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481A -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 - Google Patents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481A
KR20110043481A KR1020100101851A KR20100101851A KR20110043481A KR 20110043481 A KR20110043481 A KR 20110043481A KR 1020100101851 A KR1020100101851 A KR 1020100101851A KR 20100101851 A KR20100101851 A KR 20100101851A KR 20110043481 A KR20110043481 A KR 20110043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ther
chamber
engine
passage
lubricat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582B1 (ko
Inventor
시게루 슈도
료 사이토
노보루 가와구치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3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2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 F01M13/021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of negative pressure
    • F01M13/022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of negative pressure using engine inlet s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2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 F01M13/021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of negative pressure
    • F01M13/022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by means of additional source of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of negative pressure using engine inlet suction
    • F01M13/023Control valves in suction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2013/0038Layout of crankcase breathing systems
    • F01M2013/0044Layout of crankcase breathing systems with one or more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브레서 기구(25; 90)는, 크랭크실(35)에 개구되는 브레서 통로(51)와, 브레서 통로(51)를 통하여 크랭크실에 연통하는 브레서 챔버(52)와, 브레서 챔버에 설치되고, 크랭크실의 내부 압력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한 때에 개방되어 블로바이 가스를 크랭크실로부터 브레서 챔버로 유입시킬 수 있는 밸브(53; 92)를 구비한다. 엔진이 옆으로 누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브레서 챔버 내로의 윤활용 오일의 침입을 브레서 통로(51)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엔진이 정립(正立)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브레서 통로의 출구 단부(58b)는 브레서 통로의 입구 단부(58a) 위에 위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ENGINE EQUIPPED WITH BREATHER MECHANISM}
본 발명은, 윤활용 오일이 크랭크실에 저장되어 있고 크랭크실의 블로바이 가스(blow-by gas)를 크랭크실로부터 유출시키는 브레서 기구를 구비하는 엔진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엔진을 주로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으로서 지칭하기로 한다.
엔진에 있어서, 연소실의 가스는 엔진의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블로바이 가스로서 크랭크실에 유입된다. 대부분의 엔진은 블로바이 가스를 크랭크실로부터 유출시킨 후에 연소실로 복귀시키는 브레서 장치를 구비하고, 이러한 브레서 장치는 예컨대 일본 특허 제408933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4089334호에 개시된 브레서 장치는 크랭크실의 내부 압력이 블로바이 가스로 인하여 미리 정해진 압력을 초과하면, 브레서 장치의 브레서 밸브(리드 밸브)가 개방되어, 블로바이 가스가 브레서 통로를 통하여 흡기계로 흡인된다. 이와 같이 흡기계에 흡인된 블로바이 가스는 엔진의 연소실로 다시 복귀한다.
엔진의 운송 또는 보관 중의 안정성을 위하여, 엔진을 옆으로 누운 위치로 유지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제4089334호에 개시된 엔진은, 정립 위치(즉, 엔진 실린더가 엔진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위치)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엔진이 옆으로 누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크랭크실에 저장된 윤활용 오일이 브레서 통로에 침입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엔진이 옆으로 누운 위치로부터 정립 위치로 복귀한 후(특히 직후)에 엔진이 구동되면, 브레서 통로에 잔류하는 윤활용 오일이 엔진의 흡기계에 흡인될 수도 있다.
특허 문헌 : 일본 특허 제4089334호
이상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의 운송 또는 보관을 목적으로 하는 엔진을 옆으로 누운 위치로부터 정립 위치로 복귀시킨 후(특히 직후)에 엔진을 구동할 때에 윤활용 오일이 흡기계로 흡인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윤활용 오일이 크랭크실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실의 블로바이 가스(blow-by gas)를 크랭크실로부터 유출시키는 브레서 기구를 갖춘 엔진을 제공하며, 상기 브레서 기구는, 상기 크랭크실에 개구되는 브레서 통로; 상기 브레서 통로를 통하여 상기 크랭크실에 연통하는 브레서 챔버; 상기 브레서 챔버의 입구 단부에 설치되고, 크랭크실의 내부 압력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한 때에 개방되어 블로바이 가스를 크랭크실로부터 브레서 챔버로 유입시킬 수 있는 브레서 밸브를 구비한다. 상기 엔진이 옆으로 누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브레서 통로에 의해 브레서 챔버 내로의 윤활용 오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엔진이 정립(正立)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브레서 챔버에 개구되는 브레서 통로의 출구 단부는 크랭크실에 개구되는 브레서 통로의 입구 단부 위에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송, 보관 등을 위하여 엔진이 옆으로 누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브레서 통로에 의해 윤활용 오일이 브레서 챔버에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엔진이 옆으로 누운 위치에 있을 때, 크랭크실에 개구되는 브레서 통로의 입구 단부는 크랭크실에 저장된 윤활용 오일에 침지될 수도 있다. 엔진을 그와 같이 옆으로 누운 위치로부터 정립 위치로 다시 복귀시키면, 윤활용 오일이 입구 단부에 잔류하여, 블로바이 가스에 의해 윤활용 오일이 브레서 챔버로 원치 않게 유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브레서 통로의 출구 단부는 엔진이 정립 위치에 있을 때 입구 단부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입구 단부보다 높게 배치되어 있다).
알고 있듯이, 윤활용 오일의 비중이 블로바이 가스의 비중보다 크기 때문에, 입구 단부에 잔류하는 잔류 윤활용 오일은 블로바이 가스에 의해 출구 단부까지 상승될 수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입구 단부에 잔류하는 잔류 윤활용 오일의 일부가 브레서 챔버에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윤활용 오일이 흡기계에 흡인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잔류 윤활용 오일의 나머지 부분은 블로바이 가스와 함께 브레서 통로를 통하여 출구 단부로 유도되며, 이 출구 단부로부터 개방된 브레서 밸브를 통하여 브레서 챔버로 더 흐른다.
브레서 챔버가 브레서 통로보다 큰 공간을 갖기 때문에, 브레서 챔버 내로 유입된 블로바이 가스의 유속이 느려져서, 블로바이 가스와 함께 브레서 챔버 내로 유입된 잔류 윤활용 오일은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분리되고 브레서 챔버의 하부로 낙하한다. 이에 따라, 브레서 챔버로 유입된 잔류 윤활용 오일이 엔진의 연소실에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블로바이 가스만이 연소실 내로 흡인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엔진이 그 일측(예컨대, 전방측)에서 옆으로 누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브레서 챔버는 엔진 블록(이에 따라 크랭크실)의 위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브레서 통로의 입구 단부는 윤활용 오일에 침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엔진이 옆으로 누운 위치로부터 정립 위치로 다시 복귀하면, 윤활용 오일은 입구 단부에 잔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이 정립 위치에 있을 때, 브레서 통로의 출구 단부는 입구 단부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입구 단부보다 높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윤활용 오일의 비중이 블로바이 가스의 비중보다 크기 때문에, 입구 단부에 잔류하는 잔류 윤활용 오일은 블로바이 가스에 의해 출구 단부까지 상승될 수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입구 단부에 잔류하는 잔류 윤활용 오일이 브레서 챔버에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윤활용 오일이 흡기계에 흡인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엔진이 상기 일측과는 반대측인 타측(예컨대 이면측)에서 옆으로 누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브레서 챔버는 엔진 블록(이에 따라 크랭크실)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브레서 통로의 입구 단부는 크랭크실에 저장된 윤활용 오일의 위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윤활용 오일이 입구 단부를 거쳐서 브레서 통로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잔류 윤활용 오일이 브레서 챔버에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윤활용 오일이 흡기계에 흡인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레서 밸브는 밸브 시트와, 탄성 재료로 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 시트 상에 장착되는 밸브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시트는 밸브 본체에 의해 상시 폐쇄된 밸브 통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크랭크실의 내부 압력(즉, 블로바이 가스의 압력)이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면, 브레서 밸브가 효율적으로 탄성 변형되어 블로바이 가스를 크랭크실로부터 브레서 챔버로 효율적으로 유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운송 또는 보관을 목적으로 하는 엔진을 옆으로 누운 위치로부터 정립 위치로 복귀시킨 후에 엔진을 구동할 때에, 윤활용 오일이 흡기계로 흡인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을 구비하는 발전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옆으로 누운 위치에 배치된 도 1의 발전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선 4-4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선 5-5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6으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서 기구에 의해 크랭크실로부터 블로바이 가스를 유출시키는 예시적인 방식의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서 기구에 의해 블로바이 가스를 브레서 챔버에 도입하는 예시적인 방식의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9는 발전기와 (이에 따라) 엔진이 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서 기구의 예시적인 거동 방식의 설명도이고,
도 10은 엔진이 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로부터 정립 위치로 복귀되어 배치되어 있을 때 제1 실시예에 따라 채용된 브레서 기구의 예시적인 거동 방식의 설명도이고,
도 11은 발전기와 (이에 따라) 엔진이 후방으로 누운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서 기구의 예시적인 거동 방식의 설명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서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서 기구에 의해 블로바이 가스를 크랭크실로부터 브레서 챔버로 유도하는 예시적인 방식의 설명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본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예시적으로만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제, 제1 실시예의 브레서 기구를 장착한 엔진(21)을 구비하는 발전기(10)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 1과 도 1에 도시된 발전기(10)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 2를 참고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10)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 또는 윤곽을 갖는 수납 케이스(11); 수납 케이스(11)에 수납된 엔진/발전기 유닛(12); 수납 케이스(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좌우 휠(13); 수납 케이스(11)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견인 핸들(14)을 구비한다.
발전기(10)는 사용자 또는 조작자가 견인 핸들(14)을 위로 피벗 이동시키고 피벗 이동된 핸들(14)을 당김으로써 좌우 휠(13)을 통해 견인될 수 있다. 또한, 발전기(10)는 좌우 휠(13)과 좌우 하측 다리부(16)에 의해 정립 위치(P1)에 유지될 수 있다. 정립 위치(P1)는 엔진(21)의 실린더(42; 도 3)가 발전기(10)와 (이에 따라) 엔진(21)의 상부 영역에 위치되어 있는 위치이다. 발전기(10)가 이러한 정립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엔진/발전기 유닛(12)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발전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휠(13)과 좌우 상측 다리부(17)에 의해 전방측[즉, 발전기(10)의 견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전방측]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2)에 유지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P2)는 엔진 실린더(42)가 옆으로 누워 있는 위치로서, 이하에서는 "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2)"로 지칭하기로 한다. 발전기(10)[이에 따라 엔진(21)]가 이러한 옆으로 누운 위치(P2)에 배치된 상태에서, 발전기(10)[이에 따라 엔진(21)]를 운송, 보관 등의 경우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엔진/발전기 유닛(12)은 수납 케이스(11)의 바닥부(11a)에 장착된 엔진(21)과 엔진(21)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발전부(22)의 일체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엔진/발전기 유닛(12)에 있어서, 엔진(21)에서는 발전부(22)의 회전자를 고정자의 외주를 따라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1)은 예컨대 4사이클 단기통 엔진으로, 엔진 본체(24), 엔진 본체(24)에 설치된 브레서 기구(25) 및 브레서 기구(25)와 유체 연통하는 흡기계(26)를 구비한다.
엔진 본체(24)는 실린더부(32)와 케이스부(33)가 일체로 형성된 엔진 블록(31)과, 케이스부(33)에 고정 장착된 크랭크실부(34; 도 4)를 구비한다. 케이스부(33) 및 크랭크실부(34)에 의해 크랭크실(35)가 밀폐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크랭크실(35)에 윤활용 오일(37)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 윤활용 오일(37)을 예컨대 엔진(21)의 미끄럼 이동 부품에 공급하여 부품의 미끄럼 이동면에서의 유체 윤활을 확보하고, 이로써 미끄럼 이동면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한다.
또한, 엔진 본체(24)는 크랭크실(3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크랭크샤프트(41)와, 실린더부(32)의 실린더(4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피스톤(43)과, 피스톤(43)과 크랭크샤프트(41)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44)를 구비한다.
실린더(42)의 상부 영역에는 연소실이 마련되어 있다. 엔진(21)의 구동 중에, 연소실의 가스는 실린더(42)와 피스톤(43)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크랭크실(35)로 블로바이 가스로서 유입된다.
도 3은 엔진(21)의 구성을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크랭크실부(34)가 분리된 상태의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21)을 도시한다. 브레서 기구(25)는 엔진 블록(31)에 설치되어 있다.
브레서 기구(25)는 크랭크실(35)에 연통하는 브레서 통로(51); 브레서 통로(51)의 출구 단부(58b)[브레서 챔버(52)에 개구되어 있음]와 연통하는 브레서 챔버(52); 브레서 챔버(52)의 입구 단부(59)에 배치된 브레서 밸브(53); 브레서 챔버(52)로 유입된 윤활용 오일(37)을 크랭크실(35)에 다시 복귀시키는 메인 복귀 통로(54)를 구비한다.
브레서 통로(51)는 제1 내지 제3 브레서 통로부(56, 57, 58)를 구비한다. 제1 브레서 통로부(56)는 케이스부(33)에 형성되어 크랭크실(35)과 제2 브레서 통로부(57)를 연통시킨다. 제2 브레서 통로부(57)는 케이스부(33)에 마련되어 제1 브레서 통로부(56)와 제3 브레서 통로부(58)를 연통시킨다. 제3 브레서 통로부(58)는 케이스부(3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2 브레서 통로부(57)와 브레서 챔버(52) 사이를 연통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레서 통로부(56)는 엔진(21)이 정립 위치(P1; 도 3 참조)에 있을 때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크랭크실(35)로 개구되는 입구 단부(56a)와 제2 브레서 통로부(57)에 개구되는 출구 단부(56b)를 갖는다. 엔진(21)이 옆으로 누운 위치(P2; 도 9 참조)에 있을 때, 윤활용 오일(37)은 제1 브레서 통로부(56)에 침입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2 브레서 통로부(57)는 엔진(21)이 정립 위치(P1)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제2 브레서 통로부(57)는, 엔진(21)이 옆으로 누운 위치(P2; 도 9 참조)에 있을 때 윤활용 오일(37)이 통과하여 제2 브레서 통로부(57)에 침입할 수 있는 침입부(62)를 갖는다.
침입부(62)는, 침입부(62)와 크랭크실(35)의 사이를 연통시켜 제2 브레서 통로부(57)에 침입한 윤활용 오일(37)을 크랭크실(35)로 복귀시키는 서브 복귀 통로(63)를 갖는다.
제1 브레서 통로부(56)와 제2 브레서 통로부(57)의 침입부(62)는, 엔진(21)이 옆으로 누운 위치(P2)에 배치되어 있을 때 윤활용 오일(37)이 침입할 수 있는 오일 침입부(61)[즉, 크랭크실(35)에 개구되는 제1 브레서 통로부(56)의 입구 단부]를 함께 구성한다. 발전기(10)가 정립 위치(P1)에 있을 때, 오일 침입부(61)는 윤활용 오일(37)의 위에, 즉 윤활용 오일(37)의 유체 레벨(37a) 위에 위치하고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브레서 통로부(58)는 제2 브레서 통로부(57)의 출구 단부(57a)와 연통하는 입구 단부(58a)와, 브레서 챔버(52)의 입구 단부(59)와 연통하는 출구 단부(58b)를 갖는다.
제3 브레서 통로부(58)는, 엔진(21)이 정립 위치(P1)에 있을 때, 출구 단부(58b)가 입구 단부(58a)의 위에 위치하는 상태로 제3 브레서 통로부(58)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3 브레서 통로부(58)는 단차부(58c)를 가져서, 그 출구 단부(58b)가 높이 H1(도 7a 참조)만큼 오일 침입부(61)보다 높게 위치한다.
윤활용 오일(37)은 블로바이 가스보다 비중이 크다. 따라서 윤활용 오일(37)은 윤활용 오일(37)을 유도하는 블로바이 가스에 의해 출구 단부(58b)까지 상승할 수는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윤활용 오일(37)이 브레서 챔버(5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레서 챔버(52)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브레서 케이스(65) 내에 형성되어 있다. 브레서 챔버(52)는 브레서 통로(51)를 통하여 크랭크실(35)에 연통하고 있고, 상단부(52)가 연통로(68)를 통하여 공기 입구 챔버(67)의 하단부(67a)에 연통한다. 발전기(1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2)에 유지되어 있을 때, 브레서 챔버(52)는 엔진 블록(31)과 (이에 따라) 크랭크실(35)의 위에 위치되어 있다.
입구 단부(59)는 브레서 케이스(65)의 내측 벽부(65a)의 전면(前面)으로부터 엔진 블록(31)을 향하여 돌출하고, 브레서 챔버(52)의 실질적으로 중앙 내부에 개구되어 있다. 제3 브레서 통로부(58)의 출구 단부(58b)는 입구 단부(59)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브레서 케이스(65)의 내벽부(65a)의 이면(후면)에 밸브 장착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밸브 장착부(71)에 브레서 챔버(52)의 입구 단부(59)에 배치된 브레서 밸브(53)가 장착되어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서 밸브(53)는 밸브 장착부(71)에 부착된 밸브 시트(73)와 밸브 시트(73)에 마련된 밸브 본체(74)를 구비하는 리드 밸브이다.
브레서 밸브(53)의 밸브 본체(74)는 상단부가 밸브 시트(73)에 장착되고, 하단부가 밸브 시트(73)의 밸브 통로(73a)를 폐쇄한다. 즉, 밸브 본체(53)의 하단부가 밸브 시트(73)의 표면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브레서 밸브(53)는 상시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크랭크실(35)의 내부 압력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여 1차측 압력[즉, 전방측 압력(PR1)]과 2차측 압력[즉, 이면측 압력(PR2)] 사이의 압력차(ΔP)가 미리 정해진 설정값을 초과하면, 밸브 본체(74)는 도 6에 검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하여, 밸브 시트(73)의 밸브 통로(73a)를 개방한다. 밸브 통로(73a)가 이와 같이 개방됨으로써, 크랭크실(35)의 블로바이 가스는 브레서 통로(51)를 통하여 브레서 챔버(52)로 유입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서 케이스(65)의 바닥부(65b)에는 브레서 케이스(65)의 바닥부(65b)로부터 하향 돌출하는 복귀 출구 단부(77)가 형성되고, 이 복귀 출구 단부(77)는 브레서 챔버(52)의 하단부(52b)에 개구되어 있다.
메인 복귀 통로(54)가 복귀 출구 단부(77)에 연통되어 있다. 메인 복귀 통로(54)는, 엔진 블록(31)의 케이스부(33)에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 제1 복귀 통로부(81)와, 일단이 제1 복귀 통로부(81)와 연통하고 타단이 복귀 출구 단부(77)와 연통하는 제2 복귀 통로부(82)를 구비한다. 따라서 브레서 챔버(52)의 하단부(52b)가 메인 복귀 통로(54)를 통하여 크랭크실(35)에 연통되어 있다.
제1 복귀 통로부(81)는 케이스부(33)의 후방 벽부(33a)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고, 선단부(81a)가 길이 L1만큼 후방 벽부(33a)를 넘어서 전방으로 돌출한다.
이에 따라, 발전기(10)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3)로 있는 경우에, 제1 복귀 통로부(81)의 선단부(81a)는 윤활용 오일(37)의 유체 레벨(37a)을 길이 L2만큼 넘어서 상향 돌출한다. 발전기(10)가 정립 위치(P1)에 있을 때, 제1 복귀 통로부(81)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윤활용 오일(37)의 유체 레벨(37a) 위에 위치되어 있다.
브레서 기구(25)에 있어서, 크랭크실(35)의 내부 압력, 즉 크랭크실(35)의 블로바이 가스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면, 브레서 밸브(53)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브레서 밸브(53)가 개방됨으로써, 크랭크실(35)의 블로바이 가스와 오일 침입부(61)에 침입한 윤활용 오일(37)을 브레서 통로(51)를 통하여 브레서 챔버(52) 내로 도입(즉, 유입)시킬 수 있다.
브레서 챔버(52)가 브레서 통로(51)보다 큰 공간을 갖기 때문에, 브레서 챔버(52)에 유입된 블로바이 가스의 유속이 느려져서, 블로바이 가스와 함께 브레서 챔버(52)에 유입된 잔류 윤활용 오일(37)을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윤활용 오일(37)이 분리된 블로바이 가스는 브레서 챔버(52)로부터 연통로(68)를 통하여 공기 입구 챔버(67)로 흡인된다. 한편,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분리된 윤활용 오일(37)은 브레서 챔버(52)의 하부(52b)로 낙하한 후에, 메인 복귀 통로(54)를 통하여 크랭크실(35)로 복귀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계(26)는 연통로(68)를 통하여 브레서 챔버(52)의 상단부(52a)와 연통하는 공기 입구 챔버(67); 연통로(84)를 통하여 공기 입구 챔버(67)와 연통하는 공기-연료 혼합수단(85); 연통로(86)를 통하여 공기 입구 챔버(67)와 연통하는 에어 클리너(87)를 구비한다. 외부 공기는 에어 클리너(87)로부터 공기 입구 챔버(67)로 흡인되고, 블로바이 가스는 브레서 챔버(52)로부터 공기 입구 챔버(67)로 흡인된다.
혼합수단(85)은 입구부가 공기 입구 챔버(67) 및 연료 공급로(도시 생략)와 연통하고, 출구부가 실린더부(32)의 연소실과 연통한다. 공기-연료 혼합수단(85)은 공기 입구 챔버(67)로부터 흡인된 공기 및 블로바이 가스와, 연료 공급로(도시 생략)로부터 흡인된 연료를 함께 혼합시킨 후에, 공기와 블로바이 가스와 연료의 결과적인 혼합물을 실린더부(32)의 연소실에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고로 하여, 브레서 기구(25)에 의해 크랭크실(35)의 블로바이 가스를 브레서 챔버(52)에 도입하는, 즉 블로바이 가스를 브레서 챔버(52)로 배출시키는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1)이 구동됨에 따라, 연소실의 가스는 실린더(42)와 피스톤(43)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블로바이 가스로서 크랭크실(35)에 유입된다. 크랭크실(35)의 내부 압력, 즉 크랭크실(35)의 블로바이 가스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면, 브레서 밸브(53)의 밸브 본체(74)가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벗 이동하여, 밸브 통로(73a)가 개방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서 밸브(53)의 밸브 통로(73a)의 이러한 개방에 응답하여, 크랭크실(35)의 블로바이 가스는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브레서 통로부(56)를 통하여 흐른 후에,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브레서 통로부(57)로 유입된다.
다시 도 7a를 참조하면, 제2 브레서 통로부(57)에 유입된 블로바이 가스는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브레서 통로부(57)를 통하여 제3 브레서 통로부(58)로 흐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브레서 통로부(58)를 통하여 흐른 블로바이 가스는 화살표 E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된 브레서 밸브(53)[밸브 통로(73a)]를 통하여 브레서 챔버(52) 내로 유입된다. 이 후, 브레서 챔버(52) 내로 유입된 블로바이 가스는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로(68)를 통하여 공기 입구 챔버(67)로 흡인된다.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서 기구(25)는 크랭크실(35)의 블로바이 가스를 브레서 챔버(52)를 거쳐서 공기 입구 챔버(67)로 유도할 수 있고, 또한 블로바이 가스를 혼합수단(85)을 거쳐서 실린더부(32)의 연소실로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기초하여, 발전기(10)[이에 따라 엔진(21)]가 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2)에 유지되어 있을 때의 브레서 기구(25)의 예시적인 거동 방식을 설명한다. 도 9와 도 2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1)의 정지 상태에서 발전기(10)는 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2)에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전기(10)가 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2)에 있을 때, 오일 침입부[61; 즉 제1 브레서 통로부(56) 및 제2 브레서 통로부(57)의 침입부(62)]는 윤활용 오일(37)의 유체 레벨(37a)의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즉, 오일 침입부(61)가 윤활용 오일(37)에 침지되어 있으므로, 윤활용 오일(37)이 오일 침입부(61)에 들어간다.
또한, 발전기(10)가 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2)에 있을 때, 브레서 챔버(52)는 엔진 블록(31)의 위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 침입부(61)에 침입한 윤활용 오일(37)이 브레서 챔버(5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복귀 통로(54)의 제1 복귀 통로부(81)는 윤활용 오일(37)의 유체 레벨(37a) 위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윤활용 오일(37)이 제1 복귀 통로부(81)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전기(10)를 사용할 때에는, 발전기(10)를 화살표 G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2)로부터 정립 위치(P1)로 복귀시킨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10)가 정립 위치(P1)로 되돌아가면, 오일 침입부(61)가 윤활용 오일(37)의 유체 레벨(37a)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오일 침입부(61)에 침입한 윤활용 오일(37)은 화살표 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브레서 통로부(56) 및 서브 복귀 통로(63)를 통하여 크랭크실(35)로 복귀한다.
발전기(10)가 옆으로 누운 위치로부터 정립 위치로 복귀한 후에(특히 직후에) 엔진(21)을 구동시키는 것도 고려된다. 이러한 경우에, 오일 침입부(61)에 침입한 모든 윤활용 오일(37)이 크랭크실(35)에 복귀하기 전에 엔진(21)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엔진(21)의 구동에 응답하여, 브레서 밸브(53)의 밸브 본체(74)는 밸브 통로(73a)를 개방하도록 구동되므로, 블로바이 가스가 크랭크실(35)로부터 오일 침입부(61)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오일 침입부(61)에 잔류하는 윤활용 오일(37)은 오일 침입부(61)에 유입된 블로바이 가스와 함께 화살표 I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브레서 통로부(57)를 거쳐서 제3 브레서 통로부(58)에 유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브레서 통로부(58)는 단차부(58c)를 구비하므로, 제3 브레서 통로부(58)의 출구 단부(58b)가 오일 침입부(61)보다 높이 H1(도 7a 참조)만큼 높게 위치한다. 또한, 윤활용 오일(37)은 블로바이 가스보다 큰 비중을 갖는다. 따라서 윤활용 오일(37)은 윤활용 오일(37)을 유도하는 블로바이 가스에 의해 출구 단부(58b)까지 상승할 수는 없다. 그 결과, 제3 브레서 통로부(58)에 유입된 잔류 윤활용 오일(37)의 일부가 브레서 챔버(52)에 침입하는 것을 단차부(58c)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브레서 챔버(52)에의 유입이 방지된 잔류 윤활용 오일(37)의 일부는 화살표 H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브레서 통로부(57)와 서브 복귀 통로(67)를 거쳐서 크랭크실(35)에 복귀한다.
한편, 잔류 윤활용 오일(37)의 나머지 부분은 블로바이 가스와 함께 단차부(58c)를 거쳐서 출구 단부(58b)로 유도되고, 출구 단부로부터 화살표 J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된 브레서 밸브(53)를 통하여 브레서 챔버(52)로 유입된다.
브레서 챔버(52)가 브레서 통로(51)보다 큰 공간을 갖기 때문에, 브레서 챔버(52)에 유입된 블로바이 가스의 유속이 느려져서, 블로바이 가스와 함께 브레서 챔버(52)에 유입된 잔류 윤활용 오일(37)이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분리되고, 브레서 챔버(52)의 하부(52b)로 낙하한다. 하부(52b)에 낙하한 잔류 윤활용 오일(37)은 메인 복귀 통로(54)를 통하여 도 10에 화살표 K로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실(35)로 복귀된다.
제3 브레서 통로부(58)를 통과한 블로바이 가스는 잔류 윤활용 오일(37)과 함께 화살표 J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된 브레서 밸브(53)를 통하여 브레서 챔버(52)로 흐르고, 여기서 블로바이 가스가 잔류 윤활용 오일(37)로부터 분리된다. 잔류 윤활용 오일(37)로부터 분리된 블로바이 가스는 화살표 L로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서 챔버(52)로부터 연통로(68)를 통하여 공기 입구 챔버(67)로 흡인된다.
도 9 및 도 10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발전기(10)가 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2)에 유지되어 있을 때, 브레서 기구(25)의 브레서 챔버(52)는 엔진 블록(31)의 위에 위치하므로, 윤활용 오일(37)이 브레서 통로(51)를 통하여 브레서 챔버(5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발전기(10)가 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2)에 유지되어 있을 때, 브레서 기구(25)는 브레서 통로(51)에 의해 윤활용 오일(37)이 브레서 챔버(5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전기(10)가 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2)에 유지되어 있을 때, 메인 복귀 통로(54)의 제1 복귀 통로부(81)가 윤활용 오일(37)의 유체 레벨(37a)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윤활용 오일(37)이 메인 복귀 통로(54)를 거쳐서 브레서 챔버(5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브레서 통로부(58)의 단차부(58c)와 브레서 챔버(52)를 마련함으로써, 브레서 기구(25)는 오일 침입부(61)에 잔류하는 윤활용 오일(37)이 흡기계(26)에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립 위치(P1)로 복귀한 후에 엔진(21)을 구동시킨 때에, 브레서 기구(25)는, 오일 침입부(61)에 잔류하는 윤활용 오일(37)이 실린더부(32)의 연소실에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고로 하여, 발전기(10)가 후방측으로 누워서 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3)에 유지되어 있을 때 브레서 기구(25)의 예시적인 거동 방식을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1)이 정지된 상태에서 발전기(10)는 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3)에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전기(10)가 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3)에 있을 때, 브레서 챔버(52)는 엔진 블록(31)과 (이에 따라) 크랭크실(35)의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일 침입부(61)[즉, 제1 브레서 통로부(56) 및 제2 브레서 통로부(57)의 침입부(62)]가 윤활용 오일(37)의 유체 레벨(37a)의 위에 위치되어 있다. 오일 침입부(61)는 크랭크실(35)에 개구되는 브레서 통로(51)의 입구 단부를 구성한다. 오일 침입부(61)가 윤활용 오일(37)의 유체 레벨(37a)의 위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윤활용 오일(37)이 오일 침입부(61)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복귀 통로(54)의 제1 복귀 통로부(81)는 그 선단부(81a)가 후방 벽부(33a)를 길이 L1만큼 넘어서 전방으로 돌출한다. 이에 따라, 발전기(10)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3)에 있게 되면, 제1 복귀 통로부(81)의 선단부(81a)는 윤활용 오일(37)의 유체 레벨(37a)을 길이 L2만큼 넘어서 상방으로 돌출할 수 있다. 따라서 윤활용 오일(37)이 제1 복귀 통로부(81)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브레서 기구(25)는 윤활용 오일(37)이 오일 침입부(61)에 침투하여 제1 복귀 통로부(81)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써 윤활용 오일(37)이 브레서 챔버(52)에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전기(10)를 사용할 때에는, 발전기(10)를 화살표 M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3)로부터 정립 위치(P1)로 되돌린다. 발전기(10)가 정립 위치(P1)로 되돌아간 후에, 엔진(21)을 구동하여, 크랭크실(35)의 블로바이 가스를 브레서 통로(51) 및 브레서 밸브(53)를 경유하여 브레서 챔버(52)에 유도할 수 있다. 그 후, 브레서 챔버(52)에 유입된 블로바이 가스를 혼합 수단(85)을 거쳐서 실린더부(32)의 연소실에 유도할 수 있다.
도 11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발전기(10)가 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3)에 있을 때, 오일 침입부(61)가 윤활용 오일(37)의 유체 레벨(37a) 위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윤활용 오일(37)이 오일 침입부(61)[브레서 통로(51)]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브레서 챔버(5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발전기(10)가 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3)에 유지되어 있을 때, 브레서 기구(25)는 브레서 통로(51)에 의해 윤활용 오일(37)이 브레서 챔버(5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전기(10)가 후방으로 옆으로 누운 위치(P3)에 있을 때, 제1 복귀 통로부(81)의 선단부(81a)는 윤활용 오일(37)의 유체 레벨(37a)을 넘어서 상향으로 돌출하므로, 윤활용 오일(37)이 메인 복귀 통로(54)를 통하여 브레서 챔버(5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21)이 정립 위치(P1)에서 구동될 때 윤활용 오일(37)이 실린더부(32)의 연소실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고로, 브레서 기구(90)의 다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브레서 기구(25)와 유사한 부품에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도면 번호 및 문자를 부여하여, 여기서는 불필요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브레서 기구(90)는 제1 실시예에서 채용된 브레서 밸브(53)와 상이하게 구성된 브레서 밸브(92)를 구비한다. 브레서 밸브(92)는 밸브 장착부(71)에 장착된 밸브 시트(93)와, 밸브 시트(93)에 마련된 밸브 본체(94)를 구비한다.
밸브 시트(93)는 실질적으로 중앙에 장착 구멍(93a)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 구멍(93a)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밸브 통로(95)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93)의 장착 구멍(93a)을 통하여 밸브 본체(94)의 지지축(94a)이 삽입되어 있다.
밸브 본체(94)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돔형 부분(96)을 갖는다. 밸브 본체(94)는 반경 방향 외주면(96a)이 밸브 시트(93)의 표면과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즉, 브레서 밸브(92)는, 밸브 본체(94)의 돔형 부분(96)의 반경 방향 외주면(96a)이 밸브 시트(93)에 접촉함으로써 밸브 통로(95)를 폐쇄하고, 밸브 본체(94)를 탄성적으로 변형시켜 반경 방향 외주면(96a)을 밸브 시트(93)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밸브 통로(95)를 개방하는 소위 우산 밸브(umbrella valve)이다.
브레서 밸브(92)는 상시 폐쇄 상태로 유지되며, 크랭크실(35)의 내부 압력, 즉 크랭크실(35)의 블로바이 가스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할 때 개방된다. 브레서 밸브(92)의 이러한 개방에 의해, 크랭크실(35)의 블로바이 가스가 브레서 통로(51)를 통하여 브레서 챔버(52)로 유도(즉, 유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본체(94)가 탄성 재료에 의해 돔형(dome shape)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 본체는 미세한 압력에 의해 확실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랭크실(35)의 내부 압력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면, 브레서 밸브(92)가 확실하게 변형되어 밸브 통로(95)를 개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고로 하여, 제2 실시예의 브레서 기구(90)가 브레서 밸브(92)의 작동에 의해 크랭크실(35)의 블로바이 가스를 브레서 챔버(52)에 유도하는 예시적인 방식을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21)이 구동됨에 따라 크랭크실(35; 도 3 참조)의 내부 압력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면, 브레서 밸브(92)의 밸브 본체(94)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밸브 통로(95)를 개방한다. 이와 같이 밸브 통로(95)를 개방함으로써, 크랭크실(35)의 블로바이 가스와 오일 침입부(61)에 침입한 윤활용 오일(37)은 화살표 N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서 통로(51) 및 브레서 밸브(92)를 통하여 브레서 챔버(52)에 유입된다.
브레서 챔버(52)가 브레서 통로(51)보다 큰 공간을 갖기 때문에, 브레서 챔버(52)에 유입된 블로바이 가스의 유속이 느려져서, 블로바이 가스와 함께 브레서 챔버(52)에 유입된 윤활용 오일(37)을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윤활용 오일(37)이 분리된 블로바이 가스는 화살표 O로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서 챔버(52)로부터 연통로(68)를 통하여 공기 입구 챔버(67; 도 3 참조)로 흡인된다. 한편, 블로바이 가스로부터 분리된 윤활용 오일(37)은 브레서 챔버(52)의 하부(52b)로 낙하하고, 메인 복귀 통로(54)를 통하여 크랭크실(35; 도 3 참조)로 복귀된다.
도 12 및 도 13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서 밸브(92)의 밸브 본체(94)는 탄성 재료에 의해 돔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브레서 밸브(92)를 확실하게 변형시켜 블로바이 가스를 적절하게 브레서 챔버(52)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채용된 브레서 밸브(92)는 제1 실시예에 채용된 브레서 밸브(53)와 대략 동일한 유리한 이점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21)은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제1 및 제2 실시예의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21)은 발전기(10)에 적용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발전기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21)은 발전기 이외의 다른 작업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발전기(10), 엔진(21), 브레서 기구(25), 크랭크실(35), 브레서 통로(51), 브레서 챔버(52), 브레서 밸브(53, 92), 브레서 통로(51)의 출구 단부(58b), 브레서 챔버(52)의 입구 단부(59), 오일 침입부(61), 밸브 시트(73, 93), 밸브 본체(74, 94) 등의 형상 및 구성은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원리는, 윤활용 오일이 크랭크실에 저장되어 있고 크랭크실의 블로바이 가스를 크랭크실로부터 유출시키는 브레서 기구를 구비한 엔진에 적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10 : 발전기, 21 : 엔진; 25 : 브레서 기구, 35 : 크랭크실, 51 : 브레서 통로, 52 : 브레서 챔버, 53, 92 : 브레서 밸브, 61 : 오일 침입부, 73, 93 : 밸브 시트, 74, 94 : 밸브 본체

Claims (4)

  1. 윤활용 오일(37)이 크랭크실(35)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실의 블로바이 가스(blow-by gas)를 크랭크실로부터 유출시키는 브레서 기구(25; 90)를 갖춘 엔진(21)으로서,
    상기 브레서 기구(25; 90)는,
    상기 크랭크실(35)에 개구되는 브레서 통로(51)와,
    상기 브레서 통로(51)를 통하여 상기 크랭크실에 연통하는 브레서 챔버(52)와,
    상기 브레서 챔버(52)의 입구 단부(59)에 설치되고, 크랭크실의 내부 압력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한 때에 개방되어 블로바이 가스를 크랭크실(35)로부터 브레서 챔버(52)로 유입시킬 수 있는 브레서 밸브(53; 92)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21)이 옆으로 누운 위치(P2; P3)에 배치되어 있을 때, 브레서 통로(51)에 의해 브레서 챔버(52) 내로의 윤활용 오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엔진이 정립(正立) 위치(P1)에 배치되어 있을 때, 브레서 챔버(52)에 개구되는 브레서 통로(51)의 출구 단부(58b)는 크랭크실(35)에 개구되는 브레서 통로(51)의 입구 단부(58a) 위에 위치되어 있는 것인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그 일측에서 옆으로 누운 위치(P2)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브레서 챔버(52)는 엔진 블록(31)의 위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브레서 통로의 입구 단부(58a)는 크랭크실(35)에 저장된 윤활용 오일(37)에 침지되어 있는 것인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이 상기 일측과는 반대측인 타측에서 옆으로 누운 위치(P3)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브레서 챔버(52)는 엔진 블록(31)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브레서 통로의 입구 단부(58a)는 크랭크실(35)에 저장된 윤활용 오일(37)의 위에 위치되어 있는 것인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서 밸브(53; 92)는 밸브 시트(73; 93)와, 탄성 재료로 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 시트 상에 장착되는 밸브 본체(74; 94)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시트(73; 93)는 밸브 본체(74; 94)에 의해 상시 폐쇄된 밸브 통로(73a;95)를 갖고,
    상기 크랭크실(35)의 내부 압력이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면, 브레서 밸브(53; 92)가 개방되어 블로바이 가스를 크랭크실로부터 브레서 챔버(52)로 유출시킬 수 있는 것인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
KR1020100101851A 2009-10-19 2010-10-19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 KR101249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0807A JP5412231B2 (ja) 2009-10-19 2009-10-19 ブリーザ機構付きエンジン
JPJP-P-2009-240807 2009-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481A true KR20110043481A (ko) 2011-04-27
KR101249582B1 KR101249582B1 (ko) 2013-04-01

Family

ID=43529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851A KR101249582B1 (ko) 2009-10-19 2010-10-19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78631B2 (ko)
EP (1) EP2314833B1 (ko)
JP (1) JP5412231B2 (ko)
KR (1) KR101249582B1 (ko)
CN (1) CN102042055B (ko)
AT (1) ATE557167T1 (ko)
ES (1) ES2384754T3 (ko)
TW (1) TWI4445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82531A (zh) * 2011-04-28 2011-09-14 江苏林海动力机械集团公司 通用汽油机油气分离用呼吸器循环系统结构
JP6000552B2 (ja) * 2012-01-19 2016-09-28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US10082057B2 (en) 2012-02-27 2018-09-25 Nabtesco Automotive Corporation Oil separator
JP5996927B2 (ja) * 2012-05-08 2016-09-21 ナブテスコオートモーティブ株式会社 オイルセパレータ
US9656198B2 (en) 2012-02-27 2017-05-23 Nabtesco Automotive Corporation Oil separator
EP2821604B1 (en) 2012-02-27 2022-01-12 Nabtesco Automotive Corporation Oil separator
IN2014MN02360A (ko) 2012-05-10 2015-08-14 Nabtesco Automotive Corp
IN2014MN02671A (ko) 2012-07-02 2015-08-28 Nabtesco Automotive Corp
JP5840577B2 (ja) 2012-07-30 2016-0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携帯型エンジン発電機
CN103654628B (zh) * 2012-09-11 2018-01-30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吸尘器
KR101496034B1 (ko) * 2013-09-10 2015-02-25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차량용 크랭크케이스 환기장치
WO2015071915A1 (en) * 2013-11-13 2015-05-21 Axis Aerospace & Technologies Limited A diesel generator set
JP6136979B2 (ja) * 2014-02-26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機関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6413519B2 (ja) * 2014-09-08 2018-10-3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内燃機関
CN104791048A (zh) * 2015-03-17 2015-07-22 浙江亚特电器有限公司 一种发动机润滑系统余气利用装置
EP3726014B1 (en) * 2017-12-11 2021-09-29 Honda Motor Co., Lt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7047434B2 (ja) * 2018-02-13 2022-04-0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オイル戻し構造
USD910549S1 (en) 2019-01-04 2021-02-16 Kempower Oy Charging apparatus
JP7305782B2 (ja) 2019-11-12 2023-07-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31785A (en) * 1976-09-13 1978-11-08 Kubota Ltd Diesel engines
EP0117965A1 (fr) * 1983-03-03 1984-09-12 GAME INGENIERIE Société Anonyme Dispositif de pré-contrainte de poutres supports de têtes notamment de mesure
JPH0830405B2 (ja) * 1986-04-10 1996-03-2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ブリ−ザ装置
JPH0294312U (ko) * 1989-01-17 1990-07-26
JPH083784Y2 (ja) * 1989-08-09 1996-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チェック弁装置
JPH08303238A (ja) * 1995-05-11 1996-11-19 Ishikawajima Shibaura Mach Co Ltd 4サイクルエンジン
JP3537554B2 (ja) * 1995-08-30 2004-06-14 ヤマハマリン株式会社 船外機の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US6047678A (en) * 1996-03-08 2000-04-11 Ryobi North America, Inc. Multi-position operator-carried four-cycle engine
JPH11107736A (ja) * 1997-10-03 1999-04-20 Kioritz Corp 4サイクル内燃機関
JP3866394B2 (ja) * 1997-10-22 2007-01-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JP4123573B2 (ja) * 1998-06-29 2008-07-23 マツダ株式会社 直噴式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3388186B2 (ja) * 1998-07-27 2003-03-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JP3819685B2 (ja) * 2000-08-10 2006-09-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作業機用4サイクルエンジンにおけるブリーザ構造
JP2002155721A (ja) * 2000-11-20 2002-05-31 Sanshin Ind Co Ltd 小型船舶の推進装置におけるブリーザ装置
US6412478B1 (en) * 2001-01-02 2002-07-02 Generac Power Systems, Inc. Breath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129362A1 (de) * 2001-06-20 2003-01-02 Bomag Gmbh Entlüftungssystem für den Motor eines Stampfers
JP2003054484A (ja) * 2001-08-17 2003-02-26 Kawasaki Heavy Ind Ltd 小型滑走艇
JP3819757B2 (ja) * 2001-10-26 2006-09-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JP2003232210A (ja) * 2002-02-08 2003-08-22 Kawasaki Heavy Ind Ltd 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JP4089334B2 (ja) * 2002-07-29 2008-05-28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JP4573712B2 (ja) * 2005-06-23 2010-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気液分離装置
TWI323312B (en) * 2005-06-23 2010-04-11 Honda Motor Co Ltd Gas-liquid separation device of engine
JP5000419B2 (ja) * 2006-08-16 2012-08-1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ブリーザ装置
JP5081493B2 (ja) * 2007-04-27 2012-11-2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85118A (ja) 2011-04-28
EP2314833B1 (en) 2012-05-09
CN102042055A (zh) 2011-05-04
KR101249582B1 (ko) 2013-04-01
ATE557167T1 (de) 2012-05-15
US8978631B2 (en) 2015-03-17
EP2314833A2 (en) 2011-04-27
TW201118236A (en) 2011-06-01
ES2384754T3 (es) 2012-07-11
JP5412231B2 (ja) 2014-02-12
TWI444533B (zh) 2014-07-11
US20110088641A1 (en) 2011-04-21
EP2314833A3 (en) 2011-05-11
CN102042055B (zh)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582B1 (ko) 브레서 기구 장착 엔진
US8701622B2 (en) Lubrication system for portable four-stroke engine
TW482856B (en) Breather structure in four-cycle engine for work machines
JP5058069B2 (ja) エンジンのシリンダヘッド潤滑構造
JP2009228708A (ja) 変速装置の冷却構造
JP3462771B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5483275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4342960B2 (ja) 2サイクルエンジン
US20170183993A1 (en) Breather apparatus for engine
US8746203B2 (en) Lubrication apparatus for four-stroke engine
JP5536578B2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2011163429A (ja) パワーユニットのブリーザ構造
US10273843B2 (en) Lubricating structure for four-stroke engine
JP4372481B2 (ja)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及び該エンジンを搭載した自動二輪車
JP2011069240A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2006299887A (ja)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の油温検出構造
CN108071530B (zh) 双循环发动机
JP4071443B2 (ja) 携帯用エンジン作業機
JP2015218702A (ja) 車両用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処理装置
JP6919489B2 (ja) エンジンの潤滑経路構造
JP2019011709A (ja) エンジンの潤滑装置、及び、携帯型作業機
JPH11200830A (ja) ブリーザ機構
JP6485221B2 (ja) 内燃機関のブリーザー装置
JP2007224762A (ja) エンジンの検油装置
EP3726014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