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2491A -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491A
KR20120062491A KR1020100123776A KR20100123776A KR20120062491A KR 20120062491 A KR20120062491 A KR 20120062491A KR 1020100123776 A KR1020100123776 A KR 1020100123776A KR 20100123776 A KR20100123776 A KR 20100123776A KR 20120062491 A KR20120062491 A KR 20120062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or pedal
vehicle
control
pedal
contro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8708B1 (ko
Inventor
김은식
조양래
노종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동희산업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동희산업,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3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708B1/ko
Priority to US13/225,083 priority patent/US9073429B2/en
Publication of KR2012006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708B1/ko
Priority to US14/725,164 priority patent/US1010603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60K2026/02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with tactile feedback from a controller, e.g.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4Drug level, e.g.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6In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1Lateral d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주행 상황에 따라 가속페달에 진동을 부여 하거나 답력이 증대되게 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주도록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가속페달에 부여되는 제어모드를 선택하는 제어모드 선택단계와; 차량이 에코레드 상태로 소정 시간동안에 주행 중인지를 판단하는 에코레드 판단단계와; 상기 에코레드 판단단계에서 차량이 소정 시간동안 에코레드 상태로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모드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제어모드가 상기 가속페달에 부여되게 하는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ccel pedal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가속페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운전 상황에 따라 가속페달에 진동을 주거나 답력을 증대시켜 운전자에게 경고하도록 한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는 운전자가 발로 조작하여 차량을 가속시키기 위한 가속페달이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속페달에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답력 증대나 혹은 진동을 부여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기능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본 출원인은 2010년 11월 8일에 대한민국 특허 제 10-2010-0114873호로 특허 출원한 차량의 가속페달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가속페달장치에서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액츄에이터로 가속페달에 진동을 가하거나 답력이 증대되도록 하여 차량의 주행 상황에 대해 운전자에게 경고를 주어서 안전 운전을 유도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주행 상황에 따라 가속페달에 진동을 부여 하거나 답력이 증대되게 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주도록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1실시예는 운전자가 가속페달에 부여되는 제어모드를 선택하는 제어모드 선택단계와; 차량이 에코레드 상태로 소정 시간동안에 주행 중인지를 판단하는 에코레드 판단단계와; 상기 에코레드 판단단계에서 차량이 소정 시간동안 에코레드 상태로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모드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제어모드가 상기 가속페달에 부여되게 하는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어모드는 상기 가속페달에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진동모드와, 상기 가속페달에 답력이 증대되게 하는 답력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중단하는 제1제어모드 실행중단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모드 실행 시간을 체크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중단하는 제2제어모드 실행중단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가속페달에 접촉되어 상기 가속페달을 가압하여 상기 답력이 증대되게 하거나 혹은 상기 가속페달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액츄에이터를 매개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어 전류값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상기 작동로드가 항상 초기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2실시예는 차량의 주행 중에 차간거리를 감지하여 판단하는 차간거리 판단단계와; 차량의 주행 중에 차선이탈을 감지하여 판단하는 차선이탈 판단단계; 차량이 에코레드 상태로 주행 중인지를 판단하는 에코레드 판단단계 및; 상기 차간거리 판단단계에서 차간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로 판단되거나, 상기 차선이탈 판단단계에서 차량이 차선 이탈 중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혹은 차량이 에코레드 상태로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가속페달에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진동모드나 혹은 답력이 증대되게 하는 답력모드를 포함하는 제어모드를 실행하는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차간거리 판단단계에서 차간거리가 제1기준거리 이내에 있으면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가 상기 답력모드를 실행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간거리 판단단계에서 차간거리가 제2기준거리 이내에 있으면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가 상기 진동모드를 실행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선이탈 판단단계에서 차량이 중앙 차선을 이탈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가 상기 진동모드를 실행하고, 차량이 백색 차선을 수초 동안 이탈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가 상기 답력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코레드 판단단계에서 차량이 에코레드 상태로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가 상기 답력모드를 실행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가 증가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가 증가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중단하는 제1제어모드 실행중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모드 실행 시간을 체크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중단하는 제2제어모드 실행중단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3실시예는 운전자가 소정 시간동안 졸음운전 혹은 음주운전을 중인지를 판단하는 운전상태 판단단계와; 상기 운전상태 판단단계에서 운전자가 졸음운전 혹은 음주운전 상태에 있으면 가속페달에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진동모드를 실행시키는 진동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운전자가 졸음운전 혹은 음주운전을 지속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운전상태 지속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운전상태 지속여부 판단단계에서 운전자가 졸음운전 혹은 음주운전을 지속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진동모드 실행단계를 중단하는 진동모드 실행중단단계; 상기 운전상태 지속여부 판단단계에서 운전자가 졸음운전 혹은 음주운전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중인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페달 조작여부 판단단계; 상기 브레이크페달 조작여부 판단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가속페달 조작량이 감소하는지를 판단하는 가속페달 조작량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조작여부 판단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가속페달 조작량 판단단계에서 가속페달 조작량이 감소하는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모드 실행중단단계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4실시예는 차량이 후진중인지를 판단하는 후진 판단단계와; 후진중인 차량의 후방과 충돌 물체와의 거리를 판단하는 제1충돌 물체 거리판단단계; 상기 충돌 물체 거리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거리에 따라 가속페달에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진동모드와 답력이 증대되게 하는 답력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충돌 물체 거리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제어모드가 진동모드를 실행하고 소정 거리 이상이면 답력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드가 상기 답력모드를 실행한 이후에 차량이 후진을 지속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후진 지속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후진 지속여부 판단단계에서 차량이 후진을 지속하고 있으면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되고 있는 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 페달 조작여부 판단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 조작여부 판단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충돌물체와의 거리를 판단하는 제2충돌 물체 거리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충돌 물체 거리판단단계에서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진동모드를 실행시키는 반면에 소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후진 지속여부 판단단계를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5실시예는 차량의 연료경고등이나 배터리경고등이 점등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경고등 판단단계와; 상기 경고등 판단단계에서 경고등이 점등된 것으로 판단되면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하는 주행가능거리 연산단계; 상기 주행가능거리 연산단계에서 연산한 주행가능거리에 따라 상기 가속페달에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진동모드나 틱이 부여되게 하는 틱모드를 포함하는 제어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거리 연산단계에서 연산한 상기 주행가능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가 진동모드를 실행하고, 소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가 답력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6실시예는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페달이 소정 시간동안 동시에 작동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동시작동 판단단계와; 상기 동시작동 판단단계에서 동시작동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속페달에 틱이 부여되게 하는 틱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7실시예는 차량이 주행 중에 내비게이션의 안내 도로를 이탈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안내도로 이탈판단단계와; 상기 안내도로 이탈판단단계에서 차량이 안내도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속페달에 틱이 부여되게 하는 틱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에 의하면, 운전자가 주행 중에 가속페달을 과도하게 조작하여 연비를 저하시킨 상태로 운전을 하고 있을 때에, 가속페달에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진동이 부여되게 하거나(진동모드) 답력이 증대되게 해서(답력모드)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주므로, 운전자로 하여금 향상된 연비로 경제적인 운전을 행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차량이 주행 중에 앞차와의 거리가 근접해서 충돌 사고의 위험이 있거나 차선을 이탈할 경우에, 가속페달에 진동모드 혹은 답력모드를 부여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주므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거나 음주 운전을 할 경우에는 가속페달에 진동모드를 부여하여 운전자에게 위험한 상황을 경고하여 줌으로써,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이 후진할 경우에는 후방 물체와 차량의 근접 정도에 따라 가속페달에 진동모드 혹은 답력모드를 부여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주므로, 운전자에게 후진 운전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차량의 연료 경고등이 점등될 경우에는 주행가능 거리에 따라 가속페달에 진동모드를 부여하거나 가속페달을 튀게 하여(틱모드) 운전자에게 연료 부족 상태를 경고하여 주므로, 운전자에게 운전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을 전기자동차에 적용할 경우에 전기자동차에서 배터리가 방전될 위험이 있거나 혹은 충전이 필요할 경우에 가속페달에 틱모드 혹은 진동모드를 부여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주므로, 운전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운전자가 운전 미숙으로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페달을 동시에 조작할 경우에는 가속페달에 틱모드를 부여하여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주게 되므로, 운전자에게 안전 운전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에 탑재한 내비게이션의 안내를 받으면서 운전하는 경우에 내비게이션에서 안내하는 도로를 이탈할 때에 가속페달에 틱모드를 부여하여 운전자에게 차량의 위치 이탈을 경고하여 주므로, 운전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가속페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4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5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6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7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8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차량의 가속페달장치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가속페달(1)은 하우징(2)에 힌지축(3)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속페달(1)의 선단부(1a)와 인접하여 액츄에이터(4)가 상기 하우징(2)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액츄에이터(4)는 상기 가속페달(1)의 선단부(1a)를 향해 돌출한 작동로드(4a)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로드(4a)가 상기 선단부(1a)와 접촉해서 가속페달(1)을 가압하면 가속페달의 조작 답력이 증대된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가속페달에 답력모드가 부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로드(4a)가 상기 선단부(1a)를 반복적으로 타격하면 가속페달(1)에 진동이 부여되며, 상기 액츄에이터(4)에 의해 가속페달(1)에 진동모드가 부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로드(4a)가 상기 선단부(1a)를 짧은 시간 동안에 1회만 타격하면 가속페달(1)이 튀게 되므로, 상기 액츄에이터(4)에 의해 가속페달(1)에 틱모드가 부여되게 된다.
상기 액츄에이터(4)를 제어하기 위해 액츄에이터(4)에는 컨트롤러(5)가 접속되어, 상기 컨트롤러(5)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4)가 작동하여 상기 가속페달에 진동모드 혹은 답력모드 또는 틱모드를 부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에는 상기 작동로드(4a)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6)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러(5)에 입력되게 상기 위치감지센서(6)는 컨트롤러(5)와 연결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운전석에는 운전자가 가속페달에 부여되는 진동모드나 답력모드 혹은 틱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스위치가 구비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컨트롤러(5)에는 차량에 기히 설치된 에코모드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되어, 상기 에코모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에코모드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컨트롤러(5)가 에코모드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으면 다음의 제어 순서도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4)를 제어하게 된다.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컨트롤러(5)는 상기 에코모드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에코레드신호인지를 판단한다.(S10)
에코레드신호란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과도하게 밟은 상태로 운전하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만일 에코레드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컨트롤러는 상기 위치감지센서(6)를 통해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4a)의 위치를 확인한다.(S11)
상기 액츄에이터 작동로드(4a)가 초기위치에 있으면 시작단계로 되돌아가고, 초기위치에 있지 않으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가 초기위치에 위치되게 한다.(S12)
상기 S10 단계에서 컨트롤러에 에코레드신호가 입력되면, 컨트롤러는 에코레드신호가 X초, 예컨대 0.5초 이상 동안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S13)
만일 X초가 경과되지 않으면 상기 S11 단계로 복귀하고, X초가 경과하면 컨트롤러는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과도하게 조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킨다.
즉 S14 단계에서 컨트롤러는 먼저 액츄에이터 작동로드가 초기위치에 있는지 확인하고, 가속페달의 위치를 가속페달센서를 통해 감지하며, 운전자가 선택한 제어모드(진동모드, 답력모드, 틱모드) 중의 어느 하나의 제어모드에 적합한 제어신호를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라 연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해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가속페달에는 운전자가 선택한 제어모드가 제공되어 가속페달이 진동을 하거나 가속페달의 조작 답력이 증대됨으로써,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주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속페달센서와 예컨대 CAN통신을 통해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가속페달의 조작 위치가 Y% 증가했는지를 판단한다.(S15)
상기 S15 단계에서 가속페달의 조작 위치의 증가 여부를 확인하는 이유는 운전자의 가속의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만일 운전자가 가속의지를 가지고 가속페달을 조작했다면(가속페달 조작량이 Y% 증가), 다음 S16 단계에서 컨트롤러는 액츄에이터에 인가한 제어신호를 해제하고,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한 후에 액츄에이터 작동로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S15 단계에서 가속페달의 조작량이 Y% 증가하지 않았다면, 운전자가 가속의지를 가지지 않은 상태로 가속페달을 조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 S17 단계에서 상기 액츄에이터 작동시간이 Z초, 예컨대 0.5초를 경과 했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0.5초 동안만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함이다.
만일 Z초가 경과했다면 S16 단계로 넘어가서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해제하고, Z초가 경과하지 않았다면 액츄에이터의 작동이 Z초 동안에 계속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컨트롤러(5)에는 차간거리를 감지하는 차간거리감지센서와, 차선이탈을 감지하는 차선이탈감지센서 및 에코모드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되어, 상기 센서들과 에코모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먼저 상기 컨트롤러(5)는 차간거리감지센서로부터 차간거리를 감지중인지 판단한다.(S20)
상기 S20 단계에서 차간거리가 감지중이지 않으면 다음 S21 단계에서 상기 차선이탈감지센서로부터 차선이탈 감지중인지 판단한다. 상기 S21 단계에서 차선이탈 감지중이지 않으면 다음 S22 단계에서 에코모드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신호가 에코레드신호인지 판단한다. 상기 S22 단계에서 에코레드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위치감지센서를 매개로 상기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액츄에이터 작동로드가 초기위치에 있지 않으면 다음 S24 단계에서 컨트롤러는 액츄에이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액츄에이터 작동로드가 초기위치로 복귀되게 한다.
상기 S20 단계에서 차간거리가 감지중이면 다음 S25 단계에서 경고단계인지를 판단한다. 즉 차간거리가 제1기준거리(a1)만큼 근접하면 1차 경고 상태로 판단하고, 차간거리가 상기 제1기준거리(a1)보다 작은 제2기준거리만큼 근접하면 2차 경고 상태로 판단한다.
상기 S25 단계에서 1차 경고 상태이면, S26 단계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가속페달에 답력이 증대되게 하는 답력모드를 실행시킨다. 즉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위치감지센서를 매개로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가속페달센서로부터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어신호로서 인가한다.
이에 따라 가속페달을 조작하고 있는 운전자에게 가속페달에 증대된 답력을 통해 차간거리가 근접된 위험 상황을 1차적으로 경고해 주게 된다.
한편 차간거리가 매우 근접하여 상기 제2기준거리(a2)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S27 단계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진동모드를 실행시켜 가속페달에 진동이 부여되게 해서 운전자에게 2차적으로 경고를 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위치감지센서를 매개로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가속페달센서로부터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어신호로서 인가한다.
상기 S26 단계 및 상기 S27 단계가 실행된 이후에는 S28 단계에서 제어해제상태인지 판단한다. 상기 제어해제상태란 차간거리가 제1,2기준거리 이상으로 멀어진 경우와,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S28 단계에서 제어해제상태가 아니면, 다음 S29 단계에서 가속페달 조작위치가 X% 증가했는지 판단한다. 가속페달 조작위치가 X% 증가했다는 것은 운전자가 차량을 가속시킬 의지로 가속페달을 조작하는 판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S29 단계에서 가속페달 조작위치가 X% 증가하지 않으면, 다음 S30 단계에서 제어모드 작동시간이 Y초 이상 경과한지를 판단한다. 만일 Y초 이상 경과하지 않으면 상기 S28 단계로 복귀한다.
상기 S28 단계에서 제어해제상태로 판단되거나, 상기 S29 단계에서 가속페달이 X% 이상으로 증가해서 조작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S30 단계에서 제어모드 작동시간이 Y초 이상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며, 각각 상기 S24 단계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S21 단계에서 차선이탈 감지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S21 단계에서 황색 차선(중앙 차선)을 이탈한 것인지 백색 차선을 이탈한 것인지 판단하고, 만일 황색 차선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S27 단계로 이어져서 컨트롤러가 진동모드를 실행시켜 운전자에게 가속페달의 진동으로 경고해주고, 만일 백색 차선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S32 단계에서 소정 시간, 예컨대 2.7초 이상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하며, 2,7초 이상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S27 단계로 이어져서 컨트롤러가 진동모드를 실행시켜 운전자에게 가속페달의 진동으로 경고해주는 반면에 2.7초가 경과하지 않으면 상기 S22 단계로 넘어간다.
즉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기 위해 차량의 차선을 잠시 이탈한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경고하지 않게 된다.
상기 S22 단계에서 에코레드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S26 단계로 이어져서 컨트롤러는 상기 답력모드를 실행시켜 가속페달의 답력이 증대되게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가속페달의 증대된 답력을 통해 가속페달이 과도하게 조작되고 있음을 경고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에 에러신호 입력시 모든 제어신호보다 우선하게 되는 바, 즉 가속페달센서의 감지신호가 에러인 경우에는 상기 작동로드(4a)의 위치감지센서를 매개로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파악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작동로드(4a)의 위치감지센서의 입력신호가 에러인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는 액츄에이터의 전류 제어를 통해 작동로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킨 후에 에러램프를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컨트롤러(5)에는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감지하는 졸음운전감지센서와, 운전자의 음주 운전을 감지하는 음주운전감지센서가 각각 접속된다.
상기 졸음운전감지센서와 음주운전감지센서는 기히 공지된 적외선램프와 카메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컨트롤러는 졸음운전상태인지를 판단한다.(S40) 만일 졸음운전상태이면 다음 S41 단계에서 졸음운전상태가 X초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X초 이상 졸음운전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S42 단계에서 컨트롤러는 진동모드를 실행시켜 운전자에게 가속페달의 진동을 통해 경고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작동로드(4a)의 위치감지센서를 매개로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가속페달센서로부터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어신호로서 인가한다.
이어서 S43 단계에서는 컨트롤러는 운전자가 졸음운전지속 여부를 판단하고, 졸음운전지속 상태가 다음 S44 단계에서 Y초 동안 지속시킨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해제하고,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파악한 후에 초기위치에 있지 않으면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S40 단계에서 졸음운전상태가 아니면, S45 단계에서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위치감지센서로 판단하고, 상기 작동로드가 초기위치에 있지 않으면 액츄에이터에 작동신호를 인가하여 작동로드 초기위치로 복귀되게 한다.(S46)
상기 S43 단계에서 졸음운전지속인 것으로 판단되면, S47 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중인지를 판단하고,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중이면 S44 단계로 이어지는 반면에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중이지 않으면 다음 S48 단계에서 가속페달센서를 통해 가속페달 조작량이 감소중인지를 판단하며, 가속페달 조작량이 감소중이지 않으면 상기 S43 단계로 이어지는 반면에 감소중이면 상기 S44 단계로 이어진다.
한편 운전자가 음주운전 중인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음주운전중인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졸음운전 혹은 음주운전을 하고 있는 경우에 가속페달에 진동을 가해서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교통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4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실시예는 차량이 후진중일 때에 후방 물체를 감지하여 답력모드 혹은 진동모드를 실행시켜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줌으로써, 운전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5)에는 변속레버의 조작위치를 감지하는 변속레버감지센서와 후방물체감지 및 후방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후방감지센서 및 브레이크페달 조작감지센서가 접속된다.
먼저 상기 컨트롤러(5)는 상기 변속레버감지센서를 매개로 차량이 후진중인지를 판단한다.(S60)
차량이 후진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S61 단계에서 후방감지센서를 매개로 후방에 충돌 물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후방에 충돌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S62 단계에서 후방감지센서를 매개로 차량과 후방 충돌 물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며, 만일 후방 충돌 물체와 차량 사이의 거리가 Xm 이상이면 다음 S63 단계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답력모드를 실행시켜 가속페달의 증대된 답력으로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작동로드(4a)의 위치감지센서를 매개로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가속페달센서로부터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어신호로서 인가한다.
상기 답력모드 실행 이후에 다음 S64 단계에서 차량이 후진중인지를 판단하고, 후진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S65 단계에서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위치감지센서로 파악하여 상기 작동로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S60 단계에서 차량이 후진 중이 아니라면 다음 S66 단계로 이어져 액츄에이터 작동로드가 초기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초기위치에 있지 않으면 다음 S67 단계에서 상기 액츄에이터에 작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작동로드를 최기우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S61 단계에서 후방에 충돌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S66 단계로 이어지고, 상기 S62 단계에서 상기 충돌 물체가 Xm 이내에 있으면, 다음 S68 단계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진동모드를 실행시켜 가속페달에 진동을 부여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작동로드(4a)의 위치감지센서를 매개로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가속페달센서로부터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어신호로서 인가한다.
상기 S64 단계에서 차량이 후진 중이면 다음 S69 단계에서 컨트롤러는 브레이크페달 조작감지센서를 매개로 브레이크가 작동중인지를 판단하고, 브레이크 작동중이면 상기 S65 단계로 이어지는 반면에 브레이크가 작동중이지 않으면 다음 S70 단계에서 차량과 후방 충돌 물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한 거리가 Xm 이상이면 상기 S64 단계로 연속되는 반면에 Xm 이내이면 상기 S68 단계로 이어져 진동모드를 실행시켜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5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실시예는 차량의 주행 중에 연료가 부족할 경우에 가속페달에 틱모드 혹은 진동모드를 부여하여 가속페달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줌으로써, 운전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5)에는 연료경고등과 주행가능거리 연산장치가 각각 접속된다.
상기 컨트롤러(5)는 상기 연료경고등에 온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80) 만일 연료경고등이 온 되면 다음 S81 단계에서 주행가능거리 연산장치를 통해 주행가능거리를 판단하고, 주행가능거리가 Xm 이상이면 S82 단계에서 틱모드를 실행시켜 가속페달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작동로드(4a)의 위치감지센서를 매개로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가속페달센서로부터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어신호로서 인가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Y분 간격으로 Y초 동안에 실행된다.
이어서 다음 S83 단계에서 연료경고등이 오프인지 판단하고, 오프가 아니라면 상기 S81 단계로 이어져 제어가 계속되는 반면에 오프 되면 차량에 연료가 주입된 상태이므로, 다음 S84 단계에서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의 위치를 파악한 후 상기 작동로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S80 단계에서 연료경고등이 오프 되어 있으면, 다음 S85 단계에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초기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초기위치에 있지 않으면 다음 S86 단계에서 상기 작동로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S81 단계에서 주행가능거리가 Xm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진동모드를 실행시켜 운전자에게 가속페달을 통해 경고하게 하고, 이어서 상기 S83 단계로 계속된다.
이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작동로드(4a)의 위치감지센서를 매개로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가속페달센서로부터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어신호로서 인가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Y분 간격으로 Y초 동안에 실행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6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실시예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중에 배터리 충전용량이 부족할 경우에 가속페달에 틱모드 혹은 진동모드를 부여하여 가속페달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줌으로써, 운전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5)에는 배터리경고등과 주행가능거리 연산장치가 각각 접속된다.
상기 컨트롤러(5)는 상기 배터리경고등에 온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100) 만일 연료경고등이 온 되면 다음 S101 단계에서 주행가능거리 연산장치를 통해 주행가능거리를 판단하고, 주행가능거리가 Xm 이상이면 S102 단계에서 틱모드를 실행시켜 가속페달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작동로드(4a)의 위치감지센서를 매개로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가속페달센서로부터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어신호로서 인가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Y분 간격으로 Y초 동안에 실행된다.
이어서 다음 S103 단계에서 배터리경고등이 오프인지 판단하고, 오프가 아니라면 상기 S101 단계로 이어져 제어가 계속되는 반면에 오프 되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된 상태이므로, 다음 S104 단계에서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의 위치를 파악한 후 상기 작동로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S100 단계에서 배터리경고등이 오프 되어 있으면, 다음 S105 단계에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초기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초기위치에 있지 않으면 다음 S106 단계에서 상기 작동로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S101 단계에서 주행가능거리가 Xm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진동모드를 실행시켜 운전자에게 가속페달을 통해 경고하게 하고, 이어서 상기 S103 단계로 계속된다.
이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작동로드(4a)의 위치감지센서를 매개로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가속페달센서로부터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어신호로서 인가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Y분 간격으로 Y초 동안에 실행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7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실시예는 운전자의 운전 부주의로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페달이 동시에 조작될 경우에 가속페달에 틱모드를 부여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줌으로써, 운전조작의 편의를 제공함과 더불어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컨트롤러(5)에는 가속페달 조작감지센서와, 브레이크페달 조작감지센서가 각각 접속된다.
상기 컨트롤러(5)는 브레이크페달과 가속페달이 동시에 조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0)
상기 단계에서 만일 동시에 조작되었다면 다음 S121 단계에서 동시 조작시간이 X초 동안 지속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X초 동안에 브레이크페달과 가속페달이 동시에 조작되고 있다면, 다음 S122 단계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틱모드를 실행하여 가속페달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작동로드(4a)의 위치감지센서를 매개로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가속페달센서로부터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어신호로서 인가한다.
이어서 다음 S123 단계에서는 컨트롤러가 상기 브레이크페달과 가속페달이 다시 동시에 조작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동시에 조작되고 있지 않다면 다음 S124 단계에서 컨트롤러는 액츄에이터 작동로드 위치감지센서를 매개로 작동로드의 위치를 파악한 후 작동로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S120 단계에서 브레이크페달과 가속페달이 동시에 작동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S125 단계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작동로드가 초기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초기위치에 있지 않다면 다음 S126 단계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작동로드가 초기위치에 위치되도록 액츄에이터를 제어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8실시예에 따른 가속페달 제어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실시예는 차량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신호와 연계하여 차량이 내비게이션에서 안내하는 도로를 이탈하여 주행할 경우에 가속페달에 틱모드를 부여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줌으로써, 운전조작의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5)에는 내비게이션장치가 접속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내비게이션장치를 통해 차량이 내비게이션에서 안내하는 도로를 이탈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140)
만일 차량이 도로를 이탈하는 경우에는 다음 S141 단계에서 컨트롤러는 틱모드를 1회 실행시켜 가속페달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작동로드(4a)의 위치감지센서를 매개로 액츄에이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가속페달센서로부터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제어신호로서 인가한다.
상기 S140 단계에서 상기 내비게이션장치에 안내하는 도로를 차량이 이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다음 S142단계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액츄에이터 작동로드가 초기위치에 있는지 판단하고, 초기위치에 있지 않으면 상기 컨트롤러는 제어신호를 액츄에이터에 인가하여 액츄에이터 작동로드가 초기위치로 복귀되게 한다.
1-가속페달 2-하우징
3-힌지축 4-액츄에이터
5-컨트롤러 6-위치감지센서

Claims (41)

  1. 운전자가 가속페달에 부여되는 제어모드를 선택하는 제어모드 선택단계와;
    차량이 에코레드 상태로 소정 시간동안에 주행 중인지를 판단하는 에코레드 판단단계와;
    상기 에코레드 판단단계에서 차량이 소정 시간동안 에코레드 상태로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모드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제어모드가 상기 가속페달에 부여되게 하는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는 상기 가속페달에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진동모드와, 상기 가속페달에 답력이 증대되게 하는 답력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중단하는 제1제어모드 실행중단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모드 실행 시간을 체크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중단하는 제2제어모드 실행중단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가속페달에 접촉되어 상기 가속페달을 가압하여 상기 답력이 증대되게 하거나 혹은 상기 가속페달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액츄에이터를 매개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어 전류값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상기 작동로드가 항상 초기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8. 차량의 주행 중에 차간거리를 감지하여 판단하는 차간거리 판단단계와;
    차량의 주행 중에 차선이탈을 감지하여 판단하는 차선이탈 판단단계;
    차량이 에코레드 상태로 주행 중인지를 판단하는 에코레드 판단단계 및;
    상기 차간거리 판단단계에서 차간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로 판단되거나, 상기 차선이탈 판단단계에서 차량이 차선 이탈 중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혹은 차량이 에코레드 상태로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가속페달에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진동모드나 혹은 답력이 증대되게 하는 답력모드를 포함하는 제어모드를 실행하는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갖춘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간거리 판단단계에서 차간거리가 제1기준거리 이내에 있으면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가 상기 답력모드를 실행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간거리 판단단계에서 차간거리가 제2기준거리 이내에 있으면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가 상기 진동모드를 실행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선이탈 판단단계에서 차량이 중앙 차선을 이탈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가 상기 진동모드를 실행하고, 차량이 백색 차선을 수초 동안 이탈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가 상기 답력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에코레드 판단단계에서 차량이 에코레드 상태로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가 상기 답력모드를 실행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13.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의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가 증가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가 증가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중단하는 제1제어모드 실행중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14.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의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모드 실행 시간을 체크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중단하는 제2제어모드 실행중단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가속페달에 접촉되어 상기 가속페달을 가압하여 상기 답력이 증대되게 하거나 혹은 상기 가속페달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액츄에이터를 매개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어 전류값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상기 작동로드가 항상 초기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18. 운전자가 소정 시간동안 졸음운전 혹은 음주운전을 중인지를 판단하는 운전상태 판단단계와;
    상기 운전상태 판단단계에서 운전자가 졸음운전 혹은 음주운전 상태에 있으면 가속페달에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진동모드를 실행시키는 진동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운전자가 졸음운전 혹은 음주운전을 지속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운전상태 지속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운전상태 지속여부 판단단계에서 운전자가 졸음운전 혹은 음주운전을 지속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진동모드 실행단계를 중단하는 진동모드 실행중단단계; 상기 운전상태 지속여부 판단단계에서 운전자가 졸음운전 혹은 음주운전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중인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페달 조작여부 판단단계; 상기 브레이크페달 조작여부 판단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가속페달 조작량이 감소하는지를 판단하는 가속페달 조작량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조작여부 판단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상기 가속페달 조작량 판단단계에서 가속페달 조작량이 감소하는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진동모드 실행중단단계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가속페달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액츄에이터를 매개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어 전류값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드 실행중단단계 이후에 상기 작동로드가 항상 초기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23. 차량이 후진중인지를 판단하는 후진 판단단계와;
    후진중인 차량의 후방과 충돌 물체와의 거리를 판단하는 제1충돌 물체 거리판단단계;
    상기 충돌 물체 거리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거리에 따라 가속페달에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진동모드와 답력이 증대되게 하는 답력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충돌 물체 거리판단단계에서 판단한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제어모드가 진동모드를 실행하고 소정 거리 이상이면 답력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가 상기 답력모드를 실행한 이후에 차량이 후진을 지속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후진 지속여부 판단단계와; 상기 후진 지속여부 판단단계에서 차량이 후진을 지속하고 있으면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되고 있는 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 페달 조작여부 판단단계; 상기 브레이크 페달 조작여부 판단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충돌물체와의 거리를 판단하는 제2충돌 물체 거리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충돌 물체 거리판단단계에서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진동모드를 실행시키는 반면에 소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후진 지속여부 판단단계를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가속페달에 접촉되어 상기 가속페달을 가압하여 상기 답력이 증대되게 하거나 혹은 상기 가속페달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액츄에이터를 매개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어 전류값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후진 지속여부 판단단계에서 후진이 지속되지 않거나 혹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 조작여부 판단단계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작동로드가 항상 초기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29. 차량의 연료경고등이나 배터리경고등이 점등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경고등 판단단계와;
    상기 경고등 판단단계에서 경고등이 점등된 것으로 판단되면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하는 주행가능거리 연산단계;
    상기 주행가능거리 연산단계에서 연산한 주행가능거리에 따라 상기 가속페달에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진동모드나 틱이 부여되게 하는 틱모드를 포함하는 제어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한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주행거리 연산단계에서 연산한 상기 주행가능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이면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가 진동모드를 실행하고, 소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가 답력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가속페달에 접촉되어 상기 가속페달을 가압하여 상기 답력이 증대되게 하거나 혹은 상기 가속페달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액츄에이터를 매개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어 전류값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상기 경고등이 오프 되면 상기 작동로드가 항상 초기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34.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페달이 소정 시간동안 동시에 작동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동시작동 판단단계와;
    상기 동시작동 판단단계에서 동시작동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속페달에 틱이 부여되게 하는 틱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한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가속페달에 접촉되어 상기 가속페달을 가압하여 상기 답력이 증대되게 하거나 혹은 상기 가속페달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액츄에이터를 매개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어 전류값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페달이 동시 작동되지 않으면 상기 작동로드가 항상 초기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38. 차량이 주행 중에 내비게이션의 안내 도로를 이탈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안내도로 이탈판단단계와;
    상기 안내도로 이탈판단단계에서 차량이 안내도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속페달에 틱이 부여되게 하는 틱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모드 실행단계를 포함한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가속페달에 접촉되어 상기 가속페달을 가압하여 상기 답력이 증대되게 하거나 혹은 상기 가속페달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진동이 부여되게 하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액츄에이터를 매개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는, 상기 작동로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가속페달의 조작위치에 따른 제어 전류값을 연산하고, 상기 제어 전류값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액츄에이터에 인가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41.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실행단계 이후에 차량이 안내도로를 이탈하지 않으면 상기 작동로드가 항상 초기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KR1020100123776A 2010-12-06 2010-12-06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KR101338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776A KR101338708B1 (ko) 2010-12-06 2010-12-06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US13/225,083 US9073429B2 (en) 2010-12-06 2011-09-02 Method for controlling acceleration pedal of vehicle
US14/725,164 US10106035B2 (en) 2010-12-06 2015-05-29 Method for controlling acceleration pedal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776A KR101338708B1 (ko) 2010-12-06 2010-12-06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491A true KR20120062491A (ko) 2012-06-14
KR101338708B1 KR101338708B1 (ko) 2013-12-16

Family

ID=4616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776A KR101338708B1 (ko) 2010-12-06 2010-12-06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073429B2 (ko)
KR (1) KR1013387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6246B2 (en) 2012-08-30 2015-03-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aptic feedback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64302A (ko) 2017-11-30 201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8277A1 (de) * 2011-12-12 2013-06-1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Steuern eines haptischen Fahrpedals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r Lageregelung
KR101417421B1 (ko) * 2012-11-21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 장치의 답력 능동 조절방법
KR101406489B1 (ko) * 2013-04-23 2014-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 장치의 답력 능동 조절방법
US10773642B2 (en) 2013-11-06 2020-09-15 Frazier Cunningham, III Vehicle driver nudge system
KR101543162B1 (ko) * 2014-05-09 2015-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요소수 후처리 시스템, 촉감을 이용한 요소수 상태 경고방법 및 컨트롤러
JP7460488B2 (ja) 2020-09-07 2024-04-02 株式会社ミクニ アクセルペダル装置
CN115326165B (zh) * 2022-10-12 2023-01-24 山东特联信息科技有限公司 罐车远程监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5492A1 (de) * 2000-05-23 2001-12-13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ückmeldung des Fahrzustands eines Fahrzeugs an den Fahrer
JP3656548B2 (ja) * 2000-12-22 2005-06-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力制御装置
JP4173324B2 (ja) * 2002-06-20 2008-10-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3700682B2 (ja) * 2002-06-20 2005-09-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クセルペダル装置
US7155341B2 (en) * 2002-06-21 2006-12-26 Nissan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vehicle environment
JP4082177B2 (ja) * 2002-10-30 2008-04-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安全装置
JP2004217175A (ja) * 2003-01-17 2004-08-05 Toyota Motor Corp 車間距離制御装置
DE10303578B4 (de) * 2003-01-30 2015-08-13 SMR Patents S.à.r.l. Gefahrenerkennungssystem für Fahrzeuge mit mindestens einer seitlichen und rückwärtigen Umgebungserfassung
JP4294401B2 (ja) * 2003-07-25 2009-07-1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走行支援装置
JP4254501B2 (ja) * 2003-11-20 2009-04-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た車両
JP4453514B2 (ja) * 2004-06-09 2010-04-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た車両
US7269484B2 (en) * 2004-09-09 2007-09-11 Lear Corporation Vehicular touch switches with adaptive tactile and audible feedback
JP4169022B2 (ja) * 2005-08-05 2008-10-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る車両
EP1777094B1 (en) * 2005-10-19 2008-03-26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Motor vehicle signalling system incorporating a haptic accelerator pedal
JP5082243B2 (ja) * 2006-01-10 2012-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補助装置
US8000874B2 (en) 2006-03-10 2011-08-16 Nissan Motor Co., Ltd. Vehicle headway maintenance assist system and method
JP4788611B2 (ja) * 2006-03-10 2011-10-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間維持支援装置および車間維持支援方法
JP4765766B2 (ja) * 2006-05-23 2011-09-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および車両用運転操作補助装置を備えた車両
JP4967559B2 (ja) * 2006-09-19 2012-07-0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居眠り運転防止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80051222A (ko) 2006-12-05 200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속도 제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0844559B1 (ko) 2006-12-14 2008-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 페달 시스템
KR100879061B1 (ko) 2006-12-14 2009-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 페달 시스템
US8063754B2 (en) * 2006-12-15 2011-11-22 Honda Motor Co., Ltd. Vehicle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tactile device
JP2008221909A (ja) * 2007-03-09 2008-09-25 Honda Motor Co Ltd 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2009096245A (ja) 2007-10-15 2009-05-0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の操作ペダル
US8090517B2 (en) * 2007-12-19 2012-01-03 Nissan Motor Co., Ltd. Inter-vehicle distance maintenance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JP2009255648A (ja) 2008-04-14 2009-11-05 Denso Corp 車両の制御装置
JP4697486B2 (ja) 2008-07-23 2011-06-08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車制御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6246B2 (en) 2012-08-30 2015-03-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aptic feedback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64302A (ko) 2017-11-30 201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방법 및 장치
US10576992B2 (en) 2017-11-30 2020-03-03 Hy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riving mode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73429B2 (en) 2015-07-07
US20120143439A1 (en) 2012-06-07
US20150258891A1 (en) 2015-09-17
KR101338708B1 (ko) 2013-12-16
US10106035B2 (en)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708B1 (ko) 차량의 가속페달 제어방법
US10928818B2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JP3675235B2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KR101885424B1 (ko) 차량의 운전 지원 장치
CN1690657B (zh) 停车辅助装置
US7212906B2 (en) Follow running control system
US20180079410A1 (en) Vehicle traveling control apparatus
JP4558623B2 (ja) 走行制御装置
KR102306474B1 (ko) 자동 운전 차량
KR101963481B1 (ko) 차량의 운전자의 적응 반응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2274353A (ja) 車両用制駆動力制御装置
JP2005519804A (ja) ストップアンドゴー機能を有する速度制御器
JP2002139143A (ja) 車両用変速機制御装置
JP2003254111A (ja) 車両用運転制御装置
JP2017016305A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JPH11124019A (ja) ブレーキアシストシステム
JP5761089B2 (ja) 車両の運転支援システム
JP2002178785A (ja) 車両発進制御装置
JP2003056371A (ja) 車両の誤操作検出装置及び車両の制御装置
JP5935348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3590917B2 (ja) 車両用運転予知制御装置
JP5552455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2020111214A (ja) 車線変更支援装置
JP2001209900A (ja) 前車発進報知装置
JP2021162119A (ja) 走行制御装置および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