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005A - 유리판용 곤포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판용 곤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005A
KR20120011005A KR1020117020423A KR20117020423A KR20120011005A KR 20120011005 A KR20120011005 A KR 20120011005A KR 1020117020423 A KR1020117020423 A KR 1020117020423A KR 20117020423 A KR20117020423 A KR 20117020423A KR 20120011005 A KR20120011005 A KR 20120011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lass plate
base member
pedesta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히코 노세
가즈야 도요시마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1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구성 부재에 개량을 부가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유리판의 손상을 대폭 삭감할 수 있는 유리판용 곤포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형태의 유리판용 곤포 장치 (10) 의 저잔 (20, 22) 은 대좌 (14) 의 폭보다 긴 베이스 부재 (16, 18) 를 개재하여 대좌 (14) 의 탑재면 (12) 에 형성됨과 함께, 베이스 부재 (16, 18) 의 양측에 배치된 저잔 (20, 22) 에 대해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 저잔 (22, 22) 의 표면적이 커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 (16, 18) 는 파이프 (30, 32) 및 리브 (36, 36) 에 의해 유리판의 자중에 의한 휨 방향의 강도가 보강된다.

Description

유리판용 곤포 장치 {APPARATUS FOR PACKING GLASS PLATES}
본 발명은 유리판용 곤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대형 유리 기판 및 그 제조 과정에서의 중간 제품의 대형 유리판을 곤포하는 유리판용 곤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유리판 대형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종래, 이러한 유리판을 수송하는 유리판용 곤포 장치로서 특허문헌 1, 2 에 개시된 종 (縱) 배치의 유리판용 곤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유리판용 곤포 장치는, 대좌, 저잔 (底棧 ; 특허문헌 1 에서는 「대좌의 유리판을 탑재하는 면」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 또, 특허문헌 2 에서는 「바닥받이판」으로 기재되어 있는 것) 및 백보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좌의 상면에는 탑재면이 형성되고, 이 탑재면은 기계 가공에 의해 소정 평탄도로 마무리되어 있다. 이 탑재면 상에 상기 저잔이 소정 경사 각도로 설치되고, 이 저잔 상에 유리판의 하부 가장자리가 재치 (載置) 된다. 백보드도 마찬가지로 상기 탑재면 상에 소정 각도로 세워 형성되고, 이 백보드에 유리판의 면이 받아진다. 또, 유리판용 곤포 장치에는, 특허문헌 2 와 같이, 백보드에 받아진 유리판의 측방부에 맞닿아져 유리판의 측방 이동을 규제하는 누름판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리판은, 백보드의 경사 각도로 저잔 상에 적재됨과 함께, 누름판에 의해 측방의 위치 어긋남이 규제된 상태에서, 즉, 유리판용 곤포 장치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유리판용 곤포 장치에 곤포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 2 에 개시된 종배치 유리판용 곤포 장치에 적층된 유리판에 있어서는, 판두께가 얇아지면 (예를 들어, 판두께 0.4 ? 1.8 mm), 수송 등의 진동에 의해, 저잔과 접촉하고 있는 유리판의 하부 가장자리부터 균열되기 쉬워진다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유리판용 곤포 장치의 저잔 상에는, 유리판 단면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쿠션 기능을 구비한 시트재가 첩착 (貼着)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시트재는, 탄성률이 높고, 탄성 회복률이 높은 소재이며 또한, 유리판 하부 가장자리와의 마찰에 의해서도 먼지가 잘 나지 않고, 탈가스가 적은 재료인 폴리에틸렌계 또는 엘라스토머가 사용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시트재는, 고무나 발포성 수지 등의 쿠션재가 사용되고 있다.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32490호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98062호
그러나, 특허문헌 1, 2 와 같이 저잔에 첩착되는 시트재만으로는, 유리판의 손상을 대폭 감소시킬 수는 없었다.
한편, 저잔은, 특허문헌 1 과 같이 1 매의 판형상체로 하여 구성해도 되지만, 이 경우, 판형상체의 평탄도를 높이는 것은 제조 비용 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재치되는 유리판의 하부 가장자리의 코너 에지부가 시트재에 접촉되기 때문에, 이 부분의 시트재가 조기에 마모, 손상되고, 이 문제에서 기인되어 유리판의 손상을 대폭 감소시킬 수 없었다.
그래서,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저잔은, 특허문헌 2 의 저잔과 같이, 저잔의 폭을, 재치할 유리판의 폭보다 작게 하여, 유리판의 하부 가장자리의 코너 에지부와의 접촉에 따른 시트재의 마모,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복수 매의 저잔 (특허문헌 2 에서는 2 매의 「바닥받이판」) 을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허문헌 2 와 같이 복수 매의 저잔 상에 유리판의 하부 가장자리가 재치되는 유리판용 곤포 장치를 대상으로 하고, 이러한 유리판용 곤포 장치에 있어서, 기존의 구성 부재에 개량을 부가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유리판의 손상을 대폭 삭감할 수 있는 유리판용 곤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출원인은, 복수의 저잔 중에서, 베이스 부재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저잔이 유리판의 자중 (自重) 에 의해 베이스 부재와 함께 휨으로써, 베이스 부재의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 복수의 저잔에 대한 유리판의 접촉 면압이 증대되고, 이 부분의 유리판에 응력이 집중됨으로써 유리판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아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면에 탑재면이 형성된 대좌와, 상기 대좌의 상기 탑재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과 함께 유리판의 하부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복수의 저잔과, 상기 대좌의 탑재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 형성됨과 함께 유리판의 면을 받는 백보드를 구비한 유리판용 곤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잔은, 상기 대좌의 폭보다 긴 베이스 부재를 개재하여 대좌의 상기 탑재면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저잔에 대해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 복수의 저잔의 표면적이 커지도록 적어도 2 종류의 표면적을 갖는 저잔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보강 부재에 의해 유리판의 자중에 의한 휨 방향의 강도가 보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용 곤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의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 복수의 저잔의 표면적을, 베이스 부재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저잔의 표면적보다 크게 함으로써, 양측 저잔이 휘어도 중앙부 근방의 저잔의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종래보다 더 낮은 면압에서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의 중앙부는 대좌에 직접 고정되는 부분이며, 베이스 부재 중 강도가 확보된 부분이다. 이 강도가 확보된 베이스 부재의 중앙부 근방에 고정되는 저잔을, 대폭적으로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양측 저잔의 휨량이 대폭 감소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잔 전체에 대한 유리판의 접촉 면압이,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대폭 감소되므로, 유리판 손상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베이스 부재는, 보강 부재에 의해 유리판의 자중에 의한 휨 방향의 강도가 보강되어 있으므로, 양측 저잔이 베이스 부재와 함께 잘 휘지 않게 되어 상기 접촉 면압의 감소에 공헌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의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 복수의 저잔의 표면적을 크게 한다는, 기존의 구성 부재에 개량을 부가한다는 간단한 구조, 및 베이스 부재를 보강 부재로 보강한다는 간단한 구조로 유리판의 손상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좌에는,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의 상방에 상기 중앙부 근방에 배치되는 표면적이 큰 복수의 저잔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대좌의 개구부에 삽입하여 유리판용 곤포 장치를 들어 올리면, 대좌의 개구부 상방에 위치하는 표면적이 큰 복수의 저잔에 의해, 유리판을 단단히 지지한 상태에서 들어 올릴 수 있다. 또, 들어 올렸을 때에, 베이스 부재의 양 단부가 유리판의 중량에 의해 휘어지려고 하는데, 베이스 부재는 보강 부재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므로 잘 휘지 않고, 이로써, 유리판을 전체 저잔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들어 올릴 수 있으므로, 들어 올릴 때의 접촉 면압의 상승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잔의 두께를 종래의 것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저잔 자체의 오목형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이로써, 유리판이 저잔 전체면에 균등하게 접촉되므로, 접촉 면압이 한층 더 감소되어 유리판의 손상 방지에 공헌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을 따라 고정된 금속제 통형상체,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 단부를 상기 대좌에 고정시키는 금속제 리브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에 금속제 통형상체를 고정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베이스 부재를 보강할 수 있고, 또, 베이스 부재의 양 단부를 금속제 리브에 의해 대좌에 고정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를 확실히 보강할 수 있다. 또한, 금속제 통형상체의 갯수는 1 개에 한정되지 않고, 2 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저잔의 상면에는 소정 두께와 경도를 갖는 시트형상의 쿠션재가 첩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잔의 표면에 첩부되는 쿠션재에 있어서, 종래의 것보다 두께를 두껍게 하고, 경도를 낮춤으로써, 각각의 저잔 표면의 제작 정밀도의 오차를 양호하게 흡수할 수 있다. 이로써, 저잔 상의 면압 분포가 거의 균등해지므로, 접촉 면압이 한층 더 감소되어 유리판의 손상 방지에 공헌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유리판용 곤포 장치에 복수 매의 유리판을 각각 상호간에 합지를 끼워 종배치 상태로 적층시켜 곤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리판용 곤포 장치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의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 복수의 저잔의 표면적을 크게 한다는, 기존의 구성 부재에 개량을 부가한다는 간단한 구조, 및 베이스 부재를 보강 부재로 보강한다는 간단한 구조로 유리판의 손상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 형태의 유리판용 곤포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유리판용 곤포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유리판용 곤포 장치의 저잔 근방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유리판용 곤포 장치의 저잔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5 는 종래의 저잔의 두께 크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 은 본 실시 형태의 저잔의 두께 크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 은 종래예의 저잔의 폭 크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 은 본 실시 형태의 저잔의 폭 크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관련된 유리판용 곤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실시 형태의 유리판용 곤포 장치 (10) 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유리판용 곤포 장치 (10) 의 좌측면도이다. 이 유리판용 곤포 장치 (10) 는,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용 유리판을, 합지를 사이에 끼우고 종배치 상태로 적층시켜 곤포하는 것으로, 유리판을 비스듬하게 기대어 세워 놓은 상태로 곤포하는 곤포 장치이다. 또한, 유리판용 곤포 장치 (10) 의 용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종의 유리판의 곤포 장치로서 적용할 수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유리판용 곤포 장치 (10) 는, 상면에 탑재면 (12) 이 형성된 대좌 (14) 와, 대좌 (14) 의 탑재면 (12) 에 대해 2 개의 베이스 부재 (16, 18) 를 개재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과 함께 유리판 (G) 의 하부 가장자리가 탑재되는 4 매의 저잔 (20, 20, 22, 22) 과, 대좌 (14) 의 탑재면 (12) 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 형성된 5 매의 백보드 (24A, 24B, 24C, 24D, 24E) 로 이루어지고, 저잔 (20, 22) 과 백보드 (24A ? 24E) 가 이루는 각도가 약 90°로 설정되어 있다. 또, 백보드 (24A ? 24E) 는, 대좌 (14) 에 세워 형성된 프레임 부재 (26) 에 의해, 상기 소정 각도로 유지되어 있다.
대좌 (14) 는, 짧고 긴 복수개의 강재를 종횡, 높이 방향으로 용착시킴으로써 구성되고, 용착 조립 후에 기계 가공 (연삭 가공) 에 의해 그 탑재면 (12) 이 소정 평탄도로 가공되어 있다. 또, 대좌 (14) 의 전면에는 포크리프트의 포크 (도시 생략) 가 삽입 발출되는 개구부 (28, 28) 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 (16, 18) 의 길이는 동등하고, 또한 대좌 (14) 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베이스 부재 (16, 18) 의 중앙부가 대좌 (14) 의 탑재면 (12) 에 고착 됨으로써, 베이스 부재 (16, 18) 의 양 측부가 대좌 (14) 의 측면에서 측방으로 소정량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 (16) 는, 단면 T 자 형상으로 형성된 강재이고, 그 상면에는 금속제 2 개의 각기둥형 파이프 (보강 부재 ; 30, 32) 가 종방향으로 고착되어 있다. 이들 파이프 (30, 32) 를 개재하여 저잔 (20, 20, 22, 22) 이 베이스 부재 (16) 에 고착되어 있다. 파이프 (30, 32) 는 베이스 부재 (16)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 형성됨과 함께, 베이스 부재 (16) 의 길이와 동등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대좌 (14) 의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베이스 부재 (16) 의 양 측부는, 파이프 (30, 32) 에 의해 유리판의 자중에 의한 휨 방향의 강도가 보강되어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도 3,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에 배치된 파이프 (30) 의 하면이 베이스 부재 (16) 의 상면에 고착됨과 함께, 그 측면에 저잔 (20, 20, 22, 22) 의 안길이 방향 안측의 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또, 상단에 배치된 파이프 (32) 는, 그 하면이 파이프 (30) 의 상면에 고착됨과 함께, 그 측면에 백보드 (24A ? 24E) 의 하부 측면이 소정 간격으로 고착되어 있다. 이로써, 대좌 (14) 의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베이스 부재 (16) 의 양 측부는, 2 개의 파이프 (30, 32) 에 의해 유리판의 자중에 의한 휨 방향의 강도가 보강됨과 함께, 백보드 (24A ? 24E) 는, 2 개의 파이프 (30, 32) 에 의해 유리판의 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강도가 보강되어 있다. 또한, 5 개의 백보드 (24A ? 24E) 의 중앙부의 백보드 (24A) 는, 대좌 (14) 의 탑재면 (12) 의 폭방향 중앙부에 그 하부가 고착되고, 백보드 (24A) 에 인접하는 양측의 2 매의 백보드 (24B, 24C) 의 하부가 저잔 (22, 22) 에 고착되고, 이들 백보드 (24B, 24C) 에 인접하는 양측의 2 매의 백보드 (24D, 24E) 의 하부가 저잔 (20, 20) 에 고착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부재 (18) 는, 단면 역 V 자 형상으로 형성된 강재이다. 또, 저잔 (20, 22) 의 안길이 방향 앞측의 하부에는, V 자 형상의 홈 (34) 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홈 (34) 에 베이스 부재 (18) 의 정상부 및 그 경사면이 끼워 맞춰짐으로써, 저잔 (20, 20, 22, 22) 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 대좌 (14) 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베이스 부재 (18) 의 하부 양단을 포함하는 하면에는, 금속제 삼각형상의 리브 (보강 부재 ; 36, 36) 가 고착되어 있다. 이 리브 (36) 는 단면 T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단면이 대좌 (14) 의 측면에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대좌 (14) 의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베이스 부재 (18) 의 양 측부는, 리브 (36, 36) 에 의해 유리판의 자중에 의한 휨 방향의 강도가 보강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 (16) 의 형상도 기본적으로 리브 (36) 의 형상과 동등하다. 그래서, 베이스 부재 (16) 는, 리브 (36) 의 기능도 갖고 있고, 이 경우, 2 개의 파이프 (30, 32) 의 유리판의 자중에 의한 휨 방향의 강도가, 베이스 부재 (16) 에 의해 보강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유리판용 곤포 장치 (10) 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잔 (20, 20, 22, 22) 은, 대좌 (14) 의 폭보다 긴 베이스 부재 (16, 18) 를 개재하여 대좌 (14) 의 탑재면 (12) 에 형성된다. 베이스 부재 (16, 18) 의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 저잔 (22, 22) 은, 그 표면적이, 베이스 부재 (16, 18) 의 양측에 배치된 저잔 (20, 20) 에 대해 커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저잔의 안길이는, 동일 치수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각 저잔의 폭을 소정 치수로 함으로써 표면적을 바꾼다. 즉, 베이스 부재 (16, 18) 의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 저잔 (22, 22) 의 폭을 대 (大) 로 하고, 베이스 부재 (16, 18) 의 양측에 배치된 저잔 (20, 20) 의 폭을 저잔 (22, 22) 의 폭보다 소 (小) 로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 베이스 부재 (16, 18) 는, 파이프 (30, 32) 및 리브 (36, 36) 에 의해 유리판의 자중에 의한 휨 방향의 강도가 보강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부재 (16, 18) 의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 저잔 (22, 22) 의 표면적을, 베이스 부재 (16, 18) 의 양측에 배치된 저잔 (20, 20) 의 표면적보다 크게 함으로써, 양측 저잔 (20, 20) 이 휘어도 중앙부 근방의 저잔 (22, 22) 의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종래보다 더 낮은 면압에서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 (16, 18) 의 중앙부는 대좌 (14) 에 직접 고정되는 부분으로, 베이스 부재 (16, 18) 중 강도가 확보된 부분이다. 이 강도가 확보된 베이스 부재 (16, 18) 의 중앙부 근방에 고정되는 저잔 (22, 22) 을, 광폭으로 하여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양측 저잔 (20, 20) 의 휨량이 대폭 감소된다.
여기에 있어서, 각 저잔의 표면적이란, 각 저잔의, 종배치 유리판의 탑재면측이 되는 면의 면적, 즉 도 7,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의 양측에 배치된 저잔 (A) 의 면적 (Wa×L), 베이스 부재의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 저잔 (B) 의 면적 (Wb×L) 을 말한다. 여기서, Wa 및 Wb 는 저잔의 폭을 나타내고, L 은 저잔의 안길이를 나타낸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유리판용 곤포 장치 (10) 에 따르면, 저잔 (20, 20, 22, 22) 전체에 대한 유리판의 접촉 면압이,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대폭 감소되므로, 유리판의 손상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 베이스 부재 (16, 18) 는, 파이프 (30, 32), 및 리브 (36, 36) 에 의해 유리판의 자중에 의한 휨 방향의 강도가 보강되므로, 양측 저잔 (20, 20) 이 베이스 부재 (16, 18) 와 함께 잘 휘지 않게 되어 상기 접촉 면압의 감소에 공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유리판용 곤포 장치 (10) 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 (16, 18) 의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 저잔 (22, 22) 의 표면적을 크게 한다는, 기존의 구성 부재에 개량을 부가한다는 간단한 구조, 및 베이스 부재 (16, 18) 를 파이프 (30, 32) 와 리브 (36, 36) 로 보강한다는 간단한 구조로 유리판의 손상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2 종류의 표면적을 갖는 저잔 (20, 22) 에 대해 설명했는데, 2 종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3 종류 이상의 표면적을 갖는 저잔을 구비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유리판용 곤포 장치 (10) 에 따르면, 대좌 (14) 에는,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되는 개구부 (28, 28) 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 (28, 28) 의 상방에 저잔 (22, 22) 이 배치되어 있다.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대좌 (14) 의 개구부 (28, 28) 에 삽입하여 유리판용 곤포 장치 (10) 를 들어 올리면, 대좌 (14) 의 개구부 (28, 28) 의 상방에 위치하는 표면적이 큰 저잔 (22, 22) 에 의해, 유리판을 단단히 지지한 상태에서 들어 올릴 수 있다. 또, 들어 올렸을 때에, 베이스 부재 (16, 18) 의 양 단부가 유리판의 중량에 의해 휘어지려고 하는데, 베이스 부재 (16, 18) 는 파이프 (30, 32) 와 리브 (36, 36) 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므로 잘 휘지 않고, 이로써, 유리판을 전체 저잔 (20, 20, 22, 22) 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들어 올릴 수 있으므로, 들어 올릴 때의 접촉 면압의 상승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판용 곤포 장치의 저잔 (20, 22) 의 두께를 종래의 것보다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저잔을 강판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두께 2 ? 4 mm 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저잔의 두께를 5 ? 10 mm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에는 종래의 저잔 (1) 이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베이스 부재 (16, 18) 의 중앙부 부근의 저잔 (22) 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저잔 (1) 의 두께는 3 mm 이지만, 실시 형태의 저잔 (22) 에서는 두께를 8 mm 로 두껍게 하고 있다. 이로써, 저잔 (22) 자체의 오목 형상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저잔 (1) 의 폭 치수는 예를 들어 100 mm 이며, 이에 대하여 저잔 (22) 의 폭 치수는 200 mm (유효 폭 : 170 mm) 로 넓게 하고 있다. 이로써, 유리판이 저잔 (22) 전체면에 균등하게 접촉되므로, 접촉 면압이 한층 더 감소되어 유리판의 손상 방지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저잔 (20) 의 두께도 8 mm 로 하고, 폭 치수는 160 mm (유효 폭 : 130 mm) 로 한다.
또, 파이프 (30, 32) 및 리브 (36, 36) 로 이루어지는 보강 부재에 관해서, 베이스 부재 (16, 18) 에 파이프 (30, 32) 를 고정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베이스 부재 (16, 18) 를 보강할 수 있다. 또, 베이스 부재 (16, 18) 의 양 단부를 리브에 의해 대좌 (14) 에 고정시킴으로써, 베이스 부재 (16, 18) 를 확실히 보강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30, 32) 의 갯수는 2 개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판의 중량에 따라서는 1 개여도 되고, 3 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 1 ?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잔 (20, 20, 22, 22) 의 표면에 쿠션재 (38) 를 각각 첩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쿠션재 (38) 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보다 두껍게 하고 경도를 낮춘다. 예를 들어, 종래의 쿠션재에서는 두께 5 mm, 쇼어 A 경도 (Shore A hardness) 70 인 것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쿠션재 (38) 에서는, 두께 8 ? 15 mm, 쇼어 A 경도 40 ? 50 으로 한다. 이로써, 각각의 저잔 (20, 20, 22, 22) 표면의 제작 정밀도의 오차를 양호하게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잔 (20, 20, 22, 22) 상의 면압 분포가 거의 균등해지므로, 접촉 면압이 한층 더 감소되어 유리판의 손상 방지에 공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쿠션재로서는, 클로로프렌 고무, 기타 합성 고무 또는 천연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유리판의 표면을 받는 백보드 (24A ? 24E) 의 표면에도, 쿠션재 (40) 가 각각 첩부되어 있다.
〔실험예〕
1) 적재 대상물
ㆍ유리판의 치수 : 1800×1530 mm
ㆍ유리판의 두께 : 0.7 mm
ㆍ유리판 적층 매수 : 240 매
ㆍ합지의 두께 : 80 μm (단, 0.1 mm 로 계산한다)
2) 종래예 (도 7 참조)
ㆍ양측 저잔 (A) 의 폭과 안길이 : 160 mm, 270 mm
ㆍ양측 저잔 (A) 의 표면적 : 432 ㎠
ㆍ중앙부 근방의 저잔 (B) 의 폭과 안길이 : 100 mm, 270 mm
ㆍ중앙부 근방의 저잔 (B) 의 표면적 : 270 ㎠
ㆍ저잔 사이 폭 : 1850 mm
ㆍ유리판 (240 매) 과 합지의 두께 : 192 mm
ㆍ유리판의 폭 : 1880 mm
ㆍ유리판 총 질량 : 1203 kg
ㆍ쿠션재 (클로로프렌 고무제) : 쇼어 A 경도 70, 두께 5 mm
ㆍ저잔 (A) 의 종배치 유리판과의 접촉 면적 : 307.2 ㎠
ㆍ저잔 (B) 의 종배치 유리판과의 접촉 면적 : 192.0 ㎠
ㆍ접촉 총 면적 : 998.4 ㎠
ㆍ1 매의 저잔에 관련된 하중 : 2.95 kN
ㆍ저잔 (A) 의 접촉압 : 0.096 MPa
ㆍ저잔 (B) 의 접촉압 : 0.154 MPa
※균열 발생률 : 약 0.1 %
3) 본 발명의 실시예 (도 8 참조)
ㆍ양측 저잔 (A) (저잔 (20) 에 상당) 의 폭과 안길이 : 160 mm, 270 mm
ㆍ양측 저잔 (A) 의 표면적 : 432 ㎠
ㆍ중앙부 근방의 저잔 (B) (저잔 (22) 에 상당) 의 폭과 안길이 : 200 mm, 270 mm
ㆍ중앙부 근방의 저잔 (B) 의 표면적 : 540 ㎠
ㆍ저잔 사이 폭 : 1850 mm
ㆍ유리판 (240 매) 과 합지의 두께 : 192 mm
ㆍ유리판의 폭 : 1880 mm
ㆍ유리판 총 중량 : 1203 kg
ㆍ쿠션재 (클로로프렌 고무제) : 쇼어 A 경도 40, 두께 10 mm
ㆍ저잔 (A) 의 종배치 유리판과의 접촉 면적 : 307.2 ㎠
ㆍ저잔 (B) 의 종배치 유리판과의 접촉 면적 : 384.0 ㎠
ㆍ접촉 총 면적 : 1382.4 ㎠
ㆍ1 매의 저잔에 관련된 하중 : 2.95 kN
ㆍ저잔 (A) 의 접촉압 : 0.096 MPa
ㆍ저잔 (B) 의 접촉압 : 0.076 MPa
※균열 발생률 : 0.0 %
4) 본 발명의 실시예 (저잔의 유효 면적을 고려한 실시예 (도 6 참조))
ㆍ양측 저잔 (A) (저잔 (20) 에 상당) 의 폭과 안길이 : 130 mm, 270 mm
ㆍ양측 저잔 (A) 의 표면적 : 351 ㎠
ㆍ중앙부 근방의 저잔 (B) (저잔 (22) 에 상당) 의 폭과 안길이 : 170 mm, 270 mm
ㆍ중앙부 근방의 저잔 (B) 의 표면적 : 450 ㎠
ㆍ저잔 사이 폭 : 1850 mm
ㆍ유리판의 두께 : 192 mm
ㆍ유리판의 폭 : 1880 mm
ㆍ유리판 총 중량 : 1203 kg
ㆍ쿠션재 (클로로프렌 고무제) : 쇼어 A 경도 40, 두께 10 mm
ㆍ저잔 (A) 의 종배치 유리판과의 접촉 면적 : 249.6 ㎠
ㆍ저잔 (B) 의 종배치 유리판과의 접촉 면적 : 326.4 ㎠
ㆍ접촉 총 면적 : 1152.0 ㎠
ㆍ1 매의 저잔에 관련된 하중 : 2.95 kN
ㆍ저잔 (A) 의 접촉압 : 0.119 MPa
ㆍ저잔 (B) 의 접촉압 : 0.090 MPa
※균열 발생률 : 0.0 %
이들 실험 결과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유리판용 곤포 장치에 있어서,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 저잔 (B) 의 표면적을, 베이스 부재의 양측에 배치된 저잔 (A) 의 표면적에 대해 커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유리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또한, 저잔의 접촉 면압을 0.119 MPa 정도 그리고 그 이하로 함으로써, 유리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유리판용 곤포 장치에 따르면, 유리판의 손상을 대폭 삭감할 수 있으므로, 특히, 판두께가 얇아지고, 또한 큰 치수로 된 액정 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대형 유리 기판의 수송, 운반에 있어서 유용하다.
한편, 2009 년 5 월 1 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09-112091 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10 … 유리판용 곤포 장치
12 … 탑재면
14 … 대좌
16, 18 … 베이스 부재
20 … 저잔
22 … 저잔
24A, 24B, 24C, 24D, 24E … 백보드
26 … 프레임 부재
28 … 개구부
30, 32 … 파이프
34 … 홈
36 … 리브
38 … 쿠션재
40 … 쿠션재

Claims (6)

  1. 상면에 탑재면이 형성된 대좌와, 상기 대좌의 상기 탑재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과 함께 유리판의 하부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복수의 저잔과, 상기 대좌의 탑재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 형성됨과 함께 유리판의 면을 받는 백보드를 구비한 유리판용 곤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잔은, 상기 대좌의 폭보다 긴 베이스 부재를 개재하여 대좌의 상기 탑재면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저잔에 대해 중앙부 근방에 배치된 복수의 저잔의 표면적이 커지도록 적어도 2 종류의 표면적을 갖는 저잔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보강 부재에 의해 유리판의 자중에 의한 휨 방향의 강도가 보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용 곤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에는, 포크리프트의 포크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의 상방에 상기 중앙부 근방에 배치되는 표면적이 큰 복수의 저잔이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용 곤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을 따라 고정된 금속제 통형상체, 및 상기 프레임 부재의 양 단부를 상기 대좌에 고정시키는 금속제 리브 부재인 유리판용 곤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잔의 상면에는 소정 두께와 경도를 갖는 시트형상의 쿠션재가 첩부되어 있는 유리판용 곤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의 두께가 8 ? 15 mm 이고, 경도가 쇼어 A 경도로 40 ? 50 인 유리판용 곤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리판용 곤포 장치에 복수 매의 유리판을 각각 상호간에 합지를 끼워 종배치 상태로 적층시켜 곤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곤포체.
KR1020117020423A 2009-05-01 2010-04-28 유리판용 곤포 장치 KR201200110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2091 2009-05-01
JPJP-P-2009-112091 2009-05-01
PCT/JP2010/057626 WO2010126111A1 (ja) 2009-05-01 2010-04-28 ガラス板用梱包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005A true KR20120011005A (ko) 2012-02-06

Family

ID=4303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423A KR20120011005A (ko) 2009-05-01 2010-04-28 유리판용 곤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24002B2 (ko)
KR (1) KR20120011005A (ko)
CN (1) CN102414092A (ko)
TW (1) TWI478851B (ko)
WO (1) WO2010126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119A (ko) * 2011-01-21 2013-12-23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곤포 용기 및 곤포체
BE1020750A3 (nl) * 2012-06-12 2014-04-01 Parnass Bv Met Beperkte Aansprakelijheid Element voor het opslaan, behandelen en transporteren van hoofdzakelijk plaatvormige voorwerpen.
JP2014108823A (ja) * 2012-12-04 2014-06-1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およびガラス板梱包体
CN105073605A (zh) * 2013-04-04 2015-11-18 旭硝子株式会社 板状体的包装体
CN105292752A (zh) * 2015-12-04 2016-02-03 重庆航墙玻璃有限公司 玻璃架
IT201600095498A1 (it) * 2016-09-22 2018-03-22 Lk Lab Srl Elemento di supporto per oggetti a forma di lastra
IT201600095499A1 (it) * 2016-09-22 2018-03-22 Lk Lab Srl Apparato per disporre in verticale oggetti a forma di lastra su un elemento di supporto e fissarli su di esso
JP2021041957A (ja) * 2019-09-10 2021-03-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ガラス板梱包体及びガラス板梱包体の製造方法
CN110697208A (zh) * 2019-09-27 2020-01-17 厦门厦金机械股份有限公司 叉装机用托盘及叉装机用货叉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4674U (ko) * 1972-05-31 1974-03-02
JPS5229093Y2 (ko) * 1972-10-11 1977-07-02
JPS5440927Y2 (ko) * 1974-11-07 1979-12-01
JPS6166071U (ko) * 1984-10-05 1986-05-07
JPH06191579A (ja) * 1992-12-28 1994-07-12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板等の板状物の物流具
CN2175200Y (zh) * 1993-03-05 1994-08-24 俞岗 套装式平板玻璃集装架
US5909808A (en) * 1996-03-27 1999-06-08 Menasha Corporation Container for horizontally stacked sheets
JP3433128B2 (ja) * 1999-03-24 2003-08-0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大型ガラス板等の板状物立て掛け梱包式lラック型物流具
KR100389592B1 (ko) * 2001-03-09 2003-06-27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판유리 운반용 적재대
CN100402393C (zh) * 2003-10-09 2008-07-16 旭硝子株式会社 玻璃板包装箱
JP4735085B2 (ja) * 2005-04-12 2011-07-27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搬送パレット
JP4924981B2 (ja) * 2006-12-07 2012-04-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パレット及びガラス板梱包体
CN101357704B (zh) * 2008-09-02 2010-12-15 河南安飞电子玻璃有限公司 显示用平面玻璃板的包装装置及包装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126111A1 (ja) 2012-11-01
TW201041791A (en) 2010-12-01
WO2010126111A1 (ja) 2010-11-04
JP5424002B2 (ja) 2014-02-26
CN102414092A (zh) 2012-04-11
TWI478851B (zh)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1005A (ko) 유리판용 곤포 장치
KR101390249B1 (ko) 유리판 곤포 팰릿 및 유리판 곤포체
JP5787107B2 (ja) ガラス板梱包体
JP4905676B2 (ja)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及びガラス板梱包体
WO2018105612A1 (ja) 防振パレットおよびガラス梱包体
TWI409197B (zh) 玻璃板捆包體
KR101422628B1 (ko) 글래스판 곤포용 팰릿 및 글래스판 곤포체
KR20090054025A (ko) 적재대
KR20130140119A (ko) 곤포 용기 및 곤포체
CN217171721U (zh) 玻璃板捆包体
JP2017019508A (ja) 柱体保持具
KR101643580B1 (ko) 팔렛트용 지지빔
JP5464466B2 (ja) ガラス板梱包体
CN212268127U (zh) 一种包装箱
JP2012218765A (ja)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及びガラス板梱包体
JP5255418B2 (ja) トレイ多段積み用四方差しパレット
JP2016033030A (ja) ガラス板梱包用パレット
WO2023181973A1 (ja) ガラス板梱包体
CN216660717U (zh) 玻璃板捆包体
JP2021109658A (ja) パレット
KR20110078095A (ko) 액체 수용 탱크용 적재 케이스
KR101466387B1 (ko) 스틸 가이드 우드 파렛트
KR101598550B1 (ko) 스틸 가드 우드 파렛트
WO2014041959A1 (ja) 板状体梱包容器
CN114174181A (zh) 玻璃板捆包用托盘、玻璃板捆包体以及玻璃板捆包体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