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946A -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946A
KR20120107946A KR1020127013141A KR20127013141A KR20120107946A KR 20120107946 A KR20120107946 A KR 20120107946A KR 1020127013141 A KR1020127013141 A KR 1020127013141A KR 20127013141 A KR20127013141 A KR 20127013141A KR 20120107946 A KR20120107946 A KR 20120107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thane resin
parts
acid
degreec
di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316B1 (ko
Inventor
야스히로 츠도
마사키 이나바
신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산요가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가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가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08G18/12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using two or more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the first polymeris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2Alkanols, cycloalkanols or arylalkanols including terpenealcohols
    • C08G18/2825Alkanols, cycloalkanols or arylalkanols including terpenealcohols having at least 6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2Two or more polyest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1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1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08G18/4213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from terephthalic acid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1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08G18/421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from mixtures or combinations of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40/00Compositions for moulding pow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20Compositions for hot melt adhe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저온 용융성이 우수하고, 또한 성형물의 인장 강도, 신장 모두 우수한 슬러시 성형용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분자 디올 (A) 와 디이소시아네이트 (B) 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로서, 고분자 디올 (A) 가 0 ? 70 ℃ 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디올 (A1), 및 그 (A1) 의 용해도 파라미터보다 1.2 ? 3.0 낮은 용해도 파라미터를 갖고, 또한 -40 ? -75 ℃ 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고분자 디올 (A2) 를 함유하는 열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D) 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THERMOPLASTIC URETHANE RESIN}
본 발명은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심지 (芯地) 와의 접착성, 내수세탁성, 및 내드라이클리닝성을 개량하기 위해, 열기계 분석 침입 (針入) 방식에 의한 연화 개시 온도와 연화 종료 온도의 차이, 및 연화 개시 온도를 특정한 범위로 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핫멜트 접착제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것을 슬러시 성형용 재료에도 사용된다는 요지가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 분체 도료, 전자 사진 토너, 정전 기록 토너에 사용되는 수지 입자에 관하여, 결정화도와 융점 및 분자량을 조정함으로써 저온 용융 가능한 수지 입자가 제안되어 있고, 이것을 슬러시 성형용 재료에도 사용된다는 요지가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3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5936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5053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89633호
그러나, 슬러시 성형용 재료, 특히 자동차 내장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슬러시 성형시의 용융성이 우수하고, 또한 성형물의 인장 강도, 신장이 우수할 것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우레탄계 재료에 주목한 경우, 이들 특성을 모두 충분히 만족하는 슬러시 성형용 재료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저온 용융성이 우수하고, 또한 성형물의 인장 강도, 신장모두 우수한 슬러시 성형용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고분자 디올 (A) 와 디이소시아네이트 (B) 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로서, 고분자 디올 (A) 가 0 ? 70 ℃ 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디올 (A1), 및 그 (A1) 의 용해도 파라미터보다 1.2 ? 3.0 낮은 용해도 파라미터를 갖고, 또한 -40 ? -75 ℃ 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고분자 디올 (A2) 를 함유하는 열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D) ; 그 열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D) 를 함유하는 열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K) ; 그 열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K) 및 첨가제 (F) 를 함유하는 슬러시 성형용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 그 열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K) 또는 그 슬러시 성형용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를 열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우레탄 수지 성형물이다.
본 발명의 열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D) 를 함유하는 슬러시 성형용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는 저온 용융성이 우수하고, 또한 그 성형물의 인장 강도, 신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열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D)[이하, 우레탄 수지 (D) 라고 약기한다] 는, 고분자 디올 (A) 와 디이소시아네이트 (B) 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로서, 고분자 디올 (A) 가 0 ? 70 ℃ 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디올 (A1), 및 그 (A1) 의 용해도 파라미터보다 1.2 ? 3.0 낮은 용해도 파라미터를 갖고, 또한 -40 ? -75 ℃ 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고분자 디올 (A2)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 은 0 ? 70 ℃ 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 로서는, 탄소수 2 ? 4 의 지방족 디올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 중축합되어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 ? 4 의 지방족 디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및 1,4-부탄디올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이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t-부틸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비페닐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오르토프탈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프탈산 (G)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혼합물, 및 테레프탈산과 오르토프탈산의 혼합물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의 혼합물이다.
구체적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오르토프탈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프탈산 (G) 와 에틸렌글리콜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디올 (A11) 그리고, 그 (G) 와 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디올 (A12)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성형물의 인장 강도, 신장의 관점에서 (A11) 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는 프탈산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오르토프탈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 은, 탄소수 2 ? 4 의 지방족 디올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산무수물 (예를 들어, 무수 프탈산), 저급 알킬에스테르 (예를 들어,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산할라이드 (예를 들어, 프탈산클로라이드)] 가 중축합되어 얻어진다.
폴리에스테르디올 중에 함유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단일 성분이어도 되지만, 2 성분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산 성분이 2 성분인 경우에는,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오르토프탈산, 이소프탈산/오르토프탈산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고, 그 몰비는 통상, 50/50 이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 의 유리 전이 온도 (이하, Tg 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가 0 ℃ 보다 낮은 경우에는 우레탄 수지 (D) 의 내열성이 악화되고, 70 ℃ 보다 높은 경우에는 고분자 디올 (A) 의 융점이 높아져, 우레탄화 반응이 곤란해진다.
(A1) 의 Tg 는 바람직하게는 10 ? 6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50 ℃ 이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 의 수평균 분자량은 800 ? 5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 ? 4000 이 더욱 바람직하고, 900 ? 3000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고분자 디올 (A2) 는 폴리에스테르디올 (A1) 의 용해도 파라미터 (이하, SP 값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보다 1.2 ? 3.0 낮은 SP 값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1.5 ? 2.5 낮은 SP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D) 는 폴리에스테르디올 (A1) 과 고분자 디올 (A2) 의 SP 값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양자가 미크로 상분리됨으로써, (A1) 이 엘라스토머의 하드 세그먼트, (A2) 가 소프트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A1) 의 SP 값] -[(A2) 의 SP 값] 을 △SP 로 나타낸다.
△SP 가 1.2 미만에서는 (A1) 과 (A2) 의 상용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A1) 과 (A2) 는, 모두 소프트 세그먼트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인장 강도가 높아지지 않는다.
△SP 가 3.0 을 초과하는 고분자 디올 (A) 는, 우레탄화 반응시에 2 상분리되기 때문에, 우레탄 수지로 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고분자 디올 (A2) 는, -40 ? -75 ℃ 의 Tg 를 갖는다.
-40 ℃ 를 초과하면, 우레탄 수지 (D) 의 저온 (예를 들어 -35 ℃) 인장 물성이 악화된다. -75 ℃ 보다 낮은 Tg 를 갖는 통상의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는 얻어지지 않는다.
고분자 디올 (A2) 로서는, 지방족 디올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이 중축합되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디올 (A21), 락톤 모노머로 합성되는 폴리에스테르디올 (A22), 폴리에테르디올 (A23) 및 폴리에테르에스테르디올 (A24) 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21) 에 있어서, 지방족 디올로서는, 탄소수 2 ? 10 의 지방족 디올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글리콜, 1,10-데칸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탄소수 4 ? 15 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숙신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크산, 푸마르산 및 말레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22) 에 있어서, 락톤 모노머로서, 탄소수 4 ? 12 의 락톤, 예를 들어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ε-카프로락톤 및 이들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디올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디올 (A23) 으로서는, 2 개의 수산기 함유 화합물 (예를 들어 상기 저분자 디올, 2 가의 페놀류 등) 에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2 가의 페놀류로서는 비스페놀류[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 등], 단고리 페놀류[카테콜, 하이드로퀴논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바람직한 것은, 2 가 페놀류에 알킬렌옥사이드가 부가된 것이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2 가 페놀류에 에틸렌옥사이드 (이하 EO 라고 기재) 가 부가된 것이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디올 (A24) 로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디올에 있어서 원료인 저분자 디올 대신에 상기 폴리에테르디올을 사용한 것,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테르디올의 1 종 이상과 상기 폴리에스테르디올의 원료로서 예시한 디카르복실산의 1 종 이상을 축중합시켜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디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디올 (A2) 는 내열성, 내광성의 관점에서 에테르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에틸렌글리콜과 탄소수 6 ? 15 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디올, 탄소수가 4 ? 10 인 지방족 디올과 탄소수 4 ? 15 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디올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페이트, 폴리헥사메틸렌아디페이트, 폴리헥사메틸렌이소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2) 의 수평균 분자량은 800 ? 5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 ? 4000 이 더욱 바람직하고, 900 ? 3000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는 시차 주사 열량 분석 (DSC) 으로 측정된다.
기기 : RDC220 로봇 DSC[세이코 인스투르먼트 (주) 제조]
측정 조건 : 샘플량 5 ㎎.
(1) -100 ℃ 로부터 승온 속도 20 ℃/min 으로 100 ℃ 까지 승온시켜, 100 ℃ 에서 10 분 유지.
(2) 100 ℃ 로부터 냉각 속도 -90 ℃/min 으로 -100 ℃ 까지 냉각시켜, -100 ℃ 에서 10 분 유지.
(3) -100 ℃ 로부터 승온 속도 20 ℃/min 으로 100 ℃ 까지 승온시킨다.
해석 방법 : 2 번째 승온시의 DSC 곡선의 피크 접선의 교점을 유리 전이 온도로 한다.
용해도 파라미터는, Fedors 법에 의해 계산된다.
또한, 용해도 파라미터는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SP 값 (δ) = (ΔH/V)1/2
단, 식 중, ΔH 는 몰증발열 (㎈/㏖) 을, V 는 몰체적 (㎤/㏖) 을 나타낸다.
또, ΔH 및 V 는, 「POLYMER ENGINEERING AND FEBRUARY, 1974, Vol. 14, No. 2, ROBERT F. FEDORS. (151 ? 153 페이지)」에 기재된 원자단의 몰증발열의 합계 (ΔH) 와 몰체적의 합계 (V) 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수치가 가까운 것끼리는 서로 섞이기 쉽고 (상용성이 높다), 이 수치가 떨어져 있는 것은 섞이기 어려운 것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고분자 디올 (A) 는 폴리에스테르디올 (A1) 및 고분자 디올 (A2) 를 함유하는데, (A2) 가 폴리에스테르디올 (A21) 인 경우에는, 추가로 하기 폴리에스테르디올 (A3 ) 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3) 을 함유시킴으로써, (A) 의 융점이 낮아지고, 핸들링성이 향상된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3) : 에틸렌글리콜과 탄소수 4 ? 10 의 지방족 디올과,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오르토프탈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프탈산 (G) 와 탄소수 4 ? 15 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디올
(A3) 중,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디올 (A1) 과 폴리에스테르디올 (A21) 을 160 ? 220 ℃ 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A1) 과 (A21) 의 혼합비 (중량) 는 (A1)/(A21) 이 0.5 ? 5 인 것이 바람직하다.
(A3) 의 함유량은 (A1) 의 중량에 대해 5 ? 100 중량% 가 바람직하고, 5 ? 70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5 ? 50 중량% 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D) 를 구성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B) 로서는, (ⅰ) 탄소수 (NCO 기 중의 탄소를 제외하고, 이하 동일) 2 ? 18 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디이소시아네이트, 2,6-디이소시아나토메틸카프로에이트, 비스(2-이소시아나토에틸)푸말레이트, 비스(2-이소시아나토에틸)카보네이트, 2-이소시아나토에틸-2,6-디이소시아나토헥사노에이트 등] ; (ⅱ) 탄소수 4 ? 15 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MDI),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TDI), 비스(2-이소시아나토에틸)-4-시클로헥센 등] ; (ⅲ) 탄소수 8 ? 15 의 방향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m- 및/또는 p-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XDI), α,α,α',α'-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MXDI) 등] ;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구체예로서는, 1,3-및/또는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또는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DI), 미정제 TDI, 2,4'- 및/또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DI), 4,4'-디이소시아나토비페닐, 3,3'-디메틸-4,4'-디이소시아나토비페닐, 3,3'-디메틸-4,4'-디이소시아나토디페닐메탄, 미정제 MDI,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4"-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m- 및 p-이소시아나토페닐술포닐이소시아네이트 등 ; (ⅴ) 이들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변성물 (카보디이미드기, 우레트디온기, 우레트이민기, 우레아기 등을 갖는 디이소시아네이트 변성물) ; 및 이들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바람직한 것은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이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HDI, IPDI, 수소 첨가 MDI 이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D) 는 고분자 디올 (A) 와 디이소시아네이트 (B) 를 반응시켜 얻어지는데, 추가로 저분자 디아민 혹은 저분자 디올 (C) 를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분자 디아민 혹은 저분자 디올 (C) 의 구체예는 이하와 같다.
지방족계 디아민으로서는, 탄소수 6 ? 18 의 지환족 디아민 [4,4'-디아미노-3,3'-디메틸디시클로헥실메탄,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디아미노시클로헥산, 이소포론디아민 등] ; 탄소수 2 ? 12 의 지방족 디아민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 ; 탄소수 8 ? 15 의 방향 지방족 디아민 [자일릴렌디아민, α,α,α',α'-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아민 등] 및 이들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바람직한 것은 지환족 디아민 및 지방족 디아민이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이소포론디아민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이다.
저분자 디올의 구체예로서는, 탄소수 2 ? 8 의 지방족 디올류[직사슬 디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등), 분기사슬을 갖는 디올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1,2-, 1,3- 혹은 2,3-부탄디올 등) 등] ; 고리형기를 갖는 디올류[탄소수 6 ? 15 의 지환기 함유 디올〔1,4-비스(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등], 탄소수 8 ? 20 의 방향고리 함유 디올 (m- 혹은 p-자일릴렌글리콜 등), 비스페놀류 (비스페놀 A, 비스페놀 S, 비스페놀 F 등) 의 옥시알킬렌에테르, 다핵 페놀류 (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 등) 의 옥시알킬렌에테르, 비스(2-하이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 등] ; 이들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분자량 500 미만) 및 이들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저분자 디올 중 바람직한 것은 지방족 디올 및 지환기 함유 디올이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 과 고분자 디올 (A2) 의 중량비는, 인장 강도와 신장의 양립의 관점에서 5/95 ? 80/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90 ? 50/50 이 더욱 바람직하고, 20/80 ? 40/60 이 가장 바람직하다.
(A1) 이 우레탄기, 우레아기와 동일한 하드 세그먼트의 작용을 함으로써, 고물성이 발현되고,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의 용융성에 영향이 큰 우레아기, 우레탄기 농도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용융성이 향상되고, 또한 물성과의 양립이 가능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용해도 파라미터가 높은 응집력이 강한 폴리에스테르디올과 용해도 파라미터가 낮은 고분자 디올의 조합에 의해,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의 특징인 용해성과, 인장 강도, 신장, 내마모성의 양립이 가능해진다. 이 특성은 특히 양자의 중량비가 (A1)/(A2) 가 5/95 ? 80/20 으로 현저하게 나타난다.
우레탄 수지 (D) 의 수평균 분자량은 1.0 ? 4.0 만이고, 저온 용융성과 고인장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 ? 3.5 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3.0 만이다.
우레탄 수지 (D) 의 분자량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1 관능의 알코올로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우레탄 프레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일부 블록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모노올로서는, 탄소수 1 ? 8 의 지방족 모노올류[직사슬 모노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옥탄올 등), 분기사슬을 갖는 모노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네오펜틸알코올, 3-메틸-펜탄올, 2-에틸헥산올) 등] ; 탄소수 6 ? 10 의 고리형기를 갖는 모노올류[지환기 함유 모노올 (시클로헥산올 등), 방향고리 함유 모노올 (벤질알코올 등) 등] 및 이들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바람직한 것은 지방족 모노올이다. 또 고분자 모노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모노올, 폴리에테르 모노올,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모노올 및 이들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D) 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1) 미리 폴리에스테르디올 (A1) 과 고분자 디올 (A2) 의 혼합물을 함유시킨 고분자 디올 (A) 와 디이소시아네이트 (B) 를 반응시켜,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 (U) 를 제조해 두고, 이어서 필요에 따라 그 프레폴리머 (U) 와 저분자 디아민 혹은 저분자 디올 (C) 를 혼합하여 신장시켜 우레탄 수지로 하는 방법. 또,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 (U) 를 수중에서 혼합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 (U) 의 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물을 반응시켜 우레탄 수지로 하는 방법.
(2) (A), (B) 및 필요에 따라 (C) 를 원 쇼트로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 수지 (D) 를 제조할 때의 반응 온도는, 우레탄화를 실시할 때 통상 채용되는 온도와 동일해도 되고,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20 ? 100 ℃ 이며, 용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통상 20 ? 140 ℃, 바람직하게는 80 ? 130 ℃ 이다. 상기 프레폴리머화 반응에 있어서,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폴리우레탄에 통상 사용되는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아민계 촉매[트리에틸아민, N-에틸모르폴린, 트리에틸렌디아민 등], 주석계 촉매[트리메틸틴라우레이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말레이트 등]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 수지 (D) 의 190 ℃ 의 용융 점도는, 우레탄 수지 (D) 의 저온 용융성이 양호하다는 관점에서, 500 ? 2000 Pa?s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 1000 Pa?s℃ 이다.
(D) 의 130 ℃ 의 저장 탄성률 G' 는, 내열성의 관점에서, 2.0×106 ? 1.0×108 dyn/㎠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6 ? 5.0×107 dyn/㎠ 이다.
(D) 의 180 ℃ 의 저장 탄성률 G' 는, 저온 용융성의 관점에서, 1.0×103 ? 1.0×105 dyn/㎠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3 ? 5.0×104 dyn/㎠ 이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D) 를 입자로 함으로써, 핫멜트형 접착제, 슬러시 성형용 파우더 등으로의 응용이 가능해진다. 열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K)[이하, 우레탄 수지 입자 (K) 로 약기한다] 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1) 폴리에스테르디올 (A1) 및 고분자 디올 (A2) 를 용융 혼합한 후, 이들 수산기와 디이소시아네이트 (B) 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비가 1 : 1.2 ? 1 : 4.0 이 되도록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 프레폴리머 (U) 를, 물 및 분산 안정제 존재하에서, 필요에 따라 저분자 디올, 혹은 저분자 디아민 (C) 로 신장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E) 를 제조할 수 있다.
저분자 디아민은 블록된 직사슬 지방족 디아민 (C) (예를 들어 케티민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2) 상기 우레탄 프레폴리머 (U) 를 비극성 유기 용매 및 분산 안정제 존재하에서, 저분자 디올 혹은 저분자 디아민 (C) 로 신장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E) 를 제조할 수 있다.
(3) 디이소시아네이트 (B) 와 고분자 디올 (A) 와 저분자 디올 혹은 저분자 디아민 (C) 를 반응시킴으로써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괴상물을 얻는다. 이어서 분말화 (예를 들어 냉동 분쇄, 용융 상태하에 세공을 통해 절단하는 방법) 하는 방법으로 (E) 를 제조할 수 있다.
우레탄 수지 입자 (K) 의 체적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10 ? 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300 ㎛ 이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입자 (K) 는 우레탄 수지 (D) 이외에 첨가제 (F) 를 첨가하여, 슬러시 성형용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이하,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로 약기한다] 로 할 수 있다. 첨가제 (F) 로서는 무기 필러, 안료, 가소제, 이형제, 유기 충전제, 블로킹 방지제, 안정제 및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필러는 카올린, 탤크, 실리카, 산화티탄, 탄산칼슘, 벤토나이트, 마이카, 세리사이트, 유리 프레이크, 유리 섬유, 흑연,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삼산화안티몬, 황산바륨, 붕산아연,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월라스트나이트, 조노트라이트, 위스커 및 금속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열가소성 수지의 결정화 촉진의 관점에서, 카올린, 탤크, 실리카, 산화티탄 및 탄산칼슘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카올린 및 탤크이다.
무기 필러의 체적 평균 입자 직경 (㎛) 은, 열가소성 수지 중으로의 분산성의 관점에서, 0.1 ? 30 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10 이다.
무기 필러의 첨가량 (중량%) 은, (D) 의 중량에 대해, 0 ? 40 이 바람직하고, 1 ? 20 이 보다 바람직하다.
안료 입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유기 안료 및/또는 무기 안료를 사용할 수 있고, (D) 100 중량부당, 통상 1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부 배합된다. 유기 안료로서는, 예를 들어 불용성 혹은 용성 아조 안료, 구리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등을 들 수 있고, 무기계 안료로서는, 예를 들어 크롬산염, 페로시안 화합물, 금속 산화물 (산화티탄, 산화철,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등), 금속염류[황산염 (황산바륨 등), 규산염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등), 탄산염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등), 인산염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등) 등], 금속 분말 (알루미늄 분말, 철 분말, 니켈 분말, 구리 분말 등), 카본블랙 등을 들 수 있다. 안료의 평균 입경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 0.05 ? 5.0 ㎛ 이며, 바람직하게는 0.02 ? 1 ㎛ 이다.
안료 입자의 첨가량 (중량%) 은 (D) 의 중량에 대해, 0 ? 5 가 바람직하고, 1 ? 3 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소제로서는, 프탈산에스테르 (프탈산디부틸, 프탈산디옥틸, 프탈산디부틸벤질 및 프탈산디이소데실 등) ; 지방족 2 염기산 에스테르 (아디프산디-2-에틸헥실 및 세바크산-2-에틸헥실 등) ; 트리멜리트산에스테르 (트리멜리트산트리-2-에틸헥실 및 트리멜리트산트리옥틸 등) ; 지방산 에스테르 (올레산부틸 등) ; 지방족 인산에스테르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트리-2-에틸헥실포스페이트 및 트리부톡시포스페이트 등) ;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트리페닐포스테이트, 트리크레질포스페이트, 트리자일레닐포스페이트, 크레질디페닐포스페이트, 자일레닐디페닐포스페이트, 2-에틸헥실디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스(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등) ; 할로겐 지방족 인산에스테르 (트리스(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트리스(β-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스(디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및 트리스(트리브로모네오펜틸)포스페이트 등) ; 및 이들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가소제의 첨가량 (중량%) 은, (D) 의 중량에 대해, 0 ? 50 이 바람직하고, 5 ? 20 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형제로서는 공지된 이형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불소 화합물형 이형제 (인산트리퍼플루오로알킬 (탄소수 8 ? 20) 에스테르, 예를 들어, 트리퍼플루오로옥틸포스페이트 및 트리퍼플루오로도데실포스페이트 등) ; 실리콘 화합물형 이형 제 (디메틸폴리실록산, 아미노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카르복실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등), 지방산 에스테르형 이형제 (탄소수 10 ? 24 의 지방산의 모노 또는 다가 알코올에스테르, 예를 들어, 부틸스테아레이트, 경화 피마자유 및 에틸렌글리콜모노스레아레이트 등) ; 지방족 산아미드형 이형제 (탄소수 8 ? 24 의 지방산의 모노 또는 비스아미드, 예를 들어, 올레산아미드, 팔미트산아미드, 스테아르산아미드 및 에틸렌디아민의 디스테아르산아미드 등) ; 금속 비누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스테아르산아연 등) ; 천연 또는 합성 왁스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타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 등) ; 및 이들 2 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형제의 첨가량 (중량%) 은 (D) 의 중량에 대해, 0 ? 1 이 바람직하고, 0.1 ? 0.5 가 보다 바람직하다.
안정제란, 분자 중에 탄소-탄소 이중 결합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에틸렌 결합 등) (단 방향고리 중의 이중 결합은 제외한다), 탄소-탄소 삼중 결합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아세틸렌 결합) 을 갖는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메트)아크릴산과 다가 알코올 (2 ? 10 가의 다가 알코올, 이하 동일) 의 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 ; (메트)알릴알코올과 2 ? 6 가의 다가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디알릴 프탈레이트 및 트리멜리트산트리알릴에스테르 등) ; 다가 알코올의 폴리(메트)알릴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메트)알릴에테르 등) ; 다가 알코올의 폴리비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등) ; 다가 알코올의 폴리프로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프로페닐에테르 등) ; 폴리비닐벤젠 (디비닐벤젠 등) 및 이들 2 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안정성 (라디칼 중합 속도) 의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과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안정제의 첨가량 (중량%) 은, (D) 의 중량에 대해, 0 ? 20 이 바람직하고, 1 ? 15 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에는, 분체 유동성 향상제, 블로킹 방지제로서 공지된 무기계 블로킹 방지제 및 유기계 블로킹 방지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무기계 블로킹 방지제로서는 실리카, 탤크, 산화티탄 및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계 블로킹 방지제로서는 입자 직경 10 ㎛ 이하의 열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 구아나민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등) 및 입자 직경 10 ㎛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및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등) 등을 들 수 있다.
블로킹 방지제 (유동성 향상제) 의 첨가량 (중량%) 은, (D) 의 중량에 대해, 0 ? 5 가 바람직하고, 0.5 ? 1 이 보다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를 상기 첨가제 등과 혼합하여 생산할 때 사용하는 혼합 장치로서는, 공지된 분체 혼합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데, 용기 회전형 혼합기, 고정 용기형 혼합기, 유체 운동형 혼합기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용기형 혼합기로서는 고속 유동형 혼합기, 복축 패들형 혼합기, 고속 전단 혼합 장치 (헨쉘 믹서 (등록 상표) 등), 저속 혼합 장치 (플라네터리 믹서 등) 나 원추형 스크루 혼합기 (나우타 믹서 (등록 상표) 등) 를 사용하여 드라이 블렌드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이들 방법 중에서, 복축 패들형 혼합기, 저속 혼합 장치 (플라네터리 믹서 등), 및 원추형 스크루 혼합기 (나우타 믹서 (등록 상표, 이하 생략) 등)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의 체적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10 ? 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300 ㎛ 이다.
본 발명의 열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K) 의 성형 방법으로서,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블로우 성형, 진공 성형, 슬러시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형 방법 중에서, 의장 형상 등을 자유롭게, 또 충실히 부형 (腑形) 가능한 관점에서, 바람직한 성형법은 슬러시 성형법이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는, 예를 들어 슬러시 성형법으로 성형하여, 표피 등의 우레탄 수지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슬러시 성형법으로서는, 그 입자 조성물이 들어있는 박스와 가열한 금형을 함께 진동 회전시켜, 파우더를 틀 내에서 용융 유동시킨 후, 냉각 후, 고화시켜, 표피를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금형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 3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 ? 280 ℃ 이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로 성형된 표피 두께는, 0.3 ? 1.5 ㎜ 가 바람직하다. (P) 는 비교적 저온 영역에서의 성형이 가능하고, 성형의 온도로서는 200 ? 250 ℃ 가 가능하다.
성형 표피는, 표면을 발포형에 접하도록 세트하고, 우레탄 폼을 흘려, 이면에 5 ㎜ ? 15 ㎜ 의 발포층을 형성시켜, 수지 성형품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로 성형된 수지 성형품은, 자동차 내장재, 예를 들어 인스투르먼트 패널, 도어 드림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의 190 ℃ 의 용융 점도는, 저온 용융성이 양호하다는 관점에서, 100 ? 500 Pa?s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300 Pa?s℃ 이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의 130 ℃ 의 저장 탄성률 G' 는, 내열성의 관점에서, 1.0×106 ? 5.0×107 dyn/㎠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6 ? 5.0×107 dyn/㎠ 이다.
본 발명의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의 180 ℃ 의 저장 탄성률 G' 는, 저온 용융성의 관점에서, 1.0×103 ? 1.0×105 dyn/㎠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3 ? 5.0×104 dyn/㎠ 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있어서 「부」는 중량부, 「%」는 중량% 를 나타낸다.
제조예 1
디아민의 MEK 케티민화물의 제조
헥사메틸렌디아민과 과잉의 MEK (메틸에틸케톤 ; 디아민에 대해 4 배 몰량) 를 80 ℃ 에서 24 시간 환류시키면서 생성수를 계 외로 제거하였다. 그 후 감압에서 미반응의 MEK 를 제거하고 MEK 케티민화물을 얻었다.
제조예 2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 50/50) (A1-1) 의 제조
냉각관, 교반기 및 질소 도입관이 부착된 반응조 중에, 테레프탈산 393 부, 이소프탈산 393 부, 에틸렌글리콜 606 부를 넣고, 210 ℃ 에서 질소 기류하에 생성되는 물을 증류 제거하면서 5 시간 반응시킨 후, 5 ? 20 ㎜Hg 의 감압하에서 반응시켜, 소정의 연화점에서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디올 (A1-1) 을 취출하였다. 회수된 에틸렌글리콜은 245 부였다. 얻어진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디올의 수산기가를 측정하여, 수평균 분자량 (이하 Mn 이라고 기재한다) 을 계산한 결과 900 이었다. 유리 전이 온도는 20 ℃ 였다.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감압 시간의 조정에 의해, Mn 이 2500 인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디올 (A1-2) 를 얻었다. 회수 에틸렌글리콜은 270 부였다. 유리 전이 온도는 50 ℃ 였다.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감압 시간의 조정에 의해, Mn 이 5000 인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디올 (A1-3) 을 얻었다. 회수 에틸렌글리콜은 305 부였다. 유리 전이 온도는 65 ℃ 였다.
제조예 3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오르토프탈산 = 50/50) (A1-4) 의 제조
냉각관, 교반기 및 질소 도입관이 부착된 반응조 중에, 테레프탈산 393 부, 오르토프탈산 393 부, 에틸렌글리콜 606 부를 넣고, 210 ℃ 에서 질소 기류하에 생성되는 물을 증류 제거하면서 5 시간 반응시킨 후, 5 ? 20 ㎜Hg 의 감압하에서 반응시켜, 소정의 연화점에서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디올 (A1-4) 를 취출하였다. 회수된 에틸렌글리콜은 270 부였다. 얻어진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디올의 수산기가를 측정하여, Mn 을 계산한 결과 2500 이었다. 유리 전이 온도는 35 ℃ 였다.
제조예 4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 단독) (A1-5) 의 제조
냉각관, 교반기 및 질소 도입관이 부착된 반응조 중에, 테레프탈산 786 부, 에틸렌글리콜 606 부를 넣고, 210 ℃ 에서 질소 기류하에 생성되는 물을 증류 제거하면서 5 시간 반응시킨 후, 5 ? 20 ㎜Hg 의 감압하에서 반응시켜, 소정의 연화점에서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디올 (A1-5) 를 취출하였다. 회수된 에틸렌글리콜은 245 부였다. 얻어진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디올의 수산기가를 측정하여, Mn 을 계산한 결과 900 이었다. 유리 전이 온도는 25 ℃ 였다.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테레프탈산 786 부를 이소프탈산 786 부로 변경함으로써, Mn 이 900 인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디올 (A1-6) 을 얻었다. 유리 전이 온도는 15 ℃ 였다.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테레프탈산 786 부를 오르토프탈산 786 부로 변경함으로써, Mn 이 900 인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디올 (A1-7) 을 얻었다. 유리 전이 온도는 5 ℃ 였다.
제조예 5
폴리테트라메틸렌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 50/50) (A1-8) 의 제조
냉각관, 교반기 및 질소 도입관이 부착된 반응조 중에, 테레프탈산 393 부, 이소프탈산 393 부, 테트라메틸렌글리콜 450 부를 넣고, 210 ℃ 에서 질소 기류하에 생성되는 물을 증류 제거하면서 5 시간 반응시킨 후, 5 ? 20 ㎜Hg 의 감압하에서 반응시켜,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디올 (A1-8) 을 취출하였다. 얻어진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디올의 수산기가를 측정하여, Mn 을 계산한 결과 900 이었다. 유리 전이 온도는 10 ℃ 였다.
제조예 6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탈산(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 50/50), 아디프산의 중축합물 (A3-1) 의 제조
냉각관, 교반기 및 질소 도입관이 부착된 반응조 중에, 테레프탈산 181 부, 이소프탈산 181 부, 아디프산 338 부, 에틸렌글리콜 166 부, 부틸렌글리콜 256 부를 넣고, 210 ℃ 에서 질소 기류하에 생성되는 물을 증류 제거하면서 5 시간 반응시킨 후, 5 ? 20 ㎜Hg 의 감압하에서 반응시켜,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탈산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 50/50), 아디프산의 중축합물 (A3-1) 을 취출하였다. 얻어진 (A3-1) 의 수산기가를 측정하여, Mn 을 계산한 결과 950 이었다. (A3-1) 은 주입량으로부터 (A1-1)/(A2-1) 이 1 에 상당한다.
제조예 7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 50/50) (A1-1) 과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A2-1) 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 (A3-2) 의 제조
교반기가 부착된 밀폐된 반응조 중에, Mn 이 900 인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 50/50) (A1-1) 333 부, Mn 1000 의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A2-1) 671 부를 넣고, 180 ℃ 에서 5 시간 반응시켜, 900 의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 50/50) (A1-1) 과 Mn 1000 의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A2-1) 의 Mn 965 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 (A3-2) 를 취출하였다. 얻어진 (A3-1) 의 수산기가를 측정하여, Mn 을 계산한 결과 965 였다. (A3-2) 는 주입량으로부터 (A1-1)/(A2-1) 이 0.5 에 상당한다.
제조예 8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 50/50) (A1-1) 과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A2-1) 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 (A3-3) 의 제조
교반기가 부착된 밀폐된 반응조 중에, Mn 이 900 인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 50/50) (A1-1) 833 부, Mn 1000 의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A2-1) 167 부를 넣고, 180 ℃ 에서 5 시간 반응시켜, 900 의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 50/50) (A1-1) 과 Mn 1000 의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A2-1) 의 Mn 915 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 (A3-3) 을 취출하였다. 얻어진 (A3-3) 의 수산기가를 측정하여, Mn 을 계산한 결과 965 였다. (A3-3) 은 주입량으로부터 (A1-1)/(A2-1) 이 5 에 상당한다.
제조예 9
프레폴리머 용액 (U-1) 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및 질소 흡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폴리에스테르디올 (A1-1) (304 부), Mn 이 1000 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고분자 디올 (A2-1)] (유리 전이 온도 -60 ℃) (1214 부), 1-옥탄올 (27.6 부) 을 주입하고, 질소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110 ℃ 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60 ℃ 까지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13.2 부) 를 투입하고, 85 ℃ 에서 6 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60 ℃ 로 냉각시킨 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17 부), 및 안정제[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주) 사 제조 이르가녹스 1010] (2.7 부), 카본블랙 (1 부) 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1) 을 얻었다. 얻어진 프레폴리머 용액의 NCO 함량은, 0.8 % 였다.
제조예 10
프레폴리머 용액 (U-2) 의 제조
원료 주입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9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2) 를 얻었다. 얻어진 프레폴리머 용액의 NCO 함량은, 1.2 % 였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2) (759 부)
Mn 이 1000 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고분자 디올 (A2-1)] (유리 전이 온도 -60 ℃) (759 부)
1-옥탄올 (26.4 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5.8 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17 부)
안정제[이르가녹스 1010] (2.7 부)
카본블랙 (1 부)
제조예 11
프레폴리머 용액 (U-3) 의 제조
원료 주입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9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3) 을 얻었다. 얻어진 프레폴리머 용액의 NCO 함량은, 1.1% 였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2) (75.9 부)
고분자 디올 (A2-1) (1442 부)
1-옥탄올 (26.4 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5.8 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17 부)
안정제[이르가녹스 1010] (2.7 부)
카본블랙 (1 부)
제조예 12
프레폴리머 용액 (U-4) 의 제조
원료 주입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9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4) 를 얻었다. 얻어진 프레폴리머 용액의 NCO 함량은, 2.9 % 였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2) (1214 부)
Mn 이 1200 인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고분자 디올 (A2-2)] (유리 전이 온도 -45 ℃) (304 부), 1-옥탄올 (26.4 부)
1-옥탄올 (26.4 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4.7 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17 부)
안정제[이르가녹스 1010] (2.7 부)
카본블랙 (1 부)
제조예 13
프레폴리머 용액 (U-5) 의 제조
원료 주입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9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5) 를 얻었다. 얻어진 프레폴리머 용액의 NCO 함량은, 2.3 % 였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2) (1214 부)
Mn 이 1000 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고분자 디올 (A2-3)] (유리 전이 온도 -55 ℃) (304 부)
1-옥탄올 (26.4 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5.8 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17 부)
안정제[이르가녹스 1010] (2.7 부)
카본블랙 (1 부)
제조예 14
프레폴리머 용액 (U-6) 의 제조
원료 주입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9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6) 을 얻었다. 얻어진 프레폴리머 용액의 NCO 함량은, 1.82 % 였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4) (304 부)
고분자 디올 (A2-1) (1216 부)
1-옥탄올 (20.5 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20.7 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66 부)
안정제[이르가녹스 1010] (3.0 부)
카본블랙 (1 부)
제조예 15
프레폴리머 용액 (U-7) 의 제조
원료 주입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9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7) 을 얻었다. 얻어진 프레폴리머 용액의 NCO 함량은, 1.82 % 였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5) (380 부)
고분자 디올 (A2-1) (1139 부)
1-옥탄올 (26.4 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62 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73 부)
안정제[이르가녹스 1010] (3.0 부)
카본블랙 (1 부)
제조예 16
프레폴리머 용액 (U-8) 의 제조
원료 주입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9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프레폴리머 용액 (U-8) 을 얻었다. 얻어진 프레폴리머 용액의 NCO 함량은 1.82 % 였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6) (380 부)
고분자 디올 (A2-1) (1139 부)
1-옥탄올 (26.4 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62 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73 부)
안정제[이르가녹스 1010] (3.0 부)
카본블랙 (1 부)
제조예 17
프레폴리머 용액 (U-9) 의 제조
원료 주입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9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9) 를 얻었다. 얻어진 프레폴리머 용액의 NCO 함량은 1.82 % 였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7) (380 부)
고분자 디올 (A2-1) (1139 부)
1-옥탄올 (26.4 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62 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73 부)
안정제[이르가녹스 1010] (3.0 부)
카본블랙 (1 부)
제조예 18
프레폴리머 용액 (U-10) 의 제조
원료 주입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9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10) 을 얻었다. 얻어진 프레폴리머 용액의 NCO 함량은 1.2 % 였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3) (759 부)
고분자 디올 (A2-3) (759 부)
1-옥탄올 (26.4 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5.8 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17 부)
안정제[이르가녹스 1010] (2.7 부)
카본블랙 (1 부)
제조예 19
프레폴리머 용액 (U-11) 의 제조
원료 주입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9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11) 을 얻었다. 얻어진 프레폴리머 용액의 NCO 함량은, 0.8 % 였다.
폴리에스테르디올 (A1-8) (304 부)
고분자 디올 (A2-3) (1214 부)
1-옥탄올 (27.6 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13.2 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17 부)
안정제[이르가녹스 1010] (2.7 부)
카본블랙 (1 부)
제조예 20
프레폴리머 용액 (U-12) 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및 질소 흡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폴리에스테르디올 (A1-1) (298 부),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탈산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 50/50), 아디프산의 중축합물 (A3-1) (30 부) 을 주입하고, 100 ℃ 로 가열한 후, Mn 이 1000 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고분자 디올 (A2-1)] (유리 전이 온도 -60 ℃) (1216 부), 1-옥탄올 (27.6 부) 를 주입하고, 질소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110 ℃ 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60 ℃ 까지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13.6 부) 를 투입하고, 85 ℃ 에서 6 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60 ℃ 로 냉각시킨 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17 부), 및 안정제 (2.7 부)[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주) 사 제조 이르가녹스 1010], 카본블랙 (1 부) 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12) 를 얻었다. 얻어진 프레폴리머 용액의 NCO 함량은, 0.8 % 였다.
제조예 21
프레폴리머 용액 (U-13) 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및 질소 흡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폴리에스테르디올 (A1-1) (292 부),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 50/50) (A1-1) 의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A2-1) 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 (A3-2) (319 부) 를 주입하고, 100 ℃ 로 가열한 후, Mn 이 1000 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고분자 디올 (A2-1)] (유리 전이 온도 -60 ℃) (895 부), 1-옥탄올 (27.6 부) 를 주입하고, 질소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110 ℃ 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60 ℃ 까지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13.2 부) 를 투입하고, 85 ℃ 에서 6 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60 ℃ 로 냉각시킨 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17 부), 및 안정제 (2.7 부)[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주) 사 제조 이르가녹스 1010], 카본블랙 (1 부) 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13) 을 얻었다. 얻어진 프레폴리머 용액의 NCO 함량은, 0.8 % 였다.
제조예 22
프레폴리머 용액 (U-14) 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및 질소 흡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폴리에스테르디올 (A1-1) (292 부),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 50/50) (A1-1) 의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A2-1) 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물 (A3-3) (319 부) 을 주입하고, 100 ℃ 로 가열한 후, Mn 이 1000 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고분자 디올 (A2-1)] (유리 전이 온도 -60 ℃) (895 부), 1-옥탄올 (27.6 부) 을 주입하고, 질소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110 ℃ 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60 ℃ 까지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13.8 부) 를 투입하고, 85 ℃ 에서 6 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60 ℃ 로 냉각시킨 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17 부), 및 안정제 (2.7 부)[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주) 사 제조 이르가녹스 1010], 카본블랙 (1 부) 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14) 을 얻었다. 얻어진 프레폴리머 용액의 NCO 함량은, 0.8 % 였다.
제조예 23
프레폴리머 용액 (U-15) 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및 질소 흡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폴리에스테르디올 (A1-1) (253 부),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탈산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 50/50), 아디프산의 중축합물 (A3-1) (253 부) 을 주입하고, 100 ℃ 로 가열한 후, Mn 이 1000 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고분자 디올 (A2-1)] (유리 전이 온도 -60 ℃) (1013 부), 1-옥탄올 (27.6 부) 을 주입하고, 질소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110 ℃ 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60 ℃ 까지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12.2 부) 를 투입하고, 85 ℃ 에서 6 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60 ℃ 로 냉각시킨 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17 부), 및 안정제 (2.7 부)[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주) 사 제조 이르가녹스 1010], 카본블랙 (1 부) 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15) 를 얻었다. 얻어진 프레폴리머 용액의 NCO 함량은, 0.8 % 였다.
실시예 1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K-1) 의 제조
반응 용기에, 제조예 9 에서 얻은 프레폴리머 용액 (U-1) (100 부) 과 MEK 케티민 화합물 (2.1 부) 을 투입 혼합하고, 거기에 폴리카르복실산형 아니온 계면활성제 (산요 화성 공업 (주) 제조 선스펄 PS-8 (30 부)) 를 용해시킨 수용액 300 부를 첨가하고, 야마토 과학 (주) 제조 울트라 디스퍼서를 사용하여 6000 rpm 의 회전수로 1 분간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온도계, 교반기 및 질소 흡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옮겨, 질소 치환한 후, 교반하면서 50 ℃ 에서 10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여과 분리 및 건조를 실시하여, 우레탄 수지 입자 (K-1) 을 제조하였다. (K-1) 의 Mn 은 1.8 만, 체적 평균 입경은 143 ㎛ 였다. (K-1) 의 190 ℃ 의 용융 점도는 510 Pa?s, 130 ℃ 의 저장 탄성률은 4.5×106 dyn/㎠,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3.0×104 dyn/㎠ 였다.
100 ℓ 의 나우타 믹서 내에,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K-1) (100 부),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화합물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산요 화성 공업 (주) 사 제조 ; DA600] (4.0 부), 자외선 안정제 비스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및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혼합물)[상품명 : TINUVIN 765, 치바사 제조] (0.3 부) 를 투입하고 70 ℃ 에서 4 시간 함침하였다. 함침 4 시간 후, 2 종류의 내첨 이형제인 디메틸폴리실록산[닛폰 유니카 (주) 제조 ; 케이 L45-1000] (0.06 부), 카르복실 변성 실리콘[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 X-22-3710] (0.05 부) 을 투입하고 1 시간 혼합한 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마지막으로, 블로킹 방지제 가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간츠 화성 (주) ; 간츠 펄 PM-030 S] (0.5 부) 를 투입 혼합함으로써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1) 을 얻었다. (P-1) 의 체적 평균 입경은 144 ㎛ 였다. (P-1) 의 190 ℃ 의 용융 점도는 100 Pa?s, 130 ℃ 의 저장 탄성률은 3.6×106 dyn/㎠,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8.0×103 dyn/㎠ 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프레폴리머 용액 (U-1) 대신에, 프레폴리머 용액 (U-2) (100 부) 를 사용하고, MEK 케티민 화합물의 양을 3.2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우레탄 수지 입자 (K-2) 를 제조하였다. (K-2) 의 Mn 은 1.8 만, 체적 평균 입경은 152 ㎛ 였다. (K-2) 의 190 ℃ 의 용융 점도는 850 Pa?s, 130 ℃ 의 저장 탄성률은 1.0×107 dyn/㎠,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4.5×104 dyn/㎠ 였다.
또한 실시예 1 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 입자 (K-1) 대신에 우레탄 수지 입자 (K-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2) 를 얻었다. (P-2) 의 체적 평균 입경은 153 ㎛ 였다. (P-2) 의 190 ℃ 의 용융 점도는 140 Pa?s, 130 ℃ 의 저장 탄성률은 8.0×106 dyn/㎠,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1.5×104 dyn/㎠ 였다.
실시예 3 ? 11
실시예 1 에서 프레폴리머 용액 (U-1) 대신에, 프레폴리머 용액 (U-3) ? (U-11) (100 부) 을 사용하고, MEK 케티민 화합물의 양을 하기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우레탄 수지 입자 (K-3) ? (K-11) 을 제조하였다.
(K-3) ? (K-11) 의 Mn 및 체적 평균 입경은 하기하였다. (K-3) ? (K-11)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1 에 기재하였다.
또한 실시예 1 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 입자 (K-1) 대신에 우레탄 수지 입자 (K-3) ? (K-11)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3) ? (P-11) 을 얻었다. (P-3) ? (P-11) 의 체적 평균 입경은 하기하였다. (P-3) ? (P-11)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1 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MEK 케티민 화합물의 양 : 3.0 부
(K-3) 의 Mn : 1.8 만, 체적 평균 입경 : 144 ㎛
(P-3) 의 체적 평균 입경 : 145 ㎛
실시예 4
MEK 케티민 화합물의 양 : 7.7 부
(K-4) 의 Mn : 1.8 만, 체적 평균 입경 : 144 ㎛
(P-4) 의 체적 평균 입경 : 145 ㎛
실시예 5
MEK 케티민 화합물의 양 : 6.1 부
(K-5) 의 Mn : 1.8 만, 체적 평균 입경 : 144 ㎛
(P-5) 의 체적 평균 입경 : 145 ㎛
실시예 6
MEK 케티민 화합물의 양 : 4.7 부
(K-6) 의 Mn : 2.0 만, 체적 평균 입경 : 147 ㎛
(P-6) 의 체적 평균 입경 : 148 ㎛
실시예 7
MEK 케티민 화합물의 양 : 4.7 부
(K-7) 의 Mn : 2.0 만, 체적 평균 입경 : 150 ㎛
(P-7) 의 체적 평균 입경 : 151 ㎛
실시예 8
MEK 케티민 화합물의 양 : 4.7 부
(K-8) 의 Mn : 2.0 만, 체적 평균 입경 : 145 ㎛
(P-8) 의 체적 평균 입경 : 148 ㎛
실시예 9
MEK 케티민 화합물의 양 : 4.7 부
(K-9) 의 Mn : 2.0 만, 체적 평균 입경 : 143 ㎛
(P-9) 의 체적 평균 입경 : 144 ㎛
실시예 10
MEK 케티민 화합물의 양 : 3.2 부
(K-10) 의 Mn : 2.0 만, 체적 평균 입경 : 146 ㎛
(P-10) 의 체적 평균 입경 : 148 ㎛
실시예 11
MEK 케티민 화합물의 양 : 2.1 부
(K-11) 의 Mn : 2.0 만, 체적 평균 입경 : 145 ㎛
(P-11) 의 체적 평균 입경 : 148 ㎛
실시예 12
실시예 2 에서 MEK 케티민 화합물 대신에, 폴리에스테르디올 (A1-1) (13 부)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우레탄 수지 입자 (K-12) 를 제조하였다. (K-12) 의 Mn 은 1.8 만, 체적 평균 입경은 155 ㎛ 였다. (K-12)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2 에 기재하였다.
또한 실시예 1 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 입자 (K-1) 대신에 우레탄 수지 입자 (K-1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12) 를 얻었다. (P-12) 의 체적 평균 입경은 157 ㎛ 였다. (P-12)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2 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2 에서 MEK 케티민 화합물 대신에, 1,4-부탄디올 (1.3 부)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우레탄 수지 입자 (K-13) 을 제조하였다. (K-10) 의 Mn 은 1.8 만, 체적 평균 입경은 144 ㎛ 였다. (K-13)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2 에 기재하였다.
또한 실시예 1 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 입자 (K-1) 대신에 우레탄 수지 입자 (K-1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13) 을 얻었다. (P-13) 의 체적 평균 입경은 145 ㎛ 였다. (P-13)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2 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4 ? 17
실시예 1 에서 프레폴리머 용액 (U-1) 대신에, 프레폴리머 용액 (U-12) ? (U-15) (100 부)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우레탄 수지 입자 (K-14) ? (K-17) 를 제조하였다.
(K-14) ? (K-17) 의 Mn 및 체적 평균 입경은 하기하였다. (K-14) ? (K-17)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2 에 기재하였다.
또한 실시예 1 에 있어서, 우레탄 수지 입자 (K-1) 대신에 우레탄 수지 입자 (K-14) ? (K-17)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14) ? (P-17) 을 얻었다. (P-14) ? (P-17) 의 체적 평균 입경은 하기하였다. (P-14) ? (P-17)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2 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4
(K-14) 의 Mn : 2.0 만, 체적 평균 입경 : 152 ㎛
(P-14) 의 체적 평균 입경 : 144 ㎛
실시예 15
(K-15) 의 Mn : 2.0 만, 체적 평균 입경 : 145 ㎛
(P-15) 의 체적 평균 입경 : 146 ㎛
실시예 16
(K-16) 의 Mn : 2.0 만, 체적 평균 입경 : 147 ㎛
(P-16) 의 체적 평균 입경 : 148 ㎛
실시예 17
(K-17) 의 Mn : 2.0 만, 체적 평균 입경 : 152 ㎛
(P-17) 의 체적 평균 입경 : 152 ㎛
비교예 1
제조예 11 의 프레폴리머 용액의 합성으로, Mn 이 1000 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A2-1) (1442 부) 대신에, Mn 이 1000 인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고분자 디올 (A2-4)] (유리 전이 온도 -50 ℃) ((1442 부)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1') 를 얻었다. 프레폴리머 용액 (U-1') (100 부) 를 사용하고, MEK 케티민 화합물의 양을 3.0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우레탄 수지 입자 (K-1') 를 제조하였다. (K-1') 의 Mn 은 1.8 만, 체적 평균 입경은 141 ㎛ 였다. (K-1')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2 에 기재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1') 를 얻었다. (P-1') 의 체적 평균 입경은 142 ㎛ 였다. (P-1')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2 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 12 의 프레폴리머 용액의 합성으로, Mn 이 1200 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A2-2) (304 부) 대신에, Mn 이 1000 인 폴리헥사메틸렌아디페이트[고분자 디올 (A2-5)] (유리 전이 온도 -65 ℃) (304 부)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2') 를 얻었다. 프레폴리머 용액 (U-2') (100 부) 를 사용하고, MEK 케티민 화합물의 양을 7.7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제조예 12 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우레탄 수지 입자 (K-2') 를 제조하였다. (K-2') 의 Mn 은 1.8 만, 체적 평균 입경은 144 ㎛ 였다. (K-2')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2 에 기재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2') 를 얻었다. (P-2') 의 체적 평균 입경은 145 ㎛ 였다. (P-2')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2 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3
제조예 10 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디올 (A1-2) 대신에, Mn 이 2500 인 폴리 헥사메틸렌이소프탈레이트디올 (A1-9) (유리 전이 온도 -5 ℃)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0 과 동일하게 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3') 를 얻었다. 프레폴리머 용액 (U-3') (100 부) 를 사용하고, MEK 케티민 화합물의 양을 3.2 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우레탄 수지 입자 (K-3') 를 제조하였다. (K-3') 의 Mn 은 2.0 만, 체적 평균 입경은 147 ㎛ 였다. (K-3')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2 에 기재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3') 를 얻었다. (P-3') 의 체적 평균 입경은 148 ㎛ 였다. (P-3')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2 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4
제조예 9 에 있어서, Mn 이 1000 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A2-1) 대신에, Mn 이 1000 인 폴리헥사메틸렌이소프탈레이트디올 (A2-6) (유리 전이 온도 -36 ℃)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9 와 동일하게 하여 프레폴리머 용액 (U-4') 를 얻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입자 (K-4') 를 얻었다. (K-4') 의 Mw 는 14 만, 체적 평균 입경은 147 ㎛ 였다. (K-4')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2 에 기재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4') 를 얻었다. (P-4') 의 체적 평균 입경은 148 ㎛ 였다. (P-4') 의 190 ℃ 의 용융 점도, 130 ℃ 의 저장 탄성률 및 180 ℃ 의 저장 탄성률은 표 2 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 ? 17, 비교예 1 ? 4 에 사용된 고분자 디올 (A) 의 SP 값을 표 1및 표 2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 17 의 슬러시 성형용의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1) ? (P-17), 및 비교예 1 ? 4 의 슬러시 성형용 수지 입자 조성물 (P-1') ? (P-4') 를 사용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210 ℃ 에서 판두께 1.0 ㎜ 와 0.5 ㎜ 의 표피를 성형하고, 판두께 1.0 ㎜ 의 표피의 이면 용융성, 25 ℃ 인장 강도, 25 ℃ 신장, 25 ℃ 의 판두께 0.5 ㎜ 의 표피의 파단 응력, -35 ℃ 신장, 및 하기에 나타내는 내열시험 후의 25 ℃ 인장 강도와 신장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및 표 2 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피의 제조>
저온 성형을 목적으로, 미리 210 ℃ 로 가열된 주름 무늬가 들어간 Ni 전기 주조틀에 슬러시 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1) ? (P-17), (P-1') ? (P-4') 를 충전하고, 10 초 후 여분의 수지 입자 조성물을 배출하였다. 60 초 후 수랭하여 표피 (두께 1 ㎜) 를 제조하였다.
또, 충전 후의 시간을 6 초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두께 0.5 ㎜ 의 표피를 각각 제조하였다.
<190 ℃ 용융 점도 측정 방법>
시마즈 (주) 제조 플로우 테스터 CFT-500 을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등속 승온시켜, 190 ℃ 의 용융 점도를 측정하였다.
하중 : 5 kg
다이 : 구멍 직경 0.5 ㎜, 길이 1.0 ㎜
승온 속도 : 5 ℃/min.
<130 ℃, 190 ℃ 의 저장 탄성률의 측정>
130 ℃, 180 ℃ 의 저장 탄성률 G' 는,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RDS-2」(Rheometric Scientific 사 제조) 를 사용하여 주파수 1 ㎐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시료를 측정 장치의 지그에 세트한 후, 200 ℃ 까지 승온시켜, 200 ℃에서 1 분간 지그 사이에서 가만히 정지시킴으로써 용융시킨 후, 냉각시켜 고화시킴으로써 지그에 밀착시키고, 그 후,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온도 범위는 50 ? 200 ℃ 이며, 이 온도간의 용융점 탄성을 측정함으로써, 온도 -G', 온도 -G" 의 곡선으로서 얻을 수 있다.
130 ℃, 180 ℃ 의 저장 탄성률 G' 는 온도 -G' 의 곡선으로부터 파악하였다.
지그의 직경 : 8 ㎜
<이면 용융성>
성형 표피 이면 중앙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판정 기준으로 용융성을 평가하였다.
5 : 균일하고 광택이 있다.
4 : 일부 미용융의 파우더가 있지만, 광택이 있다.
3 : 이면 전체면에 요철이 있고, 광택은 없다. 표면에 관통하는 핀홀은 없다.
2 : 이면 전체면에 파우더의 형상의 요철이 있고, 또한 표면에 관통하는 핀홀이 있다.
1 : 파우더가 용융되지 않아, 성형품이 되지 않는다.
<인장 강도, 신장 측정>
성형 표피로부터 JIS K 6301 의 인장 시험편 덤벨 1 호형을 3 매 타발하고, 그 중심에 40 ㎜ 간격으로 표선을 하였다. 판두께는 표선 간 5 개 지점의 최소값을 채용하였다. 이것을 25 ℃ 분위기하에서 오토 그래프에 장착하고, 200 ㎜/min 의 속도로 인장하여, 시험편이 파단에 이를 때까지의 파단 강도, 최대 신장을 산출하였다. 또, -35 ℃ 분위기하에서 오토 그래프에 장착하고, 200 ㎜/min 의 속도로 인장하여, 시험편이 파단에 이를 때까지의 최대 성장을 산출하였다.
<내열시험 후의 25 ℃ 인장 강도, 성장 측정>
성형 표피를 순풍 건조기 중에, 130 ℃, 600 시간 처리하였다. 계속해서, 처리 후의 표피를 25 ℃ 24 시간 가만히 정지시켰다. 계속해서, 이로부터 JIS K 6301 의 인장 시험편 덤벨 1 호형을 3 매 타발하고, 그 중심에 40 ㎜ 간격으로 표선을 하였다. 판두께는 표선 간 5 개 지점의 최소값을 채용하였다. 이것을 25 ℃ 분위기하에서 오토 그래프에 장착하고, 200 ㎜/min 의 속도로 인장하여, 시험편이 파단에 이를 때까지의 파단 강도, 최대 신장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 ? 17 의 슬러시 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1) ? (P-17) 은, 비교예 1 ? 4 의 (P-1') ? (P-4') 와 비교하여, 210 ℃ 의 이면 용융성, 25 ℃ 인장 강도, 25 ℃ 신장, -35 ℃ 신장, 내열 시험 후의 25 ℃ 인장 강도, 25 ℃ 신장 모두에 있어서 우수하다. 또, 0.5 ㎜ 의 파단 응력이 우수한 것으로부터, 성형 표피의 박막화도 가능하다. 이로인해, (P-1) ? (P-17) 은, 저온 용융성, 인장 강도, 신장이 높은 레벨로 양립되어 있는 점에서, 특히 인스투루먼트 패널용 재료로서 우수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로부터 성형되는 성형물, 예를 들어 표피는, 자동차 내장재, 예를 들어 인스투루먼트 패널, 도어 드림 등의 표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Claims (14)

  1. 고분자 디올 (A) 와 디이소시아네이트 (B) 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로서, 고분자 디올 (A) 가, 0 ? 70 ℃ 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디올 (A1), 및 그 (A1) 의 용해도 파라미터보다 1.2 ? 3.0 낮은 용해도 파라미터를 갖고, 또한 -40 ? -75 ℃ 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고분자 디올 (A2) 를 함유하는 열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D).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디올 (A1) 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오르토프탈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프탈산 (G) 와 에틸렌글리콜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디올 (A11) 인 우레탄 수지 (D).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디올 (A1) 을 구성하는 프탈산 (G) 가,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의 혼합물, 또는 테레프탈산과 오르토프탈산의 혼합물인 우레탄 수지 (D).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분자 디올 (A2) 가 폴리에스테르디올인 우레탄 수지 (D).
  5. 제 4 항에 있어서,
    고분자 디올 (A2) 가 에틸렌글리콜과 탄소수 6 ? 15 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디올, 탄소수가 4 ? 10 인 지방족 디올과 탄소수 4 ? 15 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우레탄 수지 (D).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고분자 디올 (A) 가 추가로 하기 폴리에스테르디올 (A3) 을 함유하고, 또한 (A3) 의 함유량이 (A1) 의 중량에 대해 5 ? 100 중량% 인 우레탄 수지 (D).
    폴리에스테르디올 (A3) : 에틸렌글리콜과 탄소수 4 ? 10 의 지방족 디올과,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오르토프탈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프탈산 (G) 와 탄소수 4 ? 15 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디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1) 의 수평균 분자량이 800 ? 5000 이고, 또한 (A2) 의 수평균 분자량이 800 ? 5000 인 우레탄 수지 (D).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1) 과 (A2) 의 중량비 (A1/A2) 가, 5/95 ? 80/20 인 우레탄 수지 (D).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저분자 디아민 혹은 저분자 디올 (C) 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 수지 (D).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90 ℃ 의 용융 점도가 500 ? 2000 Pa?s 이고, 또한 130 ℃ 의 저장 탄성률 G' 가 2.0×106 ? 1.0×108 dyn/㎠ 이며, 또한 180 ℃ 의 저장 탄성률 G' 가 1.0×103 ? 1.0×105 dyn/㎠ 인 우레탄 수지 (D).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D) 를 함유하는 열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K).
  12. 제 11 항에 기재된 열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K) 및 첨가제 (F) 를 함유하는 슬러시 성형용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13. 제 12 항에 있어서,
    190 ℃ 의 용융 점도가 100 ? 500 Pa?s 이고, 또한 130 ℃ 의 저장 탄성률 G' 가 1.0×106 ? 5.0×107 dyn/㎠ 이며, 또한 180 ℃ 의 저장 탄성률 G' 가 1.0×103 ? 1.0×105 dyn/㎠ 인 슬러시 성형용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14. 제 11 항에 기재된 열성형용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입자 (K) 또는 제 12 항에 기재된 슬러시 성형용 우레탄 수지 입자 조성물 (P) 를 열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우레탄 수지 성형물.
KR1020127013141A 2009-12-10 2010-12-03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KR101743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81032 2009-12-10
JPJP-P-2009-281032 2009-12-10
PCT/JP2010/007047 WO2011070751A1 (ja) 2009-12-10 2010-12-03 熱可塑性ウレタン樹脂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946A true KR20120107946A (ko) 2012-10-04
KR101743316B1 KR101743316B1 (ko) 2017-06-02

Family

ID=4414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141A KR101743316B1 (ko) 2009-12-10 2010-12-03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245280A1 (ko)
EP (1) EP2511316B1 (ko)
JP (1) JP5449399B2 (ko)
KR (1) KR101743316B1 (ko)
CN (1) CN102597041B (ko)
WO (1) WO2011070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3332B2 (ja) * 2012-03-30 2016-03-15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スラッシュ成形用ポリウレタン樹脂粉末組成物
EP2948487B1 (de) * 2013-01-25 2021-07-28 Henkel AG & Co. KGaA Feuchtigkeitshärtende polyurethan-zusammensetzung enthaltend nachhaltig erzeugte rohstoffe
DE102013113320B4 (de) * 2013-12-02 2019-11-14 Timur Ünlü Verwendung einer pulverförmigen Zusammensetzung aus thermoplastischem Polyuretha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körpers
JP6026460B2 (ja) * 2014-04-25 2016-11-16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自動車内装材用樹脂成形品
PT2944660T (pt) * 2014-05-16 2017-03-29 Henkel Ag & Co Kgaa Poliuretano termoplástico
EP3303503A1 (en) * 2015-05-27 2018-04-11 Basf Se Use of a composition for stabilizing a geological formation in oil fields, gas fields, water pumping fields, mining or tunnel constructions
US11370913B2 (en) * 2016-04-26 2022-06-28 Eneos Corporatio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elastomer molded body
MX2019002537A (es) * 2016-09-15 2019-07-01 Instituto Tecnologico Del Embalaje Transp Y Logistica Itene Nanocomposite polimerico que comprende tereftalato de poli(etileno) reforzado con un filosilicato intercalado.
CN110072902A (zh) * 2016-12-23 2019-07-30 巴斯夫欧洲公司 具有高的抗撕裂蔓延强度的热塑性聚氨酯
CN106939071A (zh) * 2017-04-11 2017-07-11 东莞市雄林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按摩用tpu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80312623A1 (en) * 2017-04-28 2018-11-01 Liang Wang Polyurethane Elastomer with High Ultimate Elongation
JP2021528538A (ja) * 2018-06-19 2021-10-21 ビーエイエスエフ・ソシエタス・エウロパエアBasf Se 透明な硬質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
CN111607053B (zh) * 2019-02-26 2022-06-07 三晃股份有限公司 热塑性聚胺基甲酸酯及其成型品
CN112126218A (zh) * 2020-08-28 2020-12-25 东莞市吉鑫高分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吹塑的抗菌型热塑性聚氨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4921B2 (ja) 1997-01-20 1999-11-29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3327840B2 (ja) * 1998-07-06 2002-09-24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樹脂系スラッシュ成形用材料
DE10159488A1 (de) 2001-12-04 2003-06-12 Degussa PUR-Pulverlackzusammensetzungen und ihre Verwendung für Polyurethan-Pulverlacke und insbesondere für Pulver-Coil Coating-Lacke
US20060205909A1 (en) * 2003-03-13 2006-09-14 O'brien Michael E Polyester polyols for polyurethane adhesives
CN1938381B (zh) * 2004-03-31 2010-07-07 三洋化成工业株式会社 浆料成形用树脂粉末组合物以及成形品
US8933188B2 (en) * 2004-11-12 2015-01-13 Henkel US IP LLC Low misting laminating adhesives
EP1937743B1 (en) * 2005-09-30 2013-08-28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Thermoplastic polyurethane containing structural units of polyester and polyether diols
JP4936209B2 (ja) 2006-02-06 2012-05-23 日本ポリウレタン工業株式会社 粉末状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ウレア樹脂の製造方法
EP1892765A1 (en) * 2006-08-23 2008-02-27 INTERUNIVERSITAIR MICROELEKTRONICA CENTRUM vzw (IMEC) Method for doping a fin-based semiconductor device
WO2008087964A1 (ja) * 2007-01-17 2008-07-24 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用バインダー樹脂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JP4916007B2 (ja) * 2007-03-01 2012-04-1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スラッシュ成形用樹脂粉末組成物及び成形品
JP2009221293A (ja) * 2008-03-14 2009-10-01 Sanyo Chem Ind Ltd 樹脂粉末、樹脂粉末組成物及び成形体
JP5442407B2 (ja) 2008-11-26 2014-03-12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樹脂粒子の製造方法
JP2010189633A (ja) 2009-01-21 2010-09-02 Sanyo Chem Ind Ltd 樹脂分散体の製造方法及び樹脂粒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1316A1 (en) 2012-10-17
EP2511316B1 (en) 2014-08-27
CN102597041A (zh) 2012-07-18
JP5449399B2 (ja) 2014-03-19
JPWO2011070751A1 (ja) 2013-04-22
KR101743316B1 (ko) 2017-06-02
WO2011070751A1 (ja) 2011-06-16
CN102597041B (zh) 2014-06-25
EP2511316A4 (en) 2013-07-03
US20120245280A1 (en) 201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7946A (ko)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KR100571890B1 (ko) 기계적강도가감소된소결가능한열가소성지방족폴리우레탄성형조성물
KR101661824B1 (ko) 슬러시 성형용 분말상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971742B1 (ko) 우레탄 수지 입자
JP2011256228A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3595482B2 (ja) ポリウレタン樹脂系スラッシュ成形用材料
US20130261240A1 (en) Polyurethane resin powder composition for slush molding
JP2004204242A (ja) ポリウレタン樹脂系スラッシュ成形用材料
JP2004002786A (ja) ポリウレタン樹脂系スラッシュ成形用材料
JP2013241574A (ja) ウレタン(ウレア)樹脂粒子組成物
JP5596659B2 (ja) ウレタン樹脂粒子
JP6026460B2 (ja) 自動車内装材用樹脂成形品
JP2014005449A (ja) スラッシュ成形用熱可塑性樹脂粒子組成物
JP2018115257A (ja) スラッシュ成形用粉末状ポリウレタンウレア樹脂組成物
JP5583653B2 (ja) ウレタン樹脂粒子
JP6276641B2 (ja) スラッシュ成形用粉末状熱可塑性ウレタンウレア樹脂組成物
JP2024010486A (ja) 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04067954A (ja) スラッシュ成形用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粉体組成物及び表皮体
JP2017214467A (ja) スラッシュ成形用樹脂粉末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3224416A (ja) スラッシュ成形用熱可塑性ウレタン(ウレア)樹脂粒子組成物
JP2013241573A (ja) ウレタン(ウレア)樹脂粒子組成物
JP2018083858A (ja) 粉末状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ウレア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3227525A (ja) スラッシュ成形用熱可塑性樹脂粒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