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1881A - 시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1881A
KR20120031881A KR1020110091216A KR20110091216A KR20120031881A KR 20120031881 A KR20120031881 A KR 20120031881A KR 1020110091216 A KR1020110091216 A KR 1020110091216A KR 20110091216 A KR20110091216 A KR 20110091216A KR 20120031881 A KR20120031881 A KR 20120031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esident
section
facility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697B1 (ko
Inventor
도모유키 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Publication of KR20120031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각 구획에 대한 이용자의 입퇴실과 연동시켜 구획의 관련 설비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운전한다.
(해결수단) 판정 처리부(46)에 의해,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이용자 정보 기억부(44B)로부터 이용자의 상주 구획을 취득하고, 구획 정보 기억부(44A)로부터 이용자의 이동처 구획에서의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를 취득하여,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개시를 설비 운전 제어부(47)에 대하여 지시한다.

Description

시설 관리 시스템 및 방법{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시설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설에 설치된 구획에 대한 입실 판정시에, 상기 구획과 관련된 관련 설비의 운전을 제어하는 시설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시설내에 설치한 각 구획에 관해, 이들 구획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입퇴실을 관리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는,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개인 식별 번호를 기록한 ID 카드 등의 기록 매체를 이용자에게 미리 배포해 두고, 이용자가 임의의 구획에서 입퇴실할 때, 상기 구획의 출입구에 설치된 카드 리더 등의 리더 단말에서 ID 카드로부터 판독한 개인 식별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에 대한 입퇴실 가부를 판정하고, 입퇴 허가의 판정에 따라서, 상기 구획의 도어에 설치된 전기 자물쇠를 언로킹(unlocking, 개정(開錠))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이러한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는, 각 구획에서의 입퇴실을 이력으로 기록해 두고, 임의의 구획에 최초로 이용자가 입실한 최초 입실(初入)시, 또는 임의의 구획으로부터 최후의 이용자가 퇴실한 최종 퇴실(終退)시에, 상기 구획의 조명 설비나 공조 설비의 운전 개시ㆍ정지를 제어하거나, 또는 최종 퇴실시에 상기 구획에 대한 경비 기기를 기동하고, 최초 입실시에 경비 기기를 정지하는 등, 구획으로의 입퇴실과 연동시켜 상기 구획에 관련된 관련 기기를 자동 운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등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 11-210284호 공보
이러한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는, 임의의 이용자가 구획에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상기 구획에 관련된 관련 설비를 자동 운전하고 있기 때문에, 구획의 일시적인 이용이라 하더라도, 관련 설비가 운전되어 버려, 설비의 운전면에서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이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어떤 이용자가, 다른 부서의 구획에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이동한 경우, 또는 다른 부서의 구획을 일시적으로 통과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구획의 조명 설비나 공조 설비의 운전이 개시되어 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구획에 대한 이용자의 입퇴실과 연동시켜 구획의 관련 설비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시설 관리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은, 시설에 설치된 구획에 대한 입실 판정시에, 상기 구획과 관련된 관련 설비의 운전을 제어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으로서, 입실을 관리하는 구획마다, 상기 구획내에 존재하는, 상기 구획을 상주 구획으로 하는 상주 이용자의 인수를 나타내는 상주 이용자수를 기억하는 구획 정보 기억부와, 구획을 이용하는 이용자마다, 상기 이용자가 상주하는 구획을 나타내는 상주 구획과, 구획으로의 입실 가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정보를 기억하는 이용자 정보 기억부와, 각 구획에 설치되어, 이용자 조작에 따라서 상기 구획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실 가부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 요구를 송신하는 리더 단말과, 리더 단말로부터의 판정 요구에 따라서, 이용자 정보 기억부로부터 취득한 이용자의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구획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실 가부를 판정하여, 이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구획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 자물쇠의 언로킹을 지시하고, 구획 정보 기억부 중 이용자의 이동처 구획과 이동원 구획에서의 상주 이용자수를 갱신하는 판정 처리부와, 구획마다, 상기 구획의 이용과 연동시키는 관련 설비의 운전을 제어하는 설비 운전 제어부를 포함하고, 판정 처리부에서,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이용자 정보 기억부로부터 이용자의 상주 구획을 취득하고, 구획 정보 기억부로부터 이용자의 이동처 구획에서의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를 취득하여,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개시를 설비 운전 제어부에 대하여 지시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판정 처리부에서,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구획 정보 기억부로부터 이용자의 이동원 구획에서의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를 취득하여, 이용자가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 이용자의 입실후에 있어서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정지를 설비 운전 제어부에 대하여 지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 판정 처리부에서, 판정 정보에 의한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낼 때,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이며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경우, 구획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는 입실 불가라고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설 관리 방법은, 시설에 설치된 구획에 대한 입실 판정시에, 상기 구획과 관련된 관련 설비의 운전을 제어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시설 관리 방법으로서, 구획 정보 기억부가, 입실을 관리하는 구획마다, 상기 구획내에 존재하는, 상기 구획을 상주 구획으로 하는 상주 이용자의 인수를 나타내는 상주 이용자수를 기억하는 구획 정보 기억 단계와, 이용자 정보 기억부가, 구획을 이용하는 이용자마다, 상기 이용자가 상주하는 구획을 나타내는 상주 구획과, 구획으로의 입실 가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정보를 기억하는 이용자 정보 기억 단계와, 각 구획에 설치된 리더 단말이, 이용자 조작에 따라서 상기 구획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실 가부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와, 판정 처리부가, 리더 단말로부터의 판정 요구에 따라서, 이용자 정보 기억부로부터 취득한 이용자의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구획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실 가부를 판정하여, 이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구획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 자물쇠의 언로킹을 지시하고, 구획 정보 기억부 중 이용자의 이동처 구획과 이동원 구획에서의 상주 이용자수를 갱신하는 판정 처리 단계와, 설비 운전 제어부가, 구획마다, 상기 구획의 이용과 연동시키는 관련 설비의 운전을 제어하는 설비 운전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판정 처리 단계에서,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이용자 정보 기억부로부터 이용자의 상주 구획을 취득하고, 구획 정보 기억부로부터 이용자의 이동처 구획에서의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를 취득하여,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개시를 설비 운전 제어부에 대하여 지시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판정 처리 단계에서,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구획 정보 기억부로부터 이용자의 이동원 구획에서의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를 취득하여, 이용자가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 이용자의 입실후에 있어서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정지를 설비 운전 제어부에 대하여 지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 판정 처리 단계에서, 판정 정보에 의한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낼 때,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이며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경우, 구획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는 입실 불가라고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이동처 구획에 이용자가 입실한 경우에만,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을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이동처 구획에,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이용자가 입실한 경우에는,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개시를 회피할 수 있어, 임의의 이용자가 구획에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상기 구획에 관련된 관련 설비를 자동 운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획의 관련 설비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구획 정보의 구성예이다.
도 3은 이용자 정보의 구성예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입실 판정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입실 판정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다른 입실 판정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입실 판정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입실 판정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다른 입실 판정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시설 관리 시스템(1)에는, ID 카드(10), 리더 단말(22), 전기 자물쇠(23), 제어 장치(30) 및 관리 장치(40)가 포함되어 있다. 각 구획(20)의 도어(21)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는 리더 단말(22) 및 전기 자물쇠(23)는, 통신 회선(L1)을 통해 각각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제어 장치(30)와 접속되어 있다. 또, 관리 장치(40)에는, 통신 회선(L2)을 통해 제어 장치(30)가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때, 시설 관리 시스템의 규모에 따라서, 제어 장치(30)를 복수 설치해도 좋다.
ID 카드(10)는, 메모리 카드나 IC 카드 등의 휴대 가능한 정보 처리용 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ID 카드를 소지하는 이용자의 통행 가부를 판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이용자에게 고유한 이용자 ID 등의 이용자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리더 단말(22)은, 구획(20)의 도어(21)마다 함께 설치된, 카드 리더 등의 입력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카드 슬롯에 ID 카드를 삽입하거나(접촉형), 또는 카드 안테나에 ID 카드를 가까이 비춤으로써(비접촉형), 이용자가 제시한 ID 카드(10)로부터 이용자 ID 등의 이용자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기능과, 상기 이용자 식별 정보와 미리 자기에게 설정되어 있는 상기 도어(21)에 고유한 도어 ID를 포함하는 판정 요구를, 통신 회선(L1)을 통해 제어 장치(30)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전기 자물쇠(23)는, 구획(20)의 도어(21)마다 설치된 전동식 자물쇠를 포함하고, 통신 회선(L1)을 통해 수신한 제어 장치(30)로부터의 언로킹/로킹(locking, 시정(施錠))의 지시에 따라서, 도어(21)의 언로킹/로킹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전기 자물쇠(23)는, 항상 로킹되어 있고, 제어 장치(30)로부터 언로킹 지시가 도래한 경우에만 정해진 기간만큼 언로킹하는 것으로 한다.
제어 장치(30)는, 설비의 관리ㆍ감시를 행하는 각종 제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컨트롤러 등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통신 회선(L1)을 통해 각 구획(20)에 설치된 리더 단말(22)로부터의 판정 요구를 수신하여, 통신 회선(L2)을 통해 관리 장치(40)에 통지하는 기능과, 관리 장치(4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대응하는 구획(20)의 도어(21)에 설치된 전기 자물쇠(23)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관리 장치(40)는, 전체적으로 서버 장치나 PC 등의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제어 장치(30)를 통한 리더 단말(22)로부터의 판정 요구에 따라서, 상기 구획에서의 이용자의 입퇴실 가부를 판정하여, 상기 구획의 도어에 관한 언로킹 제어를 행하는 기능과, 각 구획의 이용과 연동시키는 관련 설비의 운전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관리 장치(40)에는, 주요 기능부로서, 통신 I/F부(41), 조작 입력부(42), 화면 표시부(43), 기억부(44), 구획 정보 기억부(44A), 이용자 정보 기억부(44B), 정보 관리부(45), 판정 처리부(46) 및 설비 운전 제어부(47)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기능부는, 내부 버스를 통해 서로 데이터 교환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통신 I/F부(41)는, 통신 회선(L2)을 통해 제어 장치(30) 등의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조작 입력부(42)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조작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오퍼레이터 조작을 검출하여, 정보 관리부(45) 등의 각종 기능부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화면 표시부(43)는, LCD나 PDP 등의 화면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정보 관리부(45) 등의 각종 기능부로부터 출력된 각종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기억부(44)는,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관리 장치(40)에서의 처리 동작에 이용하는 각종 정보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구획 정보 기억부(44A)는,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입퇴실을 관리하는 구획(20)마다, 상기 구획을 식별하기 위한 구획 ID와, 상기 구획(20)에 존재하는, 상기 구획(20)을 상주 구획으로 하는 상주 이용자의 인수를 나타내는 상주 이용자수의 조를, 구획 정보로서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도 2는, 구획 정보의 구성예이다. 여기서는, 구획(20)마다, 구획 ID 및 상주 이용자수와, 상기 구획(20)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21)의 도어 ID와, 상기 구획(20)의 이용과 연동시켜 운전해야 할 설비를 나타내는 관련 설비 ID의 조가 등록되어 있다.
이용자 정보 기억부(44B)는,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구획(20)을 이용하는 이용자마다, 상기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ID 등의 이용자 식별 정보와, 각 구획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실 가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정보와, 상기 이용자가 상주하는 구획을 나타내는 상주 구획 ID의 조를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상주 구획이란, 상기 이용자의 자리가 존재하는 구획 등, 통상 상태에서의 이용자의 거소가 되는 구획이며, 예를 들어 상기 이용자가 소속된 부서에 따라 결정해도 좋다.
도 3은, 이용자 정보의 구성예이다. 여기서는, 이용자마다, 이용자 ID, 판정 정보로서의 입실 가능한 구획을 나타내는 입실 허가 구획 ID 및 상주 구획 ID가 등록되어 있다.
정보 관리부(45)는, CPU와 프로그램이 협동하여 이루어진 연산 처리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 입력부(42)에서의 구획 정보 변경 조작에 따라서, 구획 정보 기억부(44A)에서 기억하고 있는 구획 정보를 변경하여 보존하는 기능과,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 입력부(42)에서의 이용자 정보 변경 조작에 따라서, 이용자 정보 기억부(44B)에서 기억하고 있는 이용자 정보를 변경하여 보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판정 처리부(46)는, CPU와 프로그램이 협동하여 이루어진 연산 처리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어 장치(30)를 통해 통신 I/F부(41)에서 수신한 리더 단말(22)로부터의 판정 요구에 따라서, 판정 요구에서 지정된 도어 ID에 기초하여 구획 정보 기억부(44A)로부터 취득한 상기 구획(20)의 구획 ID와, 판정 요구에서 지정된 이용자 ID에 기초하여 이용자 정보 기억부(44B)로부터 취득한 상기 이용자의 입실 허가 구획 ID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이용자에 대한 상기 구획(20)으로의 입실 가부를 판정하는 기능과, 입실 허가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통신 I/F부(41)로부터 제어 장치(30)를 통해 상기 구획(20)의 전기 자물쇠(23)에 언로킹을 지시하고, 구획 정보 기억부 중 이용자의 이동처 구획과 이동원 구획에서의 상주 이용자수를 갱신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판정 처리부(46)는,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이용자 정보 기억부(44B)로부터 이용자의 상주 구획 ID를 취득하고, 구획 정보 기억부(44A)로부터 이용자의 이동처 구획에서의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를 취득하여,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개시를 설비 운전 제어부(47)에 대하여 지시하는 기능과,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구획 정보 기억부(44A)로부터 이용자의 이동원 구획에서의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를 취득하여, 이용자가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 이용자의 입실후에 있어서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정지를 설비 운전 제어부(47)에 대하여 지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설비 운전 제어부(47)는, CPU와 프로그램이 협동하여 이루어진 연산 처리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판정 처리부(46)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구획(20)마다, 상기 구획(20)의 이용과 연동시키는 관련 설비의 운전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1 실시형태의 동작]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입실 판정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입실 판정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관리 장치(40)의 판정 처리부(46)는, 제어 장치(30)를 통해 통신 I/F부(41)에서 수신한 리더 단말(22)로부터의 판정 요구에 따라서, 도 4의 입실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판정 처리부(46)는, 수신한 판정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이용자 ID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의 입실 허가 구획 ID를 이용자 정보 기억부(44B)로부터 취득하고(단계 100), 마찬가지로 수신한 판정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도어 ID에 기초하여, 구획 정보 기억부(44A)로부터 취득한, 상기 도어 ID와 대응하는 구획(20)을 나타내는 이동처 구획 ID와 비교한다(단계 101).
여기서, 이동처 구획 ID가 입실 허가 구획 ID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단계 101 : NO), 판정 처리부(46)는, 상기 이동처 구획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실은 불가라고 판정하고, 일련의 입실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대응하는 도어(21)의 전기 자물쇠(23)는 로킹된 상태가 되어, 이용자는 이동처 구획에 입실할 수 없다.
한편, 이동처 구획 ID가 입실 허가 구획 ID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단계 101 : YES), 판정 처리부(46)는, 상기 이동처 구획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실은 가능하다고 판정하여, 통신 I/F부(41)로부터 제어 장치(30)를 통해 대응하는 도어(21)의 전기 자물쇠(23)에 언로킹 지시를 송신한다(단계 102). 이에 따라, 도어(21)의 전기 자물쇠가 언로킹되어, 이용자는 이동처 구획에 입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후, 판정 처리부(46)는, 이용자 정보 기억부(44B)로부터, 이용자의 상주 구획 ID를 취득하고(단계 103), 구획 정보 기억부(44A)로부터,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수인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와,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수인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를 취득한다(단계 104).
계속해서, 판정 처리부(46)는,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단계 105 : YES)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단계 106 : YES), 구획 정보 기억부(44A)로부터 취득한,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 ID에 기초하여,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개시를 설비 운전 제어부(47)에 대하여 지시하고(단계 107), 구획 정보 기억부(44A) 중, 이용자의 입실에 관련된 이동처 구획 및 이동원 구획에서의 상주 이용자수를 갱신한다(단계 108). 이에 따라, 설비 운전 제어부(47)에 의해,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이 개시된다.
한편,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경우(단계 105 : NO) 및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가 아닌 경우(단계 106 : NO), 판정 처리부(46)는,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개시를 설비 운전 제어부(47)에 대하여 지시하지 않고 단계 108에 이행하여, 구획 정보 기억부(44A) 중, 이용자의 입실에 관련된 이동처 구획 및 이동원 구획에서의 상주 이용자수를 갱신한다.
이에 따라,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에서 입실전의 상태가 계속되어, 예를 들어 이동처 구획에 상주 이용자가 존재했던 경우에는, 그 관련 설비의 운전이 계속된다. 또, 이동처 구획에 상주 이용자가 존재하지 않았던 경우에는,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에 입실하더라도, 그 관련 설비의 운전은 개시되지 않고 정지 상태가 계속된다.
계속해서, 판정 처리부(46)는, 이용자가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단계 109 : YES) 이용자의 입실후에 있어서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단계 110 : YES), 구획 정보 기억부(44A)로부터 취득한,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 ID에 기초하여,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정지를 설비 운전 제어부(47)에 대하여 지시하고(단계 111), 일련의 입실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에 입실한 후,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이용자가 이동원 구획에 존재하고 있더라도, 설비 운전 제어부(47)에 의해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이 정지된다.
한편, 이용자가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경우(단계 109 : NO) 및 이용자의 입실후에 있어서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가 아닌 경우(단계 110 : NO), 판정 처리부(46)는,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정지를 지시하지 않고, 일련의 입실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에서 입실전의 상태가 계속되어, 예를 들어 이동원 구획에 상주 이용자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그 관련 설비의 운전이 계속되고, 이동원 구획에 상주 이용자가 존재하지 않아 그 관련 설비가 운전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그 관련 설비의 운전 정지가 계속된다.
[제1 실시형태의 동작예]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입실 판정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구획 R1로부터 구획 R2에 이용자 P가 입실하는 경우가 예로서 나타나 있다.
우선, 입실전의 상태에서, 구획 R1에, 상주 구획이 구획 R2인 이용자 P와, 상주 구획이 구획 R1인 이용자 Q가 존재하고 있고, 구획 R2에는 어떤 이용자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획 R1의 상주 이용자수는 「1」이고, 구획 R2의 상주 이용자수는 「0」이다. 또, 구획 R1의 관련 설비가 운전중이고, 구획 R2의 관련 설비는 정지중이다.
그 후, 이용자 P가 구획 R2에 입실한 경우, 이용자 P는 이동처 구획 R2의 상주 이용자이며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였기 때문에, 이동처 구획 R2의 관련 설비의 운전이 개시된다.
또, 이용자 P는 이동원 구획 R1의 상주 이용자가 아니고, 또 이용자 P가 구획 R2에 입실한 후에 있어서 이동원 구획 R1의 상주 이용자인 이용자 Q가 이동원 구획 R1에 존재하고 있어,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가 아니기 때문에, 이동원 구획 R1의 관련 설비의 운전은 계속된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다른 입실 판정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구획 R1로부터 구획 R2에 이용자 Q가 입실하는 경우가 예로서 나타나 있다.
우선, 입실전의 상태에서, 구획 R1에, 상주 구획이 구획 R2인 이용자 P와, 상주 구획이 구획 R1인 이용자 Q가 존재하고 있고, 구획 R2에는 어떤 이용자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획 R1의 상주 이용자수는 「1」이고, 구획 R2의 상주 이용자수는 「0」이다. 또, 구획 R1의 관련 설비가 운전중이고, 구획 R2의 관련 설비는 정지중이다.
그 후, 이용자 Q가 구획 R2에 입실한 경우, 이용자 Q는 이동처 구획 R2의 상주 이용자가 아니기 때문에, 이동처 구획 R2의 관련 설비의 운전은 개시되지 않는다.
또, 이용자 Q는 이동원 구획 R1의 상주 이용자이며, 이용자 Q가 구획 R2에 입실한 후에 있어서 이동원 구획 R1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이용자 P만이 이동원 구획 R1에 존재하고 있어,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이기 때문에, 이동원 구획 R1의 관련 설비의 운전은 정지된다.
[제1 실시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판정 처리부(46)에 의해,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이용자 정보 기억부(44B)로부터 이용자의 상주 구획을 취득하고, 구획 정보 기억부(44A)로부터 이용자의 이동처 구획에서의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를 취득하여,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개시를 설비 운전 제어부(47)에 대하여 지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이동처 구획에 이용자가 입실한 경우에만,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을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이동처 구획에,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이용자가 입실한 경우에는,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개시를 회피할 수 있어, 임의의 이용자가 구획에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상기 구획에 관련된 관련 설비를 자동 운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획의 관련 설비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정 처리부(46)에 의해,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구획 정보 기억부(44A)로부터 이용자의 이동원 구획에서의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를 취득하여, 이용자가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 이용자의 입실후에 있어서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정지를 설비 운전 제어부(47)에 대하여 지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이동원 구획에 존재하지 않게 된 경우,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을 즉시 정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이동원 구획에,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이용자만 남은 경우에는,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계속을 회피할 수 있어, 임의의 이용자가 구획에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상기 구획에 관련된 관련 설비를 자동 운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획의 관련 설비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처 구획에 대한 이용자의 입실을 판정할 때,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에 기초하여, 입실 판정을 행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판정 처리부(46)는, 입실 판정시, 판정 정보에 의한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낼 때,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이며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경우, 이동처 구획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는 입실 불가라고 판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1) 중, 그 밖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여,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동작]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입실 판정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입실 판정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전술한 도 4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관리 장치(40)의 판정 처리부(46)는, 제어 장치(30)를 통해 통신 I/F부(41)에서 수신한 리더 단말(22)로부터의 판정 요구에 따라서, 도 7의 입실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판정 처리부(46)는, 수신된 판정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이용자 ID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의 입실 허가 구획 ID를 이용자 정보 기억부(44B)로부터 취득하고(단계 100), 마찬가지로 수신된 판정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도어 ID에 기초하여, 구획 정보 기억부(44A)로부터 취득한, 상기 도어 ID와 대응하는 구획(20)을 나타내는 이동처 구획 ID와 비교한다(단계 101).
여기서, 이동처 구획 ID가 입실 허가 구획 ID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단계 101 : NO), 판정 처리부(46)는, 상기 이동처 구획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실은 불가라고 판정하고, 일련의 입실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대응하는 도어(21)의 전기 자물쇠(23)는 로킹된 상태가 되어, 이용자는 이동처 구획에 입실할 수 없다.
한편, 이동처 구획 ID가 입실 허가 구획 ID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단계 101 : YES), 판정 처리부(46)는, 이용자 정보 기억부(44B)로부터, 이용자의 상주 구획 ID를 취득하고(단계 103), 구획 정보 기억부(44A)로부터,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수인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와,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수인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를 취득한다(단계 104).
계속해서, 판정 처리부(46)는,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이며(단계 200 : YES)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인 경우(단계 201 : YES), 상기 이동처 구획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실은 가능하다고 판정하여, 구획 정보 기억부(44A)로부터 취득한,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 ID에 기초하여,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개시를 설비 운전 제어부(47)에 대하여 지시하고(단계 202), 통신 I/F부(41)로부터 제어 장치(30)를 통해 대응하는 도어(21)의 전기 자물쇠(23)에 언로킹 지시를 송신한다(단계 203).
이에 따라, 설비 운전 제어부(47)에 의해,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이 개시되고, 도어(21)의 전기 자물쇠가 언로킹되어, 이용자는 이동처 구획에 입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입실하는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인 경우에는, 이동처 구획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는 입실 허가라고 판정되고, 이것에 따라서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도 개시된다.
한편,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이며(단계 200 : YES)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경우(단계 201 : NO), 판정 처리부(46)는, 상기 이동처 구획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실은 불가라고 판정하고, 일련의 입실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대응하는 도어(21)의 전기 자물쇠(23)는 로킹된 상태가 되어, 이용자는 이동처 구획에 입실할 수 없다. 따라서, 이용자의 이동후에도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처 구획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는 입실 불가라고 판정된다.
또,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가 아닌 경우(단계 200 : NO), 판정 처리부(46)는,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개시를 설비 운전 제어부(47)에 대하여 지시하지 않고 단계 203에 이행하여, 통신 I/F부(41)로부터 제어 장치(30)를 통해 대응하는 도어(21)의 전기 자물쇠(23)에 언로킹 지시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도어(21)의 전기 자물쇠가 언로킹되어, 이용자는 이동처 구획에 입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동처 구획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는 입실 허가라고 판정되고, 이것에 따라서, 이동처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이 계속된다.
그 후, 판정 처리부(46)는, 구획 정보 기억부(44A) 중, 이용자의 입실에 관련된 이동처 구획 및 이동원 구획에서의 상주 이용자수를 갱신한다(단계 108).
계속해서, 판정 처리부(46)는, 이용자가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단계 109 : YES) 이용자의 입실후에 있어서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단계 110 : YES), 구획 정보 기억부(44A)로부터 취득한,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 ID에 기초하여,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정지를 설비 운전 제어부(47)에 대하여 지시하고(단계 111), 일련의 입실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에 입실한 후,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이용자가 이동원 구획에 존재하고 있더라도, 설비 운전 제어부(47)에 의해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이 정지된다.
한편, 이용자가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경우(단계 109 : NO) 및 이용자의 입실후에 있어서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가 아닌 경우(단계 110 : NO), 판정 처리부(46)는,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의 운전 정지를 지시하지 않고, 일련의 입실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이동원 구획의 관련 설비에서 입실전의 상태가 계속되어, 예를 들어 이동원 구획에 상주 이용자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그 관련 설비의 운전이 계속되고, 이동원 구획에 상주 이용자가 존재하지 않아, 그 관련 설비가 운전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그 관련 설비의 운전 정지가 계속된다.
[제2 실시형태의 동작예]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입실 판정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구획 R1로부터 구획 R2에 이용자 P가 입실하는 경우가 예로서 나타나 있다.
우선, 입실전의 상태에서, 구획 R1에, 상주 구획이 구획 R2인 이용자 P와, 상주 구획이 구획 R1인 이용자 Q가 존재하고 있고, 구획 R2에는 어떤 이용자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획 R1의 상주 이용자수는 「1」이고, 구획 R2의 상주 이용자수는 「0」이다. 또, 구획 R1의 관련 설비가 운전중이고, 구획 R2의 관련 설비는 정지중이다.
그 후, 이용자 P가 구획 R2에 입실하는 경우,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이지만, 이용자 P는 이동처 구획 R2의 상주 이용자이기 때문에, 이동처 구획 R2에 대하여 이용자 P는 입실 허가라고 판정된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시설 관리 시스템의 다른 입실 판정 동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구획 R1로부터 구획 R2에 이용자 Q가 입실하는 경우가 예로서 나타나 있다.
우선, 입실전의 상태에서, 구획 R1에, 상주 구획이 구획 R2인 이용자 P와, 상주 구획이 구획 R1인 이용자 Q가 존재하고 있고, 구획 R2에는 어떤 이용자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획 R1의 상주 이용자수는 「1」이고, 구획 R2의 상주 이용자수는 「0」이다. 또, 구획 R1의 관련 설비가 운전중이고, 구획 R2의 관련 설비는 정지중이다.
그 후, 이용자 Q가 구획 R2에 입실할 때,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이며 이용자 Q는 이동처 구획 R2의 상주 이용자가 아니기 때문에, 이동처 구획 R2에 대하여 이용자 Q는 입실 불가라고 판정된다.
[제2 실시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판정 처리부(46)에서, 판정 정보에 의한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낼 때,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이며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경우, 구획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는 입실 불가라고 판정하도록 했기 때문에, 이용자의 이동후에도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처 구획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는 입실 불가라고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이동처 구획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이용자의 입실을 허가할 수 있어, 매우 높은 보안성을 갖는 입실 판정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의 확장]
이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한 것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여러가지 변경을 할 수 있다.
1 : 시설 관리 시스템 10 : ID 카드
20 : 구획 21 : 도어
22 : 리더 단말 23 : 전기 자물쇠
30 : 제어 장치 40 : 관리 장치
41 : 통신 I/F부 42 : 조작 입력부
43 : 화면 표시부 44 : 기억부
44A : 구획 정보 기억부 44B : 이용자 정보 기억부
45 : 정보 관리부 46 : 판정 처리부
47 : 설비 운전 제어부 L1, L2 : 통신 회선

Claims (6)

  1. 시설에 설치된 구획에 대한 입실 판정시에, 상기 구획과 관련된 관련 설비의 운전을 제어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으로서,
    입실을 관리하는 구획마다, 상기 구획내에 존재하는, 상기 구획을 상주 구획으로 하는 상주 이용자의 인수를 나타내는 상주 이용자수를 기억하는 구획 정보 기억부와,
    상기 구획을 이용하는 이용자마다, 상기 이용자가 상주하는 구획을 나타내는 상주 구획과, 상기 구획으로의 입실 가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정보를 기억하는 이용자 정보 기억부와,
    상기 각 구획에 설치되어, 이용자 조작에 따라서 상기 구획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실 가부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 요구를 송신하는 리더 단말과,
    상기 리더 단말로부터의 판정 요구에 따라서, 상기 이용자 정보 기억부로부터 취득한 상기 이용자의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획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실 가부를 판정하여, 이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구획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 자물쇠의 언로킹을 지시하고, 상기 구획 정보 기억부 중 상기 이용자의 이동처 구획과 이동원 구획에서의 상기 상주 이용자수를 갱신하는 판정 처리부와,
    상기 구획마다, 상기 구획의 이용과 연동시키는 관련 설비의 운전을 제어하는 설비 운전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판정 처리부는, 상기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이용자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상주 구획을 취득하고, 상기 구획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이동처 구획에서의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를 취득하여, 상기 이용자가 상기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 상기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상기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 상기 이동처 구획의 상기 관련 설비의 운전 개시를 상기 설비 운전 제어부에 대하여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처리부는, 상기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구획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이동원 구획에서의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를 취득하여, 상기 이용자가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 상기 이용자의 입실후에 있어서 상기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 상기 이동원 구획의 상기 관련 설비의 운전 정지를 상기 설비 운전 제어부에 대하여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처리부는, 상기 판정 정보에 의한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낼 때, 상기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상기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이며 상기 이용자가 상기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경우, 상기 구획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는 입실 불가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
  4. 시설에 설치된 구획에 대한 입실 판정시에, 상기 구획과 관련된 관련 설비의 운전을 제어하는 시설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시설 관리 방법으로서,
    구획 정보 기억부가, 입실을 관리하는 구획마다, 상기 구획내에 존재하는, 상기 구획을 상주 구획으로 하는 상주 이용자의 인수를 나타내는 상주 이용자수를 기억하는 구획 정보 기억 단계와,
    이용자 정보 기억부가, 상기 구획을 이용하는 이용자마다, 상기 이용자가 상주하는 구획을 나타내는 상주 구획과, 상기 구획으로의 입실 가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정보를 기억하는 이용자 정보 기억 단계와,
    상기 각 구획에 설치된 리더 단말이, 이용자 조작에 따라서 상기 구획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실 가부 판정을 요구하는 판정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와,
    판정 처리부가, 상기 리더 단말로부터의 판정 요구에 따라서, 상기 이용자 정보 기억부로부터 취득한 상기 이용자의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획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실 가부를 판정하여, 이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구획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 자물쇠의 언로킹을 지시하고, 상기 구획 정보 기억부 중 상기 이용자의 이동처 구획과 이동원 구획에서의 상기 상주 이용자수를 갱신하는 판정 처리 단계와,
    설비 운전 제어부가, 상기 구획마다, 상기 구획의 이용과 연동시키는 관련 설비의 운전을 제어하는 설비 운전 제어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판정 처리 단계는, 상기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이용자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상주 구획을 취득하고, 상기 구획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이동처 구획에서의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를 취득하여, 상기 이용자가 상기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 상기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상기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 상기 이동처 구획의 상기 관련 설비의 운전 개시를 상기 설비 운전 제어부에 대하여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처리 단계는, 상기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구획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이동원 구획에서의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를 취득하여, 상기 이용자가 이동원 구획의 상주 이용자이며 상기 이용자의 입실후에 있어서 상기 이동원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인 경우, 상기 이동원 구획의 상기 관련 설비의 운전 정지를 상기 설비 운전 제어부에 대하여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처리 단계는, 상기 판정 정보에 의한 판정 결과가 입실 허가를 나타낼 때, 상기 이용자의 입실전에 있어서 상기 이동처 상주 이용자수가 제로이며 상기 이용자가 상기 이동처 구획의 상주 이용자가 아닌 경우, 상기 구획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는 입실 불가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관리 방법.
KR1020110091216A 2010-09-27 2011-09-08 시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67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14862 2010-09-27
JP2010214862A JP5579006B2 (ja) 2010-09-27 2010-09-27 施設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881A true KR20120031881A (ko) 2012-04-04
KR101267697B1 KR101267697B1 (ko) 2013-05-23

Family

ID=4587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216A KR101267697B1 (ko) 2010-09-27 2011-09-08 시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75056A1 (ko)
JP (1) JP5579006B2 (ko)
KR (1) KR101267697B1 (ko)
CN (1) CN1024198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3782B2 (ja) * 2012-05-22 2016-08-23 アズビル株式会社 施設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223875A (zh) * 2015-10-23 2016-01-06 张昭 智能控电系统及其控电方法
WO2019239513A1 (ja) * 2018-06-13 2019-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統合制御装置および統合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3456A (ja) * 2004-12-02 2006-06-22 Hitachi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入退室管理装置
JP2006252212A (ja) * 2005-03-11 2006-09-21 Hitachi Ltd 電源管理機能を持つセキュリティ管理装置
JP4778309B2 (ja) * 2005-12-19 2011-09-21 セコム株式会社 出入管理システム
JP4627743B2 (ja) * 2006-05-26 2011-02-09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入退出管理システム、並びに入退出管理装置
JP5036436B2 (ja) * 2007-07-20 2012-09-26 東光電気株式会社 環境管理システム
JP5304222B2 (ja) * 2008-12-24 2013-10-02 株式会社大林組 室内設備制御システム
KR20100084303A (ko) * 2009-01-16 2010-07-26 성정현 Rfid 데이터 전송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 전원제어시스템 및 전원제어방법
CN101510324A (zh) * 2009-03-13 2009-08-19 黄以华 一种无线射频识别rfid的建筑物安全监控系统
JP4737316B2 (ja) * 2009-03-25 2011-07-2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201465196U (zh) * 2009-07-30 2010-05-12 潍坊凌讯智能科技有限公司 门禁系统节电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75056A1 (en) 2012-03-29
JP2012069035A (ja) 2012-04-05
KR101267697B1 (ko) 2013-05-23
JP5579006B2 (ja) 2014-08-27
CN102419873A (zh) 2012-04-18
CN102419873B (zh)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698B1 (ko) 입퇴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33527B1 (ko) 입퇴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021937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中央管理装置
KR101347941B1 (ko) 시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77396B1 (ko) 입퇴실 관리 시스템 및 입퇴실 관리 방법
KR101212825B1 (ko) 시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67697B1 (ko) 시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107598B2 (ja) 入退室管理装置および方法
CN103262518B (zh) 集合住宅系统
JP5443924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5069373A (ja) 機械式駐車場システムの運用方法
JP5303210B2 (ja) 入退管理システム、入退管理方法、入退判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973782B2 (ja) 施設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175706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入退室管理方法、および受付装置
JP2016042334A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JP2003187284A (ja) 入退室管理装置および方法
CN113191507B (zh) 接地线管理方法、装置、平台、系统及存储介质
JP2007063858A (ja) 入館権限情報システム
JP2006059159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退場管理方法
JP2008242513A (ja) 入退室管理装置および方法
JP2018199922A (ja) オートロック解錠装置
JP2013175020A (ja) 入退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11141233A (ja) 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