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902A -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902A
KR20140073902A KR1020120141918A KR20120141918A KR20140073902A KR 20140073902 A KR20140073902 A KR 20140073902A KR 1020120141918 A KR1020120141918 A KR 1020120141918A KR 20120141918 A KR20120141918 A KR 20120141918A KR 20140073902 A KR20140073902 A KR 20140073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smetic composition
oil drop
weight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진
홍우진
전향화
한현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902A/ko
Publication of KR2014007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부 내에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오일 드롭 성상을 갖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시 가볍게 흔들어주는 것에 의해 오일 드롭의 입자가 미세화되어 수상부와 균일하게 분산되고, 사용 후에 정치할 경우 다시 오일 드롭이 형성되고, 특히, 오일 드롭이 조성물의 하층에 균일하게 위치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감각적인 느낌과 함께 안정감을 부여하여 외관상 차별화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Oil-drop type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소비자로 하여금 감각적인 느낌과 함께 제형상의 안정감을 부여하여 외관상 차별화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 액체상을 서로 섞으면 물과 알코올처럼 서로 단일층으로 완전하게 혼합되거나, 물과 벤젠처럼 두 층으로 층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두 가지 액체상을 서로 섞을 때 완전하게 혼합되거나 층분리되는 원인은 두 상간 친화성에 의한다. 두 액체상이 친화성이 높다면 단일층으로 혼합되고, 반대로 친화성이 나쁘다면 서로 혼합되지 못하고 층분리가 일어난다.
이층 분리형 화장료에 있어서는 유층과 수층으로 이루어지며, 외관의 미려함이 우수하여 사용시에는 가볍게 흔들어주는 것에 의하여 균일하게 분산되고, 사용 후에는 용이하게 원래의 유층과 수층으로 나뉘어 안정해지는 이층 분리형 화장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어 다양한 제안이 행해지고 있다.
유성성분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물에 친수 성분들을 분산 또는 용해시켜 두 층 이상으로 분리시키는 원리는 1896년 젤라틴과 아가 수용액을 서로 섞으면 두 층으로 분리되는 현상에서 Beijerinck 등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B. C. Park and D. J. Lim, Kor. Appl . Microbiol . Biotechnol ., 20(2), 190∼195(1992)].
기본적인 원리는 모두 물에 분산 또는 용해가 잘 되지만 서로 친화성이 나쁜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을 함께 물에 분산 또는 용해시킬 때 서로 잘 섞이지 아니하면서 두 층으로 층분리 되는 것으로, 그 예로는 고분자/고분자, 고분자/염, 에탄올/염 등을 물에 혼합 또는 용해할 때 일어난다(P. A. Albertsson, "Partition of Cell Particles and Macromolecules", 2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1971), pp 12∼321).
특히, 물과 알코올을 섞을 때 일반적으로 단일층으로 완전하게 혼합되는데, 여기에 특정한 염을 용해 시키면 다층으로 층분리가 일어나며, 이러한 효과를 주는 염들을 혼합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H. Wang, Y. Dong and Z, Xiu, Biotechnology Letters, 30, 2079∼2084(2008)].
기존의 층 분리 화장료는 수상부와 유상부 등을 사용하여 이층으로 분리시킨 화장료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나, 유상부로 인하여 자극감과 함께 미끈거리고 답답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시 안정성이 아직 불충분하며, 외관의 미려함 및 사용시의 편리성이 아직 불충분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오일상이 수상부와 분리되어 드롭을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였다.
오일 드롭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0071013호는 pH가 3 내지 5.5의 범위이고, HLB가 2 내지 5의 범위인 하나 이상의 친유성 계면활성제, HLB가 8 내지 12의 범위인 하나 이상의 친수성 계면활성제 및 3 내지 5.5 의 범위의 pH에서 이온성인 하나 이상의 양쪽성 화합물을 포함하여 각각 라멜라 액정 코팅이 제공되고 수상에 분산되는 유성 구형(oily globule)으로 형성된 수중유 유형의 에멀젼 형태의 화장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유성 구형의 평균 크기는 특히 1 ㎛ 미만, 바람직하게는 800×10-3 ㎛ 미만이라고 개시하고 있다.
WO 2009/075383에서는 수중유형의 에멀전 조성물이 적어도, 200nm 이상의 최소 입자 직경을 갖는 제 1 오일 방울 입자와 70nm 이하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제 2 오일 방울 입자를 함유하고, 상기 제 1 오일 방울 입자가 제 1 기능성 오일 성분을 포함하고, 제 2 오일 방울 입자가 제 1 기능성 오일 성분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제 2 기능성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에멀전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특허에서는 오일 드롭과 유사하게 유성 구형이나 오일 방울 입자를 언급하고 있으나, 이들의 크기를 보면 1㎛ 미만이나 nm 수준으로 육안으로 오일 드롭을 구별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닌 에멀젼 상태로 확인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0071013호 WO 2009/075383
H. Wang, Y. Dong and Z, Xiu, Biotechnology Letters, 30, 2079∼2084(2008)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소비자의 높아진 감각에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화장료 제형에 대해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단순히 수상부와 유상부의 층분리와 같은 2층 구조가 아닌 육안으로도 충분히 구별이 가능한 수준의 오일 드롭을 형성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 상기 오일 드롭을 장기간 동안 안정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조성을 한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로 하여금 감각적인 느낌과 함께 안정감을 부여하여 외관상 차별화된 화장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상부 내에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오일 드롭 성상을 갖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시 가볍게 흔들어주는 것에 의해 오일 드롭의 입자가 미세화되어 수상부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사용 후에 정치할 경우 다시 오일 드롭이 형성된다.
특히, 오일 드롭이 조성물의 하층에 균일하게 위치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감각적인 느낌과 함께 안정감을 부여하여 외관상 차별화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또는 스프레이 등의 다양한 제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드롭 화장료의 모식도이다.
도 2의 (a)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고, (b)는 이의 확대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오일 드롭을 형성하여 유상부와 수상부를 분리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차별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1과 같이 수상부와 유상부가 분리되며, 이때 유상부가 오일 드롭 성상으로 형성되어 조성물의 하층에 위치한다. 이러한 오일 드롭은 오일로서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분자 내 친수성이 강한 석시닉 관능기가 연결되어 있어, 물에 혼합시 분산되지 않고 구형의 입자, 즉 오일 드롭을 형성한다. 상기 오일 드롭은 수상부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산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수준의 비중으로 인해 조성물의 하부에 가라앉는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전체 조성물 내에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드롭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오일 드롭 형태가 아니라 연속상으로 이루어져 수상부와 분리된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일 드롭을 장기간 동안 안정하게 유지할 목적으로 극성이 높은 오일을 혼합 사용한다.
이러한 오일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이지-60 캐스터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합성오일; 망고버터 오일, 쉐어버터 오일, 코코아수씨드 버터 오일, 마카다미아넛오일, 올리브오일, 미도우폼씨드오일, 정제포도씨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오일은 오일 드롭의 안정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유상부의 비중이 1 이하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하고, 바람직하기로 전체 조성물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상기한 효과를 확보할 수 없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오일 드롭의 형성이 어렵거나, 오일 드롭을 구성하는 유상부의 비중이 줄어, 상기 오일 드롭이 조성물의 하층이 아닌 상층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오일 드롭은 제조되는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외관과 사용감을 고려하여 직경이 500㎛ 내지 5mm을 갖는다. 이때 오일 드롭의 크기는 사용하는 오일의 함량 및 그 종류에 따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적거나 클 경우 시각적인 느낌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이때 수상부는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와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오일 드롭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그 조성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기로, 전체 조성물 내에 폴리올 0.1 내지 20 중량%와 물을 100 중량%를 만족시키는 잔부로 포함한다.
상기 폴리올은 보습을 위해 사용하며, 이때 상기 폴리올은 비중이 1 이상이므로 수상부의 비중이 유상부보다 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 함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폴리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보습 효과를 확보할 수 없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비중이 커져 오일 드롭이 조성물의 하층이 아닌 상층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사용 가능한 폴리올은 이 분야에서 보습제로서 알려진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대표적으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이소프로필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기로 글리세린을 사용한다.
추가로 상기 수상부는 수상부의 비중을 줄이고 오일 드롭의 안정성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수상부 내 물을 제외한 다른 조성을 용해시킬 목적으로 에탄올을 전체 조성물 내지 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탄올을 수상부에 첨가함으로써 오일 드롭이 조성물의 하층에 위치하고 사용하는 동안 오일 드롭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드롭을 포함하는 유상부가 오일 드롭을 형성하면서 조성물의 하부에 가라앉도록 비중이 1.0 이상 내지 1.2 이하를 초과하는 범위를 가지며, 수상부는 0.8 이상 내지 1.0 미만의 수준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만족하기 위해,
a)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 트리글리세라이드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b) 폴리올 0.1 내지 20 중량%, 및 물을 잔부로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만족하기 위해,
a)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 트리글리세라이드 0.1 내지 20 중량%, 및 하이드로카본 오일, 에스테르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오일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b) 폴리올 0.1 내지 20 중량%, 에탄올 0.1 내지 10.0 중량% 및 물을 잔부로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따른다.
일례로, 혼합기에 각 조성을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혼합은 필요에 따라 열을 가해 수행할 수 있으며, 균일한 혼합을 위해 호모게나이저와 같은 혼합기를 사용한다.
일례로, 수상부는 50∼80℃, 바람직하게는 65∼75℃로 가열하여 수행하며, 필요한 경우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2000∼4000rpm, 바람직하게는 3000rpm의 속도로 3∼10분 동안 교반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시 가볍게 흔들어주는 것에 의해 오일 드롭의 입자가 미세화되어 수상부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사용 후에 정치할 경우 다시 오일 드롭이 형성된다. 특히, 오일 드롭이 조성물의 하층에 균일하게 위치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감각적인 느낌과 함께 안정감을 부여하여 외관상 차별화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또는 스프레이 (미스트) 등의 제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형으로 적용을 위해 상기 다양한 성분이 추가될 수 있으며, 일례로, 수용성 유효 활성 성분, 가용화제, 보습제 등이 가능하다.
이때 조성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수상부에 유효 활성 성분으로 주름 개선제, 미백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주름 개선제로는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키네틴(kinetin), 옥신(auxin), 펩타이드(peptide), 알파-하이드록시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미백제로는 알부틴, 아스코르빈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애시드-2-글루코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 활성 성분은 수상부 내에서 5 중량% 이하로 사용한다.
또한, 유상부에는 유효 활성성분으로 미백 효과가 있는 유용성 감초, 에틸 아스코빌 에테르, 알파-비사보롤 등이 가능하다. 또한,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활성성분으로는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 (예, 레티닐 팔미테이트), 아데노신 등과 같은 유용성 활성성분이 가능하다. 이들 활성성분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0∼10.0 중량%, 바람직하기로 0.001∼10.0 중량%의 범위로 사용한다.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수용성/유용성 생리 활성 성분, 보습제, 방부제, pH 조절제, 지방산, 유화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안료, 염료, 향료, 안정화제, 등의 첨가제를 더욱 첨가할 수 있으며, 이때 그 종류 및 함량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실리콘, 알파-하이드록시산, 소포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 및 표 2의 조성으로 아래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혼합기에 수상부 조성을 70℃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수상부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유상부의 오일을 첨가 후 균일하게 혼합하고, 충진하여 보관하였다.
조성(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수상부
용제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킬레이트제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0.02
보존제 메칠파라벤 0.20 0.20 0.20 0.20 0.20 0.20 0.20
보습제 베타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보습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0 0.10 0.10 0.10 0.10 0.10 0.10
폴리올 글리세린 3.00 5.00 3.00 3.00 3.00 3.00 3.00
용제 에탄올 - - - - - - 10.00
유상부



오일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트리글리세라이드 10.00 2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이지-60 캐스터오일 - - - 0.50 - - -
에틸헥실팔미테이트 - - - - 0.50 - -
미도우폼씨드오일 - - - - - 0.50 -
미네랄 오일 - - - - - - -
조성(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수상부
용제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킬레이트제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0.02
보존제 메칠파라벤 0.20 0.20 0.20 0.20 0.20 0.20 0.20
보습제 베타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보습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0 0.10 0.10 0.10 0.10 0.10 0.10
폴리올 글리세린 3.00 5.00 3.00 3.00 3.00 3.00 10.00
용제 에탄올 - - - - - - 20.00
유상부



오일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트리글리세라이드 0.05 60.00 - - - 10.00 10.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이지-60 캐스터오일 - - 10.00 - - - -
에틸헥실팔미테이트 - - - 10.00 - - -
미도우폼씨드오일 - - - - 10.00 - -
미네랄 오일 - - - - - 0.50 -
(실험예 1) 제형 형성 비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제조 직후 오일 드롭 형성 여부를 확인하고, 실온에서 10회 흔든 후 오일 드롭을 다시 형성하는지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오일 드롭의 크기는 사진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찍은 후 측정하였다.
혼합성 오일 드롭 형성(크기) 성상
실시예 1 ○(2∼5mm) 오일 드롭이 하부에 가라앉음
실시예 2 ○(2∼5mm) 오일 드롭이 하부에 가라앉음
실시예 3 ○(2∼5mm) 오일 드롭이 하부에 가라앉음
실시예 4 ○(2∼5mm) 오일 드롭이 하부에 가라앉음
실시예 5 ○(2∼5mm) 오일 드롭이 하부에 가라앉음
실시예 6 ○(2∼5mm) 오일 드롭이 하부에 가라앉음
실시예 7 ○(2∼5mm) 오일 드롭이 하부에 가라앉음
비교예 1 × 하층에 오일층이 연속상으로 분산
비교예 2 × 하층에 오일층이 연속상으로 분산
비교예 3 × 상층에 오일층이 연속상으로 분산
비교예 4 × 상층에 오일층이 연속상으로 분산
비교예 5 × 상층에 오일층이 연속상으로 분산
비교예 6 ○(2∼5mm) 상층에 오일 드롭이 형성
비교예 7 ○(2∼5mm) 상층에 오일 드롭이 형성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오일 드롭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으로, (a)는 조성물 사진, (b)는 이의 확대 사진이다. 도 2의 사진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오일 드롭이 하층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친수성이 강한 오일을 함께 사용한 실시예 4 내지 6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오일 드롭이 장시간 동안 안정하게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비교하여 비교예 1 및 2의 경우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을 적거나 과도하게 사용한 경우, 오일 드롭이 아니라 연속상의 오일층이 형성되었다.
또한, 비교예 3 내지 6과 같이 다른 종류의 오일을 사용한 경우, 수상부보다 낮은 비중으로 인해 상층에 오일이 위치하되, 오일 드롭이 아닌 연속상의 오일층 상태로 존재하였다.
또한, 비교예 7에서 폴리올과 에탄올을 과량으로 사용할 경우 수상부의 비중이 증가하여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적정 범위로 사용하였음에도, 상기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트리글리세라이드 보다 수상부의 비중이 커 하층에 수상부가 위치하게 되었다.
(실험예 2) 오일 드롭 유지력 비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오일 드롭이 형성된 화장료 조성물의 유지력을 확인하기 위해, 실온에서 10회 동안 충분히 흔든 후 하나의 층으로 만들어지는 정도(혼합성)와 3일이 지난 후 상태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혼합성 오일 드롭 형성(크기) 3일 후 성상
실시예 1 ○(2∼5mm) 오일 드롭이 하부에 가라앉음
실시예 2 ○(2∼5mm) 오일 드롭이 하부에 가라앉음
실시예 3 ○(2∼5mm) 오일 드롭이 하부에 가라앉음
실시예 4 ○(2∼5mm) 오일 드롭이 하부에 가라앉음
실시예 5 ○(2∼5mm) 오일 드롭이 하부에 가라앉음
실시예 6 ○(2∼5mm) 오일 드롭이 하부에 가라앉음
실시예 7 ○(2∼5mm) 오일 드롭이 하부에 가라앉음
비교예 6 × 상층에 오일층이 형성
비교예 7 × 상층에 오일층이 형성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비교예 6 및 7의 경우 제조 직후 오일 드롭이 형성되더라도 장시간 동안 오일 드롭의 성상을 유지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 화장료 제품으로 적용 가능하다.

Claims (12)

  1. 수상부 내에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오일 드롭 성상을 갖는 유상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전체 조성물 내에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드롭은 조성물의 하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드롭은 직경이 500㎛ 내지 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드롭은 추가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이지-60 캐스터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합성오일; 망고버터 오일, 쉐어버터 오일, 코코아수씨드 버터 오일, 마카다미아넛오일, 올리브오일, 미도우폼씨드오일, 정제포도씨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전체 조성물 내에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전체 조성물 내에 폴리올 0.1 내지 20 중량%와 물을 100 중량%를 만족시키는 잔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이소프로필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수상부는 에탄올을 전체 조성물 내에 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만족하기 위해,
    a)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 트리글리세라이드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b) 폴리올 0.1 내지 20 중량%, 및 물을 잔부로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만족하기 위해,
    a) 카프릴릭/카프릭/석시닉 트리글리세라이드 0.1 내지 20 중량%, 및 하이드로카본 오일, 에스테르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오일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b) 폴리올 0.1 내지 20 중량%, 에탄올 0.1 내지 10.0 중량% 및 물을 잔부로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141918A 2012-12-07 2012-12-07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39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918A KR20140073902A (ko) 2012-12-07 2012-12-07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918A KR20140073902A (ko) 2012-12-07 2012-12-07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902A true KR20140073902A (ko) 2014-06-17

Family

ID=5112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918A KR20140073902A (ko) 2012-12-07 2012-12-07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90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947A (ko) * 2015-12-04 2017-06-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오일-볼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9884A (ko) 2018-11-22 2020-05-29 (주)아모레퍼시픽 오일 드롭을 포함하는 투명한 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8783A (ko) * 2018-12-21 2020-07-02 주식회사 메가코스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20517B1 (ko) 2020-12-30 2021-11-03 한국콜마주식회사 오일 분산형 화장료 조성물
KR102369268B1 (ko) 2021-09-24 2022-03-02 엘앤피코스메틱(주) 셀룰로오스로 형성된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R3124697A1 (fr) * 2021-07-05 2023-01-06 Laboratoires De Biologie Vegetale Yves Rocher Gouttelettes huileuses et composition biphasique comprenant lesdites gouttelett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947A (ko) * 2015-12-04 2017-06-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오일-볼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9884A (ko) 2018-11-22 2020-05-29 (주)아모레퍼시픽 오일 드롭을 포함하는 투명한 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8783A (ko) * 2018-12-21 2020-07-02 주식회사 메가코스 오일-드롭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20517B1 (ko) 2020-12-30 2021-11-03 한국콜마주식회사 오일 분산형 화장료 조성물
FR3124697A1 (fr) * 2021-07-05 2023-01-06 Laboratoires De Biologie Vegetale Yves Rocher Gouttelettes huileuses et composition biphasique comprenant lesdites gouttelettes
WO2023281188A1 (fr) * 2021-07-05 2023-01-12 Laboratoires De Biologie Vegetale Yves Rocher Gouttelettes huileuses et composition biphasique comprenant lesdites gouttelettes
KR102369268B1 (ko) 2021-09-24 2022-03-02 엘앤피코스메틱(주) 셀룰로오스로 형성된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7530B2 (ja) ベシクル分散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US20100080833A1 (en) Stable, concentrated and dilute, oil-in-water emulsions, their processes of preparation, and formulation process employing these emulsions
KR20160093065A (ko) 바람직하게는 친유성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지질 마이크로캡슐 및 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피부과 및 화장품에서의 동일한 것의 용도
KR101867847B1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3902A (ko)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KR101663141B1 (ko) 캡슐을 포함하는 이층상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A2039773C (fr)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o-pharmaceutique aqueuse contenant en suspension des spheroides hydrates d'une substance lipidique hydrophile
CN105338950A (zh) 固体稳定的非水性乳剂
JP2002500672A (ja) 水を含有するワックスベースの製品
KR102498845B1 (ko) 오일-볼 화장료 조성물
JP5148127B2 (ja) ナノ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含む化粧用および皮膚用組成物
JP2619705B2 (ja) エマルシヨン内包カプセル含有化粧料
KR101942535B1 (ko) 3층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EP2617410B1 (en) Oil-in-water type cosmetic
KR101841204B1 (ko) 발효 오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479587B1 (ko) 수상/오일상/수상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JP2016056198A (ja) 化粧料
JPS61204109A (ja) 乳化型の外用組成物
CN115501123A (zh) 稳态双层型化妆水及其制备方法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3082643A (ja) O/w型エマルジョン
JP6640556B2 (ja) 水中油型液体入浴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81932A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4802B1 (ko) 저온 안정성이 개선된 플루로닉 레시틴 오르가노겔 조성물
DE19920839A1 (de) Fließfähige Zubereitungen von Emulsionstyp W/O mit erhöhtem Wassergehalt mit einem Gehalt an mittelpolaren Lipi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