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930A -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930A
KR19990084930A KR1019980016999A KR19980016999A KR19990084930A KR 19990084930 A KR19990084930 A KR 19990084930A KR 1019980016999 A KR1019980016999 A KR 1019980016999A KR 19980016999 A KR19980016999 A KR 19980016999A KR 19990084930 A KR19990084930 A KR 19990084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film
weight
temperature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9073B1 (ko
Inventor
이창언
정관영
Original Assignee
윤동한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동한, 한국콜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동한
Priority to KR101998001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073B1/ko
Publication of KR19990084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073B1/ko

Links

Abstract

다중 액정막에 의한 유화를 통해 고농도의 생리활성물질을 안정한 형태로 캡슐화시킨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의 제조방법은, 유성베이스, 액정막형성제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80 내지 85℃의 온도로 가온하는 유성부준비단계; 정제수에 수성부를 가하고, 80 내지 85℃의 온도로 가온하는 수성부준비단계; 상기 유성부준비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과 상기 수성부준비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온도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진공믹서내에 투입하고, 온도를 80 내지 85℃로 유지하면서 호모믹서로 2,500 내지 3,500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는 유화단계; 및 상기 유화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35 내지 45℃의 온도로 급냉시키고, 첨가제와 점증제를 투입한 다음, 패들믹서로 20 내지 40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면서 20 내지 30℃의 온도로 더 냉각시키면서 탈포시켜 혼합물을 전상시켜 첨가제들을 액정막 내부로 전상시키는 전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생리활성물질의 안정화가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본 발명은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액정막에 의한 유화를 통해 고농도의 생리활성물질을 안정한 형태로 캡슐화시킨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는 그 형상 및 기능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별되어 개발되고 있으며, 클렌저(cleanser)나 통상 ‘립스틱’이라 표현되는 봉상 화장료와 같이 다양한 색상표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화장료들을 제외하면 주로 보습인자나 영양성분들을 피부에 도포해주어 피부를 건강하고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한다.
피부에의 보습효과의 부여 및 영양성분의 보급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장료들은 주로 수성성분들을 베이스로 하여 유성성분들을 수성성분들 중에 유화시켜서 제조되며, 이를 통상 O/W형(Oil in water type) 화장료라 칭한다.
특히, 보습효과 및 트리트먼트효과의 개선을 위하여 종래의 화장료들은 (1) 생리활성물질들을 고농도로 배합하거나, (2) 히아루론산 등을 고농도로 배합하거나, 또는 (3) 영양성분의 공급을 위해 토코페롤(비타민류)의 첨가물을 다량으로 배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생리활성물질이나 비타민 등이 원료 자체의 안정도는 일정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일단 제형에 첨가되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색상, 점도, pH 등의 물성의 경시변화가 심하게 나타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제품 자체에 이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화장료가 에센스 등 수성베이스인 경우, 유성의 생리활성물질 및 비타민 등은 생리활성물질의 첨가량이 한정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생리활성물질을 다량으로 화장료 중에 포함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생리활성물질을 액정막으로 캡슐화하는 방법이 고려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빛, 온도변화, 산화 등에 의하여 경시변화가 심한 생리활성물질의 안정화 및 O/W형 화장료에 고농도로 혼화시키기 용이한 액정막 캡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빛, 온도변화, 산화 등에 의하여 경시변화가 심한 생리활성물질의 안정화 및 O/W형 화장료에 고농도로 혼화시키기 용이한 액정막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빛, 온도변화, 산화 등에 의하여 경시변화가 심한 생리활성물질의 안정화 및 O/W형 화장료에 고농도로 혼화시키기 용이한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제조탱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막 캡슐의 전단계인 액정막 베이스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막 캡슐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의 현미경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들믹서 2 : 호모믹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은, 액정막형성제 2 내지 10중량%, 계면활성제 10 내지 15중량% 및 유성베이스 48 내지 67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 보습제 10 내지 20중량%로 이루어진 수상부; 상기 유상부의 유화를 돕는 점증제 1 내지 5중량%; 화장유효성분, 영양성분, 색소, 향료 또는 증량제 등을 포함하는 첨가제 1 내지 25중량%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의 제조방법은, 유성베이스, 액정막형성제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80 내지 85℃의 온도로 가온하는 유성부준비단계; 정제수에 수성부를 가하고, 80 내지 85℃의 온도로 가온하는 수성부준비단계; 상기 유성부준비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과 상기 수성부준비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온도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진공믹서내에 투입하고, 온도를 80 내지 85℃로 유지하면서 호모믹서로 2,500 내지 3,500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는 유화단계; 및 상기 유화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35 내지 45℃의 온도로 급냉시키고, 첨가제와 점증제를 투입한 다음, 패들믹서로 20 내지 40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면서 20 내지 30℃의 온도로 더 냉각시키면서 탈포시켜 혼합물을 전상시켜 첨가제들을 액정막 내부로 전상시키는 전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은, 액정막형성제 2 내지 10중량%, 계면활성제 10 내지 15중량% 및 유성베이스 48 내지 67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 보습제 10 내지 20중량%로 이루어진 수상부; 상기 유상부의 유화를 돕는 점증제 1 내지 5중량%; 화장유효성분, 영양성분, 색소, 향료 또는 증량제 등을 포함하는 첨가제 1 내지 25중량%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유상부나 수상부 등의 표현은 실질적으로 유화가 완료되어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액정막 캡슐의 기준으로 하여 이를 칭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에서 유상부는 액정막형성제 2 내지 10중량%, 계면활성제 10 내지 15중량% 및 유성베이스 48 내지 67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상부 중의 상기 액정막형성제는 실질적으로 생리활성물질을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막을 형성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2 내지 8중량%와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0.1 내지 2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상부를 이루는 성분 중 계면활성제는 상기 액정막형성제에 의한 생리활성물질의 유화시에 유화를 촉진하고, 내부입자 등을 포함하여 유화입자들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특히 유성성분들이 수성성분들에 쉽게 혼화될 수 있도록 하며, 완성 후의 O/W형 화장료에서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등과 같은 비이온성계면활성제들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성베이스는 에스테르계오일 45 내지 55중량%,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과 같은 고급알칸류 1 내지 5중량%, 탄소수 14 내지 20의 고급알콜 1 내지 3중량% 및 탄소수 14 내지 20의 고급지방산 1 내지 4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유성베이스의 각 성분들의 함량의 범위는 사용자의 사용감에서 적절한 것으로 실험적으로 밝혀진 함량으로서, 상기 함량보다 적은 양이 포함되는 경우, 사용할 때에 유분이 너무 적어 부드러운 느낌이 약화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함량보다 많은 양이 포함되는 경우, 너무 기름진 느낌이 드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성베이스 중의 상기 고급알코올의 예로서는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또는 올레일알코올 등을 들 수 있으며, 또한 고급지방산의 예로서는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또는 디메틸옥탄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수상부는 보습제 10 내지 20중량%로 이루어지며, 정제수와 함께 수성부분을 구성하며, 화장료가 적용되는 피부에서의 보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 보습제로는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이나 글리세린, 농글리세린, 히아루론산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화장료의 보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 점증제는 유화후의 화장료의 점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상용적인 점증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화장료의 최종 제형에 따라 적절히 그 점도를 가감하기 위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서는 화장유효성분, 영양성분, 색소, 향료 또는 증량제들은 물론 특히 화장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의 기능성의 강화를 위한 생리활성물질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당해 업자(장업 종사자)들에게는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원료들로서 널리 알려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생리활성물질들로는 통상 비타민B군과 비타민C군을 포함하는 수용성 비타민, 레티놀, 팔미틴산 레티놀 등의 비타민A군, 비타민D군, 비타민E군 및 비타민F군 등의 지용성 비타민 등의 비타민류와 스쿠알란, 알부틴, 히아루론산 등의 상용적으로 구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천연물의 추출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의 제조방법은, 액정막형성제 2 내지 10중량%, 계면활성제 10 내지 15중량% 및 유성베이스 48 내지 67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 보습제 10 내지 20중량%로 이루어진 수상부; 상기 유상부의 유화를 돕는 점증제 1 내지 5중량%; 화장유효성분, 영양성분, 색소, 향료 또는 증량제 등을 포함하는 첨가제 1 내지 25중량%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의 유화에 있어서, 유성베이스, 액정막형성제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80 내지 85℃의 온도로 가온하는 유성부준비단계; 정제수에 수성부를 가하고, 80 내지 85℃의 온도로 가온하는 수성부준비단계; 상기 유성부준비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과 상기 수성부준비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온도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진공믹서내에 투입하고, 온도를 80 내지 85℃로 유지하면서 호모믹서로 2,500 내지 3,500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는 유화단계; 및 상기 유화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35 내지 45℃의 온도로 급냉시키고, 첨가제와 점증제를 투입한 다음, 패들믹서로 20 내지 40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면서 20 내지 30℃의 온도로 더 냉각시키면서 탈포시켜 혼합물을 전상시켜 첨가제들을 액정막 내부로 전상시키는 전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성부준비단계에서는 유성베이스, 액정막형성제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80 내지 85℃의 온도로 가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실질적으로 다중 액정막을 형성하는 유성부를 균질화시킨다.
상기 수성부준비단계에서는 정제수에 수성부를 가하고, 80 내지 85℃의 온도로 가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성부준비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과 상기 수성부준비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은 온도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진공믹서내에 투입하고, 온도를 80 내지 85℃로 유지하면서 호모믹서로 2,500 내지 3,500rpm의 속도로 교반시켜 유화시키게 되며, 이 단계에서 실질적인 유화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의 유화단계에서의 유화조건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유화단계에서의 온도가 80℃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 액정막의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호모믹서의 회전속도가 2,500rpm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 형성되는 액정막의 입자형태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3,500rpm을 초과하는 경우, 형성되는 액정막의 입자가 너무 작아져서 생리활성물질이 충분히 액정막내에 내포되지 못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 후, 상기 유화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35 내지 45℃의 온도로 급냉시키고, 첨가제와 점증제를 투입하게 되며, 첨가제의 투입시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생리활성물질이 변성될 우려가 있으며, 너무 낮으면 생리활성물질이 액정막에 충분히 침투하여 내포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혼합물을 패들믹서로 20 내지 40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면서 20 내지 30℃의 온도로 더 냉각시키면서 탈포시켜 혼합물을 전상시켜 첨가제들을 액정막 내부로 전상(Phase inversion)시킨다. 상기에서 전상이라 함은 용어 그대로 상의 형태가 바뀌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화단계에서 유화가 완료된 유상이 혼합물의 안쪽 즉, 형성되는 액정막의 내부로 유상들이 모두 내포되고, 액정막의 외부는 전부 수상만이 존재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탈포는 상기 혼합물 중에 기포가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충분히 진공을 적용시켜 혼합물내부의 기체성분을 모두 제거하는 정도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상단계에서의 냉각속도는 적어도 30분 이내에 20 내지 30℃의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내부입자를 갖는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호모믹서(Homo mixer)(2)가 위치하고, 가장자리쪽에 패들믹서(Paddle mixer)(1)가 위치하는 이중벽으로 되어, 스팀이나 냉각수 같은 열매체들이 이중벽을 통과하는 것에 의하여 온도조절이 가능한 통상의 화장료 제조탱크 중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때의 호모믹서(2)에 의한 중심부의 고속교반은 실질적으로 유상과 수상들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면을 파괴하면서 서로 혼화시켜 실질적으로 유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며, 패들믹서(1)에 의한 가장자리에서의 저속교반은 유화되거나 또는 유화되기 전의 혼합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혼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체 혼합물의 상이 균일하게 되도록 하면서 유화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균질하게 유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도 2의 액정막베이스의 현미경사진(OLYMPUS BX40, 배율 800) 및 도 3의 다중 액정막의 현미경사진(OLYMPUS BX40, 배율 800)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중 액정막의 형성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하기 표 1의 조성비에 따라 수상부인 정제수 10.20kg과 농글리세린 12.00kg을 중심부에 호모믹서(2)가 위치하고, 가장자리쪽에 패들믹서(1)가 위치하는 이중벽으로 되어, 스팀이나 냉각수 같은 열매체들이 이중벽을 통과하는 것에 의하여 온도조절이 가능한 통상의 화장료 제조탱크에 투입하고, 80℃까지 가온한 다음, 미리 분산시켜 둔 유상부인 액정막형성제로서의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3.50kg,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1.10kg,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2.00kg, 및 유성베이스로서 에스테르계오일 50.00kg, 고급알칸으로서 이소헥사데칸 3.20kg, 고급알콜 1.00kg 및 고급지방산 1.50kg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호모믹서(2)를 사용하여 회전수 3,000rpm으로 강하게 교반시켜 액정을 형성시킨 다음, 혼합물의 온도를 40℃까지 냉각시킨 후, 첨가제로서 레티놀팔미테이트 1.00kg, 알부틴 1.00kg, 천연 토코페롤 1.00kg 및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0.50kg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호모믹서(2)를 사용하여 회전수 2,500rpm으로 5분간 교반한 다음, 계속해서 점증제로서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 2.00kg을 투입하고, 패들믹서(1)를 사용하여 30rpm으로 회전시키며, 25℃까지 급냉시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비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비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비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비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비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의 조성비
원 료 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농글리세린 12.00 15.00 12.00
에스테르계오일 50.00 48.00 50.00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3.50 3.00 3.5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2.00 11.00 12.00
이소헥사데칸 3.20 3.20 3.2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1.10 1.10 1.50
고급알콜 1.00 1.00 2.00
고급지방산 1.50 1.50 1.50
레티놀팔미테이트 1.00 1.00 1.00
알부틴 1.00 1.00 1.00
천연 토코페롤 1.00 1.00 1.00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0.50 0.50 0.50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 2.00 2.00 1.00
정제수 10.20 10.70 9.80
비교예의 조성비
원 료 명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농글리세린 5.00 10.00 30.00
에스테르계오일 30.00 45.00 20.00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6.00 3.00 3.50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2.00 11.00 12.00
이소헥사데칸 5.00 3.20 3.2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1.10 6.00 1.50
고급알콜 1.00 3.00 2.00
고급지방산 1.50 3.00 1.50
레티놀팔미테이트 1.00 1.00 1.00
알부틴 1.00 1.00 1.00
천연 토코페롤 1.00 1.00 1.00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0.50 0.50 0.50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 2.00 2.00 5.00
정제수 32.90 10.30 17.80
상기한 실시예들을 종합한 결과, 실시예 1에 의하여 수득된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이 균일하게 잘 분포됨이 도 1에 나타낸 바에 의하여 확인되었으며, 실시예 2에 의하여 수득된 액정막 캡슐 역시 입자의 크기가 5μm정도로 균일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3에 의하여 수득된 액정막 캡슐도 액정막 자체의 경계가 두꺼워져 현미경 관찰시 빛의 산란현상이 강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1과 비교예 3에서는 액정막이 잘 형성되지 않았으며, 비교예 2에서는 캡슐 내부가 조밀해져서 첨가제로서의 생리활성물질들이 액정막 캡슐의 바깥쪽에 많이 분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적인 관능시험에서는 실시예들이나 비교예들 모두에서 사용감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안정된 유화가 이루어진 유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유화된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다중 액정막 캡슐의 수득 및 그에 의한 생리활성물질의 안정화가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액정막형성제 2 내지 10중량%, 계면활성제 10 내지 15중량% 및 유성베이스 48 내지 67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 보습제 10 내지 20중량%로 이루어진 수상부; 상기 유상부의 유화를 돕는 점증제 1 내지 5중량%; 화장유효성분, 영양성분, 색소, 향료 또는 증량제 등을 포함하는 첨가제 1 내지 25중량%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막형성제가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2 내지 8중량%와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0.1 내지 2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계면활성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베이스가 에스테르계오일 45 내지 55중량%, 고급알칸류 1 내지 5중량%, 탄소수 14 내지 20의 고급알콜 1 내지 3중량% 및 탄소수 14 내지 20의 고급지방산 1 내지 4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가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글리콜이나 글리세린, 농글리세린, 히아루론산나트륨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
  6. 액정막형성제 2 내지 10중량%, 계면활성제 10 내지 15중량% 및 유성베이스 48 내지 67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 보습제 10 내지 20중량%로 이루어진 수상부; 상기 유상부의 유화를 돕는 점증제 1 내지 5중량%; 화장유효성분, 영양성분, 색소, 향료 또는 증량제 등을 포함하는 첨가제 1 내지 25중량%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의 유화에 있어서,
    유성베이스, 액정막형성제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80 내지 85℃의 온도로 가온하는 유성부준비단계;
    정제수에 수성부를 가하고, 80 내지 85℃의 온도로 가온하는 수성부준비단계;
    상기 유성부준비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과 상기 수성부준비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온도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진공믹서내에 투입하고, 온도를 80 내지 85℃로 유지하면서 호모믹서로 2,500 내지 3,500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는 유화단계; 및
    상기 유화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35 내지 45℃의 온도로 급냉시키고, 첨가제와 점증제를 투입한 다음, 패들믹서로 20 내지 40rpm의 속도로 교반시키면서 20 내지 30℃의 온도로 더 냉각시키면서 탈포시켜 혼합물을 전상시켜 첨가제들을 액정막 내부로 전상시키는 전상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전상단계에서의 냉각속도가 적어도 30분 이내에 20 내지 30℃의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의 제조방법.
KR1019980016999A 1998-05-12 1998-05-12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279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999A KR100279073B1 (ko) 1998-05-12 1998-05-12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999A KR100279073B1 (ko) 1998-05-12 1998-05-12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930A true KR19990084930A (ko) 1999-12-06
KR100279073B1 KR100279073B1 (ko) 2001-02-01

Family

ID=6589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999A KR100279073B1 (ko) 1998-05-12 1998-05-12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07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019A (ko) * 2002-01-22 2003-07-28 (주)케비젠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유화조성물 및 그의미세액정캡슐 제조방법
KR100434898B1 (ko) * 2001-06-26 2004-06-07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약용 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 화장료조성물
KR100444196B1 (ko) * 2001-06-26 2004-08-11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약용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KR100479587B1 (ko) * 2001-12-15 2005-04-06 한국아렌디코스메틱 주식회사 수상/오일상/수상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501728B1 (ko) * 2002-10-02 2005-07-18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KR100501309B1 (ko) * 2002-08-01 2005-07-18 앨트웰코스메틱 주식회사 알부틴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11428B1 (ko) * 2001-12-27 2008-03-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수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743B1 (ko) * 2000-09-28 2006-06-13 엔프라니 주식회사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KR100865562B1 (ko) 2008-03-27 2008-10-28 (주)비에스인터내셔날 화장료용 조성물
KR102014935B1 (ko) 2018-11-28 2019-08-28 여명바이오켐 주식회사 액정 타입의 택시폴린 테트라 옥타노에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898B1 (ko) * 2001-06-26 2004-06-07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약용 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 화장료조성물
KR100444196B1 (ko) * 2001-06-26 2004-08-11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약용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KR100479587B1 (ko) * 2001-12-15 2005-04-06 한국아렌디코스메틱 주식회사 수상/오일상/수상의 다중 리포좀 내에 안정화된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811428B1 (ko) * 2001-12-27 2008-03-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수 조성물
KR20030063019A (ko) * 2002-01-22 2003-07-28 (주)케비젠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유화조성물 및 그의미세액정캡슐 제조방법
KR100501309B1 (ko) * 2002-08-01 2005-07-18 앨트웰코스메틱 주식회사 알부틴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501728B1 (ko) * 2002-10-02 2005-07-18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9073B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9269A (en) Cosmetic containing fine soft microcapsules
KR101116899B1 (ko) 안정한 농축형 및 희석형 수중유형 에멀젼
KR100874877B1 (ko) 폴리올중유형 고밀집 나노 농축 에멀젼을 이용한유중수중유형 역상 다중 에멀젼 상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530880B1 (ko) 나노사이즈의 인지질 리포좀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JPH0231834A (ja) エマルジョン製品およびその製造法
JPS63250311A (ja) 油中水型化粧料
KR100279073B1 (ko)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JPS60183032A (ja) 乳化組成物
JP2023160936A (ja) 難溶性成分安定化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4160264B2 (ja) 半透明または透明な化粧料
KR100255314B1 (ko) 다수의 내부입자를 갖는 리포좀형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JPS591404A (ja) 乳化組成物
KR102395996B1 (ko) 카로티노이드 화합물의 안정성을 개선하는 리포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0670440B1 (ko) 아데노신 및 유용성 감초 추출물의 리포좀 기술을 이용한안정화 기술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제조방법
KR100501728B1 (ko)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JP2011001289A (ja) 乳化液の製造方法及び化粧料の製造方法
AU2017212886A1 (en) Alpha-gel formation composition and alpha-gel composition
US6231873B1 (en) Cosmetic containing fine soft microcapsules
KR102477246B1 (ko) 난용성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S5827636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05089366A (ja) 毛髪用乳化組成物
JP3978611B2 (ja) 化粧料組成物
JPS594432A (ja) 乳化組成物
JP2010270067A (ja) 乳化組成物
RU224078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мульсионного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