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957Y1 -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 - Google Patents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957Y1
KR200475957Y1 KR2020130007321U KR20130007321U KR200475957Y1 KR 200475957 Y1 KR200475957 Y1 KR 200475957Y1 KR 2020130007321 U KR2020130007321 U KR 2020130007321U KR 20130007321 U KR20130007321 U KR 20130007321U KR 200475957 Y1 KR200475957 Y1 KR 200475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vertical frame
wedge
brack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종
Original Assignee
김원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종 filed Critical 김원종
Priority to KR2020130007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9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9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 프레임 상에 수평형태로 결합되는 선반을 브라켓과 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직 프레임 상에 선반을 장착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사각 모서리 부분에 절취부가 형성된 선반과, 이 선반의 절취부에 밀착되는 수직 프레임과, 이들 선반 및 수직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과, 이 브라켓 및 수직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는 쐐기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수직 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되는 쐐기에 안착되도록 몸체 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측을 향해 ㄱ자형을 이루도록 연이어지는 연장편의 바닥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쐐기의 한쪽 면에는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된 힌지부를 가짐과 동시에 이에 대응되는 다른쪽 면에는 절개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 {TABLE ASSEMBLE OF ARTICLE ROADING}
본 고안은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프레임 상에 수평형태로 결합되는 선반을 브라켓과 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업소의 주방에 설치되는 조리대를 포함하여 운반용 카트 등에는 여러 층의 선반이 설치되어 음식용기를 보관하거나 혹은 음식용기를 탑재한 상태에서 주방과 홀 사이로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통상의 음식 운반용 카트의 경우, 사각형태의 선반을 수직 프레임 사이에 배치하여 용접에 의해 고정하거나 별개의 결속부재를 개재하여 선반과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하단의 각 모서리 부분에 바퀴를 장착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이, 선반을 수직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와 관련하여 공지되어 있는 종래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0810078호 공보에는 선반과 지지대의 연결방식을 개선하여 선반을 용이하게 복수개 적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건을 수납하더라도 적층된 선반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조립식 선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선반의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를 이용하여 연결부재와 지지대를 순차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선반을 다단으로 적층시킬 수는 있으나 지지대의 길이에 따라 선반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그 위치변동이 불가능하고 일일이 나사조립에 의존해야만 하는 것이었다.
또, 등록특허 제1246542호 공보에는 수직 프레임에 선반을 다층으로 조립하여 물품을 한 눈에 보일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정리 정돈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선반의 높낮이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조립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립식 다용도 선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수직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고정구와 브래킷을 하나씩 교대로 배치하여 나사로 체결한 후 평판형 선반이나 수평 프레임이 장착된 선반을 각각의 정 위치에 맞춰 나사로 조립시켜야만 한다.
한편, 음식용기를 운반하기 위한 카트와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 제0397293호 공보에는 음식용기를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적재된 음식용기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용기 운반카트"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수직 프레임의 내측에 레일 형태의 적재가이드를 다단으로 장착하여 음식용기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과 적재가이드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켜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모두 나사를 이용한 체결방식이나 용접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고, 여러 부품을 조합하여 완성품을 제작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을 크게 떨어뜨리게 됨은 물론 제품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직 프레임에 장착되는 브라켓 상에 쐐기를 개재하여 선반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용접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음은 물론 구성품을 최소로 하여 조립작업을 아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직 프레임 상에 선반을 장착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사각 모서리 부분에 절취부가 형성된 선반과, 이 선반의 절취부에 밀착되는 수직 프레임과, 이들 선반 및 수직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과, 이 브라켓 및 수직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는 쐐기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수직 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되는 쐐기에 안착되도록 몸체 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측을 향해 ㄱ자형을 이루도록 연이어지는 연장편의 바닥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쐐기의 한쪽 면에는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된 힌지부를 가짐과 동시에 이에 대응되는 다른쪽 면에는 절개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쐐기의 외측면과 브라켓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측면이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져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연장편 저면에는 통공을 갖는 보스부가 형성되어 작은 나사에 의해 선반을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에 의하면, 선반의 각 모서리 부분에 밀착되는 수직 프레임에 쐐기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브라켓을 조립하여 고정시킨 후 선반을 브라켓에 안착시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조립작업이 매우 간편해지고, 더구나 별도의 용접작업을 요하지 않아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조 단가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을 설명하기 위한 실 제품의 일예를 나타낸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 2는 하나의 선반과 수직 프레임을 포함한 브라켓 및 쐐기가 각각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도 3b는 브라켓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쐐기의 사시도,
도 5a, 도 5b는 쐐기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6은 선반이 브라켓 및 쐐기에 의해 수직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반(10)과, 이 선반 (10)의 모서리 부분에 밀착되는 수직 프레임(20)과, 이들 선반(10)과 수직 프레임(20)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30) 및 쐐기(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반(10)의 경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비교적 얇은 철판이나 합성수지판의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평편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각 모서리 부분에는 동일 형태의 절취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동일 높이로 쐐기(40)를 개재하여 브라켓(30)을 장착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의 수직 프레임(20)이 선반(10)의 절취부(11) 측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0)은 몸체 내에 관통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측을 향해 ㄱ자형을 이루도록 연이어지는 연장편(32a)의 바닥에 단차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브라켓(30)의 연장편(32a) 저면에는 통공(33a)을 갖는 보스부(33b)가 형성되어 작은 나사(34)에 의해 선반(10)을 체결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브라켓(30)의 관통공(31)이 수직 프레임(20)에 끼워져 고정되는 쐐기(40)에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a,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쐐기(40)의 경우, 그 몸체의 한쪽 면에는 두께에 비해 비교적 얇게 형성된 힌지부(41a)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다른쪽 면에는 절개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쐐기(40)의 외측면과 브라켓(30)에 형성된 관통공(31)의 내측면이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져 상호 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직 프레임(20)이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짐에 따라 선반 (10)의 절취부(11)나 브라켓(30)의 관통공(31), 쐐기(40)가 모두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한 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수직 프레임을 원통형 파이프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이에 조립되는 부분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20) 상에 선반(10)을 다단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우선 선반(10)이 장착되어야 할 수직 프레임(20)의 소정 위치에 쐐기(40)를 끼워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쐐기(40)의 한쪽 면에는 힌지부(41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다른쪽 면에는 절개부(41b)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힌지부(41a)를 중심으로 절개부(41b) 측을 벌려 수직 프레임(20)에 끼워줌으로써 손쉽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수직 프레임(20)에 쐐기(40)를 끼워 고정시킨 상태에서 브라켓(30)의 관통공(31)을 쐐기(40)의 외주면에 조립하게 되면 이들 접촉부분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호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기 브라켓(30)의 몸체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장편(32a)의 단차부(32b) 상에 선반(10)의 절취부(11)를 끼워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연장편(32a)의 저면에 형성된 보스부(33b)의 통공(33a)을 통해 작은 나사(34)를 체결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선반(10)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전과 같은 선반의 고정방식에 비해 구성 부품을 대폭 축소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별도의 용접 등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필요로 하지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 선반 11: 절취부
20: 수직 프레임 30: 브라켓
31: 관통공 32a: 연장편
32b: 단차부 33a: 통공
33b: 보스부 34: 작은 나사
40: 쐐기 41a: 힌지부
41b: 절개부

Claims (2)

  1. 수직 프레임 상에 선반을 장착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사각 모서리 부분에 절취부(11)가 형성된 선반(10)과, 이 선반(10)의 절취부 (11)에 밀착되는 수직 프레임(20)과, 이들 선반(10) 및 수직 프레임(20)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30)과, 이 브라켓(30) 및 수직 프레임(20) 사이에 장착되는 쐐기 (40)로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30)은 수직 프레임(20)에 끼워져 고정되는 쐐기(40)에 안착되도록 몸체 내에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측을 향해 ㄱ자형을 이루도록 연이어지는 연장편(32a)의 바닥에 단차부(3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쐐기(40)의 한쪽 면에는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된 힌지부(41a)를 가짐과 동시에 이에 대응되는 다른쪽 면에는 절개부(41b)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40)의 외측면과 브라켓(30)에 형성된 관통공(31)의 내측면이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져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 (30)의 연장편(32a) 저면에는 통공(33a)을 갖는 보스부(33b)가 형성되어 작은 나사 (34)에 의해 선반(10)을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
KR2020130007321U 2013-09-02 2013-09-02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 KR200475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321U KR200475957Y1 (ko) 2013-09-02 2013-09-02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321U KR200475957Y1 (ko) 2013-09-02 2013-09-02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957Y1 true KR200475957Y1 (ko) 2015-01-15

Family

ID=5258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321U KR200475957Y1 (ko) 2013-09-02 2013-09-02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95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152A (ko) * 2017-07-21 2019-01-30 정원재 조립 선반
WO2020032295A1 (ko) * 2018-08-09 2020-02-13 정원재 조립 선반
KR20200001740U (ko) 2019-01-25 2020-08-05 고영종 조립식 다층선반
KR20200120299A (ko) * 2019-04-12 2020-10-21 박용남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과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브라켓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적재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036U (ko) * 1990-12-19 1992-07-24 김종락 간이옷장의 조립식 프레임
US20080076304A1 (en) 2005-04-21 2008-03-27 Fontage Co., Ltd Assembly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036U (ko) * 1990-12-19 1992-07-24 김종락 간이옷장의 조립식 프레임
US20080076304A1 (en) 2005-04-21 2008-03-27 Fontage Co., Ltd Assembly structur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152A (ko) * 2017-07-21 2019-01-30 정원재 조립 선반
KR102015878B1 (ko) * 2017-07-21 2019-08-29 정원재 조립 선반
WO2020032295A1 (ko) * 2018-08-09 2020-02-13 정원재 조립 선반
KR20200001740U (ko) 2019-01-25 2020-08-05 고영종 조립식 다층선반
KR20200120299A (ko) * 2019-04-12 2020-10-21 박용남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과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브라켓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적재대
KR102264263B1 (ko) 2019-04-12 2021-06-14 박용남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과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브라켓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적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957Y1 (ko)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
US6695418B2 (en) Modular shelving with cabinet
US8851585B2 (en) Structure of a tool cabinet
KR101478953B1 (ko) 조립식 선반
US8499954B2 (en) Packing mechanism
CA2846542A1 (en) Shelving system and shelf for same
US20070145864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KR20110102283A (ko) 조립식 책장
JP3207253U (ja) 収納棚のクイック組立・位置決め装置
US20120298606A1 (en) Sectional rack
US7562951B2 (en) Wall cabinet system
KR102270346B1 (ko)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KR20130006528U (ko) 우든 박스 측판 제작용 지그
JP3141972U (ja) ラック装着具
US9427082B2 (en) Rotating storage cabinet for corner installation
KR101217812B1 (ko) 플라스틱성형에 의한 조립진열대
KR20170000301U (ko) 가구용 조립식 서랍
JP3175420U (ja) 金属棚板とソケット部の組立位置決め構造
KR20200001740U (ko) 조립식 다층선반
KR20140004023U (ko) 부품 보관함
KR101834192B1 (ko) 조립식장의 도어 구조
KR101929825B1 (ko) 자동차용 부품 운반용기
US20050217543A1 (en) Tool cabinet fixing and supporting structure
EP3391780B1 (en) Self-centring system for receptacles in pull out cabinets
JP6668543B1 (ja) キッチンボード、キッチンボードの保管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