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572A - 도광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도광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572A
KR20100088572A KR1020100008405A KR20100008405A KR20100088572A KR 20100088572 A KR20100088572 A KR 20100088572A KR 1020100008405 A KR1020100008405 A KR 1020100008405A KR 20100008405 A KR20100008405 A KR 20100008405A KR 20100088572 A KR20100088572 A KR 20100088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guide sheet
diffusion
light diff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0151B1 (ko
Inventor
켄이치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8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도광판 및 백라이트 유닛의 박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필름 표면 전체로의 도광성, 확산성 및 면 균일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도광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광 시트는, 투명한 기재 필름과, 기재 필름의 편면측에 적층되는 광 확산층을 구비하고, 이 광 확산층이 광 확산제와 그 바인더를 포함하는 도광 시트이다. 상기 광 확산제 바인더에 대한 질량비로서는, 0.1 이상 2 이하, 상기 광 확산층에서의 광 확산제의 굴절율(n1)과 바인더의 굴절율(n2)의 차의 절대값(|n1-n2|)은 0.03 이상, 상기 광 확산부층에서의 광 확산제의 입자직경은 0.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확산층은 기재 필름의 편면측에 산재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광 확산부로 이루어지면 좋다.

Description

도광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LIGHT GUIDE SHEET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광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한 도광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CD)는 박형, 경량, 저소비전력 등의 특징을 살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널리 사용되며, 그 용도는 휴대전화, 휴대정보단말(PDA), PC, 텔레비전 등의 정보용 표시 디바이스로서 해마다 확대하고 있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에 요구되는 특성은, 용도에 따라 다양하지만, 밝음(고휘도화), 보기 쉬움(광시야각화), 에너지절약화, 초경량화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박형화 및 고휘도화에 관한 요구가 높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층을 배면에서 비추어 발광시키는 백라이트 방식이 보급되고, 액정층의 하면측에 에지 라이트형, 직하형 등의 백라이트 유닛이 장비되어 있다. 이러한 에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21)은 기본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으로서의 선 형상의 램프(22)와, 램프(22)에 끝부가 따르도록 배치되는 사각형 판 형상의 도광판(23)과, 도광판(23)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복수매의 광학 시트(24)를 구비하고 있다. 이 광학 시트(24)는 굴절, 확산 등의 특정 광학기능을 갖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광판(23)의 표면측에 배열 설치되어 주로 광 확산 기능을 갖는 광 확산 시트(25), 광 확산 시트(25)의 표면측에 배열 설치되어 법선방향측으로의 굴절기능을 갖는 프리즘 시트(26) 등이 해당된다.
이 백라이트 유닛(21)의 기능을 설명하면 우선 램프(22)로부터 도광판(23)에 입사한 광선은, 도광판(23)의 반사 도트 또는 반사 시트(도시하지 않음)에서 반사되어, 도광판(23)의 표면으로부터 출사된다. 도광판(23)으로부터 출사한 광선은 광 확산 시트(25)에 입사하고, 광 확산 시트(25)에 의해 확산되어, 광 확산 시트(25) 표면으로부터 출사된다. 그 후, 광 확산 시트(25)로부터 출사된 광선은, 프리즘 시트(26)에 입사하고, 프리즘 시트(26) 표면에 형성된 프리즘부(26a)에 의해 대략 법선방향으로 피크를 나타내는 분포의 광선으로서 출사된다.
여기에서, 이 도광판(23)의 양면이 전역에 걸쳐 평탄한 경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램프(22)로부터의 광의 대부분은 도광판(23) 양면과 외부와의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버리기 때문에, 도광판(23)으로의 출사 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통상, 도광판(23)의 편면에 반사 도트로서 다수의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고, 도광판(23) 내의 광을 확산시켜 출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도광판은 도광성을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통상, 도광판 성형용의 금형을 사용한 사출성형으로 성형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7-214001호 공보 등 참조).
상기 종래의 도광판에서는, 금형을 사용한 사출성형으로 작성되고 있기 때문에, 도광판의 박형화가 곤란하여, 제조 비용이 높고, 형상 수정의 리드 타임이 길다고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 박형화의 촉진을 위해, 도광판 대신에 얇은 도광 시트를 사용하는 기술도 개발되어 있지만(예를 들면, 일본 특개 평6-186558호 공보 등 참조), 이 기술에서는 충분한 도광성, 확산성 및 면 균일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일본특개2007-214001호공보 일본특개평6-186558호공보
본 발명은 이들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광판 및 백라이트 유닛의 박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필름 표면 전체로의 도광성, 확산성 및 면 균일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도광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발명은, 투명한 기재 필름과, 기재 필름의 편면측에 적층되는 광 확산층을 구비하고, 이 광 확산층이 광 확산제와 그 바인더를 포함하는 도광 시트이다.
당해 도광 시트는 기재 필름의 편면측에 적층되는 광 확산층이 광 확산재와 그 바인더를 포함하므로, 표면 전체에 대한 도광성, 광 확산성 및 면 균일성이 향상된다.
상기 광 확산제 바인더에 대한 질량비로서는 0.1 이상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 확산제의 질량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광 확산성을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층에서의 광 확산제의 굴절율(nl)과 바인더의 굴절율(n2)의 차의 절대값(|n1-n2|)은 0.03 이상이면 좋다. 광 확산제와 바인더가 상기의 굴절율차를 가짐으로써 효율적으로 확산을 행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부층에서의 광 확산제의 입자직경은 0.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 확산제의 입자직경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광 확산 효과가 불충분하게 되어 버리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광 확산부의 형성이 곤란하게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상기 광 확산층은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확산층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구비함으로써, 광 확산층 표면에서도 광의 굴절, 확산이 발생하여, 광 확산성 및 면 균일성이 특히 향상된다.
상기 광 확산층은 기재 필름의 편면측에 산재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광 확산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확산층이 기재 필름의 편면측에 산재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광 확산부로 이루어짐으로써, 필름 표면 전체에 대한 도광성, 광 확산성 및 면 균일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광 확산부는, 볼록렌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 확산부가 볼록렌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필름 표면 전체에 대한 도광성, 광 확산성 및 면 균일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또 광 확산성의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부의 평균 직경(D)으로서는, 10㎛ 이상 30O㎛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 확산부가 이러한 직경을 갖는 볼록렌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당해 도광 시트의 확산, 법선방향측으로의 출사 등의 광학적 기능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제어된다.
상기 광 확산부의 평균 높이(H1)의 평균 직경(D)에 대한 높이비(H1/D)로서는 0.05 이상 0.5 이하이면 좋다. 광 확산부의 높이비(H1/D)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확산, 법선방향측으로의 출사 등의 광학적 기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광 확산부의 적층율로서는 10% 이상 90% 이다이면 좋다. 이 적층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확산 등의 광학적 기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광 확산부의 배열 설치 패턴은 일단측에서 타단측에 걸쳐 서서히 밀도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당해 수단에 의하면, 라이트가 한쪽 끝변에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라이트 근방의 확산율을 억제하고, 라이트로부터 떨어진 부분의 확산율을 올림으로써 표면 전체로의 도광성 및 면 균일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 확산부의 배열 설치 패턴이 양끝으로부터 중앙에 걸쳐 서서히 밀도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당해 수단에 의하면, 라이트가 도광 시트 양 끝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라이트 근방의 확산율을 억제하여, 라이트에서 떨어진 부분의 확산율을 올림으로써 표면 전체에 대한 도광성 및 면 균일성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의 광 확산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면에는, 파상의 프리즘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프리즘 형상의 평균 높이(H2)의 프리즘 피치(P)에 대한 높이비(H2/P)로서는 0.05 이상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의 이면에 상기 높이비의 프리즘 형상을 가짐으로써, 광원측 끝변과 평행방향의 광을 법선방향으로 기립시킬 수 있어, 당해 도광 시트의 필름 전체에 대한 도광성, 확산성 및 면 균일성이 특히 향상된다.
상기 기재 필름의 끝면에 능선이 두께 방향의 프리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당해 수단에 의하면, 박형 LED를 광원으로 한 백라이트 유닛에 당해 도광 시트를 편입했을 때, 효율적으로 광원의 광을 시트 내에 받아 들일 수 있고, 또한, 박형 LED로부터 출사한 광선을 끝면의 길이 방향(필름의 폭방향·횡방향)으로 확산할 수 있어, 당해 도광 시트의 면 균일성 및 정면 휘도가 향상된다.
상기 기재 필름의 이면측에 반사층이 적층되어 있으면 좋다. 기재 필름의 이면측에 반사층이 적층되어 있음으로써, 기재 필름 속을 투과하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손실을 억제하여, 효율적으로 표면측에 광을 출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광선을 분산시키고 그 표면측에 당해 광선을 인도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의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필름 전체에 대한 도광성, 확산성 및 면 균일성이 높은 당해 도광 시트를 구비함으로써, 휘도의 통일화에 의해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편면측」이란, 기재 필름의 편면에 직접 광 확산층이 적층되는 경우와 아울러, 기재 필름의 편면에 다른 층을 사이에 두고 광 확산층이 적층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개념이다. 「이면측」이란, 기재 필름에서 광이 출사하는 쪽의 면과 반대측의 면에 직접 반사층이 적층되는 경우와 아울러, 기재 필름의 편면에 다른 층을 사이에 두고 반사층이 적층되는 경우도 포함되는 개념이다. 또한, 광 확산층과 반사층이란, 기재 필름에 대하여 동일면측에 적층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기재 필름, 광 확산층, 반사층의 순으로 적층된다. 「볼록렌즈 형상」이란 단면 형상이 볼록 형상을 갖는 것을 의미하고, 평면 형상이 원형인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평균 높이(H1)」란 볼록렌즈 형상의 광 확산부의 기저면에서부터 최정상부까지의 평균 수직거리를 의미한다. 「평균 직경(D)」이란 볼록렌즈 형상의 광 확산부의 기저의 평균 직경을 의미한다. 「적층율」이란 당해 도광 시트의 표면 투영 형상에서의 단위면적당의 광 확산부의 점유비율을 의미한다. 「평균 높이(H2)」란 프리즘의 기저면에서부터 정상점까지의 평균 수직거리를 의미한다. 또, 「프리즘 피치(P)」란 프리즘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평균 정상점 간 거리를 의미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광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의하면, 도광판의 박형화를 가능하게 하여, 필름 전체면의 도광성, 확산성 및 면 균일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도광 시트를 도시하는 모식적 저면도(a) 및 모식적 부분 단면도(b),
도 2는 도 1의 도광 시트의 광 확산부를 도시하는 모식적 확대도,
도 3은 도 1의 도광 시트와는 상이한 형태에 따른 도광 시트를 도시하는 모식적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도광 시트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도시하는 모식적 사시도,
도 5는 도 1 및 도 3의 도광 시트와는 상이한 형태에 따른 도광 시트를 도시하는 모식적 저면도,
도 6은 도 1, 도 3 및 도 5의 도광 시트와는 상이한 형태에 따른 도광 시트를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일반적인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을 도시하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적당하게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도광 시트(1)는 기재 필름(2) 및 이 기재 필름(2)의 이면측에 설치된 복수의 광 확산부(3)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복수의 광 확산부(3)가 광 확산층을 구성한다.
기재 필름(2)은 광선을 투과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투명, 특히 무색 투명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재 필름(2)에 사용되는 합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내후성 염화비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전자선 경화형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은 폴리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2)의 두께(평균 두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 이상 8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600㎛ 이하로 된다. 기재 필름(2)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도광성이 저하되고, 백라이트 유닛 등에서 열에 노출되었을 때 컬이 발생하기 쉬워져 버리며, 취급이 곤란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기재 필름(2)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백라이트 유닛의 두께가 커져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의 요구에 반하게 된다.
광 확산부(3)는 광 확산제(4)와 그 바인더(5)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광 확산제(4)는 바인더(5)로 피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 확산부(3) 중에 함유하는 광 확산제(4)에 의해, 광 확산부(3)에 입사하는 광선을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또, 광 확산제(4)에 의해 광 확산부(3)의 표면에 미세한 볼록부가 거의 균일하고 또한 치밀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광 시트(1) 표면에 형성되는 미세한 요철의 렌즈적 굴절작용에 의해, 광선을 보다 좋게 확산시킬 수 있다.
광 확산부(3)는 볼록렌즈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당해 수단에 의하면, 볼록렌즈 형상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광 확산부(3) 이면에서의 광의 반사각도가 조정되어, 광선을 보다 확산 및 법선방향으로의 반사를 하게 할 수 있다.
광 확산부(3)는, 기재 필름(2)의 이면 전체에 1변측에서부터 대향하는 타변측에 걸쳐 서서히 밀도가 높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당해 수단에 의하면, 라이트가 1변측에만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라이트 근방의 확산율을 억제하여, 라이트에서 떨어진 부분의 확산율을 올림으로써 면 전체에서 균일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광 확산부(3)의 적층율의 하한으로서는 10%, 특별하게는 15%, 더욱 특별하게는 20%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 확산부(3)의 적층율을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함으로써 당해 도광 시트 표면에서의 광 확산부(3)의 점유면적을 높여, 당해 도광 시트(1)의 확산, 굴절 등의 광학적 기능이 현저히 향상된다.
광 확산부(3)의 적층율의 상한으로서는 90%, 특별하게는 75%, 더욱 특별하게는 60%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 확산부(3)의 적층율을 상기 상한 이하로 함으로써 확산성을 확보하면서, 당해 도광 시트 표면에서의 광 확산부(3)의 배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광학적 기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광 확산부(3)의 평균 직경(D)으로서는 10㎛ 이상 300㎛ 이하, 특별하게는 4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 확산부(3)의 직경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당해 도광 시트(1)의 확산 등의 광학적 기능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제어 및 향상된다. 또한, 광 확산부(3)의 직경은 모두 동일하여도 되고, 시트 상의 위치에 의해 변화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램프 근방의 1변측의 광 확산부(3)의 직경을 작게 하고, 램프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서서히 크게 함으로써, 면 전체의 휘도의 균일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광 확산부(3)의 평면 형상으로서는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등이 적당하게 채용된다.
광 확산부(3)의 평균 높이(H1)의 평균 직경(D)에 대한 높이비(H1/D)로서는 0.05 이상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 확산부(3)의 높이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볼록렌즈 형상을 갖는 광 확산부(3)가 광 확산부(3)의 표면에서 효과적으로 볼록렌즈로서 기능하여, 광선의 확산, 법선방향으로의 반사 등을 행할 수 있다.
광 확산부(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에 미세한 요철(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표면의 미세한 요철(6)은 함유하는 광 확산제(4)가 표면 부근에 존재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당해 요철(6)의 크기 및 밀도는 후술하는 광 확산제의 평균 입자직경 및 함유량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개의 요철(6)의 평균 곡률반경으로서는 1㎛ 이상 20㎛로 할 수 있다.
광 확산부(3)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6)을 구비하고 있는 당해 도광 시트(1)에 의하면, 광 확산제(4)의 계면뿐만 아니라, 광 확산부(3)의 표면에서도 광의 굴절, 확산이 발생하여, 광 확산성 및 면 균일성이 특히 향상된다. 이 광 확산부(3)의 표면에서의 굴절 및 확산은, 당해 도광 시트를 투과하는 광선이 이면측에서 출사할 때 행해지고, 이 이면측에서 출사된 광은, 도광 시트(1)의 이면에 적층되는 반사 시트에서 반사되고, 도광 시트(1)의 표면측에서 다시 출사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광 확산제(4)는, 광선을 확산시키는 성질을 갖는 입자이며, 형성 재료로서는 무기 필러와 유기 필러로 대별된다. 무기 필러의 구체적인 재료로서는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황화바륨, 마그네슘실리케이트,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필러의 구체적인 재료로서는 아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 높은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 밖에, 형광재를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광 확산제(4)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구상, 입방상, 침상, 봉상, 방추형상, 판상, 인편상, 섬유상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광 확산성이 우수한 구상의 비드가 바람직하다.
광 확산제(4)의 평균 입자직경의 하한으로서는 1㎛, 특별하게는 2㎛, 더욱 특별하게는 5㎛가 바람직하고, 광 확산제(4)의 평균 입자직경의 상한으로서는 50㎛, 특별하게는 20㎛, 더욱 특별하게는 15㎛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광 확산제(4)의 평균 입자직경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광 확산제(4)에 의해 형성되는 광 확산부(3) 표면의 요철이 작아져, 필요한 광 확산성을 충족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고, 반대로 광 확산제(4)의 평균 입자직경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도광 시트(1)의 두께가 증대하고, 또한, 균일한 확산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 당해 광 확산제(4)의 평균 입자직경은 임의로 추출한 1000개의 광 확산제(4)를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입자의 직경을 측정하고, 이것을 단순 평균함으로써 도출된다. 또한, 광 확산제(4)가 구형이 아닌 경우에는, 임의의 일방향에서의 광 확산제(4)의 치수와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광 확산제(4)의 치수를 평균한 값으로 한다.
광 확산제(4)의 바인더(5)에 대한 질량비로서는 0.1 이상 2 이하, 특히 0.3 이상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광 확산제(4)의 질량비가 상기 미만이면, 광 확산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버리고, 한편, 광 확산제(4)의 질량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광 확산제(4)를 고정하는 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광 확산제(4)의 굴절율(n1)과 바인더(5)의 굴절율(n2)의 차의 절대값(|n1-n2|)으로서는 0.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n1>n2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광 확산제(4)와 바인더(5)가 상기의 굴절율차를 가짐으로써 기재 필름(2)과 광 확산부(3)와의 계면 및 광 확산부(3) 표면에서의 반사와 아울러, 광 확산제(4)와 바인더(5)의 계면에서도 효과적인 반사 및 굴절이 발생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법선방향측으로의 반사나 확산 등을 행할 수 있다.
바인더(5)는 기재 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을 가교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 바인더(5)에 의해 기재 필름(2) 표면에 광 확산제(4)가 고정된다. 또한, 이 바인더(5)를 형성하기 위한 폴리머 조성물은, 기재 폴리머 이외에, 예를 들면, 미소 무기 충전제, 경화제, 가소제, 분산제, 각종 레벨링제, 자외선 흡수제, 항산화제, 점성개질제, 윤활제, 광안정화제, 형광재 등이 적당하게 배합되어도 된다.
상기 기재 폴리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에폭시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폴리머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재 폴리머로서는, 가공성이 높고, 도공 등의 수단으로 용이하게 광 확산부(3)를 형성할 수 있는 폴리올이 바람직하다. 또, 바인더(5)에 사용되는 기재 폴리머 자체는 광선의 투과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투명이 바람직하고, 무색 투명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올이나, 수산기 과잉의 조건에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을 단체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a) 예를 들면,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알릴알코올, 호모알릴알코올, 신남알코올, 크로토닐알코올 등의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b)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글리콜, 부틸렌옥사이드, 1,4-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페닐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데카노에이트, 플락셀 FM-1(다이셀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품) 등의 2가 알코올 또는 에폭시 화합물과,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과의 반응에서 얻어지는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중합하여 폴리올을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올은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n-프로필, 아크릴산이소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tert-부틸, 아크릴산에틸헥실,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n-프로필, 메타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tert-부틸, 메타크릴산에틸헥실, 메타크릴산글리시딜,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스티렌, 비닐톨루엔, 1-메틸스티렌,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로니트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스테아르산비닐, 아세트산알릴, 아디프산디알릴, 이타콘산디알릴, 말레산디에틸,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아크릴아미드, N-메티롤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렌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상기 (a) 및 (b)로부터 선택되는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 이상 5000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000 이상 100000 이하이다. 또, 그 수산기값은 5 이상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150 이하이다.
수산기 과잉의 조건에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c)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데카메틸렌글리콜,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트리메티롤프로판, 헥산트리올,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시클로헥산디올, 수소 첨가 비스페놀A, 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하이드로퀴논비스(히드록시에틸에테르),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누레이트, 크실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과, (d) 예를 들면, 말레산, 푸마르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박산, 아젤라산, 트리멜리트산, 테레프탈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의 다염기산을 프로판디올, 헥산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티롤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 중의 수산기 수가 상기 다염기산의 카르복실기 수보다도 많은 조건에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수산기 과잉의 조건에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 이상 3000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000 이상 100000 이하이다. 또, 그 수산기값은 5 이상 3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150 이하이다.
당해 폴리머 조성물의 기재 폴리머로서 사용되는 폴리올로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및, 상기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고, 또한, (메타)아크릴 단위 등을 갖는 아크릴폴리올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또는 아크릴폴리올을 기재 폴리머로 하는 바인더(5)는 투명성 및 내후성이 높고, 광 확산부(3)의 황변 등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기재 폴리머로서 아크릴 폴리올을 사용하고, 아크릴계 수지제의 광 확산제(4)를 사용함으로써 광 확산제(4)의 계면에서의 불필요한 굴절, 반사 등이 저감되어, 당해 도광 시트(1)의 방향성 광 확산 기능, 광선 투과성 등의 광학적 기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아크릴폴리올의 어느 한쪽을 사용해도 되고, 양쪽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아크릴 폴리올 중의 수산기의 개수는, 1분자당 2개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형분 중의 수산기값이 10 이하이면 가교점 수가 감소하여, 내용제성, 내수성, 내열성, 표면경도 등의 피막 물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바인더(5)를 형성하는 폴리머 조성물 중에 미소 무기 충전제를 함유하면 좋다. 이와 같이 바인더(5) 속에 미소 무기 충전제를 함유함으로써 광 확산부(3) 나아가서는 도광 시트(1)의 내열성이 향상된다. 이 미소 무기 충전제를 구성하는 무기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기 산화물이 바람직하다. 이 무기 산화물은 금속 원소가 주로 산소원자와의 결합을 통하여 3차원의 네트워크를 구성한 여러 함산소 금속 화합물로 정의된다. 무기 산화물을 구성하는 금속 원소로서는, 예를 들면, 원소 주기율표 제2족∼제6족으로부터 선택되는 원소가 바람직하고, 원소 주기율표 제3족∼제5족으로부터 선택되는 원소가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Si, AI, Ti 및 Zr로부터 선택되는 원소가 바람직하고, 금속 원소가 Si인 b 콜로이달실리카가 내열성 향상 효과 및 균일 분산성의 면에서 미소 무기 충전제로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 미소 무기 충전제의 형상은 구상, 침상, 판상, 인편상, 파쇄상 등의 임의의 입자 형상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미소 무기 충전제의 평균 입자직경의 하한으로서는 5nm가 바람직하고, 10nm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미소 무기 충전제의 평균 입자직경의 상한으로서는 50nm가 바람직하고, 25nm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미소 무기 충전제의 평균 입자직경이 상기 범위 미만에서는, 미소 무기 충전제의 표면에너지가 높아져, 응집 등이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이며, 반대로, 평균 입자직경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단파장의 영향으로 백탁되어, 도광 시트(1)의 투명성을 완전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미소 무기 충전제의 질량비(바인더(5)의 기재 폴리머 100부에 대한 무기 물성분만의 질량비)의 하한으로서는 고형분 환산으로 5부가 바람직하고, 50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미소 무기 충전제의 상기 질량비의 상한으로서는 500부가 바람직하고, 200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미소 무기 충전제의 질량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도광 시트(1)의 내열성을 충분히 발현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고, 반대로, 질량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폴리머 조성물 중으로의 배합이 곤란하게 되어, 광 확산부(3)의 광선 투과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미소 무기 충전제로서는 그 표면에 유기 폴리머가 고정된 것을 사용하면 좋다. 이와 같이, 유기 폴리머 고정 미소 무기 충전제를 사용함으로써 바인더(5) 속에서의 분산성이나 바인더(5)와의 친화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이 유기 폴리머에 대해서는, 그 분자량, 형상, 조성, 작용기의 유무 등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은 없어, 임의의 유기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유기 폴리머의 형상에 대해서는 직쇄상, 분지상, 가교 구조 등의 임의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폴리머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및 이것들의 공중합체나 아미노기, 에폭시기, 히드록실기, 카르복실기 등의 작용기로 일부 변성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계 수지, (메타)아크릴-스티렌계 수지, (메타)아크릴-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메타)아크릴 단위를 포함하는 유기 폴리머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것이 피막형 능력을 가져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 폴리머 조성물의 기재 폴리머와 상용성을 갖는 수지가 바람직하고, 따라서 폴리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기재 폴리머와 동일한 조성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미소 무기 충전제는, 미립자 내에 유기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미소 무기 충전제의 코어인 무기물에 적당한 연도(軟度) 및 인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폴리머에는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면 되고, 그 함유량으로서는 유기 폴리머를 고정한 미소 무기 충전제 1g당 0.01mmol 이상 50mmol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콕시기에 의해, 바인더(5)를 구성하는 매트릭스 수지와의 친화성이나, 바인더(5) 속에서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알콕시기는 미립자 골격을 형성하는 금속 원소에 결합한 RO기를 나타낸다. 이 R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이며, 미립자 중의 RO기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R의 구체예로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등을 들 수 있다. 미소 무기 충전제를 구성하는 금속과 동일한 금속 알콕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미소 무기 충전제가 콜로이달실리카일 경우에는, 실리콘을 금속으로 하는 알콕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폴리머를 고정한 미소 무기 충전제 중의 유기 폴리머의 함유율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미소 무기 충전제를 기준으로 하여 0.5질량% 이상 5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미소 무기 충전제에 고정하는 상기 유기 폴리머로서 수산기를 갖는 것을 사용하고, 바인더(5)를 구성하는 폴리머 조성물 중에 수산기와 반응하는 것 같은 작용기를 2개 이상 갖는 다작용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및 아미노플라스트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것을 함유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미소 무기 충전제와 바인더(5)의 매트릭스 수지가 가교 구조로 결합되어, 보존안정성, 내오염성, 가요성, 내후성, 보존안정성 등이 양호하고, 또한 얻어지는 피막이 광택을 갖는 것으로 된다.
상기 바인더(5)의 기재 폴리머로서는 시클로알킬기를 갖는 폴리올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바인더(5)를 구성하는 기재 폴리머로서의 폴리올 중에 시클로알킬기를 도입함으로써 바인더(5)의 발수성, 내수성 등의 소수성이 높아져, 고온고습 조건하에서의 당해 도광 시트(1)의 내휨성, 치수안정성 등이 개선된다. 또, 광 확산부(3)의 내후성, 경도, 두께감, 내용제성 등의 도막 기본 성능이 향상된다. 또, 표면에 유기 폴리머가 고정된 미소 무기 충전제와의 친화성 및 미소 무기 충전제의 균일 분산성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상기 시클로알킬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시클로노닐기, 시클로데실기, 시클로운데실기, 시클로도데실기, 시클로트리데실기, 시클로테토라데실기, 시클로펜타데실기, 시클로헥사데실기, 시클로헵타데실기, 시클로옥타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클로알킬기를 갖는 폴리올은 시클로알킬기를 갖는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를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시클로알킬기를 갖는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는 시클로알킬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1개 갖는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이다. 이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머 조성물 중에는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면 좋다. 이와 같이, 폴리머 조성물 중에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함유함으로써 더한층 강고한 가교 구조로 되어, 광 확산부(3)의 피막 물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상기 다작용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동일한 물질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피막의 황변색을 방지하는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특히, 기재 폴리머로서 폴리올을 사용하는 경우, 폴리머 조성물 중에 배합하는 경화제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어느 1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면 좋다. 이들 경화제를 사용하면, 폴리머 조성물의 경화반응 속도가 커지기 때문에, 대전방지제로서 미소 무기 충전제의 분산안정성에 기여하는 양이온계의 것을 사용해도, 양이온계 대전방지제에 의한 경화반응 속도의 저하를 충분히 보충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폴리머 조성물의 경화반응 속도의 향상은 바인더 속으로의 미소 무기 충전제의 균일 분산성에 기여한다. 그 결과, 당해 도광 시트(1)는 열, 자외선 등에 의한 휨이나 황변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 조성물 중에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면 좋다. 이와 같이, 대전방지제가 혼련된 폴리머 조성물로부터 바인더(5)를 형성함으로써 당해 도광 시트(1)에 대전방지 효과가 발현되어, 먼지를 빨아당기거나, 광학 시트 등과의 중첩이 곤란하게 되는 등의 정전기의 대전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대전방지제를 표면에 코팅하면 표면의 달라붙음이나 오탁이 발생해 버리지만, 이와 같이 폴리머 조성물 중에 대전방지제를 혼련함으로써 이러한 폐해는 저감된다. 이 대전방지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알킬황산염, 알킬인산염 등의 음이온계 대전방지제, 제4암모늄염, 이미다졸린 화합물 등의 양이온계 대전방지제,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르산에스테르, 에탄올아미드류 등의 비이온계 대전방지제, 폴리아크릴산 등의 고분자계 대전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대전방지 효과가 비교적 큰 양이온계 대전방지제가 바람직하고, 소량의 첨가로 대전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폴리머 조성물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면 좋다. 이와 같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머 조성물로부터 바인더(5)를 형성함으로써 당해 도광 시트(1)에 자외선 차단 기능이 부여되어, 백라이트 유닛의 램프로부터 발생하는 미량의 자외선을 차단하여, 자외선에 의한 액정층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자외선을 흡수하고, 효율적으로 열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광에 대하여 안정한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자외선 흡수 기능이 높고, 상기 기재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양호하고, 기재 폴리머 중에 안정하게 존재하는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고, 이들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면 좋다. 또,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분자쇄에 자외선 흡수기를 갖는 폴리머(예를 들면, (주)니혼쇼쿠바이의 「유더블 UV」시리즈 등)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분자쇄에 자외선 흡수기를 갖는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바인더(5)의 주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높아, 자외선 흡수제의 블리드 아웃 등에 의한 자외선 흡수 기능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자쇄에 자외선 흡수기를 갖는 폴리머를 바인더(5)의 기재 폴리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 자외선 흡수기가 결합된 폴리머를 바인더(5)의 기재 폴리머로 하고, 또한 이 기재 폴리머 중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여, 자외선 흡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바인더(5)의 기재 폴리머에 대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의 하한으로서는 0.1질량%, 특히 1질량%, 또한 3질량%가 바람직하고, 자외선 흡수제의 상기 함유량의 상한으로서는 10질량%, 특히 8질량%, 또한 5질량%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기재 폴리머에 대하여 자외선 흡수제의 질량비가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도광 시트(1)의 자외선 흡수 기능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없기 때문이며, 반대로, 자외선 흡수제의 질량비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기재 폴리머에 악영향을 끼쳐, 바인더(5)의 강도, 내구성 등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에 대신 또는 자외선 흡수제와 함께, 자외선 안정제(분자쇄에 자외선 안정기가 결합된 기재 폴리머를 포함함)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자외선 안정제에 의해, 자외선으로 발생하는 라디칼, 활성산소 등이 불활성화되어, 자외선 안정성, 내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자외선 안정제로서는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힌더드 아민계 자외선 안정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안정제를 병용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열화 방지 및 내후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다음에, 당해 도광 시트(1)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당해 도광 시트(1)의 제조방법으로서는, 바인더(5)를 구성하는 폴리머 조성물에 광 확산제(4)를 혼합함으로써 광 확산부용 폴리머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과, 이 광 확산부용 폴리머 조성물을 기재 필름(2)의 표면에 적층하고, 경화시킴으로써 광 확산부(3)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다. 광 확산부 폴리머 조성물을 기재 필름(2)의 표면에 적층시키는 방법으로서는 광 확산부용 폴리머 조성물을 인쇄에 의해 적층시키는 방법이 있다. 인쇄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그라비아 인쇄,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레이저 인쇄 등이 사용된다.
도 3의 도광 시트(11)는, 기재 필름(12) 및 이 기재 필름(12)의 이면측에 적층된 복수의 광 확산부(3)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재 필름(12)의 표면측에는, 파상(波狀)의 프리즘부(13)가 설치되어 있다. 광 확산부(3)는 상기 도광 시트(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프리즘부(13)는 단면이 파상의 볼록한 라인 형상을 가지고 있고, 도광 시트(11)의 표면 전체면에 광 확산부(3)의 소밀방향(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도광 시트(11)의 광원측 끝변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프리즘의 높이로서는, 프리즘의 평균 높이(H2)의 프리즘 피치(P)에 대한 높이비(H2/P)가 0.05 이상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이상 0.2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도광 시트(11)는, 기재 필름(12)의 표면인 프리즘부(13)에서도 광선이 굴절 등 되기 때문에, 광원측 끝변과 평행방향의 광을 법선방향으로 기립하여, 도광 시트(11) 전체적으로 광 확산성 및 면 균일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프리즘부(13)는 기재 필름(2)과 일체로 성형되어도 되고, 기재 필름(2)과 별개로 성형되어도 된다. 프리즘부(13)는, 광선을 투과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투명, 특히 무색 투명의 합성 수지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재 필름(12)과 동일한 합성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 시트(11)와, 이 도광 시트(11)의 광 확산부(3)가 성기게 적층되어 있는 측의 일단면에 배열 설치되는 램프(9)와, 도광 시트(11)의 표면(프리즘부(13)이 성형되어 있는 면)측에 포개어 배열 설치되는 광학 시트(7)와, 도광 시트(11)의 이면측에 포개어 배열 설치되는 반사 시트(8)를 구비하고 있다. 이 램프(9)로서는 박형 LED나, 형광관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램프(9)로부터 발생된 광선은, 도광 시트(11) 속을 표리의 경계면에 대하여 반사하면서 진행되어 가고, 그 도중에 이면에 설치된 광 확산부(3)에 입사하면 산란하여, 도광 시트(11) 표면으로 출사한다. 통상, 램프(9)로부터의 광의 휘도는 램프(9) 근방에서는 강하게, 램프(9)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약해진다. 그러나, 당해 도광 시트(11)에 의하면, 광 확산부(3)의 밀도는 램프(9) 근방에서는 낮게, 램프(9)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높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램프(9) 근방에서는 광이 광 확산부(3)에 의해 산란하여 표면으로 출사하는 비율이 낮게, 램프(9)로부터 먼 곳에서는 출사하는 비율이 높게 되어, 결과적으로 도광 시트(11) 전체면에서 균일한 휘도의 광이 출사되게 된다.
또, 광 확산부(3) 내에는 광 확산제(4)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광 확산제(4)에 의해 광은 더욱 미세하게 확산되어, 면 균일성이 높은 광이 도광 시트(11) 표면으로부터 출사된다. 또한, 광 확산부(3) 표면에는, 미세한 요철(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광 확산부(3)의 표면에서도 굴절 및 확산이 발생한다. 이 확산된 광이 도광 시트(11)의 이면으로부터 출사되어, 반사 시트(8)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도광 시트(11)를 투과한 후 도광 시트(11) 표면으로부터 출사되기 때문에, 광 확산성 및 면 균일성이 더욱 향상된다.
게다가, 도광 시트(11)의 표면에 광 확산부(3)의 소밀방향(즉, 광선의 진행방향, 램프(9)측의 끝변과 수직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볼록한 라인의 프리즘부(13)에 의해 광원측 끝변과 평행방향의 광을 법선방향으로 기립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단히 면 균일성이 높은 광이 도광 시트(11) 표면으로부터 출사되게 된다.
도 5의 도광 시트(14)는, 기재 필름(12), 기재 필름(12)의 이면측에 산재적으로 적층된 복수의 광 확산부(3), 기재 필름(12)의 표면측에 광 확산부(3)의 소밀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프리즘부 및 기재 필름(12)에서의 광 확산부(3)가 성기게 적층되어 있는 측의 끝변에 배열 설치된 복수의 절결부(15)를 구비하고 있다. 기재 필름(12), 광 확산부(3)(광 확산제(4)와 그 바인더(5)를 구비하고 있음) 및 프리즘부(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도광 시트(1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절결부(15)는, 장변이 도광 시트(14)의 한 끝변과 평행방향인 대략 장방 형상을 갖고, 저변(16)에는 능선이 두께 방향의 프리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절결부(15)의 사이즈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 편입되는 박형 LED(17)의 사이즈 등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된다.
당해 도광 시트(14)는, 박형 LED(17)를 광원으로 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 편입되었을 때, 절결부(15)에 박형 LED(17)가 끼워 넣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통상, 박형 LED를 광원으로 한 경우, 광원이 불연속으로 되기 때문에 광 강도의 차가 커지고, 특히 광원 근방에서 휘도의 불균일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당해 도광 시트(14)에 의하면, 박형 LED(17)로부터 출사한 광선은 저변(16)이 갖는 프리즘 형상에 의해 기재 필름(12)의 한 끝변과 평행방향으로 확산되어, 광원 근방에서도 휘도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절결부(15)에 광원인 박형 LED(17)가 배열 설치되기 때문에, 박형 LED(17)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도광 시트(14)의 끝면과 접하는 면적이 넓어져, 박형 LED(17)로부터의 광을 효과적으로 도광 시트(14) 내에 받아 들일 수 있기 때문에, 정면 휘도도 높일 수 있다.
도 6의 도광 시트(18)는 기재 필름(2), 기재 필름(2)의 이면에 산재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광 확산부(3), 기재 필름(2)의 이면에서의 광 확산부(3)의 비적층부 및 광 확산부(3)에 적층되는 투명층(19) 및 투명층(19) 이면에 적층되는 반사층(20)을 구비하고 있다. 기재 필름(2) 및 광 확산부(3)(광 확산제(4)와 그 바인더(5)를 구비하고 있음)는 상기 도광 시트(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투명층(19)은, 투명, 바람직하게는 무색 투명한 폴리머로 형성되어 있고, 기재 필름(2)과 반사층(20)을 접착 고정함과 아울러, 기재 필름(2)과 반사층(20) 사이를 통과하는 광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로서는, 기재 필름(2)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와 굴절율이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에폭시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폴리머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폴리머로서는, 가공성이 높고, 도공 등의 수단으로 용이하게 기재 필름(2)과 반사층(20)을 고정할 수 있는 폴리올이 바람직하다.
반사층(20)은 백색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백색 합성 수지는 백색 안료나 미소 기포를 분산 함유하는 합성 수지이다. 이 반사층(20)에 사용가능한 합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내후성 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 백색 안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산화티탄(티탄백), 산화아연(아연화), 탄산연(연백), 황산바륨, 탄산칼슘(백악) 등을 들 수 있다. 백색 안료의 평균 입자직경은 100nm 이상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0nm 이상 2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백색 안료의 평균 입자직경이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당해 반사층(20)에 충분한 반사성을 부여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백색 안료의 평균 입자직경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당해 반사층(20)의 반사성이 불균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당해 도광 시트(18)에 의하면, 기재 필름(2)의 이면측에 반사층(20)이 적층 되어 있음으로써, 기재 필름(2) 속을 투과하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손실을 억제하고, 효율적으로 표면측에 광을 출사시킬 수 있다. 통상, 도광 시트(18)의 이면에 반사 시트로서, 별도 배열 설치되지만, 이 경우, 도광 시트(18)와 반사 시트 사이에서의 광 손실이 크다. 그러나, 당해 광학 시트에 의하면, 기재 필름(2)과 반사층(20) 사이에 기재 필름(2)과 굴절율이 가까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층(19)이 적층 되어 있기 때문에, 기재 필름(2)과 반사층(20) 사이를 광선이 왕복할 때의 광손실을 억제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표면측에 광을 출사시켜, 정면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광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광 시트(11) 및 도광 시트(14)의 표리를 반대로 한 상태, 즉 프리즘부(13)가 배열 설치된 면을 이면으로 하여 백라이트 유닛에 편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기재 필름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는, 다른 층(예를 들면, UV 흡수층, 대전방지층 및 반사방지층 등)이 적층되어도 된다. 또, 절결부(15)를 설치하지 않고, 박형 LED를 배열 설치하는 쪽의 끝면에 능선이 두께 방향의 프리즘 형상을 형성해도 된다.
또, 도광 시트(18)에서, 투명층(19)을 적층하지 않고, 기재 필름(2)의 이면에서의 광 확산부(3)의 비적층부 및 광 확산부(3)에 반사층(20)을 직접 적층해도 된다. 이 경우, 반사층(20)을 적층하는 방법으로서, 백색 합성 수지를 도포하는 방법, 은이나 알루미늄 등을 증착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 편면의 전체면에 광 확산층을 적층해도 된다. 이 경우, 광 확산제 바인더에 대한 질량비나 광 확산층의 두께를 기재 필름 상에서 변화시킴(예를 들면, 기재 필름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에 걸쳐 광 확산제 바인더에 대한 질량 비율을 높게 해 가는 등)으로써 도광 시트 표면 전체면에 대한 도광성, 확산성 및 면 균일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는데, 이 실시예의 기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기재 필름으로서는, 두께 300㎛의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필름을 사용했다. 광 확산부용 폴리머 조성물로서는, 광 확산제를 포함하지 않고, 아크릴 폴리올 및 용제로 이루어지는 폴리머 조성물을 사용했다. 기재 필름 이면에, 스크린 인쇄에 의해 광 확산부용 폴리머 조성물을 볼록렌즈 형상으로 산재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비교예의 도광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의 도광 시트의 광 확산부의 평균 직경은 60㎛, 적층율은 50%로서 성형했다.
[실시예 1∼8]
광 확산부용 폴리머 조성물로서는, 광 확산제로서 아크릴계 수지제의 비드, 아크릴폴리올(바인더) 및 용제로 이루어지는 폴리머 조성물을 사용했다. 기재 필름의 이면에, 스크린 인쇄에 의해 광 확산층용 폴리머 조성물로서 아크릴계 수지제 비드의 아크릴폴리올(바인더)에 대한 질량비를 각각 0.1, 0.2, 0.3, 0.4, 0.5, 1, 1.5, 2로 한 것을 볼록렌즈 형상으로 산재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실시예 1∼8의 도광 시트를 얻었다. 이것들 이외는 상기 비교예와 동일하게 했다.
[실시예 9∼19]
기재 필름의 표면을, 프리즘 높이비(H2/P)가 각각 0.05, 0.1, 0.2, 0.3, 0.4, 0.5, 0.6, 0.7, 0.8, 0.9, 1을 갖는 파상의 프리즘 형상으로 가공했다. 각각의 기재 필름의 이면에, 스크린 인쇄에 의해 광 확산층용 폴리머 조성물로서 아크릴계 수지제 비드의 아크릴폴리올(바인더)에 대한 질량비를 0.2로 한 것을 볼록렌즈 형상으로 산재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실시예 9∼19의 도광 시트를 얻었다. 이것들 이외는 상기 비교예와 동일하게 했다.
[특성의 평가]
상기 실시예 1∼8의 도광 시트 및 비교예의 도광 시트를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 편입하고, 정면 휘도의 면 균일성을 측정했다. 면 균일성은 도광 시트면 내의 정면 휘도 측정을 행하고, 휘도 최소값의 휘도 최대값에 대한 비로 산출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8의 도광 시트는, 광 확산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의 도광 시트보다도 높은 면 균일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실시예 1∼8의 도광 시트를 대비하면, 광 확산제 바인더에 대한 질량비가 0.1 이상에서 면 균일성이 높아지고, 질량비가 0.3 이상에서 특히 높아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 9∼19의 도광 시트를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 편입하고, 정면 휘도의 면 균일성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9∼19의 도광 시트는, 광 확산제 질량비가 동일하게 프리즘부를 가지고 있지 않은 실시예 2와 비교하여 높은 면 균일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실시예 9∼19의 도광 시트를 대비하면, 프리즘의 높이비가 0.05 이상 0.5 이하에서 면 균일성이 높아지고, 높이비가 0.1 이상 0.2 이하에서 특히 높아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광 시트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구성요소로서 유용하며, 특히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1, 11, 14, 18 도광 시트 2, 12 기재 필름
3 광 확산부 4 광 확산제
5 바인더 6 요철
7, 24 광학 시트 8 반사 시트
9, 22 램프 13, 27a 프리즘부
15 절결부 16 저변
17 박형 LED 19 투명층
20 반사층 21 백라이트 유닛
23 도광판 25 광 확산 시트
26 프리즘 시트

Claims (17)

  1. 투명한 기재 필름과, 기재 필름의 편면측에 적층되는 광 확산층을 구비하고, 이 광 확산층이 광 확산제와 그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제의 바인더에 대한 질량비가 0.1 이상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층에서의 광 확산제의 굴절율(n1)과 바인더의 굴절율(n2)의 차의 절대값(|n1-n2|)이 0.0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광 확산층에서의 광 확산제의 평균 입자직경이 0.1㎛ 이상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층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층이 기재 필름의 편면측으로 산재적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광 확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가 볼록렌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의 평균 직경(D)이 10㎛ 이상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의 평균 높이(H1)의 평균 직경(D)에 대한 높이비(H1/D)가 0.05 이상 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의 적층율이 10% 이상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의 배열 설치 패턴이 일단측에서 타단측에 걸쳐 서서히 밀도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의 배열 설치 패턴이 양끝으로부터 중앙에 걸쳐 서서히 밀도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광 확산층이 적층되지 않은 면에 파상의 프리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형상의 평균 높이(H2)의 프리즘 피치(P)에 대한 높이비(H2/P)가 0.05 이상 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끝면에 능선이 두께 방향의 프리즘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이면측에 반사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 시트.
  17.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광선을 분산시키고 그 표면측으로 당해 광선을 인도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의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제 1 항에 기재된 도광 시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의 백라이트 유닛.
KR1020100008405A 2009-01-30 2010-01-29 도광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1100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20596A JP5437652B2 (ja) 2009-01-30 2009-01-30 導光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JP-P-2009-020596 2009-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572A true KR20100088572A (ko) 2010-08-09
KR101100151B1 KR101100151B1 (ko) 2011-12-28

Family

ID=4258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405A KR101100151B1 (ko) 2009-01-30 2010-01-29 도광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37652B2 (ko)
KR (1) KR101100151B1 (ko)
CN (1) CN101793381A (ko)
TW (1) TWI43408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8863A (ko) * 2013-03-28 2014-10-08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라이트 가이드 필름, 초박형 액정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컴퓨터 및 라이트 가이드 필름의 제조 방법
US10317582B2 (en) 2015-11-30 2019-06-11 Lg Display Co., Ltd. Optical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200040681A (ko) * 2018-10-09 2020-04-20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광학 시트, 백라이트 유닛, 액정 표시 장치 및 정보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13832B (zh) * 2010-08-26 2013-11-01 Daxin Materials Corp 導光板與導光材料組成物
JP5200077B2 (ja) * 2010-09-13 2013-05-15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透過型画像表示装置
KR101435139B1 (ko) * 2010-11-18 2014-09-02 주식회사 미뉴타텍 도광판 무늬형용 활성에너지선경화형 수지 조성물
JP5238013B2 (ja) * 2010-12-09 2013-07-17 住友化学株式会社 導光板の製造方法
JP2012209034A (ja) * 2011-03-29 2012-10-25 Sharp Corp 光源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US20140043377A1 (en) * 2011-04-22 2014-02-13 Sharp Kabushiki Kaisha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JP2014135116A (ja) * 2011-04-22 2014-07-24 Sharp Corp 面光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照明装置
JP2012234692A (ja) * 2011-04-28 2012-11-29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学シート
JP2014149915A (ja) * 2011-05-23 2014-08-21 Sharp Corp 面光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照明装置
CN103562623B (zh) * 2011-05-27 2017-12-29 奥林巴斯株式会社 光源装置
CN202720351U (zh) * 2011-06-07 2013-02-06 住友化学株式会社 导光板、表面光源设备、透射型图像显示设备
KR20140059294A (ko) * 2011-09-09 2014-05-15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도광판, 면 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JP2013140702A (ja) * 2011-12-30 2013-07-18 Toyota Tsusho Corp 光分配層及びそれを用いた導光装置
CN103293588B (zh) * 2012-03-01 2018-01-09 深圳市振宇达智能机器人科技有限公司 导光板及背光模块
JP2015164093A (ja) * 2012-06-18 2015-09-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照明装置
FR2993203B1 (fr) * 2012-07-11 2014-07-18 Saint Gobain Vitrage lumineux
JP6157828B2 (ja) 2012-09-28 2017-07-05 恵和株式会社 導光シート、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ラップトップコンピュータ
JP2014112487A (ja) * 2012-12-05 2014-06-19 Sumitomo Chemical Co Ltd 導光板
JP2014116264A (ja) * 2012-12-12 2014-06-26 Matsuda Screen Inc 導光板、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照明器具
JP6148495B2 (ja) * 2013-02-25 2017-06-14 恵和株式会社 超薄型液晶バックライト用ライトガイドフィルム、超薄型液晶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携帯型コンピュータ
JP6293415B2 (ja) 2013-02-25 2018-03-14 恵和株式会社 ライトガイドフィルム、超薄型液晶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携帯型コンピュータ
JP6181936B2 (ja) 2013-02-25 2017-08-16 恵和株式会社 ライトガイドフィルムの製造方法、ライトガイドフィルム、超薄型液晶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携帯型コンピュータ
JP6293414B2 (ja) 2013-02-25 2018-03-14 恵和株式会社 超薄型液晶バックライト用ライトガイドフィルム、超薄型液晶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携帯型コンピュータ
BR112015030081A2 (pt) * 2013-05-31 2017-07-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laminados de vitrificação que redirecionam luz do dia
JP2015088302A (ja) * 2013-10-30 2015-05-07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導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導光板
JP5767419B1 (ja) * 2014-02-19 2015-08-19 恵和株式会社 導光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携帯型端末
JP5767418B1 (ja) 2014-02-19 2015-08-19 恵和株式会社 導光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携帯型端末
WO2015186842A1 (ja) 2014-06-06 2015-12-10 恵和株式会社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反射テープ部材
JP5999672B2 (ja) * 2014-08-05 2016-09-28 ストリーム株式会社 面発光体の製造方法
US10067283B2 (en) 2014-12-23 2018-09-04 Apple Inc. Display backlight with patterned backlight extraction ridges
CN108279534A (zh) * 2015-04-16 2018-07-13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侧入式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102155405B1 (ko) * 2016-04-15 2020-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광판 유닛,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2294845B1 (ko) 2016-08-02 2021-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필터, 광학 디바이스, 및 광학필터의 제조방법
KR102659694B1 (ko) * 2017-01-18 2024-04-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JP7445145B2 (ja) 2021-10-15 2024-03-0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面状光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1521A (ja) * 1995-10-06 1997-04-15 Shin Etsu Polymer Co Ltd 面状光源用導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41244A (ja) * 2003-05-15 2004-12-02 Sony Corp 光拡散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08803A (ja) * 2003-09-12 2005-04-21 Stanley Electric Co Ltd 導光板及び面光源装置
JP2005249882A (ja) * 2004-03-01 2005-09-15 Miyakawa:Kk 液晶表示装置
JP2007025150A (ja) * 2005-07-14 2007-02-01 Seiko Epson Corp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7073330A (ja) * 2005-09-07 2007-03-22 Nix Inc 線状照明用の導光装置
JP2008159274A (ja) * 2006-12-20 2008-07-10 Seiko Epson Corp 導光板、導光板成形用金型、導光板成型用金型の製造方法及び導光板の製造方法
KR101343106B1 (ko) * 2006-12-04 2013-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액정 표시 장치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
TW200839304A (en) * 2007-01-23 2008-10-01 Asahi Glass Co Ltd Light diffusion plate, light diffusion layer forming liquid, and light diffusion plate manufacturing method
TWI350360B (en) * 2007-06-12 2011-10-1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Surface light source device
JP2009001726A (ja) * 2007-06-25 2009-01-08 Asahi Kasei Chemicals Corp 塗料組成物、及びそれを印刷した導光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8863A (ko) * 2013-03-28 2014-10-08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라이트 가이드 필름, 초박형 액정 백라이트 유닛 및 휴대형 컴퓨터 및 라이트 가이드 필름의 제조 방법
US9405054B2 (en) 2013-03-28 2016-08-02 Keiwa Inc. Light guide film, backlight unit for ultrath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bile computer, and method for producing light guide film
US10317582B2 (en) 2015-11-30 2019-06-11 Lg Display Co., Ltd. Optical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200040681A (ko) * 2018-10-09 2020-04-20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광학 시트, 백라이트 유닛, 액정 표시 장치 및 정보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0151B1 (ko) 2011-12-28
CN101793381A (zh) 2010-08-04
TW201028745A (en) 2010-08-01
TWI434082B (zh) 2014-04-11
JP5437652B2 (ja) 2014-03-12
JP2010177130A (ja)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151B1 (ko) 도광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0794666B1 (ko) 광학 시트용 기재 필름,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
JP5102955B2 (ja)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5102951B2 (ja)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1056638B1 (ko) 광학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JP2005107553A (ja)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1079123B1 (ko) 광학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0909222B1 (ko) 광학 시트용 기재 필름, 광학 시트 및 액정 표시 모듈
KR100899995B1 (ko) 광학 유닛 및 액정 표시 모듈
KR101119505B1 (ko) 광학 시트용 기재 시트
JP4526237B2 (ja) 光学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030025192A (ko) 반사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JP5959821B2 (ja) プリズム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800549B2 (ja)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4085633A (ja)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5065664B2 (ja) 液晶表示装置用光拡散シート
JP4374237B2 (ja) 光拡散シート
JP2004085626A (ja)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4309802A (ja) 光学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316280B2 (ja) 光学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