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857A - 나사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나사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857A
KR20100092857A KR1020090093023A KR20090093023A KR20100092857A KR 20100092857 A KR20100092857 A KR 20100092857A KR 1020090093023 A KR1020090093023 A KR 1020090093023A KR 20090093023 A KR20090093023 A KR 20090093023A KR 20100092857 A KR20100092857 A KR 20100092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magnet
rail
guide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0727B1 (ko
Inventor
요시타케 오타
Original Assignee
오타케 루트 코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타케 루트 코교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오타케 루트 코교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92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7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pick-up devices, the container remaining immobile
    • B65G47/1485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pick-up devices, the container remaining immobile using suction or magnetic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at least the whol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21Vibratory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electrostatic or magnetic grippers

Abstract

자석을 이용해 나사류(S)를 퍼 올리고, 수용부를 깊게 하여 나사류(S)를 수납하는 용적을 크게하는 나사류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나사류를 수용부에서 급상기구에 의해 퍼 올려 나사류의 반송기구에 올려 놓고, 이 반송기구에 의해서 외부에 차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마련한 나사류 공급기에 있어서, 반송기구의 나사류 배출부는 수용부의 전방에 돌출함과 더불어 급상기구는 수용부의 외벽 벽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암부가 설치되고, 회전암부의 선단에 자석을 고착하며, 회전암부는 수용부의 외벽으로부터 수용부에 적재된 나사류를 자석의 자력에 의한 흡착력을 통해, 반송기구에 마련한 나사류의 수급부에 하부에서 윗쪽으로 회전하면서 나사류를 퍼 올리도록 유도하고, 회전암부의 자석이 윗쪽에서 외벽으로부터 외측에 분리시키는 자석거리 변경부를 마련하며, 급상기구의 자석거리 변경부에 의해 수납부의 상부에서 나사류에 대한 흡착력을 약하게 하여 나사류를 수급부 상에 낙하시킨다.

Description

나사류 공급장치{APPARATUS FEEDING SCREW OR THE LIKE}
본 발명은, 헤드부 및 봉형상의 축부(나사부)를 가진 금속제 나사류 또는 이와 유사한 금속제 리벳 또는 압정 등을 다수 수용하고, 이러한 것들을 분리 및 정렬하여 하나씩 배출하여 공급하는 나사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런 종류의 나사류 공급기로서, 본 출원인이 특허 문헌 1으로서 나사류송급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 나사류송급장치는, 나사류(S)가 다수 수용되는 수용부를 마련하여 수용부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하여 나사류(S)가 삽입되는 도랑을 구비하고, 배출되는 나사류(S)를 안내하는 레일을 마련하여 수용부 내의 레일에 나사류(S)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구비한 것으로, 나사류(S)는 레일의 배출측 단부의 스토퍼부재에 정렬하여 대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나사류(S)를 공급하는 공급부는, 상하 이동하는 받침판(board)을 마련하여 나사류(S)를 밀어 올려 레일 위에 올려 놓는 구성이며, 받침판의 용량에 한도가 있으므로 남아 있는 다수의 나사류(S)를 수용하지 못하고, 즉, 수용부를 크게 하더라도 받침판에 나사류(S)를 올려 놓을 수 있는 개수에 한도가 있었다.
또한, 받침판으로부터 한꺼번에 많은 나사류가 레일에 낙하하므로, 복수의 나사류(S)가 겹쳐지면서 얽혀져, 분리 및 정렬이 충분하지 못하고, 복수의 나사류(S)가 함께 배출되는 부적당이 있으므로 확실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소량의 금속제부재를, 수용부의 외측으로 왕복이동하는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이 플레이트에 자석을 설치하여 자석의 자력으로 소량의 금속제부재를 수용부에서 꺼내어, 수용부의 상부 스크레이퍼로 금속부재를 긁어내고, 금속 부재를 1 개씩 공급하는 부품 공급 장치가, 특허 문헌 2에 제안되어 있다. 이 공급 장치는, 부품을 한 개씩 공급할 수 있지만, 플레이트가 왕복이동하므로 기구가 복잡하게 되어 부품의 마모가 많을 뿐만 아니라 스크레이퍼로 금속부재를 긁어내 분리하므로 부재에 상처가 나는 문제점도 있고, 그 때문에 부품의 수수부재(handing over member)를 여러 가지로 준비할 필요도 있었다.
[특허문헌1]일본 특개평9-58847호공보
[특허문헌2]일본 특개2001-287827호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나사류 공급 장치에 있어서 나사류(S)를 공급하는 공급부의 용량을 크게 하고, 다수의 나사류(S)를 수용하여 수용부로의 나사류(S)의 보급회수를 경감시키는 한편, 나사부재를 1개씩 확실히 정렬시켜 공급하는 부품 공급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1의 발명은, 나사류를 수용부에서 급상기구(汲上機構)에 의해 퍼 올려 나사류의 반송기구 위에 올려 놓으며, 반송기구에 의해 외부로 차례차례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가진 나사류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의 나사류의 배출부는 상기 수용부의 전방에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급상기구는 상기 수용부의 외벽벽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암부가 설치되고, 이 회전암부의 선단에 자석을 고착하고, 상기 회전암부는 수용부의 외벽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회전하면서 수용부에 적재된 나사류를 자석의 자력에 의한 흡착력을 통해 상기 반송기구에 마련한 나사류의 수급부로 퍼 올리도록 유도하며, 상기 회전암부의 자석을 상부에서 외벽으로부터 외측으로 분리시키는 자석거리 변경부를 마련하고, 상기 급상기구의 자석거리 변경부에 의해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서 나사류에 대한 흡착력을 약하게 하여 나사류를 상기 수급부 상에 낙하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나사류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급상기구는 상기 반송기구로의 나사류의 진행방향과 평행한 수용부의 측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나사류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급상기구는 상기 반송기구의 나사류의 진행방향과 직각인 수용부의 배면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의 나사류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나사류의 반송기구는 나사류의 안내레일부재이고, 이 안내레일부재는 나사류의 축부가 상부로부터 끼워지는 끼움 레일도랑을 가지며, 이 끼움 레일도랑의 개구 가장자리로 나사류의 헤드부를 지지하고, 상기 안내레일부재의 끼움 레일도랑에 삽입된 나사류에 대해 배출방향으로 관성력을 주도록 안내레일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관성력부여기구를 마련하며, 수용부의 내부에서 외부에 배출되는 나사류를 안내하는 레일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의 나사류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나사류의 반송기구는 서로 반대 방향의 나선도랑을 가지는 한 쌍의 평행반송롤러부재이고, 평행반송롤러부재의 회전은 서로 역회전함과 더불어, 상면에서는 나선도랑이 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배출 방향을 향하도록 하며, 나사류의 단부를 나선도랑에 끼워 수용부의 내부에서 외부에 배출되는 나사류를 안내하는 레일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의 나사류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거리 변경부는 상기 회전암부에 설치된 안내 롤러와 안내 롤러를 안내하는 안내레일로 구성되고, 안내 레일은 원호상의 상제방부와 경사부와 벽면부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롤러가 벽면부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회전암의 자석의 자력에 의한 흡착력을 통해 나사류를 유도하고, 상기 안내롤러가 경사부에서 제방부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석을 외벽으로부터 외측에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나사류 공급기의 발명에 의하면, 나사류의 수용부의 외부에 급상기구인 회전자석을 마련하여 그 자석의 자력에 의해, 수용부의 하부에서 나사류(S)를 퍼 올림으로써 수용부를 깊게 하여 나사류 S를 수용하는 용적을 크게 할 수 있고, 다수의 나사류(S)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로의 나사류(S)의 보급회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나사 수용부로부터 소정량의 나사를 자석의 자력에 의해 퍼 올려 나사류의 반송기구 상에서 자석을 나사 수용부의 벽면으로부터 이격시켜 나사류를 반송기구의 나사류의 수급부로 낙하시키므로 종래 기술에서는 자석을 왕복이동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마모가 격렬하여 왕복이동기구의 보수에 시간이 들지만, 본 발명에서는 자석의 이동을 회전 구동으로 하기 때문에 이동이 부드럽고 고장개소도 적다. 또한, 종래 기술은 자석으로부터의 나사류의 박리도 스크레이퍼를 사용하기 때문에 나사류에 과대한 힘이 작용하여 손상이 발생하고, 스크레이퍼의 마모도 격렬하기 때문에 교환·보수를 해야 하지만, 본 발명은 자석이 측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자력이 소멸하는 것으로써, 외력이 인가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나사가 낙하함으로써 나사에 손상을 줌이 없고, 부재의 마모도 적은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2의 나사류 공급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의 효과에 부가하여 급상기구를 측벽에 마련함에 따라 수용부의 깊이를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나사류 공급기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의 효과에 부가하여 급상기구를 배면벽에 마련함에 따라 수용부의 폭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전체의 사이즈를 소형으로 할 수 있고, 반송 기구로의 나사류를 균등하게 분배함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나사류 공급기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의 효과에 부가하여 나사류를 반송하는 반송기구에 진동하는 안내레일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신속하고 확실히 나사류를 공급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나사류 공급기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의 효과에 부가하여 나사류를 반송하는 반송기구에 한 쌍의 나선도랑을 가지는 평행반송롤러를 이용함에 따라 소형으로부터 대형까지의 나사류부재 또는 나사 이외의 부품 등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는 범용 부품공급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나사류 공급기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5의 효과에 부가하여 자석의 안내롤러를 안내하는 안내레일을 원호상의 상제방부와 경사부와 벽면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무리없이 자석을 안내하여 부재의 소모도 적게 하고, 나사류를 퍼 올릴 때에 무리가 없으며, 낙하 시에는 자연스럽게 분리하므로 신속하고 확실하게 나사류를 반송기구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나사류의 수용부의 외부에 회전 자석을 마련하여 나사 수용부로부터 소정량의 나사를 자력에 의해 퍼올리고, 반송기구 상에서 자석을 나사 수용부의 측벽으로부터 이격시켜 나사류를 반송 기구의 안내 레일 부재(제1실시예)의 나사류 수급부, 고정된 수급안내부재, 또는 평행 반송롤러부재(제3실시예)에 낙하시키는 구성으로, 나사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장치 내의 부품 마모도 적고, 자석의 자력에 의해 수용부의 하부에서 나사류(S)를 퍼 올려 수용부를 깊게 함으로써 나사류(S)를 수용하는 용적을 크게 하는 것을 실현하였다.
[제1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한 나사류 공급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제1실시예의 나사류 공급장치(1)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급장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나사류(S)의 수용부(2)가 도 1의 좌측으로 배치되고, 그 용기의 외측에 수용부(2)의 저부에 있는 나사류(S)를 윗쪽으로 퍼 올리는 급상기구(3; 汲上機構, scooping mechanism)가 설치되며, 이 급상기구(3)에 의해 수용부(2) 내의 반송기구(4, 안내레일부재) 상에 나사류(S)를 적재하고, 적재된 나사류(S)를 관성력 부여기구를 갖춘 안내레일부재(4)에 의해 이동시키는 한편, 솔회동기구(5)에 의해 정렬시키고, 외부로 차례차례 배출하여 소정의 나사류(S)를 공급하는 배출부(6)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나사류의 수용부(2)]
도 1, 도 3, 도 7을 참조하면, 나사류의 수용부(2)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수용부(2)는 나사류 공급장치(1)의 베이스(11) 위에 설치되고, 그 좌우에는 우측판(21, 전면에서 오른쪽)과 좌측판(22)이 설치되며, 배면 측에는 배면판(23)이 설치되고, 전면 측에는 전면판(24)이 설치되어 단면장방형(斷面長方形)의 상자모양으로 구성된다. 저부(25)는 직사각형의 중심으로 향해 경사진 전/후/좌측, 3개의 경사저판(251a, 251b, 251c) 및 그 중심부의 평탄저판(252)으로 구성되고, 이에 저부(25)는 깔때기 모양의 호퍼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자는 수용부(2)의 상부 개구로 적당량의 나사류(S)를 투입한다. 투입된 나사류(S)의 대부분은 수용부(2)의 저부(25)에 수용된다. 이 수용부(2)는, 대략적으로, 전면측 부분의 나사류(S)를 아래로부터 퍼 올리는 영역이 있는 급상실 전방부(26)와 배면측 부분으로 낙하하는 나사류(S)를 받는 수급부(43)가 있는 급상실 후방부(27)로 구성되고, 수용부(2)의 배면판(23)에서 전면판(24)으로 연장되어 후술하는 나사류(S)의 안내레일부재(4)가 설치되며, 수용부(2)의 전면판(24)의 전면에는 배출부(6)가 배치되고, 좌측판(22)에는 급상기구(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나사류 공급장치의 수용부(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 수용부(2)의 하부에서 나사류(S)를 퍼 올림으로써 수용부(2)의 깊이를 깊게 하여 나사류(S)를 수용하는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
[급상기구(3)]
급상기구(3)의 주요 구성은 도 1, 도 2, 도 4,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용부(2)의 좌측판(22)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부(31)는 자석 회전부(32)를 일방향으로 회전(도 2에서 반시계회전)시키는 것으로, 전면판(24)의 전면에 구동 모터(311)가 배치되고, 횡방향으로 구동 모터(311)의 회전축(312)이 돌출되며, 이 회전축(312)에 회전캠(313)과 풀리(314)가 설치되고, 풀리(314) 및 자석회전부(32)의 풀리(321)에는 구동벨트(315)가 걸려진다.
자석 회전부(32)의 회전축(322)의 일단에는 풀리(321)가 일체로 설치되고, 회전축(322)의 타단은 베어링부(323, 도 3, 그림 5 참조)에 축지지되며, 이 베어링부(323)는 수용부(2)의 좌측판(22)에 설치된다. 베어링부(323)와 풀리(321) 사이에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석 장착암(34, magnet mounting arm)과 이를 장착하는 장착부재(35)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재(35)는 원주부(351)에 마련되고, 원주부(351)를 절삭하여 대향 평탄부(352)를 형성하며, 양 평탄부(352)에 한 쌍의 암베어링부(353)가 설치되고, 한 쌍의 암베어링부(353)에는 자석장착암(34)의 한 쌍의 회전암부(341)가 암회동축(342)에 끼워져 축지결합된다.
자석장착암(34)은 한 쌍의 회전암부(341)의 암회동축(342)에 의해 원주부(351)의 회전축(322)의 축선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암회동축(342)에 장착된다(즉, 자석장착암(34)은 좌측판(22)에 대해 분리 또는 접촉하는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자석장착암(34)의 회동하는 선단부에는 자석(36)이 장착되고, 암회동축(342)과 자석(36)의 중간에는 자석회전부(32)가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자석 안내롤러(3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석 안내롤러(34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암부(341) 사이에서 직교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롤러장착판(344)의 베어링부(345)에 그 롤러축(346)이 축지지되고, 자석 안내롤러(343)가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한 원형상의 회전 궤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석(36)의 자력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 내부의 나사류(S)등의 금속부재를 흡인하고, 이 금속부재는 자석(36)의 회전에 따라 상부로 퍼 내도록 이동하며, 자석(36)은 수용부(2) 내의 금속부재에 자력이 영향을 미치도록 자석장착암(34)의 회동하는 선단부에 설치된다.
이 자석 안내롤러(343)가 회전하는 궤적 상에는, 자석(36)을 좌측판(22)에서 멀어지게 하는 분리레일(37, seperating rail)이 설치되고, 분리레일(37)은 자석거리 변경부(33)을 구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레일(37)은 기본적으로는 자력영향범위(X1), 이행범위(X2,X4; transition range), 분리범위(X3)를 가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로의 분리레일(37)은 자력영향범위(X1)가 좌측판(22)의 벽면을 이용하고, 분리범위(X3)를 형성하는 반원의 평탄레일부(371) 및 그에 연결되는 이행범위(X2, X4)의 경사부(372, 373)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마모 등의 문제를 고려하여, 자력영향범위(X1)의 낮은 평탄레일부(374), 높은 평탄레일부(371),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부(372, 373)가 연속한 원형 레일로 하여도 무방하다.
즉, 자석거리변경부(33)는 회전암부(341)에 설치된 자석안내롤러(343) 및 자석안내롤러(343)을 안내하는 분리레일(37)인 자석안내레일로 구성되고, 자석안내레일은 원호상의 평탄 레일부(371)인 상제방부, 경사부(372, 373), 측벽면부에 있는 좌측판(22)으로 구성되는 원형 궤도를 형성하며, 자석안내롤러(343)이 좌측판(22)의 측벽면부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급상실 후방부(27)의 하부로부터 개시되어 회전암부(341)에 장착된 자석(36)의 자력(흡착력)에 의해 급상실 후방부(27)의 하부에 있는 나사류(S)를 유도하고, 이 흡착력으로 나사류(S)는 윗쪽으로 이행하여 급상실 전방부(26)을 통과하고, 급상실 후방부(27)의 상부까지 퍼 올려져 자석안내롤러(343)가 경사부(372)에서 높은 제방부의 평탄레일부(371)을 주행하면, 자석(36)이 좌측판(22)의 측벽에서 외측으로 분리됨에 따라 수용부(2) 내의 나사류(S)에 대한 흡착력이 약해져 나사류(S)가 후술하는 수급부로 낙하된다. 그리고, 나사류(S)를 낙하시킨 자석안내롤러(343)는 경사부(373)을 통과하여 좌측판(22)의 측벽면부를 주행한다.
또한, 좌측판(22)이 비자성체의 스테인리스이고, 이동대상인 나사류(S)의 부품은 자성체이므로, 자석(36)은 항상 좌측판(22)측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판(22)이 비자성체의 스테인리스이지만, 다른 수용부의 벽면도 스테인리스 재질로 할 수 있다. 또한, 비자성체이면 유리나 합성수지 등으로 측판을 형성하여도 좋다.
[반송기구(4, 안내레일부재)]
도 1 내지 도 3, 특히,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안내레일부재(4)를 설명하지만, 이 안내레일부재(4)는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나사류(S)를 배출방향으로 관성력을 주도록 안내레일부재를 전후이동시키는 관성력부여기구를 이용한 피더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부재(4)의 상부에는 레일지지부재(41)을 가진 레일지지기구와 이에 끼워진 레일부(42)가 거의 수평에 설치되고, 이 레일지지부재(41)은 수용부(2)의 배면판(23)으로부터 전면판(24)으로 연장되며, 또한 전면판(24)로부터 돌출하여 배출부(6)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의 레일부(42)의 선단 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레일부(42)는 중앙에 나사류(S)의 축부(나사부, S1)를 끼워 정렬하도록 레일부의 길이방향으로 끼움 레일도랑(421)이 설치되고, 끼움 레일도랑(421)의 좌우에는 한 쌍의 레일(422a, 42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레일(422a, 422b)의 외측에는 급상기구(3)으로부터 낙하하는 나사류(S)를 받아 끼움 레일도랑(421)으로 도입하는 수급부(43)가 설치된다.
수급부(43)는 레일지지부재(41)의 지지판(44)의 상면에 설치된 레일누름판(411a, 411b)에 연이어 설치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일부(42)의 상면에 연이어지도록 급상실 후방부(27)의 위치에 한 쌍의 익부(431a, 431b)가 역 "ハ"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레일부(42)는 한 쌍의 레일누름판(411a, 411b)에 의해 양측에서 눌려져 지지받는 한편,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한 쌍의 레일누름판(411a, 411b)은 레일지지부재(41)의 지지판(44) 상부에 있는 상부 지지판(441)에 설치된다. 이에, 공급되는 나사류에 의해 끼움 레일도랑(421)의 폭이나 깊이에 맞은 레일부(42)를 선택하고, 적당하고 간단하게 교환하도록 되어 있다.
안내레일부재(4)의 레일지지부재(41)의 상부 지지판(44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일누름판(411a, 411b)이 설치되고, 레일지지부재(41)의 하부에는 레일부(42)를 전후에 진동시키는 관성력부여기구가 설치되며, 이 레일지지부재(41)의 지지판(44)이 U자 모양에 설치된다. 이 U자 모양의 지지판(44)은 수용부(2)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전방지지판(442)과 저판(443)과 후방지지판(444)으로 구성된다. 레일지지부재(41)의 전후는 수용부(2)의 배면판(23)과 전면판(24)에 마련된 절결공(도시하지 않음)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당연히 레일지지부재(41)와 절결공의 간격은 나사류(S) 등의 부품이 누락하거나 끼워지지 않을 정도로 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 레일지지부재(41)의 지지판(44)의 전방지지판(442)과 후방지지판(444)에는 각각 판용수철(451a, 451b)의 일단이 장착되고, 판스프링(451a, 451b)의 각 외단 누름부(452a, 452b)가 나사류 공급 장치(1)의 베이스(1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레일부재(4)의 전체가 전후이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판스프링(451a, 451b)만으로 지지된다.
지지판(44)의 전방지지판(442)의 하부에는, 자성체의 전자석수신판(46)이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도 8(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지지판(442)에서 돌출된 전자석수신판(46)의 선단부(461)의 측면에 대향하여 약간의 틈새를 두고 전자석(47)의 철심부(471)가 배치되고, 전자석(47)의 철심부(471)는 베이스(11)에 고정되어 있다.
도 8(b)은 전자석(47)의 상세한 평면도로서, 전자석(47)의 전자코일(472)의 중심에 철심부(471)가 배치되고, 철심부(471)의 자력면(4711)의 반대단부 측에는 설치기판(473)이 설치되어 베이스(11)에 고정된다. 그리고, 철심부(471)의 자력 면(4711)에 대향하여 약 1mm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전방지지판(442)측의 전자석수신판(46)을 설치하도록 안내레일부재(4)가 조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코일(472)에 전원이 인가되어 온(ON)되면, 철심부(471)의 자력면(4711)에 자력이 생겨 그 결과 자력면(4711)으로 전자석수신판(46)이 당겨져 안내레일부재(4)의 전체가 도 7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전자코일(472)에 전원인가가 해재되어 오프(OFF)되면, 안내레일부재(4)는 판스프링(451a, 451b)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안내레일부재(4)의 전자석수신판(46)도 자력면(4711)에 대해서 약 1mm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로 돌아온다. 이리하여, 전자코일(472)에 구형파나 교류를 인가하는 것에 의해, 안내레일부재(4)의 전체가 길이방향으로 전후방향으로 진동한다. 이러한 안내레일부재(4)를 진동시키는 진동 기구가 관성력부여기구가 된다.
또한, 반송기구인 안내레일부재(4)는, 수용부(2)의 공중에 뜬 것처럼 위치하므로, 수용부(2) 내의 나사류(S)와의 간섭이 적으므로 나사류(S)가 급상기구(3)의 급상위치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솔회동기구(5)]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일(422a, 422b) 또는 역 "ハ" 모양의 한 쌍의 익부(431a, 431b)에 낙하한 나사류(S)의 축부(나사부, S1)는 끼움 레일도랑(421)에 차례차례 끼워져 정렬하여 외부에 이송되지만, 끼움 레일도랑(421)에 정확하게 끼워지지 않은 부정자세의 나사류(S)가 레일(422a, 422b)에 실린 채로 이송되는 일이 있으므로 이를 다시 수용부(2) 내로 흔들어 떨어뜨리는 것이 필요하고, 이렇게 흔 들어 떨어뜨리는 기구가 솔회동기구(5)이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솔(51, 브러쉬)은 레일(422a, 422b) 상의 급상실 전방부(26)에 위치하고, 레일(422a, 422b)의 표면을 좌우로 쓸어낸다. 솔(51)은 평평하고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고, 솔(51)은 회동축(52)에 높이조정부재(53)에 의해 고정되며, 회동축(52)은 회동베어링(54) 및 전면판(24)을 관통하고, 그 선단에 회동암(55)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동암(55)의 좌우회동 동력원은, 상기 구동모터(311)의 회전으로부터 링크기구를 개재시켜 얻을 수 있고, 구동모터(311)의 회전축(312)에 설치된 회전캠(313)과 접촉하는 압접롤러(56)가 설치되며, 회전캠(313)은 그 일부에 홈부를 가지며, 이 압접롤러(56)는 상하 요동하는 슬라이더(57)의 일단에 설치되며, 슬라이더(57)는 한 쌍의 고정축(12, 베이스측)과 장공(571, 슬라이더측)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회전축(312)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572)에 의해 슬라이더(57)는 압접롤러(56)를 회전캠(313)의 캠면 측에 가압접촉시킨다.
그리고, 슬라이더(57)의 타단은 전면판(24)의 일부에 설치된 중심 베어링부(581)를 중심으로 한 링크(58)의 일단 베어링부(582)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 베어링부(583)는 회동암(55)의 선단 회전부(551)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일부에 홈부를 가지는 회전캠(313)이 회전하면, 캠면과 접촉하는 압접롤러(56)와 슬라이더(57)는 상하 요동하고, 이 상하 요동이 링크(58)를 통해 선단 회전부(551) 및 회동암(55)을 좌우로 회동시키며, 그 중심축인 회동축(52) 및 솔(51)을 좌우로 왕복 회동시킨다.
솔(51)의 솔끝(brush tip)으로터 레일(422a, 422b)의 표면까지의 거리는, 끼움 레일도랑(421)에 정확하게 끼워져 있는 나사류(S)의 헤드부(S2)에 솔끝이 근소하게 접촉하도록 조정부재(53)를 조정한다. 이 때, 솔끝이 아래로 지나면 나사류(S)를 튕겨 날리거나 솔(51)이 회동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의 위치가 바람직하다.
[배출부(6)]
이상과 같이, 나사류(S)를 급상기구(3)에 의해 안내레일부재(4)상에 적재하고, 적재된 나사류(S)를 상기 진동기구에 의한 관성력 부여기구를 갖춘 안내레일부재(4)에 의해 이동시키며, 솔회동기구(5)에 의해 정렬시키고, 외부로 차례차례 배출하여 소정의 나사류(S)를 공급하는 배출부(6)를 설치한다. 이 배출부(6)를 도 1 및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끼움 레일도랑(421)의 전면판(24)의 외부로 연장된 선단부에는 나사류(S)의 스토퍼(61)가 설치되고, 스토퍼(61)의 상부에는 나사류(S)의 헤드부(S2)에 끼워지는 드라이버의 끝을 정위치로 유도하는 깔때기 모양의 비트가이드(62)를 설치하고, 이 비트가이드(62)는 비트가이드 브라켓(63)을 통해 베이스(11)에 직립된 비트가이드 장착판(13)에 고정된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나사류 공급장치(1)의 가동에 의해, 나사류(S)를 내부의 수용부(2)로부터 레일(4)을 통해 차례차례 배출시킨다. 배출되어 온 나사류(S)가 레일(4)의 배출부(6)에 이르면, 스토퍼(61)에 의해 그 이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지지판(44)에는 센서브라켓(64)을 통해 선단센서(65)가 설치되고, 스토퍼(61)의 위치에 나사가 정렬됨을 감지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전체의 동작을 정지한다.
스토퍼(61)의 위치에 나사가 정렬된 상태로, 드라이버의 비트를 비트가이드(62)에 누르면서 하부로 하강시키면, 비트는 비트가이드(62)로 안내되어 나사류(S)의 헤드부(S2)에 결합된다. 이 상태로 드라이버를 앞으로 당김으로써 나사류(S)가 인출된다. 이 때, 선단센서(65)에 의해 나사류(S)의 인출을 감지하여 구동부는 다시 나사를 급상시키는 동작을 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회전하는 자석(36)의 자력에 의해 수용부(2)의 하부에서 나사류(S)를 퍼 올림에 따라 수용부(2)를 보다 깊게 하여 나사류(S)나 유사형상의 금속제 리벳이나 압정 등을 수용하는 용적을 크게 할 수 있고, 다수개의 나사류(S)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로의 나사류(S)의 보급회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나사류(S)의 수용부(2) 외부에 회전하는 자석(36)을 설치하여 나사수용부(2)로부터 소정량의 나사류(S)를 자력에 의해 퍼 올리고, 안내레일부재(4) 상에서 자석을 나사수용부의 측벽(22)로부터 이격시키며, 나사류(S)를 안내레일부재(4)의 나사류의 수급부(43) 상에 낙하시키므로, 종래의 자석을 왕복이동시키는 구성에서는 마모가 격렬하여 왕복이동기구의 보수 시간이 많이 들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석(36)의 이동이 회전구동이므로 부드럽고 고장도 적다. 또한, 종래기술은 자석으로부터의 나사류(S)의 박리도 스크레이퍼를 사용하기 때문에 나사류에 과대한 힘이 발생하여 손상되므로 스크레이퍼의 마모도 심하기 때문에 교환 ·보수를 해야 하지만, 자석(36)이 좌측판(22)의 측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자력이 약해짐에 따라 외력이 인가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나사가 낙하하므로 나사류(S)에 손상을 주지 않고, 장치의 부재 마모도 적다. 또한, 솔회동기구(5)를 설치함에 따라 나사류(S)나 유사한 부재를 분리 정렬하여 한 개씩 배출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한 나사류 공급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제2실시예의 나사류 공급장치(1)는,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이 주로, 주요부의 사시도인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급상기구(3)가 나사류(S)의 수용부(2)의 측면이 아니고, 배면판(23)의 외측 벽면에 배치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나사류의 수용부(2)]
제2실시예의 수용부(2)는, 우측판, 좌측판, 전면판은 도시하지 않지만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은 생략하지만 저부(28)의 구성이 다소 다르다. 저부(28)는 도 9,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단이 수용부(2)의 양 좌우측판에 접하여, 제일 낮은 위치가 중앙부가 되도록 배치한 반원통(281)으로, 저부분(중심선 Z1)이 배면판(23)으로 향하여 낮게 위치하여 전면판 24(도 2)로부터 배면판(23)으로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폭은 수용부(2)의 좌우측판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시에, 작업자는 수용부(2)의 상부 개구에 적당개수의 나사류(S)를 투입하고, 투입된 나사류(S)는 수용부(2)의 저부(28)의 반원통수용부재(281)에 수납되며, 반원통 수용부재(281)는 배면판(23)으로 향해 낮게 기울어져 있으므로 나사류(S)는 배면판(23)측에 적재되며, 수용부(2)의 배면판(23)에서 전면판(제1실시예의 전면판(24)과 동일함)에 이르러 제1실시예과 같은 나사류(S)의 안내레일부재(4)가 배치되고, 수용부(2)의 전면판의 전면에는 배출부가 배치되며, 배면판(23)에는 후술하는 급상기구(3)가 설치되고, 또한 배면판(23)의 내측 적소에는 급상기구(3)으로부터 낙하하는 나사류(S)를 일단 받은 후에 반송기구(4)로 유도하는 수급안내부재(29, 도 10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실시예의 나사류 공급장치의 수용부(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 수용부(2)의 배면판(23)의 하부에서 나사류(S)를 퍼 올리므로 수용부(2)의 가로폭을 넓게 하여 나사류(S)를 수용하는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
[급상기구(3)]
급상기구(3)의 주된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실시예1과 동일한 기구이므로 설명의 일부는 생략하지만,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용부(2)의 배면판(2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모터(311)로 구성된 구동부는 자석회전부(32)를 일방향으로 회전(도 9에서 반시계회전)시키는 것으로, 전면판(도시하지 않음)의 전면에는 구동모터(311)가 배치되고, 후면방향으로 구동모터(311)의 회전축(312)이 연장되며, 이 회전축(312)에 회전캠(316)과 풀리(314)가 설치되고, 구동벨트(315)는 풀리(314)와 자석회전부(32)의 풀리(321) 사이에 걸쳐진다.
자석회전부(32)의 회전축(322)의 일단은 풀리(321)가 일체로 설치되고, 그 타단은 수용부(2)의 배면판(23)에 설치된 베어링부(343, 제1실시예의 도 4 참조)에 축지지되며, 베어링부(343)와 풀리(321)와의 사이에는 도 4(제1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석장착암(34) 및 이를 장착하는 장착부재(35)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재(35)는 원주부(351)에 마련되고, 원주부(351)를 절삭하여 대향 평탄부(352)를 형성하며, 양 평탄부(352)에는 한 쌍의 암베어링부(353)가 구비되고, 한 쌍의 암베어링부(353)에는 자석장착암(34)의 한 쌍의 회전암부(341)가 암회동축(342)에 끼움결합되어 축지지된다.
한 쌍의 회전암부(341)의 암회동축(342)에 의해, 자석장착암(34)은 원주부(351)의 회전축(322)의 축선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암회동축(342)에 장착된다(즉, 자석장착암(34)은 좌측판(22)에 대해 분리 또는 접촉하는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자석장착암(34)의 회동하는 선단부에는 자석(36)이 장착되고, 암회동축(342)과 자석(36) 사이의 중간에는 자석회전부(32)가 회전축(322)를 중심으로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자석안내롤러(3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석 안내롤러(343)는 제1실시예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암부(341) 사이에서 직교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롤러장착판(344)의 베어링부(345)에 그 롤러축(346)이 축지지되고, 자석 안내롤러(343)가 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한 원형상의 회전 궤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석(36)의 자력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 내부의 나사류(S)등의 금속부재를 끌어들이고, 이 금속부재는 자석(36)의 회전에 따라 상부로 퍼 내도록 이동하지만, 자석(36)은 수용부(2) 내의 금속부재에 자력이 영향을 주도록 자석장착암(34)의 회동하는 선단부에 설치된다.
이 자석 안내롤러(343)가 회전하는 궤적 상에는, 자석(36)을 좌측판(22)에서 멀어지게 하도록 자석거리 변경부(33)을 구성하는 분리레일(37, seperating rail)이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레일(37)은 기본적으로는 자력영향범위(X1), 이행범위(X2,X4; transition range), 분리범위(X3)를 가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로의 분리레일(37)은 자력영향범위(X1)가 좌측판(22)의 벽면을 이용하고, 분리범위(X3)를 형성하는 반원의 평탄레일부(371) 및 그에 연결되는 이행범위(X2, X4)의 경사부(372, 373)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마모 등의 문제를 고려하여, 자력영향범위(X1)의 낮은 평탄 레일부(374)와 높은 평탄 레일부(371)와 이들을 연결하는 경사부(372, 373)가 연속한 원형 레일로 하여도 무방하다.
즉, 자석거리 변경부(33)는 회전암부(341)에 설치된 자석안내롤러(343) 및 자석안내롤러(343)을 안내하는 분리레일(37)인 자석안내레일로 구성되고, 자석안내레일은 원호상의 평탄 레일부(371)인 상제방부와 경사부(372, 373)와 측벽면부인 좌측판(22)으로 구성되는 원형 궤도를 형성하며,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석안내롤러(343)가 배면판(23)의 벽면부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수용부(2)의 하부 반원통수용부재(281)의 배면판(23) 측에 적재된 나사류(S)를 회전암부(341)에 장착된 자석(36)의 자력에 의한 흡착력을 통해 배면판(23)을 이격시키도록 유도하 여 흡착하고, 나사류(S)는 자석(36)의 이동과 함께 상부로 이행하고, 배면판(23)의 내측 상부까지 퍼 올려지며, 여기서 자석안내롤러(343)가 경사부(372) 보다 높은 제방부인 평탄레일부(371)을 주행하면 자석(36)은 배면판(23)의 벽면에서 외측으로 이격되고, 수용부(2) 내에 있는 나사류(S)에 대한 흡착력이 약해져 나사류(S)가 수급안내부재(29) 상에 낙하된다(이 범위는 도 10의 사선으로 범위(Z2)이다). 이 수급안내부재(29)는 중앙부가 수축된 단면 형상으로 그 전체가 반송기구(4)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급상기구(3)에서 낙하하는 나사류(S)를 수급안내부재(29)에서 일시 받은 후에 반송기구(4)의 반송하는 끼움 레일도랑(421)의 중앙으로 유도한다.
그리고, 나사류(S)를 낙하시켜 자석안내롤러(343)는 경사부(373)를 통과하여 배면판(23)의 벽면부를 주행한다.
수급안내부재(29)를 설치함에 따라, 급상기구(3)를 배면판에 마련한 것과 더불어, 끼움 레일도랑(421)의 거의 바로 위로부터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나사류(S)가 끼움 레일도랑(421)에 끼워지기 쉬워진다.
또한, 배면판(23)이 비자성체의 스테인리스이고, 이동대상이 되는 나사류(S)의 부품은 자성체이므로, 자석(36)은 나사류(S)를 항상 배면판(23)측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면판(22)이 비자성체의 스테인리스이지만, 다른 수용부의 벽면도 스테인리스 재질로 할 수 있다. 또한, 비자성체이면 유리나 합성 수지 등으로 측판을 형성하여도 좋은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반송기구(4, 안내레일부재)]
제2실시예의 반송기구의 안내레일부재(4)를 설명하지만, 이 안내레일부재(4) 는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특허문헌2에 개시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그외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나사류(S)를 레일부(42)는 중앙에 유도하는 수급부(43) 및 역 "ハ" 모양의 한 쌍의 익부(431a, 431b)가 없고, 그 대신에 수급안내부재(29)를 배면판(23)에 설치하여 나사류(S)를 레일부(42) 또는 중앙에 유도하여 낙하시키며, 이 수급안내부재(29)는 반송기구(4)의 중앙으로 향하여 가늘어지는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끼움 레일도랑(421)에 끼워지지 않았던 나사류(S)는 그대로 하부 수용부(2)에 낙하하므로, 다음에 퍼 올려져 오는 나사류(S)의 끼움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그 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솔회동기구(5), 배출부(6)]
솔회동기구(5)도 기본적으로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지만, 솔(브러쉬, 51) 및 회동축(52)의 구동 기구가 다르다.
여기서, 회동축(52)의 구동계를 설명하면, 구동원인 구동모터(311)의 회전축(312)에는 타원회전캠(316)이 설치되고, 이 타원회전캠(316)에 의해 링크레버(3161)가 하단의 압접롤러(31611)을 통해 상하이동된다. 링크레버(3161)의 상단은 회동레버(3163)의 단부에 설치되고, 회동레버(3163)은 회동축(3162)을 중심으로 축지지되며, 회동레버(3163)의 일단에 장공(3165)이 형성되고, 이 장공(3165)에는 이동핀(3164)이 축지되어 회동레버(3163)를 회동시킨다. 회동하는 회동레버(3163)의 타단은 회동축(3162)을 중심으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호상 기어 부(3166)에 접촉하는 기어톱니바퀴(59)가 솔(51, 브러쉬)의 회동축(52)에 설치되고, 원호상 기어부(3166)가 회동함에 의해 솔(51)의 모선이 레일도랑(421)에 끼워져 있는 나사류(S)의 헤드부(S2)를 쓸어 레일도랑(421)에 끼워지지 않은 나사류(S)를 다시 수용부(2)로 흔들어 떨어뜨린다. 그 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리하여, 외부로 차례차례 배출하여 소정의 나사류(S)를 배출하지만, 제2실시예의 배출부(도시하지 않음)는 제1실시예의 배출부(6)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자석(36)의 자력에 의해, 수용부(2)의 하부에서 나사류(S)를 퍼 올림으로써, 수용부(2)를 보다 깊게 하여 나사류(S) 또는 그와 유사한 형상의 금속제 리벳이나 압정 등을 수용하는 용적을 크게 할 수 있고, 특히 제2실시예에서는 측벽 급상기구(3)를 후방의 배면판(23)에 설치하였으므로, 제1실시예 보다 수용부(2)의 폭을 그 만큼 넓게 할 수 있어 다수의 나사류(S)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로의 나사류(S) 보급회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나사류(S)의 수용부(2)의 외부에 회전하는 자석(36)을 구비하여 나사수용부(2)로부터 소정량의 나사류(S)를 자력에 의해 퍼 올려 안내레일부재(4) 상에서 자석을 나사 수용부의 벽면(23)에서 이격시키고, 나사류(S)를 안내레일부재(4)의 수급안내부재(29) 상으로 낙하시키므로, 종래의 자석을 왕복이동시키는 구성에서는 마모가 격렬하여 왕복이동기구의 보수시간이 소요되지만,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자석(36)의 이동이 회전구동이므로 부드럽고 고장개소도 적다. 또한, 종래기술은 자석에서의 나사류(S) 박리를 스크레이퍼를 사용하기 때문에 나사류에 과대한 힘이 발생하여 손상되어 스크레이퍼의 마모도 격렬하기 때문에 교환·보수를 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은 자석(36)이 배면판(23)의 측벽으로부터 분리하여 자력이 약해짐에 따라 외력이 인가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나사가 낙하하므로 나사류(S)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재의 마모도 적다. 또한 솔회동기구(5)를 구비하였으므로, 나사류(S)나 유사한 부재를 분리정렬하여 한 개씩 배출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한 나사류공급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의 급상기구(3)을 이용하지만, 반송기구로서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홈붙이 안내레일부재가 아니고, 한 쌍의 평행반송롤러부재 상에 낙하시키는 구성이다.
[반송 기구(평행 반송 롤러 부재 7), 배출부 8]
도 11에서, 제2실시예와 같이 배면판(23)의 외측에 급상기구(3)를 배치하지만, 급상기구(3)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배면판(23)의 내측에 고정된 수급안내부재(29)가 설치되고, 급상기구(3)으로부터 낙하하는 나사류(S)를 일단 수급안내부재(29)에서 받은 후에 반송기구(7)의 한 쌍의 롤러(71a, 71b)의 중앙부로 유도한다.
평행반송롤러부재(7)을 이용한 반송기구는 한 쌍의 대향하는 나선도랑(72a, 72b)이 평행하게 형성된 롤러(71a, 71b)로 구성되고, 평행한 한 쌍의 롤러(71a, 71b)는 서로 대향하여 역회전하며, 이러한 가동상태에서는 평행롤러(71a, 71b)의 표면에서는 나선도랑(72a, 72b)이 마치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거동하며, 한 쌍의 롤러가 접하는 부분에서 나선도랑(72a, 72b)의 가장자리에 나사류(S)의 헤드부나 선단부가 걸려 반송방향으로 이동하고, 걸리지 않는 나사류(S)는 솔(51) 또는 롤러가이드(73)에 의해 끌려 수용부(2)에 낙하한다. 그리고, 대향하는 반송롤러(71a, 71b)의 나선도랑(72a, 72b)에 걸린 정렬상태의 나사류(S)는 배출부(8)의 슬라이더(81)의 슬라이딩경로(811)로 유도되어 외부로 차례차례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작용·효과에 가세하여 피공급물이 자성체의 금속이면 비교적 대형의 부재에서도 또한 나사류와 같이 헤드부가 없어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풍부하는 부품의 공급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특징을 해치는 것이 아니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또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부분적인 구성을 다른 실시예에 조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제1실시예으로의 안내레일부재의 반송기구를 제3실시예의 평행롤러부재의 반송 기구로 하고, 롤러로의 안내 부재를 마련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나사류의 이송에 회전 자석을 이용하였으므로, 자성체이면 나사류(S) 이외에 유사 형상의 압정·리벳 등의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나사류 공급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나사류 공급장치의 구동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a)는 나사류 공급 장치의 자석과 자석 장착암의 측면도이고, 도 4(b)는 장착부재를 조립한 평면도이다.
도 5(a)는 급상기구의 자력이 나사류(S)에 대해 작용하는 상태의 평면 설명도이고, 도 5(b)는 좌측판으로부터 자석이 떨어져 자력이 나사류(S)에 작용하지 않는 상태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6(a)은 분리레일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그 측면도이다.
도 7은 나사류 공급 장치의 반송 기구의 안내 레일 부재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8(a)는 반송 기구의 안내 레일 부재의 진동기구(관성력 부여 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8(b)는 전자석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나사류 공급장치를 분해한 주요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주요부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3실시예의 나사류 공급장치를 분해한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S: 나사류 S1: 축부(나사부)
S2: 헤드부
1: 나사류 공급 장치 11: 베이스
12: 고정축 13: 비트가이드 장착판,
2: 수용부 21: 우측판
22: 좌측판 23: 배면판,
24: 전면판 25: 저부
251a,251b,251c: 경사저판,
252: 평탄저판 26: 급상실 전방부
27: 급상실 후방부
28: 저부 281: 반원통수납부재
29: 수급안내부재
3: 급상기구 31: 구동부
311: 구동모터 312: 회전축
313: 회전캠 314: 풀리
315: 구동 벨트 316: 타원회전캠
3161: 링크레버 31611: 압접롤러
3162: 회동축 3163: 회동레버
3164: 이동핀 3165: 장공
3166: 원호상 기어부 32: 자석회전부
321: 풀리 322: 회전축
323: 베어링부 33: 자석거리 변경부
34: 자석장착암 341: 회전암부
342: 암회동축 343: 자석안내롤러
344: 롤러장착판 345: 베어링부,
346: 롤러축 35: 장착부재
351: 원주부 352: 평탄부
353: 암베어링부 36: 자석
37: 분리레일 371:(고)평탄 레일부(제방부:X3)
372, 373: 사행부(X2,X4) 374: (저) 평탄 레일부(좌측판:X1)
4: 반송기구(안내 레일 부재)
41: 레일 지지부재 411a,411b: 레일누름판
42: 레일부 421: 끼움 레일도랑
422a,422b: 레일 43: 수급부
431a,431b: 익부 44: 지지판
441: 상부 지지판 442: 전방지지판
443: 저판 444: 후방지지판
451a, 451b: 판용수철 452a,452b: 누름부
46: 전자석수신판 461:선단부
47: 전자석 471: 철심부
4711: 자력면 472: 전자코일
473: 설치기판
5: 솔회동 기구 51: 솔
52: 회동축 53: 조정부재
54: 회동베어링 55: 회동암
551: 선단회전부 56:압접롤러
57: 슬라이더 571: 장공
572: 스프링 58: 링크
581: 중심베어링부 582: 일단베어링부
583: 타단 베어링부 59: 기어톱니바퀴
6: 배출부 61: 스토퍼
62: 비트가이드 63: 비트가이드 브라켓
64: 센서브라켓 65: 선단센서
7: 반송기구(평행반송롤부재)
71a,b: 롤러 72 a, b: 나선도랑
73: 롤러가이드
8: 배출부
81: 출구 슬라이더 811: 슬라이딩경로

Claims (6)

  1. 나사류를 수용부에서 급상기구에 의해 퍼 올려 나사류의 반송기구에 올려놓고, 반송기구에 의해 외부로 차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마련한 나사류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의 나사류의 배출부는 상기 수용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급상기구는 상기 수용부의 외벽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암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암부의 선단에 자석을 고착하고, 상기 반송기구에는 나사류의 수급부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암부는 수용부의 외벽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회전하면서 수용부에 적재된 나사류를 자석의 자력에 의한 흡착력을 통해 상기 반송기구에 설치된 나사류의 수급부에 퍼 올리도록 유도하고, 상기 회전암부의 자석을 상부에서 외벽으로부터 외측에 분리시키는 자석거리변경부가 설치되며, 상기 급상기구의 자석거리변경부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나사류에 대한 흡착력을 약하게 하여 나사류를 상기 수급부 상에 낙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류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상기구는, 상기 반송기구로의 나사류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수용부의 측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류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상기구는, 상기 반송기구의 나사류 진행 방향과 직각인 수용부의 배면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류 공급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류의 반송기구는, 나사류의 안내레일부재이고, 이 안내레일부재는 나사류의 축부가 상부로부터 끼워지는 끼움 레일도랑을 가지며, 이 끼움 레일도랑의 개구 가장자리에 나사류의 헤드부를 지지하고, 상기 안내레일부재의 끼움 레일도랑에 삽입된 나사류에 대해 배출방향으로 관성력을 주도록 안내레일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관성력부여기구를 마련하며, 수용부의 내부에서 외부에 배출되는 나사류를 안내하는 레일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류 공급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류의 반송기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선도랑을 가지는 한 쌍의 평행반송 롤러부재이며, 평행반송 롤러부재의 회전은 서로 역회전함과 더불어, 상면에서는 나선도랑이 롤러의 회전에 의해 외관상 배출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나사류의 헤드부 또는 단부를 나선도랑에 끼워 수용부의 내부에서 외부에 배출되는 나사류를 안내하는 롤러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류 공급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변경부는 상기 회전암부에 설치된 안내롤러와 안내롤러를 안내하는 안내레일로 구성되고, 안내레일은 원호상의 상제방부와 경사부와 벽면부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 롤러가 벽면부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회전암의 자석의 자력에 의한 흡착력을 통해 나사류를 유도하고, 상기 안내롤러가 경사부에서 제방부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석을 외벽으로부터 외측에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류 공급장치.
KR1020090093023A 2009-02-13 2009-09-30 나사류 공급장치 KR101170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31894 2009-02-13
JPJP-P-2009-031894 2009-02-13
JPJP-P-2009-124373 2009-05-22
JP2009124373A JP5350887B2 (ja) 2009-02-13 2009-05-22 ネジ類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857A true KR20100092857A (ko) 2010-08-23
KR101170727B1 KR101170727B1 (ko) 2012-08-03

Family

ID=4237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023A KR101170727B1 (ko) 2009-02-13 2009-09-30 나사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91731B2 (ko)
JP (1) JP5350887B2 (ko)
KR (1) KR101170727B1 (ko)
CN (1) CN101804909B (ko)
DE (1) DE102009044815B4 (ko)
HK (1) HK1146029A1 (ko)
TW (1) TWI38983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67B1 (ko) * 2014-06-11 2015-06-11 주식회사 이노텍 스크류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80101A1 (it) * 2008-01-24 2009-07-25 Dachi S R L "apparato di caricamento in un impianto di trasporto di contenitori di materiale biologico"
EP2617726A4 (en) 2010-09-17 2014-05-14 Takeda Pharmaceutical DIABETES THERAPEUTIC
CN103129952B (zh) * 2011-11-30 2016-01-20 中建材浚鑫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螺丝钉自动排版机
US9096391B2 (en) * 2012-12-04 2015-08-0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rticle dispenser apparatus
CN103903346B (zh) * 2012-12-29 2016-12-14 重庆界威模具股份有限公司 自动售货机
JP6285109B2 (ja) * 2013-05-24 2018-02-28 株式会社大武ルート工業 ネジ類供給装置
JP6083902B2 (ja) * 2013-05-24 2017-02-22 株式会社大武ルート工業 ネジ供給カートリッジ
MX345488B (es) * 2013-06-25 2017-02-02 Nissan Motor Dispositivo para suministrar un numero constante de partes pequeñas.
JP6285207B2 (ja) * 2014-02-22 2018-02-28 株式会社大武ルート工業 ネジ類供給装置
CN104401690A (zh) * 2014-12-15 2015-03-11 遵义金惠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螺栓整列送料机构
CN104554894B (zh) * 2014-12-30 2016-09-14 广州博润包装机械有限公司 一种瓶泵输送整形机构
CN205551928U (zh) * 2016-04-27 2016-09-07 昆山荣逸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螺丝整列机的加料仓
CN106276189A (zh) * 2016-08-23 2017-01-04 东莞市元鹏五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分体式铆钉自动送料装置
US10053295B2 (en) 2016-10-31 2018-08-21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Parts organizing system and method
CN106347974A (zh) * 2016-10-31 2017-01-25 无锡志东机电设备有限公司 磁性转盘式自动螺丝输送机
KR101775462B1 (ko) * 2016-12-16 2017-09-07 주식회사 엔에프에이 회전판을 이용한 약품공급 방법 및 장치
CN107499867B (zh) * 2017-08-01 2023-05-05 广东金弘达自动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一出二螺钉供料器
CN113184520B (zh) * 2021-05-12 2022-07-26 佛山市宝羊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螺钉自动阵列装置
KR102623947B1 (ko) * 2021-10-07 2024-01-11 아트라스콥코 코리아 주식회사 무진동 피더
CN113941917B (zh) * 2021-12-21 2022-03-01 余姚市腾扬机械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刹车管硬管接头磨削设备
CN114834866B (zh) * 2022-05-23 2024-02-27 丰镇市海鹏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给月饼放气用下仟装置
CN116040253B (zh) * 2023-04-03 2023-05-30 金洲精工科技(昆山)有限公司 分头棒料的自动整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5273A (en) * 1935-05-27 1935-12-24 Frank H Dellaree Pick-up device for fasteners
BE695466A (ko) * 1966-03-28 1967-08-14
US3863802A (en) * 1971-02-12 1975-02-04 Continental Can Co Cap feeding hopper
FR2144577A1 (en) * 1971-07-06 1973-02-16 Lheritier Desire Magnetic transporter - with ptfe surface coatings
US4101054A (en) * 1976-09-30 1978-07-18 Francis Edmund Frost Pneumatic automatic screwfeeder
JPS6079586U (ja) * 1983-11-04 1985-06-03 パーフエクトメカニゼイシヨン株式会社 ねじ部品選別装置
JPS60151822U (ja) * 1984-03-17 1985-10-09 マックス株式会社 ネジ類の整列装置
JPH0432366Y2 (ko) * 1986-10-24 1992-08-04
US5234127A (en) * 1991-07-15 1993-08-10 Nasco Industries Inc. Pneumatic automatic fastener feeder
JPH0713829U (ja) * 1993-08-20 1995-03-10 株式会社シンワ ナット等部品の定量供給装置
US5392954A (en) * 1993-11-29 1995-02-28 Gartz & White Inc. Rivet setting machine
US5529208A (en) * 1994-12-30 1996-06-25 Technik Mfg., Inc. Jar ticket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JP2939792B2 (ja) * 1995-08-23 1999-08-25 株式会社大武ルート工業 ネジ類送給装置
GB2317609B (en) * 1996-09-25 2000-08-09 Yoshitake Ota Automatic fastener supplier
JP3117662B2 (ja) * 1997-08-07 2000-12-18 セキ工業株式会社 パーツ整列装置
JP3482324B2 (ja) * 1997-08-07 2003-12-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整列装置
JP2001287827A (ja) 2000-01-31 2001-10-16 Taiyo Yuden Co Ltd 部品供給装置
JP2001287826A (ja) 2000-01-31 2001-10-16 Taiyo Yuden Co Ltd 部品供給装置
JP2001287872A (ja) * 2000-04-06 2001-10-16 Kyowa Dan Board Kk リールボビン
JP2002265031A (ja) * 2001-03-06 2002-09-18 Maegouchi Kogyo:Kk 部品整列供給機
JP2003276825A (ja) * 2002-03-25 2003-10-02 Nitto Seiko Co Ltd 部品供給装置
JP2006143340A (ja) * 2004-11-16 2006-06-08 Toyota Auto Body Co Ltd 定量供給装置
JP5147303B2 (ja) 2007-06-14 2013-02-20 新光機器株式会社 ボルトフィーダ
CN201144103Y (zh) * 2007-12-05 2008-11-05 梁启明 医用钢针电磁振动排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67B1 (ko) * 2014-06-11 2015-06-11 주식회사 이노텍 스크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04909A (zh) 2010-08-18
TWI389832B (zh) 2013-03-21
CN101804909B (zh) 2013-01-23
US8191731B2 (en) 2012-06-05
DE102009044815B4 (de) 2015-07-02
KR101170727B1 (ko) 2012-08-03
US20100206694A1 (en) 2010-08-19
HK1146029A1 (en) 2011-05-13
DE102009044815A1 (de) 2010-09-02
JP2010208852A (ja) 2010-09-24
TW201033099A (en) 2010-09-16
JP5350887B2 (ja)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727B1 (ko) 나사류 공급장치
JP4152945B2 (ja) ねじ供給装置
US6568558B2 (en) Electronic component feeding apparatus
JP5718257B2 (ja) ネジ類供給装置における空気噴射による清浄機構
JP2018052661A (ja) ボルト供給装置
KR200409520Y1 (ko) 비스부재의 공급장치
US6161676A (en) Component feeder
EP08858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parts
KR101155959B1 (ko) 스크류 공급기
GB2340828A (en) Component feeder
CN112753733B (zh) 饼干撒料装置
KR100337586B1 (ko) 부품 공급기
BRPI1002308B1 (pt) Aparelho para alimentar parafusos
KR101335517B1 (ko) 와이어 커트 방전가공기의 급전다이스용 장착케이스
CN112960363A (zh) 一种高效防堵的连接器定向输送装置
CN219296476U (zh) 一种井下皮带机自动接料装置
CN214398533U (zh) 轴承销用上料振动盘
JP3118827U (ja) ビス部材の供給装置
CN217516107U (zh) 管装ic物料供料装置
WO2016009566A1 (ja) 部品実装機
JP4589024B2 (ja) マグネットコンベア
KR200477420Y1 (ko) 골프공 이송 장치
JPH1179346A (ja) マグネットコンベア
CN117967315A (zh) 露天煤矿输送装置
JP2009062181A (ja) 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