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294A - 캐리지 유닛, 액체 분사 기록 장치 및 캐리지 유닛의 고정 방법 - Google Patents

캐리지 유닛, 액체 분사 기록 장치 및 캐리지 유닛의 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294A
KR20110106294A KR1020117012859A KR20117012859A KR20110106294A KR 20110106294 A KR20110106294 A KR 20110106294A KR 1020117012859 A KR1020117012859 A KR 1020117012859A KR 20117012859 A KR20117012859 A KR 20117012859A KR 20110106294 A KR20110106294 A KR 20110106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lever
liquid jet
jet head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츠야 무라세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아이 프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아이 프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아이아이 프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6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Landscapes

  • Ink Jet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과제)캐리지(62a)에 대한 액체 분사 헤드(4)의 착탈을 간단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캐리지(62a)에 대한 액체 분사 헤드(4)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캐리지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피기록 매체의 기록면에 액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구멍이 배열된 액체 분사 헤드(4)와, 액체 분사 헤드(4)가 고정된 상태에서 기록면과 평행하게 상대 이동하는 캐리지(62a)를 준비한 캐리지 유닛으로서, 캐리지(62a)에 대해서 회동 및 걸어맞춤으로써, 액체 분사 헤드(4)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레버(80)를 구비하고, 레버(80)의 회동 동작 및 걸어맞춤 동작에 수반하여, 액체 분사 헤드(4)가 캐리지(62a)에 대해서, 각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캐리지 유닛, 액체 분사 기록 장치 및 캐리지 유닛의 고정 방법{CARRIAGE UNIT, LIQUID EJEC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OF AFFIXING CARRIAGE UNIT}
본 발명은, 캐리지 유닛, 액체 분사 기록 장치 및 캐리지 유닛의 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록지 등에 잉크 방울을 분사하여 화상이나 문자 등의 기록을 행하는, 프린터나 팩스 등의 액체 분사 기록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 액체 분사 기록 장치는, 피기록 매체의 기록면에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 구멍이 복수 배열된 액체 분사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액체 분사 헤드는, 복수의 분사 구멍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피기록 매체의 기록면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액체 분사 헤드가 캐리지에 탑재되어, 캐리지 유닛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리지 유닛을 상기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피기록 매체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상기 액체 분사 헤드로부터 액체를 분사함으로써, 피기록 매체에 기록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캐리지에 대한 액체 분사 헤드의 고정 구조로서는, 나사 고정이 일반적이다. 또한 특허 문헌 1 및 2에는, 잉크젯 헤드의 설치 작업을 간이하고 신속하게 실시하기 위해, 캐리지에 대해서 액체 분사 헤드를 걸어 고정하는 고정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2003-170575호 공보 특허 문헌 2:일본국 특허공개2002-210929호 공보
그러나, 캐리지에 대한 액체 분사 헤드의 착탈 작업의 한층 더한 간이화 및 신속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 액체 분사 기록 장치의 기록 정밀도를 향상시키는데는, 캐리지에 대한 액체 분사 헤드의 위치 결정이 중요해진다. 상술한 나사 고정 고정 구조의 경우에는, 수평 방향에 관해서 액체 분사 헤드를 캐리지에 밀착시키면서 나사 고정함으로써, 액체 분사 헤드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나사 조임 토크에 의해 액체 분사 헤드가 회전하여, 미소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또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고정 구조에서도, 위치 결정 정밀도의 확보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캐리지에 대한 액체 분사 헤드의 착탈을 간단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캐리지에 대한 액체 분사 헤드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캐리지 유닛, 액체 분사 기록 장치 및 캐리지 유닛의 고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캐리지 유닛은, 피기록 매체의 기록면에 액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구멍이 배열된 액체 분사 헤드와, 상기 액체 분사 헤드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면과 평행하게 상대 이동하는 캐리지를 갖춘 캐리지 유닛으로서,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회동 및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레버의 회동 동작 및 걸어맞춤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액체 분사 헤드가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적어도 상기 기록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캐리지에 대해서 회동 및 걸어맞춤으로써 액체 분사 헤드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레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레버를 회동 및 걸어맞춤만으로, 액체 분사 헤드의 착탈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제1 레버의 회동 동작 및 걸어맞춤 동작에 수반하여 액체 분사 헤드가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액체 분사 헤드의 위치 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액체 분사 헤드는, 상기 복수의 분사 구멍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상기 기록면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여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여 상기 길이 방향의 다른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레버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적 토출 헤드 및 상기 수용부 중 한쪽의 측면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기와, 상기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액적 토출 헤드 및 상기 수용부 중 다른쪽의 측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액체 분사 헤드가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제1 돌기 및 제2 돌기가 수용부의 측면에 맞닿아 위치 결정되므로, 액체 분사 헤드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레버의 상기 지지부측에는, 상기 제1 레버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상기 지지부측을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상기 지지부측을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함과 더불어,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전체를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제1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제1 레버를 회동하는 것만으로, 액체 분사 헤드의 지지부측을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함과 더불어, 액체 분사 헤드의 전체를 길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액체 분사 헤드의 위치 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레버의 상기 지지부측에는, 상기 제1 레버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상기 지지부측을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법선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서 위치 결정하는 제2 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부가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 후에, 상기 제2 가압부가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상기 법선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제1 레버를 회동하는 것만으로, 액체 분사 헤드의 지지부측을 법선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액체 분사 헤드의 위치 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헤드의 지지부측을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고 나서 법선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므로, 법선 방향의 위치 결정에 의해 폭 방향의 위치 결정이 방해받는 일은 없다. 따라서, 액체 분사 헤드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레버의 상기 걸어맞춤부측에는, 상기 제1 레버의 걸어맞춤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상기 걸어맞춤부측을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법선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위치 결정하는 제3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제1 레버를 걸어맞춤만으로, 액체 분사 헤드의 걸어맞춤부측을 폭 방향 및 법선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액체 분사 헤드의 위치 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장방형상의 액체 분사 헤드에 대해, 지지부측 및 걸어맞춤부측의 위치 결정을 각각 별개로 행함으로써, 액체 분사 헤드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캐리지의 상기 걸어맞춤부측에는, 상기 제1 레버의 걸어맞춤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상기 걸어맞춤부측을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폭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위치 결정하는 가압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제1 레버의 걸어맞춤 동작에 연동하여 액체 분사 헤드를 가압하는 가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액체 분사 헤드가 커버로 덮여 있는 경우 등, 제1 레버 자체로 액체 분사 헤드를 가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도, 가압 기구에 의해 액체 분사 헤드를 가압하여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캐리지의 상기 걸어맞춤부측에는,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상기 걸어맞춤부측을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법선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위치 결정 하는 제2 레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의하면, 액체 분사 헤드를 가압하는 제2 레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레버 자체로 액체 분사 헤드를 가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도, 제2 레버에 의해 액체 분사 헤드를 가압하여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홈부이어도 된다.
또 상기 수용부는, 관통 구멍이어도 된다.
또 상기 제1 레버는, 강선 재료를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제1 레버를 염가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조 코스트를 저감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액체 분사 기록 장치는, 상술한 캐리지 유닛을 이동시키는 캐리지 이동 수단과, 상기 피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피기록 매체 반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액체 분사 헤드가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된 캐리지 유닛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액체 분사 헤드의 분사 구멍으로부터 피기록 매체의 기록면에 대해서 정밀도 좋게 액체를 분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기록 정밀도가 뛰어난 액체 분사 기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캐리지 유닛의 고정 방법은, 피기록 매체의 기록면에 액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구멍이 배열되고, 상기 분사 구멍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상기 기록면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액체 분사 헤드와, 상기 액체 분사 헤드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기록면과 평행하게 상대 이동하는 캐리지를 구비한 캐리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고정하는 길이 방향 고정 공정과,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상기 폭 방향으로 고정하는 폭 방향 고정 공정과, 상기 길이 방향 고정 공정 및 상기 폭 방향 고정 공정이 완료된 후, 또는 상기 길이 방향 고정 공정 및 상기 폭 방향 고정 공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상기 법선 방향으로 고정하는 법선 방향 고정 공정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액체 분사 헤드를 법선 방향으로 고정하는 힘이 작용한 상태에서, 액체 분사 헤드를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길이 방향 고정 공정 및 폭 방향 고정 공정이 완료된 후, 또는 길이 방향 고정 공정 및 폭 방향 고정 공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법선 방향 고정 공정을 완료하므로, 캐리지에 대해서 액체 분사 헤드를 각 방향에 대해서 확실히 위치 결정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캐리지 유닛에 의하면, 캐리지에 대해서 회동 및 걸어맞춤으로써 액체 분사 헤드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레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레버를 회동 및 걸어맞춤만으로, 액체 분사 헤드의 착탈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제1 레버의 회동 동작 및 걸어맞춤 동작에 수반하여 액체 분사 헤드가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액체 분사 헤드의 위치 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액체 분사 기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액체 분사 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헤드 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캐리지 유닛의 설명도이며, 캐리지의 기대부 및 액체 분사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레버를 -Z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며, (b)는 -X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캐리지에 대한 액체 분사 헤드의 배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캐리지에 대한 액체 분사 헤드의 배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제1 가압부에 의한 가압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제1 가압부에 의한 가압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2 가압부 및 제3 가압부에 의한 가압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2 가압부 및 제3 가압부에 의한 가압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캐리지 유닛에 있어서의 캐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캐리지 유닛에 있어서의 캐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캐리지 유닛에 있어서의 캐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캐리지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캐리지 유닛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액체 분사 기록 장치)
도 1은, 액체 분사 기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액체 분사 기록 장치(1)는, 종이 등의 피기록 매체(S)를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 수단(2, 3)과, 피기록 매체(S)에 잉크를 토출하는 액체 분사 헤드(4)와, 액체 분사 헤드(4)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수단(5)과, 액체 분사 헤드(4)를 피기록 매체(S)의 반송 방향(주주사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부주사 방향)으로 주사시키는 주사 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반송 수단(2, 3)은, 각각 부주사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그리드 롤러(20, 30)와, 그리드 롤러(20, 30)에 평행하게 연장 설치된 핀치 롤러(21, 31)와, 그리드 롤러(20, 30)를 축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도시하지 않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잉크 공급 수단(5)은, 잉크가 수용된 잉크 탱크(50)와, 잉크 탱크(50)와 액체 분사 헤드(4)를 접속하는 잉크 공급관(51)을 구비하고 있다. 잉크 탱크(50)는, 복수 구비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4종류의 잉크의 잉크 탱크(50Y, 50M, 50C, 50B)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잉크 공급관(51)은, 액체 분사 헤드(4)(캐리지 유닛(62))의 동작에 대응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는 플레서블 호스로 이루어진다.
주사 수단(6)은, 부주사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61)과,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6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캐리지 유닛(62)과, 캐리지 유닛(62)을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63)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구(63)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61)의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풀리(64, 65)와, 한 쌍의 풀리(64, 65)사이에 감겨진 무단 벨트(66)와, 한쪽의 풀리(64)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67)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풀리(64, 65)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61)의 양단부간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부주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무단 벨트(66)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61)간에 설치되어 있고, 이 무단 벨트에는 캐리지 유닛(62)이 연결되어 있다. 캐리지 유닛(62)에는 복수의 액체 분사 헤드(4)가 탑재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4종류의 잉크의 액체 분사 헤드(4Y, 4M, 4C, 4B)가 부주사 방향으로 나란히 탑재되어 있다.
(액체 분사 헤드)
도 2는, 액체 분사 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액체 분사 헤드(4)는, 설치 기반(40)과, 액체 분사 헤드 칩(41)과, 유로 기판(42)과, 베이스 플레이트(44)와, 배선 기판(4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설치 기반(40) 및 베이스 플레이트(44)는 별체여도 되고,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설치 기반(40)은, Z방향에서 볼 때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긴 변의 중앙부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44)의 표면을 향해, 설치 기반(40)에 절결이 설치되어 있다. 그 절결의 안쪽면에는, 액체 분사 헤드 칩(이하, 단지 「헤드 칩」이라고 한다.)(41)이 부착되어 있다.
유로 기판(42)은, 헤드 칩(41)의 일면측에 부착되어 있다. 유로 기판(42)의 내부에는 잉크를 유통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유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유로 기판(42)의 상면에는 상기 유통로에 연통하는 유입구(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입구(42a)에는, 잉크의 압력 변동을 흡수하는 압력 조정부(도시 생략)가 연결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4)는, 설치 기반(40)의 상면에 대략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고, 그 표면에는 배선 기판(45)이 부착되어 있다. 배선 기판(45)에는, 헤드 칩(4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45a)가 형성되어 있다. 배선 기판(45)과 헤드 칩(41)의 사이는, 플렉서블 기판(46)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헤드 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헤드 칩(41)에는, 잉크가 수용된 잉크실(10)과,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변형 가능한 압전 소자로 구획되고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채널(도시 생략)과, 피기록 매체를 향해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노즐 구멍(13)이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헤드 칩(41)은, 이른바 독립 채널 타입의 헤드 칩이며, 노즐 구멍(13)이 형성된 노즐 플레이트(14)와, 복수의 압전 소자가 간격을 두고 병렬로 세로 설치되고 복수의 채널이 형성된 액츄에이터 플레이트(15)와, 잉크실(10)이 형성된 잉크실 플레이트(16)와, 노즐 플레이트(14)를 지지하기 위한 노즐 캡(8)을 구비하고 있다. 액츄에이터 플레이트(15)는, 예를 들면 티탄산 지르콘산연(PZT) 등의 압전 재료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액체 분사 헤드(4)에는, 피기록 매체의 기록면과 헤드 칩(41)의 노즐 플레이트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노즐 플레이트를 하부를 향해 헤드 칩(41)이 부착되어 있다. 액체 분사 헤드(4)는, 헤드 칩(41)의 노즐 구멍의 배열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고,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폭 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액체 분사 헤드(4)는, 피기록 매체의 기록면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는, 액체 분사 헤드의 길이 방향을 Y방향, 폭 방향을 X방향, 피기록 매체의 기록면의 법선 방향을 Z방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액체 분사 기록 장치의 캐리지 유닛(62)에는, 액체 분사 헤드(4)가, 길이 방향(Y방향)을 주주사 방향으로 일치시키고, 폭 방향(X방향)을 부주사 방향으로 일치시켜 탑재되어 있다. 또 캐리지 유닛(62)에는, 복수의 액체 분사 헤드(4)가 X방향으로 나란히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피기록 매체를 Y방향으로 반송하고, 캐리지 유닛(62)을 X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액체 분사 헤드(4)로부터 잉크 방울을 분사함으로써, 피기록 매체에 기록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캐리지 유닛)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캐리지 유닛의 설명도이며, 캐리지의 기대부 및 액체 분사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캐리지(62a)의 기대부는, 액체 분사 헤드(4)가 탑재되는 부분이며, 피기록 매체의 기록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캐리지(62a)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캐리지(62a)에는, 액체 분사 헤드(4)의 설치 기반(40)을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홈부(70)가 설치되어 있다. 홈부(70)는, Z방향에서 볼 때, 액체 분사 헤드보다 한층 큰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70)의 중앙에는, 액체 분사 헤드로부터 분사된 잉크 방울이 통과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액체 분사 헤드(4)의 설치 기반(40)에 있어서의 +Y방향의 측면에는, +Y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기(4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돌기(47)가, 홈부(70)의 +Y방향의 측면에 맞닿음으로써, 액체 분사 헤드(4)가 캐리지(62a)에 대해서 Y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액체 분사 헤드(4)의 설치 기반(40)에 있어서의 +X방향의 측면에는, +X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제2 돌기(48a, 48b)가 형성되어 있다. 그 중 한쪽의 제2 돌기(48a)는 설치 기반(40)의 -Y방향으로 배치되고, 다른 쪽의 제2 돌기(48b)는 설치 기반(40)의 +Y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제2 돌기(48a, 48b)가, 홈부(70)의 +X방향의 측면에 맞닿음으로써, 액체 분사 헤드(4)가 캐리지(62a)에 대해서 X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캐리지(62a)에는 레버(제1 레버)(80)가 장착되어 있다. 레버(80)는, 스테인리스 등의 강선 재료를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레버(80)는, 캐리지(62a)에 대해서 회동 및 걸어맞춤으로써, 액체 분사 헤드(4)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홈부(70)의 -Y방향으로 인접하여, 레버(8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72)가 설치되어 있다. 또 홈부(70)의 +Y방향으로 인접하여, 레버(80)를 걸어맞춤 고정하는 걸어맞춤부(73)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부(73)에는, 하향으로 개구하는 훅형상의 걸어맞춤 오목부(73a)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80)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85)를 구비하고 있다. 직선부(85)는, 홈부(70)의 Y방향 길이와 동등한 길이로 형성되고, 홈부(70)의 -X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레버(80)는, 직선부(85)의 -Y방향 단부로부터 +X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부(86)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축부(86)는, 홈부(70)의 X방향 길이와 동등한 길이로 형성되고, 홈부(70)의 -Y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지지부(72)는, 레버(80)의 회동축부(86)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레버(80)는, 회동축부(86)의 +X방향 단부로부터 -Z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X방향 및 +Y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제1 가압부(8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가압부(81)는, 레버(80)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액체 분사 헤드(4)의 베이스 플레이트(44)의 측연부를 +X방향 또한 +Y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또 레버(80)는, 회동축부(86)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Y방향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제2 가압부(82)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가압부(82)는, 레버(80)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액체 분사 헤드(4)에 있어서의 설치 기반(40)의 지지부(72)측을 +Z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도 5(a)는 레버를 -Z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5(b)는 -X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부(85) 및 회동축부(86)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서 +θ방향으로, 제2 가압부(82)를 포함하는 평면이 배치되어 있다. 도 5(b)의 상태로부터, 레버(80)의 직선부(85)를 +θ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2 가압부(82)도 +θ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로 인해, 제2 가압부(82)의 +Z방향으로 배치된 액체 분사 헤드가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도 4로 돌아와, 레버(80)는, 직선부(85)의 +Y방향 단부로부터 +X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Y방향을 향해 되접힌 되접음부(8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걸어맞춤부(73)의 걸어맞춤 오목부(73a)는, 레버(80)의 되접음부(87)와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다.
또 레버(80)는, 되접음부(87)의 -Y방향 단부로부터 +X방향 및 +Z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또한 +Y방향으로 연장되는 U자부(88)를 구비하고 있다. 또 U자부(88)의 선단에, +Y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가압부(8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3 가압부(83)는, 레버(80)의 걸어맞춤 동작에 수반하여, 액체 분사 헤드(4)에 있어서의 베이스 플레이트(44)의 걸어맞춤부(73)측을 +X방향으로 가압함과 더불어, 설치 기반(40)의 걸어맞춤부(73)측을 +Z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레버(80)에서는, 강선 재료를 굴곡함으로써, 제1 가압부(81), 제2 가압부(82) 및 제3 가압부(8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레버(80)를 염가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액체 분사 헤드의 위치 결정 고정 방법)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캐리지 유닛에 있어서의 액체 분사 헤드의 위치 결정 고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캐리지에 대한 액체 분사 헤드의 배치 동작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6은 사시도이며, 도 7은 평면도이다. 우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62a)의 홈부(70)의 내측에 액체 분사 헤드(4)의 설치 기반(40)을 배치한다. 이 단계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분사 헤드(4)의 제1 돌기(47)의 선단과 홈부(70)의 측면의 사이에는 간극이 있고, 한 쌍의 제2 돌기(48a, 48b)의 선단과 홈부(70)의 측면의 사이에도 간극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레버(80)를 +θ방향(X방향의 둘레)으로 회동한다.
도 8 및 도 9는, 제1 가압부에 의한 가압 동작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8은 사시도이며, 도 9는 평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80)를 +θ방향으로 회동하면, 레버(80)의 제1 가압부(81)가, 액체 분사 헤드(4)에 있어서의 베이스 플레이트(44)의 측연부에 맞닿는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압부(81)는 -X방향 및 +Y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플레이트(44)는 우선 +X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로 인해, 액체 분사 헤드(4)의 지지부(72)측이 +X방향으로 이동하고, 지지부(72)측의 제2 돌기(48a)의 선단이 홈부(70)의 측면에 맞닿는다. 그 결과, 액체 분사 헤드(4)의 지지부(72)측이 캐리지(62a)에 대해서 X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지지부측 폭 방향 고정 공정).
계속해서 레버(80)를 회동하면, 베이스 플레이트(44)의 지지부(72)측의 단부는 +Y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로 인해, 제2 돌기(48a)의 선단이 홈부(70)의 측면을 따라 접동하면서, 액체 분사 헤드(4)의 전체가 +Y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1 돌기(47)의 선단이 홈부(70)의 측면에 맞닿고, 액체 분사 헤드(4)의 전체가 캐리지(62a)에 대해서 Y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길이 방향 고정 공정). 이 단계에서는, 걸어맞춤부(73)측의 제2 돌기(48b)의 선단은 홈부(70)의 측면에 맞닿아 있지 않다.
도 8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또한 레버(80)를 +θ방향으로 회동한다.
도 10 및 도 11은, 제2 가압부 및 제3 가압부에 의한 가압 동작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10은 사시도이며, 도 11은 평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80)의 직선부(85)가 수평에 가까워질 때까지, 레버(80)를 회동한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부(85) 및 회동축부(86)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서 +θ방향으로, 제2 가압부(82)를 포함하는 평면이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부(85)가 수평에 가까워질 때까지 레버(80)를 회동하면, 제2 가압부(82)는 수평에서 하방까지 회동된다. 이로 인해, 제2 가압부(82)가, 액체 분사 헤드(4)에 있어서의 설치 기반(40)의 지지부(72)측을, +Z방향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액체 분사 헤드(4)의 지지부(72)측이 캐리지(62a)에 대해서 Z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지지부측 법선 방향 고정 공정).
이 시점에서, 액체 분사 헤드(4)의 지지부(72)측은 이미 X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으므로, Z방향의 위치 결정에 의해 X방향의 위치 결정이 방해받는 일은 없다. 따라서, 액체 분사 헤드(4)의 지지부(72)측을 X방향 및 Z방향으로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80)의 되접음부(87)를, 걸어맞춤부(73)에 걸어맞춘다. 상기와 같이 레버(80)(도 5 참조)는, 되접음부(87)의 -Y방향 단부로부터 +X방향 및 +Z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또한 +Y방향으로 연장되는 U자부(88)를 구비함과 더불어, U자부(88)의 선단으로부터 +Y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가압부(83)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3 가압부(83)는, 되접음부(87)의 걸어맞춤시에, 액체 분사 헤드(4)의 설치 기반(40)과 베이스 플레이트(44)의 모서리부(44a)(도 8 참조)에 맞닿는다. 또한, 레버(80)의 되접음부(87)로부터 제3 가압부(83)까지의 거리는, 걸어맞춤부(73)의 걸어맞춤 오목부(73a)로부터 액체 분사 헤드(4)의 모서리부(44a)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되접음부(87)를 걸어맞춤 오목부(73a)에 걸어맞추면, U자부(88)가 탄성변형하면서 제3 가압부(83)가 모서리부(44a)를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3 가압부(83)는, 액체 분사 헤드(4)에 있어서의 베이스 플레이트(44)의 걸어맞춤부(73)측을 +X방향으로 가압함과 더불어, 설치 기반(40)의 걸어맞춤부(73)측을 +Z방향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분사 헤드(4)의 걸어맞춤부(73)측의 제2 돌기(48b)의 선단이 홈부(70)의 측면에 맞닿고, 액체 분사 헤드(4)의 걸어맞춤부(73)측이 캐리지(62a)에 대해서 X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걸어맞춤부측 폭 방향 고정 공정). 또, 액체 분사 헤드(4)의 걸어맞춤부(73)측이 캐리지(62a)에 대해서 Z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걸어맞춤부측 법선 방향 고정 공정).
이상에 의해, 액체 분사 헤드(4)는 캐리지(62a)에 대해서, XYZ의 3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액체 분사 헤드(4)는, 노즐 구멍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액체 분사 헤드(4)에 대해서, 길이 방향의 지지부(72)측 및 걸어맞춤부(73)측의 위치 결정을 각각 별개로 행하므로, 액체 분사 헤드(4)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캐리지 유닛(62)은, 캐리지(62a)에 대해서 회동 및 걸어맞춤으로써, 액체 분사 헤드(4)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레버(80)를 구비하고, 레버(80)의 회동 동작 및 걸어맞춤 동작에 수반하여, 액체 분사 헤드(4)가 캐리지(62a)에 대해서 위치 결정되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캐리지(62a)에 대해서 회동 및 걸어맞춤으로써 액체 분사 헤드(4)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레버(8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레버(80)를 회동 및 걸어맞춤만으로, 액체 분사 헤드(4)의 착탈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레버(80)의 회동 동작 및 걸어맞춤 동작에 수반하여 액체 분사 헤드(4)가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액체 분사 헤드(4)의 위치 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 분사 헤드(4)를 캐리지(62a)에 나사 고정하지 않기 때문에, 액체 분사 헤드의 착탈을 원터치로 행할 수 있다. 또, 액체 분사 헤드(4)의 설치에 수반하는 위치 결정 조정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액체 분사 헤드(4)를 재장착한 경우에도, 액체 분사 헤드(4)의 위치 재현성이 뛰어나다.
또한 레버(80)의 회동 동작 및 걸어맞춤 동작에 수반하여, 액체 분사 헤드가 적어도 수평 방향(X방향 및 Y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이 경우의 연직 방향(Z방향)의 위치 결정은, 나사 고정 등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사 고정을 병용하면, 캐리지(62a)에 대해서 액체 분사 헤드를 보다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액체 분사 헤드(4)의 제1 돌기(47) 및 제2 돌기(48a, 48b)가, 캐리지(62a)의 홈부(70)의 측면에 맞닿음으로써, 액체 분사 헤드(4)가 캐리지(62a)에 대해서 Y방향 및 X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분사 헤드(4)의 위치 결정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12 및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캐리지 유닛에 있어서의 캐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80)의 걸어맞춤부(73)측에 제3 가압부(83)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도 12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캐리지(62a)에 가압 기구(90)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레버(80)에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제1 가압부(81) 및 제2 가압부(82)가 설치되어 있지만,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되접음부 및 제3 가압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캐리지(62a)의 걸어맞춤부(73)가, 레버(80)의 직선부(85)와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다.
또 제1 실시 형태의 제3 가압부에 대신하여,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캐리지(62a)에 가압 기구(90)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 기구(90)는, 홈부(70)의 -X방향의 가장자리변을 따라 +Y방향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가압 기구(90)는, 홈부(70)의 -X방향의 가장자리변으로부터 -Z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베이스부(91)와, 베이스부(91)의 +X방향의 표면을 따라 배치된 가동판(92)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판(92)의 상단은 -X방향으로 굴곡되고, 베이스부(91)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동판(92)은, 도 13에 나타내는 +φ방향(Y방향의 둘레)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2로 돌아와, 가동판(92)의 이면으로부터 -X방향으로 클로우부(92a)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클로우부(92a)는, 레버(80)를 걸어맞춤부(73)에 걸어맞출 때에, 레버(80)의 직선부(85)와 맞닿아 +X방향으로 압출되도록 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캐리지 유닛에 있어서, 액체 분사 헤드를 위치 결정 고정하려면, 우선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레버(80)를 회동한다. 이로 인해, 레버(80)의 제1 가압부(81)가, 액체 분사 헤드의 지지부(72)측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가압하고, 액체 분사 헤드의 지지부(72)측을 X방향으로 위치 결정함과 더불어, 액체 분사 헤드의 전체를 Y방향으로 위치 결정한다. 또, 레버(80)의 제2 가압부(82)가, 액체 분사 헤드의 지지부(72)측을 Z방향으로 가압하여 위치 결정한다.
다음에, 레버(80)를 걸어맞춤부(73)에 걸어맞춘다. 이 때, 레버(80)의 직선부(85)가 가동판(92)의 클로우부(92a)와 맞닿고, 클로우부(92a)를 +X방향으로 밀어낸다. 이로 인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판(92)이 +φ방향으로 회동하여, 액체 분사 헤드(도시 생략)의 걸어맞춤부(73)측을 +X방향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액체 분사 헤드의 걸어맞춤부(73)측을 X방향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헤드는 지지부(72)측에 있어서 Z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으므로, 걸어맞춤부(73)측에 있어서 Z방향의 위치 결정은 생략해도 된다. 또 걸어맞춤부(73)측에 있어서의 Z방향의 위치 결정은, 나사 고정 등에 의해 행해도 된다. 나사 고정을 병용하면, 캐리지(62a)에 대해서 액체 분사 헤드를 보다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캐리지 유닛은, 캐리지(62a)의 걸어맞춤부(73)측에, 레버(80)의 걸어맞춤 동작에 연동하여, 액체 분사 헤드의 걸어맞춤부(73)측을 X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위치 결정하는 가압 기구(90)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레버(80)를 회동 및 걸어맞춤만으로, 액체 분사 헤드의 착탈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레버(80)의 회동 동작 및 걸어맞춤 동작에 수반하여, 액체 분사 헤드의 위치 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4 내지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캐리지 유닛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4에서는, 액체 분사 헤드를 제외하고 캐리지(62a)만을 도시하고 있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실시 형태의 가압 기구(90)에 더하여, 제2 레버(9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의 캐리지(62a)에는, 액체 분사 헤드(4)의 설치 기반(40)을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홈부(70)가 설치되고, 그 중앙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해서,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제3 실시 형태의 캐리지(62a)에는, 액체 분사 헤드(4)의 설치 기반(40)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관통 구멍(78)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설치 기반(40)의 하반부의 외형은 관통 구멍(78)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반부의 외형은 관통 구멍(78)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설치 기반(40)의 하반부가 관통 구멍(78)에 수용되고, 설치 기반(40)의 상반부가 캐리지(62a)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설치 기반(40)의 측면에 형성된 제1 돌기(도시 생략) 및 제2 돌기(48a, 48b)가, 관통 구멍(78)의 측면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레버(80), 지지부(72), 걸어맞춤부(73) 및 가압 기구(90)의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와 같다. 즉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레버(80)에는,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제1 가압부(81) 및 제2 가압부(8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캐리지(62a)에는,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가압 기구(9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캐리지(62a)에는, 제2 레버(9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레버(94)는, 스테인리스 등의 강선 재료를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78)의 +Y방향으로 인접하여, 제2 레버(94)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74)와, 제2 레버(94)를 걸어맞추는 제2 걸어맞춤부(75)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레버(94)는, 직선부(95)와, 직선부(95)의 단부로부터 -X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부(96)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동축부(96)는, 관통 구멍(78)의 +Y방향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2 지지부(7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레버(94)는, 회동축부(96)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굴곡하여 형성된 제4 가압부(98)를 구비하고 있다. 제4 가압부(98)는, 제2 레버(94)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액체 분사 헤드에 있어서의 설치 기반의 걸어맞춤부(73)측을 +Z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캐리지 유닛에 있어서, 액체 분사 헤드를 위치 결정 고정하려면, 우선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레버(80)를 회동한다. 이로 인해, 레버(80)의 제1 가압부(81)가, 액체 분사 헤드의 지지부(72)측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가압하고, 액체 분사 헤드의 지지부(72)측을 X방향으로 위치 결정함과 더불어, 액체 분사 헤드의 전체를 Y방향으로 위치 결정한다. 또, 레버(80)의 제2 가압부(82)가, 액체 분사 헤드의 지지부(72)측을 Z방향으로 가압하여 위치 결정한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레버(80)를 걸어맞춤부(73)에 걸어맞춘다. 이 때, 가압 기구(90)의 가동판(92)이 회동하고, 액체 분사 헤드(도시 생략)의 걸어맞춤부(73)측을 +X방향으로 가압하여 위치 결정한다.
다음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레버(94)를 회동하고, 그 직선부(95)를 제2 걸어맞춤부(75)에 걸어맞춘다. 이로 인해, 수평으로부터 하방까지 회동된 제4 가압부(98)가, 액체 분사 헤드(4)에 있어서의 설치 기반(40)의 걸어맞춤부(73)측을 +Z방향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액체 분사 헤드(4)의 걸어맞춤부(73)측이 캐리지(62a)에 대해서 Z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상에 의해, 액체 분사 헤드(4)는 캐리지(62a)에 대해서, XYZ의 3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캐리지 유닛은, 액체 분사 헤드(4)의 걸어맞춤부(73)측을 Z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위치 결정하는 제2 레버(94)가, 액체 분사 헤드(4)의 걸어맞춤부(73)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레버(80) 및 제2 레버(94)를 회동 및 걸어맞춤만으로, 액체 분사 헤드(4)의 착탈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레버(80) 및 제2 레버(94)의 회동 동작 및 걸어맞춤 동작에 수반하여, 액체 분사 헤드(4)의 위치 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80)의 제3 가압부(83)에 의해, 액체 분사 헤드의 설치 기반(40)과 베이스 플레이트(44)의 모서리부(44a)(도 8 참조)를 가압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 분사 헤드(4)가 커버(4a)로 덮여 있는 경우에는, 제3 가압부에서 모서리부를 가압할 수 없다.
이에 대해서, 제2 실시 형태 및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제3 가압부에 대신하여, 가압 기구(9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로 인해, 액체 분사 헤드(4)가 커버(4a)로 덮여 있는 경우에서도, 액체 분사 헤드(4)의 걸어맞춤부(73)측을 X방향으로 가압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레버(94)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액체 분사 헤드(4)가 커버(4a)로 덮여 있는 경우에서도, 액체 분사 헤드(4)의 걸어맞춤부(73)측을 Z방향으로 가압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여러 가지의 변경을 더한 것을 포함한다. 즉, 실시 형태에서 든 구체적인 재료나 층 구성 등은 그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액체 분사 기록 장치나, 도 2에 나타내는 액체 분사 헤드, 도 3에 나타내는 헤드 칩 등의 구성은 일례이며, 다른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캐리지(62a)에 4개의 액체 분사 헤드(4)를 탑재했지만, 1개의 캐리지(62a)에 탑재하는 액체 분사 헤드(4)의 개수는, 3개 이하여도 5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액체 분사 헤드(4)를 직선 형상으로 배열했지만,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분사 헤드(4)의 길이 방향(노즐 구멍의 배열 방향)이 캐리지(62a)의 부주사 방향과 직교하도록 액체 분사 헤드(4)를 배치했지만, 액체 분사 헤드(4)의 길이 방향이 캐리지(62a)의 부주사 방향과 직각 이외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액체 분사 헤드(4)를 배치해도 된다. 이로 인해,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액체 분사 피치가 작아지므로, 고정밀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레버(80)의 형상은 일례이며, 다른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레버(80)로 1개의 액체 분사 헤드를 고정했지만, 복수의 레버(80)을 연결함으로써, 1회의 회동 동작 및 걸어맞춤 동작으로 복수의 액체 분사 헤드(4)를 동시에 고정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돌기(47) 및 제2 돌기(48a, 48b)를 액체 분사 헤드(4)의 측면에 형성했지만, 캐리지(62a)에 있어서의 수용부의 측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 상술한 복수의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공정 중에서, 제1 가압부(81)가 -X방향과 +Y방향으로 액체 분사 헤드(4)를 누르는 경우, 먼저 제2 돌기(48a)가 홈부(70)의 측면에 맞닿고, X방향으로 위치 결정되고 나서, 다음에 제1 돌기(47)가 홈부(70)의 측면에 맞닿고, Y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것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액체 분사 헤드(4)의 형상, 질량, 중심의 위치나 홈부(70)의 표면 거칠기에 의한 미끄러짐 저항 등의 요인에 의한 것이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대로, X방향이 결정되고 나서 Y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형태와 다른 형태를 가지는 액체 분사 헤드를 고정하는 경우도,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고정 방법은 채용 가능하고, 그 경우에, 다른 형태 때문에, Y방향이 X방향보다 먼저 위치 결정되었다고 해도, 본 실시 형태와 다른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정 방법은, 액체 분사 헤드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는 순서를 한정한 것은 아니다.
S:피기록 매체 X:폭 방향
Y:길이 방향 Z:법선 방향
1:액체 분사 기록 장치 2,3:반송 수단(피기록 매체 반송 수단)
4:액체 분사 헤드 6:주사 수단(캐리지 이동 수단)
13:노즐 구멍(분사 구멍) 47:제1 돌기
48a, 48b:제2 돌기 62:캐리지 유닛
70:홈부(수용부) 72:지지부
73:걸어맞춤부 78:관통 구멍(수용부)
80:레버(제1 레버) 90:가압 기구
94:제2 레버

Claims (12)

  1. 피기록 매체의 기록면에 액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구멍이 배열된 액체 분사 헤드와,
    상기 액체 분사 헤드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면과 평행하게 상대 이동하는 캐리지를 구비한 캐리지 유닛으로서,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회동 및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레버의 회동 동작 및 걸어맞춤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액체 분사 헤드가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적어도 상기 기록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위치 결정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사 헤드는, 상기 복수의 분사 구멍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상기 기록면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장방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여 상기 길이 방향의 한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에 인접하여 상기 길이 방향의 다른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레버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적 토출 헤드 및 상기 수용부 중 한쪽의 측면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기와, 상기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가, 상기 액적 토출 헤드 및 상기 수용부 중 다른쪽의 측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액체 분사 헤드가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의 상기 지지부측에는, 상기 제1 레버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상기 지지부측을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상기 지지부측을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함과 더불어,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전체를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제1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의 상기 지지부측에는, 상기 제1 레버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상기 지지부측을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법선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위치 결정하는 제2 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부가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 후에, 상기 제2 가압부가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상기 법선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 유닛.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의 상기 걸어맞춤부측에는, 상기 제1 레버의 걸어맞춤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상기 걸어맞춤부측을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폭 방향 및 상기 법선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위치 결정하는 제3 가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 유닛.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의 상기 걸어맞춤부측에는, 상기 제1 레버의 걸어맞춤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상기 걸어맞춤부측을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폭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위치 결정하는 가압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의 상기 걸어맞춤부측에는,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상기 걸어맞춤부측을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법선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위치 결정하는 제2 레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 유닛.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 유닛.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관통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 유닛.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버는, 강선 재료를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 유닛.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캐리지 유닛을 이동시키는 캐리지 이동 수단과,
    상기 피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피기록 매체 반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기록 장치.
  12. 피기록 매체의 기록면에 액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구멍이 배열되고, 상기 분사 구멍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여, 상기 기록면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액체 분사 헤드와,
    상기 액체 분사 헤드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면과 평행하게 상대 이동하는 캐리지를 구비한 캐리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고정하는 길이 방향 고정 공정과,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상기 폭 방향으로 고정하는 폭 방향 고정 공정과,
    상기 길이 방향 고정 공정 및 상기 폭 방향 고정 공정이 완료된 후, 또는 상기 길이 방향 고정 공정 및 상기 폭 방향 고정 공정이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캐리지에 대해서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상기 법선 방향으로 고정하는 법선 방향 고정 공정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지 유닛의 고정 방법.
KR1020117012859A 2008-12-04 2009-11-27 캐리지 유닛, 액체 분사 기록 장치 및 캐리지 유닛의 고정 방법 KR201101062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09787 2008-12-04
JP2008309787A JP2010131853A (ja) 2008-12-04 2008-12-04 キャリッジユニット、液体噴射記録装置およびキャリッジユニットの固定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294A true KR20110106294A (ko) 2011-09-28

Family

ID=4223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859A KR20110106294A (ko) 2008-12-04 2009-11-27 캐리지 유닛, 액체 분사 기록 장치 및 캐리지 유닛의 고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261106A1 (ko)
EP (1) EP2374618A1 (ko)
JP (1) JP2010131853A (ko)
KR (1) KR20110106294A (ko)
CN (1) CN102239051A (ko)
WO (1) WO20100645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8927A1 (de) 2011-10-18 2013-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cht emittierende Vorrichtung (LED), Fertigungsverfahren dafür und ein LED-Modul, das diese verwend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0592B2 (ja) * 2010-02-15 2013-10-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JP5246198B2 (ja) * 2010-03-30 2013-07-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WO2016104126A1 (ja) * 2014-12-26 2016-06-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取付構造、キャ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647755B2 (ja) * 2015-12-11 2020-02-14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インクヘッドキャリッジおよびそれを備えたプリンタ
JP6639318B2 (ja) 2016-04-21 2020-02-05 エスアイアイ・プ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キャリッジおよび液体噴射記録装置
JP7459664B2 (ja) 2020-05-29 2024-04-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EP3878656A1 (en) 2020-03-10 2021-09-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discharg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2328A (ja) * 1991-12-11 1993-06-29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561450A (en) * 1992-09-30 1996-10-01 Pitney Bowes Inc. Apparatus for mounting an ink jet cartridge on a support therefor
JP2002210929A (ja) 2001-01-15 2002-07-31 Konica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4025965B2 (ja) * 2001-11-02 2007-12-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899420B2 (ja) * 2001-11-30 2007-03-28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画像形成装置
JP2003170575A (ja) 2001-12-06 2003-06-17 Konica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4249596A (ja) * 2003-02-20 2004-09-09 Canon Inc 記録装置
JP2007160630A (ja) * 2005-12-12 2007-06-28 Canon Inc 記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8927A1 (de) 2011-10-18 2013-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cht emittierende Vorrichtung (LED), Fertigungsverfahren dafür und ein LED-Modul, das diese verwend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64587A1 (ja) 2010-06-10
CN102239051A (zh) 2011-11-09
US20110261106A1 (en) 2011-10-27
EP2374618A1 (en) 2011-10-12
JP2010131853A (ja)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6294A (ko) 캐리지 유닛, 액체 분사 기록 장치 및 캐리지 유닛의 고정 방법
JP4639986B2 (ja) 液体噴射装置および液体噴射装置の位置決め方法
US8517514B2 (en) Printhead assembly and fluidic connection of die
US7665830B2 (en) Liquid discharge head, liquid discharge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5336774B2 (ja) ヘッドチップ、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
JP2009292009A (ja) ヘッドチップ、液体噴射ヘッド、液体噴射記録装置およびヘッドチップの製造方法
US20120210580A1 (en) Method of assembling an inkjet printhead
KR20110091001A (ko) 액체 분사 헤드 및 액체 분사 장치
US20150258790A1 (en) Liquid jet hea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jet head, and liquid jet apparatus
US6736501B2 (en) Platen and printer using the same
US20170157923A1 (en) Liquid jet head, liquid jet record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jet head
JP4581431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10201828A (ja) キャリッジユニット、液体噴射記録装置および液体噴射ヘッドの固定方法
JP5499444B2 (ja) 流体噴射装置
JP4560336B2 (ja) 記録装置
JP200017711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3608110B1 (en) Liquid jet head and liquid jet recording device
JP7265421B2 (ja) 液体噴射ヘッドおよび液体噴射記録装置
JP2005144947A (ja) 液体噴射装置
JP2006256051A (ja) 液滴吐出ヘッドバー、液滴吐出装置、及び、液滴吐出ヘッドバー製造方法
JPH07251547A (ja) 記録装置および該記録装置に用いられるインクタンクと、該記録装置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JP4826350B2 (ja) 液体噴射ヘッド
JP200716054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1126254A (ja)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
JP7382224B2 (ja) 液体噴射ヘッドおよび、液体噴射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