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299A - 제조 중의 안과용 렌즈의 탈형 - Google Patents

제조 중의 안과용 렌즈의 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299A
KR20120083299A KR1020127005152A KR20127005152A KR20120083299A KR 20120083299 A KR20120083299 A KR 20120083299A KR 1020127005152 A KR1020127005152 A KR 1020127005152A KR 20127005152 A KR20127005152 A KR 20127005152A KR 20120083299 A KR20120083299 A KR 20120083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ld
mold part
perforator
ophthalmic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352B1 (ko
Inventor
제라르도 플라자
리카르도 제이. 아폰테
엘리 산체스
루벤 조엘 콜론
데이비드 치앙
Original Assignee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filed Critical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12008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192Demoulding, e.g. separating lenses from mould halves
    • B29D11/00221Demoulding, e.g. separating lenses from mould halves using pr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ans for collapsing or disasse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03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 B29C37/0007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using means operable from outside the mould for moving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Robot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yeglass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렌즈 주형 조립체가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을 각각 구비한 천공기 헤더 아래에 위치되는, 렌즈 주형 조립체를 탈형시키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설명된다. 천공기 헤더는 그 다음 탈형 공정에서 각각의 천공기의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이 제1 주형 부품의 렌즈 주형 층을 통해 천공한 다음 제2 주형 부품의 제2 렌즈 주형 층에 대해 밀어내어 두 부품들을 분리하도록 렌즈 주형 조립체에 대해 이동된다.

Description

제조 중의 안과용 렌즈의 탈형 {DEMOLDING OF OPHTHALMIC LENSES DURING THE MANUFACTURE THEREOF}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와 같은 안과용 렌즈의 제조 시에 사용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2개의 주형 반부들을 분리하기 위해 천공기를 사용하여 안과용 렌즈를 탈형시키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설명된다.
하이드로겔 및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와 같은 주조 성형 콘택트 렌즈의 제소 시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식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는 전형적으로 렌즈가 주형 조립체 내에서 형성된 후에, 수형 및 암형 주형 반부들을 개방 또는 분리하기 위한 탈형 단계를 요구한다. 형성된 렌즈는 주형 반부들 중 하나에 부착 유지되고, 그 다음 그로부터 분리되어 추가로 처리된다.
2개의 주형 섹션들을 분리하기 위한 다수의 기술이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한 가지 탈형 기술은 디캡핑으로 지칭되고, 이는 2개의 주형 섹션들을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기계식 장치를 포함한다. 디캡핑 시의 하나의 접근은 수형 또는 암형 주형에 변형을 일으킨 다음 이들을 함께 유지하는 밀봉력을 파괴하기 위한 주형 조립체의 외측 주연부에 대한 측방향력의 인가이다. 다른 접근은 2개의 주형 섹션들 사이의 공간을 분리하여 이들을 떼내기 위한 하나 이상의 쐐기의 사용이다.
콘택트 렌즈와 같은 성형식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설명된다. 본 방법은 성형식 안과용 렌즈가 주형 부품들 중 하나로부터 제거되어 추가로 처리될 수 있도록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의 주형 부품들을 분리하기 위해 안과용 렌즈 탈형기를 이용한다. 본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천공 기술을 사용하여 암형 주형 부품으로부터 수형 주형 부품을 분리함으로써 렌즈 주형 조립체를 탈형시키는데 유용하다. 수형 주형 부품은 안과용 렌즈의 후방 표면에 대응하는 볼록 성형 표면을 포함하고, 그러므로 후방 표면 주형으로 지칭될 수 있고, 암형 주형 부품은 안과용 렌즈의 전방 표면에 대응하는 오목 성형 표면을 포함하고, 그러므로 전방 표면 주형으로 지칭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본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서, 탈형 공정에서 하나의 주형 부품의 주형 층을 통해 천공한 다음 다른 주형 부품의 주형 층에 대해 밀어내어 이들 둘을 분리함으로써 렌즈 주형 조립체를 탈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방법은 제1 주형 부품 및 제2 주형 부품을 포함하는 렌즈 주형 조립체를 천공기 아래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렌즈 주형 조립체는 성형식 콘택트 렌즈와 같은 성형식 안과용 렌즈를 포함한다. 천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은 팁을 포함한다. 높은 수준에서, 본 방법은 렌즈 주형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원통 내의 축을 따라 천공기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1 주형의 표면 층을 통해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그 다음 제1 주형 부품으로부터 제2 주형 부품을 분리하기 위해, 제1 주형 부품이 천공된 후에 제2 주형 부품의 표면 층에 대해 밀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방법의 다른 예는 펀치 본체의 말단 단부를 넘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을 포함하는 천공기가 렌즈 주형 부품을 박리시키기 위한 박리기 장치의 개방부를 통해 이동되는 방법을 포함한다. 방법은 천공기가 렌즈 주형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팔레트에 도달하기 전에 이동 단계를 정지시키고, 그 다음 천공기가 박리기 장치의 개방부를 통해 다시 이동하도록 요구하는 위치로 천공기를 복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천공 보어를 포함하는 펀치 본체를 포함하는 천공기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탈형기에 관한 것이다. 핀 팁을 포함하는 천공 핀은 핀 팁이 펀치 본체의 말단 단부를 넘어 연장하도록 천공 보어 내에 위치된다. 탈형기는 탈형되는 2-부품 주형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천공 핀은 탈형을 위해 렌즈 주형 조립체의 주형 층을 통해 천공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충분한 힘으로 이동된다.
다른 예에서, 천공기는 탈형을 위한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천공 핀을 사용하여 주형 부품의 플랜지 층을 통해 펀칭하기 위한 천공기이다.
또 다른 예에서, 박리기 칼럼이 천공기와 함께 사용되고, 천공기는 박리기 칼럼과 함께 이동 가능하고 박리기 칼럼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안과용 렌즈 탈형기의 제조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예가 아래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특징 또는 특징들의 조합은 문맥, 본 명세서, 및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의 지식으로부터 명백할 바와 같이, 임의의 그러한 조합 내에 포함되는 특징들이 상호 불일치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또한, 임의의 특징 또는 특징들의 조합은 본 발명의 임의의 예로부터 구체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
도 1은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조립 상태의 도 1의 주형 조립체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공되는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장입 팔레트 또는 플레이트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 및 6은 각각 도 3의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의 천공기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안과용 렌즈 탈형기의 펀치 상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안과용 렌즈 탈형기의 펀치 하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안과용 렌즈 탈형기의 천공 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펀치 상부에 맞물린 도 8의 펀치 하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탈형되는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위에서 이동되는 도 5-10의 천공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렌즈 주형 조립체를 탈형시킨 후의 도 11의 천공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3-15는 대안적인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의 측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의 예의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본 발명이 구성되거나 이용될 수 있는 형태만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설명은 예시되는 예와 관련하여 탈형기를 구성하고 사용하기 위한 특징 및 단계를 설명한다. 그러나, 동일하거나 동등한 기능 및 구조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 상이한 예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2는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를 탈형시키기 위한 본 방법, 시스템, 및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대표적인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주형 조립체(10)는 수형 주형 부품 또는 반부(12) 및 암형 주형 부품 또는 반부(14)를 포함하고, 미국 특허 제6,405,993호의 대상이고, 이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완전히 설명되어 참조로 명확하게 통합되었다. 광범위하게는, 수형 주형 부품(12)은 볼록 렌즈 형성 표면(16), 기계식 맞물림 영역(18), 환상 표면 영역 또는 수형 플랜지 영역(20), 및 축방향 단부(22a)를 갖는 림 또는 리브로서 지칭될 수 있는 스커트 섹션(22)을 포함한다.
암형 주형 부품(14)은 오목 렌즈 형성 표면(24), 오버플로 및 기계식 맞물림 영역(26), 환상 표면 영역 또는 암형 플랜지 영역(28), 및 환상 표면 영역(28)에 의해 제1 축방향 단부(32a)를 갖는 제1 리브 또는 림 영역(32) 및 제2 축방향 단부(34a)를 갖는 제2 리브 또는 림 영역(34)으로 전이되는, 원통형 벽(30)을 포함한다.
수형 및 암형 주형 부품들은 사출 성형에 의해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주형 조립체(10)는 양 주형 반부들의 중심을 통해 이어지는 축을 갖는 주형 중심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폴리스티렌 수지와 같은 사출 성형에 대해 적합한 다른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에서 유용한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및 관련 방법이 안과용 렌즈의 주조 또는 정적 성형 시에 사용될 수 있다. 편의상, 본 문헌은 안과용 렌즈의 예시적인 예로서 콘택트 렌즈를 지칭할 것이다.
암형 주형 부품(14)에 맞물리는 수형 주형 부품(12)을 도시하는 도 1의 주형 조립체의 부분 측단면도인 도 2를 참조하면, 볼록 렌즈 형성 표면(16) 및 오목 렌즈 형성 표면(24)이 함께 렌즈 형성 리세스 또는 렌즈 형성 공동(36)을 한정한다. 안과용 렌즈 본체를 주조할 때, 중합 가능한 합성물이 먼저 암형 주형 부품(14)의 오목 렌즈 형성 표면 영역(25) 상에 적층된다. 중합 가능한 합성물은 중합된 안과용 렌즈 또는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반응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소정의 예에서, 렌즈는 하이드로겔 렌즈이다(예컨대, 이는 평형 상태에서 물을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렌즈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예컨대, 평형 상태에서 물을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는 실리콘 함유 렌즈)이다. 합성물은 또한 중합 개시제, 가교 결합제, 자외선 차단제, 착색제, 습윤제 등과 이들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중합 가능한 합성물을 암형 주형 부품(14) 상에 위치시킨 후에, 수형 주형 부품(12)이 그 다음 암형 주형 부품(14)과 맞물려서, 렌즈 형성 리세스(36) 내에 충분한 양의 중합 가능한 합성물을 포착한다.
중합 가능한 합성물을 열 또는 UV 광과 같은 광에 노출시키는 것은 중합 반응을 개시하고, 중합 가능한 합성물은 반응하여 렌즈 형성 리세스(36) 내에서 중합체 렌즈 본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주형 조립체 내에서 형성된 중합체 렌즈 본체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본체를 포함한,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수형 및 암형 주형 부품(12, 14)들은 이제 렌즈 형성 리세스(36) 내에서 형성된 안과용 렌즈 본체를 드러내도록 탈형될 준비가 된다.
2개의 오버플로 공동(38, 40)에 대해 방사상 외측에 각각 수형 및 암형 부품의 2개의 환상 영역 또는 플랜지(20, 28)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플랜지(28) 상의 화살표(42)에 의해 그리고 수형 플랜지(20) 상의 화살표 위의 대응하는 플랜지 영역(43) 상에서, 분리 영역(42)이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암형 주형 부품(14)으로부터 수형 주형 부품(12)을 분리하기 위해 제공된다. 분리 영역(42)에서의 분리 지점 또는 지점들은 목표 또는 천공 지점 또는 지점들(52)로 지칭될 수 있고, 대응하는 플랜지 영역(43)은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이유로 충격 지점 또는 밀어냄 지점으로 지칭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분리 영역(42) 및 목표 또는 천공 지점 또는 지점들(52)은 수형 주형 플랜지(20) 상의 지점일 수 있고, 충격 지점 또는 밀어냄 지점은 암형 주형 플랜지(28) 상의 지점(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다. 각각의 주형 조립체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천공의 개수에 의존하여, 한 세트의 천공 및 충격 지점(52, 43), 또는 충격 영역(42)을 따라 위치된 3개 또는 4개의 세트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세트가 있을 수 있다.
도 3은 전체적으로 44로 표시된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조립체 또는 탈형기(44)는 예를 들어 6개의 둘 이상과 같은 복수의 주형 조립체(10)를 동시에, 또는 조립체 내에 설치되거나 조립체 내에서 활성화되는 천공기의 개수를 하나로 제한함으로써 또는 단지 하나의 주형 조립체(10)만을 탈형을 위해 장입함으로써 한 번에 하나만을, 탈형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례에서, 조립체(44)는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탈형을 위한 복수의 렌즈 주형 조립체(10)를 수납하기 위한 장입 팔레트(loading palette) 또는 플레이트(46), 천공 작업에 이어서 주형 부품 또는 주형 반부를 박리시키기 위한 박리기 플레이트(48), 및 주형들을 분리하기 위해 복수의 주형 조립체들의 분리 영역(42)을 천공하기 위한 복수의 천공기(50)를 포함한다. 특정 예에서, 복수의 천공기(50)는 헤더 및 천공기를 y-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단축 가동 캐리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헤더(51) 상에 장착된다. 캐리지는 천공기를 주형 조립체에 대해 이동시킨 다음 이어서 새로운 주형 조립체를 장입하기 위한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축을 따라 횡단하기 위한 임의의 개수의 종래의 장치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지는 단축 로봇 아암, 랙-피니언 기어 구동 시스템, 가압 기체 또는 유체를 사용하는 작동 실린더 구동 시스템, 및 헤더를 장입 위치로 감쇠 및/또는 복귀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실시할 수 있다. 단일 성형 작업 시의 복수의 천공기(50) 또는 하나의 천공기는 집합적으로 펀치 헤더(53)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입 팔레트 또는 플레이트(46)는 수형 주형 부품(12)이 암형 주형 부품(14) 아래에 있는 채로 렌즈 주형 조립체(10)를 장입하도록 구성되지만, 예를 들어 암형 주형 부품(14)이 수형 주형 부품(12) 아래에 있는 것과 같은 다른 구성이 가능하다.
도 1 및 3에 추가하여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수납 보어(54)를 포함하는 탈형을 위해 복수의 주형 조립체(10)를 수납하기 위한 장입 팔레트(46)의 부분도가 도시되어 있다. 보어(54)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천공기(50)의 개수와, 동시에 탈형되는 렌즈 주형의 개수에 대응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54)는 보어 직경을 갖는 보어 개방부(56)와, 플랜지 주연부 및 보어 직경보다 더 작은 플랜지 직경(60)을 갖는 플랜지(58)를 포함한다. 플랜지 주연부(60)는 팔레트(46)를 통해 연장하는 관통 개방부(62)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시에, 수납 보어(54)는 주형 조립체를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주형 조립체는 리브 축방향 단부(22a, 34a)를 포함하는 주형 조립체의 부분이 수납 보어(54) 내로 먼저 위치된 채로 수납 보어(54) 내로 위치된다. 따라서, 도 3 및 4에 도시된 예에서, 주형 조립체(10)는 위치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기(50)를 향하는 암형 주형 부품(14)의 그의 외측 볼록 표면(64)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수납 보어(54)는 먼저 리브 축방향 단부(32a)로부터 장입되는 주형 조립체를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4를 참조하면, 대체로 원통형 구조인 수형 주형 부품(12) 상의 리브(22)는 최대 치수를 따라 취한 리브 축방향 단부(22a)에서의 모서리로부터 모서리까지 측정된 리브 직경(66)을 갖는다. 리브 직경(66)은 수납 보어(54)의 플랜지 직경(60)보다 더 작고, 따라서 수형 주형 부품(12)이 암형 주형 부품(14)으로부터 분리될 때,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형 주평 부품은 장입 팔레트(46)의 관통 개방부(62)를 통해 떨어져서 추가의 처리를 위해 아래에 수집된다. 대안적으로, 수형 주형 부품(12)은 수형 주형 부품이 암형 주형 부품(14)과 맞물릴 때, 리브 스커트 축방향 단부(22a)가 수형 주형의 제2 축방향 단부(34a) 위에서 연장하고, 수형 주형 부품(12)의 리브 직경(66)이 암형 주형 부품(14)의 모서리 대 모서리로 측정된 벽 직경(68)보다 더 크도록, 크기가 결정된 리브(22)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벽 직경(68)은 수형 주형 부품(12)이 암형 주형 부품(14)으로부터 분리될 때, 암형 주형 부품이 장입 팔레트(46)의 관통 개방부(62)를 통해 떨어져서 추가의 처리를 위해 아래에 수집되도록, 수납 보어(54)의 플랜지 직경(60)보다 더 작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벽(30)은 유사하게 최대 치수를 따라 취해진 제2 리브 축방향 단부(34a)에서의 모서리로부터 모서리까지 측정된 벽 직경(68)을 갖는다. 벽 직경(68)은 수납 보어(54)의 보어 개방부(56)보다 더 작지만, 플랜지 개방부(60)보다 더 커서, 주형 조립체(10)가 수납 보어 내로 위치될 때 (도 3), 암형 주형 부품(14)의 제2 축방향 단부(34a)는 수형 주형 부품(12)의 리브 축방향 단부(22a)가 아닌 플랜지(58)에 의해 지지된다. 대안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상이한 렌즈 주형 조립체 구성에 대해, 장입 팔레트(46)의 플랜지(58)에 의해 지지되는 것은 암형 주형 부품(14)의 축방향 단부가 아닌, 수형 주형 부품(12)의 축방향 단부(22a)일 수 있다. 일례에서, 장입 팔레트(46)는 경질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만들어진다. 그러나, 알루미늄 또는 강철과 같은 다른 재료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장입 팔레트 또는 플레이트(46)가 탈형을 위해 하나 이상의 주형 조립체(10)로 장입될 때, 팔레트는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천공기(50)에 의해 적용받을 준비가 된, 장입된 팔레트로 지칭될 수 있다. 팔레트(46)는 주형 조립체로 수동으로 장입될 수 있거나, 픽-앤드-플레이스(pick-and-place) 장치 또는 특수하게 설계된 장입 기계에 의해서와 같이, 기계 장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컨베이어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이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형 반부들을 분리하기 위한 천공을 위해 한 번에 하나씩 펀치 헤더(53) 아래에서 복수의 장입된 팔레트를 운반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천공되면, 컨베이어 시스템은 사용된 팔레트를 외부로 이동시키고, 펀칭을 장입된 팔레트를 천공을 위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례는 관통 개방부를 형성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 보어 및 내측 림 및 외측 림을 포함하는 주형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합 팔레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주형 조립체는 외측 림은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고 내측 림은 그렇지 않도록 수납 보어 내부에 위치된다. 일례에서, 주형 조립체는 암형 주형 부품의 외측 볼록 표면이 관통 개방부로부터 멀리 대면하거나 향하도록 수납 보어 내부에 위치된다. 다른 예에서, 주형 조립체는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형 조립체를 탈형시키기 위해 2-부품 주형 조립체의 제1 플랜지 층을 통해 천공하도록 천공기 하위에 위치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박리기 플레이트(48)는 장입 팔레트(46)처럼, 복수의 관통 보어(70), 예를 들어 둘 이상의 보어 또는 장입 팔레트(46)의 수납 보어(54)와 대응하는 개수의 보어 또는 펀치 헤더(53) 상의 천공기(5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보어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보어(70)는 각각 암형 주형 부품(14)의 벽 직경(68)보다 더 작지만 천공기(50)의 천공기 직경(76)보다 더 큰 보어 직경(74)을 갖는 보어 개방부(72)를 포함한다. 따라서, 관통 보어(70)는 천공기(50)가 암형 주형 부품(14)의 벽(30)이 아닌 그를 통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사용 중에,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천공기(50)는 암형 주형 부품(14)으로부터 수형 주형 부품(12)을 분리하기 위해 관통 보어(70)를 통과하고, 그 다음 후퇴한다. 천공기가 후퇴할 때, 암형 주형 부품(14)은 관통 보어(70)와 암형 주형 부품(14)의 벽 직경(68)의 상대 크기로 인해 박리기 플레이트(48)와 부딪힐 때까지 천공기와 함께 이동한다. 천공기는 그 다음 박리기 플레이트 위의 그의 장입 또는 일부 후퇴 위치로 이동하고, 암형 주형 부품은 장입 팔레트(46)를 향해 떨어져서 수동으로 또는 수집 또는 소제 장치에 의해 제거된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관통 보어(70)는 수형 주형 부품(12)의 리브 직경(66)보다 더 작지만 천공기(50)의 천공기 직경(76)보다 더 큰 보어 직경(74)을 갖는 보어 개방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관통 보어(70)는 천공기(50)가 수형 주형 부품(14)의 리브(22)가 아닌 그를 통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사용 중에, 천공기(50)는 암형 주형 부품(14)으로부터 수형 주형 부품(12)을 분리하기 위해 보어(70)를 통과하고, 그 다음 후퇴한다. 천공기가 후퇴할 때, 수형 주형 부품(12)은 관통 보어(70)와 수형 주형 부품(12)의 리브 직경(66)의 상대 크기로 인해 박리기 플레이트(48)와 부딪힐 때까지 천공기와 함께 이동한다. 천공기는 그 다음 박리기 플레이트 위의 그의 장입 또는 일부 후퇴 위치로 이동하고, 수형 주형 부품은 장입 팔레트(46)를 향해 떨어져서 수동으로 또는 수집 또는 소제 장치에 의해 제거된다.
일례에서, 박리기 플레이트(48)는 경질 플라스틱 재료 또는 강철로부터 만들어지고, 지면 또는 장입 팔레트에 대해 직립하여 고정 유지된다. 다른 예에서, 박리기 플레이트(48)는 헤더(51)를 유지하는 프레임에 고정된다. 박리기 플레이트(48)가 암형 주형 부품(14) 또는 수형 주형 부품(12)을 박리시키기 위해 장입 팔레트(46) 위의 위치에 고정되지만, 이는 주형 조립체 또는 장입된 팔레트를 세척 및/또는 장입하기 위한 간극을 만들기 위해 위치 내로 그리고 위치 외부로 횡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박리기 플레이트(48)는 펀치 헤더(53)를 후퇴시키기 전에 그리고 천공 작업에 이어서 복수의 천공기(50) 아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탈형 공정 중에, 암형 주형 부품(14) 또는 수형 주형 부품(12)은 천공기/박리기 조립체에 대해 요구되는 바와 같은 적절한 배향으로 포개져서 고정 유지될 수 있고, 천공기/박리기 조립체는 박리기 플레이트가 탈형 공정 중에 포개진 주형 부품을 고정된 위치에 유지하도록, 포개진 암형 주형 부품(14) 또는 수형 주형 부품(12)에 접근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탈형 공정 중에, 천공기는 포개진 주형 부품이 박리기 플레이트와 네스트 사이에 유지되는 그의 고정된 위치에 정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그의 전방 및 후퇴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여, 포개진 주형 부품을 천공하여 제1 및 제2 주형 부재들을 분리한다 (즉, 암형 주형 부품(14)으로부터 수형 주형 부품(12)을 탈형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복수의 개별 박리기 칼럼(78)(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됨)이 각각의 천공기(50) 둘레에 통합된다. 박리기 칼럼(78)은 암형 주형 부품(14) 또는 수형 주형 부품(12)을 박리시키기 위한 박리기 플레이트(48)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례에서, 박리기 칼럼은 천공기(50) 위에 장착된 하우징 직경(80)을 갖는 원통형 하우징을 포함한다. 주형 조립체(10)가 원통형 하우징(78)에 대해 천공기(50)를 이동시킴으로써 천공되고 후퇴된 후에, 암형 주형 부품(14) 또는 수형 주형 부품(12)은 그가 하우징(78)의 개방부에 대해 당겨질 때 박리된다. 박리기 칼럼(78)에 관한 추가의 설명이 도 13 및 1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례는 박리기 장치(48)의 보어 개방부(70) 및 장입 팔레트(46)의 수납 보어(54)와 정렬된 천공기를 포함하는 탈형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수형 주형 부품 및 암형 주형 부품을 포함하는 주형 조립체가 천공기에 의한 탈형을 위해 박리기 장치의 보어 개방부와 장입 팔레트의 수납 보어 사이에 위치된다. 다른 예는 보어 개방부를 포함하는 박리기 장치와 보어 개방부를 포함하는 장입 팔레트 사이에 위치되는 주형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주형 조립체의 암형 주형 부품(14) 또는 수형 주형 부품(12)은 각각의 보어 개방부를 통한 이동으로부터 제한된다.
이제 도 5-10을 참조하면, 다양한 도면의 예시적인 천공기(50)가 제공된다. 우선 도 7-10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천공기(50)는 알루미늄, 강철, 또는 강철 합금과 같은 금속 재료로부터 주조되거나 가공될 수 있는 펀치 상부(84) 및 펀치 하부(86)를 포함한다. 펀치 상부(84)는 플랜지(90) 및 소켓(92)을 포함하는 본체(88)를 포함한다. 플랜지(90)는 헤더(51)(도 3) 상의 표면에 대해 정합하거나 맞닿도록 구성되고, 소켓(92)은 헤더로부터 돌출하는 스터브 또는 스템(도시되지 않음)을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본체(88)는 잠금 너트에 의해 스터브에 유지되거나, 대안적으로 스터브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외부에서, 본체(88)는 공구 또는 렌치에 의한 파지 또는 회전을 위해, 육각 너트 상의 회전 표면과 유사한 회전 표면(94)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체(88)는 헤더 상에 위치된 소켓 내로 돌출하기 위한 스터브 또는 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수형 스템(96)은 본체(88)의 말단 단부(98)에 포함되고, 도 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펀치 상부에 펀치 하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펀치 하부 상에 위치된 잠금 너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맞물림을 위한 선택적인 함입 지점 또는 리세스 영역(100)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수형 스템(96)은 본체(88)가 세트스크루를 사용하여 제 위치에 끼워지도록 허용하기 위한 홈을 제공하는 리세스 영역(100)에 의해, 펀치 상부(84)와 펀치 하부(86)의 정밀한 정렬을 위한 압출 보스 설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핀 유지, 보수를 위해 필요할 때 펀치 상부(86)로부터의 펀치 하부(86)의 신속한 해제를 허용할 수 있다. 수형 스템(96)은 상부 핀 섹션(118), 중심 핀 섹션(120), 2개의 섹션을 분리시키는 단차형 견부(112), 및 테이퍼지거나 절두 원추형인 팁 섹션(122)을 포함하는 복수의 천공 핀(104)을 지지하기 위해 견부(102)의 말단으로 연장한다. 핀의 팁은 핀의 팁이 제1 주형 부재를 천공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팁은 테이퍼질 수 있거나, 팁은 라운딩될 수 있거나, 팁은 편평하거나 라운딩된 팁을 구비한 직선 보어를 가질 수 있거나, 팁은 편평하거나 라운딩된 팁을 구비하여 테이퍼질 수 있다. 팁 섹션(1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핀이 암형 주형 부품(14)의 플랜지 섹션(28)을 통해 천공하는 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뾰족하거나 라운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팁 섹션(122)은 수형 주형 부품(12)의 플랜지 섹션(20)을 통해 천공하기에 충분히 뾰족하거나 라운딩될 수 있다. 팁 섹션(122)이 주형 부품의 플랜지 섹션을 통해 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팁 섹션(122)의 구성(예컨대, 요구되는 뾰족함 또는 라운딩의 양)은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주형 부품에 대해 사용되는 재료, 콘택트 렌즈 본체를 성형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합 가능한 합성물,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104)에 인가되는 힘, 천공 핀(104)의 직경 등과 같은 인자에 의존한다. 일례에서, 수형 스템(96)은 펀치 하부 상에 위치된 소켓(106) 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테이퍼진 코너를 포함한다.
펀치 하부(86)는 천공기(50)를 형성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천공 핀(104)을 수납하고 펀치 상부(84)와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5 및 6 참조). 일례에서, 펀치 하부(86)는 소켓(106) 및 6개의 이격된 핀 보어(108)를 구비하여 가공되거나 주조되고, 더 적거나 더 많은 핀 보어가 고려된다. 핀 보어(108)는 서로로부터 균등하게 이격되거나, 원통형 프로파일을 전형적으로 갖는 렌즈 주형 조립체의 분리 영역(42)(도 2)의 형상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불균일하게 이격될 수 있다. 펀치 하부(86)는 하나의 천공 핀(104) 또는 6개까지의 천공 핀(104)이 6개의 천공 보어(108) 내에 있는 채로 장입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이는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천공될 때, 핀이 암형 주형 부품(14)의 환상 영역(28)을 통해 구동되어 수형 주형 부품(12)의 환상 영역(20)에 대해 밀어내어 이들 둘을 분리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대안적으로, 천공될 때, 핀은 수형 주형 부품(12)의 환상 플랜지 영역(20)을 통해 구동되어 암형 주형 부품(14)의 환상 영역(28)에 대해 밀어내어 이들 둘을 분리시킬 수 있다. 각각의 보어(108)는 입구 단부(109)로부터 천공 핀(104)을 수납하는 크기이고, 천공 핀(104) 상에 위치된 단차형 견부(112)와의 축방향 정합을 위한 내부 견부(110)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천공 핀은 말단 단부(130)로부터 삽입되어, 약간의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해 그에 고정 유지된다. 잠금 너트 또는 세트스크루(도시되지 않음)를 위한 나사식 보어(114)가 펀치 하부(86)를 펀치 상부(84) 상에 위치된 스템(96)과 고정시키기 위해 본체 섹션(116)의 측표면 상에 포함된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 천공기(86)의 본체 섹션(116)은 부분적으로 구형인 오목 표면 영역(124)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예에서, 오목 표면 영역(124)은 암형 주형 부품(14)의 외측 볼록 표면(64)과 정합하는 외형이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천공기(50)가 주형 조립체를 탈형시키기 위해 주형 조립체(10)에 대해 하강될 때, 부분적으로 구형인 오목 표면 영역(124)은 암형 주형 부품(14)의 외측 볼록 표면(64)과 중첩하지만, 렌즈 주형 조립체의 렌즈 형성 리세스 내의 안과용 렌즈 본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탈형 중에 외측 볼록 표면(64)을 압축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편향시키거나, 변형시키거나, 비틀지 않는다. 중심 오목 표면 영역(126) 및 핀의 팁 섹션(122)은 오목 표면 영역(124)이 암형 주형 부품(14)의 외측 볼록 표면(64)과 접촉하기 전에, 핀이 렌즈 주형 조립체(10)의 분리 영역(42)에서 충격 지점(43)을 통해 천공하는 방식으로, 펀치 하부(86)의 단부 모서리(128)에 대해 위치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하부 천공기(86)는 부분적으로 구형인 볼록 표면 영역(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 표면 영역은 수형 주형의 외측 오목 표면과 정합하는 외형일 수 있다. 이러한 대안에서, 천공기(50)가 주형 조립체를 탈형시키기 위해 주형 조립체(10)에 대해 하강될 때, 부분적으로 구형인 볼록 표면 영역은 수형 주형 부품(12)의 외측 오목 표면과 중첩하지만, 렌즈 주형 조립체의 렌즈 형성 리세스 내의 안과용 렌즈 본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탈형 중에 외측 오목 표면을 압축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편향시키거나, 변형시키거나, 비틀지 않는다. 중심 볼록 표면 영역 및 핀의 팁 섹션(122)은 볼록 표면 영역이 수형 주형 부품(12)의 외측 오목 표면과 접촉하기 전에, 핀이 렌즈 주형 조립체(10)의 분리 영역(42)에서 충격 지점(43)을 통해 천공하는 방식으로, 펀치 하부(86)의 단부 모서리(128)에 대해 위치되어야 한다.
이제 도 5 및 6으로 돌아가면, 천공기(50)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동일한 천공기의 부분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천공 핀(104)이 존재한다. 그러나, 3개 미만 또는 펀치 하부(86) 내에 포함된 천공 구멍(108)의 개수까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천공기(50)가 펀치 상부 및 펀치 하부 그리고 복수의 천공 핀으로부터 형성되지만, 펀치 상부를 2개의 구성요소로부터 그리고 펀치 하부를 2개의 구성요소로부터 만드는 것과 같이,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가 천공기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는 렌즈 주형 조립체를 탈형시키기 위해 펀치 하부의 단부 모서리의 말단으로 연장하는 테이퍼지거나 라운딩된 팁을 갖는 팁 섹션을 포함하는 천공기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천공기(50)는 헤더 또는 캐리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단부 및 테이퍼지거나 라운딩된 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을 포함하는 천공 단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천공기는 렌즈 주형 조립체의 분리 영역을 천공하기 위해 대체로 원형인 패턴으로 분포된 복수의 핀을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 예에서, 천공기는 펀치 상부 및 펀치 하부로 조립되고, 나사식 너트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또 다른 예에서, 렌즈 주형 조립체를 탈형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렌즈 주형을 포함하는 장입 팔레트 위에 위치되며, 주형 조립체를 탈형시키기 위해 주형 중심 축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천공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천공기(50)의 추가의 특징은 펀치 하부(86)의 단부(109)로부터와 같이, 중간 지점으로부터 복수의 천공 핀을 장착하기 위한 설비를 포함한다. 탈형 중에 렌즈 주형 조립체를 불필요하게 탈형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천공기는 렌즈 주형의 렌즈 형성 오목 및 볼록 표면들을 비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정 예에서, 천공기는 탈형 중에 암형 렌즈 주형 부품(14)의 외측 볼록 표면(64)과 중첩하도록 하부 천공기(86)의 말단 단부(130)에서 부분적으로 구형인 오목 표면 영역(124)을 포함한다. 다른 특정 예에서, 천공기는 탈형 중에 수형 렌즈 주형 부품(12)의 외측 오목 표면과 중첩하도록 하부 천공기(86)의 말단 단부(130)에서 부분적으로 구형인 볼록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은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 천공기, 천공기 조립체를 만들고, 천공기 및 천공기 조립체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도 3에 추가하여 이제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탈형 조립체(44)는 먼저 주형 조립체의 제2 축방향 단부(34a)에 의해 복수의 렌즈 주형 조립체(10)(하나만이 도 3에 도시되어 있음)를 장입 팔레트(46) 내로 위치시킴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펀치 헤더(53)는 그 다음 암형 주형 부품(14)의 분리 영역(42)에 대해 핀(104)을 이동시키도록 y-축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활성화된다. 대안적으로, 핀(104)은 수형 주형 부품(12)의 분리 영역에 대해 y-축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에서, 헤더(51)가 아닌 복수의 천공기(50)만이 헤더(51)를 고정되게 유지하면서 헤더 내부에 위치된 대응하는 개수의 샤프트 또는 피스톤을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된다. 다른 예에서, 천공기(50)는 헤더(51)에 대해 고정 유지되고, 헤더는 y-축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다.
도 11은 탈형을 위해 주형 조립체(10)에 대해 조정되는 하나의 천공기(5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핀(104)이 암형 주형 부품(14)의 분리 영역(42)에서 천공 지점(52)과 접촉하여 그를 통해 천공하기 직전에, 복수의 핀(104) 및 하부 천공기(86)의 말단 단부 모서리(128)는 암형 주형 부품(14)의 원통형 벽(30)에 의해 형성된 경계 또는 원통 내부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지점에서, 하부 천공기(86)의 부분적으로 구형인 오목 표면 영역(124)은 암형 주형 부품(14)의 외측 볼록 표면(64)을 압축하지 않고서 천공기에 의한 추가의 하방 이동을 가능케 하도록 암형 주형 부품(14)의 외측 볼록 표면(64)으로부터 이격된다. 천공기(50)는 암형 주형 부품(14)의 플랜지 영역(28)을 파열시키기 위해 주어진 핀 팁 직경에 대해 충분한 양의 힘으로 하방으로 이동된다. 대안적으로, 핀(104)이 수형 주형 부품(12)의 분리 영역에서 천공 지점과 접촉하여 그를 통해 천공하기 직전에, 복수의 핀 및 하부 천공기(86)의 말단 단부 모서리(128)는 수형 주형 부품(12)의 원통형 벽(22)에 의해 형성된 경계 또는 원통 내부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지점에서, 하부 천공기(86)의 부분적으로 구형인 볼록 표면 영역은 수형 주형 부품(12)의 내측 오목 표면을 압축하지 않고서 천공기에 의한 추가의 하방 이동을 가능케 하도록 수형 주형 부품(12)의 외측 오목 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천공기(50)는 수형 주형 부품(12)의 플랜지 영역(20)을 파열시키기 위해 주어진 핀 팁 직경에 대해 충분한 양의 힘으로 하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렌즈 주형 조립체를 탈형시키기 위해 렌즈 주형에 의해 형성된 수직 원통 내의 축을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을 포함하는 천공기이다.
도 12는 암형 주형 부품(14)의 분리 영역(42)을 통해 천공하는 천공기(5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특히, 천공 핀(104)은 암형 주형 부품(14)의 플랜지 영역(28)을 통해 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암형 주형 부품(14)은 그의 제2 축방향 단부(34a)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핀이 암형 주형 부품(14)의 플랜지 층(28)을 통해 파열시킬 때까지, 암형 주형 부품(12)의 분리 영역(42)의 천공 지점(52) 상에서 복수의 천공 핀(104)에 의해 인가되는 하향력에 저항한다. 이러한 지점에서, 천공기(50)에 의한 추가의 하방 이동은 수형 주형 부품(12)의 플랜지(20) 상에 위치된 충격 지점(43)에 대해 밀어내도록 복수의 핀(104)에 힘을 가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형 주형 부품(12)의 축방향 단부(22a)는 임의의 구조물에 의해서가 아니라, 정합 맞물림 영역(18, 26)(도 1)에서의 암형 주형 부품(14)에 대한 기계적 맞물림에 의해 그리고 중합 가능한 렌즈 본체; 영역(38, 40) 또는 모두(38 및 40)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중합된 과잉의 중합 가능한 합성물; 수형 주형 부품(12); 및 암형 주형 부품(14) 사이의 접촉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대안적으로, 천공 핀은 수형 주형 부품(12)의 분리 영역을 천공할 수 있고, 천공 핀(104)은 수형 주형 부품(12)의 플랜지 영역(20)을 천공한다. 이러한 예에서, 수형 주형 부품(12)이 그의 축방향 단부(22a)에서 지지되고, 암형 주형 부품(14)의 벽 직경(68)보다 더 큰 리브 직경(66)을 가지므로, 수형 주형 부품(12)은 핀이 수형 주형 부품(12)의 플랜지 층(20)을 통해 파열시킬 때까지, 수형 주형 부품(12)의 분리 영역의 천공 지점(52) 상에서 복수의 천공 핀(104)에 의해 인가되는 하향력에 저항한다. 이러한 지점에서, 천공기(50)에 의한 추가의 하방 이동은 암형 주형 부품(14)의 플랜지(28) 상에 위치된 충격 지점에 대해 밀어내도록 복수의 핀(104)에 힘을 가한다. 천공 핀(104)이 수형 주형 부품(12)의 분리 영역을 천공하는 이러한 예에서, 암형 주형 부품(14)의 제2 축방향 단부(34a)는 임의의 구조물이 아니라, 정합 맞물림 영역(18, 26)에서의 수형 주형 부품(12)에 대한 기계적 맞물림에 의해 그리고 중합된 렌즈 본체와 영역(38, 40) 또는 이들 모두(38 및 40)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중합된 과잉의 중합 가능한 합성물 사이의 접촉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예에서, 임의의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하향력에 의해 수형 주형 부품(12)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은 암형 주형 부품(14)이다. 그러나, 이들 두 예에서, 기계적 맞물림과 렌즈 부품과 중합된 재료 사이의 접촉이 복수의 천공 핀(104)에 의해 부여되는 하향력보다 더 약하고 제1 주형 부품 상의 플랜지를 천공하기 위한 천공력보다 더 약하므로, 제1 주형 부품은 2개의 주형 부품의 기계적 맞물림이 극복될 때까지 복수의 천공 핀(104)에 의해 부여되는 힘에 의해 축방향 하방으로 힘을 받고, 이는 그 다음 제2 주형 부품이 제1 주형 부품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일례에서, 분리 후에, 수형 주형 부품은 장입 팔레트(46)의 개방부(62)를 통해 컨베이어 또는 수집 시스템(도시되지 않음) 내로 떨어지고, 그 다음 처리를 위한 이후의 스테이션으로 이동한다. 대안적으로, 분리 후에, 암형 주형 부품은 장입 팔레트(46)의 개방부(62)를 통해 컨베이어 또는 수집기 시스템 내로 떨어지고, 그 다음 처리를 위한 이후의 스테이션으로 이동한다. 일례에서, 장입 팔레트의 개방부(62)를 통해 떨어지는 제2 주형 부품은 그에 부착된 안과용 렌즈 본체를 갖는다. 다른 예에서, 천공 핀(들)에 의해 천공되는 제1 주형 부품은 그에 부착된 안과용 렌즈 본체를 갖는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천공기 헤더(53)는 복수의 렌즈 주형 조립체를 탈형시킨 후에 새로운 세트가 탈형을 위해 장입될 수 있도록 시작 또는 후퇴 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나, 도시된 예에서, 암형 주형 부품(14)은 천공 핀(104)에 의해 천공되었으므로, 핀에 점착되어 천공기의 그의 시작 위치로의 복귀 중에 천공기(50)와 함께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박리기 플레이트(48)는 각각의 천공기(50)로부터 제1 주형 부품을 박리시키도록 포함된다. 더 구체적으로, 천공기(50)는 그의 시작 위치로 복귀할 때, y-축을 따라 상방으로 그리고 박리기 플레이트(48)의 관통 보어(70)를 통해 다시 이동한다. 도시된 예에서, 암형 주형 부품(14)이 핀(104)에 의해 관통되고, 관통 보어(70)가 암형 주형 부품(14)의 원통형 벽(30)보다 더 작은 보어 직경(74)을 가지므로, 암형 주형 부품(14)은 박리기 플레이트(48)에서 정지되고, 천공기(50)는 계속 통과 이동하여 그들 각각의 시작 위치로 복귀한다. 대안적으로, 수형 주형 부품(12)이 핀(104)에 의해 관통되고, 관통 보어(70)가 수형 주형 부품(12)의 벽(22)보다 더 작은 보어 직경(74)을 가질 때, 수형 주형 부품(12)은 박리기 플레이트(48)에서 정지되고, 천공기(50)는 계속 통과 이동하여 그들 각각의 시작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례에서, 본 발명에 따라 성형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은 (a) 제1 주형 부품 및 제1 주형 부품에 결합되는 제2 주형 부품을 포함하는 렌즈 주형 조립체 내에서 성형 안과용 렌즈를 제공하는 단계; (b) 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을 포함하는 천공기 하에 렌즈 주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c) 렌즈 주형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원통 내의 축을 따라 천공기를 이동시키는 단계; (d) 제1 주형 부품의 표면 층을 통해 천공하는 단계; 및 (e) 제1 주형 부품으로부터 제2 주형 부품을 분리하기 위해 제2 주형 부품의 표면 층에 대해 밀어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방법은 단계들을 표시된 순서대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은 제1 주형 부품이 오목 렌즈 형성 표면 및 제1 축방향 단부 및 제2 축방향 단부를 갖는 벽을 포함하는 암형 주형인 방법일 수 있다.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은 천공 단계 중에 장입 팔레트에 의해 제2 축방향 단부를 지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방법은 제1 주형 부품이 원통을 형성하는 벽을 갖는 방법일 수 있고, 방법은 표면 층을 천공하기 위해 제1 주형 부품의 벽에 의해 형성된 원통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법은 천공 단계 중에 지지 팔레트로 제1 주형 부품의 축방향 단부를 지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법은 천공 단계에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으로부터 제1 주형 부품을 박리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방법은 제1 주형 부품을 박리시키는 단계가 지지 팔레트 위에 위치된 박리기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방법은 제1 주형 부품을 박리시키는 단계가 천공기와 함께 위치된 박리기 칼럼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방법은 방법이 추가의 처리를 위해 제1 주형 부품 또는 제2 주형 부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방법은 안과용 렌즈가 콘택트 렌즈인 방법일 수 있고, 방법은 렌즈 주형 조립체 내에 중합 가능한 콘택트 렌즈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중합된 성형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렌즈 주형 조립체 내에서 중합 가능한 콘택트 렌즈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단계; 분리된 콘택트 렌즈를 제작하기 위해 분리된 주형 부품들 중 하나로부터 중합된 성형 콘택트 렌즈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콘택트 렌즈를 액체와 접촉시키는 단계; 분리된 콘택트 렌즈를 콘택트 렌즈 패키지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 멸균 콘택트 렌즈를 제작하기 위해 콘택트 렌즈 패키지 내에서 콘택트 렌즈를 멸균하는 단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예는 성형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고, 방법은 (a) 제1 주형 부품 및 제1 주형 부품에 결합되는 제2 주형 부품을 포함하는 렌즈 주형 조립체 내에서 성형 안과용 렌즈를 제공하는 단계; (b) 렌즈 주형 부품들 중 하나를 박리시키기 위해 박리기 장치의 개방부를 통해 펀치 본체의 말단 단부를 넘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을 포함하는 천공기를 이동시키는 단계; (c) 천공기가 렌즈 주형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팔레트에 도달하기 전에 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및 (d) 천공기가 박리기 장치의 개방부를 통해 다시 이동하도록 요구하는 위치로 천공기를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방법은 단계들을 표시된 순서로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방법은 2개의 주형 반부들이 서로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이 렌즈 주형 조립체의 제1 부품의 플랜지 층을 통해 천공하고 렌즈 주형 조립체의 제2 부품의 다른 플랜지 층에 대해 밀어내도록, 렌즈 주형 조립체를 향해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을 포함하는 천공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나의 특정 예에서, 방법은 장입 팔레트 상에 위치된 플랜지에 의해 렌즈 주형 조립체의 제1 부품 상의 림을 지지하는 단계 및 분리 후에 주형 조립체의 제2 부품이 장입 팔레트의 개방부를 통해 떨어지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방법의 또 다른 예에서, 둘 이상의 천공기가 하나의 플랜지를 다른 플랜지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함으로써 둘 이상의 2-부품 주형 조립체를 동시에 탈형시키기 위해 포함된다. 2-부품 주형 조립체는 제1 주형 부품 및 제2 주형 부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주형 부품이 제1 주형 부품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 주형 부품으로부터 안과용 렌즈를 분리하기 위한 것과 같은 처리를 위한 다른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도록 이송 시스템 또는 트레이 내로 안전하게 떨어지도록 하는 설비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2-부품 주형 조립체는 제1 주형 부품 및 제2 주형 부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1 주형 부품이 제1 주형 부품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 주형 부품으로부터 안과용 렌즈를 분리하기 위한 것과 같은 처리를 위한 다른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도록 이송 시스템 또는 트레이 내로 안전하게 떨어지도록 하는 설비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2-부품 주형 조립체는 수형 주형 부품 및 암형 주형 부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수형 주형 부품이 암형 주형 부품으로부터 분리되어, 수형 주형 부품으로부터 안과용 렌즈를 분리하기 위한 것과 같은 처리를 위한 다른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도록 이송 시스템 또는 트레이 내로 안전하게 떨어지도록 하는 설비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2-부품 주형 조립체는 암형 주형 부품 및 수형 주형 부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암형 주형 부품이 수형 주형 부품으로부터 분리되어, 암형 주형 부품으로부터 안과용 렌즈를 분리하기 위한 것과 같은 처리를 위한 다른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도록 이송 시스템 또는 트레이 내로 안전하게 떨어지도록 하는 설비가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예에서, 복수의 관통 개방부를 각각 포함하는 2개의 평행한 플레이트가 사용되고, 하나는 복수의 렌즈 주형 조립체를 유지 및/또는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하나는 탈형 단계 후에 복수의 제1 주형 부품을 박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주형 부품의 층이 다른 주형 부품에 대해 밀어내어 2개의 주형 부품을 서로로부터 분리하도록 절단되거나 천공되는 렌즈 주형을 탈형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탈형을 위한 시스템의 특정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을 포함하는 천공기가 사용되고, 천공 핀은 하나의 주형 부품을 통해 천공하고 다른 주형 부품에 대해 밀어내어 이들 둘을 서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주형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수직 원통 내에 위치된 축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탈형을 위한 시스템 및 탈형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다.
도 13은 전체적으로 140으로 표시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라 제공되는 탈형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탈형 조립체 또는 탈형기(140)는 단지 하나의 주형 조립체가 한 번에 분리되는 단일 천공기 탈형기로서 또는 복수의 렌즈 주형 조립체가 한 번에 동시에 분리되는 다중 천공기 탈형기로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의 설명은 단일 천공기 탈형기에 관련되지만, 포함되는 구성요소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다중 천공기 탈형기에 동등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례에서, 탈형기는 헤더(142), 헤더에 대해 이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스템(144), 액추에이터 스템에 장착되어 2개 내지 6개의 천공 핀과 같은 하나 이상의 천공 핀(148)을 갖는 천공기(146), 및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박리기 칼럼(150)을 포함한다. 탈형기(140)는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장입 팔레트(46)와 유사한 장입 팔레트(152) 상에 위치된 렌즈 주형 조립체(10)를 탈형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도 10의 천공기(50)와 달리, 본 천공기(146)는 일체형 또는 단일 구성요소로부터 만들어지고, 액추에이터 스템(144)에 부착하기 위한 소켓을 갖는다. 천공 핀(148)은 천공기의 말단 단부(158)로부터 개별 천공 보어 내로 밀려 들어감으로써 천공기(146)에 부착된다.
천공기(146) 및 박리기 칼럼(150)은 렌즈 주형 조립체(10) 위의 제1 위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1 위치에 대해 측정된 거리보다 더 작은 렌즈 주형 조립체(10) 위의 제2의 더 가까운 위치로 y-축을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설명의 목적으로, 제2 위치가 도 13에 의해 나타나 있다. 천공기(146) 및 박리기 칼럼(150)은 기어, 액추에이터, 래칭 수단, 및 캠 종동자에 의한 것과 같은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여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싱(154, 156)이 또한 안내, 결합, 또는 정렬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싱(154)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탈형에 이어서 핀으로부터 암형 주형 부품을 박리시키기 위해 복수의 천공 핀(148)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프로파일의 외부 둘레에서 연장하도록 구성되지만 암형 주형 부품(14)의 원통형 벽(30)보다 더 작은 내부 직경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하부 부싱(154)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탈형에 이어서 핀으로부터 수형 주형 부품을 박리시키기 위해 복수의 천공 핀(148)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프로파일의 외부 둘레에서 연장하도록 구성되지만 수형 주형 부품(12)의 벽(22)보다 더 작은 내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14는 동일한 제2 위치의 박리기 칼럼(150) 및 주형 조립체의 분리 영역(42)을 통해 천공하도록 박리기 칼럼(150) 및 렌즈 주형 조립체(10)에 대해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전진된 천공기(146)를 도시하는, 도 13의 탈형기(14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형 주형 부품(12)이 아닌 암형 주형 부품(14)이 장입 팔레트(152)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수형 주형 부품(12)은 그의 플랜지에 의해 암형 주형 부품으로부터 멀리 밀려 나서 암형 주형 부품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는 렌즈 주형 조립체(10)를 효과적으로 탈형시키고, 수형 주형 부품(12) 상에 위치된 안과용 렌즈가 추가의 처리를 위해 수집되도록 허용한다. 대안적으로, 수형 주형 부품(12)이 암형 주형 부품(14)의 벽 직경(68)보다 더 큰 리브 직경(66)을 가질 때, 암형 주형 부품(14)이 아닌 수형 주형 부품(12)이 장입 팔레트(152)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고, 암형 주형 부품(14)은 조립체(10)로부터 멀리 그의 플랜지에 의해 밀려나고, 암형 주형 부품(14) 상에 위치된 안과용 렌즈 본체가 추가의 처리를 위해 수집되도록 허용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핀(104)에 의해 관통되는 제1 주형 부품(수형 주형 부품(12) 또는 암형 주형 부품(14))은 수집될 수 있고, 그 위에 위치된 안과용 렌즈 본체는 추가의 처리를 위해 수집될 수 있다. 탈형에 이어서, 천공기(146)는 천공 핀으로부터 제1 주형 부품을 박리시키기 위해 제3 위치(도 14)로부터 다시 제2 위치(도 13)로 이동되고, 그 다음 조합 천공기(146) 및 박리기 칼럼(150)은 제2 위치(도 13)로부터 제1 위치(도시되지 않음)로 이동한다.
도 15는 도 14의 탈형기(140)의 개략적인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기(158)의 말단 단부(158)는 암형 주형 부품(14)으로부터 수형 주형 부품(12)을 분리하기 위해 제3 천공 위치에 있을 때 암형 주형 부품(14)의 외측 볼록 표면(64)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같이, 부분적으로 오목한 구형 표면이 암형 주형 부품(14)의 볼록 표면을 수용하기 위해 천공기의 말단 단부에서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동일한 부분적으로 오목한 구형 표면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탈형기가 수형 주형 부품(12)을 관통하도록 사용될 때, 천공기의 말단 단부(158)는 암형 주형 부품(14)으로부터 수형 주형 부품(12)을 분리하기 위해 제3 천공 위치에 있을 때 수형 주형 부품(12)의 외측 오목 표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부분적으로 볼록한 구형 표면이 수형 주형 부품(12)의 오목 표면을 수용하기 위해 천공기의 말단 단부에서 요구되지 않지만, 부분적으로 볼록한 구형 표면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탈형기는 적어도 하나의 주형 부재의 일 부분에 힘을 인가하기 위한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주형 부재의 일 부분에 힘을 인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예를 들어, 주형 부재의 일 부분을 압축 또는 압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주형 부재에 바이스 파지식(vice grip type) 압착 작용을 인가하기 위한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방법은 주형 부재에 바이스 파지식 압착 작용을 인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힘이 인가되는 주형 부재는 제1 주형 부재 또는 제2 주형 부재일 수 있다. 힘이 인가되는 주형 부재의 부분은 주형 부재의 둘 이상의 외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형 주형 부재(14)는 원통형 벽(30)을 따라, 제1 리브 또는 림 영역(32)을 따라, 제2 리브 또는 림 영역(34)을 따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압축 또는 압착될 수 있다. 수형 주형 부재(12)는, 예를 들어, 스커트 섹션(22)을 따라 압축 또는 압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힘은 제1 주형 부재는 탈형기의 핀에 의해 관통됨과 동시에, 제1 주형 부재의 부분에 인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힘은 제1 주형 부재가 탈형기의 핀에 의해 관통되기 전에 또는 그 후에 제1 주형 부재의 부분에 인가될 수 있다.
이론에 의해 구속되지 않으면서, 제1 주형 부재의 부분에 인가되는 힘이 압축 또는 압착 작용일 때, 압축 또는 압착 작용은 다른 주형 부재에 실질적인 방사상 힘 성분을 전달하지 않고서 렌즈 주연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방사하는 힘 성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힘 성분은 힘이 인가된 주형 부재의 주형 표면이 다른 주형 부재의 주형 표면으로부터 멀리 굴곡되게 할 수 있다. 2개의 주형 표면들의 이러한 굴곡은 렌즈로부터의 플래시 링의 부착을 파괴할 수 있고, 특히 렌즈의 모서리 둘레에서, 주형 표면으로부터의 성형 렌즈 본체의 약간의 분리를 일으킨다. 이러한 약간의 분리가 성형 렌즈 본체가 여전히 2개의 주형 부재들 내에 감싸인 동안 발생하므로, 성형 렌즈 본체 내에서 생성되는 비틀림의 양은 결과적으로 최소화된다. 또한, 이러한 굴곡은 플래시 링이 성형 렌즈 본체로부터 분리되게 할 수 있고, 몇몇 상황에서, 어떤 구성이 필요한 지에 의존하여, 수형 주형 부재(12) 또는 암형 주형 부재(14) 상에서의 성형 렌즈 본체의 보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대안적인 예의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 및 박리기 칼럼을 포함하는 천공기를 포함하는 탈형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박리기 칼럼 및 천공기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함께 그리고 천공기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할 때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예의 또 다른 특징은 2-주형 부품 조립체의 제1 주형 부품을 천공하여 제2 주형 부품으로부터 제1 주형 부품을 분리하기 위해 제2 주형에 대해 밀어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을 갖는 1-부품 푸셔를 포함하는 탈형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탈형 조립체 및 그의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예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많은 변형 및 변경이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탈형 조립체는 자동화된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고, 동일한 전체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더 적거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고, 설명된 것과 상이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탈형기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된 특징은 기능이 양립 가능하다면, 다른 탈형기 예에서 포함되도록 채택될 수 있음이 이해되고 고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탈형기 조립체 및 그의 구성요소는 구체적으로 설명된 바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 제2, 수형, 및 암형과 같은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 또는 위치를 다른 구성요소 또는 위치로부터 간편하게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문맥이 달리 표시하지 않으면 용어를 구체적인 정의로 반드시 제한하지는 않음이 또한 이해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한정된다.

Claims (21)

  1. 성형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제1 주형 부품 및 제1 주형 부품에 결합되는 제2 주형 부품을 포함하는 렌즈 주형 조립체 내에 성형 안과용 렌즈를 제공하는 단계;
    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을 포함하는 천공기 아래에 렌즈 주형 조립체를 위치시키는 단계;
    렌즈 주형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원통 내의 축을 따라 천공기를 이동시키는 단계;
    제1 주형 부품의 표면 층을 통해 천공하는 단계; 및
    제1 주형 부품으로부터 제2 주형 부품을 분리하기 위해 제2 주형 부품의 표면 층을 밀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 안과용 렌즈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주형 부품은 오목 렌즈 형성 표면과 제1 축방향 단부 및 제2 축방향 단부를 갖는 벽을 포함하는 암형 주형인
    성형 안과용 렌즈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천공 단계 중에 장입 팔레트에 의해 제2 축방향 단부를 지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성형 안과용 렌즈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주형 부품은 원통을 형성하는 벽을 갖고, 방법은 표면 층을 천공하기 위해 제1 주형 부품의 벽에 의해 형성된 원통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성형 안과용 렌즈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천공 단계 중에 지지 팔레트로 제1 주형 부품의 축방향 단부를 지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성형 안과용 렌즈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천공 단계에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으로부터 제1 주형 부품을 박리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성형 안과용 렌즈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주형 부품을 박리시키는 단계는 지지 팔레트 위에 위치된 박리기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 안과용 렌즈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제1 주형 부품을 박리시키는 단계는 천공기와 함께 위치된 박리기 칼럼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 안과용 렌즈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방법은 추가의 처리를 위해 제1 주형 부품 또는 제2 주형 부품 중 적어도 하나를 이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성형 안과용 렌즈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안과용 렌즈는 콘택트 렌즈이고, 방법은 렌즈 주형 조립체 내에 중합 가능한 콘택트 렌즈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중합된 성형 콘택트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렌즈 주형 조립체 내에서 중합 가능한 콘택트 렌즈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단계; 분리된 콘택트 렌즈를 제작하기 위해 분리된 주형 부품들 중 하나로부터 중합된 성형 콘택트 렌즈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콘택트 렌즈를 액체와 접촉시키는 단계; 분리된 콘택트 렌즈를 콘택트 렌즈 패키지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 멸균 콘택트 렌즈를 제작하기 위해 콘택트 렌즈 패키지 내에서 콘택트 렌즈를 멸균하는 단계, 또는 이들 단계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하는
    성형 안과용 렌즈 제조 방법.
  11. 성형 안과용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제1 주형 부품 및 제1 주형 부품에 결합되는 제2 주형 부품을 포함하는 렌즈 주형 조립체 내에서 성형 안과용 렌즈를 제공하는 단계;
    렌즈 주형 부품들 중 하나를 박리시키기 위해 박리기 장치의 개방부를 통해 펀치 본체의 말단 단부를 넘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핀을 포함하는 천공기를 이동시키는 단계;
    천공기가 렌즈 주형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팔레트에 도달하기 전에 이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및
    천공기가 박리기 장치의 개방부를 통해 다시 이동하도록 요구되는 위치로 천공기를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 안과용 렌즈 제조 방법.
  12.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이며,
    천공 보어를 포함하는 펀치 본체를 포함하는 천공기;
    핀 팁이 펀치 본체의 말단 단부를 넘어 연장하도록 천공 보어 내에 위치된 핀 팁을 포함하는 천공 핀;
    탈형되는 2-부품 주형 조립체의 하나의 부품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천공 핀은 탈형을 위해 렌즈 주형 조립체의 주형 층을 관통하여 천공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충분한 힘으로 이동되는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는 제2의 더 작은 직경의 플랜지를 갖는 제1 직경의 수납 보어를 포함하는 팔레트인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
  14. 제11항에 있어서,
    펀치 본체는 부분적으로 오목한 표면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
  15. 제11항에 있어서,
    탈형 후에 주형 부품을 박리시키기 위한 박리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
  16. 제11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천공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천공기와 함께 위치된 박리기 칼럼을 추가로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천공기는 박리기 칼럼과 함께 이동 가능하며 박리기 칼럼에 대해 이동 가능한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의 수납 보어 내에 위치된 렌즈 주형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렌즈 주형 조립체는 암형 주형 부품 및 수형 주형 부품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암형 주형 부품만이 수납 보어에 의해 지지되는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
  21. 제11항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 위에 위치된 박리기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주형 조립체 탈형기.
KR1020127005152A 2009-08-31 2010-08-04 제조 중의 안과용 렌즈의 탈형 KR101631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856509P 2009-08-31 2009-08-31
US61/238,565 2009-08-31
US12/849,645 US8313675B2 (en) 2009-08-31 2010-08-03 Demolding of ophthalmic lenses during the manufacture thereof
US12/849,645 2010-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299A true KR20120083299A (ko) 2012-07-25
KR101631352B1 KR101631352B1 (ko) 2016-06-16

Family

ID=4324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152A KR101631352B1 (ko) 2009-08-31 2010-08-04 제조 중의 안과용 렌즈의 탈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313675B2 (ko)
EP (1) EP2289691B1 (ko)
JP (1) JP5800265B2 (ko)
KR (1) KR101631352B1 (ko)
CN (1) CN102481708B (ko)
HK (1) HK1171417A1 (ko)
HU (1) HUE039760T2 (ko)
MY (1) MY156501A (ko)
SG (1) SG178305A1 (ko)
TW (1) TWI529057B (ko)
WO (1) WO201102563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169A (ko) 2015-11-04 2017-05-12 (주)에이스텍 클린룸 천정용 모듈식 조립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8670A1 (en) * 2005-12-20 2007-06-21 Bausch And Lomb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ry Release of a Compliant Opthalmic Article from a Mold Surface
NL2006921C2 (nl) * 2011-06-09 2012-12-11 Innovalens B V Gietmal voor het vervaardigen van contactlenzen of intra-oculaire lenzen.
US9283718B2 (en) * 2012-05-25 2016-03-1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Reduced-tilt back plastic feature for a contact lens mold
CA2877380A1 (en) * 2012-06-29 2014-01-0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Lens precursor with features for the fabrication of an ophthalmic lens
GB201302268D0 (en) * 2013-02-08 2013-03-27 Ocutec Ltd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GB2520297B (en) 2013-11-14 2015-11-18 Contact Lens Prec Lab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aging for contact lenses
US20150224724A1 (en) * 2014-01-06 2015-08-13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Ophthalmic lens manufactur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that include flash removal from lens mold members
CN111688083B (zh) * 2020-06-24 2021-11-16 西藏天虹科技股份有限责任公司 一种药用辅料干酪素水凝胶的制备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6424A (ko) * 1985-12-07 1987-07-11 게르하르트 뷔네만, 루디 마이어 콘택트렌즈 형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WO2000012291A1 (fr) * 1998-08-28 2000-03-09 Specialty Ultravision, Inc. Procede et dispositif de production de lentille
EP1078732A2 (en) * 1999-08-27 2001-02-28 Menicon Co., Ltd. Mold assembly for producing ophthalmic lens articl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ing mold assembly
JP2002240061A (ja) * 2001-02-16 2002-08-28 Menicon Co Ltd 眼用レンズ物品の成形型及び眼用レンズ物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B724600I5 (ko) * 1968-04-26
US3935291A (en) * 1973-08-28 1976-01-2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of molding polyurethane articles in a mold coated with three mold release agents
US4121896A (en) * 1976-03-24 1978-10-24 Shepherd Thomas H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contact lenses
US4497754A (en) * 1979-07-30 1985-02-05 Societa' Italiana Lenti S.I.L.-S.R.L. Casting plastic lenses from thermohardening monomer with compensation for polymer expansion and shrinkage
US4495313A (en) * 1981-04-30 1985-01-22 Mia Lens Production A/S Preparation of hydrogel for soft contact lens with water displaceable boric acid ester
US4640489A (en) * 1981-04-30 1987-02-03 Mia-Lens Production A/S Mold for making contact lenses, either the male or female mold sections being relatively more flexible
US4565348A (en) * 1981-04-30 1986-01-21 Mia-Lens Production A/S Mold for making contact lenses, the male mold member being more flexible than the female mold member
GB8601967D0 (en) * 1986-01-28 1986-03-05 Coopervision Optics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US4985186A (en) * 1986-04-11 1991-01-1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 element
US5039459A (en) * 1988-11-25 1991-08-13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ethod of forming shaped hydrogel articles including contact lenses
US4889664A (en) * 1988-11-25 1989-12-26 Vistakon, Inc. Method of forming shaped hydrogel articles including contact lenses
US4983332A (en) * 1989-08-21 1991-01-08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manufacturing hydrophilic contact lenses
JP2914508B2 (ja) * 1990-01-24 1999-07-05 ホーヤ株式会社 レンズ成形用型
US5204126A (en) * 1990-02-06 1993-04-20 Nanofilm Corporation Mold surfaces with ultra thin release films
US5094609A (en) * 1990-04-17 1992-03-10 Vistakon, Inc. Chamber for hydrating contact lenses
US5080839A (en) * 1990-04-17 1992-01-14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Process for hydrating soft contact lenses
JPH045010A (ja) 1990-04-24 1992-01-09 Olympus Optical Co Ltd 成形品と型の離型方法
US5158718A (en) * 1990-08-02 1992-10-27 Pilkington Visioncare, Inc. Contact lens casting
US5264161A (en) * 1991-09-05 1993-11-23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of using surfactants as contact lens processing aids
US5407627A (en) * 1992-08-03 1995-04-18 Polycryl Enterprises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stress-free thermosetting resin products
US5316700A (en) * 1992-11-02 1994-05-31 Wesley-Jesse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excess lens forming material
JPH0642131U (ja) * 1992-11-19 1994-06-03 雅夫 関 発泡成形機の離型装置
AU8087794A (en) 1993-10-28 1995-05-22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of releasing contact lenses from the mold
AU689850B2 (en) * 1994-01-31 1998-04-09 Bausch & Lomb Incorporated Treatment of contact lenses with supercritical fluid
US5542978A (en) * 1994-06-10 1996-08-06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Apparatus for applying a surfactant to mold surfaces
IL113826A0 (en) * 1994-06-10 1995-08-31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Method and apparatus for demolding ophthalmic contact lenses
US5476111A (en) * 1994-06-10 1995-12-19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Apparatus for hydrating soft contact lenses
US5895192C1 (en) * 1994-06-10 2001-11-06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d transporting articles from molds
US5804107A (en) * 1994-06-10 1998-09-08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Consolidated contact lens molding
US5850107A (en) * 1994-06-10 1998-12-15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old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5540410A (en) * 1994-06-10 1996-07-3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Mold halves and molding assembly for making contact lenses
US5620635A (en) * 1995-01-11 1997-04-15 Derozier; Gaston Ophthalmic lens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
US5607518A (en) * 1995-02-22 1997-03-04 Ciba Geigy Corporation Methods of deblocking, extracting and cleaning polymeric articles with supercritical fluids
AU713558B2 (en) 1995-05-01 1999-12-02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Laser demolding apparatus and method
AU710855B2 (en) 1995-05-01 1999-09-3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Apparatus for removing and transporting articles from molds
US5561970A (en) * 1995-06-21 1996-10-08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Automated robotic lens load system
US5849222A (en) * 1995-09-29 1998-12-15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ethod for reducing lens hole defects in production of contact lens blanks
US5693268A (en) * 1996-04-01 1997-12-02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Wedge demolding of cast lens mold assemblies
AU6203296A (en) * 1996-08-09 1998-02-12 Ching-Tsai Chang Method of cleaning and disinfecting contact lens, and apparatus therefor
JP2002515837A (ja) * 1996-11-06 2002-05-28 ボシュ アンド ロ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タクトレンズの金型部分からの分離方法および装置
US6310116B1 (en) * 1997-10-09 2001-10-30 Kuraray Co., Ltd. Molded polymer article having a hydrophilic surfac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TW429327B (en) * 1997-10-21 2001-04-11 Novartis Ag Single mould alignment
JPH11240030A (ja) 1998-02-25 1999-09-07 Kuraray Co Ltd コンタクトレンズ材料の加工用治具からの取り外し方法およびその装置
BR9910345A (pt) * 1998-05-05 2001-01-09 Bausch & Lomb Método para tratar a superfìcie de uma lente de contato de hidrogel de silicone e lente de contato de hidrogel de silicone
JPH11320571A (ja) * 1998-05-15 1999-11-24 Menicon Co Ltd 眼用レンズの成形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眼用レンズの製造法
US6143210A (en) * 1998-08-27 2000-11-07 Wrue; Richard J. Automated cast mold hydrating device
US6288852B1 (en) * 1998-12-04 2001-09-11 Robert Camer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a contact lens
US20040074525A1 (en) * 2001-03-27 2004-04-22 Widman Michael F.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and a transfer apparatus cleaner and method
GB9906240D0 (en) * 1999-03-19 1999-05-12 Ocular Sciences Limited Lens mould
US6869549B2 (en) * 1999-05-05 2005-03-2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and mold for making ophthalmic devices
MXPA01012579A (es) * 1999-06-11 2002-04-10 Bausch & Lomb Moldes de lente con recubrimientos protectores para la produccion de lentes de contacto y otros productos oftalmicos.
US6638451B1 (en) * 1999-08-31 2003-10-28 Novartis Ag Plastic casting molds
US6444145B1 (en) * 1999-09-03 2002-09-03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olds for use in contact lens production
JP3284114B2 (ja) * 1999-09-13 2002-05-20 株式会社リコー 成形金型
ES2328009T5 (es) * 1999-12-16 2013-12-12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Lente de contacto blanda con capacidad de ser utilizada a largo plazo
JP2001198929A (ja) * 2000-01-17 2001-07-24 Menicon Co Ltd 眼用レンズ又はレンズブランクの成形型及びそれを用いた眼用レンズ又はレンズブランクの製造方法
US6280530B1 (en) * 2000-01-28 2001-08-28 Isoclear, Inc. Contact len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6719929B2 (en) * 2000-02-04 2004-04-13 Novartis Ag Method for modifying a surface
JP4634629B2 (ja) * 2000-03-16 2011-02-16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コンタクトレンズ取り出し装置
US6551531B1 (en) * 2000-03-22 2003-04-2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olds for making ophthalmic devices
GB2360730B (en) * 2000-03-31 2004-09-22 Bausch & Lomb Uk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contact lens molds
US6558584B1 (en) * 2000-03-31 2003-05-06 Bausch & Lomb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n ophthalmic lens
US6368096B1 (en) * 2000-07-31 2002-04-09 Bausch & Lomb Incorporated Apparatus for separating material from a mold surface
US6939487B1 (en) * 2000-10-13 2005-09-06 Novartis A.G. Deblocking contact lenses
FR2815293B1 (fr) * 2000-10-17 2003-04-18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commande pour systeme de distribution d'un flux d'air dans un vehicule
US6663801B2 (en) * 2001-04-06 2003-12-1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Silicon carbide IR-emitter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demolding lenses
JP4909469B2 (ja) * 2001-06-25 2012-04-04 株式会社メニコン 眼用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58493B2 (ja) 2001-11-13 2008-10-01 東レ株式会社 ポリマー成形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眼用レンズ
JP2003222708A (ja) * 2002-01-31 2003-08-08 Canon Inc 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164563A1 (en) * 2002-03-04 2003-09-04 Olin Calvin Use of microwave energy to disassemble, release, and hydrate contact lenses
US7044429B1 (en) * 2002-03-15 2006-05-16 Q2100,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ating eyeglass lens molds
JP4119150B2 (ja) * 2002-04-09 2008-07-16 株式会社メニコン 高親水性レンズ表面を有する眼用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た眼用レンズ
US6852254B2 (en) * 2002-06-26 2005-02-0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tinted contact lenses
US7047890B2 (en) * 2002-12-27 2006-05-23 Jeffrey Korber Integrated flat panel workstation system
US20050062179A1 (en) * 2003-09-22 2005-03-24 Sanjay Rastogi Automated method for transferring lenses in a hydrated state from molds to receivers
EP1732750B1 (en) * 2004-03-24 2008-05-21 Novartis AG Method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JP2005313452A (ja) 2004-04-28 2005-11-10 Kuraray Medical Inc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US20060051454A1 (en) * 2004-08-26 2006-03-09 Ansell Scott F Molds for producing ophthalmic lenses
US20060097415A1 (en) * 2004-11-05 2006-05-11 Watterson Robert J Jr Methods of demolding ophthalmic lenses
US20060202367A1 (en) * 2005-03-11 2006-09-14 Knutzen Josef V Multi stage ophthalmic lens demold
US20060186564A1 (en) 2005-02-22 2006-08-24 Adams Jonathan P Hydrogel processing
US20060202368A1 (en) * 2005-03-09 2006-09-14 Yasuo Matsuzawa Method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US9102110B2 (en) * 2005-08-09 2015-08-1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lenses from lens molds
EP1971477A2 (en) * 2005-12-29 2008-09-2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leasing silicone hydrogel ophthalmic lenses using surfactants
US7731872B2 (en) * 2006-05-31 2010-06-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ophthalmic lens mold assemblies
JP2008130160A (ja) * 2006-11-21 2008-06-05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素子
JP5088903B2 (ja) * 2006-12-21 2012-12-05 ボシュ・アンド・ロ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後および前金型部分間のキャビティ内で成形されたレンズを取り外す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4869054B2 (ja) 2006-12-25 2012-02-01 Hoya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レンズを樹脂型から取り出す方法
TW200918294A (en) * 2007-10-17 2009-05-01 Unicon Optical Co Ltd Method and die for forming contact le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6424A (ko) * 1985-12-07 1987-07-11 게르하르트 뷔네만, 루디 마이어 콘택트렌즈 형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WO2000012291A1 (fr) * 1998-08-28 2000-03-09 Specialty Ultravision, Inc. Procede et dispositif de production de lentille
EP1078732A2 (en) * 1999-08-27 2001-02-28 Menicon Co., Ltd. Mold assembly for producing ophthalmic lens articl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ing mold assembly
JP2002240061A (ja) * 2001-02-16 2002-08-28 Menicon Co Ltd 眼用レンズ物品の成形型及び眼用レンズ物品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169A (ko) 2015-11-04 2017-05-12 (주)에이스텍 클린룸 천정용 모듈식 조립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13675B2 (en) 2012-11-20
EP2289691B1 (en) 2018-07-18
SG178305A1 (en) 2012-03-29
KR101631352B1 (ko) 2016-06-16
MY156501A (en) 2016-02-26
JP2013503064A (ja) 2013-01-31
CN102481708B (zh) 2015-01-14
HK1171417A1 (en) 2013-03-28
EP2289691A2 (en) 2011-03-02
US20110089584A1 (en) 2011-04-21
TW201121775A (en) 2011-07-01
CN102481708A (zh) 2012-05-30
TWI529057B (zh) 2016-04-11
WO2011025639A2 (en) 2011-03-03
EP2289691A3 (en) 2016-03-09
JP5800265B2 (ja) 2015-10-28
WO2011025639A3 (en) 2011-06-16
HUE039760T2 (hu)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3299A (ko) 제조 중의 안과용 렌즈의 탈형
EP09369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contact lens mold sections
US9011138B2 (en) Collapsing core part retainer sleeve
JP4894953B2 (ja) バリ除去用パンチピン、バリ除去装置、及び、バリ除去方法
CN101563213B (zh) 用于将后模具部分和前模具部分之间的空腔中模制的透镜脱开(release)的装置和方法
JP2000127173A (ja) タイヤの加硫成形金型および加硫成形方法
CN209920334U (zh) 轮胎硫化模具
CN111319201A (zh) 分离夹具
JP3555982B2 (ja) ゴム製環状品製造用加硫シート、ゴム製環状品の製造方法およびゴム製環状品の製造装置
EP0713756A2 (en) Molding apparatus
CN110614284A (zh) 薄壁网格筋锥形环件的挤压成形方法
JPH0639596A (ja) アンダーカット部を有する粉末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6367270B2 (ja) 型枠用セパレータの位置決め用ブロック体の製造方法
JP2000317569A (ja) 鍛造方法及び鍛造型
CN115284413B (zh) 一种旋转靶材成型模具及旋转靶材的成型方法
JP2002143976A (ja) 窓穴付き歯車及びその歯車の製造方法
CN116353077A (zh) 一种连续复合管管道连接用接头扣压机
TW202128389A (zh) 模製方法及設備
JP2000280370A (ja) エラストマーベルトの製造方法
EP0595588A1 (en) Set of two dies for a crimping tool
JPH09239481A (ja) 鍛造方法
JPH0747575A (ja) 突出部用のアンダ−カット離型処理装置
MX2015003496A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producir pernos ranurados.
KR101119938B1 (ko) 슬라이딩 방식 골프공 몰드 및 이를 이용한 골프공 자동 이형 방법
IE853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lenses from cast mou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