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299A -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과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브라켓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적재대 - Google Patents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과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브라켓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적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299A
KR20200120299A KR1020190043027A KR20190043027A KR20200120299A KR 20200120299 A KR20200120299 A KR 20200120299A KR 1020190043027 A KR1020190043027 A KR 1020190043027A KR 20190043027 A KR20190043027 A KR 20190043027A KR 20200120299 A KR20200120299 A KR 20200120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ntact surface
shelf
contact surface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263B1 (ko
Inventor
박용남
Original Assignee
박용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남 filed Critical 박용남
Priority to KR1020190043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26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5Combination of corners 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16Uprights receiving panels and brackets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대의 프레임 및 프레임들 사이를 비틀림없이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 연결부재로서 특별한 가공이 필요치 않는 기성 규격의 사각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을 규격화하여 부품갯수를 최소화하고 제작단가를 최소한으로 낮추어 간단히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줄이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선반 적재대용 브라켓 및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선반 적재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소정 두께(t)와 소정의 높이(H)를 가지는 철판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며, 가로×세로가 같은 길이(b)의 단면을 가지는 정사각 파이프로서 형성되는 기둥 프레임의 일 측면에 밀착하여 설치되고, 상기 기둥 프레임의 바깥측 일변(b)과 최소한 동일한 폭(b1)(b1≥b)을 가진 제1접촉면부와; 상기 제1접촉면부의 좌우 양측으로 각기 연장되는 제2 및 제3접촉면부와; 상기 제2 및 제3접촉면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제1접촉면부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기준선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절곡선과; 상기 제2 및 제3접촉면부로부터 각기 양측으로 연장되는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와; 상기 기둥 프레임의 일변(b)과 최소한 동일한 폭(b1)(b1≥b)을 가진 제2접촉면부가 끝나는 위치에서 시작하여 폭(b2)은 적어도 철판 두께(t)보다 크고 높이(h)는 철판부재 높이(H)의 1/2 크기를 가지도록 상기 제2접촉면부의 바깥 경계부에 형성되는 슬릿홈과; 상기 제1접촉면부 및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에 각기 형성되는 적어도 1개씩의 나사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절곡선에서 시작하여 적어도 상기 제2절곡선을 지나 제3접촉면부의 경계부까지 연장되는 크기의 직사각형 절개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3접촉면부는 철판부재 높이(H)의 1/2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3접촉면부의 폭(b3)은 상기 기둥 프레임의 일변(b)과 최소한 상기 철판부재의 두께를 더한 치수로 형성된 다.

Description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과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브라켓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적재대{A universal bracket for a stacking rack and a bracket exploded view for making the bracket, and a stacking rack using the bracket}
본 발명은 금속판재를 재료로 하는 선반 적재대(積載臺)용 범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고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적재대의 튼튼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적재하중이 증대되고, 중량물의 적재, 책장, 상품 및 각종 공구 등의 진열 등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선반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요 파트별로 분해된 상태에서 적재대 사용 장소(예를 들면 화물 차량의 적재함)에 가지고 가서 적재대 사용 장소에서 바로 조립해서 쓸 수 있고 분해시에도 적재대 사용 장소에서 바로 분해해서 주요 파트별로 가지고 나올 수 있으므로 분해 조립시 신속하고 원활하며 부품이 최소화되고 규격화된 부품 제작으로 인해 제작비용이 감소되고작업성 등의 여러 측면에서 유리한 새로운 선반 적재대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재대는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선반이 구비되고, 각종 물건을 종류에 따라 정리 또는 보관하거나 상품을 진열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적재대는 주로 금속판재를 재료로 제조되어 가정, 점포 또는 공장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적재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적재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반 및 가이드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적재대(1)는 금속판재를 재료로 하여 이를 절곡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대(1)는 단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어 물건이 적재되는 장방형의 선반(10)과, 각 선반(10)의 양단을 지지하는 가이드(20)와, 가이드(20)를 지지하는 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선반(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이 적재되는 장방형 판재(12)와, 장방형 판재(12)의 폭방향 양단에서 각각 90도 하향 절곡되는 제1 절곡판재(14) 및 장방형 판재(12)의 길이방향 양단에서 각각 90도 하향 절곡되는 제2 절곡판재(15)로 구성된다. 이때 제1 절곡판재(14)와 제2 절곡판재(15)는 서로 맞닿는 부분이 용접되고, 선반(10)의 두께를 형성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보강부재(16)가 장방형 판재(12)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용접되어 선반(10)의 강성을 보완하고 있다.
가이드(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체결홀(28)을 통하여 프레임(30)에 고정설치되어 가이드 수직판재(22)와, 가이드 수직판재(22)의 일단에서 수평 절곡되어 선반의 제2 절곡판재(15)와 접하여 선반(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선반지지판재(24)와, 선반지지판재(24)의 말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양단부가 선반의 한 쌍의 제1 절곡판재(14) 내측면과 각각 접하여 선반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선반고정판재(26)로 구성된다.
프레임(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상으로 가이드(20)의 양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30)에는 선반(10)의 높이조절을 위한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적재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0)의 두께를 형성시키기 위해 제1 절곡판재(14)와 제2 절곡판재(15)를 형성시킨 뒤에 이를 용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적재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0)의 하중이 가이드(20)의 선반지지판재(24)에 집중되기 때문에 가이드(20)가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이 제한되어 선반(10)의 적재하중이 작아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선반(10)과 가이드(20)의 놓여져 조립시 가이드의 선반고정판재(26)에 의해 선반(10)의 수평방향의 흔들림이 어느 정도 방지되기는 하지만, 선반고정판재(26)의 높이가 제한되기 때문에 수직 상방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선반(10)이 쉽게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54025호에서 선반과, 상기 선반의 양단을 지지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적재대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선등록특허의 선반은 장방형의 제1 수평판재와, 상기 제1 수평판재의 폭방향 양단에서 각각 90도 하향 절곡되어 상기 선반의 두께를 형성하는 제1 수직판재와, 상기 수직판재의 말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90도 수평 절곡되는 제2 수평판재로 구성되는 선반부재; 및 상기 선반부재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보강부재;로 구성하고, 가이드는 상기 프레임에 체결고정되는 가이드 수직판재와, 상기 가이드 수직판재의 일단에서 수평 절곡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제2 수평판재 및 상기 보강부재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선반지지판재와, 상기 가이드 수직판재의 타단에서 상기 제1 선반지지판재와 같은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바닥면을 지지하되, 상기 보강부재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 제2 선반지지판재로 구성하고 있으며, 프레임은 금속판재를 ㄴ자 형상으로 절곡형성한 기둥형상의 부재로 가이의 양단을 지지토록 하고 있으며, 적재대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프레에 보강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프레임을 철판을 사용하여 ㄴ자 또는 ㄷ자로 절곡 형성하고 여기에 선반을 걸기 위한 걸림구멍들을 형성하는 등의 가공을 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고, 프레임의 단면 구조상 단면계수가 작아 강성이 부족하여 별도의 보강재(350, 도 3 참조)를 전후 프레임 사이에 덧대지 않으면, 적재대가 비틀리는 등 적재 하중을 지탱하기가 어려운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54025호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76506호 [특허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7650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적재대의 프레임 및 프레임들 사이를 비틀림 없이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 연결부재로서 특별한 가공이 필요치 않는 기성 규격의 사각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을 규격화하여 부품갯수를 최소화하고 제작단가를 최소한으로 낮추어 간단히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줄이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선반 적재대용 브라켓 및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선반 적재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선반 적재대용 브라켓의 전개도는 소정 두께(t)와 소정의 높이(H)를 가지는 철판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며, 가로*세로가 같은 길이(b)의 단면을 가지는 정사각 파이프로서 형성되는 기둥 프레임의 일 측면에 밀착하여 설치되고, 상기 기둥 프레임의 바깥측 일변(b)과 최소한 동일한 폭(b1)(b1≥b)을 가진 제1접촉면부와; 상기 제1접촉면부의 좌우 양측으로 각기 연장되는 제2 및 제3접촉면부와; 상기 제2 및 제3접촉면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제1접촉면부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기준선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절곡선과; 상기 제2 및 제3접촉면부로부터 각기 양측으로 연장되는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와; 상기 기둥 프레임의 일변(b)과 최소한 동일한 폭(b1)(b1≥b)을 가진 제2접촉면부가 끝나는 위치에서 시작하여 폭(b2)은 적어도 철판 두께(t)보다 크고 높이(h)는 철판부재 높이(H)의 1/2 크기를 가지도록 상기 제2접촉면부의 바깥 경계부에 형성되는 슬릿홈과; 상기 제1접촉면부 및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에 각기 형성되는 적어도 1개씩의 나사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절곡선에서 시작하여 적어도 상기 제2절곡선을 지나 제3접촉면부의 경계부까지 연장되는 크기의 직사각형 절개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3접촉면부는 철판부재 높이(H)의 1/2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3접촉면부의 폭(b3)은 상기 기둥 프레임의 일변(b)과 최소한 상기 철판부재의 두께를 더한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구성에 따른 선반 적재대용 브라켓의 전개도는 소정 두께(t)와 소정의 높이(H1)를 가지는 철판부재로 형성되며, 가로*세로가 같은 길이(b)의 단면을 가지는 정사각 파이프로서 형성되는 기둥 프레임의 일 측면에 밀착하여 설치되고, 상기 기둥 프레임의 바깥측 일변(b)과 최소한 동일하거나 큰 폭(b1)(b1≥b)을 가진 제1접촉면부와; 상기 제1접촉면부의 좌우 양측으로 각기 같은 크기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제2 및 제3접촉면부와; 상기 제2 및 제3접촉면부의 양측으로 각기 연장되는 제4 및 제5접촉면부와, 상기 제4 및 제5접촉면부로부터 연장되는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와; 상기 제2 및 제3접촉면부가 서로 나란히 마주하도록 상기 제1접촉면부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기준선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절곡선과; 상기 제2 및 제3 접촉면부로부터 상기 제4 및 제5접촉면부를 직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기준선을 형성하는 제3 및 제4 절곡선과, 상기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를 상기 제2 및 제3 접촉면부와 나란한 방향이 되도록 상기 제4 및 제5접촉면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기준선을 형성하는 제5 및 제6절곡선과, 상기 제1 내지 제3접촉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나사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의 높이(H1)는 상기 기둥 프레임 내면의 너비(b0)와 같거나 작으며, 상기 제1 내지 제5접촉면부의 높이(H2)는 상기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 높이(H1)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반 적재대용 브라켓은 상기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브라켓 전개도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반 적재대는 전후 좌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되는 적어도 4개의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는 기둥 프레임과; 상기 기둥 프레임의 소정위치에 2개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전개도로부터 제작된 브라켓과; 상기 전후좌우의 기둥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브라켓들에 접속되는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수평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선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평 프레임에는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ㄴ자 형상의 앵글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단 또는 양단의 저면에는 상기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의 돌출 길이보다 적어도 긴 길이만큼 절개되어 형성된 트인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단일 형상과 구조의 브라켓을 서로 직교시켜 기둥 프레임에 장착하여 적재대의 선반을 지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시판중에 있는 규격 파이프 제품을 그대로 기둥 및 가로 부재로 사용하여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1개 구조의 브라켓만을 장착하여 적은 비용으로 적재대를 형성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구조적으로도 튼튼하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스평 파이프의 자면에 트인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부로부터 내리 눌러 끼울 수 있어 조립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의 기둥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는 브라켓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정면도 형상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을 단면하여 일측 파이프 고정날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평면도 형상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철판소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해 철판소재로부터 소정 부위를 절단해 내어 형성한 브라켓 전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의 기둥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는 브라켓 1쌍을 서로 직교하여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의 기둥 프레임 및 수형 파이프 부재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1쌍을 직교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의 기둥 프레임에 브라켓 1쌍을 직교하여 고정 장착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브라켓 부위를 평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의 수평 파이프에 선반을 설치하기 위한 ㄴ자 앵글을 용접 장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형상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형상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형상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형상이다.
도 20은 도 16 실시예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해 철판소재로부터 소정 부위를 절단해 내어 형성한 브라켓 전개도이다.
도 21은 도 16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1쌍을 직교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2는 도 16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1쌍을 적재대의 기둥 프레임에 직교시켜 고정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대의 기둥 프레임에 도 16 실시예 브라켓 1쌍을 직교하여 고정 장착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서 브라켓 부위를 평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도 16 실시예 브라켓을 적용시 수평 파이프의 단부 저면의 개구부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으며, 용어 '접촉면부'는 적재대의 기둥으로 사용하는 사각 파이프의 외표면에 밀착하여 접촉하는 것을 의미하며, '절곡선'이라 함은 철판부재를 직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기준선을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브라켓의 구조와 전개도 형상 및 적재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선반 적재대는 전체를 부호 50으로 나타내었으며, 선반 적재대(50)는 서로 전후좌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수직으로 입설되는 적어도 4개의 기둥 프레임(5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기둥 프레임(52)들에는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1개소 이상에 수평으로 선반(54)이 가설되며, 그 선반(54)을 지지하기 위하여 각 기둥 프레임(52) 마다에는 철판부재로 제작되는 브라켓(56)이 장착되며, 서로 이격거리를 가지고 있는 이웃한 기둥 프레임(52)끼리는 브라켓과 브라켓 사이를 수평 프레임(58)이 연결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기둥 프레임(52)은 시중에서 흔히 판매되는 범용 제품으로서 4각 파이프가 사용되며, 수평 프레임(수평 파이프)(58) 역시 브라켓(56)의 특수한 구조에 의하여 기둥 프레임과 동일한 규격의 4각 파이프를 사용하게 되므로, 부재의 단순화가 가능하며, 길게 압출되어 나오는 4각 파이프를 필요한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들 사각의 프레임은 직사각형도 가능하나 직사각 파이프의 경우 사용되는 브라켓(56)의 종류가 증가되기 때문에, 1개 종류의 브라켓(56)의 사용이 가능토록 정사각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선반 적재대(50)는 공장등은 물론, 특히 소형 영업용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설치하여 각종 공구나 자재들을 보관하는 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어, 기둥 프레임(52)의 강도가 크게 높을 필요는 없고, ㄴ 자나 ㄷ 자 앵글에 비해 단면계수 및 강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높은, 그리고 시중에서 각종 부자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사각 파이프, 예를 들면 두께가 3mm 이고 외면을 기준으로 가로 세로가 30×30mm 인 사각 파이프를 기둥 프레임의 소재로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브라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브라켓 2개를 서로 직각으로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브라켓(56)은, 도 8에 도시한 소정의 높이(H)와 두께(t) 및 길이(L)를 가지는 철판부재(60)를 통해 제작되며, 도 9에도시한 것 같이 그 철판부재(60)로부터 프레싱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브라켓 전개도(62)를 절단 성형한 후 그 전개도(62)를 가지고 절곡 성형을 통해 원하는 형상으로 완성된다.
본 발명의 선반 적재대용 브라켓의 전개도(62)는, 가로*세로가 같은 길이(b)의 단면을 가지는 정사각 파이프로서 형성되는 기둥 프레임(52)의 일 측면에 밀착하여 설치되고, 상기 기둥 프레임(52)의 바깥측 일변(b)과 최소한 동일한 폭(b1)(b1≥b)을 가진 제1접촉면부(64)와, 상기 제1접촉면부(64)의 좌우 양측으로 각기 연장되는 제2 및 제3접촉면부(66)(68)와, 상기 제2 및 제3접촉면부(66)(68)가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제1접촉면부(64)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기준선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절곡선(70)(72)과, 상기 제2 및 제3접촉면부(66)(68)로부터 각기 양측으로 연장되는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74)(76)와, 상기 기둥 프레임(52)의 일변(b)과 최소한 동일한 폭(b1)(b1≥b)을 가진 제2접촉면부(66)가 끝나는 위치에서 시작하여 폭(b2)은 적어도 철판 두께(t)를 수용할 수 있게 그와 같거나 바람직하기는 그 보다 약간 크고(b2≥t), 높이(h)는 철판부재 높이(H)의 1/2 크기를 가지도록 상기 제2접촉면부(66)의 바깥 경계단부(66a)에 형성되는 슬릿홈(78)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접촉면부(64) 및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74)(76)에는 각기 적어도 1개씩의 나사 삽입공(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절곡선(70)에서 시작하여 적어도 상기 제2절곡선(72)을 지나 제3접촉면부(68)의 경계부까지 연장되는 크기의 직사각형 절개부(직사각형 공간 82)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3접촉면부(64)(68)는 철판부재 높이(H)의 1/2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3접촉면부(72)의 폭(b3)은 상기 기둥 프레임(52)의 일변 폭(b)과 최소한 상기 철판부재(60)의 두께(t) 또는 그 이상을 더한 치수로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절개부(82)의 길이, 즉 상기 제1 및 제3접촉면부(64)(68)의 전체 길이(L1)는 ≥2b1+t로 설정되며, 바람직하기는 상기 제2절곡선(72)부터 b1까지 되는 거리에서 시작하여 제3접촉면부(72)의 끝이자 좌측 파이프 고정날개(76)의 시작단부(84)까지의 가상 간극(b3-2b1)은 철판 두께(t)를 수용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철판 두께(t)보다 약간 큰 것((b3-2b1)철판 두께(t))이 좋다.
예를 들면, ㄷ 자 형상으로 접힌 브라켓(56)의 안쪽 공간(86)에는 정사각 파이프가 기밀하게 삽입 또는 정사각 파이프가 삽입되어 헐렁거리지 않으면서 상하로 스무쓰하게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치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12는 브라켓이 기둥 파이프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서로 직각으로 교차시킨 브라켓(56)(56)들의 내부에 형성되는 ㅁ자 형상의 안쪽 공간(86)을 통하여 정사각형의 기둥 파이프(52)가 삽입되어 브라켓(56)(56)이 소정 위치(선반이 장착될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나사(90), 바람직하기는 태핑 나사를 사용하여 나사 삽입공(80)을 통해 기둥 파이프(52)의 벽면에 나사를 형성하면서 조여붙여 체결하게 된다.
이 같은 브라켓(56)(56)들의 고정 상태에서 기둥 파이프(52)의 단부면을 벗어나 기둥 파이프(52)와 직각 방향, 즉 수평으로 돌출된 채 11자 형으로 마주 대향하고 있는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74)(76) 사이로 상기 기둥 프레임(52)과 같은 단면구조 및 규격을 가진 수평 파이프(58)를 끼워 삽입하고(좌우 파이프 고정날개(74)(76) 사이의 간격(b1)은 수평 파이프(58)의 외측 일변 길이(b)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다),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74)(76)에 형성한 나사 삽입공(80)을 통해 태핑나사로 형성된 고정나사(90)를 사용하여 수평 파이프(58)에 탭나사를 형성하면서 체결하면 수평 파이프(58)가 양측의 전후 또는 좌우 기둥 파이프(52)(52)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하게 된다(도 13 참조).
도 14는 수평 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수평 파이프(58)는 적어도 적재대의 전면과 배면(후면) 및/또는 적재대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ㄴ자 앵글(92)이 용접 장착되며, 이 전후 및/또는 좌우 ㄴ자 앵글(92)의 지지면(94) 위에 선반(54)이 얹혀져 지지된다.
도 15 내지 도22는 본 발명의 선반 적재대용 브라켓과 전개도 및 적재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들 사시도로서, 도 20은 동 실시예의 브라켓 2개를 서로 직각으로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에 도시한 동 실시예의 브라켓(132)은, 도 8에 도시한 것 같이, 소정의 높이(H1)와 두께(t) 및 길이(L)를 가지는 철판부재(60)를 통해 제작되며, 도 19에 도시한 것같이, 그 철판부재(60)로부터 프레싱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브라켓 전개도(100)를 절단 성형한 후 그 전개도(100)를 가지고 절곡 성형을 통해 원하는 형상으로 완성된다.
도 19에 도시한 본 발명의 선반 적재대용 브라켓의 전개도(100)는 가로*세로가 같은 길이(b)의 단면을 가지는 정사각 파이프로서 형성되는 기둥 프레임(52)의 일 측면에 밀착하여 설치되고, 상기 기둥 프레임(52)의 바깥측 일변(b)과 최소한 동일한 폭(b1)(b1≥b)을 가진 제1접촉면부(102)와, 상기 제1접촉면부(102)의 좌우 양측으로 각기 연장되는 제2 및 제3접촉면부(104)(106)와, 상기 제2 및 제3접촉면부(104)(106)의 양측으로 각기 연장되는 제4 및 제5접촉면부(108)(110)와, 상기 제4 및 제5접촉면부(108)(110)로부터 연장되는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112)(114)와, 상기 제2 및 제3접촉면부(104)(106)가 서로 나란히 마주하도록 상기 제1접촉면부(102)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기준선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절곡선(116)(118)과, 상기 제2 및 제3 접촉면부로(104)(106)부터 상기 제4 및 제5접촉면부(108)(110)를 직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기준선을 형성하는 제3 및 제4 절곡선(120)(122)과, 상기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112)(114)를 상기 제2 및 제3 접촉면부(104)(106)와 나란한 방향이 되도록 상기 제4 및 제5접촉면부로(108)(110)부터 직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기준선을 형성하는 제5 및 제6절곡선(124)(126)과, 상기 제1 내지 제3접촉면(102)(104)(106)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나사삽입공(12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112)(114)의 높이 H1은 기둥 파이프(52)의 내면 너비 b0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약간 작으며, 여기서 b0=b-2t1(t1은 파이프의 두께)이고, H1≤b0인 조건을 가진다.
그리고 제1 내지 제5접속면부에는 길죽한 직사각형 절개홈(130)에 의해 이들의 높이 H2는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112)(114) 높이의 1/2, 즉 H2=1/2H1로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130)은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112)(114) 쪽으로 더 확장하고 있어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112)(114)는 단차 형상의 돌출에 의해 ㄴ자 몸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브라켓 전개도(100)를 절곡선(116,118,120,122,124,126)들을 따라 직각으로 접어 도 ??에 도시한 형상의 브라켓(132)을 형성하였을 때, 제1 내지 제5 접촉면부들은 ㅁ자 형상의 안쪽 공간(134)을 형성하게 되며, 이 ㅁ자 형상의 안쪽 공간(134)에는 사각 파이프(52)가 삽입되어 너무 헐렁거리지 않으면서 상하로 스무스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도록 디자인된다.
상기 브라켓(132)의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112)(114)의 바깥측 너비 b4는 기둥 파이프, 즉 도 11에 도시한 사각 파이프(기둥 프레임)(52)의 내측 너비 b0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은 크기(b4≤b0)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112)(114)는 도 23에 도시한 수평 파이프(88)(또는 도 13에 도시한 수평 파이프 58)(기둥 프레임(사각 파이프) 52와도 동일 단면 규격을 가진다)의 중공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도 21과 도 22는 브라켓(132)(132)이 사각 파이프(52)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서로 직각으로 교차시킨 브라켓(132)(132)들의 내부에 형성되는 ㅁ자 형상의 안쪽 공간(134)(도 20 참조)을 통하여 기둥 프레임을 형성하는 정사각형의 사각 파이프(52)가 삽입되어 브라켓(132)(132)이 소정 위치(선반이 장착될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나사(136), 바람직하기는 태핑 나사를 사용하여 나사 삽입공(128)을 통해 사각 파이프(52)의 벽면에 나사를 형성하면서 조여붙여 체결하여 장착하게 된다.
이 같은 브라켓(132)(132)들의 고정 상태에서 사각 파이프(기둥 프레임)(52)의 단부면을 벗어나 사각 파이프(52)와 직각 방향, 즉 수평으로 돌출된 채 11자 형으로 마주 대향하고 있는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112)(114) 외주에 상기 사각 파이프(기둥 프레임)(52)와 같은 단면구조 및 규격을 가진 수평 파이프(수평 프레임)(88 또는 58)를 끼워 삽입 장착하면(좌우 파이프 고정날개(112)(114)의 바깥쪽 너비 b4는 수평 파이프(88)의 내측 일변 너비(b0)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작다),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 수평 파이프(88)를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112)(114)에 끼워붙이는 것만으로 양측의 전후 또는 좌우 기둥 프레임(52)(52)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하게 된다.
동 실시예에 적용되는 수평 파이프(88)에도 적재대의 전면과 배면(후면) 및/또는 적재대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ㄴ자 앵글(92)이 용접 장착되고, 이 전후 및/또는 좌우 ㄴ자 앵글(92)의 지지면(94) 위에 선반(54)이 얹혀져 지지되며, 이들 선반(54)은 최소한 1단, 바람직하기는 상하로 필요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기둥 프레임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도 23에 도시한 것 같이, 브라켓(132)을 적용한 적재대의 경우에는 수평 파이프(88)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단 또는 양단은 그의 저면에 트인 개구부(138)를 형성하되, 그 트인 개구부(138)의 길이 L2는 적어도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112)(114)의 돌출 길이보다는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수평 파이프(88)의 트인 개구부(138)를 통해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112)(114)의 상부측에서 수평 파이프(88)를 내리 누르는 형태로 조립하면 간단히 조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0 선반 적재대 52 기둥 프레임(사각 파이프)
54 선반 56 브라켓
58 수평 프레임(수평 파이프) 60 철판부재
62 브라켓 전개도 64 제1접촉면부
66 제2접촉면부 68 제3접촉면부
70,72 절곡선 74,76 파이프 고정날개
78 슬릿홈 80 나사 삽입공
82 절개부(직사각형 공간) 84 (파이프 고정날개의)시작단부
86 브라켓의 안쪽 공간 88 수평 파이프
90 고정나사 92 ㄴ자 앵글
94 지지면 100 브라켓 전개도
102,104,106,108,110 접촉면부 112,114 파이프 고정날개
116,118,120,122,124,126 절곡선 128 나사삽입공
130 절개홈 132 브라켓
134 안쪽 공간 136 고정나사
138 트인 개구부 H,H1 철판부재 높이
t 철판부재 두께 L 철판부재 길이
b 파이프 바깥 너비(일변의 길이) b1 제1접촉면부의 폭
b2 슬릿홈의 폭 h 슬릿홈의 높이
b3 제접촉면부의 폭 L1 제3접촉면부의 길이
b0 파이프의 내면 너비 t1 파이프의 두께
H2 철판부재 높이 H1의 1/2 b4 파이프 고정날개의 바깥 너비

Claims (6)

  1. 선반 적재대용 브라켓의 전개도는 소정 두께(t)와 소정의 높이(H)를 가지는 철판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며, 가로×세로가 같은 길이(b)의 단면을 가지는 정사각 파이프로서 형성되는 기둥 프레임의 일 측면에 밀착하여 설치되고, 상기 기둥 프레임의 바깥측 일변(b)과 최소한 동일한 폭(b1)(b1≥b)을 가진 제1접촉면부와; 상기 제1접촉면부의 좌우 양측으로 각기 연장되는 제2 및 제3접촉면부와; 상기 제2 및 제3접촉면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제1접촉면부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기준선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절곡선과; 상기 제2 및 제3접촉면부로부터 각기 양측으로 연장되는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와; 상기 기둥 프레임의 일변(b)과 최소한 동일한 폭(b1)(b1≥b)을 가진 제2접촉면부가 끝나는 위치에서 시작하여 폭(b2)은 적어도 철판 두께(t)보다 크고 높이(h)는 철판부재 높이(H)의 1/2 크기를 가지도록 상기 제2접촉면부의 바깥 경계부에 형성되는 슬릿홈과; 상기 제1접촉면부 및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에 각기 형성되는 적어도 1개씩의 나사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절곡선에서 시작하여 적어도 상기 제2절곡선을 지나 제3접촉면부의 경계부까지 연장되는 크기의 직사각형 절개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3접촉면부는 철판부재 높이(H)의 1/2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3접촉면부의 폭(b3)은 상기 기둥 프레임의 일변(b)과 최소한 상기 철판부재의 두께를 더한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의 전개도.
  2. 선반 적재대용 브라켓의 전개도는 소정 두께(t)와 소정의 높이(H1)를 가지는 철판부재로 형성되며, 가로*세로가 같은 길이(b)의 단면을 가지는 정사각 파이프로서 형성되는 기둥 프레임의 일 측면에 밀착하여 설치되고, 상기 기둥 프레임의 바깥측 일변(b)과 최소한 동일하거나 큰 폭(b1)(b1≥b)을 가진 제1접촉면부와; 상기 제1접촉면부의 좌우 양측으로 각기 같은 크기를 가지도록 연장되는 제2 및 제3접촉면부와; 상기 제2 및 제3접촉면부의 양측으로 각기 연장되는 제4 및 제5접촉면부와, 상기 제4 및 제5접촉면부로부터 연장되는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와; 상기 제2 및 제3접촉면부가 서로 나란히 마주하도록 상기 제1접촉면부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기준선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절곡선과; 상기 제2 및 제3 접촉면부로부터 상기 제4 및 제5접촉면부를 직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기준선을 형성하는 제3 및 제4 절곡선과, 상기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를 상기 제2 및 제3 접촉면부와 나란한 방향이 되도록 상기 제4 및 제5접촉면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하기 위한 기준선을 형성하는 제5 및 제6절곡선과, 상기 제1 내지 제3접촉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나사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의 높이(H1)는 상기 기둥 프레임 내면의 너비(b0)와 같거나 작으며, 상기 제1 내지 제5접촉면부의 높이(H2)는 상기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 높이(H1)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의 전개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브라켓 전개도로부터 절곡선 부위들을 따라 절곡하여 제작한 선반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
  4. 전후 좌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되는 적어도 4개의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는 기둥 프레임과; 상기 기둥 프레임의 소정위치에 2개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 설치되는 제3항 정의에 따른 브라켓과; 상기 전후좌우의 기둥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브라켓들에 접속되는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수평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선반을 포함하는 선반 적재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에는 상기 선반을 지지하는 ㄴ자 형상의 앵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적재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단 또는 양단의 저면에는 상기 좌우 파이프 고정날개의 돌출 길이보다 적어도 긴 길이만큼 절개되어 형성된 트인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적재대.

KR1020190043027A 2019-04-12 2019-04-12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과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브라켓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적재대 KR102264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027A KR102264263B1 (ko) 2019-04-12 2019-04-12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과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브라켓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적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027A KR102264263B1 (ko) 2019-04-12 2019-04-12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과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브라켓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적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99A true KR20200120299A (ko) 2020-10-21
KR102264263B1 KR102264263B1 (ko) 2021-06-14

Family

ID=7303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027A KR102264263B1 (ko) 2019-04-12 2019-04-12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과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브라켓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적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26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947U (ja) * 1997-02-26 1997-09-05 有限会社 キュービックハウス 組立て式家具
JP3673780B2 (ja) * 2002-08-26 2005-07-20 株式会社福富士 ラック用連結部材
CN200980456Y (zh) * 2006-12-07 2007-11-28 洛阳市宇龙办公机具有限公司 文件柜隔板支架
KR20090054025A (ko) 2007-11-26 2009-05-29 이제선 적재대
KR20130092111A (ko) * 2012-02-10 2013-08-20 주식회사 앤투앤 조립식 선반
KR200475957Y1 (ko) * 2013-09-02 2015-01-15 김원종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
KR101576506B1 (ko) 2014-05-20 2015-12-11 (주)태진이엔지 적재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947U (ja) * 1997-02-26 1997-09-05 有限会社 キュービックハウス 組立て式家具
JP3673780B2 (ja) * 2002-08-26 2005-07-20 株式会社福富士 ラック用連結部材
CN200980456Y (zh) * 2006-12-07 2007-11-28 洛阳市宇龙办公机具有限公司 文件柜隔板支架
KR20090054025A (ko) 2007-11-26 2009-05-29 이제선 적재대
KR20130092111A (ko) * 2012-02-10 2013-08-20 주식회사 앤투앤 조립식 선반
KR200475957Y1 (ko) * 2013-09-02 2015-01-15 김원종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
KR101576506B1 (ko) 2014-05-20 2015-12-11 (주)태진이엔지 적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263B1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6177B1 (en) Versatile support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5655821A (en) Support base for an electrical cabinet or similar and cabinet equipped with such a support base
US2907471A (en) Metal cabinet structures
KR200476249Y1 (ko) 진열대 조립용 연결구
KR101449387B1 (ko) 조립식 다단 합성보
US4581859A (en) Wall stud for simplified assembly
JP2019170999A (ja) 組立式棚
KR100300753B1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GB2044080A (en) Modular frame for shelving
US7419126B2 (en) Bracket
KR20200120299A (ko)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과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브라켓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적재대
KR102167031B1 (ko) 농산업용 조립식 테이블
US4839999A (en) Wall stud assembly with flange retaining sections
JP3673780B2 (ja) ラック用連結部材
CN101501349A (zh) 模块化橱柜及其元件,套件和方法
JP3470962B2 (ja) 鋼管構造体の接続機構
JP3983368B2 (ja) 収納棚等における平板部材の補強構造
CN214246718U (zh) 横明竖隐横梁防倾覆加固结构
CN216123307U (zh) 一种工业柜十六折型材组装框架
JP2008253667A (ja) 組立家屋の棚受け構造
JPH0527874Y2 (ko)
US11873659B2 (en) Transportable folding door
JP5218237B2 (ja) 棚の連結部構造
KR20240000410U (ko) 테이블용 조립식 프레임
KR200356493Y1 (ko) 안치단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