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558A - 산적 화물선 및 산적용 바지선 - Google Patents

산적 화물선 및 산적용 바지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558A
KR20120103558A KR1020127005252A KR20127005252A KR20120103558A KR 20120103558 A KR20120103558 A KR 20120103558A KR 1020127005252 A KR1020127005252 A KR 1020127005252A KR 20127005252 A KR20127005252 A KR 20127005252A KR 20120103558 A KR20120103558 A KR 20120103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bulk
warehouse
cargo warehouse
dry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타로 타카노
마사히로 나가사와
코지 모치즈키
히로후미 스즈키
히로아키 요코다
요시카즈 카와고에
진 야마사키
코헤이 미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쇼센 미츠이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쇼센 미츠이,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쇼센 미츠이
Publication of KR20120103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 continuous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22 - B63B27/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2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 B65G51/03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over a flat surface or in trou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폴리머 펠렛등의 손상이나 오염을 기피하는 분립체를 효율 좋게 수송할 수 있는 산적선 및 산적용 바지선을 제공한다. 산적 건화물(B)을 탑재하는 산적선(1),(1A)에 있어서, 산적 건화물(B)의 양륙시의 잔류량을 줄이기 위함과, 섀도 에어리어를 없애고, 물세척으로 잔류화물을 씻어내어 화물 옮겨 쌓을 시의 혼성을 방지하기 위하여,산적 건화물(B)을 탑재하는 화물창고(10),(10A)의 화물창고벽을 그 화물창고(10),(10A)의 내부측에 돌출하는 골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평활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그 화물창고(10),(10A)의 하부에 경사부(12),(12A)를 가지는 배출구(15),(15A)를 설치하여, 그 배출구(15),(15A)로부터 밸브(21a)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산적 건화물(B)을 기체(A)의 흐름으로 양륙하기 위한 기체 수송관(22)을 그 배출구(15),(15A)에 접속하여 설치해 구성한다.

Description

산적 화물선 및 산적용 바지선{BULK CARRIER AND BULK CARGO BARGE}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는 손상과 오염을 기피하여 자루에 담아서 수송하였던, 폴리머 펠렛(Polymer pellet)등의 분립체를 산적(散積)하여 수송하는 것이 가능한 산적 화물선 및 산적용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폴리머 펠렛을 선박으로 해상수송하는 경우에는, 폴리머 펠렛을 자루에 담아서 컨테이너에 탑재하고 이를 컨테이너선으로 수송하고 있다.
이 폴리머 펠렛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투명하고 결정성(95%)이 있는 폴리 프로필렌 등의 폴리머 라고 불리우는 것을, 크기 Ø3㎜×L3㎜~Ø6㎜×L6㎜정도의 펠렛 상태로 형성한 것이다. 이 폴리머 펠렛의 물성(物性)은, 비중이 약 0.9 ~ 1.0이며, 부피비중은 약 0.5정도로 비교적 가볍고, 안식각(安息角)도 약 30도 정도이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비중이 약 0.92이며, 고압으로 제조된다.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비중이 약 0.95이며, 저압으로 제조된다. 이 폴리프로필렌은 비중이 약 0.9이다.
이 폴리머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석유정제 공업에 있어서는, 원유를 증류하여, 비점의 차에 의해 석유가스, 가솔린, 나프타(조제 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 아스팔트로 나눈다. 이 중에 나프타를 나프타 분해 장치로 가열 분해하여 간단한 구조의 물질로 변화시켜,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등의 물질을 추출한다. 이 에틸렌과 프로필렌 등을, 화학반응으로 같은 물질의 분자와 분자를 결부시키는 중합반응에 의해, 다른 성질을 가진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머(중합체)를 제조하고 있다.
이 폴리머의 성질이 가연성이기 때문에, 분진상태에서 폭발 혼합증기를 형성하여 위험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펠렛 상태에서 상온에서의 취급에는 위험성이 없고, 또, 생리학적으로 불활성하기 때문에 인체에 특별한 독성은 없다. 또, 물과의 반응성과 자기반응성, 폭발성은 없으며, 상온에서 안정적이다. 다만, 펠렛이 넘쳐흐르는 경우에 발이 미끄러져 전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누출방지와 누출 시의 회수는 중요하다. 특히, 수송 시 수역(水域)에 누출된 경우에는, 동물이 삼키게 되면 질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많은 폴리머의 경우, 표면에 수분이 부착된 채로 성형하게 되면, 제품의 표면불량이나 외관불량, 기계적 물성(강도)불량 등이 생긴다. 또, 펠렛의 손상에 의하여 부서진 작은 폴리머가 혼성되는 것 때문에, 펠렛 표면의 손상도 기피한다. 그 때문에, 펠렛 표면에서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管)이나 화물창고의 내면에서 펠렛이 마모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녹이나 페인트 조각, 다른 종류의 펠렛이 혼입하는 것을 기피하기 때문에, 도장(塗裝)이나 녹, 다른 종류의 펠렛과의 혼합을 피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것과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폴리머 펠렛의 해상 및 수상 수송에서는, 폴리머 펠렛을 자루에 담아서 이 자루를 탑재한 컨테이너를 컨테이너선으로 수송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자루와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수송방법에서는, 펠렛을 자루에 담는 작업이나 컨테이너로의 수납작업, 개봉을 위한 자루의 파단 작업, 자루에서 펠렛 꺼내기 작업 등을 위하여 인력이나 기계에 의한 작업이 필요하게 되며, 효율이 안 좋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펠렛의 소량 운반시에 사용하는 자루 등의 포장자재가 자원의 낭비가 된다는 문제도 있다. 앞으로도 폴리머 펠렛의 수요는 세계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효율적인 해상수송 방법을 업계에서 원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부피비중이 0.5정도로 대단히 경량인 분립체(粉粒體)를 선박으로 산적하여 수송하고자 하면 중심 위치가 높아진다. 더욱이, 분립체는 선창(船倉)내에서 좌우로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좌우 흔들림과 함께 화물이 이동한다고 하는 수조의 자유 표면 영향에 가까운 현상이 생기기 쉽다. 그 때문에, 선박이 좌우 흔들림에 대한 충분한 복원력을 가지는 것이 불가능해 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선박의 중심위치를 선박이 충분한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는 중심위치로 할 필요가 있다.
또, 폴리머 펠렛등의 화물은 손상이나 오염을 기피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산적선과 같이 골자재가 화물창고에 돌출되어 있거나, 풍우밀(風雨密) 해치커버(hatch cover)만으로 바깥공기와 격리되어 있거나 하는 선창에 이 화물을 탑재하여 수송하는 것은 화물의 품질관리상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되어졌다. 더욱이 종래기술의 산적선에 있어서의 하역에서, 하역용 그래브(grab)등으로 이 화물을 양륙하는 것도 화물의 품질 관리상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이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화물을 건조상태로 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는 과제도 있다.
일반적으로, 석탄, 밀, 칩 등을 산적 상태로 운반하는 선박은, 건화물 산적선, 또는 벌크 캐리어(bulk carrier)라고 불리워지고 있으며, 그 화물창고의 구조는 통상, 일본 실소62-16519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다음과 같은 구조를 하고 있다. 화물창고는 이중바닥의 내저판, 선측외판, 상갑판, 격벽으로 주위를 둘러싸여 있다. 화물창고의 선측의 아래쪽에는, 호퍼 사이드 탱크(hopperside tank)가, 선측의 위쪽에는 톱사이드 탱크(topside tank)가 설치된다. 화물창고의 상갑판에는 해치가 개구되어 이 해치는 해치커버로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건화물 산적선에서는, 화물창고의 내부에는 상갑판과 선측외판의 골부재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선박의 전후방향을 구분하는 화물창고의 벽을 겸하는 격벽도 코루게이트(corrugated)등의 요철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 많다.
또, 화물창고의 하부에서 산적 건화물을 양륙 하역 하는 경우에는, 일본 특개평5-12457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각 화물창고의 하단에서 떠낸 산적 건화물(낱개)을, 선박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무단식(無端式)의 떠내기 컨베이어(conveyor)로 뱃머리측 또는 선미(船尾)측에 반송하여 별도의 컨베이어로 이송하고, 육상 하역시설의 컨베이어에 반송하고 있다.
또, 분말 시멘트 등의 분체를 수송하는 경우에는, 일본 특개2002-35619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저부를 평면상태로 형성하여도, 압축공기로 분체를 무너뜨려 선창내에 충진한 분체가 잔재하는 일 없이 추출할 수 있고, 게다가 유효용적을 크게 유지할 수 있는 분체 수송선이 제안되어 있다. 이 분체 수송선에는 화물창고 저부의 중앙을 향해서 경사부(약8도)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사부에서는 통풍시트(sheet)의 저부에서 압축공기를 뿜어내어 분체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또, 경사부의 위쪽에 설치된 공기분사 노즐에서 분체가 흐르는 방향을 향해서 압축공기를 뿜어낸다.
그렇지만, 폴리머 펠렛의 운반선에서는 시멘트 선보다도 화물창고 내에 있어서의 화물의 잔류량 저감에 관하여 엄격한 관리가 요구된다. 또, 폴리머 펠렛의 운반선에서는 화물 옮겨 쌓기 시에 화물창고 내를 물세척 할 필요가 있다. 이것들을 고려하면, 폴리머 펠렛의 운반선에 있어서, 시멘트 운반선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 같은 캠퍼스를 이용한 공기분사방식을 채용하거나, 또는, 컨베이어에 의한 건화물의 반송을 채용하거나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 : 실소62-165193호 공보 특허문헌2 : 특개평5-124576호 공보 특허문헌3 : 특개2002-356194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폴리머 펠렛등의 손상이나 오염을 기피하는 분립체를 효율 좋게 수송할 수 있는 산적선 및 산적 바지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산적선은, 산적 건화물을 탑재하는 산적선에 있어서, 산적 건화물을 탑재하는 화물창고의 화물창고 벽을, 그 화물창고의 내부측에 돌출하는 골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평활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그 화물창고의 하부에 경사부를 가진 배출구를 설치하여 그 배출구로부터 밸브(valve)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산적 건화물을, 기체의 흐름으로 양륙하기 위한 기체수송관을 그 배출구에 접속하여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양륙시의 산적 건화물의 잔류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섀도 에어리어(shadow area)가 없기 때문에 물 세척으로 산적 건화물의 잔류물을 씻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결과 화물을 옮겨 쌓을 시의 혼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배출구에는 적화하역에 있어서 화물창고에 저장하고 있는 중의 산적 건화물이 기체수송관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밸브, 예를 들면 로터리(rotary) 밸브 등으로 형성되는 정량배출 밸브를 설치한다. 또, 양륙하역 중에는 기체수송관에 보내지는 공기, 건조공기, 불활성 가스 등의 기체로 분립체를 수송함과 동시에 이 기체의 유량에 걸맞는 양의 산적 건화물을 기체수송관 내에 보낸다. 즉, 화물창고의 하부 배출구로부터, 선체에 상설되어 있는 기체 수송관을 통과시켜서, 상갑판까지 산적 건화물을 양륙한다. 이와 같이, 산적 건화물을 기체로 수송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또 효율 좋게 양륙할 수 있다. 또한, 기체 수송에 관해서는, 공기 등을 이용한 기체 압송식 대신에 진공 흡인식으로 하여도 좋다.
폴리머 펠렛등의 수분을 기피하는 산적 건화물을 수송하는 경우에는, 화물창고 내의 산적 건화물이 습기를 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화나 양륙할 시 등의 하역시는, 육상시설의 공기 건조 설비나 송풍기(blower)와 압축기(compressor)라고 하는 송풍장치로부터 건조공기를 화물창고 내와 기체 수송관 내에 공급하고, 하역시 이외와 운반시에는 선박에 탑재한 공기건조기와 송풍기로부터 건조공기를 화물창고 내로 공급한다.
상기의 산적선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고를 상부에 산적 건화물을 낙하시키기 위한 투입구를 가지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하부에 경사부를 구비한 배출부를 하나의 상기 화물창고에 대하여 복수로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배출구 주변의 경사부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화물창고 및 화물을 쌓은 상태에서의 화물창고의 중심위치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선박 전체의 중심의 저하와 좌우 흔들림에 관한 복원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경사부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으로 경사부의 외측 주위의 데드 스페이스 (Dead space)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데드 스페이스의 감소에 의하여 공간의 이용효율이 향상하기 때문에, 적재량이 많아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산적선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고를 배의 폭 방향에 복수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화물창고의 가로 폭을 작게 하여, 악천후 시의 선체 동요 등에 의한 산적 건화물의 이동량이 적도록 한다. 산적 건화물의 좌우 이동량을 억제하는 것에 의하여, 산적선은 좌우 흔들림에 대한 복원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산적선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고의 화물창고 벽이 액체에 접하지 않는 구조라고 하면, 즉, 상기 화물창고를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 의 물 밸러스트, 연료 탱크의 연료, 선체 외측의 해수, 물 등의 액체에 인접시키지 않도록 화물창고를 설치한다.
이것에 의하여, 화물 창고의 화물창고 벽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 구조를 채용 하는 것에 의하여, 산적선에 수분 부착에 의한 품질 저하를 일으키는 폴리머 펠렛 등의 혐수성 산적 건화물도 탑재할 수 있도록 된다. 이 혐수성의 산적 건화물을 수송하는 경우는, 하역시에는 화물창고 내에 건조 공기를 송풍하여, 산적 건화물이 수분이 많은 공기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의 산적선에 있어서, 화물창고를 선체와 일체로 건조해도 좋지만, 화물창고를 구성하는 녹 방지(Rust proof) 재료로 형성되는 부분을 선체와는 별체로 제조하고 선체에 탑재하도록 구성한다. 이 구성을 채용하면, 녹 방지 재료로서 클래드 강(clad steel)등 특수한 강재(鋼材)를 이용하여 화물창고의 화물창고 벽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화물 창고를 별도로 제조하여 녹 방지 금속으로 형성된 부분이 거의 완성된 화물창고를 선체에 탑재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가 용이 해진다. 또, 녹 방지 재료로서 FRP 등의 비금속 재료로 형성한 화물 창고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기의 산적선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고를 상갑판에 돌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화물창고의 측벽과 상갑판과의 사이를 수밀(water tight) 또는 풍우밀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하여, 화물 창고를 완전히 상갑판이나 커버로 덮는 구조보다도, 구조가 단순화된다. 이 구조의 단순화에 의하여, 중량을 경감 할 수 있기 때문에 좌우 흔들림에 관하는 복원성능을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화물창고를 상갑판에서 돌출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으로, 상갑판을 화물 창고의 상부 구조로 하는 구조보다도 화물 용적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산적용 바지선은, 상기의 산적선을 추진장치를 가지지 않은 바지선으로서 형성한다. 이 구성의 산적용 바지선은 상기의 산적선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산적선 및 산적용 바지선에 의하면, 종래기술에서는 손상이나 오염을 회피하기 위하여 자루 담기와 컨테이너 수송을 행하였던 폴리머 펠렛 등의 분립체도, 분립체에 손상을 주는 일 없이 산적하여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종래기술에서 행해지고 있는 자루 담기 작업이나 자루의 컨테이너 수납작업, 자루에서 분립체의 꺼내기 작업등을 없애, 수송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켜 대량 수송을 효율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실시 형태의 산적선에 있어서 화물창고의 배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산적선의 화물창고의 배치를 나타내는 수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산적선의 화물창고의 구조를 나타낸 선체의 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실시 형태의 산적선에 있어서 화물창고의 배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5는 도4의 산적선의 화물창고의 배치를 나타낸 수평면도이다.
도6은 도4의 산적선의 화물창고의 구조를 나타낸 선체의 횡단면도이다.
도7은 화물창고의 덮는 구조를 가지지 않은 산적선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8은 화물창고의 덮는 구조를 가지지 않은 산적선의 구조를 나타낸 선체의 횡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산적 건화물의 수송방법에 사용되는 산적선과 육상하역설비의 구성을 나타낸 경사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계되는 산적선 및 산적용 바지선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추진장치를 가지는 산적선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추진장치를 가지지 않은 산적용 바지선에 관해서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은 설명을 위한 도면이며, 반드시 실제 선박에서 이용하는 선박형태나 화물창고의 척도비로 제도한 것은 아니다. 또, 도9는 하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1~도8의 선체구조와는 화물창고의 모양이나 배출구가 다른 선체구조로 되어 있다.
도1~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실시 형태의 산적선(1)은, 산적 건화물을 탑재하는 화물창고(1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제1실시 형태에서는, 화물창고(10)는 선체와 일체로 형성된다. 즉, 화물창고(10)의 측벽(11)등이 선체구조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 화물창고(10)는, 종래기술의 산적선(벌크 캐리어)과 같이, 선박 길이방향으로 격벽(6)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배치된다. 또, 선박 폭 방향에 관해서도 화물창고(10)를 복수 배치한다. 이 폭 방향에 관하여, 화물창고(10)를 복수 배치하는것에 의해 각각의 화물창고(10)의 가로 폭을 작게 한다. 이것에 의하여, 악천후 시의 선체 동요 등에 의해, 화물창고(10)의 내부에 있어서의 산적 건화물의 이동 범위를 적게하고, 산적 건화물의 좌우 이동량을 억제한다. 그리고 좌우 흔들림에 대한 복원성능을 확보한다.
또, 화물창고(10)를 선측외판(4)과 떨어뜨려서 배치한다. 그것과 동시에, 선측외판(4), 선저판(2)에서는 화물창고 벽을 형성하지 않고, 또, 화물창고(10)를 밸러스트 탱크에 대해서도 인접시키지 않게 배치한다. 이것에 의하여, 해수, 물, 물 밸러스트, 연료 등의 액체에 화물 창고 벽이 접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밸러스트 탱크에 물 밸러스트를 넣은 경우 등에서도 화물창고(10)의 화물창고 벽이 냉각되어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이 화물창고(10)는,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측벽부(11)와, 선측 측상부의 경사부(13)와, 천장부(14)와, 하부의 경사부(12)에서 둘러싸인 구획으로서 형성된다. 측벽부(11)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천장부(14)와, 상갑판(5)의 일부로 이루어진다. 또, 천장부(14)는 산적 건화물을 투입하는 투입구(14a)를 가진다. 하부의 경사부(12)는 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로 좁혀진다. 즉, 화물창고 벽은 경사부(12)와 측벽부(11)와 경사부(13)와 천장부(14)로 구성된다.
이 화물창고(10)의 화물창고 벽은 그 내측에 돌출하는 골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또한, 판 가장자리를 꺼내지 않도록 형성하고, 화물창고(10)의 내면을 평활하게 형성한다. 즉, 화물창고(10)를 전후방향으로 구분하는 격벽(6)의 측벽부(11)를 형성하는 부분에서는, 골부재는 전부 화물창고(10)의 외측, 즉, 화물창고(10) 끼리의 사이 등에 배치한다. 또, 화물창고(10)가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경계의 측벽부(11)도 골부재를 구비한 한장의 판으로 형성하지 않고, 골부재를 사이에 낀 두장의 측벽부(11)로 구성한다. 그 외의 화물창고벽도 화물창고(10)의 외측에 골부재를 배치한다. 이것에 의하여, 산적 건화물의 잔류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섀도 에어리어가 없기 때문에, 물 또는 압축공기에 의한 세척으로 잔류물을 씻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화물을 옮겨 쌓을 시의 혼성을 방지하는것이 가능하다.
또 화물창고(10)의 화물창고벽은, 녹방지 재료, 예를 들면, 2종류의 성질이 다른 금속이 합쳐진 클래드강(압착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것이 바람직하며, 더욱이 내측의 표면측의 금속을 스테인레스 스틸(SUS)재 등의 녹슬지 않는 금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녹을 기피하는 산적 건화물도 수송할 수 있게 된다.
화물창고(10)의 상부의 투입구(14a)에는, 투입용 배관(31)을 설치한다. 이 투입용 배관(31)은, 접속 플랜지(flange)(31a)를 설치하고, 적화 하역시에 육상측의 산적용 배관과 접속 가능하게 형성한다. 적화 하역시에, 이 투입용 배관(31)에 육상 하역 설비로부터 적화 하역용 배관(도9의 52)을 접속하고, 산적 건화물을 자연 낙하시켜서 화물창고(10)내에 수납한다. 이 투입구(14a)는, 산적 건화물을 화물창고(10)내에 균등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경사부(12)의 중앙, 즉, 배출구(15)의 바로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화물창고(10)의 하부의 경사부(12)를 갖춘 배출부의 배출구(15)에는 밸브를 설치하고, 적화 하역으로 화물창고에 저장하고 있는 중에 산적 건화물이 기체 수송관(22)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밸브는, 예를 들면, 로터리 밸브 등의 정량배출 밸브(21a)로 형성한다. 이 정량배출 밸브(21a)를 가지는 배출용 배관(21)을 사이에 두고, 기체수송관(22)을 배출구(15)에 접속한다. 양륙화물 하역시에는 화물창고(10)내의 산적 건화물을 중력에 의하여 경사부(12)를 미끄러뜨려서 배출구(15)에 이동시킴과 동시에 정량배출 밸브(21a)에 의해 기체수송관(22)으로 수송 가능한 양으로 조정하면서, 산적 건화물을 기체 수송관(22)으로 배출한다. 이 기체 수송관(22)으로 배출된 산적 건화물을 기체수송에 의해 육상의 하역 설비에 수송한다. 이 기체수송에 관해서는 공기등을 이용한 기체 압송식을 이용하지만, 이 기체압송식 대신에 진공흡인식으로 해도 좋다.
또한, 수분을 기피하는 산적 건화물의 경우에는, 기체 수송관(22)에 건조공기를 보낸다. 이 경우, 적화시나 양륙시 등의 하역시는 육상시설의 공기 건조설비나 송풍기나 압축기라고 하는 송풍장치로부터 건조공기를 화물창고(10)내와 기체 수송관(22)내에 공급한다. 또, 하역시 이외와 운반시에는 선박에 탑재한 공기 건조기와 송풍기로부터 건조공기를 화물창고(10)내에 공급한다. 이것들에 의하여 화물창고(10)내의 산적 건화물이 습기를 가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진공 흡인식의 경우에는 송풍장치 대신에 진공 펌프를 이용한다.
또, 육상시설에 공기 건조설비나 송풍장치를 가지지 않은 항만에 기항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이와 같은 항구에서도 자력으로 하역할 수 있도록 1 내지 2의 화물창고(10)의 양륙을 행할 수 있는 만큼의 용량을 가지는 공기 건조설비와 송풍장치를 산적선(1)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배출구(15)를 하나의 화물창고(10)에 1개 혹은 복수개(도1~도8에서는 4개)설치한다. 복수개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1개의 경우보다도 배출구(15)의 주변의 경사부(12)의 높이를 낮게 하는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화물창고(10) 및 산적 건화물을 쌓은 상태에 있어서 화물창고(10) 전체의 중심 위치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피비중이 작은 산적 건화물을 탑재하면 중심위치가 높아지게 되어 선체의 좌우 흔들림에 관한 복원성능이 악화되지만, 이 복원성능 악화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선박 전체의 중심의 저하와 선체의 좌우 흔들림에 관한 복원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경사부(12)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으로 경사부(12)의 외측주위에 생기는 데드 스페이스를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2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도8에 나타내는것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실시형태의 산적선(1A)은, 제1의 실시형태의 산적선(1)과 같이 산적 건화물을 탑재하는 화물창고(10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 제2의 실시형태에서는 화물창고(10A)를 각각의 별체의 용기로서 형성하고, 이 별체의 용기 구조의 화물창고(10A)를 선체에 탑재한다. 또한, 도7 및 도8에 나타낸 산적선(1A)는, 도4~도6에 나타낸 산적선(1A)에 있어서 화물창고(10A)의 상부에 덮는 구조(7)을 설치하지 않은 구조로 되어있다.
이 화물창고(10A)는, 도4~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측벽부(11A)와, 천장부(14A)와 경사부(12A)로 둘러싸인 구획으로서 형성된다. 측벽부(11A)는 수직으로 형성되며 천장부(14A)는 산적 건화물을 투입하는 투입구(14Aa)를 가진다. 또, 경사부(12A)는 배출을 위한 배출구(15A)로 좁혀진다. 화물창고벽은 경사부(12A)와 측벽부(11A)와 천장부(14A)로 구성된다.
화물창고(10A)의 수평단면 형상은, 도5에서는 배출구(15A)를 복수 설치하기 쉬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별체의 용기방식이므로 원형이나 장원형, 타원등으로 있어도 좋다. 또, 화물창고(10A)에 복수의 배출구(15A)를 가진 경우의 배출구(15A)의 배치는, 선체 전후방향으로 있어도, 선체 횡방향으로 있어도, 그외의 방향으로 있어도 좋지만 기체 수송관(22)의 배치에 맞춰서 배치한다.
또, 화물창고(10A)의 화물창고벽은 제1의 실시형태의 화물창고(10)과 같이 내측에 돌출한 골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화물창고벽의 골부재는 전부 화물창고(10A)의 외측에 배치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화물창고(10A)의 내면을 평활하게 형성한다.
이 각각의 화물창고(10A)를 별체로 제조하여 선체에 탑재하는 별체의 용기방식을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화물창고를 구성하는 녹방지 재료로 형성되는 부분을 선체와 별체로 제조하고 나서 선체에 탑재하는것이 가능하다. 특히, 녹방지 재료로서 클래드강 등의 특수한 강재를 이용한 화물창고(10A)의 화물창고벽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화물창고(10A)를 별도로 제조하여 녹방지 금속으로 형성되는 부분이 거의 완성한 화물창고(10A)를 선체에 탑재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가 현저하게 용이해 진다. 또, 녹방지 재료로서 FRP등의 비금속 재료로 형성한 화물창고 (10A)를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화물창고(10A)를 상갑판(5)으로부터 돌출시킴과 동시에 화물창고(10A)의 측벽부(11A)와 상갑판(5)와의 사이를 수밀 혹은 풍우밀 구조로 구성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갑판(5)을 화물창고(10)의 상부구조로 하는 구성보다도, 선체구조의 강재가 삭감되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 또, 화물창고(10)을 완전히 상갑판(5)나 해치커버(도시하지 않음)로 덮는 구조보다도 구조가 단순화하기 때문에 선체 중량을 경감할 수 있고, 또, 선체의 중심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선체의 좌우 흔들림에 관한 복원성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단, 화물창고(10A)의 상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화물창고(10A)내의 온도상승을 배려할 필요가 있고, 차열 도료 등에 의한 방열시공을 행하는 것도 있을 수 있다.
또, 도4~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화물창고(10A)의 상부에 덮는 구조(7)를 설치하면 화물창고(10A)의 천장부(14A)가 대기중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습도를 기피하는 산적 건화물의 경우에는 특히 습기방지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화물창고(10A)의 전후방향의 배치 및 횡방향의 복수배치, 밸러스트 탱크 등으로부터 이간배치, 클래드강의 이용, 적화하역용의 화물창고(10A)의 상부의 투입구(14Aa)와 투입배관(31), 화물창고(10A)의 하부의 경사부(12A)를 구비한 배출부의 배출구(15A)와 정량배출 밸프(21a)와 배출관(21)과 기체 수송관(22), 건조공기(A)의 송입방식등의 구성은 제1의 실시형태의 산적선(1)과 같다.
다음으로, 산적 건화물의 수송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수송방법은 상기의 산적선(1),(1A)를 이용하여 행하는 수송방법이며, 다음과 같은 산적 건화물의 적화하역과 양륙하역을 행한다.
도9를 참조하면서 산적 건화물의 적화하역과 양륙하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적화하역은, 육상하역설비의 적화용 육상 설비(50)의 산적 건화물용 저장용기(51)의 하부와 산적선(1A)의 화물창고(10A)의 천장부(14A)에 설치된 투입용 배관(31)에 적화하역용 배관(52)를 접속한다. 그 후, 적화용 송풍장치(53)으로부터 건조공기(A)를보내서 기체수송에 의해 산적건화물(B)을 투입용 배관(31)의 선단의 투입구(14A)에 반송한다. 투입구(14A)에 반송된 산적 건화물(B)은 자연 낙하에 의하여 화물창고(10A)에 수납된다.
각 화물창고(10A)에 산적 건화물(B)가 수납되면, 투입용 배관(31)을 닫는다. 그 후, 적화 하역용 배관(52)를 떼어내고, 이 화물창고(10A)에 관한 적화하역을 종료한다. 각 화물창고(10A)의 적화 하역을 종료하면, 출항준비를 행하고 항해에 나선다.
다음으로 양륙하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항한 후에 육상 하역 설비의 양륙용 육상설비(60)의 양륙용 송풍장치(61)에 접속된 공기 송입관(62)을 산적선(1A)의 공기 공급구(23)(도9에서는 선체 상부의 측면의 상측)에 접속한다. 또, 일시 저장용기(63)의 상부에 접속된 양륙용 배관(64)을 산적선(1A)의 화물배출구(24)(도9에서는 선체상부의 측면의 하측)에 접속한다.
접속 후, 양륙용 송풍장치(61)를 구동하고 건조공기(A)를 공기공급구(23)로부터 기체 수송관(22)에 보냄과 동시에 산적 건화물(B)을 화물창고(10A)의 배출구(15A)로부터 정량배출 밸브(21a)로 유량을 조정하면서 기체 수송관(22)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하여, 기체 수송에 의해 산적 건화물(B)을 기체 수송관(22), 화물 배출구(24), 양륙용 배관(64)을 경유하여 일시 저장 용기(63)에 반송한다.
이 일시 저장용기(63)에서는 저장용 송풍장치(65)의 구동에 의하여 산적 건화물(B)을 저장용 배관(66)을 경유하여 저장용기(67)의 상부에 반송하고, 저장용기(67)에 저장한다. 이 저장용기(67)에 저장된 산적 건화물(B)은 화차(68)등으로 곳곳에 반송된다.
화물창고(10A)의 산적 건화물(B)을 양륙한 후에는 공기공급구(23)의 유동을 폐쇄한다. 이 후, 양륙용 배관(64)을 떼어내고 화물 배출구(24)의 폐쇄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양륙 하역을 종료하고, 출항 준비를 하여 항해에 나선다.
상기의 구성의 산적선(1),(1A) 및 산적 건화물의 수송방법에 의하면, 종래기술에서는 손상이나 오염을 회피하기 위한 자루담기와 컨테이너 수송을 행하였던, 폴리머 펠렛등의 분립체도 분립체에 손상을 주는 일 없이 산적하여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종래기술에서 행해지고 있는 분립체의 자루담기 작업과 자루의 컨테이너 수납작업, 자루에서 분립체의 꺼내기 작업등을 없애, 수송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의 산적선(1),(1A)과 같은 화물창고(10),(10A)의 구성을 가지고, 또한, 추진장치를 가지지 않은 산적용 바지선을 형성한 경우에는 이 산적 바지선도 상기의 산적선(1),(1A)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산적선 및 산적용 바지선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는 손상과 오염을 회피하기 위하여 자루담기와 컨테이너 수송을 행하였던 폴리머 펠렛 같은 분립체 등의 수송에 이용 할 수 있다.
1, 1A 산적선 (散積船)
2 선저판 (船底板)
3 이중바닥(내저판)
4 선측외판
5 상갑판
6 격벽
7 덮는 구조
10, 10A 화물창고
11, 11A 측벽부
12, 12A 경사부 (傾斜部)
13 선측 측상부의 경사부
14, 14A 천장부
14a,14Aa 투입구
15, 15A 배출구
21 배출용 배관
21a 정량 배출 밸브
22 기체 수송관
23 공기 공급부
24 화물 배출구
31 투입용 배관
A 건조공기
B 산적 건화물

Claims (7)

  1. 산적 건화물을 탑재하는 산적선에 있어서, 산적 건화물을 탑재하는 화물창고의 화물창고 벽을, 그 화물창고의 내부측에 돌출하는 골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평활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그 화물창고의 하부에 경사부를 가진 배출구를 설치하여, 그 배출구로부터 밸브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산적 건화물을 기체의 흐름으로 양륙하기 위한 기체 수송관을 그 배출구에 접속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적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고를 상부에 산적 건화물을 낙하시키기 위한 투입구를 가지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하부에 경사부를 구비한 배출부를 하나의 상기 화물창고에 대하여 복수개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적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고를 선폭 방향으로 복수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적선.
  4. 제1항~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고의 화물창고 벽이 액체에 접하지 않는 구조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적선.
  5. 제1항~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고는, 그 화물창고를 구성하는 녹방지 재료로 형성되는 부분을 선체와는 별체로 제조하여 선체에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적선.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고를 상갑판으로부터 돌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화물창고의 측벽과 상갑판과의 사이를 수밀 혹은 풍우밀 구조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적선.
  7. 제1항~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적선을 추진 장치를 가지지 않은 바지선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적용 바지선.
KR1020127005252A 2009-09-07 2010-09-03 산적 화물선 및 산적용 바지선 KR201201035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05967 2009-09-07
JP2009205967A JP5586002B2 (ja) 2009-09-07 2009-09-07 バラ積み船及びバラ積み用バー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558A true KR20120103558A (ko) 2012-09-19

Family

ID=4364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252A KR20120103558A (ko) 2009-09-07 2010-09-03 산적 화물선 및 산적용 바지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76610A4 (ko)
JP (1) JP5586002B2 (ko)
KR (1) KR20120103558A (ko)
CN (1) CN102639393B (ko)
WO (1) WO20110278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245B1 (ko) * 2013-07-30 2015-03-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잔유 액체화물 하역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3438B2 (ja) * 2010-09-09 2013-12-11 三井造船株式会社 ポリマーペレット運搬船、ポリマーペレット運搬用バージ、及びその荷役方法
CN103600815B (zh) * 2013-11-21 2015-11-18 浙江海洋学院 一种自卸式散货船
CN103600816B (zh) * 2013-11-21 2015-10-28 浙江海洋学院 散货船卸料装置
JP6248002B2 (ja) * 2014-06-16 2017-12-13 旭海運 株式会社 ばら積み船の窒素ガス供給設備
JP7088452B2 (ja) * 2017-05-31 2022-06-21 三井E&S造船株式会社 洋上浮体構造物
TWI657966B (zh) * 2018-01-15 2019-05-01 香港商香港旭陽科技有限公司 一種雙相不銹鋼化學品船壓載艙艙壁及加工方法
CN110588883B (zh) * 2019-08-30 2020-09-18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具有良好安全性的兼装谷物型木屑船的设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88A (ja) * 1985-06-28 1987-01-07 Nippon Kokan Kk <Nkk> ばら積船
US4769209A (en) 1986-01-10 1988-09-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mpact small pressurized water nuclear power plant
JP3225443B2 (ja) * 1991-10-31 2001-11-05 株式会社三井三池製作所 ばら積船
JP2002187592A (ja) * 2000-12-21 2002-07-02 Hakko Construction Co Ltd 粉体運搬船
JP4699618B2 (ja) * 2001-02-14 2011-06-15 株式会社三井三池製作所 ばら物運搬船
JP3523612B2 (ja) * 2001-05-31 2004-04-26 双栄海運株式会社 粉体輸送船
JP3607225B2 (ja) * 2001-09-07 2005-01-05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乾燥粉体物運搬船の除湿システム
CN2493591Y (zh) * 2001-09-10 2002-05-29 中山市贯隆散装水泥运输服务有限公司 一种散装水泥自卸运输船
JP2003252438A (ja) * 2002-03-01 2003-09-10 Shigenobu Furukawa 箱型構造から成るタンクコンテナを用いた有機性汚泥等の輸送手段と、廃棄物から回収したリサイクル品等を収容した専用コンテナ等との混載輸送方法
JP3981583B2 (ja) * 2002-03-28 2007-09-26 三井造船株式会社 洋上におけるガスハイドレートペレット貯蔵設備
JP2004216927A (ja) * 2003-01-09 2004-08-05 Gialinks:Kk 大豆の海上輸送方法
NO332117B1 (no) * 2006-06-09 2012-06-25 Jebsen Skipsrederi System og fremgangsmate for lossing av pulverlast
CN101239652A (zh) * 2007-02-06 2008-08-13 周兆弟 自卸散装货船及散装料的自卸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245B1 (ko) * 2013-07-30 2015-03-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잔유 액체화물 하역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56987A (ja) 2011-03-24
EP2476610A1 (en) 2012-07-18
CN102639393A (zh) 2012-08-15
CN102639393B (zh) 2015-04-22
EP2476610A4 (en) 2014-03-12
JP5586002B2 (ja) 2014-09-10
WO2011027856A1 (ja)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3558A (ko) 산적 화물선 및 산적용 바지선
KR20120091004A (ko) 폴리머 펠렛의 수상 수송 방법
KR101992800B1 (ko) 하역방법
US6966272B2 (en) Multi-mode ship for transporting vehicles
JP5363287B2 (ja) バラ積み船、バラ積み用バージ及びバラ積み乾貨物の積載方法
JP2011116160A (ja) バラ積み船、バラ積み用バージ及び貨物倉の設計方法
KR20170126978A (ko) 화물 컨테이너
KR101455157B1 (ko) 폴리머 펠렛 운반선, 그 하역 방법, 및 하역용 육상측 설비
JP5363284B2 (ja) バラ積み船及びバラ積み用バージ
JP5583961B2 (ja) バラ積み船、バラ積み用バージ及びバラ積み乾貨物の積載方法
JP4699618B2 (ja) ばら物運搬船
JP5657071B2 (ja) ポリマーペレット運搬船及び運搬用バージのための陸上側の設備
KR101992797B1 (ko) 하역장치
JP2011111148A (ja) バラ積み船及びバラ積み用バージ
KR100614837B1 (ko) 백 필터가 구비된 집진기를 이용한 미분말 벌크화물해상운송 방법
JP4288194B2 (ja) ガスハイドレート輸送船
JP2011111147A (ja) バラ積み船、バラ積み用バージ及び貨物倉の設計方法
Florani Cargoes: Cargo damage, Cargo handling and storage on ships and in international ports
WO2005095197A1 (en) Multi-mode ship for transporting vehicles
JPS6213915Y2 (ko)
WO2015094121A1 (en) Flat deck barge and method of maximising load capacity
TR201802605T4 (tr) Tanker i̇nşasi yönte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03

Effective date: 2015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