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401A - 도공장치 - Google Patents

도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401A
KR20100107401A KR1020100025556A KR20100025556A KR20100107401A KR 20100107401 A KR20100107401 A KR 20100107401A KR 1020100025556 A KR1020100025556 A KR 1020100025556A KR 20100025556 A KR20100025556 A KR 20100025556A KR 20100107401 A KR20100107401 A KR 20100107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roll
base material
coating agent
guid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7763B1 (ko
Inventor
히데노부 미우라
Original Assignee
후지 기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기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기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7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 B05C17/035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direct or indirect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ating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1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fed round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8/00Coating apparatus
    • Y10S118/14Roller, conical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기재의 표리 양면에 각각 도공제를 적정하게 도공할 수 있는 도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재를 가이드 지지하는 상류측 가이드 롤 및 하류측 가이드 롤과 양 가이드 롤의 사이에,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기재의 한쪽 면 및 다른쪽 면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두 개의 도공 롤을 상류측과 하류측에 서로 소정 거리 떼어 놓아 배설되어 상기 두 개의 도공 롤에 각각 설치되어 대응하는 도공 롤에 도공제를 공급하는 도공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도공 유닛은, 대응하는 도공 롤의 일부의 주면을 따라서 설치되어 도공제굄이 형성된 도공 케이스와, 상기 도공제굄 내에 도공제를 급송하는 도공제 급송수단과, 대응하는 도공 롤의 회전 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에 상기 도공제굄을 밀폐하는 밀봉 부재를 갖추고 있다.

Description

도공장치{Co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지 필름 또는 종이 등의 시트상의 기재 양면에 도공제(塗工劑)를 도공(塗工)하기 위해 개량된 도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트상의 기재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도공장치 및 도공방법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특개 2001-179151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1로 한다)는, 소정 방향으로 반송되는 시트상의 기재를, 직경이 약 20mm ~ 약 50mm의 한 벌의 평행한 회전자재(回轉自在)인 자세 제어롤에 의해서, 시트상의 기재의 표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양 자세 제어롤 사이에서 기재의 하부에 양 자세 제어롤과 평행하게 그라비아 롤(gravure roll)을 배치한 그라비아 도공기 및 그라비아 도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라비아 롤의 직경은 약 20mm ~ 약50 mm로서, 그 외주면의 사방에는 그라비아 패턴이 형성되어 기재의 반송 속도와 다른 주속도(周速度)로 회전시켜 도공된다. 도공전에 잉여 도공제를 그라비아 롤의 표면으로부터 닦아내고, 기재의 표면이 자유 상태에 있는 위치에서 기재의 하면에 일정량의 도공제가 도공된다.
또한, 특개평 10-151391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2로 한다)는, 기재의 주행 방향을 임의로 설정하여 설치 스페이스를 절약할 수 있고, 한편 도공제의 열화를 방지하여 적정하게 도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 그라비아 도공장치 및 그라비아 도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에서는, 소정 방향으로 반송되는 시트상의 기재의 양측으로 그라비아 롤이 배설되어 그라비아 롤의 근방에 도공제 저장 케이스가 배설되어 있다. 도공제 저장 케이스는, 독터 블레이드(doctor blade)와 그라비아 롤의 주면(周面)의 일부에서 도공제를 내부에 저장하는 폐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그라비아 롤을 회전시키고, 도공제 저장 케이스의 내부의 도공제를 그라비아 롤의 외주면에 도공하는 것과 동시에, 이 그라비아 롤의 외주면에 도공된 잉여 도공제를 독터 블레이드로 닦아내어서, 일정량의 도공제를 상기 기재에 도공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그라비아 도공기에서는, 도공제의 수용부가 개방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라비아 롤 및 상기 그라비아 롤에 도공제를 공급하는 도공제수용부를 반드시 기재의 하부에 배설해야만 한다. 따라서, 기재를 대략 수평 상태로 반송하는 형태로 자세 제어롤에 의해 가이드 지지하면서, 그라비아 롤에 의해 도공제를 도공할 필요가 있다. 즉, 그라비아 롤을 기재의 상하 양측으로 배설하여서, 그 표리(表裏: 표면(表面)과 이면(裏面)) 양면에 도공제를 도공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그라비아 롤을 개입시켜 기재에 도공제를 정밀하게 도공하기 위해서는, 그라비아 롤의 반대 측에 설치된 한 벌의 자세 제어롤에 의해 기재의 표면을 적정하게 지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가 없었다.
한편,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그라비아 롤에 도공제를 공급하는 도공제 저장 케이스가 밀폐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기재를 가이드 롤로 가이드 지지하면서 연직(鉛直) 방향으로 반송하고, 기재의 반송로를 따라서 한 벌의 그라비아 롤을 배치하여서, 기재의 표리 양면에 각각 도공제를 도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재의 표리 양면에 각각 도공제를 균일하게 도공하려면, 기재에 소정의 전장력(展張力, 펴는 힘)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그 수단으로서 한 벌의 가이드 롤(전장롤)을 배설할 필요가 있다. 양면을 도공하는 경우, 이러한 가이드 롤대를 2대 이상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의해서 장치가 대형화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기재의 반송 방향에 따라서 한 벌의 가이드 롤을 배치해 기재를 가이드 하면서, 한 벌의 가이드 롤의 대향 측에 도공 수단을 배치하여, 그것에 의해 상기 기재의 한쪽 면에 도공제를 도공한다. 또한 하류측에서 상류의 가이드 롤대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 측에 별도의 가이드 롤대를 설치하여 기재를 가이드하고, 한편 상류의 도공 수단이 설치된 측과 반대측에 별도의 도공 수단을 배설하여, 기재의 다른쪽 면에 도공제를 도공하고, 기재의 표리 양면에 각각 도공제를 도공한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S)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설된 한 벌의 가이드 롤(41, 42)에 의해 기재(S)를 가이드 하면서, 그 대항 측에 제1 도공 수단(43)을 마련하고, 기재의 한쪽 면을 도공제로 도공한다. 또한, 그 하류측에 별도의 한 벌의 가이드 롤(44, 45)을 마련하여 기재(S)를 가이드 하면서, 그 대항 측에 제2 도공 수단(46)을 마련하고, 기재의 다른 쪽 면을 도공제로 도공한다. 이 경우, 제1 도공 수단(43)과 제2 도공 수단(46)의 대향 측에 설치된 가이드 롤 (44, 45)은, 기재(S)의 동일면측에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도공 수단(43)으로 도공제가 도공된 기재(S)의 한쪽 면이 상기 가이드 롤(44, 45)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도공제를 가열 등에 의해 건조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건조기(47)가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도공 수단(43)과 제2 도공 수단(46)을 근접하게 배설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제2 도공 수단(46)의 하류측에도, 제2 도공 수단(46)으로 도공제가 도공된 기재(S)의 다른 쪽 면을 건조시키는 별도의 건조기(48)를 배설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도공장치가 대형화되는 것과 동시에,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려된 것으로서, 간단하고 소형의 구성으로 기재의 표리 양면에 각각 도공제를 적정하게 도공할 수 있는 도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공장치는,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시트상의 기재의 양면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것으로서, 기재를 가이드 지지하는 상류측 가이드 롤 및 하류측 가이드 롤과, 상기 상류측 가이드 롤 및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의 사이에서 상기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기재의 한쪽 면 및 다른쪽 면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두 개의 도공 롤이 상류측과 하류측에 서로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배설되고, 상기 두 개의 도공 롤에 각각 설치되어서 대응하는 도공 롤에 도공제를 공급하는 도공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도공 유닛은, 대응하는 도공 롤의 일부의 주면을 따라서 설치되고 도공제 굄이 형성된 도공 케이스와, 상기 도공제 굄 내에 도공제를 급송하는 도공제 급송수단과, 대응하는 도공 롤의 회전 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에 상기 도공제 굄을 밀폐하는 밀봉부재를 갖추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기재를 가이드 지지하는 상류측 가이드 롤 및 하류측 가이드 롤의 사이에, 기재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기재의 한쪽 면 및 다른쪽 면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두 개의 도공 롤이 상류측과 하류측에 서로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상류측 가이드 롤과 하류측에 배설된 도공 롤에 의해서 기재의 한쪽 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기재의 다른쪽 면에 상류측에 배설된 도공 롤의 주면을 압접시켜 도공제를 균일하게 도공할 수 있다. 또한 상류측에 배설된 도공 롤과 하류측 가이드 롤에 의해서 기재의 상기 다른쪽 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기재의 상기 한쪽 면에서 하류측에 배설된 도공 롤의 주면을 압접시켜 도공제를 균일하게 도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공 롤의 반대 측에 설치된 한 벌의 자세 제어롤에 의해 기재를 적정하게 지지하는 등의 수단을 강구하는 일 없이, 기재의 양면에 대해서 도공제를 각각 정밀하게 잘 도공하는 일이 가능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도공장치를 소형화되게 하는 것과 동시에, 그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의 도공장치에 있어서, 하류측에 배설된 도공 롤과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과의 사이에 도공제를 건조 경화시키는 건조 경화부를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하류측에 배설된 도공 롤과 하류측 가이드 롤과의 사이에 도공제의 건조 경화부를 배설하고 있으므로, 하류측에 배설되고 하류측 가이드 롤에 가까운 쪽의 도공 롤로 기재에 도공된 도공제도 하류측 가이드 롤에 도달하기 전에 건조시키는 일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경화되지 않은 도공제가 하류측 가이드 롤에 접하여 도막이 거칠어지게 되는 사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도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도공 롤의 한쪽의 도공 롤로 도공되는 상기 기재의 한쪽 면은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의 주면에 접하지 않는 면이고, 다른쪽의 도공 롤로 도공되는 상기 기재의 다른쪽 면은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의 주면에 접하는 면이며,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의 주면에 접하지 않는 상기기재의 한쪽 면에 상기 한쪽의 도공 롤로 도공되는 도공제는,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의 주면에 접하는 상기 기재의 다른쪽 면에 상기 다른쪽 도공 롤로 도공되는 도공제보다 건조시키기 어려운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건조하기 어려운 도공제를 하류측 가이드 롤의 주면에 접하지 않는 면에 도공되게 하고 건조하기 쉬운 도공제를 하류측 가이드 롤의 주면에 접하는 면에 도공되게 함으로써, 건조하기 어려운 도공제가 건조되기 전에 하류측 가이드 롤에 접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도막이 거칠어지게 되는 사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도공장치에 있어서, 하류측 가이드 롤의 하류측에, 도공재를 건조 경화시키는 별도의 건조 경화부를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하면, 하류측 가이드 롤과 하류측에 배설된 도공 롤과의 사이에 마련된 건조 경화부에서 건조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를 건조 경화시키고, 하류측 가이드 롤의 하류측에 배설된 다른 건조 경화부에서 건조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를 건조 경화시킬 수 있으므로, 하류측 가이드 롤과 도공 롤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건조 경화부를 소형화할 수 있어 하류측 가이드 롤과 도공 롤과의 설치 간격을 짧게 할 수 있고 이에 상류측 가이드 롤과 하류측 가이드 롤과의 설치 간격을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류측 가이드 롤과 하류측 가이드 롤과의 설치 간격이 커지는 일에 기인하여 기재의 지지력이 부족한 상태로 도공제의 도공을 하는 것에 의한 불균일한 도막 형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도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가이드 롤과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의 사이에서 상기 기재는 수평 또는 경사진 상태로 지지를 받으면서 반송되고, 상기 두 개의 도공 롤의 한쪽은 상기 기재의 상부에, 다른쪽의 도공 롤은 상기 기재의 하부에 배설되어서, 상기 한쪽의 도공 롤로 도공되는 도공제는 상기 다른쪽의 도공 롤로 도공되는 도공제보다 액이 늘어뜨려지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하면, 상류측 가이드 롤 및 하류측 가이드 롤의 사이에서 기재의 한쪽 면을 상방에 위치시키도록 기재를 수평 또는 경사진 상태로 가이드 지지하면서 반송하고, 한편 상기 기재의 상방 측에 배설된 도공 롤로 액이 늘어뜨려지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를 기재의 한쪽의 면에 도공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기재의 하부측에 배설된 도공 롤로 액이 늘어뜨려지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를 기재의 다른쪽 면에 도공된다. 이에 의해서, 기재의 하부에 배설된 도공 롤로 사용되는 도공제와 비교하여 점도가 낮고, 또는 도공 두께가 큰 등에 기인하여 높은 유동성을 가져 액이 늘어뜨려지기 쉬운 도공제를 기재의 상면에 사용함으로써, 도공제가 건조 경화하기 전에 중력의 영향에 의해서 유동하여 도막 거침이 생길 가능성을 극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하부에 배설된 도공 롤에서는, 상방에 배설된 도공 롤에서 사용되는 도공제와 비교하여 점도가 높고, 또는 도공 두께가 작은 등으로 유동성이 낮아, 액이 늘어뜨려지기 어려운 도공제를 사용하는 일에 따라서, 기재의 아래쪽 면의 도공에 있어서도 반송중에 도공제가 유동하여 도막 거침을 일으키는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도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도공 롤로 도공되는 도공제는 라미네이트(laminate)용 접착제이며, 상기 하류측에 배설된 도공 롤과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과의 사이에, 상기 기재의 한쪽 및 다른쪽 면에 각각 라미네이트재를 라미네이트하는 한 벌의 라미네이트 롤을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이면, 소형화로 간단한 구조의 도공장치로 기재의 양면에 균일하게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도공할 수 있다. 그리고 균일하게 도공된 라미네이트용 접착제에 대해서, 라미네이트재를 하류측 도공 롤의 하류에 배설된 한 벌의 라미네이트 롤에 의해서 신속히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의 도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도공 롤의 각각의 주면에는, 기재의 반송 방향을 대칭축으로 한 좌우 대칭의 도공용 셀 패턴(sell pattern)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이면, 상기 두 개의 도공 롤의 각각의 주면에 기재의 반송 방향을 대칭축으로 한 좌우 대칭의 도공용 셀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양 도공 롤의 회전에 따라 기재를 그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축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부세력(付勢力)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재의 사행(蛇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도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도공 롤의 한쪽의 주면에는 기재를 그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제1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부여하는 도공용 셀 패턴이 형성되고, 다른쪽의 도공 롤의 주면에는 기재를 상기 제1의 축방향과 반대의 제2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부여하는 도공용 셀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이면, 한쪽의 도공 롤의 주면에 기재를 그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제1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부여하는 도공용 셀 패턴을 형성하고, 다른쪽의 도공 롤의 주면에 기재를 상기 제1의 축방향과 반대의 제2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부여하는 도공용 셀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양 도공 롤의 회전에 따라 기재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축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도공용 셀 패턴이 양 도공 롤에 형성되어 있어도, 그 회전에 따른 부세력이 서로 제거되도록 작용하여, 이에 의해서 기재가 사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공장치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도공 롤의 반대 측에 설치된 한 벌의 자세 제어롤에 의해 기재를 적정하게 지지하는 등의 수단을 강구하는 일 없이, 기재의 양면에 대해서 도공제를 각각 정밀하게 잘 도공하는 일이 가능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도공장치를 소형화되게 하는 것과 동시에, 그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둘째. 경화되지 않은 도공제가 하류측 가이드 롤에 접하여 도막이 거칠어지게 되는 사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상류측 가이드 롤과 하류측 가이드 롤과의 설치 간격이 커지는 일에 의한 기재의 지지력이 부족한 상태로 발생되는 불균일한 도막 형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넷째. 기재의 하면의 도공에 있어서도 반송중에 도공제가 유동하여 도막 거침을 일으키는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컴팩트한 간단한 구조의 도공장치로 기재의 양면에 균일하게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도공할 수 있고, 균일하게 도공된 라미네이트용 접착제에 대해서, 라미네이트재를 하류측 도공 롤의 하류에 배설된 한 벌의 라미네이트 롤에 의해서 신속히 접착시킬 수 있다.
여섯째. 도공용 셀 패턴의 형성에 의해서 도공 롤의 회전에 따른 부세력이 제거됨에 따라서 기재가 사행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공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상기 도공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도공 롤 및 도공 케이스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공 롤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공 케이스의 측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공 롤에 형성되어 있는 셀 패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셀 패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공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공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공장치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4 실시 형태의 도공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공장치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셀 패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도공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공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도공장치는, 시트상의 기재(S)에 대해서, 그 표면(이하, 제1면으로 한다) 및 이면(이하, 제2면으로 한다)의 양면에 도공제를 각각 도공(전면 칠)하는 것이며, 상기 기재(S)의 제2면(이면) 측에, 기재(S)를 가이드 지지하는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이 배설되어 있다.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의 사이에는, 상기 기재(S)의 제1면(표면)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제1 도공 롤(3)과, 상기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의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기재의 제2면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제2 도공 롤(4)과, 상기 제1 도공 롤(3) 및 제2 도공 롤(4)에 도공제를 공급하는 도공 유닛(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도공 롤(4)은, 상기 기재(S)에 대해서,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과 동일 측에 배설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도공 롤(3)은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 각각의 주면(周面)과 접촉하지 않는 기재(S)의 면측에 배설되고, 상기 제2 도공 롤(4)은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 각각의 주면과 접촉하는 기재(S)의 면측에 배설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상기 기재(S)는,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의 사이를 하부에서 상부로 향하여 대략 연직하게 반송된다. 양 가이드 롤(1, 2)의 사이에 있어서, 상류측에 제1 도공 롤(3)이 배설되고, 상기 제1 도공 롤(3)의 하류측에는 제1 도공 롤에 근접하는 제2 도공 롤(4)이 배설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류측 가이드 롤(1)과 제2 도공 롤(4)에서 제2면이 가이드 지지를 받은 기재(S)의 제1면에 대해 제1 도공 롤(3)의 주면이 0°~ 10°의 접촉각 α를 가지고서 압접된다. 제1 도공 롤(3)과 하류측 가이드 롤(2)에서 제1면이 가이드 지지를 받은 기재(S)의 제2면에 대해 제2 도공 롤(4)의 주면이 0°~ 10°의 접촉각 α를 가지고서 압접된다.
제1 도공 롤(3)과 제2 도공 롤(4)은, 일정한 이간 거리를 두고 배설되며, 기재(S)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도공 롤(3)과 제2 도공 롤(4)은, 서로에 이간되는 위치에서 기재(S)에 접촉하고, 그 제1면 및 제2면에 도공제를 도공한다. 도 1에 있어서, 제1 도공 롤(3)이 도시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과 동시에, 제2 도공 롤(4)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기재(S)에 대해서 제1 도공 롤(3)로 제2 도공 롤(4)의 접촉면이, 각각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한다. 제1 도공 롤(3)과 제2 도공 롤(4)의 이간 거리는, 장치가 소형화되도록 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근접시켜 배설하는 것이 좋다. 단, 제1 도공 롤(3)이 기재(S)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기재(S)에 주는 반력이, 제2 도공 롤(4)이 기재(S)의 제2면에 도공제를 도공할 때에 악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서, 또한 양 도공 롤(3, 4)이 기재(S)를 꽉 깨물지(nip) 않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1 도공 롤(3)과 제2 도공 롤(4)의 주표면간의 최단 거리는 기재(S)의 두께보다 크지 않으면 안 된다.
도공 유닛(5)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공 롤(3, 4)의 주면에 대향하는 개구를 가지는 공간에 형성된 도공제굄(6)을 가지는 도공 케이스(7)와, 도공 케이스(7)의 전면 상단부, 즉 도공 롤(3, 4)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장착된 스틸 또는 플라스틱등으로 형성된 독터 블레이드(8)와, 도공 케이스(7)의 전면 하단부, 즉 도공 롤(3, 4)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설치된 스틸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 밀봉 플레이트(9)와 도공제굄(6) 내에 도공제를 급송하는 도공제 급송수단(10)을 갖추고 있다.
밀봉부재의 역할을 완수하는 독터 블레이드(8) 및 밀봉 플레이트(9)의 첨단부는, 제1, 제2 도공 롤(3, 4)의 주면에 압접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공제굄(6)의 전면부 상하가 독터 블레이드(8) 및 밀봉 플레이트(9)에 의해 밀봉되어 도공제굄(6)이 밀폐 상태가 된다. 제1, 제2 도공 롤(3, 4)의 회전에 따라서, 그 주면에 부착한 여분의 도공제가 독터 블레이드(8)에 의해 긁어내어진다. 도공제 급송수단(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용의 잉크 등으로 되는 도공제가 수용된 도공제 탱크(11)와, 도공제 탱크(11) 내의 도공제를 흡인하여 도공 케이스(7)의 하부에 급송하는 급송 펌프(12)가 설치된 도공제 급송 파이프(13)와, 도공 케이스(7)의 상부로부터 배출되는 도공제굄(7) 내의 도공제를 도공제탱크(11)로 되돌리는 리턴 파이프(return pipe, 14)를 갖추고 있다.
제1, 제2 도공 롤(3, 4)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틸제의 파이프재 등으로 이루어진 롤 본체(15)와, 롤 본체(15)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된 회전축(17)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롤 본체(15)의 주면부에는, 셀층(18)이 형성되어 있다. 셀층(18)에는,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방형상의 도공용 셀 패턴(19a) 또는 육각 형상의 도공용 셀 패턴(19b)으로 구성되는 연속 기하학 모양의 선대칭의 셀 패턴, 즉 기재의 반송 방향을 대칭축으로 한 좌우 대칭의 도공용 셀 패턴이 레이저 가공등의 수단에 의해 각인되어 있다.
도공 케이스(7)의 측단부에는, 도공제굄(6)의 측단부를 덮는 측벽판(20)이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측벽판(20)에는 밀봉부재(21)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도공 롤(3, 4)의 주면 좌우 양단부에는, 도공용 셀 패턴(19)이 각인 되어 있지 않은 평활면부(22)가 설치되고, 평활면부(22)에 도공 케이스(7)의 밀봉부재(21)가 압접된다.
제1, 제2 도공 롤(3, 4)은, 예를 들면 직경 40mm ~ 200mm의 범위 내로 설정되고, 바람직하게는 40mm ~ 120mm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다. 제1, 제2 도공 롤(3, 4)의 직경을 작게 형성했을 경우에는, 기재(S)에 대한 제1, 제2 도공 롤 (3, 4)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제1, 제2 도공 롤(3, 4)과 기재(S)와의 사이에 큰 마찰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제2 도공 롤(3, 4)에 의해서 기재(S)에 도공제를 도공할 때에, 도공 얼룩짐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도공 롤(3, 4)이 길어서, 베어링간 거리가 크게 되고, 한편 기재(S)의 반송 속도가 고속의 경우, 도공제를 도공할 때에 제1, 제2 도공 롤(3, 4)에 연소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도공 얼룩짐이 생기기 쉽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제2 도공 롤(3, 4)의 직경을 어느 정도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공제 급송수단(10)의 급송 펌프(12)를 구동하여서, 도공제 탱크(11) 내로부터 도공제를 제1, 제2 도공 롤(3, 4)의 도공제굄(6) 내에 공급하면서, 제1, 제2 도공 롤(3, 4)을 소정 속도로 기재(S)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그에 따라서, 도공제굄(6) 내에 공급된 도공제가 밀폐 상태로 제1, 제2 도공 롤(3, 4)의 주면에 접촉하여 부착되는 것과 동시에, 제1, 제2 도공 롤(3, 4)의 주면에 부착한 여분의 도공제가 독터 블레이드(8)에 의해서 각각 제거된다.
제1 도공 롤(3)의 주면에 부착된 도공제가, 그 회전에 따라 기재(S)에 반송되어 상류측 가이드 롤(1)과 제2 도공 롤(4)에 의해 기재(S)의 제2면이 가이드 지지를 받은 상태에서, 기재의 제1면에 제1 도공 롤(3)에 의해서 도공제가 도공된다. 그 다음에, 제2 도공 롤(4)의 주면에 부착된 도공제가, 그 회전에 따라 기재(S)로 반송되고, 제1 도공 롤(3)과 하류측 가이드 롤(2)에 의해 기재(S)의 제1면이 가이드 지지를 받은 상태에서, 기재(S)의 제2면에 제2 도공 롤(4)에 의해서 도공제가 도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상의 기재(S)에 대해서 기재의 제1면 및 제2면에 도공제를 각각 도공하는 도공장치에 대해서, 기재(S)의 제2면측에 배설된 기재(S)를 가이드 지지하는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과,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의 사이에 배설된 기재(S)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기재의 제1면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제1 도공 롤(3)과,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의 사이에 제1 도공 롤(3)의 하류측에 일정 거리를 두고 배설되어 기재(S)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도공 롤(3)과 이간(離間)된 위치에서 기재의 제2면에 접촉하여 도공제를 도공하는 제2 도공 롤(4)과, 제1, 제2 도공 롤(3, 4)에 도공제를 공급하는 도공 유닛(5)이 설치되어 있다. 도공 유닛(5)에, 제1, 제2 도공 롤(3, 4)의 주면을 따라서 설치된 도공 케이스(7)와, 도공 케이스(7)에 형성된 도공제굄(6) 내에 도공제를 급송하는 도공제 급송수단(10)과, 제1, 제2 도공 롤(3, 4)의 회전 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을 밀봉하여 도공제굄(6)을 밀폐하는 독터 블레이드(8) 및 밀봉 플레이트(9)를 갖추고 있다. 독터 블레이드(8) 및 밀봉 플레이트(9)는 밀봉부재의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기재(S)의 표리 양면에 각각 도공제를 적정하게 도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제2 도공 롤(3, 4)에 도공제를 공급하는 도공 케이스(7)의 도공제굄(6)을 밀폐형으로 했기 때문에, 기재(S)를 가이드 롤(1, 2)에 의해 가이드 지지하면서 연직 방향으로 반송하고, 기재(S)의 반송로를 따라서 배설된 한 벌의 제1, 제2 도공 롤(3, 4)에 의해 기재(S)의 제1, 제2면에 각각 도공제를 도공할 수 있다. 그리고, 기재(S)의 제1면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제1 도공 롤(3)을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 사이에 배설하는 것과 동시에,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 사이에 제1 도공 롤(3)과 일정 거리를 둔 위치에 기재(S)의 제2면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제2 도공 롤(4)을 배설했으므로, 상류측 가이드 롤(1)과 제2 도공 롤(4)에 의해 제2면이 가이드 지지를 받은 기재(S)의 제1면에 대해, 제1 도공 롤(3)의 주면을 소정의 접촉각α로 압접시켜 도공제를 균일하게 도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도공 롤(3)과 하류측 가이드 롤(2)에 의해 제1면이 가이드 지지를 받은 기재(S)의 제2면에 대해, 제2 도공 롤(4)의 주면을 접촉각α로 압접시켜 도공제를 균일하게 도공할 수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라비아 롤의 반대 측에 설치된 한 벌의 자세 제어롤에 의해 기재의 표면을 적정하게 가이드 지지할 필요가 있는 구성과 비교해서, 상술의 도공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어져 있는 종래 장치와 같이, 기재(S)의 반송 방향에 따라 배설된 한 벌의 가이드 롤(41, 42)에 의해 기재(S)를 가이드 지지하면서, 그 반대 측에 배설된 제1 도공 수단(43)에 의해 기재(S)의 한쪽 면에 도공제를 도공한 후, 그 하류측에 배설된 한 벌의 가이드 롤(44, 45)에 의해 기재(S)를 지지하면서 그 반대 측에 배설된 제2 도공 수단(46)에 의해 기재(S)의 다른쪽 면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기재(S)의 제1, 제2면에 대해서 도공제를 각각 균일하고 적정하게 도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공장치를 효과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그 구조를 충분히 간략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제2 도공 롤(3, 4)을 각각 기재(S)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도공제를 도공함으로써, 도공제를 기재(S)의 제1면 및 제2면에 대해서 적당하고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도공 롤(4)을, 제1 도공 롤(3)과 이간된 위치에서 기재(S)의 제2면에 접촉하여 도공제를 도공하기 때문에, 제1 도공 롤(3)의 회전력이, 제2 도공 롤(4)에 의해 기재(S)의 제2면에 도공제를 도공할 때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1, 제2 도공 롤(3, 4)을 각각 기재(S)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도공제를 기재(S)의 제1면 및 제2면에 정밀하게 잘 도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공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제2 실시 형태의 도공장치에서, 제1, 제2 도공 롤(3, 4) 중 하류측에 배설된 제2 도공 롤(4)과 그 하류측에 배설된 하류측 가이드 롤(2)과의 사이에 도공제의 건조 경화부(23)가 배설되어 있다. 건조 경화부(23)는, 예를 들어, 기재(S)에 도공된 도공제에 열풍을 내뿜는 일에 따라 도공제를 가열하여 경화시키고, 또는 기재(S)에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등에 의해서 도공제를 경화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도공 롤(4)과 하류측 가이드 롤(2)과의 사이에 도공제의 건조 경화부(23)를 배설함으로써, 제2 도공 롤(4)에 의해 기재(S)의 제2면에 도공된 도공제가 하류측 가이드 롤(2)에 도달하기 전에 제2면의 도공제를 건조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도공제가 미경화 상태로 하류측 가이드 롤(2)에 접촉할 것을 없앨 수 있고, 도막이 거칠어지지도 않게 된다.
또한, 하류측 가이드 롤(2)을 가압 공기를 이용한 비접촉형 가이드 롤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는, 하류측 가이드 롤의 상류측에 도공제 건조 경화부를 배설하지 않아도, 경화되지 않은 도공제가 하류측 가이드 롤(2)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도막 거침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공 롤(4)과 하류측 가이드 롤(2)과의 사이에 도공제 건조 경화부(23)를 배설했을 경우에는, 비접촉형 가이드 롤을 이용하는 일 없이, 도공제가 미경화 상태로 하류측 가이드 롤(2)에 접촉하는 일에 따른 도막 거침의 발생을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공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도공장치에서는, 제1 도공 롤(3)에서 건조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를 기재(S)의 제1면에 도공하고, 제2 도공 롤(4)에서 건조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를 기재(S)의 제2면에 도공하는 구성을 가진다. 제1, 제2 도공 롤(3, 4)과 그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류측 가이드 롤(2)의 사이에는, 비교적 소용량의 제1 건조 경화부(24)가 배설되는 것과 동시에, 하류측 가이드 롤(2)의 하류측에는, 비교적 대용량의 제2 건조 경화부(25)가 배설되어 있다. 즉 제1 도공 롤(3)은 제2 도공 롤(4)이 이용하는 도공제보다 건조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를 이용하고, 제2 도공 롤(4)은 제1 도공 롤(3)이 이용하는 도공제보다 건조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를 이용한다. 여기서 제1 건조 경화부(24)가 비교적 소용량이란 제2 건조 경화부(25)의 용량과 비교하여 작은 것을 의미하며, 제2 건조 경화부(25)가 비교적 대용량이란 제1 건조 경화부(24)의 용량과 비교하여 큰 것을 의미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건조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를 소용량의 제1 건조 경화부(24)에 의해 충분히 건조 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 건조 경화부(24)를 컴팩트하게 하여 제2 도공 롤(4)과 하류측 가이드 롤(2)과의 설치 간격을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류측 가이드 롤(1)과 하류측 가이드 롤(2)과의 설치 간격이 커지는 일에 의해서 기재(S)의 지지력이 부족하게 되는 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기재(S)를 적정하게 가이드 지지한 상태로 도공제를 균일하게 도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건조 경화부(24)를 비교적 소용량으로 했을 경우, 제1 건조 경화부(24)에 의해서 건조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를 완전하게 건조 경화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그러나, 이 도공제는 하류측 가이드 롤(2)과 접촉하지 않는 기재(S)의 제1면에 도공되기 위해서, 이 도공제가 미경화 상태로 하류측 가이드 롤(2)에 도달했다고 해도, 이것에 접촉할 일은 없고, 건조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에서 형성되는 도막에 거침이 생기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류측 가이드 롤(1)과 하류측 가이드 롤(2)과의 사이에 있어서 기재(S)의 지지 상태에 영향을 주지않은 위치, 즉 하류측 가이드 롤(2)의 하류측에, 기재(S)의 제1면에 도공된 건조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를 충분히 건조시킬 수 있는 용량을 갖춘 제2 건조 경화부(25)를 배설하는 일에 따라, 기재(S)의 제1면에 도공된 도공제를 적정하게 건조 경화시킬 수 있다.
제1 ~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기재(S)를 연직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제1, 제2 도공 롤(3, 4)에 의해 기재(S)의 제1, 제2면에 각각 도공제를 도공하도록 구성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구성을 대신한 도 9에 나타낸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의 사이에서, 제1면이 상방에 위치하도록 기재(S)를 경사시킨 상태로 반송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재(S)를 경사 상태로 반송하면서 도공제의 도공을 실시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도공 영역에 있어서 기재(S)의 연직 방향 및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효과적으로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도공장치를 한층 더 소형화되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제1면과 제2면에 도공되는 도공제의 점도에 차이가 있는 경우, 또는 제1면과 제2면에 도공되는 도공제의 도공후가 다른 등에 의해 양 도공제의 액체의 늘어뜨려지기 쉬운 성질이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기재(S)의 상부 측에 배설된 제1 도공 롤(3)에 의해서 액체의 늘어뜨려지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를 기재(S)의 표면 측에 위치하는 제1면에 도공하는 것과 동시에, 기재(S)의 하부 측에 배설된 제2 도공 롤(4)에 의해서 제1 도공제와 비교하여 액체의 늘어뜨려지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를 기재(S)의 제2면에 도공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면에 도공되는 도공제와 비교하여 점도가 낮거나, 또는 도공 두께가 큰 등에 의해서 제1면에 도공되는 도공제가 높은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제1 도공 롤(3)에서 기재(S)의 제1면에 도공된 도공제가 건조 경화되기 전에, 중력의 영향에 의해 유동하고 도막이 거칠어질 가능성이 있지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도공 롤(3)에 의해 기재(S)의 표면 측에 위치하는 제1면에 도공되므로, 도공제가 중력의 영향을 받아 유동할 가능성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한편, 기재(S)의 제2면에 도공되는 도공제는, 제1면에 도공되는 도공제와 비교하여 점도가 높거나, 또는 제1면에 도공되는 도공제와 비교하여 도공 두께가 작은 등에 의해서 유동성이 낮고, 중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성질을 가져 액체의 늘어뜨려지기 쉬운 성질이 낮기 때문에, 기재(S)의 하면 측에 위치하는 제2면에 이러한 도공제를 도공하면, 도공제가 반송중에 유동, 액체의 늘어뜨려지기 쉬운 성질로 인한 도막 거침이 생길 가능성은 낮다.
또한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의 사이에서, 기재(S)를 수평 상태로 반송하여 기재(S)의 제1면을 상부에 위치시키는 것과 동시에, 기재(S)의 상부측에 배설된 제1 도공 롤(3)에서 액체의 늘어뜨려지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를 기재(S)의 표면 측에 위치하는 제1면에 도공하는 것과 동시에, 기재(S)의 하부 측에 배설된 제2 도공 롤(4)에서 제1면에 도공되는 도공제에 비하여 액체의 늘어뜨려지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는 도공제를 기재(S)의 제2면에 도공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의 사이에 있어서, 상류측에 기재(S)의 제1면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제1 도공 롤(3)을 배설하는 것과 동시에, 하류측에 제 2 도공 롤(4)을 배설한 구조로 하는 실시 형태 1 ~ 4 에 대신하여,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들(1, 2) 간의 상류측에 기재(S)의 제2면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제2 도공 롤(4)를 배설하는 것과 동시에, 하류측에 기재(S)의 제1면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제1 도공 롤(3)을 배설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 도공 롤(4)로부터 기재(S)의 제2면에 부여되는 압압력에 따라 상류측 가이드 롤(1)에 의한 기재(S)의 가이드 기능이 손상되기 쉬워지므로, 상류측 가이드 롤(1)에 대한 기재(S)의 권부각도(卷付角度)β를 크게하여 기재(S)의 가이드 기능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권부각도 β를 90°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공장치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도공장치에서는, 제1, 제2 도공 롤(3, 4)에서 라미네이트용 접착제인 도공제가 기재(S)의 제1, 제2면에 도공된다. 제1, 제2 도공 롤(3, 4)과 그 하류측에 배설된 하류측 가이드 롤(2)과의 사이에는, 기재(S)의 제1면, 제2면에 도공된 도공제를 가열하여 그 용제를 기화시키는 건조 경화부(26)와, 그 하류측에 기재(S)의 제1, 제2면에 라미네이트재(27, 28)를 라미네이트하는 한 벌의 라미네이트 롤(29, 30)과, 각 래미네이트 롤(29, 30)에 대해서 상기 래미네이트재(27, 28)를 안내하는 안내 롤(31, 32)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재(S)의 제1면 및 제2면에 라미네이트재(27, 28)를 라미네이트하는 형태로 구성된 래미네이트기에 대하여, 기재(S)의 제1면에 라미네이트용 접착제인 도공제를 도공하는 제1 도공 롤(3)을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의 사이에 배설하는 것과 동시에, 상류측 가이드 롤(1) 및 하류측 가이드 롤(2)의 사이에서 제1 도공 롤(3)에 인접한 위치에, 기재(S)의 제2면에 라미네이트용 접착제인 도공제를 도공하는 제2 도공 롤(4)를 배설함으로써, 상류측 가이드 롤(1)과 제2 도공 롤(4)에 의해 제2면이 지지를 받은 기재(S)의 제1면에 대해, 제1 도공 롤(3)의 주면을 소정의 접촉각으로 압접시켜 도공제를 균일하게 도공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제1 도공 롤(3)과 하류측 가이드 롤(2)에서 제1면이 가이드 지지를 받은 기재(S)의 제2면에 대해, 제2 도공 롤(4)의 주면을 소정의 접촉각으로 압접시켜 도공제를 균일하게 도공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도공 롤(4)과 그의 하류측에 배설된 라미네이트 롤(29, 30)과의 사이에, 제1, 제2 도공제를 가열하여 그 용제를 기화시키는 건조 경화부(26)가 배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도공제가 라미네이트재(27, 28)로 덮여 도공제의 용제의 기화가 라미네이트재(27, 28)에 의해 방해받을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용제를 확실히 기화시킨 상태로 기재(S)의 제1면 및 제2면에 라미네이트재(27, 28)를 적정하게 라미네이트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로서 무용제 타입의 도공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라미네이트재(27, 28)로서 통기성을 가진 시트재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도공제가 라미네이트재(27, 28)로 덮이는 것에 의한 폐해(弊害)가 생길 일은 없기 때문에, 라미네이트 롤(29, 30)의 하류측에 도공제를 가열하여 건조 경화시키는 건조 경화부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실시 형태 1 ~ 5에서는, 정방형 또는 육각형등의 연속 기하학모양으로부터 되는 좌우 대칭의 도공용 셀 패턴, 즉 기재(S)의 반송 방향을 대칭축으로 한 좌우 대칭의 도공용 셀 패턴(19)이 제1, 제2 도공 롤(3, 4)의 주면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제1, 제2 도공 롤(3, 4)의 회전에 따라 기재를 그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력이 작용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기재의 사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에 대신하여, 제1, 제2 도공 롤(3, 4)의 회전에 따라 기재(S)에 각각 역방향의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도공용 셀 패턴을, 제1, 제2 도공 롤(3, 4)의 주면부에 형성하는 형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제2 도공 롤(3, 4)에 각각 일정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구(傾斜溝)로부터 되는 도공용 셀 패턴(33, 34)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공용 셀 패턴(33)을 제1 도공 롤(3)에 형성했을 경우, 그 회전에 따라 기재(S)를 그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U)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부세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제2 도공 롤(4)의 주면에는, 기재(S)를 제1 방향(U)와 반대의 제2 방향(W)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부여하는 도공용 셀 패턴(34)을 형성하는 일에 따라, 제1, 제2 도공 롤(3, 4)의 회전에 따른 부세력을 서로 상쇄되도록 작용시켜 기재(S)가 사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상류측 가이드롤 2: 하류측 가이드롤
3: 제1 도공롤 4: 제2 도공롤
5: 도공 유닛 6: 도공제굄
7: 도공 케이스 8: 독터 블레이드
9: 밀봉 플레이트 10: 도공제 공급수단
11: 도공제 탱크 12: 급송 펌프
13: 급송 파이프 14: 리턴 파이프
15: 롤 본체 17: 회전축
18: 셀층 19, 19a, 19b: 셀 패턴
20: 측벽판 21: 밀봉부재
22: 평활부 23, 26: 건조 경화부
24: 제1 건조 경화부 25: 제2 건조 경화부
27, 28: 라미네이트 29, 30: 라미네이트롤
31, 32: 안내롤

Claims (8)

  1.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시트상의 기재의 양면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도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재를 가이드 지지하는 상류측 가이드 롤 및 하류측 가이드 롤과,
    상기 상류측 가이드 롤 및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의 사이에 배설되고, 상류측과 하류측에 서로 소정 거리로 이격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기재의 한쪽 면 및 다른쪽의 면에 도공제를 도공하는 두 개의 도공 롤과,
    상기 두 개의 도공 롤에 각각 설치되어서 대응하는 도공 롤에 도공제를 공급하는 도공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도공 유닛은,
    대응하는 도공 롤의 일부의 주면을 따라서 설치되고, 도공제굄이 형성된 도공 케이스와,
    상기 도공제굄 내에 도공제를 급송하는 도공제 급송수단과,
    대응하는 도공 롤의 회전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에 상기 도공제굄을 밀폐하는 밀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류측에 배설된 도공 롤과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과의 사이에 도공제를 건조 경화시키는 건조 경화부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도공 롤 중 한쪽의 도공 롤로 도공되는 상기 기재의 한쪽 면은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의 주면(周面)에 접하지 않는 면이고, 다른 한쪽의 도공 롤로 도공되는 상기 기재의 다른쪽 면은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의 주면에 접하는 면이며,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의 주면에 접하지 않는 상기 기재의 한쪽 면에 상기 한쪽의 도공 롤로 도공되는 도공제는,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의 주면에 접하는 상기 기재의 다른쪽 면에 상기 다른 한쪽의 도공 롤로 도공되는 도공제보다 건조하기 어려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의 하류측에 도공제를 건조 경화시키는 별도의 건조 경화부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가이드 롤과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의 사이에서 상기 기재는 수평 또는 경사진 상태로 지지를 받으면서 반송되고, 상기 두 개의 도공 롤 중 한쪽은 상기 기재의 상부에, 다른 한쪽의 도공 롤은 상기 기재의 하부에 배설되며, 상기 한쪽의 도공 롤로 도공되는 도공제는 상기 다른쪽의 도공 롤로 도공되는 도공제보다 액체의 늘어뜨려지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장치.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도공 롤로 도공되는 도공제는 라미네이트용 접착제이며, 상기 하류측에 배설된 도공 롤과 상기 하류측 가이드 롤과의 사이에, 상기 기재의 한쪽 면 및 다른쪽 면에 각각 라미네이트재를 라미네이트하는 한 벌의 라미네이트 롤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장치.
  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도공 롤의 각각의 주면에는, 기재의 반송 방향을 대칭축으로 한 좌우 대칭의 도공용 셀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장치.
  8.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도공 롤 중 한쪽 도공롤의 주면에는 기재를 그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제1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부여하여 도공용 셀 패턴이 형성되게 하고, 다른쪽 도공 롤의 주면에는 기재를 상기 제1의 축방향과 반대의 제2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부여하여 도공용 셀 패턴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공장치.
KR1020100025556A 2009-03-25 2010-03-23 도공장치 KR101677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74738 2009-03-25
JP2009074738A JP4820427B2 (ja) 2009-03-25 2009-03-25 塗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401A true KR20100107401A (ko) 2010-10-05
KR101677763B1 KR101677763B1 (ko) 2016-11-18

Family

ID=4276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556A KR101677763B1 (ko) 2009-03-25 2010-03-23 도공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820427B2 (ko)
KR (1) KR101677763B1 (ko)
CN (1) CN101844121B (ko)
TW (1) TWI54846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5362A (zh) * 2021-06-21 2021-09-14 沈坤 一种光学膜涂布表面涂料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0553B2 (ja) * 2010-12-02 2015-06-10 富士機械工業株式会社 間欠塗工装置
TWI555582B (zh) * 2010-12-02 2016-11-01 Fuji Kikai Kogyo Kk Intermittent coating device
TWI579059B (zh) * 2012-01-17 2017-04-21 Kk Miyako Roller Kogyo A carved roller for coating with a hydrophilic DLC film
CN103041962B (zh) * 2012-12-06 2015-08-12 江苏吉星新材料有限公司 滚边器
JP5834048B2 (ja) 2013-05-24 2015-12-16 富士機械工業株式会社 両面塗工装置
JP6068261B2 (ja) * 2013-05-24 2017-01-25 富士機械工業株式会社 印刷塗工装置
JP5695698B2 (ja) 2013-05-24 2015-04-08 富士機械工業株式会社 グラビアキス塗工装置
JP6371527B2 (ja) * 2014-01-07 2018-08-08 富士機械工業株式会社 塗工装置
JP6303511B2 (ja) * 2014-01-09 2018-04-0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グラビア塗工装置
JP6271289B2 (ja) * 2014-02-20 2018-01-31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接着剤塗布装置、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CN105251667A (zh) * 2014-07-14 2016-01-20 保定市万浩机械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双面涂布方法及系统
CN106423717B (zh) * 2016-08-31 2019-05-17 律胜科技(苏州)有限公司 自动涂布烘烤生产线
JP6986736B2 (ja) * 2017-06-01 2021-12-22 株式会社康井精機 塗工方法および塗工装置
CN108043653A (zh) * 2017-12-14 2018-05-18 常德金德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微凹辊及使用微凹辊的涂布方法
CN108246559B (zh) * 2018-04-03 2023-12-15 广东豪德数控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密封的涂胶装置
CN108480139B (zh) * 2018-05-29 2024-04-05 天津爱码信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涂布刻印机
CN112313016B (zh) * 2018-06-18 2022-08-02 世联株式会社 片状物的制造方法和片状物
CN110560322B (zh) * 2019-09-29 2024-03-05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供液管路、一种立式辊涂机及其使用方法
TWI701081B (zh) * 2019-12-11 2020-08-11 群翊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薄板導引功能的塗佈裝置
EP3851210A1 (en) * 2020-01-14 2021-07-21 Jesús Francisco Barberan Latorre Applicator roller
TW202332514A (zh) * 2020-03-11 2023-08-16 日商都滾筒工業股份有限公司 塗布裝置
CN111438033A (zh) * 2020-05-14 2020-07-24 余谟鑫 一种锂电池生产用涂布装置
CN112317250A (zh) * 2020-09-30 2021-02-05 西安航天华阳机电装备有限公司 一种锂电池隔膜高效双面涂覆装置
CN112934586B (zh) * 2021-01-28 2022-05-24 元源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玻纤复合毡辅助涂料装置
CN113547830A (zh) * 2021-07-14 2021-10-26 重庆鑫仕达包装设备有限公司 一种基材双面涂布复合机与其涂布及复合的方法
CN114632668A (zh) * 2022-03-04 2022-06-17 李红莲 一种定向安装用eps线条刮浆装置
CN114618742A (zh) * 2022-05-17 2022-06-14 溧阳卓越新材料科技有限公司 传送稳定性可靠的箔材加工装置及方法
CN115178421B (zh) * 2022-08-26 2024-04-02 一道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伏板表面透光膜镀覆装置
CN115415107B (zh) * 2022-09-02 2024-02-23 浙江宇狮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激光刻画的图案化涂布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7180A (en) * 1979-04-11 1980-10-25 Mitsubishi Petrochem Co Ltd Adhesion by using a filmy adhesive
KR20020001415A (ko) * 2000-06-28 2002-01-09 한승우 리튬이온 전지 제조용 프라이머 도포장치
JP2002186888A (ja) * 2000-12-19 2002-07-02 Fuji Kikai Kogyo Kk グラビア塗工装置
JP2007319798A (ja) * 2006-06-01 2007-12-13 Nikka Kk 印刷ウェブの表面処理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9676A (ja) * 1983-05-11 1984-11-28 Dainippon Screen Mfg Co Ltd ロ−ルコ−ティング装置
JPS60230658A (ja) * 1984-04-28 1985-11-16 Ginya Ishii プリント配線用基板の感光液塗布装置
JPS61191166A (ja) * 1985-02-19 1986-08-25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S6242764A (ja) * 1985-08-16 1987-02-24 Toyobo Co Ltd フイルム又はシ−トの両面コ−テイング方法
US4674438A (en) * 1986-01-13 1987-06-23 Qmi Corporation Photographic film coater
US5207159A (en) * 1991-08-30 1993-05-04 Howard W. DeMoore Coating apparatus for sheet-fed, offset rotary printing presses
JP2757759B2 (ja) * 1994-01-26 1998-05-2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ロールコータによる塗装方法
JPH10151391A (ja) * 1996-11-25 1998-06-09 Yasui Seiki:Kk グラビア塗工装置および方法
JP2000117168A (ja) * 1998-10-13 2000-04-25 Okazaki Kikai Kogyo Kk ダイコータ型の塗工装置
EP1057541A1 (de) * 1999-06-04 2000-12-06 Solipat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partiellen Auftragen einer Oberflächenbeschichtung und Warenbahn mit einer partiellen Oberflächenbeschichtung
US7625605B2 (en) * 2004-12-30 2009-12-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coating a surface with a pattern of coating fluid
WO2008029718A1 (fr) * 2006-09-08 2008-03-13 Toray Industries, Inc. Procédé de revêtement et appareil de revêt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7180A (en) * 1979-04-11 1980-10-25 Mitsubishi Petrochem Co Ltd Adhesion by using a filmy adhesive
KR20020001415A (ko) * 2000-06-28 2002-01-09 한승우 리튬이온 전지 제조용 프라이머 도포장치
JP2002186888A (ja) * 2000-12-19 2002-07-02 Fuji Kikai Kogyo Kk グラビア塗工装置
JP2007319798A (ja) * 2006-06-01 2007-12-13 Nikka Kk 印刷ウェブの表面処理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5362A (zh) * 2021-06-21 2021-09-14 沈坤 一种光学膜涂布表面涂料装置
CN113385362B (zh) * 2021-06-21 2023-08-22 福建华沃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膜涂布表面涂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34760A (en) 2010-10-01
KR101677763B1 (ko) 2016-11-18
JP2010221204A (ja) 2010-10-07
TWI548463B (zh) 2016-09-11
JP4820427B2 (ja) 2011-11-24
CN101844121B (zh) 2015-07-01
CN101844121A (zh)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7401A (ko) 도공장치
KR101309343B1 (ko) 양면 도포 시공 장치 및 양면 도포 시공 방법
EP3702137B1 (en) Lamination device and lamination method
US20150314580A1 (en) Lamination method and laminate
US20170087793A1 (en) Corrugator machine
US201401097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nd transferring diffractive microstructures to a printing material and printing press having the device
CN102470666A (zh) 用于产生结构层的方法和装置
CN100548677C (zh) 一种毯带式凹版印刷机
JP2012076032A (ja) 塗工装置
KR101342044B1 (ko) 개선된 양면 인쇄 장치, 시스템, 및 방법
EP2222473B1 (en) Device for moistening a paper web, corresponding rotary printing press and moistening method
CN100435977C (zh) 包括将流体涂覆到连续材料上的模块式装置的、连续材料用的加工设备
JP2009178697A (ja) コーティング装置
KR102297840B1 (ko) 도공 장치 및 도공 방법
JP2022155714A (ja) 塗布装置
KR101626576B1 (ko) 챔버형 잉크공급장치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코팅장치
US20210379887A1 (en) Printing systems including a rigid printing pattern and an inking roll having an elastically deformable surface
KR102430888B1 (ko) 인라인 옵셋 콜드포일 스템핑 인쇄 방법
US624538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epreg in which reinforcing substrate is impregnated with thermosetting matrix resin
JP6184298B2 (ja) 印刷機においてシートをフィルムでコーティングする方法
JP2012106192A (ja) ロールへの塗膜形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布方法
KR101639721B1 (ko) 폴리머 이차전지 제작용 파우치 레이어 코팅 장치
JP5499013B2 (ja) ラミネート装置
CN117940220A (zh) 用于制造电气应用所用的钢带的过程和相关联的设备
Graham et al. Ultra-precision control of a reel-to-reel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