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389A -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389A
KR20120096389A KR1020110062666A KR20110062666A KR20120096389A KR 20120096389 A KR20120096389 A KR 20120096389A KR 1020110062666 A KR1020110062666 A KR 1020110062666A KR 20110062666 A KR20110062666 A KR 20110062666A KR 20120096389 A KR20120096389 A KR 20120096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glycol
tertiary
butyl ether
glycol mo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551B1 (ko
Inventor
김명석
엄재훈
박민섭
서형재
민경태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2/00129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115422A2/ko
Priority to US14/000,648 priority patent/US8766015B2/en
Priority to CN201280009831.4A priority patent/CN103402958B/zh
Priority to EP12749745.1A priority patent/EP2679569B1/en
Priority to JP2013555361A priority patent/JP5890850B2/ja
Publication of KR20120096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05Preparation of ethers by addition of compounds to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05Preparation of ethers by addition of compounds to unsaturated compounds
    • C07C41/06Preparation of ethers by addition of compounds to unsaturated compounds by addition of organic compound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3/00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18Preparation of ethers by reactions not forming ether-oxygen bonds
    • C07C41/26Preparation of ethers by reactions not forming ether-oxygen bonds by introduction of hydroxy or O-meta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3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41/4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treatments giving rise to a chemical mo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48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 C07C41/5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03Ethers having all ether-oxygen atom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3/04Saturated ethers
    • C07C43/13Saturated ether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이소부텐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혼합물 및 글리콜 화합물을 반응물로 사용하는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에 있어서, 부산물인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이소부텐 및 글리콜 화합물로 분해하고 반응물로 재순환시켜, 단위 원료당 제품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글리콜 화합물과 이소부텐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혼합물을 산성 촉매의 존재 하에 반응시킴으로써,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과 부산물인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제조하는 촉매반응 단계; 상기 촉매반응 단계에서 제조된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과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친수성 추출제 및 친유성 추출제를 사용하여 분리하는 부산물 추출 단계; 및 분리된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글리콜 화합물 및 이소부텐으로 분해하여 상기 촉매반응 단계로 재순환시키는 부산물 분해 및 순환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glycol mono-tertiary-butyl ether compound}
본 발명은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소부텐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혼합물 및 글리콜 화합물을 반응물로 사용하는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에 있어서, 부산물인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이소부텐 및 글리콜 화합물로 분해하고 반응물로 재순환시켜, 단위 원료당 제품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은, 반도체 소자 및 액정표시소자 등의 제조공정에서, 기판으로부터 레지스트를 박리시키는데 사용되는 박리액의 구성요소인 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화합물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이다. 또한, 페인트, 코팅 등의 분야에 있어서, 고비점 용제로 사용하여 레벨링 효과를 부여하는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화합물은 나트륨 에톡사이드 촉매의 존재 하에서 부틸알코올과 에틸렌옥사이드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그러나, 원료물질인 부틸알코올 및 에틸렌옥사이드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촉매 또한 가격이 비싸며 많은 양의 사용이 필요하고,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며, 고온, 고압에서 반응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산성촉매 하에 글리콜 화합물과 이소부텐 등의 부텐류 화합물을 반응시켜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중국특허 제1065656호에 디에틸렌글리콜과 이소부텐을 반응시켜 디에틸렌글리콜 모노-텨서리-부틸에테르를 합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반응은 에틸렌글리콜과 부텐류 화합물이 서로 섞이지 않아 반응이 효과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부반응물(부산물)로 디에틸렌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가 약 15 내지 30% 정도 생산되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터서리-부틸에테르의 수득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산물인 글리콜 디-터셔리부틸 에테르 화합물을 분해하여 반응물로 재순환시킴으로써,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수율을 최대화하고, 제조 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리콜 화합물과 이소부텐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혼합물을 산성 촉매의 존재 하에 반응시킴으로써,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과 부산물인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제조하는 촉매반응 단계; 상기 촉매반응 단계에서 제조된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과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친수성 추출제 및 친유성 추출제를 사용하여 분리하는 부산물 추출 단계; 및 분리된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글리콜 화합물 및 이소부텐으로 분해하여 상기 촉매반응 단계로 재순환시키는 부산물 분해 및 순환 단계를 포함하는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취급이 용이하고 비교적 안전할 뿐만 아니라 저가인 원료물질(이소부텐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혼합물 및 글리콜 화합물)을 사용하므로, 공정이 편리하며, 저비용으로 생성물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가혹하지 않은 조건에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부산물인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반응물이 이소부텐 및 글리콜 화합물로 완전 분해하여 원료물질로 재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생산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부산물 처리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 방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 방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단위 원료당 제품 생산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촉매반응 단계(S1), 부산물 추출 단계(S3) 및 부산물 분해 및 순환 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재순환 단계(S2), 친수성 추출제 제거 단계(S4), 친유성 추출제 및 미반응 C4 제거 단계(S5), 분리 단계(S6)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개략도로서, 사용 가능한 장치 및 흐름선(flow line)을 나타낸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촉매반응 단계(S1)는, 반응물인 글리콜 화합물(1)과 이소부텐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탄소수 4의 탄화수소) 혼합물(2)을 산성 촉매의 존재 하에, 구체적으로는, 상기 반응물(1, 2)을, 통상적인 관상 반응기에 산성 촉매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충진(packing)되어 있는 형태의 촉매반응기(10)에 투입하여, 반응시킴으로써,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과 부산물인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글리콜 화합물(1)로는 통상의 글리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글리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에틸렌글리콜(화학식 1의 R1 및 R2가 수소 원자이고, n이 1인 경우)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n은 0 내지 4의 정수이다.
상기 이소부텐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혼합물(2)은, 이소부텐의 함량이 10중량% 이상인 탄소수 4(C4)의 탄화수소 혼합물로서, 석유 정제과정에서 중질유의 접촉 분해 시 생성되는 C4 유분, 나프타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C4 잔사유, 이소부텐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C4 탄화수소 혼합물(2)의 이소부텐 함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수율이 낮아지고, 반응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글리콜 화합물(1)과 상기 C4 탄화수소 혼합물(2) 내의 이소부텐은 1:1 내지 5:1,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3:1의 몰비(글리콜 화합물 : 이소부텐)로 투입되어 반응될 수 있다, 상기 글리콜 화합물과 이소부텐의 몰비가 1:1 미만이면, 상기 촉매반응의 반응효율이 너무 낮아질 우려가 있고, 5:1을 초과하면, 미반응 글리콜 화합물이 증가하여, 재순환까지의 비용투입이 높아지고, 원가상승의 원인이 된다.
상기 산성 촉매로는 통상의 산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에 불용성인 술폰산기(SO3H)를 갖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스티렌-술폰산형 양이온 교환 수지, 페놀-술폰산형 양이온 교환 수지, 이들의 가교 결합체, 술폰화 석탄, 술폰화 아스팔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촉매반응 단계의 반응 온도는 3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5℃이다. 상기 반응 온도가 30℃ 미만이면, 반응속도가 느려져 반응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90℃를 초과하면, 부반응으로 인한 부산물이 많이 생기고 반응 촉매가 깨지거나 변형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촉매반응 단계의 압력은 상기 반응 온도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텐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혼합물이 액상이 되는 압력에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기압에서 촉매반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 범위 내에서 수행될 때 반응의 수율 및 효율이 상승된다. 또한, 상기 촉매반응 단계에서 상기 반응물(1, 2)은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의 공간속도(weight hourly space velocity, WHSV)로 촉매반응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반응물 투입 시 공간속도가 0.1 미만이면, 생산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10을 초과하면, 반응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촉매반응 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글리콜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생성되는 글리콜 모노-터셔리 부틸 에테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고, 글리콜 디-터셔리 부틸 에테르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R1, R2 및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재순환 단계(S2)는, 상기 촉매반응 단계(S1)의 반응 혼합물(반응 생성물(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 및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 및 미반응 반응물(미반응 글리콜 화합물, 미반응 C4 탄화수소 혼합물))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상기 반응물(1, 2)과 혼합하고, 상기 촉매반응 단계(S1)로 투입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촉매반응의 원료물질(반응물)인 글리콜 화합물(1)과 이소부텐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혼합물(2)은 잘 섞이지 않으므로, 반응의 진행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상기 반응 혼합물의 일부를 재순환시키는 경우, 반응 혼합물 중에 포함된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이 원료물질인 글리콜 화합물(1)과 이소부텐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혼합물(2)의 혼합을 촉진시켜, 반응의 진행을 원활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순환 단계(S2)에서 상기 촉매반응기(10)를 통과한 반응 혼합물 중 일부는 제1 순환관(11)을 통해 반응물(1, 2)과 혼합되어 촉매반응기(10)로 재투입되고, 나머지는 생성물 이송관(12)를 통하여 추출탑(2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촉매반응 단계(S1)의 반응 혼합물 중 재순환되는 반응 혼합물(11)은 재순환되지 않는 반응 혼합물(12) 대비 1 내지 20배(중량비)로 재순환될 수 있다. 재순환되는 반응 혼합물(11)의 양이 재순환되지 않는 반응 혼합물(12) 양의 1배(중량비) 미만이면, 반응물(1, 2)의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반응의 진행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으며, 재순환되지 않는 반응 혼합물(12) 양의 20배(중량비)를 초과하면, 부 반응물이 많아져 생산효율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상기 부산물 추출 단계(S3)는 상기 촉매반응 단계(S1)에서 제조된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과 부산물인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친수성 추출제 및 친유성 추출제를 사용하여 분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친수성 추출제는, 상기 반응 혼합물로부터, 상기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등의 친수성 화합물을 추출하여, 친수성 화합물층(수층, 23)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친수성 추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콜류, 탄소수 2 내지 10의 글리콜류,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콜류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펜탄올, 헥산올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탄소수 2 내지 10의 글리콜류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유성 추출제는, 상기 반응 혼합물로부터, 상기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등의 친유성 화합물을 추출하여, 친유성 화합물층(유기층, 24)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친유성 추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탄소수 2 내지 16의 탄화수소, 바람직하게는 상기 C4 탄화수소 혼합물(2)과 동일한 탄소수 4의 탄화수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산물 추출 단계(S3)에서, 예를 들면, 상기 촉매반응 단계(S1)에서 제조된 생성물(반응 혼합물)은, 생성물 이송관(12)를 통하여 이송되어 다단 추출탑 형태의 추출탑(20)에 투입되며, 동시에 친수성 추출제(물 등)가 친수성 추출제 이송관(21)을 통해 추출탑(20) 상부로 투입되고, 친유성 추출제(C4 탄화수소 등)가 친유성 추출제 이송관(22)을 통해 추출탑(20) 하부로 투입된다. 다음으로, 투입된 친수성 추출제는 추출탑(20) 상부에서 탑저부로 이동하며, 주생성물인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 및 미반응 글리콜 화합물과 함께 친수성 화합물층(23)의 형태로 추출탑(20) 탑저부로 유출되어 친수성 추출제 스트리퍼(30)로 이송되고, 투입된 친유성 추출제는 추출탑(20) 하부에서 탑정부로 이동하며, 부생성물인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 및 미반응 C4 탄화수소 혼합물과 함께 친유성 화합물층(24)의 형태로 추출탑(20) 탑정부로 유출되어 친유성 추출제 스트리퍼(50)로 이송됨으로써,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과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이 분리된다.
상기 추출탑(20)으로는 통상의 다단(예를 들어, 2 내지 30단) 추출탑, 예를 들어, 향류 다단식 액/액 추출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촉매반응기(10)의 압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1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의 온도 및 상압(1atm) 내지 15바(bar), 바람직하게는 상압 내지 12바,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바의 압력에서 운전된다. 상기 추출탑(20)의 운전 온도가, 10℃ 미만이면, 냉매 투입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의 단점이 있고, 60℃를 초과하면, 역시 열원 공급으로 인한 에너지 투입에 의한 제조원가 상승의 단점이 있다. 상기 추출탑(20)의 운전 압력이 상압 미만이면, 감압에 필요한 공장 설비를 투자하는 단점이 있고, 15바를 초과하면, 그에 상응하는 고가의 재질을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추출탑(20) 및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과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분리에 관한 내용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56083호에 더욱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상기 친수성 추출제 제거 단계(S4)는, 상기 추출탑(20) 탑저부로 유출된 친수성 화합물층(23)로부터, 친수성 추출제를 제거(분리)하는 단계로서, 예를 들면, 다단(5 내지 50단) 증류탑 형태의 친수성 추출제 스트리퍼(stripper)(30)를 사용하여, 친수성 화합물층(23)을 증류시킴으로써 친수성 추출제와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 및 미반응 글리콜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친수성 화합물층(23)을 상기 친수성 추출제 스트리퍼(30)에 통과시키면, 친수성 추출제는 친수성 추출제 스트리퍼(30)의 상부 연결관(32)로 유출되어, 콘덴싱(응축) 드럼(40)에 포집되고, 동시에 주생성물인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 및 미반응 글리콜 화합물은 친수성 추출제 스트리퍼(30)의 하부 연결관(31)으로 유출되어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증류 컬럼(60)으로 이송된다. 포집된 친수성 추출제는 친수성 추출제 이송관(21)를 통해 추출탑(20)으로 재순환(친수성 추출제 재순환 스트림(41))되거나, 친수성 추출제 스트리퍼(30)에 재투입(친수성 추출제 재투입 스트림(42))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친수성 추출제 스트리퍼(30)의 상부(탑정부) 온도는 주어진 압력 조건에서의 친수성 추출제의 비점이며, 예를 들어, 친수성 추출제로 물을 단독 사용하고, 상기 추출탑(20)의 운전 압력이, 0.1바일 경우, 상기 상부의 온도는 약 45℃이고, 상압일 경우, 100℃이다. 또한, 상기 친수성 추출제 스트리퍼(30)의 하부(탑저부) 온도는 주어진 압력 조건에서의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와 미반응 글리콜 화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비점이다.
상기 친유성 추출제 및 미반응 C4(미반응 C4 탄화수소 혼합물) 제거 단계(S5)는 상기 추출탑(20) 탑정부로 유출된 친유성 화합물층(24)로부터, 미반응 C4 탄화수소 혼합물과 친유성 추출제(예를 들면, C4 탄화수소)를 제거(분리)하는 단계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단(5 내지 50단) 증류탑 형태의 C4 스트리퍼(stripper)(50)를 사용하여, 친유성 화합물층(24)을 증류시킴으로써 친유성 추출제 및 미반응 C4(미반응 C4 탄화수소 혼합물)와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친유성 화합물층(24)을 상기 C4 스트리퍼(50)에 통과시키면,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은 C4 스트리퍼(50)의 하부 연결관(51)으로 유출되어 분해반응기(70)로 이송되고, 동시에 친유성 추출제 및 미반응 C4 탄화수소 혼합물은 C4 스트리퍼(50)의 상부 연결관(52)로 유출되어, 친유성 추출제 이송관(22)를 통해 추출탑(20)으로 재순환(친유성 추출제 재순환 스트림(52))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4 스트리퍼(50)의 운전 압력은, 상기 친유성 추출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소수 4 이하의 추출제를 사용할 경우, 약 4바의 압력에서 운전되고, 탄소수 5 내지 8의 추출제를 사용할 경우, 상압(1atm)에서 운전되며, 탄소수 9 이상의 추출제를 사용할 경우, 감압증류로 운전될 수 있다. 상기 C4 스트리퍼(50)의 상부(탑정부) 온도는 주어진 탑정부 압력 조건에서의 친유성 추출제 및 미반응 C4 탄화수소 혼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비점이며, 상기 C4 스트리퍼(50)의 하부(탑저부) 온도는 주어진 탑저부 압력 조건(예를 들어, 상압 내지 2바)에서의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의 비점이다.
상기 분리 단계(S6)는, 주생성물(제품)인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정제하기 위한 단계로서, 예를 들면, 다단(5 내지 50단) 증류탑 형태의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증류 컬럼(60)를 사용하여, 상기 친수성 추출제 스트리퍼(30)의 하부 연결관(31)으로 유출된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과 미반응 글리콜 화합물을 증류시킴으로써,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 및 미반응 글리콜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과 미반응 글리콜 화합물을 상기 증류 컬럼(60)에 통과시키면,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은 증류 컬럼(60)의 상부 연결관(61)으로 유출되고, 동시에 미반응 글리콜 화합물은 증류 컬럼(60)의 하부 연결관(62)로 유출되어, 상기 글리콜 화합물(1)과 함께 상기 촉매반응기(10)로 재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류 컬럼(60)은, 0.05 내지 0.5바(bar),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2바의 압력에서 운전된다. 상기 증류 컬럼(60)의 상부(탑정부) 온도는 주어진 압력 조건에서의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의 비점이며, 상기 증류 컬럼(60)의 하부(탑저부) 온도는 주어진 압력 조건에서의 미반응 글리콜 화합물의 비점이다. 상기 증류 컬럼(60)의 운전 압력이, 0.05바 미만이면, 압력을 맞추기 위한 고가의 장비 및 설비 투자 비용이 필요하여 경제적이지 못하고, 0.5바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많은 에너지가 투입될 우려가 있다.
상기 부산물 분해 및 순환 단계(S7)는, 상기 촉매반응에 의해 생성된 부반응 생성물(부산물)인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이소부텐 및 글리콜 화합물로 분해하고 반응물로 재순환시켜, 단위 원료당 제품(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 생산량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단계로서, 예를 들면, 상기 C4 스트리퍼(50)의 하부 연결관(51)으로 유출된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를, 통상적인 관상 반응기에 산성 촉매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충진(packing)되어 있는 형태(fixed bed type)의 분해반응기(70)에 투입하고, 4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80℃의 온도에서 글리콜 화합물과 이소부텐으로 분해한 후, 글리콜 화합물과 이소부텐을 각각 촉매반응기(10)로 순환(재투입)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이소부텐은 상기 분해반응기(70)의 상부(탑정부) 연결관(71)으로 유출되고, 이소부텐 응축 드럼(80)에 포집된 후, 재순환(이소부텐 재순환 스트림(81))되어, 상기 이소부텐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혼합물(2)과 함께 상기 촉매반응기(10)로 투입될 수 있고, 상기 (재생) 글리콜 화합물은 상기 분해반응기(70)의 하부(탑저부) 연결관(72)으로 유출되어, 상기 글리콜 화합물(1)과 함께 상기 촉매반응기(10)로 투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산물 분해 및 순환 단계(S7)를 포함시킴으로써, 투입된 원료(글리콜 화합물(1) 및 C4 탄화수소 혼합물(2))의 손실이 거의 없는 이상적인 반응기(반응 공정)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분해반응기(70)에 사용되는 산성 촉매로는, 상기 촉매반응기(10)에 사용된 통상의 산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강산성 클래이 촉매,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몰리브데늄 산화물,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강산성 클래이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산물 분해 및 순환 단계(S7)에서, 분해 반응 시 온도가 40℃ 미만이면, 분해 반응속도가 느려져 반응 효율이 감소할 우려가 있으며, 250℃를 초과하면, 글리콜 화합물의 축합반응으로 인한 부산물이 많이 생길 수 있고, 반응촉매가 깨지거나 변형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분해 반응 시 압력은 당업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 내지 10기압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기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압력 범위 내에서 수행될 때 분해 반응의 효율이 상승된다. 또한, 상기 분해 반응에서 상기 부산물은 0.1 내지 20의 공간속도(weight hourly space velocity, WHSV)로 분해반응기(70)에 투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의 공간속도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부산물 투입 시 공간속도가 0.1 미만이면, 분해 생산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20을 초과하면, 분해 반응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3] 디에틸렌글리콜 모노- 터셔리 - 부틸에테르의 제조
도 2 에서, 촉매반응기(10)로는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마크로 공질의 술폰화 디비닐벤젠-가교결합된 폴리스티렌 수지인 엠버라이트형 촉매) 50g을, 길이 60cm, 내관 직경 1/2인치(inch)의 이중관 형태 반응기에 충진한 것을 사용하였고, 분해반응기(70)로는 강산성 클래이 촉매 50g을, 길이 60cm, 내관 직경 1/2인치(inch)의 이중관 형태의 분해 반응기에 충진한 것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반응기(10, 70)는 반응열을 제어할 수 있도록, 외측관으로 열교환수(촉매반응기(10)인 경우) 또는 열매체유(분해반응기(70)인 경우)가 순환되도록 하였다. 또한, 추출탑(20), 친수성 추출제 스트리퍼(30), C4 스트리퍼(50) 및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증류 컬럼(60)로는 15단의 증류탑을 사용하였다. 글리콜 화합물(1)로는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DEG)을 사용하였으며, 이소부텐(isobutene: IB)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혼합물(2)로는 하기 표 1에 따른 조성을 갖는 C4 탄화수소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원료(1, 2)의 이송은 MFC(Mass Flow Controller)를 사용하였고, 하기 표 2의 반응 조건에 따라, 도 1의 S1 단계 내지 S7 단계를 수행하여, 디에틸렌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를 제조하였다. 기타 반응 조건으로는, 7기압 하에서 디에틸렌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를 생산하였고(S1 단계), 친유성 추출제로는 C4 탄화수소 혼합가스를 사용하고, 친수성 추출제로는 물을 사용하였으며(S3 단계), 상압 및 100℃의 조건에서 증류하였고(S4 단계), 3.2KG 및 150℃의 조건에서 증류하였고(S5 단계), 상압 및 210℃의 조건에서 증류하였으며(S6 단계), 3기압 하에서 부산물(디에틸렌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을 분해하였다(S7 단계). 또한, 최초 원료 투입량(DEG + IB를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화합물)은 1000g이었고, 반응물 순환비(재순환되지 않는 반응 혼합물(12)의 양 : 재순환되는 반응 혼합물(11)의 양(중량비))는 1:10이었다. 분해 생성된 이소부텐(IB) 및 디에틸렌글리콜(DEG)의 양, 미분해 부산물의 양 및 생성된 디에틸렌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DETB)의 총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성 분 이소부텐 n-부탄 1-부텐 시스-2-부텐 트랜스-2-부텐 이소부탄
함량
(중량%)
47.6 10.9 24.7 4.6 9.3 2.9
DEG/IB 몰비 반응
온도
(℃)
부산물
투입량
(g)
분해
온도
(℃)
분해반응
공간속도
(WHSV)
분해
생성된 IB (g)
분해
생성된 DEG (g)
미분해
부산물
(g)
DETB
생성총량 (g)
실시예 1 2 40 150 130 5 73.2 69.3 8.0 770
실시예 2 2 50 215 130 5 105.6 99.9 10.4 842
실시예 3 2 60 253 130 5 123.8 117.2 11.9 831
실시예 4 1 50 312 130 5 152.2 144.0 15.6 782
실시예 5 3 50 111 130 5 54.3 51.4 5.6 714
실시예 6 2 50 212 130 3 107.7 101.9 1.9 850
실시예 7 2 50 213 130 20 71.7 67.8 74.1 774
실시예 8 2 50 215 60 5 39.9 37.8 138.1 646
비교예 1 2 40 - - - - - 153 513
비교예 2 2 50 - - - - - 217 545
비교예 3 2 60 - - - - - 258 561
상기 표 2로부터, 부산물 분해 및 순환 단계(S7)의 분해 반응온도가 130℃이고, 공간속도가 5일 때(실시예 1 내지 5), 약 95%의 부산물 분해율을 보임을 알 수 있고, 분해 반응온도가 130℃이고, 공간속도가 3일 때(실시예 6), 약 99%의 분해율로 부산물이 분해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부산물 분해 및 순환 단계(S7)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 부산물을 분해하여 원료로 재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생산된 디에틸렌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DETB)의 양이 약 60% 이상 증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생성물(반응 혼합물)의 재순환 단계를 포함하여 혼합이 용이하지 않은 반응물질의 혼합을 촉진시키는 한편, 부산물을 분해하고, 반응물질로 재순환시킴으로써, 부산물에 의한 손실을 방지하고 원하는 생성물의 생산량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글리콜 화합물과 이소부텐을 포함하는 C4 탄화수소 혼합물을 산성 촉매의 존재 하에 반응시킴으로써,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과 부산물인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제조하는 촉매반응 단계;
    상기 촉매반응 단계에서 제조된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과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친수성 추출제 및 친유성 추출제를 사용하여 분리하는 부산물 추출 단계; 및
    분리된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을 글리콜 화합물 및 이소부텐으로 분해하여 상기 촉매반응 단계로 재순환시키는 부산물 분해 및 순환 단계를 포함하는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 분해 및 순환 단계의 분해 반응온도는 40 내지 250℃인 것인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반응 단계의 반응 혼합물(반응 생성물 및 미반응 반응물)의 일부를 재순환시켜, 상기 촉매반응 단계로 투입하는 재순환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여기서, 재순환되는 반응 혼합물의 양은, 재순환되지 않는 반응 혼합물의 양에 대하여, 1 내지 20배(중량비)인 것인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상기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상기 글리콜 디-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인,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04

    [화학식 2]
    Figure pat00005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n은 0 내지 4의 정수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4 탄화수소 혼합물의 이소부텐 함량은 10중량% 이상인 것인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반응 단계에 투입되는 상기 글리콜 화합물과 상기 이소부텐의 몰비(글리콜 화합물 : 이소부텐)는 1:1 내지 5:1인 것인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20110062666A 2011-02-22 2011-06-28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1331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1293 WO2012115422A2 (ko) 2011-02-22 2012-02-21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US14/000,648 US8766015B2 (en) 2011-02-22 2012-02-21 Method for preparing a glycol mono-tertiary-butylether compound
CN201280009831.4A CN103402958B (zh) 2011-02-22 2012-02-21 二元醇单叔丁基醚化合物的制备方法
EP12749745.1A EP2679569B1 (en) 2011-02-22 2012-02-21 Method for preparing a glycol mono-tertiary-butylether compound
JP2013555361A JP5890850B2 (ja) 2011-02-22 2012-02-21 グリコールモノ−tert−ブチルエーテル化合物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415 2011-02-22
KR20110015415 2011-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389A true KR20120096389A (ko) 2012-08-30
KR101331551B1 KR101331551B1 (ko) 2013-11-20

Family

ID=4688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666A KR101331551B1 (ko) 2011-02-22 2011-06-28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66015B2 (ko)
EP (1) EP2679569B1 (ko)
JP (1) JP5890850B2 (ko)
KR (1) KR101331551B1 (ko)
CN (1) CN103402958B (ko)
WO (1) WO201211542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8123A1 (ko) * 2014-08-22 2016-02-25 대림산업 주식회사 폴리부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62117A (zh) * 2014-09-04 2015-01-07 深圳市飞扬实业有限公司 二元醇单叔丁基醚制备方法
CN105061160A (zh) * 2015-07-22 2015-11-18 珠海飞扬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二元醇叔丁基醚的生产方法
TWI580669B (zh) * 2015-08-31 2017-05-01 台灣中油股份有限公司 二元醇第三丁基醚之合成方法
JP6803729B2 (ja) 2016-11-16 2020-12-23 Eneos株式会社 p−キシレンの製造方法
CN106831359A (zh) * 2017-02-03 2017-06-13 荆楚理工学院 二甘醇叔丁醚分离提纯方法
CN108752171B (zh) * 2018-07-13 2022-05-06 山东瑞海米山化工有限公司 一种二甘醇单特丁基醚的合成及生产方法
CN109265340B (zh) * 2018-11-19 2021-12-17 深圳市前海博扬研究院有限公司 一种二元醇单叔丁基醚羧酸酯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4936B2 (ja) * 1978-08-30 1985-08-12 丸善石油株式会社 エチレングライコ−ルモノタ−シャリ−ブチルエ−テルの製造方法
JPS6034937B2 (ja) * 1978-10-06 1985-08-12 丸善石油株式会社 エチレングライコ−ルモノタ−シヤリ−ブチルエ−テルの製法
JPS6034938B2 (ja) * 1978-10-12 1985-08-12 丸善石油株式会社 エチレングリコ−ルモノタ−シヤリ−ブチルエ−テルの製造方法
JPS56103127A (en) * 1980-01-22 1981-08-18 Cosmo Co Ltd Preparation of ethylene glycol monotert-alkyl ether
ATE6147T1 (de) * 1980-02-29 1984-02-15 Maruzen Petrochemical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ethylenglykol-mono- tert.-butylaether.
JPS58144336A (ja) * 1982-02-22 1983-08-27 Mitsui Petrochem Ind Ltd グリコ−ルモノ第三級アルキルエ−テルの製造方法
JPS5951224A (ja) 1982-09-17 1984-03-24 Cosmo Co Ltd C↓4炭化水素留分からイソブチレンを分離する方法
US4675082A (en) * 1986-09-22 1987-06-23 Atlantic Richfield Company Recovery of propylene glycol mono t-butoxy ether
JPH0780800B2 (ja) * 1987-04-08 1995-08-30 丸善石油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グリコ−ル第3ブチルエ−テルの製造方法
DE3923291A1 (de) * 1989-07-14 1991-01-24 Erdoel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einen c(pfeil abwaerts)4(pfeil abwaerts)-c(pfeil abwaerts)7(pfeil abwaerts)-tert.-alkenen
CN1065656A (zh) 1991-04-09 1992-10-28 中国石油化工总公司扬子石油化工公司 二甘醇单叔丁基醚的制备
EP0530966A3 (en) 1991-09-03 1993-04-14 Texaco Chemical Company Method of separating isobutylene from a c-4 hydrocarbon fraction
FR2710907B1 (fr) * 1993-10-08 1996-01-05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édé de production d'éthers tertiaires à partir d'une charge de craquage catalytique comprenant deux étapes de distillation extractive.
US5552024A (en) * 1994-02-28 1996-09-03 Arco Chemical Technology, L.P. Process for recovering dipropylene glycol tert-butyl ethers
US5723683A (en) * 1996-03-12 1998-03-03 Arco Chemical Technology, L.P. Separation of monoethers from diethers
JPH10101606A (ja) * 1996-09-25 1998-04-21 Mitsubishi Chem Corp 1,2−ブタンジオールモノ−t−ブチ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US6264800B1 (en) 2000-07-19 2001-07-24 Arco Chemical Technology, L.P. Purification process
KR101104570B1 (ko) 2009-02-27 2012-01-11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모노-글리세롤터셔리부틸에테르의 제조방법
KR101171483B1 (ko) 2010-02-16 2012-08-07 대림산업 주식회사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8123A1 (ko) * 2014-08-22 2016-02-25 대림산업 주식회사 폴리부텐의 제조방법
US10202476B2 (en) 2014-08-22 2019-02-12 Daelim Industrial Co., Ltd. Polybutene prepar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15422A3 (ko) 2012-10-18
EP2679569A2 (en) 2014-01-01
EP2679569B1 (en) 2017-08-02
US20130331613A1 (en) 2013-12-12
JP2014513672A (ja) 2014-06-05
EP2679569A4 (en) 2014-09-03
JP5890850B2 (ja) 2016-03-22
KR101331551B1 (ko) 2013-11-20
CN103402958A (zh) 2013-11-20
US8766015B2 (en) 2014-07-01
CN103402958B (zh) 2016-03-02
WO2012115422A2 (ko)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551B1 (ko)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AU2015203733B2 (en) Method for recycling methanol in the process of preparing dimethyl oxalate from synthesis gas
KR20140056054A (ko)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정제 방법
CN104557784A (zh) 一种生产环氧丙烷的方法
JP5890849B2 (ja) グリコールエーテルを利用した高純度のイソブテンの製造方法
WO2019206324A1 (zh) 一种叔丁醇和甲醇制备甲基叔丁基醚和异丁烯的联合方法
CN102452934A (zh) 一种乙酸仲丁酯的制备方法
TWI439448B (zh) 二醇單-第三丁基醚與二醇二-第三丁基醚之分離
CN104961630A (zh) 一种2,5-二氯苯酚的制备方法
CN110172013B (zh) 一种基于催化蒸馏溶剂法合成叔戊醇的工艺
CN101880212A (zh) 一种由含氧化合物制备丙烯的工艺
KR102136521B1 (ko) 아이소뷰틸렌의 분리 정제 방법 및 아이소뷰틸렌의 제조 방법
KR101171483B1 (ko)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글리콜 모노-터셔리-부틸에테르 화합물
CN105175203A (zh) 甲基叔丁基醚制备异丁烯的方法
CN114920630A (zh) 一种乙二醇单乙烯基醚的连续化生产工艺及设备
CN110452083B (zh) 二异丁烯的生产方法及装置
KR20220163415A (ko) 마이크로 반응기를 통해 옥세탄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
KR101161845B1 (ko) 알켄 화합물의 제조 방법
EP2593443B1 (en) Process and assembly for producing alkylene oxides and glycol ethers
CN117820186A (zh) 一种间二异丙苯氢过氧化物的制备方法
RU2320628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изобутенсодержащей углеводородной смеси и спирта c1 или c2
KR20100108642A (ko) 옥시란화합물의 제조방법
CN117463257A (zh) 一种气液法制备乙烯基醚的反应装置及生产工艺
RU224896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зопрена
JP2011173820A (ja) 炭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