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234A -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물질 반송 시스템 및 물질 반송 시스템용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물질 반송 시스템 및 물질 반송 시스템용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234A
KR20150046234A KR20157007169A KR20157007169A KR20150046234A KR 20150046234 A KR20150046234 A KR 20150046234A KR 20157007169 A KR20157007169 A KR 20157007169A KR 20157007169 A KR20157007169 A KR 20157007169A KR 20150046234 A KR20150046234 A KR 20150046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collection container
air flow
pip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7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괴란 순트홀름
Original Assignee
마리캡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캡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캡 오이
Publication of KR20150046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fuse filling means, e.g. air-locks
    • B65F1/105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fuse filling means, e.g. air-locks the filling means being pneumatic, e.g. using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vices facilitating emptying
    • B65F1/125Features allowing the receptacle to be lifted and emptied by its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65F1/1447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located under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0Devices for separating the materials from propellant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반송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물질 투입 지점(108), 상기 투입 지점(108)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반송 파이프(100), 및 운반되는 물질이 운반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장치 또는 용기(11), 및 또한 적어도 물질 운반 도중에 반송 파이프(100)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에서 분리 장치는, 상기 물질이 투입 지점(108)으로부터 반송 파이프(100)를 경유하여 반송되는 디프 수거 용기-분리 장치(10)이고, 상기 수거 용기(11)는 비우기 상태에서 리프팅 수단에 의해서 들어 올려지며, 상기 수거 용기(11)에 수거된 물질(w)은 상기 수거 용기(11)의 기저부 부분에 배치된 개방 및 폐쇄 가능한 개구(6)를 통해서 비워진다. 본 발명은 또한 분리 장치 및 물질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물질 반송 시스템 및 물질 반송 시스템용 분리 장치{METHOD FOR HANDLING MATERIAL IN A MATERIAL CONVEYING SYSTEM,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SEPARATING DEVICE FOR A MATERIAL CONVEYING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본원 청구항 1의 전제부(preamble)에서 정의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물질 반송 시스템(material conveying system)을 위한 청구항 12에 따른 분리 장치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청구항 20에 따른 물질 반송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 가령 부분-진공 운반 시스템(partial-vacuum transporting system),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기물의 수거 및 반송, 예를 들어 가정용 폐기물의 반송에 관한 것이다.
흡인 및/또는 운반 공기에 의해서 배관(piping)에서 반송되는 시스템이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폐기물은 상기 운반 공기와 함께 흡인 및/또는 압력차에 의해서 장거리를 이동한다. 상기 장치는 다른 것들 중에서 상이한 시설에 있는 폐기물의 반송, 가정용 폐기물의 반송 또는 기타 폐기물의 반송용으로 사용된다. 부분 진공 장치를 사용하여 압력차를 얻는 것이 이들 시스템에 전형적이며, 상기 장치에서 부분 진공은 부분 진공 발생기, 예를 들어 진공 펌프 또는 이젝터 장치(ejector apparatus)를 구비한 반송 파이프(conveying pipe)에서 얻어진다. 반송 파이프는 전형적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 수단을 포함하며, 그것을 개폐함으로써 반송 파이프으로 들어오는 대체 공기량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취입 장치(blowing arrangement)에 의해서 반송 배관(conveying piping)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이 얻어지는 시스템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새로운 지역의 건설 프로젝트의 편리한 솔루션(solution) 중의 하나는 파이프 운반 시스템(pipe transport system)으로 작동하게 되는 폐기물 처리이다. 이것은 분류된 폐기물들이 지하 파이프를 따라 전지역 공동의 폐기물 처리시설로 흡인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시스템은 깨끗하고, 무취이고 소음이 없으며, 종래 폐기물 처리법 보다 환경 친화적이고 주변 지역의 관점에서 더 안전한 솔루션이다. 폐기물 운반시에 공압식 파이프 운반 시스템을 사용하기로 결정한 지역의 건설 부지에서, 전체 건축 프로젝트가 천천히 그리고 단계별로 진행될지라도 반송 배관 및 그 지역 공유의 폐기물 처리시설을 건설할 필요가 있는 것이 전형적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건축 프로젝트가 수 년 또는 수십 년 동안 지속할지라도 상기 반송 배관 및 폐기물 처리시설과 관련한 상기 시스템을 건설하여 완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의 배관 및 폐기물 처리시설의 용량은 장래에 언젠가 현실화될 사용자들의 배출량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폐기물 처리시설은 전형적으로는 배간, 예를 들어 부분 진공 발생기, 가령 진공 펌프 또는 그에 상응하는 것들에서 압력차를 얻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설계 용량이 상기 시스템에서는 여전히 수년 동안 필요하지 않을지라도 이 경우에는 건설 프로젝트의 초기 상태에서 상당한 규모의 투자가 필요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다른 한편, 예를 들어 사무실 용지, 상업용지, 공업용지 및 주거용지 또는 기타 부지와 같은 상당히 작은 다수의 부지들이 있으며, 이들 부지에는 폐기물에 대한 공기 파이프 운반 솔루션(pneumatic pipe transport solution)을 달성하는 것이 요청되지만, 그들 자신의 부분-진공 발생 장치 또는 별도의 장치 및 별개의 용기를 구비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실행가능하지 못하다. 부분-진공 시스템의 흡인 장치들(suction devices)이 폐기물을 규칙적인 간격으로, 예를 들어 매일 그 자신의 용기 안으로 흡인하도록 작동하고 그것들을 이동시키는 탱커 차량(tanker vehicle)에 연결되는 시스템이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들 유형의 솔루션들은 예를 들어 공개공보 EP0093825(A1)호에 제시되어 있으며, 상기 공보에는 진공 수단이 구비된 차량(vehicle)이 쓰레기 슈트(refuse chute) 아래에 배치된 용기를 비우도록 작동한다. 한편, 상응하는 솔루션이 국제공개공보 제WO2006/135296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공보에는 수거 차량에 진공 수단이 구비되어 시스템의 폐기물을 그 자신의 용기 안으로 흡인하도록 작동한다. 이들 솔루션의 차량들은 전형적으로는 둘 다 흡인하고, 압축하여 폐기물을 운반한다. 상기 차량들은 매우 대형이고, 무거우며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오래된 도심에서와 같은 비좁은 공간에서는 차량을 사용하기 불편하게 한다. 또한, 상기 차량들은 고비용을 요구한다. 한편, 폐기물들의 일부는 종종 그의 크기 또는 다른 특성으로 인하여 배관에서 만족스럽게 운반될 수 없게 된다. 다수의 경우에, 예를 들어 그 자신의 별도 폐기물 용기와 같은 자신의 어레인지먼트가 그것들에 대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질 반송 시스템과 관련한 새로운 유형의 솔루션을 얻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솔루션에 의해서 종래기술의 솔루션의 문제점들이 회피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상당히 작은 시스템들에 대한 솔루션을 얻기 위한 것이며, 여기에는 별도의 분리 장치 및 폐기물 용기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 작용에 의한(pneumatically) 투입 지점들의 비우기 및 수거 용기의 비우기가 융통성 있게, 심지어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리 장치에서 운반 공기로부터 폐기물이 분리되는, 물질을 위한 공압식 파이프 분리 시스템의 분리 장치가, 지면 또는 토양에 배치된 이른바 디프 수거 용기(deep collection container)인 개념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개시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청구항 2 내지 11에 언급된 것에 의해서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물질 반송 시스템용 분리 장치는 청구항 12에 개시된 것에 의해서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물질 반송 시스템용 분리 장치는 또한 청구항 13 내지 19에 언급된 것에 의해서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물질 반송 시스템은 청구항 20에 개시된 것에 의해서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물질 반송 시스템은 또한 청구항 21 내지 27에 언급된 것에 의해서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은 다수의 중요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솔루션에 의해서 종래기술의 솔루션의 단점을 피할 수 있다. 분리 장치로서 디프 수거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수거 용기 안으로 반송된 물질은 효율적으로 저장되고, 상기 용기의 비우기가 덜 자주 행해질 수 있다. 수거 용기의 비우기는, 수거 용기를 들어 올리고, 상기 용기 안에 수거한 물질을, 상기 용기의 기저부에 배치된 개방 및 폐쇄가능한 개구(aperture)로부터 운반 수단, 예를 들어 쓰레기 차(garbage truck)의 용기로 이송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운반 수단은 물질을 보다 조밀해지도록 압착하기 위한 프레스(press), 및 수거 용기를 들어 올리기 위한 호이스트(hois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솔루션을 사용하는 경우 물질의 공압식 파이프 운반 시스템 및 운반된 물질의 임시 저장용으로 의도된 수거 용기가 효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거 용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표면 아래로 임베딩(embedding)되거나 또는 지표면에 놓이는 소위 '디프 수거 용기'인 경우 공간 요건이 효율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수거 용기의 부피의 대부분을 지표면 아래로, 그리고 비교적 적은 부분을 보일 수 있는 부분으로 함으로써 수거 용기용으로 매우 환경적으로 적합한 솔루션이 달성된다. 상기 용기의 커다란 부피 및 치수로 인하여, 수거된 물질이 놓여지며(settle), 즉 압축되며(compact), 이 경우 물질이 다수의 작은 용기들에서 보다 상기 수거 용기 속에서 상대적으로 더 부합하게 된다. 상기 수거 용기가 땅 속에 깊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디프 수거 용기는 하절기에 더 차가운 상태를 유지하며, 이 경우 폐기물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는 악취가 적게 발생한다. 한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디프 수거 용기-분리 장치는 그 안에 배치되어 비우기 위해서 들어 올려지는 수거 용기 및 외부 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솔루션은 물질의 다양한 형태의 공압식 파이프 운반 시스템과 결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부분-진공 시스템 이외에 물질의 반송을 위해 취입을 이용하는 시스텝이 논의된다. 반송 배관에 필요한 압력차/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해서 부분-진공 발생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이동식 부분-진공 발생 장치(mobile partial-vacuum generating apparatus)가 물질의 공압 운반에 필요한 부분 진공을 얻기 위해서 본 발명의 디프 수거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물질 반송 시스템과 결합되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개별적인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 특정한 목적으로 고정된 부분-진공 발생 장치는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다수의 물질 반송 시스템들 사이에 부분-진공원(partial-vacuum source)의 효율적인 작동시간의 분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특성들에 서비스로서 물질 반송 시스템의 부분-진공원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식 부분-진공원을 사용함으로써 물질 반송을 보장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가능하게 하며, 이 경우 예를 들어 기능 불량 상황에서 제 1 부분-진공원이 제 2 이동식 백업 장치(mobile backup apparatus)로 용이하게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식 부분-진공원은, 폐기물을 위한 공간이 같은 시간에 요구되지 않는 차량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비좁은 위치에서 기능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솔루션은 부분-진공원의 조작 및 용기의 비우기를 위한 상이한 주파수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디프 수거 분리 장치 또는 분리 장치들 근처에 배치된 부분-진공원은, 투입 지점으로부터 분리 장치로 물질을 반송하기 위한 공기 유동/부분 진공이 핸들링되는 예를 들어 비이동식 흡인 펌프 용기 또는 등가물인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솔루션은 다수의 수거 분리 장치가 함께 연결되어 있는 상황에서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솔루션은 디프 수거-분리 장치의 수거 용기를 비우기 위해 기존의 쓰레기 차 또는 그의 등가물의 사용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디프 수거 용기/분리 장치는 또한 수거 용기에 형성된 개방 및 폐쇄 가능한 투입 개구(input aperture)를 통해서 예를 들어 그의 크기 또는 다른 특성들에 기인하여 물질의 공압식 파이프 운반 시스템에서의 반송에 적합하지 않은 유형의 물질의 공급(feeding in)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디프 수거 용기-분리 장치에서, 운반 공기는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운반 공기를 위한 유도 효과를 일으킴으로써 분리 장치의 챔버 공간에서 또는 배출 채널(output channel)에서 유동한다. 이것으로, 물질이 배출 채널 쪽으로 운반 공기와 함께 대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분리되는 것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종이 또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가방과 같은 폐기물 조각이 분리 장치의 배출 개구(output aperture)로 들어가지 않고/않거나 상기 배출 개구를 차단하지 않으며, 공압식 폐기물 반송 시스템을 위한 조작 신뢰성 디프 수거 용기-분리 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 채널로부터 배출 브랜치 커플링(output branch coupling)으로의 공기 운반의 유동이 상기 배출 채널의 벽에 대해 주로 접선 방향으로 얻어지도록 상기 배출 채널의 벽에서 배출 브랜치 커플링을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배출 채널에서 편심적으로(eccentrically) 배출 브랜치 커플링을 배치함으로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디프 수거 분리 장치는 포맷팅 장치(formatter), 즉 로터리 쉐이퍼(rotary shaper)가 투입 지점으로부터 반송 배관으로 유도되도록 물질을 압축시키고 쉐이핑(shaping)하는데 사용되는 물질 반송 시스템, 및 시스템에서 물질이 투입 지점으로부터 반송 배관으로 직접 공급되는 통상의 공압식 파이프 운반 시스템 둘 다에 적합하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양태의 도움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는 하나의 시스템을 단순화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수직면에서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는 장치의 한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위로부터, 즉 도 2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부터의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는 장치의 한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수직면에서 부분적으로 절단되고 수거 용기가 제거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는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 1 작동 모드에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 1 작동 모드에서, 위로부터, 즉 도 5의 화살표 B의 방향으로부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제 2 작동 모드에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수직면에서 부분적으로 절단한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제 2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위로부터, 즉 도 8의 화살표 C의 방향으로부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는 제 2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한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제 1 작동 모드에서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제 2 작동 모드에서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일부분은 그의 측부를 따라 적어도 하나, 전형적으로는 다수의 투입 지점(108)이 배치되어 있는 물질 반송 파이프(100)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 지점(108)은 운반하고자 하는 물질,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기 물질의 공급 스테이션(feed-in station)이며, 상기 공급 스테이션로부터 운반하고자 하는 물질,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정용 폐기물, 또는 재활용 가능한 물질과 같은 폐기 물질이 상기 반송 시스템으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 스테이션(108)는 또한 쓰레기 슈트(refuse chute)일 수 있으며, 건물의 상이한 투입 개구로부터 물질이 그 안으로 공급된다. 상기 시스템은 다수의 공급 스테이션(108)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로부터 반송 배관(100, 101A, 101B)으로 운반하고자 하는 물질이 공급된다. 가능하게는 공급 스테이션과 연결되어 있는 밸브 수단(valve means)(104)와 같은 정지 수단을 개방 및 폐쇄함으로써 물질이 투입 지점(108)로부터 반송 파이프(100)로 반송될 수 있다. 투입 지점(108)은 밸브 측부 상에서 반송 파이프(100)로, 또는 그것과 결합된 투입 파이프(103)에 연결된다. 전형적으로, 반송 배관은 다수의 브랜치 반송 파이프(101A, 101B)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반대로 상기 브랜치 반송 파이프에 다수의 공급 스테이션(108)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주 반송 파이프(100)를 포함한다. 도 1의 한 양태에 있어서, 투입 지점(108)은 폐기 물질의 투입 지점(107)이며, 상기 투입 지점(107)은 지표면 위에 위치된다. 상기 투입 지점(108)은 공급기 채널(feeder channel)(106)을 통해서, 상기 공급기 채널 보다 직경이 작은 반송 배관(103, 101A, 100)에 맞도록 물질을 쉐이핑하고 압축시키는 물질 쉐이퍼(105)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솔루션은 또한 물질 쉐이퍼(material shaper)가 사용되지 않지만 대신에 상기 물질이 투입 지점으로부터 반송 배관으로 직접 반송되는 상기 유형의 물질 반송 시스템에 적합하다. 상기 반송 배관은 땅 속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면의 양태에 있어서, 반송 배관은 대체 공기 밸브(109)가 배치되어 있는 대체 공기 덕트(replacement air duct)을 포함한다. 도 1은 물질(W)이 제 1 브랜치 반송 파이프(101A)의 도면에서 맨 왼쪽에 있는 투입 지점(108)으로부터 반송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반송 상황에서는, 공급 스테이션과 반송 배관 사이의 밸브 수단(104)이 개방되고 상기 대체 공기 덕트(102)의 대체 공기 밸브(109)가 개방된다.
본 발명에서 필수 장치는, 외부 용기(12) 및 수거 용기(11)로부터 형성되는 물질의 디프 수거 용기와, 그 안에 배치된, 운반 공기를 분리하고 각각으로부터 물질을 이용하는 수단의 조합인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리 장치(10)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 장치는 이른바 '사이클론 분리기(cyclone separator)'이다. 반송 파이프(100)는 물질(W)이 운반되는 수거 용기가 운반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장치(10)의 수거 용기(11)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수단(15')은 반송 파이프(100)에 형성되고 브랜치 커플링(14) 중의 카운터파트(15)가 수거 용기(11)의 상부 부분에 형성된다. 수거 수단(15') 및 카운터파트(15)는 함께 예를 들어 스냅-온 커플링(snapon coupling)을 형성한다. 제 2 연결부(17)이 수거 용기(11)에 배치된 운반 공기용 배출 브랜치 커플링(16)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로 부분-진공원(21)로부터 나오는 파이프 또는 호스(25)가 카운터파트(17')와 연결되거나, 또는 배출 브랜치 커플링(16)을 통해서 운반 공기가 수거 용기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디프 수거 용기의 외부 용기(12)는 지표면 아래 또는 그에 대응하는 수준으로 임베딩된다. 물질이 상기 용기로 떨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용기의 비우기가 수행될 수 있는 모든 평면들은 대응 표면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용기(12)의 벽은 수직이며, 저부가 폐쇄되어 있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강(steel) 또는 다른 물질의 원통형 용기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의 부피 대부분이 지표면(S) 아래로 놓여지는 방식으로 땅 속으로, 그 목적으로 만들어진 동공 속으로 잠긴다. 도 1의 양태에 있어서, 외부 용기의 측벽(4)은 상기 지표면(S)으로 계속된다. 상기 도면의 양태에서, 수평면 상의 외부 용기의 단면적은 일정하지만, 수평면이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질 수 있으며, 그 경우 외부 용기는 원추형으로 약간 위쪽으로 확장한다.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진공원(21) 또는 압력원 또는 팬을 포함하며, 흡인 또는 압력차 또는 그에 의해서 얻어진 운반 공기 유동의 도움으로 반송 파이프에서 물질을 반송시킨다. 도면의 양태에서, 부분-진공원(21)은 이동식이다. 도 1의 양태에 따르면, 부분-진공원(21)은 이동식 수단(20), 예를 들어 차량에 배치된 이동식 장치이다. 이동식 수단(20)은 예를 들어 소형 트럭 또는 밴(van)일 수 있거나 또는 부분-진공원(21)은 차량에 의해서 견인할 수 있는 트레일러(trailer)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부분-진공원(21)은, 진공 펌프와 같은 부분-진공 발생기를 포함하는, 펌프 유닛, 및 그것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22)를 포함한다. 부분-진공 발생기의 흡인측은 제 1 작동 상태에서 중간 통로(24, 25, 16)를 경유하여 수거 용기(11)에 연결된다. 이 경우 물질의 반송에 요구되는 흡인/압력차가 수거 용기(11) 및 반송 배관(100, 101A, 101B)에서 얻어질 수 있다. 부분-진공원(21)과 수거 용기(11) 사이에는 여과 장치(23)가 있다. 부분-진공원(21)의 취입측에는 도면의 양태에서 사운드 디퓨저(sound diffuser)(26)를 포함하는 바깥쪽 취입 채널(outward blowing channel)(27)이 있다. 이동식 부분-진공원(21)이 상기 호스(25)에 배치된 카운터파트(17')를 갖는 용기(11)의 제 2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호스(25)는 부분-진공원으로, 그의 흡인 채널(24)로 배치된 그의 제 2 말단에 위치한다. 상기 부분-진공원(21)의 취입측에는 바깥쪽 취입 채널(27) 쪽으로 중간 통로가 있다.
한 양태에 따르면, 부분-진공원(21)의 구동 장치(22)는 예를 들어 전동 모터와 같은 모터이다. 이 경우에 필요한 전기는 예를 들어 전기 네트워크의 소켓으로부터의 예를 들어 컨덕터(conductor)(28)를 사용하여 얻어지며, 상기 소켓은 가장 적합하게는 비워지는 물질 반송 시스템의 수거 용기(11)의 근처에 위치된다. 또한 이동식 수단(20), 가령 반송 차량은 전기 모터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의 축전기(accumulator)들이 부분-진공원(21)이 사용되는 것과 동시에 충전될 수 있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부분-진공원은 예를 들어 부지에서, 가령 분리 장치의 근처에 배치된 용기 또는 그의 등가물에서의 이동식 솔루션 보다 더 견고하게 분리 장치의 근처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리 장치(10)는 이른바 '디프 수거 용기'이며, 상기 용기는 한 양태에서는 외부 용기(12) 및 수거 용기(11)를 포함한다. 도면의 양태에서, 상기 외부 용기(12)는 지면 또는 토양 중에 배치된 피트(pit) 또는 용기이며, 상기 피트 또는 용기는 베이스(5) 및 측벽(4)를 갖는다. 외부 용기(12)는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아래로 연장한다. 도 1의 양태에 있어서, 외부 용기(12)에 장착되는 별도의 수거 용기(11)가 외부 용기용으로 배치된다. 도면의 양태에 있어서, 수거 용기(11)의 상부 부분은 상기 표면 수준(S)로 연장한다.
도면의 양태에 있어서, 분리 장치(10)의 수거 용기(11)는 측벽(11', 11"), 저부 해치(bottom hatch)(7) 및 말단 벽(end wall)(34)에 의해서 둘러싸인 챔버 공간을 포함하는 이른바 '사이클론 분리기'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 공간은 그의 상부 부분(11')에서 더 넓고, 주로 원통형이며, 그의 기저부 부분(11")에서 베이스 쪽으로 원추형으로 테이퍼(taper)져 있으며, 거기에는 배출 개구(6), 및 상기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해치(7)가 있다. 투입 브랜치 커플링(14)가 상기 분리 장치의 수거 용기(11)의 벽에, 그것의 상부 부분(11')에 연결되고, 브랜치 커플링을 통해서 운반하고자 하는 물질, 가령 폐기 물질이 투입 개구(14')로부터 분리 장치의 챔버 공간으로 운반 공기와 함께 유도된다. 상기 투입 개구(14')는 그의 측벽의 상부 부분에서 분리 장치의 챔버 공간의 벽에 배치된다.
도면의 양태에서, 수거 용기(11)로의 투입 브랜치 커플링(14)의 투입 개구(14')가, 분리 장치의 벽, 상기 벽의 상부 부분(11'), 저부 측벽(34)와 분리 장치의 내부 부분으로 연장하는 배출 채널의 벽(13)의 기저부 부분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수거 용기(11) 중의 분리 장치(10)는 상기 영역 중에 환상 구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벽(13)은 환형 구역의 내부 림(inner rim) 및 수거 용기의 벽(11')을 형성하며, 전형적으로는 환형 구역의 외부 림을 형성한다.
도면의 양태에서, 투입 브랜치 커플링(14) 및 투입 개구(14')는, 운반 공기(a) 및 고체 입자(w)(즉, 물질)이 그것의 상부 부분에서 수거 용기(11)에서 주로 탄젠셜 이동(tangential movement)으로 공급되는 방식으로 수거 용기(11)의 벽(11')에 배치된다.
도면의 양태에서, 운반 공기로부터 분리된 예를 들어 폐기 물질과 같은 물질이 수거 용기(11)의 기저부 부분으로 이동한다(drift). 도 1에서, 분리 장치(10)의 수거 용기(11)의 기저부 부분으로의 분리된 물질의 이동은 화살표로 묘사되어 있다. 물질(w)은 회색(grey)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분리된 물질은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수거 용기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물질 제거 상태가 그 다음에,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수거 용기는 리프팅 수단(30, 31, 32)(리프팅 수단 자체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외부 용기(12)로부터 가령 쓰레기 차(40)의 운반 수단의 용기(41)로, 예를 들어 배출 개구(6)을 폐쇄하는 해치(7)을 개방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수거 용기(11)의 기저부 부분에 배치된 물질의 배출 개구(6)을 통해서 들어 올려진다.
운반 공기는 운반 공기용 배출 브랜치 커플링(16)에 의해서 분리 장치로부터 유도된다. 상기 운반 공기는 전형적으로는 분리 장치에서 편향되어 있으며, 이 경우 운반 공기를 수반하는 거동 물질이 운반 공기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된다.
도 1, 5 및 6의 양태에서, 벽 부분(13)은 상기 분리 장치의 수거 용기(11)의 상부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벽 부분은 분리 장치의 챔버 공간으로 연장한다. 도면의 양태에서, 벽 부분(13)은 원통형이다. 도면에서, 벽 부분은 분리 장치의 수거 용기(11)의 수직 축과 동축(공통의 축) 상에 있다. 배출 채널은 벽 부분(13)의 림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 채널 안으로 벽(13)의 기저부 부분의 개구가 유도된다. 외부 용기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배출 개구(16')를 통해서 운반 공기용 배출 브랜치 커플링(16)으로의 연결부가 있다.
따라서, 도면의 양태에서, 원통형 벽 부분(13)의 저부 말단이 개방되어 있다. 도 1 및 2의 양태에서, 배출 브랜치 커플링(16)은, 운반 공기가 수거 용기(11)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탄젠셜 이동으로 고갈되는 방식으로 분리 장치의 수거 용기(11)에 배치된다.
벽 부분(13)에 의해서 결합된 배출 채널에서 유출 운반 공기(outgoing transporting air)에 대해 탄젠셜 이동이 얻어지며, 상기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챔버 공간 중의 투입 브랜치 커플링(14)의 근처에서 분리 장치의 수거 용기(11)에서 운반 공기 (및 그와 함께 운반된 조각들)(w+a)의 탄젠셜 이동과 반대 방향이다. 상기 분리 장치에서의 운반 공기의 이동은 화살표를 사용하여 대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화살표(a)는 분리 장치를 떠나는 운반 공기 및 w+a의 이동, 적어도 투입 개구의 근처에서 분리 장치로 들어가는 운반 공기 및 폐기물 조각의 이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운반 공기의 탄젠셜 이동은 투입 브랜치 커플링(14)로부터 분리 장치로 들어가는 운반 공기의 탄젠셜 이동의 회전 방향과 반대이다. 이 경우 수거 용기(11)의 챔버 공간으로부터 들어오는 운반 공기의 회전 이동은 유출 채널(13), 또는 그것의 근처에서 상쇄되어, 운반 공기의 속도가 줄어든다. 상기 과정으로, 배출 채널(13)으로의 분리 장치의 수거 용기(11)의 챔버 공간으로부터의 운반 공기와 함께 종이 및 플라스틱과 같은 유해 조각들의 용이한 증가가 방지된다.
한 양태에 따르면, 부분-진공 발생기의 구동 장치(22)는 이동식 유닛(20), 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일 수 있다. 당해 양태에 따르면, 부분-진공 발생기는 예를 들어 전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전류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조차 작동 지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공급된 물질은 반송 파이프(100, 101A, 101B)를 따라 용기(11)로 운반되며, 이 때 운반되는 물질은 예를 들어 속도 강하 및 원심력으로 인하여 운반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부분-진공 발생기(21)의 흡인측이 직접 또는 운반 공기 덕트를 경유하여, 반송 파이프(100)의 방출 말단이 교대로 연결되는 용기(11)에 연결되는 경우, 반송 파이프(100)에서 부분 진공이 달성된다. 이 경우 용기에 연결되는 중간 통로를 경유하여 반송 파이프(100)에 흡인이 작용한다. 공급 밸브(104)는 주 반송 파이프(100) 및 브랜치 반송 파이프(101A)와 투입 지점(108) 사이에 있으며, 상기 밸브는 작동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다. 이 경우도 투입 지점(108)의 공급기 채널(106)에서 그리고 가능한 쉐이퍼 장치(105)에서 흡인이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반송하고자 하는 물질 배치(material batch)는 브랜치 반송 파이프(101A)로 그리고 위쪽으로는 주 반송 파이프(100)로 반송된다. 상기 밸브(104)를 반송 파이프로 개방할 때 반송 파이프로 예를 들어 투입 지점(108)으로 가능한 대체 공기가 나온다. 투입 지점의 밸브(104)가 폐쇄되는 경우, 대체 공기 덕트(102)의 밸브(109)가 반송 파이프(101A, 100)로 대체 공기를 수용하기 위해서 개방된다.
폐기 물질이 반송 배관(101A, 100)을 따라 용기(11)로 반송되며, 여기서 운반 공기는 폐기 물질로부터 분리되며 폐기 물질은 수거 용기(11)에 남는다.
이어서, 다른 투입 지점(108)이 필요에 따라, 비우기 순서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비워진다.
부분-진공 발생 장치 대신에, 반송 파이프에 필요한 압력차/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해서 취입 장치(blowing device)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송 파이프에서, 예를 들어 분리 장치(10)과 반대측으로 반송되는 물질에서 취입이 달성되며, 그것의 도움으로 예를 들어 분리 장치의 수거 용기(11)로의 투입 브랜치 커플링(14)을 통해서 반송 파이프를 따라 취입 물질이 반송되고, 상기 용기에서 상기 물질은 운반 공기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운반 공기는 배출 브랜치 커플링(16)을 통해서 수거 용기(11)로부터, 그의 챔버 공간으로부터 운반 공기를 밖으로 유도된다.
수거 용기(11)는 외부 용기(12)의 벽(4, 5)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에서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투입 브랜치 커플링(14)과 반송 파이프(100) 사이의 조인트(15, 15')가 개방되고, 그에 따라 부분-진공원으로부터 나오는 흡인 파이프(26)과 배출 브랜치 커플링(16) 사이의 조인트(17, 17')가 개방되며, 비우기 위해서 리프팅 수단(30, 31, 32)로 수거 용기(11)가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도 4는 수거 용기(11)가 제거된 외부 용기를 도시한다.
반송 배관에 맞지 않는 큰 키기의 폐기물을 공급하기 원하는 경우에는, 필링 개구(9)가 수거 용기(11)에, 예를 들어 용기의 상부 부분에 만들어질 수 있다. 수거 용기의 필링 개구에 해치(19)가 구비된다.
도 7은 수거 용기의 비우기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비우기는 필요에 따라, 그리고 예를 들어 위에서 기술된 흡인 상태 보다 덜 자주 수행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물질이 분리 장치의 수거 용기로부터 반송된다. 수거 용기는 리프팅 수단(30, 31, 32), 예를 들어 운반 차량(4)의 호이스트를 사용하여, 수거 용기의 기저부 부분(11') 및 그의 비우기 개구(6)가 운반 차량의 투입 개구를 갖는 면 대 면(face-to-face)으로 구성되어 수거 용기의 비우기 개구를 커버링하는 해치(7)가 개방될 때, 가능한 압착 상태 후 물질(w)이 수거 용기로부터 운반 차량의 용기(41)로 옮기는 방식으로 들어 올려진다.
폐기물 운반 차량에 부분-진공원(21)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흡인 상태에서 상기 물질을 먼저 투입 지점(108)로부터 수거 용기로 반송시킨 다음, 상기 물질이, 가능한 압착 상태 후에, 수거 용기(11)로부터 수거 차량(40)의 용기(41)로 비워지도록 상기 수거 용기(11)를 들어 올린다.
도 1 내지 7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의 수거 용기(11)는 그의 상부 부분에 상부 벽(34)을 가지며, 그의 가장자리 영역(edge area)은 바깥쪽 가장자리 쪽으로 아래로 경사져 있다. 한 양태에 있어서, 상부 벽의 가장자리는 수거 용기(11)의 벽(11')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처마(eave)를 형성한다.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상부 벽의 가장자리는 위에서 보았을 때 외부 용기(12)의 벽(4)에 의해서 형성된 림(rim)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물질을 수거 용기로 직접 공급하기 위한 개방 및 폐쇄 가능한 해치(19)를 포함하는 투입 개구(9)가 상기 상부 벽에 형성된다. 도면의 양태에서, 제 2 해치(18)가 상기 상부 벽에 형성되며, 상기 해치 아래의 공간에는 흡인 파이프(25)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7)가 있다. 도 4에 따르면, 외부 용기의 벽(4)은 상기 표면 수준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투입 해치(19)는 물질을 공급하는데 적합한 높이에 배치된다. 리프팅 수단(30, 31, 32), 예를 들어 리프팅 럭(lifting lug)(30)이 리프팅을 위한 상부 벽에 배치되며, 상기 리프팅 수단에 리프팅 슬링(lifting sling), 리프팅 케이블(lifting cable) 또는 리프팅 체인(lifting chain)이 부착되고 호이스팅 장치(hoisting device)의 리프팅 후크(lifting hook)로 들어 올려진다. 도 1 내지 7의 양태에는, 하나의 리프팅 럭(30)이 있지만,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내지 12의 양태에는 3개의 리프팅 럭(30)이 있다.
도 8 내지 12의 양태는 수거 용기(11)의 상이한 상부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양태에서, 상기 용기의 상부 벽(34)은, 수거 용기가 외부 용기(12)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표면(s)의 수준으로 배치된다. 상기 상부 벽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것은 투입 지점의 벽(33)이며, 상기 벽의 상부 부분에 투입 개구(9) 및 개방 및 폐쇄 가능한 해치(19)가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양태에는 제 2 해치(18)이 있으며, 그 아래 공간에는 흡인 파이프(25)를 위한 연결부(17)가 있다.
도 10은 2개의 분리 장치(10A, 10B)가 반송 파이프(110)에 배치되어 있는 양태를 나타낸다. 상기 반송 파이프에는 밸브 수단(120)이 배치되며, 상기 밸브 수단으로 물질의 투입이 상기 분리 장치 (10A) 또는 (10B)로 유도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수단(120)에서는 상기 분리 장치의 측부 상에 2개의 파이프 브랜치(100A, 100B)가 있으며 그중의 제 1 브랜치는 제 1 분리 장치(10A)의 수거 용기(11A)의 투입 브랜치 커플링(14A)에 연결된다. 제 2 브랜치(100B)는 제 2 분리 장치(10B)의 수거 용기(11B)의 투입 브랜치 커플링(14B)에 연결된다. 도 10의 양태는 예를 들어 반송되는 물질 중에 2종의 상이한 폐기물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투입 지점의 일부분은 제 1 분리 장치(10A)의 수거 용기(11A)로 비워지며, 투입 지점의 제 2 부분은 제 2 분리 장치(10B)의 수거 용기(11B)로 비워진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도 10의 분리 장치(10A, 10B)는 보다 큰 용량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용기들의 비우기 간격이 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용기(11A)가 채워지는 경우 반송 파이프로부터 나오는 물질은 밸브 수단(120)에 의해서 제 2 용기(11B)로 유도된다. 상기 용기들은 모두 함께 비워질 수 있다.
한 양태에 따르면, 즉 지표면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리 장치(10)의 외부 용기(12)의 디프 수거 용기 중의 깊이는 대략 3m이며 외부 용기(12)의 직경은 대략 2m이다. 물론 상기 직경은 적용 지점에 따라 예를 들어 1,000 내지 3,000㎜의 범위일 수 있다. 외부 용기의 임베딩 깊이, 즉 지표면(S)으로부터 용기의 베이스의 깊이는 적용 지점에 따라 예를 들어 2,000 내지 4,000㎜의 범위일 수 있다. 수거 용기(11)가 본 발명에 따른 디프 수거 용기인 경우 상기 용기에서 수거한 물질(w)은 상기 중기 중의 물질의 양이 증가할 때 상기 용기 중에서 보다 조밀하게 압착된다. 이로 인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분리 장치는 환경에 부합하도록 만들어 질 수 있고 그것의 비우기가 편리하다. 또한, 부분-진공원 및 투입 지점의 비우기가 예를 들어 별도의 이동식 부분-진공원 또는 쓰레기 차와 결합된 부분-진공원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반송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물질 투입 지점(108), 상기 투입 지점(108)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반송 파이프(100), 및 운반되는 물질이 운반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장치 또는 용기(11), 및 또한 적어도 물질 운반 도중에 반송 파이프(100)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에서 분리 장치는, 상기 물질이 투입 지점(108)으로부터 반송 파이프(100)를 경유하여 반송되는 디프 수거 용기-분리 장치(10)이고, 상기 수거 용기(11)는 비우기 상태에서 리프팅 수단에 의해서 들어 올려지며, 상기 수거 용기(11)에 수거된 물질(w)은 상기 수거 용기(11)의 기저부 부분에 배치된 개방 및 폐쇄 가능한 개구(6)를 통해서 비워진다.
한 양태에 따르면,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진공원(21)을 포함하며, 얻어진 흡인 또는 압력차 또는 운반 공기 유동의 도움으로 상기 반송 파이프에서 물질이 반송된다.
한 양태에 따르면,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압력원 또는 팬을 포함하며, 얻어진 압력차 또는 운반 공기 유동의 도움으로 상기 반송 파이프에서 물질이 반송된다.
상기 방법에서 한 양태에 따르면,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이동식 수단(20), 예를 들어 차량 또는 트레일러에 배치되며, 상기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물질 반송 시스템에 연결되며, 상기 시스템에서 물질의 반송을 위해 필요한 부분 진공/압력차/운반 공기 유동이 얻어지고, 이 경우 물질(W)은 반송 배관(100, 101A, 101B)을 따라 수거 용기(11)로 운반된다.
상기 방법에서 한 양태에 따르면, 수거 용기(11)는 운반 수단(40)의 용기 공간(41)으로 비워지며, 상기 용기에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보다 조밀하게 압착되며, 운반 수단(40)은 물질을 이동시킨다.
한 양태에 따르면, 수거 용기(11)는 비우기 상태에서 외부 용기(12)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 올려지고, 상기 비우기 상태 후에는 비워진 수거 용기(11)이 외부 용기(12)로 다시 낮아진다.
한 양태에 따르면,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다수의 상이한 물질 반송 시스템의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며, 이 경우 상기 반송 수단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이동식 수단(20)에 의해서 각각의 물질 반송 시스템의 근처로 운반되며 연결 수단에 의해서 물질 반송 시스템에 연결된다.
한 양태에 따르면,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의 물질 반송 시스템과의 연결에서 작동 간격은 수거 용기(11)의 비우기 간격보다 더 빈번하다.
한 양태에 따르면, 물질은 용기의 상부 부분에 배치된 투입 개구(9)로부터 수거 용기(11)로도 직접 공급된다.
상기 방법에서 한 양태에 따르면, 물질은 폐기물, 가령 폐기물 저장소(waste receptacle) 또는 리퓨즈 슈트의 투입 지점인 물질의 투입 지점(108)으로부터 반송 파이프(100)로 공급된다.
상기 방법에서 한 양태에 따르면, 물질 반송 시스템은 폐기물 반송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용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분리 장치는 물질 반송 파이프(100)를 분리 장치의 투입 개구에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분리 장치의 챔버 공간으로부터 운반 공기를 멀리 유도하기(conduct away)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 장치는, 수거 용기(11)를 들어 올리기 위한 수단(30)을 포함하는 디프 수거 용기-분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 용기(11)는 기저부 부분에서 개방 가능한 개구(6)을 포함한다.
한 양태에 따르면, 디프 수거 용기-분리 장치는 실제 수거 용기(actual collection container)(11) 및 외부 용기(12)를 포함한다.
한 양태에 따르면, 수거 용기(11)의 상부 부분은 투입 개구(9)를 포함한다.
한 양태에 따르면, 수거 용기(11)는 적어도 기저부 부분에서 배출 개구(6) 쪽으로 좁다.
한 양태에 따르면, 수거 용기(11)는 사이클론 분리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한 양태에 따르면, 배출 채널의 벽(13)에 대해 주로 접선 방향으로 수거 용기(11)의 배출 채널에 배출 브랜치 커플링(16)이 배치된다.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운반 공기 및 그것과 함께 나오는 물질(w+a)을 수거 용기(11)의 수직축에 대해 제 1 방향에서 수거 용기(11) 중의 회전 이동으로 초기에 이동시키고, 유출 운반 공기(a)를 회전의 주 반대 방향에서 회전 동작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한 양태에 따르면, 외부 용기(1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지면 수준(S) 아래로 임베딩된다.
본 발명은 또한 폐기물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폐기 물질 투입 지점(108), 상기 투입 지점(108)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반송 파이프(100), 및 운반되는 폐기 물질이 운반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장치 또는 용기(11), 및 또한 적어도 물질의 운반 도중 반송 파이프(100)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 장치(10)는, 물질이 투입 지점(108)으로부터 반송 파이프(100)를 경유하여 반송되도록 구성되는 디프 수거 용기-분리 장치이고, 상기 수거 용기(11)는 비우기 상태에서 리프팅 수단에 의해서 들어 올려지며, 상기 수거 용기(11)에서 수거된 물질(w)이 상기 수거 용기(11)의 기저부 부분에 배치된 개방 가능한 개구(6)를 통해서 비워진다.
한 양태에 따르면,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진공원(21)을 포함하며, 얻어진 흡인 또는 압력차 또는 운반 공기 유동의 도움으로 반송 파이프에서 물질이 반송된다.
한 양태에 따르면,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압력원 또는 팬을 포함하며, 얻어진 압력차 또는 운반 공기 유동의 도움으로 반송 파이프에서 물질이 반송된다.
한 양태에 따르면,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이동식 수단(20), 예를 들어 차량 또는 트레일러에 배치되며,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폐기물 반송 시스템에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에서 폐기 물질의 반송에 필요한 부분 진공/압력차/운반 공기 유동이 얻어지고, 이 경우 폐기 물질이 반송 배관(100, 101A, 101B)를 따라 수거 용기(11)로 이송된다.
한 양태에 따르면, 수거 용기(11)는 운반 수단(40)의 용기 공간(41)로 비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기 공간에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보다 조밀해지도록 압착되며, 상기 운반 수단(40)은 상기 물질을 이동시킨다.
한 양태에 따르면,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이 이동식 수단(20)에 의해서 연결 수단으로 물질 반송 시스템에 연결시키기 위한 각각의 물질 반송 시스템의 근처로 이송되는 방식으로, 다수의 상이한 물질 반송 시스템의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한 양태에 따르면, 물질의 투입 지점(108)은 예를 들어 폐기물 저장소 또는 리퓨즈 슈트와 같은 폐기물의 투입 지점이다.
한 양태에 따르면, 반송 파이프(100)가 밸브 수단(120)과 선택적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분리 장치(10A, 10B)가 있다.
예를 들어 국제공개공보 제WO2011/151522호에 개시된 이동식 부분-진공원, 또는 예를 들어 용기 중의 분리 장치의 근처에 배치된 통상의 부분-진공원이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 및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분리 장치, 즉 디프 수거 용기-분리 장치는,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에 의해서 물질이 이동하는 그들 유형의 공압식 파이프 물질 운반 시스템과의 결합이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은, 반송 파이프를 따라 그 안으로 배치된 물질을 디프 수거 용기-분리 장치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 파이프가 취입되는 시스템이다. 상기 경우에 운반 공기는, 예를 들어 공기를 운반하기 위한 배출 브랜치 커플링(16)을 통해서 분리 장치로부터, 그의 수거 용기로부터 제거되도록 배치된다. 상응하게는, 상기 방법 및 장치는 또한 취입 수단에 의해서 반송 파이프에 얻어진 압력차/운반 공기 유동에 의해서 물질이 반송되는 이들 경우에도 사용하기 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시된 양태로 제한되지 않으며, 하기 청구범위 내에서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임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명백하다. 가능하게는 다른 특징적인 구성과 함께 상세한 설명에서 제시된 특징적인 구성은 필요에 따라 각각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7)

  1.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송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물질 투입 지점(108), 상기 투입 지점(108)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반송 파이프(100), 및 운반되는 물질이 운반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장치 또는 용기(11), 및 또한 적어도 물질 운반 도중에 반송 파이프(100)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에서 분리 장치는, 상기 물질이 투입 지점(108)으로부터 반송 파이프(100)를 경유하여 반송되는 디프 수거 용기-분리 장치(10)이고,
    상기 수거 용기(11)는 비우기 상태에서 리프팅 수단에 의해서 들어 올려지며,
    상기 수거 용기(11)에 수거된 물질(w)은 상기 수거 용기(11)의 기저부 부분에 배치된 개방 및 폐쇄 가능한 개구(6)를 통해서 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부분-진공원(21)을 포함하며, 얻어진 흡인 또는 압력차 또는 운반 공기 유동의 도움으로 상기 반송 파이프에서 물질이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압력원(pressure source) 또는 팬(fan)을 포함하며, 얻어진 압력차 또는 운반 공기 유동의 도움으로 상기 반송 파이프에서 물질이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서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이 이동식 수단(mobbile means)(20), 가령 차량(vehicle) 또는 트레일러(trailer)에 배치되며, 상기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상기 물질 반송 시스템에 연결되며, 상기 시스템에서 물질의 반송을 위해 필요한 부분 진공/압력차/운반 공기 유동이 얻어지고, 이 경우 물질(W)은 반송 배관(100, 101A, 101B)을 따라 수거 용기(11)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서 수거 용기(11)는 운반 수단(40)의 용기 공간(41)으로 비워지며, 상기 용기에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보다 조밀하게 압착되며, 상기 운반 수단(40)은 물질을 이동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 용기(11)는 비우기 상태에서 외부 용기(12)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 올려지고, 상기 비우기 상태 후에는 비워진 수거 용기(11)가 외부 용기(12)로 다시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다수의 상이한 물질 반송 시스템의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며, 이 경우 상기 반송 수단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이동식 수단(20)에 의해서 각각의 물질 반송 시스템의 근처로 운반되며 연결 수단에 의해서 물질 반송 시스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의 물질 반송 시스템과의 연결에서 작동 간격이 수거 용기(11)의 비우기 간격보다 더 빈번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용기의 상부 부분에 배치된 투입 개구(9)로부터 수거 용기(11)로도 직접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서 물질이 폐기물, 가령 폐기물 저장소(waste receptacle) 또는 리퓨즈 슈트의 투입 지점인 물질의 투입 지점(108)으로부터 반송 파이프(10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서 물질 반송 시스템이 폐기물 반송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물질 반송 파이프(100)를 분리 장치의 투입 개구에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분리 장치의 챔버 공간으로부터 운반 공기를 멀리 유도하기(conduct away)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공압식 물질 반송 시스템용 분리 장치로서,
    상기 분리 장치는, 수거 용기(11)를 들어 올리기 위한 수단(30)을 포함하는 디프 수거 용기-분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 용기(11)는 기저부 부분에서 개방 가능한 개구(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 수거 용기-분리 장치가 실제 수거 용기(actual collection container)(11) 및 외부 용기(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 용기(11)의 상부 부분이 투입 개구(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 용기(11)는 적어도 기저부 부분에서 배출 개구(6) 쪽으로 좁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 용기(11)는 사이클론 분리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17. 제 12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채널의 벽(13)에 대해 주로 접선 방향으로 수거 용기(11)의 배출 채널에 배출 브랜치 커플링(16)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18. 제 12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운반 공기 및 그것과 함께 나오는 물질(w+a)을 수거 용기(11)의 수직축에 대해 제 1 방향에서 수거 용기(11) 중의 회전 이동으로 초기에 이동시키고, 유출 운반 공기(a)를 회전의 주 반대 방향에서 회전 동작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19. 제 12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1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지면 수준(S) 아래로 임베딩(embedd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장치.
  20. 적어도 하나의 폐기 물질 투입 지점(108), 상기 투입 지점(108)에 연결될 수 있는 물질 반송 파이프(100), 및 운반되는 폐기 물질이 운반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장치 또는 용기(11), 및 또한 적어도 물질의 운반 도중 반송 파이프(100)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폐기물 반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분리 장치(10)는, 물질이 투입 지점(108)으로부터 반송 파이프(100)를 경유하여 반송되도록 구성되는 디프 수거 용기-분리 장치이고,
    상기 수거 용기(11)는 비우기 상태에서 리프팅 수단에 의해서 들어 올려지며, 상기 수거 용기(11)에서 수거된 물질(w)이 상기 수거 용기(11)의 기저부 부분에 배치된 개방 가능한 개구(6)를 통해서 비워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반송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부분-진공원(21)을 포함하며, 얻어진 흡인 또는 압력차 또는 운반 공기 유동의 도움으로 반송 파이프에서 물질이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반송 시스템.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압력원 또는 팬을 포함하며, 얻어진 압력차 또는 운반 공기 유동의 도움으로 반송 파이프에서 물질이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반송 시스템.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이동식 수단(20), 가령 차량 또는 트레일러에 배치되며, 상기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폐기물 반송 시스템에 연결되고, 상기 시스템에서 폐기 물질의 반송에 필요한 부분 진공/압력차/운반 공기 유동이 얻어지고, 이 경우 폐기 물질이 반송 배관(100, 101A, 101B)를 따라 수거 용기(11)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반송 시스템.
  24.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 용기(11)는 운반 수단(40)의 용기 공간(41)로 비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용기 공간에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보다 조밀해지도록 압착되며, 상기 운반 수단(40)은 상기 물질을 이동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반송 시스템.
  25. 제 20 항 내지 제 2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은,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이 이동식 수단(20)에 의해서 연결 수단으로 물질 반송 시스템에 연결시키기 위한 각각의 물질 반송 시스템의 근처로 이송되는 방식으로, 다수의 상이한 물질 반송 시스템의 반송 파이프에서 압력차 및/또는 운반 공기 유동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반송 시스템.
  26. 제 20 항 내지 제 2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의 투입 지점(108)이 폐기물 저장소 또는 리퓨즈 슈트와 같은 폐기물의 투입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반송 시스템.
  27. 제 20 항 내지 제 2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파이프(100)가 밸브 수단(120)과 선택적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분리 장치(10A, 1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반송 시스템.
KR20157007169A 2012-08-22 2013-03-12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물질 반송 시스템 및 물질 반송 시스템용 분리 장치 KR201500462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25870 2012-08-22
FI20125870A FI124175B (fi) 2012-08-22 2012-08-22 Menetelmä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erotinlaite
PCT/FI2013/050271 WO2014029903A1 (en) 2012-08-22 2013-03-12 Method for handling material in a material conveying system,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separating device for a material convey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234A true KR20150046234A (ko) 2015-04-29

Family

ID=5014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7169A KR20150046234A (ko) 2012-08-22 2013-03-12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물질 반송 시스템 및 물질 반송 시스템용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50191308A1 (ko)
EP (1) EP2888184B1 (ko)
JP (1) JP2015527273A (ko)
KR (1) KR20150046234A (ko)
CN (1) CN104661934A (ko)
AU (1) AU2013304913A1 (ko)
CA (1) CA2880134A1 (ko)
DK (1) DK2888184T3 (ko)
ES (1) ES2627563T3 (ko)
FI (1) FI124175B (ko)
PL (1) PL2888184T3 (ko)
RU (1) RU2015110038A (ko)
SG (1) SG11201500737PA (ko)
WO (1) WO2014029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2103B (fi) * 2010-03-12 2011-08-3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ja jätteensiirtojärjestelmä
FI126930B (fi) * 2012-05-07 2017-08-15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pneumaattisessa materiaalinkäsittelyjärjestelmässä
FI124487B (fi) * 2013-01-25 2014-09-30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materiaalin syöttämiseksi syöttökuilusta
BR112015020338A2 (pt) * 2013-03-05 2017-08-22 Maricap Oy Método para o enchimento de um dispositivo de contenção/separação de rejeitos de um sistema pneumático de transporte de materiais, equipamento para o enchimento de um dispositivo de contenção/separação de rejeitos de um sistema pneumático de transporte de materiais, dispositivos de contenção/separação de rejeitos para sistemas pneumáticos de transporte de materiais
KR101455962B1 (ko) * 2013-09-06 2014-10-31 지기현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장치
FI126185B (fi) * 2015-01-29 2016-08-15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erotinlaite
US9517883B1 (en) 2015-05-21 2016-12-13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waste mangement
US9957106B2 (en) 2015-05-21 2018-05-01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waste management
US9738442B2 (en) 2015-05-21 2017-08-22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waste management
FI20185883A (fi) * 2018-10-22 2020-04-23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erotinlaitejärjestely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FI130331B (fi) * 2021-03-08 2023-06-21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 siirtämiseksi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y
CN114472450B (zh) * 2022-02-07 2023-10-24 青岛松上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餐厨垃圾自动收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1294A (en) * 1970-11-23 1973-11-13 Ronning Eng Co Inc Negative pressure feeder-separator in closed loop product grind and discharging system
JPS583924B2 (ja) * 1978-08-21 1983-01-24 森田特殊機工株式会社 集塵装置
EP0093825A1 (en) 1982-05-07 1983-11-16 A-Betong AB Method and system for waste management
JPS6283924A (ja) * 1985-10-08 1987-04-17 Nippon Furekuto Kk ごみの空気輸送設備
JPS638207U (ko) * 1986-07-03 1988-01-20
FI87064C (fi) * 1988-07-20 1992-11-25 Veikko Salli Foerfarande foer bevaring och uppsamling av avfall samt avfallsbehaollare och avfallssaeck foer foerverkligande av foerfarandet
JPH05168980A (ja) * 1991-12-17 1993-07-02 Nkk Corp ゴミ分離機
JPH06106677A (ja) * 1991-12-27 1994-04-19 Fujikura Rubber Ltd 付着防止ダイヤフラム
JPH0741683Y2 (ja) * 1993-02-12 1995-09-27 江戸川化工株式会社 焼却灰処理設備
JPH08244906A (ja) * 1995-03-16 1996-09-24 Tokyu Car Corp ごみ貯留装置
DE29508516U1 (de) * 1995-05-23 1995-08-10 Wieland Lufttechnik Gmbh Sauganlage zum Ausheben von Versorgungskanälen
JPH09315515A (ja) * 1996-05-31 1997-12-09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市場ごみ処理システム
JPH10329907A (ja) * 1997-06-02 1998-12-15 Shin Meiwa Ind Co Ltd ごみ吸引輸送装置
SG125945A1 (en) * 2004-03-10 2006-10-30 Sembcorp Environmental Man Pte Refuse collec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collecting refuse
AU2004323564A1 (en) * 2004-09-22 2006-03-30 Devise Properties Pty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storing recyclable product
WO2006135296A1 (en) 2005-06-17 2006-12-21 Envac Centralsug Ab A method of operating a waste collection tank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ame
SE532831C2 (sv) * 2007-06-11 2010-04-20 Envac Ab Ett vakuumdrivet avfallsinsamlingssystem och en metod för att tömma en central avfallslagringstank
KR20100070347A (ko) * 2007-11-08 2010-06-25 엔박 에이비 쓰레기 수거 및 처리
FI123782B (fi) * 2007-12-21 2013-10-31 Maricap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EP2313660B1 (en) * 2008-06-04 2017-01-04 Pentair Flow Control Pacific Pty Limited Pneumatic evacuation pump
CN201267822Y (zh) * 2008-08-26 2009-07-08 龚维连 玻璃钢废弃物料的回收处理装置
FI122333B (fi) * 2010-06-03 2011-12-15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alipainelähde
CN201999527U (zh) * 2011-03-16 2011-10-05 佐藤庆根 一种真空吸附输送装置
CN102225383B (zh) * 2011-04-07 2012-08-08 常州大学 一种分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888184T3 (en) 2017-06-19
CN104661934A (zh) 2015-05-27
JP2015527273A (ja) 2015-09-17
PL2888184T3 (pl) 2017-08-31
CA2880134A1 (en) 2014-02-27
AU2013304913A1 (en) 2015-04-02
RU2015110038A (ru) 2016-10-10
EP2888184B1 (en) 2017-04-05
SG11201500737PA (en) 2015-03-30
EP2888184A4 (en) 2016-04-20
FI20125870A (fi) 2014-02-23
AU2013304913A2 (en) 2015-04-23
US20150191308A1 (en) 2015-07-09
WO2014029903A1 (en) 2014-02-27
FI124175B (fi) 2014-04-15
ES2627563T3 (es) 2017-07-28
EP2888184A1 (en)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6234A (ko) 물질 반송 시스템에서 물질을 처리하는 방법, 물질 반송 시스템 및 물질 반송 시스템용 분리 장치
AU2011260150B2 (en) Method in a waste conveying system, a waste conveying system and a vacuum source for a waste conveying system
US11498756B2 (en) Method for handling material in a material conveying system, a separating device arrangement and a material conveying system
AU2013336501A1 (en) Method for handling material in a material conveying system, input point of a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material conveying system
WO2016120519A1 (en) Method for handling material in a material conveying system,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separating device for a material conveying system
US20240150136A1 (en) Method for conveying material and material conveying arrangement
RU2795595C2 (ru) Способ перемещения материала в системе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блок раздели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и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