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652A - 용접기의 이퀄라이즈 장치 - Google Patents

용접기의 이퀄라이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652A
KR20110139652A KR1020110059189A KR20110059189A KR20110139652A KR 20110139652 A KR20110139652 A KR 20110139652A KR 1020110059189 A KR1020110059189 A KR 1020110059189A KR 20110059189 A KR20110059189 A KR 20110059189A KR 20110139652 A KR20110139652 A KR 20110139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welding machine
movable member
main bod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4587B1 (ko
Inventor
요시오 사토
아리노부 모리
신이치 구리하라
겐지 하야후지
츠네아키 스도
Original Assignee
오바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바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바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4Spot welding guns, e.g. mounted on robots
    • B23K11/315Spot welding guns, e.g. mounted on robots with one electrode moving on a line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7Equalizing; Balancing devices for electrode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1Eccen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1Eccentric
    • Y10T74/2111Plural,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including ball[s]]

Abstract

본 발명은 스폿 용접을 행하는 용접기의 이퀄라이즈 장치를 개선하여 컴팩트하고, 신속하게 동작하는 용접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로봇팔 또는 정치대에 접속되어 기둥체를 이루는 고정 부재(21)와, 고정 부재(21)를 내부에 수용하는 가동 부재(31)를 접속하는 이퀄라이즈 장치(90)로서, 고정 부재(21)의 하면과 가압축(51)은 근접하여 위치하고, 고정 부재(21)와 가동 부재(31)는 가압축(51)과 평행한 방향으로만 상호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부재(21)의 측면과 가동 부재(31)의 측면 사이에는 구속 수단이 설치되며, 가압축(51)은 고정 부재(21)에 대향하는 쪽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되는 절결부(52)를 구비하고, 고정 부재(21)의 앞부분에는, 고정 부재(21)에 피봇 지지되고, 일단이 가동 부재(31)의 앞면(35)에 접촉하며 타단이 가압축(51)에 접촉하는 종동 레버(40)를 구비하고, 고정 부재(21)의 뒷부분과 가동 부재(31)의 뒷면(36) 사이에는 상호 이격되도록 작용하는 스프링(48)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용접기의 이퀄라이즈 장치{EQUALIZING MECHANISM OF WE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폿 용접을 행하는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워크 부재를 따라 움직이는 용접기의 이퀄라이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항 용접은, 중첩시킨 워크 부재 사이에 전극을 두고 전극에 전류 및 가압력을 집중시켜 국부적으로 가열하며, 동시에 전극으로 가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용접기는 로봇팔에 접속되고, 또는 정(定)위치에 용접기를 정치시켜 로봇의 티칭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서 용접할 수 있다.
워크 부재와 전극과의 위치 관계가 정확한 경우에는, 워크 부재의 양측에는 균등한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전극은 소모되는 것이므로, 워크 부재와 전극과의 위치 관계를 항상 일정하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리고, 로봇의 티칭 정밀도가 나쁜 경우, 워크 부재의 프레스 정밀도가 나쁜 경우 등에서는, 이 위치 관계가 부정확해지고, 용접기의 가압 동작에 의해 워크 부재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워크 부재와 전극과의 위치 관계에 다소의 오차가 생기는 경우에도, 그 오차를 흡수하는 이퀄라이즈 장치를 포함하는 용접기가 필요하게 된다. 즉, 이퀄라이즈 장치는, 워크 부재와 전극과의 위치 관계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흡수하는 장치이다.
특허문헌 1에서는, 종래의 용접기 및 이퀄라이즈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용접기(110)는 로봇팔에 접속되는 고정 브래킷(120)과, 이퀄라이즈되는 용접기 본체(130)를 갖는다. 용접기 본체(130)는, 아암(132)의 한쪽 측에 가압축(151)이 설치되고, 가압축(151)의 선단에는 한쪽 전극(181)이 설치된다. 아암(132)의 다른쪽 측에는 다른쪽 전극(182)이 설치된다.
가압축(151)은 모터(159)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고, 그 축선 상에 전극(182)이 위치한다. 따라서, 양쪽 전극(181, 182)은 대략 일직선 상에서 상호 근접·이격하도록 되어 있다.
고정 브래킷(120)과 용접기 본체(130)와의 접속 부분에는 이퀄라이즈 장치(190)가 설치된다. 이 이퀄라이즈 장치(190)는 모터(199)의 구동에 의해 용접기 본체(130)가 고정 브래킷(120)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하는 방향은 가압축(151)과 평행한 방향이다. 2개의 모터(159, 199)는 인코더가 부설된 서보 모터이고, 인코더에 의한 위치 정보나 모터(159, 199)의 토크 및 전류 정보를 이용하여 전극(181, 182)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용접기(110)는 2개의 모터(159, 199)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가 커져서 컴팩트한 용접기를 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로봇팔의 제어와 함께 2개의 모터(159, 199)의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제어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설정 등에 다대한 수고를 필요로 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90020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폿 용접을 행하는 용접기에 있어서, 이퀄라이즈 장치를 개선함으로써, 전체 구조가 컴팩트한 용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작업을 시작하기 전의 설정이 간단한 용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신속한 동작에 의해, 작업 시간의 단축이 가능한 용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이퀄라이즈 장치는, 로봇팔 또는 정치대(定置臺)에 접속되는 고정 브래킷과, 용접기 본체를 갖는 용접기에서, 상기 고정 브래킷과 상기 용접기 본체를 접속하는 이퀄라이즈 장치로서, 상기 용접기 본체는 한쪽 전극을 이동시키는 가압축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브래킷에는 기둥체를 이루는 고정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용접기 본체에는 상기 고정 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가동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하면과 상기 가압축은 근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가압축과 평행한 방향으로만 상호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의 측면과 상기 가동 부재의 측면 사이에는 구속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가압축은 상기 고정 부재에 대향하는 쪽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되는 절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부재의 앞부분에는, 이 고정 부재에 피봇 지지되고, 일단이 상기 가동 부재의 앞면에 접촉하며 타단이 상기 가압축에 접촉하는 종동(從動)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의 뒷부분과 상기 가동 부재의 뒷면 사이에는, 상호 이격되도록 작용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이퀄라이즈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이퀄라이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속 수단이 한쪽 면에 마련된 홈부와 다른쪽 면에 마련된 돌출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게 하여 형성되는 수단을 채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이퀄라이즈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이퀄라이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동 레버가 단부에 롤러를 구비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용접기는 이퀄라이즈 장치에 상기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전체가 컴팩트하게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퀄라이즈 장치는 기계식이기 때문에, 신속한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접기는 제어 대상이 가압축의 단순한 움직임으로 한정된다. 이 결과, 작업을 시작하기 전의 설정이 단순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퀄라이즈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a)는 평면도, (c)는 (a)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b)는 (c)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퀄라이즈 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도 1의 (c)의 C-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b)는 (a)의 D-D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c)는 도 1의 (a)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퀄라이즈 장치의 움직임을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고정 브래킷측에 대하여 용접기 본체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용접기 본체가 가장 많이 후퇴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용접기의 이퀄라이즈 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한 개략도로서, (a)는 고정 브래킷에 대하여 용접기 본체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고정 브래킷측에 대하여 용접기 본체가 가장 많이 후퇴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용접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용접기의 용접기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E-E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F-F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용접기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퀄라이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 1에 그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의 (a)는 평면도, (c)는 (a)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b)는 (c)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퀄라이즈 장치(90)는, 용접기의 구성 요소로서, 로봇팔 또는 정치대에 접속되는 고정 브래킷(20)과, 용접기 본체(30)를 접속하는 것이다. 이퀄라이즈 장치(90)의 고정 브래킷(20)측은 기둥체의 고정 부재(21)를 구비한다. 여기서는 대략 육면체(사각기둥)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퀄라이즈 장치(90)의 용접기 본체(30)는 고정 부재(21)를 내부에 수용하는 가동 부재(31)를 구비한다. 또한, 용접기 본체(30)는 한쪽 전극을 이동시키는 가압축(51)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이퀄라이즈 장치(90)는 그 구조에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고정 부재(21)는 그 하면(22) 및 양 측면(23, 24)이 가압축(51)과 평행해지도록 배치되고, 하면(22)이 가압축(51)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고정 부재(21)와 가동 부재(31)는 가압축(51)과 평행한 방향으로만 상호 이동 가능하고, 이 때문에, 고정 부재(21)의 양 측면(23, 24)과 가동 부재(31)의 양 측면(33, 34) 사이에 구속 수단(70)이 설치된다.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속 수단(70)은 한쪽 면에 마련된 홈부(29)와 다른쪽 면에 마련된 돌출부(39)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게 하여 형성된다. 구속 수단(70)으로서는, 이 밖에, 슬라이딩하는 양 측면에 홈부를 마련해서 양 홈 사이에 막대 형상의 부재를 삽입하여 구속 수단으로 할 수 있다. 혹은, 슬라이딩하는 양 측면에 홈부를 마련해서 양 홈 사이에 복수의 강철구를 삽입하여 구속 수단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퀄라이즈 장치(90)는 상기한 구조에 의해, 가압축(51)이 고정 브래킷(20)에 근접하여 전체가 컴팩트하게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대략 육면체를 이루는 고정 부재(21)의 양 측면(23, 24)에 구속 수단(70)을 설치함으로써, 간단하고, 강도 면에서 우수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가 장치의 내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쉽게 더러워지지 않고, 쉽게 손상되지 않는 구조로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고정 부재(21)를 대략 육면체(사각기둥)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그 밖의 기둥체(오각기둥이나 육각기둥 등의 각기둥, 원기둥 등)로 하여도 좋다.
도 2는 도 1의 이퀄라이즈 장치(90)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도 1의 (c)의 C-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b)는 (a)의 D-D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c)는 도 1의 (a)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가압축(51)은 고정 부재(21)에 대향하는 쪽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되는 절결부(52)를 구비한다. 또한, 고정 부재(21)의 앞부분은 축(4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종동 레버(40)를 구비한다. 즉, 종동 레버(40)는 고정 부재(21)에 피봇 지지되고, 한쪽 단부(42)가 가동 부재(31)의 앞면(35)에 접촉하며, 다른쪽 단부(43)가 가압축(51)에 접촉한다. 또한, 고정 부재(21)의 뒷부분과 가동 부재(31)의 뒷면(36) 사이에는, 상호 이격되도록 작용하는 스프링(48)이 설치된다.
도 2에 있어서, 고정 부재(21)의 앞면(25)과 가동 부재(31)의 앞면(35) 사이의 간극을 x로 하고, 고정 부재(21)의 뒷면(26)과 가동 부재(31)의 뒷면(36) 사이의 간극을 y로 한다. 고정 부재(21)와 가동 부재(31)는 스프링(48)에 의한 힘을 받는다. 가동 부재(31)에 대하여 좌측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면, 스프링(48)이 압축되어 가동 부재(31)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가능한 최대의 길이가 y가 된다.
반대로, 가동 부재(31)에 대하여 우측 방향을 향하는 외력이 작용했을 경우에는, 가동 부재(31)는 이동할 수 없다. 고정 부재(21)와 가동 부재(31) 사이에 종동 레버(40)가 존재하며, 종동 레버(40)는 가동 부재(31)의 앞면(35) 및 가압축(51)에 접촉하여 회동할 수 없는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즉, 종동 레버(40)는 가동 부재(31)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가압축(51)은 가동 부재(31)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한다. 도 2의 (b)에 있어서, 절결부(52)는 종동 레버(4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가압축(51)이 도면의 좌측 방향을 향해 전진하면, 절결부(52)가 종동 레버(40)에 접근한다. 가압축(51)이 더 전진하면, 종동 레버(40)가 조금 회동하여 단부(43)가 절결부(52)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이 작용을 이용하여 이퀄라이즈 장치(90) 내에서의 가동 부재(31)의 가동 영역(x)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이퀄라이즈 장치(90)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b)와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고, 고정 부재(21)의 앞면(25)과 가동 부재(31)의 앞면(35) 사이의 간극이 x인 상태이다. 도 3의 (b)는 (a)의 상태로부터 가압축(51)이 전진하여 종동 레버(40)의 단부(43)가 절결부(52)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의 상태에서 도 3의 (b)의 상태로 변화할 때, 종동 레버(40)는 회동 가능해져서 시계 방향으로 조금 회동한다. 그렇게 하면, 종동 레버(40)에 의한 이동 저지가 해제되어 가동 부재(31)는 스프링(48)의 힘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21)의 앞면(25)과 가동 부재(31)의 앞면(35) 사이의 간극(x)만큼 우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축(51)은 도면의 좌측 단부에 전극을 구비하고, 가압축(51)이 좌측 방향으로 전진하면 대향하는 전극과 접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대향하는 2개의 전극이 워크 부재를 협지하기 조금 전에 도 3의 (a)의 상태에서 도 3의 (b)의 상태로 변화하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2개의 전극이 워크 부재를 양측에서 협지할 때에, 워크 부재와 전극과의 위치 관계에서 발생하는 오차가 거리 x+y보다 작은 범위라면, 스프링(48)의 작용에 의해 그 위치 관계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흡수할 수 있고, 용접 조건에 적합한 가압력으로 스폿 용접을 할 수 있다. 또한, x와 y의 비율은 로봇 티칭의 움직임 등과의 균형에 의해 조정 가능하고, y의 범위는 0 이상으로 조정 가능하다.
도 4에,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이퀄라이즈 장치(91)를 나타낸다. 도 4의 (a)와 (b)는 도 3과 동일하다. 이퀄라이즈 장치(91)는 종동 레버(40)의 형상에 특징을 갖고 있다. 즉, 축(41)의 위치가 양 단부(42, 43)를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다. 또한, 양 단부(42, 43)는 각각 롤러(44, 45)를 구비한다. 또한, 가동 부재(31)의 앞면(35)으로부터 돌출되어 스토퍼(37)가 설치되고, 여기에 롤러(44)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종동 레버(40)의 동작이 한층 더 확실해져서 신뢰성이 높은 이퀄라이즈 장치(9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롤러(44, 45) 대신에 내마모성 재료를 양 단부(42, 43)에 고정하여도 좋다.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본 발명의 이퀄라이즈 장치(91)를 이용한 용접기(10)를 설명한다. 도 5는 용접기(10)의 측면도, 도 6은 용접기 본체(30)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E-E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F-F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 용접기(10)는 로봇팔에 접속되는 고정 브래킷(20)과, 용접기 본체(30)를 갖는다. 용접기 본체(30)는 아암(32)의 한쪽 측에, 가압축(51)이 설치되고, 가압축(51)의 선단에는 한쪽 전극(81)이 설치된다. 아암(32)의 다른쪽 측에는 다른쪽 전극(82)이 설치된다.
고정 브래킷(20)에는, 트랜스(85)가 설치되고, 여기에서부터 2개의 전극(81, 82)으로, 각각 통전 부재[본 실시예에서는 션트(87, 88)]를 통해 통전된다. 고정 브래킷(20)측과 용접기 본체(30)는 본 발명의 이퀄라이즈 장치(91)에 의해 접속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퀄라이즈 장치(91)는 용접기 본체(30)의 전방측에 설치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기 본체(30)는, 가압축(51)이 모터(59)에 의해 구동되며, 모터(59)가 나사축(53)을 회전시킴으로써, 가압축(51)이 전후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축(51)의 구동에 있어서, 모터(59) 대신에 실린더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상에 의해, 이 용접기(10)는 전체가 컴팩트하고, 기계식의 이퀄라이즈 장치(91)에 의해 신속하게 동작할 수 있다. 용접기(10)에 있어서, 워크 부재와 전극(82) 사이의 거리를 전술한 거리 x+y보다 작은 값으로 하면, 워크 부재와 전극과의 위치 관계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흡수할 수 있고, 용접 조건에 적합한 가공압으로 스폿 용접을 할 수 있다.
또한, 로봇에 접속되는 타입의 용접기 이외에도, 용접기를 정치대 등에 고정하고, 워크 부재를 로봇에 의해 용접기의 전극 사이로 이동시키는 타입의 용접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발명의 기술 사상에서 벗어나는 일없이 그 실시형태에 변형 또는 변경이 이루어지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3)

  1. 로봇팔 또는 정치대에 접속되는 고정 브래킷과, 용접기 본체를 갖는 용접기에서, 상기 고정 브래킷과 상기 용접기 본체를 접속하는 이퀄라이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 본체는 한쪽 전극을 이동시키는 가압축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브래킷에는, 기둥체를 이루는 고정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용접기 본체에는, 상기 고정 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가동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하면과 상기 가압축은 근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가압축과 평행한 방향으로만 상호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부재의 측면과 상기 가동 부재의 측면 사이에는 구속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가압축은 상기 고정 부재에 대향하는 쪽의 일부를 절결하여 형성되는 절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부재의 앞부분에는, 이 고정 부재에 피봇 지지되고, 일단이 상기 가동 부재의 앞면에 접촉하며 타단이 상기 가압축에 접촉하는 종동(從動)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의 뒷부분과 상기 가동 부재의 뒷면 사이에는, 양 부재가 상호 이격되도록 작용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퀄라이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수단은 한쪽 면에 마련된 홈부와 다른쪽 면에 마련된 돌출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게 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퀄라이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 레버는 단부에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퀄라이즈 장치.
KR1020110059189A 2010-06-23 2011-06-17 용접기의 이퀄라이즈 장치 KR101774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42723A JP5570318B2 (ja) 2010-06-23 2010-06-23 溶接機のイコライズ装置
JPJP-P-2010-142723 2010-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652A true KR20110139652A (ko) 2011-12-29
KR101774587B1 KR101774587B1 (ko) 2017-09-04

Family

ID=4472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189A KR101774587B1 (ko) 2010-06-23 2011-06-17 용접기의 이퀄라이즈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03035B2 (ko)
EP (1) EP2399702A1 (ko)
JP (1) JP5570318B2 (ko)
KR (1) KR101774587B1 (ko)
CN (1) CN1022945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4860B2 (en) * 2012-03-29 2015-09-29 Fanuc Robotics America Corporation Robotic weld gun orientation normalization
ES2550218B2 (es) * 2015-05-19 2016-12-22 Seat, S.A.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compensación automática para pinza de soldadura
CN105728890A (zh) * 2016-05-08 2016-07-06 无锡奥特维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载流片焊接机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48397A (en) * 1925-01-16 1925-08-04 Albertis C Taylor Electric welding machine
US1866382A (en) * 1926-12-24 1932-07-05 Truscon Steel Co Electrode mounting for welding machines
US2253702A (en) * 1940-06-08 1941-08-26 Preston M Hall Welding machine
US2511050A (en) * 1947-03-24 1950-06-13 Ulysses S Dunn Dual welder
US2693555A (en) * 1951-04-04 1954-11-02 Hughes Aircraft Co Method and apparatus for welding germanium diodes
US2796512A (en) * 1955-11-29 1957-06-18 Western Electric Co Assembly fixture
US3102947A (en) * 1960-12-29 1963-09-03 Air Reduction Arc welding apparatus
US3275790A (en) * 1963-08-14 1966-09-27 Texas Instruments Inc Welding apparatus
BE756757A (fr) * 1969-10-06 1971-03-01 Evg Entwicklung Verwert Ges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fabrication d'elements de construction enacier formes de deux barres longitudinales paralleleset d'entretoises echelonnees soudees a ces barres
US3602245A (en) * 1970-02-26 1971-08-31 Abex Corp Universal detent positioner
US4028960A (en) * 1975-06-23 1977-06-14 The J. B. Foote Foundry Co. Transmission shift mechanism
AT379973B (de) * 1984-01-13 1986-03-25 Evg Entwicklung Verwert Ges Nach der elektrischen widerstandsmethode arbeitende gitterschweissmaschine
DE3416403A1 (de) * 1984-05-03 1985-11-07 Braun Ag, 6000 Frankfurt Elektrische kaffeemaschine mit tropfschutzventil am filterboden
FR2587930B1 (fr) * 1985-05-30 1989-11-10 Steelweld France Dispositif de reception et de stockage d'outils dans des lignes de montage
DE3703686C1 (de) * 1987-02-06 1988-05-05 Horst Thode Schweissvorrichtung
US5010228A (en) * 1987-12-28 1991-04-23 Obara Corporation Tool changer for welding robot
JPH0753816Y2 (ja) * 1991-01-24 1995-12-13 小原株式会社 ロボット用c型ガン保持装置
JP2523549Y2 (ja) * 1991-08-26 1997-01-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溶接ガン装置
JP2509293Y2 (ja) * 1991-11-01 1996-08-28 小原株式会社 イコライザを備えたロボットガン装置
JPH0584474U (ja) * 1992-04-17 1993-11-1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スポット溶接機のエコライジング装置
JP3307741B2 (ja) * 1993-10-20 2002-07-24 小原株式会社 ロボット溶接ガンユニット
US5537892A (en) * 1994-01-31 1996-07-23 Caterpillar Inc. Control lever assembly and mounting apparatus
JPH0947881A (ja) * 1995-08-03 1997-02-18 Obara Kk C型溶接ガンの制御装置
JP2943731B2 (ja) * 1996-10-28 1999-08-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溶接装置
JPH1110349A (ja) 1997-06-23 1999-01-19 Obara Kk 溶接ガンのエコライズ機構のロック装置
US6050153A (en) * 1997-09-03 2000-04-18 Narishige Co., Ltd. Hydraulically-operated micromanipulator apparatus
JP2001025877A (ja) * 1999-07-09 2001-01-30 Dengensha Mfg Co Ltd スポット溶接用ロボットガン
US6512194B1 (en) * 1999-11-19 2003-01-28 Dct, Inc. Multi-arm weld gun
US6653590B1 (en) * 2000-09-07 2003-11-25 Yoshitaka Aoyama Projection bolt welding device
JP4493862B2 (ja) 2001-01-23 2010-06-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抵抗溶接装置および抵抗溶接方法
JP2004090020A (ja) * 2002-08-30 2004-03-25 Obara Corp イコライズ機構付サ―ボモ―タ駆動スポット溶接ガンの制御方法
FR2903034B1 (fr) * 2006-07-03 2009-04-10 Aro Soc Par Actions Simplifiee Pince a enserrer des toles, utilisee en association avec un bras manipulateur, et a module d'equilibrage electromecanique
CN100418690C (zh) 2006-09-08 2008-09-17 张凤林 电焊钳
JP2010142847A (ja) * 2008-12-19 2010-07-01 Obara Corp エコライズ装置を備えたc型溶接ガ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06031A (ja) 2012-01-12
CN102294540B (zh) 2016-01-27
US8803035B2 (en) 2014-08-12
CN102294540A (zh) 2011-12-28
EP2399702A1 (en) 2011-12-28
US20120043308A1 (en) 2012-02-23
KR101774587B1 (ko) 2017-09-04
JP5570318B2 (ja)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23324U (zh) 激光拼焊用随动夹具
JP4962070B2 (ja) 工具交換装置
US9108265B2 (en) Spot welding apparatus
KR20110139652A (ko) 용접기의 이퀄라이즈 장치
JP4962071B2 (ja) 工具交換装置
KR20180068563A (ko) 용접용 지그장치
JP5873673B2 (ja) スポット溶接装置
JP4520534B2 (ja) 電動ハンド
KR101454344B1 (ko) 캐리지장치
CN114147342A (zh) 一种夹持机构及其夹持对中方法
WO2013024498A1 (en) Precision vice
JP5813466B2 (ja) スポット溶接装置
JP5411080B2 (ja) 条材隅肉溶接用倣いセンサー
JP5969747B2 (ja) スポット溶接装置
JP6086990B2 (ja) 溶接ガン
JPH1177473A (ja) 送り装置
JP2015049211A (ja) つかみ具および材料試験機
CN220498566U (zh) 液压推动式分度器
JP5986388B2 (ja) スポット溶接装置
JPH09295158A (ja) スポット溶接ガン
JP2016223843A (ja) ステアリングサブアセンブリ用試験装置
JP2022159792A (ja) 移動位置決め装置
JPS5814067Y2 (ja) 倣いシフト装置
CN114012333A (zh) 一种90°三维立体焊接台
JP2023122372A (ja) 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