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330B1 -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330B1
KR101270330B1 KR1020067010442A KR20067010442A KR101270330B1 KR 101270330 B1 KR101270330 B1 KR 101270330B1 KR 1020067010442 A KR1020067010442 A KR 1020067010442A KR 20067010442 A KR20067010442 A KR 20067010442A KR 101270330 B1 KR101270330 B1 KR 101270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hase
nonionic surfactant
aqueous solvent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0175A (ko
Inventor
레이지 미야하라
히로유키 가코키
노조미 오구치
다카시 오오모리
도시히코 나카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01451A external-priority patent/JP47624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01450A external-priority patent/JP468123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6012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8Micro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유분, (D) 상기 유분과 상용성이 없는 수성 용매[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 및 (E) 물을 적절한 비율로 조정함으로써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안전성이 높고 또한 수성 처방에 첨가한 경우에 초미세에멀젼으로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MONOPHASE MICROEMULSION COMPOSITION, O/W ULTRAFINE EMULSION EXTERNAL FORMULA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특히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간이화, 조성물의 안전성, 또는 이를 수성 처방 첨가하여 수득되는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의 안전성, 안정성의 향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화장품, 의약품, 농약, 수성 도료, 왁스, 식품 등의 여러 분야에서, 초미세에멀젼 제제가 사용되고 있고, 특히 O/W 초미세에멀젼 제제를 외용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초미세에멀젼 제제를 조제하는 방법으로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수득되는 1상 마이크로에멀젼을 수성 처방 중에 배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제 1 방법은 고 HLB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에 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 등의 탄화수소유를 첨가하고 온도를 높여가면,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운점(曇点, cloud point) 앞에서, 탄화수소유의 가용화량이 급격하게 증대하는 영역이 나타나는 것이다(시노다 고조 저, 「용액과 용해도」, 마루젠, 1991년, p.209 ~ 225 참조). 상도(相圖)에 도시한 가용화 한계온도로부터 운점까지의 1액상 영역(Iw)에서는 수상 중으로의 오일의 용해도가 극적으로 증대하고, 소위 1상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부터 검토되고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탄화수소계에서 수득되는 1상 마이크로에멀젼 영역은 그 친수성-친유성이 유지된 매우 좁은 온도영역(수 ℃ 내지 10 ℃ 정도)에서는 열역학적으로 안정되어 있지만, 상기 온도영역을 약간이라도 벗어나면 계는 백탁되어, 이윽고 2상으로 분리된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1상 마이크로에멀젼을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응용하는 것은 매우 곤란했다.
제 2 방법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펜타놀, 헥사놀, 옥타놀 등의 보조 계면활성제(cosurfactant)를 조합하여 계의 친수-친유 균형을 맞추고, 그 매우 좁은 범위에서 탄화수소유의 가용화량이 급격하게 증대되는 영역을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 3 방법은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특정의 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조합에 전해질을 가하고, 그 조성 중에서 계의 친수-친유 균형이 잡힌 매우 좁은 비율의 범위에서, 탄화수소유의 가용화량이 급격하게 증대되는 영역을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시노다 고조, 사이조 히로유키, 유(油)화학, 35, 308 ~ 314(1986),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12831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8-131127호 참조]. 또한, 제 4 방법으로서, 실리콘유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조합하여 친수-친유 균형을 조정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20524호 참조).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온도에 대한 안정성은 높지만, 수득되는 1상 마이 크로에멀젼이 열역학적으로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조성이 매우 한정되어 있고, 상기 범위를 벗어남으로써 백탁 분리가 일어나므로, 실제 제품의 처방은 상당히 한정되고, 또는 복잡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온성 계면활성제나 보조 계면활성제의 배합은 인체에 대한 안전성·자극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물과 기름을 포함하는 유체 혼합물에 강한 전단력을 가하여 에멀젼 입자를 미세화한 초미세에멀젼을 수득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1265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93131호 참조). 이들은 예를 들어 가울린 타입(Gaulin type)의 고압 호모지나이저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시료를 고압에서 좁은 간극으로부터 압출하고, 상압으로 이행할 때의 캐비테이션(cavitation)과 난류에 의해 분산입자를 미세화하는 방법이다. 또한, 새로운 타입의 고압유화장치도 제안되어 있지만, 고압유화장치에서는 유화되는 압력을 높게 설정하면 처리시에 베이스 온도가 상승하는 점에서, 에멀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일본 특허공보 평2-9765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47580호 참조).
또한, 초음파 조사 등으로 처리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지만, 초음파에서는 대규모 제조는 곤란했다. 이상과 같이, 물리적인 방법에 의해 초미세에멀젼을 조제하고자 한 경우에는 큰 에너지를 필요로 하므로, 고압유화장치와 같은 특별한 장치가 필요로 되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안전성이 높고 또한 수성 처방에 첨가한 경우에 초미세에멀젼으로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은 연구자들의 큰 과제로 되어 있었다.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유분, (D) 상기 유분과 상용성(相溶性)이 없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보다 높은 수성 용매, 및 (E) 물을 적절한 비율로 조정함으로써,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실온에서 혼합·교반하는 것만으로, 열역학적으로 안정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수득되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수득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수성 처방 중에 첨가함으로써, 안정성이 우수한 입자경 10 ㎚ 내지 500 ㎚의 O/W 초미세에멀젼이 수득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제 1 주제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유분, (D) 상기 유분과 상용성이 없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보다 높은 수성 용매, 및 (E)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이다.
또한, 상기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에 있어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가 13 이상,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가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에 있어서, (C) 유분의 배합량이 10 질량% 내지 4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에서, (C) 유분이 실리콘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에 있어서, (C) 유분이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에 있어서, (D) 수성 용매가 분자내에 3개 이하의 수산기를 갖는 수성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에서, (D) 수성 용매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또는 이의 디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이의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디카르본산 에스테르,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주제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유분, 및 (D) 상기 유분과 상용성이 없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를 혼합 교반하여 W/O 에멀젼을 조제하는 W/O 에멀젼 조제 공정; 및 상기 W/O 에멀젼 중에 (E) 물을 첨가하여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으로 상전이(轉相)시키는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전이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주제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유분, (D) 상기 유분과 상용성이 없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 및 (E) 물을 함유하고, 유화 입자경이 10 ~ 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주제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유분, 및 (D) 상기 유분과 상용성이 없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를 혼합 교반하고 W/O(유중수성 용매형) 에멀젼을 조제하는 W/O 에멀젼 조제 공정; 상기 W/O 에멀젼 중에 (E) 물을 첨가하고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으로 상전이시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을 조제하는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제 공정; 및 상기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을 (F) 수성 처방에 추가로 첨가하여 O/W 초미세에멀젼을 조제하는 O/W 초미세에멀젼 조제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상기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가 13 이상이며,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가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C) 유분의 배합량이 10 질량% 내지 4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C) 유분이 실리콘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C) 유분이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D) 수성 용매가 분자 내에 3개 이하의 수산기를 갖는 수성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D) 수성 용매가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또는 이의 디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이의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디카르본산 에스테르,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글리세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은 고압유화장치와 같은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수성 처방 중에 첨가함으로써, 용이하게 장기간 안정적인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를 수득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하여 수득된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는 입자경이 10 ㎚ 내지 500 ㎚로 매우 작음에도 불구하고 안정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의 생성에 대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1에서 수첨가량과 온도를 변화시켰을 때의 상평형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1-1에 의해 수득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 물을 수중에 적하하고, 실온에서 1개월간 보존 후, 광산란법에 의해 입자경을 측정한 측정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상술한다.
본 발명에 관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은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유분, (D) 상기 유분과 상용성이 없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물의 임계 미셀 농도 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 및 (E)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유분, (D) 상기 유분과 상용성이 없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물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 및 (E) 물을 함유하고, 유화 입자경이 10 ㎚ 내지 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1상 마이크로에멀젼」이라는 것은 물/계면활성제/유계에서, 투명 또는 반투명의 1액상(유분이 완전히 가용화된 미셀 수용액상, 또는 수분이 완전히 가용화된 미셀 유용액상)으로 이루어지고, 열역학적으로 안정적인 계의 조성물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초미세에멀젼」이라는 것은 물/계면활성제/유계에서 2액상으로 이루어진 유화계(유상이 수상 중에 유화된 계, 또는 수상이 유상 중에 유화된 계)이고, 투명 또는 반투명한 정도로 유화 입자가 미세화된,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계의 조성물을 말한다.
또한, 상기 「1상 마이크로에멀젼」과 「초미세에멀젼」은 모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조성물이므로, 외관만에 의한 구별은 곤란하지만, 예를 들어 한번 고온으로 온도를 높이고 나서 원래의 온도로 되돌린 경우에, 동일한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면 「1상 마이크로에멀젼」(열역학적으로 안정), 동일한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는 것이면 「초미세에멀젼」(열역학적으로 불안정)으로 하여 양자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성 용매 중에 투명하게 미셀 용해하는 것이고, 특히 HLB가 1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말티톨히드록시 지방족 알킬에테르, 알킬화 다당, 알킬글루코시드,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성 용매 중에 미셀 용해하지 않는 것으로, 특히 HLB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지방산 소르비탄,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알카로일디에탄올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질량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3 : 7 ~ 7 : 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을 벗어나면 안정적인 1상 마이크로에멀젼이 생성되는 영역이 매우 좁아지는 경우가 있다.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계량이, (C) 유분 1부에 대해서 0.5 ~ 2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0.5부 미만인 경우에는 계면활성제 양이 적으므로, 안정성이 높은 1상 마이크로에멀젼이 수득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2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계면활성제 양이 너무 많으므로, 안전성상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C) 유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실리콘유,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등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들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C) 유분으로서는 실리콘유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유의 예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시클로메티콘, 디페닐폴리실록산, 알킬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C) 유분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조성물 전량의 10 질량% 내지 40 질량%가 바람직하다. 40 질량%를 초과하면 안정성이 높은 1상 마이크로에멀젼이 수득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D)의 수성 용매는 (C) 유분과 상용성이 없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 (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D)의 수성 용매가 (C) 유분과 상용성이 있는 경우, 또는 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 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다른 조건을 모두 만족하고 있었다고 해도, 안정적인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을 수득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라는 것은 25 ℃의 온도 조건에서 측정된 임계 미셀 농도(c.m.c)인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D)의 수성 용매로서는 상기와 같은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수성 용매 중에서 (C) 유분 및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성 용매라는 것은 물과 상용성을 나타내는 실온에서 액상의 물질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1가 알콜류, 다가 알콜류, 케톤류, 알데히드류, 에테르류, 아민류, 저급 지방산류, 폴리에틸렌글리콜류 또는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수성 용매에서 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 보다도 높은지 여부에 대해서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를 상기 수성 용매에서와 수중에서의 2종류의 조건에서 측정하고, 쌍방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비교를 실시함으로써 결정하면 좋다. 그러나, 수성 용매는 많은 경우, 수성 용매 단독으로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측정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수중에 상기 수성 용매를 적당량 첨가한 수성 용매-수용액을 조제하고, 상기 수성 용매-수용액 중과, 수(단독)중과의 2종류의 조건에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를 측정하고, 쌍방의 비교를 실시하면 좋다. 수성 용매-수용액 중에서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값이,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수성 용매를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 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임의의 수성 용매를 10 % 물로 용해한 수성 용매-수용액을 조제하고, 상기 10 % 수성 용매-수용액 중에서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값이,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값보다도 0.01 g/100 g 이상 높은 경우에는 상기 수성 용매를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인 경우, 폴리옥시에틸렌(14몰)폴리옥시프로필렌(7몰)디메틸에테르 10 % 수용액 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는 0.51 g/100 g이고,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 0.26 g/100 g 보다도, 0.25 g/100 g 높으므로, 폴리옥시에틸렌(14몰)폴리옥시프로필렌(7몰)디메틸에테르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 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D)의 수성 용매로서는 상기 수성 용매 중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보다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0 % 수성 용매-수용액 중에서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값이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값보다도 0.01 g/100 g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g/100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 g/100 g 이상이다. (D) 수성 용매 중의 (A)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차가 너무 작으면,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의 안정적인 영역이 좁아지므로, 계가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C) 유분과 (D) 수성 용매의 조합으로서는, (D) 수성 용매가 (C) 유분에 상용성이 없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어 (C) 유분이 디메틸폴리실록산인 경우에는 (D) 수성 용매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또는 그 디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이의 에틸에테르,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등, (C)가 시클로디메티콘(5량체)인 경우에는 (D) 수성 용매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또는 이의 디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이의 에틸에테르 등, (C)가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인 경우에는 (D) 수성 용매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또는 이의 디메틸에테르,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D)의 수성 용매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분자 내에 3개 이하의 수산기를 갖는 수성 용매를 들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물 또는 그 알킬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그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디카르본산 에스테르,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1,2-펜탄글리콜, 1,2-헥산글리콜, 2-메틸-1,3-프로판올, 에틸카르비톨, 1,2-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C) 유분, 및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D)의 수성 용매로서는 이들의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한편, 분자 내에 수산기를 4개 이상 갖는 수용성 물질은 통상, 실온에서 고체가 되고, 본 발명의 (D) 수성 용매로서 사용할 수 없는 것이 많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D)의 수성 용매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성물 전량에 대해서 5 질량% 이상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질량% 미만이면, 안정적인 1상 마이크로에멀젼상의 영역이 매우 좁아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E) 물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되는 (A) 내지 (D)의 종류나 배합량에 따라서, 1상 마이크로에멀젼이 형성되는 영역내가 되도록, 배합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D) 수성 용매 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높을수록,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의 형성에 필요로 되는 (E) 물의 양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A) 내지 (E)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을 (F) 수성 처방에 추가로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가 수득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F) 수성 처방이라는 것은 물 또는 수성 용 매를 주된 매체로 하여 이루어진 처방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 또는 수성 용매 외에, 통상 화장품, 의약품 등에 사용되는 성분을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의 배합량으로 배합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의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에서의 최종적인 물의 배합량은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생성에 사용되는 (E) 물의 배합량과, (F) 수성 처방 중에 함유되는 물의 배합량의 합이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물의 총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 전량에 대해서 30 질량% 내지 99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및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제조예
1)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유분, 및 (D) 상기 유분과 상용성이 없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 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를 혼합 교반함으로써, (C) 유분을 외상(外相)으로 하고, (D)의 수성 용매를 내상(內相)으로 한 W/O(유중수성 용매형) 에멀젼을 수득한다.
2) 상기 W/O 에멀젼을 교반하면서 서서히 (E) 물을 첨가해가면, 이윽고 (C) 유분을 내상으로 하는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으로의 상전이가 발생한다. 그리 고, 상기 상전이가 일어나는 분량 부근에서, (E) 물의 첨가를 정지하면, 열역학적으로 안정적인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이 생성된다.
3) 상기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을 (F) 수성 처방 중에 첨가하고, 입자경이 10 ㎚ 내지 500 ㎚인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를 수득한다.
원리
1)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유분, 및 (D) 상기 유분과 상용성이 없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를 혼합 교반하면, (C) 유분을 외상으로 하고, (D)의 수성 용매를 내상으로 한 W/O(유중수성 용매형) 에멀젼이 생성된다[도 1의 (a)].
여기에서, 통상의 경우에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상-유상 계면에 흡착하고 있는 것이지만, 상기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D)의 수성 용매 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높고, (D)의 수성 용매 중에서 단분자 용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상-유상 계면으로의 흡착이 방해받는다. 한편으로,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D)의 수성 용매가 존재하고 있었다고 해도, 수상-유상 계면으로 흡착하고 있다. 따라서, 수상이 (D)의 수성 용매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거의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만이 수상-유상 계면으로 흡착한 상태에서, W/O 에멀젼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2) 계속해서, 상기 W/O 에멀젼에 (E) 물을 서서히 첨가해 가면, (E) 물과 (D)의 수성 용매가 서로 용해되고, 수상 중의 (E) 물 함유량이 서서히 증가되어 간 다. 이에 의해,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D)의 수성 용매보다도 낮은 (E) 물의 함유량이 증가해 가므로, 수상 전체에서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차례로 저하되어 간다. 그렇게 하면, 당초 (D) 수성 용매만으로 이루어진 수상 중에 단분자 용해하고 있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임계 미셀 농도(c.m.c)의 저하에 의해 수상 중에 단분자 용해되어 있을 수 없게 되고, 서서히 수상-유상 계면으로 흡착되어 가는 것이 된다. 그리고, 수상-유상 계면에 흡착되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게면활성제의 양이 증가해 가면, 이윽고 수상-유상 계면에 흡착되고 있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어느 특정한 양비(量比)가 되었을 때, 계의 친수성-친유성의 균형이 잡혀, 유상-계면활성제상-수상의 3상이 된다[도 1의 (b)]. 여기에서, 계의 친수-친유 균형이 균등하게 되었을 때, (C) 유분의 가용화량이 최대가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또한 (E) 물을 첨가해가면, 이윽고 (C) 유분이 수상중으로 완전히 가용화된 미셀 수용액의 1액상, 즉 O/W(수중유형)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으로의 상전이가 일어나 본 발명의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이 생성된다[도 1의 (c)].
3) 계속해서, 이상과 같이 하여 수득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F) 수성 처방 중에 첨가하면, 상기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의 유화 입자는 미소한 입자경을 유지한 채로 수성 처방 중에 분산되고, 입자경 10 ㎚ 내지 500 ㎚의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가 수득된다. 그리고, 수득된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는 매우 작은 입자경임에도 불구하고,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및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는 개략 이상과 같은 작용기서(機序)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의 제조시에, 계의 친수-친유 균형이 잡혔을 때에는 유분의 가용화량이 최대가 됨과 동시에, 수분의 유상으로의 가용화량도 최대가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때문에, 상기 (A) 내지 (E)의 각 성분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시킴으로써, 열역학적으로 안정적인 W/O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은 O/W형, W/O형 중 어느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목적에 따라서 어떤 것이든 바람직한 편을 선택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의 유화 입자경은 (E) 물의 첨가량 등에 의해 적절히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통상의 경우, 입자경이 10 ㎚ 내지 500 ㎚의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에서는 일단, 상기 제조예와 동일하게 하여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을 형성할 수 있는 (A) 내지 (E)의 적절한 양비를 알 수 있으면, 이후 그 양비에 맞추어 (A) 내지 (E)의 각 성분을 동시에 배합하여 혼합, 교반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수득되는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은 유화시, 고압 유화 장치와 같은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실온에서 혼합, 교반하는 것만으로 용 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인체에 대한 자극성이 비교적 작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만에 의해 유화되는 것이므로 안전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상과 같이 하여 수득되는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F) 수성 처방 중에 첨가하면, 상기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의 유화 입자가 미소한 입자경을 유지한 상태로 수성 처방 중에 분산되고 안정적인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를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수득된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는 매우 작은 입자경임에도 불구하고,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은 그대로 예를 들어 입욕제나 린스, 클렌징 오일 등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수성 처방 중에 배합하여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은 열역학적으로 가역적인 상이므로 밀봉하면 장기간의 보존이 가능하고, 미용액 등의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의 제조시에, 본 발명에 관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을 실온에서 수성 처방액에 첨가하여, 혼합, 교반하는 것만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므로, 종래 사용되어 왔던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의 제조공정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하여 수득되는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도 본 발명의 범주이다. 본 발명에 관한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는 예를 들어 피부, 두발 등 신체에 적용할 수 있는 피부 화장료, 두발 세정료, 피부 세정료, 정발료(整髮料)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및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에는 상기 필수 성분 외에 통상, 의약품, 화장품에 사용되는 성분을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의 배합량으로 배합할 수 있다. 배합 가능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아보카드유, 마카데미아너트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유채씨 기름, 달맞이꽃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면실유, 쌀겨유, 호호바 오일, 카카오기름, 야자유, 스쿠알렌, 우지, 목랍, 밀랍, 칸데릴라왁스, 카르나바왁스, 고래왁스, 라놀린, 유동 파라핀, 폴리옥시에틸렌(8몰) 올레일알콜에테르, 모노올레인산 글리세릴 등의 유분, 카프릴알콜, 라우릴알콜, 미리스틸알콜, 세틸알콜,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등의 고급 알콜. 카프린산,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헤닌산, 라놀린 지방산, 리놀산, 리놀렌산 등의 고급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 알킬에테르, 글리세린,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 무코다당,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 황산, 키토산 등의 보습제,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아라비아검, 폴리비닐알콜 등의 증점제.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 등의 유기용제, 부틸히드록시톨루엔, 토코페롤, 피틴산 등의 산화방지제. 안식향산, 살리실산, 소르빈산, 파라옥시 안식향산 에스테르(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 헥사클로로펜 등의 항균방부제. 글리신, 알라닌, 발린, 로이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아스파라긴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타우린, 아르기닌, 히스티딘 등의 아미노산과 염산염. 아실사르코신산(예를 들어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글루타티온, 시트르산, 말산, 주석산, 락트산 등의 유기산.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 비타민 B6 염산염, 비타민 B6 트리팔미테이트, 비타민 B6 디옥타노에이트, 비타민 B2 및 그 유도체, 비타민 B12, 비타민 B15 및 그 유도체 등의 비타민 B류,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빈산 인산 에스테르(염), 아스코르빈산 디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 C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비타민 E 니코티네이트 등의 비타민 E류, 비타민 D류, 비타민 H, 판토텐산, 판테틴 등의 비타민류. 니코틴산 아미드, 니코틴산 벤질, γ-오리자놀,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염), 글리시레틴산 및 그 유도체, 히노키티올, 무시진, 비사볼올, 유카립톨, 티몰, 이노시톨, 사포닌류(사이코 사포닌, 인삼 사포닌, 수세미오이 사포닌, 무환자나무 사포닌 등),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트라넥삼산, 세파란틴, 플라센타 엑기스 등의 각종 약제.
참소루쟁이, 고삼, 개연꽃, 오렌지, 세이지, 타임, 톱풀, 당아욱, 천궁이, 자주쓴풀, 당귀, 당회, 자작나무, 쇠뜨기, 수세미오이, 마로니에, 범의귀, 아르니카, 백합, 쑥, 작약, 알로에, 치자나무, 화백나무 등의 유기용제, 알콜, 다가알콜, 물, 수성 알콜 등에서 추출한 천연 엑기스.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염화벤잘코늄, 라우릴아민옥사이드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에데트산 2나트륨, 에데트산 3나트륨, 시트르산 나트륨, 폴리인산 나트륨, 메타인산 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또한, 그 밖에 향료, 스크럽제 등도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에 관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 및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 임계 미셀 농도는 25 ℃의 온도조건에서 측정된 값을 나타낸다.
1.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의 조제
실시예 1-1
1)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HLB14)] 4부,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HLB5) 6부, (C) 유분으로서 디메틸폴리실록산(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KF96-A6T) 10부, (D)의 수성 용매로서 폴리옥시에틸렌(14몰)폴리옥시프로필렌(7몰)디메틸에테르 10부를 배합한 조성물을 혼합 교반했다.
또한, 상기 (D) POE(14)POP(7)디메틸에테르는 (C) 디메틸폴리실록산과 상용성이 없고, 또한 상기 (A)POE(20)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의 (D) POE(14)POP(7)디메틸에테르 10 % 수용액 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는 0.51 g/100 g이고,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 0.26 g/100 g 보다도 0.25 g/100 g 높은 것이다.
그 결과, POE(14)POP(7)디메틸에테르를 내상으로,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외상으로 하는 W/O(유중수성 용매형) 에멀젼이 수득되었다.
2) 계속해서, 상기 1)에 의해 수득된 W/O 에멀젼을 교반하면서 (E) 물을 서 서히 첨가하고 있었다.
그 결과, 물 12부 내지 15 부를 첨가했더니, 조성물은 투명 또는 미청색의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이 되었다.
상기 실시예 1-1의 조성물에서의, 수첨가량과 온도에 의한 상의 변화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의 상평형도에서, 상기 실시예 1-1에 의해 수득된 조성물은 열역학적으로 가역적인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Wm)인 것을 알았다. 또한, 도 2에서 상기 실시예 1-1에서 물을 13.5 부 정도 첨가했을 때 수득되는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은 0 ℃ 내지 30 ℃와 실온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온도영역에서 안정적인 1상의 마이크로에멀젼 상을 나타내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1에서 물을 13.5 부 첨가하여 수득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1 g을 물 49 g 중에 적하한 바, 반투명의 초미세에멀젼액이 수득되었다. 수득된 초미세에멀젼을 실온에서 1개월간 보존한 후, 광산란법에 의해 입자경을 측정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서 상기 실시예 1-1에 의해 수득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수중에 분산시킨 경우에는 평균입자직경이 약 80 ㎚의 미소한 입자경을 유지한 채로 수중에 분산하고 있고, 또한 상기 초미세에멀젼이 실온에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1-2
(D)의 수성 용매로서 1,3-부틸렌글리콜 10 부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했다.
또한, 상기 (D) 1,3-부틸렌글리콜은 (C)디메틸폴리실록산과 상용성이 없고, 또한 상기 (A)POE(20)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의 (D)1,3-부틸렌글리콜 10 % 수용액 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는 0.29 g/100 g이고,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 0.26 g/100 g보다도 0.03 g/100 g 높은 것이다.
이 결과, (E) 물을 1.82부 첨가했을 때, 안정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의 조성물이 수득되었다. 또한, 수득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1 g을 물 49 g 중에 적하한 바, 반투명의 초미세에멀젼액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1-3
(D)의 수성 용매로서 이소프렌글리콜 10 부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했다.
또한, 상기 (D) 이소프렌글리콜은 (C) 디메틸폴리실록산과 상용성이 없고, 또한 상기 (A) POE(20)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의 (D) 이소프렌글리콜 10 % 수용액 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는 0.30 g/100 g이고,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 0.26 g/100 g 보다도 0.04 g/100 g 높은 것이다.
이 결과, (E)물을 1.89부 첨가했을 때, 안정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의 조성물이 수득되었다. 또한, 수득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1 g을 물 49 g 중에 적하한 바, 반투명의 초미세에멀젼액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1-4
(D)의 수성 용매로서 디프로필렌글리콜 10 부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했다.
또한, 상기 (D) 디프로필렌글리콜은 (C) 디메틸폴리실록산과 상용성이 없고, 또한 상기 (A)POE(20)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의 (D) 디프로필렌글리콜 10 % 수용액 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는 0.36 g/100 g이고,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 0.26 g/100 g보다도 0.10 g/100 g 높은 것이다.
이 결과, (E) 물을 3.00 부 첨가했을 때, 안정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의 조성물이 수득되었다. 또한, 수득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1 g을 물 49 g 중에 적하한 바, 반투명의 초미세에멀젼액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1-5
(D)의 수성 용매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400 몰) 10 부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했다.
또한, 상기 (D) 폴리에틸렌글리콜(400 몰)은 (C) 디메틸폴리실록산과 상용성이 없고, 또한 상기 (A) POE(20)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의 (D) 폴리에틸렌글리콜(400 몰) 10 % 수용액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는 0.45 g/100 g이고,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 0.26 g/100 g 보다도 0.19 g/100 g 높은 것이다.
이 결과, (E)물을 7.83부 첨가했을 때 안정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의 조성물이 수득되었다. 또한, 수득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1 g을 물 49 g 중에 적하한 바, 반투명의 초미세에멀젼액이 수득되었다.
비교예 1-1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했다.
이 결과, W/O 에멀젼 상의 조성물이 되고,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의 조성물 은 수득되지 않았다. 또한, 수득된 W/O 에멀젼 1 g을 물 49 g 중에 적하해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초미세에멀젼을 수득할 수는 없었다.
비교예 1-2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했다.
이 결과, O/W 에멀젼 상의 조성물이 되고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의 조성물은 수득되지 않았다. 또한, 수득된 O/W 에멀젼 1 g을 물 49 g 중에 적하해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초미세에멀젼을 수득할 수는 없었다.
비교예 1-3
(D)의 수성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했다.
이 결과, (E) 물을 0.91 부 첨가했을 때 O/W 상으로의 상전이가 발생했지만, 라멜라 액정 상의 조성물이 되고,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의 조성물은 수득되지 않았다. 또한, 수득된 라멜라 액정상의 조성물 1 g을 물 49 g중에 적하해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초미세에멀젼을 수득할 수는 없었다.
비교예 1-4
(D)의 수성 용매로서 글리세린 10 부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했다.
또한, 상기 (D) 글리세린은 (C) 디메틸폴리실록산과 상용성이 없고, 또한 상기 (A) POE(20)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의 (D) 글리세린(400 몰) 10 % 수용액 중에 서의 임계 미셀 농도(c.m.c)는 0.25 g/100 g이고,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 0.26 g/100 g 보다도 0.01 g/100 g 낮은 것이다.
이 결과, (E) 물을 7.83 부 첨가했을 때, O/W 상으로의 상전이가 발생했지만, 라멜라 액정 상의 조성물이 되고,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의 조성물은 수득되지 않았다. 또한, 수득된 라멜라 액정 상의 조성물 1 g을 물 49 g에 적하해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초미세에멀젼을 수득할 수는 없었다.
상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1 내지 비교예 1-4의 시험 결과에 대해서, 각종 조성물의 배합 조성과 함께,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또한, 평가 내용은 이하와 같다.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생성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1 내지 비교예 1-4에 의해 생성된 에멀젼 조성물에 대해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이 형성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했다.
○: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이 형성되어 있다.
×: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초미세에멀젼 생성(수중첨가시)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1 내지 비교예 1-4에 의해 생성된 에멀젼 조성물 1 g을, 이온 교환수 49 g 중에 첨가·교반하고, 초미세에멀젼이 생성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했다.
○: 투명 또는 반투명의 초미세에멀젼이 생성되었다.
×: 투명 또는 반투명의 초미세에멀젼이 생성되지 않았다.
Figure 112006037660103-pc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 내지 (E)를 사용한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5에서는 어떤 경우에도 양호한 1상의 마이크로에멀젼 상의 조성물이 수득되었다. 또한,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5에 의해 수득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수중에 첨가한 바, 투명성이 양호한 초미세에멀젼을 수득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1-1,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1-2, 또는 (D)의 수성 용매를 배합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1-3에서는 동일한 조작을 실시했음에도 불구하고, 1상 마이크로에멀젼상은 형성되지 않았다.
한편, (D)의 수성 용매로서 글리세린을 사용한 비교예 1-4에서도 1상 마이크로에멀젼상은 형성되지 않았다.
이는 글리세린 중에서의 (A)POE(20)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보다도 낮은 점에서, (E) 물의 첨가에 의한 수상 중의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이 때문에 수상-유상 계면에 흡착하는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균형이 균등해지지 않고, O/W 상으로의 상전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비교예 1-1 내지 비교예 1-4에 의해 수득된 에멀젼을 수중에 첨가해도 투명성이 양호한 초미세에멀젼을 수득할 수는 없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5의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수중에 첨가하여 수득된 초미세에멀젼에 대해서, 각종 온도 조건에서 경시안정성의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또한, 평가 내용은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다.
수중 경시 안정성
수득된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1 g을, 이온 교환수 49 g 중에 첨가·교반하여 각종 온도조건에서 1개월간 방치하고, 하기 평가기준에 의해 경시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했다.
◎: 외관에 전혀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 외관에 약간 변화(백탁)가 보였다.
△: 유분이 뜬 것이 보였다.
×: 완전히 분리되었다.
Figure 112006037660103-pc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 내지 (E)를 사용한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5의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수중에 첨가함으로써 수득된 초미세에멀젼은 어떤 것도 광범위한 온도영역에 걸쳐 장기간 안정적이고, 경시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이상에서 (A)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유분, 및 (D) 상기 유분과 상용성이 없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보다도 높은 수성 용매와 (E) 물을 적절한 비율로 조정함으로써 열역학적으로 안정적인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으로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수득된 1상 마이크로에멀젼을 수중에 첨가한 경우, 안정성이 우수한 초미세에멀젼을 수득할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2.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의 조제
계속해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1-1의 1상 마이크로에멀젼 2 g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미용액의 수성 처방 48 g에 첨가함으로써, O/W 초미세에멀젼의 미용액을 조제하고 투과율, 경시안정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했다. 최종적인 배합 조성과 평가 결과를 함께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평가 내용은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다.
투과율
Color-Eye 7000A(맥베스사 제조)를 사용하여 수득된 미용액의 투과율(ΔE %)를 측정했다.
경시안정성
수득된 미용액 50 g을 용기에 채우고, 실온에서 1개월간 방치하여 하기 평가기준에 의해, 경시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했다.
◎: 외관에 전혀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 외관에 약간 변화(백탁)가 보였다.
△: 유분이 뜬 것이 보였다.
×: 완전히 분리되었다.
Figure 112006037660103-pc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1의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을 수성 처방 중에 첨가함으로써 수득된 미용액은 투명성이 높고 경시안정성도 우수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관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을 (F) 수성 처방 중에 첨가함으로써 투명성, 안정성이 우수한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로 할 수 있는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의 다른 실시예를 들어 추가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2-1
배합량(질량%)
(1) 디메틸폴리실록산 31.4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KF96-A6T)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8.9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3)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12.6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4) 1,3-부틸렌글리콜 31.4
(5) 이온교환수 5.7
상기 (1) 내지 (5)를 실온에서 혼합하여 방치하는 것만으로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외상으로 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2-2
배합량(질량%)
(1) 디메틸폴리실록산 31.4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KF96-A6T)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8.8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3)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12.5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4) 이소프렌글리콜 31.4
(5) 이온교환수 5.9
상기 (1) 내지 (5)를 실온에서 혼합하여 방치한 것만으로,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외상으로 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2-3
배합량(질량%)
(1) 디메틸폴리실록산 30.3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KF96-A6T)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8.2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3)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12.1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4) 디프로필렌글리콜 30.3
(5) 이온교환수 9.1
상기 (1) 내지 (5)를 실온에서 혼합하여 방치하는 것만으로,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외상으로 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2-4
배합량(질량%)
(1) 디메틸폴리실록산 26.4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KF96-A6T)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5.9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3)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10.6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4)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26.4
(5) 이온교환수 20.7
상기 (1) 내지 (5)를 실온에서 혼합하여 방치하는 것만으로,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외상으로 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2-5
배합량(질량%)
(1) 디메틸폴리실록산 23.5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KF96-A6T)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4.1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3)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9.4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4) 폴리옥시에틸렌(14몰)폴리옥시프로필렌(7몰)디메틸에테르 23.5
(5) 이온교환수 29.4
상기 (1) 내지 (5)를 실온에서 혼합하여 방치하는 것만으로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외상으로 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2-6
배합량(질량%)
(1) 데카메틸펜타실록산 25.3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F995)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2.6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3)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12.6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4)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25.3
(5) 이온교환수 24.1
상기 (1) 내지 (5)를 실온에서 혼합하여 방치한 것만으로 데카메틸펜타실록산을 외상으로 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2-7
배합량(질량%)
(1) 데카메틸펜타실록산 23.3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F995)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1.7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3)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11.7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4) 폴리옥시에틸렌(14몰)폴리옥시프로필렌(7몰)디메틸에테르 23.3
(5) 이온교환수 30.1
상기 (1) 내지 (5)를 실온에서 혼합하여 방치하는 것만으로 데카메틸펜타실록산을 외상으로 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2-8
배합량(질량%)
(1) 메틸페닐폴리실록산 32.0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F-56)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9.2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3)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12.8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4) 1,3-부틸렌글리콜 32.0
(5) 이온교환수 3.9
상기 (1) 내지 (5)를 실온에서 혼합하여 방치하는 것만으로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외상으로 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2-9
배합량(질량%)
(1) 메틸페닐폴리실록산 30.9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KF-56)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8.5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실리콘 SC9450)
(3)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12.3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4) 1,3-부틸렌글리콜 30.9
(5) 이온교환수 7.4
상기 (1) 내지 (5)를 실온에서 혼합하여 방치한 것만으로 메틸페닐폴리실록산을 외상으로 한 1상 마이크로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의 처방예를 들어 추가로 설명을 실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3-1
입욕제 배합량(질량%)
(1) 디메틸폴리실록산 18.5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F-96-A6T)
(2) 스쿠알란 5.0
(3)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4.0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4)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9.4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5) 폴리옥시에틸렌(14몰)폴리옥시프로필렌(7몰)디메틸에테르 23.5
(6) 향료 0.1
(7) 이온교환수 29.4
상기 (1) 내지 (7)을 실온에서 혼합하여 1상 마이크로에멀젼으로 이루어진 투명한 입욕제를 수득했다. 본 입욕제는 욕조중에 첨가하면, 빠르게 유분이 옅은 청색의 초미세에멀젼으로서 확산하여 다음날 욕조중에서 유분이 뜨는 일도 없었다.
실시예 3-2
투명린스 배합량(질량%)
(1) 디메틸폴리실록산 20.6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F-96-A6T)
(2) 고중합 디메틸 폴리실록산 2.3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G-20)
(3)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3.7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4)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9.1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5) 1,3-부틸렌글리콜 22.9
(6) 이온교환수 31.4
상기 (1) 내지 (6)을 실온에서 혼합하고 1상 마이크로에멀젼으로 이루어진 투명 린스를 수득했다. 본 린스는 손가락이 매끄럽게 통과했다.
실시예 3-3
클렌징 오일 배합량(질량%)
(1) 데카메틸펜타실록산 23.3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F995)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4.0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3)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9.4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4)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23.5
(5) 향료 0.1
(6) 이온 교환수 29.4
상기 (1) 내지 (6)을 실온에서 혼합하여, 1상 마이크로에멀젼으로 이루어진 클렌징 오일을 수득했다. 본 클렌징 오일은 메이크업 세정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빨리 씻겨 내렸다.
실시예 4
이하, 본 발명의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의 처방예를 들어 추가로 설명을 실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4-1
미용액 배합량(질량%)
(1) 디메틸폴리실록산 1.2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KF96-A6T)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0.76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3)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0.5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4) 1,3-부틸렌글리콜 3.0
(5) 글리세린 4.0
(6)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3
(7) 수산화칼륨 0.01
(8) 트라넥삼산 0.1
(9) 향료 0.1
(10) 이온교환수 90.31
성분 (1) 내지 (4)를 교반하여 이온 교환수를 서서히 첨가하여 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젼을 수득한 후, 이를 (5) 내지 (10)의 미용액 기제(基劑)에 첨가하여 미용액을 수득했다. 수득된 미용액은 안정적이고 촉촉한 사용 감촉이었다.
실시예 4-2
크림 배합량(질량%)
(1) 디메틸폴리실록산 3.14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KF96-A6T)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88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3)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1.25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4) 이소프렌글리콜 3.14
(5) 글리세린 5.0
(6)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0
(7) 수산화칼륨 0.3
(8) 카밀레 추출액 0.1
(9) 향료 0.1
(10) 이온교환수 84.09
성분 (1) 내지 (4)를 교반하여 이온교환수를 서서히 첨가하여 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젼을 얻은 후, 이를 (5) 내지 (10)의 크림 기제에 첨가하여 크림을 수득했다. 수득된 크림은 안정적이고 촉촉한 사용 감촉이었다.
실시예 4-3
클렌징 로션 배합량(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2.1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KF-995)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88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실리콘 SC9450)
(3)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1.25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4)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6.0
(5) 라우로일 N-메틸타우린나트륨 0.5
(6) 향료 0.1
(7) 이온교환수 68.7
성분 (1) 내지 (4)를 교반하여 이온 교환수를 서서히 첨가하여 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젼을 수득한 후, 이를 (5) 내지 (7)의 클렌징 로션 기제에 첨가하여 클렌징 로션을 수득했다. 수득된 클렌징 로션은 안정적이고 촉촉한 사용 감촉이었다.
실시예 4-4
린스 배합량(질량%)
(1) 디메틸폴리실록산 2.06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KF96-A6T)
(2) 고중합 디메틸폴리실록산 0.23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G20)
(3)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37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4)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0.91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5) 1,3-부틸렌글리콜 2.29
(6) 고중합 디메틸실록산·메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 공중합체 0.2
(7) 경화유채씨유 알콜 3.0
(8) 글리세린 3.5
(9) 3-메틸-1,3-부탄디올 5.0
(10) 히드록시스테아린산 0.5
(11) 2-에틸헥산산 세틸 1.0
(12)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0.5
(13) 센소머(Sensomer, 나르코사 제조, CI-50) 0.2
(14)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1.0
(15) 마코트550(Marcoat 550, 카르곤샤 제조) 1.0
(16) L-글루타민산 0.5
(17) 페녹시에탄올 0.5
(18) 레시틴 0.1
(19) 향료 0.1
(20) 색소 0.1
(21) 이온교환수 79.6
성분 (1) 내지 성분 (5)를 교반하여, 이온교환수를 서서히 첨가하여 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젼을 수득한 후, 이를 (6) 내지 (21)의 린스 기제에 첨가하여 린스를 수득했다. 수득한 린스는 안정적이고 손가락이 매끄럽게 통과되었다.
실시예 4-5
세안료 배합량(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0.25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KF-995)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0.13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실리콘 SC9450)
(3) 폴리옥시에틸렌(20몰)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0.13
(닛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에마렉스 GWIS-120)
(4)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0.25
(5) 글리세린 6.0
(6) 디프로필렌글리콜 4.0
(7) 이소스테아린산 2.0
(8) 라우린산 8.0
(9) 미리스틴산 9.0
(10)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4.0
(11)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2.5
(12) 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트리에탄올아민 10.0
(13)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13.0
(14) 폴리염화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늄액 0.5
(15) 트리에탄올아민 12.4
(16) 염화나트륨 0.5
(17) 에데트산 3나트륨 0.01
(18) 향료 0.1
(19) 이온교환수 27.61
성분 (1) 내지 성분 (4)를 교반하고 이온교환수를 서서히 첨가하여 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젼을 수득한 후, 이를 성분 (5) 내지 성분 (19)의 세안료 기제에 첨가하여 세안료를 수득했다. 수득된 세안료는 안정적이고 촉촉한 사용 감촉이었다.

Claims (18)

  1. (A)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가 13 이상인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HLB가 6 이하인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실리콘유,
    (D) 상기 실리콘유와 상용성(相溶性)이 없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보다도 0.01 g/100 g 이상 높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디메틸에테르, 및
    (E)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C) 실리콘유의 배합량은 10 질량% 내지 4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C) 실리콘유는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메틸페닐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D) 수성 용매의 배합량은 5 질량% 내지 55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A) HLB가 13 이상인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HLB가 6 이하인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실리콘유, 및
    (D) 상기 실리콘유와 상용성이 없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보다도 0.01 g/100 g 이상 높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디메틸에테르를 혼합 교반하여 W/O(유중수성 용매형) 에멀젼을 조제하는 W/O 에멀젼 조제 공정과;
    상기 W/O 에멀젼 중에 (E)물을 첨가하여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으로 상전이(轉相)시키는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전이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A) HLB가 13 이상인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HLB가 6 이하인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실리콘유,
    (D) 상기 실리콘유와 상용성이 없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보다도 0.01 g/100 g 이상 높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디메틸에테르, 및
    (E) 물을 함유하며,
    유화 입자경이 10 ㎚ 내지 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 초미세에멀젼 조성물.
  9. (A) HLB가 13 이상인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B) HLB가 6 이하인 친유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C) 실리콘유, 및
    (D) 상기 실리콘유와 상용성이 없는 수성 용매로서, 상기 수성 용매 중에서의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임계 미셀 농도(c.m.c)가 수중에서의 임계 미셀 농도보다도 0.01 g/100 g 이상 높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디메틸에테르를 혼합 교반하여 W/O(유중수성 용매형) 에멀젼을 조제하는 W/O 에멀젼 조제 공정;
    상기 W/O 에멀젼 중에 (E) 물을 첨가하여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상으로 상전이시켜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을 조제하는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제 공정; 및
    상기 O/W 1상 마이크로에멀젼을 (F) 물 및 수성용매 중 적어도 하나에 추가로 첨가하여 O/W 초미세에멀젼을 조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 초미세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C) 실리콘유의 배합량은 10 질량% 내지 4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 초미세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C) 실리콘유는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메틸페닐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W 초미세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67010442A 2004-01-06 2006-05-29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및 그 제조 방법 KR101270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01451 2004-01-06
JPJP-P-2004-00001450 2004-01-06
JP2004001451A JP4762495B2 (ja) 2004-01-06 2004-01-06 O/w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JP2004001450A JP4681234B2 (ja) 2004-01-06 2004-01-06 一相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CT/JP2005/000068 WO2005065630A1 (ja) 2004-01-06 2005-01-06 一相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o/w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175A KR20060120175A (ko) 2006-11-24
KR101270330B1 true KR101270330B1 (ko) 2013-05-31

Family

ID=3475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442A KR101270330B1 (ko) 2004-01-06 2006-05-29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61214B2 (ko)
EP (1) EP1702607B1 (ko)
KR (1) KR101270330B1 (ko)
TW (1) TWI334788B (ko)
WO (1) WO2005065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5024A1 (en) * 2004-04-15 2005-11-10 Dow Corning Corporation Low molecular weight silicone oil-in-water emulsion
JP4643377B2 (ja) * 2005-07-07 2011-03-02 株式会社資生堂 一相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o/w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MA29508B1 (fr) * 2006-11-16 2008-06-02 Alloum Abdelkrim Ben Compositions détergentes sous forme de microémulsions et leur utilisation dans le traitement de l'alopécie
MX297198B (es) 2006-11-22 2012-03-16 Basf Se Formulaciones agroquimicas liquidas basadas en agua.
JP4602999B2 (ja) * 2007-01-29 2010-12-22 花王株式会社 クレンジング組成物
DE102007021795A1 (de) * 2007-05-07 2008-11-13 Henkel Ag & Co. Kgaa Textilbeduftung
KR101416928B1 (ko) * 2007-05-18 2014-07-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백탁 현상이 나타나는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
GB2450727A (en) * 2007-07-05 2009-01-07 Irish Skincare Ltd Perfumed silicone microemulsion
AR068612A1 (es) 2007-08-08 2009-11-25 Basf Se Microemulsiones acuosas que contienen compuestos insecticidas organicos
JP2009242326A (ja) * 2008-03-31 2009-10-22 Shiseido Co Ltd 美白液状化粧料
AR071533A1 (es) * 2008-05-02 2010-06-23 Basf Se Microemulsion mejorada con un amplio rango de aplicacion
UA106213C2 (ru) 2008-10-10 2014-08-11 Басф Се Жидкие препараты для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содержащие пираклостробин
TW201018400A (en) 2008-10-10 2010-05-16 Basf Se Liquid aqueous plant protection formulations
US20110274731A1 (en) * 2009-01-14 2011-11-10 Shiseido Company, Ltd. Production Method Of Fine O/W Emulsion External Preparation
BR112012004841A2 (pt) * 2009-09-04 2018-03-13 Shiseido Company, Ltd. método de produção de emulsão de óleo/água
CN102573762B (zh) * 2009-09-04 2014-04-30 株式会社资生堂 高粘度o/w乳膏的制备方法
MX2009013705A (es) * 2009-12-15 2011-06-15 Mexicano Inst Petrol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de emulsiones mejoradas de crudo pesado y extrapesado mediante biotensoactivos en agua y producto resultante.
WO2012048208A2 (en) * 2010-10-08 2012-04-12 Greenearth Cleaning, Llc. Dry cleaning solvent
JP5150712B2 (ja) * 2010-12-08 2013-02-27 株式会社 資生堂 ジェル状毛髪化粧料
US9868893B2 (en) * 2013-03-14 2018-01-16 Flotek Chemistry,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use in oil and/or gas wells
US11180690B2 (en) * 2013-03-14 2021-11-23 Flotek Chemistry, Llc Diluted microemulsions with low surface tensions
KR101942498B1 (ko) 2013-10-31 2019-01-28 로레알 에멀션 형태의 조성물
US9820920B2 (en) 2014-09-30 2017-11-21 L'oreal High UV protection alcohol-free emulsion system, that is clear on application
KR102354413B1 (ko) * 2014-12-02 2022-01-21 코웨이 주식회사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530247B (zh) 2015-04-23 2021-09-07 宝洁公司 浓缩型个人清洁组合物
EP3285728B1 (en) 2015-04-23 2019-12-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centrate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CN107530245B (zh) 2015-04-23 2021-05-04 宝洁公司 浓缩型个人清洁组合物和用途
EP3285729B1 (en) 2015-04-23 2019-12-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centrate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KR20170013620A (ko) 2015-07-28 2017-02-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경구 흡수율이 증진된 생약 추출물의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873598B2 (ja) 2015-12-22 2021-05-19 ロレアル 活性成分のための改善された局所送達系
US11185486B2 (en) 2016-10-21 2021-11-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18075749A1 (en) 2016-10-21 2018-04-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806686B2 (en) 2017-02-17 2020-10-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ackaged personal cleansing product
US10675231B2 (en) 2017-02-17 2020-06-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ed personal cleansing product
KR101744137B1 (ko) 2017-03-16 2017-06-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경구 흡수율이 증진된 생약 추출물의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075013A (zh) * 2019-05-28 2019-08-02 上海思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卸妆、洁面及抑菌三效合一的洗面奶及其制备方法
KR20230054893A (ko) 2020-10-30 2023-04-25 로레알 피부 케어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492A (ja) 2001-07-02 2003-01-15 Noevir Co Ltd 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9832A (en) 1979-12-24 1981-07-21 Pola Chem Ind Inc Production of oil-in-water type emulsion
US4797272A (en) * 1985-11-15 1989-01-10 Eli Lilly And Company Water-in-oil microemulsions for cosmetic uses
JPS63107740A (ja) 1986-10-23 1988-05-12 Pola Chem Ind Inc 水中油型エマルジヨンの製造方法
JP2535902B2 (ja) 1987-04-17 1996-09-18 ライオン株式会社 水中油型エマルジヨンの製造方法
CA1339029C (en) * 1988-06-20 1997-04-01 Hiroyuki Kakoki Transparent composition
JPH0667818B2 (ja) * 1988-06-20 1994-08-31 花王株式会社 半透明乳化化粧料
JPH03128321A (ja) 1989-06-12 1991-05-31 Res Inst For Prod Dev 人工酸素運搬体
JP2750899B2 (ja) * 1989-06-19 1998-05-13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シクロヘキシルアミノ基合有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マイクロ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CA2041599A1 (en) * 1990-06-01 1991-12-02 Michael Gee Method for making polysiloxane emulsions
FR2715843B1 (fr) * 1994-02-09 1996-04-12 Oreal Compositions cosmétiques antisolaires,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utilisation.
US6180117B1 (en) 1994-05-27 2001-01-3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preparing microemulsions of amino silicone fluids and MQ resin mixtures
US5578298A (en) * 1994-05-27 1996-11-26 General Electric Company Microemulsions for high viscosity amino silicone fluids and gums and their preparation
DE69528062T2 (de) * 1994-06-20 2003-04-30 Nippon Shinyaku Co Lt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emulsionen aus einem emulgator
DE19514269A1 (de) * 1995-04-15 1996-10-17 Henkel Kgaa Antitranspirantien
DE19530220A1 (de) * 1995-08-17 1997-02-20 Henkel Kgaa Translucente Antitranspirantien/Deodorantien
DE19641672A1 (de) * 1996-10-10 1998-04-16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auf der Basis von ethylenoxidfreien und propylenoxidfreien Emulgatoren zur Herstellung von Mikroemulsionsgelen
JP3484300B2 (ja) 1996-10-21 2004-01-06 花王株式会社 透明ないし半透明の乳化化粧料
JP3367863B2 (ja) 1997-05-07 2003-01-20 ジーイー東芝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シリコーン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毛髪化粧料
DE19808766A1 (de) * 1998-03-02 1999-09-09 Schwarzkopf Gmbh Hans Mittel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keratinischer Fasern
JPH11262653A (ja) 1998-03-17 1999-09-28 Nof Corp 水中油型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US6045816A (en) * 1998-06-17 2000-04-04 Isp Investments Inc. Water-based microemulsion of a pyrethroid
US6149898A (en) * 1998-06-22 2000-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styling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e microemulsions and cationic non-polymeric liquids
DE19950090A1 (de) * 1999-10-18 2001-04-19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in Form von O/W-Makroemulsionen oder O/W-Mikroemulsionen, mit einem Gehalt an einem oder mehreren Siliconemulgatoren
US6475974B1 (en) * 2000-09-01 2002-11-05 Dow Corning Corporation Mechanical microemulsions of blended silicones
WO2002078650A1 (fr) 2001-03-29 2002-10-10 The Nisshin Oillio, Ltd. Preparation d'emulsion cosmetique et agent pour usage externe
CA2442660A1 (en) * 2001-03-30 2002-10-17 Color Access, Inc. Novel nanoemulsions
EP1256337A1 (de) * 2001-05-08 2002-11-13 Vesifact Ag Verfahren und Zusammensetzungen zum Aufbringen eines Wirkstoffs auf ein Substrat
JP2003003013A (ja) 2001-06-19 2003-01-08 Nikko Chemical Co Ltd アルキル化多糖類からなる水中油型乳化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化粧料
KR100780686B1 (ko) 2001-06-29 2007-11-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JP3727901B2 (ja) 2001-09-27 2005-12-21 株式会社コーセー 水中油型乳化化粧料
DE10162593A1 (de) * 2001-12-19 2003-07-03 Menarini Ricerche Spa Stabilisierte topische Brivudin-Formulierungen
JP3696837B2 (ja) * 2002-02-04 2005-09-21 株式会社資生堂 香料組成物
KR100475969B1 (ko) * 2002-06-19 2005-03-17 (주) 위즈네트 IPv6 프로토콜 구현 장치와 이 장치에 사용되는 물리매체 인터페이스 유닛, IPv6 헤더 처리 유닛, 상위계층 인터페이스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492A (ja) 2001-07-02 2003-01-15 Noevir Co Ltd 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26256A (en) 2005-08-16
WO2005065630A1 (ja) 2005-07-21
EP1702607A1 (en) 2006-09-20
EP1702607B1 (en) 2017-04-05
KR20060120175A (ko) 2006-11-24
US8461214B2 (en) 2013-06-11
EP1702607A4 (en) 2012-07-04
US20080153929A1 (en) 2008-06-26
TWI334788B (en) 201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330B1 (ko) 1상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o/w 초미세에멀젼 외용제및 그 제조 방법
JP4643377B2 (ja) 一相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o/w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KR101337811B1 (ko)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KR102120789B1 (ko)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JP4341983B2 (ja) 皮膚外用剤
CN100536818C (zh) 单相微乳液组合物、o/w超微乳液外用剂及其制备方法
JP4709320B2 (ja) O/w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EP2415459A1 (e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EP3357480B1 (en) Microemulsion-type cosmet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4553605B2 (ja)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03143A (ko) 리플상 함유 조성물, α겔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 조성물 및 α겔 조성물
JP4762495B2 (ja) O/w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JP2009242326A (ja) 美白液状化粧料
JP2008100937A (ja) O/w微細乳化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10220234A1 (en) Nan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In Which High Content Oils Are Stabilized
JP5117208B2 (ja) 高極性油配合水中油型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及びその水中油型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JP5243078B2 (ja) 高極性油配合水中油型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及びその水中油型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JP2008230994A (ja) 化粧料
KR102381622B1 (ko) 쌀겨왁스의 안정화 방법 및 고 함량의 쌀겨왁스를 안정화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7169174A (ja) O/w型乳化組成物
KR20180100641A (ko) 유화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