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647A - 친수성 피복제, 친수성 피막 및 친수성 기재 - Google Patents

친수성 피복제, 친수성 피막 및 친수성 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647A
KR20100067647A KR1020107000871A KR20107000871A KR20100067647A KR 20100067647 A KR20100067647 A KR 20100067647A KR 1020107000871 A KR1020107000871 A KR 1020107000871A KR 20107000871 A KR20107000871 A KR 20107000871A KR 20100067647 A KR20100067647 A KR 20100067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hilic coating
component
group
hydrophilic
acrylic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759B1 (ko
Inventor
료이치 나카이
Original Assignee
하리마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리마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리마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7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7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93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containing silicon
    • C08G18/3895Inorganic compounds, e.g. aqueous alkalimetalsilicate solutions; Organic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no direct silicon-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08G18/6229Polymers of hydroxy groups containing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with aliphatic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5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ydrolyzed polymers of esters of these acids
    • C08G18/6254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of esters of these acid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1Monoisocyanates or monoisothiocyanates
    • C08G18/718Monoisocyanates or monoisothiocyanate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806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 C08G18/7818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 C08G18/7831Nitrogen containing -N-C=0 groups containing ureum or ureum derivative groups containing biuret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9D1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9D1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8Particle size between 100-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90/00Compositions for creating anti-fog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3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oxygen in a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08K5/545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at least on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8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08L2312/08Crosslinking by silane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친수성에 의한 방담성과 경도, 내수성, 내알칼리성을 겸비한 친수성 피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은 (A) 콜로이달실리카졸과, (B) 활성 수소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 5000~200000의 아크릴 폴리머와, (C)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와, (D) 아크릴 폴리머(B)에 대한 경화제를 함유하고, (A)성분과 (B)성분의 질량비[(A)/(B)]가 5/95~95/5이며, 또한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와 (C)성분의 질량비[(A+B)/(C)]가 30/70~9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피복제이다.

Description

친수성 피복제, 친수성 피막 및 친수성 기재{HYDROPHILIC COATING AGENT, HYDROPHILIC COATING FILM, AND HYDROPHILIC BASE}
본 발명은 안경 렌즈, 창재 등에 방담성(防曇性)을 부여하기 위한 친수성 피복제 및 상기 친수성 피복제로부터 얻어지는 친수성 피막 및 상기 친수성 피막이 형성된 친수성 기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유리나 플라스틱 재료 등을 기재로 하는 안경 렌즈나 창재 등에 방담성을 부여하기 위한 친수성 피복제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내찰상성과 방담성을 양립하는 친수성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친수성 하드코트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1분자 중에 적어도 3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와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인산기에서 선택되는 관능기를 갖는 친수성 모노머와 무기 콜로이드졸을 함유하는 친수성 하드코트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2에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방담성 피막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제로서, 레벨링 공정의 시간 단축을 도모하는 도포제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이소시아네이트, 흡수성 폴리올, 아크릴폴리올, 활성 수소기 함유 계면활성제 및 용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도포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3에는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안경용 플라스틱 렌즈 기재 상에 유기물 및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방담 코트층을 형성하는 방담성 안경 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담 코트층의 구체예로서는 콜로이달실리카와 폴리비닐알콜과 폴리아크릴산과 물 함유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 1 층으로서 적층하고, 이 제 1 층 상에 메틸실리케이트와 아세틸아세톤알루미늄과 물 함유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제 2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담 코트층의 구체예로서는 에틸실리케이트와 콜로이달실리카와 물 함유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 1 층으로서 적층하고, 이 제 1 층 상에 폴리비닐알콜 부분 비누화물과 메틸실리케이트와 아세틸아세톤알루미늄과 에폭시실리카 등을 함유하는 제 2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4에는 물 분산성 실리카(A)와 아크릴 공중합체 등의 수용성 또는 물 분산성 중합체(B)와 필요에 따라서 반응성 실란 화합물로 이루어지고, 특정의 성분(A)와 (B)의 배합비를 만족시키는 유기-무기 복합체 반응물로 금속 표면을 피복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5에는 방담 성능의 수명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방담 도료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콜로이달실리카졸과 친수성 폴리머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방담 도료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친수성 폴리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 변성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변성 폴리비닐피롤리돈, 친수성 아크릴계 폴리머 등이 열거되어 있다. 또한, 방담 도료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가교제를 더 함유해도 좋은 것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어느 문헌에 개시된 피복제로 형성되는 친수성 피막도 친수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높은 경도, 내수성, 내알칼리성의 모두를 더 구비하는 것은 아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5-18757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6-16944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05-234066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소 55-99976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2005-314495호 공보
본 발명은 높은 친수성에 의한 방담성과 경도, 내수성, 내알칼리성을 겸비한 친수성 피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은 (A) 콜로이달실리카졸과, (B) 활성 수소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 5000~200000의 아크릴 폴리머와, (C)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와, (D) 아크릴 폴리머(B)에 대한 경화제를 함유하고, (A)성분과 (B)성분의 질량비[(A)/(B)]가 5/95~95/5이며, 또한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와 (C)성분의 질량비[(A+B)/(C)]가 30/70~9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피복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백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친수성 피복제는 (A) 콜로이달실리카졸과, (B) 활성 수소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 5000~200000의 아크릴 폴리머와, (C)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와, (D) 아크릴 폴리머(B)에 대한 경화제를 함유하고, (A)성분과 (B)성분의 질량비[(A)/(B)]가 5/95~95/5이며, 또한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와 (C)성분의 질량비[(A+B)/(C)]가 30/70~95/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콜로이달실리카졸(A)은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부탄올, 크실렌,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분산매로 하는 실란올기(-Si-OH)를 갖는 실리카계 화합물의 콜로이드 또는 졸이다. 콜로이달실리카졸로서는 메틸실리케이트, 에틸실리케이트 및 그들의 올리고머 등을 원료로 해서 염기성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실리카 미립자나 장쇄상의 분자를 분산질로서 포함하는 것이 열거된다.
분산질의 평균 입자경으로서는 1~200nm, 또한 10~100nm인 것이 피복제의 안정성, 경화 후의 투명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균 입자경은 비표면적 환산하여 산출된 값이다.
또한, 콜로이달실리카졸(A) 중의 실리카계 화합물의 함유 비율로서는 5~50질량%, 또한 10~40질량%인 것이 입자의 안정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콜로이달실리카졸(A)의 구체예로서는 시판품인 MEK-ST, 메탄올실리카졸 등의 SNOWTEX 시리즈(모두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Quartron(FUSO CHEMICAL CO., LTD. 제품); Cataloid S(SGC C&C 제품); LUDOX(Grace Corporation 제품); SILICADOL(Nippon Chemical Industrial Co., LTD. 제품); ADELITE(ADEKA CORPORATION 제품) 등이 열거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아크릴 폴리머(B)는 활성 수소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 5000~200000의 아크릴 폴리머이다. 아크릴 폴리머에 포함되는 활성 수소에 의해 아크릴 폴리머(B)는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C)를 개재하여 콜로이달실리카졸(A)과 가교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아크릴 폴리머(B)의 활성 수소는 경화제(D)에 의한 경화점이어도 좋다.
활성 수소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B)는 활성 수소를 갖는 관능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이하, 단지 활성 수소 함유 모노머라고도 칭함)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액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중합 방법의 구체예로서는 용액 중합, 현탁 중합, 유화 중합 등이 열거된다. 이들 중에서는 모노머 혼합액을 용매에 용해시켜 필요에 따라서 중합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중합시키는 용액 중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수소를 갖는 관능기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기,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포스페이트기, 메르캅토기 등이 열거된다. 이들 중에서는 수산기가 커플링제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점 및 피복제의 안정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아크릴 폴리머(B)는 활성 수소 함유 모노머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활성 수소 함유 모노머와 상기 활성 수소 함유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활성 수소를 갖지 않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이하, 단지 활성 수소 비함유 모노머라고도 칭함)의 공중합체이어도, 활성 수소 함유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이어도 좋다.
아크릴 폴리머(B) 중의 활성 수소 함유 모노머 단위의 함유 비율로서는 10질량% 이상, 또한 20질량% 이상, 100질량% 이하, 또한 8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수소 함유 모노머 단위의 함유 비율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에는 얻어지는 피막의 친수성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아크릴 폴리머(B)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5000~200000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20000~15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0~100000의 범위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미만인 경우에는 형성되는 친수성 피막의 표면의 내수성, 내알칼리성이 저하된다. 한편,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A) 콜로이달실리카졸과의 상용성이 저하됨으로써 피복제 중에 응집이 발생하여 도포가 곤란해지거나 양호한 도막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친수성 피복제에 있어서는 콜로이달실리카졸(A)과 아크릴 폴리머(B)의 질량비[(A)/(B)]는 5/95~95/5이고, 바람직하게는 20/80~80/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75~75/25이다. A/B가 5/95 미만인 경우에는 높은 표면 경도가 얻어지고, 또한 내용제성이 저하되며, A/B가 95/5보다도 높을 경우에는 크랙이 발생하는 등 양호한 도막이 얻어지지 않는다.
수산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수산기를 갖는(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비닐에테르 또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글리콜계 부가물 등이 열거된다.
수산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비닐에테르 등의 히드록시알킬비닐에테르; 히드록시에틸알릴에테르, 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알릴에테르 등의 히드록시알킬알릴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폴리올과 (메타)아크릴산의 에스테르인 폴리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폴리올과 ε-카프로락톤의 부가물 등이 열거된다. 또한, 폴리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서는 시판품으로서 BLEMMER AET 시리즈, APT 시리즈, AE 시리즈, AEP 시리즈, BLEMMER AP-400, AP-550, AP-800, BLEMMER PEP 시리즈, PET 시리즈, PPT 시리즈, PP 시리즈(모두 NOF CORPORATION 제품); Nippon Nyukazai Co., Ltd. 제품인 MA 시리즈;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제품인 NEW FRONTIER NF 시리즈;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인 PLACCEL FM 시리즈, FA 시리즈 등이 열거된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류가 열거된다.
술폰산기를 함유하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술폰산, 비닐벤젠술폰산, 알릴술폰산,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등이 열거된다.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아미드, 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N-메틸롤아크릴아미드 등이 열거된다.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열거된다.
포스페이트기를 함유하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알킬애시드포스페이트류가 열거된다.
한편, 활성 수소를 갖는 관능기를 갖지 않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에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 화합물;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알콕시실릴기 함유 비닐 화합물 등이 열거된다.
상기 모노머는 어느 것이나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중합 개시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일퍼옥시드, 라우릴퍼옥시드, 카프로일퍼옥시드, t-헥실퍼옥시네오데카네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등의 유기 과산화물, 2,2-아조비스-iso-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이 열거된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중합 개시제의 배합 비율로서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5질량부, 또한 0.5~2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액 중합에 있어서의 용매로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유기 용제,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유기 용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N-메틸-2-피롤리돈 등의 극성 용제, 메틸알콜,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알콜계 유기 용제, 톨루엔, 크실렌, 「Solvesso 100」(Exxon Mobil Corporation 제품)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 용제, n-헥산,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LAWS」, 「Mineral Spirit EC」(모두 Shell 제품)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지환족 탄화수소계 유기 용제,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유기 용제,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계 유기 용제, n-부틸카르비톨, iso-아밀카르비톨 등의 카르비톨계 유기 용제가 열거된다. 이들은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좋다.
아크릴 폴리머(B)는 아크릴 수지 용액, 아크릴 에멀젼, 아크릴 서스펜션 등의 액체 상태에서 배합된다. 아크릴 수지 용액, 아크릴 에멀젼 또는 아크릴 서스펜션 중의 아크릴 폴리머(B)의 고형분 농도로서는 10~80질량%, 또한 20~60질량%인 것이 아크릴 폴리머 제조시의 안정 제조 및 작업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C)는 콜로이달실리카졸(A)과 아크릴 폴리머(B)의 사이에 가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즉,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C)는 그 말단 관능기에 의해 아크릴 폴리머(B)의 활성 수소와 반응하고, 또한 그 말단의 알콕시실릴기에 의해 반응 콜로이달실리카졸(A) 표면의 실란올기와 실란올 결합을 형성한다. 그리고, 콜로이달실리카졸(A)과 아크릴 폴리머(B)의 사이에 가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피막 표면에 높은 내알칼리성과 높은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C)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KBM403, CHISSO CORPORATION 제품 Silaplane S-510 등),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KBE403, Dow Corning Toray Co., Ltd. 제품 Z-6041 등) 등의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KBM903, Dow Corning Toray Co., Ltd. 제품 Z-6610 등),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KBE903, CHISSO CORPORATION 제품 Silaplane S330 등) 등의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KBM803, Dow Corning Toray Co., Ltd. 제품 Z-6062 등)의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KBE585, Dow Corning Toray Co., Ltd. 제품 Z-6676 등) 등의 우레탄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KBE9007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등이 열거된다. 이들 중에서는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피복제의 안정성 및 반응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C)의 배합 비율로서는 콜로이달실리카졸(A)과 아크릴 폴리머(B)의 합계량(A+B)과 실란 커플링제(C)의 질량비[(A+B)/(C)]로 30/70~95/5이고, 바람직하게는 50/50~90/1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40~80/20이다. 질량비[(A+B)/(C)]가 30/70 미만인 경우에는 성막성이 저하되고, 표면 경도 및 내수성이 저하된다. 또한, 질량비[(A+B)/(C)]가 95/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콜로이달실리카(A)와 아크릴 폴리머(B)의 가교가 적어짐으로써 콜로이달실리카졸(A)과 아크릴 폴리머(B)의 계면에서의 결합이 적어지기 때문에, 친수성 및 내알칼리성이 저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아크릴 폴리머(B)에 대한 경화제(D)는 아크릴 폴리머(B)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피막에 높은 내알칼리성, 내수성 및 내용제성 등을 부여하는 성분이다.
경화제(D)는 아크릴 폴리머(B)가 갖는 활성 수소와의 반응성을 구비하는 관능기를 적어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면 특별하게 한정없이 사용된다.
경화제(D)의 구체예로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반응성의 관능기를 갖는 예를 들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멜라민 수지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경화제, 옥사졸린계 경화제 등이 열거된다. 이들 중에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멜라민 수지계 경화제가 특히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비교적 저온에서도 반응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출발 원료로 한 뷰렛, 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를 갖는 3관능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MITSUI TAKEDA CHEMICALS,INC. 제품 NP1100(뷰렛 구조), D-170N(이소시아누레이트 구조) 등), 에틸렌옥사이드 등의 친수기에 의해 변성된 물 분산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MITSUI TAKEDA CHEMICALS,INC. 제품 WD 시리즈,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제품 Duranate WB40-100) 또는 물 분산 블록형의 이소시아네이트(MITSUI TAKEDA CHEMICALS, INC. 제품 WB 시리즈) 등이 열거된다.
또한, 멜라민 수지계 경화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품으로서 Sanwa Chemical Co., Ltd. 제품인 NIKALAC 시리즈가 열거된다.
또한, 에폭시계 경화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품으로서 Japan Epoxy Resin Co., Ltd. 제품인 Epicoat 시리즈, KYOEISHA CHEMICAL Co., LTD. 제품인 EPOLITE 시리즈 등이 열거된다.
또한, 카르보디이미드계 경화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품으로서 Nisshinbo Chemical, Inc. 제품인 CARBODILITE 시리즈 등이 열거된다.
또한, 옥사졸린계 경화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품으로서 NIPPON SHOKUBAI CO., LTD. 제품인 EPOCROS 시리즈 등이 열거된다.
경화제(D)의 배합 비율은 아크릴 폴리머(B)를 충분히 경화시키는 비율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 폴리머(B)의 종류나 활성 수소 함유량 등에 의해 적당하게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 폴리머(B)가 수산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이고, 경화제(D)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일 경우에는 수산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의 수산기 1당량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0.2~3당량이 되도록 하는 배합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피복제에 있어서는 활성 수소를 갖는 계면활성제(E)를 더 배합해도 좋다. 활성 수소를 갖는 계면활성제(E)를 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피막 표면의 친수성이 더 향상된다. 또한, 계면활성제가 활성 수소를 갖기 때문에,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C)나 경화제(D)와 반응함으로써 친수성의 향상 효과가 장기간 유지된다.
계면활성제(E)로서는 활성 수소를 갖는 것인 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활성 수소를 갖는 관능기를 갖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가 열거된다. 활성 수소를 갖는 관능기로서는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등이 열거된다.
활성 수소를 함유하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피마자유 모노설페이트, 피마자유 모노포스페이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설페이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포스페이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린에테르모노설페이트, 폴리옥시알킬렌글리세린에테르모노포스페이트, 퍼플루오로알킬에스테르포스페이트 등이 열거된다.
활성 수소를 함유하는 양이온계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디알칸올아민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에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암모늄염, 폴리옥시알킬렌디알칸올아민에테르염 등이 열거된다.
활성 수소를 함유하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열거된다.
활성 수소를 함유하는 양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N,N-디(β-히드록시알킬)N-히드록시에틸-N-카르복시알킬암모늄베타인, N,N-디(폴리옥시에틸렌)-N-알킬-N-술포알킬암모늄베타인, 퍼플루오로알킬베타인 등이 열거된다.
계면활성제(E)의 배합 비율로서는 아크릴 폴리머(B)와 계면활성제(E)의 합계량[(B)+(E)]에 대하여 30질량% 이하, 또한 20질량% 이하이고, 5질량% 이상, 또한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E)의 배합 비율이 3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피막의 경도, 내수성, 내알칼리성 및 내용제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친수성 피복제는 경화 금속 촉매(F)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금속 촉매(F)를 배합함으로써, 콜로이달실리카졸(A)과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C)의 축합 반응이 촉진되어서 얻어지는 피막의 경도 및 내알칼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경화 금속 촉매(F)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주석, 티타늄, 아연, 철, 코발트, 알루미늄의 금속염, 알콕시드, 킬레이트 화합물 등이 열거된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륨모노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이소프로폭시티타늄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지르코늄테트라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등이 열거된다.
경화 금속 촉매(F)의 배합 비율로서는 표면 친수성 피복제의 전량 중 0.01~0.2질량%, 또한 0.05~0.1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금속 촉매(F)의 배합 비율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는 얻어지는 피막의 경도, 내알칼리성은 향상되지만, 친수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친수성 피복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내열안정제, 대전 방지제, 소포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더 배합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친수성 피복제는 콜로이달실리카졸(A), 아크릴 폴리머(B)의 용액,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C), 경화제(D)를 상술한 배합 비율이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조제된다. 또한, 경화제(D)를 콜로이달실리카졸(A)이나 아크릴 폴리머(B)와 혼합하면 곧 가교 반응이 개시되므로, 경화제(D)는 도포 직전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콜로이달실리카졸(A)과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C),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E) 및 경화 금속 촉매(F)를 예비 혼합한 후, 아크릴 폴리머(B)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여 균일 혼합해서 주제를 얻는다. 그리고, 기재에 도포하기 직전에 주제에 경화제(D)를 첨가함으로써 표면 친수성 피복제가 조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콜로이달실리카(A),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C), 계면활성제(E) 및 경화 금속 촉매(F)를 용기에 투입하고, 40℃까지 승온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에 아크릴 폴리머(B)를 서서히, 구체적으로는 30~60분간 정도에 걸쳐서 적하한다. 그리고, 적하 종료 후, 또한 40℃에서 30~60분간 정도 교반함으로써 주제를 조정한다. 그리고, 기재에 도포하기 직전에 주제에 경화제(D)를 배합해서 교반 혼합함으로써 표면 피복제가 조제된다.
조제된 표면 친수성 피복제는 반응이 진행되기 전에 기재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등의 각종 수지 기재, 스테인레스, 강, 알루미늄 등의 각종 금속 기재, 유리 등의 무기 기재 등이 특별하게 한정없이 사용된다. 또한, 기재의 형태도 판, 필름, 성형품 등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도포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딥핑, 롤 코트, 스핀 코트, 바 코트 등의 각종 도포 방법이 특별하게 한정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포된 표면 피복제는 60~180℃, 바람직하게는 80~150℃ 정도의 온도에서 15~120분간, 바람직하게는 30~60분간 정도 가열함으로써 열경화시킨다. 이에 의해 친수성 피막이 형성된다. 또한, 가능한 한 상온 경화나 광경화에 의한 경화이어도 좋다.
친수성 피막의 막 두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90㎛, 또한 5~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피복제는 안경, 고글 등의 렌즈, 건축용, 차량용, 계기용의 창재 등에 친수성 피복을 형성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 「부」는 질량 기준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변형을 할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의 합성예>>
(합성예 1)
반응 용기 중에 메틸에틸케톤(MEK) 224부와 N-메틸-2-피롤리돈(NMP) 56부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매를 투입하고, 60℃까지 승온했다.
한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78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MA-50A, Nippon Nyukazai Co., Ltd. 제품) 42부로 이루어지는 혼합 모노머와 중합 촉매로서 t-헥실퍼옥시네오데카네이트(퍼헥실 ND, NOF CORPORATION 제품) 1.2부를 교반 혼합함으로써 모노머 혼합액을 조제했다.
상기 혼합 용매에 모노머 혼합액을 60℃에서 3시간에 걸쳐서 적하하고, 3시간 후에 반응을 종료했다. 이렇게 하여 수산기를 갖는 Mw 80000의 아크릴 폴리머를 함유하는 수지 용액을 제조했다.
(합성예 2)
모노머 혼합액으로서 MA-50A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120부와 퍼헥실 ND 1.8부를 교반 혼합함으로써 조제한 모노머 혼합액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같이 하여 수산기를 갖는 Mw 40000의 아크릴 폴리머를 함유하는 수지 용액을 제조했다.
(합성예 3)
혼합 모노머로서 MMA 78부, MA-50A 36부 및 아크릴산(AA) 6부로 이루어지는 혼합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같이 하여 수산기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Mw 90000의 아크릴 폴리머를 함유하는 수지 용액을 제조했다.
(합성예 4)
혼합 모노머로서 MMA 102부 및 MA-50A 18부로 이루어지는 혼합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같이 하여 수산기를 갖는 Mw 85000의 아크릴 폴리머를 함유하는 수지 용액을 제조했다.
(합성예 5)
혼합 모노머로서 MMA 60부 및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EA) 60부로 이루어지는 혼합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같이 하여 수산기를 갖는 Mw 100000의 아크릴 폴리머를 함유하는 수지 용액을 제조했다.
(합성예 6)
모노머 혼합액으로서 MA-50A 120부와 퍼헥실 ND 6부와 연쇄 이동제(2-메르캅토에탄올) 2.4부를 교반 혼합함으로써 조제한 모노머 혼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같이 하여 수산기를 갖는 Mw 4000의 아크릴 폴리머를 함유하는 수지 용액을 제조했다.
(합성예 7)
중합 촉매(퍼헥실 ND)의 첨가량을 1.2부에서 0.6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같이 하여 수산기를 갖는 Mw 250000의 아크릴 폴리머를 함유하는 수지 용액을 제조했다.
표 1에 합성예 1~합성예 7에 있어서의 모노머 조성, 용매의 종류 및 얻어진 아크릴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수지 용액의 점도 및 불휘발분, 아크릴 폴리머의 수산기가를 정리해서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합성예 1~합성예 7에서 얻어진 수산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를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친수성 피복제를 제조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그 밖의 원재료에 대해서 이하에 정리하여 설명한다.
(A) 콜로이달실리카졸
ㆍ MEK-ST: 분산 입경 10~15nm의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SNOWTEX 시리즈, 불휘발분 30%
ㆍ 메탄올실리카졸: 분산 입경 10~15nm의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SNOWTEX 시리즈, 불휘발분 30%
(C1)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
ㆍ S-510 용액: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Silaplane S-510, CHISSO CORPORATION 제품)의 MEK 용액, 불휘발분 30%
ㆍ KBE-9007 용액: 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KBE-9007, 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의 MEK 용액, 불휘발분 30%
(C2) 비반응성 실란 커플링제
ㆍ 메틸실리케이트 용액: 메틸실리케이트의 MEK 용액, 불휘발분 30%
(D) 경화제
ㆍ WB40-100 용액: Duranate WB40-100(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제품인 친수기 부여 변성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의 뷰렛형 물 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의 용액, 불휘발분 30%
ㆍ NP1100 용액: MT-OLESTER-NP1100(MITSUI TAKEDA CHEMICALS,INC.제품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의 뷰렛형 폴리우레탄)의 MEK 용액, 불휘발분 30%
(E) 계면활성제
ㆍ EPAN U105 용액: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DAI-ICHI KOGYO SEIYAKU CO., LTD. 제품인 EPAN U105)의 MEK 용액, 불휘발분 30%
ㆍ VISGARD-A: 술폰산 아민염(67%)과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37%)의 공중합체의 용액(Film Specialties, Inc. 제품), 불휘발분 27%
(F) 경화 촉매
ㆍ Alumi CHELATE D: 알루미늄모노아세틸아세테이트(Kawaken Fine Chemicals Co., Ltd. 제품인 Alumi CHELATE D)의 MEK 용액, 불휘발분 30%
(G) 흡수 폴리올
ㆍ PEG-1000 용액: 폴리에틸렌글리콜(DAI-ICHI KOGYO SEIYAKU CO., LTD. 제품인 PEG-1000)의 MEK 용액, 불휘발분 30%
(실시예 1)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에 의해 이하의 방법에 따라 친수성 피복제를 조제했다.
처음에, 반응 용기 중에 MEK-ST 40부 및 S-510 용액 40부를 투입하고, 40℃까지 승온했다.
이어서,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수산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 용액 20부를 상기 반응 용기 내에 45분간에 걸쳐서 적하하고, 적하 종료 후에 40℃에서 30분간 교반함으로써 주제를 조제했다.
그리고, 얻어진 주제에 WB40-100 용액 7.7부를 교반 혼합함으로써 친수성 피복제를 얻었다.
(실시예 2~실시예 14)
표 2의 조성에 따라서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친수성 피복제를 얻었다.
(비교예 1~비교예 11)
표 3의 조성에 따라서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친수성 피복제를 얻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친수성 피복제의 평가 방법>>
상기 실시예 1~실시예 14 및 비교예 1~비교예 11에서 얻어진 주제에 경화제(D)를 교반 혼합하여 친수성 피복제를 조제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터 4mil로 150mm×70mm×0.5mm(두께)의 유리판에 얻어진 피복제를 도포한 후, 120℃, 20분의 조건에서 건조시켜 시험판을 작성했다. 그리고, 얻어진 시험판을 이용하여 하기 평가 시험에 제공했다.
단,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친수성 피복제는 도막 표면에 분말상의 입자가 다수 발생하고, 또한 비교예 10에서 얻어진 친수성 피복제는 도포액이 응집했기 때문에 모두 시험할 수 없었다.
(외관 평가)
JIS K 5600-1-1의 4.4 「도막의 외관」의 시험법에 준거하여 하기의 기준에 의해 투명성 및 크랙의 유무를 판정했다.
우수: 무색 투명이고, 크랙이 없다.
열악: 백탁되거나 또는 크랙이 발생했다.
(연필 경도)
JIS K 5600-5-4 「스크래치 경도(연필법)」의 시험법에 준거하여 연필 경도 시험을 실시했다. 연필 경도 시험에 있어서는 경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B, HB, F, H의 순차로 배열된다. 또한, 「H」의 앞에 붙는 숫자가 클수록 경도가 높고, 「B」의 앞에 붙는 숫자가 클수록 경도가 낮다.
(내수성)
시험판을 23℃±2℃의 물 중에 3일간 침지했다. 그리고, 침지 후의 시험편의 외관을 관찰하고, JIS K 5600-1-1의 4.4 「도막의 외관」의 시험법에 준거하여 내수성을 판정했다.
우수: 무색 투명이었다.
보통: 반투명이었다.
열악: 백화 또는 용해되었다.
(내알칼리성)
시험판을 23℃±2℃의 5%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중에 3일간 침지했다. 그리고, 침지 후의 시험편의 외관을 관찰하고, JIS K 5600-1-1의 4.4 「도막의 외관」의 시험법에 준거하여 내알칼리성을 판정했다.
우수: 무색 투명이었다.
보통: 반투명이었다.
열악: 백화 또는 용해되었다.
(내용제성)
시험판 표면에 형성된 피막의 표면에 아세톤을 적하한 후, 하중 100g을 가해서 50회 러빙 시험을 행했다. 그리고, JIS K 5600-1-1의 4.4 「도막의 외관」의 시험법에 준거하여 내용제성을 판정했다.
우수: 무색 투명이었다.
보통: 반투명이었다.
열악: 백화 또는 용해되었다.
(방담성)
50℃의 온수 중에 표면에 1cm 간격을 비워서 시험판의 도포면을 대향시켜 피막의 표면이 흐려지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우수: 흐려지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으로 2분 이상을 필요로 했다.
보통: 흐려지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1분 이상, 2분 미만이었다.
열악: 흐려지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1분 미만이었다.
(표면 친수성(물 접촉각))
시험판 표면에 0.4㎕의 수적을 흘리고, 접촉각계(Kyowa Interface Science Co., LTD. 제품, Drop Master500)에 의해 접촉각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실시예 1~실시예 14에서 조제한 표면 피복제로부터 얻어진 피막의 외관은 어느 것이라도 무색 투명이고, 크랙의 발생이 없어 외관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그 연필 경도는 어느 것이라도 2H 이상이었다. 또한, 내수성, 내알칼리성, 내용제성, 방담성도 우수했다. 또한, 어느 피막도 물에 대한 접촉각이 낮아 친수성이 우수했다.
한편,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친수성 피복제는 콜로이달실리카졸(A)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아 도막 표면에 분말상의 입자가 다수 발생하여 정상인 도막이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2에서 얻어진 친수성 피복제는 콜로이달실리카졸(A)의 비율이 지나치게 적어 외관성은 우수했지만, 경도나 내용제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 3에서 얻어진 친수성 피복제는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C)가 지나치게 적어 친수성이 낮아져서 방담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피막의 내알칼리성도 저하되었다. 한편, 비교예 4에서 얻어진 친수성 피복제는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C)가 지나치게 많아 친수성이 저하됨으로써 방담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피막의 경도도 대폭 저하되었고, 내수성, 내알칼리성 및 내용제성이 열악했다.
또한, 비교예 5에서 얻어진 친수성 피복제는 경화제(D)를 함유하지 않으므로 아크릴 폴리머(B)가 가교 구조를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내알칼리성, 내수성 및 내용제성이 열악했다.
또한, 비교예 6에서 얻어진 친수성 피복제는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C)를 함유하지 않으므로 콜로이달실리카졸(A)에 대한 아크릴 폴리머(B)의 가교 형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내알칼리성이나 방담성이 열악했다.
또한, 비교예 7에서 얻어진 친수성 피복제는 콜로이달실리카졸(A)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경도 및 내용제성이 열악했다.
또한, 비교예 8에서 얻어진 친수성 피복제는 말단 관능기를 갖지 않는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므로 비교예 6과 같이 콜로이달실리카졸(A)에 대한 아크릴 폴리머(B)의 가교 형성이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내알칼리성이나 방담성이 열악했다.
또한, 비교예 9에서 얻어진 친수성 피복제는 아크릴 폴리머(B)의 분자량이 낮기 때문에 내수성이나 내알칼리성이 열악했다. 또한, 비교예 10에서 얻어진 친수성 피복제는 아크릴 폴리머(B)의 분자량이 지나치게 높으므로 콜로이달실리카졸(A)과의 상용성이 저하되고, 제조시에 응집하여 도포가 곤란한 상태가 되었다.
또한, 비교예 11에서 얻어진 친수성 피복제는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발명에 속하는 것이다. 비교예 11에서 얻어진 친수성 피복제는 콜로이달실리카졸(A)을 함유하지 않고, 또한 계면활성제(E)의 함유 비율 높기 때문에 경도가 매우 낮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국면의 친수성 피복제는 (A) 콜로이달실리카졸과 (B) 활성 수소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Mw) 5000~200000의 아크릴 폴리머와 (C)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와 (D) 아크릴 폴리머(B)에 대한 경화제를 함유하고, (A)성분과 (B)성분의 질량비[(A)/(B)]가 5/95~95/5이며, 또한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와 (C)성분의 질량비[(A+B)/(C)]가 30/70~95/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친수성 피복제에 의하면, 높은 친수성 및 방담성, 경도, 내수성, 내알칼리성을 겸비한 친수성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수성 피복제는 (B)성분과 (E)성분의 합계량에 대하여 활성 수소를 갖는 계면활성제(E)를 30질량% 이하의 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질량%의 범위에서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피막의 친수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가 활성 수소를 갖기 때문에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C)나 경화제(D)와 반응함으로써 친수성의 향상 효과가 장시간 유지된다.
또한, 상기 아크릴 폴리머(B)는 활성 수소를 갖는 라디칼 반응성 모노머 단위와 활성 수소를 갖지 않는 라디칼 반응성 모노머 단위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활성 수소를 갖는 라디칼 반응성 모노머 단위의 구성 비율이 20질량% 이상인 것이 피막에 보다 우수한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 폴리머(B)는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술폰산기 및 포스페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관능기를 갖는 것이 활성 수소를 갖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콜로이달실리카졸(A)이 평균 입자경 1~200nm의 미립자 실리카를 분산질로서 함유할 경우에는 피복제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경화 후의 피막의 투명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실란 커플링제(C)로서는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피복제의 안정성 및 반응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제(D)로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비교적 낮은 온도에 있어서도 반응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친수성 피복제는 경화 금속 촉매(F)를 더 함유하는 것이 콜로이달실리카졸(A)과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C)의 축합 반응이 촉진됨으로써 얻어지는 피막의 경도 및 내알칼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국면의 친수성 피막은 상기 어느 하나의 친수성 피복제를 기재에 도포하고,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친수성 피막은 높은 친수성 및 방담성과 경도, 내수성, 내알칼리성을 겸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국면의 친수성 기재는 상기 친수성 피막으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친수성 기재는 높은 친수성 및 방담성과 경도, 내수성, 내알칼리성을 겸비한 표면을 갖는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친수성 피복제는 친수성 하드코트용 재료, 방담용 코팅제, 대전 방지용 코팅제, 기름때나 지문 등의 방오 코팅제 등에 널리 이용된다.

Claims (11)

  1. (A) 콜로이달실리카졸과, (B) 활성 수소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Mw) 5000~200000의 아크릴 폴리머와, (C) 반응성 실란 커플링제와, (D) 아크릴 폴리머(B)에 대한 경화제를 함유하고: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의 질량비[(A)/(B)]는 5/95~95/5이고, 또한 상기 (A)성분 및 (B)성분의 합계와 상기 (C)성분의 질량비[(A+B)/(C)]는 30/70~9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피복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성분과 (E)성분의 합계량에 대하여 활성 수소를 갖는 계면활성제(E)를 30질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피복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성분과 (E)성분의 합계량에 대하여 활성 수소를 갖는 계면활성제(E)를 5~20질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피복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B)는 활성 수소를 갖는 라디칼 반응성 모노머 단위와 활성 수소를 갖지 않는 라디칼 반응성 모노머 단위의 공중합체이고, 상기 활성 수소를 갖는 라디칼 반응성 모노머 단위의 구성 비율이 20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피복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폴리머(B)는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술폰산기 및 포스페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피복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콜로이달실리카졸(A)은 평균 입자경 1~200nm의 미립자 실리카를 분산질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피복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C)는 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피복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D)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피복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화 금속 촉매(F)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피복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친수성 피복제를 기재에 도포하고,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피막.
  11. 제 10 항에 기재된 친수성 피막으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 기재.
KR1020107000871A 2007-10-05 2008-10-06 친수성 피복제, 친수성 피막 및 친수성 기재 KR101136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62588 2007-10-05
JPJP-P-2007-262588 2007-10-05
PCT/JP2008/068164 WO2009044912A1 (ja) 2007-10-05 2008-10-06 親水性被覆剤、親水性被膜、及び親水性基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647A true KR20100067647A (ko) 2010-06-21
KR101136759B1 KR101136759B1 (ko) 2012-04-19

Family

ID=4052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871A KR101136759B1 (ko) 2007-10-05 2008-10-06 친수성 피복제, 친수성 피막 및 친수성 기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89386B2 (ko)
KR (1) KR101136759B1 (ko)
CN (1) CN101809101A (ko)
WO (1) WO200904491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821A1 (ko) * 2015-10-09 2017-04-13 주식회사 쎄코 방담제
WO2017061826A1 (ko) * 2015-10-09 2017-04-13 주식회사 쎄코 방담제
KR20180093065A (ko) * 2016-03-14 2018-08-20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고내구 방담 도막 및 코팅 조성물
KR102332552B1 (ko) * 2021-05-25 2021-12-02 (주)그린에어존 라돈 저감용 친환경 무기질 도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10334B (zh) * 2008-05-26 2012-11-21 播磨化成株式会社 亲水性包覆剂、亲水性覆膜、及亲水性基材
CN102459482B (zh) * 2009-06-08 2014-11-05 三菱丽阳株式会社 水性涂层材料及涂层物
CN102958987A (zh) * 2010-06-24 2013-03-06 3M创新有限公司 不含有机乳化剂的可聚合组合物以及其聚合物和制造方法
KR20120068624A (ko) * 2010-12-17 2012-06-27 아크조노벨코팅스인터내셔널비.브이. 유/무기 하이브리드 도료 조성물
JP5479402B2 (ja) * 2011-06-06 2014-04-23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補修用水性下塗り塗料組成物および補修方法
CN102977723B (zh) * 2011-09-02 2016-11-23 3M新设资产公司 保护性组合物
CN102585635B (zh) * 2012-01-12 2014-12-10 中山大桥化工集团有限公司 一种防结冰涂料及其制备方法
JP5976349B2 (ja) * 2012-03-16 2016-08-23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コーティング剤、積層体
JP5835069B2 (ja) 2012-04-05 2015-12-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防汚性付与ハードコート組成物
JP5921986B2 (ja) * 2012-08-10 2016-05-24 ハリマ化成株式会社 二液硬化型被覆剤
WO2014034828A1 (ja) * 2012-09-03 2014-03-06 三井化学株式会社 防錆用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水分散体
JP2014055224A (ja) * 2012-09-12 2014-03-27 Kikusui Chemical Industries Co Ltd ガラス飛散防止用塗料、及び飛散防止ガラス材
JP6467226B2 (ja) * 2012-11-29 2019-02-06 大阪有機化学工業株式会社 親水性コート剤
JP6043663B2 (ja) 2013-03-21 2016-12-14 日本パーカライジング株式会社 付着汚れに対する自己洗浄能力に優れた皮膜を形成する水系親水性塗料組成物並びに付着汚れに対する自己洗浄能力に優れた皮膜を形成した表面処理材
HUE035627T2 (en) * 2013-03-21 2018-05-28 Nihon Parkerizing Hydrophilic Surface Treatment Agent for Aluminum Heat Exchanger with Excellent Conductivity
CN103482882B (zh) * 2013-09-13 2016-03-1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吸水性防雾玻璃制备方法
CN103964704A (zh) * 2014-05-09 2014-08-0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亲水防雾涂布液、亲水防雾涂层制备方法及防雾玻璃
CN104558661A (zh) * 2014-12-18 2015-04-29 盐城工学院 一种防雾型树脂光学镜片及其制备方法
CN105176179B (zh) * 2015-08-31 2019-01-18 福建富兰光学有限公司 改性硅溶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634064B (zh) * 2015-10-28 2019-07-23 上海大学 耐磨超疏水涂料组合物
KR20180098283A (ko) * 2015-12-28 2018-09-03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나노-복합 지문방지 코팅
CN106431792B (zh) * 2016-09-09 2017-12-29 中国工程物理研究院化工材料研究所 氧化石墨烯静电自组装包覆的奥克托今及其制备方法
CN106431793B (zh) * 2016-09-09 2017-12-29 中国工程物理研究院化工材料研究所 奥克托今的氨基表面改性的方法
JP2018180099A (ja) * 2017-04-05 2018-11-1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親水性ハードコート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894040B2 (ja) 2017-04-06 2021-06-23 ニッサン ケミカル アメリカ コーポレイション 炭化水素層処理ミセル溶液
JP2021006595A (ja) * 2017-09-13 2021-01-21 日産化学株式会社 原油回収用薬液
US10801310B2 (en) 2017-09-26 2020-10-13 Nissan Chemcial America Corporation Using gases and hydrocarbon recovery fluids containing nanoparticles to enhance hydrocarbon recovery
WO2019090073A1 (en) 2017-11-03 2019-05-09 Nissan Chemical America Corporation Using brine resistant silicon dioxide nanoparticle dispersions to improve oil recovery
EP3757181A4 (en) * 2018-02-23 2021-11-17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HIGHLY RESISTANT FOG-PREVENTING FILM AND COATING COMPOSITION
JP2021181503A (ja) * 2018-08-10 2021-11-25 トーヨーポリマー株式会社 1液水系熱硬化型防曇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防曇塗膜
MX2021005001A (es) 2018-11-02 2021-06-15 Nissan Chemical America Corp Recuperacion de petroleo mejorada utilizando liquidos de tratamiento que comprenden silice coloidal con un apuntalante.
CN109651578B (zh) * 2018-12-12 2021-09-17 中昊北方涂料工业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耐烧蚀阻燃有机-无机树脂及其制备
JP7425407B2 (ja) * 2019-03-29 2024-01-31 日油株式会社 防曇剤組成物、該組成物から形成される防曇膜を有する防曇性物品
JP7395263B2 (ja) 2019-04-01 2023-12-1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透明親水性紫外線吸収積層体、及び透明親水性紫外線吸収コーティング剤
JP7328829B2 (ja) * 2019-08-27 2023-08-17 旭化成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防曇塗膜
JP7360274B2 (ja) * 2019-08-27 2023-10-12 旭化成株式会社 高耐久防曇塗膜および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2357081B1 (ko) * 2019-12-12 2022-01-28 주식회사 포스코 내열성 및 테이프 부착성이 우수한 전기아연도금 강판용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된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4119625A1 (en) 2020-03-10 2023-01-18 NOF Corporation Antifoggant composition and anti-fog article having antifogging film formed from said composition
WO2022107879A1 (ja) * 2020-11-20 2022-05-27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防曇剤、親水化剤、及び車両用ランプ構造体の防曇方法
WO2022107878A1 (ja) * 2020-11-20 2022-05-27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車両用ランプ構造体の防曇方法、防曇剤、親水化剤、防曇膜、及び車両用ランプ構造体
CN114569331B (zh) * 2022-05-05 2022-08-19 天津医科大学总医院 一种基于连续不对称超亲水通道的自发流体输运敷料及其制备方法
CN116004071A (zh) * 2023-02-14 2023-04-25 深圳市深赛尔股份有限公司 一种水性防雾自清洁汽车玻璃涂料及其制备方法
CN116656193B (zh) * 2023-05-11 2024-05-07 东南大学 一种超亲水涂料及形成耐磨、耐煮超亲水涂层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8872A (ja) * 1999-12-02 2001-06-12 Kansai Paint Co Ltd 親水化処理用組成物
JP3937739B2 (ja) * 2001-03-23 2007-06-27 Basfコーティングスジャパン株式会社 上塗り塗料組成物、塗装仕上げ方法及び塗装物品
JP2003062948A (ja) * 2001-08-10 2003-03-05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防汚染性保護フィルム及び接着シート
JP2004168838A (ja) * 2002-11-18 2004-06-17 Mitsubishi Chemicals Corp 防曇剤溶液、及びそれを用いた農業用エチレン系樹脂フィルム
JP4842599B2 (ja) * 2004-09-28 2011-12-21 アトミクス株式会社 建築土木用水性塗料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821A1 (ko) * 2015-10-09 2017-04-13 주식회사 쎄코 방담제
WO2017061826A1 (ko) * 2015-10-09 2017-04-13 주식회사 쎄코 방담제
KR20170053172A (ko) * 2015-10-09 2017-05-15 주식회사 쎄코 방담제
US10377777B2 (en) 2015-10-09 2019-08-13 Ceko Co., Ltd. Anti-fogging agent
KR20180093065A (ko) * 2016-03-14 2018-08-20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고내구 방담 도막 및 코팅 조성물
US11041076B2 (en) 2016-03-14 2021-06-22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Highly durable antifogging coating film and coating composition
KR102332552B1 (ko) * 2021-05-25 2021-12-02 (주)그린에어존 라돈 저감용 친환경 무기질 도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44912A1 (ja) 2011-02-17
JP5589386B2 (ja) 2014-09-17
KR101136759B1 (ko) 2012-04-19
WO2009044912A1 (ja) 2009-04-09
CN101809101A (zh)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759B1 (ko) 친수성 피복제, 친수성 피막 및 친수성 기재
KR101234133B1 (ko) 친수성 피복제, 친수성 피막 및 친수성 기재
KR101474058B1 (ko) 광학 물품용 프라이머 조성물 및 광학 물품
JP6283718B2 (ja) 共重合体及びそれからなる親水性材料
KR101953594B1 (ko) 투명 피막 형성용 도포액 및 투명 피막부 기재
US6905772B2 (en) Abrasion and impact resistant coating compositions, and articles coated therewith
JP6863962B2 (ja) 高耐久防曇塗膜および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WO2007060884A1 (ja) 中空シリカ微粒子、それを含む透明被膜形成用組成物、および透明被膜付基材
KR20160138972A (ko) 투명피막 형성용 도포액 및 그의 제조 방법, 유기수지 분산졸 및 투명피막부 기재 및 그의 제조 방법
JPWO2019163918A1 (ja) 高耐久防曇塗膜および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20120068624A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도료 조성물
JP7360274B2 (ja) 高耐久防曇塗膜および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WO2009099106A1 (ja) コーティング液、硬化膜及び樹脂積層体
JP2013010921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および積層体
JPWO2005044926A1 (ja) 針状単結晶体無機物粉体含有粉体材料、塗料、粉体分散液、及びそれらの使用方法
JP6721822B2 (ja) 親水性被膜、親水性被膜形成物品、親水性被膜形成用塗布液及び親水性被膜形成物品の製造方法
JP2009185196A (ja) コーティング液、硬化膜及び樹脂積層体
KR101865938B1 (ko) 다이아몬드 입자를 이용한 수지 코팅제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KR100924939B1 (ko) 저오염화제, 이 저오염화제를 함유한 도료용 조성물 및도장 물품
JP2015193756A (ja) 有機樹脂分散ゾル、透明被膜形成用塗布液および透明被膜形成用塗布液の製造法ならびに透明被膜付基材
JP2013133444A (ja) 透明被膜形成用塗料および透明被膜付基材
JP6639846B2 (ja) 透明被膜形成用塗布液及び透明被膜付基材
JP2023039523A (ja) 水系塗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接着層付き基材、積層体、並びに組成物セット
JP2021031619A (ja) 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防曇塗膜
KR20020066247A (ko) 하이솔리드 아크릴수지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함유하는비오염성 도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