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4190A - 세사민류와 비타민 b1 류를 배합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사민류와 비타민 b1 류를 배합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4190A
KR20100074190A KR1020107008196A KR20107008196A KR20100074190A KR 20100074190 A KR20100074190 A KR 20100074190A KR 1020107008196 A KR1020107008196 A KR 1020107008196A KR 20107008196 A KR20107008196 A KR 20107008196A KR 20100074190 A KR20100074190 A KR 20100074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amin
vitamin
fatigue
composi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8381B1 (ko
Inventor
다이스케 다케모토
요시코 오노
요코 야스타케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4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61K31/36Compounds containing methylenedioxyphenyl groups, e.g. sesa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61K31/51Thiamines, e.g. 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조성물 중에 적어도 1 종의 세사민류와 적어도 1 종의 비타민 B1 류를 배합함으로써, 세사민류의 항피로 작용이 증강된 세사민류 배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적어도 1 종의 세사민류와 적어도 1 종의 비타민 B1 류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항피로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사민류와 비타민 B1 류를 배합한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SESAMIN COMPONENT AND VITAMIN B1 COMPONENT}
본 발명은 세사민류와 비타민 B1 류를 배합함으로써, 세사민류가 갖는 생리 활성 작용을 높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사민류의 항피로 작용을 높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세사민류와 비타민 B1 류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항피로제에도 관한 것이다.
피로란, 신체적 또는 정신적 작업을 실시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활동력이나 작업 능률의 양적 또는 질적인 저하이며, 나아가서는 권태감, 불쾌감, 탈력감 등의 피로감의 자각을 수반하는 것이다. 이들의 기능적 저하와 피로감의 발생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시간차를 갖고 발생하거나 개별적으로 독립하여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생리학적인 피로는 통상적으로 몸을 쉬게 함으로써 원래의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되고, 오래 지속되지는 않는다. 1985년에 실시된 총리부의 「건강에 관한 국민 의식 조사」에서는, 약 6 할이 조금 넘는 사람들이 피로를 호소하였지만, 피로를 호소한 사람들 중 7 할은 「하룻밤의 수면에 의해 피로는 회복된다」고 대답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 경향이 바뀌고 있다. 1999년에 실시된 후생성 피로 조사 연구반이 실시한 역학 조사에 따르면, 피로를 자각하고 있는 사람들의 비율은 약 6 할로 변함 없지만, 피로를 자각하고 있는 사람들 중 6 할이나 되는 사람들이 6 개월 이상에 걸쳐 피로를 느끼고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즉, 1985년부터 1999년까지의 14 년 동안에 만성적인 피로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여, 피로의 질이 변화해 온 것이다 (비특허문헌 1). 그리고, 최근에는 만성 피로 증후군 (Chronic Fatigue Syndrome ; CFS) 과 같은 질환이나 과로사가 큰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피로에 관한 원인, 메커니즘은 다종 다양하여, 많은 연구자에 의해 연구가 실시되고 있지만, 전체 이미지의 파악에는 이르지 않고, 또 만성 피로 증후군이나 과로사 등의 피로를 원인으로 하는 질환의 명확한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최근에는, 이른바 「항피로 물질」이라고 불리는, 피로의 경감 작용이나 피로에서 정상적인 상태로의 회복을 앞당기는 작용 등을 갖는 물질이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종류의 아미노산 조성물 (특허문헌 1) 이나, L-카르니틴 및 히스티딘 관련 디펩티드 (특허문헌 2), 산사나무 추출물 (특허문헌 3) 등에 체력 증강 작용이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또, 운동 등에 의한 체력의 소모나 피로시 등에 있어서의 영양 보급을 목적으로 하여, 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영양 보급 조성물이 유용하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
세사민류 (본 명세서에서는, 세사민 및 그 유연체 (類緣體) 를 포함하는 총칭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세사민 유연체로는, 에피세사민 외에, 세사민, 세사미놀, 에피세사미놀, 세사몰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에 대해서는, 정제된 세사민류를 사용한 실험으로부터, 장 내에서의 콜레스테롤 또는 담즙산의 대사 저해 작용 (특허문헌 5) 이나, 알코올 중독이나 금단 증상의 완화 작용 (특허문헌 6), 간 기능 개선 작용 (특허문헌 7),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생체 내 안정화 작용 (특허문헌 8), Δ5-불포화화 효소 저해 작용 (특허문헌 9), 편두통의 억제 작용 (특허문헌 10), 인간 백혈병 세포에 대한 아포토시스 유도 작용 (특허문헌 11), 멜라토닌의 산화 분해 억제 작용 (특허문헌 12), 자율 신경 조절 작용 (특허문헌 13)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2447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04602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4738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27435호 일본 특허 제3183664호 미국 특허 제4427694호 일본 특허 제307535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69456호 일본 특허 제307061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8317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5167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43546호 국제 공개 WO2004-105749호
피로의 과학 (9. 피로 회복 정보 ; 2001, 코단샤)
상기한 바와 같이, 세사민류에 대해서는 다양한 생리 활성 작용이 보고되어 있지만, 세사민류와 병용함으로써 세사민류의 생리 활성 작용을 증강시킬 수 있는 물질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가 없다.
본 발명은 생리 활성 작용이 증강된 세사민류 배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세사민류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높은 생리 활성 작용을 갖는 제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세사민의 생리 활성 작용에 대해 검토하여, 세사민의 경구 섭취에 의해 항피로 작용 (피로의 경감 작용 및 피로 회복의 촉진 작용) 이 얻어진다는 것을 이미 알아냈다. 본 발명자들은 더욱 예의 검토하여, 세사민류 (세사민 및 그 유연체를 포함한다. 세사민 유연체로는, 에피세사민, 세사민, 세사미놀, 에피세사미놀, 세사몰린 등을 들 수 있다) 와 비타민 B1 류를 배합한 조성물에서는, 상기의 세사민류의 항피로 작용이 세사민류 단독의 작용과 비타민 B1 류 단독의 작용으로부터 예상되는 범위를 초과하여 현저히 높아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적어도 1 종의 세사민류와 적어도 1 종의 비타민 B1 류를 배합한 조성물로서, 상기 세사민류의 총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이상인 조성물.
2. 세사민류가 세사민, 에피세사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상기 1 에 기재된 조성물.
3. 비타민 B1 류가 티아민, 티아민디술파이드, 벤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비스벤티아민, 디세티아민, 티아민에틸디술파이드, 티아민프로필디술파이드 및 그들의 염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조성물.
4. 비타민 B1 류의 총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20 중량% 인 상기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
5. 경구용인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6. 음식품인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7. 적어도 1 종의 세사민류와 적어도 1 종의 비타민 B1 류를 함유하는 음료로서, 음료 100 ㎖ 중의 세사민류의 총 함량이 1 ∼ 100 ㎎ 이고, 비타민 B1 류의 총 함량이 1 ∼ 100 ㎎ 인 음료.
8. 적어도 1 종의 세사민류와 적어도 1 종의 비타민 B1 류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항피로제.
9. 만성 피로 증후군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상기 8 에 기재된 항피로제.
10. 항피로제를 제조하기 위한, 적어도 1 종의 세사민류 및 적어도 1 종의 비타민 B1 류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사용.
11. 피로 상태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으로서, 적어도 1 종의 세사민류 및 적어도 1 종의 비타민 B1 류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그것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세사민류와 비타민 B1 류를 배합함으로써, 조성물의 항피로 작용 (피로 회복 효과, 피로 경감 작용, 자양 강장 작용) 이 세사민류 단독 및 비타민 B1 류 단독으로부터 예상되는 범위를 초과하여 상승적으로 높아져, 우수한 항피로 작용을 갖는 조성물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항피로제는 우수한 피로 경감, 피로 회복의 촉진 작용을 갖고, 게다가 인간에 대해서도 비인간 동물에 대해서도 안전하므로, 계속 투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피로제는 기능성 식품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도 1 은 통상 사육군 (대조군), 수침 (水浸) 사육군 (비교군 1), 수침 사육 마우스에 비타민 B1 류를 50 ㎎/㎏ 투여한 군 (비교군 2), 수침 사육 마우스에 세사민류를 50 ㎎/㎏ 투여한 군 (비교군 3), 및 수침 사육 마우스에 비타민 B1 류 50 ㎎/㎏ 과 세사민류 50 ㎎/㎏ 을 투여한 군 (시험군 1) 에 대한 한계 수영 시간을 나타낸다.
도 2 는 통상 사육군 (대조군), 수침 사육군 (비교군 4), 수침 사육 마우스에 비타민 B1 류를 10 ㎎/㎏ 투여한 군 (비교군 5), 수침 사육 마우스에 세사민류를 10 ㎎/㎏ 투여한 군 (비교군 6), 수침 사육 마우스에 비타민 B1 류 5 ㎎/㎏ 과 세사민류 10 ㎎/㎏ 을 투여한 군 (시험군 2), 및 수침 사육 마우스에 비타민 B1 류 10 ㎎/㎏ 과 세사민류 10 ㎎/㎏ 을 투여한 군 (시험군 3) 에 대한 한계 수영 시간을 나타낸다.
도 3 은 통상 사육군 (대조군 1), 수침 사육군 (비교군 7), 및 수침 사육 마우스에 비타민 B1 류를 5 ㎎/㎏, 10 ㎎/㎏ 및 25 ㎎/㎏ 투여한 군 (각각 참고군 1 ∼ 3) 에 대한 한계 수영 시간을 나타낸다.
도 4 는 통상 사육군 (대조군 2), 수침 사육군 (비교군 8), 및 수침 사육 마우스에 비타민 B1 류를 50 ㎎/㎏ 및 100 ㎎/㎏ 투여한 군 (각각 참고군 4 및 5) 에 대한 한계 수영 시간을 나타낸다.
(세사민류)
본 발명의 세사민류란, 세사민 및 그 유연체를 포함하는 일련의 화합물의 총칭이다. 상기의 세사민 유연체로는, 에피세사민 외에,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9331호에 기재된 디옥사비시클로〔3.3.0〕옥탄 유도체가 있다. 세사민류의 구체예로는, 세사민, 세사미놀, 에피세사미놀, 세사몰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의 입체 이성체 또는 라세미체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세사민, 에피세사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세사민류의 대사체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39579호에 기재) 도,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한, 본 발명의 세사민류에 포함되는 세사민 유연체로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세사민류는 그 형태나 제조 방법 등에 의해 조금도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세사민류로서 세사민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참기름으로부터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9331호에 기재된 방법) 에 의해 추출한 세사민 (세사민 추출물 또는 농축물이라고 한다) 을 사용할 수 있다. 참기름 특유의 풍미가 관능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평가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세사민 추출물 (또는 세사민 농축물) 을 공지된 수단, 예를 들어 활성 백토에 의한 처리 등에 의해 무미 무취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세사민류로는, 참기름 등의 식품 유래의 소재로부터 추출 및/또는 정제함으로써 세사민류의 함유 농도를 향상시켜 얻어지는 세사민류의 농축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축의 정도는 사용되는 세사민류의 종류나 배합되는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세사민류 농축물 중의 세사민류 총 함량은 20 중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다.
(비타민 B1 류)
비타민 B1 류는 티아민이라고도 칭해지는 수용성 비타민이며, 생체 내에서는 티아민 2 인산 (TPP) 으로 변환되고 피루브산디하이드로게나아제의 보조 효소로서 당 대사에 관여하는 것이나, TCA 회로의
Figure pct00001
-케토글루타르산디하이드로게나아제의 보조 효소로서 기능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비타민 B1 류는 티아민 및 티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일련의 화합물의 총칭이다. 티아민 유도체는 디술파이드형, 아실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티아민 유도체의 예로는, 비스티아민, 티아민디술파이드, 티아민디세틸황산에스테르염, 벤포티아민, 프로설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비스벤티아민, 시코티아민, 옥토티아민, 알리티아민, 티아민프로필디술파이드, 티아민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디술파이드, 디세티아민, 비스부티티아민, 비스이부티아민, 티아민모노포스페이트디술파이드, 티아민피롤린산, 티아민에틸디술파이드, 티아민프로필디술파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타민 B1 류로는, 이들 중에서도 티아민, 티아민디술파이드, 벤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비스벤티아민, 디세티아민, 티아민에틸디술파이드, 티아민프로필디술파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그 높은 안정성의 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안정성에 추가하여, 흡수성의 관점에서는 벤포티아민, 비스벤티아민, 푸르설티아민, 티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타민 B1 류는 의약상, 약학적으로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염으로는, 무기산염 (예를 들어, 염산염, 황산염, 질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인산염 등)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황산염, 질산염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질산염이고, 구체적으로는 염산티아민, 질산티아민, 질산비스티아민, 염산디세티아민, 염산푸르설티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타민 B1 류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자들에 의한 피로 동물 모델을 사용한 실험에서는, 동물 모델에게 비타민 B1 류를 단독으로 (세사민류와 조합하지 않고), 5 ㎎/㎏, 10 ㎎/㎏, 25 ㎎/㎏, 50 ㎎/㎏ (동물 모델의 체중 1 ㎏ 당의 티아민으로 환산한 비타민 B1 량 (㎎)) 투여하였을 때에는, 항피로 작용이 확인되지 않았다. 비타민 B1 류를 100 ㎎/㎏ 투여하였을 때에 항피로 작용의 증강이 확인되었다 (도 3 및 도 4 참조).
(적어도 1 종의 세사민류와 적어도 1 종의 비타민 B1 류를 배합한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사민류와 비타민 B1 류의 배합에 의해, 세사민류의 생리 활성 작용인 항피로 작용의 상승적인 증강이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높은 항피로 작용을 갖는 음식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의약 조성물, 음식품 등) 중에 있어서의 세사민류의 총 배합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 ∼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 이다.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비타민 B1 류의 총 배합 비율은 상기 세사민류의 항피로 작용의 상승적 증강 효과가 발휘되는 범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조성물의 형태나 대상이 되는 병태 등의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되는데, 조성물 전체량에 대하여 0.001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5 중량% 로 배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타민 B1 류의 양을 나타낼 때에는 티아민으로 환산한 값을 사용하고 있다.
세사민류는 통상적으로 성인 1 일당 1 ∼ 200 ㎎ 이 되도록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0 ㎎ 정도이다. 또, 비타민 B1 류는 후생 노동성에 의해 일본인의 영양 소요량으로서, 성인 1 일당 1.0 ㎎ 이상의 섭취가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비타민 B1 류의 1 일당 섭취량의 상한은 정해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예를 들어 세사민류를 1 ∼ 100 ㎎, 바람직하게는 1 ∼ 6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60 ㎎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60 ㎎ 정도의 양으로 배합할 수 있다. 또, 비타민 B1 류를 1 ∼ 100 ㎎, 바람직하게는 5 ∼ 50 ㎎ 정도의 양으로 배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타민 B1 류를 100 ㎎ 보다 많이 배합해도, 항피로 작용 증강의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경제적으로 불리하고, 또 비타민 B1 류의 종류에 따라서는 그 비타민 B1 류 유래의 쓴맛 등에 의해 정미 (呈味) 의 저하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1 일에 1 ∼ 3 회 정도의 빈도로 투여함으로써, 1 일당의 세사민류 및 비타민 B1 류의 섭취량을 상기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1 종의 세사민류와 적어도 1 종의 비타민 B1 류를 함유하는 음료)
적어도 1 종의 세사민류와 적어도 1 종의 비타민 B1 류를 음료 중에 함유시킴으로써, 세사민류의 생리 활성 작용인 항피로 작용을 상승적으로 증강시킨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중의 세사민류의 총 함량은 음료 100 ㎖ 당 1 ∼ 100 ㎎, 바람직하게는 1 ∼ 6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0 ㎎ 이다. 음료 중의 비타민 B1 류의 총 함량은 세사민류의 항피로 작용의 상승적 증강 효과가 발휘되는 범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음료 100 ㎖ 당 1 ∼ 100 ㎎ 정도, 바람직하게는 1 ∼ 60 ㎎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0 ㎎ 정도가 좋다.
본 발명의 음료에는, 세사민류 및 비타민 B1 류 외에, 음료에 관용되는 첨가제나 다른 영양 성분 등을 적절히 첨가해도 된다. 그러한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감미제, 산미제, 안정제, 유화제, 향료, 색소류, 보존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는 예를 들어 용기에 담긴 음료로서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용기로는, 일반적인 용기에 담긴 음료와 동일하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형 용기 (PET 보틀), 금속 캔, 금속박이나 플라스틱 필름과 복합된 종이 용기, 병 등의 통상적인 형태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자들에 의한 피로 동물 모델을 사용한 실험에서는, 세사민류 10 ㎎/㎏ (동물 모델의 체중 1 ㎏ 당의 세사민류의 양 (㎎)) 에 추가하여 비타민 B1 류를 5 ∼ 10 ㎎/㎏ 투여함으로써, 세사민류 10 ㎎/㎏ 만 투여 (비타민 B1 류의 투여 없음) 한 경우에 비해, 항피로 작용이 현저히 증강되었다 (도 2 참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비타민 B1 류만을 5 ∼ 10 ㎎/㎏ 경구 투여하였을 때에는 항피로 작용이 얻어지지 않았음 (도 3 참조) 에도 불구하고, 동량의 비타민 B1 류 첨가에 의해 세사민류의 항피로 작용이 현저히 증강되는 것은 놀랄 만한 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세사민류 및 비타민 B1 류 외에, 임의의 원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비타민 E, 비타민 C 등의 비타민류, 미네랄류, 호르몬, 영양 성분, 향료 등의 생리 활성 성분 외에, 제제화에 있어서 배합되는 유화제, 긴장화제 (등장화제), 완충제, 용해 보조제, 방부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사민류와 비타민 B1 류를 배합함으로써 상승적으로 증강된 항피로 작용이 얻어지므로, 건강 식품으로서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건강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캡슐제나 정제와 같이, 본 발명의 세사민류와 비타민 B1 류를 배합한 조성물 그 자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제제 또는 식품, 그리고 일반적인 식품에 상기 본 발명 조성물을 하나의 성분으로서 배합하여, 생체에 대한 항피로 작용 등의 다양한 기능을 그 식품에 부가하여 이루어지는 기능성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이나 조건부 특정 보건용 식품이 포함된다) 을 들 수 있다. 또한, 생체의 피로를 경감시킨다는 내용의 표시 또는 피로 회복을 촉진시킨다는 내용의 표시를 하여 이루어지는 항피로 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등도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다.
세사민류와 비타민 B1 류를 함유하는 건강 식품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분말상, 과립상, 정제상 등의 고체상 ; 용액상, 유액상, 분산액상 등의 액상 ; 또는 페이스트상 등의 반고체상 등의 임의의 형태로 조제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약 조성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액제, 정제, 과립제, 산제, 캡슐제, 드라이 시럽제, 또는 환제 등의 제형으로 조제하여 경구 투여해도 되고, 주사제 등으로 조제하여 투여해도 된다. 투여 형태는 병태나 그 진행 상황, 그 밖의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항피로 작용 및 항피로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 및 비인간 동물의 항피로제로서도 유용하다. 여기서, 비(非)인간 동물이란, 산업 동물, 애완 동물 및 실험 동물을 나타내며,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 동물이란, 소, 말, 돼지, 염소, 양 등의 가축이나 경쟁마, 사냥개 등을 나타내고, 애완 동물이란 개, 고양이, 마모셋, 햄스터 등을 나타내고, 실험 동물이란 마우스, 래트, 모르모트, 비글견, 미니 돼지, 히말라야 원숭이, 게잡이 원숭이 등의 의학, 생물학, 농학, 약학 등의 분야에서 연구에 공용 (供用) 되는 동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항피로제는 피로를 지각하는 인간, 산업 동물, 애완 동물 및 실험 동물에게 사용되고, 특히 인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피로란, 신체적 또는 정신적 부하를 연속적으로 부여하였을 때에 보여지는 일시적인 신체적 및 정신적 퍼포먼스의 저하 현상이며, 퍼포먼스의 저하는 신체적 및 정신적 작업 능력의 질적 또는 양적인 저하를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피로」에는 만성 피로 증후군이나 과로사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항피로제란, 상기 피로를 감약 (減弱) 시키는 작용이나 피로를 회복시키는 작용을 갖는 제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운동이나 작용한 부위 (뇌를 포함한다) 의 기능의 지속 시간을 향상시키는 것, 및 동일한 운동량이나 작용량에서의 피로 물질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 (지구력 향상·체력 증강), 운동이나 작용한 부위가 피로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뇌나 신경 등이 피로 감지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개선하는 것, 그리고 운동이나 작용한 부위의 피로 상태를 통상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갖는 제를 말한다.
또, 본 발명의 항피로제가 목적으로 하는 만성 피로 증후군이란, 일상 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의 장기적인 전신 피로감, 권태감, 미열, 림프절 종창, 근육통, 관절통, 정신 신경 증상 등의 기본적인 증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피로제는 이 만성 피로 증후군을 처리, 즉 만성 피로 증후군의 각 증상을 완화시켜 정상적인 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피로제가 목적으로 하는 과로사란, 중증의 과로 상태에 있어 신체적 활력을 유지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피로를 충분히 느낄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뇌혈관 질환이나 심 질환을 발증시켜 영구적 노동 불능이나 사망에 이른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피로제는 만성 피로 증후군을 처치할 수 있고, 그로써 과로사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항피로 작용, 즉 「항피로제」로서의 효과는 예를 들어 수침 단면 (斷眠) 시험에 있어서의 유영 시간의 측정과 같은 시험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수침 사육과 같이, 충분한 수면이나 휴식 자세를 취할 수 없어, 육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휴식할 수 없는 환경에서 사육된 마우스를 사용하고, 추를 부하시킨 상태에서 유영시켜, 한계 수영 시간 (예를 들어, 최초로 10 초 이상 코가 수몰될 때의 수몰시까지의 시간, 또는 최종적으로 (재부상하지 않게 될 때까지) 코끝이 수몰될 때의 수몰시까지의 시간 등) 을 측정함으로써, 그 피로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동물 모델은 육체적 및 정신적 피로 모델이므로, 피험 물질을 투여함으로써 유영 시간이 연장되면, 육체적 및 정신적 피로나 그것에 수반되는 근육통 등의 고통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것, 체력이 증강되어 피로 곤비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이 연장된 것, 피로 상태하에서 신체적 활력이 유지된 것 등, 피로에 대한 저항성이 있는 것이 확인된다.
본 발명의 항피로제는 이것을 섭취함으로써 잘 피로해지지 않게 되고, 또 피로 회복에도 효과가 있다. 즉, 스포츠 등의 근육 운동시에 육체 피로를 느꼈을 때나 계산 작업 등의 연속 작업시에 정신 피로를 느꼈을 때에 섭취하여 피로의 회복을 도모할 수 있고, 미리 섭취하고 나서 노동, 스포츠 등을 실시하면 피로를 예방할 수도 있다. 또, 스포츠를 실시하기 전이나 도중에 섭취함으로써, 지구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일상적으로 섭취함으로써, 정신적인 피로나 그것에 수반되는 질환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피로제의 투여 형태는 액제, 정제, 과립제, 산제, 캡슐제, 드라이 시럽제, 환제 등의 형태로 경구 투여해도 되고, 주사제 등의 형태로 투여해도 되며, 병태나 그 진행 상황, 그 밖의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세사민류는 지용성이고, 비타민 B1 류는 수용성이므로, 각각을 다른 형태로 섭취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세사민류와 비타민 B1 류를 함유하는 제제를 개별적으로 조제하고, 그것들을 거의 동시에, 또는 일방의 제제를 복용한 후, 그 효력이 지속되고 있는 동안에 타방의 제제를 복용하면, 본 발명이 의도하는 세사민류의 항피로 작용의 증강 작용이 얻어진다. 따라서, 세사민류 함유 제제와 비타민 B1 류 함유 제제의 키트 등도 본 발명의 항피로제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타민 B1 류와 세사민류에 의한 항피로 작용 (1)
피험 물질이 되는 세사민류로는 세사민/에피세사민 혼합물 (세사민 : 에피세사민 (중량비) = 5 : 5) 을 사용하고, 비타민 B1 류로는 염산티아민 (나카라이테스크사) 을 사용하였다.
수침 단면 시험에 의해 항피로 작용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Tanaka 등의 방법 (Neurosience, Let. 352, 159-162, 2003) 을 일부 개변시킨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Balb/c 계 수컷 마우스 (8 주령) 를 니혼 SLC 주식회사에서 구입하여, 1 주일 시험 환경에서 순화 (馴化) 시킨 후, 순조로운 발육을 나타낸 동물을 시험에 제공하였다. 평균 체중이 균등해지도록 1 군 10 마리로 표 1 과 같이 마우스를 5 군으로 군 분류하였다. 표 1 에 있어서의 비타민 B1 류의 양은 사용된 염산티아민을 티아민으로서 환산한 양을 사용하고 있다. 그 중 4 군은 수침 단면 스트레스군으로서, 깔개 (페이퍼 칩) 대신에 수온 23 ℃ 의 수돗물을 수심 7 ㎜ 가 되도록 사육 케이지에 넣고 사육함으로써, 마우스를 수침 단면시켰다. 2 일간의 수침 단면 중에 각각의 피검 샘플을 1 일 1 회, 2 일간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피검 샘플 중, 세사민류는 올리브유에, 티아민은 증류수에 각각 용해시켰다. 투여 순서는 티아민, 세사민류의 순서로 하고, 대조로서 증류수, 올리브유를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수침 사육 또는 통상 사육 2 일 후, 마우스의 꼬리에 체중의 8 % 에 상당하는 추를 달아 수조 중 (직경 18 ㎝, 수심 30 ㎝) 에서 유영시키고, 코끝이 최초로 10 초 이상 수몰될 때까지의 수몰시까지의 시간을 한계 수영 시간으로서 측정하였다. 수침 사육군 (수침 단면 스트레스군) 의 마우스는 통상 사육군의 마우스보다 한계 수영 시간이 단축된다. 피검 샘플 (세사민류 및/또는 비타민 B1 류) 의 투여에 의해 한계 수영 시간의 단축을 얼마나 억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함으로써 피험 샘플의 항피로 작용을 평가하였다.



사육 방법
피험 샘플
세사민류의 투여량
(㎎/㎏*)
비타민 B1 류의 투여량
(㎎/㎏*)
대조군 통상 사육 0 (올리브유를 투여) 0 (증류수를 투여)
비교군 1 수침 사육 0 (올리브유를 투여) 0 (증류수를 투여)
비교군 2 수침 사육 0 (올리브유를 투여) 50
비교군 3 수침 사육 50 0 (증류수를 투여)
시험군 1 수침 사육 50 50
* … 마우스의 체중 1 ㎏ 당의 투여량 (㎎) 을 나타낸다.
결과를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침 사육 대조군 (비교군 1) 의 마우스의 한계 수영 시간은 통상 사육 대조군 (대조군) 의 마우스에 비해 짧았다. 피험 샘플로서 비타민 B1 류를 50 ㎎/㎏ 투여한 군 (비교군 2) 은 비교군 1 과 비교하여 한계 수영 시간에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세사민류를 50 ㎎/㎏ 투여한 군 (비교군 3) 은, 비교군 1 과 비교하여 한계 수영 시간이 약간 길어졌다. 50 ㎎/㎏ 의 비타민 B1 류와 세사민류를 함께 투여한 군 (시험군 1) 에서는, 비교군 1 에 대하여 한계 수영 시간이 현저히 길어졌다. 이 결과는 비타민 B1 류와 세사민류를 함께 투여함으로써 상승적으로 항피로 작용이 증강됨을 나타낸다.
실시예 2
비타민 B1 류와 세사민류에 의한 항피로 작용 (2)
표 2 와 같이 마우스를 군 분류하고, 코끝이 수면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수몰될 때까지 (재부상하지 않게 될 때까지) 의 수몰시까지의 시간을 한계 수영 시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비타민 B1 류와 세사민류에 의한 항피로 작용을 평가하였다. 표 2 에 있어서의 비타민 B1 류의 양은 사용된 염산티아민을 티아민으로 환산한 양으로 나타낸다.


사육 방법
피험 샘플
세사민류의 투여량
(㎎/㎏*)
비타민 B1 류의 투여량
(㎎/㎏*)
대조군 통상 사육 0 (올리브유를 투여) 0 (증류수를 투여)
비교군 4 수침 사육 0 (올리브유를 투여) 0 (증류수를 투여)
비교군 5 수침 사육 0 (올리브유를 투여) 10
비교군 6 수침 사육 10 0 (증류수를 투여)
시험군 2 수침 사육 10 5
시험군 3 수침 사육 10 10
* … 마우스의 체중 1 ㎏ 당의 투여량 (㎎) 을 나타낸다.
결과를 도 2 에 나타낸다. 도 2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침 사육 대조군 (비교군 4) 의 마우스의 한계 수영 시간은 통상 사육 대조군 (대조군) 에 비해 짧았다. 비타민 B1 류 각각 5 ㎎/㎏, 10 ㎎/㎏ 과 세사민류 10 ㎎/㎏ 을 함께 투여한 군 (시험군 2, 시험군 3) 에서는, 한계 수영 시간이 비교군 4 에 비해 현저히 길어졌다. 이 결과는 비타민 B1 류와 세사민류를 함께 투여함으로써, 항피로 작용이 상승적으로 증강됨을 나타낸다.
실시예 3
참고예. 비타민 B1 류의 단독 투여에 의한 항피로 작용
표 3, 표 4 와 같이 마우스를 군 분류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비타민 B1 류의 단독 투여에 의한 항피로 작용을 평가하였다. 표 3, 표 4 에 있어서의 비타민 B1 류의 양은 사용된 염산티아민을 티아민으로 환산하였을 때의 양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사육 방법
피험 샘플
세사민류의 투여량
(㎎/㎏*)
비타민 B1 류의 투여량
(㎎/㎏*)
대조군 1 통상 사육 0 (올리브유를 투여) 0 (증류수를 투여)
비교군 7 수침 사육 0 (올리브유를 투여) 0 (증류수를 투여)
참고군 1 수침 사육 0 (올리브유를 투여) 5
참고군 2 수침 사육 0 (올리브유를 투여) 10
참고군 3 수침 사육 0 (올리브유를 투여) 25
* … 마우스의 체중 1 ㎏ 당의 투여량 (㎎) 을 나타낸다.


사육 방법
피험 샘플
세사민류의 투여량
(㎎/㎏*)
비타민 B1 류의 투여량
(㎎/㎏*)
대조군 2 통상 사육 0 (올리브유를 투여) 0 (증류수를 투여)
비교군 8 수침 사육 0 (올리브유를 투여) 0 (증류수를 투여)
참고군 4 수침 사육 0 (올리브유를 투여) 50
참고군 5 수침 사육 0 (올리브유를 투여) 100
* … 마우스의 체중 1 ㎏ 당의 투여량 (㎎) 을 나타낸다.
결과를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침 사육 대조군 (비교군 7 및 8) 의 한계 수영 시간은 각각 통상 사육 대조군 (대조군 1 및 2) 에 비해 짧았다. 비타민 B1 류를 5 ㎎/㎏, 10 ㎎/㎏, 25 ㎎/㎏ 및 50 ㎎/㎏ 투여한 군 (각각 참고군 1 ∼ 4) 의 한계 수영 시간은 비교군 7 또는 8 의 한계 수영 시간과 거의 동일한 정도였다. 비타민 B1 류를 100 ㎎/㎏ 투여한 군 (참고군 5) 에서는, 한계 수영 시간이 비교군 8 에 비해 길어졌다.
실시예 4
제제예 1. 과립제
세사민 10 g
염산티아민 10 g
아세트산토코페롤 50 g
무수 규산 20 g
옥수수 전분 110 g
이상의 분체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10 %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에탄올 용액 100 ㎖ 를 첨가하고 통상적인 방법대로 연화 (練和) 시키고, 압출하고, 건조시켜 과립제를 얻었다.
제제예 2. 캡슐제
젤라틴 60.0 %
글리세린 30.0 %
파라옥시벤조산메틸 0.15 %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0.51 %
물 적당량
상기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소프트 캡슐제 껍질 속에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충전시켜, 1 알 360 ㎎ 의 소프트 캡슐을 얻었다 :
세사민 3.5 ㎎
염산티아민 0.4 ㎎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5.0 ㎎
밀랍 15.0 ㎎
밀 배아유 245 ㎎
제제예 3. 정제
세사민 10 g
질산티아민 30 g
전분 172 g
자당지방산에스테르 9.0 g
산화규소 9.0 g
이들을 혼합하고, 단발식 타정기로 타정하여, 직경 9 ㎜, 중량 300 ㎎ 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음료
정미 : DL-타르타르산나트륨 0.1 g
숙신산 0.009 g
단맛 : 액당 800 g
신맛 : 시트르산 12 g
비타민 C 10 g
세사민 1 g
비타민 B1 1 g
비타민 E 20 g
시클로덱스트린 5 g
유화제 5 g
향료 15 ㎖
염화칼륨 1 g
황산마그네슘 0.5 g
상기 성분을 배합하고, 물을 첨가하여 10 리터로 하였다. 이 음료는 1 회당 약 100 ㎖ 를 음용한다.

Claims (11)

  1. 적어도 1 종의 세사민류와 적어도 1 종의 비타민 B1 류를 배합한 조성물로서, 상기 세사민류의 총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이상인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세사민류가 세사민, 에피세사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비타민 B1 류가 티아민, 티아민디술파이드, 벤포티아민, 푸르설티아민, 비스벤티아민, 디세티아민, 티아민에틸디술파이드, 티아민프로필디술파이드 및 그들의 염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타민 B1 류의 총 배합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 20 중량% 인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용인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식품인 조성물.
  7. 적어도 1 종의 세사민류와 적어도 1 종의 비타민 B1 류를 함유하는 음료로서, 음료 100 ㎖ 중의 세사민류의 총 함량이 1 ∼ 100 ㎎ 이고, 비타민 B1 류의 총 함량이 1 ∼ 100 ㎎ 인 음료.
  8. 적어도 1 종의 세사민류와 적어도 1 종의 비타민 B1 류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항피로제.
  9. 제 8 항에 있어서,
    만성 피로 증후군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항피로제.
  10. 항피로제를 제조하기 위한, 적어도 1 종의 세사민류 및 적어도 1 종의 비타민 B1 류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사용.
  11. 피로 상태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으로서, 적어도 1 종의 세사민류 및 적어도 1 종의 비타민 B1 류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그것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07008196A 2007-09-19 2008-09-17 세사민류와 비타민 b1 류를 배합한 조성물 KR101528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42965 2007-09-19
JPJP-P-2007-242965 2007-09-19
PCT/JP2008/066772 WO2009038095A1 (ja) 2007-09-19 2008-09-17 セサミン類とビタミンb1類とを配合した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190A true KR20100074190A (ko) 2010-07-01
KR101528381B1 KR101528381B1 (ko) 2015-06-11

Family

ID=4046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196A KR101528381B1 (ko) 2007-09-19 2008-09-17 세사민류와 비타민 b1 류를 배합한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03789B2 (ko)
EP (1) EP2189160A4 (ko)
JP (2) JP5450075B2 (ko)
KR (1) KR101528381B1 (ko)
CN (1) CN101868238B (ko)
AU (1) AU2008301699B2 (ko)
SG (2) SG10201510301UA (ko)
TW (1) TWI549680B (ko)
WO (1) WO20090380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612B1 (ko) * 2013-08-12 2015-0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흑색 식품소재를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0201510301UA (en) * 2007-09-19 2016-01-28 Suntory Holdings Ltd Compositions incorporating sesamin-class compounds and vitamin b1 class compounds
ITRM20110216A1 (it) * 2011-04-27 2012-10-28 Antonio Costantini Vitamina b1 per uso nel trattamento di malattie infiammatorie - autoimmunitarie.
ITRM20120077A1 (it) * 2012-03-01 2013-09-02 Antonio Costantini Nuovo uso vitamina b1.
WO2012147003A1 (en) * 2011-04-27 2012-11-01 Costantini Antonio Vitamin b1 for treatment of chronic fatigue
ITRM20110283A1 (it) * 2011-06-08 2012-12-09 Antonio Costantini Vitamina b1 per uso nel trattamento della malattia celiaca e di malattie del sistema nervoso.
TWI666018B (zh) * 2015-03-23 2019-07-21 日商三得利控股股份有限公司 晝夜節律改善用組成物
JP6420797B2 (ja) * 2015-08-07 2018-11-07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活動意欲向上剤
JPWO2021065664A1 (ko) * 2019-10-04 2021-04-08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7694A (en) 1982-06-11 1984-01-24 The Vinoxen Company, Inc. Sesamin as a psychotropic agent
JP3070611B2 (ja) 1989-03-07 2000-07-31 サントリー株式会社 △▲上5▼―不飽和化酵素阻害剤
DK0818196T3 (da) 1989-07-21 2005-05-02 Suntory Ltd Kapsel, der indeholder dioxabicyclo[3.3.0]octan-forbindelser
JPH02187397A (ja) 1989-11-30 1990-07-23 Kingujimu:Kk 袋状透明リーフの製造方法
JP3075358B2 (ja) 1990-04-03 2000-08-14 サントリー株式会社 肝機能改善剤
JP3183664B2 (ja) 1990-10-22 2001-07-09 サントリー株式会社 コレステロール及び胆汁酸の代謝阻害剤
JPH04278067A (ja) * 1991-03-05 1992-10-02 Suntory Ltd 胡麻入り飲料
JPH0551388A (ja) * 1991-08-23 1993-03-02 Suntory Ltd 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
JP2879395B2 (ja) * 1992-10-26 1999-04-0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ロダシアニン化合物及びシクロデキストリンを含有する抗癌性組成物
JPH06327435A (ja) 1992-11-10 1994-11-29 Otsuka Pharmaceut Co Ltd 栄養補給組成物
JPH0847381A (ja) 1994-08-08 1996-02-20 Meiji Seika Kaisha Ltd 持久力向上飲食品
JP4526047B2 (ja) 1995-11-08 2010-08-18 雪印乳業株式会社 体力増強剤
AU7068896A (en) * 1995-11-09 1997-05-15 Corunum Corporation Protein composition derived from sesame seed and use thereof
JPH10218785A (ja) * 1997-02-12 1998-08-18 Misaki Takemura 滋養強壮剤
JPH11269456A (ja) 1998-03-19 1999-10-05 Suntory Ltd 高度不飽和脂肪酸組成物
JP2000004832A (ja) * 1998-06-26 2000-01-11 Yamamasa Foods Kk リグナン含有食品
JP2000143546A (ja) 1998-11-16 2000-05-23 Hiroshi Wada メラトニンの酸化分解抑制剤
JP2001046021A (ja) 1999-08-10 2001-02-20 Itoham Foods Inc 体力増強・疲労回復用素材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
JP3789699B2 (ja) 1999-11-18 2006-06-28 サントリー株式会社 リグナン系抗酸化剤及びその製造法
JP2001151676A (ja) 1999-11-19 2001-06-05 Hiroshige Himawari アポトーシス誘導剤、アポトーシス誘導能を利用した癌治療薬及び食品
JP2003183172A (ja) 2001-12-18 2003-07-03 Takemoto Oil & Fat Co Ltd 片頭痛の抑制乃至予防治療用経口投与剤
WO2003087312A2 (en) * 2002-04-08 2003-10-23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Inhibition of tumor growth via peroxiredoxin 3
EP1637136A4 (en) 2003-05-27 2007-08-01 Suntory Ltd COMPOSITION HAVING AUTONOMOUS SYSTEM NERVE MODULATION ACTIVITY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60115556A1 (en) * 2004-12-01 2006-06-01 Foulger Sidney W Nutritional supplement drink containing xanthone extracts
US8293716B2 (en) * 2005-05-26 2012-10-23 Ramot At Tel Aviv University Ltd. Method of treating cancer by modulation of mortalin
JP2007008878A (ja) * 2005-06-30 2007-01-18 Sato Pharmaceutical Co Ltd 非運動性及び非急性ストレス性疲労の治療剤
JP5069416B2 (ja) * 2006-03-15 2012-11-07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湿性の改善された飲食品用組成物
US20090054443A1 (en) * 2006-03-15 2009-02-26 Suntory Limited Compositions containing riboflavin and sesamin-class compounds
CN1836555A (zh) * 2006-04-26 2006-09-27 金龙德 一种携带食用方便的益寿养生米肠及其加工方法
JP2008136391A (ja) * 2006-11-30 2008-06-19 Nisshin Pharma Inc 若葉組成物
WO2008126587A1 (ja) * 2007-03-15 2008-10-23 Suntory Holdings Limited 抗疲労剤
SG10201510301UA (en) * 2007-09-19 2016-01-28 Suntory Holdings Ltd Compositions incorporating sesamin-class compounds and vitamin b1 class compoun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612B1 (ko) * 2013-08-12 2015-0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흑색 식품소재를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50075B2 (ja) 2014-03-26
AU2008301699B2 (en) 2014-10-02
CN101868238A (zh) 2010-10-20
KR101528381B1 (ko) 2015-06-11
SG184771A1 (en) 2012-10-30
WO2009038095A1 (ja) 2009-03-26
TW200927126A (en) 2009-07-01
US8703789B2 (en) 2014-04-22
TWI549680B (zh) 2016-09-21
AU2008301699A1 (en) 2009-03-26
JP2014055148A (ja) 2014-03-27
SG10201510301UA (en) 2016-01-28
EP2189160A4 (en) 2010-10-13
CN101868238B (zh) 2012-05-23
JP5665946B2 (ja) 2015-02-04
EP2189160A1 (en) 2010-05-26
JPWO2009038095A1 (ja) 2011-01-06
US20100184793A1 (en)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5946B2 (ja) セサミン類とビタミンb1類とを配合した組成物
JP6095549B2 (ja) リボフラビンとセサミン類とを含有する組成物
EP2135606B1 (en) Anti-fatigue agent
US8653130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sesamin-class compound(s) and arachidonic acid class compound(s)
JP5280029B2 (ja) セサミン類とγ−オリザノールとを含有する組成物
JP5794761B2 (ja) セサミン類及びビタミンeを含有する抗疲労剤
TW202123954A (zh) 生活活動量之維持、預防降低、抑制降低或改善用組成物
TW202126297A (zh) 肌肉量之降低抑制、降低預防、維持、回復或增加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