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157B1 - 폴리머 펠렛 운반선, 그 하역 방법, 및 하역용 육상측 설비 - Google Patents

폴리머 펠렛 운반선, 그 하역 방법, 및 하역용 육상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157B1
KR101455157B1 KR1020137004975A KR20137004975A KR101455157B1 KR 101455157 B1 KR101455157 B1 KR 101455157B1 KR 1020137004975 A KR1020137004975 A KR 1020137004975A KR 20137004975 A KR20137004975 A KR 20137004975A KR 101455157 B1 KR101455157 B1 KR 101455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hold
line
polymer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016A (ko
Inventor
히로아키 요코다
히로후미 스즈키
요시히로 토쿠나가
코타로 타카노
코지 모치즈키
마사히로 타케무라
요시카즈 카와고에
진 야마사키
코헤이 미와
Original Assignee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쇼센 미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쇼센 미츠이 filed Critical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9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많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혼합하는 일 없이 동시에 대량으로 효율 좋게 수송할 수 있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 및 폴리머 펠렛 운반용 바지선을 제공한다. 폴리머 펠렛(P)을 수용하는 화물용 홀드(10)를 복수 편성하여 로트용 홀드 세트(11)를 형성함과 동시에, 육상측의 양륙 라인(120)에 접속된 로트용 양륙 라인(42)을 이용하여, 상기 로트용 홀드 세트(11)마다 같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P)을 동시에 양륙하는 제1의 양륙 하역과 상기 화물용 홀드(10)마다 다른 종류의 폴리머 펠렛(P)을 순차적으로 양륙하는 제2의 양륙 하역을 선택적으로 행하도록 상기 화물용 홀드(10)의 각각의 하부에 홀드용 양륙 개폐밸브(41a)를 갖춘 홀드용 양륙 라인(41)을 접속하여 설치하고, 상기 로트용 홀드 세트(11)마다 상기 홀드용 양륙 라인(41)을 상기 로트용 양륙 라인(42)에 통합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폴리머 펠렛 운반선, 그 하역 방법, 및 하역용 육상측 설비 {POLYMER-PELLET TRANSPORT SHIP, POLYMER-PELLET TRANSPORT BARGE,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SAME}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는 손상과 오염을 기피하여 자루에 담아서 수송하였던 폴리머 펠렛(Polymer pellet)등의 분립체를 산적(散積)하여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많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동시에 대량으로 효율 좋게 수송할 수 있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 그 하역방법, 및 하역용 육상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을 선박으로 해상수송하는 경우에는, 폴리머 펠렛을 자루에 담아서 이 자루를 탑재한 컨테이너를 컨테이너선으로 수송하고 있다.
이 폴리머 펠렛은 고압으로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비중이 약0.92), 저압으로 제조된 고밀도 폴리에틸렌(비중이 약0.95), 투명하고 결정성(95%)이 있는 폴리 프로필렌(비중이 약0.9)등의 폴리머라고 불리우는 것을 크기 Ø3㎜×L3㎜~Ø6㎜×L6㎜정도의 펠렛 상태로 형성한 것이다. 이 폴리머 펠렛의 물성은 비중이 약 0.9~1.0이며, 부피비중은 약0.5정도로 비교적 가볍고, 안식각(安息角)도 약 30도 정도이다.
이 폴리머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석유 정제 공업에 있어서 원유를 증류하여 비점의 차에 의하여 석유가스, 가솔린, 나프타(조제 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 아스팔트로 나뉘고, 이 중에서 나프타를 나프타분해장치로 가열분해시켜서 간단한 구조의 물질로 변화시켜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등의 물질을 추출한다. 이 에틸렌이나 프로필렌 등을 화학반응으로 같은 물질의 분자와 분자를 결부시키는 중합반응에 의하여 다른 성질을 가지는 폴리 에틸렌이나 폴리 프로필렌 등의 폴리머(중합체)를 제조하고 있다.
이 폴리머의 성질이 가연성이기 때문에 분진상태에서는 폭발성 혼합 증기를 형성하여 위험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지만 펠렛 상태에서는 상온에서의 취급에서 위험성은 없으며 또, 생리학적으로 비활성이며, 인체에 특별한 독성은 없다. 또, 물과의 반응성이나 자기반응성, 폭발성이 없고 상온에서는 안정되어 있지만, 펠렛이 넘쳐 흐르는 경우에는 발이 미끄러져 전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누출 방지와 누출 시의 회수가 중요하다. 특히, 수송 시 수역(水域)에 누출되는 경우 동물이 삼키게 되면 질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많은 폴리머의 경우, 표면에 수분이 부착된 채로 성형하게 되면, 제품의 표면불량이나 외관불량, 기계적 물성(강도)불량 등이 생긴다. 또, 펠렛의 손상에 의하여 부서진 작은 폴리머가 혼성됨으로 인한 펠렛 표면의 손상도 기피하기 때문에 펠렛 표면의 결함방지를 위하여 관(管)이나 화물창고의 내면에서 펠렛의 마모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재료의 성분이나 재질, 색 등의 차이점으로 상당히 아주 많은 종류가 있으며, 다른 종류의 폴리머 펠렛의 혼합은 폴리머 펠렛을 사용한 제품의 품질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 폴리머 펠렛의 수송에 있어서는 도장(塗裝)이나 녹과의 혼합을 피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폴리머 펠렛간의 혼합을 엄격하게 피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것과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폴리머 펠렛의 해상 및 수상 수송에서는 폴리머 펠렛을 자루 묶음 하여 이 자루를 탑재한 컨테이너를 컨테이너선으로 수송하고 있다.
하지만, 이 자루와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수송방법에서는 펠렛의 자루묶음 작업이나 컨테이너로의 수납작업, 개봉을 위한 자루의 파단 작업, 자루로부터 펠렛 꺼내기 작업등을 위하여 인력이나 기계에 의한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효율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트레이서 빌리티(추적성)의 확보라는 면에 있어서 펠렛의 자루마다 관리할 필요가 있어 상당히 번잡해 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펠렛의 소량 운반시에 사용하는 자루 등의 포장자재가 자원의 낭비가 된다는 문제도 있다. 앞으로도 폴리머 펠렛의 수요는 세계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업계에서는 효율적인 해상수송방법을 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석탄, 밀, 칩 등을 산적상태로 운반하는 선박은 건화물 산적선 또는 벌크 캐리어(bulk carrier)라고 불리우고 있으며 화물창고의 구조는 통상적으로 이중바닥의 내저판, 선측외판, 상갑판, 격벽으로 주위를 둘러싸여 있고, 선측 아래쪽에는 호퍼 사이드 탱크(hopperside tank)가, 선측 위쪽에는 톱 사이드 탱크(topside tank)가 설치되고, 상갑판에는 해치가 개구되어 해치커버로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인용 특허 문헌1 참조).
또, 화물창고의 하부에서 산적 건화물을 양륙 하역하는 경우에는 각 화물창고의 하단으로부터 떠낸 산적 건화물(낱개)을 선박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무단식(無端式)의 떠내기 컨베이어(conveyor)로 선수(船首)측 또는 선미(船尾)측에 반송하여, 별도의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육상하역시설의 컨베이어로 반송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그렇지만, 폴리머 펠렛의 수송에 관해서는 여러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선박의 적재량에 비교하여 아주 작은 양씩 혼합시키는 일이 없도록 하역하여 수송할 필요가 있으며, 제조, 적하 전의 보관, 수송, 양륙 후의 보관, 소비까지 로트(lot)마다 품질관리를 엄격하게 해서 트레이서 빌리티(추적성)를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는 문제가 있다.
실소62-165193호 공보 특개평5-124576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여러 종류의 다양한 폴리머 펠렛을 자루묶음에 의한 반송이 아닌, 산적상태의 반송으로 효율 좋게 대량수송이 가능하며, 게다가 많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동시에 대량으로 효율 좋게 반송할 수 있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 그 하역방법, 및 하역용 육상측 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은 여러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혼합하는 일 없이 운반하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이며, 폴리머 펠렛을 수용하는 화물용 홀드(hold)를 복수 편성하여 로트용 홀드 세트를 형성함과 동시에, 육상쪽의 양륙 라인에 접속되는 로트용 양륙 라인을 이용하고 상기 로트용 홀드 세트마다 같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동시에 양륙하는 제1의 양륙 하역과, 상기 화물용 홀드마다 다른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순차적으로 양륙하는 제2의 양륙 하역을 선택적으로 행하도록 상기 화물용 홀드의 각각의 하부에 홀드용 양륙 개폐밸브를 갖춘 홀드용 양륙 라인을 접속하여 설치하고, 상기 로트용 홀드 세트 마다 상기 홀드용 양륙 라인을 상기 로트용 양륙 라인에 통합하여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양륙 하역시에 홀드용 양륙 하역 개폐밸브를 적절하게 개폐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화물용 홀드에 수용된 폴리머 펠렛의 종류가 로트용 홀드세트 마다 같은 경우에는 제1의 양륙 하역을 이용하고, 같은 로트용 홀드 세트의 화물용 홀드 전체를 동시에 양륙 하역하여 같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육상쪽의 화물용 저장고(silo)에 효율 좋게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화물용 홀드마다 수용된 폴리머 펠렛의 종류가 다른 경우에는, 제2의 양륙 하역을 이용하여 화물용 홀드마다 순차적으로 양륙 하역하여 화물용 홀드마다 수용된 다른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혼합시키는 일 없이 육상측의 화물용 저장고에 별도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하나의 로트용 양륙 라인을 이용하면서 홀드용 양륙 개폐밸브 등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으로, 복수의 화물용 홀드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또는 동시에 양륙하역하는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각의 화물용 홀드에 각각의 양륙 배관을 설치하여 각각의 육상측 양륙 라인을 접속하여 하역하는 경우에 비하여 육상측과 선상측과의 사이에 양륙 라인의 접속 수를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하역작업의 공수(工數)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로트용 양륙 라인을 이용하여 제1의 양륙 하역으로, 육상측에서 품질 관리하는 로트 단위의 용량에 상당하는 수용 용량을 가지는 로트용 홀드 세트마다 양륙 하역하거나, 제2의 양륙 하역에서 육상측에서 품질 관리하는 저장고 단위의 용량에 상당하는 수용 용량을 가지는 화물용 홀드마다 양륙 하역하거나 하기 때문에 수송, 양륙하역, 육상에서의 보관 등에 있어서 꼼꼼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품질관리상의 추적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여러 종류의 다양한 폴리머 펠렛을 자루묶음에 의한 반송이 아닌 산적상태의 반송으로 효율 좋게 대량 수송 가능하며, 게다가 많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혼합시키는 일 없이 동시에 대량으로 효율 좋게 수송할 수 있다.
상기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상기 화물용 홀드의 하측의 홀드용 양륙 라인에 있어서, 홀드용 양륙 개폐 밸브의 하측에 정량배출밸브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정량배출밸브의 하측에 개폐밸브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홀드용 양륙 라인을 상기 화물용 홀드의 하부와 상기 로트용 양륙 라인 사이에 접속하여 설치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터리 밸브 등으로 형성되는 정량배출밸브와 홀드용 양륙 라인과 로트용 양륙 라인과의 합류부와의 사이에 설치한 개폐 밸브를 닫는 것에 의하여, 양륙 하역에서 로트용 양륙 라인을 사용하여 하나의 화물용 홀드로부터 폴리머 펠렛을 수송하고 있는 도중에 이 폴리머 펠렛이 다른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수용하는 별도의 화물용 홀드의 하측의 정량배출밸브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정량 배출밸브에 침입한 다른 종류의 폴리머 펠렛이 이 별도의 화물용 홀드의 폴리머 펠렛을 양륙 하역 할 때에 혼입되어 동시에 양륙 하역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혼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에 있어서, 상기 로트용 양륙 라인에 육상측의 설비에서 반송용의 공기를 공급하여 이 반송용 공기에 의하여 상기 화물용 홀드에 수용된 폴리머 펠렛을 양륙 하역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육상측에서 공급된 반송용 공기를 사용하여 각 화물용 홀드의 폴리머 펠렛을 공기 수송으로 양륙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선상측에는 하역라인 개수에 대응한 개수의 양륙 하역용의 압축공기 발생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선상설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선상측과 육상측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에 있어서, 전체로서 큰 용량이 필요하게 되는 압축공기 발생 설비를 육상측에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 공사나 보수 점검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 육상측의 압축공기발생장치의 가동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압축공기발생장치를 효율 좋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육상측에 압축공기발생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육상 저장고 간 이송이나 제조 플랜트(plant)에서 운반되어 진 폴리머 펠렛의 육상 저장고로의 이송에도 이용가능해진다.
상기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에 있어서, 육상측의 제어장치에 의하여 해당 폴리머 펠렛 선내의 양륙 하역 설비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선상의 양륙 라인의 제어장치를 육상측에 설치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으로서 양륙 라인의 제어장치의 개수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유조선등의 배관라인을 가지는 선박에서는, 선박측의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선박측에서 양륙 라인을 제어하여 화물을 선상측으로부터 육상측에 양륙하는 것에 대하여 이 폴리머 펠렛 운반선에서는 육상측의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육상측에서 선상측의 양륙 라인도 제어하기 때문에, 육상측의 화물용 저장고와 선상측의 화물용 홀드 또는 로트용 홀드 세트와의 대응관계를 육상측에서 일괄일원관리 가능하며, 폴리머 펠렛의 품질관리, 추적성 확보, 그리고 하역 조작 실수의 회피라는 면에 있어서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에 있어서, 1개의 상기 화물용 홀드에 수용된 폴리머 펠렛을 양륙할 수 있는 분량의 공기량보다도 큰 공기량을 발생시키는 압축공기발생장치를 갖추어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육상측에 압축공기발생설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항구에서 양륙 하역하는 경우나, 육상측의 압축공기발생설비나 공기 라인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라도, 본 선상의 압축공기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양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비교적 용량이 작은 비상용 압축공기 발생장치를 탑재하여 양륙 라인을 전부 동시에 가동시키는 것이 충분한 능력의 압축공기 발생장치는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양륙 라인을 전부 동시에 가동시키기 위한 압축공기발생장치를 갖추는 경우에 비교하여 선상의 설비를 현저히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폴리머 펠렛 운반선은 추진장치를 가지지 않은 바지선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의 폴리머 펠렛 운반용 바지선은 상기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는 이들을 모두 폴리머 펠렛 운반선으로 칭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하역방법은, 폴리머 펠렛을 수용하는 화물용 홀드를 복수 편성하여 로트용 홀드 세트를 형성하고 복수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혼합되는 일 없이 운반하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하역방법이며 육상측의 양륙 라인에 접속된 로트용 양륙라인을 이용한 상기 로트용 홀드 세트마다 같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동시에 양륙하는 제1의 양륙 하역과, 상기 화물용 홀드마다 다른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순차적으로 양륙하는 제2의 양륙 하역을 선택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양륙 하역시에는 홀드용 양륙 개폐 밸브등을 적절하게 개폐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화물용 홀드에 수용된 폴리머 펠렛의 종류가 로트용 홀드 세트로 같은 경우에는 제1의 양륙 하역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화물용 홀드마다 수용된 폴리머 펠렛의 종류가 다른 경우에는 제2의 양륙 하역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의 양륙 하역에서는 같은 로트용 홀드세트의 화물용 홀드로 수용한 같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동시에 양륙 하역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 좋게 육상측의 화물용 저장고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2의 양륙 하역에서는 화물용 홀드마다 순차적으로 양륙 하역하여 화물용 홀드마다 수용된 다른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혼합시키는 일 없이 육상측의 각 화물용 저장고에 양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소량으로 여러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종류를 바꿔 수용한 화물용 홀드마다 양륙 하역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하역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트용 양륙 라인에 육상측의 설비로부터 반송용 공기를 공급하여 이 반송용 공기에 의하여 상기 화물용 홀드에 수용된 폴리머 펠렛을 양륙 하역 하도록 하면,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선상측에는 하역라인 개수에 대응한 개수의 양륙 하역용 압축공기 발생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선상설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선상측과 육상측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에 있어서 대용량의 압축공기 발생장치를 육상측에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공사나 보수점검을 행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이 육상측의 압축공기발생 장치의 가동률을 높여 효율 좋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육상측에 압축공기 발생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육상저장고 간의 이송이나 제조 플랜트로부터 운반되어 진 폴리머 펠렛의 육상 저장고로의 이송에도 이용 가능해진다.
상기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하역방법에 있어서, 육상측의 제어장치에 의하여 그 해당 폴리머 펠렛 운반선 내부의 하역 설비의 제어를 행하여 양륙 하역과 적화 하역을 행하면 육상측의 화물용 저장고와 선상측의 화물용 홀드 또는 로트용 홀드 세트와의 대응관계를 육상측에서 일괄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폴리머 펠렛의 품질관리 추적성 확보 그리고 하역 조작 실수의 회피라는 면에 있어서,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선상의 양륙 라인의 제어장치를 육상측에 설치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으로서 양륙 라인의 제어장치의 개수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 및 그 하역방법에 의하면 종래기술에서는 손상이나 오염을 회피하기 위한 자루묶음과 컨테이너 수송을 행하였던 폴리머 펠렛등의 분립체도 분립체에 손상을 주는 일 없이 산적하여 수송하는것이 가능하며, 게다가 많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혼합하는 일 없이 동시에 대량으로 효율 좋게 수송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종래기술에서 행해졌던 분립체의 자루묶음 작업이나 자루의 컨테이너 수납작업, 자루로부터 분립체의 꺼내기 작업등을 없애고 수송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켜 대량수송을 효율 좋게 행하는 일이 가능하다.
도1은 본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화물용 홀드의 배치를 나타낸 선체의 측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폴리머펠렛 운반선의 화물용 홀드의 배치를 나타낸 선체의 수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화물용 홀드의 배치를 나타낸 선체의 횡단면도이다.
도4는 본발명에 관련한 실시 형태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화물용 홀드의 하역라인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적화 라인 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양륙 라인 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공기라인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폴리머 펠렛 운반선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추진장치를 가지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추진장치를 가지지 않은 폴리머 펠렛 운반용 바지선에 관해서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은 설명을 위한 도면이며, 반드시 실제선박으로 이용되는 선박형태나 화물용 홀드의 척도비로 제도한 것은 아니다.
도1~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1)은 폴리머 펠렛을 탑재한 화물용 홀드(10)(사선의 해칭 부분)를 갖추어 구성된다. 이 화물용 홀드(10)는 횡단면 형상이 원이나 타원, 다각형등의 형상으로, 바람직하게는 원형형태를 하고 있는 기둥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하부에 호퍼(hopper)형태를 한 호퍼부(10a)를 설치하여 형성된다. 또, 이 화물용 홀드(10)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물용 홀드(10)를 알루미늄 합금제 및 스테인리스 스틸제의 기둥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화물용 홀드(10)의 벽면을 보강하는 보강재가 거의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근접한 화물용 홀드(10)와의 빈틈(클리어런스)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폴리머 펠렛 운반선(1)의 선체의 화물구역 내에 화물용 홀드(10)를 다수 배치 및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재질로 알루미늄 합금 및 스테인리스 스틸을 채용하는 것으로 경량화가 가능하고 녹 발생에 의한 다른 종류의 물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폴리머 펠렛 운반선(1)에 설치된 화물용 홀드(10)의 대부분 또는 전부를 동일 사이즈로 동일 형태로 형성하여 화물용 홀드(10)의 형태 및 용량을 바꾸는 일 없이 폴리머 펠렛 운반선(1)의 선체형태에 맞춰서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화물용 홀드(10)에 관해서는 한 품종에 의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건조(建造)가 용이해지고 제조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화물용 홀드(10)의 지지구조를 하부에 설치하여 선체에 고정배치하도록 구성하고, 이것에 의하여 화물용 홀드(10)를 선체에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없앤다. 이것에 의하여 선체의 내부에 있어서 쓸모없는 공간(스페이스)을 줄이는것이 가능하며 선체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화물용 홀드(10)의 상부에도 지지구조를 설치하여 선체에 고정해도 좋다.
그리고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 화물용 홀드(10)를 복수(도1~3에서는 3개)편성하여 로트용 홀드 세트(1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화물용 홀드(10)로 로트용 홀드 세트(11)를 형성하면 이 로트용 홀드 세트(11)의 용량을 육상하역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단위인 로트의 양에 대응시켜 이 관리단위를 유지한 채로 선적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로트 단위로의 트레이서 빌리티(추적성)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로트용 홀드 세트(11)를 단수 또는 복수(도1~3에서는 2세트)편성하여 일체화해서 화물용 유닛(12)을 형성하고, 이 일체화한 화물용 유닛(12)을 선체 내부에 배치한다. 그리고 최대 선 폭 부분에 있어서는 선박 폭 방향에 관하여 화물용 유닛(12)을 복수로(도1~3에서는 2유닛) 옆으로 나란하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단수 또는 복수의 로트용 홀드 세트(11)로 화물용 유닛(12)을 형성하면 건조시에 복수(도1~3에서는 6개)의 화물용 홀드(1)로 구성된 화물용 유닛(12)을 육상에서 제조하여 이 화물용 유닛(12)마다 선체 내부에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 화물용 홀드(10)를 하나씩 선체 내부에 탑재하는 경우에 비하여 공수의 저감 및 건조일수의 단축화가 가능하다.
도2의 구성에서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1)은 선수 측에서는 세로배열의 화물용 유닛(12)을 하나, 가로배열의 화물용 유닛(12)을 하나, 세로배열의 화물용 유닛(12) 두개를 가로로 하나씩 합계 다섯개를 나란히 탑재하고 있고 전부해서 12개의 화물용 유닛(12)으로 24개의 로트용 홀드 세트(11)를 최종적으로는 72개의 화물용 홀드(10)를 탑재하고 있다.
또, 하부에 호퍼부(10a)를 설치한 기둥형태로 형성한 화물용 홀드(10)를 로트용 홀드 세트(11), 화물용 유닛(12)으로 편성하여 선체 내부에 효율 좋게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선폭에 비하여 비교적 작은 직경의 화물용 홀드(10)를 다수 배치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산적선과 같이 비교적 큰 용량의 화물창고를 설치한 경우에 비교하여 호퍼부(10a)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호퍼부(10a)의 외측의 공간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선체 내부의 공간을 유효활용할 수 있다.
더욱이 폴리머 펠렛을 낮은 위치까지 짐을 싣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화화물의 중심 및 적화시의 항해에 있어서 선체의 중심을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중에 화물용 홀드(10)의 폭이 종래기술의 산적선 보다도 현저히 작아지기 때문에 항해중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의 좌우이동이 적어지게 되어 선체의 좌우 흔들림(롤)에 대한 안정성이 증가한다.
또, 이 폴리머 펠렛 운반선(1)에 있어서는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선저측에는 이중바닥(2)을 선측부에는 밸러스트 탱크(3)등을, 상부에는 커버(5)를 설치하여 선체의 화물구역을 2중 선체(double hull)구조로, 또한 폐쇄구조(닫힘구조)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만일 좌초나 충돌 등에 의해 선체가 손상되는 때에도 폴리머 펠렛이 해양에 유출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폐쇄구조에 의하여 직사광선에 의한 화물용 홀드(10) 및 그 내부의 폴리머 펠렛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선체의 선측부에 밸러스트 탱크(3)를 설치하면 선박의 자세(힐,트림)의 불균형의 원인이 되는 빈 화물용 홀드(10)가 있는 경우나, 좌우현에서 비중이 다른 폴리머 펠렛을 정용량 적재한 경우, 하역중에 있어서 화물용 홀드(10)내의 폴리머 펠렛 양이 변화하는 경우 등에 대하여 선측부의 밸러스트 탱크(3)의 밸러스트 수(水)의 양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선박의 자세(힐, 트림)의 불균형을 해소할수 있게 된다.
더욱이 화물용 홀드(10) 및 하역용 라인 전체와 작업공간, 화물용 홀드(10)의 상부로의 통로를 내포하도록 커버(5)를 설치하는 것과, 해수의 들이침 등에 의한 화물용 홀드(10)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화물용 홀드(10)의 내면, 외면이나 하역용의 라인의 배관의 외면 등의 해수에 의한 부식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악천후에 있어서 화물용 홀드(10)의 상부에서의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하는것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쉬워진다. 또, 커버(5)에 의하여 해상수송시의 화물용 홀드(10)의 내부의 온도관리나 습도관리가 용이해진다.
또 커버(5)에 화물용 홀드(10)의 상부에서 필요한 배관 등의 지지부를 커버(5)측에 설치하는 설계로 하는 것으로 이것들의 배관을 선행 의장(艤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조(建造)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건조시의 메리트도 있다.
다음으로 하역라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폴리머 펠렛 운반선(1)의 하역라인으로는 적화라인과 양륙 라인이 있다. 도4 및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화물용 홀드(10)에 있어서는 그 상부에 홀드용 적화라인(21)이 접속되어 있다. 이 홀드용 적화라인(21)은 홀드 선택 밸브(유량 전환 밸브)(21a)를 사이에 두고 로트용 적화라인(22)에 통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 로트용 적화라인(22)은 개별로 육상측의 적화라인(100)과 연결되도록 개폐밸브(22a)를 통하여 적화용 접속부(22b)에 이어진다. 이 적화용 접속부(22b)는 우현(스타보드 사이드)측에만 설치된다. 이 적화용 접속부(22b)에 육상측의 적화라인(100)이 접속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화물용 홀드(10) 즉, 하나의 로트용 홀드세트(11)가 육상측의 적화라인(100)과 접속된다. 이것에 의하여 로트용 홀드세트(11)의 용량에 대응하는 용량의 로트 단위로 적화하역 가능하고 로트간의 혼성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트간의 혼성이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로트용 적화라인(22)을 유닛용 적화라인(도시하지 않음)에 통합하거나 더욱이 몇 개의 유닛용 적화라인을 통합하여도 좋다.
또, 이 화물용 홀드(10)의 상부에는 반송용 공기(A)를 빼기 위한 홀드용 공기 라인(31)이 설치된다. 이 홀드용 공기 라인(31)은 개폐밸브(31a)를 갖추고 있으며 로트용 홀드 세트(11)마다 로트용 공기 라인(32)에 통합된다.
이 로트용 공기라인(32)의 선단측에는 개폐밸브(32b)와 그 끝의 접속부(32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부(32c)에는 육상측의 배출공기 정화장치(30)에 접속하는 육상측의 공기배출용 라인(110)이 접속된다. 이 공기배출용 라인(110)에는 배출 공기정화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배관의 통합에 의하여 전체로써는 선상측의 적화라인과 공기배출용 라인의 배관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화물용 홀드(10)로부터 배출되는 반송에 사용한 먼지 등이 섞인 공기(A)를 배출공기정화장치(30)로 정화하여 대기중에 배출할 수 있다.
즉, 각 화물용 홀드(10)의 상부에 홀드 선택밸브(21a)를 사이에 두고 홀드용 적화라인(21)을 접속하여 설치하고, 이 홀드용 적화라인(21)을 로트용 홀드 세트(11)마다 로트용 적화라인(22)에 통합하여 이 로트용 적화라인(22)을 한쪽 현(통상적으로는 우현)측에 이어, 이 현측에 설치된 육상층의 적화라인(100)과의 접속부인 적화용 접속부(22b)에 접속하여 설치한다.
또, 양륙 라인으로써 도4 및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화물용 홀드(10)의 호퍼부(10a)의 아래에 홀드용 양륙 개폐밸브(41a), 정량배출 밸브가 되는 로터리 밸브(41b),개폐 밸브(41c)를 가지는 홀드용 양륙 라인(41)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홀드용 양륙 라인(41)을 로트용 양륙 라인(42)에 접속하여 설치한다.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 로트용 양륙 라인(42)은 더욱이 유로 전환 밸브(42a)에서 우현용 양륙 라인(42S)과 좌현용 양륙 라인(42P)으로 분기되어 다기관 갑판(4)으로 이어져 개폐밸브(42Sa),(42Pa)를 통과한 후 각각의 현측에 설치된 양륙 라인 접속부(42Sb),(42Pb)에 이어진다. 이 양륙 라인 접속부(42Sb),(42Pb)의 한쪽에 육상측의 양륙 라인(120)이 접속된다.
즉, 각 화물용 홀드(10)의 각각의 하부에 홀드용 양륙 개폐밸브(41a)를 갖춘 홀드용 양륙 라인(41)을 접속하여 설치하고, 로트용 홀드 세트(11)마다 홀드용 양륙 라인(41)을 로트용 양륙 라인(42)에 통합하고 이 로트용 양륙 라인(42)을 유로 전환밸브(42a)에서 분기하여 양 현측의 다기관 갑판(4)에 이어져 각각의 현측에 설치된 육상측의 양륙라인(120)과의 접속부인 양륙라인 접속부(42Sb), (42Pb)에 접속하여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 폴리머 펠렛 운반선(1)에 있어서, 화물용 홀드(10) 하측의 홀드용 양륙 라인(42)에 있어서, 홀드용 양륙 개폐 밸브(41a)의 하측에 로터리 밸브(41b)를 설치함과 동시에 로터리 밸브(41b)의 하측에 개폐밸브(41c)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리 밸브(41b)와 홀드용 양륙 라인(41)과 로트용 양륙 라인(42)와의 합류부와의 사이에 설치한 개폐밸브(41c)를 닫는 것에 의하여, 양륙 하역에서 로트용 양륙 라인(42)을 사용하여 하나의 화물용 홀드(10)에서 폴리머 펠렛(P)을 수송하는 도중에 이 폴리머 펠렛(P)이 다른 종류의 폴리머 펠렛(P)을 수용하는 별도의 화물용 홀드(10) 하측의 로터리 밸브(41b)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로터리 밸브(41b)에 진입한 다른 종류의 폴리머 펠렛(P)이 이 별도의 화물용 홀드(10)의 폴리머 펠렛(P)을 양륙 하역 할 때에 혼입되어 동시에 양륙 하역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혼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하여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육상측의 압축공기발생설비(압축기)로부터 육상측의 공기공급 라인(130)에서 양륙용의 압축공기(A)를 접속부(51b), 개폐 밸브(51a), 양륙용 공기공급라인(51), 개폐밸브(42b), 로트용 양륙 라인(42)으로 공급한다.
이 양륙 하역 시에 화물용 홀드(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폴리머 펠렛(P)은 화물용 홀드(10)에서 홀드용 양륙 라인(41)의 홀드용 양륙 개폐밸브(41a), 로터리 밸브(41b), 개폐밸브(41c)를 경유하고 로트용 양륙 라인(42)에 낙하하여 반송용 공기(A)와 함께 로트용 양륙 라인(42),(42S)(또는 42P)을 경유하여 육상측의 양륙라인(120)에 양륙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홀드용 양륙 개폐밸브(41a), 개폐밸브(41c) 등을 적절하게 제어하는것에 의하여 육상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A)를 사용하여 각 화물용 홀드(10)의 폴리머 펠렛(P)을 공기수송으로 로트용 홀드세트(11)마다 동종의 폴리머 펠렛(P)을 동시에 양륙하는 제1의 양륙 하역과, 화물용 홀드(10)마다 다른 종류의 폴리머 펠렛(P)을 순차적으로 양륙하는 제2의 양륙 하역을 선택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또, 폴리머 펠렛 운반선(1)의 선상에는, 상용의 하역용 압축기(예를 들면, 하역라인 개수에 대응한 개수)를 설치하지않고 하역용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전용 설비를 항구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육상측의 압축기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반면 선상에서는 대규모의 압축공기의 압축기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선상 설비를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도4 및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건조장치(34)를 갖춘 건조라인(3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건조라인(33)에서는 건조용 공기(A)를 건조장치(34), 개폐밸브(33a),(33b)를 경유하여 각 화물용 홀드(10)의 홀드용 건조라인(33c)에서 화물용 홀드(10)의 내부로 보낸다.
이 건조용 공기(A)에 의하여 화물용 홀드(10)의 내부를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화물용 홀드(10)를 건조 시킨 후에 공기(A)는 홀드용 공기 라인(31) 및 로트용 공기 라인(32)을 경유하여 건조라인(33)에 돌아오고, 건조의 대상이 된 화물용 홀드(10)가 건조될 때까지 순환한다. 이 건조라인(33)을 이용한 화물용 홀드(10)의 내부를 적화 하역 전과 폴리머 펠렛(P)을 수용중에 양쪽에서 건조하는 것에 의하여 폴리머 펠렛(P)을 건조상태로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대량의 폴리머 펠렛(P)을 고품질로 유지한 채 수송할 수 있다.
또한, 본 선상에 적어도 하나의 화물용 홀드(10)의 폴리머 펠렛(P)을 공기수송으로 양륙할 수 있는 용량의 압축공기발생장치(35)를 장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압축공기발생장치(35)는 도5~도7의 구성에서는 양륙용 공기공급라인(51)에 접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육상설비의 압축공기발생 장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라도, 본 선상의 압축공기발생장치(35)를 사용하여 발생 된 공기(A)를 양륙용 공기 공급라인(51)을 경유하여 로트용 양륙 라인(42)에 공급하여 양륙 하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비상용 압축공기 발생장치(35)는 탑재하지만 하역라인 전부를 동시에 가동시키는 것이 충분한 능력의 압축공기발생장치는 장비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화물용 홀드(10)의 세정설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폴리머 펠렛 운반선(1)에서는 화물용 홀드(10)를 세정수(W)로 세정하기 위한 세정설비를 갖춘다.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화물용 홀드(10)에는 청수(淸水)등의 세정수(W)를 화물용 홀드(10)에 분사하여 내부를 세정하기 위해, 선단에 세정용 노즐(52a)을 갖춘 세정용 라인(52)이 설치된다. 또한 화물용 홀드(10)를 세정한 세정액(W)을 선상에 설치한 정화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정화하여 재이용 하도록 구성하면 세정수(W)의 재이용에 의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세정수(W)의 탑재량을 경감할 수 있다.
폴리머 펠렛 운반선(1)에 세정용 라인(52)과 건조라인(33)을 갖추는 것에 의하여, 밸러스트 항해중에 청수등의 세정수(W)로 화물용 홀드(10)를 세정한 후 건조 또는 제습에 의해 화물용 홀드(10)를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적화 항구에 도착하여 바로 종류가 다른 화물을 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조에 의하면 홀드용 적화라인(21)을 로트용 적화라인(22)에 통합하여 적화용 접속부(22b)에 잇고, 또 홀드용 양륙 라인(41)을 로트용 양륙 라인(42)에 통합하여 좌현용의 유닛용 양륙 라인(42P)과 우현용의 유닛용 양륙 라인(42S)으로 분기하여 각각의 양륙 라인 접속부(42Pb),(42Sb)에 이어져 있다.
그 때문에 선상에 있어서 하역라인의 배관의 길이를 짧게하는 것이 가능한 것 뿐만 아니라 이 로트용 홀드 세트(11)의 수용량을 육상하역 시스템의 관리단위인 로트 양에 대응시킨 로트용 홀드 세트(11)마다 각 로트용 홀드 세트(11)의 전용라인을 이용하여 적화 하역과 양륙 하역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적화라인과 양륙 라인을 별도로 구별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수송하는 폴리머 펠렛(P)의 오염이나 다른 종류와의 혼합 등의 혼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로트간의 혼성을 방지하면서 이 로트의 관리단위를 유지한 채로 하역하는것이 가능하며, 로트 단위로의 트레이서 빌리티(추적성)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로트용 적화라인(22)을 상하 이단으로 양분하여 복수 라인을 좌우로 이어진 라인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선상의 한정된 공간을 유효활용 할 수 있고, 커버(5)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화물용 홀드(10)의 측부의 수직배관을 화물용 홀드(10)에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배치하면 이것에 의하여 건조시에 육상측의 공장에서 의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폴리머 펠렛 운반선(1)에 있어서는 육상측의 제어장치에 의하여 폴리머 펠렛선(1)내의 양륙 하역 설비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선상측에 양륙 라인의 제어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육상측에만 설치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으로써 양륙 라인의 제어장치의 개수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폴리머 펠렛 운반선(1)에서는 육상측의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육상측에서 선상측의 양륙 라인도 제어하기 때문에 육상측의 화물용 저장고와 선상측의 화물용 홀드(10)또는 로트용 홀드 세트(11)와의 대응관계를 육상측에서 일괄일원관리 가능하며 폴리머 펠렛(P)의 품질관리를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높은 트레이서 빌리티(추적성)를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1)에 있어서 하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적화 하역시에는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육상측의 적화라인(100)이 폴리머 펠렛 운반선(1)의 적화용 접속부(22b)에 접속되고, 또, 육상측의 공기배출용 라인(110)이 접속부(32c)에 접속된다. 그리고 개폐밸브(22a)와 개폐밸브(32b)가 밸브열림된다.
육상측의 적화라인(100)에 의해, 육상측의 기지 저장고에서 폴리머 펠렛(P)이 반송용의 공기(A)와 함께 로트용 적화라인(22)에 보내져 홀드용 적화라인(21)에서 화물용 홀드(10)의 내부에 공급된다. 이 폴리머 펠렛(P)은 내부에 수납된다.
한편 반송용의 공기(A)는 개폐밸브(31a)를 갖춘 홀드용 공기 라인(31)에 의하여 배출되어, 로트용 공기 라인(32)경유로 육상측의 공기배출용 라인(110)에 보내져 배출 공기정화 장치(30)에서 폴리머 펠렛(P)의 파편등이 제거된 상태에서 대기중에 방출된다.
이 때, 로트용 적화라인(22)과 로트용 공기 라인(32)을 사용하여 적화 하역하기 때문에 로트마다 적화 하역할 수 있으며 로트간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로트의 관리단위마다 여러 종류의 폴리머 펠렛(P)을 혼합시키는 일 없이 효율좋게 각 화물용 홀드(10)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양륙 하역시에는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육상측의 양륙 라인(120)을 좌우현의 어느 한쪽 현측에 설치된 양륙라인 접속부(42Sb)(또는 42Pb)에 접속하여, 육상측의 압축공기 이송라인(130)을 선측의 압축 공기 라인 접속부(51b)에 접속하여 압송용의 공기(A)를 보내면 이 압송용 공기(A)는 양륙용 공기 공급라인(51)을 경유하여 로트용 양륙 라인(42)에 다다른다.
한편, 폴리머 펠렛(P)은 이 화물용 홀드(10)의 호퍼부(10a)의 하부에서 홀드용 양륙 개폐밸브(41a)와 로터리 밸브(41b)와 개폐밸브(41c)를 갖춘 홀드용 양륙 라인(41),로트용 양륙 라인(42), 유로 전환밸브(42a)를 경유하여 양륙라인 접속부(42Sb)(또는 42Pb)에서 육상측의 양륙 라인(120)에 반송된다.
이 때, 공기 유량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로트용 홀드 세트(11)마다 제1의 양륙 하역, 또는 화물용 홀드(10)마다의 제2의 양륙 하역을 행하여 양륙 하역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제1의 양륙 하역에서는 같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P)을 효율 좋게 동시에 육상측의 각 화물용 저장고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2의 양륙 하역에서는 많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P)을 혼합시키는 일 없이 순차적으로 육상측의 각화물용 저장고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로트용 적화라인(22),또는 하나의 로트용 양륙 하역 라인(42)을 이용하면서 홀드 선택 밸브(21a) 또는 홀드용 양륙 개폐밸브(41a), 개폐밸브(41c) 등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으로 복수의 화물용 홀드(10)에 동시 도는 경시적으로 선택하면서 적화 하역 또는 양륙 하역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육상과 선상 사이의 적화라인 및 양륙 라인의 접속 개수를 감소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하역작업의 공수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꿔말하면, 홀드 선택 밸브(21a)에서 로트용 화물세트(11) 전부의 화물용 홀드(10)를 선택하여 동시에 적화 하역할 때에는 적은 개수의 적화라인으로 효율 좋게 적화할 수 있다. 도, 홀드 선택밸브(21a)로 하나의 화물용 홀드(10)를 선택하여 이 선택된 화물용 홀드(10)를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적화 하역할 때 적은 개수의 적화라인으로 다른 종류 및 등급의 폴리머 펠렛(P)을 별도의 화물용 홀드(10)에 짐을 싣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적으로는 육상의 기지측 저장고는 1저장고를 폴리머 펠렛(P)의 1로트에 상당하는 크기로 만들지만, 이 기지측 저장고의 1로트에 대응하도록 선측의 화물용 홀드(10) 몇 개를 맞춰서 로트용 홀드 세트(11)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폴리머 펠렛(P)의 산적 수송시의 화물용 홀드(10)의 용량을 규격 통일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기지측의 폴리머 펠렛(P)의 1로트의 제조능력에 맞춰서 각화물용 홀드(10)의 용적을 형성하는 것으로 같은 컨셉트로 폴리머 펠렛 운반선(1)의 대형선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기지측의 1로트의 용량이 장래현상보다도 크게 되어도 그 1로트에 대하여 사용하는 화물용 홀드(10)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장래의 1로트의 용량의 대형화에도 대응할 수 있다. 즉, 하역의 유연성이 상당히 높은 폴리머 펠렛 운반선(1)이 된다.
이것에 의하여 많은 종류의 다양한 폴리머 펠렛(P)을 자루묶음에 의한 반송이 아닌 산적 상태의 반송으로 효율 좋게 대량수송 가능하고, 게다가 많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P)을 동시에 대량으로 효율 좋게 수송할 수 있다.
또, 적화용 접속부(22b)는 적화 항구를 상정하여 한쪽현 측(통상 우현측)에만 배치하는 것으로 배관길이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양륙용 접속부(42Sb), 42(Pb)를 양쪽 현에 장비하는 것에 의하여 용장성(冗長性)을 가지는 구성으로 두어 양륙 항구가 이후에 복수의 항구로 증가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폴리머 펠렛 운반선 및 폴리머 펠렛 운반용 바지선은 폴리머 펠렛등의 분립체도 분립체에 손상을 주는 일 없이 산적하여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게다가 많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동시에 대량으로 효율 좋게 수송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종래기술에서 행해졌던 분립체의 자루묶음 작업이나 자루의 컨테이너 수납작업, 자루로부터 분립체의 꺼내기 작업등을 없애 수송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대량수송을 효율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라고 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폴리머 펠렛의 수송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폴리머 펠렛 운반선
10 화물용 홀드
10a 호퍼(hopper)부
11 로트용 홀드세트
12 화물용 유닛
21 홀드용 적화라인
21a 홀드 선택 밸브
22 로트용 적화라인
22a 개폐밸브
22b 적화용 접속부
30 육상측의 배출 공기 정화 장치
31 홀드용 공기 라인
32 로트용 공기 라인
32b 개폐밸브
32c 접속부
33 건조라인
34 건조장치
35 압축공기발생장치
41 홀드용 양륙 라인
41a 홀드용 양륙 개폐밸브
41b 로터리 밸브
42 로트용 양륙 라인
42a 유로 전환밸브
42b 개폐밸브
42P 좌현용 양륙 라인
42S 우현용 양륙 라인
42Pa, 42Sa 개폐밸브
42Pb, 42Sb 양륙 라인 접속부
51 양륙용 공기 공급 라인
51a 개폐밸브
51b 접속부
52 세정용 라인
52a 세정용 노즐
100 육상측 적화라인
110 육상측 공기 배출용 라인
120 육상측 양륙 라인
130 육상측 압축 공기 이송 라인
A 공기
P 폴리머 펠렛
W 세정수

Claims (11)

  1. 복수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혼합하는 일 없이 운반하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을 수용하는 화물용 홀드를 복수 편성하여 로트용 홀드 세트를 형성하는것과 동시에,
    육상측의 양륙 라인에 접속된 로트용 양륙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로트용 홀드 세트마다 같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동시에 양륙하는 제1의 양륙 하역과, 상기 화물용 홀드마다 다른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순차적으로 양륙하는 제2의 양륙 하역을 선택적으로 행하도록, 상기 화물용 홀드 각각의 하부에 홀드용 양륙 개폐 밸브를 갖춘 홀드용 양륙 라인을 접속하여 설치하고 상기 로트용 홀드세트 마다 상기 홀드용 양륙 라인을 상기 로트용 양륙 라인에 통합하며,
    상기 화물용 홀드 하측의 홀드용 양륙 라인에 상기 홀드용 양륙 개폐밸브, 이 홀드용 양륙 개폐밸브 하측에 정량 개폐밸브, 그리고 이 정량배출 밸브 하측에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홀드용 양륙 라인을 상기 화물용 홀드의 하부와 상기 로트용 양륙 라인 사이에 접속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트용 양륙 라인에 육상측의 설비에서 반송용 공기를 공급하여 이 반송용 공기에 의하여 상기 화물용 홀드에 수용된 폴리머 펠렛을 양륙 하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
  3. 제1항에 있어서,
    육상측의 제어장치에 의하여 해당 폴리머 펠렛 선내의 양륙 하역 설비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
  4. 제1항에 있어서,
    1개의 상기 화물용 홀드에 수용된 폴리머 펠렛을 양륙할 수 있는 분량의 공기량보다도 큰 공기량을 발생할 수 있는 압축 공기발생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 운반선이 추진장치를 가지지 않은 바지선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
  6. 폴리머 펠렛을 수용하는 화물용 홀드를 복수 편성하여 로트용 홀드 세트를 형성하고, 복수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혼합하는 일 없이 운반하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하역 방법에 있어서,
    육상측의 양륙 라인에 접속된 로트용 양륙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로트용 홀드 세트마다 같은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동시에 양륙하는 제1의 양륙 하역과, 상기 화물용 홀드마다 다른 종류의 폴리머 펠렛을 순차적으로 양륙하는 제2의 양륙 하역을 선택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하역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트용 양륙 라인에 육상측의 설비에서 반송용 공기를 공급하고 이 반송용 공기에 의하여 상기 화물용 홀드에 수용된 폴리머 펠렛을 양륙 하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하역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육상측의 제어장치에 의하여 해당 폴리머 펠렛 운반선 내부의 하역설비 제어를 행하고 양륙 하역과 적화 하역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하역방법.
  9.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화물용 홀드에 수용된 폴리머 펠렛을 양륙하역하기 위한 반송용 공기를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양륙라인에 공급하는 압축공기발생장치를 육상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용 육상측 설비.
  10. 제 9항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 운반선의 선상의 양륙라인 제어를 육상측에서 행하는 제어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용 육상측 설비.
  11. 삭제
KR1020137004975A 2010-09-09 2011-09-07 폴리머 펠렛 운반선, 그 하역 방법, 및 하역용 육상측 설비 KR101455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01809A JP5363438B2 (ja) 2010-09-09 2010-09-09 ポリマーペレット運搬船、ポリマーペレット運搬用バージ、及びその荷役方法
JPJP-P-2010-201809 2010-09-09
PCT/JP2011/070382 WO2012033130A1 (ja) 2010-09-09 2011-09-07 ポリマーペレット運搬船、ポリマーペレット運搬用バージ、及びその荷役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016A KR20130099016A (ko) 2013-09-05
KR101455157B1 true KR101455157B1 (ko) 2014-10-27

Family

ID=4581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975A KR101455157B1 (ko) 2010-09-09 2011-09-07 폴리머 펠렛 운반선, 그 하역 방법, 및 하역용 육상측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615025A1 (ko)
JP (1) JP5363438B2 (ko)
KR (1) KR101455157B1 (ko)
CN (2) CN104787248A (ko)
PH (1) PH12015502298A1 (ko)
WO (1) WO2012033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2306A (ja) * 2013-02-22 2014-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天然ガス燃料蒸発器、天然ガス燃料供給装置、船舶、原動機への天然ガス燃料の供給方法
CN105460619A (zh) * 2015-12-21 2016-04-06 新疆天业(集团)有限公司 一种集装箱聚氯乙烯粉料卸料方法
CN113386910A (zh) * 2021-06-21 2021-09-14 余勇 一种颗粒物料船舶并靠过驳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8590A (en) * 1956-04-30 1959-01-13 Simon Ltd Henry Pneumatic conveyors and the like for powdered and granular materials
JP2002240778A (ja) * 2001-02-14 2002-08-28 Mitsui Miike Mach Co Ltd ばら物運搬船
JP2005145326A (ja) * 2003-11-18 2005-06-0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ガスハイドレート輸送船
JP2008260636A (ja) * 2007-03-20 2008-10-30 Mitsubishi Chemicals Corp ポリマーペレットの輸送方法および貯蔵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5104841B (zh) * 1985-06-24 1988-10-12 麦格雷戈·拿维尔国际公司 油船
JPS62165193U (ko) 1986-04-10 1987-10-20
JP3225443B2 (ja) 1991-10-31 2001-11-05 株式会社三井三池製作所 ばら積船
JP3327373B2 (ja) * 1996-05-23 2002-09-24 日鉱金属株式会社 固体及び液体状態の運搬物を輸送する運搬船
CN2620665Y (zh) * 2003-03-26 2004-06-16 林皆得 散杂货轮的船舱自动卸货装置
CN101239652A (zh) * 2007-02-06 2008-08-13 周兆弟 自卸散装货船及散装料的自卸方法
CN201321148Y (zh) * 2008-12-29 2009-10-07 吴方春 石块运输船
JP5586002B2 (ja) * 2009-09-07 2014-09-10 三井造船株式会社 バラ積み船及びバラ積み用バー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8590A (en) * 1956-04-30 1959-01-13 Simon Ltd Henry Pneumatic conveyors and the like for powdered and granular materials
JP2002240778A (ja) * 2001-02-14 2002-08-28 Mitsui Miike Mach Co Ltd ばら物運搬船
JP2005145326A (ja) * 2003-11-18 2005-06-0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ガスハイドレート輸送船
JP2008260636A (ja) * 2007-03-20 2008-10-30 Mitsubishi Chemicals Corp ポリマーペレットの輸送方法および貯蔵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24672A (zh) 2013-05-29
CN103124672B (zh) 2016-05-25
JP5363438B2 (ja) 2013-12-11
JP2013014149A (ja) 2013-01-24
CN104787248A (zh) 2015-07-22
EP2615025A1 (en) 2013-07-17
KR20130099016A (ko) 2013-09-05
PH12015502298A1 (en) 2016-01-25
WO2012033130A1 (ja)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3908B2 (en) Accurate dry bulk handling system and method of use
EA022044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KR20120103558A (ko) 산적 화물선 및 산적용 바지선
EA021969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расклинивающих наполнителей
US9376254B2 (en) Methods for granular scavenger material transfer
KR101455157B1 (ko) 폴리머 펠렛 운반선, 그 하역 방법, 및 하역용 육상측 설비
WO2011027857A1 (ja) ポリマーペレットの水上輸送方法
JP2011116160A (ja) バラ積み船、バラ積み用バージ及び貨物倉の設計方法
JP5657071B2 (ja) ポリマーペレット運搬船及び運搬用バージのための陸上側の設備
JP5363284B2 (ja) バラ積み船及びバラ積み用バージ
JP2006298179A (ja) 液体搬送用車両
CN105339257B (zh) 构造液货船的方法
KR100614837B1 (ko) 백 필터가 구비된 집진기를 이용한 미분말 벌크화물해상운송 방법
JP2003034287A (ja) 廃プラスチックの処理専用船と廃プラスチックの処理方法
JP2023123919A (ja) 浮体のガス処理方法及び浮体
CN114450235A (zh) 混合货物驳船或运输船
WO2015094121A1 (en) Flat deck barge and method of maximising load capa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