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999A - 고체 폐기물을 밀어내고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체 폐기물을 밀어내고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999A
KR20110115999A KR1020117012871A KR20117012871A KR20110115999A KR 20110115999 A KR20110115999 A KR 20110115999A KR 1020117012871 A KR1020117012871 A KR 1020117012871A KR 20117012871 A KR20117012871 A KR 20117012871A KR 20110115999 A KR20110115999 A KR 20110115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solid waste
waste
collection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트남 스리 스칸다 라자 에스.
Original Assignee
프리미엄 페이턴트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689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11599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미엄 페이턴트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프리미엄 페이턴트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ublication of KR2011011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9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from arrangements in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9/00Transferring of refuse between vehicles or containers with intermediate storage or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4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 B65G25/08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having impellers, e.g.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1Hydraulic transport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6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bunkers or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10Arrangements in buildings for the disposal of refu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10Arrangements in buildings for the disposal of refuse
    • E04F17/12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2001/008Mean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the receptacle in which refuse should be plac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 또는 실외의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으로부터 폐기물 이송 도관(14)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으로 밀어내고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사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 방향으로 고체 폐기물(20)을 밀어내고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를 발생시킴으로써 구동된다. 압력차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으로 고체 폐기물(20)을 이동시키고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이동시키는, 폐기물 이송 도관(14) 내의 체계적인 방향 공기 이동을 생성시킨다. 압력차는, 적어도 하나의 고압 공기 도관(32) 및 적어도 하나의 저압 공기 도관(34)에 연결된 밸브(30)의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전달되거나, 또는 각각 폐기물 이송 도관으로 또는 폐기물 이송 도관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한다. 적어도 하나의 고압 공기 도관(32) 및 적어도 하나의 저압 공기 도관(34) 모두는 공기 취급 장치에 연결된다.

Description

고체 폐기물을 밀어내고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AND MOVING SOLID WAST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수거 스테이션으로 고체 폐기물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공압 고체 폐기물 수거 시스템(Pneumatic Solid Waste Collection Systems)(PSWCS)은 실내 중력 슈트(shute) 또는 실외 투척 스테이션에 의해 공급되는 다수의 중간 보유 영역(intermediate holding areas)(IHA)으로부터 쓰레기 수거 스테이션(Refuse Collection Station)(RCS)으로 불리는 중앙 수거 지점으로 표면 네트워크 및 지하 파이프와 공기 밸브에 의해 공기 이동으로 고체 폐기물을 운반한다. 플러그(plug)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고체 폐기물은 성기거나 분산된 상태로 고체 폐기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공기 흐름에 의해 분쇄되어 고체 폐기물이 잘게 분산된 부분으로 이동하게 한다.
쓰레기 수거 스테이션(RCS) 자체는, 쓰레기 분류기, 압축기, 컨테이너, 진공 장치, 압축 공기 시스템, 여과 시스템, 악취 제거 시스템, 밸브, 파이프, 제어 시스템 및 전기 전원 공급 계기판의 다수의 구성을 조합하는 독립적인 설비이다.
큰 개발지에서 각각의 개발지 부분을 커버하는 다수의 독립적인 쓰레기 수거 스테이션(RCS)이 있다. 시스템의 제한은, 약 2.5킬로미터인, 가장 먼 중간 보유 영역(IHA)과 쓰레기 수거 스테이션(RCS) 사이의 고체 폐기물의 최대 운반거리이고, 그 거리를 지나면, 시스템은 에너지 효율에 관해서 극도로 비효율적이 된다.
공압 고체 폐기물 수거 시스템(PSWCS)의 개념은 대부분 건물 소유자 및 관리자 등에 의해 기꺼이 받아들여지지만, 높은 투자 비용, 개발지 내의 공간 부족, 및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설비와 같은 전문적인 장비의 수리가 최대 장애물로 남아 있다.
공간 및 선불 자금 지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채택된 현재의 방법은, 하나 이상의 도킹(dockiing) 스테이션에서 마감하는 고정된 고체 폐기물 수거 도관에 연결된 수거 슈트의 베이스에서 다수의 임시 저장 구획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고, 이동식 진공 트럭이 고체 폐기물을 임시 저장 구획부로부터 흡입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호스를 도킹 스테이션에 부착한다. 이러한 개발지에의 자금 지출은 영구적인 기계실의 부재로 줄어들지만, 진공 트럭 서비스는 빈번해야 하고, 비싸고, 수거 모드 동안에 매우 시끄럽고, 진공 트럭의 주요한 자금 지출 때문에 서비스 공급자가 매우 제한된다. 추가 문제점은 진공 설비가 진공 트럭 상에 장착되고 이것은 진공 트럭을 매우 무겁게 만든다는 것이다. 게다가, 진공 트럭의 대단한 무게는 연료 소비에 관해서 극도로 낭비되게 하고 유지 비용을 매우 높게 한다. 요컨대 개발자에의 자금 지출은 줄어들지만 개발지에 대한 작동 수명 주기 비용이 매우 높고 제한된 공급자 소스에 의존한다.
전형적으로 설계된 공압 고체 폐기물 수거 시스템(PSWCS)은, 고체 폐기물 운반 거리가 매우 긴 예외적인 경우에는 600mm 직경까지 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400mm 내지 500mm의 직경으로 다양한 파이프를 사용한다. 전형적인 설계의 일반적인 원칙은 전체 공압 고체 폐기물 수거 시스템(PSWCS)에 대한 하나의 직경 크기의 폐기물 운반 도관을 가지는 것이다. 고체 폐기물의 운반을 위한 600mm 직경의 파이프를 사용하는 문제점은, 거대한 공기 이동량을 발생시키기 위해 대기압 이하의 압력이, 폐기물을 운반하기 위해 요구되는 파이프의 최소 공기 속도를 유지하기 위한 진공 장비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 필요로 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대기압 이하의 압력을 발생시키고 공기 이동을 생성시키기 위한 매우 고가의 높은 출력의 진공 장비를 사용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공압 고체 폐기물 수거 시스템(PSWCS)에 관한 높은 작동 비용을 야기한다.
불균형의 높은 초기 투자 비용을 간접적으로 야기하는 전형적인 설계의 다른 단점은 운반 사이클 사이의 시스템의 대기이다. 전형적으로 더 작은 개발지에서 진공 장비의 작동 시간은 단지 하루에 90분에 지나지 않는다.
고속으로 매우 긴 거리를 거쳐 고체 폐기물의 많은 양을 운반하는, 전형적으로 설계된 시스템이 가지는 다른 문제점은 파이프의 마모의 문제이다. 이러한 마모 때문에, 강 파이프가 가장 적합한 재료로 자주 선택되어 왔다. 이러한 재료의 불리한 점은, 고체 폐기물이 종종 젖은 상태로 금속을 공격하는 침출수(leachate)로 불리는 심한 산성 액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부식된다는 것이다. 파이프의 내부면 및 외부면 양쪽 상의 부식성 공격은, 비용이 들고 정기적인 검사 및 유지를 필요로 하는 음극 방식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파이프가 길수록 커버되는 영역이 더 넓고, 고체 폐기물 하중이 더 클수록 마모가 더 크고, 파이프가 더 두꺼울수록 더 많은 자금 비용이 유발되어야 한다.
전통적인 공압 고체 폐기물 수거 시스템(PSWCS)이 가진 문제점은 하나 또는 두 개의 건물로 제한되는 작은 개발지는 높은 초기 자금 비용과 쓰레기 수거 스테이션(RCS)용 넓은 공간 요구사항 때문에 시스템에 투자하는 것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관심사를 다루고, 이러한 유용한 시스템이 큰 개발지 및 지역 내로 더 많은 침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구조적으로 또는 현재의 그러나 업그레이드된 공정으로 하부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 내로 고체 폐기물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보유 영역으로부터 폐기물 이송 도관으로 고체 폐기물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이동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폐기물 이송 도관에서의 고체 폐기물을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으로 밀어내고 이동시키는 단계 및 이동 수단의 최초 위치로 복귀되도록 이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 내로 고체 폐기물을 공압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은 폐기물 이송 도관에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은, 폐기물 이송 도관 내에 배치되고, 각각의 보유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으로 배출되는 고체 폐기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보유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수거 스테이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수거 도관 내로 고체 폐기물을 공압 운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두 가지 형태의 고체 폐기물은 적어도 두 개의 보유 영역에서 수거되고, 상기 방법은, 각각의 보유 영역으로부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 이송 도관으로 배출되는, 적어도 두 개의 보유 영역에서의 적어도 두 가지 형태의 고체 폐기물 중 하나를 배출하는 배출 단계, 적어도 두 개의 수거 스테이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수거 도관 방향으로 두 가지 형태의 고체 폐기물을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동 수단의 이동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출발 위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의 이동을 생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반대 압력차 발생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발생 지점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 내로 고체 폐기물을 공압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발생 지점은 폐기물 이송 도관에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은, 각각의 폐기물 발생 지점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으로 배출되는 고체 폐기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폐기물 이송 도관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고체 폐기물 이송 시스템의 초기 투자비용을 감소시키고, 낮은 전력 장비를 사용하고, 폐기물 이송 도관의 가변 직경, 부식 저항 도관을 사용 가능하고, 기계실 공간 필요사항을 최소화하고, 주변으로 배출되는 이송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고,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전기 비용을 감소시키고, 이송 모드 동안에 장비 및 이송 도관 모두에서의 소음을 감소시키고, 분리된 재료 이송을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처리 공정 동안에 플라스틱 백의 사용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고, 재료가 최대 거리의 현재 제한사항 없이 도관에서 이송되도록 하고, 컨테이너 내로 수거 전에 폐기물의 액체 내용물을 감소시키고, 이송 스테이션, 폐기물 분리, 또는 폐기물 에너지화 장치로 더욱 용이한 방향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신축 도관을 가지는 이동식 시스템이 고체 폐기물을 수거하는데 사용되고, 따라서 현재의 시스템과 비교할 때 단점을 감소시키는 반면에 전체 효율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여기서 주어진 이하 상세한 설명과 설명만을 목적으로 하고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더욱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e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을 사용하여 하나의 보유 영역으로부터 수거 스테이션으로 고체 폐기물을 운반하는 시스템의 도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2c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을 사용하여 고층 건물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 스테이션 및 적어도 하나의 실외 스테이션의 조합으로부터 수거 스테이션으로 고체 폐기물을 운반하는 시스템의 도식도이다.
도 3 내지 도 3d는, 고체 폐기물을 운반하는 고정부 및 보유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 장착 차량으로 고체 폐기물을 운반하는 이동부의 도식도이다.
도 4는 고체 폐기물 수거용의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용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 5는 고체 폐기물 발생 포인트 내로 연장된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 6은 고체 폐기물 발생 포인트 내로 연장된 네트워크의 개략도로서, 고체 폐기물 발생 포인트는 폐기물 운반 도관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도 7은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 또는 고체 폐기물 발생 포인트에 연결된 수세식 클로셋(closet)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보유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고체 폐기물의 적어도 두 가지 형태가 각각의 이동 수단으로 각각의 운반 도관을 따라 동시에 이동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9는 고체 폐기물이 분리되고 폐기물 운반 도관을 통하여 수거 스테이션으로 개별적으로 운반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 하부에 위치된 다수의 챔버를 포함하는 회전하는 캐러셀(carousel)의 도식도이다.
도 10은 고체 폐기물이 분리되고 폐기물 운반 도관을 통하여 수거 스테이션으로 개별적으로 운반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 상부에 위치된 다수의 챔버를 포함하는 회전하는 캐러셀의 도식도이다.
본 발명은, 폐기물 운반 도관(14)을 통해서 고체 폐기물을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으로 고체 폐기물을 운반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폐기물 셔틀 이송 시스템(Automated Waste Shuttle Transport System)(AWSTS)으로도 알려져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은 건물 내에 위치된 실내 스테이션뿐만 아니라, 주차장과 레크레이션 구역과 같은 영역에서 건물의 외부에 위치된 실외 스테이션 중에서 선택된다. 고체 폐기물은 재생 가능 및 재생 불가능한 고체 폐기물 중에서 선택된다.
도 1 내지 1e 및 도 2 내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예가 기술된다. 자동 폐기물 셔틀 이송 시스템(AWSTS)의 방법은 각각의 보유 영역(10)으로부터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 주기적이고 체계적으로 고체 폐기물(20)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각각의 보유 영역은 고체 폐기물(20)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한다. 고체 폐기물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은 배출 밸브 같은 것이다. 폐기물 이송 도관(14)은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으로 고체 폐기물(20)을 밀어내어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이 폐기물 이송 도관(14)을 통하여 고체 폐기물(20)을 밀어내기 전에, 윤활제로서 작용하기 위하여 액체가 고체 폐기물(20) 상에 그리고 고체 폐기물(20) 주변에 분사된다. 액체는 물, 오일 등과 같은 윤활제 중에서 선택된다. 고체 폐기물(20)의 배출은 각 보유 영역(10)과 폐기물 이송 도관(14) 사이의 압력차를 발생시킴으로써 개시되어, 폐기물 이송 도관(14) 내로 고체 폐기물(20)을 배출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과 폐기물 이송 도관(14) 사이의 압력차의 발생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것이다. 압력차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그러나 항상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에서 더 높은 공기압을 가지고, 폐기물 이송 도관(14)에서 더 낮은 공기압을 가짐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과 폐기물 이송 도관(14) 가로지르는 압력차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공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에 공급되어야 하고, 그리고/또는 폐기물 이송 도관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압력차는 다음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a) 적어도 하나의 고압 공기 도관(32)에서의 정압(positive pressure)(대기압과 비교하여)에 의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저압 도관(34)에서의 대기압 또는 대기압 이하의 압력에 의해 공급되는 고압 공기 도관(32);
b) 적어도 하나의 고압 공기 도관(32)에서의 대기압에 의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저압 도관(34)에서의 대기압 이하의 압력에 의해 공급되는 고압 공기 도관(32).
적어도 하나의 고압 공기 도관(32) 및 적어도 하나의 저압 공기 도관(34)의 일단부는 공기 취급 장치(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압 공기 도관(32) 및 적어도 하나의 저압 공기 도관(34)의 타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도관(68)에 의해 폐기물 이송 도관(14)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밸브(30)에 링크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도관(68)은 전술한 다음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되었던 공기를 각각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어,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과 폐기물 이송 도관(14)을 가로질러 요구되는 압력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단 압력차가 생성되면, 고체 폐기물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12)이 개방되고 고체 폐기물이 폐기물 이송 도관(14) 내로 밀어내진다.
폐기물 이송 도관(14)이 대기압 이하의 압력을 가지도록 요구되는 곳에는, 폐기물 이송 도관(14)에서의 압력 상태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24)가 폐기물 이송 도관(14)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과 폐기물 이송 도관(14) 사이에서 일단 압력차가 생성되면, 고체 폐기물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12)은 개방되고, 고체 폐기물은 폐기물 이송 도관(14) 내로 밀어내진다.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24)는 폐기물 이송 도관(14)을 적어도 하나의 운반 구역(16) 내로 격리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각각의 운반 구역(16)이,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 방향으로 고체 폐기물(20)을 이동시키고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가압하기 위하여 운반 구역(16) 내에서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24)는 다른 운반 구역(16)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운반 구역(16) 내의 압력차를 제어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를 생성시킴으로써 폐기물 이송 도관(14)에서 고체 폐기물을 밀어내고 이동하도록 가압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저압 방향으로 이동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일측 또는 양측 상의 압력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생성된다. 압력차는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가로질러 압력차를 생성시키기 위하여,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부터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 공급되고 그리고/또는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이것은,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부터 압력차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고압 공기 도관(32) 또는 저압 공기 도관(34)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밸브(30)를 개방함으로써 구현된다. 압력차는 다음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a) 적어도 하나의 고압 공기 도관(32)에서의 정압(대기압과 비교하여)에 의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저압 도관(34)에서의 대기압 또는 대기압 이하의 압력에 의해 공급되는 고압 공기 도관(32);
b) 적어도 하나의 고압 공기 도관(32)에서의 대기압에 의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저압 도관(34)에서의 대기압 이하의 압력에 의해 공급되는 고압 공기 도관(32).
적어도 하나의 고압 공기 도관(32) 및 저압 공기 도관(34) 모두의 일단부는 공기 취급 장치(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압 공기 도관(32) 및 적어도 하나의 저압 공기 도관(34)의 타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도관(68)에 의해 폐기물 이송 도관(14)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밸브(30)에 링크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도관(68)은 공기를 각각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어, 고체 폐기물을 이동시키고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이동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가로질러 요구되는 압력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24)는 개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이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 내로 고체 폐기물(20)을 밀어내도록 한다. 고체 폐기물(20)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에 의해 수거 스테이션(28) 내의 컨테이너 또는 호퍼(hopper) 내로 밀어내진다. 고체 폐기물(20)이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에 도달하기 전에, 고체 폐기물(20)은,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 배출되었을 전에 고체 폐기물 상에 그리고 고체 폐기물 주위에 뿌려졌던 윤활제를 제거하고 압축하기 위한 가압 수단으로 압축된다.
고체 폐기물(20)을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내로 전달한 후,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24)는 닫히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는 바뀌어져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이 출발 위치 방향으로 뒤로 움직이도록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저압 방향으로 이동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일측 또는 양측 상의 압력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생성된다.
고체 폐기물이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으로 전달될 때, 고체 폐기물은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으로부터 도 3 내지 3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체 폐기물 컨테이너 장착 이동식 차량(36)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거 도관(26)에서의 고체 폐기물(20)은 고체 폐기물 컨테이너 장착 이동식 차량(36)으로 이송되기 전에 도킹(docking) 스테이션(48)으로 이동된다. 고체 폐기물 컨테이너 장착 이동식 차량은 이동식 차량(36) 상에 장착되어 도킹 스테이션(48)과 이동식 차량(36)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축(retractable) 도관(38)에 의해 도킹 스테이션(48)과 연통할 수 있다. 고체 폐기물(20)을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으로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은, 도킹 스테이션(48)과 적어도 하나의 신축 도관(38)을 통하여 고체 폐기물 컨테이너 장착 이동식 차량(36) 내로 고체 폐기물을 더욱 밀어낸다. 도킹 스테이션(48)은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신축 도관(38)으로의 고체 폐기물(20)의 이동 및 압력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고체 폐기물(20)은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에서 플러그 내로 압축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과 고체 폐기물 컨테이너(36) 장착 차량 사이의 압력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동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이 고체 폐기물 컨테이너(36) 장착 차량으로의 고체 폐기물의 이동을 위해 사용될 때, 적어도 하나의 신축 도관(38)이 도킹 스테이션(48)으로부터 해제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은 수거 도관(26)으로 복귀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가로지르는 뒤바뀐 압력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으로 복귀되어,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출발 위치 방향으로 뒤로 이동하도록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의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의 저압 방향으로 이동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의 일측 또는 양측 상의 압력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생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 내로 고체 폐기물을 운반하기 위한 장치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은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의 고체 폐기물(20)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12)을 포함한다. 폐기물 이송 도관(14)은,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16)으로 배출된 고체 폐기물을 이동시키고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은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 방향으로 고체 폐기물을 이동시키는 셔틀과 같이 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은 건물 내부 및 실외 스테이션에 있다. 실외 스테이션은, 주차장과 레크레이션 구역과 같은 영역으로 건물의 외부에 위치된 폐기물 수거 스테이션이다.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은 고체 폐기물이 발생되는 지점, 즉 주방 근처에 있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고체 폐기물이 폐기물 이송 도관(14) 내로 배출되는 곳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 내로 고체 폐기물을 세척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은 수세식 클로셋(closet)(40)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은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방향으로 고체 폐기물(20)을 밀어낸다.
일단 고체 폐기물(20)이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 배출되면,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으로 고체 폐기물을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생성된다. 고체 폐기물(20)을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으로 이동시킨 후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는 발생되고 뒤바뀌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이 출발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저압 방향으로 이동을 야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일측 또는 양측 상의 압력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생성된다. 압력차는 다음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a) 적어도 하나의 고압 공기 도관(32)에서의 정압(대기압과 비교하여)에 의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저압 도관(34)에서의 대기압 또는 대기압 이하의 압력에 의해 공급되는 고압 공기 도관(32);
b) 적어도 하나의 고압 공기 도관(32)에서의 대기압에 의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저압 도관(34)에서의 대기압 이하의 압력에 의해 공급되는 고압 공기 도관(32).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일측 또는 양측 상의 압력차를 바꾸는 공기의 이동은 제어 및 모니터 시스템(50)에 의해 감독되어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매끄러운 작동 및 제어를 보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 내부에 수용되어 전자 제어 및 모니터 시스템(50)에 연결된 센서에 의해 모니터되는, 당업계에 친숙하게 알려진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또는 마그넷과 같은 장치로부터 식별된다.
적어도 하나의 고압 공기 도관(32) 및 저압 공기 도관(34) 모두의 일단부는 공기 취급 장치(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압 공기 도관(32) 및 적어도 하나의 저압 공기 도관(34)의 타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도관(68)에 의해 폐기물 이송 도관(14)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밸브(30)에 링크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도관(68)은 공기를 각각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어,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이동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가로질러 요구되는 압력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앞에서 언급된 시스템은 제어 시스템(50)에 의해 감독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폐기물 이송 도관(14)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24)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가 닫혔을 때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를 가로지르는 압력차를 발생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24)는,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으로부터 고체 폐기물(20)을 배출하도록 하거나 또는 폐기물 이송 도관(14)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에 의해 고체 폐기물(20)을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폐기물 이송 도관(14)에서 대기압 이하의 압력을 생성시킬 필요가 있을 때 요구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24)는 폐기물 이송 도관(14)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반 구역(16)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24)는 다른 운반 구역(16)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운반 구역(16) 내의 압력차를 제어하도록 한다.
앞에서 언급된 다수의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으로 고체 폐기물을 이동시키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42)으로 이동된다.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42)은 고체 폐기물을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으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포함한다. 폐기물 이송 도관(14)과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은 0.075m 내지 1.0m 크기의 도관 직경 범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은 적어도 하나의 신축 도관(38)에 의해 컨테이너(36) 장착 차량에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에서 고체 폐기물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신축 도관(38)에 의해 컨테이너(36) 장착 차량으로 고체 폐기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24)를 포함하는 도킹 스테이션(48)으로 이동되고 밀어내진다.
도 4는, 폐기물 이송 도관(14)을 통하여 고체 폐기물(20)을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내로 고체 폐기물(20)을 운반하기 위한, 전술한 다수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폐기물 이송 도관은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24)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24)는 폐기물 이송 도관(14)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반 구역(16)을 제공한다. 고체 폐기물을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고체 폐기물(20)로부터 과도한 액체를 짜내기 위해 고체 폐기물이 압축되는 고체 폐기물 압축 챔버(70)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내로 고체 폐기물(20)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은 도 1 내지 1e 및 도 2 내지 2c로 앞서 기술된 바와 같다.
도 5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발생 지점(52)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내로 고체 폐기물(20)을 운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발생 지점(52)의 개략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발생 지점(52)으로부터 폐기물 이송 도관(14) 내로 고체 폐기물(20)을 운반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1e 및 도 2 내지 2c로 기술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부터 고체 폐기물(20)은,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에 수거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42)으로 이동된다. 폐기물 이송 도관(14) 및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42)은, 개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운반 구역(16) 내의 압력 상태 및 폐기물 이송 도관(14)을 따라 고체 폐기물(20)의 이동을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42)을 따른 압력 상태 및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42)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으로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24)를 포함한다. 폐기물 이송 도관(14) 및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42)은, 고체 폐기물(20)을 이동시키고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폐기물 이송 도관(14)과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42)의 크기는, 폐기물 이송 도관(14) 및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42)에 의해 처리되는 고체 폐기물(20) 하중의 증가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체 폐기물 이동의 방향의 하류에서 증가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은 각각의 폐기물 이송 도관(14) 내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도 6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발생 지점(52)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내로 고체 폐기물(20)을 운반하기 위한 폐기물 이송 도관(14a)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발생 지점(52), 예를 들면 주방의 개략도이다.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발생 지점(52)으로부터 폐기물 이송 도관(14a) 내로 고체 폐기물(20)을 운반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1e 및 도 2 내지 2c로 기술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폐기물 이송 도관(14a)으로부터 고체 폐기물(20)은,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에 수거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54)으로 이동된다.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발생 지점(52)은 폐기물 이송 도관(14a)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발생 지점(52)은,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발생 지점(52)으로부터 폐기물 이송 도관(14a) 내로 고체 폐기물(20)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60)을 포함한다. 폐기물 이송 도관(14a)에서의 고체 폐기물(20)은 폐기물 이송 도관(14a)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에 의해 밀어내지고 이동된다. 폐기물 이송 도관(14a)은 폐기물 이송 도관(14a)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54) 내로 고체 폐기물(20)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62)을 포함한다. 폐기물 이송 도관은 폐기물 이송 도관(14a) 내의 압력차를 제어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24)를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폐기물 이송 도관(14a)은 전술된 시스템에서 언급된 다수의 폐기물 이송 도관(14)에 연결될 수 있고, 폐기물 이송 도관(14)에서의 고체 폐기물은,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에 운반되기 전에 폐기물 이송 도관(14a)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다수의 폐기물 이송 도관(14)을 포함하는 대형 고체 폐기물 운반 시스템에 적용가능할 것이다.
도 7은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발생 지점(52), 예를 들면, 주방의 개략도로서,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발생 지점(52)은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 근처에 연결되고, 폐기물 이송 도관(14)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에 운반되기 전에 고체 폐기물(20)을 세척하는 수세식 클로셋(40)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으로의 고체 폐기물(20)을 운반하는 나머지 부분은 앞에서 기술하였다.
도 8은 보유 영역(10)으로부터 분리된 고체 폐기물(20a, 20b)의 적어도 두 가지 형태가 각각의 폐기물 이송 도관(14)을 따라 동시에 이동될 수 있는 운반 고체 폐기물의 개략도이다. 각각의 폐기물 이송 도관(14)은,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 배출될 필요가 있는 고체 폐기물(20a, 20b) 형태를 제어하는, 고체 폐기물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12)을 포함한다. 각각의 폐기물 이송 도관(14)은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체 폐기물(20a, 20b)을 밀어내고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폐기물 이송 도관(14)은, 폐기물 이송 도관을 적어도 하나의 운반 구역(16)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24)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는 각각의 운반 구역(16)에서 압력 상태를 제어한다. 폐기물 이송 도관에서의 고체 폐기물(20a, 20b)은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42)으로 배출된다. 주된 운반 구역(42)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a, 28b)으로 고체 폐기물(20a, 20b)을 밀어내고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이 있을 것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a, 28b)은,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체 폐기물(20a, 20b) 형태에 따라 분류되는 분리된 폐기물 컨테이너 또는 호퍼를 포함한다.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 배출될 필요가 있는 고체 폐기물(20a, 20b)의 형태를 결정하는 제어 및 센서 시스템이 있고, 어떠한 폐기물 이송 도관(14)이 고체 폐기물(20a, 20b)의 형태를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42) 및 각각의 수거 스테이션(28a, 28b)으로 배출해야하는지를 결정하는 제어 시스템이 있다. 적어도 2개의 보유 영역에서 적어도 두 가지 형태의 고체 폐기물(20a, 20b) 중 하나는, 고체 폐기물을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42)으로 밀어내고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 배출된다. 고체 폐기물(20a, 20b)의 배출, 고체 폐기물을 이동시키고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이동, 및 출발 위치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의 뒤로 이동은 도 1 내지 1e 및 도 2 내지 2c에서 기술된다. 유사하게,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은 적어도 하나의 구역 밸브를 포함한다.
도 9는 고체 폐기물(20)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12) 상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2개의 챔버(46)를 포함하는 회전하는 캐러셀(carousel)(44)의 개략도이다. 챔버(46)는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을 통하여 아래로 던져진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고체 폐기물(20a, 20b)이 분리되어 폐기물 이송 도관(14)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으로 개별적으로 운반되도록 한다. 이 실시예는, 다양한 층의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고체 폐기물(20a, 20b)용 스위치(64)의 선택이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고체 폐기물(20a, 20b)의 처리를 위한 캐러셀(44)로 상호 잠금되는 시스템을 기술한다.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에서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고체 폐기물(20a, 20b)은 캐러셀(44) 상의 각각의 챔버(46) 내로 던져지도록 선택된다. 일단, 폐기물 이송 도관(14) 내로 운반되는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고체 폐기물(20a, 20b)의 선택이 마쳐지면, 그에 따라서, 캐러셀(4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상부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의 하부로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고체 폐기물(20a, 20b)을 이동시킨다. 그 이후,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은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고체 폐기물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12)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고체 폐기물을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되고,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고체 폐기물(20a, 20b)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에 의해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으로 이동될 것이고, 그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고체 폐기물이 캐러셀(44)의 상부 또는 하부의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고체 폐기물 이송 시스템의 초기 투자비용을 감소시키고, 낮은 전력 장비를 사용하고, 폐기물 이송 도관의 가변 직경, 부식 저항 도관을 사용 가능하고, 기계실 공간 필요사항을 최소화하고, 주변으로 배출되는 이송 공기의 질을 향상시키고,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전기 비용을 감소시키고, 이송 모드 동안에 장비 및 이송 도관 모두에서의 소음을 감소시키고, 분리된 재료 이송을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처리 공정 동안에 플라스틱 백의 사용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고, 재료가 최대 거리의 현재 제한사항 없이 도관에서 이송되도록 하고, 컨테이너 내로 수거 전에 폐기물의 액체 내용물을 감소시키고, 이송 스테이션, 폐기물 분리, 또는 폐기물 에너지화 장치로 더욱 용이한 방향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신축 도관을 가지는 이동식 시스템이 고체 폐기물을 수거하는데 사용되고, 따라서 현재의 시스템과 비교할 때 단점을 감소시키는 반면에 전체 효율을 증가시킨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사용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으로 고체 폐기물(20)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체 폐기물을 밀어내고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의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생성된다.
10 보유 영역 14 폐기물 이송 도관
20 고체 폐기물 22 이동 수단
26 수거 도관 28 수거 스테이션
36 컨테이너 38 이송 도관
40 수세식 클로셋 48 도킹 스테이션
50 제어 시스템

Claims (34)

  1.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내로 고체 폐기물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각의 상기 보유 영역(10)으로부터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 상기 고체 폐기물(20)을 배출하는 배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폐기물 운반 방법은,
    i) 이동 수단(22)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14)에서의 상기 고체 폐기물(20)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26)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스테이션(28) 내로 밀어내고 이동시키는 밀어내기 및 이동 단계; 및
    ⅱ) 상기 이동 수단(22)의 최초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이동 수단(22)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폐기물 운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체 폐기물(20)의 밀어내기 및 이동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26) 방향으로 밀어내고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 수단(22)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를 생성함으로써 발생되는, 고체 폐기물 운반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22)은, 상기 이동 수단(22)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최초 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압력차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26)으로부터 최초 위치로 상기 이동 수단(22)의 이동을 생성시키는, 고체 폐기물 운반 방법.
  4. 청구항 2 및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을 가로지르는 상기 압력차는, 상기 이동 수단의 이동을 생성시키는 제어 시스템(50)에 의해 제어되고 모니터되고,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이동 수단(22)의 이동에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고체 폐기물 운반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폐기 이송 도관(14)을 통하여 상기 고체 폐기물(20)을 밀어내기 전에, 윤활제로 작용하기 위해 액체가 상기 고체 폐기물(20) 상에 그리고 상기 고체 폐기물(20) 주위에 뿌려지는, 고체 폐기물 운반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에서의 상기 고체 폐기물(20)은, 컨테이너(36) 장착 차량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26)에 연결된 도킹(docking) 스테이션(48)으로 이송 도관(38) 장착 차량을 도입함으로써 수거되는, 고체 폐기물 운반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26)에서의 상기 고체 폐기물(20)은, 상기 이송 도관(38) 장착 차량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26)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36) 장착 차량으로 상기 고체 폐기물(20)을 밀어내는 상기 이동 수단(22)을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이동 수단(22)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이동 수단(22)에 의해 이동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일단, 상기 고체 폐기물(20)이 상기 컨테이너(36) 장착 차량 내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 수단(22)이 상기 수거 도관(26) 내로 뒤로 이동되면, 상기 이송 도관(38) 장착 차량은 해제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수세식 클로셋(closet)(40)에서 상기 고체 폐기물(20)을 세척하는 세척 단계를 포함하고, 따라서 상기 수세식 클로셋(40)은, 각각의 상기 보유 영역(10)에서 수거되기 전에 상기 고체 폐기물(20)이 발생되는 지점에서 연결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방법.
  10. 적어도 하나의 보유 영역(1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26) 내로 고체 폐기물을 공압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보유 영역(10)은 폐기물 이송 도관(14)에 연결되고,
    상기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은,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14) 내에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보유 영역(1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26)으로 배출되는 상기 고체 폐기물(2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보유 영역(10)은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 상기 고체 폐기물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12)을 포함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동 수단(22)을 이동시키고, 상기 고체 폐기물(20)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26)으로 밀어내거나, 또는 출발 위치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동 수단(22)을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밸브(30)에 의해 제어되는 공기의 흐름이, 적어도 하나의 공기 도관(32)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연결 도관(68)을 통하여 공급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14)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공기 도관(32)에 의해 공급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동 수단(22)을 이동시키고, 상기 고체 폐기물(20)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26)으로 밀어내거나, 또는 출발 위치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동 수단(22)을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밸브(30)에 의해 제어되는 공기의 흐름보다 낮은 압력인 적어도 하나의 공기 도관(34)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결 도관(68)을 통하여 공기가 제거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14)은, 구역 밸브(24)가 닫혔을 때 상기 구역 밸브(24)를 가로지르는 압력차가 유발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역 밸브(24)를 포함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역 밸브(24)는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14)에서 적어도 하나의 운반 구역(16)을 제공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체 폐기물(20)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26)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청구항 10에 기재된 복수의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42)으로 이동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주된 운반 구역(42)은 상기 고체 폐기물(20)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26)으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포함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18. 청구항 10 및 청구항 16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26)은, 이송 도관(28) 장착 차량에 의해 컨테이너(36) 장착 차량으로 연결가능한 도킹 스테이션(48)에 링크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19. 청구항 1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보유 영역(10)은 건물 내부 및 실외 스테이션에 위치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20. 청구항 10 및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14) 및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42)은 0.075m 내지 1.0m 크기의 도관 직경 범위를 포함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2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보유 영역(10)은 바람직하게는 수세식 클로셋(40)에 연결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2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이 상기 고체 폐기물(20)을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14) 내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보유 영역(10)에서 회전하는 캐러셀(44) 상의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고체 폐기물(20)을 보유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컨테이너(46)를 포함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23. 적어도 두 개의 보유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수거 스테이션(28a, 28b)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수거 도관 내로 고체 폐기물(20a, 20b)을 공압 운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두 가지 형태의 고체 폐기물(20a, 20b)은 적어도 두 개의 보유 영역에서 수거되고,
    상기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방법은,
    i) 각각의 상기 보유 영역(10)으로부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포함하는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 배출되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보유 영역(10)에서의 적어도 두 가지 형태의 상기 고체 폐기물(20a, 20b) 중 하나를 배출하는 배출 단계;
    ⅱ)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수거 스테이션(28a, 28b)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수거 도관 방향으로 두 가지 형태의 상기 고체 폐기물(20a, 20b)을 밀어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동 수단(22)의 이동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동 수단(22)을 가로지르는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압력차 발생 단계; 및
    ⅲ) 출발 위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동 수단의 이동을 생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동 수단(22)을 가로지르는 반대의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반대 압력차 발생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방법은 다수의 폐기물 이송 도관(14)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 단계, 상기 압력차 발생 단계, 및 상기 반대 압력차 발생 단계는 각각의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14)에서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방법.
  25. 청구항 23 및 청구항 24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가지 형태의 상기 고체 폐기물(20a, 20b)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스테이션(28a, 28b)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26)으로 운반되기 전에, 각각의 다수의 폐기물 이송 도관(14)으로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42)으로 배출되고 운반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방법.
  26. 청구항 23 및 청구항 25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가지 형태의 고체 폐기물(20a, 20b) 중 하나를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14) 내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된 운반 구역(42)으로 배출하는 배출 단계는 제어 및 센서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고 모니터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방법.
  27. 청구항 23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에서의 상기 고체 폐기물(20)은, 컨테이너(36) 장착 차량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26)에 연결된 도킹 스테이션(48)으로 이송 도관(38) 장착 차량을 도입함으로써 수거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방법.
  28. 적어도 하나의 폐기물 발생 지점(52)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거 도관 내로 고체 폐기물을 공압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폐기물 발생 지점(52)은 폐기물 이송 도관(14a)에 연결되고,
    상기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은,
    각각의 상기 폐기물 발생 지점(52)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스테이션(28)으로 배출되는 상기 고체 폐기물(20)을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14a)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폐기물 발생 지점(52)은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14a)으로 상기 고체 폐기물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60)을 포함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폐기물 발생 지점(52)은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14a)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31.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14a)은, 적어도 하나의 주된 운반 구역(54) 내로 상기 고체 폐기물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62)을 포함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주된 운반 구역(54)은 상기 고체 폐기물(20)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스테이션(2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거 도관(26)으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수단(22)을 포함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33.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이송 도관(14a)은 청구항 10에 기재된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34. 청구항 10 및 청구항 28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동 수단(22)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동 수단의 위치를 식별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이동 수단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장치를 수용하는, 고체 폐기물 공압 운반 시스템.
KR1020117012871A 2008-12-18 2008-12-18 고체 폐기물을 밀어내고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101159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MY2008/000189 WO2010071397A1 (en) 2008-12-18 2008-12-18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and moving solid wa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999A true KR20110115999A (ko) 2011-10-24

Family

ID=4226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871A KR20110115999A (ko) 2008-12-18 2008-12-18 고체 폐기물을 밀어내고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9126754B2 (ko)
EP (1) EP2367993B2 (ko)
JP (1) JP2012512794A (ko)
KR (1) KR20110115999A (ko)
CN (1) CN102257228B (ko)
AU (1) AU2008365343B2 (ko)
BR (1) BRPI0823345B1 (ko)
CA (1) CA2745601C (ko)
ES (1) ES2853198T3 (ko)
FI (1) FI2367993T4 (ko)
GB (1) GB2477647B (ko)
HK (1) HK1163766A1 (ko)
RU (1) RU2492303C2 (ko)
WO (1) WO2010071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2103B (fi) * 2010-03-12 2011-08-3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jätteensiirtojärjestelmä
FI20106150A0 (fi) * 2010-11-03 2010-11-03 Maricap Oy Menetelmä ja pneumaattinen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126930B (fi) * 2012-05-07 2017-08-1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pneumaattisessa materiaalinkäsittelyjärjestelmässä
FI124090B (fi) * 2012-06-07 2014-03-14 Maricap Oy Menetelmä pneumaattisen materiaalinkäsittelyjärjestelmän putkiston puhdistamiseksi ja puhdistuslaitteisto sekä järjestelmä
FI125741B (fi) * 2012-07-02 2016-01-29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pneumaattisessa materiaalinkäsittelyjärjestelmässä
BR112015020338A2 (pt) 2013-03-05 2017-08-22 Maricap Oy Método para o enchimento de um dispositivo de contenção/separação de rejeitos de um sistema pneumático de transporte de materiais, equipamento para o enchimento de um dispositivo de contenção/separação de rejeitos de um sistema pneumático de transporte de materiais, dispositivos de contenção/separação de rejeitos para sistemas pneumáticos de transporte de materiais
FI125194B (fi) * 2013-07-30 2015-06-30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FI124837B (fi) * 2013-07-30 2015-02-13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CN105173744A (zh) * 2015-08-21 2015-12-23 天津宜诺医药工业设计有限公司 粉体输送管道及其输送方法
CN106005838A (zh) * 2016-07-29 2016-10-12 汤美 一种教室用防异味垃圾桶
CN108502522A (zh) * 2018-05-10 2018-09-07 海宁智盛自动化设备有限公司 图钉的自动下料机构
FI20185883A (fi) * 2018-10-22 2020-04-23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erotinlaitejärjestely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20197011A1 (fi) * 2019-01-25 2020-07-26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syöttämiseksi ja siirtämiseksi
IT202000015649A1 (it) * 2020-06-29 2021-12-29 Wlg S R L Sistema per la gestione e la raccolta differenziata dei rifiuti domestici
CN112660668A (zh) * 2020-12-07 2021-04-16 华晟博联环境科技(青岛)有限公司 一种垃圾气力输送系统
CN114104656B (zh) * 2021-11-15 2023-03-24 核工业西南物理研究院 一种样品自动装载装置
CN115716602A (zh) * 2022-12-15 2023-02-28 宝钢磁业(江苏)有限公司 一种硬脂酸锌粉末自动添加装置及其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6650A (en) 1956-10-31 1959-09-29 Roll Dippers Inc Method of cleaning pipe lines
US3204274A (en) 1962-12-24 1965-09-07 Girard Harry J Pipe line plug device
US3419209A (en) * 1967-07-24 1968-12-31 Apf Inc Coin collection system for multiple parking meter stations
US3730884A (en) * 1971-04-02 1973-05-01 B Burn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sewage
US4099457A (en) * 1972-02-25 1978-07-11 Ab Centralsug Method for discharging refuse
US3869050A (en) * 1973-10-30 1975-03-04 Transports Automobiles Societe Refuse collecting apparatus
SE403753B (sv) * 1974-01-31 1978-09-04 Svenska Flaektfabriken Ab Anleggning for sortering av minst tva skilda godsslag
US4231689A (en) * 1977-01-12 1980-11-04 Georgia Tech Research Institute Air-actuated pipeline transportation system with wheeled vehicles
SU945024A1 (ru) * 1977-12-29 1982-07-23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ый Институт Инженер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Установка дл 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мусора
US4314577A (en) * 1979-07-09 1982-02-09 Brister Beryle D Installation, hydrostatic testing, repair and modification of large diameter fluid transmission lines
DE3274528D1 (en) 1981-03-17 1987-01-15 Rosenberg & Co Ab Device for fragmenting, compacting and discharging of voluminous bulk goods, in particular household waste
SU1024398A1 (ru) * 1981-08-13 1983-06-23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ый Институт Инженер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Система дл 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сбор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SU1211180A1 (ru) * 1984-09-20 1986-02-15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Транспрогресс" Вакуумна пневмотранспортна установка дл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JP2640812B2 (ja) * 1986-10-21 1997-08-13 協和醗酵工業株式会社 粉粒体の高濃度気力輸送方法及びその装置
JP2544931B2 (ja) * 1987-07-08 1996-10-16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ごみの集廃システム
JPH0829825B2 (ja) * 1987-06-22 1996-03-27 協和醗酵工業株式会社 粉粒体の高濃度気力輸送方法及びその装置
US4753261A (en) * 1987-11-02 1988-06-28 Intevep, S.A. Core-annular flow process
GB2215806B (en) * 1988-02-15 1992-02-05 Hakko Co Method of applying a lining to a pipeline
JP3027837B2 (ja) * 1988-12-27 2000-04-04 協和醗酵工業株式会社 固形物のサンプル自動抽出方法及び固形物のサンプル自動抽出システム
US5230842A (en) * 1989-02-21 1993-07-27 Munde Bruce A Interior pipeline coating process
DE3920981A1 (de) * 1989-06-27 1991-01-10 Ist Molchtechnik Gmbh Rohrleitungsmolch
US5083704A (en) * 1990-08-06 1992-01-28 George Rounthwaite Trash disposal system
JP2640873B2 (ja) * 1990-11-13 1997-08-13 協和醗酵工業株式会社 固形物材料の気力輸送用輸送栓及びこれを用いた固形物材料の気力輸送方法
DE4211138A1 (de) * 1992-04-03 1993-10-07 Putzmeister Maschf Vorrichtung zur Förderung von feststoffreichen Dickstoffen
ES2149325T3 (es) * 1994-11-28 2000-11-01 Tokyo Gas Co Ltd Procedimientos de revestimiento de la superficie interna de un tubo.
JPH09272628A (ja) 1996-04-03 1997-10-21 Hitachi Ltd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CN2268076Y (zh) * 1996-09-01 1997-11-19 高洪亮 连桶式垃圾输送管
KR19980077546A (ko) * 1997-04-21 1998-11-16 한스 스트롬 쓰레기 배출 방법 및 장치
US5980645A (en) 1997-06-27 1999-11-09 Price; Benjamin W. Pipeline processing assembly
FI108995B (fi) 1998-11-18 2002-05-15 Taifun Engineering Oy Ltd Menetelmä ja laitteisto teollisuusputkistojen puhdistamiseksi
SE515514C2 (sv) * 1999-02-05 2001-08-20 Centralsug Ab Metoder för tömning av ett avfallslagringsutrymme respektive ett avfallsinkastschakt samt dylikt avfallsinkastschakt
DE10301942A1 (de) * 2003-01-20 2004-07-29 Dürr Systems GmbH Hydraulisch dynamischer Monomolch
ES2252576T3 (es) 2002-05-07 2006-05-16 Durr Systems Gmbh Procedidmiento y aparato para proporcionar pintura a un aplicador y para limpiarlo.
DE10231421A1 (de) * 2002-07-11 2004-01-22 Dürr Systems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Versorgung eines Pulverbeschichtungsgerätes
DE10309142B4 (de) 2003-02-28 2006-09-21 Eisenmann Lacktechnik Gmbh & Co. Kg Positionsdetektor für einen in einem Rohr bewegten Molch
JP2005029349A (ja) 2003-07-07 2005-02-03 Shin Meiwa Ind Co Ltd ゴミ貯留装置、ゴミ収集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の運転方法
FR2870836B1 (fr) * 2004-05-27 2007-08-10 F2 C2 System Sa Dispositif autorisant le deplacement de pieces a l'interieur d'une conduite
KR100661150B1 (ko) 2005-12-12 2006-12-26 주식회사 엔백센트랄석 이송 파이프 내에 슬러지 제거용 피그를 포함하는 진공쓰레기 수거 시스템
MY141070A (en) 2006-06-06 2010-03-15 Premium Nxl Sdn Bhd Solid waste collection system
KR200430166Y1 (ko) 2006-08-21 2006-11-02 김재곤 관로 막힘 위치 탐지와 막힘 쓰레기의 제거가 가능한쓰레기 자동 집하 장치
MX2009003945A (es) * 2006-11-06 2009-06-23 Airvac Inc Red de alcantarillado al vacio con alarma inalambrica.
JP2008120475A (ja) * 2006-11-08 2008-05-29 Shin Meiwa Ind Co Ltd ダストシュートシステム
CN201056824Y (zh) * 2007-06-08 2008-05-07 上海市宝山区青少年科学技术指导站 收集垃圾的抽屉
FI124436B (fi) * 2008-03-18 2014-08-29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FI122333B (fi) * 2010-06-03 2011-12-15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alipainelähde
CA2803507C (en) * 2010-06-23 2017-03-14 Envac Ab Vacuum waste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a system
EP2433710A1 (en) * 2010-09-22 2012-03-28 Averda IP B.V.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agged refuse
NO340894B1 (no) * 2011-01-03 2017-07-10 Empig As En toveis rørledningsplugginnretning, fluidstrømbehandlingsanlegg og fremgangsmåte ved rensing
FI124487B (fi) * 2013-01-25 2014-09-30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syöttökuilus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53198T3 (es) 2021-09-15
US9126754B2 (en) 2015-09-08
RU2492303C2 (ru) 2013-09-10
EP2367993A4 (en) 2012-11-28
EP2367993A1 (en) 2011-09-28
AU2008365343A1 (en) 2010-06-24
US20150329287A1 (en) 2015-11-19
EP2367993B1 (en) 2020-11-18
EP2367993B2 (en) 2023-10-11
HK1163766A1 (en) 2012-09-14
CN102257228B (zh) 2015-02-11
CA2745601C (en) 2017-09-26
CA2745601A1 (en) 2010-06-24
US20110290619A1 (en) 2011-12-01
RU2011128121A (ru) 2013-01-27
JP2012512794A (ja) 2012-06-07
BRPI0823345B1 (pt) 2019-04-02
WO2010071397A1 (en) 2010-06-24
AU2008365343B2 (en) 2013-11-21
GB2477647A (en) 2011-08-10
BRPI0823345A2 (pt) 2015-06-16
US9434541B2 (en) 2016-09-06
CN102257228A (zh) 2011-11-23
GB201103728D0 (en) 2011-04-20
GB2477647B (en) 2013-04-03
FI2367993T4 (fi)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5999A (ko) 고체 폐기물을 밀어내고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012476B2 (ja) 空気圧式材料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並びに装置、及び廃棄物搬送システム
KR101571175B1 (ko) 쓰레기 반송 방법
US20100272520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KR20150046234A (ko)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물질 반송 시스템 및 물질 반송 시스템용 분리 장치
AU2011260150B2 (en) Method in a waste conveying system, a waste conveying system and a vacuum source for a waste conveying system
US20150274418A1 (en) Method for handling material in a material conveying system, input point of a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material conveying system
KR20100020964A (ko)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쓰레기 수거 시스템
WO2007142508A1 (en) Solid waste collection system
CN212291469U (zh) 垃圾管道泵送装置
KR100897744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및 그 방법
US20240150136A1 (en) Method for conveying material and material conveying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89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329

Effective date: 2017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