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549A - 플렉시블관용 조인트 - Google Patents

플렉시블관용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549A
KR20110028549A KR1020117003220A KR20117003220A KR20110028549A KR 20110028549 A KR20110028549 A KR 20110028549A KR 1020117003220 A KR1020117003220 A KR 1020117003220A KR 20117003220 A KR20117003220 A KR 20117003220A KR 20110028549 A KR20110028549 A KR 20110028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ring
joint
flexible tube
seal member
flexib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691B1 (ko
Inventor
유지 키시모토
타케토시 히가시노
아츠시 키무라
요스케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츠기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츠기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츠기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8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54Joints for corrugated pipes with specially shaped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81Pipe joints comprising a liquid or fusible se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specially adapted for hose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8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for hoses with one end terminating in a radial flange or col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유체누출이 생기기 어려운 플렉시블관용 조인트를 제공한다.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0)의 조인트 본체(20)는 삽입구(40)와, 제1수용부(42)와, 씰재 축경안내부(48)와, 제2수용부(44)를 가진다. 씰재(22)는 몸체부(60a)와, 단일 링 형상부(60c)를 가진다. 몸체부(60a)는 조인트 본체(20) 내에 수용된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에 의해 제2수용부(44) 안쪽으로 밀어 넣어진다. 단일 링 형상부(60c)는 몸체부(60a)의 제2수용부(44)의 안쪽으로의 밀어넣기에 의해 제2수용부(44) 안으로 끌어 들여진다. 단일 링 형상부(60c)는 제2수용부(44) 안으로 끌어 들여질 때, 씰재 축경안내부(48)에 의해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맞물려 제2수용부(44) 안으로 끌어 들여진 후, 제2수용부(44)의 내주와 플렉시블관(300)의 외주 사이를 씰링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관용 조인트{JOINT FOR FLEXIBLE TUBE}
본 발명은 유체누출이 생기기 어렵고, 또, 불측의 사태에 의해 사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낮은 플렉시블관(flexible tube)용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플렉시블관용 조인트를 개시한다. 이 플렉시블관용 조인트는 조인트 본체(200)와, 슬리브(202)와, 링 스프링(204)과, O링(206)과, 패킹(208)과, 누름테(210)를 구비한다.
조인트 본체(200)에는 큰 지름 구멍(200a)과 중간 지름 구멍(200b)과 작은 지름 구멍(200c)이 입구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202)는 조인트 본체(200)의 중간 지름 구멍(200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분과 결합한다. 슬리브(202)의 입구 쪽은 조인트 본체(200)의 큰 지름 구멍(200a)에까지 뻗어 있다. 링 스프링(204)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변형에 의해 확장수축하며, 하중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 외주(外周)에 끼워 넣어지며, 지름이 확대된 상태로 슬리브(202)의 입구 쪽 외면에 장착된다. 누름테(210)는 조인트 본체(200)의 입구 쪽에 나사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누름테(210)와 조인트 본체(200) 사이에는 O링(206)이 끼워 넣어져 있다. 누름테(210)의 내주면(內周面)에는 패킹(208)이 장착되어 있다. 누름테(210) 내 안쪽 끝 부근의 안지름은 골부분(312) 외주에 링 스프링(204)이 끼워 넣어졌을 때 그 링 스프링(204)의 바깥지름보다 작다.
특허문헌 2는 도 9(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플렉시블관용 조인트를 개시한다. 이 플렉시블관용 조인트는 조인트 본체(250)와, 리테이너 부재(252)와, 누름테(254)와, 방수패킹(256)을 구비한다.
조인트 본체(250)는 관삽입공(270)을 가진다. 관삽입공(270)에는 플렉시블관(300)이 삽입된다.
리테이너 부재(252)는 관삽입공(270) 안에 배치된다. 리테이너 부재(252)는 후방돌기(252a)를 가진다. 후방돌기(252a)는 플렉시블관(300) 외면의 골부분(312)에 끼워 넣어진다.
누름테(254)는 리테이너 부재(252)의 후방돌기(252a)를 플렉시블관(300)의 외면의 골부분(312)에 끼워넣은 상태로 고정한다. 또한, 누름테(254)는 조인트 본체(250)의 관삽입공(270) 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따라서 누름테(254)는 리테이너 부재(252)의 후방돌기(252a)가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끼워 넣어지지 않은 위치와, 리테이너 부재(252)의 후방돌기(252a)가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끼워 넣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방수패킹(256)은 플렉시블관(300)과 조인트 본체(250) 사이를 씰링한다.
또한, 도 9(A), (B)에 나타내는 플렉시블관용 조인트에는 록킹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록킹기구는 다음에 설명하는 상태로 누름테(254)를 록킹한다. 그 상태란, 후방돌기(252a)가 골부분(312)에 끼워 넣어진 상태이다. 이 록킹기구는 스톱링 부재(258)와, 제1홈(260)과, 제2홈(262)과, 제3홈(264)에 의해 구성된다.
스톱링 부재(258)는 C자 모양의 부재이다. 제1홈(260)은 조인트 본체(250)에 형성되어 있다. 제1홈(260)에는 스톱링 부재(258)의 외주부(外周部)가 결합한다. 제2홈(262)도 조인트 본체(250)에 형성되어 있다. 제2홈(262)에도 스톱링 부재(258)의 외주부가 결합한다. 제3홈(264)은 누름테(25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3홈(264)에는 스톱링 부재(258)의 내주부(內周部)가 결합한다. 스톱링 부재(258)는 제3홈(264)에 내주부가 결합한 채로 누름테(254)의 슬라이드에 대응하여 제1홈(260)으로부터 제2홈(262)으로 슬라이드 한다.
스톱링 부재(258)의 외주부가 제1홈(260)에 결합되어 있을 때, 누름테(254)는 조인트 본체(250)에 반(半) 삽입상태로 임시고정되어 있다. 이때의 누름테(254)의 위치는 후방돌기(252a)가 골부분(312)에 끼워 넣어지지 않은 위치이다. 스톱링 부재(258)의 외주부가 제2홈(262)에 결합할 때, 누름테(254)는 록킹된다. 이때, 후방돌기(252a)는 골부분(312)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누름테(254)의 밀어넣기량은 상술한 제1홈(260)과 제2홈(262) 사이의 거리에 거의 같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플렉시블관용 조인트에 의하면, 누름테(254)를 밀어 넣으면, 양호한 씰링성을 유지한 상태로 플렉시블관(300)의 접속을 행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 6-18568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17688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플렉시블관용 조인트에서는 유체누출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유체누출이 생기기 어려운 플렉시블관용 조인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떤 형태에 따르면,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0, 12)는 조인트 본체(20, 21)와, 탄성변형 가능한 씰재(22, 23)를 구비한다. 씰재(22, 23)는 조인트 본체(20, 21) 내에 수용된다. 조인트 본체(20, 21) 내에는 플렉시블관(300)이 삽입된다. 플렉시블관(300)의 외주부에는 원주방향 전체 둘레에 뻗은 산부분(310)과 골부분(312)이 관축방향(管軸方向)으로 교대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씰재(22, 23)에는 중앙에 관삽입공(管揷入孔)(60h)이 형성되어 있다. 관삽입공(60h)에 플렉시블관(300)이 삽입된다. 씰재(22, 23)는 관삽입공(60h)에 삽입된 플렉시블관(300)의 외주면과 조인트 본체(20, 21)의 내주면 사이에서 씰링한다. 조인트 본체(20, 21)는 삽입구(40, 41)와, 제1수용부(42)와, 씰재 축경안내부(縮徑案內部)(48)와, 제2수용부(44)를 가진다. 삽입구(40, 41)에는 플렉시블관(300)이 삽입된다. 제1수용부(42)는 삽입구(40, 41)의 안쪽에 형성되어 그 삽입구(40, 41)에 연통된다. 씰재 축경안내부(48)는 제1수용부(42)의 삽입구와는 반대 쪽에 형성되며, 제1수용부(4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좁아진다. 제2수용부(44)는 씰재 축경안내부(48)의 안쪽에 형성되며,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先端部)와 이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의 외주(外周)의 씰재(22, 23)를 수용한다. 씰재(22, 23)는 몸체부(60a, 61a)와, 씰 작용부(60c, 61c, 61g)를 가진다. 몸체부(60a, 61a)는 조인트 본체(20, 21) 내에 수용된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에 의해 제2수용부(44)의 안쪽으로 밀어 넣어진다. 씰 작용부(60c, 61c, 61g)는 몸체부(60a, 61a)의 제2수용부(44) 안쪽으로의 밀어넣기에 의해 제2수용부(44) 안으로 끌어 들여진다. 씰 작용부(60c, 61c, 61g)는 제2수용부(44) 안으로 끌어 들여질 때, 씰재 축경안내부(48)에 의해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맞물려 제2수용부(44) 안으로 끌어 들여진 후, 제2수용부(44)의 내주와 플렉시블관(300)의 외주 사이를 씰링한다.
씰 작용부(60c, 61c, 61g)는 제2수용부(44)의 내주와 그 플렉시블관(300)의 외주 사이를 씰링한다. 그 씰링 시, 씰 작용부(60c, 61c, 61g)를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맞물리게 하므로, 씰링성의 높음과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씰 작용부(60c, 61c, 61g)를 깊게 맞물리게 함을 양립할 수 있다. 이들의 양립이 가능하므로, 유체누출은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술한 씰 작용부는 복수의 링 형상부(61c, 61g)를 가져도 좋다. 이들 링 형상부(61c, 61g)는 씰재 축경안내부(48) 및 제1수용부(42)의 중심축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인접하는 링 형상부(61c, 61g)끼리가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씰 작용부가 가지는 복수의 링 형상부(61c, 61g)는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링 형상부(61c, 61g)는 씰재 축경안내부(48) 및 제1수용부(42)의 중심축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몸체부(60a, 61a)가 제2수용부(44) 안쪽으로 끌어 들여지면, 이들 링 형상부(61c, 61g)는 제2수용부(44) 안으로 순차적으로 끌어 들여진다. 이들 링 형상부(61c, 61g)는 플렉시블관(300)의 복수의 골부분(312)에 각각 맞물리게 된다. 복수의 링 형상부(61c, 61g)가 복수의 골부분(312)에 각각 맞물리므로, 유체누출은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술한 씰 작용부는 플렉시블관의 원주방향 전체 둘레에 뻗은 1개의 링 형상부(60c)를 가져도 좋다. 아울러, 링 형상부(60c)는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맞물려도 좋다.
또한, 상술한 플렉시블관 조인트는 누름테(24)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테(24)는 씰재(22, 23)보다 조인트 본체(20, 21)의 삽입구(40, 41) 쪽으로 배치되어 조인트 본체(20, 21)에 접속된다. 누름테(24)는 플렉시블관(300)이 관통하는 통부(76a)를 가진다. 통부(76a) 내 삽입구(40, 41) 안에 배치되는 쪽의 끝에 누름테 테이퍼면(82b)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테 테이퍼면(82b)은 삽입구(40, 41) 안쪽을 향해 넓어진다. 아울러, 씰재(22, 23)는 빠짐방지부(60e)를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빠짐방지부(60e)는 씰 작용부(60c, 61c, 61g)보다 삽입구(40, 4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빠짐방지부(60e)의 외주에 외주 테이퍼면(62)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 테이퍼면(62)은 삽입구(40, 41) 방향을 향해 좁아진다. 외주 테이퍼면(62)은 누름테 테이퍼면(82b)과 대향하고 있다. 플렉시블관(300)에 대해 조인트 본체(20, 21)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으로 인발력(引拔力)이 걸렸을 때, 누름테 테이퍼면(82b)에 접촉한 외주 테이퍼면(62)이 누름테 테이퍼면(82b)으로부터 반력(反力)을 받으면, 빠짐방지부(60e) 내 외주 테이퍼면(62)의 배면(背面) 쪽에 배치된 부분(63)은 플렉시블관(300)에 그 반력을 전달하여 플렉시블관(300)의 빠져나감을 저지한다.
혹은, 상술한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0, 12)가 탄성변형에 의해 바깥지름이 변화하는 스냅링(106)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통부(76a) 내 조인트 본체(20, 21)의 내주에 대향하는 면에 스냅링 수용지지홈(8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스냅링(106)의 내주가 스냅링 수용지지홈(84)에 끼워 넣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조인트 본체(20, 21)의 내주에 제1스냅링 결합홈(90)과, 제2스냅링 결합홈(9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스냅링 결합홈(92)은 제1스냅링 결합홈(90)보다 삽입구(40, 41)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스냅링(106)의 외주가 제1스냅링 결합홈(90)에 끼워 넣어져 있을 때 누름테(24)가 삽입구(40, 41) 안에 밀어 넣어지면, 스냅링(106)은 제1스냅링 결합홈(90)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와 제2스냅링 결합홈(92)에 끼워진다.
혹은, 상술한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0, 12)가 수지층(11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110)은 누름테(24)의 통부(76a) 내 끼워넣기 예정부(77)에 접해 있다. 끼워넣기 예정부(77)는 스냅링의 외주가 제1스냅링 결합홈에 끼워 넣어져 있을 때에는 조인트 본체로부터 노출하고, 또, 스냅링의 외주가 제2스냅링 결합홈에 끼워 넣어져 있을 때에는 삽입구 안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아울러, 누름테(24)는 통부(76a)에 더해, 통부(76a)의 외주에 플랜지부(76b)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부(76b)는 끼워넣기 예정부(77)를 사이에 두고 조인트 본체(20, 21)에 대향한다.
또한, 상술한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0, 12)가 내화(耐火)패킹(104)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화패킹(104)은 제1수용부(42)의 내주에 설치되어 씰재(22, 23)의 외주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누출이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관용 조인트를, 씰재 밀어넣기 전 상태로 나타내는, 반을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씰재 밀어넣기 완료한 상태로 나타내는, 제1실시형태의 플렉시블관용 조인트의 반을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3은 플렉시블관의 끼워넣기 완료 후 상태로 나타내는, 제1실시형태의 플렉시블관용 조인트의 반을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씰재의 반을 잘라낸 단면도, (b)는 씰재의 배면도, (c)는 씰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관용 조인트를, 씰재 밀어넣기 전 상태로 나타내는, 반을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씰재 밀어넣기 완료한 상태로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의 플렉시블관용 조인트의 반을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7은 플렉시블관의 끼워넣기 완료 후 상태로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의 플렉시블관용 조인트의 반을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종래예의 플렉시블관용 조인트의 반을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제2종래예의 플렉시블관용 조인트를, 플렉시블관 끼워넣기 도중의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제2종래예의 플렉시블관용 조인트를, 플렉시블관 끼워넣기 완료 후 상태로 나타내 보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들의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1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0)를, 씰재(22) 밀어넣기 전 상태로 나타내는 반을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씰재(22) 밀어넣기 도중의 상태로 나타내는 제1실시형태의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0)의 반을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3은 플렉시블관(300)의 끼워넣기 완료 후 상태로 나타내는 제1실시형태의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0)의 반을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씰재(22)의 반을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4(b)는 씰재(22)의 배면도이다. 도 4(c)는 씰재(22)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0)는 조인트 본체(20)와, 씰재(22)와, 누름테(24) 등을 구비한다. 조인트 본체(20)의 일단부에는 접수구 부분(30)이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 본체(20)의 타단부의 외주에는 접속용 수나사(32)가 형성되어 있다. 접수구 부분(30)은 금속제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를 받아들이는 부분이다. 씰재(22)는 이 조인트 본체(20)의 접수구 부분(30)의 내부에 수용된다. 누름테(24)는 이 조인트 본체(20)에 밀어넣기 부분을 남기는 반 삽입상태로 접속된다. 누름테(24)는 씰재(22)보다 후술하는 삽입구(40) 쪽으로 배치된다.
플렉시블관(30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부에 원주방향 전체 둘레에 뻗은 산부분(310)과 골부분(312)을 관축방향으로 교대로 나란히 형성하여 그 외주를 염화비닐 등의 합성수지층(314)으로 피복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20)의 접수구 부분(30) 내에는 삽입구(40), 제1수용부(42), 제2수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 가장 입구 쪽에 있는 것은 삽입구(40)이다. 이들 중에서 가장 안쪽에 있는 것은 제2수용부(44)이다. 삽입구(40)에는 플렉시블관(300)이 삽입된다. 제1수용부(42)는 삽입구(40) 안쪽에 형성된다. 제1수용부(42)는 삽입구(40)에 연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연통」이란, 통로를 통해 2개의 공간을 연속상태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통로」에는 관 모양의 것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멍도 포함된다. 제2수용부(44)는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와 상술한 씰재(22)를 수용한다. 제2수용부(44)의 안쪽 끝에는 스톱퍼부(46)가 있다. 스톱퍼부(46)는 제2수용부(44)에 비해, 조인트 본체(20)의 중심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수용부(42)와 제2수용부(44) 사이에는 씰재 축경안내부(48)가 있다. 씰재 축경안내부(48)는 제1수용부(42)의, 삽입구(40)와는 반대 쪽에 형성되어 있다. 씰재 축경안내부(48)는 제1수용부(4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좁아지는 형상이다. 제1수용부(42)와 삽입구(40) 사이에는 빠짐방지 축경안내부(50)가 있다. 빠짐방지 축경안내부(50)는 삽입구(4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좁아지는 형상이다.
도 4(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씰재(22)는 몸체부(60a)와, 관끝받이부(60b)와, 단일 링 형상부(60c)와, 연결부(60d)와, 빠짐방지부(60e)를 가진다. 씰재(22)의 중앙에는 관삽입공(60h)이 형성되어 있다. 관삽입공(60h)에는 플렉시블관(300)이 삽입된다. 몸체부(60a)와, 관끝받이부(60b)와, 단일 링 형상부(60c)와, 연결부(60d)와, 빠짐방지부(60e)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부(60a)는 통 모양이다. 몸체부(60a)의 안지름은 플렉시블관(300)의 산부분(310)의 바깥지름과 거의 동일하다. 관끝받이부(60b)는 이 몸체부(60a)의 전단부(前端部)에 내측방향으로 튀어나와 있다. 단일 링 형상부(60c)가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맞물림으로써 조인트 본체(20)의 내주면과 플렉시블관(300)의 외주면이 씰링된다. 단일 링 형상부(60c)는 몸체부(60a)의 후단부(後端部)에 외측방향으로 튀어나와 있다. 연결부(60d)는 이 단일 링 형상부(60c)의 후방에 형성되어 단일 링 형상부(60c)와 빠짐방지부(60e)를 연결한다. 연결부(60d)의 안지름은 몸체부(60a)의 안지름보다 크다. 빠짐방지부(60e)는 이 연결부(60d)의 후단부, 즉, 단일 링 형상부(60c)보다 삽입구(4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조인트 본체(20) 안에 씰재(22)가 수용되었을 때, 빠짐방지부(60e)의 안지름은 연결부(60d)의 안지름보다 작고, 플렉시블관(300)의 산부분(310)의 바깥지름보다 크다. 조인트 본체(20) 안에 씰재(22)가 수용되었을 때, 빠짐방지부(60e)의 바깥지름은 연결부(60d)의 바깥지름보다 크다.
몸체부(60a), 단일 링 형상부(60c), 및 연결부(60d)는 고무제이다. 이들 소재로서 이용되는 고무의 예는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SBR(Styrene-butadi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rubber) 등이 있다.
관끝받이부(60b)에는 황동제 와셔 등의 보강와셔(60f)가 매립되어 있다. 관끝받이부(60b)의 재질은 몸체부(60a), 단일 링 형상부(60c) 및 연결부(60d)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빠짐방지부(60e)는 몸체부(60a), 단일 링 형상부(60c) 및 연결부(60d)보다 단단한 재료로 형성된다. 이러한 재료의 예로서 황동 등의 금속재료나 경질 수지가 있다. 빠짐방지부(60e)의 일부는 원호 모양이다. 복수의 빠짐방지부(60e)가 연결부(60d)의 후단부에 접속된다. 이들 빠짐방지부(60e)는 원주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빠짐방지부(60e)끼리는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빠짐방지부(60e)의 후단의 외주에는 외주 테이퍼면(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주 테이퍼면(62)은 삽입구(40) 방향, 즉, 후단을 향해 좁아져 있다.
이 씰재(22)는 플렉시블관(300)의 끼워넣기 전(초기상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된다. 즉, 초기상태에 있어서, 관끝받이부(60b) 및 몸체부(60a)가 제2수용부(44) 내에 위치하고, 단일 링 형상부(60c)가 제1수용부(42) 내에 위치하며, 또, 빠짐방지부(60e)가 삽입구(40) 내에 위치하도록, 씰재(22)는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20) 내 스톱퍼부(46)에는 선단걸림부재(70)가 배치되어 있다. 선단걸림부재(70)는 금속이나 경질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걸림부재(70)는 지름이 확장수축할 수 있는 C형의 링부(72a)와, 탄성변형할 수 있는 복수의 역방향 걸림턱(72b)을 가진다. 링부(72a)의 외경부(外徑部)는 스톱퍼부(46)의 외경 쪽에 형성된 원주홈(74a) 내에 결합되어 있다. 역방향 걸림턱(72b)은 링부(72a)의 내경부(內徑部)의 수 개소로부터 제2수용부(44) 내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테(24)는 통부(76a)와 플랜지부(76b)를 가진다. 통부(76a)와 플랜지부(76b)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통부(76a)는 조인트 본체(20)의 삽입구(40) 쪽에 배치되며, 조인트 본체(20)에 접속된다. 삽입구(40) 안에서 통부(76a)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통부(76a) 안을 플렉시블관(300)이 삽입통과할 수 있다. 플랜지부(76b)는 이 통부(76a)의 입구 쪽 후단부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76b)는 후술하는 끼워넣기 예정부(77)를 사이에 두고 조인트 본체(20)에 대향하고 있다. 플랜지부(76b)의 바깥지름은 삽입구(40)의 구멍 지름보다 크다.
통부(76a)는 패킹홈(78)을 가진다. 패킹홈(78)은 통부(76a)의 입구 쪽 후단의 내주에 형성되어 있다. 패킹홈(78)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패킹홈(78)에는 방수패킹(80)이 끼워 넣어져 있다. 방수패킹(80)은 EPDM 등으로 만들어져 있다. 방수패킹(80)의 단면(斷面)은 T 형상이다. 방수패킹(80)의 원주방향 수 개소에는 핀 형상의 선택투과성 부재(100)가 매설되어 있다. 선택투과성 부재(100)는 기체는 투과하지만 고체나 액체는 투과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가스누출검사가 가능하다. 선택투과성 부재(100)는 예를 들면, 연속 다공질막(多孔質膜)을 포함하는 시트재, 또는, 연속 기공(氣孔)을 가지는 다공질체이다. 전자의 연속 다공질막은 4불화 에틸렌 수지분체(樹脂粉體)를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후자의 다공질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분체로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통부(76a) 내 삽입구(40) 안에 배치되는 쪽의 끝의 외주에는 안내 테이퍼면(82a)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테이퍼면(82a)의 형상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모양이다. 안내 테이퍼면(82a)의 경사는 조인트 본체(20)에 형성된 빠짐방지 축경안내부(50)와 거의 동일하다. 통부(76a) 내 삽입구(40) 안에 배치되는 쪽의 끝의 내주에는 누름테 테이퍼면(82b)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테 테이퍼면(82b)은 삽입구(40) 안쪽을 향해 넓어지는,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모양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부(76a) 내 조인트 본체(20)의 내주에 대향하는 면에는 스냅링 수용지지홈(84)이 형성되어 있다. 스냅링 수용지지홈(84)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인트 본체(20)의 삽입구(40)의 내주에는 제1스냅링 결합홈(90)과, 제2스냅링 결합홈(9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각각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2스냅링 결합홈(92)이 제1스냅링 결합홈(90)보다 삽입구(40)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스냅링 결합홈(90) 내의 앞쪽 홈벽에는 홈 테이퍼면(90a)이 형성되어 있다. 홈 테이퍼면(90a)은 제1수용부(42) 방향을 향해 좁아져 있다.
스냅링 수용지지홈(84)보다 뒤쪽에는 방수패킹홈(8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방수패킹홈(86)에는 방수패킹(102)이 끼워 넣어져 있다. 조인트 본체(20)의 제1수용부(42)의 내주에는 씰재(22)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내화패킹홈(9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화패킹홈(94)에는 열팽창성 흑연입(黑鉛入)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내화패킹(104)이 끼워 넣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0)는 제1위치결정유지기구와 제2위치결정유지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1위치결정유지기구는 누름테(24)의 선단부를 초기위치에 위치결정유지한다. 도 1은 누름테(24)가 초기위치에 위치결정유지되어 있는 상태(반 삽입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여기서 말하는 초기위치란, 플렉시블관(300)의 끼워넣기 전에 있어서의, 씰재(22)의 빠짐방지부(60e)의 뒤를 의미한다. 제2위치결정유지기구는 누름테(24)의 선단부를 완전한 밀어넣기 위치에 위치결정유지한다. 도 3은 누름테(24)의 선단부가 완전한 밀어넣기 위치에 위치결정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여기서 말하는 완전한 밀어넣기 위치란, 플렉시블관(300)의 끼워넣기에 따라 제2수용부(44) 내에까지 씰재(22)가 밀어 넣어진 후에 있어서의, 씰재(22)의 빠짐방지부(60e)와의 사이에 근소한 간격을 둔 위치를 의미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위치결정유지기구는 누름테(24)의 스냅링 수용지지홈(84)과, 스냅링(106)과, 조인트 본체(20)의 제1스냅링 결합홈(90)과, 피복수지층(1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냅링(106)은 둘레에 잘린 부분이 있어, 탄성변형에 의해 외형이 변화한다. 스냅링 수용지지홈(84)에는 스냅링(106)의 내주부가 끼워 넣어져 수용되어 있다. 제1스냅링 결합홈(90)에는 스냅링(106)의 외주부가 결합되어 있다. 피복수지층(110)은 반 삽입상태의 누름테(24) 내 조인트 본체(20)로부터 노출된 부분의 외면과 접수구 부분(30)의 외면의 일부에 밀착하도록 씌워져 있다. 이들이 밀착하는 것은 누름테(24)에 씌워진 후에 가열됨으로써 피복수지층(110)이 수축하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피복수지층(110)은 끼워넣기 예정부(77)에 접하게 된다. 끼워넣기 예정부(77)란, 누름테(24)의 통부(76a) 내, 스냅링(106)의 외주가 제1스냅링 결합홈(90)에 끼워 넣어져 있을 때에는 조인트 본체(20)로부터 노출하고, 또, 스냅링(106)의 외주가 제2스냅링 결합홈(92)에 끼워 넣어져 있을 때에는 삽입구(40) 안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그 결과, 플랜지부(76b)는 끼워넣기 예정부(77)를 사이에 두고 조인트 본체(20)에 대향해 있게 된다. 피복수지층(110)은 삽입구(40)의 내주면과 누름테(24)의 통부(76a) 사이의 간격보다 큰 두께를 가지며, 또, 열수축성 플라스틱제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열수축성 플라스틱제 필름 대신, 열수축성 플라스틱제 시트, 또는 그러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튜브로 되어 있어도 좋다. 피복수지층(110)의 소재로서는 폴리스티렌 수축 필름, 폴리올레핀 수축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축 필름, 폴리퓨렌 수축 필름 등, 환경을 배려한 비염화비닐계 소재가 바람직하다.
제1위치결정유지기구에 의해, 누름테(24)는 상술한 초기위치에 위치결정유지된다. 이에 의해, 반 삽입상태의 누름테(24)에 불측의 힘이 작용해도 조인트 본체(20) 안으로 밀어넣기 어려워진다.
제2위치결정유지기구는 누름테(24)의 스냅링 수용지지홈(84)과, 스냅링(106)과, 조인트 본체(20)의 제2스냅링 결합홈(9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스냅링 결합홈(92)은 접수구 부분(30)의 내주에 형성되며, 제2스냅링 결합홈(92)은 제1스냅링 결합홈(90)보다 삽입구(40)로부터 먼 위치에, 이것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피복수지층(110)이 벗겨진 후, 반 삽입상태의 누름테(24)가 삽입구(40) 안에 밀어 넣어지면, 스냅링(106)이 제1스냅링 결합홈(90)의 홈 테이퍼면(90a)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온다. 그 후, 누름테(24)가 더 밀어 넣어지면, 스냅링(106)이 제2스냅링 결합홈(92)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누름테(24)의 선단부는 완전한 밀어넣기 위치에 위치결정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은 스냅링(106)이 제2스냅링 결합홈(92)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누름테(24)의 밀어넣기 부분인 스트로크 길이(S)(도 2 참조)는 제1스냅링 결합홈(90)과 제2스냅링 결합홈(92) 사이의 거리에 거의 같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0)에 플렉시블관(300)을 접속하는 요령에 대해 도 1∼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플렉시블관(300)의 접속 전에 있어서의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0)의 재고·보관 시나 반송 시 등에 있어서는, 제1위치결정유지기구가, 반 삽입상태의 누름테(24)가 부주의하게 밀어 넣어지는 사태를 생기기 어렵게 한다. 즉, 스냅링(106)의 외주부와 제1스냅링 결합홈(90)의 결합작용이나, 끼워넣기 예정부(77)에 설치된 피복수지층(110)의 지지작용에 의해 상술한 사태의 발생은 방지된다.
플렉시블관(300)의 접속에 있어서는, 먼저, 플렉시블관(300)(이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분의 합성수지층(314)은 미리 박리되어 있다. 그 결과, 이 플렉시블관(300)의 산부분(310)이 노출되어 있다.)을 누름테(24)의 입구 쪽으로부터 조인트 본체(20)의 삽입구(40) 내에 끼워 넣는다. 플렉시블관(300)은 씰재(22) 안을, 빠짐방지부(60e), 연결부(60d), 단일 링 형상부(60c), 몸체부(60a) 순으로 통과한다. 그 후,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는 씰재(22)의 관끝받이부(60b)에 접촉한다. 이때, 씰재(22)의 단일 링 형상부(60c)는 외측방향으로 튀어나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렉시블관(300)의 끼워넣기 시에 그 단일 링 형상부(60c)가 장해가 되는 일은 없다.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는 씰재(22) 내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씰재(22)의 관끝받이부(60b)에 접촉할 때까지 플렉시블관(300)이 끼워 넣어지면, 씰재(22)의 몸체부(60a)는 제2수용부(44) 안쪽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 밀어넣기에 따라, 씰재(22)의 단일 링 형상부(60c)는 씰재 축경안내부(48)가 좁아지는 쪽으로 이동한다. 단일 링 형상부(60c)는 씰재 축경안내부(48)에 밀려 내측방향으로 지름이 수축 변형한다. 단일 링 형상부(60c)는 씰재 축경안내부(48)를 통과하여 제2수용부(44) 안으로 끌어 들여지자마자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맞물린다. 이때, 단일 링 형상부(60c)는 골부분(312)의 경사면(312a)에 밀착한다. 이와 동시에, 씰재(22)의 빠짐방지부(60e)가 빠짐방지 축경안내부(50)가 좁아지는 쪽으로 이동한다. 빠짐방지부(60e)는 빠짐방지 축경안내부(50)에 의해 지름이 수축하는 방향으로 밀리면서 제1수용부(42)로 끌어 들여진다. 이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의 외주면과 조인트 본체(20)의 제2수용부(44)의 내주면 사이가 씰재(22)에 의해 확실하게 밀봉 씰링된다. 이곳이 밀봉 씰링 됨으로써, 플렉시블관(300) 내를 흐르는 유체가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로부터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 외주와 조인트 본체(20)의 제2수용부(44) 내주 사이를 거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렉시블관(300)이 약간 변형되어 있었더라도, 그 효과는 거의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와 씰재(22)의 관끝받이부(60b) 사이에서도 씰링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이어서, 씰재(22)의 관끝받이부(60b)에 접촉할 때까지 플렉시블관(300)이 끼워지면, 씰재(22)의 관끝받이부(60b)의 내경부(內徑部) 및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의 내면이 선단걸림부재(70)의 역방향 걸림턱(72b)에 결합한다. 씰재(22)의 관끝받이부(60b)의 내경부 및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의 내면이 역방향 걸림턱(72b)에 결합하는 것은 씰재(22)의 관끝받이부(60b)의 내경부 및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의 내면이 역방향 걸림턱(72b)과 제2수용부(44)의 내주면 사이를 통과한 후이다. 역방향 걸림턱(72b)은 씰재(22)의 관끝받이부(60b)의 내경부 및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의 내면이 통과하고 있는 동안 탄성변형하고 있다. 이 관끝받이부(60b)가 역방향 걸림턱(72b)을 통과할 때, 시공자는 손으로 반응을 느낀다. 이에 의해, 플렉시블관(300)이 소정 깊이까지 끼워 넣어진 것을 시공자는 실감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가 선단걸림부재(70)의 역방향 걸림턱(72b)에 결합하고, 또, 빠짐방지부(60e)가 골부분(312)에 들어감으로써, 플렉시블관(300)이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는 씰재(22)의 관끝받이부(60b)의 내경부 및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의 내면이 역방향 걸림턱(72b)과 제2수용부(44)의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여 플렉시블관(300)의 선단이 스톱퍼부(46)에 이르른 상황을 나타낸다.
플렉시블관(300)의 끼워넣기 완료 후에는 피복수지층(110)을 누름테(24)로부터 벗겨낸다. 피복수지층(110)이 벗겨지면, 누름테(24)를 밀어넣는 부분(도 2에 나타내는 스트로크 길이(S)의 곳)만큼 완전하게 밀어넣는다. 이 밀어넣기에 따라, 스냅링(106)은 스냅링 수용지지홈(84) 내에 내주부(內周部)가 끼워 넣어진 상태로, 조인트 본체(20)의 제1스냅링 결합홈(90)의 홈 테이퍼면(90a)을 따라 제1스냅링 결합홈(90)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온다. 홈 테이퍼면(90a)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스냅링(106)은 지름이 수축하도록 탄성변형 한다. 그리고 누름테(24)가 완전히 밀어 넣어진 시점에서, 스냅링(106)의 외주부가 제2스냅링 결합홈(92)에 끼워진다. 스냅링(106)의 외주부가 제2스냅링 결합홈(92)에 끼워질 때, 그때까지 지름이 수축되어 있던 스냅링(106)은 지름이 확대된다. 이에 의해, 씰재(22)가 접수구 부분(30)의 입구 쪽 방향으로 복귀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누름테(24)가 완전히 밀어 넣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누름테(24)의 선단부는 씰재(22)의 빠짐방지부(60e)의 뒤쪽에 위치하는 완전한 밀어넣기 위치에 유지된다. 이때, 도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씰재(22)에 의한 씰링 상태는 확보된다.
또한, 누름테(24)의 완전한 밀어넣기에 따라, 누름테(24)의 선단부의 누름테 테이퍼면(82b)이 씰재(22)의 빠짐방지부(60e)의 외주 테이퍼면(62)에 근접하며, 또, 대향한다. 이후, 플렉시블관(300)에 대해 조인트 본체(20)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으로 인발력이 걸리면, 외주 테이퍼면(62)은 삽입구(40)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여 누름테 테이퍼면(82b)에 접촉한다. 외주 테이퍼면(62)은 누름테 테이퍼면(82b)에 접촉하면, 누름테 테이퍼면(82b)으로부터 반력을 받는다. 외주 테이퍼면(62)이 누름테 테이퍼면(82b)으로부터 반력을 받으면, 빠짐방지부(60e)의 일부로서 외주 테이퍼면(62)의 배면 쪽에 배치된 끼워넣기 부분(63)은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끼워진다. 외주 테이퍼면(62)이 누름테 테이퍼면(82b)으로부터 반력을 받고, 또, 끼워넣기 부분(63)이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그 반력을 전달함으로써, 플렉시블관(300)의 빠져나옴은 저지된다.
<제2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관용 조인트를, 씰재(23) 밀어넣기 전 상태로 나타내는, 반을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씰재(23) 밀어넣기 완료 도중의 상태로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의 플렉시블관용 조인트의 반을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7은 플렉시블관의 끼워넣기 완료 후의 상태로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의 플렉시블관용 조인트의 반을 잘라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2)는 조인트 본체(21)와, 씰재(23)와, 누름테(24) 등을 구비한다. 조인트 본체(21)의 일단부에는 접수구 부분(31)이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 본체(21)의 타단부의 외주에는 접속용 수나사(32)가 형성되어 있다. 접수구 부분(31)은 금속제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를 받아들이는 부분이다. 씰재(23)는 이 조인트 본체(21)의 접수구 부분(31)의 내부에 수용된다. 누름테(24)는 접수구 부분(31) 내에 밀어넣기 부분을 남기는 반 삽입상태로 삽입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21)의 접수구 부분(31) 내에는 삽입구(41), 제1수용부(42), 제2수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씰재(23)는 몸체부(61a)와, 관끝받이부(60b)와, 제1 링 형상부(61c)와, 제2 링 형상부(61g)와, 연결부(60d)와, 빠짐방지부(60e)를 가진다. 몸체부(61a)와, 관끝받이부(60b)와, 제1 링 형상부(61c)와, 제2 링 형상부(61g)와, 연결부(60d)와, 빠짐방지부(60e)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부(61a)는 통 모양이다. 몸체부(61a)의 길이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몸체부(60a)보다 짧다. 제1 링 형상부(61c) 및 제2 링 형상부(61g)는 링 형상이다. 제1 링 형상부(61c)는 몸체부(61a)의 후단부에 외측방향으로 튀어나와 있다. 제2 링 형상부(61g)는 제1 링 형상부(61c)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링 형상부(61c)와 제2 링 형상부(61g)의 간격은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다. 제1 링 형상부(61c)와 제2 링 형상부(61g)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단일 링 형상부(60c)와 거의 같은 역할을 달성한다. 연결부(60d)는 제2 링 형상부(61g)의 후방에 형성되어 제2 링 형상부(61g)와 빠짐방지부(60e)를 연결한다.
몸체부(61a), 제1 링 형상부(61c), 제2 링 형상부(61g), 및 연결부(60d)는 고무제이다. 이들 소재가 되는 고무의 예는 제1실시형태와 같다.
이 씰재(23)는 플렉시블관(300)의 끼워넣기 전(초기상태)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된다. 즉, 초기상태에 있어서, 관끝받이부(60b) 및 몸체부(61a)가 제2수용부(44) 내에 위치하고, 제1 링 형상부(61c) 및 제2 링 형상부(61g)가 제1수용부(42) 내에 위치하며, 또, 빠짐방지부(60e)가 삽입구(41) 내에 위치하도록, 씰재(23)는 배치된다.
그 외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같다. 이들에 대한 기능도 같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술한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2)에 플렉시블관(300)을 접속하는 요령에 대해 도 5∼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플렉시블관(300)의 접속 전에 있어서의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2)의 재고·보관 시나 반송 시 등에 있어서는, 제1위치결정유지기구가, 반 삽입상태의 누름테(24)가 부주의하게 밀어 넣어지는 사태를 생기기 어렵게 한다.
플렉시블관(300)의 접속에 있어서는, 먼저, 플렉시블관(300)을 누름테(24)의 입구 쪽으로부터 조인트 본체(21)의 삽입구(41) 내에 끼워넣는다. 플렉시블관(300)은 씰재(23) 안을, 빠짐방지부(60e), 연결부(60d), 제2 링 형상부(61g), 제1 링 형상부(61c), 몸체부(60a) 순으로 통과한다. 그 후,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는 씰재(23)의 관끝받이부(60b)에 접촉한다. 이때, 제1 링 형상부(61c)와 제2 링 형상부(61g)는 외측방향으로 튀어나온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렉시블관(300)의 끼워넣기 시에 이들이 장해가 되는 일은 없다.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는 씰재(23) 내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씰재(23)의 관끝받이부(60b)에 접촉할 때까지 플렉시블관(300)이 끼워 넣어지면, 씰재(23)는 플렉시블관(300)에 의해 제2수용부(44) 안쪽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 밀어넣기에 따라, 씰재(23)의 제1 링 형상부(61c)는 씰재 축경안내부(48)가 좁아지는 쪽으로 이동한다. 제1 링 형상부(61c)는 씰재 축경안내부(48)에 밀려 내측방향으로 지름이 수축 변형한다. 제1 링 형상부(61c)는 씰재 축경안내부(48)를 통과하여 제2수용부(44) 내로 끌어 들여지자마자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맞물린다.
제1 링 형상부(61c)가 씰재 축경안내부(48)를 따라 이동하고 있는 동안, 제2 링 형상부(61g)는 제1수용부(42)의 내주면을 따라 제2수용부(44)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제1 링 형상부(61c)가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맞물리면, 제2 링 형상부(61g)는 제1 링 형상부(61c)가 맞물린 골부분(312)에 인접한 골부분(312)에 맞물리기 시작한다. 그 후, 제1수용부(42)를 통과한 제2 링 형상부(61g)가 씰재 축경안내부(48)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제2 링 형상부(61g)는 씰재 축경안내부(48)에 밀려 내측방향으로 지름이 수축 변형한다. 그 후, 제2 링 형상부(61g)는 씰재 축경안내부(48)를 통과해 제2수용부(44) 안으로 끌어 들여지자마자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맞물린다. 이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의 외주면과 조인트 본체(21)의 제2수용부(44)의 내주면 사이가 씰재(23)에 의해 확실히 밀봉 씰링된다. 이때, 제1 링 형상부(61c)는 골부분(312)의 경사면(312a)에 밀착한다. 제2 링 형상부(61g)도 골부분(312)의 경사면(312a)에 밀착한다. 이들이 밀착함으로써, 플렉시블관(300) 내를 흐르는 유체가 누출될 가능성은 제1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관용 조인트(10)보다 낮아진다.
제1 링 형상부(61c)나 제2 링 형상부(61g)가 이동하고 있는 동안, 씰재(23)의 빠짐방지부(60e)가 빠짐방지 축경안내부(50)가 좁아지는 쪽으로 이동한다. 빠짐방지부(60e)는 빠짐방지 축경안내부(50)에 의해 지름이 수축하는 방향으로 밀리면서 제1수용부(42)로 이동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씰재(23)의 관끝받이부(60b)에 접촉할 때까지 플렉시블관(300)이 끼워지면, 씰재(23)의 관끝받이부(60b)의 내경부 및 플렉시블관(300)의 선단부의 내면이 선단걸림부재(70)의 역방향 걸림턱(72b)에 결합한다.
플렉시블관(300)의 끼워넣기 완료 후에는 피복수지층(110)을 누름테(24)로부터 벗겨낸다. 피복수지층(110)이 벗겨지면, 누름테(24)를 밀어넣기 부분만큼 완전히 밀어넣는다. 이에 의해, 씰재(23)가 접수구 부분(31)의 입구 쪽 방향으로 복귀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누름테(24)가 완전히 밀어 넣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누름테(24)의 선단부는 씰재(23)의 빠짐방지부(60e)의 뒤쪽에 유지된다. 따라서 씰재(23)에 의한 씰링 상태는 확보된다.
또한, 누름테(24)의 완전한 밀어넣기에 따라, 플렉시블관(300)을 뽑아내는 방향의 외력이 그 후에 가해졌어도 플렉시블관(300)의 빠져나옴이 확실히 저지되게 된다. 이 원리는 제1실시형태와 같다.
여기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조인트 본체(20) 또는 조인트 본체(21)의 일단에 접수구 부분(30) 또는 접수구 부분(31)이 형성되고, 조인트 본체(20) 또는 조인트 본체(21)의 타단의 외주에 접속용 수나사(32)가 형성된 수나사형 플렉시블관용 조인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른 구조 예를 들면, 양단에 접수구 부분을 가지는 좌우 대칭의 소켓형 플렉시블관용 조인트나 엘보형 플렉시블관용 조인트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 가운데 1개소 또는 2개소를 씰재가 씰링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씰재 가운데,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밀착하는 부분은 3개소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60a)의 내경이 플렉시블관(300)의 외경 이하라면, 관끝받이부(60b) 및 보강와셔(60f)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몸체부(60a)와 플렉시블관(3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씰재는 조인트 본체의 제2수용부 안으로 끌어 들여져 가기 때문이다. 관끝받이부(60b) 및 보강와셔(60f)가 없는 경우, 선단걸림부재(70)는 불필요하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링 형상부(61c)와 제2 링 형상부(61g)의 간격은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의 간격보다 작아도 좋다. 제1 링 형상부(61c)와 제2 링 형상부(61g)의 간격은 플렉시블관(300)의 골부분(312)에 맞물릴 때, 탄성변형에 의해 넓어지기 때문이다.
10, 12 플렉시블관용 조인트
20, 21 조인트 본체
22, 23 씰재
24, 210, 254 누름테
30, 31 접수구 부분
32 접속용 수나사
40, 41 삽입구
42 제1수용부
44 제2수용부
46 스톱퍼부
48 씰재 축경안내부
50 빠짐방지 축경안내부
60a, 61a 몸체부
60b 관끝받이부
60c 단일 링 형상부
60d 연결부
60e 빠짐방지부
60f 보강와셔
60h 관삽입공
61c 제1 링 형상부
61g 제2 링 형상부
62 외주 테이퍼면
63 끼워넣기 부분
70 선단걸림부재
72a 링부
72b 역방향 걸림턱
74a 원주홈
76a 통부
76b 플랜지부
77 끼워넣기 예정부
78 패킹홈
80, 102 방수패킹
82a 안내 테이퍼면
82b 누름테 테이퍼면
84 스냅링 수용지지홈
86 방수패킹홈
90 제1스냅링 결합홈
90a 홈 테이퍼면
92 제2스냅링 결합홈
94 내화패킹홈
100 선택투과성 부재
104 내화패킹
106 스냅링
110 피복수지층
200, 250 조인트 본체
200a 큰 지름 구멍
200b 중간 지름 구멍
200c 작은 지름 구멍
202 슬리브
204 링 스프링
206 링
208 패킹
252 리테이너 부재
252a 후방돌기
256 방수패킹
258 스톱링 부재
260 제1홈
262 제2홈
264 제3홈
270 관삽입공
300 플렉시블관
310 산부분
312 골부분
312a 경사면
314 합성수지층
S 스트로크 길이

Claims (7)

  1. 조인트 본체와,
    상기 조인트 본체 내에 수용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씰재를 구비하며,
    플렉시블관이 상기 조인트 본체 내에 삽입되고,
    상기 플렉시블관의 외주부에는 원주방향 전체 둘레에 뻗은 산부분과 골부분이 관축(管軸)방향으로 교대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씰재에는 중앙에 관삽입공이 형성되고 있어 상기 플렉시블관이 삽입되고,
    상기 씰재는 상기 관삽입공에 삽입된 플렉시블관의 외주면과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서 씰링하는 플렉시블관용 조인트로서,
    상기 조인트 본체가,
    상기 플렉시블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안쪽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에 연통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기 삽입구와는 반대 쪽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좁아지는 씰재 축경안내부(縮徑案內部)와,
    상기 씰재 축경안내부의 안쪽에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관의 선단부와 이 플렉시블관의 선단부의 외주의 씰재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씰재는,
    상기 조인트 본체 내에 수용된 플렉시블관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제2수용부의 안쪽으로 밀어 넣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2수용부 안쪽으로의 밀어넣기에 의해 상기 제2수용부 안으로 끌어 들여지는 씰 작용부를 가지며,
    상기 씰 작용부가 상기 제2수용부 안으로 끌어 들여질 때, 상기 씰재 축경안내부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관의 골부분에 맞물려 상기 제2수용부 안으로 끌어 들여진 후, 상기 제2수용부의 내주(內周)와 상기 플렉시블관의 외주(外周) 사이를 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용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씰 작용부가 상기 씰재 축경안내부 및 상기 제1수용부의 중심축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링 형상부를 가지며,
    인접하는 상기 링 형상부끼리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용 조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씰 작용부가 상기 플렉시블관의 원주방향 전체 둘레에 뻗은 1개의 링 형상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링 형상부가 상기 플렉시블관의 골부분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용 조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관용 조인트가 상기 씰재보다 상기 조인트 본체의 삽입구 쪽에 배치되어 상기 조인트 본체에 접속되는 누름테를 더 구비하며,
    상기 누름테가 상기 플렉시블관이 관통하는 통부를 가지며,
    상기 통부 내 상기 삽입구 안에 배치되는 쪽의 끝에 상기 삽입구 안쪽을 향해 넓어지는 누름테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씰재가 빠짐방지부를 더 가지며,
    상기 빠짐방지부는 상기 씰 작용부보다 상기 삽입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빠짐방지부의 외주에 상기 삽입구 방향을 향해 좁아지는 외주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주 테이퍼면이 상기 누름테 테이퍼면과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플렉시블관에 대해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뽑아내는 방향으로 인발력(引拔力)이 걸렸을 때, 상기 누름테 테이퍼면에 접촉한 상기 외주 테이퍼면이 상기 누름테 테이퍼면으로부터 반력(反力)을 받으면, 상기 빠짐방지부 내 상기 외주 테이퍼면의 배면(背面) 쪽에 배치된 부분이 상기 플렉시블관에 상기 반력을 전달하여 상기 플렉시블관의 빠져나감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용 조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관용 조인트가 탄성변형에 의해 외경이 변화하는 스냅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통부 내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주에 대향하는 면에 스냅링 수용지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냅링의 내주가 상기 스냅링 수용지지홈에 끼워 넣어져 있으며,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주에,
    제1스냅링 결합홈과,
    제2스냅링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스냅링 결합홈이 상기 제1스냅링 결합홈보다 상기 삽입구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냅링의 외주가 제1스냅링 결합홈에 끼워 넣어져 있을 때 상기 누름테가 상기 삽입구 안에 밀어 넣어지면, 상기 스냅링이 상기 제1스냅링 결합홈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와 상기 제2스냅링 결합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용 조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관용 조인트가 수지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지층이 상기 누름테의 통부 내, 상기 스냅링의 외주가 제1스냅링 결합홈에 끼워 넣어져 있을 때에는 상기 조인트 본체로부터 노출하고, 또, 상기 스냅링의 외주가 제2스냅링 결합홈에 끼워 넣어져 있을 때에는 상기 삽입구 안에 배치되는 끼워넣기 예정부에 접해 있으며,
    상기 누름테가 상기 통부에 더해, 상기 통부의 외주에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끼워넣기 예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인트 본체에 대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용 조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관용 조인트가 내화(耐火)패킹을 더 구비하며,
    상기 내화패킹이 상기 제1수용부의 내주에 설치되어 상기 씰재의 외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용 조인트.
KR1020117003220A 2008-08-13 2009-08-10 플렉시블관용 조인트 KR101267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08418 2008-08-13
JP2008208418A JP5202178B2 (ja) 2008-08-13 2008-08-13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PCT/JP2009/064127 WO2010018809A1 (ja) 2008-08-13 2009-08-10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549A true KR20110028549A (ko) 2011-03-18
KR101267691B1 KR101267691B1 (ko) 2013-05-24

Family

ID=41668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220A KR101267691B1 (ko) 2008-08-13 2009-08-10 플렉시블관용 조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202178B2 (ko)
KR (1) KR101267691B1 (ko)
CN (3) CN102588692A (ko)
HK (1) HK1154415A1 (ko)
RU (1) RU2451863C1 (ko)
WO (1) WO2010018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3083B2 (ja) * 2009-06-09 2014-04-09 大阪瓦斯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5978129B2 (ja) * 2012-03-06 2016-08-24 Jfe継手株式会社 リテーナ及び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6267519B2 (ja) * 2014-01-16 2018-01-24 株式会社サンコー フレキ管継手
JP2016159768A (ja) * 2015-03-02 2016-09-0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保護部材
CN111102410B (zh) * 2018-10-26 2023-05-02 光阳产业股份有限公司 挠性管用接头及该接头用的卡止件
KR102362653B1 (ko) * 2019-06-21 2022-02-14 샘찬에너지(주) 튜브 피팅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547Y2 (ja) * 1989-12-29 1994-08-24 東京瓦斯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H0393682U (ko) * 1990-01-11 1991-09-25
JPH06185680A (ja) * 1992-12-17 1994-07-08 Tokyo Gas Co Ltd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H07103383A (ja) * 1993-10-05 1995-04-18 Hitachi Metals Ltd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H07110087A (ja) * 1993-10-12 1995-04-25 Hitachi Metals Ltd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2002048280A (ja) * 2000-08-04 2002-02-15 Toyoda Gosei Co Ltd ホースの接続構造体
JP4749616B2 (ja) * 2001-07-19 2011-08-17 日立金属株式会社 差込式管継手
CN100373085C (zh) * 2001-10-04 2008-03-05 东京瓦斯株式会社 插入式管接头
DE10310938A1 (de) * 2003-03-13 2004-09-23 Brugg Rohr Ag, Holdi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zwischen einem Wellrohr und einem Anschlußstück
CN1191442C (zh) * 2003-06-17 2005-03-02 张申正 一种用于波纹金属软管的快速接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05732A (zh) 2011-06-22
CN102563263A (zh) 2012-07-11
KR101267691B1 (ko) 2013-05-24
HK1154415A1 (en) 2012-04-20
JP2010043706A (ja) 2010-02-25
JP5202178B2 (ja) 2013-06-05
CN102105732B (zh) 2012-10-17
RU2451863C1 (ru) 2012-05-27
CN102588692A (zh) 2012-07-18
CN102563263B (zh) 2014-12-10
WO2010018809A1 (ja)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691B1 (ko) 플렉시블관용 조인트
US6345844B1 (en) Connector
JP5046113B2 (ja) コルゲイト管用継手
JP2007113737A (ja) 管継手
JP5384882B2 (ja) コルゲイト管継手
JP5194187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5193569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5193689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2018115739A (ja) 管継手
JP5255982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5028232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5193690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5255981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2006009997A (ja) 管継手
JP5193570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5244636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RU2782523C1 (ru)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JP5514931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5422315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5380587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5487033B2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WO2010087406A1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JP2000018455A (ja) 管継手
TWM406121U (en) Flexible pipe joint
JP2010014245A (ja) フレキシブル管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