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978A - 화물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화물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978A
KR20170126978A KR1020177028007A KR20177028007A KR20170126978A KR 20170126978 A KR20170126978 A KR 20170126978A KR 1020177028007 A KR1020177028007 A KR 1020177028007A KR 20177028007 A KR20177028007 A KR 20177028007A KR 20170126978 A KR20170126978 A KR 20170126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rgo
bulk cargo
deck
bu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부 아라키
토루 아라키
Original Assignee
시바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바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6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7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dehumidifying, dewatering or dra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65D90/325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due to explosion, e.g. inside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산적화물(bulk cargo)의 양륙의 융통성을 높이며, 안벽의 유효이용을 도모한다. 화물 컨테이너는, 산적화물을 수용하는 외곽을 구비하고, 상기 외곽에,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spreader)에 걸어 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402)와, 산적화물을 유입시키는 개구부(403)와, 상기 외곽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필터(404)가 설치된다.

Description

화물 컨테이너
본 발명은, 입상물(粒狀物)이나 분체물(粉體物) 등의 산적화물(bulk cargo)을 반송(搬送)하는 화물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 의해 운반된 철광석, 석탄 등의 광물이나, 콩, 밀 등의 곡물 등의 산적화물의 양륙은, 그래브 버킷(grab bucket)에 의해 간헐적으로 행해지는 것 외에, 공기 수송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것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안벽(岸壁)에 설치된 뉴메틱 언로더(pneumatic unloader) 등으로 칭해지는 하역장치가 이용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한편, 컨테이너선에 의해 운반된 화물 컨테이너의 양륙은, 컨테이너 야드에 설치된 컨테이너 크레인에 의해 행해진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4 참조.). 양륙된 화물 수송용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일단, 컨테이너 야드에 놓여진 후, 트레일러 등에 의해 수송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9-12156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2014-156290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평10-250985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공개 2012-86949호 공보
산적화물의 양륙이나, 화물 컨테이너의 양륙은, 각각 상기와 같이 안벽에 설치된 전용 장치를 이용하여 행해지므로, 각 장치의 가동 시의 효율을 높이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나, 서로 다른 쪽의 화물의 양륙(컨테이너선용 부두에서의 산적화물의 양륙이나, 산적화물선용 부두에서의 화물 컨테이너의 양륙)을 행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화물 종류에 따라 화물의 양이 크게 다를 경우 등에는 각 장치의 가동률 자체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산적화물의 양륙의 융통성을 높이며, 안벽의 유효이용을 도모하는 것도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물 컨테이너에 있어서, 산적화물을 수용하는 외곽을 구비하고, 상기 외곽에,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spreader)에 걸어 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와, 산적화물을 유입시키는 개구부와, 상기 외곽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산적화물의 양륙의 융통성을 높이며, 안벽의 유효이용을 도모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이 설치된 컨테이너 야드에서, 산적화물의 하역이 행해지는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뉴메틱 언로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화물 컨테이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화물 컨테이너용 대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거룻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 측면도이다.
도 6은, 거룻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거룻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도 8은, 거룻배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도 9는, 거룻배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산적화물의 양륙 개요)
먼저, 산적화물의 양륙 개요를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산적화물을 적재한 선박(301)이 접안하는 안벽에는, 갠트리 크레인(101)이 설치된다. 이 갠트리 크레인(101)의 트롤리(121)에는, 유닛화된 뉴메틱 언로더(201)가 매달린다. 뉴메틱 언로더(201)는, 선박(301)에 의해 운반되는 입상물 등의 산적화물을 흡입관(211)에 의해 빨아 올려, 뉴메틱 언로더(201)로부터 배출관(221)으로 배출하도록 된다.
배출된 산적화물은, 통상의 화물 컨테이너와 마찬가지의 외형을 갖는 컨테이너(401)에 충전되도록 된다. 상기 컨테이너(401)는, 대차(501)에 적재되어 거룻배(601)에 선적되고, 다른 안벽으로 운반되어, 대차(501)와 함께 안벽으로 내릴 수 있도록 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갠트리 크레인(101))
갠트리 크레인(101)은, 컨테이너 야드로 칭해지는 안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즉, 갠트리 크레인(101)은, 연직방향으로 설치된 다리부(102·103)를 가지고, 상기 다리부(102·103)는, 연결부(104), 및 보강부(105·106)에 의해 연결, 보강된다. 다리부(102·103)의 하부에는 차륜(107)이 장착되어, 갠트리 크레인(101)을 안벽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다. 다리부(102·103)의 상방부(上方部)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하며 설치된 붐(boom)(108)과, 그 붐(108)의 선단부와 다리부(102)의 정상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텐션 바(tension bar)(109·110)가 장착된다. 붐(108)에는, 이 붐을 따라 이동 가능한 트롤리(121)가 설치된다. 트롤리(121)는, 스프레더(122)를 구비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하는 뉴메틱 언로더(201)나, 컨테이너선에 의해 운반되는 화물 컨테이너를 매달 수 있도록 된다.
(뉴메틱 언로더(201))
뉴메틱 언로더(201)는, 프레임(frame)(202)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붐(203)과, 상기 프레임(202)과 붐(203)을 연결하는 텐션 바(204·205)를 구비한다. 프레임(202)에는, 각각 상기 붐(203) 등에 의해 지지되는 흡입관(211), 및 배출관(221)이 접속된다. 흡입관(211)에는, 신축관(212), 및 플렉시블관(flexible pipe)(213)을 개재하며 흡입노즐(214)이 접속되어, 선박(301)의 선창 내의 산적화물을 빨아 올리도록 된다. 또, 배출관(221)에는, 신축관(222), 및 플렉시블관(223)을 개재하며 배출노즐(224)이 접속되어, 선박(301)으로부터 빨아 올려진 산적화물을 배출하도록 된다.
상기 뉴메틱 언로더(20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202)의 상부에 형성된, 예를 들어 ISO 규격 등에 준거한 일반적인 화물 컨테이너와 마찬가지 구조, 배치의 걸어맞춤부(202a)에 의해, 갠트리 크레인(101)의 스프레더(122)에 연결될 수 있도록 된다. 즉, 상기 뉴메틱 언로더(201)는, 통상의 갠트리 크레인(101)이 설치되어 있으면, 이에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된다.
프레임(202) 내에는, 흡입관(211), 및 배출관(221)이 접속되는 분리기(231)가 설치된다. 상기 분리기(231)에는, 공기관(232)을 개재하여 공기를 흡인하는 블로어(233)가 접속되고, 선박(301)에 적재된 산적화물이, 공기와 함께 빨아 올려져, 분리기(231)에 의해 분리되어, 배출관(221)으로부터 배출되도록 된다.
상기와 같은 뉴메틱 언로더(201)가 이용됨에 따라, 통상의 갠트리 크레인(101)이 설치되어 화물 컨테이너의 하역을 행하는 컨테이너선용 안벽에서도, 산적화물의 양륙 등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산적화물의 양륙의 융통성을 높이며, 안벽의 유효이용을 도모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뉴메틱 언로더(201)의 프레임(202)은 분리기(231) 등을 밀폐상태로 수용하도록 하면, 일반적으로 분진 등의 발생을 억제하기 쉬우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골조 구조 등, 특별히 밀폐되지 않는 구조를 이용하거나 하여도 된다.
또, 흡입관(211)이나 배출관(221)은, 붐(203) 등에 의해 지지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갠트리 크레인(101)의 붐(108)에 별도로 설치된 하나 이상의 트롤리(12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흡입관(211), 및 배출관(221) 중 적어도 한쪽을 복수개 설치하거나 하여, 보다 높은 수송능력이 얻어지도록 하여도 된다.
또, 흡입관(211)이나 배출관(221)(및 붐(203) 등)을 수평방향으로도 신축 가능하게 하거나, 연직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하여, 트롤리(121) 및 뉴메틱 언로더(201)를 이동시키는 일 없이, 흡입노즐(214)이나 배출노즐(224)에 의한 흡입, 배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컨테이너(401))
상기와 같은 뉴메틱 언로더(201)에 의해 선박(301)으로부터 빨아 올려진 산적화물은, 사일로(silo) 등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실어지거나 하도록 하여도 되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컨테이너(401)에 충전함으로써, 통상의 화물 컨테이너와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이 컨테이너(401) 외곽에는, 예를 들어 ISO 규격 등에 준거한 크기, 형상을 가지며, 상하면 4모퉁이에는 트위스트락(twist lock) 등으로 칭해지는 연결구에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부(402)가 형성된다. 컨테이너(401)의 상부에는, 또, 산적화물을 유입시키는 개구부(403)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403)는, 상기 뉴메틱 언로더(201)의 배출노즐(224)이 플랜지 결합 등에 의해 밀폐성을 유지하며 접속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산적화물의 종류 등에 따라서는, 단순히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만으로도 된다.
컨테이너(401)의 상면에는, 또, 필터(404)가 설치되어, 산적화물이 충전되는 시에, 컨테이너(401) 내의 공기를 배기하면서, 분진 등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된다.
컨테이너(401)의 저부(底部)에는, 산적화물을 배출하는 배출구(411)가 형성되어, 회동축(412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pivot) 가능한 배출덮개(412)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된다. 또, 컨테이너(401)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구(411)의 주연부(周緣部)에서 측벽(側壁)에 걸쳐 경사판(413)이 설치되어, 내부의 산적화물을 확실하게 배출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401)가 이용됨에 따라, 산적화물의 하역용 그래브 버킷, 뉴메틱 언로더 등의 하역장치나, 사일로 등의 보관설비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컨테이너 야드 등에서도, 그와 같은 산적화물을 일반적인 화물 컨테이너와 마찬가지로 취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산적화물의 양륙의 융통성을 높이며, 안벽의 유효이용을 도모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401) 내의 필터(404)의 내측 부근에 방해판(배플판)을 설치하여, 산적화물이 필터(404)에 직접 접촉하기 어렵게 하여, 분진 등의 유출을 보다 억제하기 쉬워지게 하여도 된다.
또, 필터(404)는 1부분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부분에 분산시켜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방해판이나 구획벽 등이 이용되어, 측벽에 설치되거나 하여도 된다. 추가로, 컨테이너(401)의 길이방향 양단부(兩端部) 등, 측벽에 복수 설치되거나 상벽(上壁)과 측벽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되거나 하여도 된다.
또, 배출덮개(412)는, 상기와 같이 하나만 설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둘 이상으로 분할되어 양쪽에서 열리도록 되는 형태로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컨테이너(401)의 저부 전부 또는 대부분을 덮으며, 저부를 전개(全開) 또는 거의 전개할 수 있는 배출덮개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 길이방향 단부의 측벽이나 길이방향을 따른 측벽 전부 또는 일부에 문을 설치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개구부(403)를 막기 위한, 일체적 또는 분리된 덮개나 해치(hatch) 등이 설치되어도 된다.
또,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401) 내부에, 온도나 습도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 가능한 공기조화유닛이 설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유닛이 설치됨에 따라, 예를 들어 곡물 등이 충전되는 경우에, 그대로 보관해 두는 것이 용이해지므로, 사일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두에서 양륙하여, 그 곳에서 보관해 두거나, 운반처에서 보관해 두거나 할 수 있어, 부두 이용의 유연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키고, 또는 사일로 등의 설치 부담을 경감(설치 필요성을 회피)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재해 시 등에, 컨테이너(401)를 산적화물의 수송수단으로서 이용함과 동시에 수송처에서 저장수단으로서 이용하는 것 등도 가능하게 된다.
(대차(501))
대차(50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401)를 복수 적재 가능한 적재대(502)를 구비한다. 적재대(502)의 상면에는, 선박이나 트레일러에서 컨테이너를 고정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예를 들어 ISO 규격 등에 준거한 걸어맞춤부(503)가 형성된다. 또한, 추가로, 컨테이너를 고박(lashing)하기 위한 부재 등이 설치되거나 하여도 된다.
적재대(502)의 하부에는, 적절한 개수의 차륜(504)이 장착된다. 이 차륜(504)은, 방향이 고정된 것이어도 되고, 또, 일부 또는 전부가 조타(操舵)(연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예를 들어 90° 이상, 180° 이상, 또는 360° 등 회동)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특히, 모든 차륜(504)을 연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대차(501)의 방향을 바꾸지 않으며 이동방향을 바꿀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거룻배(601)에 선적할 때와 하역할 때로 이동방향을 다르게 하는 것 등이 가능하여, 현측(舷側)으로부터 선적하여 선수(船首) 또는 선미(船尾)로부터 하역하거나, 그 반대 등도 용이하게 된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조타 가능한 차륜 등, 일부 또는 전부의 차륜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장착하여, 대차(501)를 자주(自走)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대차(501)가 이용됨에 따라, 복수의 컨테이너(401)를 일괄하여 핸들링할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 크레인이나 안벽의 가동률을 높이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대차(501)를 이하와 같은 거룻배(601)와 조합하여 다른 안벽으로 운반함에 따라, 그와 같은 대차(501)를 거룻배로부터 양륙하는 것이나, 대차(501)에 적재된 컨테이너(401)를 트레일러에 싣는 것 등을, 컨테이너 야드에 설치된 컨테이너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 크레인이나 안벽의 가동률을 한층 더 높이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대차(501)에는, 컨테이너(401)를 다단(多段)으로 실어 올려 적재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상기와 같은 대차(501)에는, 산적화물이 충전되는 컨테이너(401)를 적재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화물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반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대차(501)가 주행하는 시의 안정도를 높이기 위해, 측방으로 슬라이드하며 돌출 가능한 아암(arm)이나, 연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측방으로 돌출 가능한 아암과, 이들 아암에 장착된 차륜을 갖는 보조륜장치(트리거 장치)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좌우 차륜 사이의 최대거리(tread)를 크게 할 수 있게 하여도 된다.
(거룻배(601))
상기와 같은 대차(501)를 적재하여 운반하는 데 적합한 거룻배(601)에는,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 상에 갑판(602)이 설치된다. 이 갑판(602)은, 복수의 유압실린더(603)에 의해 지지되어, 갑판(602)의 높이를 안벽의 높이에 맞추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안벽과의 사이에서 대차(50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갑판(602) 상에는, 안벽과의 사이에서의 대차(501)의 이동(선적 및/또는 양륙)을 구동하는 대차구동부(611)가 설치된다. 그 구동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에 장착된 연결아암(612)을 대차(501)에 연결하여 구동하거나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거룻배는, 엔진 등을 탑재하여 자주 가능한 것이어도 되고, 예선(tugboat)에 의해 견인되는 것 등이어도 된다.
상기와 같은 거룻배(601)를 이용하면,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하는 일 없이, 복수의 컨테이너가 적재된 대차(501)의 하역이 용이하게 되므로, 예를 들어 컨테이너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안벽을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트레일러에 의한 수송을 분산시켜 행하는 것 등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컨테이너 야드의 트레일러의 교통정체를 완화하고, 컨테이너 크레인이나 안벽의 가동률을 높이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갑판(602)에는, 추가로 대차(501)의 차륜(504)을 안내하는 레일이나 가이드 등을 설치하여도 된다. 또, 적재된 대차(501)를 고정하기 위해 수동 또는 자동의 고정기구나 스토퍼가 설치되거나 하여도 된다.
또한, 갑판(602)과 안벽과의 사이에 걸치는 예를 들어 접을 수 있는 슬로프(slope)가, 갑판(602)의 현측부(舷側部)에 설치되거나 하여도 된다.
또, 갑판(602)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유압실린더(603)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 내에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621)를 설치하여, 이에 주배수(注排水)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밸러스트 탱크(621)를 좌현측(左舷側)과 우현측(右舷側)으로 분할하여, 좌우비대칭 주배수에 의해 갑판(602)을 선체와 함께 기울여, 그 경사에 의해 대차(501)를 안벽과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그와 같은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거나, 또, 상기와 같이 자주 능력을 갖는 대차(401)를 이용하는 경우 등에는, 구동부하를 경감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하여도 된다.
또,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현측 또는 좌현측 중 적어도 한쪽의 유압실린더(603) 대신에, 실린더 보디(cylinder body)의 단부(端部)가 회동핀(605)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축지지된 유압실린더(604)를 설치하고, 이들 유압실린더(603·604)를 별개로 작동시킴으로써 갑판(602)을 기울일 수 있게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유압실린더와 밸러스트 탱크를 조합하여, 높이나 경사의 조절범위를 크게 하거나, 유압실린더와 밸러스트 탱크 중 한쪽에서(주로 또는 전용으로) 높이의 조절, 다른 쪽에서 경사의 조절을 하도록 하거나 하여도 된다. 또한,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밸러스트 탱크를 이용하고, 얕은 곳에서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갑판(602)을 기울여 대차(501)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경우에는, 거룻배(601) 또는 대차(501)에 제동기구를 설치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대차(501)의 속도나 이동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소정 이상의 속도가 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제동되게 하거나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제동은, 전자적으로 행하여도 되고, 원심력을 이용하거나 하여 기계적으로 행하여도 된다.
또, 갑판(602)과 안벽의 높이의 차(差)를 검출하여, 갑판(602)의 높이를 안벽의 높이에 맞추도록, 유압실린더(603) 등을 자동 제어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제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대차(501)의 중심의 이동에 따른 갑판(602)의 높이나 경사의 조절을 하는 것도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갑판(602) 상에서 대차(501)가 이동함에 따라, 갑판(602)을 수평으로 유지하거나 소정의 경사가 되도록 조정하거나 하여도 된다. 또, 대차(501)의 차륜이 갑판(602)과 안벽에 걸쳐 타는 경우에는, 갑판(602)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갑판(602)의 높이나 경사가 조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갑판(602)의 높이를 조정 가능하게 함에 따라 안벽과의 사이에서 적하의 이동이 용이해지는 효과는, 대차(501)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대차나 적재물을 운반하는 경우에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401), 대차(501), 및 거룻배(601)를 조합하여, 산적화물의 양륙을 행하는 경우,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 어느 절차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 개개의 컨테이너(401)에 산적화물을 충전한 후, 그 컨테이너(401)를 대차(501)에 적재하여, 그 대차(501)를 거룻배(601)에 선적한다.
(b) 미리 대차(501)에 적재한 컨테이너(401)에 산적화물을 충전한 후, 그 대차(501)를 거룻배(601)에 선적한다.
(c) 개개의 컨테이너(401)에 산적화물을 충전한 후, 그 컨테이너(401)를, 미리 거룻배(601)에 선적된 대차(501)에 적재한다.
(d) 미리 거룻배(601)에 선적된 대차(501)에 적재된 컨테이너(401)에, 차례로, 산적화물을 충전한다.
또, 상기와 같은 대차(501)와, 거룻배(601)를 조합하여, 선박(301)으로부터 갠트리 크레인(101)에 의해 양륙된 화물 컨테이너의 트레일러 수송 등을 분산시켜 행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어느 절차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 선박(301)에 적재된 화물 컨테이너를, 갠트리 크레인(101)에 의해 대차(501)에 적재하고, 그 대차(501)를 거룻배(601)에 선적한다.
(b) 선박(301)에 적재된 화물 컨테이너를, 갠트리 크레인(101)에 의해, 미리 거룻배(601)에 선적된 대차(501)에 적재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선박(301)에 의해 운반되는 산적화물이나 화물 컨테이너가 양륙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마찬가지로 하여, 산적화물이나 화물 컨테이너를 선박(301)에 선적하도록 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101 : 갠트리 크레인 102·103 : 다리부
104 : 연결부 105·106 : 보강부
107 : 차륜 108 : 붐
109·110 : 텐션 바 121 : 트롤리
122 : 스프레더 201 : 뉴메틱 언로더
202 : 프레임 202a : 걸어맞춤부
203 : 붐 204·205 : 텐션 바
211 : 흡입관 212 : 신축관
213 : 플렉시블관 214 : 흡입노즐
221 : 배출관 222 : 신축관
223 : 플렉시블관 224 : 배출노즐
231 : 분리기 232 : 공기관
233 : 블로어 301 : 선박
401 : 컨테이너 402 : 걸어맞춤부
403 : 개구부 404 : 필터
411 : 배출구 412 : 배출덮개
412a : 회동축 413 : 경사판
501 : 대차 502 : 적재대
503 : 걸어맞춤부 504 : 차륜
601 : 거룻배 602 : 갑판
603·604 : 유압실린더 605 : 회동핀
611 : 대차구동부 612 : 연결아암
621 : 밸러스트 탱크

Claims (5)

  1. 산적화물(grab bucket)을 수용하는 외곽을 구비하고,
    상기 외곽에,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spreader)에 걸어 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와,
    산적화물을 유입시키는 개구부와,
    상기 외곽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필터,
    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컨테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산적화물을 공급하는 배관을 접속하는 접속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컨테이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곽의 저부(底部), 길이방향단(端)의 측부, 또는 길이방향을 따른 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산적화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컨테이너.
  4.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내측에 방해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컨테이너.
  5. 청구항 1에서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화물 컨테이너 내의 온도, 또는 습도 중 적어도 한쪽을 조정하는 공기조화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컨테이너.
KR1020177028007A 2015-03-04 2015-03-04 화물 컨테이너 KR201701269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01134 WO2016139698A1 (ja) 2015-03-04 2015-03-04 貨物コンテ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978A true KR20170126978A (ko) 2017-11-20

Family

ID=56848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007A KR20170126978A (ko) 2015-03-04 2015-03-04 화물 컨테이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037406A1 (ko)
EP (1) EP3260394B1 (ko)
JP (1) JPWO2016139698A1 (ko)
KR (1) KR20170126978A (ko)
CN (1) CN107406192A (ko)
BR (1) BR112017018615B1 (ko)
WO (1) WO2016139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7215A1 (ja) * 2016-09-12 2018-03-15 芝海株式会社 コンテナ船、およびコンテナの荷役方法
US10528794B2 (en) * 2017-06-05 2020-01-07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tailoring an electronic digital assistant inquiry response as a function of previously detected user ingestion of related video information
SG11202011654UA (en) * 2018-05-29 2020-12-30 Shibakai Co Ltd Cargo container
CN114275389B (zh) * 2022-01-07 2023-04-28 深圳市瑞丰集成房屋有限公司 一种集装箱减震缓冲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7237U (ko) * 1975-07-25 1977-02-07
JPS62125786U (ko) * 1986-01-31 1987-08-10
JPH08313Y2 (ja) * 1989-10-05 1996-01-10 日本トレールモービル株式会社 海上コンテナに於けるマイクロ波識別用札の取付け構造
JPH07330080A (ja) * 1994-06-10 1995-12-19 Koresawa Tekkosho:Kk 粒状物投入槽の排気装置
DE19548180C1 (de) * 1995-12-22 1997-07-17 Mann & Hummel Filter Filteranordnung
JP3034039U (ja) * 1996-07-26 1997-02-14 北日本サッシ工業株式会社 底板下開きコンテナ
JPH10291583A (ja) * 1997-04-18 1998-11-04 Idemitsu Petrochem Co Ltd 輸送コンテナ
JPH10324389A (ja) * 1997-05-23 1998-12-08 Tokuyama Corp 微細粉体用コンテナ
US6508378B1 (en) * 1999-01-11 2003-01-21 Nippon Aluminum Co Polycarbonate resin pellet tank type container and transport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3847566B2 (ja) * 2001-02-07 2006-11-22 昭和飛行機工業株式会社 粉粒体運搬車
US20080223878A1 (en) * 2002-10-18 2008-09-18 Leroy Curtis Intermodal powder/bulk freight container
JP2004250029A (ja) * 2003-02-19 2004-09-09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粉粒体貯留槽における粉粒体投入口構造
DE102004003364A1 (de) * 2004-01-22 2005-08-11 Wacker-Chemie Gmbh Vorrichtung zum Transport hochdisperser Pulver und Verfahren zu ihrer Befüllung und Entleerung
GB0405715D0 (en) * 2004-03-13 2004-04-21 Inbulk Technologies Ltd Container
JP2008150176A (ja) * 2006-12-19 2008-07-03 Tcm Corp スプレッダ装置
WO2011014526A2 (en) * 2009-07-31 2011-02-03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ed container having refrigeration unit integrated with cargo box
JP5690749B2 (ja) * 2010-02-15 2015-03-25 パシフィックサイエンス株式会社 コンテナ
US8770422B2 (en) * 2010-08-13 2014-07-08 Mobile Medical International Corporation Adapter plate for a container assembly
CN103523407B (zh) * 2012-07-02 2016-08-10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散货罐箱
CN103803210A (zh) * 2012-11-01 2014-05-21 亚瑟·詹姆斯·格林 集装箱的排气阀
CN103900188A (zh) * 2012-12-26 2014-07-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集装箱空调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1423434B1 (ko) * 2013-11-14 2014-07-24 오씨아이 주식회사 분체 이송용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6192A (zh) 2017-11-28
BR112017018615A2 (pt) 2018-04-17
BR112017018615B1 (pt) 2021-09-08
JPWO2016139698A1 (ja) 2017-04-27
EP3260394A4 (en) 2018-03-21
US20180037406A1 (en) 2018-02-08
EP3260394B1 (en) 2019-12-11
EP3260394A1 (en) 2017-12-27
WO2016139698A1 (ja)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800B1 (ko) 하역방법
KR101992931B1 (ko) 컨테이너선, 및 컨테이너의 하역방법
KR20170126978A (ko) 화물 컨테이너
US11401118B2 (en) Cargo handling method
WO2021090429A1 (ja) 貨物コンテナの吊具装置
WO2016139699A1 (ja) 貨物コンテナ用台車
WO2016139700A1 (ja)
WO2018207230A1 (ja) 船舶
WO2018047214A1 (ja) ばら積み貨物の荷役方法
WO2021090428A1 (ja) ばら積み貨物の荷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