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688A -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의 길항제 - Google Patents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의 길항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688A
KR20110022688A KR1020117001585A KR20117001585A KR20110022688A KR 20110022688 A KR20110022688 A KR 20110022688A KR 1020117001585 A KR1020117001585 A KR 1020117001585A KR 20117001585 A KR20117001585 A KR 20117001585A KR 20110022688 A KR20110022688 A KR 20110022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yl
compound
phenoxy
acetic acid
meth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367B1 (ko
Inventor
존 하워드 허친슨
토마스 존 세이더스
보웨이 왕
지니 엠. 아루다
브라이언 앤드류 스턴스
Original Assignee
아미라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미라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미라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2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5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51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57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61K31/10Sulfides; Sulfoxides; Sulf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6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group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anthranilic acid, mefenamic acid, diclofenac, chlorambuc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3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n aromatic ring attached to a carboxyl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11,3-Oxazoles, e.g. pemoline, trimethadi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33Thi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45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only substituted in position 1, e.g. propipocaine, diper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26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28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1/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 C07C321/12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having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21/20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having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31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 of at least one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32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 of at least one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39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07C323/40Y being a hydrogen or a carbon atom
    • C07C323/41Y being a hydrogen or an acyclic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39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07C323/40Y being a hydrogen or a carbon atom
    • C07C323/42Y being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39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07C323/43Y being a hetero atom
    • C07C323/44X or Y be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46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further bound to other hetero atoms
    • C07C323/49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further bound to other hetero atoms to 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2Nitrogen atoms
    • C07D213/74Amino or imino radicals substituted by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33/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30Oxygen or sulfur atoms
    • C07D233/32One oxy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63/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63/18Oxygen atoms
    • C07D263/20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63/22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2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other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8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75/00 - C07D283/00
    • C07D285/01Five-membered rings
    • C07D285/02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 C07D285/04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85/121,3,4-Thiadiazoles; Hydrogenated 1,3,4-thiadiazoles
    • C07D285/1251,3,4-Thiadiazoles; Hydrogenated 1,3,4-thiadiazoles with oxygen, sulf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the 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three-membered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cyclic Ring Compounds With Rings Of Six Or More Member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본원은 PGD2 수용체의 길항제인 화합물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본원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호흡기, 심혈관 및 다른 PGD2 의존적 또는 PGD2 매개 병증 또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PGD2 수용체의 길항제를 단독으로 또는 다른 화합물과의 복합제로 사용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Description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의 길항제{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관련 출원]
본원은 2008년 7월 3일자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의 헤테로알킬 길항제"인 미국 가출원 제61/078,311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것은 참조 문헌으로 그 전문이 포함된다.
[기술 분야]
화합물, 이 화합물의 제조 방법, 이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프로스타글란딘 D2와 관련된 질환 또는 병증을 치료, 예방 또는 진단하기 위한 이 화합물의 사용 방법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프로스타글란딘은 다양한 범위의 활성을 갖고, 통증 및 염증에서 널리 인식되는 역할을 갖는다. 프로스타글란딘 D2(PGD2)는 국소 조직 손상에 반응하여, 또한 천식, 비염 및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질환에서의 알레르기성 염증에 반응하여 비만 세포, 거대세포 및 Th2 림프구에 의해 생성된다. PGD2는 트롬복산형 프로스타노이드(TP) 수용체, PGD2 수용체(DP, DP1로도 공지됨) 및 Th2 세포 상에서 발현되는 화학주성인자 수용체-상동성 분자(CRTH2; DP2로도 공지됨)를 포함하는 여러 수용체에 결합한다.
본원은 (a)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염증을 진단,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b) 염증과 관련된 유해한 징후 및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및/또는 (c) 면역성 증식 질환을 조절하기 위한 화합물, 약학 조성물 및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질환은 유전적, 의원성, 면역성, 감염성, 종양, 독성, 수술 및/또는 외상 병인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방법, 화합물, 약학 조성물 및 의약은 PGD2 수용체의 길항제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방법, 화합물, 약학 조성물은 DP2의 길항제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본원은 화학식 Ⅰ의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프로드럭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화물을 제공하고, 이들은 DP2의 길항제이고, 천식,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폐 고혈압, 간질성 폐 섬유증, 관절염, 알레르기, 건선, 염증성 장 질환, 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 심근경색, 동맥류, 뇌졸중, 암, 상처 치유, 내독성 쇼크, 통증, 염증성 병증, 호산구 식도염, 호산구 관련 위장 질환(EGID), 특발성 과호산구 증후군, 이염, 기도 수축, 점액 분비, 비충혈, 호산구의 동원 및 미세혈관 투과성의 증가, 두드러기, 부비강염, 혈관부종, 아나필락시스, 만성 감기 및 척-스트라우스 증후군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1종 이상의 PGD2 의존적 병증 또는 질환을 앓는 포유동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Ⅰ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화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프로드럭을 제공한다:
화학식 Ⅰ
Figure pct00001
[상기 식 중,
RA는 H 또는 C1-C6알킬이고;
R4는 H, 할로겐, -CN, -OH, C1-C4알킬, C1-C4플루오로알킬, C1-C4플루오로알콕시, C1-C4알콕시 또는 C1-C4헤테로알킬이고;
R6은 -NR13S(=O)2R12, -S(=O)2N(R12)(R13), -N(R12)(R13), -C(=O)N(R12)(R13), -NHC(=O)N(R12)(R13), -NR13C(=O)R12 또는 -NR13C(=O)OR12이고;
R11은 C1-C6알킬, C1-C6할로알킬, C1-C6헤테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치환 또는 비치환 나프틸, 치환 또는 비치환 5원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 6원 헤테로아릴, 또는 -C1-C4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고;
R12는 C1-C6알킬, C1-C6헤테로알킬, C1-C6플루오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치환 또는 비치환 나프틸, 치환 또는 비치환 벤질, 치환 또는 비치환 6원 헤테로아릴, 또는 -C1-C4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고;
R13은 H 또는 C1-C4알킬이거나;
동일한 N 원자에 연결된 R12와 R13은 이들이 연결된 N 원자와 함께 치환 또는 비치환 C2-C6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x는 0, 1 또는 2이다].
일 양태에서, 본원은 표 1에 제시된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약학적 활성 대사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프로드럭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화물을 제시한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DP2의 길항제이다.
일 양태에서, 본원은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부형제, 희석제 및 담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본원은 포유동물에게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PGD2 의존적 병증 또는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다른 양태에서, 염증성 병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사용한다. 염증성 질환 또는 병증으로는 천식, 비염, 만성 폐쇄성 폐 질환, 폐 고혈압, 간질성 폐 섬유증, 죽상동맥경화증, 대동맥류, 심근경색 및 뇌졸중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인 양태에서, 본원은 본원에서 제공되는 화합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알레르기 또는 내인성 또는 외인성 항원에 대한 과도한 또는 부적절한 반응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면역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사용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면역 질환은 염증을 수반하지 않는 면역 조절 장애를 특징으로 한다.
추가 양태에서, 이러한 질환 또는 병증은 의원성이고, 다른 요법 또는 의학 또는 수술 절차에 의해 PGD2의 증가 또는 이의 비정상적 편재가 유도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PGD2 의존적 또는 PGD2 매개 병증 또는 질환은 수술에 의해 야기된다.
다른 양태에서, 포유동물에게 1종 이상의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1회 이상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호흡기 질환 또는 병증을 치료하는 방법이 있다. 이 양태의 추가 실시양태에서, 호흡기 질환은 천식이다. 이 양태의 추가 실시양태에서, 호흡기 질환으로는 천식, 성인 호흡 곤란 증후군, 알레르기성(외인성) 천식, 비알레르기성(내인성) 천식, 급성 중증 천식, 만성 천식, 임상 천식, 야간성 천식, 알레르겐 유도 천식, 아스피린 과민성 천식, 운동 유발 천식, 호중구성 천식, 등탄산성 과호흡 증후군, 소아 발병 천식, 성인 발병 천식, 기침 이형 천식, 직업성 천식, 스테로이드 저항성 천식, 계절성 천식, 계절성 알레르기성 비염, 통년성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폐쇄성 폐 질환, 예를 들면 만성 기관지염 또는 폐기종, 폐 고혈압, 간질성 폐 섬유증 및/또는 기도 염증 및 낭포성 섬유증 및 저산소증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양태에서, 포유동물에서 비염을 치료하기 위해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사용한다. 이 양태의 추가 실시양태에서, 알레르기성(외인성) 비염, 비알레르기성(내인성) 비염, 만성 비염, 알레르겐 유도 비염, 아스피린 과민성 비염, 소아 발병 비염, 성인 발병 비염, 직업성 비염, 스테로이드 저항성 비염, 계절성 비염, 통년성 비염, 비부비강염 및 비폴립증을 치료하기 위해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사용한다.
다른 양태에서, 포유동물에게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1회 이상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 있다. 이 양태의 추가 실시양태에서, 만성 폐쇄성 폐 질환으로는 만성 기관지염 및/또는 폐기종, 폐 고혈압, 간질성 폐 섬유증 및/또는 기도 염증 및 낭포성 섬유증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양태에서, 포유동물에게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1회 이상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점막 분비 증가 및/또는 부종을 예방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양태에서, 포유동물에게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산구 및/또는 호염기구 및/또는 수지상 세포 및/또는 호중구 및/또는 단핵구 또는 Th2 세포 동원을 예방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양태에서, 포유동물에게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1회 이상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눈 염증, 결막염, 망막염, 공막염, 포도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봄철 각결막염 및 유두상 결막염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양태에서, 통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사용한다.
다른 양태에서, 포유동물에게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1회 이상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산구의 동원 또는 활성화를 수반하는 급성 또는 만성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양태에서, 포유동물에게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1회 이상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반응을 치료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염증성 피부 반응으로는, 예의 방식으로, 건선,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습진, 두드러기, 주사, 수포성 장애, 교원질증, 가와사키(Kawasaki) 질환, 쇼그렌-라르소(Sjogren-Larsso) 증후군, 상처 치유 및 흉터를 들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포유동물에게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관절 또는 다른 조직 또는 기관에서의 건선 병변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포유동물에게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1회 이상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관절 또는 다른 조직 또는 기관에서의 건선 병변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추가 양태에서, 내인성 또는 외인성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추가 양태에서, 섭취된 음식(예를 들면, 땅콩) 또는 약물(예를 들면, 페니실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약물 또는 등)과 같은 외인성 물질에 대한 급성 또는 만성 알레르기성 반응을 치료하는 방법이 있다.
다른 양태에서, PGD2 관련 단백질 중 1종 이상의 활성이 염증성 질환 또는 병증의 병리학 및/또는 증상에 기여하는 포유동물에서 염증성 질환 또는 병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용도가 있다. 이러한 양태의 일 실시양태에서, PGD2 경로 단백질은 DP2이다. 이러한 양태의 다른 또는 추가 실시양태에서, 염증성 질환 또는 병증은 호흡기, 심혈관 또는 증식성 질환이다.
"심혈관 질환 또는 병증"은 부정맥(심방 또는 심실 또는 둘 다); 죽상동맥경화증 및 이의 후유증; 협심증; 심장 박동 장애; 심근 허혈; 심근경색; 심장 또는 혈관 동맥류; 혈관염, 뇌졸중; 사지, 기관 또는 조직의 말초 폐쇄성 동맥질환; 뇌, 심장 또는 다른 기관 또는 조직의 허혈 이후의 재관류 손상; 내독성, 수술 또는 외상성 쇼크; 고혈압, 심장 판막 질환, 심부전, 비정상 혈압; 쇼크; 혈관 수축(편두통과 관련되는 것 포함); 혈관 기형, 염증, 단일 기관 또는 조직으로 한정되는 기능 부전을 포함하는 심장 또는 혈관 또는 둘 다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술한 양태 중 임의의 양태에서, (a) 화합물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전신으로 투여하는 추가 실시양태; 및/또는 (b) 화합물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경구 투여하는 추가 실시양태; 및/또는 (c) 화합물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정맥내 투여하는 실시양태; 및/또는 (d) 화합물의 유효량을 흡입에 의해 투여하는 실시양태; 및/또는 (e) 화합물의 유효량을 비강 투여에 의해 투여하는 실시양태; 및/또는 (f) 화합물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주사에 의해 투여하는 실시양태; 및/또는 (g) 화합물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국소(진피) 투여하는 실시양태; 및/또는 (h) 화합물의 유효량을 안내 투여에 의해 투여하는 실시양태; 및/또는 (i) 화합물의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직장 투여하는 실시양태가 있다.
상술한 양태 중 임의의 양태에서, (ⅰ) 화합물이 1회 투여되는 추가 실시양태; (ⅱ) 화합물이 1일에 걸쳐 수회 포유동물에게 투여되는 추가 실시양태; (ⅲ) 계속 투여되는 추가 실시양태; 또는 (ⅳ) 연속 투여되는 추가 실시양태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유효량의 단일 투여를 포함하는 추가 실시양태가 있다.
상술한 양태 중 임의의 양태에서, (ⅰ) 화합물의 1일 1회 투여의 추가 실시양태; (ⅱ) 화합물의 1일 2회 투여의 추가 실시양태; (ⅲ) 일정 시간 동안 화합물의 1일 투여 후 1일 이상의 비투여의 사이클로 투여되는 추가 실시양태; (ⅳ) 일정 시간 동안 화합물의 1일 투여 후 투여 화합물의 1일 양의 용량 감소를 포함하는 1일 이상의 투여의 사이클로 투여되는 추가 실시양태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유효량의 다회 투여를 포함하는 추가 실시양태가 있다.
PGD2 의존적 질환 또는 병증의 치료를 포함하는 상술한 양태 중 임의의 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투여 이외에 1종 이상의 추가 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가 실시양태가 있다.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포함하는 상술한 양태 중 임의의 양태에서, (a) 포유동물에서의 염증의 모니터링; (b) 포유동물에서의 기관지 수축의 측정; (c) 포유동물에서의 호산구 및/또는 호염기구 및/또는 수지상 세포 및/또는 호중구 및/또는 단핵구 및/또는 림프구 동원의 측정; (d) 포유동물에서의 점막 분비의 모니터링; (e) 포유동물에서의 점막 부종의 측정을 포함하는 추가 실시양태가 있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방법 및 조성물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정신 내에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러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므로,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실시예는, 특정한 실시양태를 기재하고 있지만, 오직 예시로만 기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실례이다.
도 2는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실례이다.
도 3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실례이다.
도 4는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실례이다.
도 5는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실례이다.
도 6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실례이다.
도 7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실례이다.
도 8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실례이다.
프로스타글란딘 D2(PGD2)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 및 PGD2 신타아제에 의한 아라키돈산의 대사로부터 유도되는 산성 지질이다. 국소 조직 손상에 반응하여, 또한 천식, 비염 및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질환에서 관찰되는 알레르기성 염증에 반응하여 PGD2가 비만 세포, 거대세포 및 Th2 림프구에서 생성된다. 기관지 기도에 적용되는 외인성 PGD2는 급성 천식에 특징적인 많은 반응을 불러 일으킨다.
DP2의 활성화는 Th2 림프구, 호산구 및 호염기구의 주화성 및 활성화와 관련된다. PGD2는 DP2에 결합하고 세포내 칼슘 수치의 Gi 의존적 상승 및 사이클릭 AMP의 감소를 통해 이의 많은 효과를 매개한다. Th2 림프구에서, 또한 DP2 활성화에 의해 IL4, IL5 및 IL13 사이토카인 생성이 자극된다. 이러한 사이토카인은, 오로지 예의 방식으로, 면역글로불린 E 생성, 기도 반응, 점액 분비 및 호산구 동원을 비롯한 많은 생물학적 작용에 연루된다.
뇌 및 중추 신경계에서, PGD2가 생성되어 통증 지각 및 수면 조절에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조직에서, 면역글로불린 E(IgE) 활성화 비만 세포에서 PGD2가 주로 생성되고, 거대세포, 수지상 세포, T 헬퍼 2(Th2) 림프구 및 다른 백혈구에서 더 낮은 정도로 생성된다. 세포에서, PGD2는 신속히 대사되어 Δ12PGJ2,9α11βPGF2, 13,14-디하이드로-15-케토-PGD2 및 15-데옥시-Δ12,14PGD2를 비롯한 다른 하향 효과기로 전환된다.
비만 세포 유도 PGD2는 알레르겐 공격에 대한 반응으로 고농도 생성된다. 전임상 종에서의 실험에서, PGD2가 생체내 제제에 적용되거나, 이의 과생성이 유전 조작에 의해 조작될 때, 부종(발진) 강화 및 홍반(홍조)을 야기하는 혈관확장, 호산구 및 Th2 림프구의 동원, Th2-사이토카인 생성의 조절, 기관지 수축의 특징이 관찰되었다.
인간 피부에 PGD2를 주사하면 오래 지속되는 홍반을 발생시키고, 인간 피부에서 경결 및 백혈구 침윤에 대한 다른 매개체의 효과를 강화시키고, 랫트 피부에서 부종 형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다른 혈관확장제 프로스타글란딘의 효과와 같이 PGD2의 이러한 효과는 염증 병변으로의 혈류 증가에 의한 것일 것이고, 따라서 DP1 수용체에 의해 주로 매개될 것이다. 이러한 관찰에 의해 DP1이 PGD2의 혈관 효과를 매개한다는 것이 명확하지만, 염증과 관련되는 세포 변화를 촉진하는 PGD2의 능력은 DP1에 대한 작용 때문이 아니다.
대부분의 PGD2의 전염증성 활성은 DP2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것이다. DP2는 G 단백질 결합 수용체이고, 통상적으로 Th2 림프구, 호산구 및 호염기구에서 고도로 발현된다. DP2 활성화는 Th2 림프구 및 호산구를 직접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이것을 동원하도록 작용한다. 활성화된 Th2 림프구는 IL4, IL5 및 IL13을 비롯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생성시키고 분비시킨다. DP1과 유사한 친화도로 PGD2에 결합함에도 불구하고, DP2는 구조적으로 DP1과 관련되지 않고, 상이한 메커니즘을 통해 신호한다 - DP2의 효과는 세포내 칼슘 수치의 Gi 의존적 상승 및 사이클릭 AMP의 세포내 수치의 감소를 통해 매개된다. DP2 활성화는 비강 점막, 기관지 기도 및 피부와 같은 조직에서 알레르기성 공격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호산구 동원에서 중요하다. PGD2 또는 선택적 DP2 효능제 중 어느 1종의 적용은 폐 및 피부에서의 알레르기성 반응을 악화시키고 증대시킨다. DP2 활성화는 알레르기성 반응을 매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DP2 수용체의 PGD2 활성화의 길항제의 사용은 무엇보다도 염증성 질환 또는 병증, 호흡기 질환 또는 병증, 알레르기성 질환 또는 병증, 예컨대 천식, 비염 및 피부염의 염증성 성분을 치료하는 접근법이다.
화합물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다음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Ⅰ
Figure pct00002
[상기 식 중,
RA는 H 또는 C1-C6알킬이고;
R4는 H, 할로겐, -CN, -OH, C1-C4알킬, C1-C4플루오로알킬, C1-C4플루오로알콕시, C1-C4알콕시 또는 C1-C4헤테로알킬이고;
R6은 -NR13S(=O)2R12, -S(=O)2N(R12)(R13), -N(R12)(R13), -C(=O)N(R12)(R13), -NHC(=O)N(R12)(R13), -NR13C(=O)R12 또는 -NR13C(=O)OR12이고;
R11은 C1-C6알킬, C1-C6할로알킬, C1-C6헤테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치환 또는 비치환 나프틸, 치환 또는 비치환 5원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 6원 헤테로아릴, 또는 -C1-C4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고;
R12는 C1-C6알킬, C1-C6헤테로알킬, C1-C6플루오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치환 또는 비치환 나프틸, 치환 또는 비치환 벤질, 치환 또는 비치환 6원 헤테로아릴, 또는 -C1-C4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고;
R13은 H 또는 C1-C4알킬이거나;
동일한 N 원자에 연결된 R12와 R13은 이들이 연결된 N 원자와 함께 치환 또는 비치환 C2-C6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x는 0, 1 또는 2이다].
임의의 실시양태 및 모든 실시양태의 경우, 치환기는 기재된 대안 치환기의 부분집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양태에서, RA는 H 또는 C1-C4알킬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RA는 H, -CH3 또는 -CH2CH3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A는 H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x는 0(설피드)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x는 1(설폭사이드)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x는 2(설폰)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4는 H, F, Cl, Br, -OH, C1-C4알킬, C1-C4플루오로알킬, C1-C4플루오로알콕시 또는 C1-C4알콕시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4는 F, Cl, Br, -OH, C1-C4알킬, C1-C4플루오로알킬, C1-C4플루오로알콕시 또는 C1-C4알콕시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1은 C1-C6알킬, C1-C6할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치환 또는 비치환 5원 헤테로아릴, 또는 -C1-C4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1은 C1-C6알킬, C1-C6할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또는 -C1-C4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Ⅱ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Ⅱ
Figure pct00003
.
몇몇 실시양태에서, R4는 H, F, Cl, Br, -OCH3, -CH3, -CH2CH3, -CHCH2, -CHF2, -CF3, -OCHF2 또는 -OCF3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4는 F, Cl, Br, -OCH3, -CH3, -CH2CH3, -CHCH2, -CHF2, -CF3, -OCHF2 또는 -OCF3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4는 -OCH3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2는 C1-C6알킬, C1-C6헤테로알킬, C1-C6플루오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치환 또는 비치환 벤질, 또는 -C1-C4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3은 H 또는 -CH3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3은 H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6은 -NR13S(=O)2R12, -N(R12)(R13), -C(=O)N(R12)(R13), -NHC(=O)N(R12)(R13), -NR13C(=O)R12 또는 -NR13C(=O)OR12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6은 -N(R12)(R13), -C(=O)N(R12)(R13), -NHC(=O)N(R12)(R13), -NR13C(=O)R12 또는 -NR13C(=O)OR12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6은 -C(=O)N(R12)(R13), -NHC(=O)N(R12)(R13) 또는 -NR13C(=O)R12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6은 -C(=O)N(R12)(R13) 또는 -NR13C(=O)R12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1은 C1-C6알킬, C1-C6할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또는 -C1-C4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1은 C2-C4알킬, C2-C4할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또는 -C1-C2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1은 C1-C6알킬 또는 C1-C6할로알킬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1은 C2-C4알킬 또는 C2-C4할로알킬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1은 C1-C6알킬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1은 C1-C4알킬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1은 C2-C6알킬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1은 C2-C4알킬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6은 -NR13C(=O)R12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2는 C1-C6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벤질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2는 C1-C6알킬 또는 C3-C6사이클로알킬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2는 C1-C6알킬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1은 -CH2CH3, -CH(CH3)2, -C(CH3)3, -CH2CF3,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C1-C2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1은 -CH2CH3, -CH(CH3)2, -C(CH3)3 또는 -CH2CF3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2는 -CH(CH3)3, -C(CH3)3, -CH2CH(CH3)2, -CH2C(CH3)3,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벤질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2는 -CH(CH3)3, -C(CH3)3, -CH2CH(CH3)2, -CH2C(CH3)3,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2는 -C(CH3)3,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2는 -C(CH3)3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2는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2는 4번 위치에서 치환된 페닐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12는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고, 치환 페닐은 할로겐, -OH, -CN, -CH3, -CH2CH3, -CF3, -OCH3, -OCH2CH3 및 -OCF3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의 기로 치환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6은 -NR13C(=O)R12이고, x는 0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Ⅰ 또는 화학식 Ⅱ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Ⅲ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Ⅲ
Figure pct00004
.
몇몇 실시양태에서, R11은 -CH2CH3, -CH(CH3)2, -C(CH3)3 또는 -CH2CF3 이고; R12는 -CH(CH3)2, -C(CH3)3, -CH2CH(CH3)2, -CH2C(CH3)3,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고; R13은 H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R4는 F, Cl, -OCH3, -CF3 또는 -OCF3이고; R11은 -C(CH3)3이고; R12는 -C(CH3)3이고; R13은 H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표 1 내의 R2 및 R3은 R4와 동일한 정의를 갖는다.
일 양태에서, R4는 표 1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 양태에서, R5는 표 1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 양태에서, R20은 표 1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 양태에서, R11은 표 1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양한 변수에 대해 상기 기재된 기의 임의의 조합이 본원에서 고려된다. 명세서에 걸쳐, 당업자는 기 및 이의 치환기를 선택하여 안정한 부분 및 화합물을 제공할 것이다.
일 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표 1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표 1]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화합물의 추가 형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유리 염기 형태를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메타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 및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헥산산, 사이클로펜탄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락트산, 말론산, 숙신산, 말산, 말레산, 푸마르산, p-톨루엔술폰산, 타르타르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벤조산, 3-(4-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아릴술폰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1,2-에탄디술폰산, 2-하이드록시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2-나프탈렌술폰산, 4-메틸비사이클로-[2.2.2]옥트-2-엔-1-카르복실산, 글루코헵톤산, 4,4'-메틸렌비스-(3-하이드록시-2-엔-1-카르복실산), 3-페닐프로피온산, 트리메틸아세트산, tert-부틸아세트산, 라우릴 황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하이드록시나프토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및 뮤콘산과 같은 유기산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제조한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염기와 반응시켜 암모늄염, 알칼리 금속염, 예컨대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알칼리 토금속염, 예컨대 칼슘염 또는 마그네슘염, 유기 염기의 염, 예컨대 디사이클로헥실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아민 및 아르기닌, 리신과 같은 아미노산과의 염 등과 같은 염을 형성하여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또한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유리산 형태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로메타민, N-메틸글루카민 등과 같은 유기 염기 또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등과 같은 무기 염기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와 반응시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제조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언급은 용매 부가 형태 또는 이의 결정 형태, 특히 용매화물 또는 다형을 포함한다. 용매화물은 용매의 화학량론 양 또는 비화학량론 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임의로 물, 에탄올 등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에 의한 결정화의 공정 동안 형성된다. 수화물은 용매가 물일 때 형성되고, 알콜화물은 용매가 알콜일 때 형성된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용매화물은 본원에 기재된 공정 동안 편리하게 제조되거나 형성된다. 오로지 예의 방식으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수화물은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수성/유기 용매 혼합물로부터의 재결정화에 의해 편리하게 제조된다. 또한, 본원에 제공되는 화합물은 비용매화 형태 및 용매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매화 형태는 본원에 제공되는 화합물 및 방법의 목적에서 비용매화 형태와 동등한 것으로 고려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프로드럭으로서 제조한다. "프로드럭"은 생체내 모 약물로 전환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1개 이상의 입체중심을 보유하고, 각 중심은 독립적으로 R 또는 S 입체구조 중 어느 하나로 존재한다. 본원에 제시되는 화합물은 모든 부분입체이성체, 거울상이성체 및 에피머 형태 및 이의 적절한 혼합물을 포함한다. 원하는 경우,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의한 입체이성체의 분리 또는 입체선택적 합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입체이성체를 얻는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 및 제제는 화학식 Ⅰ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N-옥사이드(적절한 경우), 결정질 형태(다형으로도 공지됨)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동일한 유형의 활성을 갖는 이러한 화합물의 대사체의 용도를 포함한다. 몇몇 상황에서, 화합물은 토토머로서 존재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토토머로서 존재한다. 모든 토토머는 본원에 기재된 분자식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동위원소로 표지되고, 1개 이상의 원자가 일반적으로 자연에서 발견되는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와 상이한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를 갖는 원자로 대체된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이것은 본원에 제시된 다양한 화학식 및 구조에서 인용된 것과 동일하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1개 이상의 수소 원자가 중수소로 대체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에서 대사 부위가 중수소화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중수소에 의한 치환으로 생체내 반감기의 증가 또는 용량 필요량의 감소 등과 같은 더 우수한 대사 안정성으로부터 발생하는 치료학적 이점이 제공된다.
정의
달리 기재되지 않은 한,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를 비롯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하기 용어는 하기 기재된 정의를 갖는다.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형 및 지시어는 문맥에서 명확히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어를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원에서, "또는" 또는 "및"의 사용은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및/또는"을 의미한다. 또한, "포함하는", 및 "포함한다", "함유한다" 및 "포함된다"와 같은 다른 형태의 용어의 사용은 제한되지 않는다.
"알콕시"는 (알킬)O-(여기서 알킬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를 의미한다.
"알킬"은 지방족 탄화수소 기를 의미한다. 알킬은 포화 또는 불포화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알킬 기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부틸, 펜틸 및 네오-펜틸로부터 선택된다.
"사이클로알킬"은 고리 형성 원자(즉, 골격 원자)의 각각이 탄소 원자인 단환식 지방족, 비방향족 라디칼을 의미한다. 사이클로알킬 기로는 예를 들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및 사이클로헥실을 들 수 있다.
"할로", "할로겐" 또는 "할라이드"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를 의미한다.
"플루오로알킬"은 1개 이상의 수소 원자가 불소 원자로 대체된 알킬을 의미한다. 일 양태에서, 플루오로알킬은 -CF3, -CHF2, -CH2F, -CH2CF3 및 -CF2CF3으로부터 선택된다.
"플루오로알콕시"은 (플루오로알킬)O-(여기서 플루오로알킬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를 의미한다.
"헤테로알킬"은 알킬의 1개 이상의 골격 원자가 탄소 이외의 원자, 예를 들면 산소, 질소, 황, 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알킬 기를 의미한다. 일 양태에서, 헤테로알킬은 알킬의 골격 원자 중 1개가 산소, 질소 또는 황인 알킬 기를 의미한다.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알킬은 알킬의 골격 원자 중 1개가 산소인 알킬 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이종원자를 포함하는 사이클로알킬 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5원 고리 또는 6원 고리이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고리 내에 1개 이상의 N 원자를 포함한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는 옥사졸리디노닐,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에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및 피페라지닐을 들 수 있다.
"5원 헤테로아릴"로는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푸릴, 티에닐,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롤릴,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및 푸라자닐을 들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헤테로아릴은 0개 내지 3개의 N 원자를 포함한다.
"6원 헤테로아릴"로는 피리디닐,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및 트리아지닐을 들 수 있다.
"임의로 치환된" 또는 "치환된"이란 용어는 언급된 기가 할로겐, -OH, -CN, C1-C4알킬, C1-C4플루오로알킬, C1-C4알콕시, C1-C4플루오로알콕시, -NH2, -NH(C1-C4알킬), -N(C1-C4알킬)2 및 C1-C4헤테로알킬로부터 개별적으로 및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추가 기(들)로 치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몇몇 경우에, 언급된 치환된 기는 상술한 기 중 1개 또는 2개로 치환된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양태에서, 언급된 치환된 기는 할로겐, -OH, -CN, -CH3, -CH2CH3, -CF3, -OCH3, -OCH2CH3 및 -OCF3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기로 치환된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대사체"는 화합물이 대사될 때 형성되는 화합물의 유도체이다. "활성 대사체"란 용어는 화합물이 대사될 때 형성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유도체를 의미한다.
"PGD2 의존적"은 발생하지 않거나, PGD2 부재 하에서도 동일한 정도로 발생하지 않는 병증 또는 질환을 의미한다. "PGD2 매개"는 PGD2 부재 하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PGD2 존재 하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병증 또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유효량" 또는 "치료학적 유효량"은 치료되는 질환 또는 병증의 1종 이상의 증상을 어느 정도 경감시키도록 투여되는 제제 또는 화합물의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임의의 개별적인 사례에서 적절한 유효량은 용량 증가 연구와 같은 기법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치료한다",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예방학적 및/또는 치료학적인, 질환 또는 병증 증상의 경감, 약화 또는 완화, 추가 증상의 예방, 증상의 기초하는 대사 원인의 완화 또는 예방, 질환 또는 병증의 억제, 예를 들면 질환 또는 병증의 발병의 정지, 질환 또는 병증의 구제, 질환 또는 병증의 퇴보의 초래, 질환 또는 병증에 의해 야기되는 병증의 구제 또는 질환 또는 병증의 증상의 정지를 포함한다.
"피험체" 또는 "환자"란 용어는 포유동물 및 비포유동물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피험체" 또는 "환자"는 포유동물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약학 조성물/제형
적합한 투여 경로로는 경구, 정맥내, 직장, 에어로졸, 비경구, 눈, 폐, 경점막, 경피, 질내, 귀, 코, 근육내 주사, 피하 주사 및 국소 투여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오로지 예의 방식으로, 비경구 전달로는 근육내, 피하, 정맥내, 골수강내 주사 및 척추강내, 직접 심실내, 복강내, 림프관내 및 비강내 주사를 들 수 있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전신 방식보다는 국소로 투여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속방 제형으로, 서방 제형으로 또는 중간 방출 제형으로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국소로 투여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약학 조성물로 제제화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제로 활성 화합물을 가공하는 것을 수월하게 하는 부형제 및 보조제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이용하여 종래 방식으로 제제화된다. 적절한 제제는 선택되는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진다. 본원에 기재된 약학 조성물을 제제화하는 데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기법, 담체 및 부형제를 적합하게 사용한다: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Nineteenth Ed (Easton, Pa.: Mack Publishing Company, 1995); Hoover, John E.,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ennsylvania 1975; Liberman, H.A. and Lachman, L., Eds., Pharmaceutical Dosage Forms, Marcel Decker, New York, N.Y., 1980; Pharmaceutical Dosage Forms and Drug Delivery Systems, Seventh Ed. (Lippincott William & Wilkins 1999).
약학 조성물이란 화학식 Ⅰ의 화합물과 담체, 안정화제, 희석제, 분산제, 현탁제, 점증제 및/또는 부형제와 같은 다른 화학 성분과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대한 화합물의 투여를 수월하게 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경구 투여를 위해 제제화한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오로지 예의 방식으로, 정제, 산제, 환제, 드라제(dragee),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엘릭시르제, 슬러리제, 현탁제 등을 비롯한 경구 제형으로 제제화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수용액 중에 제제화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수용액으로는, 오로지 예의 방식으로, 생리적 상용성 완충액, 예컨대 행크액, 링거액 또는 생리 심역 완충액을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경점막 투여를 위해 제제화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경점막 제제는 투과하고자 하는 장벽에 적절한 침투제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이 다른 비경구 주사를 위해 제제화되는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적절한 제제는 수성 용액 또는 비수성 용액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1종 이상의 고체 부형제를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중 1종 이상과 혼합하고, 임의로 생성된 혼합물을 분쇄하고, 원하는 경우, 정제 또는 환제를 얻기 위해 적합한 보조제 첨가 후 과립 혼합물을 가공하여 경구용의 약학 제제를 얻는다. 적합한 부형제는 특히 충전제, 예컨대 락토스, 수크로스,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을 비롯한 당; 셀룰로스 제제, 예컨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젤라틴, 검 트라가칸트, 메틸셀룰로스,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등; 또는 다른 부형제,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또는 포비돈) 또는 인산칼슘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붕괴제를 임의로 첨가한다. 붕괴제로는, 오로지 예의 방식으로, 가교결합된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또는 알긴산 또는 알긴산나트륨과 같은 이의 염을 들 수 있다.
경구 제형은 또한 젤라틴으로 제조된 푸쉬-핏(push-fit) 캡슐 및 젤라틴 및 가소제, 예컨대 글리세롤 또는 소르비톨로부터 제조된 연질 밀봉 캡슐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푸쉬-핏 캡슐은 활성 성분을 1종 이상의 충전제와의 혼합물로 포함한다. 충전제로는, 오로지 예의 방식으로, 락토스, 결합제, 예컨대 전분 및/또는 활택제, 예컨대 활석 또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임의로 안정화제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연질 캡슐은 적합한 액체 중에 용해 또는 현탁된 1종 이상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액체로는, 오로지 예의 방식으로, 1종 이상의 지방유, 액체 파라핀 또는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들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를 임의로 첨가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국소로 투여한다. 국소로 투여 가능한 조성물로는 용액제, 현탁제, 로션제, 겔제, 페이스트제, 약제 스틱(medicated stick), 밤제(balm), 크림제 또는 연고제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흡입에 의한 투여를 위해 제제화한다. 흡입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로는 에어로졸제, 미스트제 또는 산제를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약학 조성물 내 활성 성분은 유리 산 또는 유리 염기 형태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형태로 존재한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방법 및 약학 조성물은 N-옥사이드, 결정질 형태(다형으로도 공지됨) 및 동일한 유형의 활성을 갖는 화합물의 활성 대사체의 용도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모든 토토머가 본원에 제시된 화합물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비용매화 형태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 예컨대 물, 에탄올 등과의 용매화 형태를 포함한다. 본원에 제시된 화합물의 용매화 형태는 또한 본원에 개시된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약학 조성물은 임의로 다른 의학 또는 약학 제제, 담체, 부형제, 예컨대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 프로모터, 삼투압 조절용 염, 완충액 및/또는 다른 치료학적으로 중요한 물질을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예방학적 및/또는 치료학적 치료를 위해 투여한다. 특정한 치료학적 적용에서, 조성물을 질환 또는 병증의 증상을 치료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질환 또는 병증을 이미 앓는 환자에게 투여한다. 이러한 용도에 효과적인 양은 질환 또는 병증의 중증도 및 과정, 선행 치료, 환자의 건강 상태, 체중 및 약물에 대한 반응 및 주치의의 판단에 따라 달라진다. 치료학적 유효량은 임의로 용량 증가 임상 실험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방법에 의해 결정한다.
예방학적 적용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특정 질환, 질병 또는 병증에 감수성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의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한다. 이러한 용도에서, 정확한 양은 또한 환자의 건강 상태, 체중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양에 해당하는 소정 제제의 양은 특정 화합물, 질환 또는 병증 및 이의 중증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의 주체성(예를 들면, 체중)과 같은 인자에 따라 달라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면 투여되는 특정 제제, 투여 경로, 치료되는 병증 및 치료되는 포유동물을 비롯하여 사례를 둘러싼 특정 상황에 따라서도 결정된다. 성인 인간 치료에 이용되는 용량은 통상적으로 매일 0.02∼5000 ㎎, 매일 0.5∼1500 ㎎ 또는 매일 1∼500 ㎎ 범위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용량은 단일 용량으로 또는 매일 적절한 간격으로, 예를 들면 2회, 3회, 4회 이상의 부분 용량으로서 투여되는 분할 용량으로 제시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에 적절한 1일 용량은 약 0.01 내지 약 10 ㎎/kg(체중)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경구 투여에 적합한 단위 제형은 약 1 내지 500 ㎎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형 내 활성제의 1일 용량 또는 양은 본원에 표시된 범위보다 적거나 많다.
몇몇 경우에, 1종 이상의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다른 치료제와의 복합제로 투여하는 것이 적절하다. 병용 요법에서, 다수의 치료제(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중 1종인 치료제)를 임의의 순서로 또는 심지어 동시에 투여한다. 투여가 동시인 경우, 다수의 치료제는, 오로지 예의 방식으로, 단일의 통합 형태로 또는 복수의 형태(예를 들면, 단일 환제로서 또는 2개의 분리 환제로서)로 제공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만성적으로 투여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간헐적으로(예를 들면, 화합물이 투여되지 않거나 감소량으로 투여되는 시간 기간을 포함하는 약물 휴지기) 투여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a)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1일 투여를 포함하는 제1 기간; 이후 (b) 투여되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1일 양의 용량 감소를 포함하는 제2 기간을 포함하는 사이클로 투여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을 제2 기간에 투여하지 않는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제1 기간 및 제2 기간의 기간 및 용량은 본원에 기재되거나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실시예]
이 실시예는 예시 목적으로만 제공되고 본원에 제공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설폰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일반적인 산화 절차
CH2Cl2(2 mL) 중의 황 화합물(0.06 mmol)에 3-클로로퍼벤조산(0.027 g, 0.12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설폰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설폭사이드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일반적인 산화 절차
CH2Cl2(2 mL) 중의 황 화합물(0.06 mmol)에 3-클로로퍼벤조산(0.014 g, 0.06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설폭사이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 {3-[4-(4- 클로로 - 벤조일아미노 )-2-(2,2,2- 트리플루오로 -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1)의 합성
단계 1: [3-(2-포밀-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EtOH(100 mL) 중의 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5.0 g, 27.4 mmol)에 황산(1 mL)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일단 분석용 TLC로 출발 물질이 보이지 않으면, 용액을 농축시키고 높은 진공 하에 건조시켜 (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1,4-디옥산 중의 (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1 당량), 2-플루오로-5-니트로벤즈알데하이드(1 당량) 및 탄산칼륨(2 당량)의 용액을 7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이 혼합물을 EtOAc와 H2O에 분배하고 1N 수성 HCl로 pH 1로 산성화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EtOAc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2: [3-(2- 하이드록시메틸 -4-니트로-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메탄올 중의 [3-(2-포밀-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1 당량)에 수소화붕소나트륨(1.2 당량)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EtOAc와 H2O에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분리하고 EtOA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3: [3-(2-브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DME 중의 [3-(2-하이드록시메틸-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15.14 g, 41.9 mmol)의 용액에 삼브롬화인(5.92 mL, 62.8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0℃로 냉각시킨 후, 이 혼합물을 포화 수성 NaHCO3로 급냉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4: {4- 메톡시 -3-[4-니트로-2-(2,2,2- 트리플루오로 -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0℃에서의 1,4-디옥산(40 mL) 중의 [3-(2-브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2.0 g, 4.72 mmol) 및 2,2,2-트리플루오로에탄티올(0.46 mL, 5.18 mmol)에 수소화나트륨(광유 중 60%; 0.207 g, 5.18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EtOAc와 H2O에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분리하고 산성화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5: {3-[4-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 페닐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EtOH(30 mL) 중의 {4-메톡시-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1.46 g, 3.18 mmol), 염화제2철(0.026 g, 0.16 mmol), 1,1-디메틸히드라진(1.69 mL, 22.27 mmol) 및 DARCO(0.300 g)의 용액을 6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EtOAc와 H2O에 분배하고 EtOAc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H2O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EtOAc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6: {3-[4-(4- 클로로 - 벤조일아미노 )-2-(2,2,2- 트리플루오로 -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CH2Cl2 중의 {3-[4-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0.200 g, 0.47 mmol) 및 트리에틸아민(0.08 mL, 0.56 mmol)에 4-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0.07 mL, 0.56 mmol)를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가수분해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7: {3-[4-(4- 클로로 - 벤조일아미노 )-2-(2,2,2- 트리플루오로 -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MeOH 및 H2O 중의 {3-[4-(4-클로로-벤조일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0.47 mmol)에 1N 수성 수산화리튬을 첨가하였다. 이 반응물을 65℃에서 밤새 교반하고 산성화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3의 절차에 따라, {3-[4-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 염화피발로일과 반응시켜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가수분해하여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2)을 얻었고;
- 벤질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3-[4-(3-벤질-우레이도)-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4-(3-벤질-우레이도)-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3)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4-(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4-(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14)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이소부티릴 클로라이드과 반응시켜 {3-[4-이소부티릴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4-이소부티릴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15)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tert-부틸아세틸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4-(3,3-디메틸-부티릴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4-(3,3-디메틸-부티릴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16)로 가수분해하였고;
-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4-메톡시-3-[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4-메톡시-3-[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8)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4-메톡시-3-[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4-(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4-메톡시-3-[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4-(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9)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니코티노일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4-메톡시-3-[4-[(피리딘-3-카르보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4-메톡시-3-[4-[(피리딘-3-카르보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70)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이소니코티노일 클로라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4-메톡시-3-[4-[(피리딘-4-카르보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4-메톡시-3-[4-[(피리딘-4-카르보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71)으로 가수분해하였다.
실시예 4: {3-[4-(4- 클로로 - 벤조일아미노 )-2-(4- 클로로 - 페닐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4)의 합성
실시예 3, 단계 4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2-브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4-클로로벤젠티올로부터 {3-[2-(4-클로로-페닐설파닐메틸)-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이후, {3-[2-(4-클로로-페닐설파닐메틸)-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실시예 3, 단계 5에 따라 {3-[4-아미노-2-(4-클로로-페닐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로 환원시켰다. 실시예 3, 단계 6의 절차에 따라 아민을 4-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3-[4-(4-클로로-벤조일아미노)-2-(4-클로로-페닐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3, 단계 7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얻었다.
실시예 3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4-아미노-2-(4-클로로-페닐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 염화피발로일과 반응시켜 {3-[2-(4-클로로-페닐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4-클로로-페닐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5)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벤질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3-[4-(3-벤질-우레이도)-2-(4-클로로-페닐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4-(3-벤질-우레이도)-2-(4-클로로-페닐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으로 가수분해하였다.
실시예 5: {3-[2- tert - 부틸설파닐메틸 -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7)의 합성
단계 1: [3-(2- tert - 부틸설파닐메틸 -4-니트로-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3, 단계 4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2-브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2-메틸-2-프로판티올의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단계 2: [3-(4-아미노-2- tert - 부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3, 단계 5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2-tert-부틸설파닐메틸-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의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단계 3: {3-[2- tert - 부틸설파닐메틸 -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3, 단계 6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4-아미노-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염화피발로일의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단계 4: {3-[2- tert - 부틸설파닐메틸 -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실시예 3, 단계 7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의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4-아미노-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 4-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4-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4-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8)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벤질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3-[4-(3-벤질-우레이도)-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4-(3-벤질-우레이도)-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13)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35)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이소부티릴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이소부티릴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이소부티릴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36)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tert-부틸아세틸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3,3-디메틸-부티릴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3,3-디메틸-부티릴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37)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벤조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4-벤조일아미노-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4-벤조일아미노-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58)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3-플루오로벤조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3-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3-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2)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4-플루오로벤조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4-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4-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3)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2-플루오로벤조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4)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2,4-디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5)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3,5-디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3,5-디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3-[2-tert-부틸설파닐메틸-4-(3,5-디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6)을 얻었고;
- 3,5-디플루오로벤조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3,5-디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3,5-디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7)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염화단실과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5-디메틸아미노-나프탈렌-1-설포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5-디메틸아미노-나프탈렌-1-설포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72)으로 가수분해하였다.
실시예 6: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 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9)의 합성
[3-(2-브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0.4 g, 0.94 mmol), 2-프로판티올(0.11 mL, 1.13 mmol) 및 수소화나트륨(광유 중 60%; 0.05 g, 1.13 mmol)을 1,4-디옥산 중에 합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후처리하여 [3-(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후 이것을 실시예 3, 단계 5에 기재된 바대로 아민으로 환원시켜 [3-(4-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이후, 이 아민을 실시예 3, 단계 6에 따라 염화피발로일로 처리하여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3, 단계 7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얻었다.
실시예 7: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프로판-2- 설포닐메틸 )-페녹시]-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10)의 합성
실시예 1에 기개된 절차에 따라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8: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프로판-2- 설피닐메틸 )-페녹시]-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11)의 합성
실시예 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9: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 트리플루오로 - 에탄설포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12)의 합성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3-(2- 벤질설파닐메틸 -4- 클로로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의 합성
단계 1: [3-(4- 클로로 -2- 포밀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0.75 g, 4.8 mmol), 5-클로로-2-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1.0 g, 4.8 mmol) 및 탄산칼륨(1.0 g, 7.5 mmol)을 1,4-디옥산(30 mL) 중에 합하고 100℃에서 3일 동안 가열하였다. 후처리 후,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0∼2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2: [3-(4-클로로-2-하이드록시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MeOH(30 mL) 중의 [3-(4-클로로-2-포밀-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0.9 g, 2.6 mmol)에 수소화붕소나트륨(0.11 g, 2.9 mmol)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후처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3: [3-(2-브로모메틸-4-클로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DME 중의 [3-(4-클로로-2-하이드록시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0.9 g, 2.6 mmol)에 삼브롬화인(0.37 mL, 3.9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후처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4: [3-(2-벤질설파닐메틸-4-클로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1,4-디옥산(10 mL) 중의 [3-(2-브로모메틸-4-클로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0.15 g, 0.36 mmol) 및 벤질 머캅탄(0.06 mL, 0.4 mmol)에 수소화나트륨(광유 중 60%; 0.05 g, 1.25 mmol)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후처리 후, 미정제 물질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5: [3-(2- 벤질설파닐메틸 -4- 클로로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3-(2-벤질설파닐메틸-4-클로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MeOH 및 H2O 중의 수산화리튬으로 가수분해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1: {3-[4-(4- 클로로 - 벤조일아미노 )-2- 페닐설파닐메틸 - 페녹시 ]-4- 톡시-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17)의 합성
단계 1: [4-메톡시-3-(4-니트로-2-페닐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10, 단계 4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2-브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티오페놀의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단계 2: [3-(4-아미노-2-페닐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4-메톡시-3-(4-니트로-2-페닐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0.4 g, 0.9 mmol) 및 염화주석(II)(0.6 g, 2.7 mmol)을 EtOH(20 mL) 중에 합하고 7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CH2Cl2, H2O 및 중탄산나트륨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켰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3: {3-[4-(4-클로로-벤조일아미노)-2-페닐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3-(4-아미노-2-페닐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0.4 g, 0.9 mmol) 및 트리에틸아민(1 mL)을 CH2Cl2(10 mL) 중에 합했다. 4-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0.29 mL, 2.3 mmol)를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고, 이것을 가수분해 단계에서 바로 사용하였다.
단계 4: {3-[4-(4- 클로로 - 벤조일아미노 )-2- 페닐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페닐}-아세트산
{3-[4-(4-클로로-벤조일아미노)-2-페닐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0.9 mmol)에 수산화리튬(0.3 g), H2O(5 mL) 및 MeOH(20 mL)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물을 60℃에서 교반하고 이후 후처리하고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2: {3-[2- 벤질설파닐메틸 -4-(4- 클로로 - 벤조일아미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18)의 합성
실시예 10에 기재된 바대로, [3-(2-브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벤질 머캅탄을 반응시켜 [3-(2-벤질설파닐메틸-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4-아미노-2-벤질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로 환원시키고 이후 4-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3-[2-벤질설파닐메틸-4-(4-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화합물 18을 얻었다.
실시예 13: {3-[4-(4- 클로로 - 벤조일아미노 )-2-(5- 메틸 -[1,3,4] 티아디아졸 -2-일설파닐메틸)-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19)의 합성
실시예 10에 기재된 바대로, [3-(2-브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5-메틸-1,3,4-티아디아졸-2-티올을 반응시켜 {4-메톡시-3-[2-(5-메틸-[1,3,4]티아디아졸-2-일설파닐메틸)-4-니트로-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형성하였고, 이것을 {3-[4-아미노-2-(5-메틸-[1,3,4]티아디아졸-2-일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로 환원시키고 이후 4-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3-[4-(4-클로로-벤조일아미노)-2-(5-메틸-[1,3,4]티아디아졸-2-일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에스테르를 산으로 가수분해하여 화합물 19를 얻었다.
실시예 14: {3-[4-(4- 클로로 - 벤조일아미노 )-2- 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20)의 합성
[3-(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4-니트로-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실시예 11, 단계 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아민으로 환원시켰다. 이 아민을 4-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3-[4-(4-클로로-벤조일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11, 단계 4에 기재된 바대로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얻었다.
실시예 15: [3-(4- 브로모 -2- 브로모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의 합성
단계 1: (3- 하이드록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EtOH(100 mL) 중의 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5.0 g, 23.8 mmol)에 황산(1 m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일단 분석용 TLC로 출발 물질이 보이지 않으면, 이 혼합물을 농축시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단계 2: [3-(4- 브로모 -2- 포밀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3-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2.0 g, 9.5 mmol), 5-브로모-2-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2.0 g, 9.5 mmol) 및 탄산칼륨(2.0 g, 14.3 mmol)을 1,4-디옥산 중에 합하고 밤새 90℃로 가열하였다. 후처리 후,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0∼25%)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1.8 g)을 얻었다.
단계 3: [3-(4-브로모-2-하이드록시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10, 단계 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4-브로모-2-포밀-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의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단계 4: [3-(4- 브로모 -2- 브로모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10, 단계 3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4-브로모-2-하이드록시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의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단계 5: [3-(4- 브로모 -2- 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3-(4-브로모-2-브로모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0.4 g, 0.87 mmol) 및 2-프로판티올(0.08 g, 1.0 mmol)을 1,4-디옥산(20 mL) 중에 합했다. 수소화나트륨(광유 중 60%; 0.04 g, 1.0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후처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6: {3-[4-(4- 클로로 - 벤조일아미노 )-2-(프로판-2- 설피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21) 및 {3-[4-(4- 클로로 - 벤조일아미노 )-2-(프로판-2- 설포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22)의 합성
CH2Cl2(20 mL) 중의 {3-[4-(4-클로로-벤조일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0.17 g, 0.34 mmol)에 3-클로로퍼벤조산(77%; 0.076 g, 0.34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3-클로로퍼벤조산(77%; 0.025 g, 0.11 mmol)을 추가로 첨가하여 설폰 생성물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이후 이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설폭사이드 및 설폰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7: {3-[2- 벤젠설피닐메틸 -4-(4- 클로로 - 벤조일아미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23) 및 {3-[2- 벤젠설포닐메틸 -4-(4- 클로로 - 벤조일아미 노)-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24)의 합성
CH2Cl2(3 mL) 중의 {3-[4-(4-클로로-벤조일아미노)-2-페닐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0.16 mmol)에 3-클로로퍼벤조산(77%; 0.036 g, 0.16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설폭사이드 및 설폰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8: [3-(4- 에틸카바모일 -2- 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페닐]-아세트산(화합물 25)의 합성
단계 1: [3-(4-브로모-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1,4-디옥산 중의 [3-(4-브로모-2-브로모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2-프로판티올에 수소화나트륨(광유 중 60%)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후처리 후,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0∼20%)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2: 4-(5- 에톡시카르보닐메틸 -2- 메톡시 - 페녹시 )-3- 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 -벤조산 메틸 에스테르
[3-(4-브로모-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0.5 g, 1.1 mmol) 및 트리에틸아민(0.5 mL)을 DMF(10 mL) 및 MeOH(10 mL) 중에 용해시키고 10분 동안 N2로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Ⅱ)(0.09 g, 0.11 mmol)을 첨가하고 이후 일산화탄소를 용액을 통해 10분 동안 버블링시켰다. 이 반응물을 65℃에서 밤새 일산화탄소의 벌룬 하에 교반하고 이후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3: 4-(5- 에톡시카르보닐메틸 -2- 메톡시 - 페녹시 )-3- 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 -벤조산
4-(5-에톡시카르보닐메틸-2-메톡시-페녹시)-3-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벤조산 메틸 에스테르(0.5 g, 1.16 mmol) 및 나트륨 메틸티올레이트(0.16 g, 2.3 mmol)를 DMF(20 mL) 중에 합하고 6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산성 후처리 후, 미정제 물질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4: [3-(4- 에틸카바모일 -2- 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CH2Cl2(10 mL) 및 DMF(1 방울) 중의 4-(5-에톡시카르보닐메틸-2-메톡시-페녹시)-3-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벤조산(0.07 g, 0.17 mmol)에 염화옥살릴(0.04 mL, 0.5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 건조 후, 에틸아민(THF 중의 2M; 0.25 mL, 0.5 mmol)을 첨가한 후, CH2Cl2(10 m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5 m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후처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5: [3-(4- 에틸카바모일 -2- 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
실시예 11, 단계 4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4-에틸카바모일-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의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3-[4-(4- 클로로 - 벤질카바모일 )-2- 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26)의 합성
실시예 18, 단계 4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4-(5-에톡시카르보닐메틸-2-메톡시-페녹시)-3-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벤조산 및 4-클로로벤질아민으로부터 {3-[4-(4-클로로-벤질카바모일)-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11, 단계 4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얻었다.
실시예 20: (3-{4-[2-(4- 플루오로 - 페닐 )- 에틸카바모일 ]-2- 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27)의 합성
실시예 18, 단계 4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4-(5-에톡시카르보닐메틸-2-메톡시-페녹시)-3-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벤조산 및 4-플루오로펜에틸아민으로부터 (3-{4-[2-(4-플루오로-페닐)-에틸카바모일]-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11, 단계 4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얻었다.
실시예 21: {3- 클로로 -5-[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2,2,2- 트리플루오로 -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28)의 합성
단계 1: 1-벤질옥시-3-브로모-5-클로로-벤젠
NMP(200 mL) 중의 1-브로모-3-클로로-5-플루오로벤젠(25 g, 112 mmol) 및 벤질 알콜(25 mL, 239 mmol)에 실온에서 수소화나트륨(광유 중 60%; 10.5 g, 263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10시간 동안 120℃로 가열하였다. 이 혼합물을 10% 수성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로 추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2: 2-(3- 벤질옥시 -5- 클로로 - 페닐 )-말론산 디메틸 에스테르
N2 하에 0℃에서의 1,4-디옥산(300 mL) 중의 1-벤질옥시-3-브로모-5-클로로-벤젠(31 g, 101.7 mmol), 디메틸말로네이트(25.7 mL, 223.8 mmol) 및 브롬화구리(I)(32 g, 223.8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광유 중 60%; 9 g, 223.9 mmol)을 적하하였다. 10분 후, 이 반응물을 100℃로 가열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분석용 LCMS는 출발 물질이 잔존함을 나타내고, 따라서 이 반응물을 10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0% 수성 NH4OH(1L)를 첨가하여 고형분을 부수고, 이 혼합물을 CH2Cl2(전체 3L)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3: (3- 벤질옥시 -5- 클로로 - 페닐 )-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DMSO:H2O(10:1; 200 mL) 중의 2-(3-벤질옥시-5-클로로-페닐)-말론산 디메틸 에스테르(21 g, 60.2 mmol) 및 염화리튬(3.06 g, 72.2 mmol)의 혼합물을 1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H2O(500 mL)를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EtOAc:헥산(1:10; 전체 1.5L)로 추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4: (3- 클로로 -5- 하이드록시 - 페닐 )-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0℃에서의 CH2Cl2(100 mL) 중의 (3-벤질옥시-5-클로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8 g, 28 mmol)에 삼브롬화붕소(CH2Cl2 중의 1M; 56 mL, 56 mmol)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30분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일단 분석용 LCMS 및 TLC로 출발 물질이 보이지 않으면, 이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H2O(50 mL)로 급냉시켰다. 부피를 감소시키고 잔류물을 EtOAc(500 mL)로 희석하였다. 고형분 물질을 여과시키고 유기 층을 분리하고 농축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5: [3- 클로로 -5-(2- 포밀 -4-니트로-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3-클로로-5-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2.9 g, 14.5 mmol), 2-플루오로-5-니트로벤즈알데하이드(2.7 g, 15.9 mmol) 및 탄산칼륨(4.0 g, 28.9 mmol)을 1,4-디옥산(20 mL) 중에 합하고 10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일단 분석용 LCMS 및 TLC로 출발 물질이 보이지 않으면, 이 혼합물을 EtOAc 및 10% 수성 HCl로 후처리하고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6: [3- 클로로 -5-(2- 하이드록시메틸 -4-니트로-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MeOH(30 mL) 중의 [3-클로로-5-(2-포밀-4-니트로-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3.7 g, 10.6 mmol)에 수소화붕소나트륨(0.52 g, 13.8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 및 H2O로 후처리한 후,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7: [3-(2- 브로모메틸 -4-니트로- 페녹시 )-5- 클로로 - 페닐 ]-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DME(20 mL) 중의 [3-클로로-5-(2-하이드록시메틸-4-니트로-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2.4 g, 6.8 mmol)의 용액에 삼브롬화인(0.97 mL, 10.2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 및 H2O로 후처리한 후,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8: {3-클로로-5-[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1,4-디옥산(6 mL) 중의 [3-(2-크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5-클로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0.5 g, 1.25 mmol) 및 2,2,2-트리플루오로에탄티올(0.13 mL, 1.38 mmol)에 수소화나트륨(광유 중 60%; 0.055 g, 1.38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EtOAc 및 10% 수성 HCl로 후처리한 후,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9: {3-[4-아미노-2-(2,2,2- 트리플루오로 -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5- 클로로 - 페닐 }-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3-클로로-5-[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0.07 g, 0.16 mmol), 1,1-디메틸히드라진(0.08 mL, 1.09 mmol), 염화제2철(0.003 g, 0.02 mmol) 및 DARCO(0.016 g)를 EtOH 중에 합하고 65℃에서 3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 및 H2O로 후처리한 후,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10: {3- 클로로 -5-[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2,2,2- 트리플루오로 -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CH2Cl2(2 mL) 중의 {3-[4-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5-클로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0.058 g, 0.14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04 mL, 0.28 mmol), 이어서 염화피발로일(0.02 mL, 0.17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CH2Cl2 및 H2O로 후처리한 후,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11: {3- 클로로 -5-[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2,2,2- 트리플루오로 -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
THF:H2O:MeOH(2:1:2; 2 mL) 중의 {3-클로로-5-[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0.038 g, 0.08 mmol)에 1N 수성 수산화리튬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10% 수성 HCl로 pH 5로 산성화시키고 EtOAc로 추출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2: {3- 클로로 -5-[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 트리플루오로 -에 탄설포닐메틸 )-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29)의 합성
CH2Cl2(5 mL) 중의 {3-클로로-5-[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0.02 g, 0.04 mmol)에 3-클로로퍼벤조산(77%; 0.046 g, 0.2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CH2Cl2 및 H2O로 후처리한 후,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3: {3- 클로로 -5-[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 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 -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30)의 합성
([3-(2-브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5-클로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및 2-프로판티올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21, 단계 8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염화피발로일을 사용하여) 실시예 21, 단계 9 및 실시예 21, 단계 10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클로로-5-[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21, 단계 1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얻었다.
실시예 24: {3- 클로로 -5-[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프로판-2- 설포닐메틸 )-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31)의 합성
CH2Cl2(3 mL) 중의 {3-클로로-5-[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0.05 g, 0.29 mmol)에 3-클로로퍼벤조산(77%; 0.12 g, 1.45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 및 염수로 후처리한 후,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클로로-5-[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프로판-2-설포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21, 단계 1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얻었다.
실시예 25: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2,2,2- 트리플루오로 -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32)의 합성
NMP(20 mL) 중의 벤질 알콜(1.1 g, 10 mmol)에 수소화나트륨(광유 중 60%; 0.44 g, 11 mmol)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1 g, 4.5 mmol)을 포함하는 바이알에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1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산성 후처리하여 (3-벤질옥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EtOH(30 mL) 중의 (3-벤질옥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1.5 g, 5.4 mmol)에 황산(1 mL)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일단 분석용 LCMS로 출발 물질이 보이지 않으면, 반응물을 후처리하여 (3-벤질옥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3-벤질옥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1.7 g, 5.6 mmol)를 EtOH(30 mL) 중에 용해시키고 N2로 탈기시켰다. 탄소상 5% 팔라듐(1 g)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H2로 퍼징하고 H2 벌룬 하에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농축시켜 (3-하이드록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21, 단계 5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하이드록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2-플루오로-5-니트로벤즈알데하이드를 반응시켜 [3-(2-포밀-4-니트로-페녹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21, 단계 6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2-포밀-4-니트로-페녹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3-(2-하이드록시메틸-4-니트로-페녹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로 환원시키고 실시예 21, 단계 7에 기재된 바대로 브롬화시키고 2,2,2-트리플루오로에탄티올로 처리하여 {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21, 단계 9에 기재된 바대로 아민을 환원시키고 실시예 21, 단계 10에 기재된 바대로 염화피발로일로 처리하여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21, 단계 11에 기재된 바대로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얻었다.
실시예 26: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 트리플루오로 - 에탄설포닐메틸 )- 페녹시 ]-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33)의 합성
실시예 24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 )- 메틸 -아미노]-2-(2,2,2- 트리플루오로 -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34)의 합성
MeCN(3 mL) 중의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0.128 g, 0.26 mmol)에 요오도메탄(0.03 mL, 0.53 mmol), 이어서 수소화나트륨(광유 중 60%; 0.021 g, 0.53 mmol)을 첨가하였다.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지만, 분석용 LCMS로 오직 출발 물질만이 보였고, 그래서 이 반응물을 60℃로 2시간 동안 가열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N2 하에 2일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가수분해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MeCN 중의 {3-[4-[(2,2-디메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0.26 mmol)의 용액에 H2O, MeOH 및 수산화리튬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1시간 동안 65℃로 가열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8: {4- 메톡시 -3-[4-(2-옥소- 옥사졸리딘 -3-일)-2-(2,2,2- 트리플루오로 -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38)의 합성
단계 1: {3-[4-(2-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3, 단계 6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4-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2-클로로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의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단계 2: {4- 메톡시 -3-[4-(2-옥소- 옥사졸리딘 -3-일)-2-(2,2,2- 트리플루오로 -에틸설파닐메틸)-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
EtOH(5 mL) 중의 {3-[4-(2-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0.100 g, 0.19 mmol)에 나트륨 에톡사이드(EtOH 중의 21 중량%; 4.61 mL, 0.37 mmol)를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6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EtOAc와 H2O에 분배하고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9: [3-(4- tert - 부틸카바모일 -2- tert - 부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39)의 합성
단계 1: [3-(4-브로모-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15, 단계 5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4-브로모-2-브로모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2-메틸-2-프로판티올의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단계 2: 3-tert-부틸설파닐메틸-4-(5-에톡시카르보닐메틸-2-메톡시-페녹시)-벤조산
[3-(4-브로모-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2.0 g, 4.3 mmol) 및 트리에틸아민(5.9 mL, 43 mmol)을 H2O(5 mL) 및 DMF(50 mL) 중에 합하고 일산화탄소로 20분 동안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Ⅱ)(0.35 g, 0.43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80℃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 혼합물을 산성화시키고 EtOAc로 추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3: [3-(4- tert - 부틸카바모일 -2- tert - 부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3-tert-부틸설파닐메틸-4-(5-에톡시카르보닐메틸-2-메톡시-페녹시)-벤조산(0.2 g, 0.46 mmol), tert-부틸아민(0.15 mL, 13.9 mmol),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0.11 g, 0.55 mmol) 및 N-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0.074 g, 0.55 mmol)을 CH2Cl2(8 mL) 중에 합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4: [3-(4- tert - 부틸카바모일 -2- tert - 부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페닐]-아세트산
[3-(4-tert-부틸카바모일-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0.46 mmol)를 60℃에서 20분 동안 MeOH 및 H2O 중의 수산화리튬으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9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tert-부틸설파닐메틸-4-(5-에톡시카르보닐메틸-2-메톡시-페녹시)-벤조산을
- 2-아미노아세토페논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옥소-2-페닐-에틸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옥소-2-페닐-에틸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0)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1-(4-플루오로페닐)-2-메틸-2-프로필아민과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4-플루오로-페닐)-1,1-디메틸-에틸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4-플루오로-페닐)-1,1-디메틸-에틸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1)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피페리딘과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피페리딘-1-카르보닐)-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피페리딘-1-카르보닐)-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2)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5-아미노-2-메톡시피리딘과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6-메톡시-피리딘-3-일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6-메톡시-피리딘-3-일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3)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2-트리플루오로-에틸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2-트리플루오로-에틸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4)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N-메틸이소프로필아민과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이소프로필-메틸-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이소프로필-메틸-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5)으로 가수분해하였고;
- 네오펜틸아민과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필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필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6)으로 가수분해하였다.
실시예 30: {3-[2- tert - 부틸설파닐메틸 -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 페녹시 ]-5- 클로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47)의 합성
실시예 21, 단계 8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2-브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5-클로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및 2-메틸-2-프로판티올을 사용하여 [3-(2-tert-부틸설파닐메틸-4-니트로-페녹시)-5-클로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제조하였고, 이것을 실시예 21, 단계 9에 기재된 바대로 [3-(4-아미노-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5-클로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로 환원시켰다. 아민을 실시예 21, 단계 10에 기재된 바대로 염화피발로일로 처리하여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5-클로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21, 단계 11에 기재된 바대로 에스테르를 산으로 가수분해하였다.
실시예 31: {3- 클로로 -5-[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2- 메틸 -프로판-2- 설포닐메틸 )-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48)의 합성
실시예 2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5-클로로-페닐}-아세트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4- 디플루오로메톡시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2,2,2-트 리플 루오로-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49)의 합성
{4-메톡시-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1.5 g, 3.6 mmol)를 100℃에서 밤새 아세트산(1:1; 20 mL) 중의 48% 브롬화수소로 처리하였다. EtOAc 및 H2O로 후처리한 후, 미정제 물질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4-하이드록시-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을 얻었다.
{4-하이드록시-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3.6 mmol) 및 염화수소(1,4-디옥산 중의 4N)를 EtOH 중에 합하고 8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 건조시킨 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하이드록시-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4-하이드록시-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0.40 g, 0.92 mmol), 나트륨 클로로디플루오로아세테이트(0.282 g, 1.86 mmol) 및 탄산칼륨(0.14 g, 1.02 mmol)을 DMF:H2O(8.5:1; 4.6 mL) 중에 합하고 N2로 15분 동안 탈기시켰다. 이 반응물을 10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 및 1N 수성 HCl로 후처리한 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디플루오로메톡시-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4-디플루오로메톡시-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실시예 21, 단계 9에 기재된 바대로 {3-[4-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로 환원시켰고, 이것을 실시예 21, 단계 10에 기재된 바대로 염화피발로일로 처리하여 {4-디플루오로메톡시-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21, 단계 11에 기재된 바대로 에스테르를 산으로 가수분해하였다.
실시예 33: {4- 디플루오로메톡시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 트리플루오로 - 에탄설포닐메틸 )-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50)의 합성
실시예 2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4-디플루오로메톡시-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4: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2,2,2- 트리플루오로 -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4- 메틸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51)의 합성
DMF(10 mL) 중의 {4-하이드록시-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0.50 g, 1.16 mmol)에 N-페닐-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이미드)(0.455 g, 1.27 mmol) 및 탄산세슘(0.755 g, 2.32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 및 H2O로 후처리한 후,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0.20 g, 0.35 mmol), 트리메틸보록신(0.07 mL, 0.53 mmol), 탄산칼륨(0.123 g, 0.89 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0.041 g, 0.035 mmol)을 DME:H2O(2:1; 4 mL) 중에 합하고 N2로 8분 동안 탈기시켰다. 이 반응물을 9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EtOAc 및 10% 수성 HCl로 후처리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메틸-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21기재된 절차에 따라, {4-메틸-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3-[4-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로 환원시키고 염화피발로일로 처리하여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얻었다.
실시예 35: {4- 클로로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 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 -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52)의 합성
0℃에서의 NMP(50 mL) 중의 4-클로로-3-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5 g, 26.5 mmol) 및 벤질 알콜(5.5 mL, 53.0 mmol)에 수소화나트륨(광유 중 60%; 2.3 g, 58.3 mmol)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120℃로 가열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pH 4로 산성화시키고 EtOAc로 추출하여 (3-벤질옥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을 얻었다.
(3-벤질옥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8 g)을 EtOH(100 mL) 중의 염화수소(1,4-디옥산 중의 4N; 6 mL)로 80℃에서 3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농축 건조시킨 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벤질옥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3-벤질옥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1, 단계 4에 기재된 바대로 반응시켜 (4-클로로-3-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4-클로로-3-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실시예 21, 단계 5에 기재된 바대로 2-플루오로-5-니트로벤즈알데하이드와 반응시켜 [4-클로로-3-(2-포밀-4-니트로-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4-클로로-3-(2-포밀-4-니트로-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실시예 21, 단계 6에 기재된 바대로 [4-클로로-3-(2-하이드록시메틸-4-니트로-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로 환원시키고 브롬화하여 실시예 21, 단계 7에 기재된 바대로 [3-(2-브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3-(2-브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실시예 21, 단계 8에 기재된 바대로 2-프로판티올로 처리하여 [4-클로로-3-(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4-니트로-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실시예 21, 단계 9에 기재된 바대로 [3-(4-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로 환원시켰다. 실시예 21, 단계 10에 기재된 바대로 아민을 염화피발로일로 처리하여 {4-클로로-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실시예 21, 단계 11에 기재된 바대로 에스테르를 산으로 가수분해하였다.
실시예 36: {4- 클로로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2,2,2- 트리플루오로 -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53)의 합성
실시예 21에 기재된 바대로, [3-(2-브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2,2,2-트리플루오로에탄티올을 반응시켜 {4-클로로-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아민으로 환원시키고 염화피발로일로 처리하여 {4-클로로-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얻었다.
실시예 37: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 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 -페녹시]-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54)의 합성
실시예 21에 기재된 바대로, [3-(2-브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2-프로판티올을 반응시켜 [3-(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4-니트로-페녹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아민으로 환원시키고 아민을 염화피발로일로 처리하여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얻었다.
실시예 38: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2,2,2- 트리플루오로 -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4-비닐-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55) 및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에틸-페닐}-아세트산(화합물 56)의 합성
{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0.920 g, 1.63 mmol), (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0.34 mL, 2.45 mmol),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Ⅱ)(0.1155, 0.16 mmol) 및 요오드화구리(0.031 g, 0.16 mmol)를 트리에틸아민(8 mL) 중에 합하고 5분 동안 탈기시켰다. 이 반응물을 8시간 동안 가열하고 CH2Cl2 및 H2O로 후처리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트리메틸실라닐에티닐-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THF(3 mL) 중의 {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트리메틸실라닐에티닐-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0.410 g, 0.8 mmol)의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HF 중의 1M; 1.2 mL, 1.2 mmol)를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일단 분석용 TLC로 출발 물질이 보이지 않으면, 이 혼합물을 EtOAc 및 H2O로 후처리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에티닐-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4-에티닐-3-[4-니트로-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0.170 g, 0.39 mmol)를 EtOH 중의 탄소상 10% 팔라듐으로 50psi H2 하에 파르(Parr) 장치를 사용하여 밤새 수소화하였다. 이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액을 농축시켜 {3-[4-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비닐-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와 {3-[4-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에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의 1:1 혼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2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비닐-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와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에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의 1:1 혼합물과 염화피발로일을 반응시켜 {3-[4-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비닐-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및 {3-[4-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에틸-페닐}-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2종의 아미드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였다.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얻었다.
실시예 39: {4- 메톡시 -3-[4-(2-옥소- 이미다졸리딘 -1-일)-2-(2,2,2- 트리플루오로 - 에틸설파닐메틸 )- 페녹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57)의 합성
{3-[4-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2-클로로에틸 이소시아네이트를 실시예 3, 단계 6에 기재된 바대로 반응시켰다. 미정제 물질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나트륨 에톡사이드(20% wt/v; 2.27 mL, 0.187 mmol)를 EtOH(5 mL) 중의 {3-[4-[3-(2-클로로-에틸)-우레이도]-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0.050 g, 0.094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 반응물을 65℃에서 밤새 교반하고 EtOAc와 H2O에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EtOA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MgSO4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화합물 57을 얻었다.
실시예 40: {3-[2- tert - 부틸설파닐메틸 -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 페녹시 ]-4- 클로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59)의 합성
실시예 21에 기재된 바대로, [3-(2-브로모메틸-4-니트로-페녹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2-메틸-2-프로판티올을 반응시켜 [3-(2-tert-부틸설파닐메틸-4-니트로-페녹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3-(4-아미노-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로 환원시켰다. 아민을 트리메틸아세틸 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얻었다.
실시예 41: {3-[2- tert - 부틸설파닐메틸 -4-(4- 클로로 - 벤조일아미노 )- 페녹시 ]-4-클 로-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60)의 합성
실시예 2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4-아미노-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4-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로부터 {3-[2-tert-부틸설파닐메틸-4-(4-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얻었다.
실시예 42: [3-(2- tert - 부틸설파닐메틸 -4- 이소부티릴아미노 - 페녹시 )-4- 클로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61)의 합성
실시예 2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4-아미노-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및 이소부티릴 클로라이드로부터 [3-(2-tert-부틸설파닐메틸-4-이소부티릴아미노-페녹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었다.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산을 얻었다.
실시예 43: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2- 메틸 -프로판-2- 설피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73)의 합성
실시예 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및 3-클로로퍼벤조산(1 당량)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4: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2- 메틸 -프로판-2- 설포닐메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74)의 합성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 및 3-클로로퍼벤조산(2 당량)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5: {3-[2- tert - 부틸설파닐메틸 -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 페녹시 ]-4- 하이드록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75)의 합성
CH2Cl2 중의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0.953 g, 2.07 mmol)을 0℃로 냉각시켰다. 삼브롬화붕소(CH2Cl2 중의 1M; 6.21 mL, 6.21 mmol)를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물을 급냉시키고 수성 후처리 후 미정제 물질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46: {3-[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2-(2- 메틸 -프로판-2- 설피닐메틸 )- 페녹시 ]-4- 하이드록시 - 페닐 }-아세트산(화합물 76)의 합성
실시예 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 및 3-클로로퍼벤조산(1 당량)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7: (2R,3R,4R,5S,6S)-6-(2-{3-[2- tert - 부틸설파닐메틸 -4-(2,2-디메틸- 프로피오닐아미노 )- 페녹시 ]-4- 메톡시 - 페닐 }- 아세톡시 )-3,4,5- 트리하이드록시 -테트라하이드로-피란-2- 카르복실산(화합물 77)의 합성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0.200 g, 0.44 mmol), (2R,3R,4R,5S,6R)-3,4,5,6-테트라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피란-2-카르복실산 벤질 에스테르(0.200 g, 0.7 mmol; 문헌[Tetrahedron 2007, 63, 7596]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제조됨), HATU(0.266 g, 0.7 mmol) 및 N-메틸모르폴린(0.1 mL, 0.7 mmol)을 MeCN 중에 합하고, 이 반응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2R,3R,4R,5S,6S)-6-(2-{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톡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피란-2-카르복실산 벤질 에스테르를 얻었고, 이것을 이후 탄소상 수산화팔라듐으로 처리하고 H2의 분위기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미정제 물질을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2R,3R,4R,5S,6S)-6-(2-{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톡시)-3,4,5-트리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피란-2-카르복실산를 얻었다.
화합물에 대한 질량 스펙트럼 데이터(M+H)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48: CRTH2분
실시예 48a: DP 2 / CRTH2 결합 분석
[3H]PGD2를 사용하는 방사성 리간드 결합 분석을 통해 인간 DP2 수용체에 결합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재조합 인간 DP2를 안정하게 발현하는 HEK293 세포를 1 mM DTT를 포함하는 10 mM Hepes(ph 7.4) 중에 재현탁시키고 용해시키고 75,000 xg에서 원심분리하여 펠렛 막을 만들었다. 이 막을 1 mM DTT 및 10%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10 mM Hepes(ph 7.4) 중에 재현탁시켜 대략 5 ㎎ 단백질/ml를 만들었다. 막(2∼10 ㎍ 단백질/웰)을 96웰 플레이트에서 분석 완충액(50 mM Hepes, 10 mM MnCl2, 1 mM EDTA, ±0.2% 인간 혈청 알부민, pH 7.4) 중의 1 nM [3H]PGD2 및 시험 화합물과 함께 실온에서 6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Whatman GF/C 유리 섬유 필터 플레이트를 통해 신속히 여과시켜 반응을 종료시켰다. 필터 플레이트를 0.33% 폴리에틸렌이민 중에 실온에서 30분 동안 예비 침지시킨 후, 세척 완충액(50 mM Hepes, 0.5 M NaCl pH 7.4) 중에 세척한 후 수확하였다. 수확 후, 필터 플레이트를 1 ml 차가운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한 후 건조시켰다. 이후, 섬광물질을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필터에 보유된 방사능 활성을 Packard TopCount(Perkin Elmer)에서 측정하였다. 전체 방사능 결합에서 10 μM PGD2 존재 하의 비특이적 결합을 빼서 특이적 결합을 측정하였다. IC50을 약물 적정 곡선의 GraphPad prism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험된 화합물은 이 분석에서 20 μM 미만의 IC50을 가졌다.
실시예 48b: GTP γS 결합 분석
막 GTPγS 분석을 통해 DP2에 대한 GTP의 결합을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재조합 인간 CRTH2 수용체를 안정하게 발현하는 CHO 세포를 1 mM DTT를 포함하는 10 mM Hepes(ph 7.4) 중에 재현탁시키고 용해시키고 75,000 xg에서 원심분리하여 펠렛 막을 만들었다. 이 막을 1 mM DTT 및 10%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10 mM Hepes(ph 7.4) 중에 재현탁시켰다. 막(∼12.5 ㎍/웰)을 96웰 플레이트에서 분석 완충액(50 mM Hepes(pH 7.4), 100 mM NaCl, 5 mM MgCl2 및 0.2% 인간 혈청 알부민) 중의 0.05 nM [35S]-GTPγS, 80 nM PGD2, 5 μM GDP 및 시험 화합물과 함께 30℃에서 6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Whatman GF/B 유리 섬유 필터 플레이트를 통해 신속히 여과시켜 반응을 종료시켰다. 필터 플레이트를 1 ml 차가운 분석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이후, 섬광물질을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필터에 보유된 방사능 활성을 Packard TopCount(Perkin Elmer)에서 측정하였다. 전체 방사능 결합에서 리간드(80 nM PGD2) 부재 하의 비특이적 결합을 빼서 특이적 결합을 측정하였다. IC50을 약물 적정 곡선의 GraphPad prism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48c: 전혈 호산구 형상 변화 분석
EDTA 진공 채혈관에서 동의한 인간 지원자로부터 혈액을 채혈하고 채혈 1시간 내에 사용하였다. 1.2 ml 폴리프로필렌 관에서 혈액 98 ㎕ 분액을 (50% DMSO 중의) 시험 화합물 2 ㎕와 혼합하였다. 혈액을 와류시키고 37℃에서 15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PBS 중의 1 μM PGD2 5 ㎕를 50 nM의 최종 농도를 위해 첨가하고 그 관을 간단히 와류시켰다. 반응물을 37℃에서 정확히 5분 동안 항온처리한 후, 관을 얼음에 올려 놓고 즉시 250 ㎕ 빙냉 1:4 희석 Cytofix(BD Biosciences)을 첨가하여 종료시켰다. 반응물을 12×75 mM 폴리스티렌 환저 관에 옮기고 3 ml 염화암모늄 용해 용액(150 mM NH4Cl, 10 mM KHCO3, 0.1 mM EDTA 이나트륨염)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5분 동안 항온처리하여 적혈구 세포를 용해시켰다. 4℃에서 5분 동안 1300 rpm으로 회전시키고 3 ml 빙냉 PBS로 1회 세척하여 세포를 펠렛화하였다. 세포를 0.2 ml 빙냉 1:4 희석 Cytofix(BD Biosciences) 중에 재현탁시키고 2시간 내에 FACSCalibur(BD Biosciences)에서 분석하였다. 호산구를 FL2 채널에서 자기형광에 기초하여 게이트로 제어하고 전방 산란 및 측면 산란 분석에 의해 500개의 호산구에서의 형상 변화를 분석하였다. PGD2에 의해 유도된 형상의 특이적 변화를 PGD2 존재 및 부재 하의 높은 전방 산란 호산구의 백분율 사이의 차이로서 계산하였다. IC50을 약물 적정 곡선의 Graphpad Prism® 분석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48d: DP 1 결합 분석
DP1 선택적 합성 리간드 [3H]BWA868C를 사용하는 방사성 리간드 막 결합 분석을 통해 인간 DP1 수용체에 결합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팩킹된 인간 혈소판(Biological Specialty Corporation)을 Hepes/HBSS 완충액(10 mM Hepes, 행크 균형 염 용액(HBSS) 중의 1 mM DTT) 6 부피 중에 재현탁시키고 용해시키고 75,000 xg에서 원심분리하여 펠렛 막을 만들었다. 이 막을 Hepes/HBSS 완충액 중에 재현탁시켜 대략 12 ㎎ 단백질/ml를 만들었다. 막(20 ㎍ 단백질/웰)을 96웰 플레이트에서 분석 완충액(50 mM Hepes, 10 mM MnCl2, 1 mM EDTA, ±0.2% 인간 혈청 알부민, pH 7.4) 중의 2 nM [3H]BWA868C 및 시험 화합물과 함께 실온에서 6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Whatman GF/C 유리 섬유 필터 플레이트를 통해 신속히 여과시켜 반응을 종료시켰다. 필터 플레이트를 0.33% 폴리에틸렌이민 중에 실온에서 30분 동안 예비 침지시킨 후, 세척 완충액(50 mM Hepes, 0.5 M NaCl pH 7.4) 중에 세척한 후 수확하였다. 수확 후, 필터 플레이트를 1 ml 차가운 세척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한 후 건조시켰다. 이후, 섬광물질을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필터에 보유된 방사능 활성을 Packard TopCount(Perkin Elmer)에서 측정하였다. 전체 방사능 결합에서 10 μM BW A868C 존재 하의 비특이적 결합을 빼서 특이적 결합을 측정하였다. IC50을 약물 적정 곡선의 GraphPad prism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49: 마우스 알레르기성 비염 모델
알레르기성 비염의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여 알레르겐 유도 재채기 및 코 문지름을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이 방법은 문헌[Nakaya, M., et al.. 2006, Laboratory Investigation, 86:917-926]에 기재된 방법으로부터 채택하였다. 암컷 BALB/c 마우스(20∼25g)를 0일 및 14일에 0.2 ml 부피로 명반과 복합체화된 2 ㎕ 난알부민(OVA)의 복강내 주사(i.p.)에 의해 면역시켰다. 7일 후(21일에) 마우스를 OVA의 10㎎/ml 용액 20 ㎕로 비강내 공격하였다. 공격 기간은 21일 내지 25일 매일 발생시켰다. 마우스(7마리 중 5마리/군)를 무작위로 화합물 또는 비히클 중 어나 하나를 투여받도록 배정하고 각각의 OVA 공격 1∼2시간 전에 위관 영양으로 치료하였다. 재채기 및 코 문지름을 21일, 23일 및 25일에 OVA 공격 직후 8분의 기간 동안 독립 블라인드 관찰에 의해 계수하였다. 5일 공격 기간에 걸쳐 알레르겐 유도 재채기 및 코 문지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선택 화합물에 의한 이러한 효과의 억제를 Graphpad 프리즘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50: 기니아 피그 IV - DKPGD2 유도 말초혈 백혈구 유입
13,14-디하이드로-15-케토-프로스타글란딘 D2(DK-PGD2)의 정맥내 주사를 사용하여 생체내 백혈구 이동을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이 방법은 문헌[Shichijo et al., 2003,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307:518-525]에 기재된 방법으로부터 채택하였다. 수컷 하틀리(Hartley) 기니아 피그를 임젝트 알붐(Imject Alum) 중 100 ㎍/ml 용액 1 ml의 복강내(IP) 주사에 의해 0일에 난알부민(OVA)으로 면역시켰다. 이후, 이들을 14일과 21일 사이에 DK-PGD2 절차에서 사용하였다. 피험체를 무작위로 비히클(0.5% 메틸 셀룰로스, 4 ml/kg, 경구(PO)) 또는 시험 화합물의 3개 내지 4개의 용량 중 하나에 배정하였다. 투여 2시간 또는 8시간 후, 동물을 케타민으로 마취시키고 DK-PGD2(1 ㎎/kg, IV)로 공격하였다. IV 투여 30분 후, 세포 분석을 위해 변연 귀 정맥을 통해 EDTA 관으로 혈액을 수집하였다. 혈액 10 ㎕를 물 190 ㎕ 중에 용해시킨 후, PBS 중에 추가로 20배 희석하였다. 10 ㎕ 분획을 트리판 블루와 동일 부로 혼합하고 혈구계산기에 넣었다. 세포를 LabPro 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40배 확대로 가시화하고 전체를 계수하고 기록하였다. 세포를 혈액 ml당 전체 세포×108로 나타냈다. 선택 화합물에 의한 이러한 효과의 억제를 Graphpad 프리즘을 사용하여 통계학적으로 측정하였다.
표 2에 시험된 화합물은 CRTH2 결합 분석에서 40 μM 이하의 IC50을 가졌다.
[표 2] 대표적인 생물학적 데이터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실시예 51: 인간에서의 임싱 실험
실험 1: 생체외 PGD2 유도 혈액 호산구 형상 변화에 미치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효과를 평가하는 임상 실험
건강한 지원자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2중 맹검, 무작위, 위약 조절, 단일 증가 용량 실험에서, 생체외 PGD2 유도 혈액 호산구 형상 변화의 억제를 결정하여 DP2 수용체 길항작용의 생화학 메커니즘의 증거를 보여주었다. 용량 수치마다 8명의 피험체(6명 활성, 2명 위약)를 사용하였다. 사전 용량 혈액을 채혈하고 PGD2로 공격하여 실시예 48에 기재된 기준선 형상 변화를 결정하였다. 혈중 약물 농도의 약동학 분석을 위해, 또한 PGD2 공격 및 호산구 형상 변화 측정을 위해 투여 후 여러 시기에 혈액을 채혈하였다. 약물 혈중 농도와 호산구 형상 변형의 억제 백분율 사이의 관계식으로부터 수용체 봉쇄의 정도를 결정하였다.
실험 2: 알레르겐 유도 비증상 및 염증성 및 알레르기성 바이오마커에 대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효과를 평가하는 임상 실험
알레르기성 비염을 앓는 개인에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2중 맹검, 무작위, 위약 조절 실험에서, 비증상 및 알레르기성 바이오마커의 억제를 적절한 알레르겐에 의한 비공격 후 결정하였다. 15명의 피험체(10명 활성, 5명 위약)를 사용하였다. 피험체에 위약 또는 상기 기재된 생체외 PGD2 유도 혈액 호산구 형상 변화 약동학 실험에서 DP2 수용체를 완전히 차단하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양으로 7일 동안 투여하였다. 7일에, 피험체에 비강 알레르겐 공격(투여 2시간 후)하였고 초기 알레르기성 반응(0.25∼1.0시간) 및 후기 알레르기성 반응(4∼24시간)을 치료군 대 위약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의 증가로 평가하였다. 또한, 염증성 세포 차이, Th2 사이토카인 및 다른 염증성 마커에서의 변화를 치료군 대 위약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의 증가로 결정하였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분석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혈장 농도를 1 ngㆍml-1의 검출 한계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였다(Ritter W. Determination of BAY u 3405, a novel thromboxane antagonist, in plasma and urine by HPLC and GC. In: Reid E, Wilson ID, eds. Bioanalytical Approaches for Drugs, Including Anti-asthmatics and Metabolites. Metaological Surveys in Biochemistry and Analysis, 1992; 22: 211-216).
실험 3 - 비엔나 공격 챔버 실험
실험 설계: 실험은 8일 동안 경구로 투여되는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무작위, 2중 맹검, 위약 조절, 2방식 크로스오버 평가이었다. 1주의 스크리닝 기간 및 2회의 치료 기간 사이에 3주의 휴약 기간을 두었다.
실험 약물의 마지막 투여 후 1주일 추적 관찰하였다. 1차 치료 기간 동안 실험 약물을 투여받고 2차 치료 동안 위약을 투여받은 환자군을 A군이라 칭하고, 1차 치료 기간 동안 위약을 투여받고 2차 치료 기간 동안 실험 약물을 투여받은 군을 B군이라 칭하였다.
치료 계획 및 방법: 알레르겐에 대한 기초 반응을 결정하기 위해 피험체에게 완전한 스크리닝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스크리닝 평가는 용량 시작 전에 1주가 걸렸다.
피험체는 실험의 각각의 치료 기간의 1일에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위약을 투역받기 시작하였다. 부작용, 전체 비증상 점수 및 병행 약제를 기록하였다.
피험체는 6시간 알레르겐 공격 동안 각각의 치료 기간의 2일에 진료실로 돌아와 보고하였다. 다음의 측정을 얻었다:
- 전체 비증상 점수(TNSS)(폐색, 비염, 가려움, 재채기); 각각의 증상을 0 내지 3의 카테고리 스케일로 공격전, 공격 시작 후 0 내지 6시간 매 15분 점수 매긴다.
- 눈 증상 점수(눈물 젖은 눈, 가려운 눈, 적색 눈); 각각의 증상을 0 내지 3의 카테고리 스케일로 공격전, 공격 시작 후 0 내지 6시간 매 15분 점수 매긴다.
- 다른 증상(기침, 가려운 목, 가려운 눈); 각각의 증상을 0 내지 3의 카테고리 스케일로 공격전, 공격 시작 후 0 내지 6시간 매 15분 점수 매긴다.
피험체는 6시간 알레르겐 공격 동안 각각의 치료 기간의 8일에 진료실로 돌아와 보고하였고, 2일에 얻은 측정을 기록하였다.
치료 기간 2에서 시험 물품의 마지막 투여 후 1주일 최종 추적 관찰 방문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52a: 비경구 조성물
주사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비경구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수용성 염 100 ㎎을 DMSO 중에 용해시킨 후, 0.9% 무균 식염수 10 mL와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주사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제형에 혼입시켰다.
실시예 52b: 경구 조성물
경구 전달용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화학식 Ⅰ의 화합물 100 ㎎을 전분 750 ㎎과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경구 투여에 적합한 경질 젤라틴 캡슐과 같은 경구 제형에 혼입시켰다.
실시예 52c: 설하 (경질 로렌지 ) 조성물
협측 전달을 위한 약학 조성물, 예컨대 경질 로렌지를 제조하기 위해, 화학식 Ⅰ의 화합물 100 ㎎을 투명한 옥수수 시럽 1.6 mL, 증류수 2.4 mL 및 민트 추출물 0.42 mL와 혼합된 분말 당 420 ㎎와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약하게 배합하고 금형에 부어 협측 투여에 적합한 로렌지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52d: 속해성 설하 정제
화학식 Ⅰ의 화합물 48.5 중량%, 미세결정질 셀룰로스(KG-802) 44.5 중량%, 저치환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50 ㎛) 5 중량%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 중량%를 혼합하여 속해성 설하 정제를 제조하였다. 직접 압축(AAPS PharmSciTech. 2006;7(2):E41)에 의해 정제를 제조하였다. 압축 정제의 전체 중량을 150 ㎎에서 유지시켰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의 양을 3차원 수동 혼합기(lnversina®, Bioengineering AG(스위스))를 사용하여 4.5분 동안 미세결정질 셀룰로스(MCC)의 전체 분량 및 저치환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L-HPC)의 분량의 ⅔ 과 혼합하여 제제를 제조하였다. 스테아르산마그네슘(MS)의 전부 및 남은 L-HPC의 분량의 ⅓을 혼합 종료 30 초 전 첨가하였다.
실시예 52e: 흡입 조성물
흡입 전달용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화학식 Ⅰ의 화합물 20 ㎎을 무수 시트르산 50 ㎎ 및 0.9% 염화나트륨 용액 100 mL와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흡입 투여에 적합한 뉴불라이저(nebulizer)와 같은 흡입 전달 유닛에 혼입시켰다.
실시예 52f: 직장 겔 조성물
직장 전달용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화학식 Ⅰ의 화합물 100 ㎎을 메틸셀룰로스(1500 mPa) 2.5 g, 메틸파라벤 100 ㎎, 글리세린 5 g 및 정제수 100 mL와 혼합하였다. 이후, 생성된 겔 혼합물을 직장 투여에 적합한 시린지와 같은 직장 전달 유닛에 혼입시켰다.
실시예 52g: 국소 겔 조성물
약학 국소 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화학식 Ⅰ의 화합물 100 ㎎을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1.75 g, 프로필렌 글리콜 10 mL,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0 mL 및 정제 알콜(USP) 100 mL와 혼합하였다. 생성된 겔 혼합물을 국소 투여에 적합한 관과 같은 용기에 혼입시켰다.
실시예 52h: 점안제 조성물
약학 점안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화학식 Ⅰ의 화합물 100 ㎎을 정제수 100 mL 중의 NaCl 0.9 g와 혼합하고 0.2 마이크론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시켰다. 이후, 생성된 등장액을 눈 투여에 적합한 점안제 용기와 같은 눈 전달 유닛에 혼입시켰다.
실시예 52i: 비강 분무액
약학 비강 분무액을 제조하기 위해, 화학식 Ⅰ의 화합물 10 g을 0.05 M 포스페이트 완충액 용액(pH 4.4) 30 mL와 혼합하였다. 이 용액을 각각의 도포를 위해 분무액 100 ㎕를 전달하도록 설계된 비강 투입기에 배치하였다.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 및 실시양태는 예시 목적만을 위한 것이고, 당업자에게 제시된 다양한 변형 또는 변경은 본원 및 특허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25)

  1. 하기 화학식 Ⅰ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화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프로드럭:
    화학식 Ⅰ
    Figure pct00009

    [상기 식 중,
    RA는 H 또는 C1-C6알킬이고;
    R4는 H, 할로겐, -CN, -OH, C1-C4알킬, C1-C4플루오로알킬, C1-C4플루오로알콕시, C1-C4알콕시 또는 C1-C4헤테로알킬이고;
    R6은 -NR13S(=O)2R12, -S(=O)2N(R12)(R13), -N(R12)(R13), -C(=O)N(R12)(R13), -NHC(=O)N(R12)(R13), -NR13C(=O)R12 또는 -NR13C(=O)OR12이고;
    R11은 C1-C6알킬, C1-C6할로알킬, C1-C6헤테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치환 또는 비치환 나프틸, 치환 또는 비치환 5원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 6원 헤테로아릴, 또는 -C1-C4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고;
    R12는 C1-C6알킬, C1-C6헤테로알킬, C1-C6플루오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치환 또는 비치환 나프틸, 치환 또는 비치환 벤질, 치환 또는 비치환 6원 헤테로아릴, 또는 -C1-C4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고;
    R13은 H 또는 C1-C4알킬이거나;
    동일한 N 원자에 연결된 R12와 R13은 이들이 연결된 N 원자와 함께 치환 또는 비치환 C2-C6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하고;
    x는 0, 1 또는 2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A가 H, -CH3 또는 -CH2CH3이고;
    R4가 H, F, Cl, Br, -OH, C1-C4알킬, C1-C4플루오로알킬, C1-C4플루오로알콕시 또는 C1-C4알콕시인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1이 C1-C6알킬, C1-C6할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또는 -C1-C4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인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Ⅱ의 구조를 갖는 것인 화합물:
    화학식 Ⅱ
    Figure pct00010
    .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가 H, F, Cl, Br, -OCH3, -CH3, -CH2CH3, -CHCH2, -CHF2, -CF3, -OCHF2 또는 -OCF3인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2가 C1-C6알킬, C1-C6헤테로알킬, C1-C6플루오로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치환 또는 비치환 벤질, 또는 -C1-C4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고;
    R13이 H 또는 -CH3인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6이 -NR13S(=O)2R12, -N(R12)(R13), -C(=O)N(R12)(R13), -NHC(=O)N(R12)(R13), -NR13C(=O)R12 또는 -NR13C(=O)OR12인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1이 C1-C6알킬, C1-C6할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또는 -C1-C4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인 화합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가 F, Cl, Br, -OCH3, -CH3, -CH2CH3, -CHCH2, -CHF2, -CF3, -OCHF2 또는 -OCF3인 화합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6이 -NR13C(=O)R12인 화합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2가 C1-C6알킬, C3-C6사이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벤질인 화합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1이 -CH2CH3, -CH(CH3)2, -C(CH3)3, -CH2CF3,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C1-C2알킬-(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인 화합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2가 -CH(CH3)3, -C(CH3)3, -CH2CH(CH3)2, -CH2C(CH3)3,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벤질인 화합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Ⅰ 또는 화학식 Ⅱ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Ⅲ의 구조를 갖는 것인 화합물:
    화학식 Ⅲ
    Figure pct00011
    .
  15. 제14항에 있어서,
    R11이 -CH2CH3, -CH(CH3)2, -C(CH3)3 또는 -CH2CF3이고;
    R12가 -CH(CH3)2, -C(CH3)3, -CH2CH(CH3)2, -CH2C(CH3)3,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이고;
    R13이 H인 화합물.
  16. 제15항에 있어서,
    R4가 F, Cl, -OCH3, -CF3 또는 -OCF3이고;
    R11이 -C(CH3)3이고;
    R12가 -C(CH3)3이고;
    R13이 H인 화합물.
  17. {3-[4-(4-클로로-벤조일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1);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2); {3-[4-(3-벤질-우레이도)-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3); {3-[4-(4-클로로-벤조일아미노)-2-(4-클로로-페닐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 {3-[2-(4-클로로-페닐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5); {3-[4-(3-벤질-우레이도)-2-(4-클로로-페닐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7); {3-[2-tert-부틸설파닐메틸-4-(4-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8);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9);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프로판-2-설포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10);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프로판-2-설피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11);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트리플루오로-에탄설포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12); {3-[4-(3-벤질-우레이도)-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13); {3-[4-(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14); {3-[4-이소부티릴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15); {3-[4-(3,3-디메틸-부티릴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16); {3-[4-(4-클로로-벤조일아미노)-2-페닐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17); {3-[2-벤질설파닐메틸-4-(4-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18); {3-[4-(4-클로로-벤조일아미노)-2-(5-메틸-[1,3,4]티아디아졸-2-일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19); {3-[4-(4-클로로-벤조일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20); {3-[4-(4-클로로-벤조일아미노)-2-(프로판-2-설피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21); {3-[4-(4-클로로-벤조일아미노)-2-(프로판-2-설포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22); {3-[2-벤젠설피닐메틸-4-(4-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23); {3-[2-벤젠설포닐메틸-4-(4-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24); [3-(4-에틸카바모일-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25); {3-[4-(4-클로로-벤질카바모일)-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26); (3-{4-[2-(4-플루오로-페닐)-에틸카바모일]-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27); {3-클로로-5-[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28); {3-클로로-5-[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트리플루오로-에탄설포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29); {3-클로로-5-[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30); {3-클로로-5-[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프로판-2-설포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31);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화합물 32);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트리플루오로-에탄설포닐메틸)-페녹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화합물 33); {3-[4-[(2,2-디메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34); {3-[2-tert-부틸설파닐메틸-4-(사이클로프로판카르보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35); [3-(2-tert-부틸설파닐메틸-4-이소부티릴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36); {3-[2-tert-부틸설파닐메틸-4-(3,3-디메틸-부티릴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37); {4-메톡시-3-[4-(2-옥소-옥사졸리딘-3-일)-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38); [3-(4-tert-부틸카바모일-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39);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옥소-2-페닐-에틸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0);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4-플루오로-페닐)-1,1-디메틸-에틸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1); {3-[2-tert-부틸설파닐메틸-4-(피페리딘-1-카르보닐)-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2); {3-[2-tert-부틸설파닐메틸-4-(6-메톡시-피리딘-3-일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3);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2-트리플루오로-에틸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4); {3-[2-tert-부틸설파닐메틸-4-(이소프로필-메틸-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5);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필카바모일)-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6);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5-클로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7); {3-클로로-5-[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메틸-프로판-2-설포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8); {4-디플루오로메톡시-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49); {4-디플루오로메톡시-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트리플루오로-에탄설포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50);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틸-페닐}-아세트산(화합물 51); {4-클로로-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52); {4-클로로-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53);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이소프로필설파닐메틸-페녹시]-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화합물 54);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비닐-페닐}-아세트산(화합물 55);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4-에틸-페닐}-아세트산(화합물 56); {4-메톡시-3-[4-(2-옥소-이미다졸리딘-1-일)-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57); [3-(4-벤조일아미노-2-tert-부틸설파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58);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화합물 59); {3-[2-tert-부틸설파닐메틸-4-(4-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0); [3-(2-tert-부틸설파닐메틸-4-이소부티릴아미노-페녹시)-4-클로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1); {3-[2-tert-부틸설파닐메틸-4-(3-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2); {3-[2-tert-부틸설파닐메틸-4-(4-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3);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4);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4-디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5); {3-[2-tert-부틸설파닐메틸-4-(3,5-디클로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6); {3-[2-tert-부틸설파닐메틸-4-(3,5-디플루오로-벤조일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7); {4-메톡시-3-[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4-(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8); {4-메톡시-3-[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4-(4-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69); {4-메톡시-3-[4-[(피리딘-3-카르보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70); {4-메톡시-3-[4-[(피리딘-4-카르보닐)-아미노]-2-(2,2,2-트리플루오로-에틸설파닐메틸)-페녹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71); {3-[2-tert-부틸설파닐메틸-4-(5-디메틸아미노-나프탈렌-1-설포닐아미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72);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메틸-프로판-2-설피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73);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메틸-프로판-2-설포닐메틸)-페녹시]-4-메톡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74); {3-[2-tert-부틸설파닐메틸-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페녹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75); 및 {3-[4-(2,2-디메틸-프로피오닐아미노)-2-(2-메틸-프로판-2-설피닐메틸)-페녹시]-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화합물 76)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학적 유효량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정맥내 주사, 경구 투여, 흡입, 코 투여, 국소 투여, 눈 투여 또는 귀 투여용으로 제제화되는 약학 조성물.
  20. 제18항에 있어서, 정제, 환제, 캡슐제, 액제, 흡입제, 비강 분무액, 좌제, 현탁제, 겔제, 콜로이드제, 분산액, 현탁액, 용액제, 에멀션제, 연고제, 로션제, 점안제 또는 점이제인 약학 조성물.
  21. 프로스타글란딘 D2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병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22. 포유동물에서 호흡기 질환 또는 병증, 알레르기성 질환 또는 병증 또는 염증성 질환 또는 병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23. 포유동물에서 천식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24. 포유동물에서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25. 포유동물에서 알레르기성 비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KR1020117001585A 2008-07-03 2009-07-02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의 길항제 KR101325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31108P 2008-07-03 2008-07-03
US61/078,311 2008-07-03
PCT/US2009/049621 WO2010003120A2 (en) 2008-07-03 2009-07-02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688A true KR20110022688A (ko) 2011-03-07
KR101325367B1 KR101325367B1 (ko) 2013-11-11

Family

ID=4100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585A KR101325367B1 (ko) 2008-07-03 2009-07-02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의 길항제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4) US8071807B2 (ko)
EP (1) EP2307362A4 (ko)
JP (1) JP5531370B2 (ko)
KR (1) KR101325367B1 (ko)
CN (1) CN102076661B (ko)
AR (1) AR074165A1 (ko)
AU (1) AU2009266793B2 (ko)
BR (1) BRPI0913930A2 (ko)
CA (1) CA2729292C (ko)
EA (1) EA019351B1 (ko)
GB (1) GB2461629B (ko)
HK (1) HK1156301A1 (ko)
IL (1) IL210000A (ko)
MX (1) MX2010014172A (ko)
PE (1) PE20100094A1 (ko)
TW (1) TWI403319B (ko)
UY (1) UY31956A (ko)
WO (2) WO2010003127A2 (ko)
ZA (1) ZA2010090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7262635B2 (en) 2006-06-23 2014-09-11 Adc Therapeutics Sa Polynucleotides and polypeptide sequences involved in cancer
US20110098352A1 (en) * 2008-02-01 2011-04-28 Amira Pharmaceuticals, Inc. N,n-disubstituted aminoalkylbiphen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WO2009099902A1 (en) 2008-02-01 2009-08-13 Amira Pharmaceuticals, Inc. N,n-disubstituted aminoalkylbiphen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JP2011512359A (ja) * 2008-02-14 2011-04-21 アミラ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ク. プロスタグランジンd2受容体の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環式ジアリールエーテル化合物
US8497381B2 (en) * 2008-02-25 2013-07-30 Panmira Pharmaceuticals, Llc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EP2268611A2 (en) * 2008-04-02 2011-01-05 Amira Pharmaceuticals, Inc. Aminoalkylphen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JP5531370B2 (ja) * 2008-07-03 2014-06-25 パンミラ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エルエルシー. プロスタグランジンd2受容体のアンタゴニスト
GB2463788B (en) * 2008-09-29 2010-12-15 Amira Pharmaceuticals Inc Heteroar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US8378107B2 (en) 2008-10-01 2013-02-19 Panmira Pharmaceuticals, Llc Heteroar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WO2010042652A2 (en) 2008-10-08 2010-04-15 Amira Pharmaceuticals, Inc. Heteroalkyl biphen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CA3050455A1 (en) 2008-11-03 2010-06-03 Adc Therapeutics Sa Antibodies that specifically block the biological activity of a tumor antigen
US8383654B2 (en) 2008-11-17 2013-02-26 Panmira Pharmaceuticals, Llc Heterocyclic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US20100173313A1 (en) * 2009-01-08 2010-07-08 Amira Pharmaceuticals, Inc. Biomarkers of inflammation
JP2013500978A (ja) * 2009-07-31 2013-01-10 パンミラ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エルエルシー. Dp2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の眼の医薬組成物
MX2012001542A (es) * 2009-08-05 2012-06-19 Panmira Pharmaceuticals Llc Antagonista dp2 y usos del mismo.
WO2011085033A2 (en) * 2010-01-06 2011-07-14 Amira Pharmaceuticals, Inc. Dp2 antagonist and uses thereof
US9034888B2 (en) 2010-02-17 2015-05-19 Universite Laval Substituted 2-imidazolidones and analogs
CN102958914B (zh) 2010-07-05 2015-05-27 埃科特莱茵药品有限公司 1-苯基取代的杂环衍生物及其作为前列腺素d2受体调节剂的用途
EP2457900A1 (en) 2010-11-25 2012-05-30 Almirall, S.A. New pyrazole derivatives having CRTh2 antagonistic behaviour
US9820951B2 (en) 2011-01-14 2017-11-21 National Jewish Health, A Non-Profit Organization Pulmonary disease treatment and diagnosis based on Arhgef1
TWI527809B (zh) * 2011-01-24 2016-04-01 百靈佳殷格翰國際股份有限公司 作為crth2拮抗劑之吡唑化合物
KR102140984B1 (ko) 2011-03-31 2020-08-06 에이디씨 테라퓨틱스 에스에이 신장 결합 항원 1에 대한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
EP2526945A1 (en) 2011-05-25 2012-11-28 Almirall, S.A. New CRTH2 Antagonists
EP2548863A1 (en) 2011-07-18 2013-01-23 Almirall, S.A. New CRTh2 antagonists.
EP2548876A1 (en) 2011-07-18 2013-01-23 Almirall, S.A. New CRTh2 antagonists
BR112014015081A8 (pt) 2011-12-21 2017-06-13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derivados heterocíclicos e seu uso como moduladores do receptor d2 de prostaglandina
EP3533468A1 (en) 2012-01-09 2019-09-04 ADC Therapeutics SA Method for treating breast cancer
CA2876808A1 (en) 2012-07-05 2014-01-09 Actelion Pharmaceuticals Ltd 1-phenyl-substituted heterocyclyl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prostaglandin d2 receptor modulators
JP6348904B2 (ja) * 2012-09-20 2018-06-27 テンプル・ユニバーシティ−オブ・ザ・コモンウェルス・システム・オブ・ハイアー・エデュケイションTemple University−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置換アルキルジアリール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
WO2014066568A1 (en) 2012-10-24 2014-05-01 Winthrop-University Hospital Non-invasive biomarker to identify subjects at risk of preterm delivery
AU2015256075B2 (en) * 2014-05-06 2021-02-25 Northwestern University Combinations of NMDAR modulating compounds
CN104016878B (zh) * 2014-06-24 2015-06-10 中国药科大学 芳基乙酸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医药用途
WO2017023912A1 (en) 2015-08-03 2017-02-09 Temple University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2,4,6-trialkoxystryl aryl sulfones, sulfonamides and carboxamid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KR20190123293A (ko) * 2017-02-26 2019-10-31 오에이티 아그리오 가부시키가이샤 티아졸 화합물 및 제초제
SG11202002065VA (en) 2017-09-13 2020-04-29 Progenity Inc Preeclampsia biomarke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TW202100526A (zh) 2019-03-06 2021-01-01 日商第一三共股份有限公司 吡咯并吡唑衍生物
EP4070113A4 (en) 2019-12-04 2023-12-20 Biora Therapeutics, Inc. ASSESSMENT OF PREECAMPSIA USING FREE AND DISSOCIATE PLACENTAL GROWTH FACTOR ASSAYS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9084A (en) * 1990-06-29 1993-08-24 Hoffmann-La Roche Inc. Substituted aminoalkyl biphenyl compounds
US5827868A (en) * 1991-10-07 1998-10-27 E. R. Squibb & Sons, Inc. Prostaglandin analogs
US5334598A (en) * 1993-03-19 1994-08-02 Merck & Co., Inc. Six-membered ring fused imidazoles substituted with phenoxyphenylacetic acid derivatives
US5565485A (en) * 1993-03-19 1996-10-15 Merck & Co., Inc. Biphenyl compounds useful or endothelin antagonists
US5391566A (en) 1993-07-20 1995-02-21 Merck & Co., Inc. Benzimidazolinones substituted with phenoxyphenylacetic acid derivatives
CO4960662A1 (es) 1997-08-28 2000-09-25 Novartis Ag Ciertos acidos 5-alquil-2-arilaminofenilaceticos y sus derivados
WO1999065867A1 (en) 1998-06-17 1999-12-23 Du Pont Pharmaceuticals Company Cyclic hydroxamic acids as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US6617351B1 (en) * 1998-07-31 2003-09-09 Eli Lilly And Company Amide, carbamate, and urea derivatives
JP2002543065A (ja) * 1999-04-28 2002-12-17 アベンティス・ファーマ・ドイチユ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Ppap受容体リガンドとしてのトリアリール酸誘導体
DE19937537A1 (de) * 1999-08-09 2001-03-08 Gruenenthal Gmbh Substituierte 2-Dialkylaminoalkylbiphenyl-Derivate
EP1211513B1 (en) * 1999-08-23 2006-01-04 BML, Inc. Method of identifying modulator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US20010047027A1 (en) * 2000-04-12 2001-11-29 Marc Labelle Prostaglandin D2 receptor antagonists
US6878522B2 (en) 2000-07-07 2005-04-12 Baiyong Li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of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disease states mediated by prostaglandin D2
DE60215000T2 (de) * 2001-05-23 2007-08-09 Merck Frosst Canada & Co, Kirkland Dihydropyrroloil[1,2-a]indol- und Tetrahydropyridol[1,2-a]indol-Derivate als Prostaglandin-D2-Rezeptor-Antagonisten
US7687664B2 (en) * 2001-06-04 2010-03-30 Eisai R&D Management Co., Ltd. Carboxylic acid derivative, a salt thereof or an ester of them, and medicament comprising it
DE60334015D1 (de) * 2002-10-30 2010-10-14 Merck Frosst Canada Ltd Pyridopyrrolizin- und pyridoindolizinderivate
JP2004182657A (ja) 2002-12-04 2004-07-02 Eisai Co Ltd Hdlレベル上昇促進剤
CN100406007C (zh) 2002-12-20 2008-07-30 安姆根有限公司 哮喘和过敏性炎症调节剂
DK1471057T3 (da) 2003-04-25 2006-05-15 Actimis Pharmaceuticals Inc Pyrimidinyleddikesyrederivater, der er egnede til behandlingen af sygdomme medieret af CRTH2
AU2004283139A1 (en) 2003-10-14 2005-05-06 Oxagen Limited Compounds having CRTH2 antagonist activity
GB0324763D0 (en) 2003-10-23 2003-11-26 Oxagen Ltd Use of compounds in therapy
JP4922615B2 (ja) * 2003-11-26 2012-04-25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受容体機能調節剤
US7019022B2 (en) * 2003-12-15 2006-03-28 Merck Frosst Canada & Co. Substituted tetrahydrocarbazole and cyclopentanoindole derivatives
JP2007186422A (ja) * 2004-01-28 2007-07-26 Astellas Pharma Inc アリールスルフィド誘導体
GB0409921D0 (en) 2004-05-04 2004-06-09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GB0415320D0 (en) 2004-07-08 2004-08-11 Astrazeneca Ab Novel compounds
RU2007109778A (ru) 2004-08-17 2008-09-27 Галдерма Ресерч Энд Девелопмент, С.Н.С. (Fr) Новые биароматические соединения, которые активируют рецепторы типа ppar,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осметических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композициях
JP2008513512A (ja) * 2004-09-21 2008-05-01 アサーシス, インク. Crth2受容体拮抗作用を示すインドール酢酸およびこれらの使用
CA2581335A1 (en) * 2004-09-21 2006-03-30 Athersys, Inc. Benzimidazole acetic acids exhibiting crth2 receptor antagonism and uses thereof
WO2006052798A2 (en) 2004-11-08 2006-05-18 Merck & Co., Inc. Method of treating pathological blushing
GB0510584D0 (en) 2005-05-24 2005-06-29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GB0518783D0 (en) * 2005-09-14 2005-10-26 Argenta Discovery Ltd Indolizine compounds
BRPI0616574A2 (pt) 2005-09-27 2009-11-24 Shionogi & Co derivado de sulfonamida tendo atividade antagonìstica de receptor de pgd2
US8148572B2 (en) 2005-10-06 2012-04-03 Astrazeneca Ab Compounds
ATE545637T1 (de) * 2005-12-15 2012-03-15 Astrazeneca Ab Substituierte diphenylether, -amine, -sulfide und methane zur behandlung von atemwegserkrankungen
SI1976828T1 (sl) * 2005-12-29 2017-07-31 Celtaxsys, Inc. Diaminski derivati kot inhibitorji levkotrien A4 hidrolaze
UA96459C2 (uk) 2006-08-21 2011-11-10 Еррей Біофарма Інк. 4-заміщені похідні феноксифенілоцтової кислоти
US7960567B2 (en) 2007-05-02 2011-06-14 Amgen Inc. Compounds and methods useful for treating asthma and allergic inflammation
EP2170814B1 (en) 2007-06-12 2016-08-17 Achaogen, Inc. Antibacterial agents
CN101687844B (zh) 2007-07-02 2013-11-13 弗·哈夫曼-拉罗切有限公司 用作ccr2受体拮抗剂的咪唑衍生物
JP2010540584A (ja) * 2007-10-01 2010-12-24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 Ccr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n−複素環ビアリールカルボキサミド類
GB0719521D0 (en) 2007-10-05 2007-11-14 Argenta Discovery Ltd Compounds
GB0722203D0 (en) 2007-11-13 2007-12-19 Oxagen Ltd Use of CRTH2 antagonist compounds
GB0722216D0 (en) 2007-11-13 2007-12-27 Oxagen Ltd Use of crth2 antagonist compounds
WO2009090414A1 (en) * 2008-01-18 2009-07-23 Oxagen Limited Compounds having crth2 antagonist activity
WO2009099902A1 (en) * 2008-02-01 2009-08-13 Amira Pharmaceuticals, Inc. N,n-disubstituted aminoalkylbiphen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US20110098352A1 (en) * 2008-02-01 2011-04-28 Amira Pharmaceuticals, Inc. N,n-disubstituted aminoalkylbiphen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JP2011512359A (ja) 2008-02-14 2011-04-21 アミラ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ク. プロスタグランジンd2受容体のアンタゴニストとしての環式ジアリールエーテル化合物
EP2268611A2 (en) 2008-04-02 2011-01-05 Amira Pharmaceuticals, Inc. Aminoalkylphen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JP5531370B2 (ja) 2008-07-03 2014-06-25 パンミラ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エルエルシー. プロスタグランジンd2受容体のアンタゴニスト
US8378107B2 (en) 2008-10-01 2013-02-19 Panmira Pharmaceuticals, Llc Heteroar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WO2010042652A2 (en) 2008-10-08 2010-04-15 Amira Pharmaceuticals, Inc. Heteroalkyl biphen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US8383654B2 (en) 2008-11-17 2013-02-26 Panmira Pharmaceuticals, Llc Heterocyclic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US20100173313A1 (en) * 2009-01-08 2010-07-08 Amira Pharmaceuticals, Inc. Biomarkers of inflammation
JP2013500978A (ja) 2009-07-31 2013-01-10 パンミラ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エルエルシー. Dp2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の眼の医薬組成物
CN102596193A (zh) 2009-07-31 2012-07-18 潘米拉制药公司 Dp2受体拮抗的皮肤调配物
WO2011085033A2 (en) * 2010-01-06 2011-07-14 Amira Pharmaceuticals, Inc. Dp2 antagonist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009090B (en) 2011-09-28
WO2010003127A2 (en) 2010-01-07
US20100004331A1 (en) 2010-01-07
HK1156301A1 (en) 2012-06-08
EP2307362A4 (en) 2012-05-09
JP2011526930A (ja) 2011-10-20
BRPI0913930A2 (pt) 2015-10-20
CN102076661B (zh) 2014-04-09
EA019351B1 (ru) 2014-03-31
IL210000A (en) 2014-09-30
WO2010003127A3 (en) 2010-04-15
EP2307362A2 (en) 2011-04-13
CA2729292A1 (en) 2010-01-07
KR101325367B1 (ko) 2013-11-11
GB2461629A (en) 2010-01-13
US8071807B2 (en) 2011-12-06
UY31956A (es) 2010-01-29
GB0911563D0 (en) 2009-08-12
MX2010014172A (es) 2011-02-22
CN102076661A (zh) 2011-05-25
AU2009266793B2 (en) 2012-12-20
TW201014590A (en) 2010-04-16
WO2010003120A2 (en) 2010-01-07
US20120016029A1 (en) 2012-01-19
US20110190227A1 (en) 2011-08-04
GB2461629B (en) 2010-05-26
AR074165A1 (es) 2010-12-29
TWI403319B (zh) 2013-08-01
US8247602B2 (en) 2012-08-21
US20110144160A1 (en) 2011-06-16
PE20100094A1 (es) 2010-02-18
IL210000A0 (en) 2011-02-28
EA201100133A1 (ru) 2011-08-30
WO2010003120A3 (en) 2010-04-29
JP5531370B2 (ja) 2014-06-25
AU2009266793A1 (en) 2010-01-07
CA2729292C (en)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367B1 (ko)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의 길항제
US8049015B2 (en) Heteroar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US8338484B2 (en) N,N-disubstituted aminoalkylbiphen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US8034826B2 (en) Cycloalkane[B]azaindole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US20110098352A1 (en) N,n-disubstituted aminoalkylbiphenyl antagonists of prostaglandin d2 receptors
JP4191034B2 (ja) 呼吸器疾患の治療のためのフェネタノールアミン誘導体
US10351511B2 (en) Cyclic vinylogous amides as bromodomain inhibitors
JP2008512364A (ja) 4−アミノメチルベンズアミジン誘導体及び第VIIa因子阻害剤としてのそ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