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587B1 - 수상/오일상/수상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상/오일상/수상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587B1
KR100479587B1 KR10-2001-0079787A KR20010079787A KR100479587B1 KR 100479587 B1 KR100479587 B1 KR 100479587B1 KR 20010079787 A KR20010079787 A KR 20010079787A KR 100479587 B1 KR100479587 B1 KR 100479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water
arbutin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558A (ko
Inventor
조철진
장원철
주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아렌디코스메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아렌디코스메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아렌디코스메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9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5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5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6Multiple emulsions, e.g. water-in-oil-in-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오일상/수상(Water in oil in water, 이하 "W/O/W"이라 함)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이온성 에스테르계 친유형 계면 활성제를 매개물질로 하여 알부틴을 함유하는 수상부와 혼합 및 유화시켜 1차적으로 안정한 수상/오일상(Water in oil, 이하 "W/O"라 함) 형태의 에멀젼을 만든 후, 수크로오즈 코코에이트(sucrose cocoate)계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유상부에 첨가하여 2차 유화를 유도한 다음, 이를 다시 수상부에 첨가하여 유화시킴으로써 수상 내에 대규모의 라멜라 구조를 형성시켜 다중 리포좀 구조를 갖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피부 친화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여러 층으로 구성된 유화 구조에 의해 내상에 존재하는 알부틴의 유리를 최대한 억제시켜 종래의 유상/수상(oil in water, 이하 "O/W"라 함) 유화 형태의 제형에 비해 높은 지속효과를 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상/오일상/수상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products which have lightening effect using water in oil in water(W/O/W) multiple liposome system with stabilized arbutin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W/O/W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이온성 에스테르계 친유형 계면 활성제를 매개물질로 하여 알부틴을 함유하는 수상부와 혼합 및 유화시켜 1차적으로 안정한 W/O 형태의 에멀젼을 만든 후, 수크로오즈 코코에이트(sucrose cocoate)계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유상부에 첨가하여 2차 유화를 유도한 다음, 이를 다시 수상부에 첨가하여 유화시킴으로써 수상 내에 대규모의 라멜라 구조를 형성시켜 다중 리포좀 구조를 갖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피부 친화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여러 층으로 구성된 유화 구조에 의해 내상에 존재하는 알부틴의 유리를 최대한 억제시켜 종래의 O/W 유화 형태의 제형에 비해 높은 지속효과를 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W/O 형태의 제형은 내상이 수상부이고 그를 감싸는 연속상이 오일로 구성되어 수상의 알부틴 성분을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연속상이 오일로 인하여 물이나 피지와 같은 외부 환경적인 자극에 의한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습성 및 화장 지속성을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이러한 W/O 형태의 제형은 사용감 및 흡수성에 있어서 유분감이 많이 느껴지게 됨에 따라 끈적임과 같은 사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일반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사용감 개선을 위해 연속상인 오일을 실리콘으로 대체하여 실리콘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수상/실리콘상(Water in silicone, 이하 "W/S"라 함) 형태의 제형이 개발되어 W/O 형태가 가지는 장점을 그대로 살림과 동시에 W/O 에멀젼의 단점인 사용감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형 역시 유효성분의 피부 내 흡수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으며, 더불어 일반적인 오일보다 실리콘 오일의 가격이 높아 전체적으로 제품이 고가인 단점이 있어 일반 수요자들로 하여금 많은 부담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O/W 형태의 제형에 있어서는 그 사용감이 우수하며, 제품의 안정성도 일반 W/O 형태나 W/S 형태의 에멀젼 보다는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연속상이 수용성으로서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성의 유효성분을 안정화시키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수용성 유효성분의 안정화, 사용감, 보습성, 지속성 및 피부 침투성 등의 모든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입자의 크기를 나노 단위로 아주 작게 쪼개는 방법을 선택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플루다이져(microfluidizer)와 같은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 물리적인 힘에 의해 기계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제 19회 IFSCC 회의, 1996]과 화학적으로 에테르계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1-스텝(1-step) 혹은 2-스텝(2-step)의 공정으로 다중 에멀젼을 시도함으로써 그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개선책에 있어서도 특히, 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특수의 고가 장비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상승시킨다 등의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특수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해야 하는 한계와 동시에 안정성을 유지시키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특히 에테르계의 계면활성제에 따른 피부 자극과 같은 문제점들이 여전히 잔재하고 있어 현재에는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 중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자극이 적은 것으로 알려진 에스테르계의 친유형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수상 내에 알부틴을 안정화시킨 W/O 에멀젼과 천연 유래의 유화제인 수크로오즈 코코에이트(sucrose cocoate)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W/O/W 형태의 다중 리포좀 구조를 갖는 미백 화장료를 제조함으로써, 피부 친화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자극 없이 매우 순하고 사용감촉과 보습성이 뛰어나며, 수용성의 유효성분인 알부틴을 가장 안쪽의 내상에 포접시켜 다중막에 의해 안정화시킴으로써 사용 효과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아울러 보다 안정하게 원하는 부위로 전달되는 약물 전달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으며, 다중 에멀젼이 갖고 있는 안정성과 대규모의 다중 리포좀 구조에 의해 알부틴을 포함하는 보다 안정화된 미백 화장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W/O 에멀젼, O/W 에멀젼 등 종래의 제형에 있어 그 장점만을 갖는 수상/오일상/수상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a) 정제수 , 전해물질, 미백 유효성분인 알부틴, 수첨된 캐스터 오일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폴리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인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값이 3.0∼7.0의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비극성 오일을 혼합하고 1차 유화시켜 W/O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b) 상기 a)단계에서 제조한 W/O 에멀젼을 지방산, 세탄올,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수크로오즈 코코에이트계 계면활성제,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및 실리콘 오일을 혼합한 혼합물에 가하고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c) 정제수, 글리세린, 수첨된 지방산이 결합된 소듐 글루타메이트, 이디티에이(EDTA), 및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d) 상기 b)단계에서 제조한 유상부와 c)단계에서 제조한 수상부를 혼합하고 2차 유화한 후, 30∼35 ℃로 냉각시키는 단계;e) 상기 d)단계의 혼합물에 닥나무 추출물(Broussonetia Extract), 에틸 아스코르빌 에테르(ethyl Axcorbyl Ether), 및 유용성 감초 추출물(oil soluble livorice Extrac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성분, 향, 또는 방부제를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 및f) 상기 e)단계의 혼합물에 점증제 및 중화제를 첨가하고 분산시킨 후, 냉각 및 탈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어 W/O 에멀젼 내에 미백 유효성분인 알부틴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셀(micelle)이 또 다른 수상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O/W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화장료는 수첨된 캐스터 오일 0.3 ∼ 1.0중량%, 폴리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0.5 ∼ 1.0중량%, 미네랄 오일 2.0 ∼ 4.0중량%, 황산아연 0.01 ∼ 0.1중량%, 알부틴 0.1 ∼ 6.0 중량%, 스테아린산 0.3 ∼ 1.0중량%, 세탄올 1.0 ∼ 4.0중량%,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1.0 ∼ 4.0중량%, 수크로오즈 코코에이트 1.0 ∼ 5.0중량%,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 2.0중량%, 실리콘 오일 0.2 ∼ 2.0중량%, 수첨된 지방산이 결합된 소듐 글루타메이트 0.1 ∼ 2.0중량%, 글리세린 3.0 ∼ 8.0중량%, 이디티에이(EDTA) 0.01 ∼ 0.1중량%,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 1.0 ∼ 5.0중량%, 점증제 0.1 ∼ 5.0중량%, 중화제 0.1 ∼ 5.0중량%, 방부제 0.2 ∼ 1.0 중량% 및 정제수 48.7 ∼ 88.38중량%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리포좀의 입자크기는 일반적으로 0.1 ∼ 2.0 ㎛ 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수상/오일상/수상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 1단계
정제수, 전해물질 및 미백 유효성분인 알부틴을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비극성 오일과 혼합하여 1차 유화시켜 W/O 에멀젼을 얻는 단계;
제 2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은 W/O 에멀젼을 지방산, 세탄올,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수크로오즈 코코에이트계 계면활성제,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및 실리콘 오일과 혼합하여 유상부를 구성하는 단계;
제 3단계
별도의 용해조에 정제수, 글리세린, 수첨된 지방산이 결합된 소듐 글루타메이트, 이디티에이(EDTA) 및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를 혼합하여 수상부를 구성하는 단계;
제 4단계
상기에서 준비된 유상부와 수상부를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 및 2차 유화시킨 다음 30℃ 내지 35℃ 정도로 냉각시키는 단계;
제 5단계
상기 제 4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에 점증제 및 중화제를 첨가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분산시킨 다음 상온까지 냉각, 탈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와 제 5단계 사이에 필요에 따른 각종 향, 방부제 및 또 다른 화장 유효성분(닥나무추출물(Broussonetia Extract), 에칠아스코빌에텔(Ethyl Axcorbyl Ether), 유용성 감초추출물(Oil Soluble Licovice Extract))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을 첨가하여 혼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단계에 있어서는 전해물질과 알부틴이 함유된 정제수를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비극성 오일에 혼합하여 1차 유화를 시켜 W/O 에멀젼을 얻는다.
이때, 상기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폴리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가 매개물질로 되어 수상부와 유상부가 유화되는 것이다. 여기서,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친유형으로서,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값이 3.0 ∼ 7.0 범위로 낮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유형으로는 수첨된 캐스터 오일,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폴리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 등이 있다.
한편, 상기 비극성 오일로는 미네랄 오일, 스쿠알란, 폴리데센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해물질로는 황산아연, 우레아, 염화나트륨, 황산마그네슘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2단계에 있어서는 별도의 용해조에 지방산, 세탄올,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수크로오즈 코코에이트계 계면활성제,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실리콘 오일, 초산 토코페롤 및 방부제가 함유된 유상부를 준비한 다음, 여기에 상기 제 1단계에서 준비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W/O 에멀젼을 넣고 80℃ 까지 가온하여 용해 혼합시킴으로써, 2차 유화를 위한 유상부를 준비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방산, 세탄올 및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는 라멜라 액정 구조에 따른 리포좀의 내ㆍ외상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용감 개선 및 유화 형성에 방해가 되는 기포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방산은 스테아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트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 3단계에서는 제 1 내지 2단계와 별도로 별단의 용해조에 정제수, 글리세린, 수첨된 지방산이 결합된 소듐 글루타메이트, 이디티에이(EDTA),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 및 중화제를 80℃ 까지 가온, 혼합시켜 수상부를 준비한다.
이때, 상기 글리세린은 2차 유화시 대규모의 라멜라 액정 구조에 관여함과 동시에 피부 적용시 피부에 보습성을 부여해 주는 기능을 하며, 상기 이디티에이(EDTA)는 처방 내의 유리 이온들을 잡아주는 킬레이팅 물질(chealating agent)로서 작용한다. 또한, 상기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는 다중 에멀젼의 내상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제 4단계에서는 상기 제 2단계에서 준비된 유상부(1차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W/O 에멀젼을 함유)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준비된 수상부를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 및 2차 유화시킨 다음 30~35℃ 까지 냉각시킨다.
이러한 2차 유화는 70∼80℃에서 3,000 ∼ 4,000 rpm으로 3분간 실시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대규모의 다중 리포좀 구조가 형성되어 지며, 소수성/친수성 결합 및 수소결합과 같은 이온성 결합에 따른 자발적인 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상이 일어나기 전에 수용성의 또 다른 유효성분 등을 첨가하여 전상이 일어남과 동시에 수용성 유효성분 등이 포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제 5단계에서는 상기 혼합물에 점증제 및 중화제를 첨가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분산시킨 다음 상온까지 냉각, 탈포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점증제는 수상부에 존재하여 제품에 적당한 점도를 주고, 최종 형성되는 W/O/W 다중 에멀젼을 안정화 및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지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강한 이온성을 띤 카르복시비닐폴리머가 사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화제는 제품의 pH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점증제 첨가 후에 넣는 것으로,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아르기닌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화제를 첨가한 다음에는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3,000∼3,500 rpm으로 2분간 분산시키고, 최종적으로 패들 믹서(paddle mixer)를 이용하여 15~28℃ 까지 냉각시킴과 동시에 탈포를 실시하여 알부틴을 안정화한 W/O/W 다중 에멀젼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화 조성물은 W/O 에멀젼 상태에서부터 대규모의 라멜라 상태를 거쳐 최종적으로 W/O/W 다중 에멀젼 상태를 실현시킴으로써, 다중 리포좀에 의한 화장료 내부의 수분 이탈을 최대한 억제시켜 지속적인 보습성을 부여해줄 뿐만 아니라, 피부 지질막과 같은 구조와 유사하여 피부에 도포시 피부 친화력이 매우 우수하며, 물리화학적/환경적 스트레스에 의한 자극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입자 구성이 여러 겹이므로 각각의 상(phase)에 또 다른 적절한 유효성분들을 포접시켜 유효성분의 안정화를 실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화된 유효성분을 피부에 적용시 원하는 세포부위까지 안정화된 상태로 전달시킬 수 있는 약물 전달 체계(drug delivery system)의 매개체로서 이용 가능한 수단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등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은 하기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 3]
실시예 1, 2, 3은 다음 [표 1]에서 나타난 조성비에 따라 다음과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제조하였다.먼저, B상에 알부틴이 함유된 A상을 첨가하고 호모 믹서(3,500 rpm)를 이용하여 1차 유화시켜 W/O 에멀젼을 만들었으며, 별도의 용해조에서 유상부(C상)과 수상부(D상)을 각각 80℃ 까지 가온 용해시킨 다음 상기 유상부(C상)에 미리 준비된 상기 W/O에멀젼을 넣고 가온시킨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준비된 수상부(D상)와 알부틴이 안정화된 W/O 에멀젼이 함유된 유상부(A, B, C 상)를 혼합하여 호모 믹서(3,500rpm)로 3분간 2차 유화시킨 후 35℃ 까지 냉각시킨다. 마직막으로, 방부제(E상)을 첨가하고 패들 믹서를 이용하여 분산시킨 후, 점증제 및 중화제(F상)를 첨가하여 호모 믹서(3,200rpm)로 2분간 분산시켰으며, 상기 분산이 끝난 후 28℃ 까지 냉각시키면서 탈포를 실시하여 W/O/W 다중 리포좀 구조를 갖는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삭제
상(Phase) 성분(중량%) 실시예
1 2 3
A W/O 에멀젼 정제수 10.0 10.0 10.0
황산아연 0.1 0.1 0.02
알부틴 5.0 5.0 5.0
B 폴리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 1.0 1.0 0.5
미네랄 오일 4.0 4.0 2.0
수첨된 캐스터 오일 1.0 1.0 0.3
C 유상부 스테아린산 1.0 1.0 1.0
세탄올 4.0 1.0 3.0
글리세릴트리옥타노에이트 4.0 3.0 2.0
수크로오즈코코에이트 3.0 3.0 2.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1.0 0.5
실리콘 오일 2.0 2.0 0.2
D 수상부 정제수 53.15 56.95 60.16
글리세린 3.0 5.0 8.0
이디티에이(EDTA) 0.05 0.05 0.02
수첨된 지방산이 결합된 소듐글루타메이트 2.0 2.0 2.0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 5.0 3.0 2.0
E 방부제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5 0.5 0.5
F 점증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pol(BF GoodRich) 0.1 0.2 0.4
중화제 트리에탄올아민 0.1 0.2 0.4
[비교예 1 : W/O 형태의 에멀젼]
비교예 1은 W/O 형태의 화장료로서 일반적으로 수상부와 유상부로 구분한 후 각각을 혼합하여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지는 것이며, 그 조성비는 다음 [표 2]에서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다.
먼저 유상부(A 상)와 수상부(B 상)를 각각 70℃ 까지 가온한 후 각각을 충분히 분산시켜 수상부를 유상부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혼합시키고,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3,500 rpm으로 20 분간 분산시킨 다음 35℃ 까지 냉각시킨 후 유효성분 및 향을 첨가하였다. 그리고 나서, 다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3,500 rpm으로 10 분간 혼합하면서 28℃ 까지 냉각시킨 후 탈포시켜서 W/O 형태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상(Phase) 성분 함량(중량%)
A 유상부 글리세릴 소르비탄 3.0
PEG-40 소르비탄 퍼올레이트 1.0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5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1.5
칸데릴라 왁스 0.5
이소헥사데칸 12.0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6.0
알몬드 오일 3.0
실리콘 오일 0.5
항산화제 0.05
실리카 0.3
B 수상부 정제수 61.45
글리세린 1.5
프로필렌 글리콜 1.25
소르비톨 1.25
마그네슘 설페이트 0.7
방부제 0.5
C 유효성분 화장유효성분 및 향 5.0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 Multi Wax, Witco 사,
칸데릴라 왁스 : Candellila Wax, Koster 사,
항산화제 : 초산 토코페롤,
방부제 :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화장유효성분 : 알부틴,
향 : 조합향료)
[비교예 2 : O/W 형태의 겔 에멀젼]
비교에 2는 O/W 형태의 겔 에멀젼으로서, 일반적으로 수상부와 유상부로 구분하여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유화 제조하였으며, 그 조성비는 다음 [표 3]에서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다.
먼저, 유상부(A 상)와 수상부(B 상)를 각각 80℃ 까지 가온한 후, 유상부(A 상)를 수상부(B 상)에 첨가한 다음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3,000 rpm으로 8분간 분산시킨 후 50℃ 까지 냉각시켰다. 그리고 나서, 유효성분 및 향을 첨가하고 28℃ 까지 냉각시킨 다음 탈포시켜서 O/W 형태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상(Phase) 성분 함량(중량%)
A 유상부 폴리글리세릴 펜타스테아레이트 1.5
베헤닐 알코올 1.2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2
PEG-100 캐스터 오일 1.0
스쿠알란 3.0
트리아칠헥사노인 3.0
실리콘 오일 6.0
방부제 0.5
B 수상부 정제수 57.5
부틸렌 글리콜 5.0
산탄검(2% 수용액) 15.0
이디티에이(EDTA) 0.1
C 유효성분 화장유효성분 및 향 5.0
(방부제 :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화장유효성분 : 알부틴,
향 : 조합향료)
[시험예]
1. 안정도(알부틴 역가 포함)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조성으로 제조된 각각의 화장료를 50℃, 40℃, 25℃, 5℃ 각각의 온도에서 경시 후의 분리상태나 이취, 알부틴의 함량 및 성상변화 상태를 육안 및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이때, 관찰 및 분석은 50℃ 에서 1개월, 40℃, 25℃, 5℃ 에서는 각각 3개월의 기간 동안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데이타는 다음 [표 4]에서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다.
2. 사용감, 보습성, 지속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중에서 30대 중반 여성 5명을 대상으로 가장 우수한 것(실시예 3)을 1차적으로 선별한 다음,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와 함께 4주간 연속적으로 사용하게 하였다. 이때, 실험 대상은 불특정한 30명의 30대 중반의 여성으로 하였으며, 검맹 시험(blind test)하여 그 결과를 다음의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안정도 O
사용감 O X
보습성 O
지속성
(◎ : 매우 우수, O : 우수, △ : 보통(양호), X : 나쁨)
상기 [표 4]에서 확인되어지는 바와 같이, W/O 제형의 화장료(비교예 1)의 경우에는 보습성 및 지속성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나, 사용시 번들거리며 무겁다는 단점 때문에 대부분의 여성들이 선호하지 않았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O/W 제형의 화장료(비교예 2)의 경우에는 사용시 가볍고 부드럽게 발라져서 사용하기는 좋으나, 보습성과 지속성의 면에서 다소 떨어져 자주 발라 주어야 한다는 불편함을 호소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화장 유효성분인 알부틴을 함유하는 W/O/W 다중 리포좀 구조로 구성된 화장료(실시예 3)의 경우는 사용감, 보습성, 지속성, 효과 등의 모든 면에서 만족감을 느꼈으며, 상기 비교예 1 내지 2인 두 제형의 화장료의 단점을 극복하고 각각의 장점만을 살린 제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상/오일상/수상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W/O 제형과 겔 유화 형태의 제형을 최적의 조건으로 접목시킴으로써, 인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된 피부 세포막과 유사한 다중 에멀젼의 입자 배열을 실현시켜 구조적으로 피부 친화적인 제형을 확립하였으며, 특히 도포시 피부자극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사용감이 우수하며, 여러 층의 대규모 라멜라 액정 구조에 의해 내상에 존재하는 수분 및 알부틴과 같은 수용성 미백성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보습 및 사용효과의 지속성을 증가시킨 현저한 효과를 안출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화장료의 유화입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유화입자를 확대하여 내부에 알부틴을 함유하는 또 다른 상(phase)의 입자가 별도의 리포좀을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현미경 사진이다.

Claims (4)

  1. a) 정제수 , 전해물질, 미백 유효성분인 알부틴, 수첨된 캐스터 오일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폴리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인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값이 3.0∼7.0의 에스테르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비극성 오일을 혼합하고 1차 유화시켜 W/O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한 W/O 에멀젼을 지방산, 세탄올,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수크로오즈 코코에이트계 계면활성제,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및 실리콘 오일을 혼합한 혼합물에 가하고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c) 정제수, 글리세린, 수첨된 지방산이 결합된 소듐 글루타메이트, 이디티에이(EDTA), 및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를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b)단계에서 제조한 유상부와 c)단계에서 제조한 수상부를 혼합하고 2차 유화한 후, 30∼35 ℃로 냉각시키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혼합물에 닥나무 추출물(Broussonetia Extract), 에틸 아스코르빌 에테르(ethyl Axcorbyl Ether), 및 유용성 감초 추출물(oil soluble livorice Extrac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성분, 향, 또는 방부제를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혼합물에 점증제 및 중화제를 첨가하고 분산시킨 후, 냉각 및 탈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어 W/O 에멀젼 내에 미백 유효성분인 알부틴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셀(micelle)이 또 다른 수상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O/W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에는 알부틴 0.1 ∼ 6.0중량%, 수첨된 캐스터 오일 0.3 ∼ 1.0중량%, 폴리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0.5 ∼ 1.0중량%, 미네랄 오일 2.0 ∼ 4.0중량%, 황산아연 0.01 ∼ 0.1중량%, 스테아린산 0.3 ∼ 1.0중량%, 세탄올 1.0 ∼ 4.0중량%,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1.0 ∼ 4.0중량%, 수크로오즈 코코에이트 1.0 ∼ 5.0중량%,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 2.0중량%, 실리콘 오일 0.2 ∼ 2.0중량%, 글리세린 3.0 ∼ 8.0중량%, 수첨된 지방산이 결합된 소듐 글루타메이트 0.1 ∼ 2.0중량%, 이디티에이(EDTA) 0.01 ∼ 0.1중량%,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 1.0 ∼ 5.0중량%, 점증제 0.1 ∼ 5.0중량%, 중화제 0.1 ∼ 5.0중량%, 방부제 0.2 ∼ 1.0 중량% 및 정제수 48.7 ∼ 88.38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O/W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3. 삭제
  4. 삭제
KR10-2001-0079787A 2001-12-15 2001-12-15 수상/오일상/수상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479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787A KR100479587B1 (ko) 2001-12-15 2001-12-15 수상/오일상/수상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787A KR100479587B1 (ko) 2001-12-15 2001-12-15 수상/오일상/수상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558A KR20030049558A (ko) 2003-06-25
KR100479587B1 true KR100479587B1 (ko) 2005-04-06

Family

ID=2957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787A KR100479587B1 (ko) 2001-12-15 2001-12-15 수상/오일상/수상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5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846B1 (ko) 2004-12-02 2006-12-06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사이즈의 리포좀과 수중유상 에멀젼을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2070824A2 (ko) * 2010-11-26 2012-05-3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천연 무기점증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유화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309B1 (ko) * 2002-08-01 2005-07-18 앨트웰코스메틱 주식회사 알부틴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62619B1 (ko) * 2008-02-20 2014-02-13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피부 미백용 국소 조성물 및 방법
KR101655346B1 (ko) * 2009-11-27 2016-09-08 (주)아모레퍼시픽 고유상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WO2013129482A1 (ja) 2012-02-28 2013-09-0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経時安定性を有するw/o/w型エマルシ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16877A (ko) * 2015-03-31 2016-10-10 (주)아모레퍼시픽 라멜라 액정 구조를 가지는 다중 에멀전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CN110585042B (zh) * 2019-09-30 2022-04-12 广东丸美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珍珠美白护肤基质及其制备方法
KR102104108B1 (ko) * 2020-02-03 2020-04-24 허브아일랜드영농조합법인 다이어트, 이뇨, 항부종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7498B1 (ko) * 2020-03-10 2022-06-15 주식회사 토아스 항산화 활성을 갖는 왁스애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중 소포성 리포좀 제조방법
KR102321537B1 (ko) * 2020-09-04 2021-11-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저점도 수중유중수형 다중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010A (ja) * 1990-05-10 1992-01-22 Kose Corp W/o/w型乳化化粧料
KR930021190A (ko) * 1992-04-06 1993-11-22 최근선 피부 화장료 조성물
US5750124A (en) * 1993-12-22 1998-05-12 Beiersdorf Ag W/O/W emulsions
KR19980049573A (ko) * 1996-12-19 1998-09-15 손경식 폴리락트산-알부틴 화장료 조성물
WO1999055308A1 (en) * 1998-04-24 1999-11-04 Univera Pharmaceuticals, Inc. Aqueous composition comprising active ingredients for the de-pigmentation of the skin
KR19990084930A (ko) * 1998-05-12 1999-12-06 윤동한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010A (ja) * 1990-05-10 1992-01-22 Kose Corp W/o/w型乳化化粧料
KR930021190A (ko) * 1992-04-06 1993-11-22 최근선 피부 화장료 조성물
US5750124A (en) * 1993-12-22 1998-05-12 Beiersdorf Ag W/O/W emulsions
KR19980049573A (ko) * 1996-12-19 1998-09-15 손경식 폴리락트산-알부틴 화장료 조성물
WO1999055308A1 (en) * 1998-04-24 1999-11-04 Univera Pharmaceuticals, Inc. Aqueous composition comprising active ingredients for the de-pigmentation of the skin
KR19990084930A (ko) * 1998-05-12 1999-12-06 윤동한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ung-Ji Lee, et al., retinol stabilization by pseudo-liposome and lamellar liquid crystal, 대한화장품학회지, 1998 *
약학회지 제41권 제4호, 1997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846B1 (ko) 2004-12-02 2006-12-06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사이즈의 리포좀과 수중유상 에멀젼을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2070824A2 (ko) * 2010-11-26 2012-05-3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천연 무기점증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유화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WO2012070824A3 (ko) * 2010-11-26 2012-09-13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천연 무기점증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유화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558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6391B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dispersion of an oily phase and an aqueous phase, stabilized with cubic gel particles
JP4764588B2 (ja) ゲル化された水性化粧品組成物
EP1003460B1 (en) Water containing wax-based product
US9687423B2 (en) Method for preparing nanoemulsion
JP2015007115A (ja) 泡沫状クリームにおけるdms(真皮膜構造)
US20040115159A1 (en) Novel nanoemulsions
WO2002080864A1 (en) Novel nanoemulsions
KR100479587B1 (ko) 수상/오일상/수상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JP5148127B2 (ja) ナノ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含む化粧用および皮膚用組成物
US20130011454A1 (en) Oil-in-Water Type Nano-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0530880B1 (ko) 나노사이즈의 인지질 리포좀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1800A (ko) 피부 유사 지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174646A1 (en) Inverted vesicle
KR101176523B1 (ko)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3902A (ko)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EP2617410A1 (en) Oil-in-water type cosmetic
KR20180106106A (ko) 유화 입자의 크기 편차를 개선한 수중유형(o/w)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944258B2 (ja) 乳化型化粧料
KR102506722B1 (ko) 저점도 수중유중수형 다중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0501728B1 (ko)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KR100429384B1 (ko) 수상/오일상/겔상의 네트웍 구조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과그 제조방법
KR100570497B1 (ko) 나노크기의 다중액정막으로 캡슐화된 순수 레티놀을포함하는 주름방지용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JPS61204109A (ja) 乳化型の外用組成物
KR102200518B1 (ko)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444329B2 (ja) 油中水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