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025A - 적재대 - Google Patents

적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025A
KR20090054025A KR1020070120687A KR20070120687A KR20090054025A KR 20090054025 A KR20090054025 A KR 20090054025A KR 1020070120687 A KR1020070120687 A KR 1020070120687A KR 20070120687 A KR20070120687 A KR 20070120687A KR 20090054025 A KR20090054025 A KR 20090054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plate member
guide
plat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선
Original Assignee
이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선 filed Critical 이제선
Priority to KR1020070120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4025A/ko
Publication of KR20090054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판재를 재료로 하는 적재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적재하중이 증대되고, 중량물의 적재, 책장, 상품의 진열 등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적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는 선반과, 상기 선반의 양단을 지지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적재대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장방형의 제1 수평판재와, 상기 제1 수평판재의 폭방향 양단에서 각각 90도 하향 절곡되어 상기 선반의 두께를 형성하는 제1 수직판재와, 상기 수직판재의 말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90도 수평 절곡되는 제2 수평판재로 구성되는 선반부재; 및 상기 선반부재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보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에 체결고정되는 가이드 수직판재와, 상기 가이드 수직판재의 일단에서 수평 절곡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제2 수평판재 및 상기 보강부재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선반지지판재와, 상기 가이드 수직판재의 타단에서 상기 제1 선반지지판재와 같은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바닥면을 지지하되 상기 보강부재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 제2 선반지지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재대, 적치대, 진열대, 선반, 가이드

Description

적재대{STACKING RACK}
본 발명은 금속판재를 재료로 하는 적재대(積載臺)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적재하중이 증대되고, 중량물의 적재, 책장, 상품의 진열 등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적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재대는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선반이 구비되고, 각종 물건을 종류에 따라 정리 또는 보관하거나 상품을 진열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적재대는 주로 금속판재를 재료로 제조되어 가정, 점포 또는 공장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적재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적재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반 및 가이드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적재대(1)는 금속판재를 재료로 하여 이를 절곡 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대(1)는 단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어 물건이 적재되는 장방형의 선반(10)과, 각 선반(10)의 양단을 지지하는 가이드(20)와, 가이드(20)를 지지하는 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선반(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이 적재되는 장방형 판재(12)와, 장방형 판재(12)의 폭방향 양단에서 각각 90도 하향 절곡되는 제1 절곡판재(14) 및 장방형 판재(12)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각각 90도 하향 절곡되는 제2 절곡판재(15)로 구성된다. 이때 제1 절곡판재(14)와 제2 절곡판재(15)는 서로 맞닿는 부분이 용접되고, 선반(10)의 두께를 형성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보강부재(16)가 장방형 판재(12)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용접되어 선반(10)의 강성을 보완하고 있다.
가이드(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체결홀(28)을 통하여 프레임(30)에 고정설치되어 가이드 수직판재(22)와, 가이드 수직판재(22)의 일단에서 수평 절곡되어 선반의 제2 절곡판재(15)와 접하여 선반(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선반지지판재(24)와, 선반지지판재(24)의 말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양단부가 선반의 한 쌍의 제1 절곡판재(14) 내측면과 각각 접하여 선반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선반고정판재(26)로 구성된다.
프레임(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상으로 가이드(20)의 양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30)에는 선반(10)의 높이조절을 위한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적재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0)의 두께를 형성시키기 위해 제1 절곡판재(14)와 제2 절곡판재(15)를 형성시킨 뒤에 이를 용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적재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0)의 하중이 가이드(20)의 선반지지판재(24)에 집중되기 때문에 가이드(20)가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이 제한되어 선반(10)의 적재하중이 작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선반(10)과 가이드(20)의 놓여져 조립시 가이드의 선반고정판재(26)에 의해 선반(10)의 수평방향의 흔들림이 어느 정도 방지되기는 하지만, 선반고정판재(26)의 높이가 제한되기 때문에 수직 상방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선반(10)이 쉽게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선반의 하중을 분산 지지함으로써 적재하중이 증대되고, 견고한 구조를 갖는 적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판재를 최대한 적게 사용하여 제조비용을 줄이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적재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는 선반과, 상기 선반의 양단을 지지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적재대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장방형의 제1 수평판재와, 상기 제1 수평판재의 폭방향 양단에서 각각 90도 하향 절곡되어 상기 선반의 두께를 형성하는 제1 수직판재와, 상기 수직판재의 말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90도 수평 절곡되는 제2 수평판재로 구성되는 선반부재; 및 상기 선반부재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보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에 체결고정되는 가이드 수직판재와, 상기 가이드 수직판재의 일단에서 수평 절곡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제2 수평판재 및 상기 보강부재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선반지지판재와, 상기 가이드 수직판재의 타단에서 상기 제1 선반지지판재와 같은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바닥면을 지지하되, 상기 보강부재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 제2 선 반지지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재와, 상기 바닥판재의 양단에서 각각 90도 상향 절곡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내측면에 용접되는 보강판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는 상기 제2 수평판재의 말단에서 각각 90도 상향 절곡되는 제2 수직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는 상기 선반의 제1 수평판재는 상기 가이드의 제2 선반지지판재에 체결고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는 개선된 선반 및 가이드의 조립구조에 의해 선반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 지지됨으로써 적재하중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반이 가이드에 맞물려 조립되는 견고한 구조를 구비하여 외부의 충격에 대한 흔들림이 대폭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금속판재가 적게 사용되는 구조를 가져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대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선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선반 및 도 5의 가이드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층을 이루는 선반(100)과, 각 선반(100)의 양단을 지지하는 가이드(200)와, 가이드(200)을 지지하는 프레임(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적재대(500)의 선반(100), 가이드(200), 및 프레임(300)은 금속판재를 재료로 되는데, 이러한 금속판재는 가공이 용이할 것과 소정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지닐 것이 요구된다. 한편, 적재대(500)의 제조공정은 금속판재를 미리 정하여진 모양 및 치수대로 재단한 뒤에 절곡기를 사용하여 절곡하는 순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제조된 선반(100), 가이드(200), 및 프레임(300)을 최종적으로 조립하게 된다.
먼저 적재대(500)의 선반(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선반(10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재(110)와 보강부재(120)로 구성된다.
선반부재(11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제1 수평판재(112)와, 제1 수평판재(112)의 폭방향 양단에서 각각 90도 하향 절곡되어 선반의 두께를 형성하는 제1 수직판재(114)와, 수직판재(114)의 말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90도 수평 절곡되는 제2 수평판재(116)로 구성된다. 이때 선반부재(110)의 제1 수평판재(112), 제1 수직판재(114) 및 제2 수평판재(116) 각각은 금속판재를 절곡기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수직판재(114)는 선반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수평판재(116)는 선반부재(110)가 가이드(200)에 지지되는 부분이고, 제1 수직판재(114)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선반부재(11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2 수평판재(116)의 말단에서 90도 상향 절곡되는 제2 수직판재(118)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부재(110)의 제2 수평판재(116)는 평평한 판재이므로 그 말단부에 의하여 작업자가 선반 및 가이드의 조립시 손을 다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제2 수평판재(116)의 말단에서 90도 상향 절곡되는 제2 수직판재(118)를 구비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수직판재(118)가 절곡 형성됨으로써 제2 수평판재(116)의 말단부의 강성이 증가되고, 제2 수평판재(116) 및 제1 수직판재(114)의 지지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반부재(110)는 장방형 금속판재의 폭방향 양단부를 절곡형성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반(10)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의 선반부재(110)는 종래 선반(10)의 제2 절곡판재(15)가 필요없고, 그만큼 재료가 절약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선반(10)에 있어서 제1 절곡판재(14)와 제2 절곡판재(15)의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는 공정이 생략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선반부재(110)를 제조하는데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보강부재(120)는 선반부재(110)의 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적어도 1개 이상이 선반부재(100)의 내측, 즉 제1 수평판재(112)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다. 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보강부재(12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재(122)와, 바닥판재(122)의 양단에서 각각 90도 상향 절곡되는 보강판재(124)로 구성된다. 보강부재(120)는 절곡기를 사용하여 절곡 성형되고, 보강판재(124)의 말단부가 선반부재의 제1 수평판재(112) 하부면에 용접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선반부재(110)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선반부재(110)의 폭이 넓어지는 경우 선반(100)의 적재하중을 증진시키기 위해 보강부재(120)의 수를 늘려 선반부재(110)에 고정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이드(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0)에 고정설치된다.
가이드(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에 체결고정되는 가이드수직판재(210)와, 가이드수직판재(210)의 일단에서 수평 절곡되는 선반지지판재(220)와, 가이드수직판재(210)의 타단에서 제1 선반지지판재(220)과 같은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고, 보강부재 삽입홈(232)을 구비한 제2 선반지지판재(230)로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200)는 금속판재를 미리 정하여진 모양 및 치수로 재단하고, 절곡기로 절곡하여 제조된다.
가이드수직판재(210)는 가이드를 프레임에 체결고정시키기 위한 제2 볼트체결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00)가 제2 볼트 체결홈(211)을 통하여 프레임(미도시)에 체결되는 것이다.
제1 선반지지판재(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 및 가이드의 조립시 선반부재의 제2 수평판재(116) 및 보강부재(120)의 바닥면과 접하여 선반(1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제2 선반지지판재(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재(110)의 바닥면과 접하여 선반(1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선반지지판재(230)는 선반(100)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고, 선반(100)의 하중이 제1 선반지지판재(220)에 집중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선반(100)의 적재하중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강부재 삽입홈(230)은 선반의 보강부재(120)의 개수와 동일하게 제2 선반지지판재(230)에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부재 삽입홈(230)에 선반의 보강부재(120)가 밀착삽입됨으로써 선반(100) 및 가이드(200)의 견고한 조립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선반(100)이 가이드(200)에 맞물리는 구조로서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의 충격에 대해 선반(100)의 흔들림이 대폭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선반(100)은 가이드(200)에 고정시키기 위해 선반의 제1 수평판재(112)가 가이드의 제2 선반지지부재(230)에 체결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의 제1 수평판재(112)의 일단부에 제1 볼트체결 홀(113)이 형성되고, 가이드의 제2 선반지지판재(230)에 상기 제1 볼트체결홀(113)과 연통되는 제2 볼트체결홀(221)이 형성되어 볼트(300)로 체결한다. 이로 인해 볼트체결을 해제하지 않는 이상 가이드(200)로부터 선반(100)이 분리되지 않으며, 적재대(500)의 전체적인 강성이 증대된다.
마지막으로 프레임(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재를 절곡형성한 기둥형상의 부재로 가이드(200)의 양단을 지지한다. 그리고, 적재대(500)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프레임(300)에 보강판(35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300)은 가이드(200)의 가이드수직판재(210) 외측면과 접하여 가이드(200)를 지지하는 판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300)은 가이드(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대(500)는 견고할 뿐만 아니라 적재하중이 증대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제조공정이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점을 갖는 본 발명의 적재대(500)는 중량물의 적재, 책장, 상품의 진열 등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적재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반 및 가이드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대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선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선반 및 도 5의 가이드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선반 110 : 선반부재
112 : 제1 수평판재 113 : 제1 볼트체결홀
114 : 제1 수직판재 116 : 제2 수평판재
118 : 제2 수직판재 120 : 보강부재
122 : 바닥판재 124 : 보강판재
200 : 가이드 210 : 가이드 수직판재
211 : 제2 볼트체결홀 220 : 제1 선반지지판재
221 : 제3 볼트체결홀 230 : 제2 선반지지판재
232 : 보강부재 삽입홈 300 : 프레임
400 : 볼트 500 : 적재대

Claims (4)

  1. 선반과, 상기 선반의 양단을 지지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적재대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장방형의 제1 수평판재와, 상기 제1 수평판재의 폭방향 양단에서 각각 90도 하향 절곡되어 상기 선반의 두께를 형성하는 제1 수직판재와, 상기 수직판재의 말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90도 수평 절곡되는 제2 수평판재로 구성되는 선반부재; 및 상기 선반부재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보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에 체결고정되는 가이드 수직판재와, 상기 가이드 수직판재의 일단에서 수평 절곡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제2 수평판재 및 상기 보강부재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선반지지판재와, 상기 가이드 수직판재의 타단에서 상기 제1 선반지지판재와 같은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바닥면을 지지하되, 상기 보강부재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 제2 선반지지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재와, 상기 바닥판재의 양단에서 각각 90도 상향 절곡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내측면에 용접되는 보강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판재의 말단에서 각각 90도 상향 절곡되는 제2 수직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대.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제1 수평판재는 상기 가이드의 제2 선반지지판재에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대.
KR1020070120687A 2007-11-26 2007-11-26 적재대 KR20090054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687A KR20090054025A (ko) 2007-11-26 2007-11-26 적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687A KR20090054025A (ko) 2007-11-26 2007-11-26 적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025A true KR20090054025A (ko) 2009-05-29

Family

ID=4086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687A KR20090054025A (ko) 2007-11-26 2007-11-26 적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40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812B1 (ko) * 2011-07-21 2013-01-09 유한회사 주호스틸 플라스틱성형에 의한 조립진열대
KR101666166B1 (ko) 2015-06-22 2016-10-24 (주)엔타이어세이프 면진구조가 적용된 화물 적치대
WO2017190506A1 (zh) * 2016-05-04 2017-11-09 陈润钊 一种高强度的层板
KR20190073997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이필 화재시 화기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물류 자동 창고의 랙
KR20200120299A (ko) 2019-04-12 2020-10-21 박용남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과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브라켓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적재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812B1 (ko) * 2011-07-21 2013-01-09 유한회사 주호스틸 플라스틱성형에 의한 조립진열대
KR101666166B1 (ko) 2015-06-22 2016-10-24 (주)엔타이어세이프 면진구조가 적용된 화물 적치대
WO2017190506A1 (zh) * 2016-05-04 2017-11-09 陈润钊 一种高强度的层板
KR20190073997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이필 화재시 화기 확산 방지 구조를 갖는 물류 자동 창고의 랙
KR20200120299A (ko) 2019-04-12 2020-10-21 박용남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과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브라켓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적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4025A (ko) 적재대
CA2965058C (en) Rack, load carrier and method of production
JP4568613B2 (ja) 物品保管棚
JP2007197113A (ja) 物品収納棚
KR20120011005A (ko) 유리판용 곤포 장치
KR101279941B1 (ko) 변형 방지용 보강구조를 갖는 유리기판 적재 카세트
KR100945161B1 (ko) 적층식 프레임 체결구조를 갖는 통신장비 보관용 랙
JP2013049530A (ja) 連結金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カウンターウェイト
JP4945584B2 (ja) スチールラック及びスチールラック用ビーム
JP7442188B2 (ja) 輸送パレットの段積み用サポートフレーム
JP6136362B2 (ja) ラック及びストッパ
KR102151311B1 (ko) 조립식 스태킹 랙
KR101077182B1 (ko)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보강장치
JP4655817B2 (ja) 物品用支持棚
JP2008212414A (ja) 積載荷重変化に対応した小柱及び仕切付き樹脂棚板付組立棚
JP4473095B2 (ja) 金属製棚及び金属製ワゴン
JP3112499U (ja) 組み立て式コンテナおよび組み立て式コンテナユニット
JP6179749B2 (ja) 立体自動倉庫の既設のラックに用いるパレット落下防止装置
JP7024251B2 (ja) 運搬台
JP3141972U (ja) ラック装着具
JP3156536U (ja) 組み立てラック
KR200453055Y1 (ko) 스틸박스
JP7444578B2 (ja) 支持構造、什器及び取付方法
JP3980981B2 (ja) 入れ子式ラック及び連結ラック
JP2019064730A (ja) 荷物輸送用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