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335A -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335A
KR20110107335A KR1020117016141A KR20117016141A KR20110107335A KR 20110107335 A KR20110107335 A KR 20110107335A KR 1020117016141 A KR1020117016141 A KR 1020117016141A KR 20117016141 A KR20117016141 A KR 20117016141A KR 20110107335 A KR20110107335 A KR 20110107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on
water
aqueous solvent
oil
external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7811B1 (ko
Inventor
레이지 미야하라
히데후미 아라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10107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8Micro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형 고급 알콜, (C) 유분, 및 (D) 물에 용해하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그것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 및 (E) (A)~(E) 전량 중 5~25 중량%의 물을 70~80 ℃로 혼합 교반하여 W/O 에멀젼을 조제하는 W/O 에멀젼 조제 공정 및 상기 W/O 에멀젼 중에 10~35 ℃의 (F) 물 또는 수성 처방을 혼합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O/W 미세 에멀젼으로 전상시키는 O/W 미세 에멀젼 조제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입자 직경 50~500 nm의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특별한 냉각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경제성이 우수하며, 용이하게 안전성, 안정성이 우수한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ODUCING O/W MICROEMULSION PREPARA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본 발명은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특히 간이성, 경제성이 우수한 제조 방법 및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안정성의 향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화장품, 의약부외품, 의약품 등의 피부 외용제의 유화 안정성을 유지할 목적으로 고급 지방족 알콜과 폴리옥시에틸렌형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형성하는 α겔을 이용한 O/W 유화 조성물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외용제로서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O/W 에멀젼 외용제를 조제하는 방법으로서는 물에 보습제와 친수적인 폴리옥시에틸렌형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용해시켜 70 ℃ 부근으로 가온한 수상에 필수 성분으로서 유분과 고급 알콜을 70 ℃ 부근에서 균일하게 한 유상을 호모게나이저로 교반하면서 유화한 것을 온레이터 등의 냉각기로 35 ℃ 부근까지 급속히 냉각하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종래부터 검토되고 있는 70 ℃에서의 유화, 냉각이라는 방법은 에너지적으로 낭비가 많을 뿐만 아니라 온레이터 등의 냉각기 사용 후의 세정에 다량의 물을 사용하는 것과, 또한 입자 직경이 1 ㎛ 이하의 유화물은 조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환경 의식이 높아져 보다 저에너지로 유화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온레이터 등의 냉각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경제적으로 우수하면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경시 안정성이 높은 입자직경이 보다 미세한 O/W 에멀젼 외용제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센오 미나부저, 「계면활성의 화학과 응용」, 다이닛폰 도서, 1995년 p.16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해결해야할 과제는 간이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및 안정성이 우수한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 조성을 70~80 ℃로 혼합 교반하여 한번 W/O 에멀젼을 조제하고, 상기 W/O 에멀젼 중에 10~35 ℃의 물 또는 수성 처방을 혼합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O/W 미세 에멀젼을 전상(轉相)시킴으로써 온레이터 등의 냉각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유화 입자 직경이 50~500 nm로 안정성이 우수한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종래의 온레이터를 이용한 조제법에는 없던 도포 시의 산뜻함, 도포 후의 촉촉함 및 진한 감촉을 갖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은,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형 고급 알콜, (C) 유분, (D) 물에 용해하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그것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 및 (E) (A)~(E) 전량 중 5~25 중량%의 물을 70~80 ℃로 혼합 교반하여 W/O 에멀젼을 조제하는 W/O 에멀젼 조제 공정, 및
상기 W/O 에멀젼 중에 10~35 ℃의 (F) 물 또는 수성 처방을 혼합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O/W 미세 에멀젼으로 전상시키는 O/W 미세 에멀젼 조제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입자 직경 50~500 nm의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상기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가 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형 고급 알콜의 질량비가 3:7~7: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C) 유분의 배합량이 상기 W/O 에멀젼 중 1~4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D) 수성 용매의 배합량은 상기 W/O 에멀젼 중 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D) 수성 용매가 분자 내에 3개 이하(0~3개)의 수산기를 갖는 수성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D) 수성 용매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또는 그 디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그 알킬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온레이터와 같은 냉각기를 이용하지 않고, 저에너지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는 실질적으로 인체에 대한 자극성이 비교적 작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해서만 유화되는 것이므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는 입자 직경이 50~500 nm로 매우 작음에도 불구하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온레이터와 같은 냉각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O/W 에멀젼과 비교해도 동일한 처방 성분이면서 산뜻하면서 진한 사용성을 갖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1 및 비교예 1-1에서 제조된 유화입자의 400배의 현미경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유화입자의 400배의 현미경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2-2~2-7에서 제조된 유화입자의 400배의 현미경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3-4~3-8에서 제조된 유화입자의 400배의 현미경 사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5-1~5-5에서 제조된 유화입자의 400배의 현미경 사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형 고급 알콜,
(C) 유분,
(D) 물에 용해되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그것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 및
(E) (A)~(E) 전량 중 5~25 중량%의 물을 70~80 ℃로 혼합 교반하여 W/O 에멀젼을 조제하는 W/O 에멀젼 조제 공정, 및
상기 W/O 에멀젼 중에 10~35 ℃의 (F) 물 또는 수성 처방을 혼합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O/W 미세 에멀젼으로 전상시키는 조제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법에 의해 조제되고, 유화 입자 직경이 50~5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O/W 미세 에멀젼」이라는 것은 물/계면활성제/유계에서 2 액상으로 이루어진 유화계(유상이 수상 중에 유화된 계)이고, 반투명 또는 미청백색일 정도로 유화입자기 미세화된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계의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성 용매 중에 미셀 용해하는 것이며, 특히 HLB가 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가 8 보다 작으면 바람직하게 0/W 미세 에멀젼을 생성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말티톨히드록시 지방족 알킬 에테르, 알킬화 다당, 알킬글루코시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부가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2 종 이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B)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형 고급 알콜은 통상 화장료나 의약품 등의 외용제에서 사용 가능한 것을 적절히 이용하면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탄소수 16~24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형 고급 알콜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바틸 알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형 고급 알콜의 질량 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W/O 에멀젼 중 3:7~7:3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율을 이탈하면 안정적인 O/W 미세 에멀젼을 생성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A)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B)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형 고급 알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W/O 에멀젼 중 (A)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B)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형 고급 알콜의 합계량을 (C) 유분 10 질량부에 대해 0.5~1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 질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계면활성제량 및 고급 알콜이 적으므로 안정성이 높은 O/W 미세 에멀젼이 수득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10 질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계면활성제량 및 고급 알콜이 너무 많으므로 사용성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C) 유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액체 유지, 고체 유지, 왁스류,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상기 (B)를 제외함] 등, 통상 화장료나 의약품 등의 외용제에서 사용 가능한 유분을 적의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이들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실리콘유로서는 예를 들면 사슬형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페닐폴리실록산 등); 환형 폴리실록산(예를 들면,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 3 차원 그물코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각종 변성 폴리실록산(아미노 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실록산, 알킬 변성 폴리실록산, 불소 변성 폴리실록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세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에스테르유로서는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부틸,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올레인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아세트산라놀린, 스테아린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틴산글리세린, 트리-2-헵팁운데칸산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인산올레일, 아세트글리세라이드, 팔미틴산2-헵틸운데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핀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신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틴산2-헥실도데실, 팔미틴산2-헥실데실, 아디핀산디2-헥실데실,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숙신산디2-에틸헥실, 구연산 트리에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액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보가드유, 동백나무유, 터틀유, 마카데미아너트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깨유, 행인유, 소맥 배아유, 애기동백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새플라워유, 면실유, 들기름유, 대두유, 낙화생유, 다실유, 비자나무유, 쌀겨유, 시나기리유, 일본 오동나무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고체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카카오유, 야자유, 마지, 경화 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 목랍,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왁스류로서는 예를 들면 밀랍, 칸데릴라 왁스, 면랍, 카르나우바 왁스, 베이베리 왁스, 이보타 왁스, 고래 왁스, 몬탄로우, 누카로우, 라놀린, 카복로우, 아세트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 왁스,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린산 헥실, 환원 라놀린, 죠죠바 왁스, 경질 라놀린, 세락 로우, POE 라놀린알콜에테르, POE 라놀린알콜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알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올레인산, 운데실렌산, 톨산, 이소스테아린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콜로서는 예를 들면 직쇄형 알콜(예를 들면, 라우릴알콜, 미리스틸알콜 등); 분지쇄형 알콜(예를 들면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콜, 콜레스테롤, 피트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콜, 옥틸도데칸올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C) 유분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W/O 에멀젼 전량에 대해 1~40 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0 질량%를 초과하면 안정성이 높은 W/O 에멀젼이 수득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D)의 수성 용매는 물과 상용성을 나타내는 실온에서 액상의 물질을 의미하고, (C) 유분과 상용하지 않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그것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D) 수성 용매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 고급 알콜이 형성하는 α겔의 융점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D) 수성 용매를 배합하여 70~80 ℃에서 조제한 W/O 에멀젼에 10~35 ℃의 (F) 물 또는 수성 처방을 첨가 혼합하여 겔화하지 않고 용이하게 미세하고 안정적인 O/W 에멀젼을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D)의 수성 용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나, (D) 수성 용매가 (C) 유분과 상용하는 경우, 또는 상기 수성 용매 중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그것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다른 조건을 모두 만족했다고 해도 안정적인 O/W 미세 에멀젼을 수득할 수 없다.
또한, (D)의 수성 용매로서는 상기와 같은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수성 용매 중에서 (C) 유분 및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의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수성 용매에 있어서, 상기 수성 용매 중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그것보다도 높은지 여부에 대해서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를 상기 수성 용매 중과 수중과의 2 종류의 조건으로 측정하고, 양쪽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비교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결정하면 좋다. 그러나 수성 용매는 대부분의 경우, 수성 용매 단독으로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측정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수중에 상기 수성 용매를 적당량 첨가한 수성 용매-수용액을 조제하고, 상기 수성 용매-수용액 중과, 물(단독)중의 2 종류의 조건으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를 측정하고, 양쪽의 비교를 실시하면 좋다. 수성 용매-수용액 중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값이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값 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상기 수성 용매를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그것 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로 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임의의 수성 용매를 10% 물에 용해한 수성 용매-수용액을 조제하고, 상기 10% 수성 용매-수용액 중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값이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값 보다도 30% 이상 높은 경우에는, 상기 수성 용매를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그것 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5 ℃에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POE(5)도데실에테르인 경우, POE(17)POP(4)디메틸에테르 10% 수용액 중의 임계 미셀 농도(c.m.c)는 1.2×10-4mol/L이고,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 6.5×10-5mol/L 보다도 84% 높으므로 POE(17)POP(4)디메틸에테르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그것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D)의 수성 용매로서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보다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0% 수성 용매-수용액 중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값이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값 보다도 50%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D)의 수성 용매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분자 내에 3개 이하의 수산기를 갖는 수성 용매를 예로 들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1~20몰)·폴리에틸렌글리콜(5~30몰) 공중합물 또는 그 알킬(C1~C5)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1~50몰) 또는 그 알킬(C1~C5)에테르 등의 폴리알킬렌(C2~C4)글리콜 공중합물 또는 그 알킬(C1~C5)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C2~C4, 2~30몰)디알킬(C1~C5)카르본산에스테르,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1,2-펜탄글리콜, 1,2-헥산글리콜, 2-메틸-1,3-프로판올, 에틸카르비톨, 1,2-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C) 유분 및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의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D)의 수성 용매로서는 이들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바람직한 수성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글리콜(1~20몰)·폴리에틸렌글리콜(5~30몰)공중합체 또는 그 디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5~30몰) 또는 그 알킬(C1~C2)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한편, 분자 내에 수산기를 4개 이상 갖는 수용성 물질은 통상 실온에서 고체가 되고, 본 발명의 (D) 수성 용매로서 이용할 수 없는 것이 많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D)의 수성 용매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중에 조제하는 W/O 에멀젼에 대해 5 질량% 이상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질량% 미만이면, 안정적인 O/W 미세 에멀젼의 조제가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C) 유분과 (D)의 수성 용매의 조합으로서는, (D) 수성 용매가 (C) 유분에 상용(相溶)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조합으로서 예를 들면,
(C) 유분이 디메틸폴리실록산인 경우에는 (D) 수성 용매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또는 그 디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그 에틸에테르,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등,
(C) 유분이 시클로디메티콘(5량체)인 경우에는 (D) 수성 용매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또는 그 디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그 에틸에테르 등,
(C) 유분이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인 경우에는 (D) 수성 용매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또는 그 디메틸에테르,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C) 유분이 유동 파라핀인 경우에는 (D) 수성 용매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또는 그 디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그 에틸에테르,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E) 물의 배합량은 도중에 조제하는 W/O 에멀젼 전량에 대해 5~25 중량%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5 중량% 미만이면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O/W 미세 에멀젼의 유화 입자 직경은 커지고, 25 중량%를 초과하면 저에너지로 조제하는 효과가 없어진다.
또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D) 수성 용매 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높을수록 도중의 W/O 에멀젼의 제조에 필요하게 되는 (E) 물의 양은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는 약 70~80 ℃에서 조제된 상기 (A)~(E)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W/O 에멀젼에 추가로 10~35 ℃의 (F) 물 또는 수성 처방을 첨가함으로써 수득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F) 물 또는 수성 처방이라는 것은 물 또는 수성 용매를 주요 매체로서 이루는 처방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물 또는 수성 용매 외에 통상 화장품, 의약품 등에 이용되는 성분을 안정성에 영향이 없는 범위의 배합량으로 배합해도 관계없다.
또한, 본 발명의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최종적인 물의 배합량은 W/O 에멀젼 생성에 이용되는 (E) 물의 배합량과, (F) 물 또는 수성 처방 중에 함유되는 물의 배합량의 합이 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물의 총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 전량에 대해 40~9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 물 또는 수성 처방의 온도는 10~35 ℃가 바람직하고, 15~35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0 ℃ 미만이면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유화 입자 직경이 커지고,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는 경향이 있으며, 35 ℃를 초과하면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직후의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의 개념을 설명한다.
개념
도 1은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농도가 일정 조건하에서의 계면활성제-유-수계에서의 상도(相圖)의 일례이다.
본 발명에서 W/O 에멀젼은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형 고급 알콜, (C) 유분, (D) 물에 자유롭게 용해되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그것보다도 높은 수계 용매, 및 (E) (A)~(E) 전량 중 5~25 중량%의 물을 70∼80 ℃에서 혼합 교반하여 수득된다.
상기 W/O 에멀젼을 교반하면서 서서히 10~35 ℃의 (F) 물 또는 수성 처방을 부가하면, 도 1의 (ⅲ)의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겔화 영역을 통과하지 않고 O/W 영역에 들어가므로, 겔화하지 않고 (C) 유분을 내상으로 하는 O/W 미세 에멀젼으로의 전상이 발생하고, O/W 미세 에멀젼을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수득된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는 입자 직경이 50~500 nm로 매우 작은 입자 직경임에도 불구하고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만약 70~80 ℃ 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혼합 교반하여 W/O 에멀젼을 조제한 경우, α겔의 융점(도 1의 겔 영역의 정점의 온도)을 하회하므로 겔상이 된다. 이 때문에 (E) 물의 배합량을 크게 하거나 이 저온도 영역 그대로 (F) 물 또는 수성 처방을 첨가했다고 해도 도 1의 (ⅱ)와 같이 본 발명의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를 조제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W/O 에멀젼 조제 공정에 있어서, α겔의 융점을 낮추고, 점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특정의 (D) 수성 용매를 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정의 (D) 수성 용매를 배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배합한 경우 보다 겔화 영역이 크고, α겔의 융점도 높아진다. 따라서 70~80 ℃의 고온에서 소수적인 W/O 에멀젼을 조제하고, 이에 10~30 ℃의 (F) 물 또는 수성 처방을 첨가하면 겔화 영역을 통과했을 때 겔화되고, 그 후 아무리 (F) 물 또는 수성 처방을 첨가해도 이미 본 발명과 같은 미세하고 안정적인 O/W 에멀젼을 수득할 수 없다.
종래의 O/W 에멀젼 제조 방법에서는 도 1의 (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보습제 및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미리 용해시켜 70 ℃ 부근으로 가온한 수상에 유분과 고급 알콜을 70 ℃ 부근에서 균일하게 한 유상을 호모게나이저로 교반하면서 유화한 것을 35 ℃ 부근까지 급냉하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제조 방법은 에너지 낭비가 많고, 냉각기에 사용되는 물의 소비량이 커질 뿐만 아니라 입자 직경이 작은 유화물을 조제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는 유화 시 온레이터 등의 냉각기를 이용하지 않고, 다량의 (F) 물 또는 수성 처방을 가열할 필요가 없으므로 저에너지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인체에 대한 자극성이 비교적 작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의해서만 유화되는 것이므로 안전성이 우수하다. 또한, 온레이터와 같은 냉각기를 이용하여 동일 성분으로 제조한 O/W 에멀젼과 비교해도 산뜻하면서 진한 우수한 사용성을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은 미리 제조한 W/O 에멀젼에 물 또는 수성 처방 중에 배합하는 것만으로 양호한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로 할 수 있으므로 종래 이용되어 온 제조 공정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는 예를 들면 피부, 두발 등 신체에 적용할 수 있는 피부 화장료, 두발 세정료, 피부 세정료, 정발료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에는 상기 필수 성분 외에 통상 화장품, 의약품 등에 이용되는 성분을 안정성에 영향이 없는 범위의 배합량으로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아보가드유, 마카데미아너트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월견초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다실유, 쌀겨유, 호호바유, 카카오유, 야자유, 스쿠알렌, 우지, 목랍, 밀랍, 칸데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고래 왁스, 라놀린, 유동 파라핀, 폴리옥시에틸렌(8몰)올레일알콜에테르, 모노올레인산글리세릴 등의 유분.
카프릴알콜, 라우릴알콜, 미리스틸알콜, 콜레스테롤, 피트스테롤 등의 고급 알콜.
카프린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헤닌산, 라놀린 지방산, 리놀산, 리놀레인산 등의 고급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 알킬에테르, 글리세린,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 무코 다당, 히알루론산, 콘드로이친 황산, 키토산 등의 보습제.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아라비아검, 폴리비닐알콜 등의 증점제.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 등의 유기 용제.
부틸히드록시톨루엔, 토코페롤, 피틴산 등의 산화방지제.
안식향산, 사리실산, 소르빈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 헥사클로로펜 등의 항균 방부제.
글리신, 알라닌, 발린, 로이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아스파라긴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타우린, 알기닌, 히스티딘 등의 아미노산과 염산염.
아실사르코신산(예를 들면,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글루타티온, 구연산, 말산, 주석산, 락트산 등의 유기산.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 비타민 B6 염산염, 비타민 B6 트리팔미테이트, 비타민 B6 디옥타노에이트, 비타민 B2 및 그 유도체, 비타민 B12, 비타민 B15 및 그 유도체 등의 비타민 B류,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빈산인산에스테르(염), 아스코르빈산디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 C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비타민 E 니코티네이트 등의 비타민 E류, 비타민 D류, 비타민 H, 판토텐산, 판테틴 등의 비타민류, 니코틴산아미드, 니코틴산벤질, γ-올리자놀, 아란토인, 글리틸리틴산(염), 글리틸레틴산 및 그 유도체, 히노퀴티올, 무시딘, 비사보롤, 유칼립톨, 티몰, 이노시톨, 사포닌류(사이코사포닌, 인삼 사포닌, 수세미 사포닌, 무환자나무 사포닌 등),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트라넥삼산, 세퍼란틴, 플라센털 익스트랙트(placental extract) 등의 각종 약제.
참소리쟁이, 고삼, 개구리연, 오렌지, 샐비어, 타임, 톱풀, 당아욱, 천궁, 자주쓴풀, 당귀, 가문비나무, 자작나무, 쇠뜨기, 수세미외, 마로니에, 범의귀, 아루니카, 백합, 쑥, 작약, 알로에, 치자나무, 화백나무 등의 유기 용제, 알콜, 다가 알콜, 물, 수성 알콜 등에서 추출한 천연 엑기스.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염화벤잘코늄, 라우릴아민옥사이드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에데트산2나트륨, 에데트산3나트륨, 구연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린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 봉쇄제.
또한, 그 외에 분말 성분,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피막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향료, 스크럽제 등도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의 배합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1
(1)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60몰)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제, 에머렉스GWIS-160(HLB19)] 5.5 질량%, (B)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형 고급 알콜로서 탈취 세탄올(고큐 아루코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4.5 질량%, (C) 유분으로서 유동 파라핀(닛폰 세키유 가부시키가이샤제, 유동 파라핀 E) 10 질량%, (D)의 수성 용매로서 디프로필렌글리콜 5 질량%, (E) 물 5 질량%를 배합한 조성물을 70 ℃로 가온하여 혼합 교반한 바, W/O 에멀젼을 수득했다.
(2) 계속해서 상기 (1)에 의해 수득된 W/O 에멀젼을 교반하면서 (F) 20 ℃의 물 70 질량%를 서서히 첨가하여 미청백색 O/W 미세 에멀젼을 수득했다(제조예 1-1).
그 결과, 물 20 질량%를 첨가한 시점에서 조성물은 미청백색의 O/W 미세 에멀젼이 되었다.
상기 제조예 1-1의 조성물의 O/W 미세 에멀젼의 400배의 현미경 사진을 도 2의 좌측에 도시한다. 본 현미경 사진에 의해 상기 제조예 1-1에 의해 수득된 O/W 미세 에멀젼은 입자 직경 300 nm 정도의 O/W 미세 에멀젼인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1
(1)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60몰) 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제, 에머렉스 GWIS-160(HLB19)] 5.5 질량%, (D)의 수성 용매로서 디프로필렌글리콜 5 질량%, (E) 물 75 질량%를 70 ℃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했다.
(2) (B)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형 고급 알콜로서, 탈취 세탄올(고큐 아루코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4.5 질량%, (C) 유분으로서 유동 파라핀(닛폰 세키유 가부시키가이샤제, 유동 파라핀) 10 질량%를 70 ℃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했다.
(3) (1)의 성분에 호모게나이저로 교반하면서 70 ℃에서 (2)를 첨가하여 유화하여 조제한 O/W 에멀젼을 온레이터에 통과시켜 35 ℃까지 냉각하여 O/W 에멀젼을 수득했다.
상기 비교예 1-1의 조성물의 O/W 에멀젼의 400배의 현미경 사진을 도 2의 우측에 도시한다. 본 현미경 사진에 의해 상기 비교예 1-1에 의해 수득된 O/W 에멀젼은 입자 직경 1~5㎛ 정도의 O/W 에멀젼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의 현미경 사진을 비교하면, 제조예 1-1은 처방 성분이 비교예 1-1과 동일하면서 훨씬 미세한 유화 입자 직경의 O/W 미세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2
(D)의 수성 용매로서 폴리옥시에틸렌(14몰) 폴리옥시프로필렌(7몰) 공중합체 디메틸에테르 5 질량%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미청백색 O/W 미세 에멀젼을 수득했다(제조예 1-2).
그 결과, (E) 물을 25 중량% 첨가한 시점에서 안정적인 O/W 미세 에멀젼 조성물이 되었다.
상기 제조예 1-2의 조성물의 O/W 미세 에멀젼의 400배의 현미경 사진을 도 3의 좌측에 나타낸다. 본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상기 제조예 1-2에 의해 수득된 O/W 미세 에멀젼은 입자 직경 100 nm 정도의 O/W 미세 에멀젼인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2
(D)의 수성 용매로서 폴리옥시에틸렌(14몰) 폴리옥시프로필렌(7몰) 공중합체 디메틸에테르 5 질량%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했다.
상기 비교예 1-2의 조성물의 O/W 에멀젼의 400배의 현미경 사진을 도 3의 우측에 도시한다. 본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상기 비교예 1-2에 의해 수득된 O/W 에멀젼은 입자 직경 1~10 ㎛ 정도의 O/W 에멀젼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의 현미경 사진을 비교하면, 제조예 1-2는 처방 성분이 비교예 1-2와 동일하면서 훨씬 미세한 유화 입자 직경의 O/W 미세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조예 1-1~1-2, 비교예 1-1~1-2의 O/W 에멀젼의 유화 입자와 안정성에 의한 평가 결과에 대해 각종 조성물의 배합 조성과 함께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또한, 평가 내용은 이하와 같고, 하기 표의 양은 질량%로 나타내고 있다.
O/W 미세 에멀젼 유화 입자 직경
제조예 1-1~1-2, 비교예 1-1~1-2에 의해 생성한 에멀젼 조성물에 대해 O/W 에멀젼의 입자 직경과 현미경 사진을 나타냈다.
O/W 미세 에멀젼 안정성
상기 제조예 1-1~1-2, 비교예 1-1~1-2에 의해 생성한 O/W 에멀젼 조성물을 1개월간 50 ℃로 보존하여 안정성을 평가했다.
○: O/W 에멀젼은 분리되지 않음
×: O/W 에멀젼은 분리됨
Figure pct00001
상기 표 1 및 도 1, 도 2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이용한 O/W 에멀젼은 종래의 온레이터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공정의 O/W 에멀젼에 비해 저에너지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우수하고, 또한 수고도 들지 않으며, 유화 입자 직경은 훨씬 미세하고, 안정적인 것이 명확해졌다.
계속해서 본 발명자들은 O/W 미세 에멀젼으로 전상시키는 조제 공정 시에 첨가하는 (F) 물 또는 수성 처방의 적합한 온도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상기 표 1의 제조예 1-1과 동일한 처방으로 (F) 물의 온도를 적의 변화시키고, 각각의 유화 안정성을 검토했다.
Figure pc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조예 1-1과 동일한 배합 처방으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F) 이온 교환수의 온도를 적의 변화시켜 각각의 유화 안정성을 검토했다.
그 결과, 첨가하는 (F) 이온 교환수의 온도를 10~35 ℃, 특히 15~35 ℃로 한 경우(제조예 2-2~2-7)에는 유화 입자가 미세하고, 우수한 안정성이 수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F) 이온 교환수의 온도를 5 ℃로 한 경우(제조예 2-1), 유화 입자 직경이 큰 에멀젼이 생성되고, 목적으로 하는 O/W 미세 에멀젼을 수득할 수 없었다. 또한 40 ℃로 한 경우에도 안정성이 떨어졌다(제조예 2-8).
또한, 상기 제조예 2-2~2-7에 의해 생성한 O/W 에멀젼 조성물에 대해 도 4에 현미경 사진을 도시했다. 이들 도면으로도 판단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첨가하는 (F) 이온 교환수의 온도를 10~35 ℃로 한 경우, 유화 입자 직경이 매우 미세한 것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자들은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형 고급 알콜의 조합에 의한 O/W 에멀젼 조성물의 안정성 향상 기구에 대해 검토를 실시했다. 제조 방법은 상기 제조예 1-1에 준했다.
Figure pc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예 3-1~3-12에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 고급 알콜의 합계 배합량을 10 질량%로 하고, 그 배합 비를 적의 변화시켜 각각의 유화 안정성을 검토했다.
그 결과,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 고급 알콜의 배합 비율을 3:7~7:3으로 한 경우(시험예 3-3~3-10)에는 각각 단독의 경우(시험예 3-1 및 3-12)나 배합 비율이 2:8 및 8:2로 한 경우(시험예 3-2 및 3-11)와 비교하여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안정성이 수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험예 3-4~3-8에 의해 생성한 O/W 에멀젼 조성물에 대해 도 5에 현미경 사진을 도시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판단할 수 있는 바와 같이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 고급 알콜의 배합 비율을 3:7~7:3으로 한 경우, 유화 입자 직경이 매우 미세한 것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자들은 안정적인 O/W 에멀젼의 조제에 사용하는 바람직한 (D) 수성 용매에 대해 검토를 실시했다. 제조 방법은 상기 제조예 1-1에 준했다.
Figure pct00004
상기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분자 내에 3개 이하의 수산기를 갖고,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수중에서의 cmc 보다도 높은 cmc를 부여하는 수성 용매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7몰)·폴리에틸렌글리콜(14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분자량 1000), 이소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을 배합한 경우(시험예 4-1~4-5)는 유화 입자가 미세하고, 안정성이 높은 O/W 에멀젼을 수득할 수 있었다.
한편, 분자 내 4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에리스리톨(시험예 4-6) 또는 말티톨(시험예 4-7)을 배합한 경우에는 O/W 에멀젼의 조제 공정 중에 단단한 겔이 되어 목적으로 하는 O/W 미세 에멀전 외용제가 수득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안정성이 우수한 O/W 미세 에멀젼을 조제하기 위한 (E) 물의 배합 비에 대해 검토를 진행했다. 제조 방법은 상기 제조예 1-1에 준했다.
Figure pct00005
상기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O/W 미세 에멀젼을 조제하기 위해 바람직한 (E) 물의 배합 비를 검토했다.
그 결과, (E) 물의 배합량이 1~4 질량%인 경우, 입자 직경이 커지고,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었다(시험예 5-1~5-4). 그러나 (E) 물의 배합량이 5~25 질량%인 경우에는 O/W 미세 에멀젼의 입자 직경은 매우 미세하게 되고,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게 되었다(시험예 5-5~5-7). 그러나 (E) 물의 배합량을 25 질량% 보다 많이 배합시킨 경우, 유화의 효율이 나빠지는 것이 명확해지고, 또한 가온하지 않으면 안되는 용량이 커지므로 저에너지로 조제하는 효과가 없어지는 것이 명확해졌다(시험예 5-8).
또한, 상기 시험예 5-1~5-5에 의해 생성한 O/W 에멀젼 조성물에 대해 도 6에 현미경 사진을 도시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판단할 수 있는 바와 같이 (E) 물의 배합량이 5 질량%인 경우, 유화 입자 직경이 매우 미세한 것을 알 수 있다(시험예 5-5).
실시예 2
이하, 실시예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추가 설명을 실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기 처방 중의 양은 질량%로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1
미용액 배합량(질량%)
(1) 디메틸폴리실록산 1.2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실리콘KF96-A-6cs)
(2) 베헤닐알콜 0.7
(3)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0.76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실리콘KF6017)
(4)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0.5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제, 에머렉스GWIS-120)
(5) 1,3-부틸렌글리콜 1.0
(6) 향료 0.1
(7) 이온 교환수 1.0
(8) 1,3-부틸렌글리콜 2.0
(9) 글리세린 4.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3
(11) 수산화칼륨 0.01
(12) 트라넥삼산 0.1
(13) 이온 교환수 88.5
성분 (1)~(7)을 75 ℃로 가온하여 교반하고, W/O 에멀젼을 수득한 후, 이것에 미리 25 ℃에서 혼합한 (8)~(13)의 수성 성분을 호모게나이저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여 미용액을 수득했다. 수득된 미용액은 유상, 수상을 각각 75 ℃로 가온 유화한 후, 온레이터로 냉각한 동일 처방의 미용액에 비해 유화 입자 직경이 미세하고, 안정적이고 산뜻하지만 진한 사용 감촉이었다.
실시예 2-2
크림 배합량(질량%)
(1) 유동 파라핀 3.14
(2) 디이소스테아린산디글리세릴 1.88
(3) 폴리옥시에틸렌(60몰) 경화 피마자유 글리세릴 1.25
(4) 베헤닐알콜 3.0
(5) 스테아릴알콜 1.0
(6) 향료 0.1
(7) 디프로필렌글리콜 3.0
(8) 이온 교환수 1.0
(9) 글리세린 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0
(11) 수산화칼륨 0.3
(12) 카밀레 추출액 0.1
(13) 이온 교환수 79.23
성분 (1)~(8)을 75 ℃로 가온하여 교반하고, W/O 에멀젼을 수득한 후, 이것에 미리 30 ℃에서 혼합한 (9)~(13)의 수성 성분을 호모게나이저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여 크림을 수득했다. 수득된 크림은 유상, 수상을 각각 75 ℃로 가온 유화한 후, 온레이터로 냉각한 동일 처방의 크림에 비해 유화 입자 직경이 미세하고, 안정적이고 산뜻하지만 진한 사용 감촉이었다.
실시예 2-3
클렌징로션 배합량(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2.1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KF-995)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88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실리콘KF6017)
(3)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1.25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제, 에머렉스GWIS-120)
(4) 탈취 세탄올 0.5
(5) 향료 0.1
(6) 폴리에틸렌글리콜400 2.0
(7) 이온 교환수 1.0
(8) 라우로일N-메틸타우린나트륨 0.5
(9) 이온 교환수 80.67
성분 (1)~(7)을 70 ℃로 가온하여 교반하여 W/O 에멀젼을 수득한 후, 이것에 미리 25 ℃로 혼합한 (8)~(9)의 수성 성분을 호모게나이저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여 클렌징 로션을 수득했다. 수득된 클렌징 로션은 유상, 수상을 각각 70 ℃로 가온 유화한 후, 온레이터로 냉각한 동일 처방의 크림에 비해 유화 입자 직경이 미세하고, 안정적이고 펴발림이 좋은 사용 감촉이었다.
실시예 2-4
유액 배합량(질량%)
(1)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펜타에리트릿 1.0
(2) 베헤닐알콜 0.4
(3) 바틸알콜 0.2
(4)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0.91
(5) 이소스테아린산콜레스테릴 0.5
(6) 폴리옥시에틸렌(60몰)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1.2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제, 에머렉스GWIS-160)
(7) 폴리옥시에틸렌(5몰)스테아린산글리세릴 0.8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제, 에머렉스GM-5)
(8) 트리스테아린산글리세릴 2.5
(9) 스쿠알란 4.5
(10) 디메틸폴리실록산 1.0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실리콘 KF96-A-6cs)
(11) 향료 0.09
(12) 디프로필렌글리콜 7.0
(13) 이온 교환수 5.0
(14) 에리스리톨 1.3
(15) 다이나마이트글리세린 6.0
(16) 페녹시에탄올 0.3
(17)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2
(18) 가성(苛性) 칼리 0.054
(19) 헥사메타린산소다 0.03
(20) 이온 교환수 67.096
성분 (1)~(13)을 75 ℃로 가온하여 교반하고, W/O 에멀젼을 수득한 후, 이것을 미리 20 ℃로 혼합한 (14)~(20)의 수성 성분을 호모게나이저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여 유액을 수득했다. 수득된 유액은 유상, 수상을 각각 75 ℃로 가온 유화한 후, 온레이터로 냉각한 동일 처방의 유액에 비해 유화 입자 직경이 미세하고, 안정적이며 펴발림이 좋은 진한 사용 감촉이었다.

Claims (7)

  1.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형 고급 알콜;
    (C) 유분;
    (D) 물에 용해하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그것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 및
    (E) (A)~(E) 전량 중 5~25 중량%의 물;
    을 70~80 ℃로 혼합 교반하여 W/O 에멀젼을 조제하는 W/O 에멀젼 조제 공정; 및
    상기 W/O 에멀젼 중에 10~35 ℃의 (F) 물 또는 수성 처방을 혼합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O/W 미세 에멀젼으로 전상(轉相)시키는 O/W 미세 에멀젼 조제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입자 직경 50~500 nm의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가 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형 고급 알콜의 질량비가 3:7~7: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유분의 배합량이 상기 W/O 에멀젼 중 1~4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 수성 용매의 배합량은 상기 W/O 에멀젼 중 5 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 수성 용매가 분자 내에 3개 이하의 수산기를 갖는 수성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D) 수성 용매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또는 이의 디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이의 알킬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KR1020117016141A 2009-01-14 2010-01-14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KR101337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05531 2009-01-14
JPJP-P-2009-005531 2009-01-14
PCT/JP2010/050341 WO2010082602A1 (ja) 2009-01-14 2010-01-14 O/w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335A true KR20110107335A (ko) 2011-09-30
KR101337811B1 KR101337811B1 (ko) 2013-12-06

Family

ID=4233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141A KR101337811B1 (ko) 2009-01-14 2010-01-14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74731A1 (ko)
EP (1) EP2387985B1 (ko)
JP (1) JP5047369B2 (ko)
KR (1) KR101337811B1 (ko)
CN (1) CN102281858B (ko)
ES (1) ES2460878T3 (ko)
WO (1) WO20100826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37B1 (ko) * 2013-03-22 2014-09-12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에멀젼형 컬러베이스의 전상유화를 이용한 색조 화장료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4094A1 (en) * 2009-09-04 2012-06-28 Shiseido Company, Ltd. Production Method Of High-Viscosity O/W Cream
WO2011027811A1 (ja) * 2009-09-04 2011-03-10 株式会社 資生堂 O/w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EP2682094A4 (en) * 2011-03-01 2014-09-10 Shiseido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OIL-IN-WATER EMULSION COMPOSITION
JP5887112B2 (ja) * 2011-11-28 2016-03-16 花王株式会社 板状αゲル組成物の製造方法
CN103690425B (zh) * 2013-12-12 2015-07-22 上海应用技术学院 一种o/w型含柠檬精油亚微米乳液及其制备方法
JP5889467B2 (ja) 2014-06-13 2016-03-22 株式会社 資生堂 αゲル中間体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αゲル含有O/W乳化化粧料の製造方法
ES2724463T3 (es) * 2014-06-13 2019-09-11 Shiseido Co Ltd Composición intermedia de gel alfa, y procedimiento de producción para cosmético en emulsión O/W que contiene alfa gel usando dicha composición
KR102354413B1 (ko) * 2014-12-02 2022-01-21 코웨이 주식회사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604722A (zh) * 2014-12-19 2017-04-26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制剂
FR3030231B1 (fr) * 2014-12-23 2018-08-24 L'oreal Utilisation d'un ester d'acide gras pour matifier la peau et composition comprenant cet ester
WO2016121696A1 (ja) * 2015-01-30 2016-08-04 東洋紡株式会社 ポリ乳酸含有水系分散体
JP6501151B2 (ja) * 2015-03-31 2019-04-17 日油株式会社 乳液状クレンジング料
WO2017081725A1 (ja) * 2015-11-09 2017-05-18 花王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CN107582440B (zh) * 2017-11-02 2019-01-22 花安堂生物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泛蓝光微乳浓缩液及其制备方法
US11800917B2 (en) * 2018-08-30 2023-10-31 L'oreal Hair-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CN111449977A (zh) * 2020-03-20 2020-07-28 上海臻臣化妆品有限公司 一种水溶性的凡士林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306196B (zh) * 2021-12-31 2024-01-23 深圳市瑞茵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组装美白活性复合物胶束的制备方法及护肤产品
CN115737555A (zh) * 2022-05-20 2023-03-07 深圳海王医药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千金藤素自微乳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8413B2 (ja) * 1987-12-14 1997-03-05 ライオン株式会社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の製造方法
DE4010393A1 (de) * 1990-03-30 1991-10-02 Henkel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el-in-wasser-cremes
JP3853868B2 (ja) * 1996-03-23 2006-12-06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型乳化組成物
FR2788007B1 (fr) * 1999-01-05 2001-02-09 Oreal Nanoemulsion a base de copolymeres blocs d'oxyde d'ethylene et d'oxyde de propylene, et ses utilisations dans les domaines cosmetique, dermatologique et/ou ophtalmologique
JP2003012492A (ja) * 2001-07-02 2003-01-15 Noevir Co Ltd 化粧料
JP4762495B2 (ja) * 2004-01-06 2011-08-31 株式会社 資生堂 O/w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WO2005065630A1 (ja) * 2004-01-06 2005-07-21 Shiseido Co., Ltd. 一相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o/w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4681234B2 (ja) * 2004-01-06 2011-05-11 株式会社資生堂 一相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TE372813T1 (de) * 2004-07-09 2007-09-15 Johnson & Johnson Gmbh Kosmetische zusammensetzung zur entfernung von schminke sowie ein artikel enthaltend genannte zusammensetzung
EP2438910A1 (en) * 2004-08-31 2012-04-11 Stiefel Research Australia Pty Ltd Microemulsion & sub-micron emulsion process & compositions
JP5053557B2 (ja) * 2006-03-24 2012-10-17 株式会社 資生堂 白濁状水中油型乳化化粧料の製造方法
JP4798072B2 (ja) 2007-06-22 2011-10-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充電器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37B1 (ko) * 2013-03-22 2014-09-12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에멀젼형 컬러베이스의 전상유화를 이용한 색조 화장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811B1 (ko) 2013-12-06
EP2387985A1 (en) 2011-11-23
EP2387985A4 (en) 2012-07-25
JP5047369B2 (ja) 2012-10-10
WO2010082602A1 (ja) 2010-07-22
EP2387985B1 (en) 2014-04-02
CN102281858A (zh) 2011-12-14
CN102281858B (zh) 2013-05-01
JPWO2010082602A1 (ja) 2012-07-05
US20110274731A1 (en) 2011-11-10
ES2460878T3 (es)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811B1 (ko)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JP4709320B2 (ja) O/w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270330B1 (ko)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및 그 제조 방법
JP4729126B2 (ja) 高粘度o/wクリームの製造方法
RU2459613C2 (ru) Композиция эмульсии "масло в воде"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JP5244989B2 (ja) O/w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4073991A (ja) 乳化組成物
JP3489703B2 (ja) 微細エマルション組成物
KR101861659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8100937A (ja) O/w微細乳化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94229A (ja) O/w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30994A (ja) 化粧料
JP5824323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2008230995A (ja) 化粧料
KR102381622B1 (ko) 쌀겨왁스의 안정화 방법 및 고 함량의 쌀겨왁스를 안정화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7169174A (ja) O/w型乳化組成物
KR20130028480A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75049A (ko)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유화 화장료
JP5483547B2 (ja) 化粧料
JP2007262038A (ja) 水中油型液状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