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004A -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004A
KR20120091004A KR1020127007810A KR20127007810A KR20120091004A KR 20120091004 A KR20120091004 A KR 20120091004A KR 1020127007810 A KR1020127007810 A KR 1020127007810A KR 20127007810 A KR20127007810 A KR 20127007810A KR 20120091004 A KR20120091004 A KR 20120091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polymer pellets
warehouse
cargo warehouse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타로 타카노
마사히로 나가사와
코지 모치즈키
히로후미 스즈키
히로아키 요코다
요시카즈 카와고에
진 야마사키
코헤이 미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쇼센 미츠이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쇼센 미츠이,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쇼센 미츠이
Publication of KR20120091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 continuous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22 - B63B27/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8Systems utilising a combination of gas pressure and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Abstract

손상이나 오염, 수분을 기피하는 분립체인 폴리머 펠렛을 효율좋게 수송할 수 있는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방법을 제공한다. 폴리머 펠렛(B)의 수상 수송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B)을 산적 상태로 선박(1),(1A)또는 바지선의 화물창고에 수납하여 수송한다. 더욱이, 폴리머 펠렛(B)이 화물창고의 골부재에 충돌하여 표면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머 펠렛(B)이 접촉하는 화물창고벽이 화물창고(10),(10A)의 내부측에 돌출되는 골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평활하게 형성된 화물창고(10),(10A)에 폴리머 펠렛(B)을 산적상태로 수납하여 수송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 {WATER-BORNE TRANSPORTATION METHOD FOR POLYMER PELLETS}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는 손상과 오염을 기피하여 자루에 담아서 수송하였던 폴리머 펠렛을, 산적(散積)하여 수상(水上) 수송하는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유 정제 공업에 있어서는, 원유를 증류하여, 비점의 차에 의해 석유가스, 가솔린, 나프타(조제 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 아스팔트로 나눈다. 이 중에 나프타를 나프타 분해 장치로 가열 분해하여 간단한 구조의 물질로 변화시켜,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등의 물질을 추출한다. 이 에틸렌과 프로필렌 등을, 화학반응으로 같은 물질의 분자와 분자를 결부시키는 중합반응에 의해 다른 성질을 가진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머(중합체)를 제조하고 있다.
이 폴리머 펠렛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투명하고 결정성(95%)이 있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머라고 불리우는 것을, 크기 Ø3㎜×L3㎜~Ø6㎜×L6㎜ 정도의 펠렛 상태로 형성한 것이다. 이 폴리머 펠렛의 물성(物性)은, 비중이 약 0.9 ~ 1.0 이고, 부피비중은 약 0.5 정도로 비교적 가볍고, 안식각(安息角)도 약 30도 정도이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비중이 약0.92이며, 고압으로 제조된다. 고밀도 폴리 에틸렌은 비중이 약 0.95이며, 저압으로 제조된다. 이 폴리프로필렌은 비중이 약0.9이다.
이 폴리머의 성질은 가연성이기 때문에, 분진상태에서 폭발성 혼합 증기를 형성하여 위험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펠렛상태에서 상온에서의 취급에는 위험성은 없고, 또, 생리학적으로 불활성 하기 때문에 인체에 특별한 독성은 없다. 또, 물과의 반응성과 자기 반응성, 폭발성은 없으며, 상온에서 안정적이다. 다만, 펠렛이 넘쳐흐르는 경우에 발이 미끄러져 전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누출방지와 누출시의 회수는 중요하다. 특히, 수송 시 수역(水域)에 누출된 경우에는, 동물이 삼키게 되면 질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많은 폴리머의 경우, 표면에 수분이 부착된 채로 성형하게 되면, 제품의 표면불량이나 외관불량, 기계적 물성(강도)불량 등이 생긴다. 또, 펠렛의 손상에 의하여 부서진 작은 폴리머가 혼성(contamination)되는 것 때문에, 펠렛 표면의 손상도 기피한다. 그 때문에, 펠렛표면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管)이나 화물창고의 내면에서 펠렛이 마모되는것을 피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녹이나 페인트 조각, 다른 종류의 펠렛이 혼입하는것을 기피하기 때문에, 도장(塗裝)이나 녹, 다른종류와의 혼합을 피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기술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을 선박으로 해상수송할 경우에는, 폴리머 펠렛이 손상과 오염을 기피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산적선(散積船)과 같이 골부재가 화물창고에 돌출되어 있거나 풍우밀(風雨密) 해치커버(hatch cover)만으로 바깥 공기와 격리되어 있거나 하는 선창에 이 화물을 탑재하여 수송하는 것은 화물의 품질관리상 바람직 하지 않다고 생각되어 졌다. 더욱이, 종래기술의 산적선에 있어서의 하역에서, 하역용 그래브(grab)등으로 이 화물을 양륙하는 것도 화물의 품질 관리상 바람직 하지 않다. 또, 폴리머 펠렛에는 수분이 부착되기 때문에 이 화물은 건조상태에서 수송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종래기술에서는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으로, 폴리머 펠렛을 자루에 담아서 이 자루를 탑재한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수송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자루와 컨테이너를 이용하는 수송방법에서는 펠렛을 자루에 담는 작업이나, 컨테이너로의 수납작업, 개봉을 위한 자루의 파단작업, 자루에서 펠렛 꺼내기 작업등을 위한 인력이나 기계에 의한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효율이 안 좋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펠렛의 소량 운반시에 사용하는 자루등의 포장자재가 자원의 낭비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앞으로도, 폴리머 펠렛의 수요는 세계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효율적인 해상 수송방법을 업계에서 원하고 있다.
또한, 이것과 관련하여 일본 특개2008-260636호 공보에 기재 되어 있는 것과 같이, 수상수송에서는 아니지만, 폴리머 펠렛을 압력기류와 함께 수송배관을 사이에 두고 기력(氣力)수송 하는 폴리머 펠렛의 기력 수송방법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의 함수율(含水率)을 증대시키는 것 없이, 간편한 수단으로 수송하는 폴리머 펠렛의 수송방법 및 저장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기력수송에 이용하는 기체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저감하고, 이 기체의 노점(露点)을 0℃이하로 조정하여 이 기체를 압축하여 수송배관내에 공급한다.
특허문헌1 : 특개2008-260636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손상과 오염, 수분을 기피하는 분립체인 폴리머 펠렛을 효율 좋게 수송할 수 있는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은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에 있어, 폴리머 펠렛을 산적 상태로 선박 또는 바지선의 화물창고에 수납하여 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펠렛의 자루 담기 작업이나, 컨테이너 수납작업, 개봉을 위한 자루의 파단작업, 자루로부터 펠렛 꺼내기 작업 등을 위한 인력이나 기계에 의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효율 좋은 수상 수송이 가능하다.
상기의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을 상기 화물창고의 상부에 설치된 투입구로부터 낙하시켜 상기 화물창고에 수납하는 적화하역과, 상기 화물창고의 하부에 설치되며 또, 경사부를 구비한 배출부로부터 밸브에 의해 기체 수송관으로 배출되고 그 기체수송관내를 기체와 함께 육상 하역 설비로 반송하는 양륙하역을 행하도록 하면, 매우 효율 좋게 하역 할 수 있다.
상기의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이 접촉하는 화물창고 벽을, 상기 화물창고의 내부측에 돌출되는 골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평활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그 화물창고의 하부에 경사부를 가진 배출구를 설치한 상기 화물창고에 폴리머 펠렛을 산적 상태로 수납하여 수송하도록 하면 폴리머 펠렛이 이 골부재에 충돌하여 표면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산적 화물이 화물창고내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물 창고 내부의 청소도 용이해 진다.
상기의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이 상기 화물창고의 하부에 복수 설치된 배출부에서 밸브에 의하여 기체 수송관에 배출되도록 하면, 배출부를 하나의 화물창고에 대하여 복수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배출구 주변의 경사부의 높이를 낮게 하는것이 가능하고, 화물창고 및 화물을 쌓은 상태에서 화물 창고의 중심위치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선체의 중심을 낮춰서 선체의 좌우 흔들림에 대한 복원 성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화물창고를 선폭방향으로 복수 배치하는것에 의해, 각각의 화물창고의 가로폭을 작게한다. 이것에 의하여, 악천후시의 선체 동요등에 의한 유동성이 있는 폴리머 펠렛의 이동량을 적게하여, 이 폴리머 펠렛의 좌우 이동량을 억제하고, 좌우 흔들림에 대한 복원성능을 확보하는것이 가능하다.
또,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경사부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으로 경사부의 외측주위의 데드스페이스(Dead space)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폴리머 펠렛을 탑재할 수 있는 양이 증가되어 효율 좋은 선박 수송이 가능하다.
이 배출구에는 적화하역으로 화물창고에 저장하는 도중에 폴리머 펠렛이 기체수송관에 낙하하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밸브, 예를 들면 로터리(Rotary)밸브 등으로 형성된 정량배출 밸브를 설치한다. 또, 양륙화물 하역중에는 공기, 건조공기, 비활성 가스 등의 기체로 폴리머 펠렛을 수송함과 동시에, 기체수송관에 보내지는 기체량에 걸맞는 양의 폴리머 펠렛을 기체 수송관내에 보낸다. 즉, 화물창고의 하부배출구로부터 선체에 상설되어 있는 기체 수송관을 통과시켜, 상갑판까지 폴리머 펠렛을 양륙한다. 이것에 의해, 폴리머 펠렛을 기체로 수송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또, 효율좋게 양륙할 수 있다. 또한, 기체수송에 관해서는 공기등을 이용한 기체 압송식 대신에 진공흡인식으로 하여도 좋다.
이 수분을 기피하는 폴리머 펠렛의 수송에서는, 화물창고내의 폴리머 펠렛이 습기를 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화시나 양륙시 등의 하역시에 육상시설의 공기 건조 설비나 송풍기(blower), 압축기(compressor)라고 하는 송풍장치로부터 건조공기를 화물창고내와 기체 수송관내에 공급하고, 하역시 이외와 운반시에는 선박에 탑재한 공기 건조기와 송풍기로부터 건조공기를 화물창고내에 공급한다.
상기의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을 화물 창고 벽에 액체가 접하지 않는 구조의 상기 화물창고에 수납하여 수송하도록 하면, 즉, 화물창고를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의 물 밸러스트, 연료 탱크의 연료, 선체외측의 해수(海水), 물에 인접시키지 않도록 설치하면 화물창고의 화물 창고벽에 결로(結露)를 방지할 수 있으며, 폴리머 펠렛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역시에는 화물 창고내에 건조공기를 송풍하여, 폴리머 펠렛이 수분이 많은 공기에 접촉 하는것을 방지한다.
본발명의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에 의하면, 종래기술에서 행해지던 분립체의 자루담기 작업과 컨테이너 수납 작업, 자루로부터 분립체 꺼내기 작업등을 없애 수송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켜, 대량 수송을 효율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에서 이용되는 일체(一體)타입의 산적선에 있어서 화물창고의 배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산적선의 화물창고의 배치를 나타낸 수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산적선의 화물창고의 구조를 나타낸 선체의 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에서 이용되는 별체의 용기(容器) 타입의 산적선에 있어서 화물창고의 배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5는 도4의 산적선의 화물창고의 배치를 나타낸 수평면도이다.
도6은 도4의 산적선의 화물창고의 구조를 나타낸 선체의 횡단면도이다.
도7은 화물창고의 덮는구조를 가지지 않은 산적선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8은 화물창고의 덮는 구조를 가지지 않은 산적선의 구조를 나타낸 선체의 횡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방법에 이용하는 적화 하역과 양륙하역을 설명하기 위한, 산적선과 육상하역 설비의 구성을 나타낸 경사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추진 장치를 가지는 산적선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추진장치를 가지지 않은 산적용 바지선을 이용하여도 똑같이 적용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은 설명을 위한 도면이며, 반드시 실제 선박으로 이용되는 선박의 형태나 화물창고의 척도비로 제도한 것은 아니다. 또, 도9도 하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9의 선체구조는 도1~도8의 선체구조와는 화물창고의 형태나 배출구가 다른 선체구조로 되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으로 이용되는 산적선에 대하여, 화물 창고를 선체와 일체로 형성한 산적선과, 화물창고를 선체와는 별체로 형성하고, 선체에 탑재한 별체의 용기 방식의 산적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도3에 나타내는 것처럼, 일체 타입의 산적선(1)은 폴리머 펠렛을 탑재하는 화물창고(1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일체타입의 산적선(1)에는 화물창고(10)는 선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화물창고(10)의 측벽(11)등이 선체구조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 화물창고(10)는, 종래 기술의 건화물 산적선(벌크 캐리어)과 같이, 선박 길이 방향으로 격벽(6)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배치된다. 또, 선박 폭 방향에 관해서도, 화물창고(10)를 복수배치한다. 이 폭방향에 관해서, 화물창고(10)를 복수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화물창고(10)의 가로폭을 작게하고, 악천후 시의 선체 동요등에 의한 화물창고(10)의 내부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의 이동범위를 적게 한다. 이것에 의하여, 폴리머 펠렛의 좌우 이동량을 억제하고 좌우 흔들림에 대하여 복원성능을 확보한다.
또, 화물창고(10)를, 선측외판(4)과 떨어뜨려서 배치한다. 이와 함께, 선측외판(4), 선저판(2)에서는 화물창고벽을 형성하지 않고, 또, 화물창고(10)를 밸러스트 탱크에 대해서도 인접시키지 않도록 배치한다. 이것에 의하여, 해수, 물, 물 밸러스트, 연료등의 액체에 화물창고벽이 접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밸러스트 탱크에 물 밸러스트를 넣은 경우 등에서도 화물창고(10)의 화물창고벽이 냉각되어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이 화물창고(10)는,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측벽부(11)와 선측 측상부의 경사부(13)와, 천장부(14)와, 하부의 경사부(12)로 둘러싸인 구획으로 형성된다. 측벽부(11)는 수직으로 형성되며, 천장부(14)는 상갑판(5)의 일부로 이루어진다. 또, 천장부(14)는 폴리머 펠렛을 투입하는 투입구(14a)를 가진다. 하부의 경사부(12)는 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로 좁혀진다. 즉, 화물창고벽은, 경사부(12)와 측벽부(11)와 경사부(13), 천장부(14)로 구성된다.
이 화물창고(10)는,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직으로 형성된 측벽부(11)와 선측 측상부의 경사부(13)와 상갑판(5)의 일부로 이루어지며, 폴리머 펠렛을 투입하는 투입구(14a)를 가지는 천장부(14)와, 배출을 위한 배출구(15)로 좁혀지는 경사부(12)로 둘러싸인 구획으로서 형성된다. 화물창고 벽은, 경사부(12)와 측벽부(11)와 경사부(13), 천장부(14)로 구성된다.
이 화물창고(10)의 화물창고벽은, 내측에 돌출되는 골부재를 설치하지 않으며, 또한, 판 가장자리를 나오지 않도록 형성하고, 화물창고(10)의 내면을 평활하게 형성한다. 즉, 화물창고(10)를 전후방향으로 구분하는 격벽(6)의 측벽부(11)를 형성하는 부분에서는 골부재는 전부 화물창고(10)의 외측, 즉, 화물창고(10)끼리의 사이 등에 배치한다. 또, 화물창고(10)가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경계의 측벽부(11)도 골부재를 구비한 한장의 판으로 형성하지 않고, 골부재를 사이에 낀 두장의 측벽부(11)로 구성한다. 그 외의 화물창고벽도 화물창고(10)의 외측에 골부재를 배치한다. 이것에 의하여 폴리머 펠렛의 잔류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섀도 에리어(shadow area)가 없기 때문에 물 또는 압축공기에 의한 세척으로 잔류물을 씻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화물 옮겨쌓기 시의 혼성을 방지하는것이 가능하다.
화물창고(10)의 상부 투입구(14a)에는 투입용 배관(31)을 설치한다. 이 투입용 배관(31)에는 접속 플랜지(flange)(31a)를 설치하고, 적화하역시에 육상측의 산적용 배관과 접속가능 하도록 형성한다. 적화하역시에 이 투입용 배관(31)에 육상 하역설비로부터의 적화 하역용 배관(도9의 52)을 접속하여, 폴리머 펠렛을 자연 낙하시켜 화물창고(10)내에 수납한다. 이 투입구(14a)는 폴리머 펠렛을 균등하게 화물창고(10)내에 수납할 수 있도록 경사부(12)의 중앙, 즉, 배출구(15)의 바로 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화물창고(10)의 하부 경사부(12)를 갖춘 배출부의 배출구(15)에는 밸브를 설치하여, 적화하역으로 화물창고에 저장하고 있는 도중에 폴리머 펠렛이 기체 수송관(22)에 낙하하는것을 방지한다. 이 밸브는, 예를 들면, 로터리 밸브등의 정량배출 밸브(21a)로 형성한다. 이 로터리 밸브 등의 정량 배출 밸브(21a)를 가지는 배출용 배관(21)을 사이에 두고, 기체 수송관(22)을 배출구(15)에 접속한다. 양륙하역시에는 화물창고(10)내의 폴리머 펠렛을 중력에 의하여 경사부(12)에 미끄러뜨려 배출구(15)에 이동시킴과 동시에, 정량 배출 밸브(21a)에 의하여 기체 수송관(22)으로 수송가능한 양으로 조정하면서, 폴리머 펠렛을 기체 수송관(22)으로 배출한다. 이 기체 수송관(22)에 배출된 폴리머 펠렛을 기체수송에 의한 육상의 하역설비에 수송한다. 이 기체 수송에 관해서는 공기등을 이용한 기체 압송식을 이용하지만 이 기체압송식 대신에 진공흡인식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폴리머 펠렛의 경우에는, 수분을 기피하기 때문에 기체 수송관(22)에 건조공기를 보낸다. 이 경우, 적화시나 양륙시의 하역시는, 육상 시설의 공기 건조설비나 송풍기, 압축기라고 하는 송풍장치로부터 건조공기를 화물창고(10)내와 기체 수송관(22)내에 공급한다. 또, 하역시 이외와 운반시에는 선박에 탑재한 공기 건조기와 송풍기로부터 건조공기를 화물창고(10)내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하여 화물창고(10)내의 폴리머 펠렛이 습기를 가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진공 흡인식의 경우에는, 송풍장치 대신에 진공펌프를 이용한다.
또, 육상 시설에 공기 건조설비나 송풍장치를 가지지 않은 항만에 기항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이와 같은 항구에서도 자력으로 하역 할 수 있도록 1 내지 2의 화물창고(10)의 양륙을 행할 수 있을 만큼의 용량을 가진 공기 건조설비와 송풍장치를 산적선(1)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배출구(15)를 하나의 화물창고(10)에 1개 혹은 복수개(도1~도8에서는 4개) 설치한다. 복수개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1개의 경우보다도 배출구(15)의 주변 경사부(12)의 높이를 낮게 하는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화물창고(10) 및 폴리머 펠렛을 쌓은 상태에 있어서 화물창고(10)전체의 중심위치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피비중이 작은 폴리머 펠렛을 탑재하면 중심위치가 높아져 선체의 좌우 흔들림에 관한 복원성능이 악화되지만, 이 복원성능의 악화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선박 전체의 중심의 저하와 선체의 좌우 흔들림에 관한 복원성능을 확보 할 수 있다. 또, 경사부(12)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으로 경사부(12)의 외측 주위에 생기는 데드 스페이스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별체의 용기 타입의 산적선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 산적선(1A)은 일체 타입의 산적선(1)과 같이 폴리머 펠렛을 탑재하는 화물창고(10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 별체의 용기 타입의 산적선(1A)에서는 화물창고(10A)를 각각의 별체의 용기로서 형성하고, 이 별체의 용기구조의 화물창고(10A)를 선체로 탑재한다. 또한, 도7 및 도8에 나타낸 산적선(1A)은, 도4~도6에 나타낸 산적선(1A)에 있어서 화물창고(10A)의 상부에 덮는 구조(7)를 설치하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화물창고(10A)는, 도4~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측벽부(11A)와 천장부(14A), 경사부(12A)로 둘러싸인 구획으로서 형성된다. 측벽부(11A)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천장부(14A)는 폴리머 펠렛을 투입하는 투입구(14Aa)를 가진다. 또, 경사부(12A)는 배출을 위한 배출구(15A)로 좁혀진다. 화물창고벽은 경사부(12A)와 측벽부(11A), 천장부(14A)로 구성된다.
화물창고(10A)의 수평단면형상은 도5에서는 배출구(15A)를 복수 설치하기 쉬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별체의 용기방식이기때문에 원형이나 장원형, 타원 등이어도 좋다. 또, 화물창고(10A)에 복수의 배출구(15A)를 가지는 경우 배출구(15A)의 배치는, 선체전후방향으로 있어도, 선체 횡방향으로 있어도 그 외의 방향으로 있어도 좋지만, 기체 수송관(22)의 배치에 맞춰서 배치한다.
또, 화물창고(10A)의 화물창고벽은 일체타입의 화물창고(10)와 같이, 내측에 돌출되는 골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화물창고벽의 골부재는 전부 화물창고(10A)의 외측에 배치하여 화물창고(10A)의 내면을 평활하게 형성한다.
이 각각의 화물창고(10A)를 별체로 제조하여 선체에 탑재하는 별체의 용기방식을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화물창고를 구성하는 녹방지 재료로 형성되는 부분을 선체와 별체로 제조하고 나서 선체에 탑재 하는것이 가능하다. 특히, 녹방지 재료로서 클래드강 등의 특수한 강재를 이용하여 화물창고(10A)의 화물창고벽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화물창고(10A)를 별체로 제조하여 녹방지금속으로 형성되는 부분이 거의 완성된 화물창고(10A)를 선체에 탑재 하는것에 의하여 제조가 현저하게 용이해진다. 또, 녹방지 재료로서 FRP등의 비금속 재료로 형성한 화물창고(10A)를 이용하는것도 가능해진다.
더욱이, 화물창고(10A)를 상갑판(5)에서 돌출시킴과 동시에, 화물창고(10A)의 측벽부(11A)와 상갑판(5)와의 사이를 수밀 혹은 풍우밀 구조로 구성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갑판(5)을 화물창고(10)의 상부구조로 하는 구성보다도, 선체구조의 강재가 삭감되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저감 할 수 있다. 또, 화물창고(10)를 완전하게 상갑판(5)나 해치커버 (도시하지 않음)로 덮는 구조보다도, 구조가 단순화되기 때문에 선체 중량을 경감할 수 있고, 또, 선체의 중심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선체의 좌우 흔들림에 관한 복원성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단, 화물창고(10A)의 상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화물창고(10A)내의 온도상승에 배려할 필요가 있고, 차열도료 등에 의한 방열시공을 행하는 것도 있을 수 있다.
또, 도4~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화물창고(10A)의 상부에 덮는 구조(7)를 설치하여 화물창고(10A)의 천장부(14A)가 대기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습도를 기피하는 폴리머 펠렛의 습기방지효과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화물창고(10A)의 전후방향의 배치 및 횡방향의 복수배치, 밸러스트 탱크등으로부터의 이격배치, 클래드강의 이용, 적화 하역용의 화물창고(10A) 상부의 투입구(14Aa)와 투입배관(31), 화물창고(10A) 하부의 경사부(12A)를 구비한 배출부의 배출구(15A)와 정량배출 밸브(21a)와 배출관(21), 기체 수송관(22), 건조공기(A)의 송입방식 등의 구성은 일체 타입의 산적선(1)과 같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은, 상기의 산적선(1),(1A)를이용하여 행하는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이며, 다음과 같은 적화하역과 양륙하역을 행하는 방법이다.
도9를 참조하면서 적화하역과 양륙하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적화하역은 육상하역설비의 적화용 육상설비(50)의 폴리머 펠렛용 저장용기(51)의 하부와 산적선(1A)의 화물창고(10A)의 천장부(14A)에 설치된 투입용 배관(31)에 적화하역용 배관(52)을 접속한다. 그 후, 적화용 송풍장치(53)에서 건조공기(A)를 보내 기체수송에 의한 폴리머 펠렛(B)을 투입용배관(31)의 선단 투입구(14A)에 반송한다. 투입구(14A)에 반송된 폴리머 펠렛(B)은 자연낙하에 의하여 화물창고(10A)에 수납된다.
각 화물창고(10A)에 폴리머 펠렛(B)이 수납되면, 투입용배관(31)을 닫는다. 그 후, 적화하역용 배관(52)을 떼어내고 이 화물창고(10A)에 관한 적화하역을 종료한다. 각 화물창고(10A)의 적화 하역을 종료하면 출항준비를 행하고 항해에 나선다.
다음으로, 양륙하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항한 후에, 육상 하역설비의 양륙용 육상설비(60)의 양륙용 송풍장치(61)에 접속된 공기 송입관(62)을 산적선(1A)의 공기 공급구(23)(도9에서는 선체상부의 측면의 상측)에 접속한다. 또, 일시 저장용기(63)의 상부에 접속된 양륙용 배관(64)을 산적선(1A)의 화물배출구(24)(도9에서는 선체상부의 측면의 하측)에 접속한다.
접속 후, 양륙용 송풍장치(61)를 구동하여 건조공기(A)를 공기 공급구(23)에서 기체수송관(22)에 보냄과 동시에, 폴리머 펠렛(B)을 화물창고(10A)의 배출구(15A)에서 정량배출 밸브(21a)로 유량을 조정하면서 기체 수송관(22)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하여, 기체수송에 의해 폴리머 펠렛(B)을 기체 수송관(22), 화물 배출구(24), 양륙용 배관(64)경유로 일시 저장용기(63)에 반송한다.
이 일시저장용기(63)에서는 저장용 송풍장치(65)의 구동에 의하여, 폴리머 펠렛(B)을 저장용 배관(66)경유로 저장용기(67)의 상부에 반송하여, 저장용기(67)에 저장한다. 이 저장용기(67)에 저장된 폴리머 펠렛(B)은 화차(貨車)(68)등으로 곳곳에 반송된다.
화물창고(10A)의 폴리머 펠렛(B)을 양륙한 후에는, 공기공급구(23)의 유통을 닫는다. 그 후, 양륙용 배관(64)을 떼어내고 화물배출구(24)의 폐쇄를 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양륙하역을 종료하고, 출항준비를 하여 항해에 나선다.
상기의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에 의하면, 종래기술에서는 손상이나 오염을 회피하기 위해서, 자루에 담아 컨테이너 수송을 행하였던 폴리머 펠렛에 손상을 주는 일 없이 산적하여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종래 기술에서 행해지고 있던 분립체의 자루담기 작업이나 자루의 컨테이너 수납작업, 자루에서 분립체의 꺼내기 작업등을 없애고, 수송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의 산적선(1),(1A)와 같은 화물창고(10),(10A)의 구성을 가지고, 또한, 추진 장치를 가지지 않은 산적용 바지선을 이용한 경우에도 산적선(1),(1A)을 사용한 경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는 손상이나 오염을 회피하기 위하여 자루담기와 컨테이너 수송을 행하였던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방법에 대해서도, 이것에 대신하는 수상 수송 방법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1A 산적선(散積船)
10, 10A 화물창고
11, 11A 측벽부
12, 12A 경사부(傾斜部)
13 선측 측상부의 경사부
14, 14A 천장부
14a, 14Aa 투입구
15, 15A 배출구
21 배출용 배관
21a 정량 배출 밸브
22 기체 수송관
23 공기 공급구
24 화물 배출구
31 투입용 배관
50 적화용 육상 설비
51 폴리머 펠렛용 저장 용기
52 적화 하역용 배관
53 적화용 송풍 장치
60 양륙용 육상 설비
61 양륙용 송풍장치
62 공기 송입관
63 일시 저장 용기
64 양륙용 배관
65 저장용 송풍 장치
66 저장용 배관
67 저장 용기
68 화차(貨車)
A 건조 공기
B 폴리머 펠렛

Claims (5)

  1.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을 산적상태로 선박 또는 바지선의 화물창고에 수납하여 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을 상기 화물창고의 상부에 설치한 투입구로부터 낙하시켜 상기 화물창고에 수납하는 적화하역과, 폴리머 펠렛을, 상기 화물창고의 하부에 설치되고, 경사부를 구비한 배출부로부터 밸브에 의하여 기체 수송관으로 배출하고, 그 기체 수송관내를 기체와 함께 육상 하역설비에 반송하는 양륙하역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이 접촉하는 화물창고를, 상기 화물창고의 내부측에 돌출되는 골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평활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그 화물창고의 하부에 경사부를 가지는 배출구를 설치한 상기 화물창고에 폴리머 펠렛을 산적상태로 수납하여 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
  4. 제1항~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이 상기 화물창고의 하부에 복수 설치된 배출부로부터 밸브에 의하여 기체 수송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
  5. 제1항~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을, 화물창고벽이 액체에 접하지 않는 구조의 상기 화물창고에 수납하여 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
KR1020127007810A 2009-09-07 2010-09-03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 KR20120091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05971A JP5431841B2 (ja) 2009-09-07 2009-09-07 ポリマーペレットの水上輸送方法
JPJP-P-2009-205971 2009-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004A true KR20120091004A (ko) 2012-08-17

Family

ID=4364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810A KR20120091004A (ko) 2009-09-07 2010-09-03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76611A4 (ko)
JP (1) JP5431841B2 (ko)
KR (1) KR20120091004A (ko)
CN (1) CN102596704B (ko)
WO (1) WO20110278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4150A1 (de) * 2010-09-09 2012-03-15 Coperion Gmbh Beladesystem zum Verladen von Schüttgut von einer Schüttgut-Produktionanlage auf ein Schiff sowie Entladesystem zum Verladen von Schüttgut von einem Schiff auf Transportmobile
JP6248002B2 (ja) * 2014-06-16 2017-12-13 旭海運 株式会社 ばら積み船の窒素ガス供給設備
JP5953363B2 (ja) * 2014-12-25 2016-07-20 三井造船株式会社 液化ガス貯蔵設備を備えた浮体構造物
KR101684776B1 (ko) * 2015-03-31 2016-12-08 세기아케마주식회사 위험물 보관 장치
CN106882612A (zh) * 2017-04-14 2017-06-23 蔡健珊 对内河散货船进行卸货直接装集装箱的作业方法及平台
JP6775207B1 (ja) * 2020-04-03 2020-10-28 田渕海運株式会社 船倉乾燥システムおよび船倉乾燥方法
CN113830236A (zh) * 2021-10-13 2021-12-24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用于干散货船或采矿船干散货舱的自整平和自卸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6209780U (zh) * 1986-12-03 1987-09-09 彭志平 自卸式散装物料运输船
JP2001030980A (ja) * 1999-07-23 2001-02-06 Yoshida Zosen Kogyo:Kk 貨物船の荷役装置
JP2002234483A (ja) * 2001-02-06 2002-08-20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空気輸送設備を有する船舶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4699618B2 (ja) * 2001-02-14 2011-06-15 株式会社三井三池製作所 ばら物運搬船
JP2002260636A (ja) 2001-03-06 2002-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WO2003006308A1 (fr) * 2001-07-09 2003-01-23 Mitsui Engineering & Shipbuilding Co.,Ltd. Support d'hydrate de gaz
JP2003252438A (ja) * 2002-03-01 2003-09-10 Shigenobu Furukawa 箱型構造から成るタンクコンテナを用いた有機性汚泥等の輸送手段と、廃棄物から回収したリサイクル品等を収容した専用コンテナ等との混載輸送方法
JP3981583B2 (ja) * 2002-03-28 2007-09-26 三井造船株式会社 洋上におけるガスハイドレートペレット貯蔵設備
CN2644301Y (zh) * 2003-04-10 2004-09-29 林皆得 散杂货轮的辅助船舱卸货装置
JP4263163B2 (ja) * 2004-11-29 2009-05-13 株式会社川崎造船 ガスハイドレートペレット貯蔵装置とその貯蔵方法
CN2774930Y (zh) * 2005-02-02 2006-04-26 唐山冶金矿山机械厂 散料货轮自卸装置
NO332117B1 (no) * 2006-06-09 2012-06-25 Jebsen Skipsrederi System og fremgangsmate for lossing av pulverlast
JP2008260636A (ja) * 2007-03-20 2008-10-30 Mitsubishi Chemicals Corp ポリマーペレットの輸送方法および貯蔵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6704A (zh) 2012-07-18
WO2011027857A1 (ja) 2011-03-10
JP5431841B2 (ja) 2014-03-05
EP2476611A4 (en) 2014-04-23
JP2011056988A (ja) 2011-03-24
EP2476611A1 (en) 2012-07-18
CN102596704B (zh)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6002B2 (ja) バラ積み船及びバラ積み用バージ
KR20120091004A (ko)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
PT2102083E (pt) Dispositivo de carga e descarga para receptáculos, tais como contentores, silos e outras cavidades de carga
US9376254B2 (en) Methods for granular scavenger material transfer
KR101992800B1 (ko) 하역방법
EP3312079B1 (en) Container ship and container loading/unloading method
RU2601091C1 (ru) Система для разгрузк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из транспортной емкости, в частности контейнера
JP5363287B2 (ja) バラ積み船、バラ積み用バージ及びバラ積み乾貨物の積載方法
KR100913747B1 (ko) 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JP2011116160A (ja) バラ積み船、バラ積み用バージ及び貨物倉の設計方法
KR101455157B1 (ko) 폴리머 펠렛 운반선, 그 하역 방법, 및 하역용 육상측 설비
KR20170126978A (ko) 화물 컨테이너
JP5363284B2 (ja) バラ積み船及びバラ積み用バージ
JP5583961B2 (ja) バラ積み船、バラ積み用バージ及びバラ積み乾貨物の積載方法
JP4699618B2 (ja) ばら物運搬船
JP2000355426A (ja) 輸送コンテナの運用システム
CN102459033A (zh) 运输容器
JP5657071B2 (ja) ポリマーペレット運搬船及び運搬用バージのための陸上側の設備
KR101992797B1 (ko) 하역장치
JP2011111148A (ja) バラ積み船及びバラ積み用バージ
KR100614837B1 (ko) 백 필터가 구비된 집진기를 이용한 미분말 벌크화물해상운송 방법
Florani Cargoes: Cargo damage, Cargo handling and storage on ships and in international ports
JP2011111147A (ja) バラ積み船、バラ積み用バージ及び貨物倉の設計方法
US8413691B2 (en) System to transport solids in liquid media
WO2015094121A1 (en) Flat deck barge and method of maximising load capa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021

Effective date: 2016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