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015A - 폐기물 처리방법 및 처리수단 - Google Patents

폐기물 처리방법 및 처리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015A
KR20120005015A KR1020117026282A KR20117026282A KR20120005015A KR 20120005015 A KR20120005015 A KR 20120005015A KR 1020117026282 A KR1020117026282 A KR 1020117026282A KR 20117026282 A KR20117026282 A KR 20117026282A KR 20120005015 A KR20120005015 A KR 20120005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means
waste
bag
base portion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마리캡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20095369A external-priority patent/FI20095369A0/fi
Application filed by 마리캡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캡 오이
Publication of KR2012000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8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relating to the adaptation of receptacles to carry 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1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a code applied to the object which indicates a property of the object, e.g. quality class, contents or incorrect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65F1/002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with means for opening or closing of the recepta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54Sorting of waste or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12Coding means to aid in recyc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12Coding means to aid in recycling
    • B65F2210/1125Col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4Level detecting means
    • B65F2210/1443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폐기물 처리시스템에서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에서는 폐기물 또는 재활용 물질이 부가 처리를 위해 처분지점에서 캐리어 백(carrier bag)들, 봉지(bag)들, 또는 자루(sack,1)들에 담겨 운반된다. RFID 식별자(3)를 갖춘 클로징 수단(2)은, 봉함에 사용되거나, 캐리어 백, 봉지, 자루, 또는 폐기물 운반에 사용되는 위 상당물(1)의 봉함의 증명으로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RFID 식별자(3)를 포함하는 클로징 수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기물 처리방법 및 처리수단{METHOD AND MEANS IN WASTE HANDLING}
본 발명의 객체는 청구항 1의 서두에 정의된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객체는 청구항 15의 서두에 정의된 클로징 수단이다.
본 발명은 개괄적으로 폐기물 처리, 그리고 특히 폐기물의 분류(sorting)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예컨대 가정 폐기물의 경우, 각 가구에서는 폐기물 봉지로서, 폐기물의 구분에 따라 상이한 봉지들, 자루들 또는 캐리어 백들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핀란드에서는 폐기물 봉지로서, 쇼핑물을 집으로 옮길 때 상점에서 받은 플라스틱 캐리어 백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폐기물들이 플라스틱 캐리어 백들에 담겨 쓰레기통에 운반될 때 통상적으로 봉지에 내용물을 담고 매듭을 짓는다. 이들 폐기물들은 그 이후 부가 처리를 위해 쓰레기수거 트럭으로 운반된다. 따라서, 이 분야에서 알려진 공압식 폐기물 운반시스템은 폐기물 봉지들에 든 폐기물을 야적지점에서 운반 튜빙(transfer tubing)에 수납되어 부가 처리를 위해 운반된다. 이 양 방법들에 있어서의 단점 중에 하나가 폐기물을 분류하기가 불편하다는 것이다. 사용자가 가끔 폐기물을 상이한 배정에 따라 분류하는 것을 신경쓰지 않고, 대신에 모든 폐기물을 동일한 폐기물 봉지 및 쓰레기통에서 섞기도 한다. 이 경우 혼합 폐기물이 발생하며, 그것의 재생은 어렵다.
이 분야에서 공지된 폐기물 분류 문제의 해결방안은, 상이한 타입의 폐기물이, 상이한 색상의 폐기물 봉지 또는 쓰레기통들과 같은 상이한 컨테이너들에 담겨 운반되도록 정돈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구에서 상이한 형태의 폐기물은 상이한 색상의 폐기물 봉지가 배정된다. 특정 색상의 폐기물 봉지는 폐기물의 타입에 따라 특정된다. 폐기물은 예컨대, 일반 쓰레기수거 트럭에 실려 폐기물센터로 운반되고, 여기서 폐기물은 폐기물 봉지의 색상에 기초하여 상이한 배정처(allotment)으로 분류된다. 시각적인 폐기물의 분류는 공개공보 EP0759816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의 문제점은 폐기물 봉지가 각 폐기물 타입의 분류 목적에 따라 개별적으로 정리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다른 문제점은 청결하지 않은 환경에서 폐기물 봉지들의 분류 작업에 사용되는 자동 광학 분류 장치의 작동의 불확실성이다. 폐기물의 분류에 대해서는 공개공보 WO 03039773 A1에 기재되어 있다.
한편으로, 가구 등 폐기물 배출처가 각 타입의 폐기물에 따라 정확한 색상의 폐기물 봉지를 사용한다는 보장은 없다. 시스템의 남용자들로 하여금 그 습관을 고치도록 하는 것은 어렵다. 다른 한편으로, 사후 남용자의 확인 또는 추적은 거의 불가능하다.
아울러, 폐기물 봉지로서 캐리어 백들이나 플라스틱 백들을 사용할 때는 통상 봉지에 매듭을 짓는데, 예컨대, 운반 취급중 매듭이 풀릴 경우 운반 도중에 폐기물이 봉지밖으로 제한없이 뿌려질 수 있다. 이는 운반차량, 쓰레기통 및/또는 그외 폐기물 봉지들의 외측을 오염시켜, 분류 과정에서 방해가 되고 또한, 위생상의 문제를 유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타입의 해결방안을 달성하여 이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를 회피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RFID 식별자(identifier)를 갖춘 클로징 수단이 폐기물 봉지들의 봉함에 사용한다고 하는 사상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주로 청구항 1에 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4에 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클로징 수단은 주로 청구항 15에 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클로징 수단은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5에 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해결방안은 복수의 중요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한편으로 폐기물 봉지들, 폐기물 캐리어 백들, 폐기물 자루들 또는 그 상당물이 운반 중에 봉임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종래보다 더 효율적인 분류와 같은 시스템의 운전이, RFID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어된다.
클로징 수단에 RFID 식별자가 구비됨으로써, 폐기물 운반에 있어서의 어떠한 봉지, 캐리어 백, 자루 또는 상당물이든 사용가능하고, 특별히 특정 폐기물의 배정처에 연관된 개별 운반 컨테이너들이 필요치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RFID 식별자의 리더(reader)가 쓰레기통. 또는 폐기물 공간 등의 폐기물 야적지점에 연결된다.
이 경우, 폐기물 운반 시스템과의 연결에 있어서, 상이한 폐기물질에 대해 편의적으로 단지 하나의 야적지점 또는 쓰레기통이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폐기물은 RFID 식별자에 따라 나중에 상이한 배정처로 분류된다.
또한, 시스템의 처분지점으로의, 본 발명에 따른 RFID 식별자가 없는 폐기물질의 공급은 금지된다.
RFID 식별자는, 특정 유저가 구매한 폐기물량을 등록함에 사용되고, 이 경우 청구 기준들은 변경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유저는, 예를 들어 재활용에 적합한 폐기물에 대해 폐기물 운반 요금을 줄여줌으로써 폐기물 분류에 대해 보상받도록 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클로징 수단은 클로징 스티커 테잎으로서, 이는 예컨대 각 폐기물 배정처에 맞는 색상의 RFID 스티커 테잎이며, 또한 상기 스티커 테잎은 예컨대, 폐기물의 타입에 따른 문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아울러, 각 가구, 부동산 회사(housing company), 그외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폐기물 발생처로서의 회사에 대해 개별적으로 특정된 식별번호 또는 그외 식별자는, 클로징 수단 및/또는 RFID 식별자용으로 형성된다.
또한, 클로징 수단은, 해당 클로징 수단이 폐기물 타입과 연관되어 사용되도록 폐기물 타입의 사진 또는 그림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점의 일반 플라스틱 캐리어 백들을 사용함으로써 실용성을 높이고, 캐리어 백은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으로 봉해진다.
캐리어 백은 폐기물로 채워지고, 손잡이 끈(carrying loop)들로 매듭지어 봉해진다.
대표적인 방법은, 우선 하나의 매듭을 체결하고, 그 다음에 클로징 수단, 바람직하게는 스티커 테잎이, 상기 매듭의 상부에 위치하게 하여, 캐리어 백의 매듭을 고정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 끈들로 두번째 매듭을 형성한다.
이 경우 RFID 식별자는 부분적으로 보호되어 운반중의 손상이 회피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은 폐기물 봉지의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의 쓰레기수거 트럭들 또는, 공압 폐기물 반송 시스템과 같은 일부의 다른 방법으로 폐기물 봉지들이 운반되는 폐기물 분류 센터에서, 폐기물 봉지들은 RFID 식별자들에 부여된 정보를 기초로 상이한 폐기물 배정처로 분류된다. 그 뒤에 이들 폐기물 봉지들은 찢겨 열리고, 나머지 폐기물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로징 수단의 RFID 식별자는, 그 뒤에도, 리더 수단의 도움으로 폐기물 봉지가, 분류된 폐기물 배정처들로부터 제거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해 활용된다.
제공된, RFID 식별자를 포함하는 클로징 수단은 각 폐기물 배정처용으로 준비된다. 재활용 종이는, 예를 들어, 부수의 방식으로 처리된다. 이 경우 신문지와 같은 종이는 봉지에 담기고,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으로 봉해지는데, 클로징 수단이 RFID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은, 예컨대, 롤(roll)형태로 정열된 복수의 클로징 수단을 포함하는 직포(web)으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타입의 클로징 수단 롤은 두개의 연속된 클로징 수단 사이에 컷팅 포인트를 포함한다. 롤로부터 클로징 수단의 분리 가능케 하는, 천공구멍 또는 이와 상당한 것이 롤에 배열됨으로써 클로징 수단의 컷팅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은 복수의 클로징 수단을 포함하는 시트(sheet)로 제공된다. 이런 타입의 클로징 수단 시트는 인접하는 클로징 수단 사이에 컷팅 포인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로징 수단 시트는, 클로징 수단의 접착면을 보호하는 베이스부(base part)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천공구멍 또는 이와 상당물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됨으로써, 시트로부터 클로징 수단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특징적으로, 클로징 수단 사이에 컷팅부가 있고, 컷팅부는 클로징 수단의 표면으로부터 베이스부로 뻗는데, 베이스를 통과하지는 않는다. 이 경우 클로징 수단은 클로징 수단 시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다(예컨대, 끈적한 석고(sticking plaster)와 유사함).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공압 폐기물 운반 시스템과 같은 폐기물 운반 시스템의 운전이 종래보다 더 정확하고 최적화된다. 예를 들어, 튜빙에 담겨 운반되는 폐기물의 속도 및 양은, 폐기물 봉지의 클로징 수단의 RFID 식별자 및 운반 시스템에 구비된 RFID리더에 의해 더 용이하게 측정된다. 또한 폐기물 야적지점으로부터 폐기장(waste station)까지의 운반시간이 정해진 경우에 다음의 야적지점을 비우는 작업이 최적화된다.
폐기물 야적지점들은, 폐기물 봉지에 RFID 식별자를 포함하는 클로징 수단이 없으면 받아들이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RFID 식별자는 쓰레기통 또는 폐기물 야적지점의 충만 정도를 리포팅 (reporting)할 수 있다. 이 경우 폐기물의 운반은 최적화된다. 운반은 차있는 충만 정도가 초과했을 때에만 실행된다. 이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쓰레기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또한, RFID 식별자는 폐기물의 내용물을 리포팅할 수 있다. 만일 폐기물에 분해가능한 것이 많이 포함되면, 그 위치에서 설정시간내에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될 수 있다. 또한, RFID 식별자는 온도 알람(alarm), 즉 화제경보를 발할 수 있다. 또한, RFID 식별자는 폐기물이 쓰레기통안으로 투입되었을 때 리포팅할하는데, 이 경우 폐기물 양, 타입 및 경향(trend)에 대한 정보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를 공압 파이프 운반에 적용하면, 상이한 배정처별로 야적지점을 전용화할 필요없이, 모든 폐기물을 동일한 야적지점에 보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통상적인 폐기물 운반에 있어서는 단일 타입의 폐기물 컨테이너만 있으면 되고, 3 내지 4대의 트럭으로 나누는 대신에 하나의 쓰레기수거 트럭으로 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다. 또한, 혼합 폐기물, 바이오 폐기물, 유리 폐기물, 메탈성 폐기물 및 종이질 폐기물과 같은 모든 폐기물을 동종의 봉지에 담을 수 있다면 이것도 유익하다. 이 경우, 배정처들 및 튜빙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튜브 운반이 더 용이해진다. 봉지는 분류센터에서 자동적으로 제거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해 적용되는데, 제공된, RFID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클로징 수단은 각 가구 또는 그외 폐기물 배출 단체 또는 이에 상당한 곳에 공급된다. 이는 분류를 보조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과 RFID 식별자의 결합에 의해,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비용이 발생하는 곳을 증명하기 쉬워진다. 요금은 종래보다 더 정확하게 폐기물 배출자에게 부가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구에는 고정된 쓰레기 요금이 부가되고, 분류센터에서 분류된 각 폐기물 봉지에 대해 공제(credit)를 받는다 RFID 식별자의 자동 읽기에 기초하여, 시스템은 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류된 폐기물을 배분할 수 있어, 올바른 타켓에 공제가 부여된다. RFID 식별자에 의거한 분류 센터에서의 분류는 매우 용이하게 되고, 가정에서 식별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클로징 수단에 RFID 식별자를 구비함은 폐기물 분류 상에 다양한 활용방안을 부여하는 것으로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봉지에 연관된 클로징 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봉지에 연관된 클로징 수단의,제1 방향으로 본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봉지에 연관된 클로징 수단의, 제2 방향으로 본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제1 방향에서 본 바의, 본 발명에 따른 클로징 수단 시트를 나타낸다.
도 5는 제2 방향에서 본 바의, 본 발명에 따른 클로징 수단 시트를 나타낸다.
도 6은 제1 방향에서 본 바의, 클로징 수단 시트로부터의 클로징 수단의 분리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7은 제2 방향에서 본 바의, 클로징 수단 시트로부터 클로징 수단의 분리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 시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클로징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에 대한 일련의 사용도를 나타낸다.
이하에,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몇몇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폐기물 봉지(1)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2)이 고정되며, 클로징 수단은 RFID 식별자(3)를 구비한다. 상기 클로징 수단(2)은 , 도시된 실시예에서, 폐기물 봉지(1)에 형성된 매듭(10) 위에 장착되며, 이 경우 클로징 수단은 운반 중에 매듭(1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매듭(10)은, 예컨대 봉지(1)의 손잡이 끈(11)을 매듭지움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클로징 수단(2)은 봉지(1)의 외표면과 대향하는 쪽에 접착면을 포함하며, 이경우 접착면은 봉지의 외표면에 부착된다.
도 2에 도시된 클로징 수단(2)은 베이스부를 포함하는데, 그 위에 RFID 식별자(3)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자체는 이 분야에서 공지되었다. 상기 베이스부는 바람직하게는, 스티커 박판(sticker laminate) 또는 이에 상응한 것으로 접착면에 의해 폐기물 봉지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는 RFID식별자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식적인 개략도이다. RFID 식별자는 메모리부(칩) 및 안테나부를 포함한다. RFID 식별자는 바람직하게는, 피동적인 RFID 식별자이며, 이 경우 자체 전원이 필요치 않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이 폐기물 봉지(1)에 연관되어 배치되는 위치를 간략한 형태로 나타낸다. 상기 클로징 수단(2)은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부(203)에 의해 보호되는 접착면(205)을 포함하며, 이 베이스부는 클로징 수단을 봉지에 고정하기 전에 제거된다. 도 2에서는 2개의 베이스부(203)가 있는데, 이 경우 베이스부의 오버랩부(206)로부터 잡아당김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오버랩부(206)는 베이스부(203) 상에 형성되어, 베이스부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도 7)에 의하면, 컷팅부(204)는 베이스부 내에 형성되며, 컷팅부로부터 베이스부는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뉜다.
도 4 및 도 5에 의하면, 클로징 수단(2)은 시트(200)에 구비되고, 필요에 따라 시트로부터 클로징 수단(2)이 예컨대, 개별적으로 절취된다. 도 4에 의하면, 인접하는 클로징 수단들 사이에 형성된 컷팅부(201)에 의해 서로에 대해 클로징 수단을 분리한다. 컷팅부는 특징적으로 클로징 수단의 표면으로부터 베이스부에까지 뻗는데, 베이스부를 통과하지 않는다. 도 5는 베이스부쪽에서 도 4의 클로징 수단 시트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천공구멍(202) 또는 이와 상응한 것이 베이스부 내에서, 인접하는 클로징 수단을 분리하는 컷팅부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클로징 수단(2)은 천공구멍(202)를 따라 찢어냄에 의해 클로징 수단 시트(200) 및 베이스부로부터 분리함이 용이하다. 도 6 및 도 7은 시트(200)로부터 분리된 하나의 클로징 수단을 나타낸다.
도 5에 의하면,클로징 수단에 대해 횡단하는 컷팅부(204)는 베이스부(203)에 형성되며, 컷팅부는 베이스부를 통과해서 뻗지만, 실제 클로징 수단을 통과하지 않는다.
도 8은 바람직한 클로징 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클로징 수단(2)은 RFID 식별자(3)에 더해서, 다른 식별자(21,22,23,24,25,26)를 구비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클로징 수단은 텍스트 마킹부(text marking,21)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해당 클로징 수단이 의미하는 폐기물의 타입을 단어로 표현한 것이다. 언어적인 마킹부(21)는 복수의 상이한 언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색상 코드(22)는 클로징 수단(2)의 표면에 형성되는데, 색상 코드는 클로징 수단의 일부 영역으로 되거나 전체 클로징 수단의 크기로 된다. 아울러, 클로징 수단(2)은 사진 코드나 그림 코드(23)를 포함하는데, 이는 클로징 수단이 의미하는 폐기물의 타입을 나타낸다. 클로징 수단은 고객 코드(24)를 포함하며, 이는 가구, 회사, 또는 단체와 같은 폐기물 배출 단체를 나타낸다. 고객 코드(24)는 특징적으로 영숫자(alphanumeric)로 된 정보이다. 그리고, 클로징 수단은 바아코드(barcode,25) 또는 다른 가시적인 그래픽의 코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재활용 캔용의 폐기물 그룹의 클로징 수단은 재활용 묘사의 코드를 포함한다. 아울러, 클로징 수단(2)은 제조업자 또는 판매업자에 대한 정보 및 광고를 포함한다. 그리고, 클로징 수단은 지역 폐기물 관리 회사 또는 단체의 이름 또는 다른 식별자를 포함한다.
RFID 식별자는 클로징 수단에 구비되는데, 그 구비방식은 본래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클로징 수단은 전체를 각 폐기물 배정처에 맞는 색상으로 하거나, 또는 해당 색상이 그 표면상에서 인식되도록 하거나 인쇄된다. 클로징 수단 상에 상대적으로 다른 마킹들이 인쇄되거나 달리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하나의 타입의 폐기물의 클로징 수단 시트(200)를 나타내는데, 이 클로징 수단 시트는 복수의 클로징 수단(2)을 포함한다.
도 10은 상이한 타입의 폐기물이 들어가는 폐기물 봉지들을 봉하도록 하는 상이한 클로징 수단(2a,2b,2c,2d,2e,2f,2g)의 일부 예들을 나타낸다. 도 10의 실시예는 혼합 폐기물을 의미하는 클로징 수단(2a), 메탈을 의미하는 클로징 수단(2b), 판지(cardboard) 폐기물을 의미하는 클로징 수단(2c), 바이오 폐기물을 의미하는 클로징 수단(2d), 위험한 폐기물을 의미하는 클로징 수단(2e), 종이를 의미하는 클로징 수단(2f), 및 유리를 의미하는 클로징 수단(2g)을 나타낸다. 또한, 그외 폐기물질은 필요에 따라 그 자체의 인식자로서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클로징 수단(2)은 폐기물 자루의 개구부(mouth part)에 대한 편의적인 폐색기(closer)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자체를 개구부 둘레에 단단히 감는다. 희망에 따라, 개구부는 다시 매듭을 짓거나, 추가적인 폐색기가 구비될 수 있다.
클로징 수단(2)과 RFID 식별자(3)의, 본 발명에 의한 결합물은 예컨대 다음과 같은 폐기물 운반 시스템과 연관되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 즉 클로징 수단과 RFID 식별자의 결합물은 유통(distribute)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가구이나 그외 폐기물 배출자들에 전달된다. 특징적으로 클로징 수단 시트 (200)는 유통되는데, 이 시트는 특정 폐기물 배정처용의 클로징 수단(2)을 포함한다. RFID 식별자는 각 폐기물 배출자의 코드 또는 상응하는 식별자를 포함하고, 필요하면, 러한 코드로서 폐기물 배출자가 식별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로징 수단(2)은 색상 코드 등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클로징 수단은, 처리 시스템에서 각 분류 폐기물 봉지와의 연관이 승인된 방식으로 사용된다. 색상 코드는 클로징 수단의 전체 크기 또는, 패턴 또는 텍스트의 크기를 갖는다. 특정 색상의 색상 코드는 혼합 폐기물용으로 규정되고, 바이오 폐기물용의 두번째 색상 코드와, 재활용 물질용의 자체 색상 코드가 상응해서 규정된다.
이 경우 유저들은 폐기물 봉지에 특정 타입의 폐기물을 담고, 대응하는 색상 코드를 포함하는 클로징 수단을 준비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유저가 원하는 폐기물 봉지가 상이한 각각의 폐기물 배정처에 연관되어 사용되고, 폐기물 배출자는, 본 발명에 의한 클로징 수단과 RFID 식별자의 하나의 색상 코드만으로 폐기물 봉지를 마킹한다. 또한, 특징적으로 RFID 식별자에는 용도와 연관된 폐기물 타입의 내용이 이미 담겨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ID 식별자의 리더는 쓰레기통 또는 폐기물 야적지점의 덮개 또는 해치(hatch)에 연결되고, 이로써, 폐기물 통 또는 해당 야적지점으로 지정된 폐기물만 해당 쓰레기통에 유입될 수 있다. 특히, 공압 폐기물 운반 시스템과 연결된 경우, 편의적으로 상이한 폐기물질들에 대해 하나의 야적지점만 사용되고, 시스템이 RFID 식별자에 따라 추후에 상이한 배정처들로 폐기물을 분류한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RFID 식별자없이 폐기물질을 시스템의 야적지점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FID 식별자는 특정 사용자에 의해 구입된 폐기물의 양을 등록함에 사용할 수있는데, 이 경우 청구 기준(invoicing principle)이 변경된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는 폐기물을 분류한 데 따른 보상을 받는데, 예컨대 재활용에 적합한 폐기물에 대해 폐기물 운반요금이 절감된다.
특징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클로징 수단은 봉함용 스티커 테이프로서, 폐기물 배정처의 색상을 갖는 RFID 스티커 테입이며, 이 스티커 테입은 예컨대, 폐기물의 타입에 따라 텍스트 식별자를 포함한다. 아울러, 각 가구, 부동상 회사(housing company), 폐기물을 배출하는 다른 폐기물 배출회사에 따라 개별적으로 특정되는 식별 번호 또는 기타 식별자는 클로징 수단 및/또는 RFID 식별자 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상적인 상점의 플라스틱 캐리어 백들을 활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클로징 수단(2)으로 봉해진다. 캐리어 백은 폐기물로 채워지고, 손잡이 끈(carrying loop)들을 매듭지움으로써 봉해진다. 우선 통상적인 방식으로 하나의 매듭을 짓고, 이어서 클로징 수단, 바람직하게는 스티커 테입이 매듭 맨위에 위치하여 캐리어 백의 매듭 위가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두번째 매듭이 손잡이 끈들을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이 경우 RFID 식별자는 부분적으로 보호되어 운반 중 훼손됨이 회피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로징 수단은 폐기물 봉지의 매듭이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에는 폐기물 봉지와 연관된 클로징 수단의 사용에 대해 일련의 도면을 통해 더 자세하게 나타낸다. 도 11(a)는 통상적인 폐기물 봉지(1)를 나타내며, 손잡이 끈(11)으로 된 매듭(10)을 포함한다. 도 11(b)에서는 하나의 클로징 수단(2)이 클로징 수단 시트(200)로부터 분리된다. 도 11(c)에서는 클로징 수단이 폐기물 봉지상에, 바람직하게는 매듭 바로 위에 위치된다. 도 11(d)에 묘사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클로징 수단(2)의 바로 위에서 손잡이 끈으로 추가의 매듭이 만들어진다. 이로써, 도 11(e)에 묘사된 바와 같이, 폐기물 봉지(1)는 야적지점으로, 예컨대 쓰레기통으로 들어갈 준비가 되었다.
편의적으로 쓰레기수거 트럭 또는, 공압 폐기물 운반시스템 등 기타 방법으로 폐기물 봉지가 운반되는 폐기물 분류센터에서는, 폐기물 봉지가 RFID 식별자로부터 주어진 정보를 기초로 상이한 폐기물 배정처들로 분류된다. 폐기물 봉지들은 찢겨져서 열려진 다음 나머지 폐기물로부터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로징 수단의 RFID 식별자는 리더 수단의 도움에 의해 폐기물 봉지들이 분류된 폐기물 배정처로부터 제거되었음을 확인하는 데에까지 사용된다.
각 폐기물 배정처용으로 RFID 식별자로 구성된 전용 클로징 수단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재활용 용지는 상응한 방식에 따라 처리된다. 이 경우 신문지 같은 종이는 봉지에 넣어진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클로징 수단으로 봉해지며, 클로징 수단은 RFID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로징 수단은 복수의 클로징 수단으로 구성된 직포(web)로서 롤 형태로 배열되어 제공된다. 이러한 타입의 클로징 수단 롤은, 바람직하게는, 두개의 연속 클로징 수단 사이에 컷팅 포인트를 포함한다. 클로징 수단의 컷팅은 천공구멍 또는 롤로부터 클로징 수단을 분리 가능하게 하는 롤 상의, 위에 상응한 것이 구비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공압 폐기물 운반 시스템의 작업은 이전보다 더 정확하고 최적화된다. 예를 들어, 튜빙으로 반송되는 폐기물의 속도와 양은 폐기물 봉지의 클로징 수단의 RFID 식별자, 그리고 튜빙 또는 반송 시스템에 구비된 RFID 리더를 이용하여 더 용이하게 측정된다. 마찬가지로 폐기물 야적지점으로부터 폐기물 처리장에 까지의 반송 시간이 정해지는데, 이 경우 다음 야적지점을 비우는 것이 최적화된다. 예를 들어, 폐기물 코드 X는 야적지점 A로부터 떠나고, 폐기물 코드는 튜빙 안에 지점 Y에 있으며, 이경우 다음 야적지점 B는 활성화된다(activate).
폐기물 야적지점은, 폐기물 봉지에 RFID식별자를 포함하는 클로징 수단이 붙어 있지 않으면, 폐기물을 받아들이지 않도록 만들어진다.
또한, RFID 식별자는 쓰레기통 또는 폐기물 야적지점의 충만 정도를 리포팅할 수 있다. 이 경우 폐기물의 반송은 최적화된다. 운반이 충만 정도가 초과한 경우에만 실행된다. 이로써 에너지 절약과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또한, RFID 식별자는 폐기 내용물에 대해 리포팅할 수 있다. 만일 폐기물에 분해 가능한 물질이 포함되면, 그 지점에서의 수거가 요청된다. 또한, RFID 식별자는 온도 알람, 즉 화제경보를 발할 수 있다. 또한, RFID 식별자는 폐기물이 쓰레기통에 넣어졌을 때 리포팅하고, 그 쓰레기통으로 담기는 폐기물 양, 타입, 경향에 대한 정보가 얻어진다.
공압 파이프 전송에서 본 발명에 따른 클로징 수단을 사용하는 것은 상이한 배정처에 대한 전용의 야적지점이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이 가지며, 그 대신 모든 폐기물은 동일한 야적지점에 보내진다. 통상적인 폐기물 운반에서는 단일 타입의 폐기물 컨테이너만 필요로 하고, 3 내지 4대의 트럭 대신에 하나의 쓰레기수거 트럭만으로 이들을 수거할 수 있다. 또한 만일 혼합 폐기물, 바이어 폐기물, 유리 폐기물, 메탈 폐기물, 및 종이 폐기물과 같은 모든 폐기물들은 한 종류의 봉지에 담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야적지점들은 청결이 유지되고, 튜브 반송이 더 용이해진다. 이 봉지는 자동적으로 분류 센터에서 제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RFID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전용의 클로징 수단이 각 가구에 공급된다. 이것이 분류를 보조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클로징 수단과 RFID 식별자의 결합체를 이용하면,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비용이 발생되는 곳에 대한 증명이 용이해진다. 요금이 종래보다 더 용이하게 폐기물 배출자들에 배정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구들은 고정 요금이 부가되고, 분류센터에서 분류된 각 폐기물 봉지에 대해 공제(credit)를 받는다. RFID 식별자의 자동화 리딩에 기초하여, 시스템이 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류된 폐기물을 할당함으로써, 공제가 정확한 타겟에서 이루어진다.
클로징 수단과 RFID 식별자의 결합체가 가장 바람직한 예이지만, 본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클로징 수단 대신에 예비(ready) RFID 식별자가 사용된 폐기물 봉지와 같은 대안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는 각 폐기물 배정처에 대해서 RFID 식별자를 갖춘 별도의 폐기물 봉지가 요구된다.
분류센터에서의 RFID 식별자에 의거한 분류는 매우 용이하며, 또한 가구의 식별도 용이하다. RFID 식별자는 폐기물 분류에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폐기물 처리시스템에서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으로 폐기물 또는 재활용 물질이 캐리어 백들, 봉지들, 또는 자루(1)에 담겨 운반된다. 클로징 수단(2)은 RFID 식별자(3)를 구비하며, 캐리어 백, 봉지, 자루 또는 폐기물 운반에 사용된 위에 상응한 것의 봉함, 봉함의 확인에 사용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에 의해, 플라스틱 캐리어 백, 플라스틱 자루, 또는 플라스틱 봉지를 비롯한 캐리어 백, 봉지 또는 자루(1)가, 폐기물 운반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적합한 것이 자유롭게 선택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로징 수단(2)은, 패턴, 색상, 코드, 마킹 또는 이에 상응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시 식별자(21,22,23)를 포함하고, 이로써 봉지, 자루 또는 클로징 수단(2)이 봉하는 이에 상응한 것에 담긴 폐기물질의 타입이나 재활용 물질을 규정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로징 수단(2)은 마킹, 코드 또는 가정을 비롯한 유저 단체를 나타내는 위와 상응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시 식별자(24,25)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로징 수단(2)은 접착면(205)을 포함하고, 이로써 클로징 수단은 캐리어 백, 봉지, 또는 자루(1)에 고정될 수 있다.
특징적으로, 일면에 접착면(205)을 갖는 테입이 클로징 수단(2)으로서 사용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로징 수단(2)은 베이스부(203)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접착면(204)을 보호하고, 캐리어 백, 봉지, 또는 자루에 클로징 수단을 고정하기 전에 제거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ID 식별자의 리딩 유닛(reading unit)이 폐기물 시스템의 야적지점(disposal point), 또는 그 근방(proximity)에 연결되어 구비되되, 리딩 유닛이 RFID 식별자에 의해 주어진 정보를 기초로 폐기물 운반 시스템 또는 이 시스템의 일부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기물이 RFID 식별자(3)들에 의해 주어진 정보를 기초로 상이한 배정처(allotment)들로 분류(sort)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로징 수단(2)의 RFID 식별자(3)가 운반 시스템의 작동(operation)을 최적화하는데에 사용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상기 클로징 수단(2)이 시트 (200) 또는 직포(web)에, 또는 롤(roll)상에 배열되어, 시트 또는 직포의 클로징 수단이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절취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로징 수단 시트(200)상에 인접하는 클로징 수단(2) 사이에 컷팅부(201)가 형성되고, 이 컷팅부가 베이스부(203)의 표면을 따라 최적으로 뻗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203)에 천공구멍 (perforation,202) 또는 이에 상응하는 것이 클로징 수단 시트(200) 내의 기본적으로 인접 클로징 수단(2)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천공구멍을 따라 베이스부를 갖춘 클로징 수단(2)이 시트(200)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203)에 컷팅부(204) 또는 이에 상응한 것이 형성되어, 클로징 수단의 고정시 접착면의 전면(front surface)으로부터 베이스부(203)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봉지, 캐리어 백, 자루, 또는 폐기물 운반에 사용되는 이에 상응한 것의 봉함 또는 봉함의 확인을 위한 클로징 수단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로징 수단(2)는, 패턴, 색상, 코드, 마킹 또는 이에 상응하는 것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시 식별자(21,22,23)을 포함하여, 봉지, 캐리어 백, 자루, 또는, 클로징 수단(2)이 봉하기에 적합한, 이에 상응한 것에 담긴 폐기 물질 또는 재활용 물질의 타입을 규정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로징 수단(2)은, 마킹, 코드, 또는 이에 상응한 것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시 식별자(24,25)를 포함하여, 가정을 비롯한 유저 단체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 따르면, 상기 클로징 수단(2)은 접착면(205)을 포함하여, 이로써 상기 클로징 수단이 대향면(countersurface), 더 자세하게는 캐리어 백, 봉지, 자루, 또는 이에 상응한 것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로징 수단(2)은 일측면에 접착면을 갖는 테입을 구성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로징 수단(2)들은 복수의 클로징 수단을 포함되는 시트(200) 또는 직포, 또는 롤에 배열되고, 시트 또는 직포로부터 클로징 수단(2)이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절취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로징 수단(2)은 베이스부(203)를 포함하여, 접착면(204)을 보호하고, 베이스부는 클로징 수단을 고정하기 전에 제거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로징 수단 시트(200)상에서 인접한 클로징 수단(2) 사이에 컷팅부(201)가 형성되고, 컷팅부가 베이스부(203)의 표면을 따라 뻗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로징 수단 시트(200)에서 기본적으로 인접하는 클로징 수단(2) 사이에서 베이스부(203)에 천공구멍(202) 또는 이에 상응하는 것이 형성되어, 상기 천공구멍을 따라 베이스부(203)를 갖춘 클로징 수단(2)이 시트(200)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203)에 컷팅부(204) 또는 이에 상응하는 것이 형성되어 클로징 수단의 고정시에 접착면의 전면으로부터 베이스부 (203)의 제거가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클로징 수단은 지역 폐기물 관리회사 또는 지방자체단체를 비롯한 단체의 네임 또는 다른 식별자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RFID 식별자를 갖춘 케이블 끈(tie)을 비롯한 결합수단이 클로징 수단으로 사용된다. 결합수단은 텅부(tongue part)를 포함하고, 그 자체는 공지되었으며, 이 텅부는 루프부(loop part)를 통해 사용 위치에 엮여진진다 (thread). 텅부의 내부면은 특징적으로 이빨(toothing) 및, 텅부의 이빨을 장착하는(fit) 유지수단(retaining means)으로 구성된 루프부를 포함하여, 사용 위치에서 텅부가 루프밖으로 슬라이딩하지 않고, 특징적으로 대향하는 조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공압 폐기물 운반 시스템과 연관된 RFID 식별자의 사용과 관련하여 공개공보 WO 2005/118435에 기술되어 있다. 폐기물 분류에 있어서의 RFID 식별자의 사용은 공개공보 WO 2006/096101에 나타난다.
본 발명에 상술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하다. 가능한 특징적인 구성은 다른 특징적 구성과 연관해서 기술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5)

  1. 폐기물 또는 재활용 물질을 캐리어 백(carrier bag)들, 봉지(bag)들, 또는 자루(sack)들에 담아 운반하는 폐기물 처리시스템에서의 방법으로서, 상기 캐리어 백, 봉지, 자루, 또는 폐기물 운반에 사용되는 이에 상당한 것의 봉함(closing), 또는 봉함의 확인에 사용되는 클로징 수단(closing means,2)에 RFID 식별자 (identifier,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캐리어 백, 플라스틱 자루 또는 플라스틱 백을 비롯한 캐리어 백, 봉지, 또는 자루(1)는, 유저(user)에 의해 최적의 것이 자유롭게 선택되어 폐기물 운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수단(23)은, 패턴, 색상, 코드, 마킹(marking), 또는, 이에 상당한 것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시(visible) 식별자(2,21,22)를 포함하여, 이 제1 가시 식별자에 의해, 클로징 수단(2)이 봉하는 봉지, 캐리어 백, 자루 또는 이에 상응한 것에 담긴 폐기물질 또는 재활용물질의 타입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수단(2)은, 마킹, 코드, 또는 이에 상응한 것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시 식별자(24, 25)를 포함하여, 가정(household)를 비롯한 유저의 단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수단(2)은 접착면 (205)를 포함함으로써, 캐리어 백, 봉지, 또는 자루(1)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쪽면에 접착면(205)을 갖는 테이프가 클로징 수단(2)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수단(2)은 접착면 (204)을 보호하고, 캐리어 백, 봉지, 또는 자루에 고정될 클로징 수단을 고정하기 전에 제거되는 베이스부(base part,2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FID 식별자의 리딩 유닛 (reading unit)이 폐기물 시스템의 야적지점(disposal point)과 연결되어 구비되되, 리딩 유닛이 RFID 식별자에 의해 주어진 정보를 기초로 폐기물 운반 시스템 또는 이 시스템의 일부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기물이 RFID 식별자(3)들에 의해 주어진 정보를 기초로 상이한 배정처(allotment)들로 분류(sor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로징 수단(2)의 RFID 식별자 (3)가 운반 시스템의 운전을 최적화하는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클로징 수단(2)이 시트(200) 또는 직포(web)에, 또는 롤(roll)상에 배열되어, 시트 또는 직포의 클로징 수단이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절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로징 수단 시트(200)에서 인접하는 클로징 수단(2) 사이에 컷팅부(201)가 형성되고, 이 컷팅부가 베이스부 (203)의 표면을 따라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03)에 천공구멍 (perforation,202) 또는 이에 상응하는 것이 클로징 수단 시트(200) 내의 기본적으로 인접 클로징 수단(2)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천공구멍을 따라 베이스부를 갖춘 클로징 수단(2)이 시트(2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03)에 컷팅부 (204) 또는 이에 상응한 것이 형성되어, 클로징 수단의 고정시 접착면의 전면 (front surface)으로부터 베이스부(203)의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방법.
  15. 폐기물 운반에 사용되는 봉지, 캐리어 백, 자루, 또는, 이에 상응한 것의 봉함 또는 봉함의 확인을 위한 클로징 수단으로서, RFID 식별자(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클로징 수단.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수단(2)는, 패턴, 색상, 코드, 마킹 또는 이에 상응하는 것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시 식별자(21,22,23)을 포함하여, 클로징 수단(2)이 봉하기에 적합한 봉지, 캐리어 백, 자루, 또는, 이에 상응한 것에 담긴 폐기 물질 또는 재활용 물질의 타입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징 수단.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수단(2)은, 마킹, 코드, 또는 이에 상응한 것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시 식별자(24,25)를 포함하여, 가정을 비롯한 유저 단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징 수단.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수단(2)은 접착면(205)을 포함하여, 이로써 상기 클로징 수단이 대향면(countersurface), 더 자세하게는 캐리어 백, 봉지, 자루, 또는 이에 상응한 것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징 수단.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수단(2)은 일측면에 접착면을 갖는 테입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징 수단.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수단(2)들은 복수의 클로징 수단을 포함되는 시트(200) 또는 직포, 또는 롤에 배열되고, 시트 또는 직포로부터 클로징 수단(2)이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절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징 수단.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수단(2)은 베이스부(203)를 포함하여, 접착면(204)을 보호하고, 베이스부는 클로징 수단을 고정하기 전에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징 수단.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로징 수단 시트(200)상에서 인접한 클로징 수단(2) 사이에 컷팅부(201)가 형성되고, 컷팅부가 베이스부(203)의 표면을 따라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징 수단.
  23.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로징 수단 시트(200)에서 기본적으로 인접하는 클로징 수단(2) 사이에서 베이스부(203)에 천공구멍(202) 또는 이에 상응하는 것이 형성되어, 상기 천공구멍을 따라 베이스부(203)를 갖춘 클로징 수단(2)이 시트(2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징 수단.
  24. 제15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03)에 컷팅부 (204) 또는 이에 상응하는 것이 형성되어 클로징 수단의 고정시에 접착면의 전면으로부터 베이스부(203)의 제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징 수단.
  25. 제1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로징 수단은 지역 폐기물 관리회사 또는 지방자체단체를 비롯한 단체의 네임 또는 다른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징 수단.
KR1020117026282A 2009-04-03 2010-03-16 폐기물 처리방법 및 처리수단 KR201200050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95369 2009-04-03
FI20095369A FI20095369A0 (fi) 2009-04-03 2009-04-03 Menetelmä ja väline jätteenkäsittelyssä
FI20095554A FI123620B (fi) 2009-04-03 2009-05-19 Menetelmä ja väline jätteenkäsittelyssä
FI20095554 2009-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015A true KR20120005015A (ko) 2012-01-13

Family

ID=6004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282A KR20120005015A (ko) 2009-04-03 2010-03-16 폐기물 처리방법 및 처리수단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090399B2 (ko)
EP (1) EP2414260A4 (ko)
JP (1) JP5746141B2 (ko)
KR (1) KR20120005015A (ko)
CN (2) CN105416922A (ko)
AR (1) AR076051A1 (ko)
AU (1) AU2010230128B2 (ko)
CA (1) CA2755990A1 (ko)
FI (1) FI123620B (ko)
RU (1) RU2532038C2 (ko)
WO (1) WO201011266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679A (ko) * 2016-04-27 2017-11-06 송경근 봉합테이프
KR20210058651A (ko) * 2020-09-29 2021-05-24 (주)이너보틀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20220040744A (ko) * 2020-09-24 2022-03-31 유진호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7622B2 (en) * 2009-09-09 2021-04-13 Ultra Smart Recycling Llc Smart waste device and waste tracking system
WO2013069029A1 (en) * 2011-11-08 2013-05-16 Hera S.P.A. Kit for monitoring the quantity of material introduced in a container and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kit
US20190306385A1 (en) 2014-01-31 2019-10-03 Digimarc Corporation Concerning digital marking and reading of plastic items, useful in recycling
US11962876B2 (en) 2014-01-31 2024-04-16 Digimarc Corporation Recycling methods and systems, and related plastic containers
FI126537B (fi) 2014-08-13 2017-01-31 Metrosense Oy Menetelmä, laitteisto ja järjestelmä jätteiden lajittelemiseksi
FR3032949B1 (fr) * 2015-02-19 2020-04-03 Uzer Dispositif de stockage de dechets et procede de tri correspondant
NL2014986B1 (en) * 2015-06-18 2017-01-23 Filigrade B V Waste separation method.
CN113320768B (zh) * 2016-04-27 2023-04-07 宋京根 密封带
DE102017001385A1 (de) * 2017-02-13 2018-08-16 Faun Umwelttechnik Gmbh & Co. Kg Vakuumverpackung für Abfall, Verfahren zur Identifizierung einer Abfallmenge in einer Vakuumverpackung und Transportfahrzeug zum Transportieren von Abfallmengen in Vakuumverpackungen
CN107146523A (zh) * 2017-05-25 2017-09-08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预制构件标识结构及其制作方法
AT520362A2 (de) * 2017-08-25 2019-03-15 Paul Leitner Kunststoffklammer
CN107585418A (zh) * 2017-09-15 2018-01-16 泸州广达包装制品有限公司 可反复密封的折叠型包装袋
EP3546075A1 (de) * 2018-03-28 2019-10-02 Quickmail AG Satz von markierungsanordnung, verfahren zum ordnen von objekten und satz von mit solchen markierungsanordnungen versehenen objekten
CN108861253A (zh) * 2018-08-02 2018-11-23 无锡市固废环保处置有限公司 废物填埋装置及填埋方法
US20220188777A1 (en) * 2019-03-29 2022-06-1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food package recycling apparatus and method
CN111740136A (zh) * 2020-06-30 2020-10-02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在线检测固体氧化物燃料电池系统泄漏率的方法及装置
EP3978228A1 (en) 2020-10-02 2022-04-06 RF-IT Hungary Informatikai, Kereskedelmi és Tanácsadó Kft. Waste collection bag equipped with an rfid tag,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an rfid tag into a waste collection bag
US20220218058A1 (en) * 2021-01-12 2022-07-14 Kara Pedroni Feminine hygiene products
FR3128699B1 (fr) * 2021-10-28 2023-10-27 Stratus Packaging Étiquette de contention de rouleau de sacs comportant des liens de fermeture
CN117446372B (zh) * 2023-06-28 2024-04-26 广州空天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物品发放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8851A (en) * 1976-01-16 1977-02-22 Curt G. Joa, Inc. Adhesive tape bag closure
US5251761A (en) 1989-05-10 1993-10-12 Eac Systems, Inc. Method of collecting recyclable materials
JP2697522B2 (ja) * 1992-09-08 1998-01-14 日本鋼管株式会社 ゴミ輸送設備
US5362436A (en) 1993-06-22 1994-11-08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styrene foam sheet useful for forming deep drawn articles, a process to produce those articles, and the deep drawn articles
US5438708A (en) * 1993-12-20 1995-08-08 Jacovitz; Jay S. Manual waste collection, containment, and disposal device
SE508007C2 (sv) 1994-05-20 1998-08-10 Wahlquists Verkstaeder Ab Anordning för sortering av avfallspåsar
JPH08301406A (ja) * 1995-04-28 1996-11-19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ごみ排出量測定装置付き投入口設備
JPH09244533A (ja) * 1996-03-07 1997-09-19 Printing Bureau Ministry Of Finance Japan 粘着ラベル
JPH09278103A (ja) 1996-04-05 1997-10-28 Kazue Tsukada 口密封用テ−プ付ごみ袋
CN2326543Y (zh) * 1998-05-20 1999-06-30 中铁快运有限公司 编码施封锁集装袋
PT102157A (pt) * 1998-05-21 1999-11-30 Renio Lda Selo de garantia para produtos alimentares e maquina para a sua aplicacao automatica no produto
GB9901453D0 (en) * 1999-01-23 1999-03-17 Jevons Oliver Adhesive tape
JP2001019110A (ja) * 1999-07-08 2001-01-23 Yasuo Takano ゴミ量管理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用の記録媒体
US6116668A (en) * 1999-07-12 2000-09-12 Carpol; Nicholas Animal solid waste collection
US6147662A (en) * 1999-09-10 2000-11-14 Moore North America, In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and labels
DE19928414A1 (de) * 1999-12-24 2001-07-05 Thilo Schaefer Sammelsystem zur gleichzeitigen durchgängigen Getrennterfassung von Abfällen und Altprodukten
US6478229B1 (en) * 2000-03-14 2002-11-12 Harvey Epstein Packaging tape wi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JP2001305963A (ja) * 2000-04-24 2001-11-02 Matsuzaki:Kk ラベル
JP2001328702A (ja) * 2000-05-19 2001-11-27 Masaru Sato ごみ処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DE20105939U1 (de) 2000-06-08 2001-10-11 Mitsystem Gmbh Fa Identifizierbarer Einwegsack
JP2002104607A (ja) * 2000-09-29 2002-04-10 Denso Corp ゴミ収集システム
JP2002123805A (ja) 2000-10-17 2002-04-26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icタグ付きラベル
US6611961B2 (en) * 2000-12-21 2003-09-02 Basil E. Demeur Reversible mit for disposal of waste debris
US7328842B2 (en) * 2001-08-14 2008-02-12 Ikan Technologies Inc. Networked waste processing apparatus
SE0103165L (sv) 2001-09-24 2002-07-02 Optibag Systems Ab Metod att sortera avfallspåsar och anordning för genomförande av metoden
JP2004018201A (ja) * 2002-06-18 2004-01-22 Toshiba Corp 排出物管理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システム
US20040066987A1 (en) * 2002-10-07 2004-04-08 O'neill George B. Garbage bag system
JP2004175556A (ja) 2002-11-29 2004-06-24 Mitsubishi Heavy Ind Ltd 廃棄物収集管理システムおよび廃棄物収集管理方法
GB2402704A (en) * 2003-06-10 2004-12-15 John Mchale Flexible fastener comprising machine-readable identification
JP4659740B2 (ja) * 2003-06-20 2011-03-30 サンフォード エルピー ラベルストックのロールの状態を判断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5164739A (ja) * 2003-11-28 2005-06-23 Sato Corp 記録媒体
WO2005118435A1 (en) 2004-06-04 2005-12-15 Envac Centralsug Ab Means and method for waste collection
US6957777B1 (en) 2004-09-21 2005-10-25 Sheng-Chang Huang Label to be attached on a plastic product formed in a mold and identifiable by a detecting device
JP2006113688A (ja) * 2004-10-12 2006-04-27 Edison:Kk 廃棄物処理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6049107A1 (ja) 2004-11-05 2006-05-1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タグテープロール、タグテープ、無線タグ回路素子カートリッジ
US20060109118A1 (en) * 2004-11-22 2006-05-25 Sdgi Holdings, Inc. Twist-tie RFID tag
US7212127B2 (en) * 2004-12-20 2007-05-01 Avery Dennison Corp. RFID tag and label
EP1855964B1 (en) 2005-03-11 2016-02-17 Envac Optibag AB Arrangement and method for sorting of waste containers
JPWO2006123417A1 (ja) * 2005-05-20 2008-12-25 篠田プラズマ株式会社 カラー表示装置
US20060273180A1 (en) * 2005-06-06 2006-12-07 Cascade Engineering, Inc. RFID label assembly
US20070008121A1 (en) * 2005-06-09 2007-01-11 Hart Matt E RFID disablement detection of tampering
JP3115807U (ja) * 2005-08-12 2005-11-17 株式会社平賀−Jv ゴミ袋の口閉じ具
CN2825530Y (zh) * 2005-09-30 2006-10-11 陈京生 双保险钢丝锁
US7224278B2 (en) * 2005-10-18 2007-05-29 Avery Dennison Corporation Label with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870042B2 (en) * 2006-05-15 2011-01-11 Casella Wast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banned waste in a municipal solid waste environment
TWM305859U (en) * 2006-05-25 2007-02-01 Sunbest Technology Co Lt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able tie
WO2008043158A1 (en) 2006-10-12 2008-04-17 Rfid N Print Pty Ltd Identity band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20090045959A1 (en) * 2007-08-16 2009-02-19 Lottabase, Llc. Beverage container authenticity and provenance devices and methods
US20080180255A1 (en) * 2007-01-25 2008-07-31 Michael James Isabell RFID tag
JP5060145B2 (ja) * 2007-03-28 2012-10-31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廃棄物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3132622U (ja) * 2007-04-05 2007-06-14 株式会社第一ポートリーファーム ネット収納茹で卵
GB2449710A (en) * 2007-06-02 2008-12-03 Nazar N Shasha RFID waste material collectio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679A (ko) * 2016-04-27 2017-11-06 송경근 봉합테이프
KR20190006578A (ko) * 2016-04-27 2019-01-18 송경근 봉합테이프
KR20220040744A (ko) * 2020-09-24 2022-03-31 유진호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
KR20210058651A (ko) * 2020-09-29 2021-05-24 (주)이너보틀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4260A4 (en) 2017-11-29
CN102378727A (zh) 2012-03-14
CN102378727B (zh) 2016-04-20
AU2010230128A2 (en) 2011-11-24
JP2012522701A (ja) 2012-09-27
CN105416922A (zh) 2016-03-23
US9090399B2 (en) 2015-07-28
FI20095554A0 (fi) 2009-05-19
EP2414260A1 (en) 2012-02-08
FI123620B (fi) 2013-08-15
AU2010230128B2 (en) 2015-11-26
JP5746141B2 (ja) 2015-07-08
AR076051A1 (es) 2011-05-11
US20120234924A1 (en) 2012-09-20
RU2011144507A (ru) 2013-05-10
CA2755990A1 (en) 2010-10-07
AU2010230128A1 (en) 2011-11-24
RU2532038C2 (ru) 2014-10-27
FI20095554A (fi) 2010-10-04
WO2010112669A1 (en) 201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5015A (ko) 폐기물 처리방법 및 처리수단
JP5746140B2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5863657B2 (ja) 廃棄物を分別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490357B1 (ko) 쓰레기 분류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EP1855964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sorting of waste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