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454A - 배기 장치 - Google Patents

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454A
KR20110102454A KR1020117016057A KR20117016057A KR20110102454A KR 20110102454 A KR20110102454 A KR 20110102454A KR 1020117016057 A KR1020117016057 A KR 1020117016057A KR 20117016057 A KR20117016057 A KR 20117016057A KR 20110102454 A KR20110102454 A KR 20110102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device
insert
enclosure
section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0458B1 (ko
Inventor
로타르 에게르스되르페르
프랑크 죄펜
Original Assignee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10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65D90/34Ve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1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either side
    • F16K17/19Equalising valves predominantly for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6Venting plugs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9Machines characterised by drain passages or by venting, breathing or pressure compens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Abstract

인클로저 벽(3)의 개구(2)에 삽입되는 배기 장치(10; 20; 30)는, 인클로저의 개구(2)에 삽입되는 삽입부(12; 22; 32)와 헤드부(13; 23; 33)를 구비하는 몸체(11; 21; 31)를 포함한다. 몸체(11; 21; 31)는 유체가 인클로저(7)로부터 주위 환경(6)으로 진행하도록 삽입부(12; 22; 32)와 헤드부(13; 23; 33)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통로(14; 24; 34)를 구비한다. 배기 장치(10; 20; 30)는 통로(14; 24; 34)를 덮는 공기 투과성 및 물 불투과성 배기부(15; 25; 35)를 더 포함한다. 삽입부(12; 22; 32)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마련되어 인클로저의 벽(3)과 맞물리는 맞물림 섹션(16; 26; 36)은 반경방향으로 변형가능하고, 그로 인해 맞물림 섹션(16; 26; 36)은 배기 장치(10; 20; 30)가 다양한 벽 두께를 가진 인클로저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특별히 적응된다.

Description

배기 장치{VENTING DEVICE}
본 발명은 인클로저의 개구에 삽입되는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고유의 맞물림 특징부를 구비하여 배기 장치가 다양한 벽 두께를 가진 인클로저에 통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다수의 인클로저는 그 내부 체적과 주위 환경 간의 압력차를 경감하기 위해 배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압력차는 인클로저 내부에 수용된 임의의 액체의 온도 변동, 고도 변화 또는 증기압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배기 장치는 유리하게 다공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다공성 재료는 압력 균등화를 위해 기체 유동을 허용하는 한편, 액체와 미립자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이러한 배기 장치를 포함하는 실링된 인클로저는 자동차, 전자공학, 의료, 패키징 및 기타 산업 분야에 응용된다.
배기 장치는 억지 끼워맞춤, 나사산 또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인클로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브(barb), 나사산 등을 포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부착 수단들 각각에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수단은 다양한 벽 두께를 가진 인클로저에 용이하게 통합될 수 없으므로 추가적인 부착 특징부의 사용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산 부착 수단은 받침 너트(backing nut)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바브 끼워맞춤과 같은 다른 수단은 벽 두께를 보상하기 위해 두꺼운 개스킷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벽 두께를 가진 인클로저의 개구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배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면과 외면을 가진 벽을 구비하고 주위 공간에 대해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인클로저의 개구에 삽입되는 배기 장치가 제공된다.
배기 장치는 삽입부와 헤드부를 가진 몸체를 포함한다. 삽입부는 인클로저의 개구에 삽입되는 것이다. 몸체의 삽입부는 배기 장치가 인클로저의 개구에 삽입될 때 개구 내부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인클로저의 개구를 통해 인클로저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몸체의 헤드부는 실질적으로 인클로저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캡용 장착부 및/또는 삽입 멈춤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배기 장치의 몸체는 유체가 인클로저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주위 환경으로 진행하도록 삽입부와 헤드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통로를 더 포함한다. 통로는 특히 인클로저의 내부 체적과 주위 환경 간의 압력차를 경감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공기 투과성 및 물 불투과성 배기부가 구비되어 통로를 덮는다. 배기부는 임의의 액체 또는 기타 미립자 오염물질이 인클로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그 공기 투과성으로 인해 압력 경감을 가능하게 한다. 배기부는 박막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배기 장치의 헤드부에 통합된다.
배기 장치는 삽입부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마련된 맞물림 섹션을 더 포함한다. 맞물림 섹션은 배기 장치가 인클로저의 개구에 삽입될 때 반경방향으로 변형가능하여 벽으로부터의 인출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한다. 맞물림 타입에 따라, 반경방향 변형은 반경방향 팽창 또는 반경방향 압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맞물림 섹션은 예를 들어 형상 끼워맞춤 또는 강제 끼워맞춤 방식으로 인클로저의 벽과 맞물릴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벽에 잠금되거나, 안착되거나, 스냅핑되거나, 또는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맞물림 섹션은 배기 장치가 다양한 벽 두께를 가진 인클로저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적응된다. 이런 방식으로, 동일한 배기 장치가 어떠한 수정도 없이 다양한 두께를 가진 벽에 삽입될 수 있으며, 배기 장치의 분리를 방지할 정도의 저항력, 및 인클로저의 내부 공간과 주위 환경 간의 연통이 실질적으로 배기 장치의 몸체의 통로를 통해서만 이루어지게 할 정도의 실링과 같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장치는 개구 내의 또는 몸체 상의 접착제 또는 나사산과 같은 임의의 추가 수단 없이 인클로저에 부착될 수 있고, 또한 받침 너트 등과 같은 임의의 별개의 부착 특징부를 요구하지 않는다. 배기 장치는 외부로부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인클로저의 벽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장치는 또한 0.3바에 이르는 방수성(IP68) 및 증기 유동 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배기 장치의 맞물림 섹션은 복합 구성을 가진다. 배기 장치의 복합 구성은, 제1 중합체를 포함하고 인클로저의 개구에 삽입되는 생크 및 제2 중합체를 포함하는 실링부로 이루어진다. 제1 중합체는 제1 탄성 계수를 가지고, 제2 중합체는 제2 탄성 계수를 가지며, 그로 인해 제1 탄성 계수는 제2 탄성 계수보다 더 높다.
맞물림 섹션은 실링부와 생크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보어를 더 포함하고, 그로 인해 보어는 그 내부에 유리하게 원주 방향으로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그루브 및/또는 리브를 포함한다. 배기 장치의 삽입부는 맞물림 섹션의 하나 이상의 그루브 및/또는 리브와 각각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리브 및/또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부분을 구비하여, 배기 장치의 몸체와 맞물림 섹션 간에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한다. 그루브-리브 맞물림은 임의의 추가 부품의 필요 없이 두 부품의 용이한 끼워맞춤을 가능하게 한다. 강한 힘의 인가 없이 끼워맞춤을 달성할 수 있지만, 동시에 견고한 끼워맞춤을 제공한다.
복합 구성으로 인해, 맞물림 섹션은 비교적 연질의 재료를 필요로 할 수 있는 실링 특성 및 비교적 경질의 재료를 필요로 할 수 있는 고정 특성과 같은 다양한 특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맞물림 섹션은 생크와 실링부를 일체형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맞물림 섹션은 바람직하게 그 복합 구성의 실링부에 사용되는 제2 중합체에 대응할 수 있는 비교적 연질의 중합체 재료를 포함한다. 삽입부의 리브 및 비교적 연질의 맞물림 섹션의 대응하는 그루브 간의 억지 끼워맞춤을 개선하기 위해, 리브는 유리하게 바브로 작용할 수 있는 횡단면,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횡단면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어의 하나 이상의 그루브 및/또는 리브는 비교적 경질의 제1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맞물림 섹션의 생크에 마련된다. 배기 장치의 몸체와 맞물림 섹션의 경질의 부품 간의 억지 끼워맞춤의 제공으로 인해, 일단 리브와 그루브가 맞물리면, 두 부품 간의 연결이 비교적 견고하다. 바람직하게, 배기 장치의 몸체의 탄성 계수는 적어도 맞물림 섹션의 생크의 탄성 계수만큼 높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실링부는 삽입부가 맞물림 섹션의 보어에 삽입될 때 반경방향으로 팽창되어 배기 장치가 벽 개구로부터 인출되는 것에 대한 상기 저항력을 발생한다. 이런 방식으로, 인클로저의 개구 내에 추가 부품 또는 그 등가물을 필요로 함 없이, 배기 장치 및 다양한 두께의 벽 간의 견고한 맞물림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맞물림 섹션의 실링부의 반경방향 팽창 시에, 벽 개구의 내측에 대한 원주방향 실링을 달성할 수 있다.
맞물림 섹션은, 바람직하게 실링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플레어(flared)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맞물림 섹션의 플레어 단부, 즉 맞물림 섹션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진 맞물림 섹션의 일부는 배기 장치가 인클로저의 개구에 삽입될 때 배기 장치를 위한 멈춤부 역할을 하여, 배기 장치가 인클로저의 개구를 통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플레어 단부는 인클로저의 개구 내에서 배기 장치의 정확한 위치를 정의하기 때문에 개구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맞물림 섹션의 보어에 끼워맞춤될 삽입부는 단차가 형성되어 제1 직경부와 제2 직경부를 제공한다. 제1 직경은 보어의 직경보다 더 작고, 제2 직경은 보어의 직경보다 더 크며, 그로 인해 제2 직경부는 제1 직경부보다 배기 장치의 헤드부에 더 인접하게 위치한다. 더 작은 제1 직경부는 삽입부가 보어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실링부의 어떤 반경방향 팽창도 초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삽입부는 소정의 범위까지 용이하게 보어에 삽입될 수 있다. 더 큰 제2 직경부는 헤드부에 더 인접한 위치로 인해 제1 직경부 다음에 삽입되는데, 맞물림 섹션의 실링부를 반경방향으로 팽창되게 한다. 테이퍼된 삽입부를 제공하는 대신 단차에 의해 분리되는 일정한 제1 및 제2 직경을 가진 부분들을 제공함으로 인해, 실링부는 제2 직경부의 영역에서 삽입부에 의해 계속 팽창된다. 따라서, 벽의 두께에 상관없이 실링 영역에서 벽 개구의 내측에 대해 일정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삽입부의 제1 및 제2 직경 간의 단차는 바람직하게 테이퍼되어 제1 및 제2 직경부들 간의 원활한 전이를 제공한다. 이는 배기 장치의 몸체가 맞물림 섹션의 보어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보어는 삽입부의 리브 및/또는 그루브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제2 그루브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제2 리브를 포함하여, 삽입부가 부분적으로만 맞물림 섹션의 보어에 삽입될 때 삽입부를 보어 내에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두 개의 별개 부품인 배기 장치의 몸체와 맞물림 섹션의 사전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실링부는 사전 조립 상태에서 반경방향으로 팽창되지 않고, 따라서 배기 장치는 인클로저의 개구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배기 장치가 개구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후, 예를 들어 맞물림 섹션의 멈춤부가 벽 개구 내부로의 맞물림 섹션의 추가적인 축방향 이동을 방지할 때까지, 삽입부는 맞물림 섹션의 보어 내부로 더 전진하여 삽입부의 리브/그루브 및 맞물림 섹션의 보어의 전술한 (제1) 그루브/리브 간의 최종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한다. 맞물림 섹션의 보어의 제2 그루브 또는 리브는 제1 중합체보다 더 연질의 제2 중합체를 포함하는 맞물림 섹션의 실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보어의 제1 위치에 탈착가능한 끼워맞춤을 형성할 수 있고(사전 조립 구성), 상기 억지 끼워맞춤을 제공하는 보어의 제2 위치까지 삽입부를 더 삽입하기 위해 강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추가로 실링부와 헤드부 간의 축방향 실링을 제공하기 위해, 실링부와 헤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하게 헤드부와 실링부 중 다른 하나에 대향하는 하나 이상의 원주방향 리지를 포함한다. 원주방향 리지는 바람직하게 실링부에 포함된다. 다음으로, 축방향 실링이 삽입부가 보어에 삽입될 때 제공되어 상기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한다. 리브와 그루브의 위치, 특히 헤드부로부터의 그루브/리브 맞물림의 거리는 헤드부를 실링부의 리지에 압착하도록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상기 리지는 바람직하게 맞물림 섹션의 플레어 단부이다.
생크의 적어도 일부에는 축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반경방향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크의 기단, 즉 배기 장치의 헤드부에 최인접하는 생크의 일부에는 바람직하게 축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생크는 더 경질의 제1 중합체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실링부를 확장하고 상기 저항력을 발생함으로써, 몸체의 삽입부가 맞물림 섹션의 보어에 삽입될 때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 생크는 예를 들어 직경상 대향하는 두 개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슬릿들은 생크의 기단으로부터 그 중앙부를 향해 연장되어, 그 말단, 즉 배기 장치의 헤드부로부터 가장 먼 생크의 부분에 원주방향으로 폐쇄된 부분을 남긴다. 반경방향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슬릿 섹션의 제공은 생크가 다월로 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전개(spreading) 시에 개구에서 긴밀한 끼워맞춤을 강화한다.
바람직하게, 실링부는 생크 위에 끼워맞춤되어 슬릿 섹션의 영역에서 생크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싼다. 그러므로, 맞물림 섹션은 원주방향으로 폐쇄되어 인클로저의 개구에서 배기 장치의 끼워맞춤을 개선한다. 실링부는 더 연질의 제2 중합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슬릿 섹션의 반경방향 탄성을 유지한다.
맞물림 섹션, 즉 적어도 생크와 아마도 또한 그 실링부는 맞물림 섹션의 말단으로부터 그 중앙부를 향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축방향 슬릿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말단 슬릿 또는 슬릿들은 보어의 하나 이상의 그루브 또는 하나 이상의 리브를 간섭할 정도로 길다. 이는 맞물림 섹션의 말단에 반경방향 탄성을 제공하여 배기 장치의 몸체와 맞물림 섹션 간에 억지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한다. 맞물림 섹션은 직경상 대향하는 두 개의 슬릿 섹션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슬릿 섹션들 각각은 생크의 말단에서 생크의 원주의 1/4에 달할 수 있다. 맞물림 섹션의 이러한 비교적 큰 슬릿들 또는 절개부들은 배기 장치가 벽 개구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리세스들은 삽입부의 헤드부를 향해 좁아질 수 있고, 맞물림 섹션의 길이의 상당 부분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링부는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 또는 고무를 포함하고, 생크는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배기 장치의 몸체는 생크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삽입부는 구조적 코어 섹션과 맞물림 섹션을 포함한다. 맞물림 섹션은 구조적 코어 섹션보다 더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진 탄성 재료를 포함한다. 맞물림 섹션은, 삽입부의 길이를 따라 이격되고 삽입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반경방향 맞물림 부재를 더 포함한다.
맞물림 섹션보다 더 경질의 재료를 포함하는 구조적 코어 섹션은 배기 장치에 안정성을 제공하는 반면, 더 연질의 맞물림 섹션은 인클로저의 개구에서 배기 장치의 적절한 끼워맞춤을 가능하게 한다. 이격된 맞물림 부재들의 제공에 의해, 배기 장치는 다양한 두께를 가진 벽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일부 맞물림 부재들은 벽과 직접 맞물리는 한편, 나머지 맞물림 부재들은 삽입 중에 벽 위로 지나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맞물림 부재의 횡단면 폭은 맞물림 부재의 반경방향 내부 기저부에서 반경방향 외부 자유단까지 감소하고, 각각의 경우 실질적으로 삼각형일 수 있다. 이는 맞물림 부재들과 맞물림 섹션 간의 견고한 연결로 이어지고, 맞물림 부재들의 파손 위험을 줄이는 반면, 상대적으로 연질의 맞물림 부재들의 얇은 반경방향 외단들은 배기 장치가 개구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헤드부에 대향하는 맞물림 부재들의 면들은 실질적으로 삽입부의 종축에 수직일 수 있다. 반대로, 맞물림 부재들의 각각의 맞은편 면들은 테이퍼되어 배기 장치가 벽 개구에 삽입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한다. 종축에 수직인 면들은 배기 장치가 벽 개구에 삽입되거나 또는 벽 개구를 통해 삽입될 때 바브로 작용한다. 유리하게, 반경방향 맞물림 부재들은 맞물림 섹션에 톱니 형상의 프로파일을 형성하며 가요성이다. 이러한 연질의 맞물림 부재들은 용이한 삽입을 허용하지만, 배기 장치가 개구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해하거나 심지어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맞물림 부재들은 삽입부의 전체 원주를 따라 삽입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배기 장치가 인클로저의 개구에 삽입될 때 반경방향 실링 립들을 제공한다. 이런 방식으로, 추가 실링이 필요하지 않다. 특히, 추가 개스킷을 이용한, 벽의 외면에 대한 배기 장치의 헤드부의 축방향 실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맞물림 부재들은 배기 장치와 개구 간의 맞물림 및 배기 장치와 인클로저의 벽 내측 간의 실링 양자를 제공한다. 배기 장치가 인클로저의 벽 개구 전체를 통해 연장될 정도로 길지 않고, 그에 따라 모든 맞물림 부재들이 벽의 후방측과 맞물리는 바브로 작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벽 개구의 내측과 상호 작용하는 맞물림 부재들은 여전히 그 형상 및 가요성으로 인해 개구로부터의 인출에 대해 충분한 저항력을 제공한다.
맞물림 섹션은 약 1㎜의 피치를 가진 세 개, 바람직하게 네 개 이상, 바람직하게 다섯 개의 맞물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배기 장치가 2㎜, 3㎜ 또는 4㎜ 범위의 두께를 가진 벽 개구에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맞물림 섹션과 맞물림 부재들은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 또는 고무를 포함하고, 구조적 코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인클로저의 개구에 삽입되는 배기 장치가 구비되고, 여기서 맞물림 섹션은 배기 장치의 몸체의 삽입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 이상의 반경방향 잠금부를 구비한다. 반경방향 잠금부들은 벽의 내면과 맞물리는 것으로, 그로 인해 반경방향 잠금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잠금부는 몸체의 헤드부로부터 다양한 거리에 위치한다.
몸체의 헤드부로부터 다양한 거리에 위치하는 잠금부들의 제공은 배기 장치가 다양한 두께를 가진 벽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헤드부로부터의 거리가 벽의 두께보다 더 작은 잠금부들은 배기 장치가 벽에 삽입될 때 반경방향으로 변형되고, 맞물림에 기여하지 않을 수 있다. 헤드부로부터의 거리가 벽의 두께보다 더 큰 잠금부들은 비변형 상태로 존재하지만, 벽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또한 맞물림에 기여하지 않는다. 맞물림은 헤드부로부터의 거리가 벽의 두께에 대응하는 맞물림 부재들에 의해서만 수행된다. 이러한 맞물림 부재들은 비변형 상태로 존재하고, 바브형 방식으로 벽의 내면과 맞물린다.
바람직하게, 반경방향 잠금부들은 굽힘 암들(flexural arms)로 형성된다. 굽힘 암들은 용이한 절곡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배기 장치를 개구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굽힘 암들은 바람직하게 배기 장치로부터 예각으로 매달리므로, 배기 장치의 종축에 거의 평행하고, 벽 개구를 통해 미끄러지기 위해 반경방향 내부로 적은 휨(deflection)만 있으면 된다. 그러나, 굽힘 암들이 배기 장치가 벽 개구에 삽입되는 동안 벽을 지난 후 비변형 상태로 복귀할 때, 이들에 의해 배기 장치의 충분한 고정이 달성된다.
개구에서 배기 장치의 균일한 끼워맞춤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 바람직하게 세 개의 반경방향 잠금부가 몸체의 헤드부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고, 바람직하게 삽입부의 원주를 중심으로 균일하게 배치된다. 삽입부의 원주를 중심으로 균등하게 이격된, 즉 약 120°거리에 마련된, 예를 들어 세 개의 잠금부들의 제공에 의해, 배기 장치가 개구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헤드부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네 개 이상의 잠금부가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로부터 다양한 거리에 위치하는 잠금부들은 다른 거리의 잠금부들로부터 약간 이동되어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각각의 암들은 충돌하지 않고 삽입부의 길이를 따라 평행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잠금부들은 예를 들어 1㎜의 간격으로 세 개 또는 네 개의 다양한 거리에 구비되고, 그로 인해 헤드부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잠금부들은 삽입부의 원주를 중심으로 균일하게 배치된다.
헤드부는 인클로저의 벽의 외면에 대해 헤드부를 축방향으로 실링하는 축방향으로 변형가능한 개스킷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개스킷은 벨로즈형 방식으로 형성되고, 축방향 압축의 적어도 1㎜를 차지할 수 있다. 1㎜ 간격으로 헤드부로부터의 떨어져 배치되는 반경방향 잠금부들과 협동하여, 배기 장치는 예를 들어, 1㎜, 2㎜, 3㎜ 또는 4㎜의 깊이를 가진 벽 개구 및 중간에 임의의 두께를 가진 벽 개구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그러므로, 축방향으로 변형가능한 개스킷은 미지의 두께를 가진 벽들에 대해 벽의 외면에 대한 헤드부의 충분한 실링을 제공한다. 아울러, 이는 배기 장치가 실제로 필요한 삽입 깊이를 약간 넘어 삽입되게 하여, 활성 잠금부들이 비변형 상태로 복귀하여 바브로 작용하게 한다. 다음으로, 벽은 헤드부로부터의 각각의 거리에서 활성 잠금부들과 개스킷 간에 클램핑된다. 축방향 실링으로 인해 반경방향 실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배기 장치의 몸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상들 전체에서, 공기 투과성 및 물 불투과성 배기부는 다공성 박막, 바람직하게 PTFE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배기 장치는 적어도 1㎜, 바람직하게 3㎜까지의 다양한 벽 두께를 가진 인클로저에 통합되도록 적응된다. 특히, 배기 장치는 1㎜ 내지 적어도 4㎜의 다양한 벽 두께를 가진 인클로저에 통합되도록 적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벽 두께를 가진 인클로저의 개구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배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들은 첨부 도면 및 그 설명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배기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a, 2b, 2c는 배기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세 부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캡을 포함한 조립 상태의 배기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배기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배기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캡을 포함한 배기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인클로저의 개구에 삽입된 배기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배기 장치의 제3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배기 장치의 제3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캡을 포함한 조립 상태의 배기 장치의 제3 실시형태의 횡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장치(10)는 몸체(11), 및 경질의 부품과 연질의 부품으로 구성된 맞물림 섹션(16)을 포함한다. 배기 장치(10)는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당해 기술에 공지된 사출 성형 기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a에서, 제1 중합체로 구성된 맞물림 섹션(16)의 경질의 부품이 도시된다. 경질의 부품은 배기 장치(10)의 맞물림 섹션(16)의 생크(18)를 형성한다. 생크(18)는 직경상 대향하는 두 개의 슬릿(18a)을 가지고, 상기 슬릿들은 다월에서처럼 생크(18)의 반경방향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두 개의 반경방향 연장부(18b)가 구비되어 도 2b에 도시된 연질의 실링부(17)의 플레어 단부(17a)와 맞물린다.
도 2b는 경질의 부품의 제1 중합체보다 더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진 제2 중합체로 구성된 연질의 부품을 보여준다. 연질의 부품은 맞물림 섹션(16)의 실링부(17)를 형성한다. 실링부(17)는 도 2a에 도시된 생크(18) 위에 끼워맞춤되는 것으로, 스냅-핏 홀들(17c)에 의해 생크(18)의 돌기들(18c)과 맞물린다. 다음으로, 생크(18)의 슬릿 섹션들(18a)은 연질의 실링부(17)에 의해 둘러싸인다. 생크(18)와 실링부(17)는 이미 제조 현장에서 전술한 방식으로 함께 끼워맞춤된다.
그러므로, 맞물림 섹션(16)은 실링부(17)와 생크(18)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상이한 탄성 계수를 가진 두 재료로 구성된다. 생크(18)는 약 1700MPa의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및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는 한편, 실링부(17)는 50 내지 75, 바람직하게 60 내지 70의 쇼어 A 경도를 가질 수 있는, 더 작은 탄성 계수의 열가소성 탄성체(TPE)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생크(18)와 실링부(1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열가소성 탄성체(TPE)와 같은 비교적 연질의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장치(10)의 몸체(11)는 헤드부(13)와 삽입부(12)를 포함한다. 삽입부(12)는 하나 이상의 원주 리브(11a)를 포함한다. 삽입부(12)는 테이퍼된 단차(12c)에 의해 분리되는 두 개의 상이한 직경부(12a, 12b)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는 더 작은 직경부(12a)와 약 160°의 각도(12d)를 이룬다. 리브(11a)는 더 작은 직경부(12a)에 마련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상이한 직경부(12a, 12b)는 삽입부(12)가 맞물림 섹션(16)의 보어(16a)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몸체(11)는 약 1700MPa의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및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는 인클로저의 내부(7)와 주위 환경(6) 간의 유체 연통을 위해 통로(14)를 구비하고, 그로 인해 통로(14)는 공기 투과성 및 액체 불투과성인 다공성 재료(15)로 덮인다. 다공성 재료(15)는 유리하게 PTFE 박막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이를 포함할 수 있다. PTFE 박막은 유리하게 당해 기술에 공지된 방법들에 의해 소유성(oleophobic)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미국 특허 제5,116,650호에 설명된다. 필요한 경우, 박막은 지지 또는 받침 재료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역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18)는 보어(16a)를 포함하고, 상기 보어는 생크(18)의 말단에 인접한 제1 그루브(16b)를 구비한다. 몸체(11)의 삽입부(12)의 원주 리브(11a)는 보어(16a)에 완전히 삽입될 때 그루브(16b)와 맞물릴 수 있다. 도 3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17)는 원주 리지(17b)를 구비하고, 상기 원주 리지는 삽입부(12)가 보어(16a)에 완전히 삽입될 때, 즉 리브(11a)가 그루브(16b)에 맞물려 상기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할 때 헤드부에 대한 축방향 실링을 제공할 것이다. 캡(19)이 구비되어 다공성 재료(15)를 덮고 보호할 수 있다.
배기 장치(10)는 맞물림 섹션(16)의 보어(16a)에 삽입부(12)를 부분적으로만 삽입하여 사전 조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리브(11a)는 그루브(16b)보다 헤드부(13)에 더 인접하여 위치하는 다른 그루브(16c)와 맞물린다. 실링부(17)는 사전 조립 상태에서는 아직 팽창되지 않는다. 배기 장치(10)를 이러한 사전 조립 구성으로 시장에 내는 것이 유리한데, 이는 일체형 장치로서 조작이 용이하고 벽(3)의 개구(2)에 간단히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 시에, 삽입부(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브(11a)가 다른 그루브(16b)와 맞물려 억지 끼워맞춤 및 저항력을 형성할 때까지, 보어(16a)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이하, 사전 조립된 배기 장치(10)를 벽(3)의 개구(2)에 장착하는 과정이 설명된다. 먼저, 맞물림 섹션(16)은 탄성체 실링부(17)가 인클로저 벽(3)의 외면에 안착될 때까지 개구(2)에 삽입된다. 제2 단계에서, 몸체(11)의 삽입부(12)는 맞물림 섹션(16)의 보어(16a)에 완전히 삽입되어, 삽입부(12)의 더 큰 직경부(12b)를 생크(18), 특히 생크(18)의 기단과 상호 작용하게 한다. 삽입부(12)의 부분들(12a, 12b)은 테이퍼된 단차(12c)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삽입부(12)는 맞물림 섹션(16)의 보어(16a)에 용이하게 미끄러져 들어간다. 더 큰 직경부(12b)가 일정한 직경을 가진다는 사실로 인해, 맞물림 섹션(16)의 생크(18) 및 그에 따른 실링부(17)는 더 큰 직경부(12b)가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균일하게 팽창되고, 그로 인해 슬릿 섹션들(18a)에 의해 생크(18) 기단의 반경방향 팽창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팽창된 실링부(17)는 다양한 벽 두께에 상관없이 벽 개구(2)에 일정한 접촉 압력을 제공하여 충분한 반경방향 실링을 달성한다. 아울러, 삽입부(12)가 맞물림 섹션(16)의 생크(18)를 외부로 밀기 때문에, 배기 장치(10)를 벽(3)의 개구(2) 내에 유지하는 반경방향 압력의 증가에 의해, 벽(3)의 개구(2)에 대한 잠금력이 발생된다.
삽입부(12)가 맞물림 섹션(16)에 삽입될 때, 더 작은 직경부(12a)의 원주의 리브(11a)는 보어(16a) 내부로 더 전진하고, 생크(18)의 말단을 반경방향으로 팽창되게 하는데, 이러한 팽창은 슬릿 섹션들(16d)에 의해 가능하다. 일단 삽입부(12)가 최종 위치에 도달하면, 즉 보어(16a)에 완전히 삽입되면, 리브(11a)는 그루브(16b)와 맞물려 상기 억지 끼워맞춤을 야기한다. 이러한 리브-그루브 맞물림을 강화하기 위해, 특히 생크(18)와 실링부(17)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리브(11a)와 그루브(16b)는 바브형 맞물림을 허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리브(11a)와 그루브(16b)의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횡단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리브-그루브 맞물림은 몸체(11)의 헤드부(13)에 의해 실링부(17)에 축방향 압축력을 발생하고, 이는 실링부(17)의 플레어 단부(17a)의 리지(17b)와 함께 시일(seal)이 형성되게 한다. 또한, 이러한 맞물림은 몸체(11)를 삽입부(12)와 맞물리고 해제하는 데에 필요한 힘의 증가를 제공하고, 이는 다음으로 인클로저의 벽(3)의 개구(2)에 대한 잠금력의 증가를 제공한다.
배기 장치(10)의 다월형 구성으로 인해, 배기 장치(10)가 개구에 삽입되는 동안 결합력(mating force)이 낮다. 즉, 배기 장치를 인클로저의 벽에 장착하는 데 낮은 힘이 필요한 반면, 잠금력은 배기 장치(10)를 개구 내에 유지할 정도로 높다. 아울러,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충분한 실링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단일 배기 장치(10)가 다양한 두께의 인클로저의 벽에 삽입될 수 있다. 헤드부와 리브-그루브 맞물림 간의 거리를 적절하게 선택함에 의해, 두꺼운 압축가능한 개스킷에 의존함 없이 1㎜ 내지 4㎜의 벽 두께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기 장치(20)가 제공된다. 배기 장치(20)는 상이한 물리적 특징을 가진 두 개의 중합체 부품으로 구성된다. 두 부품은 별개로 사출 성형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당해 기술에 공지된 2-부품 사출 성형 기법을 이용하여 제1 부품 상에 제2 부품을 직접 성형하는 것이지만, 더 많은 비용과 더 긴 사이클 시간을 필요로 한다.
배기 장치(20)는 삽입부(22)와 헤드부(23)를 가진 몸체(21)를 포함한다. 몸체(21)는 인클로저의 내부(7)와 주위 환경(6) 간의 유체 연통을 위해 통로(24)를 구비한다.
삽입부(22)는 두 섹션, 즉 구조적 코어 섹션(27), 및 본원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네 개의 반경방향 맞물림 부재(28)를 구비하는 탄성 맞물림 섹션(26)을 포함한다. 구조적 코어 섹션(27)은 배기 장치(20)에 기계적 안정성을 부여한다. 맞물림 부재들(28)은 가요성이고, 실링 기능 및 유지 기능을 가진다. 코어 섹션(27)과 헤드부(23)는 약 1700MPa의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맞물림 섹션(26)은 코어 섹션(27)의 재료보다 더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진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 섹션(26)을 위한 적합한 재료들은 50 내지 75, 바람직하게 60 내지 70의 쇼어 A 경도를 가질 수 있는 열가소성 탄성체(TPE) 재료 또는 고무를 포함한다.
도 6은 다공성, 공기 투과성, 물 불투과성 재료(25)로 덮인 통로(24)를 보여주되, 상기 재료는 도 3에 도시된 배기 장치(10)의 다공성 재료(15)와 유사한 PTFE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캡(29)이 구비되어 다공성 재료(25)를 덮고 보호할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부재들(28)은 맞물림 섹션(26)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부재들은 약 1㎜의 피치를 가지고 마련된다. 즉, 상기 부재들의 반경방향 자유단들은 약 1㎜ 이격된다. 맞물림 부재들(28)은 임의의 형상 또는 형태를 가지며, 배기 장치(20)와 인클로저의 벽(3)의 내측 간에 액밀성 시일(liquid-tight seal)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맞물림 부재들(28)은 또한 배기 장치(20)를 벽 개구에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맞물림 부재들(28)은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서로 약 45°의 각도(28a)를 이룬다. 맞물림 섹션(26)의 원주에 대한 각도(28b)는 135°에 달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 및 가요성으로 인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부재들(28)은 배기 장치(20)가 벽(3)의 개구에 삽입되는 동안 절곡된다. 상기 부재들은 개구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배기 장치(20)가 개구에서 인출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벽(3)의 두께에 따라, 하나 이상의 맞물림 부재(28)가 벽을 지나 비변형 상태로 복귀하여, 벽(3)의 내면에 맞물리는 바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개구로부터의 배기 장치(20)의 인출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아울러, 반경방향 외부단들을 향한 맞물림 부재들(28)의 테이퍼링은 맞물림 부재들(28)과 벽(3)의 내측 간에 작은 접촉면을 초래하고, 따라서 맞물림 부재들(28)은 높은 접촉 압력과 그에 따른 높은 밀폐력을 제공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기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30)는 삽입부(32)와 헤드부(33)를 가진 몸체(31)를 포함한다. 삽입부(32)는 벽(3)의 개구에 삽입되는 것으로, 인클로저에 부착된 몸체(31)를 고정하는 반경방향 잠금부들(36a~36d)을 포함한다. 잠금부들(36a~36d)은 헤드부(33)로부터 다양한 거리에 위치하여 다양한 벽 두께를 수용한다.
몸체(31)는 약 1700MPa의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31)는 당해 기술에 공지된 사출 성형 기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잠금부들(36a~36d)은 몸체(31)의 삽입부(32)에 구비된다. 잠금부들(36a~36d)은 삽입부(3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예각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삽입부의 종축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잠금부들(36a~36d)은 몸체(31)의 헤드부(33)로부터 다양한 거리에 위치한다. 각각의 거리에 세 개의 잠금부들(36a~36d)이 구비된다. 도 10에서, 배기 장치(30)는, 삽입부(32)가 벽 개구에 삽입될 때, 벽(3) 뒤에서 스냅-핏되는 제1 잠금부(36a) 세트의 맞물림에 의해 예를 들어 단지 1㎜ 두께의 비교적 얇은 벽(3)에 부착된다. 배기 장치(30)가 더 두꺼운 벽을 가진 인클로저 안에 있는 경우, 잠금 맞물림은 다른 잠금부 세트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나머지 잠금부 세트들은 벽 개구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압축되거나 또는 벽으로부터 떨어져 인클로저 내부로 연장됨에 따라 잠금 맞물림에 기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일 배기 장치(30)가 다양한 두께의 인클로저의 벽에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다. 헤드부-잠금부 거리를 적절하게 선택함에 의해, 두꺼운 압축가능한 개스킷에 의존함 없이 1㎜ 내지 4㎜의 벽 두께를 수용할 수 있다. 비교적 얇은 벨로즈 타입의 개스킷(37)은 잠금부(36a~36d) 세트들 간의 거리에 의해 설정된 간격들 중간의 모든 있을 수 있는 벽 두께를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개스킷(37)은 벽(3)의 외면과 배기 장치(30)의 헤드부(33) 간의 액밀성 시일, 및 잠금부들(36a~36d)이 벽(3) 뒤에서 스냅-핏될 때 이들에 의해 발생되는 잠금력에 대한 대항력 양자를 제공한다. 개스킷 두께와 압축률 특성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1㎜ 내지 4㎜의 모든 벽 두께를 수용할 수 있다. 개스킷(37)은 통상의 오링 대신 프로파일 개스킷으로 구비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는 인클로저의 내부(7)와 주위 환경(6) 간의 유체 연통을 위해 통로(34)를 구비한다. 통로(34)를 포함하는 배기 장치(30)의 헤드부(33)는 공기 투과성 및 액체 불투과성인 다공성 재료(35)로 덮인다. 다공성 재료(35)는 배기를 허용하지만, 물 및 기타 액체 또는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다공성 재료(35)는 도 3에 도시된 배기 장치(10)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PTFE 박막일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열 또는 초음파 용접을 포함하는 공지된 기법을 이용하여 몸체(31)에 부착될 수 있다. 다공성 재료(35)는 또한 당해 기술에 공지된 사출 성형 기법을 이용하여 배기 장치(30)에 통합될 수 있다. 캡(39)이 배기 장치(30)의 헤드부(33)에 구비되어 다공성 재료(35)를 덮고 보호할 수 있다.
2 : 개구
3 : 벽
6 : 주위 환경
7 : 인클로저
10, 20, 30 : 배기 장치
11, 21, 31 : 몸체
12, 22, 32 : 삽입부
13, 23, 33 : 헤드부
14, 24, 34 : 통로
15, 25, 35 :배기부
16, 26, 36 : 섹션

Claims (33)

  1. 내면과 외면을 가진 벽(3)을 구비한 인클로저의 개구(2)에 삽입되는 배기 장치(10; 20; 30)로,
    인클로저의 개구(2)에 삽입되는 삽입부(12; 22; 32)와 헤드부(13; 23; 33)를 포함하며, 유체가 인클로저(7)로부터 주위 환경(6)으로 진행하도록 삽입부(12; 22; 32)와 헤드부(13; 23; 33)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통로(14; 24; 34)를 구비하는 몸체(11; 21; 31);
    통로(14; 24; 34)를 덮는 공기 투과성 및 물 불투과성 배기부(15; 25; 35); 및
    삽입부(12; 22; 32)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마련되어 인클로저의 벽(3)과 맞물리고, 배기 장치(10; 20; 30)가 개구(2)에 삽입될 때 반경방향으로 변형가능하여 벽(3)으로부터의 인출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며, 배기 장치(10; 20; 30)가 다양한 벽 두께를 가진 인클로저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적응되는 맞물림 섹션(16; 26; 36)을 포함하는 배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맞물림 섹션(16)은 인클로저의 개구(2)에 삽입되는 생크(18), 및 실링부(17)를 포함하고,
    보어(16a)는 실링부(17)와 생크(18)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하나 이상의 제1 그루브(16b)와 하나 이상의 제1 리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삽입부(12)는 맞물림 섹션(16)의 보어(16a)에 삽입되며, 맞물림 섹션(16)의 하나 이상의 제1 그루브(16b)와 하나 이상의 제1 리브와 각각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리브(11a)와 하나 이상의 그루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배기 장치(10)의 몸체(11)와 맞물림 섹션(16) 간에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하는 것인 배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맞물림 섹션(16)은 제1 탄성 계수를 가진 제1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크(18), 및 제1 탄성 계수보다 더 낮은 제2 탄성 계수를 가진 제2 중합체를 포함하는 실링부(17)를 구비하는 복합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배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생크(18)의 기단의 적어도 일부(18a)에는 축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반경방향 탄성을 제공하는 것인 배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실링부(17)는 생크(18) 위에 끼워맞춤되어 슬릿 섹션(18a)의 영역에서 생크(18)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는 것인 배기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링부(17)는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 또는 고무를 포함하고, 생크(18)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배기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1 그루브(16b) 또는 하나 이상의 제1 리브는 제1 중합체를 포함하는 생크(18)에 마련되는 것인 배기 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링부(17)는 삽입부(12)가 보어(16a)에 삽입될 때 반경방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저항력을 발생하는 것인 배기 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맞물림 섹션(16)은 바람직하게 실링부(17)에 의해 형성되는 플레어 단부(17a)를 포함하는 것인 배기 장치.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부(12)는 단차가 형성되어, 보어(16a)의 직경보다 더 작은 제1 직경(12a), 및 제1 직경(12a)보다 헤드부(13)에 더 인접하게 위치하며 보어(16a)의 상기 직경보다 더 큰 제2 직경(12b)을 제공하는 것인 배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삽입부(12)의 제1 직경(12a)과 제2 직경(12b) 간의 단차(12c)는 테이퍼되는 것인 배기 장치.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어(16a)는 삽입부(12)의 하나 이상의 리브(11a)와 하나 이상의 그루브와 각각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제2 그루브(16c)와 하나 이상의 제2 리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삽입부(12)가 부분적으로만 보어(16a)에 삽입될 때 삽입부(12)를 보어(16a) 내에 유지하는 것인 배기 장치.
  13.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링부(17)와 헤드부(13)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 실링부(17)는 헤드부(13)와 실링부(17) 중 다른 하나에 대향하는 하나 이상의 원주방향 리지(17b)를 포함하여, 삽입부(12)가 보어(16a)에 삽입될 때 실링부(17)와 헤드부(13) 간의 축방향 실링을 제공하고 상기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하는 것인 배기 장치.
  14.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맞물림 섹션(16), 바람직하게 적어도 그 생크(18)는, 맞물림 섹션(16)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보어(16a)의 하나 이상의 그루브(16b) 또는 리브와 간섭하는 하나 이상의 슬릿(16d)을 포함하여, 맞물림 섹션(16)에 반경방향 탄성을 제공하여 배기 장치(10)의 몸체(11)와 맞물림 섹션(16) 간에 억지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하는 것인 배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삽입부(22)는 제1 탄성 계수를 가진 제1 재료를 포함하는 구조적 코어 섹션(27), 및 제1 탄성 계수보다 더 낮은 제2 탄성 계수를 가진 제2 재료를 포함하는 맞물림 섹션(26)을 포함하고, 맞물림 섹션(26)은 삽입부(22)의 길이를 따라 이격되며 삽입부(2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반경방향 맞물림 부재(28)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배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맞물림 부재들(28)의 횡단면 폭은 반경방향 내부 기저부에서 반경방향 외부 자유단까지 감소하는 것인 배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맞물림 부재들(28) 각각은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것인 배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헤드부(23)에 대향하는 맞물림 부재들(28)의 면들은 실질적으로 삽입부(22)의 종축에 수직인 것인 배기 장치.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경방향 맞물림 부재들(28)은 맞물림 섹션(26)에 톱니 형상의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것인 배기 장치.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맞물림 부재들(28)은 가요성인 것인 배기 장치.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맞물림 부재들(28)은 삽입부(22)의 원주를 따라 삽입부(2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배기 장치(20)가 인클로저의 개구(2)에 삽입될 때 반경방향 실링 립들을 제공하는 것인 배기 장치.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맞물림 섹션(26)은 약 1㎜의 피치를 가진 세 개 또는 바람직하게 네 개 이상, 바람직하게 다섯 개의 맞물림 부재(28)를 포함하는 것인 배기 장치.
  23.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맞물림 섹션(26)과 맞물림 부재들(28)은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 또는 고무를 포함하고, 구조적 코어(27)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배기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맞물림 섹션(36)은, 배기 장치(30)의 몸체(31)의 삽입부(3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인클로저의 벽(3)의 내면과 맞물리는 두 개 이상의 반경방향 잠금부(36a, 36b, 36c, 36d)를 포함하고,
    반경방향 잠금부들(36a, 36b, 36c, 36d) 중 적어도 두 개의 잠금부는 배기 장치(30)의 몸체(31)의 헤드부(33)로부터 다양한 거리에 위치하는 것인 배기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반경방향 잠금부들(36a, 36b, 36c, 36d)은 굽힘 암들로 형성되는 것인 배기 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 바람직하게 세 개 이상의 반경방향 잠금부(36a, 36b, 36c, 36d)는 헤드부(33)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고, 삽입부(32)의 원주를 중심으로 균일하게 배치되는 것인 배기 장치.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부(33)는 인클로저의 벽(3)의 외면에 대해 헤드부(33)를 축방향으로 실링하는 축방향으로 변형가능한 개스킷(37)을 포함하는 것인 배기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개스킷(37)은 벨로즈형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인 배기 장치.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개스킷(37)은 적어도 1㎜의 높이에서 가변성을 가지는 것인 배기 장치.
  30.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31)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배기 장치.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투과성 및 물 불투과성 배기부(15; 25; 35)는 다공성 박막, 바람직하게 PTFE 박막을 포함하는 것인 배기 장치.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기 장치(10; 20; 30)는 적어도 1㎜, 바람직하게 3㎜까지의 다양한 벽 두께를 가진 인클로저에 통합되도록 적응되는 것인 배기 장치.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기 장치(10; 20; 30)는 1㎜ 내지 적어도 4㎜의 다양한 벽 두께를 가진 인클로저에 통합되도록 적응되는 것인 배기 장치.

KR1020117016057A 2008-12-31 2009-12-29 배기 장치 KR101330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70408P 2008-12-31 2008-12-31
US61/141,704 2008-12-31
PCT/EP2009/068006 WO2010076326A1 (en) 2008-12-31 2009-12-29 Venting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765A Division KR101411762B1 (ko) 2008-12-31 2009-12-29 배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454A true KR20110102454A (ko) 2011-09-16
KR101330458B1 KR101330458B1 (ko) 2013-11-15

Family

ID=418189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765A KR101411762B1 (ko) 2008-12-31 2009-12-29 배기 장치
KR1020117016057A KR101330458B1 (ko) 2008-12-31 2009-12-29 배기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765A KR101411762B1 (ko) 2008-12-31 2009-12-29 배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9061811B2 (ko)
EP (2) EP2679515B1 (ko)
JP (2) JP5416224B2 (ko)
KR (2) KR101411762B1 (ko)
CN (2) CN103398200B (ko)
WO (1) WO20100763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109A (ko) 2018-09-27 2020-04-0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외선 led 살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4403B2 (ja) * 2011-04-27 2015-05-0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ユニット
EP2560469B1 (en) * 2011-08-18 2019-01-16 W.L.Gore & Associates Gmbh Venting device comprising a seal protection
ES2859323T3 (es) 2011-11-07 2021-10-01 Medimmune Ltd Terapias de combinación que usan moléculas de unión anti-Psl y PcrV de Pseudomonas
DE102012000215B4 (de) * 2012-01-07 2022-02-0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Rückschlagventil
FR2987427B1 (fr) * 2012-01-27 2015-03-20 Valeo Illuminacion Ventilation d'un boitier de dispositif d'eclairage ou de signalisation d'un vehicule
DE102012204653A1 (de) * 2012-03-22 2013-09-26 Trilux Gmbh & Co. Kg Leuchte mit Druckausgleichsvorrichtung
ITMI20120654A1 (it) * 2012-04-19 2013-10-20 Gvs Spa Elemento di ventilazione di un involucro contenente un organo elettrico, meccanico o elettromeccanico
DE112012006405B4 (de) * 2012-05-24 2016-08-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euchtigkeitsbeseitigungsvorrichtung, Beleuchtungsvorrichtung zur Montage an einem Fahrzeug, und Lichtquellen-Beleuchtungsvorrichtung
CN103925403A (zh) * 2013-01-15 2014-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阀门装置及防水设备
JP6130182B2 (ja) * 2013-03-26 2017-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6130183B2 (ja) 2013-03-26 2017-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USD748472S1 (en) 2013-11-08 2016-02-02 W.L. Gore & Associates Gmbh Vent
USD763083S1 (en) 2013-11-08 2016-08-09 W.L. Gore & Associates, Gmbh Vent cap
USD748227S1 (en) 2014-02-24 2016-01-26 W. L. Gore & Associates Gmbh Vent cap
USD749197S1 (en) 2014-02-24 2016-02-09 W. L. Gore & Associates Gmbh Vent cap
DE102014206735A1 (de) * 2014-04-08 2015-10-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Druckausgleichselement für ein Gehäuse
US20160014910A1 (en) * 2014-07-10 2016-01-14 Peerless Industries, Inc. Enclosed media device with improved heat transfer capabilities
USD745113S1 (en) * 2014-09-23 2015-12-08 Farshad Fahim Air vent device
DE102014226575A1 (de) * 2014-12-19 2016-06-23 Robert Bosch Gmbh Schutzvorrichtung für ein Druckausgleichselement
US9739362B2 (en) 2015-03-30 2017-08-22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Method for condensation reduction in linear electromechanical actuators
JP6533110B2 (ja) * 2015-07-14 2019-06-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穴キャップ
KR102368493B1 (ko) * 2015-12-11 2022-03-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통기부재
CN108708974B (zh) * 2015-12-21 2020-06-30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密封垫圈、冰箱内置饮水机及冰箱
CN105416812B (zh) * 2016-01-19 2017-10-31 刘清凤 一种标准品储液瓶瓶盖
EP3284985B1 (en) * 2016-08-17 2020-01-08 W.L. Gore & Associates GmbH Check valve
EP3859873A1 (en) * 2016-10-04 2021-08-04 Kabushiki Kaisha Toshiba Pressure relief case
DE202017100199U1 (de) * 2017-01-16 2017-03-17 Valeo Klimasysteme Gmbh Heizungs-, Lüftungs- und/oder Klimatisier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11047508B2 (en) 2017-03-30 2021-06-29 Donaldson Company, Inc. Vent with relief valve
IT201700067924A1 (it) * 2017-06-19 2018-12-19 Gewiss Spa Struttura di quadro elettrico stagno
CN107323901B (zh) * 2017-07-03 2019-09-27 诸暨市青辰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带有定时透气功能的海上存储罐
CN109838865A (zh) * 2017-11-28 2019-06-04 山西彩云归科技有限公司 新风机和新风机的密封方法
US11117710B2 (en) * 2017-12-04 2021-09-14 Rapak, Llc Valve assembly for bags
KR20200011766A (ko) * 2018-07-25 2020-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모듈
DE102019103431B3 (de) * 2019-02-12 2020-04-09 Hugo Benzing Gmbh & Co. Kg Druckentlastungsventil zum Abbau von in einem zellenartigen Hohlraum, wie einer Batteriezelle, entstehendem Druck
DE102019134788A1 (de) * 2019-12-17 2021-06-17 Audi Ag Be- und Entlüftungsanordnung für ein Fahrzeugaggregat
WO2021145383A1 (ja) * 2020-01-14 2021-07-22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品
US11866016B2 (en) * 2020-09-10 2024-01-09 Industrial Machine Service, Inc. Gas-liquid separating gas exchange device
DE102020131994A1 (de) * 2020-11-17 2022-05-19 Stego-Holding Gmbh Druckausgleichselement
DE102021111907A1 (de) * 2021-05-07 2022-11-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ruckausgleichsanordnung sowie elektrische Maschine
DE102021115389A1 (de) * 2021-06-15 2022-12-15 Audi Aktiengesellschaft Prozessanordnung zur Durchführung eines vollautomatischen Setzprozesses
CN113883315B (zh) * 2021-08-31 2023-07-21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气管阀体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5948E (en) * 1962-01-12 1965-12-14 Vented acoustic panel
US3909302A (en) 1973-06-21 1975-09-30 Tyco Laboratories Inc Vent cap for batteries
US4184414A (en) * 1978-02-08 1980-01-22 Airlette Corporation Flexible cover vent
GB2076380A (en) * 1980-05-16 1981-12-02 Glover William & Co Ltd Cask vent plug
US4388984A (en) * 1981-02-09 1983-06-21 Smith International, Inc. Two-stage pressure relief valve
US5116650A (en) 1990-12-03 1992-05-26 W. L. Gore & Associates, Inc. Dioxole/tfe copolymer composites
CN2081696U (zh) * 1991-01-12 1991-07-31 高连富 一种新型保温热水瓶塞
JP2604268Y2 (ja) * 1993-08-26 2000-04-24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ブリーザーキャップ
US5522769A (en) * 1994-11-17 1996-06-04 W. L. Gore & Associates, Inc. Gas-permeable, liquid-impermeable vent cover
US6170684B1 (en) * 1996-02-26 2001-01-09 Monty E. Vincent Flask v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DE19952473C2 (de) * 1999-10-29 2001-11-15 Guenter Grittmann Belüftungsventil für Getränkedosen
AU2001213360B2 (en) * 2000-10-31 2004-11-11 Sunlot Bottle Stopper Co., Ltd. Expansion bottle plug
JP4767450B2 (ja) * 2001-08-09 2011-09-07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254358C (zh) * 2002-05-15 2006-05-03 岐阜车体工业株式会社 铸模
JP4213488B2 (ja) * 2002-05-15 2009-01-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通気部材の抜け防止具および通気構造形成キット
JP2003336874A (ja) * 2002-05-15 2003-11-28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JP3717877B2 (ja) * 2002-09-06 2005-11-16 東海興業株式会社 車両用インナーベルトモール、及びその取付構造
US7341561B2 (en) * 2003-05-30 2008-03-11 Casio Computer Co., Ltd. Wrist-worn high-accuracy pulsation measuring apparatus
JP4657803B2 (ja) * 2005-05-19 2011-03-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送液システム及びその送液方法並びに流路ユニット。
JP4822810B2 (ja) 2005-11-01 2011-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母乳パッド包装体
JP4672530B2 (ja) * 2005-11-17 2011-04-20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KR101136180B1 (ko) * 2006-06-14 2012-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전기 방지 부품 및 그 제작방법
DE102007002865A1 (de) * 2007-01-15 2008-07-17 Eric Schliemann Behälter zur Aufnahme eines Produktes
CN201113329Y (zh) * 2007-09-11 2008-09-10 亮泰企业股份有限公司 防水式透气钮
US9545771B2 (en) * 2014-03-27 2017-01-17 Gerald Joseph Sosnowski Multi-component tiles
US9870019B2 (en) * 2014-07-07 2018-01-16 Honda Motor Co., Ltd. Pedal cover assembly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109A (ko) 2018-09-27 2020-04-0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외선 led 살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39659A1 (en) 2015-08-27
US9061811B2 (en) 2015-06-23
CN102264608A (zh) 2011-11-30
US20110275305A1 (en) 2011-11-10
CN102264608B (zh) 2013-10-23
CN103398200B (zh) 2015-09-23
EP2679515B1 (en) 2014-07-02
WO2010076326A1 (en) 2010-07-08
EP2382141B1 (en) 2014-11-19
JP2013173573A (ja) 2013-09-05
JP5678127B2 (ja) 2015-02-25
JP5416224B2 (ja) 2014-02-12
JP2012513941A (ja) 2012-06-21
KR101411762B1 (ko) 2014-06-25
CN103398200A (zh) 2013-11-20
EP2382141A1 (en) 2011-11-02
KR101330458B1 (ko) 2013-11-15
EP2679515A1 (en) 2014-01-01
US20150239660A1 (en) 2015-08-27
KR20130108483A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2454A (ko) 배기 장치
KR102239764B1 (ko) 폐쇄 플러그
JP5613280B2 (ja) ダストカバー
JP2008291990A (ja) 締結装置
US20190240416A1 (en) Sealing arrangement for syringe
KR101043298B1 (ko) 차량 바디에서 벽의 개구에 삽입하기 위한 다웰
KR20080032623A (ko) 호스와 파이프를 위한 플러그 타입 연결 장치
CN105909789A (zh) 密封塞、组件以及用于密封开口的方法
KR20120135513A (ko) 와이어 하네스용 그로밋
US20110000056A1 (en) Resin clip
CN112046458B (zh) 制动系统阻尼设备
CN110574503B (zh) 通气部件
JP4807210B2 (ja) シール装置およびシール構造
CN112046457A (zh) 制动系统阻尼设备
JP2020008063A (ja) ダストカバー付きインシュレータ
CN105074269A (zh) 转矩杆
JP2005299747A (ja) ホールプラグ
JP2017007463A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ハーネス
JP2010149364A (ja) 筆記具用キャップ
JP2007218367A (ja) 留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