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429A -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429A
KR20220165429A KR1020210074034A KR20210074034A KR20220165429A KR 20220165429 A KR20220165429 A KR 20220165429A KR 1020210074034 A KR1020210074034 A KR 1020210074034A KR 20210074034 A KR20210074034 A KR 20210074034A KR 20220165429 A KR20220165429 A KR 20220165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tteokbokki
meat
tteokbokki ric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광
Original Assignee
김성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광 filed Critical 김성광
Priority to KR1020210074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5429A/ko
Publication of KR2022016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4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23L7/107Addition or treatment with enzymes not combined with fermentation with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가운데에 길이방향으로 구멍이 뚫린 중공구조의 떡볶이 떡을 준비하는 단계, 육류를 절단하여 육류 조각을 얻는 단계, 상기 육류 조각을 볶는 단계, 상기 육류 조각을 냉동하는 단계, 및 냉동된 상기 육류 조각을 상기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에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떡볶이 떡은 먹는 과정 중에 또는 떡볶이를 요리하는 과정 중에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으로부터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고, 육류, 특히 소고기가 적당한 크기로 떡볶이 떡의 중공에 삽입되어 있어 떡볶이 떡을 먹을 때 육류의 씹히는 맛을 느낄 수 있어 식감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떡볶이 떡의 중공에 내용물을 삽입하는 작업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Tteokbokki Tteok}
본 발명은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에 육류, 바람직하게는 소고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한우가 충진된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떡볶이는 떡과 부재료를 양념에 볶거나 끓여서 먹는 음식으로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한식에 해당한다. 그런데 떡볶이 떡은 가래떡으로서 그 자체로는 맛과 영양이 부족하다. 그래서 가래떡은 떡볶이 및 떡국 등 제한된 용도로만 사용되어 왔다.
이에, 가래떡에 부재료를 함유시켜 그 자체로 맛과 영양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도들이 제안되었다.
특허공개 10-2019-0011903호(2019. 02. 08. 공개)는 소를 포함한 한방 가래떡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가래떡을 개시한다. 개시된 발명은 가래떡을 형성하는 반죽을 호퍼에 공급하는 한편 고기 등을 포함하는 소를 다른 호퍼에 공급하여 이중 압출성형함으로써 가래떡 내부에 소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특허공개 제2000-0009635호(2000. 02. 15. 공개) 및 실용신안등록 제20-0376239호(2005. 02. 05. 공개)는 압출성형에 의하여 소가 내장되는 가래떡을 제조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특허등록 제10-0828503호(2008. 05. 02. 공개)는 꼬치형 가래떡 구이 및 그 조리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꼬치형 가래떡 구이는 햄, 닭고기 등의 부재료를 소시지 형태로 가공한 후 그것을 가래떡의 중앙 내부 관통구에 삽입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특허등록 제10-1179720호(2012. 08. 29. 등록)는 떡갈비 내장형 또는 외장형 가래떡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얻어진 가래떡을 개시한다. 개시된 가래떡은 분쇄된 원료 육을 전복, 견과류 등의 세절물 및 양념과 혼합한 후 중공구조 가래떡의 중공에 충진하여 얻는다.
특허등록 제10-1810742호(2017. 12. 13. 등록)는 속 재료가 함유된 가래떡을 개시한다. 개시된 가래떡은 불고기용 소고기를 불고기 양념장과 함께 볶아 만든 불고기를 길이방향으로 구멍을 뚫은 가래떡 안에 삽입하여 얻는다.
중공구조 가래떡의 중공에 육류를 포함하는 속재료를 삽입하여 가래떡을 만드는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속재료의 크기가 중공의 크기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먹는 과정 중에 또는 떡볶이를 만드는 과정 중에 속재료가 중공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삽입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속재료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분말 수준인 경우 육류가 퍽퍽해지는 등으로 인하여 육류의 식감이 좋지 않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한편, 속재료가 중공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찹쌀가루 등과 같은 접착력있는 재료를 추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육류의 맛과 향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또한 그렇게 속재료가 중공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문제를 개선한다고 하더라도 삽입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점 및 육류의 식감이 좋지 않은 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먹는 과정 중에 또는 떡볶이를 요리하는 과정 중에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으로부터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는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육류, 특히 소고기가 적당한 크기로 떡볶이 떡의 중공에 삽입되어 있어 떡볶이 떡을 먹을 때 육류의 씹히는 맛을 느낄 수 있어 맛과 식감이 좋은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떡볶이 떡의 중공에 내용물을 삽입하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은 가운데에 길이방향으로 구멍이 뚫린 중공구조의 떡볶이 떡을 준비하는 단계, 육류를 절단하여 육류 조각을 얻는 단계, 상기 육류 조각을 볶는 단계, 상기 육류 조각을 냉동하는 단계, 및 냉동된 상기 육류 조각을 상기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에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볶은 후 상기 육류 조각의 크기는 상기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 크기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중공구조 떡볶이 떡에서 상기 중공의 지름은 10 mm이고, 상기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전체 지름은 30 mm이며, 상기 육류 조각의 크기는 볶기 전에는 12 mm x 12 mm x 22 mm이고, 볶은 후에는 상기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상기 중공에 일치되게 삽입되는 크기로 줄어드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육류는 소고기, 특히 한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육류는 양념으로서 설탕, 키위, 간마늘, 진간장, 참기름, 간생강, 후추가루 및 미림과 함께 볶아질 수 있다.
상기 중공구조 떡볶이 떡을 제조할 때 물 대신 단호박을 뜨거운 물로 우려내어 만든 단호박 채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떡볶이 떡은 먹는 과정 중에 또는 떡볶이를 요리하는 과정 중에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으로부터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고, 육류, 특히 소고기가 적당한 크기로 떡볶이 떡의 중공에 삽입되어 있어 떡볶이 떡을 먹을 때 육류의 씹히는 맛을 느낄 수 있어 맛과 식감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떡볶이 떡의 중공에 내용물을 삽입하는 작업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치수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떡볶이 떡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은 가운데에 길이방향으로 구멍이 뚫린 중공구조의 떡볶이 떡을 준비하는 단계, 육류를 절단하여 육류 조각을 얻는 단계, 상기 육류 조각을 볶는 단계, 상기 육류 조각을 냉동하는 단계, 및 냉동된 상기 육류 조각을 상기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에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운데에 길이방향으로 구멍이 뚫린 중공구조의 떡볶이 떡은 일반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떡은 쌀가루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밀가루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쌀가루와 밀가루가 적당히 혼합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쌀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얻은 반죽물을 찜기에 의하여 증숙한 후 제병기에 의하여 압출함으로써 중공구조 떡볶이 떡을 제조할 수 있다.
쌀가루 또는 밀가루는 물과 혼합되어 반죽된다. 이때, 본 발명은 물 대신에 단호박, 특히 말린 단호박을 뜨거운 물로 우려내어 만든 단호박 채수를 사용할 수 있다. 쌀가루는 쌀을 물에 불린 후 제조된다. 쌀을 물에 불릴 때에도 물 대신에 단호박 채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공구조 떡볶이 떡을 단호박 채수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떡은 은은한 단맛을 내면서 단호박 향도 발산하기 때문에 맛과 풍미를 향상시킨다.
상기 반죽물을 만들 때 소금이 적당량 첨가될 수 있다. 소금은 떡의 간을 맞추는 역할을 하는데 단호박의 은은한 단맛과 어우러져 단맛을 배가시킨다.
중공구조 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것과는 별도로, 육류를 절단하여 육류 조각을 얻는다. 이때, 육류는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등 다양한 육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육류로서 특히 소고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우가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육류의 절단은 냉장 상태의 육류에 대하여 시행하여도 좋고, 냉동 상태의 육류에 대하여 시행하여도 좋다.
육류는 절단하기 전에 또는 절단한 후에 육류에 함유된 피를 빼는 것이 좋다. 육류로부터 피를 제거하기 위하여 육류를 물에 30분 정도 담가 놓을 수 있다. 육류의 종류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물에 담그는 시간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육류 조각의 크기는 볶은 후에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 크기와 대체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볶은 후 육류 조각의 크기가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 크기와 대체로 일치하게 되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볶은 육류 조각을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에 충전할 때, 즉 삽입할 때, 떡의 찰지고 유연한 특성에 의하여 볶은 육류 조각이 중공 내에서 떡에 의하여 붙잡힌 상태가 되고 그래서 그러한 떡볶이 떡을 먹는 중에 또는 떡볶이로 요리하는 과정 중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중공에 삽입된 볶은 육류 조각은 떡볶이 떡의 중공으로부터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볶은 육류 조각의 크기가 떡볶이 떡의 중공 크기와 정밀하게 일치할 필요는 없다. 볶은 육류 조각의 크기는 육류 조각이 떡볶이 떡의 중공에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볶은 육류 조각이 삽입된 후에는 중공 내에서 떡볶이 떡에 붙잡혀 있게 하는 정도이면, 떡볶이 떡의 중공 크기와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떡볶이 떡은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고 있어 형태의 변형에 의하여 볶은 육류 조각을 붙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예로서, 본 발명에서, 중공구조 떡볶이 떡에서 중공의 지름이 10 mm이고,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전체 지름은 3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치수를 촬영한 사진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 지름은 대략 10 mm 정도되고, 떡볶이 떡의 전체 지름은 30 mm보다 약간 작은 것으로서 대략 25 내지 26 mm 정도된다.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길이는 30 mm일 수 있다.
육류가 소고기, 특히 한우인 경우, 육류 조각의 크기는 볶기 전에는 12 mm x 12 mm x 22 mm이고, 볶은 후에는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에 일치되게 삽입되는 크기로 줄어드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볶은 육류 조각의 크기는 줄어들어서 10 mm x 10 mm x 20 mm일 수 있다. 이때, 육류 조각은 반드시 직육면체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치수는 그 크기를 대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나타낸 것일 뿐이다. 따라서, 상기한 치수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면 그러한 육류 조각의 크기는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볶은 육류 조각의 길이를 20 mm로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길이 30 mm보다 충분히 작게 설정하였지만, 볶은 육류 조각의 길이를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길이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육류가 소고기 이외의 육류인 경우에도 볶기 전의 육류 조각의 크기는 볶은 후의 육류 조각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야 한다. 볶는 과정에 의하여 육류 조각의 크기가 줄어드는 정도는 육류의 종류에 따라 약간 달라지지만 길이를 기준으로 대체로 10~30% 정도 줄어드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더욱 정확한 설정은 재료에 따라 볶는 실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육류 조각은 후라이팬 등에 의하여 볶여진다. 이때, 육류는 양념과 함께 볶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육류가 소고기, 특히 한우인 경우 양념은 설탕, 특히 황설탕, 키위, 간마늘, 진간장, 참기름, 간생강, 후추가루 및 미림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림 대신에 맛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육류에 대한 각 양념의 중량비는 통상적으로 불고기 요리에 사용하는 비율을 참고하여 정할 수 있다. 육류를 볶는 시간은 대체적으로 5분 정도이면 충분하다. 육류를 볶는 과정에서 육류 조각의 크기가 줄어든다는 것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이 볶은 육류 조각은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냉동된다. 냉동은 통상적인 냉장고의 냉동실에 5시간 정도 방치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볶은 육류 조각이 냉동되면 딱딱해져서 허물어지지 않기 때문에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에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볶은 육류 조각의 냉동이 완료되면 그렇게 냉동된 육류 조각은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에 충진됨으로써 본 발명이 완료된다. 이때 삽입된 볶은 육류 조각은 떡볶이 떡의 탄성에 의하여 떡볶이 떡의 중공 내에 붙잡혀 있게 된다. 특히 삽입되는 과정에서 딱딱한 냉동 육류 조각이 부드러운 떡볶이 떡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파고들어가게 되면 육류 조각의 붙잡힘은 더욱 강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냉동 육류 조각의 이러한 붙잡힘은 육류 조각이 해동되더라도 상당한 수준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떡볶이 떡에서 볶은 육류 조각은 중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떡볶이 떡은 또한 소고기, 특히 한우와 같은 육류가 적당한 크기로 떡볶이 떡의 중공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떡을 먹을 때 육류의 씹히는 맛을 느낄 수 있어 맛과 식감이 좋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떡볶이 떡은 포장되고 냉동 또는 냉장 상태로 유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떡볶이 떡은 그 자체로 먹어도 맛, 풍미, 영양 및 식감이 좋아 소비자들의 기호를 만족시킬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떡볶이 떡은 각종 부재료 및 떡볶이 양념과 함께 볶거나 끓여서 떡볶이 요리로 만들어 먹으면 맛이 좋고 영양이 풍부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다음과 같이 떡볶이 요리를 만들 수 있다. 먼저 멸치, 디포리, 무우, 건고추, 대파를 물에 넣고 우려내어 육수를 얻는다. 이때 육수를 내기 위한 재료의 중량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고추가루, 고추장, 미림, 조미료, 생수, 전분, 소금, 간장, 설탕, 물엿을 혼합하고 3일 이상 숙성하여 소스를 얻는다. 이때, 조미료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조미료를 사용할 수도 있고, 천연 조미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미료는 분말 또는 입자 상태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각 재료의 혼합비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후라이팬에 깐메추리알, 자숙 새우, 양배추, 대파, 어묵, 매화 및 찐어묵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부재료,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떡볶이 떡 및 상기 소스를 상기 육수와 혼합하고 끓임으로써 떡볶이 요리를 얻는다. 이때, 부재료로는 상기한 것들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지만, 그것들 모두가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재료에서 각 재료의 혼합비 및 떡에 대한 부재료의 혼합비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떡볶이 요리는 떡볶이 떡에 삽입된 소고기, 특히 한우 조각이 요리 과정 중에 이탈하지 않아 떡과 한우 조각이 일체화된 상태로 먹을 수 있어 떡과 한우가 복합화된 맛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삽입된 한우 조각은 씹는 맛을 느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씹는 맛이 살아있어 만족감을 향상시킨다.

Claims (8)

  1. 가운데에 길이방향으로 구멍이 뚫린 중공구조의 떡볶이 떡을 준비하는 단계, 육류를 절단하여 육류 조각을 얻는 단계, 상기 육류 조각을 볶는 단계, 상기 육류 조각을 냉동하는 단계, 및 냉동된 상기 육류 조각을 상기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에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볶은 후 상기 육류 조각의 크기는 상기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중공 크기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구조 떡볶이 떡에서 상기 중공의 지름은 10 mm이고, 상기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전체 지름은 30 mm이며, 상기 육류 조각의 크기는 볶기 전에는 12 mm x 12 mm x 22 mm이고, 볶은 후에는 상기 중공구조 떡볶이 떡의 상기 중공에 일치되게 삽입되는 크기로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육류는 소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육류는 한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6.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육류는 양념으로서 설탕, 키위, 간마늘, 진간장, 참기름, 간생강, 후추가루 및 미림과 함께 볶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구조 떡볶이 떡을 제조할 때 물 대신 단호박을 뜨거운 물로 우려내어 만든 단호박 채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8. 멸치, 디포리, 무우, 건고추, 대파를 물에 넣고 우려내어 육수를 얻는 단계, 고추가루, 고추장, 미림, 조미료, 생수, 전분, 소금, 간장, 설탕, 물엿을 혼합하고 3일 이상 숙성하여 소스를 얻는 단계, 및 후라이팬에 깐메추리알, 자숙 새우, 양배추, 대파, 어묵, 매화 및 찐어묵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부재료,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떡볶이 떡 및 상기 소스를 상기 육수와 혼합하고 끓임으로써 떡볶이 요리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떡볶이의 제조방법.
KR1020210074034A 2021-06-08 2021-06-08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KR202201654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034A KR20220165429A (ko) 2021-06-08 2021-06-08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034A KR20220165429A (ko) 2021-06-08 2021-06-08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429A true KR20220165429A (ko) 2022-12-15

Family

ID=8443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034A KR20220165429A (ko) 2021-06-08 2021-06-08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54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44020A (en) Food product comprising non-ionic cellulose ether
KR20190048295A (ko) 영양 만두의 제조방법
KR101388493B1 (ko) 곤약 크로켓의 제조방법 및 곤약 크로켓
KR101466490B1 (ko) 고구마와 엉겅퀴 추출액을 함유한 건강식 탕수육의 제조 방법
KR102077266B1 (ko) 카카오립이 함유된 건식숙성 돈가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돈가스
KR20180119807A (ko) 치즈김치삼겹살꼬치구이
KR20200141615A (ko) 조미 아귀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15176B1 (ko) 찰떡군만두
KR20200053094A (ko) 풍미가 뛰어난 짬뽕 및 짜장면의 제조방법
KR20220165429A (ko)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KR100221744B1 (ko) 콩 분말과 두부가 함유된 건강 햄버거
KR101208096B1 (ko) 연육 및 축육을 포함하는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136851A (zh) 一种腊汁肉金丝酥皮馅饼及其制作方法
KR20170049166A (ko) 고로케 제조 방법
KR101761267B1 (ko) 우리쌀로 만든 찰떡 크로켓의 제조방법
KR100773341B1 (ko) 볶음밥 꼬치의 제조방법
KR20190105475A (ko) 월남쌈(rice paper) 어묵의 제조방법
KR100692331B1 (ko) 숯불 향을 가진 만두 및 그 제조방법
CN204482934U (zh) 新型拉丝蛋白
KR101235200B1 (ko) 떡말이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말이 가공식품
JP5508049B2 (ja) パン、中華まん、饅頭の製造方法
KR102362618B1 (ko) 산채 나물을 이용하여 고기를 넣지 않은 만두를 제조하는 방법
KR100991692B1 (ko) 강정용 떡 및 그 제조방법
KR102057191B1 (ko) 전복 만두의 제조 방법 및 그 전복 만두
CN1416324A (zh) 具有分层结构的食品以及充填用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