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662A - 롤러 레벨러 - Google Patents

롤러 레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662A
KR20120080662A KR1020127015188A KR20127015188A KR20120080662A KR 20120080662 A KR20120080662 A KR 20120080662A KR 1020127015188 A KR1020127015188 A KR 1020127015188A KR 20127015188 A KR20127015188 A KR 20127015188A KR 20120080662 A KR20120080662 A KR 20120080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traightening
rollers
pitch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4522B1 (ko
Inventor
게이조 아베
도루 아오야마
유타카 구사나기
노부마사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스틸플랜테크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17989A external-priority patent/JP54357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179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156542A/ja
Application filed by 스틸플랜테크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틸플랜테크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0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21B31/10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by horizontally displacing, i.e. horizontal roll chan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21B31/10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by horizontally displacing, i.e. horizontal roll changing
    • B21B31/106Vertical displacement of rolls or roll chocks during horizontal roll chan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5Stretching combined with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교정 롤러의 갯수가 비교적 적은 경우라 해도 비교적 간이의 구성으로,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했을 때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는 교정 롤러의,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를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롤러 레벨러를 제공한다.
롤러 레벨러(1)는,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피치 P1로 배열되는 제1 교정 롤러(4?7)를 가진 제1 롤러군(2)과,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피치 P1으로 배열됨과 동시에 제1 교정 롤러(4?7)에 대해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5개의 제2 교정 롤러(9?13)를 가진 제2 롤러군(3)과, 패스 라인(PL)으로부터 제1 교정 롤러(5, 6)를 대피시키는 제1 대피 기구(29)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제2 교정 롤러(9, 10, 12, 13)를 대피시키는 제2 대피 기구(32, 33)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롤러군(3)은, 제2 교정 롤러(9, 13)에 대해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피치 P1으로 배치되는 제3 교정 롤러(8, 1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롤러 레벨러{Roller leveler}
본 발명은 압연기로 압연된 강판의 휨이나 구부러짐 등을 교정하는 롤러 레벨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압연기로 압연된 강판을 반송하면서 교정하는 롤러 레벨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롤러 레벨러로서,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함으로써 두께에 차이가 있는 후(厚)강판 및 박(薄)강판 둘 다 교정할 수 있는 롤러 레벨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롤러 레벨러는, 강판이 통과하는 패스 라인의 상측에 일정 피치로 배열되는 6개의 상(上)교정 롤러와, 패스 라인의 하측에 상교정 롤러와 같은 피치로 배열되는 7개의 하(下)교정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롤러 레벨러에서는, 상교정 롤러와 하교정 롤러는 패스 라인을 끼우도록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의 상교정 롤러와 하교정 롤러의 피치는 상교정 롤러의 피치의 반으로 되어 있다. 또 이 롤러 레벨러는, 6개의 상교정 롤러 안에서 하나 걸러 하나씩 배치되는 3개의 상교정 롤러를 상승시켜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시키는 대피 기구와, 7개의 하교정 롤러 안에서 하나 걸러 하나씩 배치되는 3개의 하교정 롤러를 하강시켜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시키는 대피 기구와, 7개의 하교정 롤러를 강판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롤러 레벨러에서는, 이하와 같이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하였다. 즉, 이 롤러 레벨러에서는 우선 대피 기구에 의해 6개의 상교정 롤러 중의 3개를 상승시켜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시킴과 동시에, 7개의 하교정 롤러 중의 3개를 하강시켜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대피하지 않은 상교정 롤러와 하교정 롤러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가 불균일해져 강판을 적절하게 교정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롤러 레벨러에서는, 그 후 이동 기구에 의해 상교정 롤러의 피치의 반만큼 7개의 하교정 롤러를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켜, 대피하지 않은 상교정 롤러와 하교정 롤러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를 균일하게 한다.
아울러 교정 롤러를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시키는 대피 기구로서,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백업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측 웨지(고정측 웨지)와, 실린더가 연결되는 가동측 웨지(가동측 웨지)를 구비한 대피 기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이 대피 기구에서는, 고정측 웨지 및 가동측 웨지는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면끼리 서로 당접해 있다. 또 가동측 웨지가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몇개의 상교정 롤러나 하교정 롤러가 패스 라인쪽으로 이동하고 또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한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평5-5735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개소62-203616호 공보 특허문헌 3: 미국특허 제5412968호 명세서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롤러 레벨러에서는,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할 때에 이동 기구에 의해 하교정 롤러를 이동시키지 않으면 대피하지 않은 상교정 롤러와 하교정 롤러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를 균일하게 할 수 없다. 즉, 이 롤러 레벨러에서는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할 때 대피하지 않은 상교정 롤러와 하교정 롤러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이동 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롤러 레벨러에서는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교정 롤러의 갯수가 비교적 적은 경우라 해도 비교적 간이의 구성으로,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했을 때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는 교정 롤러의,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를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롤러 레벨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롤러 레벨러는, 강판을 반송하면서 교정하는 롤러 레벨러에서,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소정의 제1 피치로 배열되는 교정용 n(n은, 4이상의 정수)개의 제1 교정 롤러를 가진 제1 롤러군과,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제1 피치로 배열됨과 동시에 제1 교정 롤러에 대해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교정용 n+1개의 제2 교정 롤러를 가지고, 강판이 통과하는 패스 라인을 사이에 두고 제1 롤러군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롤러군과,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제1 교정 롤러의 개수를 변경하기 위해 패스 라인으로부터 몇개의 제1 교정 롤러를 대피시키는 제1 대피 기구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제2 교정 롤러의 갯수를 변경하기 위해 패스 라인으로부터 몇개의 제2 교정 롤러를 대피시키는 제2 대피 기구를 구비하고, 제2 롤러군은,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 및 하류측 중 적어도 한쪽에서 제2 교정 롤러에 대해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제1 피치 또는 제1 피치의 m배(m은, 2이상의 정수)의 피치로 배치되는 교정용의 제3 교정 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양측에 제3 교정 롤러가 배치되어 있다. 또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 및 하류측 각각에 1개씩의 제3 교정 롤러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롤러 레벨러에서는, 제2 롤러군은 강판의 반송 방향(이하, 「반송 방향」이라고 한다.)에서의 상류측 및 하류측 중 적어도 한쪽에서 제2 교정 롤러에 대해 반송 방향으로 제1 피치 또는 제1 피치의 m배의 피치로 배치되는 교정용의 제3 교정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교정 롤러의 갯수가 비교적 적은 경우라 해도 소정 갯수의 제1 교정 롤러와 소정 갯수의 제2 교정 롤러를 대피시키는 것만으로도, 제3 교정 롤러를 이용하여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는 대피하지 않은 제1 교정 롤러와, 제2 교정 롤러 및 제3 교정 롤러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를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제1 롤러군이 4개의 제1 교정 롤러를 구비하고, 제2 롤러군이 5개의 제2 교정 롤러를 구비하고,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 및 하류측 각각에 제2 교정 롤러에 대해 제1 피치로 1개씩의 제3 교정 롤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에서 2개째와 3개째의 2개의 제1 교정 롤러를 대피시키고,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에서 3개째의 제2 교정 롤러 이외의 4개의 제2 교정 롤러를 대피시키면,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3 교정 롤러와 상류측에서 1개째의 제1 교정 롤러와의 반송 방향의 피치, 상류측에서 1개째의 제1 교정 롤러와 상류측에서 3개째의 제2 교정 롤러와의 반송 방향의 피치, 상류측에서 3개째의 제2 교정 롤러와 상류측에서 4개째의 제1 교정 롤러와의 반송 방향의 피치, 및 상류측에서 4개째의 제1 교정 롤러와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3 교정 롤러와의 반송 방향의 피치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롤러군 혹은 제2 롤러군을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가 없어도 소정 갯수의 제1 교정 롤러와 소정 갯수의 제2 교정 롤러를 대피시키는 것만으로도, 제3 교정 롤러를 이용하여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했을 때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는 교정 롤러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를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 롤러군 혹은 제2 롤러군을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가 불필요하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교정 롤러의 갯수가 비교적 적은 경우라 해도 비교적 간이의 구성으로,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했을 때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는 교정 롤러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를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1 롤러군은 4+3k(k는, 0이상의 정수)개의 제1 교정 롤러를 구비하고, 제2 롤러군은 5+3k개의 제2 교정 롤러를 구비하고, 제3 교정 롤러는 제2 교정 롤러에 대해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제1 피치로 배치되고, 제1 대피 기구는 인접한 2개의 제1 교정 롤러를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시켜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제1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하고, 제2 대피 기구는 인접한 2개의 제2 교정 롤러를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시켜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제2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 및 하류측 각각에 배치되는 제3 교정 롤러가 강판을 교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제1 피치의 3배의 피치로 배열되는 제1 교정 롤러 및 제2 교정 롤러에 의해 강판을 교정할 경우에 제3 교정 롤러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롤러 레벨러는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의 제1 롤러군의 적어도 상류측에서, 강판을 패스 라인상에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 롤러 및 제2 지지 롤러를 구비하고, 제1 지지 롤러와 제2 지지 롤러는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 서로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에 따라 제1 지지 롤러와 제2 지지 롤러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가 변경이 되는 경우라 해도 강판을 패스 라인상에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롤러 레벨러는, 제1 지지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와, 제1 지지 롤러를 패스 라인을 향해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1 지지 롤러를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시키는 제1이동 기구와, 제2 지지 롤러를 패스 라인을 향해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2 지지 롤러를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시키는 제2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제2 지지 부재는 제1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이동 기구는 제1 지지 부재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2 지지 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2 지지 부재 및 제2 이동 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롤러 레벨러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롤러 레벨러에서는, 교정 롤러의 갯수가 비교적 적은 경우라 해도 비교적 간이의 구성으로,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했을 때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는 교정 롤러의,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를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롤러 레벨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E-E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몇개의 상교정 롤러 및 하교정 롤러를 대피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몇개의 상교정 롤러 및 하교정 롤러를 대피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관한 교정 롤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관한 교정 롤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관한 교정 롤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관한 교정 롤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관한 교정 롤러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관한 제2 대피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1의 변형예에 관한 제2 대피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롤러 레벨러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F-F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몇개의 상교정 롤러 및 하교정 롤러를 대피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몇개의 상교정 롤러 및 하교정 롤러를 대피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형태 1]
(롤러 레벨러의 개략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롤러 레벨러(1)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E-E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상교정 롤러(5,6) 및 하교정 롤러(9,10,12,13)를 대피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상교정 롤러(6) 및 하교정 롤러(10)를 대피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형태의 롤러 레벨러(1)는, 압연기로 압연된 판형이나 띠형의 강판(도시 생략)을 반송하면서 교정하는 장치이다. 이 롤러 레벨러(1)는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함으로써 두께에 차이가 있는 후강판 및 박강판 둘 다 교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도 1의 X1방향을 향해 강판이 반송된다. 즉, 본 형태에서는, X1방향은 강판의 반송 방향이다. 또 본 형태에서는, X2방향쪽은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이고, X1방향쪽은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의 하류측이다. 이하에서는 X1방향을 「반송 방향」이라고 한다. 또 X2방향쪽을 「상류측」, X1방향쪽을 「하류측」이라고 한다.
롤러 레벨러(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이 통과하는 패스 라인(PL)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롤러군(2)과, 패스 라인(PL)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롤러군(3)을 구비하고 있다. 즉, 롤러 레벨러(1)는, 패스 라인(PL)을 통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상롤러군(2)과 하롤러군(3)을 구비하고 있다. 상롤러군(2)은, 반송 방향으로 피치 P1으로 배열되는 교정용의 4개의 상교정 롤러(4?7)를 구비하고 있다. 하롤러군(3)은, 반송 방향으로 피치 P1으로 배열되는 교정용의 7개의 하교정 롤러(8?14)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상교정 롤러(4?7) 및 하교정 롤러(8?14)를 통합하여 나타낼 경우에는, 「교정 롤러」라고 표기한다.
상교정 롤러(4?7)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하교정 롤러(8?14)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 상교정 롤러(4?7)와 하교정 롤러(9?13)는 패스 라인(PL)을 끼고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반송 방향에서의 상교정 롤러(4?7)와 하교정 롤러(9?13)의 피치 P2는, 피치 P1의 대략 반으로 되어 있다.
아울러 본 형태의 상교정 롤러(4?7)는 제1 교정 롤러이고, 하교정 롤러(9?13)는 제2 교정 롤러이다. 또 본 형태의 상롤러군(2)은 제1 롤러군이고, 하롤러군(3)은 제2 롤러군이다. 또한 본 형태의 피치 P1은 소정의 제1피치이다. 또 본 형태의 하교정 롤러(8, 14)는,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제2 교정 롤러인 하교정 롤러(9, 13)에 대해 반송 방향으로 제1피치 P1으로 배치되는 제3 교정 롤러이다.
또 롤러 레벨러(1)는, 상교정 롤러(4?7)의 휨을 억제하기 위한 백업 롤러(16?19)와, 하교정 롤러(8?14)의 휨을 억제하기 위한 백업 롤러(20?2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롤러 레벨러(1)는 상롤러군(2)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강판을 패스 라인(PL)상에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 롤러(30) 및 제2 지지 롤러(31)와, 상교정 롤러(5, 6)를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시키는 제1 대피 기구로서의 대피 기구(29)와, 하교정 롤러(9,10,12,13)를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시키는 제2 대피 기구로서의 대피 기구(32, 33)를 구비하고 있다.
백업 롤러(16?19)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백업 롤러(16?19)의 각각은 상교정 롤러(4?7) 각각의 상단측에 당접해 있으며 상교정 롤러(4?7) 각각의 휨을 억제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6)의 축방향에서 소정의 피치로 복수의 백업 롤러(18)가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교정 롤러(6)의 축방향에서 복수의 백업 롤러(18)가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교정 롤러(4, 5, 7)의 축방향에서 소정의 피치로 복수의 백업 롤러(16,17,19)가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백업 롤러(20?26)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백업 롤러(20?26)의 각각은 하교정 롤러(8?14) 각각의 하단측에 당접해 있으며 하교정 롤러(8?14) 각각의 휨을 억제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교정 롤러(10)의 축방향에서 소정의 피치로 복수의 백업 롤러(22)가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교정 롤러(10)의 축방향에서 복수의 백업 롤러(22)가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교정 롤러(8, 9, 11?14)의 축방향에서 소정의 피치로 복수의 백업 롤러(20, 21, 23?26)가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 지지 롤러(30)와 제2 지지 롤러(31)는 반송 방향에서 서로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롤러군(2)의 상류측에서는 제1 지지 롤러(30)가 제2 지지 롤러(31)보다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롤러군(2)의 하류측에서는 제1 지지 롤러(30)가 제2 지지 롤러(31)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지지 롤러(30)는 레버 형태로 형성된 제1 지지 부재(40)의 일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40)는 롤러 레벨러(1)의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제1 지지 부재(40)의 타단측에는 제1이동 기구로서의 실린더(도시 생략)의 로드 끝단측이 설치되어 있고, 이 실린더의 본체측은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이 실린더가 동작하면 제1 지지 부재(40)가 회동하여 제1 지지 롤러(30)가 패스 라인(PL)을 향해 이동하고(도 3의 실선 참조), 또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한다(도 3의 2점 쇄선 참조). 아울러 제1 지지 롤러(30)는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등에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한다.
제2 지지 롤러(31)는, 레버 형태로 형성된 제2 지지 부재(41)의 일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41)는, 제1 지지 부재(4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제2 지지 부재(41)의 타단측에는, 제2 이동 기구로서의 실린더(도시 생략)의 로드 끝단측이 설치되어 있고, 이 실린더의 본체측은 제1 지지 부재(40)에 설치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제1 지지 롤러(30)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한 상태에서 이 실린더가 동작한다. 또 이 실린더가 동작하면 제2 지지 부재(41)가 회동하여 제2 지지 롤러(31)가 패스 라인(PL)을 향해 이동하며(도 1의 실선 참조), 또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한다(도 1의 2점쇄선 참조). 아울러 제2 지지 롤러(3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교적 얇은 강판이 교정되지 않을 때 등에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한다.
도 3의 실선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상롤러군(2)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1 지지 롤러(30)가 패스 라인(PL) 쪽에 배치되어 있을 때의 제1 지지 롤러(30)와 하교정 롤러(8)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 P3는 피치 P1의 대략 1.5배가 된다. 마찬가지로 상롤러군(2)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1 지지 롤러(30)가 패스 라인(PL) 쪽에 배치되어 있을 때 제1 지지 롤러(30)와 하교정 롤러(14)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 P3는 피치 P1의 대략 1.5배가 된다.
또 도 1의 실선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롤러군(2)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 롤러(31)가 패스 라인(PL) 쪽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제2 지지 롤러(31)는 하교정 롤러(8)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롤러군(2)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 지지 롤러(31)가 패스 라인(PL) 쪽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제1 지지 롤러(31)는 하교정 롤러(14)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대피 기구(29)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업 롤러(17,1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36)에 고정되는 1개의 고정측 웨지(37)와, 실린더(38)가 연결되는 1개의 가동측 웨지(39)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측 웨지(37)와 가동측 웨지(39)는 그 경사면끼리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아울러 백업 롤러(16,19)는 상롤러(4?7)가 탑재되는 상롤러 캐리지(34)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실린더(38)의 로드가 돌출되어 있을 때에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업 롤러(17,18)가 하강되어 있으며 상교정 롤러(5,6)는 패스 라인(PL) 쪽에 배치되어 있다. 반면 실린더(38)의 로드가 들어가 있을 때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업 롤러(17,18)는 상승되어 있으며 상교정 롤러(5,6)는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되어 있다. 아울러 대피 기구(29)는 상교정 롤러(5, 6)의 베어링부를 상방향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실린더(도시 생략) 등의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교정 롤러(5, 6)를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시킬 때에는 이 실린더가 동작하여 상교정 롤러(5, 6)가 상승한다.
대피 기구(32)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업 롤러(21,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3)에 고정되는 1개의 고정측 웨지(44)와, 실린더(45)가 연결되는 1개의 가동측 웨지(46)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측 웨지(44)와 가동측 웨지(46)는 그 경사면끼리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실린더(45)의 로드가 돌출되어 있을 때에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업 롤러(21,22)가 상승되어 있고 하교정 롤러(9,10)는 패스 라인(PL) 쪽에 배치되어 있다. 반면 실린더(45)의 로드가 들어가 있을 때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업 롤러(21,22)는 하강되어 있고 하교정 롤러(9,10)는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되어 있다.
대피 기구(33)는 대피 기구(32)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대피 기구(33)는 백업 롤러(24,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7)에 고정되는 1개의 고정측 웨지(44)와, 실린더(45)가 연결되는 1개의 가동측 웨지(46)를 구비하고 있다. 대피 기구(32)와 마찬가지로, 실린더(45)의 로드가 돌출되어 있을 때에는 백업 롤러(24,25)는 상승되어 있고, 하교정 롤러(12,13)는 패스 라인(PL) 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실린더(45)의 로드가 들어가 있을 때에는 백업 롤러(24,25)는 하강되어 있고, 하교정 롤러(12,13)는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되어 있다. 아울러 백업 롤러(20, 23, 26)는 하교정 롤러(8?14)가 탑재되는 프레임(3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강판 교정시의 교정 롤러의 배치)
이상과 같이 구성된 롤러 레벨러(1)에서는, 비교적 얇은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와, 비교적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가 다르다. 즉, 비교적 얇은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와, 비교적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가 다르다.
비교적 얇은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상교정 롤러(4?7) 및 하교정 롤러(8?14)가 패스 라인(PL) 쪽에 배치된다. 이 때에는 상교정 롤러(4?7) 및 하교정 롤러(9?13)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즉, 이 때에는 교정에 사용되는 상교정 롤러(4?7)의 피치 및 하교정 롤러(9?13)의 피치는 피치 P1이다. 또 비교적 얇은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1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롤러(30)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하고, 제2 지지 롤러(31)가 패스 라인(PL) 쪽에 배치된다. 이 때에는 제2 지지 롤러(31)가 상롤러군(2)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강판을 패스 라인(PL)상에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반면 비교적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4,7)가 패스 라인(PL) 쪽에 배치되고, 상교정 롤러(5,6)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한다. 또 하교정 롤러(8,11,14)가 패스 라인(PL) 쪽에 배치되고, 하교정 롤러(9,10,12,13)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한다. 즉, 이 때에는 인접한 2개의 상교정 롤러(5,6), 하교정 롤러(9,10) 및 하교정 롤러(12,13)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한다.
또 이 때에는, 상교정 롤러(4,7) 및 하교정 롤러(8,11,14)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즉,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상교정 롤러(4,7)의 피치 P4 및 하교정 롤러(8,11,14)의 피치 P4는, 피치 P1의 3배가 된다. 또 반송 방향에서의 하교정 롤러(8)와 상교정 롤러(4)의 피치 P5, 상교정 롤러(4)와 하교정 롤러(11)의 피치 P5, 하교정 롤러(11)와 상교정 롤러(7)의 피치 P5 및 상교정 롤러(7)와 하교정 롤러(14)의 피치 P5는, 피치 P1의 1.5배가 된다.
또 비교적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3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롤러(30)가 패스 라인(PL) 쪽에 배치되고, 제2 지지 롤러(31)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한다. 즉, 이 때에는 제1 지지 롤러(30)가 상롤러군(2)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강판을 패스 라인(PL) 상에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본 형태의 주요 효과)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형태에서는 상교정 롤러(4?7)에 대해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하교정 롤러(9?13)에 추가하여 하교정 롤러(9)의 상류측에 하교정 롤러(8)가 배치되고, 하교정 롤러(13)의 하류측에 하교정 롤러(14)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교정 롤러의 합계 갯수가 11개로 비교적 적은 경우라 해도 상교정 롤러(5,6)와 하교정 롤러(9,10,12,13)를 대피시키는 것만으로도, 하교정 롤러(8,14)를 이용하여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는 상교정 롤러(4,7)와 하교정 롤러(8,11,14)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를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형태에서는, 하롤러군(3)을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종래와 같은 이동 기구가 없어도 하교정 롤러(8,14)를 이용하여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는 상교정 롤러(4,7)와 하교정 롤러(8,11,14)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를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교정 롤러의 갯수가 비교적 적은 경우라 해도 비교적 간이의 구성으로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했을 때의, 상교정 롤러(4,7)와 하교정 롤러(8,11,14)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를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상롤러군(2)은 4개의 상교정 롤러(4?7)를 구비하고, 하롤러군(3)은 7개의 하교정 롤러(8?14)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적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가장 상류측에 배치되는 하교정 롤러(8) 및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하교정 롤러(14)가 강판을 교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피치 P1의 3배의 피치 P4로 배열되는 상교정 롤러(4,7) 및 하교정 롤러(8,11,14)를 사용하여 강판을 교정할 경우에 가장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되는 하교정 롤러(8,14)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상롤러군(2)가 5개의 상교정 롤러를 구비하고, 하롤러군(3)이 8개의 하교정 롤러를 구비할 경우에는, 피치 P1의 3배의 피치 P4로 배열되는 상교정 롤러 및 하교정 롤러를 사용하여 강판을 교정할 때, 가장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배치되는 하교정 롤러는 강판을 교정하는 기능을 담당하지 않는다. 즉, 이 때에는 가장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배치되는 하교정 롤러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 이에 반해 본 형태에서는, 피치 P1의 3배의 피치 P4로 배열되는 상교정 롤러(4,7) 및 하교정 롤러(8,11,14)를 사용하여 강판을 교정할 경우에 가장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되는 하교정 롤러(8,14)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롤러 레벨러(1)의 구성을 간소화하면서 피치 P1의 3배의 피치 P4로 배열되는 상교정 롤러(4,7) 및 하교정 롤러(8,11,14)에서 강판을 교정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제1 지지 롤러(30)와 제2 지지 롤러(31)는 반송 방향에서 서로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적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제1 지지 롤러(30)를 이용하여 강판을 패스 라인(PL) 상에 지지할 수 있게 되고, 비교적 얇은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제2 지지 롤러(31)를 이용하여 강판을 패스 라인(PL) 상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에 따라 제1 지지 롤러(30)와 제2 지지 롤러(31)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교정 롤러의 피치가 변경이 되는 경우라 해도 강판을 패스 라인(PL) 상에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형태에서는, 제2 지지 부재(41)는 제1 지지 부재(40)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2 지지 부재(41)에 로드의 끝단측이 설치되는 실린더의 본체측도 제1 지지 부재(40)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제2 지지 부재(41) 및 이 실린더를 설치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롤러 레벨러(1)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교정 롤러 갯수의 변형예)
실시형태 1에서는, 상롤러군(2)은 4개의 상교정 롤러(4?7)를 구비하고, 하롤러군(3)은 7개의 하교정 롤러(8?14)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롤러군(2)이 구비한 상교정 롤러의 갯수는 4개로 한정되지는 않고 또 하롤러군(3)이 구비한 하교정 롤러의 갯수는 7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롤러군(2)이 7개의 상교정 롤러(4?7, 51?53)를 구비하고, 하롤러군(3)이 10개의 하교정 롤러(8?14,61?63)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교정 롤러(4?7, 51?53)와 하교정 롤러(9?13, 61?63)가 패스 라인(PL)을 끼고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된다.
또 이 경우에는 비교적 얇은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4?7, 51?53) 및 하교정 롤러(9?13, 61?63)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또 비교적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5, 6, 51, 52)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함과 동시에 하교정 롤러(9,10,12,13,62,63)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하여 상교정 롤러(4,7,53) 및 하교정 롤러(8,11,61,14)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또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롤러군(2)이 8개의 상교정 롤러(4?7, 51?54)를 구비하고, 하롤러군(3)이 11개의 하교정 롤러(8?14, 61?64)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교정 롤러(4?7, 51?54)와 하교정 롤러(9?13, 61?64)가 패스 라인(PL)을 끼고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된다.
또 이 경우에는 비교적 얇은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4?7, 51?54) 및 하교정 롤러(9?13, 61?64)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또 비교적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5, 6, 51, 52, 54)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함과 동시에 하교정 롤러(9, 10, 12, 13, 62, 63)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하여 상교정 롤러(4, 7, 53) 및 하교정 롤러(8, 11, 61, 64)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또한 더욱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4,6,7,51,52,54)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함과 동시에 하교정 롤러(9?12, 61?64)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하여 상교정 롤러(5, 53) 및 하교정 롤러(8, 13, 14)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롤러군(2)가 10개의 상교정 롤러(4?7, 51?56)를 구비하고, 하롤러군(3)이 13개의 하교정 롤러(8?14, 61?66)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교정 롤러(4?7, 51?56)와 하교정 롤러(9?13, 61?66)가 패스 라인(PL)을 끼고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된다.
또 이 경우에는 비교적 얇은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4?7, 51?56) 및 하교정 롤러(9?13, 61?66)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또 비교적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5, 6, 51, 52, 54, 55)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함과 동시에 하교정 롤러(9,10,12,13,62,63,65,66)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하여 상교정 롤러(4,7,53,56) 및 하교정 롤러(8,11,61,64,14)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또 더욱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4, 6, 7, 51, 52, 54?56)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함과 동시에 하교정 롤러(9?12, 61?64, 66)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하여 상교정 롤러(5, 53) 및 하교정 롤러(8, 13, 65)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아울러 도 1,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롤러군(2)의 상교정 롤러의 갯수가 4+3k(k는, 0이상의 정수)개이고, 또한 하롤러군(3)의, 상교정 롤러에 대해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하교정 롤러의 갯수가 5+3k개인 경우에는, 도 3, 도 5(B), 도 7(B)와 같이 인접한 2개의 상교정 롤러 및 인접한 2개의 하교정 롤러를 대피시키면, 가장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3 교정 롤러로서의 하교정 롤러(8) 및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3 교정 롤러로서의 하교정 롤러(14)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아울러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 롤러가 배치되는 경우, 및/또는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 롤러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하교정 롤러(14)는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하교정 롤러(14)를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시켜도 좋다.
(제3 교정 롤러 배치의 변형예)
실시형태 1에서는, 상교정 롤러(4?7)에 대해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제2 교정 롤러로서의 하교정 롤러(9?13)의 상류측 및 하류측 각각에 제3 교정 롤러로서의 하교정 롤러(8, 14)가 배치되어 있는데, 제2 교정 롤러로서의 하교정 롤러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의 한쪽에만 제3 교정 롤러로서의 하교정 롤러가 배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4?7, 51)에 대해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하교정 롤러(9?13, 61)의 상류측에만 제3 교정 롤러로서의 하교정 롤러(8)가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비교적 얇은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4?7, 51) 및 하교정 롤러(9?13, 61)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또 비교적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5, 6, 51)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함과 동시에 하교정 롤러(9, 10, 12, 13)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하여 상교정 롤러(4, 7) 및 하교정 롤러(8, 11, 61)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실시형태 1에서는, 상교정 롤러(4?7)에 대해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제2 교정 롤러로서의 하교정 롤러(9?13)의 상류측 및 하류측 각각에 제3 교정 롤러로서의 하교정 롤러(8, 14)가 1개씩 배치되어 있는데, 제2 교정 롤러로서의 하교정 롤러의 상류측 및 하류측 각각에 제3 교정 롤러로서의 하교정 롤러가 2개 이상 배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4?7, 51, 52)에 대해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하교정 롤러(9?13, 61, 62)의 상류측에 제3 교정 롤러로서의 2개의 하교정 롤러(68, 8)가 배치되고, 하교정 롤러(9?13, 61, 62)의 하류측에 제3 교정 롤러로서의 2개의 하교정 롤러(14, 69)가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비교적 얇은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4?7, 51, 52) 및 하교정 롤러(9?13, 61, 62)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또 비교적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5, 6, 51, 52)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함과 동시에 하교정 롤러(9, 10, 12, 13, 62)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하여 상교정 롤러(4, 7) 및 하교정 롤러(8, 11, 61)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또 더욱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5?7, 51)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함과 동시에 하교정 롤러(8?11, 13, 61, 62, 14)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하여 상교정 롤러(4, 52) 및 하교정 롤러(68, 12, 69)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아울러 도 9에 도시한 교정 롤러의 배치에서, 하교정 롤러(8, 14)가 없어도 좋다. 즉, 제3 교정 롤러로서의 하교정 롤러(68)가, 가장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2 교정 롤러로서의 하교정 롤러(9)에 대해 피치 P1의 2배의 피치로 배치되고, 제3 교정 롤러로서의 하교정 롤러(69)가,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 교정 롤러로서의 하교정 롤러(62)에 대해 피치 P1의 2배의 피치로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도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5?7, 51)와 하교정 롤러(8?11, 13)를 대피시키는 것만으로도, 하교정 롤러(68, 69)를 이용하여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는 상교정 롤러(4, 52)와 하교정 롤러(68, 12, 69)의 반송 방향에서의 피치를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교정 롤러가, 가장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2 교정 롤러에 대해 피치 P1의 3배의 피치로 배치됨과 동시에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 교정 롤러에 대해 피치 P1의 3배의 피치로 배치되어도 좋다. 즉, 제3 교정 롤러가 가장 상류측에 배치되는 제2 교정 롤러에 대해 피치 P1의 m배(m은, 2이상의 정수)의 피치로 배치됨과 동시에 가장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 교정 롤러에 대해 피치 P1의 m배의 피치로 배치되어도 좋다.
(기타 변형예)
실시형태 1에서는, 상롤러군(2)은 4개의 상교정 롤러(4?7)를 구비하고, 하롤러군(3)은 7개의 하교정 롤러(8?14)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롤러군(2)이 7개의 상교정 롤러를 구비하고, 하롤러군(3)이 4개의 하교정 롤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실시형태 1에서는, 하교정 롤러(9, 10, 12, 13)를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시키는 제2 대피 기구로서의 대피 기구(32, 33)는, 1개의 고정측 웨지(44) 및 1개의 가동측 웨지(46)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2 대피 기구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대략 V형상이 되는 경사면을 가진 1개의 고정측 웨지(74) 및 2개의 가동측 웨지(76) 등으로 구성되는 대피 기구(72)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2개의 가동측 웨지(76)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되고 2개의 가동측 웨지(76)의 각각에 실린더(75)가 연결된다. 또 제2 대피 기구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유압식 등의 실린더(85)로 구성되는 대피 기구(86)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1에서는, 상교정 롤러(5, 6)를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시키는 제1 대피 기구로서의 대피 기구(29)는 1개의 고정측 웨지(37) 및 1개의 가동측 웨지(39)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 대피 기구는, 도 10에 도시한 대피 기구(72)와 마찬가지로 1개의 고정측 웨지(74) 및 2개의 가동측 웨지(76) 등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제1 대피 기구는, 도 11에 도시한 대피 기구(86)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실린더(85)로 구성되어도 좋다. 아울러 제1 대피 기구의 형식과 제2 대피 기구의 형식이 달라도 좋다.
실시형태 1 및 도 10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가동측 웨지(39, 46, 76)에 실린더(38, 45, 75)가 연결되어 있는데, 가동측 웨지(39, 46, 76)에 모터 등 다른 구동원이 연결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1에서는 롤러 레벨러(1)는, 강판을 패스 라인(PL) 상에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 롤러(30) 및 제2 지지 롤러(31)를 구비하고 있는데, 롤러 레벨러(1)는 제1 지지 롤러(30)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즉, 롤러 레벨러(1)는 제2 지지 롤러(31)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실시형태 2]
(롤러 레벨러의 개략 구성)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롤러 레벨러(101)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F-F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상교정 롤러(5, 6) 및 하교정 롤러(9, 10, 12, 13)를 대피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상교정 롤러(5) 및 하교정 롤러(9)를 대피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2의 롤러 레벨러(101)와 실시형태 1의 롤러 레벨러(1)에서는, 교정 롤러를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시키는 대피 기구의 구성이 다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 차이점을 중심으로 실시형태 2의 롤러 레벨러(101)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서는 롤러 레벨러(1)의 구성과 공통된 롤러 레벨러(101)의 구성에 동일 부호를 붙임과 동시에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롤러 레벨러(101)는 롤러 레벨러(1)와 마찬가지로 상롤러군(2)과 하롤러군(3)을 구비하고 있다. 상롤러군(2)은 4개의 상교정 롤러(4?7)를 구비하고, 하롤러군(3)은 7개의 하교정 롤러(8?14)를 구비하고 있다. 또 롤러 레벨러(101)는 롤러 레벨러(1)와 마찬가지로 백업 롤러(16?2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롤러 레벨러(1)는, 상교정 롤러(5, 6)를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시키는 제1 대피 기구(129)와, 하교정 롤러(9, 10)를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시키는 제2 대피 기구(130)와, 하교정 롤러(12, 13)를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시키는 제2 대피 기구(131)를 구비하고 있다.
백업 롤러(16?19)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소정의 피치 P6로 복수의 백업 롤러(17)가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복수의 백업 롤러(17)가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피치 P6로 복수의 백업 롤러(16, 18, 19)가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 백업 롤러(16?19)의 각각은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서로 대략 같은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즉, 백업 롤러(16?19)의 각각은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서로 겹치도록 배열되어 있다.
백업 롤러(20?26)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을 향해 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피치 P6로 복수의 백업 롤러(21)가 배열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복수의 백업 롤러(21)가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피치 P6로 복수의 백업 롤러(20, 22?26)가 갈짓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 백업 롤러(20?26)의 각각은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서로 대략 같은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즉, 백업 롤러(20?26)의 각각은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서로 겹치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 백업 롤러(16?19)의 각각과 백업 롤러(20?26)의 각각은,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대략 같은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즉,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백업 롤러(16?19)의 각각과 백업 롤러(20?26)의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열되어 있다.
백업 롤러(16?26)의 각각은 고정축(132, 도 13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백업 롤러(16)를 지지하는 고정축(132)은 축 지지 프레임(134)에 지지되고, 백업 롤러(19)를 지지하는 고정축(132)은 축 지지 프레임(135)에 지지되어 있다. 백업 롤러(17)를 지지하는 고정축(132) 및 백업 롤러(18)를 지지하는 고정축(132)은 축 지지 프레임(136)에 지지되어 있다. 백업 롤러(20)를 지지하는 고정축(132)은 축 지지 프레임(137)에 지지되고, 백업 롤러(23)를 지지하는 고정축(132)은 축 지지 프레임(138)에 지지되고, 백업 롤러(26)를 지지하는 고정축(132)은 축 지지 프레임(139)에 지지되어 있다. 백업 롤러(21)를 지지하는 고정축(132) 및 백업 롤러(22)를 지지하는 고정축(132)은 축 지지 프레임(140)에 지지되고, 백업 롤러(24)를 지지하는 고정축(132) 및 백업 롤러(25)를 지지하는 고정축(132)은 축 지지 프레임(141)에 지지되어 있다.
축 지지 프레임(134,135)은 상교정 롤러(4?7)가 탑재되는 상롤러 캐리지(143)에 고정되고, 축 지지 프레임(136)은 상롤러 캐리지(143)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 지지 프레임(137?139)은 하교정 롤러(8?14)가 탑재되는 하롤러 프레임(144)에 고정되고, 축 지지 프레임(140,141)은 하롤러 프레임(144)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 지지 프레임(136)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축(132)의 양단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축 지지부(136a)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축 지지 프레임(136)에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피치 P6로 복수의 축 지지부(136a)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축 지지 프레임(140)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축(132)의 양단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축 지지부(140a)가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피치 P6로 형성되어 있다. 또 축 지지 프레임(134, 135, 137?139, 141)에도 고정축(132)의 양단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축 지지부가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피치 P6로 형성되어 있다.
축 지지 프레임(134, 135)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 및 축 지지부(136a)의 각각은,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서로 대략 같은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즉, 축 지지 프레임(134, 135)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 및 축 지지부(136a)의 각각은,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서로 겹치도록 배열되어 있다. 축 지지 프레임(137?139, 141)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 및 축 지지부(140a)의 각각은,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서로 대략 같은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즉, 축 지지 프레임(137?139, 141)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 및 축 지지부(140a)의 각각은,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서로 겹치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 축 지지 프레임(134, 135)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 및 축 지지부(136a)의 각각과, 축 지지 프레임(137?139, 141)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 및 축 지지부(140a)의 각각은,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대략 같은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즉,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축 지지 프레임(134, 135)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 및 축 지지부(136a)의 각각과, 축 지지 프레임(137?139, 141)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 및 축 지지부(140a)의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1 대피 기구(129)는, 빗살 모양으로 형성되는 고정측 요철 부재(147)와, 빗살 모양으로 형성되는 가동측 요철 부재(148)와, 실린더(149, 150)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대피 기구(130)와 제2 대피 기구(131)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대피 기구(129)와 마찬가지로 제2 대피 기구(130, 131)도 빗살 모양으로 형성되는 고정측 요철 부재(151)와, 빗살 모양으로 형성되는 가동측 요철 부재(152)와, 실린더(153, 15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대피 기구(129) 및 제2 대피 기구(130, 131)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롤러 레벨러(101)에서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비교적 얇은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상교정 롤러(4?7) 및 하교정 롤러(8?14)가 패스 라인(PL) 쪽에 배치된다. 이 때에는 상교정 롤러(4?7) 및 하교정 롤러(9?13)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반면 비교적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4, 7)가 패스 라인(PL) 쪽에 배치되고 상교정 롤러(5, 6)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한다. 또 하교정 롤러(8, 11, 14)가 패스 라인(PL) 쪽에 배치되고 하교정 롤러(9, 10, 12,13)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한다. 또 이 때에는 상교정 롤러(4, 7) 및 하교정 롤러(8, 11, 14)가 강판의 교정에 사용된다.
아울러 비교적 두꺼운 강판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제1 대피 기구(129)가 상교정 롤러(5, 6)를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시키고, 제2 대피 기구(130)가 하교정 롤러(9, 10)를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시키고, 제2 대피 기구(131)가 하교정 롤러(12, 13)를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시킨다.
(제1 대피 기구 및 제2 대피 기구의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대피 기구(129)는 고정측 요철 부재(147)와, 가동측 요철 부재(148)와, 실린더(149, 150)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측 요철 부재(147)는, 상롤러 캐리지(143)의 상프레임(143a)에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측 요철 부재(147)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147a)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147a)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피치 P6로 배열되어 있다. 또 고정측 볼록부(147a)의 각각과, 축 지지 프레임(134, 135)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 및 축 지지부(136a)의 각각은,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대략 같은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즉,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고정측 볼록부(147a)의 각각은, 축 지지 프레임(134, 135)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 및 축 지지부(136a)의 각각과 상하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열되어 있다.
고정측 볼록부(147a)는,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직사각형이 되는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147a) 각각의 크기는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고정측 볼록부(147a)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고정측 볼록부(147a)를 제외하고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교정 롤러의 축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고정측 볼록부(147a)는 다른 고정측 볼록부(147a)보다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의 폭이 좁아져 있다. 고정측 볼록부(147a)의 끝단(하단)은 상하 방향으로 대략 직교되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측 볼록부(147a)의 끝단은 고정측 당접면(147b)으로 되어 있다.
가동측 요철 부재(148)는 축 지지 프레임(136)의 상면에 당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의 가동측 요철 부재(148)의 일단에는 이동 기구로서의 실린더(149)가 연결되어 있고, 가동측 요철 부재(148)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가동측 요철 부재(148)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동측 볼록부(148a)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가동측 볼록부(148a)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피치 P6로 배열되어 있다.
가동측 볼록부(148a)는,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직사각형이 되는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복수의 가동측 볼록부(148a) 각각의 크기는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가동측 볼록부(148a)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가동측 볼록부(148a)를 제외하고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교정 롤러의 축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가동측 볼록부(148a)는 다른 가동측 볼록부(148a)보다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의 폭이 좁아져 있다. 가동측 볼록부(148a)의 끝단(상단)은 상하 방향에서 대략 직교하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측 볼록부(148a)의 끝단은 가동측 당접면(148b)으로 되어 있다.
실린더(150)는, 상교정 롤러(5, 6)의 축방향의 양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150)의 로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교정 롤러(5, 6)의 양단측 각각을 지지하는 베어링부(156)에 연결되어 있다. 또 실린더(150)의 본체측은 하방향을 향해 로드가 돌출되도록 상롤러 캐리지(143)에 고정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상교정 롤러(5, 6)가 패스 라인(PL) 쪽에 있을 때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당접면(147b)과 가동측 당접면(148b)이 당접해 있다. 또 상교정 롤러(5, 6)를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시킬 때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49)의 동력으로 가동측 요철 부재(148)가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측 볼록부(147a)의 사이로 가동측 볼록부(148a)가 이동하고, 가동측 볼록부(148a)의 사이로 고정측 볼록부(147a)가 이동한다. 또 실린더(150)에 의해 상교정 롤러(5, 6)가 끌어 올려져 상교정 롤러(5, 6)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한다. 즉, 상교정 롤러(5, 6)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했을 때에는 고정측 볼록부(147a)의 사이에 가동측 볼록부(148a)가 배치되고, 가동측 볼록부(148a)의 사이에 고정측 볼록부(147a)가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대피 기구(130, 131)는, 고정측 요철 부재(151)와, 가동측 요철 부재(152)와, 실린더(153, 154)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측 요철 부재(151)는 하롤러 프레임(144)의 저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측 요철 부재(151)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151a)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151a)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피치 P6로 배열되어 있다. 또 고정측 볼록부(151a)의 각각과, 축 지지 프레임(137?139, 141)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 및 축 지지부(140a)의 각각은,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대략 같은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즉,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고정측 볼록부(151a)의 각각은, 축 지지 프레임(137?139, 141)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 및 축 지지부(140a)의 각각과 상하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열되어 있다.
고정측 볼록부(151a)는,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직사각형이 되는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151a) 각각의 크기는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고정측 볼록부(151a)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고정측 볼록부(151a)를 제외하고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교정 롤러의 축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고정측 볼록부(151a)는 다른 고정측 볼록부(151a)보다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의 폭이 좁아져 있다. 고정측 볼록부(151a)의 끝단(상단)은 상하 방향에서 대략 직교하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측 볼록부(151a)의 끝단은 고정측 당접면(151b)으로 되어 있다.
가동측 요철 부재(152)는, 축 지지 프레임(140,141)의 하면에 당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의 가동측 요철 부재(152)의 일단에는 이동 기구로서의 실린더(153)가 연결되어 있고, 가동측 요철 부재(152)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가동측 요철 부재(152)는 축 지지 프레임(140, 141)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측 요철 부재(152)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동측 볼록부(152a)가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가동측 볼록부(152a)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피치 P6로 배열되어 있다.
가동측 볼록부(152a)는,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직사각형이 되는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복수의 가동측 볼록부(152a) 각각의 크기는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가동측 볼록부(152a)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가동측 볼록부(152a)를 제외하고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교정 롤러의 축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가동측 볼록부(152a)는, 다른 가동측 볼록부(152a)보다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의 폭이 좁아져 있다. 가동측 볼록부(152a)의 끝단(하단)은 상하 방향에서 대략 직교하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측 볼록부(152a)의 끝단은 가동측 당접면(152b)으로 되어 있다.
실린더(154)는, 하교정 롤러(9,10,12,13)의 축방향의 양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154)의 로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의 축 지지 프레임(140, 141)의 양단측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또 실린더(154)의 본체측은, 상방향을 향해 로드가 돌출되도록 하롤러 프레임(144)에 고정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하교정 롤러(9,10,12,13)가 패스 라인(PL) 쪽에 있을 때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당접면(151b)과 가동측 당접면(152b)이 당접해 있다. 또 하교정 롤러(9, 10, 12, 13)를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시킬 때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53)의 동력으로 가동측 요철 부재(152)가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측 볼록부(151a)의 사이로 가동측 볼록부(152a)가 이동하고, 가동측 볼록부(152a)의 사이로 고정측 볼록부(151a)가 이동한다. 또 하교정 롤러(9,10,12,13)가 실린더(154)의 밀어올리는 힘과 균형을 잡으면서 자중으로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한다. 즉, 하교정 롤러(9, 10, 12, 13)가 패스 라인(PL)으로부터 대피하였을 때에는 고정측 볼록부(151a)의 사이에 가동측 볼록부(152a)가 배치되고, 가동측 볼록부(152a)의 사이에 고정측 볼록부(151a)가 배치되어 있다.
(본 형태의 주요 효과)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형태에서는, 상교정 롤러(5, 6)가 패스 라인(PL) 쪽에 있을 때에는, 상하 방향에서 대략 직교하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측 당접면(147b)과 가동측 당접면(148b)이 당접해 있다. 또 하교정 롤러(9,10,12,13)가 패스 라인(PL) 쪽에 있을 때에는, 상하 방향에서 대략 직교하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측 당접면(151b)과 가동측 당접면(152b)이 당접해 있다. 즉, 강판을 교정할 때에는 고정측 당접면(147b)과 가동측 당접면(148b)이 당접하고, 고정측 당접면(151b)과 가동측 당접면(152b)이 당접해 있다. 따라서 만일 강판의 교정시에 상하 방향의 크기가 대략 동일한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147a) 및 가동측 볼록부(148a)의 각각에 같은 크기의 교정 반력이 작용한다고 하면,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147a) 및 가동측 볼록부(148a)의 강판의 교정시 변형량을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만일 강판의 교정시에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151a) 및 가동측 볼록부(152a)의 각각에 같은 크기의 교정 반력이 작용한다고 하면,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151a) 및 가동측 볼록부(152a)의 강판의 교정시 변형량을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147a, 151a) 및 가동측 볼록부(148a, 152a)의 강판의 교정시 변형량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형태에서는 교정 반력이 작용하는 부재의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의 변형량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본 형태에서는 패스 라인(PL)으로부터 상교정 롤러(5, 6) 및 하교정 롤러(9, 10, 12, 13)가 대피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도 강판을 교정할 때 상하 방향에서의 교정 롤러의 간극(間隙)이 교정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서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형태에서는, 패스 라인(PL)의 상하 양측에서, 교정 반력이 작용하는 부재의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의 변형량이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강판을 교정할 때 상하 방향에서의 교정 롤러의 간극이 교정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서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형태에서는,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고정측 볼록부(147a)는 축 지지부(136a)와 상하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백업 롤러(17, 18)에 작용하는 교정 반력이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147a) 및 가동측 볼록부(148a)에 직접적으로 쉽게 걸린다. 특히 본 형태에서는, 고정측 볼록부(147a)와 축 지지부(136a)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같은 피치 P6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백업 롤러(17, 18)에 작용하는 교정 반력이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147a) 및 가동측 볼록부(148a)에 직접적으로 걸린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교정 반력이 백업 롤러(17, 18)에 작용했을 때의 축 지지 프레임(136)이나 가동측 요철 부재(148) 등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본 형태에서는,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고정측 볼록부(151a)는 축 지지 프레임(141)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 및 축 지지부(140a)와 상하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열되고, 또한 축 지지 프레임(141)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 및 축 지지부(140a)와 고정측 볼록부(151a)가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같은 피치 P6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백업 롤러(21,22,24,25)에 작용하는 교정 반력이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151a) 및 가동측 볼록부(152a)에 직접적으로 걸린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교정 반력이 백업 롤러(21,22,24,25)에 작용했을 때의 축 지지 프레임(140, 141)이나 가동측 요철 부재(152) 등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 2의 변형예)
실시형태 2에서는, 제1 대피 기구(129)는 고정측 요철 부재(147)와, 가동측 요철 부재(148)와, 실린더(149, 150)로 구성되고, 제2 대피 기구(130, 131)는 고정측 요철 부재(151)와, 가동측 요철 부재(152)와, 실린더(153, 154)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 대피 기구(129) 또는 제2 대피 기구(130, 131) 중 어느 한쪽이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고정측 웨지 및 가동측 웨지 등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2에서는, 고정측 볼록부(147a)와 축 지지부(136a)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 같은 피치 P6로 배열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고정측 볼록부(147a)가 피치 P6의 반 정도의 피치로 배열되고, 축 지지부(136a)가 피치 P6로 배열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가동측 볼록부(148a)는, 예를 들면 피치 P6의 반 정도의 피치로 배열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고정측 볼록부(151a)가 피치 P6의 반 정도의 피치로 배열되고, 축 지지 프레임(141)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 및 축 지지부(140a)가 피치 P6로 배열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가동측 볼록부(152a)는, 예를 들면 피치 P6의 반 정도의 피치로 배열된다.
실시형태 2에서는, 고정측 볼록부(147a, 151a) 및 가동측 볼록부(148a, 152a)는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직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고정측 볼록부(147a, 151a) 및/또는 가동측 볼록부(148a, 152a)는, 예를 들면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정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도 좋고, 사다리꼴이 되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2에서는, 고정측 요철 부재(147)가 상측에 배치되고 가동측 요철 부재(148)가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데, 고정측 요철 부재(147)가 하측에 배치되고 가동측 요철 부재(148)가 상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고정측 요철 부재(147)는, 예를 들면 축 지지 프레임(136)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형태에서는, 고정측 요철 부재(151)가 하측에 배치되고 가동측 요철 부재(152)가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데, 고정측 요철 부재(151)가 상측에 배치되고 가동측 요철 부재(152)가 하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고정측 요철 부재(151)는, 예를 들면 축 지지 프레임(140, 141)에 형성된다.
실시형태 2에서는, 가동측 요철 부재(148, 152)에 실린더(149, 153)가 연결되어 있는데, 가동측 요철 부재(148, 152)에 모터 등의 구동원이 연결되어도 좋다. 즉, 모터 등의 다른 구동원에 의해 가동측 요철 부재(148, 152)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가 구성되어도 좋다.
실시형태 2에서는, 백업 롤러(16?26)는 고정축(1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데, 백업 롤러(16?26)는 회전축에 고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이 회전축의 양단측은 축 지지 프레임(134?141)의 축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실시형태 2에서는, 4개의 상교정 롤러(4?7)와 7개의 하교정 롤러(8?14)가 배열되어 있는데, 배열되는 상교정 롤러의 갯수는 4개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또 배열되는 하교정 롤러의 갯수는 7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4개의 상교정 롤러(4?7) 및 상교정 롤러(4?7)에 대해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5개의 하교정 롤러(9?13)만 배열되어도 좋다. 또 배열되는 상교정 롤러의 갯수가 하교정 롤러의 갯수 보다 많아도 좋다.
(실시형태 2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이하, 실시형태 2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기재한다.
(1) 강판을 반송하면서 교정하는 롤러 레벨러에서, 상기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교정 롤러와, 상기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상기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강판이 통과하는 패스 라인으로부터 몇개의 상기 교정 롤러를 대피시키는 대피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대피 기구는, 상기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소정의 제1 피치로 배열되는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를 가진 고정측 요철 부재와, 상기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1 피치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동측 볼록부를 가진 가동측 요철 부재와, 상기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상기 가동측 요철 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볼록부의 끝단은, 상하 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평면 형상의 고정측 당접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가동측 볼록부의 끝단은, 상하 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평면 형상의 가동측 당접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교정 롤러가 상기 패스 라인 쪽에 있을 때에는 상기 고정측 당접면과 상기 가동측 당접면이 당접하고, 상기 교정 롤러가 상기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할 때에는 상기 가동측 요철 부재가 상기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측 볼록부의 사이에 상기 가동측 볼록부가 배치되고, 상기 가동측 볼록부의 사이에 상기 고정측 볼록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레벨러.
상술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롤러 레벨러에서는, 백업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고정되는 고정측 웨지가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측 웨지에 당접하는 가동측 웨지도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교정 롤러의 축방향에서의 고정측 웨지의 두께 및 가동측 웨지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이 롤러 레벨러에서는, 강판을 교정할 때의 반력이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백업 롤러에 작용하면, 만일 복수 개의 백업 롤러의 각각에 작용하는 반력이 같아도 고정측 웨지의 변형량이 교정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서 불균일하게 분포될 우려가 있다. 마찬가지로 강판을 교정할 때의 반력이 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백업 롤러에 작용하면, 만일 복수 개의 백업 롤러의 각각에 작용하는 반력이 같아도 가동측 웨지의 변형량이 교정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서 불균일하게 분포될 우려가 있다. 즉, 이 롤러 레벨러에서는, 강판을 교정할 때의 반력이 만일 교정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서 균등하게 작용하더라도 교정시의 반력을 받는 부재의 변형량이 교정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서 불균일하게 분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롤러 레벨러에서는, 강판을 교정할 때의 상하 방향에서의 상교정 롤러와 하교정 롤러간의 간극(間隙)이 교정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서 크게 불균일하게 분포될 우려가 있고 그 결과, 강판을 적절하게 교정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상기 (1)에 기재된 롤러 레벨러에서는, 대피 기구는,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제1 피치로 배열되는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를 가진 고정측 요철 부재와,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제1 피치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동측 볼록부를 가진 가동측 요철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롤러 레벨러에서는, 교정 롤러가 패스 라인 쪽에 있을 때에는, 고정측 볼록부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평면 형상의 고정측 당접면과, 가동측 볼록부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평면 형상의 가동측 당접면이 당접해 있다. 즉, 강판을 교정할 때에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평면 형상의 고정측 당접면과 가동측 당접면이 당접해 있다.
따라서 만일 강판의 교정시에,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제1 피치로 배열되는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 및 가동측 볼록부의 각각에 같은 크기의 교정 반력이 작용한다고 하면,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 및 가동측 볼록부의, 강판의 교정시 변형량을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 및 가동측 볼록부의, 강판의 교정시 변형량의 불균일 분포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즉, 교정 반력이 작용하는 부재의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의 변형량 불균일 분포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이 롤러 레벨러에서는 교정 롤러가 통과하는 패스 라인으로부터 몇 개의 교정 롤러가 대피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강판을 교정할 때의 상하 방향에서의 교정 롤러의 간극이 교정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서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2) 상기 교정 롤러의 휨을 억제하기 위한 여러개의 백업 롤러와, 상기 백업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의 양단측 또는 상기 백업 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의 양단측을 지지하는 복수의 축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 지지부는, 상기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고정측 볼록부와 상하 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롤러 레벨러.
(2)에 기재된 롤러 레벨러에서는, 백업 롤러에 작용하는 교정 반력이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 및 가동측 볼록부에 직접적으로 쉽게 걸린다. 따라서 교정 반력이 백업 롤러에 작용했을 때의, 고정측 요철 부재 또는 가동측 요철 부재 등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3) 복수 개의 상기 백업 롤러는 상기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1 피치로 배열되고, 복수의 상기 축 지지부는 상기 교정 롤러의 축방향으로 상기 제1 피치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된 롤러 레벨러.
(3)에 기재된 롤러 레벨러에서는, 백업 롤러에 작용하는 교정 반력이 복수의 고정측 볼록부 및 가동측 볼록부에 직접적으로 걸린다. 따라서 교정 반력이 백업 롤러에 작용했을 때의 고정측 요철 부재 또는 가동측 요철 부재 등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4) 복수 개의 상기 교정 롤러로서, 상기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배열됨과 동시에 상하 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교정 롤러와, 상기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배열됨과 동시에 상하 방향의 타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교정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대피 기구로서, 상기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상기 제1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패스 라인으로부터 몇개의 상기 제1 교정 롤러를 대피시키는 제1 대피 기구와, 상기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상기 제2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패스 라인으로부터 몇개의 상기 제2 교정 롤러를 대피시키는 제2 대피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롤러 레벨러.
(4)에 기재된 롤러 레벨러에서는, 상하 방향의 양측에서 교정 반력이 작용하는 부재의 변형량이 교정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서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강판을 교정할 때 상하 방향에서의 교정 롤러의 간극이 교정 롤러의 축방향을 따라서 불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1,101 롤러 레벨러
2 상롤러군(제1 롤러군)
3 하롤러군(제2 롤러군)
4?7,51?56 상교정 롤러(제1 교정 롤러)
8,14,68,69 하교정 롤러(제3 교정 롤러)
9?13,61?66 하교정 롤러(제2 교정 롤러)
29,129 대피 기구(제1 대피 기구)
30 제1 지지 롤러
31 제2 지지 롤러
32,33,72,86,130,131 대피 기구(제2 대피 기구)
40 제1 지지 부재
41 제2 지지 부재
P1 제1 피치
PL 패스 라인
X1 강판의 반송 방향

Claims (6)

  1. 강판을 반송하면서 교정하는 롤러 레벨러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소정의 제1 피치로 배열되는 교정용 n(n은, 4이상의 정수)개의 제1 교정 롤러를 가진 제1 롤러군과, 상기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제1 피치로 배열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교정 롤러에 대해 갈짓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교정용 n+1개의 제2 교정 롤러를 가지고, 상기 강판이 통과하는 패스 라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롤러군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롤러군과, 상기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상기 제1 교정 롤러의 갯수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패스 라인으로부터 몇개의 상기 제1 교정 롤러를 대피시키는 제1 대피 기구와, 상기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상기 제2 교정 롤러의 갯수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패스 라인으로부터 몇개의 상기 제2 교정 롤러를 대피시키는 제2 대피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롤러군은, 상기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 및 하류측 중 적어도 한쪽에서 상기 제2 교정 롤러에 대해 상기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제1 피치 또는 상기 제1 피치의 m배(m은, 2이상의 정수)의 피치로 배치되는 교정용의 제3 교정 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레벨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양측에 상기 제3 교정 롤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레벨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의 상류측 및 하류측 각각에 1개씩의 상기 제3 교정 롤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레벨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군은 4+3k(k는, 0이상의 정수)개의 상기 제1 교정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롤러군은 5+3k개의 상기 제2 교정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3 교정 롤러는, 상기 제2 교정 롤러에 대해 상기 강판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제1 피치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대피 기구는,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 교정 롤러를 상기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시켜 상기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상기 제1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하고,
    상기 제2 대피 기구는, 인접한 2개의 상기 제2 교정 롤러를 상기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시켜 상기 강판의 교정에 사용되는 상기 제2 교정 롤러의 피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레벨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의 상기 제1 롤러군의 적어도 상류측에서, 상기 강판을 상기 패스 라인상에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 롤러 및 제2 지지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롤러와 상기 제2 지지 롤러는, 상기 강판의 반송 방향에서 서로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레벨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지지 롤러를 상기 패스 라인을 향해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지지 롤러를 상기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시키는 제1이동 기구와, 상기 제2 지지 롤러를 상기 패스 라인을 향해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지지 롤러를 상기 패스 라인으로부터 대피시키는 제2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이동 기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지지 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레벨러.
KR1020127015188A 2010-01-29 2010-06-15 롤러 레벨러 KR101394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17989A JP5435724B2 (ja) 2010-01-29 2010-01-29 ローラレベラ
JP2010017988A JP2011156542A (ja) 2010-01-29 2010-01-29 ローラレベラ
JPJP-P-2010-017989 2010-01-29
JPJP-P-2010-017988 2010-01-29
PCT/JP2010/003951 WO2011092754A1 (ja) 2010-01-29 2010-06-15 ローラレベ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662A true KR20120080662A (ko) 2012-07-17
KR101394522B1 KR101394522B1 (ko) 2014-05-13

Family

ID=4391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188A KR101394522B1 (ko) 2010-01-29 2010-06-15 롤러 레벨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120103047A1 (ko)
EP (1) EP2529848B1 (ko)
KR (1) KR101394522B1 (ko)
CN (2) CN201815566U (ko)
BR (1) BR112012012922B1 (ko)
CA (1) CA2765486C (ko)
RU (1) RU2507020C1 (ko)
TW (1) TWI451918B (ko)
WO (1) WO2011092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2012922B1 (pt) * 2010-01-29 2020-10-27 Jp Steel Plantech Co. nivelador de cilindro
KR101461043B1 (ko) * 2011-09-14 2014-11-13 스틸플랜테크가부시키가이샤 롤러 레벨러 및 이를 이용한 판재의 교정 방법
CN102371236B (zh) * 2011-11-08 2013-12-04 深圳市浩能科技有限公司 涂布机烘干机及其基材整形校正机构和方法
JP5856535B2 (ja) * 2012-04-26 2016-02-09 スチールプランテック株式会社 ローラレベラおよびそれを用いた板材の矯正方法
KR101583214B1 (ko) * 2012-11-29 2016-01-07 스틸플랜테크가부시키가이샤 레벨러 설비 및 판재의 교정 방법
TWI485013B (zh) * 2012-12-28 2015-05-21 Metal Ind Res & Dev Ct 整平機
TWI605887B (zh) * 2015-06-29 2017-11-21 Straightener
DE102015213788A1 (de) * 2015-07-22 2017-01-26 Sms Group Gmbh Anlage und Verfahren zum Beseitigen von Planheitsfehlern eines metallischen Flachprodukts
CN105197761A (zh) * 2015-10-29 2015-12-30 苏州市天隆链条有限公司 一种扶梯梯级链链板矫平装置
AT15583U1 (de) * 2016-04-08 2018-03-15 Progress Holding Ag Rollenrichtvorrichtung
US11731182B2 (en) * 2017-01-03 2023-08-22 Coe Press Equipment Corp. Integrated straightener head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N109128687A (zh) * 2018-11-15 2019-01-04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钢管修复装置
CN111944968B (zh) * 2020-08-06 2021-12-10 东北大学 一种板带钢淬火矫直机及其使用方法
CN113198873B (zh) * 2021-06-16 2024-01-12 河南利煌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铝板整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49748A1 (ru) * 1961-11-10 1961-11-30 Е.Ю. Гельфенбейн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в многовалковых правильных машинах валков
DE1279604B (de) * 1965-03-23 1968-10-10 Sundwiger Eisen Maschinen Verfahren zur Vermeidung von Wickelbruechen beim Ablaufen von zu ringfoermigen Bunden gewickeltem Metallband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GB1279247A (en) * 1968-09-30 1972-06-28 United Eng Foundry Co Crown control in a rolling mill or calender
US3559441A (en) * 1968-11-01 1971-02-02 Mesta Machine Co Roll changing device for roll leveler, straightener and the like
US3648505A (en) * 1970-08-05 1972-03-14 Blaw Knox Foundry Mill Machine Multiple center straightener
DE2824217A1 (de) * 1978-06-02 1979-12-06 Schloemann Siemag Ag Richtmaschine fuer bleche und baender
US4454738A (en) * 1981-06-29 1984-06-19 The Paxson Machine Company Roller levele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S6028765B2 (ja) * 1981-11-04 1985-07-06 小名浜堺化学株式会社 表面処理硫酸バリウムの製造方法
FR2516409B1 (fr) * 1981-11-13 1987-07-17 Sumitomo Metal Ind Procede de correction d'un materiau lamine
JPH0628765B2 (ja) * 1986-02-28 1994-04-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ロ−ラレベラ
JPS62203616A (ja) 1986-03-03 1987-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ラレベラ−装置
JPS62214825A (ja) * 1986-03-17 1987-09-21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ラレベラ
US4730472A (en) * 1986-07-10 1988-03-15 United Engineering, Inc. Hydraulic contouring means for a hot or cold leveler machine
JPH01113122A (ja) 1987-10-26 1989-05-01 Kawasaki Steel Corp ローラレベラ
SU1532116A1 (ru) * 1988-03-24 1989-12-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В-2190 Листоправильна машина
JPH0824958B2 (ja) * 1991-04-23 1996-03-13 鋼板剪断機械株式会社 ローラーレベラー
JP2524022B2 (ja) 1991-08-28 1996-08-1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ロ―ルピッチ可変ロ―ラレベラ
DE4200922A1 (de) * 1992-01-16 1993-07-22 Schloemann Si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ichten von blech
FR2718661B1 (fr) * 1994-04-15 1996-07-12 Clecim Sa Installation de planage d'une bande métallique.
US5758533A (en) * 1994-04-15 1998-06-02 Clecim Imbricated roll planisher and process for its use
RU2205082C2 (ru) * 2001-05-23 2003-05-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лпин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Листоправильная машина
CN1193836C (zh) * 2001-10-19 2005-03-23 中国第二重型机械集团公司 板带材变辊距矫直机
DE10236139A1 (de) * 2002-08-07 2004-02-26 harwi GmbH, Schweiß- und Automatisierungstechnik Rollenrichter
JP2006255712A (ja) * 2005-03-15 2006-09-28 Kohan Sendan Kikai Kk ローラレベラ
US7637132B2 (en) * 2006-02-06 2009-12-29 Butech Bliss Work roll scraper for roller levelers
US7637133B2 (en) * 2006-07-13 2009-12-29 Butech Bliss Cassette roller leveler with common back-up rolls
CN201147783Y (zh) * 2007-11-22 2008-11-12 中国第一重型机械集团公司 热钢板矫直机的弯辊机构
JP2013503752A (ja) * 2009-09-09 2013-02-04 シーメンス ヴェ メタルス テクノロジーズ エスアーエス 複数のローラを備えたレベリング機械
BR112012012922B1 (pt) * 2010-01-29 2020-10-27 Jp Steel Plantech Co. nivelador de cilindr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65486A1 (en) 2011-08-04
EP2529848A1 (en) 2012-12-05
WO2011092754A1 (ja) 2011-08-04
TWI451918B (zh) 2014-09-11
KR101394522B1 (ko) 2014-05-13
BR112012012922B1 (pt) 2020-10-27
CA2765486C (en) 2016-08-16
US20150143864A1 (en) 2015-05-28
US20120103047A1 (en) 2012-05-03
EP2529848B1 (en) 2020-05-27
TW201125657A (en) 2011-08-01
CN102139297A (zh) 2011-08-03
US9248486B2 (en) 2016-02-02
RU2507020C1 (ru) 2014-02-20
CN201815566U (zh) 2011-05-04
BR112012012922A2 (pt) 2017-03-07
EP2529848A4 (en)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0662A (ko) 롤러 레벨러
US102934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elded shaped steel
RU2518828C2 (ru) Многовалковая правильная машина
KR101461043B1 (ko) 롤러 레벨러 및 이를 이용한 판재의 교정 방법
JP6593418B2 (ja) 形鋼の矯正装置及び矯正方法並びに形鋼の製造設備及び製造方法
US20130228082A1 (en) Roll press apparatus
JP2008226502A (ja) 電極板のプレス方法、及び、電極板のプレス装置
JP2013248640A (ja) 形鋼用曲り矯正装置および形鋼の曲り矯正方法
JP2013220440A (ja) 矯正機
JP2014087815A (ja) 溶接型鋼の歪矯正装置
KR20180045897A (ko) H 형강 플랜지 교정기
US8794045B2 (en) Cluster-type multistage rolling mill
JP5832632B2 (ja) 大判スキャナーシステム
KR20140035937A (ko) 정밀 공차의 챔버 치수를 갖는 금속 섹션의 제조 방법 및 장치
JP4781167B2 (ja) 横型多段プレス装置の板材保持構造
KR101979315B1 (ko) 사각형금속관 제조용 롤러배열방법
KR100838654B1 (ko) 코일 교정 장치
JP5435724B2 (ja) ローラレベラ
JP2015202515A (ja) 矯正機及び鋼板矯正方法
JP6547706B2 (ja) 直線形鋼矢板の曲がり矯正方法及び曲がり矯正装置
JP2006181610A (ja) H形鋼の矯正方法
KR101332780B1 (ko) 무구동 각도 교정기
JP2011156542A (ja) ローラレベラ
JP2010247178A (ja) 金属板の圧延反り防止装置及び防止方法
KR101906485B1 (ko) 캐스트가 부동식으로 지지되는 스트립 캐스팅 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