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122A - 엘리베이터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122A
KR20100117122A KR1020107020889A KR20107020889A KR20100117122A KR 20100117122 A KR20100117122 A KR 20100117122A KR 1020107020889 A KR1020107020889 A KR 1020107020889A KR 20107020889 A KR20107020889 A KR 20107020889A KR 20100117122 A KR20100117122 A KR 20100117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deflecting
friction belt
car
main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8084B1 (ko
Inventor
아츠시 미츠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7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66B15/04Friction sheaves; "Koepe"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76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friction gear, e.g. belt linking motor to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권상기는, 권상기 본체와, 권상기 본체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동쉬브를 가지고 있다. 디플렉팅쉬브는 구동쉬브에 대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구동쉬브 및 디플렉팅쉬브 사이에는 구동쉬브의 회전에 의해서 주회이동(周回移動)을 행하는 무단상(無端狀)의 마찰벨트가 감겨 있다. 또, 구동쉬브 및 디플렉팅쉬브에는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메인로프가 마찰벨트를 사이에 두고 연속적으로 감겨 있다. 메인로프는 마찰벨트의 주회이동에 의해서 이동되고, 엘리베이터칸은 메인로프의 이동에 의해서 승강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장치 {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메인로프가 권상기의 구동쉬브에 감기고, 구동쉬브의 회전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트랙션(traction)식의 엘리베이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칸 및 균형추를 매다는 메인로프가 권상기의 구동쉬브에 감겨 있는 트랙션식의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메인로프와 구동쉬브와의 사이의 마찰계수를μ, 구동쉬브의 외주부에 형성된 로프홈의 형상에 의해서 결정되는 계수를 K2, 구동쉬브에 대한 메인로프의 접촉각을 θ로 하면, 트랙션능력 Γ는 이하의 식 (1)로 나타낸다.
Γ = e(μ· K2 ·θ) … (1)
단, e는 자연대수의 베이스(natural logarithm base)이다.
또, 이와 같은 트랙션식의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구동쉬브와 메인로프와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메인로프의 엘리베이터칸 측의 장력 T1, 메인로프의 균형추 측의 장력 T2 및 트랙션능력 Γ가 이하의 식 (2)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T2 / T1 = Γ … (2)
단, 식 (2)에서는, T2 > T1일 때의 각 장력 T1, T2 및 트랙션능력 Γ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트랙션능력 Γ을 크게 하는 경우에는, 식 (1)에 의해서, 마찰계수 μ, 계수 K2 및 접촉각 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을 크게 하면 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구동쉬브와, 구동쉬브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디플렉팅쉬브와의 사이에 메인로프를 복수 회 감아 구동쉬브에 대한 메인로프의 접촉각을 크게 함으로써, 트랙션능력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145556호 공보
그러나, 구동쉬브 및 디플렉팅쉬브 사이에서 메인로프를 복수 회 감으면, 구동쉬브 및 디플렉팅쉬브의 각각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므로, 예를 들면 권상기 등의 기기가 대형화해 버린다.
또, 권상기의 위치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구동쉬브 및 디플렉팅쉬브의 각 위치의 높이방향의 거리를 넓힘으로써, 구동쉬브에 대한 메인로프의 접촉각을 크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승강로의 높이방향의 치수가 커져 버린다.
또한, 구동쉬브에 형성된 로프홈의 형상을 연구하여 계수 K2의 값을 크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구동쉬브와 메인로프와의 사이의 접촉면압이 커지므로, 구동쉬브 및 메인로프의 각각의 수명이 짧아져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소정의 트랙션능력을 확보한 채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칸, 권상기 본체와, 권상기 본체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동쉬브를 가지고,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권상기, 구동쉬브에 대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디플렉팅쉬브, 구동쉬브 및 디플렉팅쉬브 사이에 감겨 구동쉬브의 회전에 의해서 주회이동(周回移動, circulating movement)을 행하는 무단상(無端狀)의 마찰벨트 및 마찰벨트를 사이에 두고 구동쉬브 및 디플렉팅쉬브에 연속적으로 감겨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메인로프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동쉬브 및 마찰벨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및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이 설치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사이에는 엘리베이터칸(4)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3) 사이에는 균형추(5)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4)은 정면, 배면, 한 쌍의 측면, 저면 및 천장면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칸(4)의 정면에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a)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4)의 배면은 엘리베이터칸(4)의 깊이방향에 대해서 엘리베이터칸(4)의 정면에 대향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칸(4)의 각 측면은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사이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4a)의 폭방향에 대해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균형추(5)는 엘리베이터칸(4)의 배면 측을 승강한다. 따라서, 승강로(1)를 수직 투영했을 때의 투영면 내에서는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가 엘리베이터칸(4)의 깊이방향에 대해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을 포함하는 평면과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3)을 포함하는 평면은 평행하게 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6)이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6)의 바닥면에는 기계대(7)가 고정되어 있다. 기계대(7)에는 권상기(8) 및 디플렉팅쉬브(9)가 지지되어 있다.
권상기(8)는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한다. 또, 권상기(8)는 모터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10)와, 권상기 본체(10)에 설치되고, 권상기 본체(10)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동쉬브(11)를 가지고 있다. 구동쉬브(11)는 수평으로 배치된 쉬브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디플렉팅쉬브(9)는 구동쉬브(11)에 대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디플렉팅쉬브(9)는 구동쉬브(11)의 쉬브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쉬브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디플렉팅쉬브(9)는 구동쉬브(11)의 위치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는, 예를 들면 강재(鋼材)나 주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 사이에는 무단상의 마찰벨트(12)가 감겨 있다. 마찰벨트(12)에는 구동쉬브(11)와 디플렉팅쉬브(9)와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소정의 장력이 주어져 있다. 마찰벨트(12)는 구동쉬브(11)의 회전에 따라 주회이동한다. 디플렉팅쉬브(9)는 마찰벨트(12)의 주회이동에 따라 회전한다.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에는 복수 개의 메인로프(13)가 마찰벨트(12)를 사이에 두고 연속적으로 감겨 있다.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는 메인로프(13)에 의해서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이 예에서는, 메인로프(13)는 금속제의 로프로 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메인로프(13)의 일단부가 엘리베이터칸(4)에 접속되고, 메인로프(13)의 타단부가 균형추(5)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로프(13)는 마찰벨트(12)의 주회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한다.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는 메인로프(13)의 이동에 의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가 승강될 때에는 엘리베이터칸(4)이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로 안내되며, 균형추(5)가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3)로 안내된다.
도 2는 도 1의 구동쉬브(11) 및 마찰벨트(1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구동쉬브(11)의 외주부에는 구동쉬브(11)의 회전방향에 따른 복수의 끼워맞춤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끼워맞춤홈(14)의 단면(斷面)형상은 저변(底邊)을 가지는 V 모양으로 되어 있다.
마찰벨트(12)는 내마모성의 고마찰재로 구성되어 있다. 고마찰재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고무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마찰벨트(12)의 재료는 구동쉬브(11), 디플렉팅쉬브(9) 및 메인로프(13)의 각각의 재료보다도 부드러운 재료로 되어 있다. 마찰벨트(12)의 내주면에는 각 끼워맞춤홈(14)에 끼워맞춰지는 복수의 끼워맞춤 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마찰벨트(12)의 외주면에는 각 메인로프(13)가 삽입되는 복수의 로프홈(16)이 형성되어 있다. 각 끼워맞춤 돌기부(15) 및 각 로프홈(16)은 마찰벨트(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마찰벨트(12)의 폭치수가 구동쉬브(11)의 두께치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마찰벨트(12) 내에는 마찰벨트(12)의 길이방향에 따른 복수의 심체(芯體)(17)가 매립되어 있다. 각 심체(17)는 각각 무단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각 심체(17)는 마찰벨트(12)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심체(17)는 마찰벨트(12)의 고마찰재보다도 강도가 높은 재료(고강도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강선(鋼線)이 심체(17)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마찰벨트(12)의 파단의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의 각각과 마찰벨트(12)와의 사이 및 각 메인로프(13)와 마찰벨트(12)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마찰벨트(12)가 구동쉬브(11)의 회전에 따른 주회이동을 행하고, 각 메인로프(13)가 마찰벨트(12)의 주회이동에 따른 이동을 행한다.
또,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의 각각과 마찰벨트(12)와의 사이에서의 최대 마찰력은 각 메인로프(13)와 마찰벨트(12)와의 사이에서의 최대 마찰력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여기서, 최대 마찰력이란, 서로 접촉하는 부재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직전의 마찰력이다. 따라서, 각 메인로프(13)가 마찰벨트(12)에 대해서 미끄러지는 경우라도 마찰벨트(12)가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의 각각에 대해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무단상의 마찰벨트(12)가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 사이에 감기고, 엘리베이터칸(4)을 매다는 각 메인로프(13)가 마찰벨트(12)를 사이에 두고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의 각각에 연속적으로 감겨 있으므로, 마찰벨트(12)의 주회이동에 의해서, 구동쉬브(11)의 회전력을 디플렉팅쉬브(9)의 위치에도 이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의 각각에서 구동쉬브(11)의 회전력을 각 메인로프(13)에 전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쉬브(11)에 대한 메인로프(13)의 접촉각에 디플렉팅쉬브(9)에 대한 메인로프(13)의 접촉각을 부가한 각도를 트랙션능력에 기여하는 접촉각으로 할 수 있어 트랙션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의 각각과 메인로프(13)와의 사이에 마찰벨트(12)가 개재하고 있으므로,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의 각각과 메인로프(13)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금속끼리의 접촉을 피할 수 있어, 구동쉬브(11), 디플렉팅쉬브(9) 및 메인로프(13)의 각각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메인로프(13)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메인로프(13)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어, 구동쉬브(11)의 지름과 메인로프(13)의 지름과의 비(D/d비)를 유지한 채로,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의 각각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8) 및 디플렉팅쉬브(9)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마찰벨트(12)에는 메인로프(13)가 삽입되는 로프홈(1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찰벨트(12)로부터 메인로프(13)가 벗어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의 각각과 마찰벨트(12)와의 사이에서의 최대 마찰력은 메인로프(13)와 마찰벨트(12)와의 사이에서의 최대 마찰력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의 각각에 대해서 마찰벨트(12)를 미끄러지기 어렵게 할 수 있어, 마찰벨트(12)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의 각각과 마찰벨트(12)와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면, 마찰벨트(12)가 마모한다. 마모한 마찰벨트(12)는 구동쉬브(11)에 대해서 더욱 미끄러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마찰벨트(12)의 마모가 진행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마찰벨트(12)가 구동쉬브(11)에 대해서 완전하게 미끄러지게 되어 버려, 구동쉬브(11)의 구동력이 메인로프(13)에 전달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의 각각에 대해서 마찰벨트(12)를 미끄러지기 어렵게 함으로써, 마찰벨트(12)의 마모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어, 마찰벨트(12)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 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는 기계실이 설치되지 않은 타입의 엘리베이터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장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권상기(8) 및 디플렉팅쉬브(9)는 승강로(1) 내에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8)는 축선방향의 치수가 지름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박형(薄形) 권상기로 되어 있다. 또, 권상기(8)는 모터를 포함하는 박형의 권상기 본체(10)와, 권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권상기 본체(10)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동쉬브(11)를 가지고 있다.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즉,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는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가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권상기(8) 및 디플렉팅쉬브(9)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의 높이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의 높이방향의 축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를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배치해도 트랙션능력에 기여하는 접촉각은 실시형태 1과 같으므로, 트랙션능력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4의 엘리베이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균형추(5)는 엘리베이터칸(4)의 한편의 측면 측을 승강한다. 따라서, 승강로(1)를 수직 투영했을 때의 투영면 내에서는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가 엘리베이터칸(4)의 폭방향(엘리베이터칸 출입구(4a)의 폭방향)에 대해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3)을 포함하는 평면은 각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서 수직하게 되어 있다.
한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 및 한쪽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의 각 상부 사이에는 고정부재(21)가 고정되어 있다. 다른 쪽의 엘리베이터칸 가이드레일(2)의 상부에는 고정부재(22)가 고정되어 있다. 각 균형추 가이드레일(3)의 각 상단부 사이에는 고정부재(23)가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2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21)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재(21)에는 권상기(8)가 지지되어 있다. 고정부재(22)에는 제1 로프고정부(24)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재(23)에는 디플렉팅쉬브(9)가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2 로프고정부(25)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8) 및 디플렉팅쉬브(9)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로(1)를 수직 투영했을 때의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칸(4)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디플렉팅쉬브(9)는 구동쉬브(11)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4)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26)가 설치되고, 균형추(5)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7)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는 복수의 메인로프(13)에 의해서 매달려 있다. 각 메인로프(13)의 일단부는 제1 로프고정부(24)에 접속되고, 각 메인로프(13)의 타단부는 제2 로프고정부(25)에 접속되어 있다. 각 메인로프(13)는 제1 로프고정부(24)로부터 각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쉬브(26), 구동쉬브(11), 디플렉팅쉬브(9), 균형추 서스펜딩쉬브(27)의 순서로 감겨, 제2 로프고정부(25)에 이르러 있다. 구동쉬브(11) 및 디플렉팅쉬브(9)에는 각 메인로프(13)가 마찰벨트(12)를 사이에 두고 감겨 있다. 엘리베이터칸(4) 및 균형추(5)는 구동쉬브(11)의 회전에 의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디플렉팅쉬브(9)가 구동쉬브(11)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디플렉팅쉬브(9)의 아래쪽에서 균형추(3)를 승강시킴으로써, 승강로(1)의 치수를 유지한 채로 균형추(3)가 승강되는 범위의 상한위치를 보다 위쪽에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아웃 설계상, 균형추(3)의 높이방향의 치수가 커지는 경우라도 승강로(1)의 확대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즉, 권상기(8)는 디플렉팅쉬브(9)보다도 크기 때문에, 권상기(8)가 균형추(3)의 위쪽에 배치되면, 디플렉팅쉬브(9)가 균형추(3)의 위쪽에 배치되는 경우보다도 균형추(3)가 승강되는 범위의 상한위치가 낮아져 버린다. 또, 디플렉팅쉬브(9)가 균형추(3)의 위쪽에 배치되어도 구동쉬브(11)이 디플렉팅쉬브(9)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승강로(1)의 높이방향의 치수가 커져 버린다. 따라서, 구동쉬브(11)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 디플렉팅쉬브(9)를 배치하고, 디플렉팅쉬브(9)의 아래쪽에서 균형추(3)를 승강시킴으로써, 승강로(1)의 치수를 유지한 채로, 균형추(3)가 승강되는 범위의 상한위치를 보다 위쪽에 설정할 수 있다.
또, 구동쉬브(11)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 디플렉팅쉬브(9)를 배치해도 트랙션능력에 기여하는 접촉각은 실시형태 2와 같으므로, 트랙션능력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승강로 내를 승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칸,
    권상기 본체와, 상기 권상기 본체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동쉬브를 가지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권상기,
    상기 구동쉬브에 대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디플렉팅쉬브,
    상기 구동쉬브 및 상기 디플렉팅쉬브 사이에 감겨, 상기 구동쉬브의 회전에 의해서 주회이동(周回移動)을 행하는 무단상(無端狀)의 마찰벨트 및
    상기 마찰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쉬브 및 상기 디플렉팅쉬브에 연속적으로 감겨,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메인로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찰벨트에는 상기 메인로프가 삽입되는 로프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쉬브 및 상기 디플렉팅쉬브의 각각과 상기 마찰벨트와의 사이에서의 최대 마찰력은 상기 메인로프와 상기 마찰벨트와의 사이에서의 최대 마찰력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쉬브 및 상기 디플렉팅쉬브는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팅쉬브는 상기 구동쉬브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KR1020107020889A 2008-06-06 2008-06-06 엘리베이터장치 KR101238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60485 WO2009147749A1 (ja) 2008-06-06 2008-06-06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122A true KR20100117122A (ko) 2010-11-02
KR101238084B1 KR101238084B1 (ko) 2013-02-27

Family

ID=4139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889A KR101238084B1 (ko) 2008-06-06 2008-06-06 엘리베이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81768A4 (ko)
JP (1) JPWO2009147749A1 (ko)
KR (1) KR101238084B1 (ko)
CN (1) CN102056831A (ko)
WO (1) WO2009147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8390A (zh) * 2016-04-12 2016-06-15 波士顿电梯(湖州)有限公司 大包角的电梯曳引系统
WO2019225613A1 (ja) * 2018-05-21 2019-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綱車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12019007977T5 (de) * 2019-12-18 2022-09-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54678A (en) * 1953-09-14 1956-08-08 Dynamit Nobel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ulleys
BR9916369B1 (pt) * 1998-12-22 2010-11-30 elemento de tensão para um elevador.
JP2002145556A (ja) 2000-11-13 2002-05-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3921603B2 (ja) * 2002-01-18 2007-05-30 ニッ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駆動用ベルト
JP2004026424A (ja) * 2002-06-26 2004-01-2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設備
JP4114431B2 (ja) * 2002-08-08 2008-07-09 フジテック株式会社 駆動装置
WO2004080875A1 (ja) * 2003-03-10 2004-09-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CN2615110Y (zh) * 2003-04-22 2004-05-12 酒井建国 无机房电梯
JP2004323213A (ja) * 2003-04-28 2004-11-18 Fujitec Co Ltd ロープ駆動機構
JP4270018B2 (ja) * 2004-04-19 2009-05-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8081256A (ja) * 2006-09-27 2008-04-1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7749A1 (ja) 2009-12-10
KR101238084B1 (ko) 2013-02-27
EP2281768A4 (en) 2014-04-30
CN102056831A (zh) 2011-05-11
JPWO2009147749A1 (ja) 2011-10-20
EP2281768A1 (en)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360B1 (ko) 견인 요소로서 평벨트를 포함하는 승강기
AU2010201902A1 (en) Lift with belt-like transmission means, particularly with wedge-ribbed belt, as support means and/or drive means
EP1357075A1 (en) Cage device for double deck elevators
TW200936483A (en) Lift with two lift cabins
EP1961688A1 (en) Elevator device
EP1319627A1 (en) Elevator device
KR101238084B1 (ko) 엘리베이터장치
JP2016037396A (ja) エレベータ
EP1902994A1 (en) Elevator apparatus
KR20080097389A (ko) 엘리베이터 장치
EP2022743A1 (en) Elevator device
JP6126953B2 (ja) エレベーター
JP6318022B2 (ja) エレベーター
JP4750104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602613A1 (en) Counterbalancing self-running elevator
JPWO200505645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65806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3687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1162291A (ja) ロープ式エレベータ
JP2022154127A (ja) 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
JP6579446B2 (ja) エレベータ用駆動装置
JP2005075575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9209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3170054A (ja) 昇降機
KR10054498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