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369A - 찰떡군만두 - Google Patents

찰떡군만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369A
KR20110047369A KR1020090103966A KR20090103966A KR20110047369A KR 20110047369 A KR20110047369 A KR 20110047369A KR 1020090103966 A KR1020090103966 A KR 1020090103966A KR 20090103966 A KR20090103966 A KR 20090103966A KR 20110047369 A KR20110047369 A KR 20110047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umplings
parts
dumpling
rice c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5176B1 (ko
Inventor
김준영
한지영
김세일
유동렬
Original Assignee
해태제과식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태제과식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태제과식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3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17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Abstract

본 발명은 만두피 내부에 떡생지와 만두소를 충진하여 조리후 섭취할 때 군만두의 바삭바삭한 식감과 찰떡의 부드러우면서도 쫄깃쫄깃한 식감을 함께 느낄 수 있는 찰떡군만두에 관한 것이다.
군만두, 만두피, 만두소, 떡생지, 찰떡

Description

찰떡군만두{TOASTED BUN INCLUDING RICE CAKE}
본 발명은 찰떡군만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만두피 내부에 떡생지와 만두소를 충진하여 조리후 섭취할 때 군만두의 바삭바삭한 식감과 찰떡의 부드러우면서도 쫄깃쫄깃한 식감을 함께 느낄 수 있는 찰떡군만두에 관한 것이다.
만두(饅頭)는 밀가루나 메밀가루 반죽으로 만든 만두 피에다 고기와 야채, 김치 등을 주재료로 하는 만두소를 넣고 여러가지 모양으로 빚어서 삶거나 찐 음식을 말한다. 만두는 만두피나 만두소의 재료, 조리방법 또는 빚는 모양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된다.
우선 만두피의 재료에 따라서는 밀만두·어만두·메밀만두가 있고, 소의 재료에 따라서는 호박만두·고기만두·김치만두 등이 있다.
또한, 만두의 조리방법에 따라서 분류하면 만두를 빚어서 더운 장국에 넣고 끓인 것은 만두국, 쪄서 국물 없이 먹는 것은 찐만두, 차게 식힌 장국에 넣은 것은 편수라 한다. 빚는 모양에 따라서는 세모 모양으로 빚은 변씨만두, 해삼모양으로 빚은 규아상 등이 있고, 또한 작은 만두 여러 개를 싸서 만든 대만두가 있다. 만두는 잔치상이나 제사상에 쓰이는 음식이였으나 현재는 평상시 기호식품으로 자주 애 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만두는 소를 구성하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맛이나 영양은 물론, 만두의 물리적 특성도 달라진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주로 다진 고기와 야채, 김치, 두부 등 전통적인 음식들을 소의 재료로 사용해 왔다. 그러나 최근 소비자들의 기호나 입맛이 점점 다양해 지면서 만두소의 재료도 점점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한편, 한국에서 떡은 관혼상제의 의식 때에는 물론, 철에 따른 명절, 출산에 따르는 아기의 백일이나 돌, 또는 생일, 회갑, 그 밖의 잔치에 빼놓을 수 없는 음식으로서, 종류는 시루떡류, 증편류, 흰떡류, 송편류, 찰떡류, 경단류, 전병류 등이 있다. 특히 찹쌀을 치대어서 찰떡류는 찹쌀가루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되어 완성된 떡이 쫄깃쫄깃하면서도, 부드러워 소비자의 미각을 즐겁게 해준다.
종래에 떡과 만두를 둘 다 먹고자 할 경우 각각 따로 섭취하거나, 이를 떡만두국으로 조리하여 먹는 방법밖에 없었는바 조리하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떡과 만두를 따로 섭취하지 않고, 만두피 내부에 떡생지와 만두소를 충진하여 조리후 군만두를 섭취할 때 만두피의 바삭바삭한 식감과 찰떡의 부드러우면서도 쫄깃쫄깃한 식감을 함께 느낄 수 있는 찰떡군만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떡생지 5 내지 10중량부, 만두소 12 내지 18중량부를 만두피 5 내지 10중량부에 충진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찰떡군만두는 만두피 내부에 떡생지와 만두소를 충진하여 조리후 군만두를 섭취할 때 만두피의 바삭바삭한 식감과 찰떡의 부드러우면서도 쫄깃쫄깃한 식감을 함께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만두피 내부에 떡생지와 만두소를 충진하여 조리후 군만두를 섭취할 때 만두피의 바삭바삭한 식감과 찰떡의 부드러우면서도 쫄깃쫄깃한 식감을 함께 느낄 수 있도록 찰떡군만두의 구성 중 떡생지의 조성은 찹쌀가루 30 내지 50 중량부, 변성전분 5 내지 15 중량부, 쌀가루 1 내지 5 중량부, 밀가루 1 내지 5 중량 부, 정제수 4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찹쌀가루 함량이 30 중량부 이하일 경우 쫄깃쫄깃한 식감이 감소하고, 50 중량부 이상일 경우, 재료비가 상승 되는바 30 내지 5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떡생지에는 필요에 따라 정제소금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중 만두소의 조성은 돼지고기 25 내지 35중량부, 양파 5 내지 15중량부, 대파 3 내지 9중량부, 두부 3 내지 9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또한 기호에 따라 당면, 난백, 마늘, 정제소금, 참기름, 간장, 생강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중 만두피의 조성은 밀가루 50 내지 70중량부, 전분 3 내지 8중량부, 찹쌀가루 3 내지 8중량부, 정제수 40 내지 50중량부를 잘 섞은 후 반죽하여 2~3mm 두께로 제조한다. 본 발명의 만두피 제조시 정제소금, 쌀가루 등을 더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만두피는 조리시 바삭바삭한 식감을 주도록 전분으로 옥수수변성전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찰떡군만두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제조된 떡생지 5 내지 10 중량부, 만두소 12 내지 18 중량부를 만두피 5 내지 10 중량부에 충진하여 성형된다.
한편 본 발명의 떡생지를 5 중량부 이하로 충진할 경우 쫄깃쫄깃한 떡의 맛을 제대로 즐길 수 없으며, 10 중량부 이상 충진할 경우 군만두의 바삭바삭한 맛을 즐기기 어려운바 본 발명의 떡생지는 5 내지 10 중량부로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성형된 본 발명의 찰떡군만두는 증숙후 급속 냉동시킨 후 정해진 규격에 맞게 포장하여 적재, 보관하고, 특히 영하 18℃ 이하의 냉동고에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과 같이 냉동상태의 찰떡군만두는 필요할 때 조금씩 꺼내어 기름을 두른 프라이팬, 냄비 기타 가열용기에 넣어 가열조리하면 바삭바삭한 군만두와 쫄깃쫄깃한 떡을 동시에 찰떡군만두가 완성되는바 누구나 손쉽게 떡과 군만두의 2가지 맛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찰떡군만두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찰떡군만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만두피의 내부에 만두소와 떡생지를 충진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두피(10) 내측 하부에는 만두소(20)를 충진하고, 상기 만두소(20)의 상부에 떡생지(30)를 충진하여 조리 후 섭취시 찰떡군만두의 아랫부분은 만두피(10)의 바삭바삭한 식감이 느껴지고, 찰떡군만두의 윗부분은 떡생지(30)로 인해 쫄깃쫄깃한 찰떡의 식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만두피(10)의 바삭바삭한 식감과 쫄깃쫄깃한 떡생지(30) 의 식감과 함께 만두소(20)의 맛을 포함 여러가지 맛을 복합적으로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두피(10)의 중앙에 만두소(20)를 충진하고, 상기 만두소(20)의 상부와 하부에 떡생지(30)를 충진하여 섭취시 먼저 만두피(10)의 바삭바삭한 식감을 먼저 느끼고, 다음 떡생지(30)로 인해 쫄깃쫄깃한 찰떡의 식감을 느낀 후 만두소(20)의 맛을 느끼도록 하여 섭취자가 다양한 식감을 순차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찰떡군만두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써, 만두피(10)의 중앙에 떡생지(30)를 충진하고, 상기 떡생지(30)의 상부와 하부에 만두소(20)를 충진하여 섭취시 먼저 만두피(10)의 바삭바삭한 식감과 만두소(20)의 맛을 느끼고, 씹을수록 만두소(20) 중앙에 충진된 떡생지(30)로 인하여 쫄깃쫄깃한 찰떡의 식감을 나중에 느끼도록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찰떡군만두는 찜통에 쪄서 찜만두로서 즐길 수 있고, 또는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찰떡군만두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찰떡군만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찰떡군만두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만두피
20 : 만두소
30 : 떡생지

Claims (4)

  1. 떡생지 5 내지 10중량부, 만두소 12 내지 18중량부를 만두피 5 내지 10중량부에 충진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찰떡군만두.
  2. 제1항에 있어서, 떡생지는 찹쌀가루 30 내지 50 중량부, 변성전분 5 내지 15 중량부, 쌀가루 1 내지 5 중량부, 밀가루 1 내지 5 중량부, 정제수 4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찰떡군만두.
  3. 제2항에 있어서, 만두소는 돼지고기 25 내지 35중량부, 양파 5 내지 15중량부, 대파 3 내지 9중량부, 두부 3 내지 9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찰떡군만두.
  4. 제3항에 있어서, 만두피는 밀가루 50 내지 70중량부, 전분 3 내지 8중량부, 찹쌀가루 3 내지 8중량부, 정제수 40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찰떡군만두.
KR1020090103966A 2009-10-30 2009-10-30 찰떡군만두 KR101115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966A KR101115176B1 (ko) 2009-10-30 2009-10-30 찰떡군만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966A KR101115176B1 (ko) 2009-10-30 2009-10-30 찰떡군만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369A true KR20110047369A (ko) 2011-05-09
KR101115176B1 KR101115176B1 (ko) 2012-03-13

Family

ID=4423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966A KR101115176B1 (ko) 2009-10-30 2009-10-30 찰떡군만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1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1850A (zh) * 2013-03-29 2013-06-12 钱碑清 一种多功能营养液
KR101505178B1 (ko) * 2014-04-16 2015-03-24 김연서 만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525B1 (ko) * 2015-06-12 2017-05-15 주식회사 디에스푸드시스템 식감을 높인 찹쌀 튀김만두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16324A (zh) * 2000-03-06 2003-05-07 株式会社阿尔斯 具有分层结构的食品以及充填用食品
KR20030064553A (ko) * 2002-01-28 2003-08-02 박충호 다층 구조의 찰떡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71566A (ko) * 2003-02-04 2004-08-12 문재식 김치 밥 만두와 김치 밥 만두의 조리 방법
KR100881110B1 (ko) * 2007-04-04 2009-02-02 임은준 떡튀김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1850A (zh) * 2013-03-29 2013-06-12 钱碑清 一种多功能营养液
KR101505178B1 (ko) * 2014-04-16 2015-03-24 김연서 만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176B1 (ko)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176B1 (ko) 찰떡군만두
CN1836550A (zh) 冷冻、速冻熟的中国清蒸菜肴和部分米、面食品
KR100406940B1 (ko) 김치를 주 원료로 한 햄버거용 패티의 제조방법
CN102919672A (zh) 一种包馅食品
CN103168810A (zh) 一种煎包的制作方法
KR100773341B1 (ko) 볶음밥 꼬치의 제조방법
Child The way to cook
CN105029482A (zh) 什锦狮子头及其生产工艺
KR101056792B1 (ko) 고추잡채밥 찐빵의 제조방법
KR100515814B1 (ko) 해물만두 및 그 제조방법
CN1659979A (zh) 一种方便型烩菜
KR20020033688A (ko) 밥 속에 내용물을 넣어 만든 밥 튀김
KR100420076B1 (ko) 감자핫도그 및 감자핫도그의 제조방법
KR101908108B1 (ko) 포켓형 조미밥 및 그 제조 방법
TWM622736U (zh) 含湯汁包子結構
KR20220165429A (ko)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Singh Spice at Home
KR20160007810A (ko) 곤약 커틀릿의 제조방법 및 곤약 커틀릿
JP5690014B1 (ja) 食肉入り揚げ蒲鉾及びその製造方法。
JP3114793U (ja) シュー食品
KR100777133B1 (ko) 양념볶음밥과 곡물가루반죽을 이용한 즉석음식의 제조방법
JP5512244B2 (ja) 米飯入り未加熱メンチカツの製造方法及び米飯入り未加熱メンチカツ
CN110946301A (zh) 一种鸡肉包及制备方法
JP2003102411A (ja) 易食米飯類及びその揚げ物
KR20030092508A (ko) 치킨가공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