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781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781A
KR20100041781A KR1020107001668A KR20107001668A KR20100041781A KR 20100041781 A KR20100041781 A KR 20100041781A KR 1020107001668 A KR1020107001668 A KR 1020107001668A KR 20107001668 A KR20107001668 A KR 20107001668A KR 20100041781 A KR20100041781 A KR 20100041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heet
layer
width direction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3687B1 (ko
Inventor
다카시 노모토
마사시 우다
히데아키 모리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3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 A61F13/4724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with asymmetry around the x or y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더의 기립 안정성이 양호하고, 가로 누설 방지 효과가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표면층과, 이면층과, 이들 양자 사이에 배치되는 세로 길이형의 흡수체(4)를 갖는 흡수층과, 표면층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시트형 부재(9)에 의해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개더(5, 5)와, 표면층 및/또는 이면층이 흡수층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한 쌍의 윙(6, 6)을 구비하는 세로 길이형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한 쌍의 개더(5, 5) 각각은, 시트형 부재(9)가, 피부 접촉면 측으로 볼록해지는 입체 형상부(10)를 가지고, 입체 형상부(10)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접합부(11)에 의해 표면층 및/또는 이면층에 접합됨과 함께, 중공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형성되며, 접합부(11)는, 입체 형상부(10)에 있어서의 폭 방향 안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접합 단부(10a)와, 입체 형상부(10)에 있어서의 폭 방향 바깥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접합 단부(10b)를 포함하고, 제1 접합 단부(10a)는, 표면층에 있어서의 흡수체(4)가 배치되는 영역 상에 위치하며, 제2 접합 단부(10b)는, 적어도 한 쌍의 윙(6, 6)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표면층 및/또는 이면층에 있어서의 흡수체(4)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바깥쪽의 영역 상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라이너,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액투과성의 표면층, 액불투과성의 이면층 및 해당 표면층과 해당 이면층 사이에 배치된 액 유지성의 흡수층을 가지고, 길이 방향 양측부에 한 쌍의 윙을 구비한 세로 길이형의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은, 통상, 착용시에 한 쌍의 윙을 절첩하여 쇼츠 등의 크로치부의 외면에 부착하여 사용된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양측부에 있어서의 누설 방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수성 물품의 양측부에 착용자의 피부 측으로 기립하는 입체 개더(gather)를 형성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한 쌍의 윙 및 한 쌍의 입체 개더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한 쌍의 윙을, 입체 개더의 기립면의 외면으로서 또한 해당 입체 개더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사이를 기점으로 하여 마련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이 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10525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은, 한 쌍의 윙을 절첩할 때에 발생하는 폭 방향 외측으로 인장되는 힘에 의해, 윙에 연속하여 마련하고 있는 입체 개더가 내측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윙을 절첩할 때의 윙을 인장하는 힘의 강도에 따라서는, 입체 개더가 반대로 외측으로 쓰러지고, 입체 개더가 외측으로 쓰러진 상태로 흡수성 물품이 장착되는 경우가 있어, 이것이 가로 누설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더의 기립 안정성이 양호하고, 가로 누설 방지 효과가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면층과, 이면층과, 이들 양자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층과, 상기 표면층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시트형 부재에 의해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개더와, 상기 표면층 및/또는 상기 이면층이 상기 흡수층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한 쌍의 윙을 구비하는 세로 길이형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한 쌍의 개더 각각은, 상기 시트형 부재가 입체 형상부를 갖는 상태에서, 해당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상기 표면층 및/또는 이면층에 접합됨과 함께, 상기 입체 형상부가 상기 중공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입체 형상부에서의 폭 방향 안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접합 단부와, 해당 입체 형상부에서의 폭 방향 바깥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접합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합 단부는, 상기 표면층에서의 상기 흡수체가 배치되는 영역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접합 단부는,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윙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상기 표면층 및/또는 이면층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 바깥쪽의 영역 상에 위치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적어도 일부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를 갖는 표면층과,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를 갖는 이면층과, 이들 양자 사이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세로 길이형의 흡수체를 갖는 흡수층과, 상기 표면층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시트형 부재에 의해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개더와, 상기 표면층 및/또는 상기 이면층이 상기 흡수층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한 쌍의 윙을 구비하는 세로 길이형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한 쌍의 개더 각각은, 상기 시트형 부재가, 해당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 측으로 볼록해지는 입체 형상부를 가지고, 해당 입체 형상부는, 해당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상기 표면층 및/또는 상기 이면층에 접합됨과 함께, 상기 중공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입체 형상부에서의 폭 방향 안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접합 단부와, 해당 입체 형상부에서의 폭 방향 바깥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접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 단부는, 상기 표면층에서의 상기 흡수체가 배치되는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접합 단부는,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윙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상기 표면층 및/또는 상기 이면층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 바깥쪽의 영역 상에 위치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2)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양단부 근방에서의 상기 접합 단부 사이 거리는, 해당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의 해당 접합 단부 사이 거리보다 크고, 상기 한 쌍의 윙은, 해당 길이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1)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3) 상기 한 쌍의 윙은, 적어도 그 상기 표면층 측의 면이 상기 시트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4) 상기 한 쌍의 개더 각각은, 복수의 탄성 부재를 가지고, 해당 복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시트형 부재의 표면 또는 내부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흡수성 물품.
본 발명에 의하면, 개더의 기립 안정성이 양호하고, 가로 누설 방지 효과가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생리대의 자연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생리대를 자연 상태에서 그 표면 시트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어서의 Y-Y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제1 접합부, 제2 접합부 및 제3 접합부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생리대
2: 표면 시트
3: 이면 시트
4: 흡수체
5: 개더
6: 윙
7: 후방 플랩
8: 누설 방지 홈
9: 시트형 부재
10: 입체 형상부
11: 접합부
12: 제3 접합부
13: 탄성 부재
이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길이의 형상을 갖고, 표면층으로서의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2)와, 이면층으로서의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3)와, 이들 양자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흡수층으로서의 흡수체(4)를 구비한다. 생리대(1)의 표면 시트(2) 측에서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는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시트형 부재(9)에 의해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개더(5, 5)가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개더(5, 5)는, 흡수체(4)의 측 가장자리 근방에 있어서, 피부 접촉면 측으로 기립하고 있다. 또한,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는,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윙(6, 6)이 형성되어 있다.
표면층이란, 흡수성 물품의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쪽의 면을 구성하는 층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층은, 표면 시트(2) 및 시트형 부재(9)로 이루어진다. 또한, 표면층에는, 표면 시트와 흡수체 사이에 배치되는 세컨드 시트(도시하지 않음)도 포함된다.
이면층이란, 흡수성 물품의 피부 비접촉면 측의 면을 구성하는 층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면층은 이면 시트(3)로 이루어진다.
흡수층은, 흡수체(4) 및 해당 흡수체(4)를 피복하는 코어랩재(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생리대(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착용시에 착용자의 배설부에 대향하는 부위인 중앙부(A)와, 착용시에 중앙부(A)보다 착용자의 배 쪽에 배치되는 전방부(B)와, 착용시에 중앙부(A)보다 등 쪽에 배치되는 후방부(C)를 갖고 있다.
표면 시트(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4)의 상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이면 시트(3)는, 흡수체(4)의 하면 전역을 피복하고 있다. 이면 시트(3)는, 중앙부(A)의 위치에 있어서 흡수체(4)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한 쌍의 윙(6, 6)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면 시트(3)는, 후방부(C)에 있어서도 흡수체(4)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한 쌍의 후방 플랩(7, 7)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중앙부(A) 및 후방부(C)에서는, 후술하는 한 쌍의 개더(5, 5)를 형성하는 시트형 부재(9)가 각각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한 쌍의 윙(6, 6) 및 한 쌍의 후방 플랩(7, 7)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즉, 한 쌍의 윙(6, 6) 및 한 쌍의 후방 플랩(7, 7)은, 시트형 부재(9)와 이면 시트(3)로 이루어지고, 양자가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2) 및 이면 시트(3)는, 각각 흡수체(4)의 전후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그 연장 부분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한 쌍의 윙(6, 6)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의 하면측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윙 점착부(14, 14)가 마련된다. 또한, 생리대(1)의 본체 부분[흡수체(4)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의 하면측에는, 본체 점착부(15)가 마련된다. 본체 점착부(15)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2줄 마련되어 있다.
윙 점착부(14) 및 본체 점착부(15)는, 이면 시트(3)의 하면 측에 핫멜트 점착재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4)의 표면 시트 측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4)와 표면 시트가 일체적으로 압밀화되어 형성된 누설 방지 홈(8)이 마련된다. 전술한 한 쌍의 개더(5, 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설 방지 홈(8)의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누설 방지 홈(8)은, 생리대(1)의 세로 중심선(도시하지 않음)에 거의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누설 방지 홈(8)은, 전방부(B)로부터 후방부(C)에 걸쳐 마련된 제1 누설 방지 홈(8a) 및 후방부(C)에 마련된 제2 누설 방지 홈(8b)으로 이루어진다. 제1 누설 방지 홈(8a)은, 세로 길이의 환형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누설 방지 홈(8a)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A)에 있어서, 폭 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형으로 만곡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누설 방지 홈(8b)은, 제1 누설 방지 홈(8a)의 바깥쪽에 마련되고,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누설 방지 홈(8b)의 전단(前端)은, 각각 제1 누설 방지 홈(8a)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지만, 제1 누설 방지 홈(8a)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생리대(1)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개더(5, 5)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형 부재(9)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개더(5, 5)는, 시트형 부재(9)가, 생리대(1)에 있어서의 피부 접촉면 측인 두께 방향의 외면측으로 볼록해지는 입체 형상부(10)를 가지고, 생리대(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접합부(11)에 의해 표면층 및/또는 이면층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입체 형상부(10)는,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5)를 형성하고 있다.
접합부(1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 형상부(10)에서의 폭 방향 안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접합 단부(10a)와, 입체 형상부에서의 폭 방향 바깥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접합 단부(10b)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접합 단부(10a)는, 표면층에서의 흡수체(4)가 배치되는 영역 상에 위치하고, 제2 접합 단부(10b)는, 적어도 한 쌍의 윙(6, 6)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흡수층 및/또는 이면층에 있어서의 흡수체(4)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바깥쪽의 영역 상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접합 단부(10b)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대략 전역에 걸쳐, 흡수체(4)의 길이 방향의 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 상의 영역에 위치한다. 제2 접합 단부(10b)가 이면 시트(3) 상의 영역에 위치한다고 하는 것은, 제2 접합 단부(10b)가, 시트형 부재(9)와 이면 시트(3)의 접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2 접합 단부(10b)가, 이면 시트(3)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시트형 부재(9), 혹은 그 밖의 시트와 시트형 부재(9)와의 접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제1 접합 단부(10a)가 위치하는 표면층에서의 흡수체(4)가 배치되는 영역은, 두께가 있는 흡수체(4)의 존재에 의해 강성이 높은 영역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2 접합 단부(10b)가 위치하는 영역에는, 흡수체(4)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접합 단부(10a)가 위치하는 영역에 비하여 강성이 낮은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접합부(1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대(1)에 있어서의 폭 방향 안쪽에 형성되는 제1 접합부(11a)와, 해당 제1 접합부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형성되는 제2 접합부(11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접합 단부(10a)는 제1 접합부(11a)에 형성되고, 제2 접합 단부(10b)는 제2 접합부(11b)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접합부(11a)는, 열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형 부재(9)와 표면 시트(2)가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 접합부는, 절첩된 시트형 부재(9)끼리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체 형상부(10)에 있어서의 제1 접합 단부(10a)로부터 제2 접합 단부(10b)까지의 길이(L1)와, 제1 접합 단부(10a)와 제2 접합 단부(10b) 사이의 거리인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의 비(L1/L2)가,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15, 가장 바람직하게는 5~11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개더(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보다도 개더(5)의 입체 형상에 있어서의 최대 폭(L3) 쪽이 큰, 대략 Ω 형상을 갖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대략 Ω 형상이란, 중공의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의 폭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그 하단부에서의 폭보다도, 개더의 최대 폭 쪽이 넓은 형상을 포함하고, 예컨대 개더의 단면 형상이 폭 방향의 바깥쪽이나 안쪽으로 쓰러지도록 경사된 Ω형의 형상도 포함하는 것이다.
입체 형상부(10)에 있어서의 제1 접합 단부(10a)로부터 제2 접합 단부(10b)까지의 길이(L1)가, 제1 접합 단부(10a)와 제2 접합 단부(10b) 사이의 거리인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에 대하여 2 미만인 경우에는, 개더(5)가 충분한 중공부를 갖는 입체 형상을 형성할 수 없게 되어, 양호한 가로 누설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양단부 측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b)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중앙부(A)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a)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다(도 6 참조). 구체적으로는, 개더(5)의 기립 안정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양단부 측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b)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중앙부(A)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a)보다 1~26 mm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개더(5, 5) 각각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부(11)보다 바깥쪽에 있어서 시트형 부재(9)를 표면층 또는 이면층에 접합하는 제3 접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접합부(12)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12a)와 제1 접합 단부(10a) 사이의 거리(L4)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중앙부(A)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a)보다 길게 이루어져 있다(도 6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 제3 접합부(1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접합부(11b)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있어서 시트형 부재(9)끼리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개더(5, 5)는 길이 방향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있어서, 제3 접합부(12)에 의해 표면층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는, 한 쌍의 개더(5, 5)는 기립하지 않아, 입체 형상을 갖고 있지 않다. 즉,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서는, 한 쌍의 개더(5, 5)는, 평면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접합부(12)가 마련되지 않은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영역에서, 한 쌍의 개더(5, 5)는, 피부 접촉면 측으로 기립하여 중공의 입체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제3 접합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양단부 측에 있어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b)를 갖는 영역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양단부 측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b)를 갖는 범위, 즉 제3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는, 생리대(1)의 전방부(B)에서는, 전단으로부터 40~7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방부(C)에서는, 후단으로부터 70~12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접합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가, 생리대(1)의 전방부(B)에 있어서 전단으로부터 40 mm 미만인 경우, 및 후방부(C)에 있어서 후단으로부터 70 mm 미만인 경우에는,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5)의 기립 부분의 길이가 길어져, 개더(5)가 쉽게 쓰러질 우려가 있다. 또한, 후방부(C)에서,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5)가 착용자의 둔부에 닿아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제3 접합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가, 생리대(1)의 전방부(B)에 있어서 전단으로부터 70 mm를 넘는 경우, 및 후방부(C)에 있어서 후단으로부터 120 mm를 넘는 경우에는,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5)에 있어서의 기립 부분의 길이가 줄어 들어, 개더(5)의 기립성이 저하되고, 나아가서는 착용시의 피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중앙부(A)에서의 접합부(1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S1)은, 제3 접합부(12)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12a)와 제1 접합 단부(10a) 사이의 중심(S2)보다 폭 방향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합부(1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S1)은, 제3 접합부(12)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12a)와 제1 접합 단부(10a) 사이의 중심(S2)보다 0.5~13 mm 정도 폭 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개더(5, 5)에는, 각각 복수의 탄성 부재(13)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13)는, 시트형 부재(9)의 표면 또는 내부에,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13)는, 신장 상태에서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트형 부재(9)에 접합되어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13)를 시트형 부재(9)에 접합할 때는, 핫멜트 접착제의 도포 면적을 작게 하여, 촉감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복수의 탄성 부재(13)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여, 시트형 부재(9)에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탄성 부재(13)는,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개더(5, 5) 각각에 6개씩 배치되고, 복수의 탄성 부재(13) 각각은, 시트형 부재(9)에 폭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탄성 부재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개더(5, 5)의 입체 형상에 있어서의 내측 측부(5a), 꼭대기부(5b) 및 외측 측부(5c) 전부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 측부(5c)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탄성 부재(13) 중, 제2 접합 단부(10b)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탄성 부재(13a)는, 제1 탄성 부재(13a)에 인접하는 제2 탄성 부재(13b)보다 생리대(1)의 폭 방향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탄성 부재(13b)에 인접하는 제3 탄성 부재(13c)는, 제2 탄성 부재(13b)보다 생리대(1)의 폭 방향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2 탄성 부재(13b)는, 가장 폭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고, 제2 탄성 부재(13b)에 인접하는 제1 탄성 부재(13a) 및 제3 탄성 부재(13c)가, 그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외측 측부(5c)에 있어서, 복수의 탄성 부재(13)가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는, 개더(5)의 대략 Ω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 부재(13b)의 양측에 인접하는 제1 탄성 부재(13a) 및 제3 탄성 부재(13c) 모두가 제2 탄성 부재(13b)의 폭 방향 안쪽에 위치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개더(5)는 폭 방향으로부터의 힘에 대한 저항이 커진다. 따라서, 생리대(1)가 폭 방향의 힘을 받았을 때에도,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5)가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는, 신장 상태로 시트형 부재(9)에 배치된 복수의 탄성 부재(13)의 수축력에 의해, 자연 상태에서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피부 접촉면 측으로 오목형으로 만곡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자연 상태란, 생리대(1)에 중력 이외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또한, 복수의 탄성 부재(13)는, 개더(5)의 입체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관점에서, 이들 중 적어도 일부가, 한 쌍의 개더(5, 5) 각각의 측부인 내측 측부(5a) 또는 외측 측부(5c)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탄성 부재(13) 각각의 간격은, 개더(5)의 입체 형상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1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4~7 mm이다.
시트형 부재(9)에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의 갯수는, 개더(5)의 입체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10개이다. 탄성 부재(13)의 갯수가 3개 이하인 경우에는, 대략 Ω 형상을 형성하기 어려워, 가로 누설 방지 효과를 쉽게 발휘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탄성 부재(13)의 갯수가 11개 이상인 경우에는, 개더(5)의 강성이 커져, 피부 촉감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13)를 시트형 부재(9)에 배설할 때의 장력은,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5)에 있어서의 꼭대기부(5b)로부터 내측 측부(5a) 및 외측 측부(5c)를 향함에 따라 점차 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꼭대기부(5b)로부터 내측 측부(5a) 및 외측 측부(5c)를 향함에 따라 점차 강하게 함으로써, 폭 방향의 힘에 대하여 보다 쉽게 쓰러지지 않는 개더(5)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배설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13)의 장력 차는, 300 gf/25 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탄성 부재(13) 각각은, 유채색을 가짐과 함께, 복수의 탄성 부재(13) 각각에 있어서의 유채색은, 시트형 부재(9)를 투과하여 시인(視認)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탄성 부재(13) 각각은, 유채색으로서의 청색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13)의 색으로서는, 백색 이외의 색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시인성와 함께 청결감을 발휘하는 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부재(13)의 유채색이, 시트형 부재(9)를 투과하여 시인 가능하게 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시트형 부재(9)의 색은 투명, 반투명, 백색 등의 유채색을 투과시키기 쉬운 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5)에 있어서, 유채색을 갖는 복수의 탄성 부재(13)가 시트형 부재(9)를 투과하여 시인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본 실시형태와 같은 자유 단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더이더라도 사용전의 착용자에게 피부 접촉면 측으로 볼록형인 삼차원 구조의 입체감이 전달되기 때문에, 생리대(1)의 측부에 대한 안심감(가로 누설에 대한 안심감)을 줄 수 있어, 결과적으로 착용자에 대하여, 생리대(1) 그 자체에 대한 안심감을 줄 수 있다.
한 쌍의 개더(5, 5) 각각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형 부재(9)를 절첩하여 형성한 2층 구조 부분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탄성 부재(13)는, 2층 구조 부분에 있어서의 외층(9a)과 내층(9b)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층 구조 부분은, 개더(5)에 있어서의 내측 측부(5a) 전역, 꼭대기부(5b) 전역 및 외측 측부(5c)의 위쪽 측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6개의 탄성 부재(13)는 전부 2층 구조 부분에 있어서의 외층(9a)과 내층(9b)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외층(9a)과 내층(9b)은 복수의 탄성 부재(13)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를 개재시켜 접합되어 있다.
시트형 부재(9) 및 복수의 탄성 부재(13)를 포함하는 개더(5)는, 그 중공의 입체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또한 양호한 장착감을 얻는 관점에서, 적절한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성이 너무 높으면 착용시의 장착감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개더(5)의 신축 물성은, 개더(5)를 생리대(1)의 길이 방향으로 5~50% 신장했을 때의 응력이, 바람직하게는 50~500 gf/25 mm 폭,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300 gf/25 mm 폭이다. 응력이 50 gf/25 mm 폭 미만인 경우에는, 개더(5)의 신축력이 약해, 개더(5)의 기립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응력이 500 gf/25 mm 폭을 넘은 경우에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만곡이 강해져, 착용자의 신체와의 피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의 각 구성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수치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입체 형상부(10)에 있어서의 제1 접합 단부(10a)로부터 제2 접합 단부(10b)까지의 시트형 부재(9)의 길이(L1)는, 개더(5)의 기립 높이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6~58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0~58 mm이다. 개더(5)의 기립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10~3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5 mm이다. 개더(5)의 기립 높이(T)가 10 mm 미만인 경우에는, 가로 누설 방지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음과 함께, 착용자에 대하여, 충분한 가로 누설 방지 기능을 갖는다고 하는 안심감을 주지 못할 우려가 있다. 개더(5)의 기립 높이(T)가 30 mm보다 높아지면, 개더(5)에 의한 착용자의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과도하게 강해져, 흡수체(4)와 착용자의 신체와의 피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제1 접합 단부(10a)와 제2 접합 단부(10b) 사이의 거리인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는, 기립성이 우수한 개더(5)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2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 mm이다.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가 3 mm 미만인 경우에는, 생리대(1)의 폭 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개더(5)가 쉽게 쓰러질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개더(5)가 쓰러진 경우에는, 쓰러진 개더(5)에 의해 흡수체(4)의 흡수면을 덮을 우려가 있다.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가 20 mm를 넘으면 개더(5)에 중공부가 형성되기 어려워짐과 함께, 개더(5)와 착용자의 신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기 쉬워, 누설 방지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개더(5)의 입체 형상에 있어서의 최대 폭(L3)은, 생리대(1)의 폭 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개더(5)가 용이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제1 접합 단부(10a)와 제2 접합 단부(10b) 사이의 거리인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보다 클 필요가 있고,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5~38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6~30 mm이다.
제3 접합부(12)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12a)와 제1 접합 단부(10a) 사이의 거리(L4)는, 바람직하게는 25~35 mm이다. 제3 접합부(12)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12a)와 제1 접합 단부(10a) 사이의 거리(L4)가 35 mm를 넘는 경우에는, 개더(5)를 구성하는 시트형 부재(9)와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장착감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의 구성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표면 시트(2)로서는, 예컨대 구멍이 있는 또는 구멍이 없는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3)로서는, 예컨대, 소수성의 부직포, 불투수성의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와 불투수성 플라스틱 필름의 라미네이트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면 시트(3)로서, 내수성이 높은 멜트 블로운 부직포나 강도가 강한 스펀 본드 부직포로 협지된 SMS 부직포를 이용할 수도 있다.
흡수체(4)로서는, 예컨대 플러프형 펄프나 에어 레이드 부직포와, 고흡수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4)에 이용되는 플러프형 펄프로서는, 예컨대, 화학 펄프,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를 들 수 있다. 에어 레이드 부직포로서는, 펄프와 합성 섬유를 열융착시키거나 또는 바인더로 고착시킨 것을 들 수 있다. 고흡수 폴리머로서는, 전분계, 아크릴산계, 아미노산계의 입자형 또는 섬유형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시트형 부재(9)로서는, 발수성 또는 소수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구체적으로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서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니들 펀치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 등의 각종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13)로서는, 가늘고 길며, 신축하는 재료이면 되고, 천연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형 고무, 평고무 등이나, 우레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PE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이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실형으로 성형하거나 또는 필름으로 성형하여 가는 폭으로 절단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는, 그 세로 길이형의 본체 부분을 쇼츠 등의 속옷에 있어서의 크로치부의 내면에 배치하고, 한 쌍의 윙(6, 6)이 크로치부의 외면 측으로 절첩하여 속옷에 고정된다. 생리대(1)와 속옷은, 본체 부분의 하면에 마련된 본체 점착부(15)가 크로치부의 내면에 부착되고, 한 쌍의 윙(6, 6)의 하면에 마련된 윙 점착부(14, 14)가 크로치부의 외면에 부착됨으로써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에 의하면, 개더(5)를 형성하는 입체 형상부(10)에 있어서의 제1 접합 단부(10a)가, 고강성 영역인 표면층에 있어서의 흡수체(4)가 배치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제2 접합 단부(10b)가, 적어도 한 쌍의 윙(6, 6)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저강성 영역인 표면층 및/또는 이면층에 있어서의 흡수체(4)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바깥쪽의 영역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접합 단부(10a)가 고강성 영역에 위치하고, 제2 접합 단부(10b)가 저강성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는, 중공부를 갖는 입체 형상의 개더(5)의 기립 안정성이 향상된다.
생리대(1)의 착용시에는, 해당 생리대(1)에는 여러가지 힘이 가해진다. 특히, 윙(6)을 절첩하여 쇼츠 등의 크로치부의 외면에 부착할 때는, 윙(6)은 폭 방향 바깥쪽으로 인장되기 때문에, 생리대(1)에도, 폭 방향 바깥쪽으로 강한 힘이 가해진다. 이와 같이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 강한 힘이 가해졌을 때에,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에 의하면 개더(5)에 있어서의 제1 접합 단부(10a) 측에 위치하는 내측 측부(5a)는, 제1 접합 단부(10a)가 고강성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는다.
한편, 제2 접합 단부(10b) 측에 위치하는 외측 측부(5c)는, 제2 접합 단부(10b)가 저강성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용이하게 그 형상을 변화시키는 등으로, 가해진 힘을 흡수한다.
이와 같이, 개더(5)의 외측 측부(5c)가 변형되기 쉽고, 한편 내측 측부(5a)가 생리대(1)에 가해지는 힘의 영향을 받기 어렵도록 이루어져 있음에 의해, 폭 방향 바깥쪽으로의 강한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중공부를 갖는 개더(5) 전체가 폭 방향 바깥쪽으로 쉽게 쓰러지지 않아, 개더(5)의 기립 안정성이 향상되고, 나아가서는 가로 누설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생리대(1)에 대하여 폭 방향 안쪽으로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상기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개더(5) 전체가 폭 방향 안쪽으로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개더에서는, 폭 방향 외측으로 인장되는 힘에 의해, 개더가 외측으로 쓰러져 버리는 일이 종종 있었다. 그래서, 개더가 쓰러진 상태로 착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경우가 있어, 가로 누설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특히, 윙(6) 및 입체 형상을 갖는 개더(5)를 구비한 생리대(1)에 있어서, 1장의 시트형 부재(9)로 개더(5) 및 윙(6)을 형성한 경우에는, 윙(6)을 절첩할 때에 윙(6)을 폭 방향 바깥쪽으로 인장하는 힘이, 윙(6)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더(5)로 쉽게 전해져, 개더(5)가 폭 방향 바깥쪽으로 쓰러지기 쉽지만, 본 실시형태의 생리대(1)에 의하면, 1장의 시트형 부재(9)로 개더(5) 및 윙(6)을 형성한 경우에도 중공부를 갖는 입체 형상의 개더(5)는, 쉽게 쓰러지지 않아, 기립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개더(5)의 입체 형상의 내부는 중공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개더(5)가 착용자의 신체에 면 형상으로 피트됨과 함께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대해서도 개더(5)의 입체 형상이 유연하게 추종할 수 있어, 생리대(1)의 폭 방향으로부터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생리대(1)에 폭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중공부를 갖는 입체 형상의 개더(5)가, 가해지는 힘을 흡수, 완충하여, 흡수체(4)에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흡수체(4)는 쉽게 변형되지 않아, 생리대(1)의 착용자의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또한, 접합부(11)는, 생리대(1)에 있어서의 폭 방향 안쪽에 형성되는 제1 접합부(11a)와, 해당 제1 접합부(11a)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형성되는 제2 접합부(11b)로 이루어지고, 제1 접합 단부(10a)가 제1 접합부(11a)에 형성되며, 제2 접합 단부(10b)가 제2 접합부(11b)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접합 단부(10a)와 제2 접합 단부(10b)가, 서로 다른(이격된) 접합부에 형성됨으로써, 개더(5)의 내측 측부(5a)는,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영향을 보다 받기 어렵게 되어, 개더(5)는 보다 쉽게 쓰러지지 않고, 또한, 가로 누설의 방지 효과도 향상된다.
또한, 개더(5)를 형성하는 입체 형상부(10)에 있어서의 제1 접합 단부(10a)로부터 제2 접합 단부(10b)까지의 길이(L1)와, 제1 접합 단부(10a)와 제2 접합 단부(10b) 사이의 거리인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의 비가 2 이상인 것에 의해, 한 쌍의 개더(5, 5)의 입체 형상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생리대(1)에 폭 방향에서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개더(5)가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
또한, 개더(5)는, 그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보다 개더(5)의 입체 형상에 있어서의 최대 폭(L3) 쪽이 큰, 대략 Ω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개더(5)의 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양단부 근방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b)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a)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개더(5)에는, 중앙부로부터 양단부를 향함에 따라 폭 방향으로 인장되는 힘이 강하게 가해진다. 그 때문에, 입체 형상의 개더(5)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의 기립 안정성이 보다 향상되어, 개더(5)가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립 안정성이 높은 길이 방향 중앙부에 한 쌍의 윙(6, 6)이 마련되기 때문에, 생리대(1)의 장착시에 한 쌍의 윙(6, 6)에 대하여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해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개더(5)가 외측으로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
또한, 한 쌍의 개더(5, 5) 각각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접합부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있어서 시트형 부재를 표면층 또는 이면층에 접합하는 제3 접합부(12)가 형성되고, 제3 접합부(12)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12a)와 제1 접합 단부(10a) 사이의 거리(L4)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의 접합 단부 사이 거리(L2a)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 개더(5)는 중앙부로부터 양단부를 향함에 따라 폭 방향으로 인장되는 힘이 더욱 강하게 가해진다. 그 때문에, 입체 형상의 개더(5)의 기립 안정성이 보다 향상되어, 개더(5)는 보다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
또한, 접합부(1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이, 제3 접합부(12)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와 제1 접합 단부(10a) 사이의 중심보다 폭 방향 안쪽에 위치함으로써, 개더(5)의 입체 형상은, 그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해 폭 방향 외측으로 경사된 대략 Ω 형상을 갖는다. 즉, 한 쌍의 개더(5, 5)는, 역ハ의 글자형이 된다. 한 쌍의 개더(5, 5)가 역ハ의 글자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생리대(1)의 가로 누설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한 쌍의 개더(5, 5) 각각은, 복수의 탄성 부재(13)를 가지고, 복수의 탄성 부재(13)는, 시트형 부재(9)의 표면 또는 내부에 배치됨과 함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됨으로써, 개더(5)의 중공부를 갖는 입체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탄성 부재(13)에 있어서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한 쌍의 개더(5, 5) 각각의 측부에 배치됨으로써 개더(5)의 중공부를 갖는 입체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개더(5, 5) 각각은, 시트형 부재(9)를 절첩하여 형성한 2층 구조 부분을 가지고, 복수의 탄성 부재(13)는, 2층 구조 부분의 층간에 끼워지도록 하여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탄성 부재(13)가 배치된 개더(5)가, 적절한 강성을 갖기 때문에, 개더(5)의 기립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누설 방지 홈(8)이, 중앙부(A)에 있어서 폭 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형으로 만곡한 형상을 갖고 있음으로써, 생리대(1)의 폭 방향에서 힘을 받았을 때에, 배설부 대향 영역인 중앙부(A)에 있어서 개더(5)의 기립 안정성이 보다 향상되어, 가로 누설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나아가서는, 폭 방향에서 받은 힘에 의해 흡수체(4)가 착용자의 피부 접촉면 측으로 융기하기 쉬워져, 흡수체(4)와 착용자의 배설부와의 밀착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도 발휘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2 접합 단부(10b)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생리대(1)의 길이 방향의 대략 전역에 걸쳐, 흡수체(4)의 길이 방향의 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바깥쪽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 상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지만, 적어도 배설부가 대향하는 부위인 중앙부(A), 즉 윙(6)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 흡수체(4)의 길이 방향의 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 바깥쪽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한 쌍의 개더(5, 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형 부재(9)에 복수의 탄성 부재(13)를 배치하고 있었지만, 복수의 탄성 부재(13)를 이용하지 않고 시트형 부재(9)로서, 신축성을 갖는 시트 등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한 쌍의 개더(5, 5)는 신축성을 갖지 않는 시트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개더(5) 및 윙(6)은, 1장의 시트형 부재(9)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윙(6)은, 개더(5)를 구성하는 시트형 부재와는 다른 시트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 외에, 실금 패드, 팬티라이너, 일회용 기저귀 등이라도 좋다.

Claims (4)

  1. 일부 또는 전부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를 갖는 표면층과,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를 갖는 이면층과, 이들 양자 사이에 배치되는 액 유지성의 세로 길이형의 흡수체를 갖는 흡수층과, 상기 표면층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시트형 부재에 의해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개더(gather)와, 상기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 중 하나 이상의 층이 상기 흡수층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한 쌍의 윙을 구비하는 세로 길이형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한 쌍의 개더 각각은, 상기 시트형 부재가, 해당 흡수성 물품의 피부 접촉면 측으로 볼록해지는 입체 형상부를 가지고, 해당 입체 형상부는, 해당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상기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접합됨과 함께, 상기 중공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입체 형상부에서의 폭 방향 안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1 접합 단부와, 해당 입체 형상부에서의 폭 방향 바깥쪽 측의 단부를 형성하는 제2 접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 단부는, 상기 표면층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가 배치되는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접합 단부는,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윙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상기 표면층과 상기 이면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상기 폭 방향 바깥쪽의 영역 상에 위치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양단부 근방에서의 상기 접합 단부 사이 거리는, 해당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의 해당 접합 단부 사이 거리보다 크고, 상기 한 쌍의 윙은, 해당 길이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윙은, 적어도 그 상기 표면층 측의 면이 상기 시트형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더 각각은, 복수의 탄성 부재를 가지고, 해당 복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시트형 부재의 표면 또는 내부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흡수성 물품.
KR1020107001668A 2007-06-29 2008-06-23 흡수성 물품 KR101343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72429 2007-06-29
JP2007172429A JP5123583B2 (ja) 2007-06-29 2007-06-29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781A true KR20100041781A (ko) 2010-04-22
KR101343687B1 KR101343687B1 (ko) 2013-12-20

Family

ID=4022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668A KR101343687B1 (ko) 2007-06-29 2008-06-23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771247B2 (ko)
EP (1) EP2179713B1 (ko)
JP (1) JP5123583B2 (ko)
KR (1) KR101343687B1 (ko)
CN (1) CN101686881B (ko)
BR (1) BRPI0811806B1 (ko)
EG (1) EG25999A (ko)
MY (1) MY150644A (ko)
TW (1) TWI441622B (ko)
WO (1) WO20090049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2678B1 (en) 2003-02-12 2019-03-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mfortable diaper
ES2372979T3 (es) 2003-02-12 2012-01-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 absorbente para un artículo absorbente.
CA2782533C (en) 2007-06-18 2014-1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and method
WO2008155722A2 (en) 2007-06-18 2008-12-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ealed absorbent cor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JP5129521B2 (ja) * 2007-06-29 2013-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2214613B1 (en) * 2007-11-20 2013-03-20 Sca Hygiene Products AB Shaped absorbent article with edge elastics
BRPI0910858A2 (pt) 2008-04-29 2018-03-27 Procter & Gamble processo para produção de um núcleo absorvente com uma cobertura de núcleo resistente à estiramento
JP5475353B2 (ja) * 2009-07-31 2014-04-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被包装吸収性物品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JP5432753B2 (ja) * 2010-02-03 2014-03-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2958480B (zh) * 2010-06-29 2015-09-16 宝洁公司 具有改进腿箍的吸收制品
PL3338750T5 (pl) 2011-06-10 2023-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uktura chłonna do wyrobów chłonnych
RU2013156991A (ru) 2011-06-10 2015-07-20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Абсорбирующая сердцевина для одноразовых абсорбирующих изделий
JP6339010B2 (ja) 2011-06-10 2018-06-0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の吸収性構造体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ES2484695T5 (es) 2011-06-10 2018-0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ñal desechable que tiene una unión reducida entre el núcleo absorbente y la lámina de respaldo
WO2012170781A1 (en) 2011-06-10 2012-1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s
EP2532328B1 (en) 2011-06-10 2014-02-2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WO2014078247A2 (en) 2012-11-13 2014-05-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PL2740449T3 (pl) 2012-12-10 2019-07-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ykuł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PL2740452T3 (pl) 2012-12-10 2022-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EP3254656B1 (en) 2013-06-14 2021-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core forming channels when wet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CN105473113B (zh) 2013-08-27 2019-03-08 宝洁公司 具有通道的吸收制品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WO2015039062A1 (en) 2013-09-16 2015-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EP3351225B1 (en) 2013-09-19 2021-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S2606320T3 (es) 2013-12-19 2017-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s absorbentes que tienen áreas formadoras de canal y juntas de envoltura en c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US10271997B2 (en) 2014-04-08 2019-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substrates having zonal treatments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CN105310830A (zh) * 2014-06-16 2016-02-10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一次性吸收物品
JP2018508291A (ja) 2015-03-16 2018-03-2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改善された強度を有する吸収性物品
US10322040B2 (en) 2015-03-16 2019-06-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s
CN107592805B (zh) 2015-05-12 2021-07-06 宝洁公司 具有改善的芯与底片粘合剂的吸收制品
EP3302387B1 (en) 2015-05-29 2020-11-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s and wetness indicator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US11950989B2 (en) 2017-08-22 2024-04-09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isposable hygiene article
JP7190852B2 (ja) * 2018-09-18 2022-12-1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1150554B (zh) * 2018-11-08 2022-08-02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JP7236289B2 (ja) * 2019-02-27 2023-03-0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210393452A1 (en) * 2020-06-23 2021-12-23 Katrina Marie Arceo-Yap Feminine pad with large petal desig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2817A (ja) 1990-06-07 1992-02-13 Tokin Corp 酸化物磁性材料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JP3253103B2 (ja) 1991-04-24 2002-02-04 トーヨー衛材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PH31459A (en) * 1992-11-30 1998-11-03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ized side flaps and wings.
JP3621253B2 (ja) 1997-05-06 2005-02-1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856941B2 (ja) * 1998-04-15 2006-12-1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208338B2 (ja) * 1999-04-07 2009-01-14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847023B2 (ja) * 1999-05-24 2006-11-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補助パッド
JP3850618B2 (ja) 2000-03-06 2006-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922897B2 (ja) 2001-07-12 2007-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919638B2 (ja) 2001-12-20 2007-05-3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890630B2 (en) 2001-12-20 2005-05-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composites for garments
JP3994377B2 (ja) * 2002-01-21 2007-10-1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325153B2 (ja) 2002-07-19 2009-09-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制御弁式鉛蓄電池
JP4443377B2 (ja) 2004-10-20 2010-03-3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6311939A (ja) 2005-05-09 2006-11-16 Kao Corp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913381B2 (ja) * 2005-09-26 2012-04-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70073259A1 (en) * 2005-09-29 2007-03-29 Erdman Edward P Absorbent article with dual gather leg cuff assemblies
JP5129521B2 (ja) 2007-06-29 2013-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6881B (zh) 2013-03-20
EG25999A (en) 2012-12-05
EP2179713A4 (en) 2012-02-29
US20100174261A1 (en) 2010-07-08
MY150644A (en) 2014-02-14
EP2179713B1 (en) 2013-09-04
CN101686881A (zh) 2010-03-31
BRPI0811806B1 (pt) 2018-07-17
BRPI0811806A2 (pt) 2014-11-11
KR101343687B1 (ko) 2013-12-20
US8771247B2 (en) 2014-07-08
JP5123583B2 (ja) 2013-01-23
WO2009004941A1 (ja) 2009-01-08
TW200922531A (en) 2009-06-01
JP2009006064A (ja) 2009-01-15
EP2179713A1 (en) 2010-04-28
TWI441622B (zh) 201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687B1 (ko) 흡수성 물품
JP5129521B2 (ja) 吸収性物品
JP5091698B2 (ja) 吸収性物品
JP5319263B2 (ja) 吸収性物品
KR100906706B1 (ko) 생리대
KR102236503B1 (ko) 착용 물품
JP5566594B2 (ja) 吸収性物品
WO2011105476A1 (ja) 吸収性物品
JP2011072720A (ja) 吸収性物品
JP2004350908A (ja) 生理用ナプキン
US6508796B2 (en) Absorbent article
JP2013244255A (ja) 吸収性物品
JP4514593B2 (ja) 吸収性物品
KR100906705B1 (ko) 생리대
JP5773591B2 (ja) 吸収性物品
JP5084220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4980480B2 (ja) 吸収性物品
JP6385395B2 (ja) 吸収性物品
JPH10295724A (ja) 体液処理用吸収性物品
JP6335558B2 (ja) 使い捨て紙おむつ
JP2009136600A (ja) 吸収性物品
JP4776499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