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413B1 -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413B1
KR102354413B1 KR1020140170221A KR20140170221A KR102354413B1 KR 102354413 B1 KR102354413 B1 KR 102354413B1 KR 1020140170221 A KR1020140170221 A KR 1020140170221A KR 20140170221 A KR20140170221 A KR 20140170221A KR 102354413 B1 KR102354413 B1 KR 102354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
polyethylene glycol
cosmetic composition
ag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197A (ko
Inventor
강민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0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41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내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1제와 2제가 혼합되면서 순간적으로 입자 크기가 감소하여 불투명했던 외관이 투명하게 변화하여 감각적인 차별화를 부여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직전에 순간적으로 입자 크기가 감소하여 피부 흡수를 용이하게 하고, 불투명했던 외관이 투명하게 변화하여 동시에 시각적인 차별화를 부여하여 다양한 화장료 제품에 적용하여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instant transparency shift}
본 발명은 용기 내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1제와 2제가 혼합되면서 순간적으로 입자 크기가 감소하여 불투명했던 외관이 투명하게 변화하여 감각적인 차별화를 부여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산업에서 순식물성 자연 이미지의 부각이나 고기능성 원료를 사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구매욕을 자극하고 있다. 화장품 성분의 경우 피부 보습과 보호, 및 피부 건강을 유지시키기 위해 수용성 성분, 유용성 성분, 분말과 활성 성분을 혼합 사용하며, 하나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대략 10∼50 여종의 원료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화장품 산업은 경쟁이 치열한 산업으로 경쟁자가 많은 만큼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성장과 함께 공급자 또는 제조업자는 제품의 특징을 뚜렷하게 표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최근 화장품 개발의 특징은 기존과는 다른 독특한 외관이나 차별화된 사용감을 부여하고, 피부에 도포하자마자 즉각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성분 개발 및 도입이 큰 트렌드이다. 또한, 제품의 외관과 느낌뿐만 아니라 감각적인 재미 부여는 소비자가 구매할 제품을 선택할 때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113050호는 생크림과 유사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안하며, 이러한 조성물이 소비자들에게 새롭고 즐거운 소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7-0106115호는 탄성을 가지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안하면서, 상기 조성물이 피부에 자극이 없으면서 사용 후에 물로 간단히 씻어낼 수 있으며 탄성을 가져 외관상에 감각적인 재미를 줄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9155호는 눈에 띄는 특이한 제형으로서 클렌징 오일과 클렌징수의 장점을 조합하고 시각적으로도 2층상의 구조를 갖는 에멀젼 타입의 클렌저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현재 스킨케어 화장품은 효능, 효과를 중요시하는 것 못지않게 시각적으로도 차별화되는 방향으로 연구되고 있다.
KR 2006-0113050 A KR 2007-0106115 A KR 10-0869155 R
본 발명의 과제는 순간적으로 입자 크기가 감소하여 피부 흡수를 용이하게 하고, 불투명했던 외관이 투명하게 변화하여 동시에 시각적인 차별화를 부여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1제와 제2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2제가 용기 내에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계면활성제는 임계미셀농도 미만으로 함유되어 있어 1제는 불투명한 상태에 있고,
상기 1제와 상기 2제의 혼합시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의 함량의 합이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임계미셀농도 이상을 형성함으로써 투명한 상태로 변화하는,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직전에 순간적으로 입자 크기가 감소하여 피부 흡수를 용이하게 하고, 불투명했던 외관이 투명하게 변화하여 동시에 시각적인 차별화를 부여하여 다양한 화장료 제품에 적용하여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다른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순간적인 투명도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임계미셀농도 전후 계면활성제의 미셀 형성 여부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제1계면활성제의 함량에 따른 1제의 투명도와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1제 내 입자의 크기와 2제와 혼합시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 입자 크기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 내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1제와 2제가 사용시 혼합되면서 순간적으로 입자 크기가 감소하여 불투명했던 외관이 투명하게 변화하여 감각적인 차별화를 부여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순간적인 투명도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제와 2제는 용기 내에 분리되어 있고 이때 1제는 불투명한 상태에 있다. 소비자가 사용시 1제와 2제를 분리시켰던 구조를 개방함에 따라 1제와 2제는 혼합되고 불투명했던 1제는 2제와 혼합되면서 투명한 외관으로 변화한다.
이와 같은 순간적인 투명도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계면활성제의 임계미셀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를 이용한다.
통상의 계면활성제는 수용액 내에서 분자 형태로 존재하지만, 용액 내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표면장력의 저하가 이루어지고, 더 이상 표면장력의 저하가 일어나기 어려워지면 계면활성제의 소수성기 상호간의 회합이 발생하여 소수성기는 내부로, 그리고 친수성기는 물과 닿을 수 있도록 외부로 향하는 구조를 가지는 응집체인 미셀(micelle)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미셀을 형성하게 되는 계면활성제 용액의 농도를 임계 미셀 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라고 한다. 이러한 임계미셀농도를 전후로 하여 계면활성제 용액의 계면장력, 표면장력, 전기전도도, 세정 능력, 점도 등의 물리적 성질이 급격히 변화한다.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용액 내에서 용해되지 않는 제3의 물질을 임계 미셀 농도 이상에서는 미셀 내부에 용해시킬 수 있는 성질을 갖게 되며 이를 용해화(solubilization)라고 한다.
도 2는 임계미셀농도 전후 계면활성제의 미셀 형성 여부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계미셀농도 미만으로 계면활성제가 포함되면 계면활성제는 수용액 내에서 분자 형태로 존재하여 오일 입자 크기가 수백 nm 이상으로 화장료 조성물이 불투명한 상태에 있으나, 임계미셀농도 이상으로 계면활성제가 포함되면 수용액 내에서 계면활성제가 미셀을 형성함으로써 미쉘 입자 크기가 수십 nm 미만으로 급격히 감소하여 투명한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임계미셀농도 전후의 변화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제1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1제와 제2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2제가 용기 내에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계면활성제는 임계미셀농도 미만으로 함유되어 있어 1제는 불투명한 상태에 있으며, 상기 1제와 상기 2제의 혼합시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의 함량의 합이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임계미셀농도 이상을 형성하도록 한다.
1제와 2제의 혼합은 외부의 물리적 힘이 인가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던 1제와 2제가 단순히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용기를 흔드는 등의 물리적 힘을 인가하여 1제와 2제를 혼합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때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는 같거나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1제와 혼합되는 2제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는 제형의 안정성 및 수용액 내에서의 급격한 투명도 변화를 위해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는 8 이상, 바람직하기로 10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2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카프릴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카프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4-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6-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7-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8-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20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10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6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4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다.
일 예로,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폴리글리세릴-2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카프릴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카프레이트, 또는 폴리글리세릴-3 카프릴레이트인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제1계면활성제는 2 중량% 미만으로 1제 내에 함유되어 있고, 1제와 2제 혼합시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의 함량의 합이 2 중량%를 초과하도록 제2계면활성제가 2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4-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6-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7-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8-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인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상기 제1계면활성제는 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어 있고, 1제와 2제의 혼합시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의 함량의 합은 1 중량%를 초과하도록 제2계면활성제가 2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20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100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6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4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물이고, 화장료 조성물이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상기 제1계면활성제는 0.0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어 있고, 1제와 2제의 혼합시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의 함량의 합은 0.01 중량%를 초과하도록 제2계면활성제가 2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가 서로 다른 경우로, 제1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4-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6-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7-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8-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이고, 상기 제2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20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10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6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4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물이고, 화장료 조성물이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상기 제1계면활성제는 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어 있고, 1제와 2제의 혼합시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의 함량의 합은 0.3 중량% 이상이 되도록 제2계면활성제가 2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1제는 제1계면활성제, 폴리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고, 2제는 제2계면활성제, 폴리올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1,3-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글리세린,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펜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다.
상기 1제는 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올디메틸타우레이트/비닐피롤리딘 코폴리머, 하이드록시프로필 스타치 포스페이트, 타피오카 스타치, 잔탄검, 겔란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 및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증제는 2제와의 용이한 혼합을 위해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0.05 내지 1 중량%의 함량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적합 제1계면활성제 확인
적합한 계면활성제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5 중량%의 2제와 혼합시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가 되도록 95 중량%의 1제를 제조하였으며, 제1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1제의 투명도의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1제 조성
(중량%)
1-A 1-B 1-C 1-D 1-E
정제수 TO 95 TO 95 TO 95 TO 95 TO 95
EDTA-2NA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3 3 3 3 3
부틸렌글리콜 3 3 3 3 3
1,2-헥산디올 2 2 2 2 2
폴리에틸렌글리콜-6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HLB=14-15)
0.2
폴리글리세릴-3 카프레이트 (HLB=10) 0.2
폴리에틸렌글리콜-4 디라우레이트E (HLB=6) 0.2
글리세릴라우레이트 (HLB=5.2) 0.2
2제 5 5 5 5 5
1제 외관확인 불투명 불투명 분리 분리 투명
1제 입자크기
(nm)
1023 889 분리 분리 5.130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HLB가 10 이상인 1-A, 1-B는 불투명하며, 입자크기가 1000 nm 정도로 측정되었고, HLB가 10 이하로 낮은 1-C, 1-D는 제형 분리가 나타났으며,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1-E는 투명한 외관에 5 nm 정도의 입자 크기를 보였다.
실험예 2: 적합한 제1계면활성제 함량 확인
제1계면활성제의 적합한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5 중량%의 2제와 혼합시 전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가 되도록 95 중량%의 1제를 제조하였으며 제1계면활성제의 함량에 따른 1제의 투명도와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1제 조성
(중량%)
1-F 1-G 1-H 1-I 1-J
정제수 TO 95 TO 95 TO 95 TO 95 TO 95
EDTA-2NA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3 3 3 3 3
부틸렌글리콜 3 3 3 3 3
1,2-헥산디올 2 2 2 2 2
폴리에틸렌글리콜-6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HLB=14-15)
0.2 0.5 1.5 10 50
2제 5 5 5 5 5
1제 외관확인 불투명 불투명 투명 투명 투명
1제 입자크기
(nm)
923 1351 11.102 10.395. 8.802

표 2 및 도 3을 참조하면, 1-F, 1-G는 제1계면활성제인 플리에틸렌글리콜-6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가 미셀을 형성하지 않는 범위 내의 함량, 즉 임계미셀농도 미만으로 포함되어 제형이 불투명하며, 입자크기가 1000nm 부근으로 나타났다. 반면 임계미셀농도 이상인 1 중량% 이상의 함량부터 50 중량%의 함량까지는 제형이 투명하며, 입자크기가 10nm 부근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3의 조성을 각각 1제와 2제를 제조하고, 1제와 2제가 혼합시 화장료 조성물의 투명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구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제 정제수 To 95 To 95 To 95 To 95 To 95 To 95 To 95 To 95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3 3 3 3 3 3 3 3
부틸렌글리콜 3 3 3 3 3 3 3 3
1,2-헥산디올 2 2 2 2 2 2 2 2
폴리에틸렌글리콜-6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HLB=14-15)
0.2 0.2 0.2 0.2 0.2 0.2 0.2 0.2
2제 정제수 To 5 To 5 To 5 To 5 To 5 To 5 To 5 To 5
1,2-헥산디올 2 2 2 2 2 2 2 2
폴리에틸렌글리콜-6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HLB=14-15)
1 10 50 - - - 0.05 -
폴리에틸렌글리콜-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HLB=15) - - - 0.1 0.5 - - 0.01
1제와 2제 혼합시 외관확인 투명 투명 투명 투명 투명 불투명 불투명 불투명
입자크기(nm) 10.938 10.115 5.326 15.329 10.236 923 889 820
실시예 1 내지 3 같이 1제와 2제가 혼합되어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임계미셀농도 이상인 1% 이상일 시에 투명하며 입자사이즈가 10nm 정도였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제 내에 제1계면활제가 임계미셀농도 미만으로 함유된 경우 입자 크기는 약 1300 nm으로 불투명 외관을 나타내나 2제와 혼합되면서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의 함량이 합이 임계미셀농도 이상을 형성함으로써 입자크기가 약1/130으로 감소함으로써 외관이 투명하게 변화하였다.
한편, 비교예 1 및 2와 같이 1제와 2제가 혼합되어도 상기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 함량의 합이 임계미셀농도 미만으로 매우 미량이면 제형이 불투명하며, 입자크기가 줄어들지 않았다.
또한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가 서로 다른 경우인 비교예 3을 보면 폴리에틸렌글리콜-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의 임계미셀농도인 0.01 중량%가 들어간 처방이나 외관과 입자 확인시 미셀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 4 및 5와 같이 폴리에틸렌글리콜-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단독 사용 임계미셀농도인 0.01 중량%보다는 높은 농도이며, 기존 폴리에틸렌글리콜-6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단독 사용시 임계미셀농도인 1 중량% 보다는 낮은 농도에서 임계미셀농도가 형성된다고 보여진다.
점증제로 폴리머 사용시 1제와 2제의 혼합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 표 4의 조성으로 각각 1제와 2제를 제조하고, 투명도 변화를 위해 필요한 혼합 정도를 확인하였다.
구분
(중량%)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4 비교예 5
1제 정제수 To 95 To 95 To 95 To 95 To 95 To 95 To 95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3 3 3 3 3 3 3
부틸렌글리콜 3 3 3 3 3 3 3
1,2-헥산디올 2 2 2 2 2 2 2
폴리에틸렌글리콜-6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HLB=14-15)
0.2 0.2 0.2 0.2 0.2 0.2 0.2
알킬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 - 0.05 - - - 2 -
카보머 - - 0.05 - - - -
잔탄검 - - - 0.05 - - -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 - - - 0.05 - -
2제 정제수 To 5 To 5 To 5 To 5 To 5 To 5 To 5
1,2-헥산디올 2 2 2 2 2 2 2
폴리에틸렌글리콜-6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HLB=14-15)
1 1 1 1 1 1 1
트로메타민 - 0.05 0.05 - - 2 -
1제와 2제 혼합시 혼합확인 바로 혼합 쉐이킹시 혼합 쉐이킹시 혼합 쉐이킹시 혼합 쉐이킹시 혼합 혼합 어려움 혼합 어려움
외관확인 투명 투명 투명 투명 투명 - -
폴리머가 없는 실시예 6의 경우에는 따로 물리적으로 혼합을 하지 않아도 분리되어 있던 1제와 2제가 접촉하면서 혼합되어 투명한 성상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내지 10과 점증제로 여러 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발적 혼합이 되지 않으나, 약간의 쉐이킹에 따라서도 혼합이 쉽게 되며, 외관이 투명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 4 및 5와 같이 폴리머가 2 중량% 이상 다량 사용된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 1제와 2제가 물리적으로도 혼합이 쉽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4)

  1. 제1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1제와 제2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2제가 용기 내에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는 같거나 서로 다르고, 상기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는 HLB가 10 내지 15이고,
    상기 제1계면활성제는 임계미셀농도 미만으로 함유되어 있어 1제는 불투명한 상태에 있고,
    상기 2제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상태에 있고,
    상기 1제와 상기 2제의 혼합시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의 함량의 합이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임계미셀농도 이상을 형성함으로써 투명한 상태로 변화하는,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2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카프릴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카프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4-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6-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7-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8-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20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10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6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4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2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카프릴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카프레이트 또는 폴리글리세릴-3 카프릴레이트이고,
    화장료 조성물이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상기 제1계면활성제는 2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어 있고,
    1제와 2제의 혼합시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의 함량의 합은 2 중량%를 초과하도록 제2계면활성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4-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6-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7-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8-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이고,
    화장료 조성물이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상기 제1계면활성제는 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어 있고,
    1제와 2제의 혼합시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의 함량의 합은 1 중량%를 초과하도록 제2계면활성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20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10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6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4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물이고,
    화장료 조성물이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상기 제1계면활성제는 0.0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어 있고,
    1제와 2제의 혼합시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의 함량의 합은 0.01 중량%를 초과하도록 제2계면활성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4-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6-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7-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8-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이고,
    상기 제2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20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10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6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40 하이드로제네이티이드 캐스터 오일물이고,
    화장료 조성물이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상기 제1계면활성제는 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어 있고,
    1제와 2제의 혼합시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에 제1계면활성제와 제2계면활성제의 함량의 합은 0.3 중량% 이상이 되도록 제2계면활성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제는
    제1계면활성제, 폴리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제는
    제2계면활성제, 폴리올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1,3-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글리세린,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펜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제는
    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암모늄 아크릴올디메틸타우레이트/비닐피롤리딘 코폴리머, 하이드록시프로필 스타치 포스페이트, 타피오카 스타치, 잔탄검, 겔란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 및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점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 내에 0.05 내지 1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170221A 2014-12-02 2014-12-02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4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221A KR102354413B1 (ko) 2014-12-02 2014-12-02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221A KR102354413B1 (ko) 2014-12-02 2014-12-02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197A KR20160066197A (ko) 2016-06-10
KR102354413B1 true KR102354413B1 (ko) 2022-01-21

Family

ID=5619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221A KR102354413B1 (ko) 2014-12-02 2014-12-02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4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2738B1 (ja) * 2019-08-19 2020-11-25 株式会社ファンケル 透明クレンジング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8981A (ja) 2004-11-10 2008-06-0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透明で2相の泡形成エアゾールヘアスタイリング製品
KR101337811B1 (ko) 2009-01-14 2013-12-0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JP2014520541A (ja) 2011-07-15 2014-08-25 プレイオン 透明な栄養マイクロエマルジョンの配合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104B2 (en) * 2003-12-31 2007-09-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lor changing liquid cleansing products
US8461214B2 (en) * 2004-01-06 2013-06-11 Shiseido Co., Ltd. One-phase microemulsion compositions, O/W ultrafine emulsion external formulation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716312B1 (ko) 2005-04-29 2007-05-08 (주)아모레퍼시픽 생크림과 유사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070106115A (ko) 2006-04-28 2007-11-01 엔프라니 주식회사 탄성을 가지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0869155B1 (ko) 2007-02-08 2008-11-19 한국콜마 주식회사 유화타입의 2층상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8981A (ja) 2004-11-10 2008-06-0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透明で2相の泡形成エアゾールヘアスタイリング製品
KR101337811B1 (ko) 2009-01-14 2013-12-0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O/w 미세 에멀젼 외용제의 제조 방법
JP2014520541A (ja) 2011-07-15 2014-08-25 プレイオン 透明な栄養マイクロエマルジョンの配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197A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39658B (zh) 一种神经酰胺纳米乳液及其制备方法
US9474699B2 (en) Compos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the topical application of a basic benefit agent
EP2020221B1 (de) DMS (Derma Membrane Structure) in Schaum-Cremes
US9468606B2 (en) Compos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the topical application of an acidic benefit agent
CN104739656B (zh) 一种含阴离子Gemini表面活性剂的纳米乳液及其制备方法
DE102019219714A1 (de) Single Dosage Shampoo
US8263096B2 (en) Method for incorporating high levels of emollient oils into bodywash
KR101663141B1 (ko) 캡슐을 포함하는 이층상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5155639A1 (en) A gel-like agarose admixture for intermediate cosmetics product
KR101687599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5947A (ko) 오일-볼 화장료 조성물
EP2653151B1 (de) Stabile, einfach aus 2 Phasen herstellbare feste Ölbadesalzzubereitungen mit anwendungsbezogener Einsatzflexibilität
KR102198260B1 (ko) 액적 방출 화장료
EP3233212B1 (de) Peelendes reinigungsprodukt auf ölbasis
JP5827079B2 (ja) 粉体含有皮膚外用剤
KR20140073902A (ko)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KR102354413B1 (ko) 투명도가 변화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4053A (ko) 보습효과를 가지는 이층상 클렌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6233A (ko) 하이드로겔 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2007161635A (ja) 二層分離型化粧料
JP2013139411A (ja) 透明二層式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101081303B1 (ko) 오일타입의 클렌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52288B1 (ko)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43071A (ko)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마스크팩
US20070128141A1 (en) Composition incorporating emollient oils into bodywa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