 [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에톡시-2’-에틸옥살산비스아닐리드,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 [(헥실)옥시]페놀, 2-(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2-n-부틸말론산 비스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히드록시벤조페논계의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메커니즘은 불분명하지만, 히드록시벤조페논계 화합물이 토너에 내첨된 경우, Ba 화합물과 공존함에 의해 토너 응집력이 상승하고, 화상 강도가 커지는 효과가 기대된다.
자외선 흡수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단 토너의 특성을 고려한 후에,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 및 양을 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분체 유동성, 보관시의 블록킹(blocking), 대전성 및 정착성 등이, 토너 사용시에 문제로 되지 않는 것이 전제이며, 토너 조성에 대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토너 모입자에 대하여 외첨할 때에는 0.1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토너 조제시에 내첨할 때에는 0.3질량% 이상 7.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상기 범위이면, 대전성 및 분체 유동성이 저하하지 않는다. 또 정착 화상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산되고, 또한 발색성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결착 수지와 친화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친화성이 높으면, 정착 화상 내에서 결정화하지 않고, 광투과성이 양호하다.
자외선 흡수제를 토너에 첨가하는 방법으로서는, 토너 입자에 대하여 분체로 혼합하는 방법이나, 결착 수지 또는 착색제 등의 용융혼련시에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대전 제어제)
본 실시형태의 토너에는, 필요에 따라 대전 제어제가 첨가되어도 된다.
대전 제어제로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아조계 금속 착화합물, 살리실산의 금속 착화합물, 극성기를 함유하는 레진 타입의 대전 제어제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토너는, 자성 재료를 내포하는 자성 토너 및 자성재료를 함유하지 않는 비자성 토너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형제)
본 실시형태의 토너에는, 필요에 따라, 이형제를 첨가해도 된다. 이형제는 일반적으로 이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이형제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등의 저분자량 폴리올레핀류; 가열에 의해 연화점을 갖는 실리콘류; 올레산아미드, 에루크산아미드, 리시놀산아미드, 스테아르산아미드 등의 지방산 아미드류;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칸데릴라 왁스, 목랍, 호호바유 등의 식물계 왁스; 밀납 등의 동물계 왁스; 몬탄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핏셔트롭슈 왁스 등의 광물?석유계 왁스; 지방산에스테르, 몬탄산에스테르, 카르복시산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계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들 이형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이형제의 첨가량으로서는, 토너 입자의 전량에 대하여, 1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15질량% 이하이다. 상기 범위내라면, 이형제의 효과가 충분하며, 또한, 토너 내에 바륨 화합물이 균일하게 분산될 뿐 아니라, 현상기 내부에 있어서 토너 입자가 파괴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형제의 캐리어에의 스펜트(spent)화가 일어나지 않고, 대전도 저하하기 어렵다.
(내첨제)
본 실시형태의 토너는, 토너 내부에 내첨제를 첨가해도 된다. 내첨제는 일반적으로 정착 화상의 점탄성 제어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내첨제의 구체예로서는, 실리카, 티타니아와 같은 무기 입자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유기 입자 등으로 이루어지고, 분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표면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그것들은 단독이라도, 2종 이상의 내첨제를 병용해도 된다.
(외첨제)
본 실시형태의 토너에는 유동화제나 대전 제어제 등의 외첨제를 첨가 처리해도 된다. 외첨제로서는, 표면을 실란 커플링제 등으로 처리한 실리카 입자, 산화 티탄 입자, 알루미나 입자, 산화 세륨 입자, 카본 블랙 등의 무기 입자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 수지 등의 폴리머 입자, 아민 금속염, 살리실산 금속착체 등,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것들은 단독이라도, 2종 이상의 외첨제를 병용해도 된다. 외첨제의 배합량은, 외첨제에 의한 처리전의 토너 입자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 5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부 이상 3.5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전자사진용 현상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전자사진용 현상제는, 본 실시형태의 토너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토너는, 현상 장치 내에 대전 부여 구조를 갖는 일반적으로 1성분 현상제라고 하는 사용 방법으로 사용됨에 더하여,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2성분 현상제라고 불리는 방식으로도 사용된다.
(캐리어)
캐리어는, 페라이트, 철분 등을 심제(芯劑)로 하여, 수지로 피복된 캐리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가능한 심재(芯材)(캐리어 심재)는 특히 제한은 없고, 철, 강(鋼), 니켈, 코발트 등의 자성금속, 또는, 페라이트, 마그네타이트 등의 자성 산화물, 유리 비즈(beads) 등을 들 수 있지만, 자기 브러시법을 사용하는 관점에서는, 자성 캐리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심재의 평균 입경으로서는, 토너 평균 입경의 3배 이상 10배 이하가 바람직하다.
피복 수지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우레아, 우레탄, 멜라민, 구아나민, 아닐린 등을 포함하는 아미노 수지, 또한 아미드 수지, 우레탄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공중합 수지라도 상관없다. 캐리어의 피복 수지로서는 상술한 수지 내에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대전을 제어할 목적으로, 수지 입자나, 무기 입자 등을 피복 수지 중에 분산하여 사용해도 된다.
수지 피복층을, 캐리어 심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캐리어 심재의 분말을 피복층 형성용 용액 중에 침지하는 침지법, 피복층 형성용 용액을 캐리어 심재의 표면에 분무하는 스프레이법, 캐리어 심재를 유동 에어에 의해 부유시킨 상태로 피복층 형성용 용액을 분무하는 유동상법, 니더 코터 중에서 캐리어 심재와 피복층 형성용 용액을 혼합하여 용제를 제거하는 니더 코터법, 피복 수지를 입자화하여 피복 수지의 융해 온도 이상에서 캐리어 심재와 니더 코터 중에서 혼합하여 냉각하여 피복시키는 파우더 코팅법을 들 수 있지만, 니더 코터법 및 파우더 코팅법이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수지 피복량은, 캐리어 심재에 대하여 0.5질량% 이상 10질량% 이하로 된다. 토너와 상기 캐리어와의 혼합비 (중량비)로서는, 토너:캐리어=1:100 내지 30:100의 범위이며, 3:100 내지 20:10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화상 형성 방법>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방법은, 감광체를 대전하는 대전 공정, 대전한 상기 감광체를 노광하여 상기 감광체 상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공정, 상기 잠상을 본 실시형태의 전자사진용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여 현상 상을 형성하는 현상 공정, 상기 현상 상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는 전사 공정, 및, 상기 피전사체 상에 상기 현상 상을 정착하는 정착 공정을 포함한다.
각 공정은 그 자체로 일반적인 공정이며,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56-40868호 공보, 일본 특개소49-91231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방법은, 공지의 복사기, 팩시밀리기 등의 화상 형성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대전 공정에 있어서의 대전 방식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코로트론(corotron), 스코로트론(scorotron)에 의한 비접촉 대전 방식, 접촉 대전 방식의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지만, 오존 발생량이 적은 접촉 대전 방식이 바람직하다.
잠상(정전 잠상)은, 레이저 광학계나 LED 어레이(array) 등의 노광 수단으로, 표면이 한결같이 대전된 감광체에 노광함으로써 형성된다. 노광 방식은 특히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전사는, 현상 상(토너 화상)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하는 것이다. 피전사체로서는, 전사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정착은, 전사지 등의 피전사체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 부재로의 가열로 피전사체 상에 정착하는 것이며, 피전사체를 2개의 정착 부재의 사이를 통과시키는 동안에 피전사체상의 토너 화상을 가열 용융하여 정착한다. 이 정착 부재는, 롤 또는 벨트의 형태를 이루며, 적어도 한 쪽에 가열 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정착 부재는 롤이나 벨트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그 표면에 수지를 피복하여 사용한다.
또한, Dt(정착시의 가열 시간)란, 후술하는 피전사체과, 상기 정착 부재의 접촉 시간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정착 부재란, 가열 부재인 롤이나 벨트와, 가압 부재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가열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의 사이를 피전사체가 통과함에 의해 정착한다. 이 가열 부재와 가압 부재의 사이를 닙(nip)부라 하고, 이 닙은 보통 수 밀리미터 내지 수십 밀리미터의 폭을 피전사체의 통과하는 방향에 대하여 갖는다. 이것을 닙폭(nip width)이라고 하고, 이 닙폭을 통과하는 시간을 정착시의 가열 시간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닙폭이 5mm인 정착기에 상기 피전사체가 100mm/초로 통과하는 경우, 정착시의 가열 시간은 5÷100= 0.02로 20 밀리초(msec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로 된다.
이 닙폭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우선 통상의 복사기로 솔리드(solid) 화상을 준비한다. 이것을 정착기에 통과 중에 전원을 컷 오프(cut off)하고, 그대로 10초 방치, 그 후 다시 통과시킨다. 전원이 컷 오프되어 있었을 때 정착 부재에 접촉하고 있었던 화상 부분의 광택도가 다르기 때문에, 이 폭을 측정한다. 이것을 닙폭으로 한다. 가압 부재에 열원을 설치하고, 가압, 가열의 양 부재로부터 열을 가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정착 롤은, 실리콘 고무, 바이톤 고무(Viton rubber) 등을 롤 심재 표면에 피복하여 만들어진다. 정착 벨트는,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단독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롤과 벨트의 피복 수지는, 예를 들면, 스티렌, 파라클로로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류,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n-프로필, 아크릴산라우릴, 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n-프로필, 메타크릴산라우릴,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등의 α-메틸렌 지방산 모노카르복시산류,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함질소 아크릴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비닐니트릴류,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등의 비닐피리딘류,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이소부틸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비닐메틸케톤, 비닐에틸케톤, 비닐이소프로페닐케톤 등의 비닐케톤류,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류, 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비닐계 불소 함유 모노머 등의 단독중합체, 또는 2종류 이상의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등의 실리콘류, 비스페놀, 글리콜 등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류,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구체예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불화비닐리덴, 불화에틸렌 등의 함불소 화합물의 단독중합체 및/또는 그것들의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불포화 탄화수소의 단독중합체 및/또는 그것들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토너를 정착시키는 피전사체는 종이,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정착 용지로서는, 종이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수지를 코팅한 코트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착용 수지 필름도 표면에 다른 종류의 수지로 일부 또는 전부를 코팅한 수지 코트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종이, 수지 필름 등의 마찰 및/또는 마찰에 기인하는 정전기 등에 의해 생기는 피전사체의 중송(重送)을 방지하고, 또한, 정착시에 피전사체와 정착 화상과의 계면에 이형제가 용출하여 정착 화상의 밀착성이 악화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수지 입자나 무기 입자를 수지 필름 등에 첨가할 수도 있다.
종이나 수지 필름의 피복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스티렌, 파라클로로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류,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n-프로필, 아크릴산라우릴, 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n-프로필, 메타크릴산라우릴,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등의 α-메틸렌 지방산 모노카르복시산류,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함질소 아크릴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비닐니트릴류,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등의 비닐피리딘류,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이소부틸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비닐메틸케톤, 비닐에틸케톤, 비닐이소프로페닐케톤 등의 비닐케톤류,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류, 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비닐계 불소 함유 모노머 등의 단독중합체, 또는 2종류 이상의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등의 실리콘류, 비스페놀, 글리콜 등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류,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또, 무기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티타니아,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인산 3칼슘, 산화 세륨 등, 통상 토너 표면의 외첨제로서 사용되는 모든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통상 토너 표면의 외첨제로서 사용되는 모든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들 무기 입자나 수지 입자는, 유동성 조제 등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에 있어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부」는 「질량부」를 、「%」은 「질량%」을 나타낸다.
(형광 X선에 의한 바륨 함유량의 측정법)
시료 전처리로서는, 토너 4g을 가압 성형기에서 10t, 1분간의 가압 성형을 실시했다.
(주)Rigaku사제의 형광 X선 ZSX Primus 2를 사용하고, 측정 조건은 정성 정량 측정으로, 관전압 60kV, 관전류 50 mA, 측정 시간 40 deg/min으로 측정했다.
(토너의 점탄성 측정법)
동적 점탄성의 측정에는 TA 인스트루먼트 저팬사제 ARES 측정 장치를 사용했다.
토너 약 2g을 정제형성기로 압축성형한 후, 가열로에서 가열한 25 mm의 패럴렐 플레이트(parallel plate)에 놓고 한번 용융시키고, 토너 전체가 용융하였을 때 추가로 1매의 패럴렐 플레이트를 위에서 집어서 세팅하고, 노멀 포스 0으로 한 후, 플레이트 온도 100℃에서 0.1 rad/sec 내지 100 rad/sec의 진동 주파수로 정현 진동을 주면서 점탄성을 측정했다. 계속해서 160℃까지 10℃씩 증가로 플레이트 온도를 승온시키면서 같은 측정을 실시했다. 측정의 인터벌은 30초, 측정 시작 후의 온도 조정 정도는 ± 1.0℃ 이하로 했다. 또한, 측정 중 각 측정 온도에 있어서의 변형량(strain amount)을 적절하게 유지하고, 적정한 측정값이 얻어지도록 적의 조정했다.
이들 각 측정 온도에 있어서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완화 탄성률을 구했다. <토너 입자의 제조>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의 제조)
?테레프탈산 415부
?3-도데세닐무수숙신산 536부
?무수트리멜리트산 90부
?비스페놀 A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780부
?비스페놀 A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 855부
상기 원료를, 스테인리스스틸제 교반기, 유리제 질소 가스 도입관 및 유하식 콘덴서를 구비한 1리터 용량의 4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 중에 투입하고, 이 플라스크를 맨틀 히터에 세팅했다. 그 다음에, 가스 도입관으로부터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스크 내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유지하면서 승온했다. 그 후, 0.15부의 디부틸틴옥시드를 가하여 반응물의 온도를 200℃로 유지하면서, 소정 시간 반응시킴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을 합성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 1의 분자량 분포를 THF 가용분으로 GPC 측정한 바, 하나의 숄더(shoulder)를 포함하여 삼산(三山)의 분자량 분포를 가지고, 각각의 피크의 골짜기, 혹은 숄더에서 분자량을 분할했을 때에, 고분자량측으로부터, M1, M2, M3이라고 했을 때, 중량평균분자량 Mw 1은5.1×105, 수평균분자량 Mn 1은 4.3×105, 중량평균분자량 Mw 2는 9.4×104, 수평균분자량 Mn 2는 8.1×104, M3의 중량평균분자량 Mw 3은 1.2×104, 수평균분자량 Mn 3은 3600이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2의 제조)
?테레프탈산 415부
?푸마르산 174부
?3-도데세닐 무수숙신산 268부
?비스페놀 A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320부
?비스페놀 A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 1370부
수지의 원료를 상기 조성으로 변경한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과 같은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 2를 합성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량 분포를 GPC로 측정한 바, GPC 차트는 일산(一山) 분포로 Mw가 17800, Mn이 6800이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3의 제조)
?테레프탈산 415부
?3-도데세닐무수숙신산 268부
?무수트리멜리트산 270부
?비스페놀 A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780부
?비스페놀 A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 855부
수지의 원료를 상기 조성으로 변경한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과 같은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 3을 합성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 3의 분자량 분포를 GPC로 측정한 바, THF 가용분의 GPC 차트는 일산(一山) 분포로 Mw가 53200, Mn이 14800이었지만 THF 불용분이 34%이었다.
<시안 토너(1) 내지 (8)의 제조>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착색제로서 피그먼트 블루 15:3 (PB 15:3), 이형제 (폴리에틸렌 왁스, FNP0190, 닛폰세이로(日本精蠟)사제), 자외선 흡수제 및 바륨 화합물을 헨셀 믹서로 혼합 후, 연속식 혼련기로 용융 혼련하고, 냉각후 제트식 분쇄기로 분쇄하고, 이어서 관성력 방식의 분급기로 분급하여, 표 1에 나타내는 평균 입경(토너 입경)의 토너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토너 입자에 외첨제로서 티타니아 입자를 토너 입자 100부에 대하여 1.2부, 실리카 입자를 0.8부 첨가하고, 헨셀 믹서로 혼합하여 전자사진용 시안 토너를 얻었다.
<마젠타 토너(1) 내지 (10)의 제조>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착색제로서 피그먼트 레드 122(PR122) 및 피그먼트 레드 238(PR238), 이형제 (폴리에틸렌 왁스, FNP0190, 닛폰세이로사제), 자외선 흡수제, 및, 바륨 화합물을 헨셀 믹서로 혼합 후, 연속식 혼련기로 용융 혼련하고, 냉각후 제트식 분쇄기로 분쇄하고, 이어서 관성력 방식의 분급기로 분급하여, 표 1에 나타내는 평균 입경의 토너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토너 입자에 외첨제로서 티타니아 입자를 토너 입자 100부에 대하여 1.2부, 실리카 입자를 0.8부 첨가하고, 헨셀믹서로 혼합하여 전자사진용 마젠타 토너를 얻었다.
<옐로우 토너(1) 내지 (8)의 제조>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착색제로서 피그먼트 옐로우 74(PY 74), 이형제(폴리에틸렌 왁스, FNP0190, 닛폰세이로사제), 자외선 흡수제 및 바륨 화합물을 헨셀 믹서로 혼합 후, 연속식 혼련기로 용융 혼련하고, 냉각후 제트식 분쇄기로 분쇄하고, 이어서 관성력 방식의 분급기로 분급하여, 표 1에 나타내는 평균 입경의 토너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토너 입자에 외첨제로서 티타니아 입자를 토너 입자 100부에 대하여 1.2부, 실리카 입자를 0.8부 첨가하고, 헨셀믹서로 혼합하여 전자사진용 옐로우 토너를 얻었다.
<캐리어의 제조>
니더에 Mn-Mg 페라이트(평균 입경 50 ㎛: 파우다테크사제)를 1,000부 투입하고,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중합 비율 40:60, 유리 전이 온도 90℃, 중량평균분자량 72,000: 소켄화학(綜硏化學)(주)제) 150부를 톨루엔 700부에 녹인 용액을 가하여, 상온(25℃)에서 20분 혼합한 후, 70℃로 가열하여 감압 건조한 후, 꺼내어 코트 캐리어를 얻었다. 또한 얻은 코트 캐리어를 75 ㎛ 오프닝 메시로 체질, 조분(粗粉)을 제거하여 캐리어(1)를 얻었다.
<현상제의 제조>
캐리어(1)과, 옐로우 토너(1) 내지 (8), 마젠타 토너(1) 내지 (10), 또는, 시안 토너(1) 내지 (8)를, 각각 질량비 95:5의 비율로 V 블렌더에 넣어 20분간 교반하여, 전자사진용 현상제 1 내지 26을 얻었다. 전자사진용 현상제 1 내지 26에 함유되는 토너의 종류는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정착 화상의 형성>
얻어진 전자사진용 현상제를 DocuCentre Color 320CP(후지제롯쿠스(주)제) 개조기의 현상기에 넣고, 단색 화상 및 전자사진학회 테스트 차트 No.5-1을 원고 화상으로 하여 미정착 화상을 출력했다. 또한 용지는 후지제롯쿠스사제 (J지)이었다.
(실시예 1 내지 15, 비교예 1 내지 11)
상기 옐로우 토너(1) 내지 (8), 마젠타 토너(1) 내지 (10), 시안 토너(1) 내지 (8)로 형성된 미정착 화상을 정착 시간(정착시의 가열 시간) 220 msec의 오프라인 정착기를 사용하여 정착 온도 160℃에서 정착하고, 얻어진 화상에 대하여, 테스트 차트 화상에 대하여는 농도 불균일의 유무를 목시(目視)로 평가함과 함께, 단색화상에 대하여는 이하의 장기 자외선 폭로 하의 화상 갈라짐 및 광택도의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한편, 각 토너에 있어서의 정착 시간 220 msec, 정착 온도 160℃에서의 완화 탄성률을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비교예 12 내지 14)
표 4에 나타내는 토너를 함유하는 현상제의 조합으로, 하기 2종류의 정착 매체에 단색 및 프로세스 블랙(3색 중첩 화상)을 정착하고, 각각, 실시예 1 내지 16, 비교예 1 내지 10과 같이 하여 이하의 장기 자외선 폭로 하의 화상 갈라짐 및 광택도의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식품용 라벨지
?표면에 티타니아 입자를 함유하는 백색계 도료를 도포한 스티커 용지
<장기 자외선 폭로 하의 화상 갈라짐>
실시예 1 내지 16, 비교예 1 내지 14의 정착 화상에 대하여, 탁상형 폭로 시험기 ((주) 도요세이키세이사쿠쇼(東洋精機製作所)제: SUNTEST CPS+)을 사용하여 정착 화상의 자외선 폭로 가속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광원은 크세논 아크 램프(100K 룩스 540W/m2)을 사용하고,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약 20cm가 되도록 정착 상을 배치하고, 습도 50%, 표준 흑색체의 표면온도가 43℃가 되는 환경 하에서, 조사 테스트를 실시했다. 또한 상기 습도와 표준 흑색체의 표면 온도는 시험기의 환경 등에 따라 약간의 폭을 가지며, 구체적으로는 습도는 50±5%, 표준 흑색체의 표면 온도는 43±5℃이었다. 조사 시간은 600시간, 1200시간, 2400시간이며 조사 후의 갈라짐에 대해서는, 목시로 평가했다.
<광택도의 평가>
광택도에 대해서는, 그로스 미터(gross meter)로 화상의 광택도를 측정했다. 자외선 조사 전 및 자외선 조사 후의 광택도를 측정하고, 조사 전후에서 광택도를 비교하고, 이하의 시점으로 그레이드를 매겨 평가했다.
A: 조사 전후의 광택도의 차는 5 미만으로 허용 수준이다.
B: 조사 전후의 광택도의 차는 5 이상 12 미만으로 허용 수준이다.
C: 조사 전후의 광택도의 차가 12 이상 20 미만의 사이이며 광택도, 발색성의 저하가 확인된다.
D: 조사 전후의 광택도의 차가 20 이상이며, 화상으로서의 열화가 현저하다.
표 3의 결과로부터 이하가 분명하다. 즉, 본 실시형태의 토너를 사용함에 의해, 농도 불균일의 발생이 없고 적도의 광택도를 가진 화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자외선에 의한 장기 폭로 하에 있어서도 화상의 갈라짐이나 광택도의 저하가 없는 우수한 화상보존성을 갖는 도큐먼트를 제공 가능하다. 또한, 표 4의 결과로, 정착재가 종이 이외의 라벨지나 스티커 용지에 있어서도, 본 실시형태의 토너는 우수한 화상보존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 1]
Figure pat00001


토너 명

바륨 화합물 종

Ba 정량값
(%)
정착시의 가열시간
220mmsec 정착 온도
160℃의 완화 탄성률(Pa)
실시예 1 현상제 1 시안토너 1 붕산바륨 0.153 1.9×103
실시예 2 현상제 2 시안토너 3 탄산바륨 0.176 1.7×103
실시예 3 현상제 3 시안토너 4 크롬산바륨 0.195 1.8×103
실시예 4 현상제 4 시안토너 5 티탄산바륨 0.495 1.9×103
실시예 5 현상제 5 시안토너 6 황산바륨 0.217 1.8×103
실시예 6 현상제 6 마젠타토너 1 장배선석 미분말 0.105 1.5×103
실시예 7 현상제 7 마젠타토너 2 철산바륨 0.118 1.6×103
실시예 8 현상제 8 마젠타토너 3 붕산바륨 0.121 2.1×103
실시예 9 현상제 9 마젠타토너 4 티탄산바륨 0.289 2.0×103
실시예 10 현상제 10 마젠타토너 5 크롬산바륨 0.183 1.9×103
실시예 11 현상제 11 옐로우토너 1 철산바륨 0.210 1.7×103
실시예 12 현상제 12 옐로우토너 2 탄산바륨 0.124 1.6×103
실시예 13 현상제 13 옐로우토너 3 티탄산바륨 0.498 2.1×103
실시예 14 현상제 14 옐로우토너 5 니켈티탄옐로우 0.102 1.4×103
실시예 15 현상제 15 옐로우토너 7 중토장석 미분말 0.156 1.7×103
비교예 1 현상제 16 시안토너 2 염화바륨 0.098 1.6×103
비교예 2 현상제 17 시안토너 7 황산바륨 0.217 1.9×102
비교예 3 현상제 18 시안토너 8 티탄산바륨 0.256 3.1×103
비교예 4 현상제 19 마젠타토너 6 크롬산바륨 0.231 1.8×102
비교예 5 현상제 20 마젠타토너 7 황산바륨 0.365 3.1×103
비교예 6 현상제 21 마젠타토너 8 황산바륨 0.097 2.0×103
비교예 7 현상제 22 마젠타토너 9 황산바륨 0.506 1.7×103
비교예 8 현상제 23 마젠타토너 10 - 0.000 1.6×103
비교예 9 현상제 24 옐로우토너 4 티탄산바륨 0.356 1.8×102
비교예 10 현상제 25 옐로우토너 6 황산바륨 0.502 2.2×103
비교예 11 현상제 26 옐로우토너 8 크롬산바륨 0.190 3.4×103
[표 3]
Figure pat00002
[표 4]
Figure pat00003

Claims (17)

  1. 결착 수지, 착색제, 및, 바륨 화합물을 함유하는 전자사진용 토너이며,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한 완화 시간 t=10×Dt (Dt:정착시의 가열 시간)에 있어서의 토너의 완화 탄성률 G(t)가 2.0×102 Pa 이상 3.0×103 Pa 이하이며, 또한, 형광 X선에 의한 토너의 전 구성 원자량에 대한 바륨 함유량〔Ba〕이, 0.1% 이상 0.5% 이하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2. 제1항에 있어서,
    바륨 화합물이 탄산바륨, 티탄산바륨, 황산바륨, 붕산바륨, 티탄니켈바륨옐로우로부터 선택되는,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3. 제1항에 있어서,
    형광 X선에 의한 토너의 전 구성 원자량에 대한 바륨 함유량〔Ba〕이, 0.12% 이상 0.45% 이하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4. 제1항에 있어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한 완화 시간 t=10×Dt (Dt:정착시의 가열 시간)에 있어서의 토너의 완화 탄성률 G(t)가 2.3×102 Pa 이상 2.8×103 Pa 이하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5. 제1항에 있어서,
    결착 수지가, 적어도 3개의 피크(peak) 혹은 숄더(shoulder)를 갖는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6. 제5항에 있어서,
    결착 수지가, 고분자량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피크의 골짜기 혹은 숄더부에서 분자량을 분할했을 때에, 고분자량측으로부터 각각 M1, M2, M3으로 하면, M1의 중량평균분자량 Mw1은 5.0×105 이상 7.2×105 이하, 수평균분자량 Mn1은 4.0×105 이상 5.0×105 이하, M2의 중량평균분자량 Mw2는 8.0×104 이상 1.2×105 이하, 수평균분자량 Mn2는 8.0×104 이상 9.5×104 이하, M3의 중량평균분자량 Mw3은 1.0×104 이상 1.5×104 이하, 수평균분자량 Mn3은 3500 이상 4500 이하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7. 제1항에 있어서,
    토너가 자외선 흡수제를 더 함유하는,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가, 히드록시벤조페논계의 자외선 흡수제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9. 제1항 기재의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와 캐리어를 갖는 정전하상 현상용 현상제.
  10. 제9항에 있어서,
    바륨 화합물이 탄산바륨, 티탄산바륨, 황산바륨, 붕산바륨, 티탄니켈바륨옐로우로부터 선택되는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갖는, 정전하상 현상용 현상제.
  11. 제9항에 있어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한 완화 시간 t=10×Dt (Dt:정착시의 가열 시간)에 있어서의 토너의 완화 탄성률 G(t)가 2.3×102 Pa 이상 2.8×103 Pa 이하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갖는, 정전하상 현상용 현상제.
  12. 용기 내에 제1항 기재의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함유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 가능한 토너 카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용기 내의 체적의 90% 이상의 범위로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토너 카트리지.
  14. 정전 잠상 유지체와,
    상기 정전 잠상 유지체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 수단과,
    상기 정전 잠상 유지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정전 잠상 형성 수단과,
    제9항 기재의 정전하상 현상용 현상제를 수납함과 함께, 상기 정전 잠상 유지체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정전 잠상을 당해 정전하 현상용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현상 수단과, 상기 토너 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의 토너 상을 정착하는 정착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한 완화 시간 t=10×Dt (Dt:정착시의 가열 시간)에 있어서의 토너의 완화 탄성률 G(t)가 2.3×102 Pa 이상 2.8×103 Pa 이하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정전 잠상 유지체의 표면을 대전하는 대전 공정과,
    대전한 상기 정전 잠상 유지체의 표면에 정전하상을 형성하는 정전 잠상 형성 공정과,
    제9항 기재의 정전하 현상용 현상제를 수납함과 함께, 상기 정전 잠상 유지체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 상을 형성하는 현상 공정과,
    상기 토너 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공정과,
    상기 기록 매체의 토너 상을 정착하는 정착 공정을 갖는 화상 형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부터 구한 완화 시간 t=10×Dt (Dt:정착시의 가열 시간)에 있어서의 토너의 완화 탄성률 G(t)가 2.3×102 Pa 이상 2.8×103 Pa 이하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갖는, 화상 형성 방법.
KR1020110115750A 2011-03-28 2011-11-08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정전하상 현상용 현상제, 토너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KR101528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71239A JP5747603B2 (ja) 2011-03-28 2011-03-28 電子写真用トナー、電子写真用現像剤、及び、画像形成方法
JPJP-P-2011-071239 2011-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980A true KR20120109980A (ko) 2012-10-09
KR101528320B1 KR101528320B1 (ko) 2015-06-11

Family

ID=4690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750A KR101528320B1 (ko) 2011-03-28 2011-11-08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정전하상 현상용 현상제, 토너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85602B2 (ko)
JP (1) JP5747603B2 (ko)
KR (1) KR101528320B1 (ko)
CN (1) CN1027075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4287B2 (en) * 2017-12-04 2020-08-25 Konica Minolta, Inc. Image post-processing method, image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4619A (en) 1972-12-18 1974-04-16 Xerox Corp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ing process
JPS5123354B2 (ko) 1973-01-16 1976-07-16
JPS556895B2 (ko) 1974-04-10 1980-02-20
JPS5123354A (ja) 1974-08-20 1976-02-24 Silver Seiko Amiki
JPS5640868A (en) 1979-09-13 1981-04-17 Fuji Xerox Co Ltd Exfoliation aid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ic copier
JPS6299763A (ja) * 1985-10-28 1987-05-09 Canon Inc 磁性トナ−
JPH06118684A (ja) 1992-10-05 1994-04-28 Brother Ind Ltd トナー
JPH06148928A (ja) 1992-11-02 1994-05-27 Brother Ind Ltd トナー
JPH07120973A (ja) 1993-10-28 1995-05-12 Dainippon Ink & Chem Inc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JPH0980797A (ja) 1995-09-19 1997-03-28 Ricoh Co Ltd 電子写真用トナー
US5935752A (en) * 1996-11-22 1999-08-10 Minolta Co., Ltd.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s
JP3241003B2 (ja) * 1998-09-03 2001-12-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静電荷現像用ト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現像剤、並びに画像形成方法
JP2003241414A (ja) * 2002-02-22 2003-08-27 Fuji Xerox Co Ltd 透明トナー及び該透明トナーを用いた被覆方法、画像体及び電子写真方式画像形成装置
JP2004061813A (ja) 2002-07-29 2004-02-26 Toppan Forms Co Ltd 電子写真方式用トナー、電子写真方式用現像剤、画像、シート
JP2004061818A (ja) 2002-07-29 2004-02-26 Toppan Forms Co Ltd 電子写真方式用トナー、電子写真方式用現像剤、画像、シート
JP4417683B2 (ja) * 2003-10-14 2010-02-17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紫外線遮蔽性組成物および紫外線遮蔽性加工物品
JP2006259088A (ja) * 2005-03-16 2006-09-28 Ricoh Co Ltd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8102434A (ja) * 2006-10-20 2008-05-01 Fuji Xerox Co Ltd 静電荷現像用イエロートナー、静電荷現像用マゼンタトナー、静電荷現像用現像剤、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245453B2 (ja) 2008-02-27 2013-07-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トナー用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静電荷像現像トナー、静電荷像現像剤、画像形成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5071223B2 (ja) * 2008-04-23 2012-11-1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JP2012203070A (ja) * 2011-03-24 2012-10-2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電子写真用シアント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85602B2 (en) 2014-04-01
CN102707591A (zh) 2012-10-03
JP2012203405A (ja) 2012-10-22
CN102707591B (zh) 2016-08-03
US20120251935A1 (en) 2012-10-04
JP5747603B2 (ja) 2015-07-15
KR101528320B1 (ko)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413B1 (ko) 전자 사진용 마젠타 토너, 현상제, 토너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JP4622846B2 (ja) 電子写真用トナーセット、電子写真用現像剤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US7303846B2 (en) Electrophotographic toner,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rocess for forming image
US8389187B2 (en) Transparent toner for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er, toner cartridge,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9222956A (ja) 電子写真用フルカラートナーの製造方法
JP201125747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7003944A (ja) 電子写真用トナーセット、電子写真用現像剤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2010113368A (ja) 電子写真用トナーセット、電子写真用現像剤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3782657B2 (ja) 乾式トナー
JP3407526B2 (ja) 静電潜像現像用黒色トナー
JP2006267980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静電荷像現像剤、画像形成方法
JP4076996B2 (ja) 電子写真用トナー
KR20120109980A (ko)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정전하상 현상용 현상제, 토너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JP2013068743A (ja) 画像形成方法
JP3755353B2 (ja) 画像形成方法
JP2018054739A (ja) 静電荷像現像剤、現像剤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22016989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5249968A (ja) 電子写真用トナー、電子写真用現像剤、及びそれら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2001305794A (ja) 電子写真用トナー、電子写真用現像剤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8052021A (ja) 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静電潜像現像用現像剤、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11768447B2 (en) Toner for developing an electrostatic charge image and an image forming method
JP2002357927A (ja) 光定着用のトナ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3207926A (ja) 乾式トナー
US20230324823A1 (en) Resin particles, toner, developer, toner hous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image
JP2011008029A (ja) 光定着用トナー、静電荷像現像剤、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