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586A - 조립 선반 - Google Patents

조립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586A
KR20100137586A KR1020107026987A KR20107026987A KR20100137586A KR 20100137586 A KR20100137586 A KR 20100137586A KR 1020107026987 A KR1020107026987 A KR 1020107026987A KR 20107026987 A KR20107026987 A KR 20107026987A KR 20100137586 A KR20100137586 A KR 20100137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engagement
support
engag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635B1 (ko
Inventor
다카시 시노자키
Original Assignee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327287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84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84215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8436B1/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3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47B57/3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the grooved or notched parts being the side walls or uprights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tongues, pins or similar projecting means coacting with opening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2개의 주지주부(11)와 주지주부(11)를 연결하는 연결부(12)로 이루어지는 지주축을 중심으로 한 대칭 형상이며, 연결부(12)의 길이 방향으로 규칙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131)이 형성된 지주(1)와, 지주(1)에 걸어맞추는 제1 걸어맞춤부와 선반 부재에 걸어맞추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지주(1)의 폭 방향의 1/2의 영역을 이용하여, 지주(1)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지지하도록 부착되는 한 쌍의 결합 부재(2)와, 제2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제3 걸어맞춤부가 대략 네 모서리에 형성된 선반 부재(3)를 구비하는 것이며, 지주(1) 중에 있어서 한 쌍의 결합 부재(2)와 선반 부재(3)는, 지주(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1/2의 영역에 배치되는 조립 선반(10).

Description

조립 선반{RACK ASSEMBLY}
본 발명은, 사무소, 가정, 창고, 점포 등에서 사용하는 수납 선반, 혹은 점포에서 사용하는 진열 선반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조립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등록 실용 신안 공보 제3057990호에는, 길이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환상의 고정 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지주와, 내주면에 형성된 라인형 돌기를 상기 지주의 고정 홈에 고정하여 지주의 외주면에 부착되고, 외형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확대된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 슬리브와, 그 테이퍼 슬리브의 외면 형상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략 일치하도록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된 내면 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 부착된 테이퍼 슬리브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링이 네 모서리에 고착된 선반부로 이루어지는 선반부의 고정 구조로서, 상기 선반부의 좌우의 링은 선반부에 대해서 좌우 다른 높이에 고착되고, 상기 테이퍼 슬리브의 외주면에 상하 서로 다르게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좌우의 선반부가 동일한 지주를 공용하여 단차없이 연결되도록 한 선반부의 고정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등록 실용 신안 공보 제3066571호에는, 등간격으로 원주 방향의 오목홈을 설치한 4개의 지주와 선반으로 이루어지고, 세로로 나누어 2개로 분할함과 더불어 양자를 합쳐 일체 가능하게 하고, 내면에 지주에 설치한 원주 방향의 오목홈에 끼워 맞추는 원주 방향의 라인형 돌기를 설치한, 지주의 높이 방향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테이퍼 슬리브와, 지주를 측면으로부터 넣을 수 있도록 세로 방향의 절결을 설치한 상기 테이퍼 슬리브에 씌워지는 테이퍼 슬리브를 이용하고, 그 테이퍼 슬리브를 선반의 일부에 일체적으로 고정하고, 그 테이퍼 슬리브를 상기 지주에 고정시키는 테이퍼 슬리브에 씌워 선반을 부착하는 구조의 금속제 랙으로서, 선반으로서, 틀과 평판형상의 선반 본체를 일체로 하고, 틀의 네 모서리에 테이퍼 슬리브를 고정한 선반과,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테이퍼 슬리브를 고정하고, 랙의 폭방향의 지주에 걸쳐 놓는 한 쌍의 틀과, 그 틀과 별체로 구성하고, 그 틀에 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쳐 놓는, 폭을 상기 틀과 선반 본체를 일체로 한 선반의 절반의 폭으로 한 선반 본체로 구성한 선반과,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테이퍼 슬리브를 고정하고, 랙의 길이 방향의 지주에 걸쳐 놓는 한 쌍의 틀과, 그 틀과 별체로 구성하고, 그 틀에 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쳐 놓는, 길이를 상기 틀과 선반 본체를 일체로 한 선반의 절반의 길이로 한 선반 본체로 구성한 선반으로 구성하고, 이들 선반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이용하도록 구성한 금속제 랙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종래의 조립 선반은, 예를 들면 2개의 선반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경우, 1개의 지주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보기에 좋고, 또 조립도 용이하다.
일본국 등록 실용 신안 공보 제3057990호 일본국 등록 실용 신안 공보 제3066571호
그러나, 이들 종래의 조립 선반은, 상하 복수단을 가지는 조립 선반에 있어서의 중간 선반 부재의 위치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이하, 「중간 빼기 조작」이라고도 한다.), 그 중간 선반 부재보다 상방에 있는 선반 부재를 반드시 제거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조립은 간단하긴 하지만, 중간 빼기 조작은 불편하고, 실질적으로 중간 빼기가 행해지지 않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고, 또 상하 복수단을 가지는 조립 선반에 있어서의 중간 선반 부재의 위치 변경을, 다른 선반 부재는 그대로, 당해 중간 선반 부재만의 해체 및 재부착을 행할 수 있는 조립 선반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2개의 주(主)지주부와 상기 주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지주축을 중심으로 한 대칭 형상이며,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규칙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에 걸어맞추는 제1 걸어맞춤부와 선반 부재에 걸어맞추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지주의 폭 방향의 1/2의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지주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지지하도록 부착되는 한 쌍의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제3 걸어맞춤부가 대략 네 모서리에 형성된 선반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1개의 지주 중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 부재와 상기 선반 부재는, 상기 지주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1/2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2개의 주지주부와 상기 주지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지주축을 중심으로 한 대칭 형상이며, 상기 주지주부의 양측면에서 또한 길이 방향으로 규칙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복수의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된 지주의 4개와,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걸어맞춤 볼록부를 가지며 또한 지주의 측면에 맞닿는 제1 걸어맞춤부와 선반 부재에 걸어맞추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지주의 폭 방향의 1/2의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지주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지지하도록 부착되는 한 쌍의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제3 걸어맞춤부가 대략 네 모서리에 형성된 선반 부재를 조립하는 것이며, 상기 1개의 지주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 부재와 상기 선반 부재는, 상기 지주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1/2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 선반에 의하면, 조립이 용이하고, 또 상하 복수단을 가지는 조립 선반에 있어서의 중간 선반 부재의 위치 변경을, 다른 선반 부재는 그대로 하고, 당해 중간 선반 부재만의 해체 및 재부착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의 형태의 조립 선반의 사시도.
도 2는 본 예에 있어서의 조립 전의 지주와 한 쌍의 결합 부재의 사시도.
도 3은 선반 부재를 끼워 넣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선반 부재의 길이 방향에 다른 선반 부재를 연결한 조립 선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 선반의 중간 결합 부분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제2 실시의 형태의 조립 선반의 사시도.
도 7은 본 예에 있어서의 조립 전의 지주와 한 쌍의 결합 부재의 사시도.
도 8은 선반 부재를 끼워 넣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도 8의 선반 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0은 지주의 조립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선반 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2는 제3 실시의 형태의 조립 전의 지주와 한 쌍의 결합 부재의 사시도.
도 13은 선반 부재를 끼워 넣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도 8의 지주의 조립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15는 도 1과 도 4의 선반 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6은 중간 선반 부재의 중간 빼기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중간 빼기 조작 후, 중간 선반 부재가 재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제4 실시의 형태의 조립 선반의 사시도.
도 19는 본 예에 있어서의 조립 전의 지주와 한 쌍의 결합 부재의 사시도.
도 20은 선반 부재를 끼워 넣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선반 부재를 끼워 넣은 후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도 2에 있어서 지주축을 포함하는 선반 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 절단 한 단면도.
도 23은 선반 부재의 길이 방향에 다른 선반 부재를 연결한 조립 선반의 사시도.
도 24는 중간 선반 부재의 중간 빼기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중간 빼기 조작 후, 중간 선반 부재가 재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다음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조립 선반을 도 1~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립 선반(10)은, 지주(1)와, 한 쌍의 결합 부재(2)와, 선반 부재(3)를 구비하는 것이다. 하나의 선반 부재(3)를 지주(1)에 고정하려면, 1개의 선반 부재(3)와, 4개의 지주(1)와, 4조의 결합 부재를 필요로 한다. 도 1의 상하 3단 선반의 조립 선반(10)은, 3개의 선반 부재(3)와, 4개의 지주(1)와, 12조의 결합 부재를 필요로 한다. 12조의 결합 부재란 한 쌍의 결합 부재가 12개 있는 것의 의미이며, 결합 부재의 부재가 수로서는, 24개이다.
조립 선반(10)에 있어서, 지주(1)는, 2개의 주지주부(11)(11a, 11b)와 주지주부(11)를 연결하는 연결부(12)로 이루어지는 지주축(연결부의 중앙의 가상의 연직축)을 중심으로 한 대칭 형상이다. 대칭 형상이란, 지주축을 중심으로 하여,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선반 부재의 길이 방향에 선대칭이며, 또 선반 부재의 폭 방향으로 선대칭을 말한다. 주지주부(11)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예에서는 약간 편평한 대략 5각형 형상이다. 주지주부(1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길이 방향)는 선반의 단수 등에 의해 적절히 결정된다. 이러한 주지주부(11)는 지주(1)에 강도를 부여함과 더불어, 결합 부재(2)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한다. 주지주부(11)는 실체여도, 중공체여도 되지만, 본 예와 같이 중공체로 하는 것이, 경량이며 높은 강도를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의 부호 15는 중공체에 씌워진 캡이다.
연결부(12)의 형상은, 소정폭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체이다. 또, 연결부(12)에는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규칙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3)은 결합 부재(2)의 설치를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선반 부재의 설치 위치의 기준도 된다. 연결부(12)의 두께는, 지주(1)의 강도가 부여 가능한 두께가 적절히 결정된다. 연결부(12)의 폭은 관통 구멍(13)에 2개의 결합 부재(2)의 볼록부(23a)가 옆으로 줄지어 2개 삽입되기 때문에, 결합 부재(2)의 볼록부(23a)의 두께에 의해 적절히 결정된다. 관통 구멍(13)으로서는 둥근 구멍, 직사각형 형상 구멍 또는 타원 구멍 등을 들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일정한 피치로 복수의 직사각형 형상 관통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조립 선반(10)을 1기(통상은 상하 다단)로 하면, 1기의 조립 선반에서 사용하는 1개의 지주(1)에 있어서, 지주(1) 중에 있어서의 한 쌍의 결합 부재(2, 2)와 선반 부재(3)는, 지주(1)의 폭 방향(도 2 중, Y-Y 방향이며, 평면에서 볼 때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1/2의 영역, 즉, 1개의 주지주부(11a)와 관통 구멍(13)의 주지주부(11a)측의 절반(도 2 중, X영역)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지주(1)의 절반을 사용함으로써, 조립 선반(10)의 2기를, Y-Y방향으로 연결했을 때, 1개의 지주(1)를 좌우의 선반 부재(3, 3)의 고정에 있어서, 공유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는, 지주(1)에 걸어맞추는 제1 걸어맞춤부와 선반 부재(3)에 걸어맞추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지주(1)의 폭 방향의 1/2의 영역을 이용하여, 지주(1)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지지하도록 부착되는 것이다. 도 2의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는 서로 다른 형상이다. 한쪽의 결합 부재(2a)는, 소정의 높이(상하 방향 길이)를 가지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역ㄷ자 형상의 것이며, 한쪽의 주지주부(11a)의 한쪽의 측면 형상(16a)에 상당하는 형상의 오목부(22a)와, 오목부(22a)에 인접하는 관통 구멍(13)을 관통하는 볼록부(23a)를 가진다. 즉, 제1 걸어맞춤부는 주지주부(11a)의 측부를 포접(包接)하는 오목부(22a)와, 관통 구멍(13)을 관통하는 볼록부(23a)이다. 본 예의 볼록부(23a)는 대략 역ㄷ자 형상의 배판(21a)의 일단(지주(1)의 내측의 단)으로부터 배판(21a)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2개의 대략 직사각형 단면 형상의 팔형상부(23a, 23a)이다. 팔형상부(23a, 23a)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관통 구멍(13, 13)에 끼워지는 것이며, 그 두께(수평 방향)는 관통 구멍(13)의 1/2이며, 그 높이(상하 방향)는 관통 구멍(13)의 높이에 대략 같은 것이다.
또, 배판(21a)의 외측이며 또한 선반 부재측에는, 판형상물(돌기형상물)(제2 걸어맞춤부)(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걸어맞춤부(24a)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는 경사 측면(242)과,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는 경사 배면(241)을 가진다. 또한, 경사 배면(241)의 경사는 경사 측면(242)보다 완만하다. 또, 제2 걸어맞춤부(24a)의 선반 부재측의 단면과 결합 부재(2a)의 선반 부재측의 단면은 면일로 되어 있다.
다른쪽의 결합 부재(2b)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역ㄷ자 형상의 것이며, 한쪽의 주지주부(11a)의 한쪽의 측면 형상(16b)에 상당하는 형상의 오목부(22b)와, 오목부(22b)에 인접하는 한쪽의 결합 부재(2a)의 팔형상부(23a, 23a)와 걸어맞추는 2개의 오목부(23b, 23b)(제2 오목부)를 가진다. 즉, 다른쪽의 결합 부재(2b)의 제1 걸어맞춤부는 주지주부(11a)의 다른쪽의 측면 형상(16b)에 맞닿는 오목부(22b)이다. 2개의 제2 오목부(23b, 23b)의 형상은 팔형상부(23a, 23a)와 거의 간극없이 걸어맞추는 형상이며, 구체적으로는 팔형상부(23a, 23a)가 걸어맞춰지는 측과 Y-Y방향에 있어서의 선반 부재와는 반대측이 모두 개구되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오목부이다.
또, 배판(21b)의 외측이며 또한 선반 부재(3)측에는, 한쪽의 결합 부재(2a)와 같이, 판형상물(돌기형상물)(제2 걸어맞춤부)(24b)(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걸어맞춤부(24b)의 형상은 한쪽의 결합 부재(2a)의 제2 걸어맞춤부(24a)와 같다. 또한,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의 높이(상하 길이)는, 선반 부재(3)의 높이(두께)와 같다.
지주(1)에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를 부착하려면, 먼저, 한쪽의 결합 부재(2a)를 선반 부재(3)를 설치하고 싶은 위치에 있는 2개의 관통 구멍(13)에, 팔형상부(23a, 23a)를 관통시키고, 또한 주지주부(11a)의 한쪽의 측면(16a)에 한쪽의 결합 부재(2a)의 오목부(22a)를 밀착시킨다. 다음에, 다른쪽의 결합 부재(2b)의 2개의 제2 오목부(23b, 23b)와 팔형상부(23a, 23a)를 걸어맞추고, 양자를 일체화시킨다(도 3).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와 지주(1)의 일체화물은, 각각의 부재간에 거의 간극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마치 지주(1)의 일부의 형상과 같다. 즉,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와 지주(1)의 일체화물은, 지주(1)의 폭 방향의 절반의 영역에 형성되는 상자 형상체이며, 이 상자 형상체의 양측에 판형상물(돌기형상물)(24a, 24b)이 부설된 것이다.
선반 부재(3)는, 판형상물(돌기형상물)(24a, 24b)(제2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제3 걸어맞춤부(31)가 대략 네 모서리에 형성된 것이다. 본 예에 있어서 네 모서리란, 선반 부재(3)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이다. 네 모서리를 이러한 위치로 함으로써, 4개의 지주로 형성되는 설치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고, 조립 선반(10)의 설치가 안정된다. 선반 부재의 선반 본체 부분은 보드 형상 또는 그물코 형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보드 형상으로 하는 것이, 제3 걸어맞춤부(31)의 형성이 용이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선반 부재(3)의 제3 걸어맞춤부(31)는,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와 지주(1)로 형성되는 상자형상체를 수납하는 용적에 상당하는 부분(311)이 도려내어지고, 또한, 판형상물(24a, 24b)의 형상이 들어가는 용적에 상당하는 부분(34)이 그 부분(311)의 안쪽의 양측에 형성된 것이다. 즉, 제3 걸어맞춤부(31)의 좌우의 소공간(34)의 전단의 경사면(33)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는 경사면이며, 소공간(34)의 측면(34)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는 경사면이다. 또한, 선반 부재(3)의 제3 걸어맞춤부(31)는, 선반 부재(1)의 폭 방향의 단면으로부터 단차를 가지며 약간 안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 선반 부재(3)의 제3 걸어맞춤부(31)를 제2 걸어맞춤부(24a, 24b)에 걸어맞추면, 제2 걸어맞춤부와 제3 걸어맞춤부의 각각의 테이퍼부가 끼워 맞춰져 양자가 강하게 고정됨과 더불어, 소공간(34)을 형성하는 오목부의 천정면이 판형상물(24a)의 상면과 맞닿기 때문에, 하방으로의 압입이 정지하여 상하 방향의 위치가 정해지고, 또한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의 결합이 해제되는 일이 없어진다.(도 5).
조립 선반(10)에 있어서, 지주(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1/2의 영역에, 조립 선반의 길이 방향에 연결되는 같은 형상의 다른 선반 부재와 상기 다른 선반 부재를 고정하는 같은 형상의 다른 결합 부재가 끼워넣어지고, 2개의 선반 부재(3, 3)를 1개의 지주(1)를 개재하여 연결함으로써 조립 선반(2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 선반(20)은 1개의 지주(1)의 양측에 각각 선반 부재(3)를 설치하고, 2열의 조립 선반으로 한 것이다. 조립 선반(20)에 있어서, 조립 선반(10)과 다른 점은, 중간의 지주(1)의 고정 부분이다. 즉,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 선반(10)에서 사용하고 있지 않는, 지주(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1/2의 영역 부분에, 새롭게 연결하는 선반 부재(3)와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가 부착된다. 사용하는 선반 부재(3) 및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 및 설치 방법은, 조립 선반(10)의 경우와 같다. 조립 선반(10)은, 같은 방법으로 3열 또는 그 이상으로 연결한 조립 선반으로 할 수 있다.
조립 선반(10) 및 조립 선반(20)에 있어서, 예를 들면 중간 선반 부재(3b)를 제거하고 싶은 경우, 혹은 그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중간 빼기 조작)에 대해서 도 1, 도 1과 도 6 및 도 1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6의 중간 선반 부재(3b)의 중간 빼기는, 중간 부재(3b)를 그대로 상방으로 약간 들어 올린다. 그 때, 중간 부재(3b)의 상방 공간(X)에 장해가 되는 것은 없고, 결합 부재(2a, 2b)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의 지주(1)와 선반 부재(3)의 제3 걸어맞춤부(31)는 간극이 충분히 있는 상태가 된다. 조금 들려도, 중간 선반부재(3b)를 길이 방향으로 내림 경사 또는 오름 경사가 되도록 기울인다(도 1과 도 6 참조). 이 기울이는 위치는 기울어진 중간 선반 부재(3b)에 있어서의 수평 치수가 조립 선반(10)의 2개의 지주(1, 1)간의 개구보다 작아지는 위치이다. 이 중간 선반 부재(3b)를 기울인 상태로부터 중간 선반 부재(3b)를 그대로의 자세로 앞쪽으로 인출하면, 중간 선반 부재(3b)의 중간 빼기가 가능해진다. 또한, 그 후,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를 제거하거나, 혹은 위치를 변경하여 부착하면 된다. 중간 선반 부재(3b)를 재설치하려면, 상기 제거 방법과는 반대의 조작 방법으로 행하면 된다. 중간 선반 부재(3b)의 재설치 후의 상태를 도 1과 도 7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조립 선반(10) 및 조립 선반(20)은, 중간 빼기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도 6 및 도 1과 도 7에 있어서, 도 1과 다른 점은 관통 구멍(13)의 형상이다. 즉, 도 1과 도 6 및 도 1과 도 7 중, 관통 구멍군은 근접한 3개의 관통 구멍(13)을, 상하 방향(지주(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다수 형성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조립 선반을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9 및 도 11은 도 8의 끼워 맞춤 위치와는 선반 부재에 있어서의 대각 방향에 있는 끼워 맞춤 부분의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즉, 조립 선반(10a)에 있어서, 조립 선반(10)과 주로 다른 점은, 지주(1)의 관통 구멍의 형상, 한 쌍의 결합 부재의 형상 및 선반 부재의 제3 걸어맞춤부의 형상이다.
지주(1)의 관통 구멍은 둥근 구멍이며, 2개 거른 둥근 구멍간의 피치가 근접하는 둥근 구멍간의 피치보다 크다. 이러한 관통 구멍이어도, 선반 부재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음과 더불어, 의장성이 있고, 지주 강도도 높아진다.
한 쌍의 결합 부재(2c)는, 각각 좌우 대칭 형상이며, 한쪽의 결합 부재(2c)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한쪽의 결합 부재(2c)는, 소정의 높이(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역ㄷ자 형상의 것이며, 한쪽의 주지주부(11a)의 한쪽의 측면 형상(16c)에 상당하는 형상의 오목부(22c)와, 오목부(22c)에 인접하는 관통 구멍(13a)의 도중까지 삽입되는 볼록부(23c)를 가진다. 즉, 제1 걸어맞춤부는 주지주부(11a)에 맞닿는 오목부(22c)와, 관통 구멍(13)에 삽입되는 볼록부(23c)이다. 본 예의 볼록부(23c)는 대략 역ㄷ자 형상의 배판(21c)의 일단(지주의 내측의 단)으로부터 배판(21c)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측부의 단면에 형성되는 2개의 짧은 형상의 반원 형상 단면의 팔형상부(23c, 23c)이다. 팔형상부(23c, 23c)는 인접하는 2개의 관통 구멍(13a, 13a)에 끼워지지만, 끼워지는 부분은 관통 구멍(13a)의 지주(1)의 폭 방향(지주축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1/2의 영역이다.
또, 배판(21c)의 외측이며 또한 중앙의 약간 하측에는, 판형상물(돌기형상물)(제2 걸어맞춤부)(24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걸어맞춤부(24c)는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이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는 경사 측면(243, 243),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는 경사 배면(241)을 가진다. 또한, 경사 배면(241)의 경사는 경사 측면(243)보다 완만하다.
제2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조립 선반(10a)에 있어서, 지주(1)에 한 쌍의 결합 부재(2c)를 부착하려면, 먼저, 한쪽의 결합 부재(2c)를 선반 부재(3)를 설치하고 싶은 위치에 있는 2개의 관통 구멍(13a)에, 팔형상부(23c, 23c)를 삽입시키고, 또한 주지주부(11a)의 한쪽의 측면(16c)에 한쪽의 결합 부재(2c)의 오목부(22c)를 밀착시킨다. 이 경우, 팔형상부(23c, 23c)의 선단은 관통 구멍(13a)에 있어서의 관통 방향의 중간 위치에 위치한다. 다음에, 다른쪽의 결합 부재(2c)를 선반 부재(3)를 설치하고 싶은 위치에 있는 2개의 관통 구멍(13a)에, 팔형상부(23c, 23c)를 삽입시키고, 또한 주지주부(11a)의 다른쪽의 측면(16d)에 한쪽의 결합 부재(2c)의 오목부(22c)를 밀착시킨다. 이 경우, 팔형상부(23c, 23c)의 선단은 관통 구멍(13a)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각각의 팔형상부(23c, 23c)의 선단은 서로 맞닿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결합 부재(2c, 2c)와 지주(1)의 일체화물은, 각각의 부재간에 거의 간극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마치 지주(1)의 일부의 형상과 같다. 즉, 한 쌍의 결합 부재(2c, 2c)와 지주(1)의 일체화물은, 지주(1)의 폭 방향의 절반의 영역에 형성되는 상자 형상체이며, 이 상자 형상체의 양측에 판형상물(돌기형상물)(24c, 24c)이 부설된 것이다.
선반 부재(3)의 제3 걸어맞춤부(31a)는, 한 쌍의 결합 부재(2c, 2c)와 지주(1)로 형성되는 상자 형상체를 수납하는 용적에 상당하는 부분(312)이 도려내어지고, 또한, 판형상물(24c, 24c)의 형상이 들어가는 용적에 상당하는 오목부(34a)가 그 도려냄부(312)의 양측에 형성된 것이다. 즉, 제3 걸어맞춤부(31a)의 좌우의 소오목부(34a)의 전후단의 경사면(32a, 35a)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는 경사면이며, 소오목부(34a)의 측면(34a)은, 하부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는 경사면이다. 또한, 선반 부재(3)의 제3 걸어맞춤부(31a)는, 선반 부재(1)의 폭 방향의 단면으로부터 단차를 가지며 약간 안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 선반 부재(3)의 제3 걸어맞춤부(31a)를 제2 걸어맞춤부(24c, 24c)에 걸어맞추면, 제2 걸어맞춤부와 제3 걸어맞춤부의 각각의 테이퍼부가 끼워 맞춰져 양자가 강하게 고정됨과 더불어, 소오목부(34a)를 형성하는 오목부의 천정면이 판형상물(24c)의 상면과 맞닿기 때문에, 하방으로의 압입이 정지하여 상하 방향의 위치가 정해지고, 또한 한 쌍의 결합 부재(2c, 2c)의 결합이 해제되는 일이 없어진다(도 11).
조립 선반(10a)에 있어서, 한 쌍의 결합 부재(2c, 2c), 지주(1) 및 선반 부재(3)로 형성되는 끼워 맞춤 구조는, 조립 선반(10)과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 조립 선반(10a)은, 조립 선반(10)과 같이 중간 빼기 조작을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조립 선반을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5에 있어서, 도 6 내지 도 11과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즉, 조립 선반(10b)에 있어서, 조립 선반(10a)과 주로 다른 점은, 지주(1)의 연결부의 걸어맞춤 수단의 형상 및 한 쌍의 결합 부재의 형상이다.
지주(1)의 연결부(2)의 걸어맞춤 수단은 비관통의 걸어맞춤 요철(13b)이며, 구체적으로는 치형 랙형상의 다수의 치부(齒部)이다. 이 치부는 연결부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지만, 한쪽의 측이 치부(볼록부)이면, 그 이면은 치부가 끼워지는 오목부로 되어 있다(도 15 참조). 이로 인해, 연결부(12)의 두께를 억제하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치부의 형상은 결합 부재(2d)와의 걸어맞춤 안정성, 치부나 결합 부재(2d)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비관통의 걸어맞춤 요철이어도, 선반 부재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음과 더불어, 의장성이 있고, 지주 강도도 높아진다.
한 쌍의 결합 부재(2d)는, 각각 대략 좌우 대칭 부재이며, 한쪽의 결합 부재(2d)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대략 좌우 대칭 부재란, 걸어맞춤 요철의 치피치가 연직 방향에 대해서 서로 반피치 어긋나 있는 차이는 있지만, 그 이외의 형상이 같은 것을 의미한다. 즉 한쪽의 결합 부재(2d)는, 소정의 높이(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역ㄷ자 형상의 것이며, 한쪽의 주지주부(11a)의 한쪽의 측면 형상(16c)에 상당하는 형상의 오목부(22c)와, 오목부(22c)에 인접하는 비관통의 걸어맞춤 요철(13b)에 걸어맞추는 랙형상의 치부(23d)(걸어맞춤 요철)를 가진다. 즉, 제1 걸어맞춤부는 주지주부(11a)에 당접하는 오목부(22c)와, 비관통의 걸어맞춤 요철(13b)에 걸어맞추는 랙형상의 치부(23d)이다. 본 예의 랙형상의 치부(23d)는 대략 역ㄷ자 형상의 배판(21c)의 일단(지주의 내측의 단)으로부터 배판(21c)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측부의 단면에 형성되는 9개의 이빨이다. 랙형상의 치부(23d)는 연결부(12)의 비관통의 걸어맞춤 요철(13b)에 걸어맞춰지지만, 걸어맞춰지는 부분은 걸어맞춤 요철(13b)(연결부(12))의 지주(1)의 폭 방향(지주축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1/2의 영역이다.
제3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조립 선반(10b)에 있어서, 지주(1)에 한 쌍의 결합 부재(2d)를 부착하려면, 먼저, 한쪽의 결합 부재(2d)를 선반 부재(3)를 설치하고 싶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있는 비관통의 걸어맞춤 요철(13b)에, 랙형상의 치부(23d)를 걸어맞추고, 또한 주지주부(11a)의 한쪽의 측면(16c)에 한쪽의 결합 부재(2c)의 오목부(22c)를 밀착시킨다. 다음에, 다른쪽의 결합 부재(2d)를 한쪽의 결합 부재(2d)에 대치하는 위치에 있는 비관통의 걸어맞춤 요철(13b)에, 랙형상의 치부(23d)를 걸어맞추고, 또한 주지주부(11a)의 다른쪽의 측면(16d)에 한쪽의 결합 부재(2d)의 오목부(22c)를 밀착시킨다. 비관통의 걸어맞춤 요철(13b)과 랙형상 치부(23d)의 걸어맞춤은 마찰 저항에 의해, 그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결합 부재(2d, 2d)와 지주(1)의 일체화물은, 각각의 부재간에 거의 간극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마치 지주(1)의 일부의 형상과 같다. 즉, 한 쌍의 결합 부재(2d, 2d)와 지주(1)의 일체화물은, 지주(1)의 폭 방향의 절반의 영역에 형성되는 상자형상체이며, 이 상자형상체의 양측에 판형상물(돌기형상물)(24c, 24c)이 부설된 것이다.
선반 부재(3)의 제3 걸어맞춤부(31a)의 구조 및 선반 부재(3)의 부착 방법은, 조립 선반(10a)과 같다. 조립 선반(10b)에 있어서, 한 쌍의 결합 부재(2d, 2d), 지주(1) 및 선반 부재(3)로 형성되는 끼워 맞춤 구조는, 조립 선반(10a)과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 조립 선반(10b)은, 조립 선반(10a)과 같이 중간 빼기 조작을 할 수 있다.
조립 선반(10b)에 있어서, 비관통의 걸어맞춤 요철(13b)에 있어서의 치형 랙형상의 치부는, 본 예와 같이 규칙적으로 일정한 피치로 형성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불규칙 피치로 형성된 것, 혹은 일부가 규칙적이고 일정한 피치로 형성된 것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조립 선반을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도 20의 끼워 맞춤 위치와는 선반 부재에 있어서의 대각 방향에 있는 끼워 맞춤 부분의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2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즉, 조립 선반(10c)에 있어서, 조립 선반(10)과 주로 다른 점은, 지주(1)의 걸어맞춤 요철의 위치와 형상, 한 쌍의 결합 부재의 걸어맞춤 요철의 위치와 형상 및 선반 부재의 제3 걸어맞춤부의 형상이다.
조립 선반(10c)에 있어서, 지주(1)는, 2개의 주지주부(11)(11a, 11b)와 주지주부(11)를 연결하는 연결부(12)로 이루어지는, 지주축(연결부의 중앙의 가상의 연직축)을 중심으로 한 대칭 형상이다. 즉, 지주(1)는, 2개의 주지주부(11)(11a, 11b)와 연결부(12)가 일체화한 것이다.
조립 선반(10c)은 주지주부(11)(11a, 11b)의 양측면(111a, 111b)이며 또한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소정의 피치로 복수의 가로 홈(걸어맞춤 오목부)(131)이 형성되어 있다. 가로 홈(걸어맞춤 오목부)(131)은 둥그스름한 형상의 측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중앙부의 깊이와 양단부의 깊이는 다르고, 양단부의 깊이는 제로로 되고 주지주부(11)의 형상에 연속해 있다. 가로 홈(131)에 있어서, 중앙부에 깊이가 있으면, 돌기부(25a, 25b)의 걸어맞춤은 확실히 할 수 있고, 선반으로서 지지하기에는 충분하다. 가로 홈(걸어맞춤 오목부)(131)의 길이 방향의 피치 간격은 주지주부(11)의 길이 혹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또, 가로 홈(걸어맞춤 오목부)(131)의 깊이는 주지주부(11)의 두께 혹은 지지 중량에 의해 적절히 결정된다.
양측면(111a, 111b)의 가로 홈(걸어맞춤 오목부)(131), 즉 도 19의 앞쪽에 나타나는 가로 홈(131)과 그 반대측에서 도 19에는 나타나 있지 않은 가로 홈(131)은 서로 대치하는 위치에 있고, 그 홈 바닥(132)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 도 19 중, 주지주부(11a)의 가로 홈(131)과 주지주부(11b)의 가로 홈(131)은 측면에서 볼 때 동일 위치에 있다. 가로 홈(131)은 결합 부재(2)의 설치를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선반 부재의 설치 위치(높이)의 기준도 된다.
연결부(12)의 형상은, 소정폭과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의 긴 형상체이다. 연결부(12)의 두께는, 지주(1)의 강도가 부여 가능한 두께가 적절히 결정된다. 또, 연결부(12)의 폭(도 19 중, Y-Y방향의 길이)은 결합 부재(2)의 제1 걸어맞춤부(22a, 22b)를 형성하는 내측의 완부(23a, 23b)의 두께에 의해 적절히 결정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조립 선반(10c)을 1기(통상은 상하 다단)로 하면, 1기의 조립 선반에서 사용하는 1개의 지주(1)에 있어서, 한 쌍의 결합 부재(2, 2)와 선반 부재(3)는, 지주(1)의 폭 방향(도 19 중, Y-Y방향이며, 평면에서 볼 때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1/2의 영역, 즉, 1개의 주지주부(11a)와 연결부(12)의 Y-Y방향의 절반(도 19 중, X영역)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지주(1)의 절반을 사용함으로써, 조립 선반(10c)의 2기를, Y-Y 방향으로 연결했을 때, 1개의 지주(1)를 좌우의 선반 부재(3, 3)의 고정에 있어서 공유할 수 있다(도 21 및 도 23).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는, 지주(1)에 걸어맞추는 제1 걸어맞춤부와 선반 부재(3)에 걸어맞추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지주(1)의 폭 방향의 1/2의 영역을 이용하여, 지주(1)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지지하도록 부착되는 것이다.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는, 각각 좌우 대칭 형상이며, 한쪽의 결합 부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한쪽의 결합 부재(2a)는, 소정의 높이(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역ㄷ자 형상의 것이며, 한쪽의 주지주부(11a)의 한쪽의 측면 형상(16)에 상당하는 형상의 오목부(22a)와, 오목부(22a)의 내면에 형성되는 가로 홈(131)에 끼워지는 돌기부(25a)와, 오목부(22a)를 형성하는 구성 요소의 일부임과 더불어 연결부(12)에 맞닿을 때까지의 길이를 가지는 내측 완부(23a)를 가진다. 즉, 제1 걸어맞춤부는 주지주부(11a)의 측면에 맞닿는 오목부(22a)와, 돌기부(25a)와, 내측 완부(23a)이다. 팔형상부(23a, 23b)는 연결부(12)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지만,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는 부분은 연결부(12)의 지주(1)의 폭 방향(지주축의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1/2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25a)는 결합 부재(2a)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지주부(11)의 가로 홈(131)과 걸어맞춰 지주(1)와 결합 부재(2)의 걸어맞춤을 담당하는 것이다. 돌기부(25a)의 형상은, 직사각형 단면이며 Y-Y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다. 돌기부(25a)는 도 19에서는 숨어 보이지 않는다.
또, 배판(21a)의 외측면이며 또한 중앙의 약간 하측에는, 판형상물(돌기형상물)(제2 걸어맞춤부)(24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걸어맞춤부(24a)는 제2 실시의 형태의 제2 걸어맞춤부(24c)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배판(21b)의 외측면에는, 한쪽의 결합 부재(2a)와 같이, 판형상물(돌기형상물)(제2 걸어맞춤부)(24b)(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걸어맞춤부(24b)의 형상은 한쪽의 결합 부재(2a)의 제2 걸어맞춤부(24a)와 같다. 또한,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의 높이(상하 길이)는, 선반 부재(3)의 높이(두께)와 대략 같다.
지주(1)에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를 부착하려면, 먼저, 한쪽의 결합 부재(2a)를 선반 부재(3)를 설치하고 싶은 위치에 있는 2개의 가로 홈(131)에, 결합 부재(2a, 2b)의 돌기부(25a, 25b)가 끼워지도록 근접하고, 또한 주지주부(11a)의 한쪽의 측면(16)에 한쪽의 결합 부재(2a)의 오목부(22a)를 밀착시킨다. 다음에, 다른쪽의 결합 부재(2b)도 마찬가지로 하여, 주지주부(11b)에 밀착시키고 양자를 조립한다(도 20).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와 지주(1)의 조립체는, 각각의 부재간에 거의 간극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마치 지주(1)의 일부의 형상과 같다. 즉,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와 지주(1)의 조립체는, 지주(1)의 폭 방향의 절반의 영역에 형성되는 상자 형상체이며, 이 상자 형상체의 양측에 판형상물(돌기형상물)(24a, 24b)이 부설된 것이다.
선반 부재(3)의 제3 걸어맞춤부(31)는, 제2 실시의 형태예에 있어서의 선반 부재(3)의 제3 걸어맞춤부(31)와 같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조립 선반(10c)에 있어서, 예를 들면 중간 선반 부재(3b)를 제거하고 싶은 경우, 혹은 그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중간 빼기 조작)에 대해서 도 18,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의 중간 선반 부재(3b)의 중간 빼기는, 중간 부재(3b)를 그대로 상방으로 약간 들어올린다. 그때, 중간 부재(3b)의 상방 공간(X)에 장해가 되는 일은 없고, 결합 부재(2a, 2b)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의 지주(1)와 선반 부재(3)의 제3 걸어맞춤부(31)는 간극이 충분히 있는 상태가 된다. 조금 들려도, 중간 선반 부재(3b)를 길이 방향으로 내림 경사 또는 오름 경사가 되도록 기울인다(도 24 참조). 이 기울이는 위치는 기울여진 중간 선반 부재(3b)에 있어서의 수평 치수가 조립 선반(10c)의 2개의 지주(1, 1)간의 개구보다 작아지는 위치이다. 이 중간 선반 부재(3b)를 기울인 상태로부터 중간 선반 부재(3b)를 그대로의 자세로 앞쪽으로 인출하면, 중간 선반 부재(3b)의 중간 빼기가 가능해진다. 또한, 그 후, 한 쌍의 결합 부재(2a, 2b)를 제거하거나, 혹은 위치를 변경하여 부착하면 된다. 중간 선반 부재(3b)를 재설치하려면 , 상기 제거 방법과는 반대의 조작 방법으로 행하면 된다. 중간 선반 부재(3b)의 재설치 후의 상태를 도 25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조립 선반(10c)은, 중간 빼기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 선반은, 상기의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예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지주부(11)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상기의 편평의 대략 오각형 이외에, 원형 단면 형상, 타원 단면 형상, 삼각형 단면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또, 주지주부(11)의 가로 홈(걸어맞춤 오목부)(131)과 결합 부재(2)의 돌기부(걸어맞춤 볼록부)(24)의 걸어맞춤에 대신하여, 주지주부(11)에 돌기부(걸어맞춤 볼록부)(24)를, 결합 부재(2)에 가로 홈(131)을 형성시키는 걸어맞춤 형태여도 된다. 또, 이들 걸어맞춤 오목부 및 걸어맞춤 볼록부의 형상으로서는, 상기 가로 홈이나 직사각형 단면의 막대 형상 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홈과 원형 돌기의 걸어맞춤 형태, 타원 홈과 타원 돌기의 걸어맞춤 형태 등 여러 가지의 걸어맞춤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조립 선반은, 사무소, 가정, 창고, 점포 등에 있어서, 또 점포에 있어서,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진열 선반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2개의 주(主)지주부와 상기 주지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지주축을 중심으로 한 대칭 형상이며,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규칙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 또는 비관통의 걸어맞춤 요철이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에 걸어맞추는 제1 걸어맞춤부와 선반 부재에 걸어맞추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지주의 폭 방향의 1/2의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지주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지지하도록 부착되는 한 쌍의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제3 걸어맞춤부가 대략 네 모서리에 형성된 선반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1개의 지주 중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 부재와 상기 선반 부재는, 상기 지주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1/2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 부재는 각각 대칭 형상이며, 상기 제1 걸어맞춤부는, 상기 한쪽의 주지주부의 한쪽의 측면 형상에 상당하는 형상의 오목부와, 상기 관통 구멍의 도중까지 삽입되는 볼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 부재는 서로 다른 형상이며, 한쪽의 결합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상기 한쪽의 주지주부의 한쪽의 측면 형상에 상당하는 형상의 오목부와,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볼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다른쪽의 결합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상기 한쪽의 주지주부의 다른쪽의 측면 형상에 상당하는 형상의 오목부이며, 상기 다른쪽의 결합 부재에는, 상기 한쪽의 결합 부재의 볼록부와 걸어맞추는 제2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 부재는 각각 대략 대칭 형상이며, 상기 제1 걸어맞춤부는, 상기 한쪽의 주지주부의 한쪽의 측면 형상에 상당하는 형상의 오목부와, 상기 비관통의 걸어맞춤 요철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요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이, 둥근 구멍 또는 직사각형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관통의 걸어맞춤 요철이 치형 랙형상의 치부(齒部)이며, 상기 걸어맞춤 요철이 상기 치부에 걸어맞추는 랙형상의 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걸어맞춤부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형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걸어맞춤부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1/2의 영역에, 길이 방향에 연결되는 같은 형상의 다른 선반 부재와 상기 다른 선반 부재를 고정하는 같은 형상의 다른 결합 부재를 끼워 넣고, 2개의 선반 부재를 1개의 지주를 개재하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11. 2개의 주지주부와 상기 주지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지주축을 중심으로 한 대칭 형상이며, 상기 주지주부의 양측면에서 또한 길이 방향으로 규칙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복수의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된 4개의 지주와,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걸어맞춤 볼록부를 가지며 또한 지주의 측면에 맞닿는 제1 걸어맞춤부와 선반 부재에 걸어맞추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지주의 폭 방향의 1/2의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지주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지지하도록 부착되는 한 쌍의 결합 부재와,
    상기 제2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제3 걸어맞춤부가 대략 네 모서리에 형성된 선반 부재를 조립하는 것이며, 상기 1개의 지주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 부재와 상기 선반 부재는, 상기 지주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1/2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 부재는 각각 대칭 형상이며, 상기 제1 걸어맞춤부는, 상기 한쪽의 주지주부의 한쪽의 측면 형상에 상당하는 형상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주지주부의 걸어맞춤 오목부는 가로 홈이며,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결합 부재의 걸어맞춤 볼록부는 상기 가로 홈에 맞는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걸어맞춤 오목부는 가로 홈이며, 상기 주지주부의 걸어맞춤 볼록부는 상기 가로 홈에 맞는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걸어맞춤부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형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3 걸어맞춤부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1/2의 영역에, 길이 방향에 연결되는 같은 형상의 다른 선반 부재와 상기 다른 선반 부재를 고정하는 같은 형상의 다른 결합 부재를 끼워 넣고, 2개의 선반 부재를 1개의 지주를 개재하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선반.
KR1020107026987A 2008-12-24 2009-12-17 조립 선반 KR101052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27287A JP4518434B2 (ja) 2008-12-24 2008-12-24 組立棚
JPJP-P-2008-327287 2008-12-24
JP2009084215A JP4518436B1 (ja) 2009-03-31 2009-03-31 組立棚
JPJP-P-2009-084215 2009-03-31
PCT/JP2009/071514 WO2010074189A1 (ja) 2008-12-24 2009-12-17 組立棚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586A true KR20100137586A (ko) 2010-12-30
KR101052635B1 KR101052635B1 (ko) 2011-07-28

Family

ID=4228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987A KR101052635B1 (ko) 2008-12-24 2009-12-17 조립 선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8118181B2 (ko)
EP (1) EP2289368B1 (ko)
KR (1) KR101052635B1 (ko)
CN (1) CN102014697B (ko)
AU (1) AU2009331175B8 (ko)
TW (1) TWI536932B (ko)
WO (1) WO201007418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2675A (ko) * 2013-03-05 2015-11-02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커플링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조립 선반
KR20190061349A (ko) * 2017-11-27 2019-06-05 정영호 시스템 선반
KR101987725B1 (ko) * 2018-10-22 2019-06-11 이기능 시스템 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0893B2 (en) 2005-07-01 2014-02-04 Spg International Llc Adjustable shelving system
AU2010344809B2 (en) * 2010-02-04 2013-11-07 Kawajun Co., Ltd. Coupling member, and assembled rack provided with same
US8584873B2 (en) * 2010-08-05 2013-11-19 The Coca-Cola Company Modular racking system
US8365479B2 (en) * 2011-06-17 2013-02-05 Phat Energy Corporation Solar power structure
JP5559135B2 (ja) * 2011-12-22 2014-07-23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機器収納用ラック
US8616138B1 (en) * 2012-09-24 2013-12-31 Kuang-Huan Fu Shelving system
CN105025756A (zh) * 2012-12-24 2015-11-04 希蒙·贝尔格尔贝斯特 蔬菜生长支撑装置
US9119471B2 (en) 2013-03-14 2015-09-01 Spg International Llc Support bracket
US9347603B2 (en) 2013-06-20 2016-05-24 Taggart Global, Llc Counterweight hoisting apparatus
EP3051977B1 (en) 2013-10-01 2018-11-07 SPG International LLC Shelving system
US9326600B1 (en) * 2013-11-01 2016-05-03 Margaret M. Reynolds Shelving and method
US10154739B2 (en) 2013-12-02 2018-12-18 Retail Space Solutions Llc Universal merchandiser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D801734S1 (en) 2014-12-01 2017-11-07 Retail Space Solutions Llc Shelf management parts
CN103622336B (zh) * 2013-12-06 2016-04-27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搁架组件及具有该搁架组件的酒柜
CN103622386A (zh) * 2013-12-17 2014-03-12 高雅 一种安装方便的储物架
PT3094216T (pt) * 2014-01-14 2019-04-03 Tuvia Kovari Netanel Suporte para pranchas de surf montado sobre quilhas
US9357840B2 (en) * 2014-07-31 2016-06-07 ADCO Industries—Technologies, L.P. Supporting consumer products
US9380869B2 (en) * 2014-08-06 2016-07-05 Bestmate International Developing Co., Ltd. Storage shelf
US9161619B1 (en) * 2014-10-07 2015-10-20 Scott R. Somers Configurable bottle storage rack and kit
WO2016081934A2 (en) * 2014-11-22 2016-05-26 Intermetro Industries Corporation Shelf frame assembly system
CN104586114A (zh) * 2014-12-09 2015-05-06 沈阳航空航天大学 自由组合式蒙皮柔性托架
US9380868B1 (en) * 2015-01-13 2016-07-05 Bestmate International Developing Co., Ltd. Structure of coupling sleeve of storage shelf
US9468294B2 (en) * 2015-02-03 2016-10-18 Bestmate International Developing Co., Ltd. Structure of expandable corrugated storage shelf system
FR3039383B1 (fr) * 2015-07-30 2018-05-11 Franck & Cie Meuble a assemblage sans colle ni vis
US10231544B2 (en) * 2016-04-11 2019-03-19 Creative Plastic Concepts, Llc Shelf product
CN106235797A (zh) * 2016-08-22 2016-12-21 浙江卓逸铝业有限公司 一种易拆装展示支架
US10959540B2 (en) 2016-12-05 2021-03-30 Retail Space Solutions Llc Shelf management system, compon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US11045017B2 (en) 2017-04-27 2021-06-29 Retail Space Solutions Llc Shelf-mounted tray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CN107856946A (zh) * 2017-12-13 2018-03-30 柳州市鑫裕塑胶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拼装的塑料零件盒
CN110547604B (zh) * 2018-06-03 2021-06-25 江西远洋保险设备实业集团有限公司 安装使用简单方便的多功能智能式密集架
US10206506B1 (en) * 2018-07-09 2019-02-19 Shenter Enterprise Co., Ltd. Frame with connecting and positioning structure
IT201800007705A1 (it) * 2018-07-31 2020-01-31 Termovetro Srl Scaffale e relativo procedimento di montaggio
US10455935B1 (en) * 2018-09-14 2019-10-29 Affinity Hardware Co., Ltd. Post and deck combination for a shelf assembly
US12004641B2 (en) * 2019-06-06 2024-06-11 Pegasus Medical Ltd. Rack mount for load
CN110652147B (zh) * 2019-08-30 2022-11-25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储物架及储物装置
US11197542B2 (en) 2020-02-26 2021-12-14 Huloit Storage Solutions Ltd. Coupling system and construction including same
CN213757390U (zh) * 2020-07-27 2021-07-23 曹国华 一种具有加强防护装饰功能的置物网板
CN115399584B (zh) * 2021-05-28 2023-08-29 盈太企业股份有限公司 组合式置物架
US11627802B1 (en) * 2022-04-25 2023-04-18 Taiwan Shin Yeh Enterprise Co., Ltd. Modular rack assembly
US11700940B1 (en) * 2022-09-22 2023-07-18 Protrend Co., Ltd. Combination shelf with dual-pole vertical columns
TWI804442B (zh) * 2022-10-03 2023-06-01 盈太企業股份有限公司 組合式置物架
US11771015B1 (en) * 2022-10-17 2023-10-03 Josh Sale Nursery shipping rack with removable shelving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3123A (en) * 1967-11-06 1970-02-03 Carroll L Larry Display fixture for supporting components of a mechanical assembly
US3642146A (en) * 1970-03-27 1972-02-15 Donald Frazier Rack
GB1387741A (en) * 1972-01-17 1975-03-19 Maxwell D Display devices including bracket-like article supports
US4099472A (en) * 1977-05-31 1978-07-11 Kellogg Harlan F Free standing shelving system
US4593826A (en) * 1984-09-27 1986-06-10 Leggett & Platt, Incorporated Display rack with improved shelf mounts
US4595107A (en) * 1984-11-13 1986-06-17 Intermetro Industries Corp. Utility cart
US4627543A (en) * 1985-06-25 1986-12-09 United Steel & Wire Company Compression sleeve corner structure for adjustable shelving
US4656952A (en) * 1985-11-04 1987-04-14 Schweizer Martin F Adjustable shelving system
US4706576A (en) * 1986-03-27 1987-11-17 Barry James Interlocking plastic shelving system
US4799818A (en) * 1987-03-23 1989-01-24 Intermetro Industries Corp. System for mounting an item to a post
JPH0357990A (ja) 1989-07-26 1991-03-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人体検出装置
JP2936332B2 (ja) 1989-08-03 1999-08-23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大型ナット着脱装置
JPH0354076U (ko) * 1989-09-27 1991-05-24
JPH03104160U (ko) * 1990-02-09 1991-10-29
US5065873A (en) * 1991-05-16 1991-11-19 Tseng Chun Chu Shelf frame
IL111888A (en) * 1994-12-06 1997-09-30 Julius Engineering Ltd Uniform shelving system
USD382736S (en) * 1996-04-09 1997-08-26 Krueger International, Inc. Furniture post
DE19817916A1 (de) * 1998-04-17 1999-10-21 Loh Kg Rittal Werk Rahmenschenkel für ein Rahmengestell eines Schaltschrankes
JP3054076U (ja) * 1998-05-15 1998-11-17 志雄 林 組立式棚
US6311856B2 (en) * 1998-07-27 2001-11-06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Display stand module
JP3057990U (ja) 1998-09-25 1999-06-08 株式会社藤栄 棚部の係止構造
US6068143A (en) * 1998-11-24 2000-05-30 Wang; Chang Chou Devices for fastening shelves to upright support rods
WO2000057752A1 (en) * 1999-03-26 2000-10-05 Weshler Benjamin S Adjustable bracket and upright assembly
USD418394S (en) * 1999-05-10 2000-01-04 Tennessee Truck Works, L.L.C. Mounting rail
JP3066571U (ja) 1999-08-12 2000-02-25 株式会社ドウシシャ 金属製ラック
US6253933B1 (en) * 1999-10-13 2001-07-03 Hsin Chen Yang Shelving rack
US6357611B1 (en) * 2000-03-31 2002-03-19 Protend Co., Ltd Sectional rack
US6520356B2 (en) * 2000-06-28 2003-02-18 Paul Flum Ideas, Inc. Double socket product merchandising display unit
IT250013Y1 (it) * 2000-06-30 2003-07-07 Terry Store Age S P A Struttura di supporto di oggetti in genere
US6364138B1 (en) * 2000-08-28 2002-04-02 Protrend Co., Ltd. Sectional rack
US6364139B1 (en) * 2000-10-31 2002-04-02 Pro Trend Co., Ltd. Two-part shelf-holder for sectional rack
NL1018663C2 (nl) * 2001-07-30 2003-02-03 Hugo Casper Johan De Rijk Klemverbinding tussen een staanderelement en een liggerelement.
US6726040B1 (en) * 2002-10-04 2004-04-27 Protrend Co., Ltd. Sectional rack with drawers
US7059484B1 (en) * 2002-12-20 2006-06-13 Systemax, Inc. Adjustable modular shelf
US7093728B2 (en) * 2003-12-31 2006-08-22 Po-Ju Chen Support stand for shelf
JP3104160U (ja) * 2004-03-23 2004-09-02 柯金山 物置棚の構造
US7478971B2 (en) * 2004-11-05 2009-01-20 Xiangming Li Shelf connector
EP1878359A1 (en) * 2005-04-21 2008-01-16 Fontage Co., Ltd. Assembling structure
JP2007159947A (ja) * 2005-12-16 2007-06-28 Daifuku Co Ltd ラックの支柱と梁材との連結構造
US7568436B2 (en) * 2006-10-24 2009-08-04 Metal Masters Foodservice Equipment Co., Inc. Adjustable multi-component conical corner structure for shelving
CN201001508Y (zh) * 2006-12-29 2008-01-09 李向明 置物架连接结构
US20100089852A1 (en) * 2008-10-14 2010-04-15 Wen-Tsan Wang Combination storage rack
US20100096352A1 (en) * 2008-10-20 2010-04-22 Wen-Tsan Wang Combination storage rack
US7992731B2 (en) * 2008-11-04 2011-08-09 Metal Masters Foodservice Equipment Co., Inc. Multi-component conical corner structure for shelving
US8016140B2 (en) * 2008-12-24 2011-09-13 Ching-Chen Hsieh Combination shelf whose support boards can be increase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2675A (ko) * 2013-03-05 2015-11-02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커플링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조립 선반
KR20190061349A (ko) * 2017-11-27 2019-06-05 정영호 시스템 선반
KR101987725B1 (ko) * 2018-10-22 2019-06-11 이기능 시스템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05751B2 (en) 2013-08-13
EP2289368A4 (en) 2011-11-09
EP2289368B1 (en) 2014-11-05
US8505752B2 (en) 2013-08-13
EP2289368A1 (en) 2011-03-02
US20120234784A1 (en) 2012-09-20
CN102014697B (zh) 2014-08-13
US20110056899A1 (en) 2011-03-10
US20120234786A1 (en) 2012-09-20
WO2010074189A1 (ja) 2010-07-01
US8118181B2 (en) 2012-02-21
AU2009331175A1 (en) 2010-07-01
KR101052635B1 (ko) 2011-07-28
TW201032753A (en) 2010-09-16
AU2009331175B2 (en) 2012-11-22
AU2009331175B8 (en) 2013-02-28
US20120234785A1 (en) 2012-09-20
US8505750B2 (en) 2013-08-13
CN102014697A (zh) 2011-04-13
TWI536932B (zh) 2016-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635B1 (ko) 조립 선반
KR101677788B1 (ko) 커플링 부재 및 그것을 구비한 조립 선반
KR20070019494A (ko) 조립식 선반
KR200391947Y1 (ko) 조립식 진열대 구조
JP2019170999A (ja) 組立式棚
KR20180131781A (ko) 앵글선반프레임
JP4518434B2 (ja) 組立棚
JP2012029867A (ja) 組立棚及び連結組立棚
JP2006020742A (ja) 組立ラック
JP4518436B1 (ja) 組立棚
JP3220035U (ja) 組立式ラックの連結部材
JP5605818B1 (ja) 支柱取付構造
JP4524114B2 (ja) 陳列棚等における棚板の架設構造
JP5903140B1 (ja) 組立式収納体
KR20190045997A (ko)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JP2019093036A (ja) 組立式ラック
JP5360395B2 (ja) ラックの棚板支持構造
JP6588195B2 (ja) 商品陳列什器
KR200479896Y1 (ko) 벽걸이 선반용 고정부재
KR20160025333A (ko) 진열대용 선반 지지대
JP2001269254A (ja) 傾斜棚
JP3147192U (ja) 組立棚用棚板及びそれを用いた組立棚
JP4948875B2 (ja) ステージ付陳列棚
JP6110356B2 (ja) 組立式什器
JP2018186907A (ja) 棚組立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