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705B1 - 생리대 - Google Patents

생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705B1
KR100906705B1 KR1020020040724A KR20020040724A KR100906705B1 KR 100906705 B1 KR100906705 B1 KR 100906705B1 KR 1020020040724 A KR1020020040724 A KR 1020020040724A KR 20020040724 A KR20020040724 A KR 20020040724A KR 100906705 B1 KR100906705 B1 KR 100906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egion
sanitary napkin
leakage preventing
hydrophi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7156A (ko
Inventor
카시와기마사히로
요시마사와타루
타가미에츠코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a reinforcing me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옷의 크로치부의 중앙부에 장착하기 쉽고, 또한 측방으로부터 힘이 주어졌을 때에 샘 방지부의 기부에 대하여 변형력을 주지 않는 생리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표면 시트(12)의 표면에는 샘 방지부(15a)가 접합부(20)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샘 방지부(15a)의 외측에는 연장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15b)에서는 중간 시트(12c) 및 중간 시트(18a)와, 보강 시트(24, 25) 사이에 가요 영역(M)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 시트가 형성된 부분이 완충 영역(D)으로 되어 있다. 날개부(6)가 가요 영역(M) 부분에서부터 절곡되면, 외부 장착체(28)의 크로치부의 내면의 측부에 완충 영역(D)이 위치하여, 장착시 측방으로부터의 힘이 상기 완충 영역(D)에서 완충되어, 샘 방지부(15a)에 직접 작용하기 어렵게 된다.

Description

생리대{SANITARY NAPKINS}
도 1은 본 발명의 생리대를 도시하는 평면도로, O-O선을 경계로 한 좌측반은 비친수성 시트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고, 우측반은 비친수성 시트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생리대를 외부 장착체에 장착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생리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반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 : 완충 영역
M : 가요 영역
1 : 생리대
6, 7 : 날개부
11 : 이면 시트
12 : 표면 시트
12c, 12d : 중간 시트
13 : 흡수층
15, 16 : 비친수성 영역
15a, 16a : 샘 방지부
15b, 16b : 연장부
18 : 비친수성 시트
18a, 18b : 중간 시트
20 : 접합부
22 : 탄성 부재
23 : 오목형부
24, 25 : 보강 시트
32, 34 : 감압 접착제층
본 발명은 표면의 양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샘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샘 방지부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이면 시트측으로 절곡되어 속옷에 고정되는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생리대는 착용중에 경혈을 액체 흡수층으로 확실하게 흡수하여, 경혈이 물품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할 것이 요구된다. 종래의 생리대에서는 운동에 의해서 외력을 받음으로써 물품이 변형되고, 흡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상태에서 상기 변형이 생겼을 때에는 경혈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없게 되어 액체가 새어 착의를 더럽히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특히, 착용자가 보행하거나, 기립하거나, 앉거나, 운동하거나 함으로써 고간 다리 경계 부분이 끊임없이 피부에 대해 이동하여, 장착한 물품과 착용자 몸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간극으로부터 배설액이 유출되어, 소위 가로샘을 야기해 착의를 더럽히게 된다.
그래서, 일본 특허 공개 평8-280735호 공보 등에는 가로샘을 해소하기 위한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이것에는 물품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샘 방지벽이 형성되고, 또 상기 샘 방지벽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날개부가 마련되어 있다. 장착할 때에는 상기 날개부를 속옷의 크로치부의 외측으로 되접어 상기 크로치부의 외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고정한다. 물품의 양측에서는, 상기 샘 방지벽과 흡수체 사이에 포켓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경혈이 상기 흡수체에 흡수되지 않고서 톱시트 위를 흘러왔다고 해도 상기 오목부에서 가로막을 수 있어, 가로샘이 억제된다고 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생리대에서는, 물품을 속옷에 고착시킴으로써 속옷과의 연동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생리대는 날개부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절곡(折曲)된다고는 할 수 없으며, 그 결과 생리대가 속옷의 크로치부에 대하여 우측 부근 또는 좌측 부근으로 치우친 위치에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생리대를 새 것으로 교환할 때 착의가 더러워질 것을 우려하여 황급히 교환하는 경우에는 속옷의 올바른 위치에 장착되지 않은 채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생리대가 속옷의 크로치부에 있어서 측방으로 기울어져 장착되면, 날개부를 속옷의 크로치부의 외면으로 꺾어 접었을 때에, 생리대의 표면측에 형성된 샘 방지벽의 기부(基部)가, 날개부의 기부의 절곡부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 샘 방지벽의 기부가 상기 절곡부에 위치하면, 속옷의 크로치부의 연부(緣部) 부근에 형성된 샘 방지벽이 변형하여, 상기 포켓형의 오목부도 변형하기 쉽다.
또, 대퇴부에 의한 압박에 의해서, 속옷의 크로치부에 대하여 측방으로부터의 압력이 주어지면, 속옷의 크로치부의 연부 부근에 위치하는 샘 방지벽의 기부에 상기 압력이 직접 작용하여, 샘 방지벽이 변형하기 쉽게 되어, 샘 방지벽과 피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쉽고, 또 상기 포켓형 오목부도 더욱 변형하기 쉽게 되어, 액체 샘 방지 효과가 저하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속옷의 외면으로 꺾어 접었을 때에, 이 때의 절곡부와 샘 방지부의 기부 사이에 확실하게 거리가 생기도록 하고, 더욱이 절곡부와 샘 방지부 사이가 측방으로부터의 힘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여, 샘 방지부가 변형되기 어렵게 하여 가로 샘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생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면의 적어도 중앙 영역에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를 지니고, 상기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층이 형성되어, 상기 표면의 양측부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샘 방지부와, 상기 샘 방지부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면 시트측으로 절곡되어 속옷 에 고착되는 생리대에 있어서, 상기 샘 방지부와 상기 표면을 접합하는 접합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이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절곡하는 가요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가요 영역과 상기 접합부 사이에 소정 폭의 완충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 영역의 압축 에너지가 0.4∼1.0(N·m/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생리대에서는,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굽히기 위한 가요 영역과, 샘 방지부의 접합부 사이에 완충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완충 영역의 압축 에너지가 상기 범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측방으로부터의 압력이 상기 완충 영역에서 완충되어 상기 접합부에 직접 작용하기 어렵게 되어, 이로써 샘 방지부가 변형하기 어렵게 된다.
예컨대, 상기 완충 영역은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연장부를 형성하고 있는 비친수성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비친수성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1장의 중간 시트로 이루어져, 상기 중간 시트의 연부보다도 외측의 영역이 상기 가요 영역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완충 영역을 3장 이상의 시트로 구성함으로써, 완충 영역의 압축 에너지를 상기 범위내로 설정하기 쉽게 된다.
또, 상기 완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비친수성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1장의 중간 시트는 그 위아래에 위치하는 시트와 비접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 시트가 위아래의 시트와 비접착이면, 상기 완충 영역에 시트 사이의 공극이 생겨, 장착시에 측방으로부터 압력이 주어졌을 때의 완충 능력이 높아진다.
예컨대, 상기 샘 방지부를 형성하는 상기 비친수성 시트의 일부가 상기 접합부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중간 시트로 되어 있는 것이며, 및/또는, 상기 접합부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표면 시트의 일부가 상기 중간 시트로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샘 방지부를 형성하는 비친수성 시트, 또는 상기 표면 시트로 상기 중간 시트를 형성하면, 완충 영역에 완충용의 시트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샘 방지부에는 길이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샘 방지부는 상기 접합부를 기단으로 하여 상기 표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샘 방지부가 기립 가능한 벽부라고 하면, 표면 시트에서 측방으로 타고 넘는 액체를 상기 샘 방지부에서 차단하기 쉽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리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중앙선(O-O)을 경계로 하여 좌측의 반은 샘 방지 시트를 떼어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우측의 반은 샘 방지 시트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의 단면도, 도 3은 속옷에 장착했을 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하는 생리대(1)는 생리중인 여성이 속옷(외부 장착체)의 크로치부의 내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생리대(1)의 평면 형상은 거의 원호 형상의 전연부(2) 및 마찬가지로 원호 형상인 후연부(3)를 갖고 있고, 좌측연부(4)와 우측연부(5)는 곡선을 그리는 형상이며, 좌측연부(4)와 우측연부(5)와의 거리, 즉 생리대(1)의 폭 치수(X 방향)는 전연부(2)와 후연부(3)와 같은 치수거나 혹은 전연부(2)보다도 후연부(3)가 폭이 넓은 치수로 되어 있다.
생리대(1)를 전후로 이분하는 중심보다도 상기 전연부(2)로 치우친 위치에는 좌측연부(4)와 우측연부(5)보다도 폭 방향(X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날개부(6 및 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연장부의 일부인 상기 날개부(6 및 7)가 속옷의 크로치부의 외면으로 꺾여 접힌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생리대(1)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11)와,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12)를 갖고 있다. 상기 이면 시트(11)는 도 1에 도시하는 생리대(1)의 외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 즉 상기 전연부(2), 후연부(3), 좌측연부(4) 및 우측연부(5), 날개부(6)의 단연부(6a) 및 날개부(7)의 단연부(7a)를 형성하는 형상이다.
상기 표면 시트(12)는 생리대(1)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선(O-O)을 포함하는 소정 폭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면 시트(11)와 상기 표면 시트(12) 사이에 흡수층(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층(13)은 소정 두께를 갖고 있으며, 도 1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연부(2a), 후연부(3a), 좌측연부(4a) 및 우측연부(5a)를 갖는 형상이 다. 상기 흡수층(13)의 상기 전연부(2a), 후연부(3a), 좌측연부(4a) 및 우측연부(5a)는 생리대(1)의 전연부(2), 후연부(3), 좌측연부(4) 및 우측연부(5)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흡수층(13)과 상기 표면 시트(12) 사이에는 3장 겹침 상태로 접어 포개어진 액체 투과 시트(35, 36)가 겹쳐져 있다. 이 액체 투과 시트(35, 36)는 표면 시트(12)에 주어진 경혈을 신속하게 흡인하여 흡수층(13)에 부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 액체 투과 시트(35, 36)의 주연부를 따라서, 표면 시트(12) 및 흡수층(13)이 가열·가압되어 압착홈(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착홈(12a)에서는 상기 흡수층(13)의 밀도가 높게 되어 있다. 또, 상기 흡수층(13)은 상기 압착홈(12a)의 외측 영역에서, 중앙 부분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액체 투과 시트(35, 36)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압착홈(12a)에서부터 부풀어오른 융기부(12b)로 되어 있으며, 이 상기 융기부(12b)를 장착자의 국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 경혈을 확실하게 흡수층(13) 측에 받아들일 수 있다.
상기 흡수층(13)의 하면과 상기 이면 시트(11)는 핫멜트 접착제(30)를 이용하여 접착되어 있다. 또, 흡수층(13)의 상면 및 상기 액체 투과 시트(35, 36)의 상면과 상기 표면 시트(12) 사이도, 액체의 투과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지그재그형이나 나선형으로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어 있다.
생리대(1)의 표면측에서는 상기 중앙선(O-O)의 좌우 양측에 상기 중심선(O-O)과 좌우에 각각 간격을 둔 위치에서부터 양측연부(4, 5), 및 날개부(6, 7)의 단연부(6a, 7a)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이, 비친수성 영역(15 및 16)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생리대(1)에서는 상기 비친수성 영역(15와 16) 사이가, 상기 표면 시트(12)가 노출된 액체 수용 영역(17)으로 되어 있다.
상기 비친수성 영역(15, 16)에는 길이 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샘 방지부(15a, 16a)와, 상기 샘 방지부(15a, 16a)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5b, 16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6, 7)는 상기 연장부(15b, 16b)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샘 방지부(15a, 16a) 및 연장부(15b, 16b)에는 비친수성 시트(18)가 형성되어 있다.
샘 방지부(15a, 16a)에서는, 꼭대기부(21)에 있어서 상기 비친수성 시트(18)가 절곡되어 있고, 절곡된 비친수성 시트(18)는 상기 샘 방지부(15a, 16a)의 기단부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12)와 접합되어 접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합부(20)에서부터 상기 꼭대기부(21)까지의 영역이 상기 샘 방지부(15a, 16a)가 되고, 상기 접합부(20)에서부터 양측연부(4, 5) 및 날개부(6, 7)의 단연부(6a, 7a)까지가 상기 연장부(15b, 16b)로 되어 있다.
상기 샘 방지부(15a, 16a)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탄성 부재(22)가 접착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22)는 신장시킨 상태로 상기 비친수성 시트(18)에 접합되며, 상기 샘 방지부(15a, 16a)에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다. 또, 상기 샘 방지부(15a, 16a)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비친수성 시트(18)는 생리대(1)의 전후 단부에 있어서 접혀 포개어진 상태로 그 전체가 상기 표면 시트(12)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생리대(1)가 자유 상태일 때에는 상기 탄성 수축력에 의해 상기 생리대(1)가 만곡되고, 그 결과 상기 샘 방지 부(15a, 16a)는 꼭대기부(21)가 생리대(1)의 표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립한다. 기립 상태의 상기 샘 방지부(15a, 16a)에는 그 높이를 이분하는 위치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음선(27, 28)이 형성되어, 상기 샘 방지부(15a, 16a)의 단면 형상은 거의 V자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샘 방지부(15a, 16a)의 상기 접음선(27, 28)보다도 아래 부분에서의 내벽면과, 상기 표면 시트(12) 사이에, 포켓형의 오목형부(23, 23)가 형성되어, 흡수층(13)에 흡수할 수 없어 표면 시트(12)를 타고 측방으로 흘러나온 경혈을 상기 오목형부(23)에서 가로막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의 좌측 반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1)의 중앙 길이(L0)의 영역에서는 상기 샘 방지부(15a)의 기부의 상기 접합부(20)와, 상기 샘 방지부(16a)의 기부의 상기 접합부(20)의 간격(W0)이 넓게 되어 있고, 길이(L1)의 전방 영역과 길이(L2)의 후방 영역에서는 상기 간격(W1)이 좁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액체 수용 영역(17)은 중앙 영역에서 약간 넓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가 L0의 중앙 영역인 범위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시트(12)의 일부가 상기 접합부(20, 20)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접합부(20, 20)에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표면 시트(12)의 단부가 중간 시트(12c, 12d)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샘 방지부(15a, 16a)를 구성하고 있는 비친수성 시트(18) 중 상기 샘 방지부(15a, 16a)의 내벽측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의 단부는 상기 접합부(20, 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20, 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비친수성 시트(18)의 단부 가 중간 시트(18a, 18b)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시트(12)의 단부에서 형성된 상기 중간 시트(12c, 12d)는 핫멜트 접착제(30, 31)에 의해 상기 이면 시트(11)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지만, 상기 비친수성 시트(18)의 단부에서 형성된 상기 중간 시트(18a, 18b)는 그 위에 위치하는 비친수성 시트(18, 18) 및 그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중간 시트(12c, 12d)의 어느 것과도 접착되어 있지 않다.
한편, 상기 연장부(15b, 16b)의 날개부(6, 7)에서는 상기 이면 시트(11)와 상기 비친수성 시트(18) 사이에, 보강 시트(24, 25)가 끼워져 있고, 보강 시트(24, 25)의 하면이 핫멜트 접착제(30)에 의해서 상기 이면 시트(11)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보강 시트(24, 25)의 상면은 핫멜트 접착제(31)에 의해서 상기 비친수성 시트(18)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보강 시트(24, 25)는 날개부(6, 7)의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보강 시트(24, 25)의 내측으로 향하는 연부(24a, 25a)는 상기 샘 방지부(15a, 16a)의 기부의 상기 접합부(20, 20)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연부(24a, 25a)와 상기 접합부(20, 20)는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측연부(4) 중의 상기 날개부(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더욱 자세히 말하면, 상기 날개부(6)의 가장자리와 상기 좌측연부(4)의 경계 부분을 4a1, 4b1로 했을 때에, 상기 보강 시트(25)의 연부(25a)는 상기 경계 부분(4a1, 4b1)보다도 상기 중심선(O-O)에서 멀어지는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쪽의 보강 시트(24)에 있어서도 동일하며, 상기 보강 시트(24)의 연부(24a)는 경계 부분(5a1, 5b1)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시트(24)의 연부(24a)보다도 내측에서, 상기 중간 시트(12c)의 연부(12c1) 및 상기 중간 시트(18a)의 연부(18a1)보다도 외측의 영역은 강성이 낮은 가요 영역(M)으로 되어 있다. 이 가요 영역(M)에서는 이면 시트(11)와 비친수성 시트(18)가 겹쳐져, 핫멜트 접착제(30과 31)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보강 시트(25)의 연부(25a)보다도 내측에서, 상기 중간 시트(12d)의 연부(12d1) 및 상기 중간 시트(18b)의 연부(18b1)보다도 외측 영역에는 상기 이면 시트(11)와 비친수성 시트(18)가 겹쳐져 접착된 가요 영역(M)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6과 7)를 외부 장착체(28)의 크로치부의 외면으로 꺾어 접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중간 시트(12c, 12d) 및 중간 시트(18a, 18b)가 상기 크로치부의 내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요 영역(M)의 폭 치수(Wm)는 외부 장착체(28)의 두께 치수 이상일 필요가 있으며, Wm은 4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폭 치수(Wm)의 상한은 특별히 규정되어야 할 이유가 없지만, 통상의 생리대 치수에서 상한은 15 mm 이하 정도이다.
또한, 상기 접합부(20)에서부터, 중간 시트(12c)의 연부(12c1)까지의 거리, 혹은 상기 접합부(20)에서부터 중간 시트(18a)의 연부(18a1)까지의 거리 중 어느 긴 쪽의 치수(Wd), 즉 상기 접합부(20)에서부터 중간 시트(12c)가 외측으로 돌출하는 길이, 혹은 상기 접합부(20)에서부터 중간 시트(18a)가 외측으로 돌출하는 길이 중 어느 긴 쪽의 치수(Wd)는 2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mm 이상이다. 상기 길이 이상이면, 도 3의 장착 상태에서, 상기 접합부(20)가 외부 장착체(28)의 크로치부의 연부에서부터 내측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크로치부의 측방에서 힘(P)이 작용했을 때에, 이 힘이 상기 접합부(20) 및 샘 방지부(15a)에 직접 작용하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폭 치수(Wd)의 영역이 완충 영역(D)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폭 치수(Wd)의 상한도 특별히 규정되어야 할 이유가 없지만, 통상의 생리대 치수에서 보면, 상기 상한은 5 mm 이하, 혹은 8 mm 이하이며, 최대 10 mm 이하 정도이다.
또한, 상기 치수는 상기와 반대측의 측부, 즉 보강 시트(25)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서도 동일하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하는 장착 상태에서, 측방으로부터의 힘에 대하여 상기 폭 치수(Wd)의 완충 영역(D)이 충분한 완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위해서는, 가토테크(주) 제조의 자동화 압축 시험기 「KES FB3-A」로 측정했을 때의 상기 완충 영역(D)의 압축 에너지가 0.4∼1.0(N·m/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완충 영역(D)의 연질성이 떨어져 충분한 완충 능력을 발휘할 수 없고, 상기 범위를 넘으면, 완충 영역(D)을 구성하는 시트가 투박스럽게 되어, 장착자가 위화감을 느낄 불안 요소가 있다.
상기 연장부(15b, 16b)에서, 상기 가요 영역(M, M)의 거얼리 강성치를 「1」로 했을 때에, 상기 완충 영역(D)의 거얼리 강성치, 및 상기 보강 시트(24, 25)가 형성되어 있는 날개부(6, 7)의 거얼리 강성치는 2.5 이상 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날개부(6, 7)를 꺾어 접을 때의 가요 영역을 명확하게 할 수 없고, 접합부(20)의 바로 근처나 보강 시트(24, 25)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접힘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 상기 범위를 넘으면, 가요 영역(M)의 바로 근처 영역의 강성이 높아져, 장착자에게 강직감을 줄 우려가 있다.
여기서, 상기 거얼리 강성치는 가요 영역(M)을 구성하는 이면 시트(11)와 비친수성 시트(18)와 동일한 시트를 접착한 것을, 51 mm(상기 생리대의 길이 방향에 상당하는 길이)×12.7 mm(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상당)의 시편으로 하여, 거얼리 강도 시험기(야스다세이키 제조)의 척에 상기 시편의 길이 방향 쪽을 파지(把持)하게 하여, 척을 등속도로 흔들었을 때의 진자의 눈금을 기록하여 강성치(mN)를 측정한다. 완충 영역(D) 및 날개부(6, 7)에 있어서도, 이들을 구성하는 것과 동일한 시트의 적층체로 상기 크기의 시편을 형성하여, 마찬가지로 거얼리 강성치를 측정한다. 그리고 이 거얼리 강성치의 비는 상기 가요 영역(M)의 1에 대하여, 완충 영역(D) 및 날개부(6, 7)가 2.5∼9의 범위로 하도록 시트의 조합을 선택한다. 또한, 상기 거얼리 강도 시험은 JIS-L1018에 준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6과 7)의 이면에서는, 상기 이면 시트(11)의 외면에, 속옷에 고착시키기 위한 감압 접착제층(34, 3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생리대(1)의 중앙부의 이면에서도, 상기 이면 시트(11)의 외면에 띠 모양의 감압 접착제층(32, 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전의 상태에서는 상기 감압 접착제층(34, 34)과 상기 감압 접착제층(32, 32)의 표면에 이형 시트가 붙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생리대(1)를 형성하는 각 소재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한다.
상기 이면 시트(11)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이며, 예컨대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EVA(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얻어지는 수지 필름, 또는 상기 수지 필름에 필러 등을 첨가하여, 연신하여 미세한 구멍을 형성하여 투습성을 부여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수지와 종이의 라미네이트재, 부직포와 수지 필름이 적층된 시트 등이라도 좋다.
상기 표면 시트(12)는 액체 투과성 시트이며, 예컨대 PE, PP, PET 및 EVA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얻어지는 수지 필름에 액체가 투과할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을 다수 형성한 필름, 또는 PE, PP, PET 등을 포함하는 복합 섬유를 열풍, 압력 또는 수류에 의해서 체결, 접합시킨 섬유 부직포 등에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흡수층(13)은 분쇄 펄프와 SAP(고흡수성 폴리머)가 혼합된 것으로 액체 투과성 종이나 셀룰로오스 시트로 둘러 싼 것, 셀룰로오스 화이버를 바인더 처리로 시트화한 것, 면형 펄프, 에어레이드 펄프, 연속 기포 타입의 친수성 폼, 박엽지, 친수성 섬유를 사용한 스펀레이스 부직포, 친수 처리를 한 멜트블로 부직포, 흡수지, 혹은 코튼린터 펄프 등,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흡수층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액체 투과 시트(35, 36)는 예컨대, 액체 흡수성이 높고 또한 부피가 큰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친수성 시트(18)는 액체를 침투 및 투과시키지 않으며, 또한 유연한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PP 섬유 혹은 PE/PP, PE/PET, PP/EVA 등의 복합 섬유로 섬도가 1.1 dtex∼6.7 dtex인 것으로 형성된 부직포이며, 예컨대 에어스루법으로 형성된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도가 1.1 dtex 미만이면, 모세관 작용을 강화시켜 배설액을 유도하기 쉽게 되고, 또 흡수를 촉진시켜, 일단 흡수층(13)에 흡수된 배설액을 반대로 흡수하여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며, 또 섬도가 6.7 dtex를 넘으면 섬유의 강직성이 증가하여, 착용감이 손상된다.
상기 비친수성 시트(18)로서 이용되는 에어스루 부직포는 평량을 10∼40 g/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평량이 10 g/m2 미만이면 일단 흡수층(13)에 흡수된 배설액을 압박시에 용이하게 압출시켜 버리며, 평량이 40 g/m2를 넘으면 착용감이 손상된다. 또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 대신에 섬유를 연속 방사하여 얻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라도 좋다. 또는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 또는 스펀본드 부직포에 PE 수지를 라미네이트한 시트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 라미네이트 처리는 상기 부직포의 전면에 실시하더라도 좋고, 또는 부분적으로 실시하더라도 좋다. 부직포의 전면에 하는 경우에는 시트의 강직성이 증가하여 장착감을 손상하지 않도록 가능한 한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μ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에 부분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시트의 강직성이 증가하여 장착감이 손상되지 않도록 라미네이트 부분의 면적율을 5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친수성 시트(18)의 다른 구체예로서는 PE, PP, EVA 등에서 선택되는 수지로 형성된 수지 필름이라도 좋다. 이 경우의 수지 필름의 평량은 10∼35 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샘 방지부(15a, 16a)에 사용되는 상기 탄성 부재(22)로서는 올레핀계 필름이나 방사체, 우레탄계 탄성사나 발포체, 천연 고무를 실 모양 또는 리본 모양으로 한 것, 혹은 이들을 조합한 것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 상기 보강 시트(24, 25)는 상기 비친수성 시트(18)와 동일한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보강 시트(24, 25)는 비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보강 시트(24, 25)로서 종이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종이류는 어느 정도의 강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크레이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보강 시트(24, 25)로서 상기 부직포, 수지 필름, 종이류를 조합하여 2장 이상의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생리대(1)를 속옷 등의 외부 장착체(28)의 크로치부에 장착할 때에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감압 접착제층(34, 34)을 외부 장착체(28)의 크로치부의 내면에 눌러 고정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6 및 7)를 가요 영역(M, M)에 있어서 절곡하고, 외부 장착체(28)의 크로치부의 외면에 겹치도록 꺾어 접어, 감압 접착제층(34)을 통해 외부 장착체(28)의 외면에 눌러 고정한다.
여기서, 폭이 4 mm 이상인 가요 영역(M, M)을 굽힘부로 하여 상기 날개부(6, 7)를 꺾어 접으면, 보강 시트(24, 25)의 연부(24a, 25a)가 외부 장착체(28)의 크로치부의 좌우 양측부와 거의 일치하는 상태에서 외부 장착체(28)의 외면에 고착된다. 또, 상기 중간 시트(12c, 12d) 및 중간 시트(18a, 18b)가 형성되어 있는 완충 영역(D)은 외부 장착체(28)의 내면에 있어서 크로치부의 양측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 시트(12c, 12d) 및 중간 시트(18a, 18b)가 형성되어 있는 완충 영역(D)의 거얼리 강성치, 및 보강 시트(24, 25)가 형성되어 있는 날개부(6, 7)의 거얼리 강성치가, 가요 영역(M)의 거얼리 강성치의 2.5배 이상 9배 이하이면, 가요 영역(M, M) 부분에서 구부러지기 쉽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 시트(24)의 연부(24a) 및 보강 시트(25)의 연부(25a)는 날개부(6과 7)의 기단부의 경계 부분(4a1, 4b1) 및 경계 부분(5a1, 5b1)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날개부(6, 7)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연장부(15b, 16b) 부분이 외부 장착체(28)의 외면을 향해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쉽다.
또, 상기 중간 시트(12c, 12d) 및 중간 시트(18a, 18b)가 형성되어 있는 완충 영역(D)이 외부 장착체(28)의 크로치부의 내면측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접합부(20, 20)가 외부 장착체(28)의 크로치부의 연부보다도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이 접합부(20)를 기점으로 하여 샘 방지부(15a, 16a)가 장착자의 피부를 향해서 확실하게 기립하여 피부에 밀착하기 쉽게 된다. 즉, 상기 완충 영역(D)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날개부(6, 7)를 꺾어 접었을 때에 상기 접합부(20)가 외부 장착체(28)의 연부 부근의 절곡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샘 방지부(15a, 16a)가 외측으로 쓰러지기 쉽게 되어, 포켓형 오목형부(23)에서 액체 를 막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접합부(20, 20)의 외측에 적어도 2 mm 이상의 상기 완충 영역(D)을 형성해 놓음으로써, 샘 방지부(15a, 16a)를 외부 장착체(28)의 크로치부의 내면을 기점으로 하여 장착자의 방향으로 기립시키기 쉽게 된다.
또, 장착자의 대퇴부(P 방향)로부터의 압박에 의해서 생리대(1)의 측부에서부터 힘(P)이 작용했다고 해도, 이 힘이 상기 중간 시트(12c, 12d) 및 중간 시트(18a, 18b)가 형성되어 있는 완충 영역(D)에 의해서 완충되어, 상기 힘이 샘 방지부(15a, 16a)의 기부인 상기 접합부(20, 20)에 직접 작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샘 방지부(15a, 16a)가 변형하기 어려워 샘 방지부(15a, 16a)의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샘 방지부(15a, 16a)의 내벽면과 표면 시트(12) 사이에 V자형의 오목형부(23, 23)를 유지하기 쉽게 되어, 표면 시트(12)를 따라서 측방으로 흐른 경혈을 상기 오목형부(23, 23)에서 막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완충 영역(D, D)의 압축 에너지를, 상기한 바와 같이 0.4∼1.0(N ·m/m2)의 범위로 하면, 도 3에 도시하는 장착시에 측방에서 대퇴부 등으로부터의 힘(P)가 주어졌을 때에, 샘 방지부(15a, 16a)에 직접 힘이 작용하기 어렵게 되어, 샘 방지벽(15a, 16a)이 쉽게 변형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가요 영역(M, M)에서는 비친수성 시트(18)와 비친수성의 이면 시트(11)가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표면 시트(12)를 타고 접합부(20)를 넘어서 스며나온 경혈을 가요 영역(M, M)에서 멈추게 할 수 있어, 장착자의 피부에 상기 경혈이 직접 부착되기 어렵다. 또, 상기 가요 영역(M, M) 속을 침투한 경혈은 이면 시트(11)와 비친수성 시트(18) 사이에서, 비친수성인 상기 보강 시트(24, 25)의 연부(24a, 25a)에서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날개부(6, 7)의 내부로 침투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경혈이 외부 장착체(28)의 외면에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반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연장부(15b, 16b)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11)와 상기 비친수성 시트(18)가 접합부(20)와 평행한 연속된 또는 간헐적인 엠보스부(41)에 의해 가압되어 열융착되어 있다. 또, 상기 표면 시트(12)의 단부가 접합부(20)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중간 시트(12c)가 형성되고, 표면 시트(18)의 일부가 접합부(20)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중간 시트(1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시트(18a)는 위아래의 시트에 접착되어 있지 않다.
상기 엠보스부(41)와 그 이외의 부분에서 강성차가 생겨, 상기 엠보스부(41) 내측의 연부(41a)와 상기 중간 시트(12c, 18a)의 연부(12c1, 18a1) 사이에 가요 영역(M)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 시트(12c) 및 중간 시트(18a)가 형성된 영역이 완충 영역(D)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도, 상기 완충 영역(D)에서는 압축 에너지가 0.4∼1.0(N·m/m2)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완충 영역(D)에, 상기 표면 시트(12)나 비친수성 시트(18)와 별개 부재의 중간 시트를 설치하여, 이 중간 시트의 외측 으로 향하는 연부의 외측을 가요 영역(M)으로 하여도 좋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술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의 상기 완충 영역(D)의 압축 에너지는 가토테크(주)의 자동화 압축 시험기 「KES FB3-A」로 측정한 값을 이용하고 있다.
생리대의 상기 완충 영역(D)을 구성하는 것과 동일한 구성의 시트 적층체를 시편으로서 작성하여, 상기 자동화 압축 시험기에 설치한다. 그리고, 면적이 2 cm2인 원형의 가압판에 의해, 상기 시편에 49 Pa(0.5 g/cm2)의 초기 압력(T0)을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초기 압력(T0)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압축 압력을 Pm=4900 Pa(50 g/cm2)까지 압축 속도 50 mm/sec로 직선적으로 높여, 상기 압축 압력(Pm)을 부여했을 때의 두께를 Tm으로 한다. 이 때 단위면적(m2)당 상기 시편의 압축 에너지(WC)는 WC=∫P·dT(P는 압력, T는 두께)로 Tm→T0 사이에서 정적분을 행한 값으로서 구할 수 있다.
이하의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는, 우선 완충 영역(D)을 구성하는 것과 동일한 시트를 적층한 것으로 생리대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100 mm, 폭 방향의 길이를 100 mm로 한 시편으로 하여, 상기 자동화 압축 시험기에 의해 압축 에너지를 측정했다.
그리고 상기 시트의 적층체를 완충 영역(D)으로 한 생리대를 제조하여, 속옷의 크로치부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하여, 상기 크로치부에 측방에서부터 힘을 주었을 때의 샘 방지부의 변형 상태를 관찰했다. 또. 상기 생리대를 모니터에 장착시켜 장착감을 평가하게 했다.
이하의 비교예와 실시예에서는, 이면 시트(11)를 평량 23.5 g/m2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형성하고, 비친수성 시트(18)를 PE/PP의 복합 합성 섬유를 이용한 스펀본드 부직포로 평량이 22 g/m2인 것으로 형성했다.
비교예 1은 완충 영역(D)에 중간 시트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완충 영역(D)을 이면 시트(11)와 비친수성 시트(18)만으로 형성했다.
비교예 2에서는 중간 시트로서, 평량이 30 g/m2의 크레이프를 지니지 않는 종이류로 형성했다.
비교예 3은 중간 시트로서, PE/PP의 복합 합성 섬유로 형성한 스펀본드 부직포이며, 평량이 22 g/m2인 것을 1장 이용했다.
비교예 4는 PE/PET의 복합 합성 섬유로 형성한 에어스루 부직포이며, 평량이 25 g/m2인 것을 1장 이용했다.
비교예 5는 중간 시트로서, PE/PP의 복합 합성 섬유로 형성한 스펀본드 부직포로, 평량이 22 g/m2인 것을 1장, PE/PET의 복합 합성 섬유로 형성한 에어스루 부직포로, 평량이 25 g/m2인 것을 2장 이용했다.
비교예 6은 중간 시트로서, 액체를 투과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폴 리에틸렌 필름으로, 평량이 27 g/m2인 것을 1장 이용했다.
그리고 실시예 1은 중간 시트로서, PE/PP의 복합 합성 섬유로 형성한 스펀본드 부직포로, 평량이 22 g/m2인 것 1장과, PE/PET의 복합 합성 섬유로 형성한 에어스루 부직포로, 평량이 25 g/m2의 것을 1장 이용했다. 이것은 도 2에 도시하는 구조의 생리대를 상정한 것으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비친수성 시트(18)의 일부에서 형성된 중간 시트(18a, 18b)로 하고,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는 표면 시트(13)의 일부에서 형성된 중간 시트(12c, 12d)로 한 것이다.
상기한 비교예 및 실시예의 생리대에 대해, 장착한 상태에서, 속옷의 크로치부에 측방에서부터 힘을 주었을 때의 샘 방지부의 변형 상태 및 착용감의 평가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서, 날개부의 절곡의 영향으로 샘 방지부가 변형된 것을 × 표시로 평가했다.
샘 방지부와 이면 시트 사이의 시트 압축 일량 (N·m/m2) 샘 방지부의 형태에 대한 영향 착용감
비교예 1 없음 0.127 x 양호
비교예 2 30g/m2 비크레이프지 0.176 x 양호
비교예 3 22g/m2 PE/PP 스펀본드 부직포 1장 0.213 x 양호
비교예 4 25g/m2 PE/PET 에어스루 부직포 1장 0.354 x 양호
비교예 5 22g/m2 PE/PP 스펀본드 부직포 1장 + 25g/m2 PE/PET 에어스루 부직포 2장 1.270 양호 투박함
비교예 6 27g/m2 PE 개공(開孔) 필름 1장 0.364 x 양호
실시예 1 22g/m2 PE/PP 스펀본드 부직포 1장 + 25g/m2 PE/PET 에어스루 부직포 1장 0.513 양호 양호

실시예 1에서는 완충 영역의 압축 에너지를 0.4∼1.0(N·m/m2)의 범위로 했기 때문에, 날개부의 절곡이 샘 방지벽의 변형으로서 영향을 주지 않으며, 또한 장착감이 양호하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4 및 6은 완충 영역의 압축 에너지가 0.4(N·m/m2) 미만이기 때문에, 샘 방지부에 변형이 생겼다. 또한 비교예 5는 압축 에너지가 1.0(N·m/m2)를 넘기 때문에, 장착했을 때에 샘 방지부 외측의 완충 영역이 투박한 감촉으로 되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서는, 생리대를 속옷 등의 외부 장착체의 크로치부의 중앙 영역에 장착하기 쉽게 된다. 또 측방으로부터의 힘이 주어지더라도, 샘 방지부가 변형하기 어려워, 샘 방지부에 의한 샘 방지 효과를 항상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표면의 적어도 중앙 영역에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를 지니고, 상기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층이 형성되어, 상기 표면의 양측부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샘 방지부와, 상기 샘 방지부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이면 시트측으로 절곡되어 속옷에 고착되는 생리대에 있어서,
    상기 샘 방지부와 상기 표면을 접합하는 접합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 사이에 보강 시트가 끼워져 있고, 상기 연장부에는 이 연장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절곡하는 가요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가요 영역과 상기 접합부 사이에 소정 폭의 완충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토테크(주)의 자동화 압축 시험기 「KES FB3-A」로 측정한 상기 완충 영역의 압축 에너지가 0.4∼1.0(N·m/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영역은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연장부를 형성하고 있는 비친수성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비친수성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시트로 이루어져, 상기 중간 시트의 연부보다도 외측의 영역이 상기 가요 영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영역에서,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비친수성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시트는 그 위아래에 위치하는 시트와 비접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샘 방지부를 형성하는 상기 비친수성 시트의 일부가 상기 접합부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중간 시트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보다도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표면 시트의 일부가 상기 중간 시트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샘 방지부에는 길이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샘 방지부는 상기 접합부를 기단으로 하여 상기 표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KR1020020040724A 2001-07-12 2002-07-12 생리대 KR100906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12895 2001-07-12
JPJP-P-2001-00212895 2001-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156A KR20030007156A (ko) 2003-01-23
KR100906705B1 true KR100906705B1 (ko) 2009-07-07

Family

ID=1904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724A KR100906705B1 (ko) 2001-07-12 2002-07-12 생리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30068B2 (ko)
EP (1) EP1275360A3 (ko)
KR (1) KR100906705B1 (ko)
CN (1) CN1212818C (ko)
MY (1) MY126259A (ko)
SG (1) SG104341A1 (ko)
TW (1) TWI2546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9309B2 (ja) * 2001-09-07 2009-02-25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吸水により中央部で立体化する吸収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体製品
US7550646B2 (en) * 2002-09-09 2009-06-23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resilient por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918876B2 (en) * 2003-03-24 2011-04-05 Theken Spine, Llc Spinal implant adjustment device
JP4312113B2 (ja) * 2004-07-09 2009-08-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KR100925571B1 (ko) * 2004-11-30 2009-11-06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한 쌍의 후방 측부 플랩을 구비한 흡수용품
WO2006060526A1 (en) 2004-11-30 2006-06-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outwardly convex longitudinal central channels for improved protection
EP2255762A1 (en) * 2008-02-29 2010-12-01 Unicharm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US8048050B2 (en) * 2008-09-12 2011-11-01 First Quality Products, Inc. Absorbent pad
JP5860927B2 (ja) * 2014-06-27 2016-0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1150554B (zh) * 2018-11-08 2022-08-02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236A (ko) * 1994-08-08 1996-03-22 양승택 T-게이트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마스크
KR960009236B1 (en) * 1986-10-10 1996-07-16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 having leakage resistant dual cuffs
KR19990071909A (ko) * 1995-12-04 1999-09-27 데이비드 엠 모이어 비스듬히 세워진 밴드 구조적 탄성체형 필름 커프스를 갖는 흡수 제품
KR100245354B1 (ko) * 1991-11-29 2000-02-15 데이비드 엠 모이어 탄성측면플랩을갖는흡수제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6606B2 (ja) 1992-02-18 1999-12-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960634B2 (ja) 1995-04-17 2007-08-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909877B2 (ja) 1995-02-02 1999-06-23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
JP3441976B2 (ja) * 1998-08-05 2003-09-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830676B2 (ja) 1998-10-30 2006-10-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6673985B2 (en) 2000-11-21 2004-01-06 Uni-Charm Corporation Sanitary napk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236B1 (en) * 1986-10-10 1996-07-16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 having leakage resistant dual cuffs
KR100245354B1 (ko) * 1991-11-29 2000-02-15 데이비드 엠 모이어 탄성측면플랩을갖는흡수제품
KR960009236A (ko) * 1994-08-08 1996-03-22 양승택 T-게이트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마스크
KR19990071909A (ko) * 1995-12-04 1999-09-27 데이비드 엠 모이어 비스듬히 세워진 밴드 구조적 탄성체형 필름 커프스를 갖는 흡수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2818C (zh) 2005-08-03
US6730068B2 (en) 2004-05-04
KR20030007156A (ko) 2003-01-23
CN1397262A (zh) 2003-02-19
EP1275360A2 (en) 2003-01-15
TWI254628B (en) 2006-05-11
MY126259A (en) 2006-09-29
US20030023221A1 (en) 2003-01-30
SG104341A1 (en) 2004-06-21
EP1275360A3 (en) 200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706B1 (ko) 생리대
KR100804562B1 (ko) 생리대
KR101013481B1 (ko) 흡수성 물품
KR100804561B1 (ko) 생리용 흡수 제품
KR101343687B1 (ko) 흡수성 물품
JP4653537B2 (ja) 吸収性物品
JP5043569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4476563B2 (ja) 生理用ナプキン
US7335810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extended cushion layer with corrugated topsheet
KR101246445B1 (ko) 생리용 냅킨
KR20010051750A (ko) 흡수성 물품
JP2006346303A (ja) 吸収性物品
JP4124687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におけるエンボス形成方法
KR20080068901A (ko) 흡수성 물품
JP5860927B2 (ja) 吸収性物品
KR100906705B1 (ko) 생리대
JP2006334113A (ja) 吸収性物品
JP4712533B2 (ja) 吸収性物品
JP4117158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6226947B2 (ja) 吸収性物品
WO2018029785A1 (ja) 吸収性物品
JP3865565B2 (ja) 前漏れ防止効果の高い吸収性物品
JP4812562B2 (ja) 吸収性物品
JP4776499B2 (ja) 吸収性物品
JP2020156578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1