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744B1 -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744B1
KR100897744B1 KR1020070081375A KR20070081375A KR100897744B1 KR 100897744 B1 KR100897744 B1 KR 100897744B1 KR 1020070081375 A KR1020070081375 A KR 1020070081375A KR 20070081375 A KR20070081375 A KR 20070081375A KR 100897744 B1 KR100897744 B1 KR 100897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upply
blower
automatic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989A (ko
Inventor
진균하
Original Assignee
한솔이엠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이엠이(주) filed Critical 한솔이엠이(주)
Priority to KR1020070081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74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65G53/56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기기적인 트러블이나 마모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용이하게 쓰레기를 분류하여 집하장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투입구에 투입된 쓰레기가 이송되는 이송관로와, 이송관로에 복수로 분기하여 연결되며 각각 밸브가 설치되는 복수의 공급관로와, 이송관로의 공급관로로 분기되기 전의 지점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투입구의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공급관로의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송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이송관로, 밸브, 자동제어, 송풍기, 마모, 분류

Description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for Waste Division and Supply of Automatic Wasre Collecting Facilities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의 자동제어와 송풍기압을 이용하여 이송관로의 기기적 트러블과 마모를 줄이고 운전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가, 상가 등이 밀집된 지역에서는 일반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품 쓰레기 등이 혼합되어 발생되고 있으며, 각 가정과 점포에서는 이들 쓰레기를 종류별로 분류하여 해당되는 쓰레기통에 배출하고, 해당되는 쓰레기 수거차량이 이를 수거하여 소각, 매립, 재활용 등의 처리를 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각 가정과 점포에서는 쓰레기통이 아닌 우체통처럼 생긴 투입구에 쓰레기를 투입하고, 투입된 쓰레기는 진공흡입기 등을 이용하여 이송관로를 따라 2∼3km 떨어진 집하장으로 이동되고, 집하장에서 쓰레기를 분류하여 처리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이송관로를 따라 집하장까지 쓰레기가 이동하므로 수거차량을 이용한 직접 수거방식에 비하여 환경위생적인 측면(악취, 미관문제 등)에서 유리하며, 아파트 단지 내에 수거차량이 운행되지 않아 교통사고의 발생이 없고, 비나 눈 등의 악천후에도 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은 각 가정과 점포에서 쓰레기를 투입할 때에 쓰레기의 종류(음식물, 가연성, 불연성 등)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투입된 쓰레기는 이송관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종류별로 분류되어 각각 다른 집하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에 있어서는 하나의 이송관로를 통하여 이송되어오는 쓰레기를 2개 또는 3개 이상의 관로로 분류하여 공급하기 위한 설비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0163호에는 이송관로를 3개의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는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중간부가 경사져 형성되는 연결관을 회전시킴에 따라 쓰레기가 투입되어 오는 이송관로와 여기에 연결되는 3개의 관로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의 경우에는 관과 관이 결합과 분리를 반복하여 행하게 되므로, 접촉부위에서 마모가 발생하거나 파손, 손상 등의 기기적 트러블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쓰레기가 부분적으로 관로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으며, 설비의 고장 및 잦은 청소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관로와 연결된 공급관로에 밸브를 설치하고 투입되는 쓰레기에 따라 각 밸브를 자동제어하도록 구성하고 송풍기압을 이용하여 쓰레기를 이송시키므로, 기기적인 트러블이나 마모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용이하게 쓰레기를 분류하여 집하장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입되는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해당되는 이송관로에 연결된 공급관로의 밸브를 개방하도록 자동제어하므로 용이하게 쓰레기를 분류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는 투입구에 투입된 쓰레기가 이송되는 이송관로와, 상기 이송관로에 복수로 분기하여 연결되며 각각 밸브가 설치되는 복수의 공급관로와, 상기 이송관로의 공급관로로 분기되기 전의 지점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상기 투입구의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공 급관로의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송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페기물 분류 공급방법은 투입구에 쓰레기를 투입하면서 종류를 입력하면 제어부에서는 해당되는 공급관로의 밸브를 개방하고 송풍기의 작동을 시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쓰레기가 집하장쪽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개방하였던 밸브를 폐쇄하고 송풍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관로가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기기적인 트러블이나 마모의 발생이 없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해당되는 공급관로의 밸브를 개방하여 분류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운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관로(20)와, 복수의 공급관로(40), (50)와, 송풍기(30)와, 제어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관로(20)에는 다수의 투입구(10)가 연결된다.
상기 투입구(10)에는 사용자가 투입되는 쓰레기의 종류(가연성 또는 불연성, 음식물 등)를 입력하도록 입력부(12)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관로(20)는 투입구(10)로 투입된 쓰레기가 이송된다.
상기 송풍기(30)는 이송관로(20)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로(40), (50)가 이송관로(20)로부터 분기되기 전의 지점에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30)는 2개 이상을 설치하고, 작동중인 송풍기(30)가 고장난 경우에 대체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나이상의 여유분 송풍기(30)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송풍기(30)를 설치하여 이송관로(20)쪽에서 공급관로(40), (50)쪽으로 송풍을 행함에 따라 이송관로(20)에는 진공압이 발생하고, 투입구(10)에 투입된 쓰레기는 이송관로(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공급관로(40), (50)는 이송관로(20)에 복수로 분기하여 연결된다. 상기 공급관로(40), (50)는 분류하는 쓰레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수 또는 설치되는 집하장(60), (70)의 수에 대응하여 설치한다.
예를 들면 가연성 쓰레기가 임시 저장되는 가연성 쓰레기 집하장(70)과 불연성 쓰레기(음식물 쓰레기)가 임시 저장되는 불연성 쓰레기 집하장(60)에 각각 연결되도록, 가연성 쓰레기가 이송되는 가연성 공급관로(50)와 불연성 쓰레기가 이송되는 불연성 공급관로(40)를 이송관로(20)로부터 분기하여 설치한다.
상기에서 가연성 쓰레기에 비하여 불연성 쓰레기의 중량이 무거우므로, 가능 하면 불연성 공급관로(40)의 길이가 가연성 공급관로(50)의 길이보다 짧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급관로(40), (50)의 수 및 집하장(60), (70)의 수를 2개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각 3개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급관로(40), (50)에는 각각 관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42), (52)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42), (52)는 폐쇄된 상태가 기본으로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운전이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투입구(10)에 설치되는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42), (52) 및 송풍기(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페기물 분류 공급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투입구(10)에 쓰레기를 투입하면서 입력부(12)를 이용하여 투입하는 쓰레기의 종류를 입력하면, 이 입력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90)는 상기 밸브(42), (52) 및 송풍기(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가연성 쓰레기를 투입구(10)에 투입하면서 입력부(12)를 이용하여 가연성 쓰레기를 투입한 것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이 입력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90)는 송풍기(30)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송풍기(30)의 작 동을 개시하므로 이송관로(10)에 진공압을 발생시키고, 가연성 쓰레기 집하장(70)에 연결되는 가연성 공급관로(50)에 설치된 밸브(52)를 개방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송풍기(30)의 송풍압에 의하여 이송되는 가연성 쓰레기가 가연성 공급관로(50)를 따라 이동하여 가연성 집하장(70)에 임시 저장된다.
만약 사용자가 불연성 쓰레기를 투입구(10)에 투입하면서 입력부(12)를 이용하여 불연성 쓰레기를 투입한 것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이 입력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90)는 송풍기(30)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송풍기(30)의 작동을 개시하므로 이송관로(10)에 진공압을 발생시키고, 불연성 쓰레기 집하장(60)에 연결되는 불연성 공급관로(40)에 설치된 밸브(42)를 개방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송풍기(30)의 송풍압에 의하여 이송되는 불연성 쓰레기가 불연성 공급관로(40)를 따라 불연성 집하장(60)에 임시 저장된다.
그리고 해당되는 공급관로(40), (50)를 통하여 쓰레기가 집하장(60), (70)쪽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90)에서는 개방하였던 밸브(42), (52)를 폐쇄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송풍기(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집하장(60), (70)에 임시 저장된 쓰레기는 일정 용기에 담겨지고, 수거차량을 통하여 소각장, 매립장, 재활용 시설 등의 해당되는 곳으로 운반하여 처리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Claims (2)

  1. 투입구에 투입된 쓰레기가 이송되는 이송관로와,
    상기 이송관로에 복수로 분기하여 연결되며 각각 밸브가 설치되는 복수의 공급관로와,
    상기 이송관로의 공급관로로 분기되기 전의 지점에 설치되고 공급관로쪽으로 송풍을 행하는 하나이상의 송풍기와,
    상기 투입구의 입력신호에 따라 투입된 쓰레기의 종류에 대응하는 공급관로의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송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2. 이송관로에 복수로 분기하여 각각 밸브가 설치되는 복수의 공급관로를 설치하고,
    상기 이송관로의 공급관로로 분기되기 전의 지점에 공급관로쪽으로 송풍을 행하는 하나이상의 송풍기를 설치하고,
    제어부에서는 투입구에 쓰레기를 투입하면서 쓰레기의 종류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는 공급관로의 밸브를 개방하고 송풍기의 작동을 시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쓰레기가 집하장쪽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제어부에서는 개방하였던 공급관로의 밸브를 폐쇄하고 송풍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방법.
KR1020070081375A 2007-08-13 2007-08-13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및 그 방법 KR100897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375A KR100897744B1 (ko) 2007-08-13 2007-08-13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375A KR100897744B1 (ko) 2007-08-13 2007-08-13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989A KR20090016989A (ko) 2009-02-18
KR100897744B1 true KR100897744B1 (ko) 2009-05-15

Family

ID=4068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375A KR100897744B1 (ko) 2007-08-13 2007-08-13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7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327Y1 (ko) * 2005-06-15 2005-10-25 임채수 디스크형 관로 개폐 밸브 및 이를 장착한 쓰레기 집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327Y1 (ko) * 2005-06-15 2005-10-25 임채수 디스크형 관로 개폐 밸브 및 이를 장착한 쓰레기 집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989A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45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and moving solid waste
JP6012476B2 (ja) 空気圧式材料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並びに装置、及び廃棄物搬送システム
KR101620111B1 (ko)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공압식 물질반송시스템
EP2188196B1 (en) Method for conveying waste
US20100272520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KR100757174B1 (ko)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및 그 가동 방법
CN101903263A (zh) 气动材料传送系统中的方法和设备
CN102300669A (zh) 气动式压缩空气管道输送设备
CN211077591U (zh) 一种垃圾自动收集系统
KR20120135256A (ko) 공압 재료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KR20130111511A (ko) 쓰레기 이송시스템에서의 방법, 쓰레기 이송시스템 및 쓰레기 이송시스템용 진공원
KR20100020964A (ko)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0897744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폐기물 분류 공급장치 및 그 방법
US202200812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and conveying material
RU79536U1 (ru) Система сбора и удаления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из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KR20230154828A (ko) 재료 이송 방법 및 재료 이송 장치
KR101103762B1 (ko) 쓰레기 자동 집하시설의 공압 배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